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816B1 - 인명구조용 레더카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레더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16B1
KR102309816B1 KR1020190054089A KR20190054089A KR102309816B1 KR 102309816 B1 KR102309816 B1 KR 102309816B1 KR 1020190054089 A KR1020190054089 A KR 1020190054089A KR 20190054089 A KR20190054089 A KR 20190054089A KR 102309816 B1 KR102309816 B1 KR 10230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vehicle body
base frame
rai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533A (ko
Inventor
양건이
Original Assignee
양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이 filed Critical 양건이
Priority to KR102019005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1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지지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신축 사다리부재를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하더라도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차체의 유동 및 전복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섀시프레임의 전방 상부에는 캐빈이 설치되고 캐빈의 후방으로 노출된 섀시프레임에는 베이스프레임이 설치되는 차체와,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 가능한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가지는 인명구조용 레더카에 있어서, 인명구조용 레더카는 베이스프레임 탑재되며 베이스프레임과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안전장치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되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해 차체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확장부; 및 고소작업 시 확장부를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차체 주행 시 확장부를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차체의 폭 방향으로 확장부가 형성시키는 지지점 사이 거리는 베이스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한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레더카{LIFESAVING LADDER CAR}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레더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 사다리부재가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되더라도 차체의 유동 및 전복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인명구조용 레더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량 중 고소 사다리차는 주로 고층건물과 같은 구조물에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고소 사다리차는 기동성 확보를 위한 차체와,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축 사다리부재와,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아우트리거(outrigger)를 포함한다.
전술한 고소 사다리차는 아우트리거를 이용해 차체를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킨 후, 신축 사다리부재를 원하는 높이로 전개시켜 고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 고층건물(30층~50층)이나 초고층건물(50층 이상 또는 높이 200미터 이상) 등이 증가하면서 고소 사다리차의 신축 사다리부재도 그 길이(높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신축 사다리부재의 길이가 증가하면 신축 사다리부재의 무게중심은 아우트리거 외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고소 사다리차는 전복될 위험이 있다.
즉, 고소작업 시 중량물의 하중을 포함한 신축 사다리부재의 무게중심은 아우트리거들의 지지점들을 연결하는 구획(이하 "지지면적"이라 한다)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고소 사다리차는 아우트리거들이 형성하는 지지면적이 협소하기 때문에 신축 사다리부재를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 시 풍하중(wind load)에 의해 차체가 유동되거나 또는 무게중심이 이동되면서 차체가 전복되는 문제점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고소 사다리차의 전복 사고는 인명피해 및 많은 물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어 고소 사다리차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신축 사다리부재의 길이 증가에 따른 새로운 안전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7338 (등록일자: 2018. 01. 04.)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0656 (등록일자: 2013. 01. 31.)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1991 (등록일자: 2013. 04. 02.)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7407 (등록일자: 2014. 06. 30.) 000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9028 (등록일자: 2014. 10. 31.)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지지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신축 사다리부재를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하더라도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차체의 유동 및 전복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섀시프레임의 전방 상부에는 캐빈이 설치되고 캐빈의 후방으로 노출된 섀시프레임에는 베이스프레임이 설치되는 차체와,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 가능한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가지는 인명구조용 레더카에 있어서, 인명구조용 레더카는 베이스프레임 탑재되며 베이스프레임과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안전장치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되어 차체의 폭 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해 차체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확장부; 및 고소작업 시 확장부를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차체 주행 시 확장부를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차체의 폭 방향으로 확장부가 형성시키는 지지점 사이 거리는 베이스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는, 확장부가 탑재되는 선회테이블; 및 선회테이블에 탑재된 확장부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게 이동시키는 제 1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제 1 이송 어셈블리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 1 기저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가동레일; 및 제 1 기저레일을 따라 제 1 가동레일을 이동시키는 제 1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되, 제 1 기저레일은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되, 제 1 기저레일 및 제 1 가동레일은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에서부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선회테이블은, 한 쌍의 제 1 가동레일들의 중앙부 상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가동레일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동력전달수단은, 베이스프레임의 후방과 이어지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 사이에 고정되는 제 1 구동모터; 제 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구동스프로킷; 베이스프레임의 전방과 이어지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 사이에 고정된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종동스프로킷; 및 제 1 구동스프로킷과 제 1 종동스프로킷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 1 체인;을 포함하되, 제 1 체인의 어느 한 지점은 한 쌍의 제 1 가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바아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부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잭 실린더; 및 신축 사다리조립체가 탑재되며 고소작업 시 잭 실린더들을 차체이 폭 방향 측으로 안내하고 차체 주행 시 잭 실린더들을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이송 어셈블리; 포함하며, 제 2 이송 어셈블리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기저레일;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 2 기저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가동레일; 및 제 2 기저레일을 따라 제 2 가동레일을 이동시키는 제 2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제 2 기저레일의 중앙부는 선회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되, 제 2 기저레일 및 제 2 가동레일은 제 1 기저레일 및 제 1 가동레일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제 2 가동레일의 전방 측 상부면 상에는 선회 사다리조립체의 저면부가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동력전달수단은, 한 쌍의 제 2 기저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패널의 후방과 이어지는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 2 구동모터; 제 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 구동스프로킷; 지지패널의 전방과 이어지는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종동스프로킷; 및 제 2 구동스프로킷과 제 2 종동스프로킷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 2 체인;을 포함하되, 제 2 체인의 어느 한 지점은 한 쌍의 제 2 가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지지바아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잭 실린더들은,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이 장착된 로드를 지면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게 제 2 가동레일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저레일의 전방 양측에는 차체 주행 시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된 확장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한 판 형상의 가드가 베이스프레임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사다리부재 중 상기 사다리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의 롤러가 접촉해 주행하는 상부면은 볼록한 곡률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략 베이스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확장부를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시켜 차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 사다리차에 비하여 지지면적을 현저하게 확장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하더라도 차체의 유동 및 전복을 막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레더카는 대차의 롤러가 접촉해 주행하는 각각의 사다리부재의 상부면을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사다리부재들은 흔들림 없이 신축될 수 있으며, 또한 신축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레더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발명에 따른 를 바라 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기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지지면적 확장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는 확장부가 베이스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확장부가 가드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확장부가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레더카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레더카(100)는 차체(110)와,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가 가능하는 신축 사다리조립체(180) 및 고소작업 시 차체(10)가 유동 및 전복되지 않도록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소작업은 신축 사다리조립체(180)의 사다리부재(182)들이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된 상태에서의 작업을 의미한다.
먼저, 차체(110)는 통상의 트럭과 같은 화물차량으로,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섀시프레임(112; chassis frame)의 전방 상부에는 승객 룸을 구성하는 캐빈(114; cabin)이 설치된다.
그리고 캐빈(114)의 후방으로 노출된 섀시프레임(112)에는 차체(110)의 주행에 간섭되지 않게 평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16)이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16)에는 안전장치(120) 및 신축 사다리조립체(180)가 탑재되며, 베이스프레임(116)은 안전장치(120)를 매개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와 연결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116)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는 통상의 아우트리거(118; outrigger)들이 설치된다. 이때 아우트리거(118)들은 후술하는 안전장치(120)의 확장부(150)의 선회 작동에 간섭되지 않을 높이로 설치된다.
아우트리거(118)는 종래 고소 사다리차에 설치된 아우트리거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아우트리거(118)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안전장치(120)는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시키되,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어느 하나의 지지점과 또 다른 지지점의 거리를 대략 베이스프레임(116)의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시켜 인명구조용 레더카(100)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안전장치(120)는 종래 고소 사다리차에 설치된 아우트리거들이 형성하는 폭 방향 지지점 간의 거리보다 현저하게 지지점 간의 거리를 늘려 지지면적을 확장시킴으로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의 사다리부재(182)들이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되더라도 차체(110)의 유동 및 전복을 막을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안정장치(120)는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선회되어 차체(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확장부(150)와, 고소작업 시 확장부(150)를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차체(110) 주행 시 확장부(150)를 베이스프레임(116) 내로 수용시키는 작동부(121)를 포함한다.
작동부(121)는 확장부(150)가 탑재되는 선회테이블(140)과, 선회테이블(140)에 탑재된 확장부(150)가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게 선회테이블(140)을 이동시키는 제 1 이송 어셈블리(122)를 포함한다.
제 1 이송 어셈블리(122)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124)과,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 1 기저레일(12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가동레일(126), 및 제 1 기저레일(124)을 따라 제 1 가동레일(126)을 이동시키는 제 1 동력전달수단(128)을 포함한다.
제 1 기저레일(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6)의 상부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되, 제 1 기저레일(124)과 제 1 가동레일(126)은 베이스프레임(116)의 전방에서부터 베이스프레임(116)의 후방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도 1참조).
즉, 제 1 기저레일(12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가동레일(126)은 베이스프레임(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기저레일(124)과 제 1 가동레일(126)의 연결 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제 1 가동레일(126)이 제 1 기저레일(124)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제 1 기저레일(12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면 제 1 기저레일(124)과 제 1 가동레일(126)은 어떠한 연결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 1 동력전달수단(128)은 제 1 가동레일(126)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기저레일(124)과 제 1 가동레일(126) 사이 배치된다.
제 1 동력전달수단(128)은 베이스프레임(116)의 후방과 이어지는 베이스프레임(116)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124) 사이에 고정되는 제 1 구동모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동력전달수단(128)은 제 1 구동모터(13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구동스프로킷(132)과, 베이스프레임(116)의 전방과 이어지는 베이스프레임(116)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124) 사이에 고정된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종동스프로킷(134), 및 제 1 구동스프로킷(132)과 제 1 종동스프로킷(134)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 1 체인(136)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체인(136)의 어느 한 지점은 한 쌍의 제 1 가동레일(126) 사이를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바아(138)에 결합되되, 바람직하게는 대략 제 1 가동레일(126)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 1 지지바아(138)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체인(136)과 제 1 지지바아(138)는 일례로 용접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핀(pin)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선회테이블(140)은 한 쌍의 제 1 가동레일(126)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회테이블(140)은 한 쌍의 제 1 가동레일(126)들의 중앙부 상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1 가동레일(126)에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선회테이블(140)에는 확장부(150)가 탑재된다.
여기서, 선회테이블(140)은 종래 고소 사다리차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선회테이블과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선회테이블(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확장부(150)는 다수의 잭 실린더(174)와, 신축 사다리조립체(180)가 탑재되며 고소작업 시 잭 실린더(174)들을 차체(110)이 폭 방향 측으로 안내하고 차체(110) 주행 시 잭 실린더(174)들을 베이스프레임(116) 내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이송 어셈블리(152)를 포함한다.
제 2 이송 어셈블리(152)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기저레일(154)과,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 2 기저레일(15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가동레일(156), 및 제 2 기저레일(154)을 따라 제 2 가동레일(156)을 이동시키는 제 2 동력전달수단(158)을 포함한다.
제 2 기저레일(154)의 중앙부는 선회테이블(140)의 작동에 의해 선회될 수 있도록 선회테이블(140)에 고정 설치되되, 제 2 기저레일(154) 및 제 2 가동레일(156)은 제 1 기저레일(124) 및 제 1 가동레일(126)의 연장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가동레일(156)의 전방 측 상부면 상에는 선회 사다리조립체(180)의 저면부가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158)가 설치되는데, 지지체(158)는 한 쌍의 제 2 가동레일(156)들의 일단부 상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제 2 가동레일(156)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제 2 기저레일(154)과 제 2 가동레일(156)의 연결 관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제 2 가동레일(156)이 제 2 기저레일(154)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제 2 기저레일(15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면 제 2 기저레일(154)과 제 2 가동레일(156)은 어떠한 연결 관계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 2 동력전달수단(160)은 제 2 가동레일(156)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기저레일(154)과 제 2 가동레일(156)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동력전달수단(160)은 한 쌍의 제 2 기저레일(154)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패널(162)의 후방과 이어지는 지지패널(162)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 2 구동모터(164)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동력전달수단(160)은 제 2 구동모터(164)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 구동스프로킷(166)과, 지지패널(162)의 전방과 이어지는 지지패널(162)의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종동스프로킷(168), 및 제 2 구동스프로킷(168)과 제 2 종동스프로킷(168)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 2 체인(17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제 2 체인(170)의 한 지점은 한 쌍의 제 2 가동레일(156)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지지바아(172)에 결합되되, 바람직하게는 대략 제 2 가동레일(156)의 중앙부를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지지바아(17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체인(170)과 제 2 지지바아(172)는 일례로 용접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핀(pin)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잭 실린더(174)들은 고소작업 시 제 2 이송 어셈블리(152)를 따라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선회되어 지지점을 형성한다.
잭 실린더(17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동레일(156)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로드(176)를 지면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게 각각 제 2 가동레일(156)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잭 실린더(174)의 로드(176)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178)이 부착되며, 잭 실린더(174)들은 고소작업 시 지지판(178)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로드(176)를 신장시켜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차체(110)를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시킨다.
한편, 제 1 기저레일(124)의 전방 양측에는 차체(110) 주행 시 선회테이블(140)에 탑재된 확장부(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한 판 형상의 가드(179)가 베이스프레임(116)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즉, 차체(110) 주행 시 베이스프레임(116) 내로 수용되는 확장부(150)의 전방 측은 작동부(121)의 작동에 의해 가드(179) 사이로 삽입되는데, 가드(179)는 차체(110)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확장부(150)의 회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안전장치(12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고소작업 시 안전장치(120)를 이용해 차체(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소작업을 수행할 위치에 차체(110)를 정지시킨 후 아우트리거(118)들을 작동시켜 차체(110)를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차체(110)가 아우트리거(118)들에 의해 지지되면,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차체(110)의 지지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서, 우선 제 1 동력전달수단(128)의 제 1 구동모터(130)를 작동시켜 가드(179) 사이로 삽입된 제 1 가동레일(126)의 전방 측 및 확장부(150)의 전방 측을 가드(179)의 외부로 이동시킨다(도 6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가동레일(126)의 전방 측 및 확장부(150)의 전방 측이 가드(179)의 외부로 이동되면, 다음으로 선회테이블(140)을 작동시켜 확장부(150)의 전방 및 후방 측으로 차체(110)의 폭 방향과 일치되게 선회시킨 후(도 7 참조), 제 1 구동모터(130)를 작동시켜 제 1 가동레일(126)의 전방 측을 가드(179) 사이에 삽입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부(150)의 전방 및 후방 측이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선회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잭 실린더(174)들은 지지판(178)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로드(176)를 신장시켜 차체(110)를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킨다(도 7 참조).
이렇게 아우트리거(118)들과 확장부(150)의 잭 실린더(174)들에 의해 차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면적은 종래 고소 사다리차에 비하여 현전하게 확장되기 때문에 신축 사다리조립체(180)를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되더라도 차체(110)의 유동 및 전복을 막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소작업 시 제 2 동력전달수단(160)의 제 2 구동모터(162)를 작동시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확장부(150)를 베이스프레임(116) 내로의 수용은 전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수행된다(도 5참조).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신축 사다리조립체(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가동레일(156)의 전방 측 상부면 설치된 지지체(158)가 상하 방향으로 기복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작은 사다리부재(182)가 상대적으로 큰 사다리부재(182)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며, 각각의 사다리부재(182)는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개되면서 그 길이가 길어지거나 접히면서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신축 사다리조립체(18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기복 실린더(18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기복되고, 또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에는 전개된 사다리부재(182)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186)가 마련된다.
여기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와 기복 실린더(184) 및 대차(186)의 연결 관계는 당업계에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사다리부재(182)는 종래 사다리차의 신축 사다리부재와 동등한 강도를 가지면서 풍하중을 덜 받을 수 있게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각각의 사다리부재(182)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제 10-0875145 호 및 특허등록 제 10-0875146 호에 개시된 붐대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각각의 사다리부재(182) 중 대차(182)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접촉해 주행하는 상부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곡률(188)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렇게 각각의 사다리부재(182)의 상부면이 곡률(188)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사다리부재(182)들은 흔들림 없이 신축될 수 있으며, 또한 신축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신축 사다리조립체(180)는 대차(186)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거나 갑작스런 하강 또는 추락 등의 사고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대차이동장치(190) 및 보조이동장치(192)가 제공된다.
여기서, 대차이동장치(190) 및 보조이동장치(192)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제 10-1250920 호에 개시된 대차이동장치 및 보조이동장치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레더카(100)는 대략 베이스프레임(116)의 길이에 대응하는 확장부(150)를 차체(110)의 폭 방향으로 선회시켜 차체(110)를 지지하기 때문에 종래 사다리차에 비하여 지지면적을 현저하게 확장시킬 수 있어 신축 사다리조립체(180)를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하더라도 차체(110)의 유동 및 전복을 막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레더카(100)는 대차(182)의 롤러가 접촉해 주행하는 각각의 사다리부재(182)의 상부면을 볼록한 곡률(188)을 가지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사다리부재(182)들은 흔들림 없이 신축될 수 있으며, 또한 신축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인명구조용 레더카 110 : 차체
116 : 베이스프레임 118 : 아우트리거
120 : 안전장치 121 : 작동부
122 : 제 1 이송 어셈블리 124 : 제 1 기저레일
126 : 제 1 가동레일 128 : 제 1 동력전달수단
140 : 선회테이블 150 : 확장부
152 : 제 2 이송 어셈블리 154 : 제 2 기저레일
156 : 제 2 가동레일 160 : 제 2 동력전달수단
174 : 잭 실린더 180 : 신축 사다리조립체

Claims (8)

  1. 섀시프레임의 전방 상부에는 캐빈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후방으로 노출된 상기 섀시프레임에는 베이스프레임이 설치되는 차체와, 30층 이상의 높이로 전개 가능한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가지는 인명구조용 레더카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용 레더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탑재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연결시키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되어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지지점을 형성해 상기 차체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확장부; 그리고 고소작업 시 상기 확장부를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차체 주행 시 상기 확장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확장부가 형성시키는 상기 지지점 사이 거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확장부가 탑재되는 선회테이블; 그리고 상기 선회테이블에 탑재된 상기 확장부가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게 이동시키는 제 1 이송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 어셈블리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기저레일;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저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가동레일; 그리고 상기 제 1 기저레일을 따라 상기 제 1 가동레일을 이동시키는 제 1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저레일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 중앙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 1 기저레일 및 상기 제 1 가동레일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에서부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선회테이블은 한 쌍의 상기 제 1 가동레일들의 중앙부 상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가동레일에 설치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과 이어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한 쌍의 상기 제 1 기저레일 사이에 고정되는 제 1 구동모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구동스프로킷;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과 이어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면에 고정되되 한 쌍의 상기 제 1 기저레일 사이에 고정된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1 종동스프로킷; 및
    상기 제 1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 1 종동스프로킷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 1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체인의 어느 한 지점은 한 쌍의 상기 제 1 가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바아에 결합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지지점을 형성하는 다수의 잭 실린더; 및
    상기 신축 사다리조립체가 탑재되며 고소작업 시 상기 잭 실린더들을 상기 차체이 폭 방향 측으로 안내하고 상기 차체 주행 시 상기 잭 실린더들을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이송 어셈블리;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송 어셈블리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기저레일;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저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가동레일; 및
    상기 제 2 기저레일을 따라 상기 제 2 가동레일을 이동시키는 제 2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저레일의 중앙부는 상기 선회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 2 기저레일 및 상기 제 2 가동레일은 상기 제 1 기저레일 및 상기 제 1 가동레일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동레일의 전방 측 상부면 상에는 상기 신축 사다리조립체의 저면부가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가 설치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은,
    한 쌍의 상기 제 2 기저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패널의 후방과 이어지는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제 2 구동모터;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 구동스프로킷;
    상기 지지패널의 전방과 이어지는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고정된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 2 종동스프로킷; 및
    상기 제 2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 2 종동스프로킷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제 2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체인의 어느 한 지점은 한 쌍의 상기 제 2 가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지지바아에 결합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잭 실린더들은,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판이 장착된 로드를 지면 측으로 신장시킬 수 있게 상기 제 2 가동레일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저레일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차체 주행 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로 수용된 상기 확장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직한 판 형상의 가드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사다리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사다리부재 중 상기 사다리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의 롤러가 접촉해 주행하는 상부면은 볼록한 곡률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인명구조용 레더카.
KR1020190054089A 2019-05-09 2019-05-09 인명구조용 레더카 KR10230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89A KR102309816B1 (ko) 2019-05-09 2019-05-09 인명구조용 레더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89A KR102309816B1 (ko) 2019-05-09 2019-05-09 인명구조용 레더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33A KR20200129533A (ko) 2020-11-18
KR102309816B1 true KR102309816B1 (ko) 2021-10-12

Family

ID=7369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89A KR102309816B1 (ko) 2019-05-09 2019-05-09 인명구조용 레더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0016A1 (en) 2007-07-24 2010-06-10 Esko Raappana Vehicle and a lifting arm assembly
KR101374540B1 (ko) * 2012-11-08 2014-03-19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6673A (ja) * 1997-03-07 1998-11-17 Morita:Kk 梯子車
KR100875146B1 (ko) * 2007-05-14 2008-12-22 양건이 다단 고가사다리차
KR101054379B1 (ko) * 2008-10-08 2011-08-05 주식회사 대진정공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KR101230656B1 (ko) 2011-07-04 2013-02-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KR101251991B1 (ko) 2011-07-04 2013-04-12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KR101417407B1 (ko) 2012-11-15 2014-08-06 경기도 건물 저층의 인명구조용 사다리 차량
KR101459028B1 (ko) 2014-04-25 2014-11-07 이호 아웃트리거를 장착한 크레인의 전도 방지 장치
KR101758202B1 (ko) * 2015-10-26 2017-07-14 주식회사 이스온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구조
KR101817338B1 (ko) 2016-12-30 2018-01-10 김영훈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0016A1 (en) 2007-07-24 2010-06-10 Esko Raappana Vehicle and a lifting arm assembly
KR101374540B1 (ko) * 2012-11-08 2014-03-19 양건이 고가 사다리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33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0862A1 (ja) 物品保管設備
JP5133674B2 (ja) 転倒防止装置
KR101762771B1 (ko)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KR102309816B1 (ko) 인명구조용 레더카
JP5161719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1374540B1 (ko) 고가 사다리차
ES2800171T3 (es) Módulo de acoplamiento para formar una interfaz entre la cabina de un puente de embarque de pasajeros y un avión
KR102174081B1 (ko) 산업용 차량의 아웃트리거 구동장치
CN113979385A (zh) 举升车
JP6610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JP2015116909A (ja) 車輌運搬用トラック
KR100556620B1 (ko) 굴절붐식 고소작업차
JP2004283452A (ja) 梯子車
EA008290B1 (ru) Поворотно-выдвижная лестница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KR100277432B1 (ko) 사다리 소방차
KR20210002871A (ko) 보조바퀴를 구비한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US7077617B2 (en) Vehicle equipped with lift device and lift device
JP2020168992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H0811621A (ja) 高所作業車
KR20150124625A (ko) 궤도타입 고소작업차량
RU2245819C1 (ru) Бортовое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олета
CN110562279B (zh) 一种跨座式单轨车辆逃生机构
CN115849258A (zh) 一种用于单轨跨坐式作业车的平台设备及其作业车
JP7262264B2 (ja) 梯子車
KR0134263Y1 (ko) 짐 운반용 사다리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