KR20100008098A -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098A
KR20100008098A KR1020080068502A KR20080068502A KR20100008098A KR 20100008098 A KR20100008098 A KR 20100008098A KR 1020080068502 A KR1020080068502 A KR 1020080068502A KR 20080068502 A KR20080068502 A KR 20080068502A KR 20100008098 A KR20100008098 A KR 2010000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atch
thinning
stage locking
c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549B1 (ko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가 소개된다. 씬칭래치장치의 래치레버(100)는 외주면에 1단 록킹홈(110) 및 2단 록킹홈(120)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일측에 제1회동축(51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된다. 포울레버(200)는 래치레버(100)의 회전시 1단 록킹홈(110) 또는 2단 록킹홈(120)에 걸리도록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힌지 연결된다. 크로즈레버(300)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제2회동축(52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고 래치레버(10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310)를 일측에 마련한다. 씬칭케이블(400)은 크로즈레버(300)가 회전되도록 크로즈레버(300)에 연결된다.
래치레버, 포울레버, 크로즈레버, 씬칭케이블, 감지스위치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CINCHING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도어나 테일게이트에 사용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트렁크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가 설치되며, 트렁크 도어 또는 테일게이트에는 차체 스트라이커와 잠금 및 해제되는 도어래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도어래치 중에서 불완전하게 닫힌 도어를 완전하게 닫게 하는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가 공지되어 있다. 파워 씬칭래치는 테이게이트의 닫힘시 1단 잠김상태에서 2단 잠김상태로 씬칭(Cinching)되도록 한다.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1단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2단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파워 씬칭래치의 경우 스트라이 커를 수용하는 래치레버(10)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치레버(10)의 회전시 2단으로 래치레버(10)를 구속하는 포울레버(20)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래치레버(10)를 1단 록킹상태에서 2단 록킹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씬칭래버(31)가 힌지 연결된 크로즈레버(30)가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도 7a와 같이, 스트라이커(51)가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진입하면, 래치레버(10)는 스트라이커(51)를 수용하면서 회전하고 포울레버(20)에 의해 걸린다. 이때, 도 7b와 같이, 래치레버(10)는 1단 록킹상태가 되며, 감지스위치(52)는 이를 감지하여 씬칭신호를 크로즈레버(30)에 인가한다.
씬칭신호에 의해 크로즈레버(30)가 회전되면, 도 7c와 같이, 신칭레버(31)는 가이드핀(5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래치레버(10)를 회전시키고, 포울레버(20)는 회전된 래치레버(10)를 구속하여 래치레버(10)를 1단 록킹상태에서 2단 록킹상태로 전환한다. 결국, 테일게이트는 2단 록킹상태의 래치레버(10)에 의해 완전하게 고정된다.
도 8은 이물질에 의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래치 레버가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는 정상 상태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크로즈레버 및 씬칭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b는 비정상 상태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크로즈레버 및 씬칭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런데 도 8 내지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록킹상태에서 2단 록킹상태로 전환되는 래치레버(10)의 이동 궤적상에 이물체가 끼여 있게 되는 경우, 이 상태에서 크로즈레버(30)가 회전하게 되면 이물체에 의한 고정된 래치래버(10)에 씬칭래버(31)가 충돌되면서 크로즈레버(30)에 변형이 발생된다. 아울러, 크로즈레버(30)가 변형된 상태에서 리턴하게 되면 크로즈레버(30)의 변형 부위가 래치커버(54)에 걸리면서 크로즈레버(3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게 되며, 결국 래치래버(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크로즈레버(30)에 변형이 발생되는 이유는 크로즈레버(30)와 래치레버(10)가 동일한 회동축을 사용함에 따라, 해당 회동축으로부터 힘이 전달되는 씬칭래버(31)까지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상,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레버의 이동 궤적상에 이물체가 끼여지는 경우 크로즈레버의 변형으로 인해 래치레버의 작동이 불량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1단 록킹홈 및 2단 록킹홈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제1회동축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래치레버와, 상기 래치레버의 회전시 상기 1단 록킹홈 또는 2단 록킹홈에 걸리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는 포울레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제2회동축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래치레버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는 크로즈레버, 및 상기 크로즈레버가 회전되도록 상기 크로즈레버에 연결되는 씬칭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씬칭케이블의 당김에 의한 상기 크로즈레버의 회전시, 상기 래치레버는 가압돌기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2단 록킹홈이 상기 포울레버에 의해 록킹된다.
본 발명은 상기 1단 록킹홈 또는 2단 록킹홈에 걸린 상기 포울레버의 상태를 감지하여 1단 록킹신호 또는 2단 록킹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스위치, 및 1단 록킹신호의 수신시 상기 씬칭케이블을 당겨 상기 래치레버를 2단 록킹하고, 2단 록킹신호의 수신시 상기 씬칭케이블을 풀어 크로즈레버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작동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동축에는 회전된 크로즈레버를 복귀하기 위한 복귀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크로즈레버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즈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절개편이 절개되어 절곡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절개편이 절개되어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관통되는 상기 씬칭케이블을 감싸는 케이블캡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캡의 출구측에는 상기 크로즈레버의 회전시 상기 씬칭케이블이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즈레버의 회전에 의해 래치레버에 전달되는 힘을 극대화함으로써, 1단 록킹상태에서 2단 록킹상태로 전환되는 래치레버의 이동 궤적상에 이물체가 끼여지더라도, 그로 인한 크로즈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래치레버의 작동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크로즈레버와 씬칭래버의 기능을 하나의 크로즈레버를 통해 구현함으로써,부품수를 최적화하고, 제품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1단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2단 록킹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는, 크로즈레버(300)의 회동반경을 최소화하여 크로즈레버(300)의 회전을 통해 래치레버(100)에 전달되는 힘을 극대화하므로, 래치레버(100)의 이동 궤적상에 이물체가 끼여져 있는 경우라도, 크로즈레버(300)의 변형을 방지하고 래치레버(100)의 작동 불량을 방지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씬칭래치장치는 스트라이커(550)가 진입되는 래치레버(100)와, 래치레버(100)를 1단 록킹 또는 2단 록킹하는 포울레버(200), 래치레버(100)를 1단 록킹상태에서 2단 록킹상태로 전환하는 크로즈레버(300), 및 크로즈레버(300)를 작동하기 위한 씬칭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레버(100)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일측에 제1회동축(51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고, 해당 일측에 진입 스트라이커(550)를 수용하기 위한 래치홈(130)을 마련하며, 해당 외주면에 회전 각도에 따라 포울레버(200)가 걸리는 1단 록킹 홈(110) 및 2단 록킹홈(120)을 마련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내측으로 스트라이커(550)가 진입되면, 래치레버(100)는 스트라이커(550)의 진입에 의해 도 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포울레버(200)의 1단 록킹홈(110)에 걸려 1단 록킹상태가 유지되고, 크로즈레버(300)가 작동되면, 래치레버(100)는 다시 도 1의 시계방향을 회전되면서 포울레버(200)의 2단 록킹홈(120)에 걸려 2단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포울레버(200)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제3회동축(53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고,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래치레버(10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래치레버(100)의 회전시 포울레버(200)는 래치레버(1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래치레버(100)의 1단 록킹홈(110) 또는 2단 록킹홈(120)에 걸리므로, 해당 위치에서 래치레버(100)의 1단 록킹과 2단 록킹을 구현한다.
크로즈레버(300)는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타측에 제2회동축(52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된다. 크로즈레버(300)의 일측에는 당김에 의해 크로즈레버(300)를 회전하는 씬칭케이블(400)이 힌지핀(420)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크로즈레버(300)의 일측에는 크로즈레버(300)의 회전시 래치레버(100)를 가압하기 위한 둥근 형상의 가압돌기(310)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씬칭케이블(400)이 당겨져 크로즈레버(300)가 도 2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크로즈레버(300)의 가압돌기(310)는 래치레버(100)를 도 2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2단 록킹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씬칭래치장치의 경우, 크로즈레버(300)의 제2회동축(520)은 래치레버(100)의 제1회동축(510)과 별개의 힌지축으로 구성되어 래치레버(100)의 외측벽에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제2회동축(520)과 가압돌기(3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대한 짧게 된다. 따라서, 래치래버에 크로즈레버(300)가 충돌하더라도 해당 충격으로 인해 크로즈레버(30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결국, 회동축으로부터 씬칭래버까지의 이격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연장되어 래치래버에 대한 씬칭래버의 충돌에 의해 크로즈레버(300)에서 변형이 발생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C-C"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D-D"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즈레버(300)의 제2회동축(520)에는 2단 록킹상태의 크로즈레버(300)를 원래 위치인 도 2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320)이 마련된다. 복귀스프링(320)은 회전된 크로즈레버(300)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바, 이 복귀스프링(320)의 일단은 크로즈레버(300)의 타단에 고정되고, 복귀스프링(320)의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고정된다.
여기서, 크로즈레버(300)의 타단에는 복귀스프링(32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절개편(330)이 절개되어 절곡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00)에는 복귀스프링(320)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절개편(540)이 절개되어 절곡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씬칭케이블(400)은 크로즈레버(300)가 회전되도록 크로즈레버(300)에 연결되며, 베이스 플레이트(500)를 관통되는 씬칭케이블(400)에 의해 감싸진다. 특히, 케이블캡(410)의 출구측에는 크로즈레버(300)의 회전시 씬칭케이블(400)의 측방향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테이퍼부(411)가 형성된다.
이 씬칭케이블(400은 작동제어부(8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 작동제어부(800)는 래치레버(100)의 1단 록킹신호 또는 2단 록킹신호를 인가받는 컨트롤러(미도시) 및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씬칭케이블(400)을 작동하는 씬칭모터와 같은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500)에는 래치레버(100)의 1단 록킹상태 또는 2단 록킹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1단 록킹신호 또는 2단 록킹신호를 작동제어부(800)에 제공하는 감지스위치(6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감지스위치(600)는 래치레버(100)의 외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래치레버(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1단 록킹상태 또는 2단 록킹상태를 구별한다.
따라서, 감지스위치(600)가 래치레버(100)의 1단 록킹상태를 감지하여 작동제어부(800)에 1단 록킹신호를 제공하면, 작동제어부(800)는 1단 록킹상태의 래치레버(100)를 2단 록킹상태의 래치레버(100)로 전환되도록 씬칭케이블(400)을 당기고, 씬칭케이블(400)의 당김에 의해 크로즈레버(300)가 회전되면 크로즈레버(300)의 가압돌기(310)가 래치레버(100)를 가압하여 회전함으로써, 래치레버(100)를 2단 록킹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1단 록킹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씬칭래치장치의 2단 록킹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D-D"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7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1단 록킹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7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2단 록킹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이물질에 의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래치 레버가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를 도시한 상태도.
도 9a는 정상 상태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래치의 크로즈레버 및 씬칭레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 9b는 비정상 상태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파워 씬칭 래치의 크로즈레버 및 씬칭레버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래치레버 200 :포울레버
300 :크로즈레버 400 :씬칭케이블
500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6)

  1. 외주면에 1단 록킹홈(110) 및 2단 록킹홈(120)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500)의 일측에 제1회동축(51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래치레버(100);
    상기 래치레버(100)의 회전시 상기 1단 록킹홈(110) 또는 2단 록킹홈(120)에 걸리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힌지 연결되는 포울레버(2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제2회동축(52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래치레버(10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310)가 일측에 형성되는 크로즈레버(300); 및
    상기 크로즈레버(300)가 회전되도록 상기 크로즈레버(300)에 연결되는 씬칭케이블(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씬칭케이블(400)의 당김에 의한 상기 크로즈레버(300)의 회전시, 상기 래치레버(100)는 가압돌기(310)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2단 록킹홈(120)이 상기 포울레버(200)에 의해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단 록킹홈(110) 또는 2단 록킹홈(120)에 걸린 상기 포울레버(200)의 상태를 감지하여 1단 록킹신호 또는 2단 록킹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스위치(600); 및
    1단 록킹신호의 수신시 상기 씬칭케이블(400)을 당겨 상기 래치레버(100)를 2단 록킹하고, 2단 록킹신호의 수신시 상기 씬칭케이블(400)을 풀어 크로즈레버(300)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작동제어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축(520)에는 회전된 크로즈레버(300)를 복귀하기 위한 복귀스프링(320)이 마련되고, 상기 복귀스프링(320)의 일단은 상기 크로즈레버(300)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복귀스프링(32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로즈레버(300)의 타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32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절개편(330)이 절개되어 절곡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에는 상기 복귀스프링(320)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절개편(540)이 절개되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00)에는 관통되는 상기 씬칭케이블(400)을 감싸는 케 이블캡(41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캡(410)의 출구측에는 상기 크로즈레버(300)의 회전시 상기 씬칭케이블(400)이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테이퍼부(4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KR1020080068502A 2008-07-15 2008-07-15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KR10097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02A KR100974549B1 (ko) 2008-07-15 2008-07-15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502A KR100974549B1 (ko) 2008-07-15 2008-07-15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98A true KR20100008098A (ko) 2010-01-25
KR100974549B1 KR100974549B1 (ko) 2010-08-11

Family

ID=4181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502A KR100974549B1 (ko) 2008-07-15 2008-07-15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CN105283618A (zh) * 2014-03-14 2016-01-27 牛步科技有限公司 用于门的闩锁系统
US9567781B2 (en) 2014-09-30 2017-02-14 Hyundai Motor Company Latch structure of tail gate
WO2020004694A1 (ko) * 2018-06-29 2020-01-02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US11136795B2 (en) 2016-09-12 2021-10-05 Hyundai Motor Company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535B1 (ko) 2012-02-24 2013-11-08 주식회사 리한도어 테일게이트의 씬칭 래치 어셈블리
KR101770249B1 (ko) 2014-12-30 2017-08-22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 래치 시스템
WO2016108395A1 (en) * 2014-12-30 2016-07-07 Woobo Tech Co., Ltd. Door latch system
KR101758738B1 (ko) * 2015-08-11 2017-07-17 김학용 차량용 적재함 도어의 개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439B1 (ko) 2000-10-24 200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KR100876403B1 (ko) * 2002-08-27 2008-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35081B1 (ko) * 2004-03-22 200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 구조
KR200418883Y1 (ko) * 2006-03-28 2006-06-15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 래치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980B1 (ko) * 2013-10-08 2014-08-27 평화정공(주) 래치장치
CN105283618A (zh) * 2014-03-14 2016-01-27 牛步科技有限公司 用于门的闩锁系统
US9567781B2 (en) 2014-09-30 2017-02-14 Hyundai Motor Company Latch structure of tail gate
US11136795B2 (en) 2016-09-12 2021-10-05 Hyundai Motor Company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
WO2020004694A1 (ko) * 2018-06-29 2020-01-02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549B1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54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US10363799B2 (en) Coach door of vehicle openable and closable regardless of order
CN110359787B (zh) 具有动力打开特征的汽车门闩锁
US10895095B2 (en) Power closure latch assembly with cinch mechanism having ratchet retention function
EP2792519B1 (en) Vehicle door structure
KR101836696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래치장치
US7568740B2 (en) Motor vehicle lock
US6669247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11781367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N108979366B (zh) 车辆的行李箱盖锁栓组件
US20070040391A1 (en) Door closing device
CN101680246A (zh) 用以打开汽车的辅助关闭电子锁
US10745948B2 (en)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having double pawl latch mechanism
KR20160038917A (ko)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US20170342751A1 (en) Opening control device
KR100694453B1 (ko) 차량용 파워 클로징 래치
US6510656B1 (en) Door closing apparatus provided with passive lever having access from an interior of a vehicle
CN111946173B (zh) 用于打开和关闭车辆的行李舱的闩锁组件
US11619075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338854B1 (ko) 테일게이트의 씬칭 래치 어셈블리
EP3299558B1 (en) Liftgate latch
JP6442757B2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JP3880846B2 (ja) 車両テールゲートのラッチ装置
JP6361050B2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US20240175300A1 (en) Latch mechanism opening/closing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