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104B1 - 차량용 스트라이커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트라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104B1
KR100879104B1 KR1020070122089A KR20070122089A KR100879104B1 KR 100879104 B1 KR100879104 B1 KR 100879104B1 KR 1020070122089 A KR1020070122089 A KR 1020070122089A KR 20070122089 A KR20070122089 A KR 20070122089A KR 100879104 B1 KR100879104 B1 KR 10087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pin
vehicle
long groove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래치를 통한 차량 도어의 잠금을 위해 차체에 마련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홈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바디와, 장홈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스트라이커바를 포함하고, 스트라이커바는 장홈에 배치되는 구속핀과, 구속핀이 장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구속핀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핀을 매개로 스트라이커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편으로 구성된다.
도어래치, 스트라이커, 장홈, 회동핀

Description

차량용 스트라이커{Strik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도어래치를 통해 차량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스트라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차량에는 승객들이 소지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납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플랩도어가 화물칸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플랩도어는 힌지암을 매개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플랩도어에는 플랩도어의 잠금을 위한 도어래치가 마련되고, 도어래치에 대응되는 차체에는 스트라이커가 설치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의 닫힘시, 스트라이커(10)의 스트라이커바(12)는 도어래치(20)에 진입하여 구속되며, 이를 통해, 플랩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스트라이커바(12)가 스트라이커 바디(11)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스트라이커 또는 도어래치의 조립과정에서 편심 오차가 발생되면,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의 잠금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재작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에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래치를 통한 차량 도어의 잠금을 위해 차체에 마련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로서, 장홈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바디; 및 상기 장홈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스트라이커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바는 상기 장홈에 배치되는 구속핀과, 상기 구속핀이 상기 장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구속핀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핀을 매개로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홈은 상기 스트라이커바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라이커의 스트라이커바가 회동 가능함에 따라,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작동 중심축이 맞지 않더라도 이들 사이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 또는 도어래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이들 사이에 편심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수정하기 위한 재작업이 필요 없고, 스트라이커 와 도어래치 사이의 작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는, 장홈(110)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바디(100)와, 상기 장홈(11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스트라이커 바디(100)에 힌지 연결되는 스트라이커바(2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는, 버스 플랩도어의 잠금 기능을 위해 버스 차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는 플랩도어의 도어래치에 대응되며 상기 플랩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러한 스트라이커 구성은 승용차의 도어, 승합차량의 테일게이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라이커바(200)는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의 장홈(110)에 배치되는 구속핀(210),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핀(220), 및 상기 구속핀(210)과 회동핀(220) 사이를 연결하는 회동편(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속핀(210)은 플랩도어의 잠금 작동시 도어래치(300)에 진입되어 구속되는 구속물로,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의 장홈(110)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도어래치(300)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핀(210)이 a 또는 b에 진입하더라도, 상기 구속핀(210)이 상기 장홈(110)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도어래치(300)에 용이하게 진입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에는 회동핀(220)이 마련된다. 상기 회동핀(220)은 상기 스트라이커바(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축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편(230)은 해당 일단부가 상기 회동핀(220)에 연결되고, 해당 타단부가 상기 구속핀(210)에 고정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도어래치(300)에 대한 스트라이커바(200)의 진입시 상기 구속핀(210)은 상기 회동핀(220)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장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장홈(110)에는 상기 구속핀(210)이 배치되며, 상기 장홈(110)은 상기 구속핀(210)의 이동을 위한 유동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홈(110)은 상기 회동핀(220)을 회동축으로 회동하는 상기 구속핀(210)의 이동 궤적과 대응되기 위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300)의 닫힘시, 고정브라켓(410)을 통해 차체(400)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는 도어래치(300)를 향해 진입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핀(210)이 a 또는 b에서 진입하더라도, 상기 구속핀(210)은 장홈(110)을 따라 유동 가능하므로, 상기 도어래치(300)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핀(210)이 상기 도어래치(300)에 진 입되면, 상기 스트라이커바(200)는 상기 도어래치(300)에 구속되며, 결국, 상기 도어래치(300)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트라이커의 경우 스트라이커의 스트라이커바(200)가 회동 가능함에 따라,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작동 중심축이 맞지 않더라도 이들 사이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스트라이커 또는 도어래치의 조립과정에서 편심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의 잠금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를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의 평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라이커의 작동 전, 및 작동 후 상태를 각각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스트라이커 바디 200 :스트라이커바
210 :구속핀 220 :회동핀
230 :회동편

Claims (3)

  1. 도어래치를 통한 차량 도어의 잠금을 위해 차체에 마련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로서, 장홈(110)이 형성된 스트라이커 바디(100); 및 상기 장홈(110)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에 힌지 연결되는 스트라이커바(2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바(200)는 상기 장홈(110)에 배치되는 구속핀(210)과, 상기 구속핀(210)이 상기 장홈(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일단이 상기 구속핀(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동핀(220)을 매개로 상기 스트라이커 바디(100)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편(2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홈(110)은 상기 스트라이커바(200)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라이커.
KR1020070122089A 2007-11-28 2007-11-28 차량용 스트라이커 KR10087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89A KR100879104B1 (ko) 2007-11-28 2007-11-28 차량용 스트라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089A KR100879104B1 (ko) 2007-11-28 2007-11-28 차량용 스트라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104B1 true KR100879104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089A KR100879104B1 (ko) 2007-11-28 2007-11-28 차량용 스트라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1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180Y1 (ko) * 1994-04-29 1998-12-15 전성원 버스의 플랩도어의 록킹구조
KR200205786Y1 (ko) 2000-07-11 2000-12-01 윤규중 도어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180Y1 (ko) * 1994-04-29 1998-12-15 전성원 버스의 플랩도어의 록킹구조
KR200205786Y1 (ko) 2000-07-11 2000-12-01 윤규중 도어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109B2 (en) Vehicle 180 degre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US10363799B2 (en) Coach door of vehicle openable and closable regardless of order
US7980621B2 (en) Vehicl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EP1843918B1 (en) Step for a vehicle
US9567781B2 (en) Latch structure of tail gate
JP58804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US20210140216A1 (en) Link mechanism for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009967A (ko) 플랩 또는 도어용 록
US20070138813A1 (en) Hold-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US20230340805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9783028B1 (en) Powered dual closure system for vehicles
US20180209180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CN111411847A (zh) 用于车辆的相对滑动门的保持打开闩锁结构
JP2020033742A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KR100879104B1 (ko) 차량용 스트라이커
CN112996974B (zh) 汽车用门锁装置
US20200399938A1 (en) Locking Device Having No Restriction on Order of Opening or Closing Door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20230203863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KR100821007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도어핸들조립체
US20230340829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20240066962A1 (en) Tilting type vehicle trunk door
US11408209B2 (en) Two-stage open tailgate
JPH10181350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制御機構
JP396807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