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800A -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의 연신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의 연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800A
KR20110124800A KR1020117023476A KR20117023476A KR20110124800A KR 20110124800 A KR20110124800 A KR 20110124800A KR 1020117023476 A KR1020117023476 A KR 1020117023476A KR 20117023476 A KR20117023476 A KR 20117023476A KR 20110124800 A KR20110124800 A KR 2011012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lip
clips
rai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452B1 (ko
Inventor
다카요시 사노
사토루 닛타
노리유키 오오부치
요시히사 이케다
히로무 사이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클립 체인에 의해 상기 필름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클립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연신하는 것으로,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측에 배치된 상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하측에 배치된 하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클립과, 상기 복수의 클립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레일과, 상기 복수의 클립 중의 이웃하는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링크를 갖고 있다. 상기 필름 연신 장치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 또한 적은 공정수로,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의 연신 방법{FILM STRETCHING DEVICE AND FILM STRETCHING METHOD}
본 발명은, 필름 연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 체인을 사용하여 필름의 단부를 보유 지지하고, 클립 체인을 주행시켜 필름을 반송하면서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한 필름 연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링크 기구를 사용하여 구성된 클립 체인과, 체인 초기 폴딩 장치[initially-folding chain device](롤러 체인 초기 폴딩 장치[initially-folding roller chain device])를 사용하여, 필름을 보유 지지하면서, 보유 지지한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정하는 동시 이축 연신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2-95825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복수의 클립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된 클립 체인과, 간격 조정 레일(가이드 레일)을 사용하여, 필름을 보유 지지하면서, 보유 지지한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정하는 필름 연신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2-211124호 공보[특허 문헌 2] 참조).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동시 이축 연신 장치에서는, 링크 기구를 사용함과 동시에,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클립 체인의 홀더의 간격을 단축하기 위한 체인 초기 폴딩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구성이 번잡해진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연결 부재의 일부를 간격 조정 레일에 접촉시켜 각 클립의 간격을 단축하여 필름의 연신 정도가 조절된다. 그러나, 연결 부재가 상측과 하측의 2개소에서 간격 조정 레일에 접촉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번잡해짐과 동시에, 장치의 조정에 많은 공정수를 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성 또한 적은 공정수로,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필름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이 필름 연신 장치를 사용한 필름의 연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클립 체인에 의해 상기 필름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클립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측에 배치된 상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하측에 배치된 하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클립과, 상기 복수의 클립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레일과, 상기 복수의 클립 중의 이웃하는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링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특징에 따르면,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 테두리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에 있어서, 간소한 구성 또한 적은 공정수로,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름의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고, 수평한 일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한 타방향이 폭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클립 체인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필름의 상기 폭 방향의 일단부 테두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소에서 보유 지지하는 제1 클립 체인 및 상기 필름의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 테두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소에서 보유 지지하는 제2 클립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기준 레일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1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1 상측 기준 레일 및 상기 제2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2 상측 기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기준 레일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1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1 하측 기준 레일 및 상기 제2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2 하측 기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클립이, 상기 제1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 조정 레일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1 간격 조정 레일 및 상기 복수의 제2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2 간격 조정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복수의 제1 클립 중의 이웃하는 제1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1 간격 조정 링크 및 상기 복수의 제2 클립 중의 이웃하는 제2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2 간격 조정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한쪽의 클립에 일측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다른 쪽의 클립에 타측이 연결된 요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요동 부재가 요동되어, 상기 복수의 클립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한쪽의 클립에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다른 쪽의 클립에 타측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이동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클립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사이에 설치된, 제1 엘리먼트 및 제2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엘리먼트의 기단부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한쪽의 클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다른 쪽의 클립의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먼트의 기단부측이 상기 다른 쪽의 클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한쪽의 클립의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제2 엘리먼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엘리먼트가 요동되어 상기 이웃하는 클립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의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른 쪽의 클립 상의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요동 중심과,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의 거리가, 상기 다른 쪽의 클립 상의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상기 요동 중심과,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간의 요동 중심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준 레일과의 접촉 시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선단부 및 제2 엘리먼트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필름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웃하는 클립의 간격이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정 링크의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의 접촉부가, 상기 상측 기준 레일과 하측 기준 레일의 상하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상술한 필름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을 연신하는 필름의 연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특징에 따르면,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 테두리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인장하여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간소한 구성 또한 적은 공정수로, 필름의 연신 정도를 조정하면서, 필름을 연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연신 장치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필름 연신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 체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1개의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클립과 간격 조정 링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클립과 간격 조정 링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엘리먼트와 제2 엘리먼트가 절곡되어, 클립의 간격이 작아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필름 연신 장치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 체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필름 연신 장치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 체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필름 연신 장치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 체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필름 연신 장치에 따른 제4 실시 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 체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필름 연신 장치에 따른 제5 실시 형태에 사용되고 있는 클립 체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되는 클립 체인(3)은, 복수의 클립(5) 사이에 간격 조정 링크(7)를 배치하여,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클립 체인(3)은, 클립(5)과 간격 조정 링크(7)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이웃하는 2개의 클립(5)과 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1개의 간격 조정 링크(7)가 도시되어 있다.
필름 연신 장치(필름 횡연신 장치)(1)는, 필름(시트) F의 폭 방향의 일단부 테두리를 클립 체인(3A)에 의해 보유 지지[hold](예를 들어 파지[clump])하고, 타단부 테두리를 클립 체인(3B)에 의해 보유 지지(예를 들어 파지)하면서, 클립 체인[3(3A, 3B)]을 동기시켜 주행시킴으로써, 필름 F를 길이 방향(도 1 중의 화살표 A1 방향; X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Y 방향)으로 인장하여 연신한다.
클립 체인(3A, 3B)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반송되는 필름 F는, 그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Z 방향)으로 되고, 그 수평한 일방향(X 방향)이 길이 방향(반송 방향)으로 되며, 이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한 타방향(Y 방향)이 폭 방향(횡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F의 폭 방향의 일단부 테두리가, 클립 체인(3A)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즉, 필름 F는, 각 클립(5)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클램퍼)(9) 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끼워져,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필름 F는, 폭 방향의 일단부 테두리가, 길이 방향을 따른 복수 개소에서 클램퍼(9)에 의해 파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F의 폭 방향의 타단부 테두리가, 클립 체인(3B)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클립 체인(3A)은, 스프로킷 SP에 감겨, 화살표 A2의 방향으로 주행된다. 클립 체인(3B)도, 화살표 A2의 방향으로 주행한다. 또한, 클립 체인(3)과 스프로킷 SP의 결합은, 예를 들어, 클립 체인(3)의 클립(5)에 설치된 피결합부에서 이루어진다.
필름 F는, 클립 체인(3A) 및 클립 체인(3B)의 각 대향 부위(도 1에서, 필름 F의 폭 방향의 양단부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그 폭 방향의 각 단부 테두리가 클램퍼(9)에 의해 파지되어 있고, 이 파지 상태에서 반송된다. 또한, 클립 체인(3A) 및 클립 체인(3B)의 다른 부위(도 1에서, 필름 F의 폭 방향의 양단부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부위)에서는, 필름 F는 파지되어 있지 않다.
필름 F의 폭 방향의 각 단부 테두리가 클램퍼(9)에 의해 파지되어 반송되는 존은, 필름 F의 반송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순서대로, 존 Z1, 존 Z2, 존 Z3, 존 Z4, 존 Z5로 구분된다. 존 Z1은 예열존, 존 Z2는 연신존(횡연신존), 존 Z3은 열 고정존, 존 Z4 및 존 Z5는, 필름 F의 2방향(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필름 F의 텐션을 완화하는 릴렉스존이다. 또한, 존 Z4에서는, 필름 F의 릴렉스 정도가 서서히 커지고, 존 Z5에서는, 릴렉스 정도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존 Z4나 존 Z5에서의 필름 F의 릴렉스 정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필름 F의 폭 방향의 릴렉스 정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름 F의 폭 방향의 릴렉스 정도는, 존 Z4에서는, 필름 F의 화살표 A1 방향으로의 반송에 따라서, 폭 방향의 릴렉스 정도는 점차 커진다[클립 체인(3A, 3B) 간의 거리가 점차 작아진다]. 한편, 존 Z5에서는, 필름 F의 폭 방향의 릴렉스 정도는, 필름 F의 화살표 A1 방향으로의 반송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다[클립 체인(3A, 3B) 간의 거리가 대략 일정하다].
다음으로,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릴렉스 정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릴렉스의 정도는, 간격 조정 레일[13(13A, 13B)]에 의해 규정된다. 그리고, 존 Z4 및 존 Z5에서의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릴렉스 정도는, 대략 일정하다. 즉, 존 Z3과 존 Z4의 경계에서,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릴렉스 정도가 소정의 릴렉스 정도로 되고, 이 소정의 릴렉스 정도가, 존 Z4 및 존 Z5에서 유지된다.
또한, 간격 조정 레일(13)의 설치 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릴렉스 정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릴렉스 정도가, 존 Z4에서는 화살표 A1 방향으로 반송됨에 따라서 점차 크게 되어도 된다. 혹은, 존 Z4에 간격 조정 레일(13)을 설치하지 않고, 존 Z4에서, 필름 F의 길이 방향의 텐션을 완화하지 않아도 된다.
필름 연신 장치(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름 연신 장치(1)는, 필름 연신 장치(1)의 베이스로 되는 프레임(도시 생략)과, 상측 기준 레일[15(15A, 15B)]과 하측 기준 레일[17(17A, 17B)]과 지지 레일[19(19A, 19B)]을 구비하고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레일(15A, 17A, 19A)은, 클립 체인(3A)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레일이다. 이 때문에, 레일(15A, 17A, 19A)은, 도 1에 도시되는 클립 체인(3A)을 따라서 환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측 기준 레일(15A)은, 필름 F의 상측에서, 클립 체인(3A)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필름 F의 폭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기준 레일(15A)은, 상하 방향에서 대략 일정한 곳에 설치되어 있고, 필름 F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서 클립 체인(3A)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즉, 필름 F는,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인장되도록, 수평한 2차원의 XY 방향에서 가이드된다.
하측 기준 레일(17A)도, 상측 기준 레일(15A)과 마찬가지로, 필름 F의 하측에서, 클립 체인(3A)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는 필름 F의 폭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립 체인(3A)은, 상측 기준 레일(15A) 및 하측 기준 레일(17A)에 의해 상하에서 가이드되면서 주행된다.
또한, 상측 기준 레일(15A) 및 하측 기준 레일(17A)은, 필름 F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상하 방향)에서, 필름 F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는, 상측 기준 레일(15A) 및 하측 기준 레일(17A)은 서로 겹쳐져 있다. 이 때문에, 클립 체인(3A)은, 상방 및 하방에서 동시에 가이드되면서 매끄럽게 주행한다.
지지 레일(19A)은, 클립 체인(3A)의 주행을 필름 F의 두께 방향(상하 방향)에서 가이드한다. 즉, 지지 레일(19A)은, 클립 체인(3A)이 두께 방향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도록, 클립 체인(3A)을 가이드한다.
클립 체인(3A)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F를 보유 지지하는 클램퍼(9)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클립(5)을, 간격 조정 링크(7)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간격 조정 링크(7)는, 환상의 클립 체인(3A)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웃하고 있는 클립(5)끼리를 서로 접속한다. 또한, 간격 조정 링크(7)는, 클립 체인(3A)이 주행할 때에, 높이 방향(상하 방향)의 소정 높이에서 간격 조정 레일(13A)과 접촉하여, 클립(5)의 간격을 조정한다(예를 들어, 간격을 좁힌다).
간격 조정 레일(피치 조정 레일)(13A)도, 상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간격 조정 레일(13A)은, 클립 체인(3A)의 클립(5)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측 기준 레일(15A)[및 하측 기준 레일(17A)]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간격 조정 레일(13A)은, 상하 방향에서는 상측 기준 레일(15A)과 하측 기준 레일(17A)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조정 레일(13A)은, 상측 기준 레일(15A)과 하측 기준 레일(17A)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간격 조정 레일(13A)은, 상측 기준 레일(15A)[및 하측 기준 레일(17A)]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적어도 일부의 범위[클립(5)의 간격의 조정이 필요한 범위; 예를 들어, 존 Z4 및 존 Z5]에서 상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레일(15B, 17B, 19B, 13B)은, 각 레일(15A, 17A, 19A, 13A)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레일(15B, 17B, 19B, 13B)은, 필름 F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연직 평면에 대하여, 각 레일(15A, 17A, 19A, 13A)과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 체인(3A) 및 클립 체인(3B)은, 상기 중심선을 포함하는 연직 평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주행한다.
따라서, 이하, 한쪽의 클립 체인(3A)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다른 쪽의 클립 체인(3B)에 대해서도, 한쪽의 클립 체인(3A)과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간격 조정 링크(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엘리먼트(21)와 제2 엘리먼트(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엘리먼트(21)의 기단부는, 이웃하는 클립(5) 중 한쪽의 클립(도 2 중 우측의 클립)(5)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 C1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엘리먼트(21)의 선단부는, 이웃하는 클립(5) 중 다른 쪽의 클립(도 2 중 좌측의 클립)(5)의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엘리먼트(23)의 기단부는, 이웃하는 클립(5) 중 다른 쪽의 클립(도 2 중 좌측의 클립)(5)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 C2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엘리먼트(23)의 선단부측은, 이웃하는 클립(5) 중 한쪽의 클립(도 2 중 우측의 클립)(5)의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엘리먼트(23)의 선단부가, 제1 엘리먼트(21)의 선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 C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엘리먼트(23)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5)는, 제2 엘리먼트(23)의 기단부(축 C2)와 제2 엘리먼트(23)의 선단부(축 C3)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교차하고, 또한, 필름 F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돌출부(25)는, 제2 엘리먼트(23)의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엘리먼트(23)의 돌출부(25)가 간격 조정 레일(13A)과 접촉함으로써, 엘리먼트(21, 23)가 요동하여,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조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정 링크(7)의 간격 조정 레일(13A)과의 접촉부[롤러(31)]는, 상측 기준 레일(15A)[상측 기준 레일(15A)과 캠 팔로워(27)의 접촉 부위]과 하측 기준 레일(17A)[하측 기준 레일(17A)과 캠 팔로워(29)의 접촉 부위]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엘리먼트(23)의 돌출부(25)와 간격 조정 레일(13A)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필름 F의 장력이 엘리먼트(21, 23)에 작용하여 엘리먼트(21, 23)가 직선 형상으로 끝까지 연장되어,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이 최대로 된다(도 2). 즉, 제1 엘리먼트(21)의 요동 중심 C1과, 제2 엘리먼트(23)의 요동 중심 C2와,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3)의 공통의 요동 중심 C3이, 대략 일직선상에 클립 체인(3A)의 주행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또한, 돌출부(25)는, 엘리먼트(21, 23)의 요동 중심 C1, C2, C3을 사이에 개재시켜, 홀더(클램퍼)(9)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는, 제2 엘리먼트(23)의 기단부와 선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각도 α로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제2 엘리먼트(23)의 기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즉, 돌출부(25)는, 제1 엘리먼트(21)를 향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25)가 간격 조정 레일(13A)과 접촉하였을 때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가 간격 조정 레일(13A)에 눌려져, 제1 엘리먼트(21)의 선단부 및 제2 엘리먼트(23)의 선단부(요동 중심 C3)가, 필름 F의 측[홀더(9)의 측]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3)가, 요동 중심 C3에서 절첩되어,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이 작아진다.
또한, 여기서는, 돌출부(25)의 선단부에 롤러(31)가 설치되어 있고, 롤러(31)가 간격 조정 레일(13A)과 접촉한다. 롤러(31)는, 돌출 부위(25)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 중심 C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동 중심 C1과 요동 중심 C3의 거리는, 요동 중심 C2와 요동 중심 C3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에 대하여, 요동 중심 C2와 회전 중심 C4의 거리는, 요동 중심 C2와 요동 중심 C3의 거리보다도 작다.
그런데, 상측 기준 레일(15A) 및 하측 기준 레일(17A)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복수매의 박판을 두께 방향으로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기준 레일(15A) 및 하측 기준 레일(17A)을 환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립 체인(3A)이 주행[클립(5)이 이동]한다.
또한, 상측 기준 레일(15A) 및 하측 기준 레일(17A)은, C형강과 같은 레일 지지 부재(33)에 일체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레일 지지 부재(33)는, 클램퍼(9)의 측을 개구시켜 상기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 레일(19A)도, C형강과 같은 형상을 갖고 있고, 하측 기준 레일(17A)의 하측에서, 레일 지지 부재(3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클립(5)은, C형강과 같은 형상의 베이스체(37)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체(37)에는, 캠 팔로워(27, 29)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기준 레일(15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캠 팔로워(27) 사이에 끼워져 있고, 클립(5)은, 캠 팔로워(27)를 통하여, 상측 기준 레일(15A)에 의해 수평으로 가이드된다. 마찬가지로, 하측 기준 레일(17A)이 캠 팔로워(29) 사이에 끼워져 있다. 클립(5)은, 캠 팔로워(29)를 통하여, 하측 기준 레일(17A)에 의해 수평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체(37)에는, 앵글재(39)를 통하여, 캠 팔로워(41)가 설치되어 있다. 캠 팔로워(41)는, 지지 레일(19A)의 내측에 들어가 있다. 클립(5)은, 캠 팔로워(41)를 통하여, 지지 레일(19A)에 의해 상하로 가이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31)는, 원기둥 형상의 핀(43)을 통하여, 제2 엘리먼트(23)의 돌출부(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31)는, 복수의 베어링(31A, 31B, 31C)이 회전 중심 C4의 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격 조정 레일(13A)의 이음매에서의 롤러(31)의 옮겨타기에 의해 적어도 1개의 베어링이 접촉하여, 연속적으로 엘리먼트(21, 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간격 조정 레일(13A)의 이음매를,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3014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핑거 조인트[comb joint]와 같이 한 경우, 3개의 베어링(31A, 31B, 31C) 중 적어도 1개가 이음매 이외의 면에 접촉하므로, 간격 조정 레일(13A)의 이음매에서의 롤러(31)의 옮겨타기가 원활하게 행해져, 필름 연신 장치(1)를 안정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 연신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기 또는 조출기로부터 원단으로서의 필름 F가 송출되고, 필름 연신 장치(1)가 가동되어[클립 체인(3A, 3B)이 동기하여 주행하면서] 필름 F가 연신되어 있다.
존 Z1의 입구에서, 클립(5)의 클램퍼(9)가 필름 F를 보유 지지한다.
클램퍼(9)가 필름 F를 보유 지지한 채로, 존 Z1 내지 존 Z5까지 필름 F가 반송되면서, 필름 F가 연신된다.
그리고, 존 Z5의 출구에서, 클램퍼(9)가 필름 F를 놓는다. 이 후, 클립(5)은, 필름 F와는 반대측을 이동하여, 존 Z1의 입구까지 복귀되고, 다시, 클램퍼(9)가 필름 F를 보유 지지한다.
필름 연신 장치(1)에 의하면, 간격 조정 링크(7)로 클립(5)을 연결하고 있음과 동시에, 간격 조정 링크(7)의 구성 부품[롤러(31)]을 간격 조정 레일(13)에 접촉시킴으로써 클립(5)의 간격이 조정되므로, 복잡한 링크 기구 등은 사용되지 않아,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필름 연신 장치(1)에 의하면, 간격 조정 링크(7)의 롤러(31)가 상하 방향의 소정 높이에서 간격 조정 레일(13)과 접촉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있음과 동시에, 필름 F의 연신 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간격 조정 레일이 상하 2개소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간격 조정 레일의 각각에 롤러를 접촉시키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측의 간격 조정 레일과 하측의 간격 조정 레일의 위치가 약간 어긋난 것만으로, 상측과 하측에서 클립의 간격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없게 된다. 안정된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상측 간격 조정 레일의 위치와 하측 간격 조정 레일의 위치의 조정을 해야만 하지만, 이 위치 조정은 어려운 작업이며, 많은 시간을 요한다. 그리고, 조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한쪽의 간격 조정 레일에만 롤러가 접촉하여, 편마모가 발생하여 장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필름 연신 장치(1)에서는, 간격 조정 레일(13)이 상하 방향에서 1개소밖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어려운 조정 작업은 발생하지 않아, 필름 F의 연신 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장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기준 레일[15(15A, 15B)] 및 하측 기준 레일[17(17A, 17B)]은, 강성이 높은 레일 지지 부재(33)의 면(예를 들어 기계 가공에 의해 고정밀도로 가공된 마무리면)에 직접 접합되어 있으므로, 고정밀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름 연신 장치(1)에 의하면, 간격 조정 링크(7)가 클립(5)에 대하여 요동하는 엘리먼트(21, 2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엘리먼트(21, 23)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의 설정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높다.
또한, 필름 연신 장치(1)에 의하면, 간격 조정 링크(7)의 간격 조정 레일(13)과의 접촉부[롤러(31)]가, 상측 기준 레일(15)과 하측 기준 레일(17)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클립(5)이나 간격 조정 링크(7)에 외력이 작용해도, 이 외력에 의해 간격 조정 링크(7)나 클립(5)에 큰 모멘트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져, 안정된 상태에서 클립 체인(3)을 주행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정 링크(7)의 돌출부(25a)의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의 돌출부(25)와 상이하다. 그 밖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간격 조정 링크(7)의 돌출부(25a)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1)의 돌출부(25)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25a)의 선단부에는 롤러(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중심 C2와 회전 중심 C4의 거리가, 요동 중심 C2와 요동 중심 C3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동 중심 C2와 회전 중심 C4의 거리가, 요동 중심 C2와 회전 중심 C4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을 조정하는 힘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간격 조정 레일(13)과 롤러(31)의 접촉압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을 확실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간격 조정 링크(7)에서는, 돌출부(25a)가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되는 간격 조정 링크(7)에서는, 돌출부(25a)가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정 링크(7)의 돌출부(25b)의 돌출 방향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의 돌출부(25a)와 상이하다. 그 밖의 점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간격 조정 링크(7)의 돌출 부위(25b)가, 필름 F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1 엘리먼트(21)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회전 중심 C4와 요동 중심 C2를 연결하는 직선과, 요동 중심 C2와 요동 중심 C1을 연결하는 직선이, 각도 β로 둔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 부위(25b)의 롤러(31)가 간격 조정 레일(13)과 접촉하면 돌출 부위(25b)가 간격 조정 레일(13)에 의해 눌려져, 제1 엘리먼트(21)의 선단부 및 제2 엘리먼트(23)의 선단부(요동 중심 C3)가, 필름 F[클립(5)의 홀더(9)]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엘리먼트(21) 및 제2 엘리먼트(23)가 요동 중심 C3에서 절첩되어,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엘리먼트(21, 23)가 홀더(9)와는 반대측으로 절첩됨으로써,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이 조정되므로, 엘리먼트(21, 23)와 클립(5)의 간섭을 피하면서, 이웃하는 클립(5)의 간격의 조정폭을 크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는, 간격 조정 링크(7)의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1)의 간격 조정 링크(7)와는 상이하다. 그 밖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간격 조정 링크(7)가, 요동 부재(4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부재(45)의 일측이, 이웃하는 클립(5) 중 한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 C5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요동 부재(45)의 타측이, 이웃하는 클립(5) 중 다른 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부재(45)의 일부[롤러(31)]가 간격 조정 레일(13)과 접촉함으로써 요동 부재(45)가 화살표 A5로 나타내어지는 힘을 받는다. 요동 부재(45)는, 화살표 A5의 힘을 받으면 화살표 A6으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결과, 클립(5)이 화살표 A7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립(5)의 간격이 조정된다.
또한, 요동 부재(45)의 타측과 다른 쪽의 클립(5)의 연결은, 요동 부재(45)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47)에, 클립(5)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49)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돌기(49)가 긴 구멍(47)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는, 간격 조정 링크(7)의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1)의 간격 조정 링크(7)와 상이하다. 그 밖의 점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는, 간격 조정 링크(7)가, 이동 부재(5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부재(51)의 일측이, 이웃하는 클립(5) 중 한쪽에, 필름 F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양쪽에 각도를 갖고, (예를 들어, 리니어 가이드 베어링(도시 생략)을 통하여,)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부재(51)의 타측이, 이웃하는 클립(5) 중 다른 쪽에,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이동 부재(51)의 일부[롤러(31)]가 간격 조정 레일(13)과 접촉함으로써 이동 부재(51)가 화살표 A8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클립(5)이 화살표 A9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립(5)의 간격이 조정된다.
또한, 이동 부재(51)와 클립(5)의 결합은,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긴 구멍(53) 및 돌기(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의 간격 조정 레일[13(13A, 13B)]은, 존 Z4, Z5의 릴렉스존뿐만 아니라, 다른 존 Z1 내지 Z3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간격 조정 레일[13(13A, 13B)]을 예열존 Z1에 설치하면, 가열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필름 F의 늘어짐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연신존 Z2의 입구나 출구에 간격 조정 레일[13(13A, 13B)]을 설치하면, 연신존 Z2의 입구(연신 개시)나 출구(연신 종료)에서의 기준 레일(15, 17)의 굴곡부 근방에서의 클립(5)의 간격의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 도 7, 도 8, 도 9에서는, 필름 F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5)이, 도면의 좌로부터 우로 이동되지만, 반대로, 우로부터 좌로 이동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클립 체인에 의해 상기 필름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클립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측에 배치된 상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하측에 배치된 하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클립과, 상기 복수의 클립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레일과, 상기 복수의 클립 중의 이웃하는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링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의 예이다.

Claims (9)

  1.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클립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클립 체인에 의해 상기 필름을 보유 지지하고, 상기 클립 체인을 주행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연신하는 필름 연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측에 배치된 상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하측에 배치된 하측 기준 레일과,
    상기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클립과,
    상기 복수의 클립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레일과,
    상기 복수의 클립 중의 이웃하는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링크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고, 수평한 일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한 타방향이 폭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클립 체인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필름의 상기 폭 방향의 일단부 테두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소에서 보유 지지하는 제1 클립 체인 및 상기 필름의 상기 폭 방향의 타단부 테두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소에서 보유 지지하는 제2 클립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기준 레일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1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1 상측 기준 레일 및 상기 제2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2 상측 기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기준 레일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제1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1 하측 기준 레일 및 상기 제2 클립 체인을 가이드하는 제2 하측 기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클립이, 상기 제1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클립 및 상기 제2 클립 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 조정 레일이, 복수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1 간격 조정 레일 및 상기 복수의 제2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2 간격 조정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복수의 제1 클립 중의 이웃하는 제1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제1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1 간격 조정 링크 및 상기 복수의 제2 클립 중의 이웃하는 제2 클립끼리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제2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제2 클립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2 간격 조정 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한쪽의 클립에 일측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다른 쪽의 클립에 타측이 연결된 요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요동 부재가 요동되어, 상기 복수의 클립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한쪽의 클립에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다른 쪽의 클립에 타측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이동 부재의 일부가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클립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사이에 설치된, 제1 엘리먼트 및 제2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엘리먼트의 기단부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한쪽의 클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이웃하는 클립 중 다른 쪽의 클립의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먼트의 기단부측이 상기 다른 쪽의 클립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한쪽의 클립의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제2 엘리먼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엘리먼트가 요동되어 상기 이웃하는 클립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의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 접촉하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른 쪽의 클립 상의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요동 중심과,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의 거리가, 상기 다른 쪽의 클립 상의 상기 제2 엘리먼트의 상기 요동 중심과,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간의 요동 중심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준 레일과의 접촉 시에 상기 간격 조정 레일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1 엘리먼트의 상기 선단부 및 제2 엘리먼트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필름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웃하는 클립의 간격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링크의 상기 간격 조정 레일과의 접촉부가, 상기 상측 기준 레일과 하측 기준 레일의 상하 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을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의 연신 방법.
KR1020117023476A 2009-04-14 2010-04-09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의 연신 방법 KR101345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7768A JP5371523B2 (ja) 2009-04-14 2009-04-14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JPJP-P-2009-097768 2009-04-14
PCT/JP2010/056467 WO2010119823A1 (ja) 2009-04-14 2010-04-09 フィルム延伸装置およびフィルムの延伸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800A true KR20110124800A (ko) 2011-11-17
KR101345452B1 KR101345452B1 (ko) 2013-12-27

Family

ID=4298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476A KR101345452B1 (ko) 2009-04-14 2010-04-09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의 연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73257B2 (ko)
JP (1) JP5371523B2 (ko)
KR (1) KR101345452B1 (ko)
CN (1) CN102395457B (ko)
DE (1) DE112010001621B4 (ko)
TW (1) TWI411518B (ko)
WO (1) WO20101198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03B1 (ko) * 2020-09-09 2021-01-07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필름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제조를 위한 필름 연신장치
KR20210084607A (ko) * 2018-12-07 2021-07-07 시바우라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4705B2 (ja) * 2010-03-24 2013-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6086995B2 (ja) * 2012-12-20 2017-03-01 ブリュックナー・マシーネンバウ・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ー・カーゲー 延伸装置
DE102012025487A1 (de) 2012-12-20 2014-06-26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Transportsystem, insbesondere Querreckanlage
CN103072263B (zh) * 2013-01-11 2015-05-20 青岛中科华联新材料有限公司 薄膜双向拉伸机万向锁紧夹头装置
EP2803473B1 (en) 2013-05-16 2016-04-13 Andritz AG Dual tenter clip and table assembly and transverse sheet stretching plants comprising same
DE102013011965A1 (de) 2013-07-18 2015-01-2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Linearmotorgetriebene Transportanlage, insbesondere Reckanlage
KR20150052683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텐터 장치
FR3016547B1 (fr) * 2014-01-22 2016-08-19 Andritz Biax Sas Machines d'etirage de films ou de feuilles
JP6185016B2 (ja) * 2014-09-11 2017-08-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フィルム延伸装置
JP6494291B2 (ja) * 2015-01-14 2019-04-0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71222B2 (ja) * 2017-02-13 2020-10-21 株式会社市金工業社 シート状物移送装置並びに移送チェーン機構の減速移動機構及びクリップ解除機構
CN106881854B (zh) * 2017-03-10 2023-03-21 佛山市盟思拉伸机械有限公司 联动链夹机构及交错组合装置
FR3066138B1 (fr) * 2017-05-15 2019-07-12 Jean Pierre Darlet Dispositif d'etirage de film thermoplastique simultanement dans le sens longitudinal et dans le sens transversal
JP6665132B2 (ja) * 2017-05-17 2020-03-13 東芝機械株式会社 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DE102017117420A1 (de) 2017-08-01 2019-02-07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Reckanlage
JP6969050B2 (ja) * 2017-11-20 2021-11-2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シート状物の縦方向の収縮機能を備えた横方向延伸機
DE102018101455A1 (de) * 2018-01-23 2019-07-25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Vorrichtung zum mono- oder biaxialen Recken von Kunststoffmaterialabschnitten
JP7059103B2 (ja) * 2018-05-15 2022-04-25 芝浦機械株式会社 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JP6974413B2 (ja) * 2018-12-07 2021-12-01 芝浦機械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フィルム製造装置及びセパレータ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20105672A1 (en) * 2020-10-05 2022-04-07 Facebook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ly anisotropic polymer thin films
DE102021117782A1 (de) 2021-07-09 2023-01-1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Mehrteilige Kluppeneinheit sowie Reckanlage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3966A (en) 1960-02-09 Continuous biaxial stretching device
US1478454A (en) * 1922-10-12 1923-12-25 Renold Hans Ltd Stenter chain
US2350961A (en) * 1941-08-26 1944-06-06 Allen F Haskins Electromagnetic tenter clip
US3054159A (en) * 1959-03-13 1962-09-18 Mohring Gustav Combined tenter clip for cloth tentering devices
US3195177A (en) 1961-08-06 1965-07-20 Shin Mitsubishi Jukogyo Kk Apparatus for stretching thermoplastic film
NL288416A (ko) * 1962-02-01
US3276071A (en) 1963-12-02 1966-10-04 Hitachi Ltd Apparatus for stretching the film in two axial directions simultaneously by using link mechanism
US3179977A (en) * 1964-02-03 1965-04-27 Marshall And Williams Corp Multiple hinged rail joint
US3305889A (en) 1965-05-03 1967-02-2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Bi-axial stretching machine
US3391421A (en) 1966-06-06 1968-07-09 Eastman Kodak Co Apparatus for biaxial stretching of a polymeric sheet
US3427684A (en) 1967-01-26 1969-02-1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Biaxial stretching machine
DE1704700C3 (de) 1967-05-25 1973-09-20 Hitachi Ltd., Tokio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Strecken einer Folienbahn aus einem Kunststoff in ihrer Langs und Quer richtung
US3555637A (en) * 1968-04-16 1971-01-19 Bevis Ind Inc Tentering clip and chain
DE1925284C3 (de) * 1969-05-17 1978-09-28 Lindauer Dornier-Gesellschaft Mbh, 8990 Lindau Kluppenkette für Spannkluppen in Spannrahmen
US4134189A (en) * 1977-12-16 1979-01-16 Richter Hans H Tentering clip chain
JPS5949939A (ja) * 1982-09-17 1984-03-22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延伸装置
JPS5967017A (ja) 1982-10-07 1984-04-16 Toray Ind Inc シ−ト状物延伸装置
US4807336A (en) 1984-01-24 1989-02-28 Toray Industries, Inc. Link device for stretching sheet material and stretching apparatus using said link device
JPS6158723A (ja) 1984-08-31 1986-03-26 Toray Ind Inc シ−ト状物延伸装置
JPS61124462A (ja) * 1984-11-22 1986-06-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テンタクリツプ
DE3503909C1 (de) 1985-02-06 1986-01-09 Erwin Kampf Gmbh & Co Maschinenfabrik, 5276 Wiehl Simultanbiaxialreckmaschinen fuer thermoplastische Folienbahnen
JPS62211124A (ja) * 1986-03-12 1987-09-17 Toray Ind Inc ステンタ
JPS6342839A (ja) 1986-08-11 1988-02-24 Hitachi Ltd 縦方向の延伸倍率変換可能な同時二軸延伸機
DE3716603C1 (de) 1987-05-18 1989-03-09 Dornier Gmbh Lindauer Vorrichtung zur simultanen biaxialen Behandlung von Folienbahnen
JPS6453177A (en) 1987-08-24 1989-03-01 Nec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637080B2 (ja) * 1988-10-03 1994-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同時二軸延伸装置
DE3928454A1 (de) 1989-08-29 1991-03-07 Kampf Gmbh & Co Maschf Kluppe und transportvorrichtung
DE4015309C2 (de) * 1989-11-14 1998-04-09 Dornier Gmbh Lindauer Kluppenkette mit stufenlos einstellbarer Teilung zur simultanen, biaxialen Behandlung von Folienbahnen
DE3937855C1 (ko) * 1989-11-15 1991-07-04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De
JP2735372B2 (ja) 1990-09-19 1998-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ト状物の同時二軸延伸機
JPH0634931A (ja) 1992-07-21 1994-02-10 Hitachi Ltd 投射型ディスプレイ
JPH088099Y2 (ja) * 1992-10-16 1996-03-06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テンタクリップ装置
DE4241213C2 (de) * 1992-12-08 1999-04-08 Dornier Gmbh Lindauer Vorrichtung zur simultanen, biaxialen Behandlung von Folienbahnen
US5517737A (en) * 1994-06-06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continuously stretching or continuously releasing stretching forces from a web using two pairs of opposing non-planar belts
DE19613562A1 (de) * 1996-04-04 1997-10-09 Hoechst Trespaphan Gmbh Spannkluppe mit Rollenlagerung
US5613284A (en) 1996-04-30 1997-03-25 Marshall & Williams Company Tenter assembly and method
US5970589A (en) 1997-09-11 1999-10-26 Hitachi, Ltd.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6916440B2 (en) * 2001-05-31 2005-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es and apparatus for making transversely drawn films with substantially uniaxial character
JP4224241B2 (ja) 2002-02-13 2009-02-1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同時2軸テンタ
JP3855907B2 (ja) 2002-10-03 2006-12-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4791046B2 (ja) 2005-01-26 2011-10-12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シート状物の延伸機
JP2007230143A (ja) * 2006-03-02 2007-09-13 Toshiba Mach Co Ltd フィルムの横延伸機
JP4845619B2 (ja) 2006-07-19 2011-12-28 東芝機械株式会社 シート・フィルムの斜め延伸方法および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CN101489761B (zh) * 2006-07-19 2012-11-28 东芝机械株式会社 夹爪式片或膜延伸装置
JP4668215B2 (ja) * 2006-07-19 2011-04-13 東芝機械株式会社 クリップ式シート・フィルム延伸装置
CN101594979B (zh) 2007-01-23 2012-11-07 东芝机械株式会社 夹爪式薄板/薄膜延伸装置
JP2008238749A (ja) * 2007-03-28 2008-10-09 Fujifilm Corp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熱処理方法及び装置
CN201058492Y (zh) * 2007-06-14 2008-05-14 常州裕兴绝缘材料有限公司 低热收缩聚酯薄膜横拉装置的松弛机构
KR20170056027A (ko) * 2009-01-19 2017-05-22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위상차 필름
JP4966996B2 (ja) * 2009-05-19 2012-07-04 東芝機械株式会社 レール支持装置およびシートの延伸方法
JP5587668B2 (ja) * 2010-05-19 2014-09-10 東芝機械株式会社 延伸試験装置および延伸試験方法
JP5562084B2 (ja) * 2010-03-24 2014-07-3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5255595B2 (ja) 2010-05-17 2013-08-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端末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端末位置特定方法
JP2012198449A (ja) * 2011-03-23 2012-10-18 Nitto Denko Corp 偏光膜および偏光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607A (ko) * 2018-12-07 2021-07-07 시바우라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세퍼레이터 필름 제조 장치 및 세퍼레이터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99603B1 (ko) * 2020-09-09 2021-01-07 주식회사 티씨엠에스 필름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제조를 위한 필름 연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95457A (zh) 2012-03-28
DE112010001621T5 (de) 2012-08-02
CN102395457B (zh) 2014-07-23
KR101345452B1 (ko) 2013-12-27
DE112010001621B4 (de) 2021-07-01
US9073257B2 (en) 2015-07-07
TWI411518B (zh) 2013-10-11
JP5371523B2 (ja) 2013-12-18
WO2010119823A1 (ja) 2010-10-21
US20120038080A1 (en) 2012-02-16
JP2010247393A (ja) 2010-11-04
TW201109156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452B1 (ko) 필름 연신 장치 및 필름의 연신 방법
US9102094B2 (en) Rail support device and sheet stretching method
CN101224643B (zh) 用于折叠-胶粘机的折叠装置
KR102259756B1 (ko) 합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필름을 적어도 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신장 장치
KR101336421B1 (ko) 시트 형상물의 연신기
KR100498109B1 (ko) 시트형상물체의 박막성형장치
KR20200132725A (ko)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983568B1 (ko) 시트형상물의 연신장치
TW2012212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metal elements
CN101424020A (zh) 用于保持纺织纤维或丝线在后续定型过程中的褶皱的装置
JP6423798B2 (ja) 弾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弾性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90058321A (ko) 시트상물의 2축 연신기
CN107683125B (zh) 一种连续体的折叠装置及折叠方法
EP3118360B1 (en) Yarn feeding mechanism of flat knitting machine
JP5079658B2 (ja) 湾曲プリフォームの製造装置
JP2013216546A (ja) 帯状ガラス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CN103906692B (zh) 板材的搬运系统
JPH0524263B2 (ko)
JP3411532B2 (ja) 弾性部材取付装置
JP2020037231A (ja) 合成材料製のフィルムを少なくとも横方向に延伸するための延伸装置
FI104332B (fi) Taipuisa käyttönivel pingotuskehystä varten
US20170209911A1 (en) Alignment unit for a profiling line
US4972560A (en) Apparatus for a knitted fabric tenter frame
JPH0634931U (ja) テンタクリップ装置
JPH0623837A (ja) フイ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