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682A -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682A
KR20100051682A KR1020107004108A KR20107004108A KR20100051682A KR 20100051682 A KR20100051682 A KR 20100051682A KR 1020107004108 A KR1020107004108 A KR 1020107004108A KR 20107004108 A KR20107004108 A KR 20107004108A KR 20100051682 A KR20100051682 A KR 2010005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rm assembly
lifting arm
vehicl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코 라빠나
Original Assignee
에스코 라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 라빠나 filed Critical 에스코 라빠나
Publication of KR2010005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이 캐빈(2)을 구비한 섀시 구조물(1)과 섀시 구조물의 상단에 부착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포함하여 회전 베이스(9)에 의해 수직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동 위치로 접기 위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차량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향 또는 후향의, 두 개의 위치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캐빈(2) 뒤에 위치하도록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크기가 정해진다. 구조 차량에서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단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아암(8)을 포함하여 상기 아암(8)이 캐빈(2)의 상단 상에 놓이는 대기 위치로 뻗을 수 있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는 제2 아암(7)의 단부에 부착된 제3 아암(8)으로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제3 아암(8)이 제2 아암(7) 아래 또는 그 옆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되는 제3 아암을 포함하고, 그리고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이동 위치에 있을 때 회전 베이스(9)가 제2 아암(7)의 중심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A VEHICLE AND A LIFTING ARM ASSEMBLY}
본 발명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다시 말해 붐(boom) 어셈블리, 크레인, 또는 리프팅 장치 등이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도록 바퀴들 상에서 움직이는 섀시(chassis)에 구비되어 있었다. 특히 구조(rescue)의 목적으로 차량 섀시에 배치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공지되어 있다.
공보 US 3498474에 따른 차량이 하나의 공지된 예인데, JP 61267700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사람을 리프팅하는데 적합한 케이지(cage)를 구비하고 있다. 공보 US 3252542는, JP 62065899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사람을 리프팅하는 케이지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장치, 특히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들은 몇가지의 다른 목적에 대해 이용되기에 곤란하여 제한적인 용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장치를 쉽게 변경하거나 사용 목적을 변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요구에 대한 적합성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다양한 용도를 위해 설계되지 않았고, 주로 하나의 이용 목적에 대해서만 적합하였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다수의 상이한 용도에 적합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위한 해결책을 개시하는 것이다. 언급할만한 용도의 예로는 화재 예방 및 구조용 차량, 건설업에서의 리프팅 플랫폼 및 리프팅 장치는 물론 군사적인 용도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다양한 작업들에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인명 구조, 화재 진압은 물론 냉각, 세척 및 리프팅 작업들, 건설 및 리노베이션 그리고 기타 작업들이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은 청구항 1에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은 청구항 8에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이 청구항 13에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청구항 15에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실시예들은 그 외의 청구항들에 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특별한 장점은 특히 이동의 관점에서의 적절한 크기(dimensioning)와 배열(geometry)이다. 차량이 캐빈(cabin)을 포함하고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캐빈 뒷편에 위치하는 경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이동을 위해 두 개의 대안적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상이한 작업들의 관점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최외곽 부분(outermost part)이 캐빈 위로 회전될 수 있고, 이때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나머지 부분은 주로(primarily) 여전히 이동 위치 내에 있다. 상기 최외곽 부분의 이러한 대기 위치는 다양한 상황에서 화재를 진압할 때 화재 진압을 위해 상기 최외곽 부분으로부터 목표물을 향해 예를 들어 물을 신속히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최외곽 부분은 또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아래로 또는 그 옆으로, 예를 들어 캐빈의 상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컴팩트해지며, 필요하다면, 캐빈보다 더 낮은 레벨까지로도 옮겨질 수 있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예를 들어 차량의 총 높이를 결정하지 않으며, 낮은 무게 중심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예를 들어 구조용 차량들에 대해서 바디워크(bodywork)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캐빈 뒤에 다양한 공구들, 기구들 및 장비를 위한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최외곽 부분은 또한 차량 뒤로도 회전되어서 사람을 리프팅하거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지를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접혀진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최외곽 부분이 수직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이때 차량의 뒷부분보다 더 뒷쪽의 낮은 레벨상에 케이지가 위치될 수 있다. 케이지는 차량의 총 길이를 증가시키며, 이로인해 초래되는 단점은 바디워크를 짧게 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차량의 휠베이스 및 차량 자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지 않으며, 또한 낮은 무게 중심 덕분에 차량을 취급하기에 용이하고 기민하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회전 베이스는 휠 샤프트들 사이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중량의 유리한 분산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특히 그 최외곽 단부에 신속 클램핑 수단이 구비되어, 주어진 시간에 작업 케이지 또는 구조용 케이지, 또는 분사 도구, 블로우잉 도구 또는 흡입 도구, 그립퍼, 커터, 스프레더 또는 침투 도구 등과 같은 작업 모듈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신속 클램핑 수단이 구조용 및 민간 작업 모두에 사용되는 작업 모듈과 호환된다면, 융통성있는 이용 가능성이 얻어진다. 다양한 종류의 임무를 위한 다양한 작업 모듈을 포함하는 바디워크를 갖는 차량에 의해 특별한 장점이 얻어진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최외곽 부분의 단부가 이 부착 또는 해제를 위한 작업 모듈에 미치게 하여 작업 모듈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크기가 정해진다. 작업 모듈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아랫쪽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렇게하면 차량의 총 길이가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신속 클램핑 수단은 필요하다면 케이지 및 작업 모듈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다양한 부분들의 접힘 각도가 또한 매우 넓어서 교량 아래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최외곽 부분에 작업 케이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교량 아래에서 대체로 수평인 위치로 취해질 수 있는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중간 부분은 대체로 수직 위치에 있고 회전 베이스의 상단에 배열된 접히는 기초 부분은, 90도 넘게, 충분히 회전되어서 상기 중간 부분이 차량의 측면에서 충분히 옮겨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텔레스코픽 기능(telescopic function; 차례로 포개어 끼워넣는 기능)에 의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미치는 범위가 상당히 증가하는 장점이 얻어진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기능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중간 부분에 내장되는데, 이것에 의해 최외곽 부분을 차량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동 위치에서는 텔레스코픽 구조가 수축 상태에 있고, 이때 컴팩트하고 짧은 구조가 얻어진다. 한 실시예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부분들의 측면에 예를 들어 구조의 목적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작동하는 사다리가 부착된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전술한 기초 부분의 길이, 소위 회전 반경이 상기 중간 부분의 길이의 대략 절반이 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회전 베이스는, 이어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및 그 중간 부분의 가운데에 위치되어, 차량의 총 길이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접힌 위치 및 다른 이동 위치들에 있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서로 180도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이동 위치가 있는데 이 위치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최외곽 부분은, 이어서, 중간 부분의 길이의 절반보다 짧고, 이로써 중간 부분 아래로 접어지며 회전 베이스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최외곽 부분이 중간 부분의 측면에서 터닝할 수 있으면, 최외관 부분이 약간 더 길 수 있다.
이동 위치에서 최외곽 부분은 캐빈의 뒤에 위치하고 연장된 위치에서는 캐빈의 상단 위에 위치한다. 필요하다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다른 부분들이 접힌 상태, 가장 낮은 위치 그리고 이동 위치일 때 연장된 위치도 가능하도록 최외곽 부분이 설계된다. 상기 기초 부분은 이동 위치에서 중간 부분 아래에 위치하고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자체적으로 대략 U자를 뒤집어 놓은 위치로 위치될 수도 있다.
미치는 범위와 리프팅 능력의 관점에서 필요하다면, 차량이 지지 레그들을 구비한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2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두 이동 위치의 일반 원리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4는 작업 모듈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6 및 7은 구조용 차량 및 대기 위치에 있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9 및 10은 케이지의 배치와 취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사다리를 구비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이 섀시 구조물(1) 및 그 위에 배치된 캐빈(2)을 포함하며, 상기 캐빈은 섀시 구조물의 전방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캐빈(2)의 위치, 형상 및 크기는 이용 목적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도 1에서는 캐빈(2)을 구비한 종래의 섀시 구조물(1)을 나타내었다. 섀시 구조물(1)은 원하는 이용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박스 바디(box body)의 상단에 위치한다. 박스 바디는 차량 섀시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함께 섀시 구조물(1)을 이룬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바디워크(3)가 또한 박스 바디 둘레로 위치해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구조 임무를 위한 도구 및 장비를 포함한다. 바디워크(3) 부분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의 솔루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섀시 구조물(1)은 또한 휠과 함께 두 개 또는 다수 개의 휠 샤프트(4)를 포함한다. 차량이기도 한 이 장치는 기존 방식으로 모터 및 전동 장치(power transmission)를 구비한다. 섀시 구조물의 박스 바디는 도 7에 따른 지지 레그들을 공지된 방식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레그들은 넓은 범위와 큰 하중이 이용될 때 차량을 안정시키고 지지점을 제공해준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는 섀시 구조물(1)의 상단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기초 부분이라고도 지칭되는 제1 아암(6), 중간 부분이라고도 지칭되는 제2 아암(7), 최외곽 부분이라고도 지칭되는 제3 아암(8)의 세 부분을 포함한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는 회전 베이스(9)에 의해 수직 회전 축선(Y)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 베이스(9)는 기초 부분(6)이 수평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기초 부분(6)의 제2 단부가 상승 및 하강 가능한 방식으로 기초 부분(6)의 제1 단부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러그(lug) 및 조인트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기초 부분(6)의 수직 회전 운동은 통상적으로 약 90도이다.
기초 부분의 수직 회전 운동은 예를 들어 110 내지 120도로 더 광범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예를 들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이 놓인 교량 아래로 상기 차량의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미칠 수 있다.
회전 베이스(9)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360도 또는 무제한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는 도 1 및 2에 따른 두 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차량에 평행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중간 부분(7)이 수평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중간 부분(7)의 제2 단부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중간 부분(7)의 제1 단부가 기초 부분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기초 부분(6)과 중간 부분(7) 사이에는 필요한 러그 및 조인트 구조물들이 있다.
최외곽 부분(8)이 수평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최외곽 부분(8)의 제2 단부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최외곽 부분(8)의 제1 단부가 중간 부분(7)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최외곽 부분(8)과 중간 부분(7)의 사이에는 필요한 러그들과 조인트 구조물들이 있다. 동작을 위해, 예를 들어 압축 유압 유체로 작동하는 실린더들과 같은, 상이한 부분들 사이에 공지된 액추에이터들이 있다. 액추에이터의 배치는 물론 크기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변할 수 있으나, 이 분야에 전문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중간 부분(7)은 텔레스코픽 방식이며, 3 또는 4 개의 부분들과 2 또는 3 개의 이동 연장부들을 갖는다. 하나의 크기에 있어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가로방향(sideways) 범위가 17 내지 20 미터이고 작업 높이는 23 내지 27 미터이다. 컴팩트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는 강력하며,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을 견디는 능력(load-bearing capacity)는 20 톤-미터를 넘기도 한다.
도 1 및 2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이동 위치에 있는데, 이때 접힌 상태이자 가장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높이(H)는 캐빈(2)의 높이와 동일하며, 여기서 컴팩트한 구조가 얻어진다. 이동 위치로 접기 위한 목적에 있어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차량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위치에서, 그것이 도 2에 따른 전향 위치이건 도 1에 따른 후향 위치이건 간에, 캐빈(2)의 뒤에 위치하게 되도록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크기가 정해진다. 이러한 이동 위치에서 최외곽 부분(8) 및 기초 부분(6)은 모두 중간 부분(7)의 상단에 위치된다. 도 2에서, 최외곽 부분(8)은 수평한 중간 부분(7) 아래에,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접혀있다. 기초 부분(6)도 중간 부분(7) 아래에,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접혀있다. 그러나, 상호 관계에 있어서 최외곽 부분(8)과 기초 부분(6)은 회전 베이스(9)의 양 측면상에 주로 위치하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최외곽 부분(8)이 수평한 중간 부분(7)의 옆으로,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접힌다. 이러한 최외곽 부분(8)은 도 7 및 8에 도시되어 있다. 최외곽 부분(8)의 제1 단부 및 기초 부분(6)의 제2 단부는 회전 베이스(9)의 양 측면상에 위치한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상이한 용도들의 관점에서 그리고 이를 이동 위치로 배열하는 목적에 있어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캐빈(2)으로부터 회전 축선(Y)의 자유 거리(free distance)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최외곽 단부와 상기 회전 축선(Y) 사이의 거리(R)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와 거의 동일하도록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크기가 정해진다. 최외곽 단부라는 용어는 특히 중간 부분(7)의 제2 단부 또는 최외곽 부분(8)이 도 1 또는 도 8에서와 같이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최외곽 부분(8)의 제1 단부를 지칭한다. 또한 외측 단부라는 용어는 기초 부분(6)의 제2 단부 및 중간 부분(7)의 제1 단부를 지칭하는데, 이때 회전 축선(Y) 및 회전 베이스(9)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중간에 그리고 중간 부분(7)의 중심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동 위치일 때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총 길이는 2R이다. 이상과 같은 크기의 설정은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두 개의 상이한 이동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럼에도 여전히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캐빈(2) 뒤에 위치하며 차량의 총길이(L)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다른 부분들의 크기 설정의 예로서, 기초 부분(6)의 길이가 중간 부분(7) 길이의 절반이거나 그보다 작고 최외곽 부분(8)의 길이는 중간 부분(7) 길이의 절반보다 작다고 말할 수 있다. 도 7 또는 8의 최외곽 부분(8)은 약간 더 길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최외곽 부분(8)의 기능을 나타낸 것인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이동 위치에서 최외곽 부분(8)이 대기 위치, 즉 최외곽 부분(8)이 캐빈(2)의 상단에 있는 위치로 뻗을 수 있다. 따라서, 최외곽 부분(8)이 중간 부분(7)에 대해, 예를 들어 중간 부분(7)에 평행하게, 연장부로서 기능한다. 이동 위치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총 높이는 도 1에 도시된 높이(H)에 부합하거나 그보다 높다. 특히 구조용 차량을 참고하면, 최외곽 부분(8)의 상기 대기 위치가 최외곽 부분(8)을 먼저 회전시킬 필요없이 화재 현장에서 신속한 화재 진압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최외곽 부분(8)은 예를 들어 원격 조정 유압 건(hydraulic gun)과 같이 필요한 분사 제트(16)를 생성하는 공지의 분사 장치(11)를 포함한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는 화재 진압 마스트(mast)로 기능한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도 1 또는 2에 따른, 높이가 제한되는, 이동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최외곽 부분(8)이 셰이핑 부분(10; shape)을 구비하며 이것에 의해,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다른 부분들이 가장 낮은 위치(최대 높이 H 및 이동 위치)에 있더라도, 최외곽 부분(8)이 캐빈 위로 회전하고 캐빈(2) 상단으로 돈다. 셰이핑 부분(10)은 최외곽 부분(8)이 연장된 상태일 때 최외곽 부분(8)의 중간 부분(7)을 더 높게 그리고 캐빈(2)의 상단 상으로 상승시키는, 예를 들어 턴(turn), 앵글(angle), 커브(curve), 폴드(fold) 등이거나 심지어 중간 부분(7)과 최외곽 부분(8) 사이의 조인트 구조물이다. 도 6에 따른 직선형 최외곽 부분(8)이 사용될 때, 이동 위치에서 총 높이가 H 라면, 중간 부분(7)은 약간 상승되어 있어야 한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총 높이가 이보다 높다면, 최외곽 부분(8)을 밖으로 뻗게한 상태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낮은 이동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위로 상승되는 방식으로 화재 진압 임무가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지지 레그들(14)의 사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구비한 차량은 또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대체가능한(replaceable) 작업 모듈(12)을 포함한다. 도 5에 따른 리프팅 아이(lifting eye)와 같은 리프팅 부재(19)가 예컨대 중간 부분(7)의 단부에 부착될 수도 있고, 이런 리프팅 부재에 의해 화재 현장에서도, 예를 들어 밴드(band)에 의해, 다양한 하중들을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 모듈(12) 및 구조용 또는 작업 케이지는 동일 작업을 상이한 스테이지들로 실행하는 것에 관련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차량을 완전히 다른 작업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8, 9 또는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모듈(12)은 바디워크(3)의 전방 또는 후방 부분에 놓이고, 케이지(15)도 마찬가지이다.
도 5 및 6의 실시예는 구조용 차량에 특히 적합한데, 구조용 케이지(15)가 예를 들어 신속 클램핑에 의해 최외곽 부분(8)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외곽 부분(8)이 작업 모듈(12) 및/또는 케이지(15)를 위한 신속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다.
도 10에 따르면, 섀시 구조물(1) 및 바디워크(3)가 중간 부분(7)만큼 후방으로 미치지는 않는데, 여기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나머지 부분이 이동 위치에 있더라도 최외곽 부분(8)은 차량 뒤에 거의 수직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부분에 위치한 케이지가 차량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바디워크(3)가 더 짧은 모델이다. 바디워크(3)는 케이지(15)가 위치될 수 있는 그루브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작업 모듈(12)이나 케이지(15)를 역시 차량 후방에 있는 최외곽 부분(8)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케이지(15)가 차량에 가깝게, 그리고 차량 후방에서 아래로 놓일 수 있는데, 이때 케이지로부터 나오거나 들어가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케이지(15)가 도 8 및 9에 도시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이동 위치에 있는 최외곽 부분(8)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15)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측면에, 예를 들어 바디워크(3) 상단에 유지된 채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은 중간 부분(7)의 텔레스코픽 연장부(7a, 7b)가 뻗어나간 본 발명의 실시를 나타낸 것이다.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측면에 사다리가 부착되고, 그 제1 부분(17)이 기초 부분(6)에 부착되며, 제2 연장부(18)가 중간 부분(7)에, 연장부(18)의 텔레스코픽 부분(18a, 18b)이 중간 부분(7)의 텔레스코픽 연장부(7a, 7b)에 부착된다. 이 부분들(18, 18a, 18b)은 서로에 대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움직인다. 필요하다면, 구조용 케이지(15)가 최외곽 부분(8)에 부착된다. 사다리를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부분들이 약 180도 회전한다.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의 기본으로 상술한 종류의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용도에 따라 필요시 수정될 수 있는 공지의 제어 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실린더들을 원하는 방식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부 특정 적용을 설명하기 위해 앞서 개시한 예시 및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다양한 특성들이 동일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및 차량에 연결되면, 여러 상이한 임무를 수행할 준비가 된 융통성있는 기본 버전이 얻어진다. 제조의 목적에서 그리고 비용의 관점에서, 본 장치가 기본 기능들을 포함하고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다양한 임무를 가능케하는 어떤 기본 배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다른 장비들은 예를 들어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본 기재에서 차량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박스 바디 또는 바디워크 그리고 앞서 설명한 종류의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제작 준비된(ready-made) 차량 섀시에 기초한, 특히 바퀴상에서 움직이는 장치를 지칭한다. 본 장치는 또한 이런 목적으로 내장된 프레임들 및 구조물들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Claims (21)

  1. 캐빈(2)과 회전 베이스(9)를 구비한 섀시 구조물(1),
    상기 회전 베이스(9)에 의해 수직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섀시 구조물의 상단에 부착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1 아암(6),
    상기 제1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2 아암(7)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2 아암 아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2 아암(7),
    상기 제2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3 아암(8)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제2 아암의 아래로 또는 옆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되고, 상기 캐빈의 상단에 놓이게 되는 위치로 뻗어나갈 수 있으며, 구조 및 작업 케이지(15)를 구비할 수 있는 제3 아암(8)을 포함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이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이동 위치로 접기 위한 목적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평행하게 되는 전향 또는 후향의 두 개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전체적으로 상기 캐빈(2) 뒤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위치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높이가 상기 캐빈의 높이(H)보다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크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은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이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아암을 밖으로 뻗은 채로(outstretched) 상기 위치에 유지해 줄 수 있는 셰이핑 부분(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또는 작업 케이지가 상기 섀시 구조물의 상단(top) 상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아암이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아암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2)과 상기 회전 축선(Y) 사이의 자유 거리는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최외곽 단부와 상기 회전 축선(Y) 사이의 자유 거리(R)보다 크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9)는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아암(7)의 중심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6. 제2 항 또는 제3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대체가능한 작업 모듈(12)이 배치되고, 상기 작업 모듈은 신속 클램핑 수단(13)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아암(8)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이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조 또는 작업 케이지가 상기 차량의 뒤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차량의 뒤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8. 캐빈(2), 바디워크(3) 및 회전 베이스(9)를 구비한 섀시 구조물(1),
    상기 회전 베이스(9)에 의해 수직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섀시 구조물의 상단에 부착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1 아암(6),
    상기 제1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2 아암(7)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2 아암 아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2 아암(7),
    상기 제2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3 아암(8)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제2 아암의 아래로 또는 옆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되고, 상기 캐빈의 상단에 놓이게 되는 대기 위치로 뻗어나갈 수 있는 제3 아암(8)을 포함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이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이동 위치로 접기 위한 목적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평행하게 되는 전향 또는 후향의 두 개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전체적으로 상기 캐빈(2) 뒤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위치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높이가 상기 캐빈의 높이(H)보다 낮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크기가 설정되고,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대기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사 장치(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은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이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아암을 밖으로 뻗은 채로(outstretched) 상기 대기 위치에 유지해 줄 수 있는 셰이핑 부분(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워크는 신속 클램핑 수단(13)을 포함하는 상기 제3 아암에 부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교체가능한 작업 모듈(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
  11. 제8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 옆에 텔레스코픽 방식의 사다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
  12.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이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차량 뒤에 위치한 상기 제3 아암(8)에 케이지(15)가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아암(8)이 상기 차량의 뒤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구조용 차량.
  13. 캐빈(2)과 회전 베이스(9)를 구비한 섀시 구조물(1),
    상기 회전 베이스(9)에 의해 수직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섀시 구조물의 상단에 부착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1 아암(6),
    상기 제1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2 아암(7)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2 아암 아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2 아암(7),
    상기 제2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3 아암(8)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제2 아암의 아래로 또는 옆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되고, 상기 캐빈의 상단에 놓이게 되는 대기 위치로 뻗어나갈 수 있는 제3 아암(8)을 포함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이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이동 위치로 접기 위한 목적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평행하게 되는 전향 또는 후향의 두 개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전체적으로 상기 캐빈(2) 뒤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위치에서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높이가 상기 캐빈의 높이(H)보다 낮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의 크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이 그 단부에 작업 모듈, 분사 장치(11) 또는 구조 또는 작업 케이지(15)를 위한 신속 클램핑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
  15.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수직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베이스(9),
    상기 회전 베이스에 부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1 아암(6),
    상기 제1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2 아암(7)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2 아암 아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된 제2 아암(7),
    상기 제2 아암의 단부에 부착된 제3 아암(8)으로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이동 위치에서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제2 아암의 아래로 또는 옆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아암(7)에 대한 연장부로서 기능하게 되는 위치로 뻗어나갈 수 있는 제3 아암(8)을 포함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암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이고,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를 이동 위치로 접기 위한 목적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상기 수직 회전 축선(Y)을 중심으로 서로 180도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상이한 이동 위치로 회전하도록 전체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이 그 단부에 작업 모듈(12), 분사 장치(11) 또는 구조 또는 작업 케이지(15)를 위한 신속 클램핑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17.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베이스(9)는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5)가 상기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아암(7)의 중심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18. 제15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은,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제2 아암에 대한 연장부로서 기능하게 되는 위치로 뻗어 나갔을 때 상기 제3 아암을 상기 제2 아암보다 높이 상승시킬 수 있는 셰이핑 부분(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19. 제15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는 차량의 섀시 구조물(1) 상단 상에, 상기 섀시 구조물에 포함된 캐빈(2)에 대해 전체적으로 뒤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의 높이가 상기 캐빈의 높이(H)보다 낮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캐빈의 상단 상에 놓이게 되는 위치로 밖으로 뻗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21. 제 15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가 차량의 섀시 구조물(1)의 상단 상에서, 상기 섀시 구조물에 포함된 캐빈(2) 뒤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아암은 상기 캐빈의 상단 상에 놓이게 되는 위치로 뻗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KR1020107004108A 2007-07-24 2007-07-24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KR20100051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07/050435 WO2009027575A1 (en) 2007-07-24 2007-07-24 A vehicle and a lifting arm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682A true KR20100051682A (ko) 2010-05-17

Family

ID=4038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108A KR20100051682A (ko) 2007-07-24 2007-07-24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40016A1 (ko)
EP (1) EP2185459B1 (ko)
JP (1) JP2010534176A (ko)
KR (1) KR20100051682A (ko)
CN (1) CN101801835A (ko)
PL (1) PL2185459T3 (ko)
WO (1) WO2009027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0083B (zh) * 2007-12-27 2011-08-03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车载式辐射成像系统的新型折臂机构
CN102029033B (zh) * 2009-09-28 2012-07-18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折叠臂架及具有该臂架的举高消防车
CN101695596B (zh) * 2009-11-04 2011-08-24 盛富春 一种高空清障侦察救援灭火消防车
CN102826493B (zh) * 2012-09-13 2014-10-29 长沙中联消防机械有限公司 举升臂架及具有该举升臂架的举高喷射消防车
CN103072924A (zh) * 2012-12-19 2013-05-01 江苏安德信超导加速器科技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的搬家、救灾机器人
CN103213591A (zh) * 2012-12-26 2013-07-24 金鹰重型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车载作业装置
ES2569259T3 (es) * 2013-04-10 2016-05-09 Iveco Magirus Ag Sistema de elevación aéreo, en particular sistema de escalera giratoria
CN105281009B (zh) * 2015-11-26 2018-04-10 安徽恒诺机电科技有限公司 液压翻转举升机构
CN106080356B (zh) * 2016-08-27 2018-08-24 武晓丹 一种组合型电力抢修车
CN106226335B (zh) * 2016-08-30 2023-11-21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用于自行走载车的探测器舱结构及集装箱/车辆检查设备
CN107596582A (zh) * 2017-09-27 2018-01-19 裘尧云 拖拽飞升式消防救援垂直升降装置
US10442668B1 (en) 2018-04-23 2019-10-15 Oshkosh Corporation Mid-mount fire apparatus
CN109250148A (zh) * 2018-08-14 2019-01-22 安徽信息工程学院 采用麦克纳姆轮的全向飞机地面工作平台
KR102309816B1 (ko) * 2019-05-09 2021-10-12 양건이 인명구조용 레더카
US11148915B2 (en) 2019-09-19 2021-10-19 Caterpillar Inc. Boom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CN113368441A (zh) * 2021-06-28 2021-09-10 徐工消防安全装备有限公司 举高消防车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4720A (en) * 1961-07-03 1965-09-07 Telsta Corp Lifting equipment
US3196979A (en) * 1961-08-22 1965-07-27 Eaton Metal Products Company Workman's cage or aerial basket
US3252542A (en) * 1963-12-13 1966-05-24 Walter E Thornton-Trump Articulated boom
DE1658639B1 (de) * 1967-09-01 1971-01-21 Wumag Niederrhein Waggon Und M Auf einem Fahrzeug angeordnete Einrichtung zum Besichtigen von Bruecken und dergleichen Tragwerken
US3437175A (en) * 1968-01-15 1969-04-08 Telsta Corp Lifting equipment
GB1248245A (en) * 1968-02-23 1971-09-29 Simon Eng Dudley Ltd A mobile machine with an elevatable load carrier
US3498474A (en) * 1968-05-27 1970-03-03 Hunt Pierce Corp Extensible boom structure
US3596976A (en) * 1969-05-09 1971-08-03 Gen Cable Corp Vehicle construction for use with aerial lift
DE2116842A1 (de) * 1970-04-08 1971-10-21 J Tranchero Fahrbarer, zum Aufbau auf Kraftfahrzeuge bestimmter Kran mit drei hydraulisch gesteuerten Hebestufen
US3637043A (en) * 1970-06-15 1972-01-25 Mccabe Powers Body Co Articulated aerial device
US3637044A (en) * 1970-06-26 1972-01-25 Gen Cable Corp Lifting equipment
US3791484A (en) * 1971-09-15 1974-02-12 J Harrison Mobile platform carrying machine
US3842933A (en) * 1971-05-27 1974-10-22 A Clark Aerial platform
GB1337154A (en) * 1971-08-13 1973-11-14 Simon Eng Dudley Ltd Access equipment
US3767007A (en) * 1971-12-10 1973-10-23 Ssp Truck Equipment Inc Extensible ladder assembly and aerial basket therefor
US3834488A (en) * 1972-11-06 1974-09-10 J Grove Aerial platform with articulating jib
US3809180A (en) * 1973-05-25 1974-05-07 Fulton Industries Aerial platform apparatus having pipe grabs
US3963095A (en) * 1974-12-11 1976-06-15 Cam Industries, Inc. Auxiliary extension platform assembly support frame drive means for an aerial ladder assembly
US4047593A (en) * 1975-08-11 1977-09-13 Teco, Inc. Actuating system for transportable articulated booms having raisable platforms
US4044902A (en) * 1975-09-22 1977-08-30 General Cable Corporation Aerial lifting equipment
JPS591680B2 (ja) * 1979-02-01 1984-01-13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る作業台格納装置
JPS6011912Y2 (ja) * 1980-02-16 1985-04-18 株式会社ユニツク 高所作業装置付クレ−ン
US4602462A (en) * 1984-11-16 1986-07-29 Altec Industries, Inc. Boom articulating mechanism for aerial devices
JPS61257900A (ja) * 1985-05-10 1986-11-15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屈折式高所作業車
JPS6265899A (ja) * 1985-09-13 1987-03-25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JPH0520341Y2 (ko) * 1986-11-13 1993-05-27
JPS63151499U (ko) * 1987-03-23 1988-10-05
US4775029A (en) * 1987-10-08 1988-10-04 Jlg Industries, Inc. Collapsible tower boom lift
US4946003A (en) * 1988-12-07 1990-08-07 Gk Technologies, Inc. Mobile and aerial lift having offset boom support
US5522584A (en) * 1993-09-15 1996-06-04 Mobile Too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placement of aerial cable with elevationally adjustable bullwheel assembly and movable worker's platform
JPH0977486A (ja) * 1995-09-12 1997-03-25 Aichi Corp 作業用アーム
DE29610630U1 (de) * 1996-06-17 1997-11-13 BISON stematec Maschinenbau- und Hubarbeitsbühnen Produktionsgesellschaft mbH, 02708 Löbau Fahrbare Hubarbeitsbühne
JPH1059694A (ja) * 1996-08-23 1998-03-03 Shin Meiwa Ind Co Ltd トラック搭載型高所作業装置
DE20202256U1 (de) * 2002-02-14 2002-06-06 Hematec Arbeitsbühnen GmbH, 01127 Dresden Lkw-Arbeitsbühne
US20060086566A1 (en) * 2004-07-29 2006-04-27 Oshkosh Truck Corporation Boom assembly
US7748496B2 (en) * 2005-02-10 2010-07-06 Altec Industries, Inc. Aerial work platform assembly using composite materials
US20100200328A1 (en) * 2009-02-06 2010-08-12 Conception Gsr Inc. Hydraulic boom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185459T3 (pl) 2014-11-28
EP2185459A1 (en) 2010-05-19
US20100140016A1 (en) 2010-06-10
CN101801835A (zh) 2010-08-11
EP2185459B1 (en) 2014-06-11
JP2010534176A (ja) 2010-11-04
EP2185459A4 (en) 2012-07-11
WO2009027575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1682A (ko) 차량 및 리프팅 아암 어셈블리
JP7398450B2 (ja) リフト装置の水平調整システム
JP6817326B2 (ja) 昇降装置、昇降装置用平衡システム、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US10989332B2 (en) Internally supported power track
JP2009007164A (ja) 可変位置カウンタウエイトを装備している自走式リフトクレーン
US20030161708A1 (en) Triangulated mobile gantry crane
DE69813927T2 (de) Elektrohydraulischerselbstfahrender Kran mit Batteriebetrieb
US4363409A (en)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US11873197B2 (en) Large crane with boom
US10081288B1 (en) Emergency utility vehicle with high-clearance folding outriggers
JP6257500B2 (ja) フロント装置の移送台
AU2022250082B2 (en) Tire handler having tire lay flat capability
JP5569557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JP2018118850A (ja) クレーン装置
WO2023105982A1 (ja) クレーン
FI118733B (fi) Nostovarsistolla varustettu ajoneuvo
JP2023150116A (ja) ブームスプレーヤ
JP6233364B2 (ja) 伸縮ビーム、およびシリンダ装置の固定部材
KR200354660Y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가변장치
JP6324046B2 (ja) 作業機
JP2006225054A (ja) 高所作業車
JP3148953U (ja) 高所作業車
JP3203691U (ja) クレーン付き高所作業車
JPH0333638B2 (ko)
JPH04256693A (ja) 重量物荷揚げ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