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031A -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031A
KR20090018031A KR1020087025782A KR20087025782A KR20090018031A KR 20090018031 A KR20090018031 A KR 20090018031A KR 1020087025782 A KR1020087025782 A KR 1020087025782A KR 20087025782 A KR20087025782 A KR 20087025782A KR 20090018031 A KR20090018031 A KR 2009001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va leaf
leaf extract
extract
guava
extrac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841B1 (ko
Inventor
마사키 요시가와
타츠유키 구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Publication of KR200900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 후 장기 보존해도 품질이나 기능성의 저하가 적은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아바 엽을 90 ~ 98℃의 열수로 추출하고, 얻어진 엑기스를, 브릭스 당도 20 ~ 30의 범위가 될 때까지 농축하고,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어진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GUAVA LEAF EXTRACT POWD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보존 안정성이 좋고, 물 또는 열수에 용이하게 용해되며, 용해 후 기능성이 뛰어나고, 또한 품질도 안정한 구아바(guava)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고혈압, 당뇨병, 뇌경색, 심장병 등의 생활 습관병의 증상이나 징조가 연배층 뿐만 아니라, 젊은 층에게까지 확대되는 것이 나타나고 있어, 심각한 문제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많은 경우, 이러한 생활 습관병은 비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어 그 예방책으로서, 식사 내용의 개선이나 운동에 의한 비만의 해소 또는 방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식사 제한의 대책은 섭취 칼로리를 제한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는 식사의 양이나 질의 변화를 수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어, 반드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이와 달리, 섭취한 음식이 생체내에서 대사되어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저지 또는 지연할 수가 있으면, 고통을 수반하는 식사 제한을 행하지 않아도 칼로리의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부터, 에너지원인 전분의 가수분해 효소인 α-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이 다이어트에 유효하다라고 지적되고 있는 것에 감안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구아바 잎으로부터 얻어지는 엑기스가 뛰어난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이 밝혀져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
구아바는, 열대 미국 원산의 도금양과에 속하는 식물로, 열대 각지, 대만, 오키나와 등에서 재배되며, 그 과즙은 음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구아바 잎의 추출액에는, 폴리페놀계 물질, 타닌계 물질 이외에, 사포닌, 에라그산 배당체나 플라보노이드 등이 풍부하게 포함되며, 상기 α-아밀라아제 저해 작용 이외에도, 과산화 지질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이 밝혀지고(특허문헌 2 참조), 이것을 각종 음식품에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구아바 잎으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은 장기 보존하면, 폴리페놀계 물질이나 그 외의 성분이 백탁(白濁) 또는 침전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음료 등의 형태로서 이용하려고 용기에 충전했을 경우에는, 외관을 해치는 것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구매 의욕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폴리페놀류나 타닌류를 풍부하게 포함하는 식물 추출액의 품질 유지를 꾀하는 방법으로서, 규조토 여과를 시행하는 방법(특허문헌 3 참조), 흡착수지를 이용한 폴리페놀의 제거(특허문헌 4 참조), 타나아제 처리에 의한 타닌류의 분해처리(특허문헌 5 참조) 등이 보고되어 있지만, 구아바 잎 추출액은 이들 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성분이 그의 뛰어난 기능성에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종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장기 보존에 적절한 구아바 잎 추출액을 얻는 방법으로서, 추출액에 스테비아를 배합하는 방법(특허문헌 6 참조)이 제안되고 있지만, 첨가제는 배합하지 않은 적이 없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670742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7577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4-31134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9-220053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6-269246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평11-46737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보존해도 품질이나 기능성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물이나 열수에 재용해한 후에도 풍미, 품질이 뛰어난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해결해야 할 과제를 예의 검토한바, 구아바 잎을 90~98℃의 열수로 추출하고, 얻어진 엑기스를 브릭스 당도 20~3O의 범위가 될 때까지 농축하고,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함으로써, 장기 보존해도 품질이나 기능성을 해치지 않고, 또, 물이나 열수로 간단하게 재용해할 수 있으며, 풍미, 품질, 안정성이 뛰어난 음료로 할 수 있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이 얻어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A) 구아바 잎을 90~98℃의 열수로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고,
(B) 얻어진 엑기스를 브릭스 당도 20~30의 범위로 될 때까지 농축하여 농축 엑기스로 만들고,
(C)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이 분말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제조방법은
(A) 구아바 잎을 90~98℃의 열수로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고,
(B) 얻어진 엑기스를 브릭스 당도 20~30의 범위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농축 엑기스로 만들고,
(C)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하는
공정을 가진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A)공정으로 되는 구아바 잎 추출액의 조제에 있어서, 원료로서 사용하는 구아바 잎은 생잎이라도 좋지만, 유효성분의 추출효율 등을 고려하여, 건조잎 또는 그의 파쇄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풍미를 개선하기 위하여, 구아바 잎을 건조후, 볶은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건조잎의 파쇄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의 크기는, 1mm~10mm가 바람직하고, 평균 사이즈가 3~5mm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아바 잎 엑기스의 추출은 수성 용매를 이용하여 행하면 좋다. 여기서, 수성 용매로서는, 물 이외에, 에탄올, 아세톤을 들 수가 있지만, 후술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식품 용도로의 안전성 등의 점에서, 물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에 이용하는 이들 용매의 사용량은 구아바 잎 1중량부에 대하여, 10~4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5~25중량부로 하면 좋다. 10중량부 보다 적으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며, 40중량부를 넘으면, 후술하는 농축 공정에서의 효율이 떨어진다.
또, 이 용매를 이용하여 구아바 잎 엑기스의 추출을 행하는 경우의 온도 조건은 90~98℃이며, 특히, 93~97℃가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가 90℃ 보다도 낮으면 구아바 잎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고, 또, 추출 온도가 98℃ 보다도 높아지면, 추출된 유효성분이 열화하여, 물이나 열수로 재용해한 후의 침전 발생량이 많아진다. 추출시간은 3~30분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B)공정 즉 농축 공정은 (A)공정에서 얻어지는 구아바 잎 엑기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농축하면 좋다. 구아바 잎 엑기스의 농축은 브릭스 당도로 20~30, 바람직하기로는 23~28 정도가 될 때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에 의해 얻어지는 구아바 잎 엑기스의 브릭스 당도가 20보다도 낮으면 동결건조 처리의 효율이 나빠질 수 있고, 30보다도 높아지면, 구아바 잎 엑기스에 다량의 침전이 생겨 버릴 수 있다. 농축 기기로서는, 증발기 등의 기존의 기기를 이용하여 행하면 좋고, 농축 조건 등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풍미의 열화 방지, 유효성분의 열화 방지 등의 점에서 25~7O℃, 진공도 0~48kPa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B)공정에 의해 조제된 농축 구아바 잎 엑기스는, (C)공정에서, 동결건조 처리를 행하여 분말화한다. 이 (C) 공정은 (B)공정에서 얻어진 농축 구아바 잎 엑기스를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건조하면 좋고, 그 조건으로서는, 농축 엑기스를 -2O℃에서 -5O℃로 냉각하고, 4Pa에서 107Pa의 감압하에서, 건조 종료시의 품온이 60℃ 이하가 되도록 열을 공급하는 조건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화하는 방법으로서는, 분무 건조 등의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방법으로 농축 구아바 잎 엑기스를 분말화했을 경우에는, 산화취가 강해져 풍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C) 공정의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 하기 전에, -20 ~ -50℃에서 10시간 이상 예비 동결을 행하는 것이 유효성분의 안정성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이 예비 동결의 조건으로서는, -20 ~ -50℃, 바람직하기로는, -35 ~ -40℃로 하고, 적어도 10시간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30시간 행하는 것이 유효성분의 안정성, 또 분말의 물로의 용해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은 장기 보존해도 품질 안정성이 뛰어나며, 동시에 그 기능성도 충분히 유지되고, 또, 물이나 열수로의 용해성이 지극히 양호하기 때문에, 종래의 펠렛(pellet), 정제, 과립 또는 캡슐 등의 형상의 각종 건강식품이나 영양 보조 식품으로 한 형태뿐만 아니라, 휴대용의 인스턴트 음료나, 차 등의 각종 음료 제조용 원료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물이나 열수로의 용해 후에도 보존 안정성이 좋고, 침전이 적고, 풍미도 좋다.
또, 이들 이외에도, 각종 부원료와 아울러 우유, 크림, 치즈, 버터 등의 유제품, 발효유, 유산균 음료, 요구르트, 드레싱, 햄, 소세지 등의 식육 가공 식품, 어묵, 생선살 꼬치구이 등의 수산 가공 식품, 빵, 과자 등의 각종 음식품의 형태로서 넓게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 음식품에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사용량은 음식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적당 적당한 범위로 설정하면 좋지만, 대체로 제품당, O.10중량% ~ 1.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O.15중량% ~ 1.25중량%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은 음식품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과립화 할 경우는, 그 조립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효성분의 안정성, 부착성, 비산성, 유동성의 개선을 위해, 유동층 조립, 압출 조립 등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시에 사용하는 결합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르란, 전분, 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건조 구아바 잎 약 80kg을 95℃의 열수 1600kg에 넣어 교반하면서 15분간 압출을 행하였다. 150메쉬의 필터로 고액분리를 행한 후, 30℃ 이하로 냉각하고, 원심분리 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했다. 얻어진 압출액을, 가열 온도 60℃, 진공도 21kPa의 조건하에서 감압 농축하고, 브릭스 당도25의 농축 엑기스를 얻었다. 이 농축 엑기스를 - 40℃의 조건하에서 15시간 예비 동결하고, 67Pa의 감압하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고, 다갈색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은 산화취가 적어 풍미적으로 양호하며, 또 유효성분 함유량이 많아, 더욱 물로의 용해성이 양호했다.
실시예 2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함유 식품)
아래 표 1에 나타낸 성분을 배합기에 넣어 10분간 교반하고, 꺼낸 후, 직타식(直打式) 타정기에서 직경 8mm, 중량 200mg의 정제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정제는 물로의 용출성, 붕괴성이 양호하고, 더욱 마손도(摩損度) 시험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1]
원재료 배합량
실시예 1에서 얻은 구아바 잎 엑기스분말 120㎎
파라티니트 75.6㎎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4㎎
수크랄로스 0.4㎎
실시예 3
(구아바차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브릭스 당도가 O.25가 되도록 물에 용해하고,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O.03%, 더욱이 pH가 6.O이 되도록 중조를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했다. 이 조제액을 튜브식 살균기에서 135℃, 1분간 가열처리를 행한 후, 85℃까지 냉각하여, 500㎖ 패트병에 충전한 후, 40℃ 이하까지 냉각했다(본 발명품1).
비교예 1
건조 구아바 잎 약 80kg을 95℃의 열수 1600kg에 넣고, 교반하면서 15분간 추출을 행하였다. 150 메쉬의 필터로 고액분리를 행한 후, 30℃ 이하로 냉각하고, 원심분리 처리를 행하여, 불순물을 제거했다. 얻어진 추출액을, 가열 온도 60℃, 진공도 21kPa의 조건하에서 감압 농축하고, 브릭스 당도25의 농축 엑기스를 얻었다. 이 농축 엑기스를 분무 건조기에서 분말화 처리하여, 다갈색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얻었다. 이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브릭스 당도가 O.25가 되도록 물에 용해하고,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O.03%, 더욱이 pH가 6.0이 되도록 중조를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했다. 이 조합액을 튜브식 살균기에서 135℃, 1분간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85℃까지 냉각하고, 5OOml 패트병에 충전한 후, 40℃ 이하까지 냉각했다(비교품 1).
비교예 2
건조 구아바 잎 약 80kg을 95℃의 열수 1600kg에 넣고, 교반하면서 15분간 추출을 행했다. 150 메쉬의 필터로, 고액분리를 행한 후, 30℃ 이하로 냉각하고, 원심분리 처리를 행하여, 불순물을 제거했다. 얻어진 추출액을, 가열 온도 60℃, 진공도 21kPa의 조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브릭스 당도 25의 농축 엑기스를 얻었다. 더욱이 이 농축 엑기스를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브릭스 당도 65의 페이스트상의 고농도 농축 엑기스를 얻었다. 이 고농도 구아바 잎 엑기스를, 브릭스 당도가 O.25가 되도록 물에 용해하고,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O.03%, 더욱이 pH가 6.0이 되도록 중조를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했다. 이 조합액을 튜브식 살균기에서 135℃, 1분간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85℃까지 냉각하여, 50O㎖ 패트병에 충전한 후, 40℃이하까지 냉각했다(비교품 2).
비교예 3
건조 구아바 잎 약 80kg을 열수 1600kg에 넣고, 압력식 추출 솥을 사용하여, 120℃, 15분간 추출을 행했다. 150 메쉬의 필터로 고액분리를 행한 후, 30℃ 이하로 냉각하여, 원심분리 처리를 행하여 불순물을 제거했다. 얻어진 추출액을, 가열 온도 60℃, 진공도 21kPa의 조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브릭스 당도 25의 농축 엑기스를 얻었다. 이 농축 엑기스를 -4O℃의 조건하에서 15시간 예비 동결하고, 67Pa 의 감압하에서 동결건조를 행하여, 다갈색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얻었다. 이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브릭스 당도가 O.25가 되도록 물에 용해하고,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을 O.03%, 더욱이 pH가 6.0이 되도록 중조를 첨가하여, 10분간 교반했다. 이 조합액을 튜브식 살균기에서 135℃, 1분간의 가열 처리를 행한 후, 85℃까지 냉각하여, 500㎖ 패트병에 충전한 후, 40℃ 이하까지 냉각했다 (비교품 3).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3, 비교예 1, 2 및 3 에 의해 얻어진 구아바차 음료(본 발명품 1, 비교품 1~3)의 풍미를 확인하는 동시에, 패트병 용기에 넣은 상태로 37℃, 1개월간 보존을 행하고, 용기바닥에 발생한 침전량을 측정했다. 침전량의 측정은 구아바차 음료 1개분(50O㎖)을 3㎛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필터상에 포집된 침전물의 중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구아바차 음료 풍미 침전량(㎎/개)
본 발명품1 구아바차 특유의 풍미. 마시기 쉽다. 8.1
비교품1 산화취 있음. 마시기 어렵다. 9.8
비교품2 구아바차 특유의 풍미. 마시기 쉽다. 16.2
비교품3 구아바차 특유의 풍미. 마시기 쉽다. 10.9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제조한 동결건조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풍미 양호하고, 더욱이 보존중에 용기바닥에 발생하는 침전이 적은 구아바차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얻어진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은 장기 보존해도 구아바 잎 추출액의 품질이나 기능성의 저하가 적고, 더욱이 물이나 열수에 용이하게 재용해된다. 그리고, 재용해한 후의 보존 안정성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로부터 간편, 또한 간단하게 구아바 잎 추출액 함유 음료를 조제할 수 있고, 또한, 이 분말은 휴대용의 인스턴트 음료나 원격지로의 수송 등에 이용되는 원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A) 구아바 잎을 90~98℃의 열수로 추출하여 엑기스를 얻고,
    (B) 얻어진 엑기스를 브릭스 당도 20~30의 범위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농축 엑기스로 만들고,
    (C)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이 농축 엑기스를 동결건조하기 전에, -20 ~ -50℃에서 10시간 이상 예비 동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2항 기재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4. 제 3항 기재의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KR1020087025782A 2006-05-18 2007-05-14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70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38524 2006-05-18
JP2006138524 2006-05-18
PCT/JP2007/000511 WO2007135767A1 (ja) 2006-05-18 2007-05-14 グァバ葉エキス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031A true KR20090018031A (ko) 2009-02-19
KR101370841B1 KR101370841B1 (ko) 2014-03-07

Family

ID=3872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782A KR101370841B1 (ko) 2006-05-18 2007-05-14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021699B2 (ko)
EP (1) EP2022343B1 (ko)
JP (1) JP4954990B2 (ko)
KR (1) KR101370841B1 (ko)
CN (1) CN101448411B (ko)
AU (1) AU2007252785B2 (ko)
BR (1) BRPI0711610B1 (ko)
CA (1) CA2651733C (ko)
ES (1) ES2385847T3 (ko)
HK (1) HK1132148A1 (ko)
MX (1) MX2008014659A (ko)
MY (1) MY150080A (ko)
NZ (1) NZ572392A (ko)
TW (1) TWI386168B (ko)
WO (1) WO20071357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71A (ko) * 2021-02-01 2022-08-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보존료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항산화 단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33B1 (ko) 2008-07-08 2011-06-15 강화군 간경변억제효능을 갖는 순무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US20110104352A1 (en) * 2008-10-07 2011-05-05 Eco Business Co., Ltd. Health-Food Product with Mixed-In Concentrated Guava-Leaf Extract of Savoriness Improved by Cereal Grain
WO2011083586A1 (ja) * 2010-01-07 2011-07-14 株式会社 エコビジネス グァバ葉抽出ポリフェノール成分エキスを含んだ乳製品の組み合わせ食材
CN102948849B (zh) * 2012-10-15 2014-04-09 梅普农 一种红心果组合物饮料及其制备工艺
CN103169025B (zh) * 2013-03-15 2014-11-05 叶阿彬 一种番石榴果片的制备方法
CN105357983B (zh) * 2013-07-11 2018-03-02 花王株式会社 鞣花酸组合物的制造方法
WO2016181247A1 (en) * 2015-05-11 2016-11-17 Ven Subbiah Stabilizing antioxidant ingredients for use in foods and cosmetics and their method of use
CN109007834A (zh) * 2018-08-31 2018-12-18 华南理工大学 一种番石榴果叶提取物环糊精包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11771265B2 (en) 2019-03-08 2023-10-03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AU2020236961A1 (en) 2019-03-08 2021-06-10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AU2020239064A1 (en) 2019-03-08 2021-06-17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USD940500S1 (en) 2019-06-06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USD925270S1 (en) 2019-06-06 2021-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27256S1 (en) 2019-06-06 2021-08-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USD924007S1 (en) 2019-06-06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Strainer blender accessory
CN115119935A (zh) * 2022-06-21 2022-09-30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肠道调理功能的番石榴果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172929A (zh) * 2023-03-23 2023-05-30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923A (ja) * 1983-09-06 1985-04-02 Bizen Kasei Kk グアバ葉エキスの抽出方法
JPS63251071A (ja) * 1987-04-09 1988-10-18 Masao Nomoto 粉末保健飲料の製法
JPH023208A (ja) 1988-06-20 1990-01-08 Seiko Epson Corp 永久磁石
JPH0797965B2 (ja) 1991-04-11 1995-10-25 株式会社 伊藤園 緑茶飲料の製造方法
JP2613163B2 (ja) 1993-03-18 1997-05-21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茶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670742B2 (ja) * 1993-08-21 1997-10-29 備前化成株式会社 α−アミラーゼ阻害物質
JP2974946B2 (ja) * 1995-09-26 1999-11-10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グアバ茶飲料
JP3315304B2 (ja) 1996-02-15 2002-08-19 株式会社 伊藤園 長期保存に適した茶飲料の製造方法
JPH09309840A (ja) * 1996-03-18 1997-12-02 Suntory Ltd 抗脱毛症状剤
JPH1146737A (ja) 1997-08-06 1999-02-23 Watanabe Seihou 長期保存の可能なグアバ茶エキスの製法
JPH1175770A (ja) 1997-09-09 1999-03-23 Bizen Kasei Kk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その製造法および利用
JP2000273048A (ja) * 1999-03-19 2000-10-03 Yakult Honsha Co Ltd ウイルス感染予防・治療剤
US7037536B2 (en) * 2000-03-10 2006-05-02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α-amylase activity inhibitors
JP2003000208A (ja) * 2001-06-25 2003-01-07 Yakult Honsha Co Ltd グアバ茶飲料の沈殿防止方法
JP2004057153A (ja) * 2002-07-31 2004-02-26 Terra Bio Remedic Co Ltd 苦丁茶の苦味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苦味の低減された苦丁茶
JP2004173504A (ja) * 2002-11-22 2004-06-24 Yakult Honsha Co Ltd 飲料の沈殿防止方法
JP3872805B2 (ja) * 2004-08-11 2007-01-24 株式会社富士見養蜂園 アガリクス茸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アガリクス茸抽出物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健康食品組成物
WO2007007732A1 (ja) * 2005-07-12 2007-01-18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アディポネクチン濃度上昇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71A (ko) * 2021-02-01 2022-08-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보존료 및 천연색소를 포함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단무지의 제조방법 및 항산화 단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52785B2 (en) 2012-03-22
EP2022343A1 (en) 2009-02-11
US8021699B2 (en) 2011-09-20
JP4954990B2 (ja) 2012-06-20
CA2651733C (en) 2014-09-23
ES2385847T3 (es) 2012-08-01
HK1132148A1 (en) 2010-02-19
CN101448411A (zh) 2009-06-03
MX2008014659A (es) 2008-11-27
AU2007252785A1 (en) 2007-11-29
EP2022343B1 (en) 2012-05-23
BRPI0711610A2 (pt) 2011-12-27
TWI386168B (zh) 2013-02-21
JPWO2007135767A1 (ja) 2009-10-01
WO2007135767A1 (ja) 2007-11-29
NZ572392A (en) 2010-07-30
CA2651733A1 (en) 2007-11-29
CN101448411B (zh) 2013-06-05
TW200806200A (en) 2008-02-01
EP2022343A4 (en) 2010-06-02
KR101370841B1 (ko) 2014-03-07
MY150080A (en) 2013-11-29
US20090087500A1 (en) 2009-04-02
BRPI0711610B1 (pt)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841B1 (ko) 구아바 잎 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15199B1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N102524453B (zh) 雪莲果茶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CN101884408B (zh) 一种银杏叶浸提液及其制备方法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167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56969A (ja) 血流改善剤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581609A (zh) 一种大蒜多肽组合物
JP2010213609A (ja) ガジュツ又はキョウオウの醗酵処理物
JPWO2009107878A1 (ja) アデニンを高濃度に含有する野菜エキス、該野菜エキスを含むアデニン含有容器詰飲料、該野菜エキ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してなる経口血圧降下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9586B1 (ko)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복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2743B1 (ko) 해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06543B2 (ja) β−ユーデスモールを有効成分とする食欲増進及び/又は体重増加抑制剤
KR20230141962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93686A (ko) 녹차분유
JP2011182703A (ja) 1,2−ジ−O−ガロイル−4,6−HHDP−b−d−グルコピラノースを高濃度で含有する飲食品
CN110742160A (zh) 一种本草益生茶及其制备工艺
KR20110111960A (ko)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KR20170087064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