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322Y1 -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322Y1
KR200164322Y1 KR2019990013722U KR19990013722U KR200164322Y1 KR 200164322 Y1 KR200164322 Y1 KR 200164322Y1 KR 2019990013722 U KR2019990013722 U KR 2019990013722U KR 19990013722 U KR19990013722 U KR 19990013722U KR 200164322 Y1 KR200164322 Y1 KR 200164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opening
door
hinge
curv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3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보조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에 별도로 마련된 보조도어의 개폐를 위한 보조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도어용 힌지는 힌지결합부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보조도어(30)의 상·하부에 돌출된 이동축(32), 보조도어(30)의 상·하부에 마련되며 이동축(32) 주위에 활처럼 휘어져 형성된 곡선홈(33), 이동축(32)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보조도어(30)가 결합되는 개구(22)의 상·하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장공(23), 개구(22)의 상·하면에 돌출되어 곡선홈(33)에 끼워지는 고정축(24)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조도어(30)가 열릴 때 보조도어(30)의 힌지결합부가 개구의 측면(22a)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보조도어(30)의 열림각이 커져 저장물의 수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HINGE FOR AUXILIARY DOOR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보조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전면에 별도로 마련된 보조도어의 개폐를 위한 보조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내부에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이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형성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냉장고용 도어는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일측 상·하부가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의 내면 테두리에는 저장실을 밀폐시키는 가스켓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냉장고는 도어가 회동하여 열리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데, 저장실에 수납되는 음료병 등은 수납이 빈번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장실의 냉기의 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냉장고 중에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저장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도어의 전면에 별도의 보조도어가 마련된 것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1)의 전면에는 저장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내외부가 연통된 개구(2)가 형성되고, 이 개구(2)에는 개구(2)를 개폐하는 보조도어(3)가 설치되는데, 이 보조도어(3)는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일측 상단과 하단이 개구(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즉, 보조도어(3)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는 돌출된 힌지축(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개구의 상면과 하면에는 힌지축(4)이 끼워지는 축결합공(5)이 형성된다. 또한, 개구(2)에 결합되는 보조도어(3)는 닫힌 상태일 때 도어(3)의 전면에 돌출하지 않도록 개구(2)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의 보조도어(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3)가 개구(2)에 수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조도어(3)를 열 때 보조도어(3)의 힌지결합부와 인접하는 전면이 개구(2)의 측면(2a)에 걸려서 보조도어(3)의 열림각(θ)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보조도어(3)는 도어(1)의 전면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보조도어(3)를 열 때 힌지결합부와 인접하는 보조도어(3)의 전면이 개구(2)의 측면(2a)에 부딪쳐서 통상 열림각이 90°이내로 제한된다. 이로 인해 저장물을 수납하는 사용자의 손이 보조도어(3)와 간섭되어서 저장물의 수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조도어(3)를 무리하게 열 경우 보조도어(3)의 힌지결합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조도어가 열릴 때 보조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의 위치가 가변되어서 보조도어의 열림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힌지결합부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장물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장고 보조도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냉장고 보조도어의 개폐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 보조도어의 설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도어용 힌지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5b, 5c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도어의 개폐동작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닫힌상태, 도 5b는 약간 열린상태, 도 5c는 완전히 열린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도어용 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저장실,
20: 도어, 21: 도어손잡이,
22: 개구, 23: 장공,
24: 고정축, 30: 보조도어,
31: 힌지판, 32: 이동축,
33: 곡선홈, 35: 나사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는, 저장실을 개폐하며 전면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그 일측이 상기 개구에 힌지 결합된 보조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상·하면에 돌출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인접하여 상기 개구의 상·하면에 형성된 장공, 상기 장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도어의 상·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도어의 개폐시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 주위의 상기 보조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도어의 개폐시 상기 보조도어의 회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도어의 개방각이 커지는 쪽으로 상기 보조도어 회전중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의 상·하단에는 평판형상의 힌지판이 고정되고, 상기 이동축과 상기 곡선홈이 상기 힌지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홈은 상기 이동축의 주위에 활처럼 휘어져 형성되되, 상기 보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곡선홈의 일측 머리부와 상기 이동축사이의 거리(ℓ1)가 상기 곡선홈의 타측 꼬리부와 상기 이동축사이의 거리(ℓ2)보다 멀게 형성되고, 상기 장공은 상기 개구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을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11)이 형성되고, 본체(10)의 전면(12)에는 저장실(11)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다. 이때 통상의 냉장고 저장실(11)은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미도시)에 의해 상부의 냉동실과 하부의 냉장실로 구분이 되며, 냉동실과 냉장실의 전면에는 각각 별도로 개폐되는 도어(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20)는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일측이 본체(10)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결합부의 타측에 도어(2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손잡이(21)가 설치된다.
또한, 도어(2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저장실(11) 내부로 저장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도어(20)의 일측에 내외부가 연통된 개구(22)가 형성되고, 이 개구(22)에는 개구(22)를 개폐하는 보조도어(30)가 설치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보조도어(30)가 열릴 때 보조도어(30)의 힌지부 위치가 이동되어서 보조도어(30)의 열림각이 커지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도 4와 도 5a를 참조하면, 보조도어용 힌지는 보조도어(30)의 일측 상·하단부에 힌지판(31)이 고정되고, 이 힌지판(31)의 일면에는 이동축(3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판(31)의 타측, 즉 이동축(32)의 주위에는 곡선홈(33)이 형성된다. 또한, 도어(20)의 개구(22) 상·하단면에는 이동축(32)이 끼워지는 장공(23)이 형성되고, 장공(23)과 인접하는 개구(22)의 상·하단면에는 힌지판(31)의 곡선홈(33)에 끼워지는 고정축(24)이 마련된다. 또한, 힌지판(31)의 양측에는 힌지판(31)을 보조도어(30)의 하단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나사(34)가 관통되는 나사공(35)이 형성된다.
이때, 힌지판(31)은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힌지판(31)에서 돌출되는 이동축(32)은 힌지판의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힌지판(31)에 형성된 곡선홈(33)은 힌지판(31)이 보조도어(30)에 결합된 상태 일 때, 이동축(32)의 후방 일측 모서리부(우측후방)로부터 대각방향의 모서리부(좌측전방) 쪽으로 활처럼 휘어져 형성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축(24)이 위치하는 곡선홈(33)의 머리부(33a)와 이동축(32)사이의 거리(ℓ1)는 멀도록 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30)가 열린 상태일 때 고정축(24)이 위치하는 곡선홈(33)의 꼬리부(33b)와 이동축(32)사이의 거리(ℓ2)는 가깝도록 한다. 이는 곡선홈(33)과 고정축(24)에 안내되어 열리는 보조도어(30)의 힌지부가 개구(22)의 측면(22a)과 이격되어 열림각이 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동축(32)이 끼워지는 장공(23)은 개구(22)의 측면(22a)과 인접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는 보조도어(30)가 열릴 때 장공(23)을 따라 안내되는 이동축(32)이 가로방향으로 안내되어서 힌지부가 개구(22)의 측면(22a)과 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 예의 이동축(32)과 곡선홈(33)이 보조도어(30)의 상·하단에 직접 형성된 것이다. 이는 장공(23)에 결합되는 이동축(32)이 보조도어(30)의 상·하단에서 돌출되고, 곡선홈(33)이 보조도어(30)의 상·하단에 함몰되어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기본 기술사상은 상술한 실시와 동일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조도어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보조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판의 이동축(32)이 장공(23)의 우측에 위치하고, 개구(22)의 상·하단에 형성된 고정축(24)은 곡선홈(33)의 좌측 전방, 즉 머리부(33a)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고정축(24)과 이동축(32)사이의 거리(ℓ1)가 멀어져서 힌지부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 즉 이동축(32)이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보조도어(30)의 닫힘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조도어(30)를 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30)와 함께 힌지판(31)이 회전한다. 이때에는 힌지판(31)의 곡선홈(33)이 고정축(24)에 미끄러지면서 힌지판(31)의 회동을 안내하고, 이동축(32)은 장공(23)을 따라 이동하므로, 힌지판(31)이 회동을 하면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힌지판(31)의 곡선홈(33)이 활처럼 휘어져 있고 이동축(32)이 장공(2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보조도어(30)가 열릴수록 고정축(24)과 이동축(32)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져 상대적으로 힌지판(31)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30)를 완전히 열면, 고정축(24)은 곡선홈(33)의 꼬리부(33b)에 위치되고, 이동축(32)은 장공(23)의 좌측으로 더 이동되어서 보조도어(30)가 90°이상으로 활짝 열린다. 이는 보조도어(30)가 열리는 동안 활처럼 휘어진 곡선홈(33)의 꼬리부(33b)에 고정축(24)이 위치되면서 고정축(24)과 이동축(32)의 거리(ℓ2)가 가까워져 이동축(32)이 장공(23)의 좌측 단부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조도어(30)의 회전중심과 개구(22)의 측면(22a)사이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보조도어(30)의 힌지부가 개구(22)의 측면(22a)과 이격됨으로써, 보조도어(30)의 열림각은 종래보다 훨씬 커져 저장물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는 보조도어가 열릴 때 보조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판이 회동을 함과 동시에 개구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보조도어의 열림각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저장물을 수납할 때 사용자의 손과 보조도어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어 저장물의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힌지부에 무리가 가지 않기 때문에 힌지부의 파손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저장실을 개폐하며 전면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그 일측이 상기 개구에 힌지 결합된 보조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상·하면에 돌출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인접하여 상기 개구의 상·하면에 형성된 장공, 상기 장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도어의 상·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도어의 개폐시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 주위의 상기 보조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도어의 개폐시 상기 보조도어의 회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도어의 개방각이 커지는 쪽으로 상기 보조도어 회전중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곡선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의 상·하단에는 평판형상의 힌지판이 고정되고, 상기 이동축과 상기 곡선홈이 상기 힌지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홈은 상기 이동축의 주위에 활처럼 휘어져 형성되되, 상기 보조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곡선홈의 일측 머리부와 상기 이동축사이의 거리(ℓ1)가 상기 곡선홈의 타측 꼬리부와 상기 이동축사이의 거리(ℓ2)보다 멀게 형성되고,
    상기 장공은 상기 개구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을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KR2019990013722U 1999-07-13 1999-07-13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KR200164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722U KR200164322Y1 (ko) 1999-07-13 1999-07-13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722U KR200164322Y1 (ko) 1999-07-13 1999-07-13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322Y1 true KR200164322Y1 (ko) 2000-02-15

Family

ID=1958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722U KR200164322Y1 (ko) 1999-07-13 1999-07-13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322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836A3 (en) * 2009-06-03 2011-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0140837A3 (en) * 2009-06-03 2011-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24985B2 (en) 2009-07-28 2013-04-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door-in-door
US8752918B2 (en) 2011-08-05 2014-06-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US8770682B2 (en) 2010-02-01 2014-07-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814284B2 (en) 2009-05-12 2014-08-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944534B2 (en) 2010-08-20 2015-0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es a second door disposed on a first door, a shelf disposed on the first door, a connection assembly connecting the shelf to the second door and linking opening of the second door to rotate the shelf
US9046294B2 (en) 2010-02-01 2015-06-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322591B2 (en) 2010-01-04 2016-04-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10830520B2 (en) 2010-06-22 2020-11-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4353415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开关门状态确认提醒装置及冰箱
CN115111840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8A (zh) * 2022-03-24 2022-10-2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4284B2 (en) 2009-05-12 2014-08-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0140837A3 (en) * 2009-06-03 2011-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2422105A (zh) * 2009-06-03 2012-04-18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8322805B2 (en) 2009-06-03 2012-12-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U2010254712B2 (en) * 2009-06-03 2013-01-3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544973B2 (en) 2009-06-03 2013-10-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0140836A3 (en) * 2009-06-03 2011-02-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24985B2 (en) 2009-07-28 2013-04-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door-in-door
USRE47753E1 (en) 2010-01-04 2019-1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9322591B2 (en) 2010-01-04 2016-04-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RE48733E1 (en) 2010-01-04 2021-09-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RE48724E1 (en) 2010-01-04 2021-09-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US9212846B2 (en) 2010-02-01 2015-12-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856672B2 (en) 2010-02-01 2020-12-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10696B2 (en) 2010-02-01 2016-12-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16956B2 (en) 2010-02-01 2016-12-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16955B2 (en) 2010-02-01 2016-12-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71668B2 (en) 2010-02-01 2019-04-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46294B2 (en) 2010-02-01 2015-06-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68441B2 (en) 2010-02-01 2020-0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68440B2 (en) 2010-02-01 2020-0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75661B2 (en) 2010-02-0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58063B2 (en) 2010-02-01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770682B2 (en) 2010-02-01 2014-07-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830520B2 (en) 2010-06-22 2020-11-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47072B2 (en) 2010-06-22 2023-09-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366606A1 (en) * 2010-06-22 2023-11-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20187B2 (en) 2010-06-22 2022-05-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14093A1 (en) * 2010-06-22 2022-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845114B2 (en) 2010-06-22 2020-11-2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44534B2 (en) 2010-08-20 2015-0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es a second door disposed on a first door, a shelf disposed on the first door, a connection assembly connecting the shelf to the second door and linking opening of the second door to rotate the shelf
US8752918B2 (en) 2011-08-05 2014-06-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CN114353415B (zh) * 2021-12-15 2023-10-20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开关门状态确认提醒装置及冰箱
CN114353415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开关门状态确认提醒装置及冰箱
CN115111840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111840B (zh) * 2022-02-28 2024-05-24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8A (zh) * 2022-03-24 2022-10-2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8B (zh) * 2022-03-24 2024-01-26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78B2 (en) Refrigerator with a door-in-door
US7555815B2 (en) Door hinge arrangement
KR200164322Y1 (ko)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CA2757470C (en) Refrigerator
KR101203424B1 (ko) 냉장고
US7543897B2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refrigerator
JPH11211335A (ja) 冷却貯蔵庫
KR20010009547A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US20230039876A1 (en) Refrigerator
KR200336428Y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이중 개폐구조
KR100222984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0168214Y1 (ko) 냉장고의 가스켓
KR20220034603A (ko) 냉장고
KR20060075873A (ko) 냉장고
KR100500241B1 (ko) 냉장고
KR100345090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39593U (ko) 이중도어를 갖춘 냉장고
KR19990049553A (ko) 쪽문을 갖는 냉장고 도어
KR0117758Y1 (ko) 냉장고의 도아폐쇄장치
KR19990049554A (ko) 냉장실 도어에 와인포켓과 와인도어가 형성된냉장고
KR20000010001U (ko) 냉장고의 도어핸들구조
KR200331935Y1 (ko) 냉장고의 도어 간격유지구조
KR100253224B1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KR200349084Y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 개방형 도어 구조
KR19980045353U (ko) 냉동고 플랫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