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30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307B1
KR101988307B1 KR1020120008606A KR20120008606A KR101988307B1 KR 101988307 B1 KR101988307 B1 KR 101988307B1 KR 1020120008606 A KR1020120008606 A KR 1020120008606A KR 20120008606 A KR20120008606 A KR 20120008606A KR 101988307 B1 KR101988307 B1 KR 10198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ocking
storage container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322A (ko
Inventor
임지현
정문교
김진동
장경진
강명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307B1/ko
Priority to EP12168066.4A priority patent/EP2613112B1/en
Priority to US13/473,726 priority patent/US8801124B2/en
Priority to US13/473,672 priority patent/US8844983B2/en
Priority to US13/473,686 priority patent/US8857865B2/en
Priority to US13/473,668 priority patent/US8857930B2/en
Priority to EP12170441.5A priority patent/EP2613113B8/en
Priority to EP19214793.2A priority patent/EP3660428A1/en
Priority to EP12170562.8A priority patent/EP2613115B1/en
Priority to EP12170443.1A priority patent/EP2613114B1/en
Priority to JP2012135352A priority patent/JP5385429B2/ja
Priority to JP2012135349A priority patent/JP5307918B2/ja
Priority to JP2012135414A priority patent/JP5658199B2/ja
Priority to JP2012135384A priority patent/JP5658198B2/ja
Priority to BR102012015110-3A priority patent/BR102012015110B1/pt
Priority to BR102012015111-1A priority patent/BR102012015111B1/pt
Priority to CN201210208992.8A priority patent/CN103185437B/zh
Priority to CN201210212528.6A priority patent/CN103185438B/zh
Priority to CN201210212542.6A priority patent/CN103185433B/zh
Priority to CN201210211906.9A priority patent/CN103185432B/zh
Publication of KR2013008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0/00Cheese substitutes
    • A23C20/02Cheese substitutes containing neither milk components, nor caseinate, nor lactose, as sources of fats, proteins or carbohydrates
    • A23C20/025Cheese substitutes containing neither milk components, nor caseinate, nor lactose, as sources of fats, proteins or carbohydrates mainly containing proteins from pulses or oil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어 저장용기를 도어에 결합하는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도어에 마련된 래치스위치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와, 다른 대상물을 상기 도어에 결합하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를 구비하되, 상기 저장용기에 마련되어 저장용기를 도어에 결합하는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도어에 마련된 래치스위치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바도어를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바도어는 도어를 관통하는 공간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홈바도어를 열고 수납된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7952호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동실도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저장물을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 홈바가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홈바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홈바도어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개시된 냉장고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와 이 냉동실도어에 상기 홈바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를 "메인도어"라 하고 홈바도어를 "보조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홈바도어의 경우,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중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바도어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과, 냉장실도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 홈바도어가 냉장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
후자의 경우, 냉장실도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홈바도어를 특히 "매직도어"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두 가지 형태의 홈바도어 모두, 메인도어가 냉장고 본체에 대해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메인도어에 상기 보조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메인도어에는 냉장고 본체의 전면과 접촉되는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로서 개스킷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도 메인도어와의 접촉 부위에 홈바도어 내부의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별도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보조도어가 없어서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본체의 전면과 메인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실도어에 별도로 보조도어를 구비하지 않고 저장용기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와, 다른 대상물을 상기 도어에 결합하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운동변환장치는,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는 링크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밀려서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작동시키는 해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버튼과 연결되어 눌러지는 버튼과 함께 움직여서 상기 링크부재를 회동시키는 푸시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해제핀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해제핀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대상물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이고,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본체의 저장실 개구부 또는 상기 도어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의 입구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도어 배면의 고정부재과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해제핀이 상기 회동제한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내측에 보조저장실이 마련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보조도어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조도어가 상기 메인도어에서 분리되어 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보조도어 없이 메인도어만 구비하므로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손실과 2개의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 감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도어 내측에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저장용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래치스위치장치를 도어 손잡이에 마련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저장용기의 래치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것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래치스위치장치를 도어 손잡이에 마련함으로써 도어의 전면 패널에 스위치장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관통 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래치장치가 저장용기의 좌하측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래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지지부가 저장용기의 우하측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래치장치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어와 저장용기가 결합되는 경우, 래치장치 및 가이드지지부와 두 고정부재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1래치장치와 고정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어와 저장용기가 분리되는 경우, 래치장치 및 가이드지지부와 두 고정부재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래치스위치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어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래치스위치장치의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래치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해 링크부재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래치스위치장치에서 버튼을 눌러 링크부재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32)와, 다른 대상물을 상기 도어에 결합하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는 버튼(610)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6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저장실(20)로서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어 있으나, 냉장실과 냉동실이 이와 반대로 마련되거나 좌우로 마련된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30,40)는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13)를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폐를 위해 개스킷(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30,40)는 각각 손잡이(32, 4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저장용기(100)가 장착되는 냉장실 도어(30)의 손잡이(32)는 도어(30)의 좌측 하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도어(3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된다.
도 1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10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을 열었을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보조 저장실(100)이 상기 도어(3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30)를 열였을 경우 상기 저장실(2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 위치를 본체(10)로부터 도어(30)로 바꾸도록 하는 버튼(6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어(30)를 열 때, 사용자가 버튼(610)을 누르면 도 1과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와 분리되어 상기 저장실(2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저장실(100)의 전면이 노출된다.
상기 버튼(610)의 작동관계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본체(10)와 냉장실 도어(30)에 각각 지지될 수 있고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에 마련된 래치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 또는 저장실(2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래치장치는 냉장고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 및 좌상측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제1래치장치(520) 및 제2래치장치(5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용기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과, 상기 프레임(110)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과 분리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선반(120)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용기(100) 내부의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선반(120)은 2개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0)는 그 내부 수납공간을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실(20)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수납선반(120)이 프레임(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에서 프레임(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냉장실(2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30)가 열린 경우,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 내부를 볼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경우에,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수납공간을 볼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어(30)의 좌하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손잡이(32)와,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 모서리와 좌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래치장치(520, 5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우하측 모서리와 우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30)의 손잡이가 설치된 부분에는 상기 래치장치(520)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장치(520)를 동작시키는 래치스위치장치(600)가 마련된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버튼(610)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30)의 후방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장치(520)가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 간에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 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0) 간에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된다.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도어(30)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32)에는 손잡이(32)를 이루는 수직의 봉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가 체결되는 부위 근처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래치장치(520,530) 및 상기 가이드지지부(510,540)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걸리는 고정부재(550)가 상기 도어(3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기 래치장치(520,5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회동될 때 상기 래치장치(520,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도 상기 도어(30)와 같이 회동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손잡이(32)에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를 작동시키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링크 구조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520,530) 중 냉장고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에 배치된 제1래치장치(520)를 눌러주어 그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도어(30)의 손잡이(32)에 있는 버튼(610)을 눌러서 래치스위치장치(600)를 통해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 다음 도어 손잡이(32)를 당기면, 상기 저장용기(100)는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30)만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장치(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복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각 롤러가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선반(23) 상면,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어의 내면에 돌출된 지지턱(35)에 대해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저장실(20)의 최하부에 마련된 서랍(26)상의 선반(23) 위의 개구부를 막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롤러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에 있는 선반(23)의 전방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21, 22)과 상기 최하측 서랍(26)의 위에 있는 서랍(25)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들어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높이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저장용기(100)의 폭도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에 서랍이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최하측 서랍(26)은 그 위의 서랍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용기(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인입된 형상 및 치수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의 선반(25)이 아니라 상기 냉장실(2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 또는 도어(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래치장치(520,530) 및 가이드지지부(510,5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의 래치장치 및 가이드지지부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래치장치(520,53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프레임(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래치장치(520)와, 제2래치장치(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에서 볼 때 좌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에서 볼 때 좌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은 상기 도어(30)의 힌지(13)가 있는 회동부의 위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결합되는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제1,2래치장치(520,5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30)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가 마련되며,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는 상기 도어(30) 배면에 마련되는 또 다른 고정부재들(550)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들은 상기 도어(30)의 배면의 4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데, 상기 도어의 회동부에 가까운 곳에는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540)에 삽입가능한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에 삽입되어 걸리는 고정부재(550)들이 마련된다.
각 고정부재(550)들은 도어(30)의 내면 상부와 하부에 두 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롤러장치(300)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는 스토퍼(523)와 걸림핀(5247)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20)의 하부 테두리 또는 상기 서랍(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523)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11)과, 상기 걸림핀(5247)이 삽입되는 걸림안내홈(1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안내홈(112)중 상기 스토퍼 홈(111) 방향으로 'C'자 형의 연장홈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30)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에 걸리지 않고 상기 도어(30)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상기 연장홈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523)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봉 또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23)의 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토퍼(523)가 상기 스토퍼홈(11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521)과,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 또는 상기 걸림안내홈(도 4 참조, 112)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5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고정부재(550)와의 걸림 해제상태 또는 분리상태시 상기 걸림부(52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52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제1탄성부재(도 6 참조, 52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도 6 참조, 526)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전방에는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가압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회동시키는 가압부(522)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도 3 참조, 60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미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521)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이동시키고 궁극적으로 상기 걸림부(524)를 회동시킨다.
상기 걸림부(524)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가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홈(524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은 그 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21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524)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핀(5247)도 회동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안내홈(5212)은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영역을 갖는다.
상기 이동안내홈(5212)의 영역은 도 4에서 나타난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평면도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토퍼(523)가 마련되는데, 상기 스토퍼(523)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5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되고, 하면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회동제한부(525)와 상기 이동안내부(52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266;5267,5268,5269)들이 삽입되는 삽입공(5213,5214,5215)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522)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가압부(52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5216)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에는 제2탄성부재(5292)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봉(5217)이 마련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상기 지지봉(5217)과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걸림편(5254)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외력(상기 고정부재(550)의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후 그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하우징(521)의 후벽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5218)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5218)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도 3 참조, 110)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524)는 몸체부(5241)와, 상기 몸체부(5241)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홈(5242)과, 상기 몸체부(5241)의 상면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43)와, 상기 걸림홈(5242)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홈(5244) 및 제2삽입홈(5245)과, 제1회전축(5247)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공(5246)과, 상기 몸체부(52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핀(5247)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5243)에는 제1탄성부재(5291)의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5291)의 타단부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65)에 걸린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도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상기 가압부(522)에 밀려서 회동운동을 하면 상기 탄성부재(5291)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전달되어 상기 걸림부(524)도 회동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전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회전축(5267)은 삽입공(5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회전축공(5246)에 삽입된다.
다만, 상기 걸림부(524)의 상하면에는 제1상부보스(5271)와, 제1하부보스(5281)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하우징(521)의 상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몸체부(5251)와, 상기 몸체부(525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도 3 참조, 55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장부(5252)와, 상기 제1연장부(5252)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25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251)에는 제2회전축공(5256)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부(5253)의 단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54)가 마련된다.
상기 제2연장부(5253)의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55)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5255)가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제한되는데, 이 경우는 상기 고정부재(550)와 상기 걸림부(524)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2회전축(5269)은 상기 제2회전축공(5256)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5214)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상부보스(5272) 및 제2하부 보스(5282)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520)의 하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5269)은 상기 제2상부보스(5272), 상기 제2회전축공(5256) 및 제2하부보스(528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상부보스(5272) 및 상기 제2하부보스(5282)는 와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몸체부(5261)와, 상기 몸체부(526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편(5263)과, 상기 몸체부(5261)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62)와, 상기 몸체부(5261)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6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261)의 회동 중심에는 제3회전축공(5264)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공(5264)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3상부보스(5273)와 제3하부보스(5283)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3회전축(5268)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3회전축(5268)은 상기 삽입공(5213)을 통과하고, 상기 제3하부보스(5283), 상기 제3회전축공(5264), 상기 제3상부보스(5273)를 통과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좌상부에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걸림핀, 스토퍼홈, 걸림안내홈, 하우징, 걸림부, 회동제한부, 삽입안내홈 및 이동안내홈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다만, 이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와 연동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운동안내부(526)와 이것의 결합 또는 작동을 위한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이 없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좌하부에 장착된다.
전방에서 바라볼때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우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30)의 후방에 마련되는 고정부재(550)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삽입되거나 이탈된다.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판(512)과, 상기 지지판(512)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13)과, 상기 지지판(512)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14)는 상기 저장실 입구 하부 우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스토퍼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4)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도어(30)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토퍼(514)가 상기 스토퍼홈(13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토퍼 홈(131)은 상기 도어의 회전 궤적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측벽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에 가까운 상기 고정부재(550)의 회전궤적은 곡선을 그리기 때문에 이러한 궤적에 대응되도록 그 측벽이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우상부에도 제2제2가이드지지부(540)가 장착된다.
이 제2가이드지지부(540)는 그 구성이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와 동일하지만 그 형상은 제1가이드지지부(510)와 상하 대칭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래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 8은 상기 제1래치장치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8에서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착된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하우징(521)의 삽입안내홈(521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1)이 상기 걸림홈(5242)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홈(5242)의 측벽이 상기 고정핀(5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홈(5242)이 상기 고정핀(551)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도 4, 11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와의 결착이 해제된다.
상기 걸림부(524)가 상기 고정부재(550)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삽입부(5262)가 삽입되어 회동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지지핀(552)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111, 121)는 상기 스토퍼홈(52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은 상기 스토퍼(111,12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다만,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동시에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실(20)이 개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우측에 위치하는데,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은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를 따라서 앞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는 상기 고정부재(55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홈(5242)은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만 마련되므로, 상기 운동안내부(526)도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될 필요가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는 경우, 언제든지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도 상기 고정부재(550)가 삽입된다.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1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삽입안내홈(513)의 최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핀(552)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551)으로부터 연장된 걸림턱(516)이 가리면서 상기 고정핀(552)이 사선방향이 아닌 정면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a)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분리되는 중간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2에 개시된 상기 손잡이(32)에 마련되는 버튼(610)을 누르면, 내부의 링크 구조가 동작을 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에서 도어(30) 내면측에서 돌출되어 있는 해제핀(650)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 쪽으로 더 돌출된다.
이에 의하여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핀(65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눌려서 상기 하우징(521) 내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연장부(5263)를 가압한다.
상기 접촉편(5263)이 가압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회동을 하는데,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회동방향은 본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5263)는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으로부터 이탈한다.
상기 걸림부(524)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의하여 잡아당겨져 상기 걸림부(524)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에서 전방으로 회동을 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핀(552)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552)이 앞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5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면,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이하여 상기 걸림안내홈(도 4, 112)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둘러싸이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와 접촉한 상태를 취하고 있는데,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상기 제1탄성부재(529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는 상기 제2연장부(5292)쪽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5292)를 잡아당기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와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걸림핀(552)를 전방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도 1 참조, 3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앞으로 빠져나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상기 래치장치(5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에 마련되는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에 마련된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걸림부(524)가 더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가 되어 상기 봅조저장실(100)이 본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겨 개방하면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비교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생략된 것이고, 걸림부와 고정부재간의 결합 및 분리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와 동일하므로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분리 동작은 상술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의 분리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스토퍼(111)는 상기 스토퍼홈(52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은 상기 스토퍼(11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만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용기(100)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좌측에 마련되는 연장홈에 위치하는데, 상기 연장홈은 상기 걸림단차(112a)에 의하여 그 전방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30)를 앞으로 개방하여도 상기 걸림단차(112a)에 상기 걸림핀(5247)이 걸려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의 걸림부(524)는 상기 고정부재(550)와 분리된다.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홈(5242)은 전방을 향하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는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앞으로 빠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만 마련되므로, 상기 운동안내부(526)도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될 필요가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여,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로부터 상기 고정부재(550)가 이탈된다.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1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탈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에 인접한 고정부재(550)는 곡선을 그리면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삽입안내홈(513)의 안내를 받아서 앞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고정부재(540)와 분리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도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결합되는 과정은 상기 서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 간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은 실질적으로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 간의 결합 분리 과정과 유사하므로 제1래치장치(520)에 관한 설명을 통하여 제2래치장치(530)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도록 하겠다.
즉. 도 10(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와 상기 제1래치장치(5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0)를 밀어서 도 10(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를 상기 래치장치(520)에 진입시킨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를 뒤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로 부터 이탈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50)의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진입하고, 상기 걸림홈(5242)를 뒤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524) 자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걸림부(5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잡아당겨진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홈(5244)와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근접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진입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홈(5242)는 측방을 바라보게 되고,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6)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에 완전하게 구속되어 전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래치스위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전방에는 손잡이(32)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32)의 위에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후면 테두리에는 가스켓(31)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후면에는 상기 손잡이(32)와 연결되는 래치스위치장치(600)가 마련되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한다.
한편,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550)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도어(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다리(551)와, 상기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핀(552)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정핀(552)은 상하로 마련되는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호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걸림홈(도 5,6 참조, 5242)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어 손잡이의 일측에 장착되는 래치스위치장치의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래치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에 마련되는 버튼(610)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움직이는 버튼의 운동방향과 작용점을 다른 방향과 위치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운동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한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의 운동변환장치는, 상기 버튼(610)을 누름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되는 링크부재(6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링크부재(630)에 의해 밀려서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작동시키는 해제핀(6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610)은 도어 손잡이(32)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2)를 잡고 누를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링크부재(630)는 도어(30)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링크부재(63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의 링크 양 단부가 서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630)가 회동하면서 상기 해제핀(650)을 밀어주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해제핀(650)은 상기 회동하는 링크부재(630)에 의해 밀려서, 도 13에 도시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가압부(도 5 참조, 522)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어 눌러지는 버튼과 함께 움직여서 상기 링크부재(630)를 회동시키는 푸시레버(6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레버(620)는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버튼과 함께 하방으로 움직여서 상기 링크부재(630)의 일단부를 회동시킨다.
이 푸시레버(62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32)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621)와, 상기 슬라이딩부(621)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622)와, 상기 수평연장부(62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수직연장부(623)와, 상기 수직연장부(623)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링크부재(6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링크부재삽입부(6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레버(620)는 상기 슬라이딩부(621)의 하단부에 돌기부(625)가 더 형성되고, 이 돌기부가 상기 손잡이(32) 내에 마련된 스프링(626)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2)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6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63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68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제1케이스부(681)와 제2케이스(682)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해제핀(650)을 직선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3케이스(6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부(681)와 제2케이스(682)에는 서로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682)에는 별도로 상기 도어(3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케이스(683)에도 상기 제2케이스(68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30)는 내부에 단열재가 발포되므로 상기 케이스(680)는 발포되는 단열재가 케이스(680)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재(630)는 상기 제1케이스부(681)와 제2케이스(682)에 의해 이루어지는 케이스(680) 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링크부재(630)를 바로 장착하는 것보다 두 베어링부재(631,632)를 통해 케이스(68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링크부재(630)의 마찰을 줄이고 그 회동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해제핀(65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6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재(630)가 상기 해제핀(650)을 밀어주어 상기 가압부(522)를 밀어준 후에, 상기 버튼(610)을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링크부재(630)의 회동력도 없어지므로 상기 해제핀(650)은 원상태로 복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스프링(660)이 해제핀(650)을 감싸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3케이스(683)에 대해 압축되었다가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상기 해제핀(65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해제핀(650)은 상기 제3케이스(683) 내에서 직선 운동하는 핀부재(651)와 이 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푸시부재(65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상기 핀부재(651)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압부(522)를 밀어주는 푸시부재(652)는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등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케이스(68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630)의 회동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해제핀(650)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6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640)는 상기 링크부재(630)의 회동운동을 상기 해제핀(650)의 직선운동으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3케이스(683)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640)는 링크부재(630)의 타단부를 수용하여 접촉하도록 일측에 형성된 링크수용부(642)와 양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3케이스(683)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68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6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제핀(650)은 상기 슬라이더(640)와 결합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630)가 슬라이더(640)를 밀어줄 때 슬라이더(640)와 함께 움직인다.
또한, 상기 스프링(660)의 일측은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에 지지되고 스프링(660)의 타측은 상기 슬라이더(640)의 링크수용부(642) 반대쪽 표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레버(620)는 상기 손잡이(32)가 상기 도어(32)의 측면에 결합되도록 손잡이(32)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69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부(690)는 상기 푸시레버(62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고 그 상하 운동의 상한과 하한을 제한하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5는 래치스위치장치를 링크부재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도로서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6은 도 15의 래치스위치장치에서 버튼을 눌러 링크부재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레버(620)가 눌러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링크부재(630)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래서, 상기 링크부재(630)가 슬라이더(640)를 밀지 않아 상기 해제핀(650)이 도어(32) 내면에서 돌출된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610)과 결합된 푸시레버(620)는 상기 스프링(626)에 의해 상방으로 복원력이 가해지고 있는데, 상기 푸시레버(620)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부(690)의 상단부에 형성된 턱에 접촉되어 푸시레버(620)와 결합된 상기 버튼(610)이 그 장착부로부터 위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해제핀(650)을 감싸도록 구비된 스프링(660)도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640)를 상기 링크부재(630) 쪽으로 밀어주고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상기 링크부재(630)는 상기 푸시레버(620) 아래의 스프링(626)과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과 상기 슬라이더(640) 사이의 스프링(660)에 의해 초기 회동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610)을 누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레버(62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부재(630)의 일단부를 소정각도 회동시킨다.
그래서, 상기 링크부재(630)의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640)를 소정 거리 밀어주면, 상기 스프링(660)이 상기 제3케이스(683)의 내면에 대해 압축되고 상기 슬라이더(640)와 결합된 상기 해제핀(650)이 도어(32) 내면으로부터 더 돌출하면서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가압부(522)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가압부(522)가 눌리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는 상기 버튼(610)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서 상기 도어(30)를 열면,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빠져나오므로,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냉장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도어(30)만이 열리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래치스위치장치(600)가 저장용기를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냉장고의 메인도어에 보조도어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가 보조도어를 메인도어에 결합하는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냉장고의 도어는, 내측에 보조저장실이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보조도어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조도어가 상기 메인도어에서 분리되어 열리도록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래치스위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 관계는 래치장치와 래치스위치장치의 장착 위치와 장착을 위한 세부적인 형상 변경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의 본체, 도어 및 저장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내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저장용기에 마련된 상기 래치장치와 롤러장치, 상기 도어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래치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 벽면에 마련되어 상기 래치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홈과 상기 롤러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각 구성들도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재차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술한 래치스위치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13: 힌지
20: 저장실(냉장실)
30: 냉장실도어
31: 개스킷
32: 손잡이
40: 냉동실도어
42: 손잡이
100: 저장용기
110: 프레임
120: 수납선반
130: 커버
300: 롤러장치
510: 제1가이드지지부
520: 제1래치장치
530: 제2래치장치
540: 제2가이드지지부
550: 고정부재
600: 래치스위치장치
610: 버튼
620: 푸시레버
630: 링크부재
640: 슬라이더
650: 해제핀
660: 스프링
690: 가이드부

Claims (15)

  1.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에 장착되어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래치장치와,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에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는 푸시레버;
    상기 푸시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푸시레버의 하방 움직임에 따라 회동하는 링크부재;상기 링크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작동시키는 해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해제핀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버튼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외력 가압에 따라서 동작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본체의 저장실 개구부 또는 상기 도어 내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의 입구에 마련되는 걸림안내홈 또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고 외력의 가압에 따라 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도어 배면의 고정부재와의 걸림 상태 해제시 상기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해제핀이 상기 회동제한부를 밀어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에 보조저장실이 마련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메인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보조도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스위치장치는 상기 래치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조도어가 상기 메인도어에서 분리되어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삭제
KR1020120008606A 2012-01-03 2012-01-27 냉장고 KR10198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06A KR101988307B1 (ko) 2012-01-27 2012-01-27 냉장고
EP12168066.4A EP2613112B1 (en) 2012-01-03 2012-05-15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726 US8801124B2 (en) 2012-01-03 2012-05-17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672 US8844983B2 (en) 2012-01-03 2012-05-17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3/473,686 US8857865B2 (en) 2012-01-03 2012-05-17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3/473,668 US8857930B2 (en) 2012-01-03 2012-05-17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19214793.2A EP3660428A1 (en) 2012-01-03 2012-06-01 Refrigerator with a connection support device
EP12170562.8A EP2613115B1 (en) 2012-01-03 2012-06-01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2170443.1A EP2613114B1 (en) 2012-01-03 2012-06-01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12170441.5A EP2613113B8 (en) 2012-01-03 2012-06-01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2135352A JP5385429B2 (ja) 2012-01-03 2012-06-15 冷蔵庫
JP2012135349A JP5307918B2 (ja) 2012-01-03 2012-06-15 ラッチ装置
JP2012135414A JP5658199B2 (ja) 2012-01-03 2012-06-15 支持装置
JP2012135384A JP5658198B2 (ja) 2012-01-03 2012-06-15 貯蔵容器を備える冷蔵庫
BR102012015110-3A BR102012015110B1 (pt) 2012-01-03 2012-06-19 refrigerador
BR102012015111-1A BR102012015111B1 (pt) 2012-01-03 2012-06-19 refrigerador
CN201210208992.8A CN103185437B (zh) 2012-01-03 2012-06-20 连接支撑装置以及具有该连接支撑装置的冰箱
CN201210212528.6A CN103185438B (zh) 2012-01-03 2012-06-21 闭锁件及具有该闭锁件的冰箱
CN201210212542.6A CN103185433B (zh) 2012-01-03 2012-06-21 具有储藏容器的冰箱
CN201210211906.9A CN103185432B (zh) 2012-01-03 2012-06-21 具有储藏容器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06A KR101988307B1 (ko) 2012-01-27 2012-01-2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22A KR20130087322A (ko) 2013-08-06
KR101988307B1 true KR101988307B1 (ko) 2019-09-30

Family

ID=4921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606A KR101988307B1 (ko) 2012-01-03 2012-01-2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4495U (ko) * 1980-05-10 1981-12-05
JPS5785184U (ko) * 1980-11-14 1982-05-26
JPS63142682U (ko) * 1987-03-09 1988-09-2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22A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3114B1 (en)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JP3679003B2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KR102245373B1 (ko) 냉장고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064720A (ko) 냉장고
KR20150074285A (ko) 냉장고
KR101988307B1 (ko) 냉장고
KR20130087321A (ko) 냉장고
KR20130079770A (ko)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87318A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0783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6034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20623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52681B1 (ko) 냉장고
KR20220099854A (ko) 냉장고
KR20240052562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3008732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