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960A -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960A
KR20110111960A KR1020100031301A KR20100031301A KR20110111960A KR 20110111960 A KR20110111960 A KR 20110111960A KR 1020100031301 A KR1020100031301 A KR 1020100031301A KR 20100031301 A KR20100031301 A KR 20100031301A KR 20110111960 A KR20110111960 A KR 2011011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leaf
present
composition
diabetes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강민정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1960A/ko
Publication of KR2011011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연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잎 추출물은 우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후 혈중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는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고혈당에 의해 유발되는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당뇨병을 개선할 수 있는 식품학적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using polar solvents of Nelumbo nucifera's leaves for lowering blood glucose}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우리 국민의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1990년에 인구 십만명 당 11.8명에서 2000년에는 22.6명으로 최근 10년 사이에 91.5%가 증가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수는 더욱 증가하여 현재 한국인의 사망요인 중 당뇨병이 제 4위를 차지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9. 199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1. 2002).
일반적으로 당뇨병(Diabetes mellitus)이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대사 질환군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인간 및 포유류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혈장내의 포도당(glucose) 수치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비정상적인 당 수치는 혈장내의 헤모글로빈(hemoglobiin)의 수치를 높이게 되며, 만성적인 고혈당증 (hyperglycemia), 아테롬성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미세혈관병증(micro angiopathy), 신장 질환, 심장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및 백내장과 같은 일련의 합병증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당뇨병은 크게 2가지 유형, 즉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인슐린 의존형인 I형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IDDM)은 혈액 내의 글루코스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Insulin)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Ⅱ형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NIDDM)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 Ⅰ형과는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 원인은 아직당뇨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 Ⅱ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되는데, 이중 어떠한 변화가 일차적 중요성을 갖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현재 제 Ⅱ형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 같은 합병증에 사용되는 제제로는 5 종류의 화합물군, 즉 비구아니드(biguanides),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s), 벤조산(benzoic acid) 유도체 화합물 및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메트포민(metformin)과 같은 비구아니드 화합물은 과도한 혈액 내 글루코네오제네시스(gluconeogenesis)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아졸리딘디온 화합물은 말초 신경의 글루코스 소비율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콜부타미드(tolbutamide) 및 글리부리드(glyburide)와 같은 설포닐우레아, 레파글리니드(repaglinide) 화합물과 같은 벤조산 유도체 및 아카보스(acarbose)와 같은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혈장 글루코스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의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은 인슐린 의존형인 제 Ⅰ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투여할 수 없으며, 비인슐린 의존형인 제 Ⅱ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는 인슐린 분비의 감소, 여성 환자에게서는 비정상적인 태아 출생, 유산(abortion) 및 사산(stillbirth)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대부분의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은 설포닐우레아의 대사 작용으로 인해 간 및 신장 기능에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조심스럽게 투여해야 한다.
메트포민과 같은 비구아니드 함유 제제의 메카니즘은 확실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비구아니드 화합물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킬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설포닐우레아보다 더 효과적으로 혈당을 강하하고 저혈당 유발의 빈도도 낮다. 그러나 투여 초기에 구역질, 구토, 설사 및 발진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치명적인 락트산증(lactic acidosis)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미국 내에서는 임상실험용 시약으로만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설포닐우레아 및 비구아니드 함유 제제들은 상기와 같은 결점 및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낮은 부작용 및 높은 안전성을 갖는 탁월한 혈당강하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당뇨병의 완치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고, 약물치료의 부작용 때문에 약물사용에 제한점이 많아 천연물로부터 당뇨병치료제를 탐색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WHO(1990)에서도 당뇨병에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의 이용을 적극 추천하였다(Grover J.K., Vats. V., Rathi. S.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3, pp461-470, 2000).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이 우수한 물질을 찾고자 연잎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극성용매를 이용해 추출한 연잎 추출물의 탁월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는바 상기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활용 가능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Nelumbo nuc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잎 추출물은 알파-글루코시다제를 저해하고 혈장 내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뇨 합병증은 뇌졸중,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및 심근경색 심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은 당뇨가 유발된 동물모델에 투여하였을 경우 혈중에 존재하는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탁월한 저해 효과가 있으므로 고혈당에 의해 유발되는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당뇨병을 개선할 수 있는 식품학적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Nelumbo nuc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연(Nelumbo nucifera)은 수련과(Nymphae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수생식물로서,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및 온대지역의 동부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미 오랜 전부터 중국과 인도 등에서 연을 전통 민간약재로 사용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연잎은 하엽이라 하여 해열, 해독작용에 사용하였으며, 연의 종자와 과육은 강장, 지혈약, 야뇨증, 부인병에, 뿌리는 해열독, 소어혈, 일체혈증, 요혈, 장출혈 및 지혈에 사용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을 이용한 약제를 연구하던 중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연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혈장 내 포도당의 농도를 낮추고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상기 연잎 추출물이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인 연잎은 가능한 6월 초순부터 10월 중순에 채취하여야 하는데 통상 연잎은 6월 초순에 나기 시작하고, 10월 중순이 되면 연잎이 퇴색하기 때문에 가능한 연잎이 나기 시작하여 퇴색하기 전에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은 여러 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 및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을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극성용매로서 정제수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는데, 극성용매에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등의 용매가 속하며 저급 알콜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이 해당된다. 각종 용매는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수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연잎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고,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연잎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채집한 연잎을 동결 건조하여 마쇄한 후 연잎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의 메탄올로 실온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하여 감압여과에 의해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한 다음,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연잎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의 메탄올로 실온에서 약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이 혈당을 강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군 및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사육시킨 후 식후 혈당변화를 측정한 결과,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이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을 저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는데,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는 전분과 같은 다당류를 포도당이나 과당과 같은 단당류로 분해하는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로서, 소장에서 탄수화물을 가수분해하여 결과적으로 혈장 내 포도당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킬 경우, 포도당의 흡수를 지연시켜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과 대조군으로서 혈당상승억제제로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카보스를 각각 효모 알파-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한 효소 반응액에 넣어 알파-글루코시다제의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서와 비교하여 유사하게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이 식후 혈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활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파-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을 저해시켜 혈당 강하 작용을 통해 고혈당으로 인해 발생하는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불어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본 발명의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뇨 합병증은 뇌졸중,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및 심근경색 심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형 당뇨병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강하용 조성물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약제학적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액상제, 환제, 정제, 캅셀제, 산제 및 현탁제 등의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 캅셀제, 또는 액상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화합물이 아닌 천연물로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인바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체내에 대해 매우 안정하다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를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g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연잎 추출물의 제조
연잎(구입처: 경남 김해)을 동결 건조하여 마쇄한 후, 연잎 시료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100% 주정을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감압 여과하여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한 다음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연잎 중량의 5배에 해당하는 100% 주정을 첨가하여 6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다시 감압여과한 후,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연잎 중량의 3배에 해당하는 100% 주정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최종 연잎 추출물을 수득하여 하기의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수득율 18.0%).
< 실시예 2>
연잎추출물의 활성 분석
3주령의 평균 체중이 100~120g인 스프라그-도울리계(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효창으로부터 구입하여 인제대학교 동물자원센터에서 실험 전 약 7일간 적응시간을 두고 사육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3± 2 ℃), 습도(55± 10 %) 및 명암주기(12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으며, 모든 동물실험은 인제대학교 동물자원센터의 규정에 따라 실시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는 모든 실험 결과들은 평균표준편차(mean± SD)로 나타내었으며, 통계처리는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을 사용, p<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 실험예 1>
혈당강하 효과 측정
생체내(in vivo)에서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정상 수컷 흰쥐를 대조군(n=6)과 연잎군(n=6)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전분(starch, 1g/㎏)만을, 연잎군은 전분(1g/㎏) 및 상기 실시예 1의 연잎 추출물(300㎎/㎏)을 투여하였으며, 시료 투여액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투여 후 30분에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을 수집하였다. 혈당은 포도당 assay kit(아산제약, 한국)를 이용하여 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샘 플 조 성
대조군 전분 1.0g/Kg + 증류수
연잎군 전분 1.0g/Kg + 연잎 추출물 0.3g/Kg + 증류수
실험결과, 하기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잎군은 대조군에 비해 식후 30분 후에 혈당 증가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당뇨유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이 식후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샘 플 0분 30분 혈당 증가치
대조군 103.4± 9.4 161.0± 10.9 57.6± 6.7
연잎군 100.0± 10.2 146.2± 11.4* 46.2± 7.5*
(* : P<0.05 수준 이하의 유의성 있는 결과)
< 실험예 2>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연잎 추출물을 건조시킨 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0.5㎎/㎖의 농도로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효모(yeast) α-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한 효소 반응액에 넣어 α-글루코시다제의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효모 α-글루코시다제는 시그마사(Sigma, Louis, MO, US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효소기질은 피라노시드(para-nitrophenyl-alpha-D-glucopyranoside)를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구로는 혈당상승억제제로서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카보스(상품명: 글루코바이, 바이엘-코리아)를 사용하였다(이하 Ab라 명명함).
실험결과 하기 표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잎 추출물 및 아카보스의 0.5㎎/㎖농도 처리 시,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을 각각 25.7± 1.6%, 38.5± 1.2%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잎 추출물의 농도별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은 표 3과 같다. 측정은 3회 반복하였고 그 결과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 처리군이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아카보스와 비교 시 동일농도 처리군에서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군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율
연잎 0.50(㎎/㎖)처리 25.7± 1.6%
아카보스 0.50(㎎/㎖)처리 38.5± 1.2%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연잎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연잎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연잎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연잎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연잎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다. 그 후 전체 혼합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량을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연잎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연잎 추출물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Nelumbo nuc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잎 추출물은 알파-글루코시다제를 저해하고 혈장 내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4.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극성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00031301A 2010-04-06 2010-04-06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KR20110111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301A KR20110111960A (ko) 2010-04-06 2010-04-06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301A KR20110111960A (ko) 2010-04-06 2010-04-06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60A true KR20110111960A (ko) 2011-10-12

Family

ID=4502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301A KR20110111960A (ko) 2010-04-06 2010-04-06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1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496A (zh) * 2012-12-02 2013-03-13 张娜 一种治疗经崩的中药组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496A (zh) * 2012-12-02 2013-03-13 张娜 一种治疗经崩的中药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99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481114B1 (ko) 바나바, 호로파 및 여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약학적 조성물
US200903185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 d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JP6273440B2 (ja) Glp−1産生促進剤、dppiv阻害剤及び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
KR100939089B1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9920A (ko)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4781B1 (ko) 파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111960A (ko) 극성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화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615981B1 (ko) 혈당치 상승 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551464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474858B1 (ko)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05286B1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