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83B1 -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083B1
KR101451083B1 KR1020130068729A KR20130068729A KR101451083B1 KR 101451083 B1 KR101451083 B1 KR 101451083B1 KR 1020130068729 A KR1020130068729 A KR 1020130068729A KR 20130068729 A KR20130068729 A KR 20130068729A KR 101451083 B1 KR101451083 B1 KR 101451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member
base plate
striker
tailgate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식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일게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도록 진입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래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 부재; 상기 래치 부재의 전면에 상기 래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닫힘 방지 수단; 및 일측에 폴 핀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폴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 부재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Ope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게이트의 개폐시, 자중에 의해 테일게이트가 다시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의 후미에는 테일게이트(Tailgate)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테일게이트의 하단에는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및 해제하도록 하는 테일게이트 래치장치가 구비되어 테일게이트의 잠김과 열림을 주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테일게이트를 개폐하면, 상기 테일게이트가 자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처지게 되면서 최종적으로는 테일게이트가 닫히게 된다. 즉, 테일게이트가 닫히게 되면서 테일게이트에 구비된 테일게이트 래치장치가 테일게이트를 잠구게되어 사용자가 테일게이트를 다시 개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의 자중에 의해 테일게이트가 다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일게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도록 진입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래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 부재; 상기 래치 부재의 전면에 상기 래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닫힘 방지 수단; 및 일측에 폴 핀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폴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 부재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는 폴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 부재의 회동을 구속시키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힘 방지 수단의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되, 상기 후크는, 상기 닫힘 방지 수단의 일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테일게이트의 오픈시, 상기 테일게이트의 오픈시 상기 폴 핀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폴 레버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는 종래의 테일게이트 래치에 닫힘 방지 수단을 설치하여, 테일게이트가 자중에 의해 닫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가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래치 부재, 닫힘 방지 수단 및 폴 레버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가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래치 부재, 닫힘 방지 수단 및 폴 레버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이하 '오픈장치(100)'로 지칭함)는 테일게이트(1)의 하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픈장치(100)는 테일게이트(1)의 열림 및 잠김을 주관할 수 있다. 또한, 오픈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래치 부재(120), 폴 레버(140) 및 닫힘 방지 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테일게이트(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테일게이트(1)의 하단측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부측은 좌우면에 나사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나사홈(111)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테일게이트(1)의 하단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하부에는 스트라이커(200)의 진입을 위한 진입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라이커(20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래치 부재(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래치 부재(120)는 진입부(110a)의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래치 부재(120)가 진입부(110a)의 우측에 구비된 모습을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이때, 래치 부재(120)는 일측에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래치 부재(120)에 형성된 상기 홀에 래치 축(121)이 체결됨으로써, 래치 부재(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120)는 래치 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120)는의 일측에는 스트라이커(2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부재(120)는 스트라이커(200)를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오픈장치(100)가 잠길시, 래치 부재(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진입부(110a)에 배치된 스트라이커(200)를 안착홈(120a)에 안착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200)가 구속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오픈장치(100)가 오픈시에는, 래치 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안착홈(120a)에 안착된 스트라이커(200)를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닫힘 방지 수단(130)은 래치 부재(12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닫힘 방지 수단(130)은 래치 부재(120) 전면에 래치 축(12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닫힘 방지 수단(130)은 래치 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닫힘 방지 수단(130)의 후면에는 돌출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도 3참고). 이에 따라, 닫힘 방지 수단(130)은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닫힘 방지 수단(130)은 래치 부재(120)가 회동시,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131)가 래치 부재(120)에 걸리게 되어, 닫힘 방지 수단(130)의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따라서 닫힘 방지 수단(130)은 래치 부재(12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닫힘 방지 수단(130)은 일단에 후크(13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130a)는 닫힘 방지 수단(130)의 일단이 굴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는, 닫힘 방지 수단(130)이 후술할 폴 핀(143)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오픈장치(100)가 열림상태의 경우, 닫힘 방지 수단(130)에 형성된 후크(130a)가 폴 핀(143)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폴 레버(14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폴 레버(140)는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폴 레버(140)는 전술한 진입부(110a)를 기준으로 래치 부재(120)와 반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폴 레버(140)가 진입부(110a)의 좌측에 구비된 모습을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폴 레버(140)의 일측에는 전술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폴 레버(140)에 형성된 상기 홀에 폴 축(141)이 체결됨으로써, 폴 레버(14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폴 레버(140)는 폴 축(14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폴 레버(140)의 일단에는 걸림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래치 부재(120)가 걸림부(142)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오픈장치(100)가 잠금상태인 경우, 래치 부재(120)가 걸림부(142)에 걸리도록 하여 래치 부재(120)의 회동이 억제되고, 오픈장치(100)가 오픈될 시에는, 폴 레버(1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걸림부(142)에 의해 회동이 억제된 래치 부재(120)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폴 레버(140)는 래치 부재(120)를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오픈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우선, 테일게이트(1)가 닫혀진 상태의 경우(도 2참고), 래치 부재(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을 갖고 있는 상태로 폴 레버(140)에 의해 스트라이커(200)를 안착홈(120a)에 안착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폴 레버(140)의 하단부는 운전석의 개폐 스위치(미도시)와 와이어 등의 연결 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여 폴 레버(14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래치 부재(120)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폴 레버(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걸림부(142)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어 있는 래치 부재(120)가 해제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래치 부재(120)가 해제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안착홈(120a)에 안착된 스트라이커(200)가 해제된다.
이때, 래치 부재(120)가 회동됨과 동시에 닫힘 방지 수단(1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닫힘 방지 수단(130)에 형성된 후크(130a)가 폴 핀(143)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테일게이트(1)가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되더라도, 폴 핀(143)에 걸린 닫힘 방지 수단(130)이 래치 부재(120)의 회동을 구속시킴으로써, 오픈장치(100)의 오픈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오픈장치(100)가 상기 오픈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오픈장치(100)가 오픈상태에서, 사용자는 테일게이트(1)에 외력을 가하여 테일게이트(1)를 닫는다. 테일게이트(1)가 닫힘에 따라, 스트라이커(200)가 진입부(110a)에 진입된다. 스트라이커(200)가 진입부(110a)에 진입되면, 래치 부재(1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폴 핀(143)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닫힘 방지 수단(130)은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131)에 의해 래치 부재(12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돌출부(131)가 래치 부재(120)에 걸리게 됨으로써, 닫힘 방지 수단(130)이 래치 부재(12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된다.
폴 핀(143)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닫힘 방지 수단(130)이 래치 부재(120)와 같은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폴 핀(14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즉, 폴 핀(14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폴 핀(143)에 형성된 걸림부(142)가 래치 부재(120)를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오픈장치(100)는 잠금상태로 전환되며, 테일게이트(1)는 열리지 않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랴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는, 래치 부재(120)의 회동을 억제하는 닫힘 방지 수단(130)을 구비하여 테일게이트(1)의 자중에 의해 오픈장치(100)가 잠기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테일게이트 100: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0a: 진입부
111: 나사홈 120: 래치 부재
120a: 안착홈 121: 래치 축
130: 닫힘 방지 수단 130a: 후크
131: 돌출부 140: 폴 레버
141: 폴 축 142: 걸림부
143: 폴 핀 200: 스트라이커

Claims (3)

  1. 테일게이트(1)의 일측에 설치되며, 스트라이커(200)가 진입되도록 진입부(110a)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래치 축(1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20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120a)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200)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 부재(120);
    상기 래치 부재(120)의 전면에 상기 래치 축(1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131)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닫힘 방지 수단(13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폴 축(1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래치 부재(120)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폴 레버(140);를 포함하되,
    상기 폴 레버(140)는, 상기 닫힘 방지 수단(130)에 의해 상기 폴 레버(140)의 회동을 제한하는 폴 핀(143)을 구비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 레버(140)의 일단에는 상기 래치 부재(120)의 회동을 구속시키기 위한 걸림부(142)가 형성된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닫힘 방지 수단(130)의 일단에는 후크(130a)가 형성되되,
    상기 후크(130a)는, 상기 닫힘 방지 수단(130)의 일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테일게이트(1)의 오픈시 상기 폴 핀(143)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폴 레버(140)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KR1020130068729A 2013-06-17 2013-06-17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KR101451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729A KR101451083B1 (ko) 2013-06-17 2013-06-17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729A KR101451083B1 (ko) 2013-06-17 2013-06-17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083B1 true KR101451083B1 (ko) 2014-10-15

Family

ID=5199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729A KR101451083B1 (ko) 2013-06-17 2013-06-17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8563B2 (en) 2016-03-02 2019-10-01 Hyundai Motor Company Pop-up structure of tail g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390A (ja) 2001-12-20 2003-07-03 Shiroki Corp キャンセル機構付き車両用ロック装置及びそのケーブルレバー
KR20100123658A (ko) * 2009-05-14 2010-11-24 인테바 프로덕츠 유럽 게엠베하 차량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390A (ja) 2001-12-20 2003-07-03 Shiroki Corp キャンセル機構付き車両用ロック装置及びそのケーブルレバー
KR20100123658A (ko) * 2009-05-14 2010-11-24 인테바 프로덕츠 유럽 게엠베하 차량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8563B2 (en) 2016-03-02 2019-10-01 Hyundai Motor Company Pop-up structure of tail 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090B1 (ko) 차량용 록
US8480138B2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KR101662518B1 (ko) 테일게이트의 랫치 구조
KR101836620B1 (ko) 차량용 씬칭래치 조립체
US10626640B2 (en)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KR10179555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락킹 장치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KR20180091463A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JP2015209642A (ja)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KR101451083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오픈장치
KR101272988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래치 기어의 해제 구조
JP2020066348A (ja) 車両ドア用保持装置
CN110644869B (zh) 集成门闩锁组件、车辆以及操作车辆的滑动门的方法
JP4040857B2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装置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JP6252498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288760B1 (ko) 슬라이딩 도어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잠금장치
KR100836333B1 (ko) 도어 록 장치
KR200327505Y1 (ko) 중장비용 본네트 잠금장치
JP6974748B2 (ja) ラッチ装置及びシート装置
KR100858185B1 (ko) 플립업 글래스 개방 시 테일게이트 개방 차단 장치
US11578509B2 (en)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2004156342A (ja) テールゲートドアの開放防止機構
KR101024986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래치장치
JPH11334366A (ja) ドア開度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