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564A - 안전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564A
KR20080101564A KR1020070048823A KR20070048823A KR20080101564A KR 20080101564 A KR20080101564 A KR 20080101564A KR 1020070048823 A KR1020070048823 A KR 1020070048823A KR 20070048823 A KR20070048823 A KR 20070048823A KR 20080101564 A KR20080101564 A KR 2008010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retractor
locking
clutch
tors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105B1 (ko
Inventor
최인수
이정민
이병진
이동섭
배상홍
배기영
김종각
김도식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105B1/ko
Priority to CN2007101397598A priority patent/CN101306676B/zh
Priority to BRPI0705972-8A priority patent/BRPI0705972A2/pt
Priority to JP2007197540A priority patent/JP4189019B2/ja
Priority to EP08156305A priority patent/EP1992528B1/en
Priority to US12/152,640 priority patent/US8646717B2/en
Priority to AT08156305T priority patent/ATE554977T1/de
Publication of KR2008010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 효율을 높이며,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형상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하게 되고, 웨빙이 되감기는 작동 시 웨빙이 일시적으로 걸리지 않고 되감기게 하는 것으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가이드 드럼, 상기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감싸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끼워지는 기어 부재, 상기 기어부재를 작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가이드 드럼에 삽입되는 토션 바, 상기 토션 바 및 상기 가이드 드럼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 부재, 상기 록킹 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의 일면에 설치된 메커니즘 커버, 상기 메커니즘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록킹 클러치에 고정된 로커 암의 작동을 저지시키는 프릭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와 기어 부재를 바라보면서 조립하므로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클러치 롤러는 경사 기어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되어 커넥터를 회전시켜 웨빙을 되감아 주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하우징, 가이드 드럼, 커넥터, 베이스 부재, 록킹 부재, 메커니즘 커버

Description

안전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도1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되는 가이드 드럼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옆판과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옆판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하우징과 비이클 센서의 조립을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가이드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단면도이다.
도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스토퍼가 가이드 드럼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스토퍼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넥터에 결합부품 결합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가 결합된 측면도.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가 결합된 측면도.
도2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트랙터용 프리텐셔너의 실린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리트랙터용 프리텐셔너의 실린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가 장착된 차량 리트랙터용 프리텐셔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b는 25a에서 실린더를 제외한 차량 리트랙터용 프리텐셔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가 피스톤과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3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베이스의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클러치의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암의 사시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폴의 사시도.
도39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0은 본 발명의 토션 바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1은 본 발명의 토션 바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2는 본 발명의 토션 바 지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을 나타낸 도면.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캡을 나타낸 도면.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즘 커버 및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메카니즘 커버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메카니즘 커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록킹 클러치 조립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5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5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200: 가이드 드럼
250: 토션 바 300: 베이스 스토퍼
400: 커넥터 540: 클러치 롤러
550: 기어 부재 600: 실린더
700: 록킹 부재 710: 록킹 베이스
720: 록킹 클러치 730: 로커 아암
900: 메커니즘 커버 930: 비이클 센서
950: 프릭션 스프링
본 발명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사고 발생 시 작동되는 안전벨트가 역회전 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좌석에 밀착시키는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들을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안전벨트 또는 에어백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차량의 정면 충돌, 측면 충돌, 전복 등의 사고 발생 시에 작동하여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자를 최대한 보호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안전장치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탑승자(이하 "운전자"를 포함한다)의 허리를 감싸 보 호하는 허리벨트와 어깨 및 가슴 부위를 감싸는 어깨벨트로 된 3점식 안전벨트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어깨벨트에는 가이드 풀리가 결합되고, 차량의 센터 필러부에는 벨트를 풀거나 감아주는 리트랙터가 설치되며, 상기 허리벨트는 로커 패널에 장착된다.
또한 벨트의 중간부분에는 텅(Tung)이 결합되고, 상기 텅은 차량의 플로어부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과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벨트를 감거나 풀어주는 리트랙터는 비로크식 리트랙터(NLR: Non Locking Retractor),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WLR: Web Locking Retractor)의 세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로크식 리트랙터는 어깨, 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잠금되는데 비하여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의 정차 중이나 주행 상태에서 벨트가 자유롭게 신축되므로 신체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차량 충돌 시 차량에 큰 감속도가 가해진 경우뿐만 아니라 벨트의 인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벨트의 풀림이 저지되어 벨트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 충돌 시 클램프가 직접 벨트를 잡아주게 되어 벨트의 인출량을 없애주므로 승객의 자세가 전방으로 급격하게 쏠려 큰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일본 특개2000-302008에 <웨빙 감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은 웨빙 감기장치(1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각판을 갖는 프레임,장착 상태에 있어 차량 탑승자의 신체를 구속한 장척 띠 모양의 웨빙 벨트의 한쪽 끝이 계지됨과 동시에 상기 웨빙 벨트를 권취한 방향에 가세되고,또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웨빙 벨트가 계지된 부분의 양측에서 상기 한 쌍의 각판으로 유지된 권취축을 갖는다.
또한 웨빙 감기장치는 상기 한 쌍으로 된 각판 각각의 폭 방향 일단을 연결하여 일체로 함과 동시에 차체에 고정된 고정부를 갖고,또 각각이 공상 또는 박육으로 상기 웨빙 벨트를 인출한 때에 상기 권취축 및 상기 한 쌍의 각판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 작용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인장력의 작용 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 육발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프레임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웨빙 감기장치는 웨빙 벨트 인출 시에 프레임 연결부에 작용하는 인장력 작용 방향에 대해 균일한 인장력이 작용되고, 연결부의 탄성 변형량이 균일하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프레임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프레임이 변형됨으로써 웨빙 감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2000-309249에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일방향에 회동 가세되고 웨빙을 권취하기 위한 스풀,상기 스풀과 동시에 회전하는 래칫휠,관성 감지 수단에 의한 긴급 검지 에 반응하여 그 래칫휠에 맞물리게 되고,해당 래칫휠을 이용하여 상기 스풀을 록(lock)상태로 하는 파우르(Hermann Paul) 폴을 구비한 긴급 로크 기구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스풀과 래칫휠 사이에는 한쪽 끝이 스풀에 결합되고,다른 쪽 끝이 래칫휠에 결합되며,상기 긴급 로크기구의 작동 상태에서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 때에 뒤틀리게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토션 바가 설치된다.
또한 토션 바의 래칫휠에 대한 결합부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상기 래칫휠에는 그 다각형의 결합부를 감입한 다각형의 감입공이 형성되며, 이 다각형의 감입공 내면에는 웨빙 인출시에 토션 바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토션 바를 감입 구멍 내로 바이어스(bias)시켜 서로의 면을 그 방향에 압접시키기 위한 리브상의 돌기가 토션 바의 축방향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토션 바와 래칫휠이 일정한 각도에 조립되어 조립 하자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은 있으나, 토션 바의 양쪽 끝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그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본 특개2003-341473에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웨빙이 권장되는 권취 드럼,권취 드럼에 삽입되어 그 한쪽 끝부가 권취 드럼(30)의 한쪽 끝부에 상대 회전 불능에 결합됨과 동시에 웨빙 권취 방향에 회동 가세된 토션 바,차량 긴급 시에 작동하고 토션 바 의 다른 한쪽 단부의 웨빙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긴급 로크(lock) 기구가 구비된다.
아울러 권취 드럼의 다른 한쪽 단부 측면에 근접한 권취부를 가짐과 동시에 토션 바의 다른 한쪽 단부에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플레이트,플레이트에 한쪽 끝이 장착됨과 동시에 그 중간부가 권취 드럼의 다른 한쪽 단부 측면에 설치된 굴곡로를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 긴급시의 긴급 로크 기구 작동 후 소정치 이상의 인출력이 상기 웨빙에 작용할 때 상기 토션 바가 뒤틀린 변형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권취 드럼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한 상기 굴곡로로부터 상기 와이어(34)의 인출 저항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권취 드럼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굴곡로로부터 인출된 상기 와이어를 권취한 플레이트의 권취부 외경이 와이어의 인출 저항이 감소하도록 휘감겨 개시 시점으로부터 점차 변화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와이어가 토션 바의 뒤틀림 변형을 흡수하는 이점은 있으나, 권취 드럼에 굴곡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리트랙터의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2006-213112에 <프리 텐셔너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리 텐셔너 장치는 계합기어가 형성된 피니언에는 캠의 원주방향 타측에 돌출되는 제1돌기를 갖고, 클러치 플레이트의 치합조는 캠부의 원주방향 일측 단면이 상기 제1돌기에 대향되게 제2돌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클러치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돌기는 전술한 종래기술1 또는 종래기술2와 같이 제2돌기가 파손됨은 물론 조립이 까다로우며,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조립이 까다로워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조립 효율이 떨어지며,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이루는 구성품의 형상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워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웨빙이 되감기는 경우 웨빙이 되감기지 않게 되어 탑승자가 안전벨트의 고장으로 인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들은 각 부품의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조립 시 조립 공정이 많아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에 따라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중량이 무거워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전체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중량이 감소된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와의 고정이 견고하고, 부품간의 조립이 용이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들 간의 조립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자체 강성은 유지한 채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전체 중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력집중 현상을 막아 내구성을 높이고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록킹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렉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들 간의 조립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부재에 클러치 롤러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프리텐셔너가 제역할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되는 클러치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프리텐셔너가 제 역할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는 클러치 롤러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기어 부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부재에 결합된 기어 부재의 회전으로 클러치 롤러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회전되게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압판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여 압상력을 높이고 고압의 분출가스에 대한 자체 강도가 높은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까다로운 해제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고 판 스프링의 탄력으로 로크 아암이 리턴되게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록킹 베이스, 록킹 클러치 및 록킹 암의 각각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으로 할 수 있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빙의 인출 및 저지가 신속하게 실행됨과 동시에 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되는 토션 바의 양단에 지지부재를 결합시켜 토션 바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토션 바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록킹 부재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고정되고,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빙이 감길 때 록암의 작동 방지가 용이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카니즘 커버의 제작이 간단하고, 하우징으로부터 메카니즘 커버를 분리할 때 손상이나 파손 없이 분리가 용이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이클 센서의 조립 시간을 단축시키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가이드 드럼, 상기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감싸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끼워지는 기어 부재, 상기 기어부재를 작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가이드 드럼에 삽입되는 토션 바, 상기 토션 바 및 상기 가이드 드럼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 부재, 상기 록킹 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의 일면에 설치된 메커니즘 커버, 상기 메커니즘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록킹 클러치에 고정된 로커 암의 작동을 저지시키는 프릭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가 상기 기어 부재의 회전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커넥터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가이드 드럼(200), 상기 가이드 드럼(200)의 일측에 삽입되는 커넥터(400), 상기 커넥터(400)를 감싸는 베이스 부재(500),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끼워지는 기어 부재(5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어부재(550)를 작동시키는 실린더(600), 상기 가이드 드럼(200)에 삽입되는 토션 바(250), 상기 토션 바(250) 및 상기 가이드 드럼(20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 부재(700), 상기 록킹 부재(7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의 일면에 설치된 메커니즘 커버(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양쪽으로 절곡된 제1,2 측판(120,130)이 형성되고, 제1측판(120)에는 커넥터 삽입홀(121), 제2측판(130)에는 록킹 부재 삽입홀(131)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가이드 드럼(20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웨빙이 감기게 되는데, 이 가이드 드럼(200)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중량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드럼(200)에는 웨빙의 풀림이 저지되거나 웨빙이 되감기는 경우에 리트랙터에 작용되는 토크(Torque)에 견디는 강도는 물론 소성 변형으로 역회전되는 토션 바(250)가 삽입된다.
또한 커넥터(400)는 상기 토션 바(25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토션 바 결합관(410)이 형성되고, 이 토션 바 결합관(410)에는 연장 형성된 롤러 전동부(420) 내면에 래치 기어(421)가 형성된다.
아울러 베이스 부재(500)에는 클러치 롤러(540)가 다수개 배치되고, 이 클러치 롤러(540) 안쪽에는 피니언 기어 및 경사 기어가 형성된 기어 부재(55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실린더(600)에는 착화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기 기어 부재(550)를 회전시키는 피스톤(630)이 내장되며, 토션 바(250)에는 록킹 부재(700)인 록킹 베이스(710)가 결합된다.
이러한 록킹 베이스(710)에는 폴(740)이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록킹 베이스(710) 일측면에는 록킹 클러치(720) 및 로커 암(7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록킹 베이스(710)의 제2고정부(719)에는 메커니즘 커버(900)와의 마모 방지 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캡(800)이 결합된다.
상기 록킹 클러치(720) 일측면에는 비이클 센서(930)가 설치된 메커니즘 커버(900)가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하우징(100)을 차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 양 옆에서 절곡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 사이에는 웨빙이 감겨진 가이드 드럼(200)이 삽입되어 조립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측판(120)의 외측면에는 실린더(600)를 포함한 베이스 부재(500) 및 제2측판(130)의 외측면에는 메카니즘 커버(900)가 조립된다.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 연결부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홀(115)과 볼트홀(116)이 형성되고, 고정부(110)의 하단은 양쪽으로 소정의 구간을 제외하고 중앙 측의 일정 구간이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15)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정된 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며 자세가 바뀌는 경우가 없게 된다.
상기 돌출된 반원 형상과 동심원을 갖는 지름이 작은 볼트홀(116)이 형성되고, 고정홀(115)은 볼트홀(116)의 양쪽 상측에 형성되고, 2개의 고정홀(115)은 서로 일정 각도를 갖고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110)의 상부 연결부(111)에는 하우징(100)이 차체에 고정되는 것을 보조하는 다수의 보조홀(220)이 형성되어 차체에 하우징(100)이 고정되는 것을 견고하게 한다.
이때, 고정홀(115)과 볼트홀(116)이 형성된 하부 연결부(112)와 상부 연결부(111)의 사이에는 살빼기를 한 살빼기 홈부(113)를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중량을 줄이고 재료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살빼기 홈부(113)에 연장되고, 고정홀(115)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하부 연결부(112)의 상단 일부에도 살빼기를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제1측판(120)에는 주변에 추가되는 커넥터(400)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홀(121)이 형성되어 드럼이 삽입되어 드럼 중앙에 삽입되는 토션바(250)가 실린더(600)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5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넥터 삽입홀(121)의 오른쪽 아래편에는 베이스 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는 조립홀(12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122)의 아래쪽으로는 실린 더(600)의 외면에 상응하는 곡면부(123)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500)에 조립된 실린더(600)가 하우징(100)에 설치될 때 간섭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립홀(122)의 상측면은 실린더(6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한편, 제1측판(120)의 맞은편에 형성된 제2측판(130)에는 록킹 부재 삽입홀(131)이 형성되어 가이드 드럼(200) 중앙에 삽입된 토션바(250)가 상기 록킹 부재 삽입홀(131)을 관통하여 록킹 부재(70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록킹 부재(700) 내에 삽입된 폴(730)은 록킹 부재 삽입홀(131)의 둘레면에 걸리고, 가이드 드럼(2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록킹 부재 삽입홀(131)의 둘레는 방향성을 갖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오른쪽 하측으로는 메카니즘 커버(900)의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32)은 가로축이 긴 직사각 형상을 기본으로 메카니즘 커버(900)의 비이클 센서 삽입부(920) 형상에 상응하도록 오른쪽 상단에 상측을 향해 소정구간 삽입홀(132)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홀(132)로 인해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가 견고게 고정되고 조립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00)의 제1측판(120)과 제2측판(130) 사이에는 가이드 드럼(200)이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드럼(200)의 중앙에는 토션바(250)가 삽입된다. 한편, 제1측판(120)의 외측면에는 실린더가 조립되는 베이스 부재(500)가 조립되고, 제2측판(130)의 외측면에는 메카니즘 커버(900)가 조립된다.
이때, 베이스 부재(500)의 하단 일측은 조립홀(122)에 삽입되며, 실린더의 외측은 곡면부(123)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메카니즘 커버(900)의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는 삽입홀(131)에 삽입된다.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가이드 드럼(200)은 크게 웨빙이 관통하는 2개의 웨빙 관통공(210,220)과 스토퍼 결합홈(201)이 형성되어 있는 권취롤러(230)와 상기 권취롤러(230)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240,240')를 갖는 구조이다.
먼저, 상기 권취롤러(230)는 웨빙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되며, 웨빙을 결속시킴과 동시에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웨빙 관통공(210,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2개의 웨빙 관통공(210,220)은 플랜지(240,240')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웨빙 관통공(210)과 제2 웨빙 관통공(22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권취롤러(230)는 제1 웨빙 관통공(210)과 제2 웨빙 관통공(220)으로 인해 형성되는 제1 결속주(230a)와 상기 제1 결속주(230a)를 사이에 두고 제2 결속주(230b) 및 제3 결속주(230c)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러(230)를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결속주(230a)의 일측 안내측면은 웨빙의 일단에 삽입되는 체결봉(미도시)을 수용하도록 하는 걸림턱(23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31)으로부터 아래쪽으로는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는 제2 결속주(230b)의 안내면은 상기 제1 결속주(230a)의 일측면에 대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제1 웨빙 관통공(210)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결속주(230b)의 안내면은 상기 제1 결속주(230a)의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제1 결속주의 모서리를 향해 매끄러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결속주(230b)의 안내면은 상기 제1 결속주(230a)의 일측면에 대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인 것으로, 웨빙과의 결속 잡업 시 삽입되는 웨빙의 일단이 제2 결속주(230b)의 안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제1 웨빙 관통공(21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각 결속주(230a,230b,230c)의 외면 둘레에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가이드 드럼(200) 전체 무게를 경량화시켜 웨빙을 인출하거나 권취하는 회전력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마찰력이 증대되는 함몰부(280,28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함몰부(280,28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결속주(230a)에 형성되는 함몰부(280)는 장변이 권취롤러(230)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결속주(230b)와 제 3 결속주(230c)에 형성되는 함몰부(280')는 장변이 권취롤러(23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 1 결속주(230a)의 외면에 형성되는 함몰부(280)는 무게를 경량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2 결속주(230b)와 제3 결속주(230c)의 외면에 형성되는 함몰부(280')는 웨빙이 권취롤러(230)에 대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결속주(230a) 또는 제2 결속주(230b)와 제3 결속주(230c)에 형성되는 함몰부(280,280')는 동일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함몰부(280,280')는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취롤러(230)의 양단에 형성되는 플랜지(240,240')의 중앙에는 관통공(260)이 형성된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플랜지(240)에는 6각의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홈(2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결합홈(270)의 적어도 마주보는 한 쌍의 내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반구 형상의 결합돌기홈(27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를 플랜지(240)의 커넥터 결합홈(27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커넥터의 결합돌기(미도시)를 플랜지의 결합돌기홈(271)에 대응하도록 한 상태에서 안쪽으로 삽입함으로써 가이드 드럼(200)과 커넥터의 조립이 손쉽게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는 조립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 성도 증가되게 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렉터의 베이스 스토퍼(300)는 가이드 드럼(200)에 결합되는 록킹부재(700)가 그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 드럼(200)의 스토퍼 결합홈(201)에 끼워지는 탄성편(310)과 상기 가이드 드럼(200) 내에 결합되는 록킹부재(700)의 결합부(70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편(310)으로부터 연결된 2개의 파지편(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스토퍼(30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가이드 드럼(200)과 록킹부재(700)의 결합부(701)에 대해 탄성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먼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310)은 전체적으로 대략 "ㄷ"자 형태를 가지며 가이드 드럼(200)의 스토퍼 결합홈(201)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특히, 상기 탄성편(310)의 웨브(web, 311)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어 탄성편(310)의 플랜지(flange, 312)의 탄성력을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탄성편(310)의 웨브(311) 내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상기 가이드 드럼(200)의 스토퍼 결합홈(201)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지편(320)은 탄성편(310)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게 형 성된 제1 파지편(320a) 및 제2 파지편(320b)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310)과 파지편(320)의 사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의 경계부(36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경계부(360)는 상기 탄성편(310)과 파지편(320)의 외면과 내면을 각각 매끄럽게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편(310)과 파지편(320)에 응력집중이 작용하는 경우가 없고, 소정의 내구성이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드럼(200)의 스토퍼 결합홈(201)과 록킹부재(700)의 결합부(701)를 탄성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파지편(320a)과 제2 파지편(320b)은 상호 대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되, 상기 록킹부재(700)의 결합부(701)에 밀착 결합하도록 내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탄성편(310)의 안쪽과 파지편(320)의 안쪽에는 가이드 드럼(200)의 스토퍼 결합홈(201)과 록킹부재(700)의 결합부(701)가 각각 결합되는 제1 끼움공간부(330)와 제2 끼움공간부(34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310)과 파지편(320) 사이의 마주보는 2개의 경계부(360) 내면은 서로 평행하다. 이는, 가이드 드럼(200)과 록킹부재(700)의 회전시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더욱이, 상기 마주보는 2개의 파지편(320)의 외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시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편(310)과 파지부(320)는 동일한 폭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는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인해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파지편(320)의 끝단에는 록킹부재(700)의 결합부(701)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받침편(350)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편(350)은 안쪽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어 로킹부재(700)의 회전 시 또는 정지 시에 원통형의 록킹부재 결합부(701)를 충분히 안정감 있게 받쳐준다.
도12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넥터(400)는 가이드 드럼(200)에 회전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하는 토션바 결합관(410)과 상기 토션바 결합관(41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클러치 롤러(540)와 맞물리는 롤러 전동부(4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토션바 결합관(410)은 가이드 드럼(200)의 일측 플랜지(240)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외면은 육각기둥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는 토션바(25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401)가 형성된다.
또한, 토션바 결합관(410)의 마주보는 양변에는 외측방향으로 결합돌기(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412)는 토션바 결합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12)는 후술할 롤러 전동부(420)의 반대쪽 방향을 향해 점차 가늘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412)는 가이드 드럼(200)의 일측 플랜지(240)에 형성된 커넥터 결합홈(27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즉, 토션바 결합관(410)은 가이드 드럼(200)의 일측 플랜지(240)에 형성된 커넥터 결합홈(270)에 결합되는 구조가 결합돌기(412)에 의한 하나의 연결 구조를 가지게 되어 조립이 간단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 전동부(420)는 원형컵 형상으로 베이스 부재(5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에 관통공(42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540)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치 기어(4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 전동부(420)의 내치 기어(422)와 클러치 롤러(540)는 평시에는 맞닿지 않고, 차량의 충돌이 감지되면 실린더(600)에 의해 작동하여 그 힘이 클러치 롤러(540)에 전달되고 그 힘을 전달받은 클러치 롤러(540)는 다시 롤러 전동부(420)의 내치 기어(422)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후, 롤러 전동부(420)는 클러치 롤러(54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토션바 결합관(410)에 결합된 토션바(250)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가이드 드럼(200)에 권취된 웨빙을 소정 길이만큼 되감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토션바 결합관(410)과 롤러 전동부(420)는 일정 이상의 강성과 내구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4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트랙터는 베이스 부재(500),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결합되며 표면에 톱니 가 형성된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540) 및 상기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500)의 일면에 설치된 기어 부재(550), 상기 베이스 부재(500)의 타면에 설치된 커넥터(400), 및 내장된 피스톤(630)을 상승시키는 실린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500)라 함은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를 말하고, 기어 부재(550)라 함은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인 것을 지칭한다. 베이스 부재(50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자체적인 탄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15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500)는 그 중앙에 내경(501)이 형성되고, 상기 내경(501) 둘레에는 플랜지(50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500)의 외측에는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많은 돌기와 홈 및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500)에는 중앙 내경(501)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501a)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걸림부(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510)에 원통형의 클러치 롤러(540)가 끼워져 고정된다. 특히, 상기 걸림부(510)는 상기 중앙 내경(501) 둘레의 플랜지(501a)에서 커넥터(400) 쪽으로 연장되며, 중앙 내경(501)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510)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클러치 롤러(540)가 출입하는 측면의 제2개방부(512) 및 연결부(513)를 중심으로 상기 제2개방부(512)의 반대쪽에 형성된 측면의 제1개방부(511)가 형성된 구성 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개방부(512)는 중앙 내경(501)의 안쪽에 형성되고, 제1개방부(511)는 중앙 내경(501)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개방부(512)는 클러치 롤러(540)를 끼우거나 분리하기 위해 출입시키는 공간이며, 이를 위해 상기 제2개방부(512)의 면적이 제1개방부(51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개방부(511)의 면적은 클러치 롤러(540)가 스스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설정되면 된다.
또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롤러(540)가 걸림부(510)에 조립되는 경우, 클러치 롤러(540)의 외주면이 제2개방부(512) 및 제1개방부(511)를 통해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도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의 일부분은 상기 기어 부재(550)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클러치 롤러(540)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커넥터(4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41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다.
즉, 상기 제1개방부(511)는 상기 커넥터(400)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 충돌 시 기어부재(550)에 의해 클러치 롤러(540)가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커넥터(400)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제2개방부(512)는 기어 부재(550)의 경사 기어(553)와 접촉되도록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2개방부(512) 및 제1개방부(511)는 각각 원호상으로 형성되되 원호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제2개방부(512)와 제1개방부(511) 사이에는 연결부(513)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513)의 표면에는 돌기(513a)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400)의 바닥에 접촉함으로써 축방향 하중을 적절히 지지하게 된다. 상기 돌기(513a)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중앙 내경(501) 둘레의 플랜지(501a)에는 상기 연결부(513)의 반대쪽에 받침판(5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개방부(512)로 삽입된 클러치 롤러(540)가 기어부재(550) 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받침판(513b)은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내용물을 가장 잘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510)는 클러치 롤러(400)가 외측으로 확장될 때 파손되지 않도록 중앙 내경(501)의 둘레를 따라 연장 리브(51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 부재(550)는 원판의 일면에 경사 기어(553)를 구비하여 상기 클러치 롤러(400)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어 부재(550)는 실린더(600)에 내장되어 있는 피스톤(610)과 맞물릴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 기어(553)는 베이스 부재(500)의 걸림부(510)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가 위치되는 부분에 원호면(553)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면(55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555)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호면(554)은 클러치 롤러(540)와 접촉되어 있고, 경사면(555)은 기어 부재(550)가 회전될 때 클러치 롤러(540)를 베이스 부재(500)의 내경(501)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킨다.
상기 커넥터(400)는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가 접촉하는 내주면이 형성되고, 이 내주면에는 클러치 롤러(540)가 확장됨에 따라 맞물리게 되는 톱니(4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부재 및 프리텐셔너 부분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차량이 충돌하거나 전복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전자제어유닛(ECU)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따라 실린더(600)에 제어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실린더(600)에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착화되고,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면서 높은 압력을 발생키는 팽창 가스가 피스톤(630)을 상승시킨다.
즉, 피스톤(630)은 팽창 가스에 의해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상승하는 피스톤(630)은 기어 부재(55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기어 부재(550)의 회전에 따라 경사 기어(553)도 같이 회전되어 탄성이 큰 베이스 부재(500)의 걸림부(510)를 가압하여 원호면(554)에 위치한 클러치 롤러(540)를 중앙 내경(50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클러치 롤러(54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기어(553)의 경사면(555)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걸림부(510)는 클러치 롤러(540)의 이동으로 내경(50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클러치 롤러(540)는 커넥터(400)의 내주면(410)과 접촉되고, 경사면(555)을 따라 회전하는 클러치 롤러(540)는 커넥터(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커넥터(400)는 가이드 드럼(200)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웨빙을 되감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에게 착용되어 있던 안전벨트는 리트랙터의 되감는 방향으로 감겨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19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구조체는 하우징(100)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500),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540) 및 상기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는 기어 부재(55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드럼(200), 상기 가이드 드럼(200)에 고정되는 커넥터(400) 및 내장된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실린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베이스 부재(500)라 함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지칭하고, 기어 부재(550)라 함은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500)는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내경(501)이 형성되고, 상기 내경(501) 외측에는 상기 실린더(600)가 안정되게 고정 되도록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및 스토퍼 등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 및 스토퍼 등은 베이스 부재(500)와 실린더(600)의 결합 시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들 돌기 및 스토퍼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는 내경(501)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걸림부(5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510)는 대략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걸림부(510)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클러치 롤러(540)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걸림부(510)에는 클러치 롤러(540)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각각 제1개방부(511) 및 제2개방부(5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부(511)는 클러치 롤러(540)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개방부(512) 또한 클러치 롤러(540)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제1개방부(511)는 클러치 롤러(540)가 고정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커넥터(400)와 맞물리도록 개방되고, 제2개방부(512)는 기어 부재(550)와 접촉되도록 개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개방부(511) 및 제2개방부(512)는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제1개방부(511)와 제2개방부(512)를 연결하는 연결부(5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의 일부분은 상기 기어 부재(550)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이 클러치 롤러(540)의 일부분은 상기 커넥터(4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 위 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510)는 클러치 롤러(400)가 외측으로 확장될 때 걸림부(510)가 파손되지 않도록 내경(50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 리브(5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 부재(550)는 원판(551)의 일면에 피니언 기어(552)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551)의 타면에는 경사 기어(55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 부재(550)의 내경 즉, 경사 기어(553)가 형성된 위치에 베어링(430)이 끼워지는 베어링 고정홈(557)이 형성된다.
아울러 베어링 고정홈(557)에 삽입되는 베어링(430)은 축 하중 및 축 회전에 대한 모멘트를 지지하여 받쳐주며, 이 베어링(430)은 리트랙터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강도 및 경도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피니언 기어(552)는 실린더(600)에 내장되어 있는 피스톤(630)과 맞물리는데, 피스톤(630) 선단이 상기 기어 부재(550)와 맞물려져 있는 상태로 결합되거나 피스톤(630) 선단이 기어 부재(550)의 기어 하단쪽에 위치하여 피니언 기어(552)가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경사 기어(553)는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가 위치되는 부분에 원호면(554)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면(55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555)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원호면(553)은 클러치 롤러(540)와 접촉되어 있고, 경사면(555)은 기어 부재(550)가 회전될 때 클러치 롤러(540)를 베이스 부재(500)의 내경(501) 외측으 로 이동시키면서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킨다.
상기 커넥터(400)는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가 이루는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내주면(410)이 형성되고, 이 내주면(410)에는 클러치 롤러(540)가 확장됨에 따라 맞물리게 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500)의 걸림부(510)에 클러치 롤러(540)가 고정되고, 이 클러치 롤러(540) 사이에 기어 부재(550)의 경사 기어(553)가 끼워진다.
상기 베이스 부재(500)와 기어 부재(550)의 조립은 작업자가 기어 부재(550)의 경사 기어(553)를 보이는 방향으로 잡고서 베이스 부재(500)의 걸림부(510)에 맞추어 밀어 넣으면 조립된다.
즉, 작업자는 한 손에는 피니언 기어(552)를 잡고, 다른 한 손에는 베이스 부재(500)를 잡은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552) 또는 베이스 부재(500)를 회전시켜 경사 기어(553)가 걸림부(510)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베이스 부재(500)에 끼워 넣게 되면 손쉽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경사 기어(553)의 원호면(554)은 클러치 롤러(540)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클러치 롤러(540)는 외측에 위치하는 커넥터(400)의 내주면(41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기어 부재(550)의 하부에는 피스톤(630)이 내장되어 있는 실린더(600) 가 설치된다.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 구조체는 평상 시 탑승자가 웨빙을 당김에 따라 자연스럽게 풀리게 되고, 탑승자가 웨빙을 놓으면 판 스프링(도면상 미도시됨)의 탄성에 의해 되감아지며, 이러한 웨빙의 감김과 풀림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기본 작동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 구조체는 차량이 충돌하거나 전복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전자 제어 유닛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따라 실린더(600)에 제어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실린더(600)에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는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착화되고,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면서 높은 압력을 발생키는 팽창 가스가 피스톤(630)을 상승시킨다.
즉, 피스톤(630)은 팽창 가스에 의해 빠른 속도로 상승되고, 상승되는 피스튼(630)은 기어 부재(55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기어 부재(550)의 회전에 따라 경사 기어(553)도 같이 회전되어 원호면(554)에 위치한 클러치 롤러(540)를 내경(50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클러치 롤러(540)는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기어(553)의 경사면(555)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걸림부(510)는 클러치 롤러(540)의 이동으로 내경(50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클러치 롤러(540)는 커넥터(400)의 내주면(410)과 접촉되고, 경사면(555)을 따라 회전되는 클러치 롤러(540)는 커넥터(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커넥터(400)는 가이드 드럼(200)을 회전시키는데, 가이드 드럼(200)은 웨빙이 되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웨빙을 되감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에게 착용되어 있던 안전벨트는 리트랙터의 되감는 방향으로 감겨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24 내지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리트랙터용 프리텐셔너의 실린더(60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중공형의 L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대략 L자형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자형 실린더(610)의 한쪽 구멍은 가스 공급구(611)로서 인플레이터(690)가 연결되는 부분이고, 다른 쪽 구멍은 피스톤(630)이 왕복하는 이동 안내공(612)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직선의 이동 안내공(6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최초 조립상태에서의 실링부(640) 위치를 지나 더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최초 조립상태란, 피스톤(630)이 가스압을 받아 상승하여 기어부재(550)와 적절히 맞물리도록 조립된 처음의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초기 조립상태에서, 피스톤(630)의 래크(633)가 실링 작용부재(500)에 형성된 걸림수단(510)에 걸려져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640)와 직선의 이동 안내공(612) 하단 사이는 갭(gap, 또는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640)는 오링이나 플라스틱 코팅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630)의 길이는 총 6~8cm에 불과하므로 직선의 이동 안내 공(612)이 종래보다 더 길게 연장되기 위해서는 중공 내에서 특별한 구성이 필요하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의 이동 안내공(612)은 가스 공급구(611)를 상하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가로질러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L자의 안쪽 코너에는 직선의 이동 안내공(612)을 형성하기 위한 제1 후육부(6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후육부(613)와 가스 공급구(611) 사이에는 중간 통로(6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통로(614)를 통해 가스가 통과하여 피스톤(630)의 하단에 형성된 피스톤 헤드(631)의 하단을 가압한다.
결국, 상기 제1 후육부(613)에 의해 직선의 이동 안내공(612)이 더 깊게 형성되기 때문에 피스톤 헤드(631)의 하단과 실린더(610)의 중간 내벽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 이동 안내공(612)의 하단과 가스 공급구(611) 사이에는 부분 구형의 회전공간(615)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스 공급구(611)와 중간 통로(614)를 통과한 가스가 이동 안내공(612)으로 원활하게 유입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분 구형의 회전공간(615) 주위에는 제2 후육부(厚肉部)(6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고압의 가스에 의해 바깥 모서리 쪽의 실린더(610) 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육부(616)는 구형의 회전공간(615) 주위로부터 실린더(610)의 양단을 향해 점차 얇아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600)가 포함된 프리텐셔너의 일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는 웨빙이 감기는 토션바(250), 상기 토션바(250)에 연결된 기어부재(550), 전술한 실린더(600), 상기 실린더(600)의 한 부분에 형성된 이동 안내공(612)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 래크(633)가 형성된 피스톤(630), 상기 피스톤(630)의 바닥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원주상의 실링 작용부(632), 상기 실링 작용부(632)의 외주와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630)과 상기 실린더(610)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640) 및 상기 피스톤(630)을 초기 걸림위치에 있도록 걸리게 하는 걸림수단(51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구성부호 690은 실린더(600)의 가스 공급구(611)에 설치되는 인플레이터(690)이다.
도면에서, 상기 실링부(640)는 오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플라스틱 코팅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수단(510)은 기어부재(550)와 연결되고, 상기 토션바(250)가 관통하는 베이스 부재(500)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630)의 래크(633)와 맞물리는 형상의 위치 고정편(511)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위치 고정편(511)은 래크(633) 형상으로 절곡된 판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된 판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강판(51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는 상기 피스톤(6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위치 고정편(51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가이드편(52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편(520)의 피스톤(630)과 대향하는 면은 피스톤(63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실린더(600)에는 상기 피스톤(630)을 안내하는 가이드 커버(67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커버(670)의 안쪽에는 상기 피스톤(630)과 평행한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실제 차량이 충돌하여 급감속할 때에는 실린더(610)에 가스가 공급되고 그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630)이 상향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630)의 측면에 형성된 래크(633)가 이동하면 래크(633)와 결합된 기어부재(550)가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부재(550)가 웨빙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토션바(250)에 웨빙이 되감겨져 탑승자를 좌석에 밀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630)이 가스 압력에 의해 이동할 때에는 오링(640)에 가스 압력이 작용하므로 오링(640)이 피스톤(630)에 눌려 실링 작용부(632)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없다. 이로 인해, 상기 오링(640)이 피스톤(630)과 실린더(600)의 내벽 사이를 밀폐하여 피스톤(630)과 실린더(600)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링 작용부(632)의 둘레를 따라 오링(640)이 설치되는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되면 상기 오링(640)을 보다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조립상태에서 상기 직선의 이동 안내공(612)이 오링(640)의 위치를 지나 더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의 이동 안내공으로 유입되는 가스가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 넓어져 압상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가스 공급구(611)로부터 나온 가스가 피스톤 헤드(631)에 가하는 압력에 의한 압상력이 한층 커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록킹 클러치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실시예>
도28 및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결합 구조는 록킹 클러치(750)의 보스(751)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755), 상기 판 스프링(755)에 고정되도록 로크 아암(760)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761)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록킹 부재(700)라 함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회전되게 하고, 웨빙이 급속한 속도로 풀리거나 되감기는 경우에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록킹 부재(700)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드럼(200), 상기 가이드 드럼(200) 일측에 고정되 는 록킹 베이스(710), 상기 록킹 베이스(710)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750), 상기 록킹 클러치(750)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한된 각도만큼 회전되는 로크 아암(760)을 지칭한다.
상기 록킹 클러치(750)는 도28 및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래치(752)가 형성되며, 록킹 클러치(750) 중앙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710)에 끼워지는 관통 구멍(7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753) 바깥쪽에는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보스(7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751)에는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된 판 스프링(755)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755)의 타단은 이격되어 있는 스토퍼(754)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755)의 타단은 로커 아암(760)의 고정편(761)에 고정되고, 보스(751)가 돌출된 일측면에는 상기 로커 아암(7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754)가 소정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함께 록킹 클러치(750)의 타측면에는 록킹 베이스(710)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711)에 삽입되는 돌기편(756)이 형성되고, 이 돌기편(756)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757)이 결합된다.
또한 판 스프링(755)은 그 일단이 보스(751)에 고정되는데, 판 스프링(755)은 보스(751)에 형성된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스(751)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형태로 이루어져 그 끝단이 보스(751)에 형성된 홈이나 구멍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커 아암(760)의 소정 위치 즉, 판 스프링(755)과 접하는 면에 는 판 스프링(755)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편(761)이 형성되고, 이 고정편(761)에는 판 스프링(755)이 고정되도록 관통된 구멍이나 홈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는 가이드 드럼(200)의 일측면에 록킹 베이스(710)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록킹 베이스(710) 일측면에는 상기 록킹 클러치(75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록킹 클러치(750) 일측면에는 로커 아암(760)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 클러치(750) 외측에는 메커니즘 커버(900)가 고정된다.
이러한 록킹 클러치(750)에 결합되는 판 스프링(755)은 그 일단을 중앙의 보스(751)에 형성되어 있는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750)의 타단은 고정편(761)에 형성되어 있는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웨빙을 잡아당기거나 인출된 상태에서 웨빙이 되감기게 되는데, 이러한 웨빙의 풀림 및 되감기는 동작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기본 작동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탑승자가 웨빙을 착용하기 위해 적당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 드럼(200)이 회전되어 웨빙이 풀리게 되고, 당겨져 있는 웨빙을 놓게 되면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케이스(도면상 미도시됨)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되감기게 된다.
이러한 웨빙이 풀리거나 및 되감기는 작동 발생 시에 가이드 드럼(200)이 급격한 속도로 회전되면,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는 작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웨빙의 풀림이나 되감기 작동 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가이드 드럼(200)과 함께 록킹 베이스(710) 및 록킹 클러치(750)가 회전되고, 더불어 록킹 클러치(750)에 설치되어 있는 로커 아암(760)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된다.
즉, 탑승자가 웨빙을 너무 빠른 속도가 아닌 보통의 속도로 당겨 웨빙이 풀리는 경우 가이드 드럼(200)의 회전과 함께 록킹 부재(700)인 록킹 베이스(710), 록킹 클러치(750) 및 로크 아암(760)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록킹 부재(700)가 회전될 때 웨빙의 당겨지는 속도가 빨라지면, 록킹 부재(700)에는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되는 회전 관성력(모멘트)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회전 관성력은 록킹 클러치(750)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 아암(76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회전된 로크 아암(760)은 메커니즘 커버(900)의 래치에 걸리게 되어 웨빙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록킹 부재(700)가 회전될 때 웨빙의 당겨지는 속도가 빨라져면, 록킹 부재(700)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710)에 결합되어 있는 폴(도면상 미도시됨)이 작동되는 회전 관성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로크 아암(760)과 록킹 베이스(710)의 폴에 생기는 회전 관성력은 웨빙이 당겨지는 속도 및 회전력에 의해 회전 관성력(모멘트)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 며, 상기 로크 아암(760) 및 폴이 모멘트에 따라 별도로 작동되어 웨빙의 감김 및 풀림을 저지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
도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a)은 일단이 보스(751)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스토퍼(754)에 고정된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는 판 스프링(755a)의 일단이 보스(751)에 고정되나, 제2실시예는 판 스프링(755a)의 일단이 스토퍼(754)에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755b)의 타단은 로크 아암(760)의 고정편(761)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판 스프링(755a)의 형상만 다르며, 록킹 클러치(750) 및 로커 아암(760)의 작동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3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 스프링(755b)은 그 일단이 로크 아암(760)의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판 스프링(755b)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스프링(755b)의 중간 부분이 상기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 심을 감싸는 원형 또는 원호 형상으로 감기게 되며, 판 스프링(755b)의 타단은 스토퍼(754) 일측에 고정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755b)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는 각도를 갖는 양쪽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이 상기 로커 아암(760)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754)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판 스프링(755b) 일단은 상기 로커 아암(760)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판 스프링(755b)의 타단은 스토퍼(754)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고정단이다.
이러한 판 스프링(755b)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판 스프링(755b)이 탄성력에 의해 로커 아암(760)의 회전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이고, 타단은 스토퍼(754)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어 웨빙이 급속하게 풀리거나 되감기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로커 아암(760)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3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c)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은 상기 로크 아암(760)에 고정되고, 타단은 로커 아암(760)의 회전 중심을 가로질러 록킹 클러치(750)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758) 일측에 고정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755c)의 일단은 로커 아암(760)에 고정되고, 판 스프링(755c)의 타단은 로커 아암(760)의 회전 중심을 지나 록킹 클러치(750)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758) 일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d)의 일단은 탄성력에 의해 로커 아암(760)의 회전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이고, 타단은 고정돌기(758)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어 웨빙이 급속하게 풀리거나 되감기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
도3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서 상기 판 스프링(755d)은 판 스프링(755d)의 중간 위치에 원호상으로 된 만곡부(75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판 스프링(755,755a,755b,755c) 중간 위치에 원호상으로 된 만곡부(75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실시예와 같은 판 스프링(755b)은 로커 아암(760)의 회전 중심을 감싸는 원호 외에 로커 아암(760)의 회전 중심과 판 스프링(755b)의 선단 중간 위치에 만곡부(756)가 형성된다.
이러한 만곡부(756)는 판 스프링(755,755a,755b,755c)의 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판 스프링(755,755a,755b,755c)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판 스프링(755,755a,755b,755c)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록킹 클러치(750) 및 로커 아암(760)의 작동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
도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제6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e)은 다단이 연속되게 이루어진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6실시예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록킹 클러치(750) 및 로커 아암(760)의 작동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베이스(700)의 사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클러치(710)의 사시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암(720)의 사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폴(73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그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5에 도시된 록킹 베이스(700)는 결합부(701)를 통해 토션 바에 결합되며, 고정부(702)가 도 36에 도시된 록킹 클러치(710)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다.
또 록킹 베이스(700)의 일면에는 리턴 스프링 삽입부(70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폴 작동부(704)가 형성된다. 이 폴 작동부(704)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폴(730)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과 살 보강부(70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킹 베이스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폴을 안내하기 위한 커버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살 보강부(705)가 록킹 베이스(700)과 일체로 마련되므로, 토션 바의 회전과 연동하는 록킹 베이스의 비틀림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730)은 폴 본체부(731)와 상기 폴 본체부에서 돌출된 연동핀(730)을 구비하고, 이 폴 본체부(731)는 본체부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마련한 종래 기술과 달리 단일 곡면으로만 형성된다. 또 단일 곡면으로 형성된 폴 본체부(731)의 외경은 폴 작동부(704)에서 폴(730)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폴 본체부(73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폴 작동부(704)에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스토퍼의 이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 공간을 록킹 베이스의 형성 부재로 채우므로, 록킹 베이스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록킹 클러치(710)에 있어서, 도 36에 도시된 형태의 하부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700)가 끼워맞춰지고, 상부에는 록킹 암(720)이 끼워맞춰지며, 록킹 암(720)이 끼워맞춰지는 록킹 클러치(710)의 부분에는 웨빙의 인출시 작동하지 않고 되감기 시에만 작동하는 프릭션 스프링(도시 생략)을 걸어맞추는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가 형성된다.
이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록킹 클러치(710)의 본체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적용되는 록킹 암(720)의 전면 및 이면에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홈부(7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록킹 암(720)에 2개의 홈부(721) 만을 형성하는 이유는 종래의 록 암(19)에 형성된 다수의 홈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록킹 암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록킹 암(720)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해제 부세 스프링(22)에 인가되는 힘을 감소되어 스프링(22)의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도 35 내지 도 38에 도시된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의 결합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록킹 베이스(700)의 일 측면에 인접하고 고정부(702)를 통해 도 36에 도시된 원판형상의 록킹 클러치(7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록킹 베이스(700)의 내부에 형성된 폴 작동부(704)에 폴(730)이 삽입된다. 즉 폴 작동부(704)에 형성된 안내 홈으로 단일 곡면으로 이루어진 폴 본체부(731)가 삽입된다.
록킹 클러치(710)의 한 측면에는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가 돌설되고, 이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711)에는 웨빙의 인출시 작동하지 않고 되감기 시에만 작동하는 프릭션 스프링이 걸어맞춰진다.
또한 록킹 클러치(710)의 다른 측면에 리턴 스프링이 장착되어 리턴 스프링 삽입부(703)에 상대 이동 자유롭게 내장된다. 이 리턴 스프링에 의해 록킹 클러치(710)가 웨빙의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상태로 록킹 베이스(700)와 동기 회전한다.
또한, 록킹 클러치(710)에는 폴(730)의 본체부(731)에 돌설되는 연동핀(730)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있고, 리턴 스프링의 힘에 대항한 록킹 베이스(700)와 록킹 클러치(71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연동핀(730)이 가이드 홈에 따라 슬라이딩 안내된다.
또한, 록킹 클러치(710)에는 록킹 암(721)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요동 스토퍼가 마련됨과 동시에 해제 부세 스프링가 록킹 클러치(710)와 록킹 암(721) 사이에 장착되고, 록킹 암(720)를 걸어맞추거나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록킹 암(720)에 2개의 홈부(721) 만이 형성되므로, 록킹 암(720)의 중량이 감소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웨빙을 인출할 때 가이드 드럼의 회전에 따라 토션 바 및 록킹 베이스(700)가 회전할 때 리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록킹 클러치(710)가 동기 회전된다.
또, 웨빙의 되감기 시에는 록킹 베이스(700)가 회전할 때, 리턴 스프링의 누름력에 의하여 록킹 클러치(710)가 동기 회전된다.
따라서, 웨빙의 급격한 인출 시에는 록킹 클러치(710)의 동기 회전시에 록 킹 암(720)의 회전이 추종하지 않고,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고 회전 방향 후방 측에 관성 지연이 생기고, 록킹 클러치(710)의 동기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폴 작동부(704)의 구성에 의해 록킹 베이스(700)의 강도가 보강되어 웨빙의 인출 및 되감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메카니즘 커버에 웨빙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39 내지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드럼(200), 상기 가이드 드럼(200)에 삽입되는 토션 바(25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500), 상기 하우징(100) 타측에 고정되는 록킹 부재(700) 및 상기 토션 바(250) 일측에 고정되는 베어링 부재(450), 상기 토션 바(250) 타측에 고정되는 캡(800), 상기 토션 바(250)의 선단에 고정되는 메커니즘 커버(9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드럼(200)에는 탑승자를 구속하는 웨빙이 감겨지고, 가이드 드럼(200) 중앙에는 토션 바(250)가 삽입된다. 이러한 토션 바(250)는 가이드 드럼(200)과 함께 회전되며, 토션 바(250)는 웨빙이 구속된 상태에서 가이드 드럼(200)에 작용하는 비틀림 변형 또는 회전 모멘트에 의해 소성 변형되어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가해지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토션 바(250)는 상기 가이드 드럼(200) 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커넥터(400)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록킹 부재(700)가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400)는 토션 바(250)에 끼워져 고정되는 토션 바 결합관(410)이 형성되고, 이 토션 바 결합관(410)에 일체로 연장되는 롤러 전동부(4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400)는 상기 가이드 드럼(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토션 바(250)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토션 바(250) 타측에는 록킹 부재(700)가 고정된다.
상기 록킹 부재(700)는 가이드 드럼(200) 일측에 고정되는 록킹 베이스(710), 상기 록킹 베이스(710) 일측면에 고정되는 록킹 클러치(720) 및 상기 록킹 클러치(720)의 일측면에 로커 아암(730)이 결합된다.
아울러 토션 바 결합관(410)은 토션 바(250)의 일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롤러 전동부(420)는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된다.
즉, 롤러 전동부(420)에는 내주면에 내치 기어(422)가 형성되고, 이 내치 기어(420)는 상기 토션 바 결합관(410)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토션 바 결합관(410)과 내치 기어(420) 사이에 수직의 내측면(423)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된 클러치 롤러(540)는 그 표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 부재(500)에는 클러치 롤러(540)가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게 걸림부(5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510)는 베이스 부재(500)의 중앙 내경(501)을 따라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돌기(513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513a)는 상기 커넥터(400)의 내측면(423)과 밀착된다.
아울러 베이스 부재(500)에는 상기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는 기어 부재(550)가 결합되며, 이 기어 부재(550)는 원판의 일측면에 피니언 기어(552)가 돌출 형성되고, 원판의 타측면에는 상기 클러치 롤러(540)와 접촉되는 경사 기어(553)가 형성된다.
이 기어 부재(550)는 상기 토션 바(250)가 관통되게 결합되고, 경사 기어(553)의 내측에는 베어링 부재(450)가 삽입되는 베이링 삽입홈(553a)을 형성한다.
즉, 상기 베어링 부재(450)는 베어링 삽입홈(553a)에 끼워져 고정되고, 베어링 부재(450)에는 상기 토션 바(2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베어링 부재(450)는 금속 재질로 되어 있는 토션 바(250)와 기어 부재(550) 사이에 위치하므로 토션 바(250)의 회전 시 금속의 접촉으로 소음이나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 부재(550)에는 피스톤(630)을 내장한 실린더(600)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552)와 피스톤(630)은 맞물려 있어 피스톤(630) 상승으로 피니언 기어(5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다.
아울러 가이드 드럼(200) 타측에는 가이드 드럼(200)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록킹 부재(700)가 고정되는데, 록킹 베이스(710)는 가이드 드럼(20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록킹 베이스(710) 및 록킹 클러치(720)는 가이드 드럼(200)과 함께 회전되고, 가이드 드럼(200)이 급속하게 작동되는 경우에 록킹 베이스(710)에 결합 되어 있는 폴이 하우징(100)의 래치에 걸려 가이드 드럼(20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록킹 베이스(710)는 그 일측면에 가이드 드럼(200)에 끼워져 고정되는 드럼 고정축(715)과 타측면에 메커니즘 커버(900)에 결합되는 커버 고정축(7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고정축(716)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된 캡(800)이 씌워지며, 이 캡(800)의 일측에는 메커니즘 커버(900)의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돌출부(820)가 형성되고, 제1돌출부(820)와 대향되는 면에는 커버 고정축(716)에 고정되는 삽입홈(825)이 형성된다.
이와 갈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는 탑승자가 웨빙을 잡아당겨 풀어주거나 웨빙이 되감기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웨빙을 풀어주거나 되감기는 평상의 작동 시 가이드 드럼(200) 및 토션 바(250)가 회전되며, 토션 바(250)의 양단은 하우징(100)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 부재(550)와 록킹 부재(7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토션 바(250)의 회전은 기어 부재(550)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부재(450)와 록킹 베이스(710)에 고정되어 있는 캡(800)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토션 바(250)와 기어 부재(550)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450)가 끼워져 있 어 마찰이나 마모 없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록킹 베이스(710)와 메커니즘 커버(900) 사이에는 캡(800)이 끼워져 있어 마찰이나 마모 없이 회전이 이루어져 토션 바(25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웨빙이 급속하게 당겨짐에 따라 웨빙이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 즉, 웨빙의 풀림이 저지된 상태에서 웨빙에는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인장력은 회전체인 가이드 드럼(200) 및 토션 바(250)에 전해지게 된다.
이때 가이드 드럼(200)은 하우징(10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가이드 드럼(200)으로 전해진 인장력은 토션 바(250)로 전달되고, 이 토션 바(250)에서 웨빙의 인장력을 받아 비틀림 변형 또는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토션 바(250)는 그 자체의 강도에 의해 인장력에 따른 변형 없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토션 바(25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토션 바(250) 자체의 강도 보다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토션 바(250)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토션 바(250)의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는 경우 토션 바(250)는 그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토션 바(250)의 일단은 기어 부재(550)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부재(450)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토션 바(250)의 타단은 록킹 베이스(710)에 고정되어 있는 캡(8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토션 바(250)는 위치 변화 없이 제자리에서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베어링 부재(450)와 캡(800)은 토션 바(250)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의 원주 방향 즉, 베어링 부재(450)와 캡(800)의 외주면으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토션 바(250)의 형태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500)의 돌기(513a)는 커넥터(400)의 내측면(423)에 밀착되어 있어 축 방향 즉, 토션 바(250)의 수평상으로 작용하는 모멘트에 토션 바(250)의 위치 변화 또는 토션 바(25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흡수하여 감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캡(800)은 도43 및 도44원형의 베이스로부터 돌출된 제2돌출부(810)와, 상기 제2돌출부(810)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820)를 갖고, 상기 원판 형상의 베이스(812)와 제2돌출부(810) 및 제1돌출부(820)는 동심 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2돌출부(810)는 캡(800) 베이스(812)의 지름보다 작은 원형으로 돌출되고, 제1돌출부(820)는 제2돌출부(810)의 지름보다 작은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며, 제2돌출부(810)의 돌출된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800)은 록킹 클러치(710)가 조립된 록킹 부재(700)의 제2고정부(702)에 삽입되되, 캡(800)의 제2돌출부(810)는 그 후 조립되는 메카니즘 커버(900)의 중앙홈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고, 프릭션 스프링(95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프릭션 스프링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810, 820)의 내측은 록킹 부재(700)의 제2고정부(702)에 삽입되도록 비어 있고, 제2고정부(70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돌출부(810, 820)의 경계 부분은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출부(820)의 내측부는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일직선부를 갖고, 상기 일직선부는 각각 완만한 곡선으로 연결되어 꼭지점 부분이 완곡한 곡선을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캡(800)이 제1돌출부(820)에서 따로 회전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일직선부 중 어느 한 일직선부의 중앙에는 반원 형상의 홈(813)을 형성하여 제2고정부(702)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702')의 형상에 맞춰 일직선부를 갖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일직선부의 중앙에는 반원 형상의 홈(813')을 형성하여 제2고정부(702')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캡(800)의 베이스 일측에는 베이스(812)의 외주면 일지점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814)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814)의 방향을 통해 제2고정부(702)와 조립시 제2고정부와 제1돌출부의 형상을 맞추지 않고 바로 조립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오조립시 돌출된 돌기부(814)를 통해 쉽게 캡(800)을 분리한다.
특히, 상기 돌기부(814)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분리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47 내지 도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카니즘 커버(900)는 크게 상측에 록킹 클러치(710)가 끼워지는 원형의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와, 그 아래쪽 일측에 형성되어 비이클 센서(930)가 조립되는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로 구성된다.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 중앙에는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와 동심을 갖고, 록킹 부재(700) 제2조립부(701)에 조립되는 캡(8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캡(800)의 상측 둘레에보다 큰 지름을 갖는 돌출부(911)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911)에는 프릭션 스프링(950)이 삽입된다. 특히, 상기 프릭션 스프링(95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911)의 둘레에는 스프링 삽입홈(915)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와 동심을 갖는 걸림부(9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912)는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안쪽 면에 이가 형성되며, 록킹 클러치(710)의 둘레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로커 암(720)의 끝단부가 걸림부(912)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록킹 클러치(710)의 외측면은 록킹 클러치(710)의 둘레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되고, 둘레면과 요입부의 연결부(913)는 완만한 경사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메카니즘 커버의 상기 돌출부(911) 주변의 외측면은 외주보다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의 외측면에 중앙에는 산 형상의 살빼기부(914)가 형성된다. 상기 살빼기부(914)는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의 내측에 위치한 돌출부(911)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지 두께 증가에 의한 수축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록킹 클러치(710)의 아래쪽 일측에는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의 일면과 록킹 클러치(710) 사이에는 연 장부(940)가 형성되어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와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한다. 특히, 상기 연장부(940)는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의 일측에 그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록킹 클러치(710)와 비이클 센서 조립부(920) 사이의 연결강도를 높이게 되어 있다.
메카니즘 커버(900)에는 상기 메카니즘 커버(900)를 하우징(100)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핀부(942)가 다수개 형성되며, 메카니즘 커버(9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941) 및 연장부(940)의 면에 수직방향으로 조립핀부(942)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연장부(940)의 단부(端部)에 조립핀(941)이 설치되어 있어 조립되는 영역(조립핀들 사이를 연결한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재(941)와 연장부(940)는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의 외주면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오조립으로 인한 분리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카니즘 커버(900)는 하우징(100) 일측에 형성된 조립홀에 다수개의 조립핀부(942)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록킹 클러치 조립부(910)에는 록킹 부재(700)가 삽입되고 로커 암(700)이 조립된 록킹 클러치(710)가 안착된다.
이때, 록킹 부재(700)의 제2고정부(702)에 삽입된 캡(800)은 메카니즘 커버(900)에 조립된 프릭션 스프링(950)을 지지하여 프릭션 스프링(950)이 유동등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5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 고, 도5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51 및 도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 구조체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작동을 저지시키도록 록킹 베이스, 록킹 클러치 및 로커 암으로 이루어진 록킹 부재(7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메커니즘 커버(900)와 상기 메커니즘 커버(900) 하부에 내장되는 비이클 센서(9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메커니즘 커버(900)는 도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일면이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된 면으로부터 상기 원통형 보다 작은 직경으로 래치(910)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수용부(9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 커버(900)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일측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도면상 미도시됨)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메커니즘 커버(900) 내부에는 웨빙이 자연스럽게 감기거나 풀리는 경우에는 원활하게 회전되는 록킹 부재(7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700)는 웨빙이 감기는 가이드 드럼(200)에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결합되는 로커 암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록킹 부재(700)는 웨빙 및 가이드 드럼(200)과 같이 회전되는데, 상기 록킹 베이스에는 폴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폴의 작동에 따라 폴이 래치에 걸리게 됨에 따라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920)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비이클 센서(930)가 내장된다. 이 수용부(920)는 저면이 개방되고, 수용부(920) 양측면에는 동일한 위치에 고정 구멍(921)이 형성된다.이러한 고정 구멍(921)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920) 내측면에는 개방된 저면으로부터 고정 구멍(921)까지 가이드(9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922)와 내측면 사이에는 가이드 홈(922)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수용부(920) 일측에는 연장부(924)가 형성되는데, 이 연장부(924)는 메커니즘 커버(900)와 수용부(920)에 일체로 연장되어 수용부(920)가 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강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비이클 센서(930)에는 반구형으로 된 반구홈(도면상 미도시됨)이 형성되고, 비이클 센서(930)의 외측면 즉, 상기 고정 구멍(921)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931)가 형성된다. 이 고정돌기(931)는 고정 구멍(92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가이드(922) 및 가이드 홈(923)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비이클 센서(9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구홈에는 구형으로 된 구(932)가 내장되며, 비이클 센서(930) 상부 쪽에는 구(932)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되는 걸림구(933)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구(933)는 상기 구(932)의 움직임에 따라 걸림구(933)가 상부 또 는 측방으로 이동되어 록킹 부재(700)의 록킹 클러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래치에 걸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920) 내부에는 수용부(920) 안쪽으로 돌출되는 단턱(925)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925)은 상기 비이클 센서(930)의 상면과 접한 상태에서 수용부(920) 저면으로 비이클 센서(930)가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형성되는 단턱(925)은 비이클 센서(930)가 끼워지면서 그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구(933)가 상기 메커니즘 커버(900)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어 삽입되게 한다.
이는 상기 걸림구(933)가 정위치에 조립되지 않으면, 구(932)의 움직임으로 작동되는 걸림구(933)가 작동되지 않아야 되는 경우에 작동되어 웨빙의 풀림이나 되감기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단턱(925)은 비이클 센서(930)와 조립되는 정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커버 구조체 조립은 작업자가 한 손에는 메커니즘 커버(900)를 잡고, 다른 한 손에는 비이클 센서(930)) 잡은 상태에서 고정 구멍(921)과 고정 돌기(931)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이클 센서(930)를 수용부(920) 쪽으로 밀어 넣으면 비이클 센서(930)의 고정 돌기(931)는 가이드(922) 및 가이드 홈(923)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고정 구멍(921)에 끼워져 고 정된다.
즉, 작업자는 수용부(920)에 비이클 센서(930)를 밀어 넣어줌에 따라 비이클 센서(930)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비이클 센서(930)는 고정 돌기(931)가 고정 구멍(921)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수용부(920)의 저면이 개방되어 있더라도 비이클 센서(930)는 조립된 상태를 안정정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 작업에 따라 수용부(920)는 메커니즘 커버(900)와 연장부(924)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수용부(920)의 변형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용 하우징은 간단한 구조와 불필요한 부분의 살빼기 등으로 인해 중량이 감소되고,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고 실린더 등 주위 구조와의 밀착성이 좋아지므로 한층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체에 안전벨트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에 조립되는 부품들과의 조립이 용이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결속주의 안내면이 상기 제1 결속주의 일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웨빙이 제2 결속주의 안내면에 간섭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홈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성이 증가한다.
아울러, 권취롤러에는 일정한 크기의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전체 중량을 경량화함과 동시에 더욱 높은 회전력과 마찰을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편과 파지편 사이에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의 경계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경계부는 상기 탄성편과 파지편의 외면과 내면을 각각 매끄럽게 연결하여 형성되므로 가이드 드럼과 록킹부재의 회전 등 동적 거동시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편과 파지편의 구체적 형상을 특정함으로써 종래의 보강 리브를 형성하지 않고도 가이드 드럼에 록킹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이드 드럼의 스토퍼 결합홈에 고정홈이 형성된 것과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드럼에 커넥터의 토션바 결합관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중앙 내경 둘레를 따라 클러치 롤러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클러치 롤러가 출입하는 측면의 제2개방부, 및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개방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측면의 제1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어 부재에 의해 클러치 롤러가 회전 작동하는 경우에도 바깥쪽으로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개방부가 중앙 내경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표면에 곡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로부터의 축방향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내경 둘레의 플랜지에서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 받침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클러치 롤러가 기어 부재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 중 폭이 좁은 부분에는 중앙 내경의 둘레를 따라 연장 리브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 작동시 걸림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클러치 롤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와 기어 부재를 바라보면서 조립하므로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클러치 롤러는 걸림부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클러치 롤러가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클러치 롤러는 경사 기어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되어 커넥터를 회전시켜 웨빙을 되감아 주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왕복하는 직선의 이동 안내공이 최초 조립상태에서의 오링 위치를 지나 더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동 안내공에서 피스톤 헤드의 하부 공간을 매우 넓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의 이동 안내공으로 유입되는 가스가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 넓어져 압상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기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이동 안내공에서 단턱을 없앨 수 있어 수압(受壓) 면적이 크게 넓어지므로 피스톤에 대한 충분한 압상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린더의 바깥 모서리 부분에 후육부를 형성하여 고압의 가스 분출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록킹 클러치에 설치되는 로커 아암을 리턴시키는 판 스프링이 간편하게 조립되고, 판 스프링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 효율을 높이게 되며, 판 스프링을 만곡부 또는 다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판 스프링의 탄성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판 스프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록킹 클러치 및 로커 아암의 형태가 변형되어도 적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의하면, 긴급 록킹 기구의 구성 부품을 간소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의 긴급 록킹 기구에 의하면, 록킹 암의 중량을 감소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을 장시간 유지하고, 토션 바의 회전과 연동하는 록킹 베이스의 비틀림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므,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베어링 부재 및 캡이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에도 토션 바가 원활하게 회전되게 지지하고, 베이스 부재와 커넥터에 의해 토션 바의 축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토션 바의 위치 변화 또는 형태적인 변형을 흡수하여 감쇄시키게 되며, 커넥터는 토션 바의 회전 시 돌기와의 접촉 저항이 작아 토션 바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용 캡은 록킹 부재에 용이하게 밀착 고정되고,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안전벨트용 메카니즘 커버는 웨빙이 감길 때 록암의 작동 방지가 용이하다.
또한, 제작이 간단하고, 하우징으로부터 메카니즘 커버를 분리할 때 손상이나 파손 없이 분리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커버 구조체는 메커니즘 커버에 조립되는 비이클 센서의 조립을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수용부가 연장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장기간 설치되어 있더라도 수용부 변형을 방지하게 되며, 비이클 센서가 조립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 능률을 높이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87)

  1.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가이드 드럼,
    상기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감싸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끼워지는 기어 부재,
    상기 기어부재를 작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가이드 드럼에 삽입되는 토션 바,
    상기 토션 바 및 상기 가이드 드럼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록킹 부재,
    상기 록킹 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의 일면에 설치된 메커니즘 커버,
    상기 메커니즘 커버에 내장되어 상기 록킹 클러치에 고정된 로커 암의 작동을 저지시키는 프릭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가 상기 기어 부재의 회전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커넥터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가 이격 배치되어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 측변으로부터 각각 수직으로 절곡된 2개의 측판을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2개의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는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홀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삽입홀의 아래쪽 일측에는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삽입홀이 형성된 측판에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측판 일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에는 상하 부분에 고정홀과 볼트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부의 상단에는 살빼기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의 상측부는 스토퍼인 것을 측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에는 메카니즘 커버 하측에 형성된 비이클 센서 조립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 결합공과 웨빙이 관통하는 2개의 웨빙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결속주와 제2 결속주 및 제3 결속주를 갖는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의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제2 결속주의 안내면은 상기 제1 결속주의 일측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되어 제1 웨빙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속주의 경사진 안내면은 상기 제1 결속주의 일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제1 결속주의 모서리를 향해 매끄러운 형상으로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끄러운 형상은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플랜지의 외면 중앙에는 6각의 커넥터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결합홈의 적어도 마주보는 한 쌍의 내면에는 바깥쪽으로 파인 결합 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홈은 반구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속주의 외면 둘레에는 직사각형의 함몰부가 복수개로 형성있으며, 제1 결속주에 형성되는 함몰부는 장변이 권취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결속주와 제3 결속주에 형성되는 함몰부는 장변이 권취롤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드럼과 록킹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략 'ㄷ'자형 탄성편, 상기 탄성편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원호형의 내면을 가지는 2개의 파지편, 및 상기 2개의 파지편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원호형의 내면을 가지는 받침편으로 구성된 안 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탄성편과 파지편 사이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의 경계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경계부는 상기 탄성편과 파지편의 외면과 내면을 각각 매끄럽게 연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과 파지편 사이의 경계부 내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2개의 파지편의 외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웨브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8. 제14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과 파지편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9. 제1항에 있어서,
    차량용 리트랙터에서 가이드 드럼에 회전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하는 토션바 결합관와, 상기 토션바 결합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다수의 클러치 롤러와 맞물리는 롤러 전동부를 구비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토션바 결합관은 중공부를 갖는 육각기둥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전동부는 바닥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둘레에는 내치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컵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토션바 결합관의 마주보는 양변에는 외측방향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토션바 결합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1. 제2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롤러 전동부의 반대쪽을 향해 점차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2. 제1항에 있어서,
    안전벨트 리트랙터에서 중앙 내경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내경을 중심으로 일면에는 기어부재가 결합되고 타면에는 커넥터가 연결되며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조립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중앙 내경 둘레를 따라 상기 클러치 롤러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클러치 롤러가 출입하는 측면의 제2개방부, 및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개방부의 반대쪽에 형성된 측면의 제1개방부가 형성된 중공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앙 내경 둘레의 플랜지에서 커넥터쪽으로 연장되며, 중앙 내경의 안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방부는 중앙 내경의 안쪽에 형성되고, 제1개방부는 중앙 내경의 바깥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방부의 면적이 제1개방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개방부와 제1개방부는 마주보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7. 제22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는 곡형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8.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내경 둘레의 플랜지에는 상기 연결부의 반대쪽에 받침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받침판은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0.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중 폭이 좁은 부분에는 중앙 내경의 둘레를 따라 연장 리브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1. 제1항에 있어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드럼, 상기 가이드 드럼에 고정되는 커넥터 및 내장된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들 안쪽에 위치하되, 원판과 상기 원판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피스톤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원판의 타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경사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클러치 롤러가 외측으로 이동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 맞물려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내경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 롤러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클러치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개방 된 제1개방부 및 상기 클러치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기어 부재의 경사 기어와 접촉되도록 개방된 제2개방부,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롤러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기어는 초기 조립 상태에서 원형으로 된 상기 클러치 롤러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원호면과, 상기 원호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경사 기어의 회전으로 상기 클러치 롤러에 접촉되어 상기 클러치 롤러를 회전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경으로 연장되는 연장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부 및 제2개방부는 각각 원호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클러치 롤러와 맞물리는 톱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의 내경에는 베어링이 삽입되는 베어링 고정홈을 일정 깊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9.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중공형의 L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되 한 부분은 가스 공급구를 형성하고 다른 한 부분은 피스톤이 왕복하는 직선의 이동 안내공이 형성된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피스톤이 왕복하는 직선의 이동 안내공은, 최초 조립상태에서의 실링부의 위치를 지나 더 길게 아래쪽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의 이동 안내공은 가스 공급구를 부분적으로 가로질러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L자의 안쪽에 직선의 이동 안내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후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후육부와 가스 공급구 사이에는 중간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공의 하단과 중간 통로 사이는 부분 구형의 회전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의 회전공간 주위에는 제2 후육부(厚肉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육부는 구형의 회전공간 주위로부터 양단으로 점차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5. 제1항에 있어서,
    웨빙이 감기는 토션바;
    상기 토션바에 연결된 기어부재;
    차량의 급감속시에 가스가 공급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 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한 부분에 형성된 이동 안내공을 따라 이동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에는 래크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바닥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원주상의 실링 작용부;
    상기 실링 작용부의 외주와 결합하여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내벽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 및
    상기 피스톤을 초기 걸림위치에 있도록 걸리게 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플라스팅 코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기어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토션바가 관통하는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래크와 맞물리는 형상의 위치 고정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위치 고정편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피스톤과 평행한 면을 가지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피스톤을 안내하는 가이드 커버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1.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록킹 클러치 및 로크 아암을 감싸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클러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판 스프링에 고정되게 돌출 형성된 고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록킹 클러치 및 로크 아암을 감싸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편,
    상기 록킹 클러치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록킹 클러치 및 로크 아암을 감싸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보스에 끼워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로크 아암,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는 록킹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크 아암에 고정된 판 스프링의 일단은 자유로이 움직이는 자유단이고, 상기 록킹 클러치에 고정된 판 스프링의 타단은 움직이지 않는 고정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록킹 클러치 및 로크 아암을 감싸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로크 아암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고정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5. 제51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일단이 보스에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보스와 상기 고정편 사이에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다단이 연속되게 이루어진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보스의 외주면에 감긴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9. 제1항에 있어서,
    리턴 스프링 삽입부와 폴 작동부를 구비한 록킹 베이스,
    상기 폴 작동부에 삽입되는 폴,
    한쪽 면에 상기 록킹 베이스가 끼워맞춰지는 록킹 클러치 및
    상기 록킹 클러치의 다른 쪽 면에 끼워맞춰지는 록킹 암으로 이루어지는 안전 벨트용 리트랙터로서,
    상기 폴은 폴 본체부와 상기 폴 본체부에서 돌출된 연동핀을 구비하고,
    상기 폴 본체부는 단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폴 작동부에는 상기 단일 곡면의 폴 본체부를 삽입하여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베이스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된 살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곡면으로 형성된 폴 본체부의 외경은 상기 폴 작동부에 형성된 안내 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암의 전면 및 이면에는 각각 2개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암이 끼워맞춰지는 상기 록킹 클러치 부분에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 스프링 걸림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리트랙터.
  66. 제1항에 있어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드럼, 상기 가이드 드럼에 삽입되는 토션 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하우징 타측에 고정되는 록킹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기어 부재를 회전시키는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를 구비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기어 부재의 내경에 결합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록킹 부재에 돌출 형성된 커버 고정축을 감싸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 및 캡은 토션 바의 원주 방향 및 축 방향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 작용 시 상기 토션 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부재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원판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 경사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 기어의 내경에 상기 베어링 부재가 삽입되는 베어링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록킹 베이스의 커버 고정축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록킹 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메커니즘 커버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69. 제67항 또는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클러치 롤러와 맞물리도록 롤러 전동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치 기어와
    상기 롤러 전동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션 바에 고정되는 토션 바 결합관이 형성된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내측면은 상기 돌기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중앙 내경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
    상기 돌기는 상기 롤러 전동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토션 바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토션 바의 원주 방향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를 지 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토션 바의 원주 방향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커넥터는 밀착되어 상기 토션 바의 축 방향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와 상기 캡은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5.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록킹 부재 일측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 부재에 대향 배치되는 원형의 베이스와
    베이스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는 상기 록킹 부재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제1돌출부로 구성된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와 제1돌출부의 사이 에서 베이스 및 제1돌출부와 동심을 갖는 원형 형상이고, 제1돌출부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항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제2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제1돌출부 사이의 경계 둘레에는 내측에 모따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7.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 일측에는 돌기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9. 제75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내측 홈은 한개 이상의 일직선부를 갖고, 각기 다른 일직선부는 곡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0. 제75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내측 홈은 일직선부를 갖는 반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1.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하우징 일측에 조립되고, 내측에 록킹 클러치 조립부와 비이클 센서 조립부가 형성된 메카니즘 커버에 있어서,
    메카니즘 커버의 내측 중앙에 프릭션 스프링이 조립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즘 커버의 외측 상면부는 외주보다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4.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의 내측에 형성된 래치 및 하부에 비이클 센서를 내장하는 메커니즘 커버를 구비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상기 메커니즘 커버의 하부에 비이클 센서가 내장되게 저면을 개방시킨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 구멍,
    외측면에 상기 고정 구멍과 결합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비이클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서 비이클 센서를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 상부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비이클 센서의 삽입되는 높이를 제한하도록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정 구멍에서부터 저면까지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즘 커버의 측면 일부와 수용부 일측에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20070048823A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0878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23A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
CN2007101397598A CN101306676B (zh) 2007-05-18 2007-07-30 座椅安全带卷收器
BRPI0705972-8A BRPI0705972A2 (pt) 2007-05-18 2007-07-30 retrator de cinto de segurança
JP2007197540A JP4189019B2 (ja) 2007-05-18 2007-07-30 安全ベルトリトラクター
EP08156305A EP1992528B1 (en) 2007-05-18 2008-05-15 Seat belt retractor
US12/152,640 US8646717B2 (en) 2007-05-18 2008-05-15 Seat belt retractor
AT08156305T ATE554977T1 (de) 2007-05-18 2008-05-15 Sicherheitsgurtauf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23A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564A true KR20080101564A (ko) 2008-11-21
KR100878105B1 KR100878105B1 (ko) 2009-01-14

Family

ID=3971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823A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46717B2 (ko)
EP (1) EP1992528B1 (ko)
JP (1) JP4189019B2 (ko)
KR (1) KR100878105B1 (ko)
CN (1) CN101306676B (ko)
AT (1) ATE554977T1 (ko)
BR (1) BRPI07059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9387B4 (de) * 2008-11-27 2018-06-2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nd einer Straffeinrichtung
US8016343B2 (en) 2009-01-21 2011-09-13 Lippert Components Manufacturing, Inc. Retractable room actuation assembly for recreational vehicle
GB2472433B (en) * 2009-08-06 2011-06-29 Martin Baker Aircraft Co Ltd A pawl assembly
JP5456423B2 (ja) 2009-09-16 2014-03-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518654B2 (ja) * 2010-09-17 2014-06-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2060217B (zh) * 2010-10-29 2014-06-18 宁波大叶园林工业有限公司 有球位置锁及多阻尼机构的绕管装置
KR101176787B1 (ko) * 2010-11-23 2012-08-24 주식회사 디비아이 프리텐셔너
JP5753736B2 (ja) * 2011-06-07 2015-07-22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5734889B2 (ja) 2012-02-10 2015-06-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機構
JP2013184605A (ja) * 2012-03-08 2013-09-19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819331B2 (ja) * 2013-01-15 2015-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924500B2 (ja) * 2013-01-31 2016-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CN104742855A (zh) * 2013-12-30 2015-07-01 常州博万达汽车安全设备有限公司 安全带连接装置
CN104742856A (zh) * 2013-12-30 2015-07-01 常州博万达汽车安全设备有限公司 安全带卷收器
CN104494558B (zh) * 2014-12-01 2017-09-12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限力停止功能的安全带卷收器
JP6509634B2 (ja) * 2015-05-22 2019-05-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306537B2 (ja) 2015-05-29 2018-04-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5398417B (zh) * 2015-10-29 2018-04-20 北华航天工业学院 一种安全带卷收器
TWI756362B (zh) * 2017-02-13 2022-03-01 日商小糸電工股份有限公司 長條部件支撐裝置、後殼以及帶後殼座椅
US10399540B2 (en) 2017-03-28 2019-09-03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retractor with energy absorbing mechanism
CN110962793B (zh) * 2018-09-28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卷绕装置及具有其的车辆
CN111115388B (zh) * 2018-10-30 2021-11-19 陈金柱 紧固装置
US11014529B2 (en) 2019-04-30 2021-05-2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retractor
CN112389364B (zh) * 2019-08-16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用卷绕器及车辆
CN111674355B (zh) * 2020-06-23 2024-05-03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安装结构和卷收器
CN112683554A (zh) * 2021-01-28 2021-04-2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带自锁锁舌动态性能测试装置及方法
CN115609949B (zh) * 2022-10-17 2023-06-16 浙江联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预成型碳纤维编织物生产设备
US11975681B1 (en) * 2023-02-06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limiting seatbelt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8232A (en) * 1978-04-18 1979-10-26 Takada Kogyo Kk Emergency lock system belt takinggup motion
US4278216A (en) * 1979-04-19 1981-07-14 Juichiro Takada Double-safety emergency locking belt retractor
SE449722B (sv) * 1980-06-02 1987-05-18 Takata Kojyo Co Nodfallslasande upprullningsdon for fordonssekerhetsbelte
JPS5740456U (ko) * 1980-08-19 1982-03-04
EP0228115A1 (en) * 1982-04-20 1987-07-08 Ase (Uk) Limited Emergency locking vehicle seat belt retractor
DE3534048A1 (de) * 1985-09-24 1987-04-16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rueckstrammeinrichtung
US4726540A (en) * 1986-11-17 1988-0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sensitivity seat belt retractor
DE58902463D1 (de) * 1989-02-17 1992-11-19 Trw Repa Gmbh Sicherheitsgurtaufroller.
JP3093852B2 (ja) * 1992-01-30 2000-10-0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GB9215855D0 (en) * 1992-07-25 1992-09-09 Bsrd Ltd Improvements to emergency locking passenger safety belt mechanisms
JP3322773B2 (ja) * 1994-07-06 2002-09-09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WO1996003295A1 (en) * 1994-07-21 1996-02-08 Alliedsignal Inc. Seat belt retractor and improved sensing mechanism
US5495994A (en) * 1994-09-07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ertia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DE19541449C2 (de) * 1994-11-07 2000-10-26 Sungwoo Corp Sicherheitsgurtblockiervorrichtung
JP3609465B2 (ja) 1994-11-11 2005-01-12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4442404C2 (de) * 1994-11-30 1999-07-01 Schaeffler Waelzlager Ohg Verdrehsicherung für einen Kunststoffkäfig eines Freilaufs
JP3787001B2 (ja) * 1996-05-24 2006-06-21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19758495C2 (de) * 1997-08-12 2003-12-04 Hs Tech & Design Sicherheitsgurtaufroller
JP3836971B2 (ja) 1998-02-05 2006-10-2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5984223A (en) * 1998-06-05 1999-11-16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and its spool
JP3980777B2 (ja) * 1998-11-02 2007-09-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437488B2 (ja) 1999-02-16 2003-08-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A2361712C (en) * 1999-02-16 2007-10-2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take-up device
JP3842622B2 (ja) 2001-11-13 2006-11-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1151077A (ja) * 1999-02-26 2001-06-05 Takata Corp プリテンショナ
JP3645445B2 (ja) 1999-04-09 2005-05-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607114B2 (ja) 1999-04-09 2005-01-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490630B2 (ja) 1999-04-16 2004-01-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ー
JP3628907B2 (ja) 1999-04-16 2005-03-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GB2349119B (en) * 1999-04-21 2001-05-30 Breed Automotive Tech A sensor for a seat belt retractor
JP3885983B2 (ja) 1999-04-27 2007-02-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3886665B2 (ja) * 1999-04-28 2007-02-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JP4785246B2 (ja) * 1999-12-15 2011-10-05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3984061B2 (ja) * 2002-01-25 2007-09-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3996779B2 (ja) 2002-01-25 2007-10-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3934483B2 (ja) 2002-05-21 2007-06-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3938887B2 (ja) 2002-05-29 2007-06-27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6698677B1 (en) * 2002-11-12 2004-03-02 H. Koch & Sons Co., Inc. Restraint pretensioner
JP4081359B2 (ja) 2002-11-28 2008-04-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装置
CN1511741A (zh) * 2002-12-30 2004-07-14 德尔斐自动化系统星宇株式会社 安全带收紧器的预张力器
JP4295552B2 (ja) * 2003-05-16 2009-07-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98394B2 (ja) 2003-09-18 2006-07-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ー
JP2005271623A (ja) * 2004-03-23 2005-10-06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308699B2 (ja) * 2004-04-09 2009-08-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6213131A (ja) * 2005-02-02 2006-08-17 Tokai Rika Co Ltd 固定具及び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471109B2 (ja) 2005-02-02 2010-06-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装置
US7401815B2 (en) * 2005-03-17 2008-07-22 Antoliv Asp, Inc. Dual spool retractor seat belt system
KR100717678B1 (ko) 2005-11-07 2007-05-11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2528A3 (en) 2010-07-07
JP4189019B2 (ja) 2008-12-03
US8646717B2 (en) 2014-02-11
EP1992528A2 (en) 2008-11-19
CN101306676A (zh) 2008-11-19
EP1992528B1 (en) 2012-04-25
BRPI0705972A2 (pt) 2009-03-17
KR100878105B1 (ko) 2009-01-14
US20090057466A1 (en) 2009-03-05
CN101306676B (zh) 2012-01-11
JP2008285138A (ja) 2008-11-27
ATE554977T1 (de)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105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
JP6450447B2 (ja) シートベルト用の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481964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145368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471109B2 (ja) プリテンショナ装置
JP4189018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のロッキング部材結合構造
KR100850922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JP2016203918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8039345A (ja) プリテンショナ、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JP3662800B2 (ja) 乗員拘束装置及び動力発生装置
JP200613729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723803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520388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19289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180297553A1 (en) Webbing take-up device
KR100835938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
WO2021087414A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835934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JP521012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N106143403B (zh) 限力卷收器
KR100456572B1 (ko) 차량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셔너
JPH01240345A (ja) シートベルト巻込装置
KR100414603B1 (ko) 프리텐셔너의 트리거 작동 가속도 감지장치
KR100414604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릴역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