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917A -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917A
KR20160038917A KR1020140130719A KR20140130719A KR20160038917A KR 20160038917 A KR20160038917 A KR 20160038917A KR 1020140130719 A KR1020140130719 A KR 1020140130719A KR 20140130719 A KR20140130719 A KR 20140130719A KR 20160038917 A KR20160038917 A KR 20160038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housing
link arm
groove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518B1 (ko
Inventor
임윤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518B1/ko
Priority to DE102015218253.3A priority patent/DE102015218253A1/de
Priority to CN201510614026.XA priority patent/CN105464489B/zh
Priority to US14/872,086 priority patent/US9567781B2/en
Publication of KR2016003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allowing simultaneous actu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elements and a handle, e.g.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unlocking and an un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5/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both moving axially and turning about their axis to secure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잠금홈이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상기 잠금홈으로 진입가능한 열림위치를 유지하되 스트라이커가 개구홈에 최종 진입하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장착되는 캐치; 및 상기 캐치와 이격되어 하우징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캐치가 회동하면 돌출부가 잠금홈에 진입하여 캐치의 회동을 구속하는 폴;을 포함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로써, 상기 하우징에서 고정되며 활주홈이 형성된 레일; 및 일측 끝단은 캐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캐치의 회동에 의해 타측 끝단은 활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캐치가 락킹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회동한 다음에 역회전을 방지되도록 활주홈에는 링크암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Latch struture of tail-gate}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캐치가 하프락(half lock) 상태에서 언락(unlock) 상태로 회전할 때,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언락 상태로 회전이 이뤄지지 않거나 언락 상태에 도달 후 역회전하여 하프락 상태로 복귀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레일과 링크암이 추가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테일게이트(또는 트렁크리드)의 랫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세단형 승용차량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차량 후방에 탑승 공간과 격리된 트렁크 룸이 마련되며, 상기 트렁크 룸은 트렁크리드가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화물적재 공간과 탑승 공간이 분리되지 않는 SUV 또는 MPV 차량 등은 물품적재가 용이하도록 차체 내부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적재공간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테일게이트가 장착된다.
즉, 트렁크리드 및 테일게이트는 크기 및 형상에 있어 차이는 있으나 차량의 적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로써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 또는 주차 시 열림을 방지하도록 공통적으로 잠금장치를 갖는다.
상기 잠금장치는 고리모양으로 구성된 스트라이커가 차체에 고정장착되고, 테일게이트 또는 트렁크리드의 끝단에는 닫혔을 때 스트라이커에 결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랫치가 장착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랫치는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1a)이 형성된 하우징(1)에 캐치(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캐치(2)는 스프링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상기 잠금홈(2a)으로 진입가능한 열림위치를 유지하되 스트라이커가 개구홈(1a)에 최종 진입하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캐치(2)는 락킹위치로 회동되면 돌출부가 형성된 폴(3)이 잠금홈(2a)에 끼워져 회동이 구속된다.
한편, 특허공개 제 10-2010-0008098 호(2010. 1. 25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불완전하게 닫힌 테일게이트를 완전하게 닫기 위해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CINCHING LATCH) 구조가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씬칭래치의 구조에서 캐치(2)는 풀락 상태와 하프락 상태 두 가지 상태로 잠금이 이뤄지도록 풀락 상태에서 폴(3)이 끼워지는 잠금홈(2a) 외에도 하프락 상태에서 폴이 끼워지는 제2잠금홈(2b)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러한 씬칭래치 구조에서는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언락 상태에서 하프락 상태로 전환되어 테일게이트의 개폐시 사용자가 걸림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스트라이커가 완전하게 체결된 풀락 상태에서 모터의 작동에 의해 폴(3)이 회전을 하면, 폴(3)에 의해 고정되던 캐치(2)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프락 상태를 지나 언락 상태로 회전한다(참고적으로, 캐치가 30도 회전했을 때 하프락 상태이고, 60 도 회전했을 때 언락 상태에 놓인다).
그러나, 하프락 상태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될 때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여 (캐치가 스트라이커에 눌림에 따라) 하프락 상태로 복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사용자가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걸림감 및/또는 이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프락에서 언락상태로 전환될 때 캐치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잠금홈이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상기 잠금홈으로 진입가능한 열림위치를 유지하되 스트라이커가 개구홈에 최종 진입하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장착되는 캐치; 및 상기 캐치와 이격되어 하우징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캐치가 회동하면 돌출부가 잠금홈에 진입하여 캐치의 회동을 구속하는 폴;을 포함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로써, 상기 하우징에서 고정되며 활주홈이 형성된 레일; 및 일측 끝단은 캐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캐치의 회동에 의해 타측 끝단은 활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캐치가 락킹위치(풀락 상태에 또는 하프락 상태)에서 열림위치(언락상태)로 회동한 후에 스트라이커의 진입에 의한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활주홈에는 링크암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활주홈의 표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부이다. 상기 돌기부는 두 개 이상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돌기부들 사이에 링크암의 끝단이 구속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판 모양을 가지며 일측면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면에서 돌출된 축을 갖는 캐치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치는 캐치핀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레일은 장착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활주홈은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링크암은 캐치에 결합된 일측 끝단이 활주홈을 따라 이동하는 타측 끝단 보다 활주홈의 폭방향으로 더 길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랫치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적재공간을 개폐하도록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스트라이커에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트렁크리드의 랫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테일게이트는 SUV 또는 MPV 차량의 테일게이트 뿐만 아니라 세단형 차량의 트렁크리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가 언락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다시 하프락 상태로 전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레일과 링크암은 종래의 캐치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제조될 수 있으며, 폴이 아닌 캐치의 회동을 직접 구속하는 방식이므로, (본 발명과 유사한 목적을 갖되 폴의 회동을 제어하는 방식의 다른 구조와는 달리) 추가적인 로직과 센서 및 전자부품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1 은 종래의 테일게이트 랫치가 풀 락(full lock) 상태에 있을 때, 하프 락(half lock) 상태에 있을 때 및 언락(unlock) 상태에 있을 때의 모습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랫치의 정면 모습과 캐치핀, 레일, 링크암 및 캐치가 결합된 측면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3 은 캐치핀과 링크암 및 캐치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테일게이트가 열릴 때 캐치가 회동하는 모습과 이에 대응하여 링크암이 거동하는 모습들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단, 활주홈의 정면모습에는 돌기부들과 링크암 사이에 선들이 중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돌기부가 생략됨),
도 5 는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 캐치가 회동하는 모습과 이에 대응하여 링크암이 거동하는 모습들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단, 활주홈의 정면모습에는 돌기부들과 링크암 사이에 선들이 중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돌기부가 생략됨).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랫치는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캐치(20)와 상기 캐치(20)의 회동을 단속하는 폴(30)을 포함하되 레일(50)과 링크암(6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치(20)가 락킹위치(풀락 상태 또는 하프락 상태)에서 열림위치(언락 상태)로 회동하는 동안 스트라이커(70)의 진입에 의한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레일(50)에 형성된 활주홈(51)에는 링크암(6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에는 테일게이트의 닫힘 시 스트라이커(70)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개구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캐치(20)는 폴(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잠금홈(21)과 제2잠금홈(21a)이 형성되며,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스트라이커(70)가 상기 잠금홈(21)으로 진입가능한 열림위치를 유지하되(즉, 스프링의 탄성력은 열림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되) 스트라이커(70)가 개구홈(11)에 최종 진입하면 스트라이커(70)를 구속하는 락킹위치로 회동하도록 캐치핀(40)을 통해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캐치핀(40)은 판 모양을 가지며 일측면이 하우징(10)에 고정되는 장착부(41)와 상기 장착부(41)의 타측면에서 돌출된 축(42)을 갖는다. 상기 캐치(20)는 축(42)에 끼워지도록 홀(22)이 타공되므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레일(50)은 장착부(41)에 결합되되, 캐치(20)와 마주하는 면에는 활주홈(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끝단은 볼조인트(23)를 통해 캐치(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끝단 또한 유사한 구조의 볼조인트를 통해 활주홈(51)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암(60)이 장착부(50)와 캐치(20) 사이에 결합된다.
즉, 상기 링크암(60)은 캐치(20)의 회동에 따라 캐치(20)에 결합된 볼조인트(23)에서는 축회전하고, 활주홈(51)에서는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운동을 한다. 이 때, 캐치(20)의 회전축이 되는 축(42) 끼워진 지점(A)에서부터 볼조인트(23)가 장착된 지점의 거리(B)에 따라 링크암(60)의 궤적 형태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활주홈(51)은 '링크암과 캐치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B)' 및 링크암(60)의 길이를 고려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암(60)은 캐치(20)에 결합된 일측 끝단이 활주홈(51)을 따라 이동하는 타측 끝단 보다 활주홈(50)의 폭방향으로 더 길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활주홈(51)의 표면에는 링크암(60)의 이동을 구속될 수 있는 스토퍼로써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부(5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52)는 두 개 이상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돌기부들(52) 사이에 링크암(60)의 끝단이 구속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조에서 캐치(20)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풀락 상태를 기준으로 30도 회전하면 하프락 상태로 전환되고 60도 회전하면 언락 상태로 전환되되, 30도와 60도 사이에 있을 때(바람직하게는 대략 40도) 링크암(60)이 돌기부들(52)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테일게이트의 자중을 지지하고 의도하지 않은 하프락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한다.
도 4 를 참조하여 테일게이트의 열림시의 상태를 설명하면, <a> 의 상태는 캐치(20)가 풀락 상태일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캐치(20)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언락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으나, 폴(30)에 의해 회전이 단속하고 있다. 이때, 링크암(60)은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터가 동작하여 폴(30)이 회동하면 캐치(20)는 하프락이 작용하는 각도인 <b> 상태를 지나 <c> 상태에 도달하여 언락상태가 된다. 상기 캐치(20)의 회전에 따라서 링크암(60)도 돌기부들(52)을 통과하여 활주홈(51)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의 작동이 중지되면 (폴과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폴(30)은 언락상태에서 캐치(20)에 밀착되며, 언락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테일게이트 자중에 의한 힘'이 '캐치(20)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 보다 더 크게 발생할 수도 있는 종래 구조의 경우에는 캐치(20)가 의도하지 않게 회전하여 하프락 상태로 전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d> 상태에서와 같이 링크암(60)이 돌기부들(52) 사이에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즉, '캐치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링크암이 돌기부에서 지지되는 힘'이 추가되는 구조이므로 테일게이트 자중에 의한 힘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테일게이트가 닫힐 때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에 작용하는 관성력' 및 '스트라이커(70)가 진입하며 캐치를 회전시키는 힘'의 합력이 '링크암이 돌기부에서 지지되는 힘'과 '캐치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의 합력 보다 훨씬 더 크게 작용함에 따라 링크암(60)은 돌기부들(52)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캐치(20)는 <e>, <f>, <g> 순서대로 회전하여 풀락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한 열림 불가 현상(의도하지 않은 하프락 상태로의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종래의 구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하우징
11 : 개구홈
20 : 캐치
30 : 폴
40 : 캐치핀
41 : 장착부
42 : 축
50 : 레일
51 : 활주홈
60 : 링크암

Claims (5)

  1.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구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잠금홈이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상기 잠금홈으로 진입가능한 열림위치를 유지하되 스트라이커가 개구홈에 최종 진입하면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락킹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장착되는 캐치; 및 상기 캐치와 이격되어 하우징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캐치가 회동하면 돌출부가 잠금홈에 진입하여 캐치의 회동을 구속하는 폴;을 포함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로써,
    상기 하우징에서 고정되며 활주홈이 형성된 레일; 및
    일측 끝단은 캐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캐치의 회동에 의해 타측 끝단은 활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캐치가 락킹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회동한 다음에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활주홈에는 링크암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활주홈의 표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두 개 이상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돌기부들 사이에 링크암의 끝단이 구속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 모양을 가지며 일측면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면에서 돌출된 축을 갖는 캐치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캐치는 캐치핀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레일은 장착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홈은 호형(弧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링크암은 캐치에 결합된 일측 끝단이 활주홈을 따라 이동하는 타측 끝단 보다 활주홈의 폭방향으로 더 길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KR1020140130719A 2014-09-30 2014-09-30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KR10166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19A KR101662518B1 (ko) 2014-09-30 2014-09-30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DE102015218253.3A DE102015218253A1 (de) 2014-09-30 2015-09-23 Verriegelungsstruktur für eine heckklappe
CN201510614026.XA CN105464489B (zh) 2014-09-30 2015-09-23 用于背门的闩锁结构
US14/872,086 US9567781B2 (en) 2014-09-30 2015-09-30 Latch structure of tail g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19A KR101662518B1 (ko) 2014-09-30 2014-09-30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917A true KR20160038917A (ko) 2016-04-08
KR101662518B1 KR101662518B1 (ko) 2016-10-06

Family

ID=5548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719A KR101662518B1 (ko) 2014-09-30 2014-09-30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7781B2 (ko)
KR (1) KR101662518B1 (ko)
CN (1) CN105464489B (ko)
DE (1) DE10201521825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803A (zh) * 2018-05-22 2018-09-04 广东永强奥林宝国际消防汽车有限公司 一种消防车后翻门的锁机构
US10808433B2 (en) 2016-12-19 2020-10-20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CN113585893A (zh) * 2021-08-31 2021-11-02 成都航天模塑股份有限公司 一种仪表板手套箱锁舌总成机构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20B1 (ko) * 2016-04-2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씬칭래치 조립체
CN109484272B (zh) * 2018-12-29 2023-08-18 山东聚鑫专用车制造有限公司 一种自卸车的后厢门辅助锁紧机构
KR20220008509A (ko) * 2020-07-14 2022-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 장치
CN114834344B (zh) * 2022-04-19 2023-08-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后备胎储物箱和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860A (ja) * 1993-10-13 1995-04-25 Isuzu Motors Ltd 自動車の後部ドアの開閉機構
KR20020034384A (ko) * 2000-11-01 2002-05-09 류정열 차량 트렁크리드의 힌지조립체
JP2010031503A (ja) * 2008-07-28 2010-02-12 Shiroki Corp ドアロック装置の静震構造
KR101395929B1 (ko) * 2013-02-06 2014-05-15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45A (ja) 1997-06-17 1999-01-12 Asmo Co Ltd 扉体の施解錠装置
JP3425103B2 (ja) 1999-07-07 2003-07-0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4374674B2 (ja) 1999-09-30 2009-12-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GB0006932D0 (en) * 2000-03-23 2000-05-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mechanism
US7293806B2 (en) * 2001-08-07 2007-11-13 Mitsui Kizoku Kogy Kabushiki Kaisha Selective one-motion door opening mechanism for door latch of vehicle
US7175212B2 (en) * 2002-02-25 2007-02-13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Latch having releasable cinching mechanism
GB0306671D0 (en) * 2003-03-22 2003-04-30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DE102004014805A1 (de) * 2004-03-24 2005-10-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schloß mit geräuschoptimierten Schließelementen
KR100552770B1 (ko) * 2004-05-14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RU2398948C2 (ru) * 2005-02-18 2010-09-10 Меритор Текнолоджи, Инк. Защелка
JP4584103B2 (ja) * 2005-09-30 2010-1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836333B1 (ko) 2007-07-19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록 장치
EP2310601B1 (en) * 2008-05-26 2016-02-24 Magna Closures SpA Double pawl vehicle latch
KR100957103B1 (ko) * 2008-06-30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DE102008033305B4 (de) * 2008-07-11 2019-06-2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KR100974549B1 (ko) 2008-07-15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씬칭래치장치
CN203832288U (zh) * 2011-08-08 2014-09-17 三井金属爱科特株式会社 锁定装置
WO2013147186A1 (ja) 2012-03-30 2013-10-0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複合中空糸膜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20140217751A1 (en) * 2013-02-04 2014-08-07 Francisco Javier Lujan Latch mechanism
US20150308156A1 (en) * 2014-04-28 2015-10-29 Kiekert Ag Clos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closing a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860A (ja) * 1993-10-13 1995-04-25 Isuzu Motors Ltd 自動車の後部ドアの開閉機構
KR20020034384A (ko) * 2000-11-01 2002-05-09 류정열 차량 트렁크리드의 힌지조립체
JP2010031503A (ja) * 2008-07-28 2010-02-12 Shiroki Corp ドアロック装置の静震構造
KR101395929B1 (ko) * 2013-02-06 2014-05-15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8433B2 (en) 2016-12-19 2020-10-20 Hyundai Motor Company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CN108487803A (zh) * 2018-05-22 2018-09-04 广东永强奥林宝国际消防汽车有限公司 一种消防车后翻门的锁机构
CN108487803B (zh) * 2018-05-22 2024-03-29 广东永强奥林宝国际消防汽车有限公司 一种消防车后翻门的锁机构
CN113585893A (zh) * 2021-08-31 2021-11-02 成都航天模塑股份有限公司 一种仪表板手套箱锁舌总成机构及车辆
CN113585893B (zh) * 2021-08-31 2024-04-09 成都航天模塑有限责任公司 一种仪表板手套箱锁舌总成机构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64489B (zh) 2019-02-12
KR101662518B1 (ko) 2016-10-06
US9567781B2 (en) 2017-02-14
US20160090131A1 (en) 2016-03-31
CN105464489A (zh) 2016-04-06
DE102015218253A1 (de)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518B1 (ko)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US9073413B2 (en) Vehicle door structure
US11781367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N108625693B (zh) 具有防拍击闩锁机构的车辆关闭闩锁组件
KR10138275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10179555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락킹 장치
JP2014024476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CN112776572A (zh) 用于车辆的滑动/摆动复合车门
US9739077B2 (en) Linear rotating link switch actuation
US9783028B1 (en) Powered dual closure system for vehicles
US20200217112A1 (en) Hold-Open Latch Structure for Opposite Sliding Doors for Vehicle
US20170342751A1 (en) Opening control device
CN212002747U (zh) 对车门的打开或关闭顺序没有限制的锁定装置及使用该锁定装置的车辆
US9945161B2 (en) Lock system for dual vehicle closures
CN110644869B (zh) 集成门闩锁组件、车辆以及操作车辆的滑动门的方法
KR101338854B1 (ko) 테일게이트의 씬칭 래치 어셈블리
US10927574B2 (en) Motor vehicle
US20130099510A1 (en) Latch assembly
KR101786705B1 (ko) 차량의 대향 개폐형 도어구조
KR101451083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KR100460610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핸들
US20230340829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20210085693A (ko) 2단 오픈 테일게이트
KR100879104B1 (ko) 차량용 스트라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