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9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93B1
KR101638193B1 KR1020100000087A KR20100000087A KR101638193B1 KR 101638193 B1 KR101638193 B1 KR 101638193B1 KR 1020100000087 A KR1020100000087 A KR 1020100000087A KR 20100000087 A KR20100000087 A KR 20100000087A KR 101638193 B1 KR101638193 B1 KR 101638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ket
guide portion
delete delet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966A (ko
Inventor
오승진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제 1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결합되며, 제 2 저장실을 형성하는 수납 장치; 상기 제 1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제 2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수납 장치에는, 상기 제 2 저장실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상기 제 2 저장실에 위치되는 바스켓 장착부; 및 상기 바스켓 장착부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바스켓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이 저온의 상태에서 보관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일 례로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냉동실 도어 또는 냉장실 도어를 열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을 들이고 저장실에 위치된 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형성되는 제 2 저장실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도어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하는 제 1 힌지; 상기 제 1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며, 제 2 저장실을 형성하는 수납 장치;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힌지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하는 제 2 힌지; 상기 제 1 도어의 양 측면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양 측면부와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제 2 저장실을 정의하도록, 좌우 측면부와, 상하면부, 및 배면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상기 제 2 저장실을 가로질러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스켓 장착부; 및 상기 바스켓 장착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실에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바스켓이 상기 수납 장치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바스켓에 식품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식품을 바스켓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2 도어가 제 1 도어의 좌우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냉장고 도어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도 8은 수납 장치가 냉장실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9는 제 2 도어가 제 2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스켓이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저장실이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20, 3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이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102)과 상기 냉장실(104)은 좌우로 배치되고, 구획부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 30)는 상기 냉동실(102)을 개폐시키는 냉동실 도어(20)와 상기 냉장실(104)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30)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배면에는 식품이 수납하기 위한 수납 장치(4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 장치(40)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41)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냉장실(104)은 하나 이상의 선반(105)에 의해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30)가 상기 냉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냉장실(104)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장실(104)을 제 1 저장실이라 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41)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을 제 2 저장실(405)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04)을 제 1 저장실(104)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제 2 저장실(405)은 상기 제 1 저장실(104) 내에 위치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0)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개폐시키는 제 1 도어(310)와, 상기 제 1 도어(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폐시키는 제 2 도어(3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310)는 힌지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캐비닛(10)을 연결시키는 제 1 힌지(51)와, 상기 제 1 도어(310)와 상기 제 2 도어(340)를 연결시키는 제 2 힌지(5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에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수용된 식품을 인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3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16)를 개방시켜, 식품을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넣거나 꺼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의 좌우 폭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와 상기 제 1 도어(310)의 일체감이 향상되어 냉장실 도어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도어(310)와의 결합을 위한 래치 후크(34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어(310)의 제 2 부분(312)에는, 상기 상기 래치 후크(341)가 결합되기 위한 래치 슬롯(317)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래치 슬롯(317)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누르면, 상기 래치 후크(341)와 래치 슬롯(317)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04)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319)가 구비된다. 상기 실러(319)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 전면과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310)는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310)의 배면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스켓(318)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도어(310) 및 제 2 도어(34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의 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310)는 제 1 부분(311)과, 상기 제 1 부분(31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31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부분(312)의 두께는 상기 제 1 부분(311)의 두께 보다 얇다.
상기 개구부(316)는 상기 제 2 부분(312)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340)는 상기 제 2 부분(312)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316) 및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폐한다.
상기 제 1 부분(311)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잡기 위한 그립부(313: grip part)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13)는 상기 제 1 부분(3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313)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313)는 상기 제 2 부분(312)의 전면 및 상기 제 2 도어(340)의 하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부분(312)의 길이 보다 짧다.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313)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313)를 당기면, 상기 제 1 도어(310)가 회전되어 상기 제 1 저장실(104)이 개방된다.
상기 제 1 도어(310)에는, 아우터 케이스(32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321)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32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322)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닫는다.
상기 도어 라이너(322)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다이크(323)가 포함된다. 상기 각 다이크(323)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 장치(4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바스켓(318)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각 다이크(323)에는, 상기 수납 장치(40)가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제 1 결합부(330, 331, 332)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결합부(330, 331, 33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각 제 1 결합부(330, 331, 332)는, 제 1 돌출부(333)와 제 2 돌출부(334)가 포함된다. 상기 각 돌출부(333, 334)는 상기 각 다이크(323)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제 2 돌출부(334)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상기 제 2 돌출부(334) 사이에는 공간(3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부(333)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와 인접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상기 개구부(316) 간의 거리는 상기 제 2 돌출부(334)와 상기 개구부(316) 간의 거리보다 짧다.
상기 제 1 결합부(330, 331, 332)와 상기 수납 장치(4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장치(40)에는, 프레임(41)과,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바스켓(510, 540, 560)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바스켓(510, 540, 560)은 상기 프레임(41)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바스켓(510, 540, 560)에는, 제 1 바스켓(510)과, 상기 제 1 바스켓(51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 바스켓(540) 및 상기 제 1 바스켓(510)과 상기 제 2 바스켓(540)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바스켓(560)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상기 프레임(41)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 2 바스켓(540) 및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기 프레임(4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상기 프레임(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스켓(540) 및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를 통하여 상기 제 2 저장실(4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510, 540, 560)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식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형성하기 위한 양측면(401), 배면(402), 하면(403) 및 상면(404)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41)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04)과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연통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홀(406)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배면(402)에는 상기 제 1 도어(310)가 상기 제 1 저장실(104)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실(405)로 식품을 인출입하기 위한 개구부(408)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08)는 커버(411)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면(402)에는 상기 커버(411)에 형성된 힌지(412)가 결합되기 위한 힌지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412)는 상기 커버(4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411)는 상단의 힌지(41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배면(402)에는 상기 커버(411)가 상기 개구부(408)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커버(411)가 일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409: stopper)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도어(310)의 개구부(316) 또는 상기 프레임(41)의 개구부(408)를 통하여 식품을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넣거나 뺄수 있다.
상기 커버(411)에는 제 1 저장실(104)과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연통시키기 위한 홀(413)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 1 바스켓(510)이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보스(43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 보스(430)는 상기 각 측면(401)의 상측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41)의 중간부에는 서포터(420)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420)는 상기 양측면(401)을 연결한다. 상기 서포터(420)의 전후 길이는 상기 양측면(401)의 전후 길이보다 길다. 즉, 상기 서포터(420)는 상기 프레임(41)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양측면(401)의 앞쪽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420a)가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420a)는, 상기 연장부(42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면(421)과 상기 각 수직면(42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423)이 포함된다. 상기 각 수평면(423)은 상기 각 수직면(4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각 수직면(421)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31)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결합부(42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425)는 상기 수직면(421)과 상기 수평면(42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부(425)가 상기 제 1 결합부(3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420)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제 2 결합부(425)와 상기 서포터(420)의 경계 부분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42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놓임부(426)와, 상기 놓임부(426)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427)가 포함된다. 상기 삽입부(427)는 상기 제 1 돌출부(333) 및 상기 제 2 돌출부(334) 사이의 공간(335)에 삽입되고, 상기 놓임부(426)는 상기 제 2 돌출부(334)의 상면에 놓인다. 즉, 상기 제 2 돌출부(334)는 상기 놓임부(426)를 지지한다.
이 때, 상기 공간(425)의 폭은 상기 삽입부(427)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놓임부(426)의 중간에 상기 삽입부(4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삽입부(427)가 상기 공간(3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돌출부(333, 334)가 상기 놓임부(426)를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수직면(4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상기 각 수직면의 타측)에는 후술할 바스켓 장착부(55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422)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하면(403)은 상기 프레임(41)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양측면(401)의 앞쪽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441)가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441)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면(44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직면(442)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30)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결합부(445)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결합부(445)는 상기 프레임(41)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결합부(425)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41)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결합부(425. 445)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1) 및 식품의 하중이 상기 다수의 제 2 결합부(425, 445)로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전면,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된다. 즉, 상기 제 1 바스켓(510)은 하면(511) 및 양측면(513)이 포함된다. 상기 하면(511)에는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512)이 형성된다.
상기 각 측면(513)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33)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결합부(51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515)는 상기 프레임(41)에 구비되는 제 2 결합부(425, 445)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측면(513)에는 상기 프레임(4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517)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517)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5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홀(518)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43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515)는 상기 각 측면(513) 및 상기 고정부(517)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스켓(510) 및 식품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스켓(510)과 상기 제 2 결합부(515)의 경계 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제 2 결합부 중 일부는 상기 프레임(41)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1)의 하중이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스켓(510)의 하중이 상기 프레임(41)에 가해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바스켓 또는 상기 프레임의 경계 부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스켓(510)에는 식품이 놓인 상태에서 식품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520)가 연결된다.
상기 커버(520)는 전면(521)과, 상기 전면(52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522)과, 상기 전면(521)과 상기 경사면(52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523)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각 측면(523)에 회전축(52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524)은 상기 제 1 바스켓(510)의 측면(513)에 형성되는 축 삽입홀(5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20)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놓인 식품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커버(520)에 의해서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놓인 식품이 커버됨에 따라, 상기 제 2 도어(340)가 상기 제 2 저장실(405)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바스켓(510)에 놓인 식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는 상기 서포터(420)에 안착된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는 한 쌍의 측면(551)과 상면(555)이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측면(551) 및 상면(555)은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수용되는 수용부(557)를 형성한다.
상기 각 측면(551)에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장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 2 가이드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542)와 상호 작용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상기 각 측면(551)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제 1 부분(553)과 상기 제 1 부분(553)에서 후방(상기 프레임의 배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부분(554)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부분(553)의 상하 높이는 상기 제 2 부분(554)의 상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부분(553)의 상하 높이는 상기 제 2 부분(554) 측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면(555)에는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상기 상면(555)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제 3 바스켓(560)의 전후 및 좌우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이탈 방지부(556)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이탈 방지부(556)는 상기 상면(555)의 양측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바스켓(540)은, 상면이 개구된다.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장착되면,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상면 개구는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면(555)에 의해서 커버된다.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양측면(541)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가이드부(54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542)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각 측면(541)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를 수용한다. 이 때,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1 부분(553)의 입구 측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하 길이 보다 크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2 부분(55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하 길이보다 상기 제 1 부분(553)의 입구 측 상하 길이가 크므로, 상기 제 1 가이드부(542)가 상기 제 1 부분(55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1 부분(553)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553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에는 상기 제 1 돌출부(553a)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5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에는 제 2 돌출부(54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552)의 제 2 부분(554)에는 상기 제 2 돌출부(544)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554a)이 형성된다.
상기 각 돌출부(544, 553a) 및 상기 각 삽입홈(543, 554a)에 의해서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전후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제 2 바스켓(54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16)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바스켓(540)의 좌우 길이는 상기 개구부(316)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면(555)에 안착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안착 및 분리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은 전면(561)과 양측면(562) 및 하면(미도시)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의 각 측면(562)은, 상기 전면(56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563)과, 상기 각 제 1 측면(563)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측면(564)과, 상기 제 2 측면(564)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측면(56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측면(563)과 상기 제 3 측면(565)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각 제 2 측면(564)은 상기 각 제 1 측면(563)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 2 측면(564)에 의해서 상기 각 제 1 측면(563) 간의 거리는 상기 각 제 3 측면(565) 간의 거리 보다 짧다.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에 안착되면, 상기 이탈 방지부(556)는 상기 제 3 바스켓(560)의 제 1 측면(563)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556)에 의해서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제 1 도어(310) 또는 제 2 도어(340)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 3 바스켓(560)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수납 장치가 냉장실 도어에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장치(40)를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수납 장치(40)의 제 2 결합부(425, 445, 515)를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각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와 상기 제 1 결합부(330, 331, 332)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를 상기 각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시킨다.
도 8에는 제 2 결합부(425, 445, 515)가 상기 제 1 결합부(330, 331, 332)와 간섭되지 않게 위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가 상기 각 다이크(323)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각 결합부(425, 445, 515)의 삽입부(427)는 상기 각 돌출부(333, 334) 사이의 공간(335)과 정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 장치(40)를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 장치(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삽입부(427)를 상기 공간(33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돌출부(334)가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의 놓임부(426)를 지지하게 된다.
식품은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납 장치(40)에 수납되므로, 식품이 상기 수납 장치(40)에 수납되면, 상기 수납 장치(40)는 상기 제 2 결합부(425, 445, 515)를 기준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333)와 상기 제 2 돌출부(334) 사이에 상기 삽입부(427)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3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427)는 상기 제 1 돌출부(333)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수납 장치(40)는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제 2 도어가 제 2 저장실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스켓이 인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제 2 저장실(405)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을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래치 후크(341)와 상기 래치 후크(317)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바스켓(510)을 커버하는 커버(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 3 바스켓(560)을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의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 3 바스켓(560)을 상기 바스켓 장착부(5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 2 바스켓(540)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제 2 바스켓(540)을 상기 제 2 저장실(405)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수납 장치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수납 장치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바스켓이 상기 수납 장치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바스켓에 식품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식품을 바스켓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2: 냉동실 104: 냉장실
30: 냉장실 도어 40: 수납장치
310: 제 1 도어 340: 제 2 도어
405: 제 2 저장실

Claims (17)

  1. 제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도어;
    상기 캐비닛의 상면과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도어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하는 제 1 힌지;
    상기 제 1 도어의 배면에 결합되며, 제 2 저장실을 형성하는 수납 장치;
    상기 제 1 도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힌지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하는 제 2 힌지;
    상기 제 1 도어의 양 측면부는 상기 제 2 도어의 양 측면부와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 1 도어의 상면과 상기 제 2 도어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제 2 저장실을 정의하도록, 좌우 측면부와, 상하면부, 및 배면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상기 제 2 저장실을 가로질러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스켓 장착부; 및
    상기 바스켓 장착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양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바스켓 장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수용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입구부로 정의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전단부 상하 폭은 상기 제 2 부분의 상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장착부의 양 측면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에 놓이는 추가 바스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장착부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추가 바스켓이 상기 바스켓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00000087A 2010-01-04 2010-01-04 냉장고 KR101638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87A KR101638193B1 (ko) 2010-01-04 2010-01-0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87A KR101638193B1 (ko) 2010-01-04 2010-01-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966A KR20110079966A (ko) 2011-07-12
KR101638193B1 true KR101638193B1 (ko) 2016-07-08

Family

ID=4491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087A KR101638193B1 (ko) 2010-01-04 2010-01-0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US9429355B2 (en) * 2011-11-15 2016-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153897B1 (ko) * 2014-03-11 2020-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15653B1 (ko) * 2017-08-21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22099B1 (ko) * 2018-05-08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244B1 (ko) * 2005-07-20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저장용기 가이드레일
KR101351090B1 (ko) * 2007-01-16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99949A (ko) * 2008-03-19 2009-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966A (ko) 201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135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9625204B2 (en) Refrigerator
US20190178563A1 (en) Refrigerator
EP3209959B1 (en) Refrigerator
EP3531049B1 (en) Refrigerator
CA2755901C (en) Refrigerator
KR101357339B1 (ko) 냉장고용 홈바
CN109668371B (zh) 冰箱
KR101638193B1 (ko) 냉장고
US20060226749A1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US20040056573A1 (en) Drawer-type refrigerator having tightly closable sliding unit
US10228183B2 (en) Refrigerator
US20060152118A1 (en) Refrigerator
CN102116554A (zh) 电冰箱
EP3152502B1 (en) Refrigerator
US20100101266A1 (en)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KR20110010405A (ko) 냉장고
KR102550259B1 (ko) 냉장고
KR20110009437A (ko) 냉장고
KR20100032178A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869556B1 (ko) 냉장고
KR100836844B1 (ko) 반자동 덮개가 형성된 서랍식 저장실을 포함하는김치저장고
JP6294100B2 (ja) 冷蔵庫
JP3927983B2 (ja) 冷蔵庫
KR2017008208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