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934B1 -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934B1
KR100835934B1 KR1020070048812A KR20070048812A KR100835934B1 KR 100835934 B1 KR100835934 B1 KR 100835934B1 KR 1020070048812 A KR1020070048812 A KR 1020070048812A KR 20070048812 A KR20070048812 A KR 20070048812A KR 100835934 B1 KR100835934 B1 KR 10083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ase member
opening
seat bel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이정민
이병진
이동섭
배상홍
배기영
김종각
김도식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19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면에는 기어부재와 커넥터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를 따라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조립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중앙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용기형 원통에서 양측면이 제거되어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중심에 대하여 제2개구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클러치 롤러가 출입하는 부분인 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부재에 의해 클러치 롤러가 회전 작동하는 경우에도 바깥쪽으로 이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걸림부에 대한 클러치 롤러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차량, 안전벨트,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베이스 부재, 클러치 롤러, 기어 부재, 걸림부

Description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A BASE MEMBER OF RETRACTOR FOR SEAT BELT}
도 1은 종래기술 1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 2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 3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가 결합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베이스 부재 510: 걸림부
511: 제1개구 512: 제2개구
513: 연장부 514: 보강 리브
540: 클러치 롤러 550: 기어 부재
552: 피니언 기어 553: 경사 기어
554: 원호면 555: 경사면
본 발명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감속이나 급제동 시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안전벨트가 작동됨과 함께 안전벨트를 일정 길이만큼 역방향으로 당겨주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들을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안전벨트 또는 에어백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차량의 정면 충돌, 측면 충돌, 전복 등의 사고 발생 시에 작동하여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자를 최대한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기본적인 안전장치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탑승자(이하 '운전자'를 포함한다)의 허리를 감싸 보호하는 허리벨트와 어깨 및 가슴 부위를 감싸는 어깨벨트로 된 3점식 안전벨트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어깨벨트에는 가이드 풀리가 결합되고, 차량의 센터 필러부에 는 벨트를 풀거나 감아주는 리트랙터가 설치되며, 상기 허리벨트는 로커 패널에 장착된다.
또한, 벨트의 중간부분에는 텅(Tung)이 결합되고, 상기 텅은 차량의 플로어부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과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벨트를 감거나 풀어주는 리트랙터는 비로크식 리트랙터(NLR: Non Locking Retractor),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WLR: Web Locking Retractor)의 세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로크식 리트랙터는 어깨, 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잠금되는데 비하여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의 정차 중이나 주행 상태에서 벨트가 자유롭게 신축되므로 신체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차량 충돌 시 차량에 큰 감속도가 가해진 경우뿐만 아니라 벨트의 인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벨트의 풀림이 저지되어 벨트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 충돌시 클램프가 직접 벨트를 잡아주게 되어 벨트의 인출량을 없애주므로 승객의 자세가 전방으로 급격하게 쏠려 큰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인 경우에는 차량 충돌시 약 70㎜ 정도의 벨트 인출을 피할 수 없는데 반하여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 충돌 후 즉시 벨트를 클램프하여 벨트 인출을 차단하므로 탑승자 안전에 가장 높은 효율성이 높은 장점을 가진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175279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 '프리텐셔너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기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프리텐셔너 장치는 차량 급감속 시에 가스 발생수단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이 이동하고, 그 피스톤의 이동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양 만큼 탑승자 구속용 웨브를 층상으로 감아주는 권취축을 웨브 감김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종래기술 1의 프리텐셔너 장치는, 상기 권취축의 축 방향 일단에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면에 피결합면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10), 이 슬리브(10)에 대향하는 동일 축상에 배치된 판상의 기판부(11), 상기 슬리브(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피결합면과 대향되게 배치된 결합면이 형성된 복수의 상승부(12)를 갖는 클러치 부재(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기술 1의 프리텐셔너 장치에는, 상기 클러치 부재(13)에 감합 상태로 배치되고, 차량의 급감속 시에 가스 발생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피스톤이 이동하는 웨브 감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상승부(12)를 피결합면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 작동 부재(14)가 포함된다.
이러한 종래기술 1은 클러치 부재(13)의 기판부(11) 일면에 상승되게 돌출된 상승부(12)가 클러치 작동부재(14)의 회전으로 상승부(12)를 외측으로 확장시켜 슬리브(10)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의 상승부는 기판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클러치 작동부재의 작동시 슬리브와의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슬리브 회전을 정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클러치 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므로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5-17841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에 웨빙 감김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기술하면 이하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웨빙 감김장치는 웨빙벨트를 권취하는 권취축과 외주면의 래칫 기어가 형성된 로크 기어(20), 상기 로크 기어(20)의 래칫 기어(21)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크 플레이트,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록 기어(20)에 계합되어 상기 권취축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로크 수단이 구비된다.
아울러, 종래기술 2는 토션 바 일단에 연결되는 슬리브(22)를 갖고 상기 슬리브(22)를 웨빙 권취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프리텐셔너 기구의 슬리브(22)가 로크 수단의 로크 기어(2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 플레이트(23)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상승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23) 중앙에 결합되는 피니언(2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는 피니언(25)의 회전으로 클러치 플레이트(23)의 상승부(24)를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승부(24)가 로크 기어(20)에 맞물려 슬리브(22)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클러치 플레이트의 상승부는 피니언에 의해 급격하게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슬리브 회전을 정지시키지 못하는 폐단이 있으며, 클러치 플레이트를 별도로 제작하므로 조립이 까다로움은 물론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일본공개특허 평8-133015에 '프리텐셔너 부착 안전벨트용 리트랙터'(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3에 도시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3의 프리텐셔너 부착 안전벨트용 리트랙터(30)는 리트랙터의 감김축(34)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 가능한 회전 구동부재를 차량 충돌시에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감김축(34)을 안전벨트가 느슨해짐이 제거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프리텐셔너를 구비한다.
또한, 종래기술 3의 프리텐셔너 부착 안전벨트용 리트랙터(30)에는, 상기 감김축(34)에 설치된 슬리브(35)와 축심 주위에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구동부재가 그 슬리브(35) 외주면 사이에 쐐기 모양의 공간을 구성한 캠 면(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쐐기 모양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슬리브(35) 계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력 전달부재를 구비함과 함께 그 구동력 전달부재의 슬리브(35) 계합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하는 지지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 수단은 회전 구동부재가 회전할 때 습동면을 제외한 부분에 파단부가 설치된 파단 가능한 접속 수단을 이용하여 리트랙터 본체에 계지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재가 차량 충돌시에 소정 각도로 회전 구동되어 슬리브(35)와 캠면(32b)에 구동력 전달부재를 계합시킨 후에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파단부가 파단된 리트랙터 본체에 대한 계지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3은 롤러핀(30)이 롤러핀 지지편(39a,39b)에 일부만 삽입된 상태에서 클러치를 조립하므로, 클러치를 조립할 때 롤러핀이 로크핀 지지편으로부터 이탈되어 조립이 어렵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부재에 클러치 롤러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프리텐셔너가 제역할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되는 클러치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프리텐셔너가 제역할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는,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면에는 기어부재와 커넥터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를 따라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앙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용기형 원통에서 양측면이 제거되어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중심에 대하여 제2개구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클러치 롤러가 출입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로부터 커넥터쪽으로 연장되m는 동시에,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개구의 면적이 제1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개구와 제1개구는 마주보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에 접촉하는 걸림부의 표면에는 곡형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에서,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받침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받침판은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와 상기 걸림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는 중앙 관통공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리트랙터는, 베이스 부재(500),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결합되며 표면에 톱니가 형성된 다수개의 클러치 롤러(540) 및 상기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기 위해 베이스 부재(500)의 일면에 설치된 기어 부재(550), 베이스 부재(500)의 타면에 설치된 커넥터(400), 및 내장된 피스톤(630)을 상승시키는 실린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500)라 함은 리트랙터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를 말하고, 기어 부재(550)라 함은 상기 베이스 부재(500)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인 것을 지칭한다. 베이스 부재(50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자체적인 탄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500)는 그 중앙에 관통공(50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01) 둘레에는 플랜지(50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500)의 외측에는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많은 돌기와 홈 및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500)에는 중앙 관통공(501)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501a)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걸림부(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510)에 원통형의 클러치 롤러(540)가 끼워져 고정된다. 특히, 상기 걸림부(510)는 상기 중앙 관통공(501) 둘레의 플랜지(501a)에서 커넥터(400) 쪽으로 연장되며, 중앙 관통공(501)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510)는 용기형 원통에서 양측면이 제거되어 제1개구(511)와 제2개구(512)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개구(511)는 상기 중앙 관통공(501)의 중심에 대하여 제2개구(512)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개구(512)를 통해 상기 클러치 롤러(540)가 출입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2개구(512)가 베이스 부재(500)의 중앙 관통공(501) 안쪽에 형성되고, 제1개구(511)는 중앙 관통공(501)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개구(512)는 클러치 롤러(540)를 끼우거나 분리하기 위해 출입시키는 공간이며, 이를 위해, 상기 제2개구(512)의 면적이 제1개구(51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개구(511)의 면적은 클러치 롤러(540)가 스스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설정되면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롤러(540)가 걸림부(510)에 조립되는 경우, 클러치 롤러(540)의 외주면이 제2개구(512) 및 제1개구(511)를 통해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의 일부분은 상기 기어 부재(550)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클러치 롤러(540)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커넥터(4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41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다.
즉, 상기 제1개구(511)는 상기 커넥터(400)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차량 충돌시 기어부재(550)에 의해 클러치 롤러(540)가 외측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커넥터(400)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제2개구(512)는 기어 부재(550)의 경사 기어(553)와 접촉되도록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2개구(512) 및 제1개구(511)는 각각 원호상으로 형성되되, 폭이 일정하지 않은 연결부(5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400)에 접촉하는 걸림부(510)의 표면에는 돌기(513a)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400)와의 마찰면적을 줄이면서 축방향 하중을 적절히 지지하게 된다. 상기 돌기(513a)는 반구형 등 곡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중앙 관통공(501) 둘레의 플랜지에서, 상기 걸림부(510)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중앙 관통공(501)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받침판(5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개구(512)로 삽입된 클러치 롤러(540)가 기어부재(550) 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받침판(513b)은 중앙 관통공(501)의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내용물을 가장 잘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510)는 클러치 롤러(400)가 외측으로 확장될 때 파손되지 않도록 중앙 관통공(501)의 둘레를 따라 보강 리브(51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 리브(514)는 중앙 관통공(501) 둘레의 플랜지(501a)와 상기 걸림부(510)의 측면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관통공(50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어 부재(550)는 원판의 일면에 경사 기어(553)를 구비하여 상기 클러치 롤러(400)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어 부재(550)는 실린더(600)에 내장되어 있는 피스톤(610)과 맞물릴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 기어(553)는 베이스 부재(500)의 걸림부(510)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가 위치되는 부분에 원호면(553)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면(55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555)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호면(554)은 클러치 롤러(540)와 접촉되어 있고, 경사면(555)은 기어 부재(550)가 회전될 때 클러치 롤러(540)를 베이스 부재(500)의 관통공(501)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클러치 롤러(540)를 회전시킨다.
상기 커넥터(400)는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 롤러(540)가 접촉하는 내주면이 형성되고, 이 내주면에는 클러치 롤러(540)가 확장됨에 따라 맞물리게 되는 톱니(4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부재 및 프리텐셔너 부분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차량이 충돌하거나 전복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전자제어유닛(ECU)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따라 실린더(600)에 제어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실린더(600)에 내장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는 전자제어유닛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착화되고,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면서 높은 압력을 발생키는 팽창 가스가 피스톤(610)을 상승시킨다.
즉, 피스톤(610)은 팽창 가스에 의해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상승하는 피스톤(610)은 기어 부재(55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기어 부재(550)의 회전에 따라 경사 기어(553)도 같이 회전되어 탄성이 큰 베이스 부재(500)의 걸림부(510)를 가압하여 원호면(554)에 위치한 클러치 롤러(540)를 중앙 관통공(50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클러치 롤러(5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기어(553)의 경사면(555)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걸림부(510)는 클러치 롤러(540)의 이동으로 관통공(501)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클러치 롤러(540)는 커넥터(400)의 내주면(410)과 접촉되고, 경사면(555)을 따라 회전하는 클러치 롤러(540)는 커넥터(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커넥터(400)는 가이드 드럼(200)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웨빙을 되감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에게 착용되어 있던 안전벨트는 리트랙터의 되감는 방향으로 감겨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중앙 관통공 둘레를 따라 클러치 롤러가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용기형 원통에서 양측면이 제거되어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중심에 대하여 제2개구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상기 클러치 롤러가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기어 부재에 의해 클러치 롤러가 회전 작동하는 경우에도 바깥쪽으로 이탈하지 않고 걸림부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개구가 중앙 관통공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에 접하는 걸림부의 표면에 곡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로부터의 축방향 하중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에서,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받침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클러치 롤러가 기어 부재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와 상기 걸림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는 중앙 관통공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작동시 걸림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클러치 롤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중앙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관통공을 중심으로 양면에는 기어부재와 커넥터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를 따라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조립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클러치 롤러가 결합되는 2개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용기형 원통에서 양측면이 제거되어 제1개구와 제2개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중심에 대하여 제2개구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개구는 상기 클러치 롤러가 출입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로부터 커넥터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의 면적이 제1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개구와 제1개구는 마주보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접촉하는 걸림부의 표면에는 곡형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에서,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받침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받침판은 중앙 관통공의 안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통공 둘레의 플랜지와 상기 걸림부의 측면 사이에는 보강 리브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는 중앙 관통공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KR1020070048812A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KR10083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12A KR100835934B1 (ko)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12A KR100835934B1 (ko)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934B1 true KR100835934B1 (ko) 2008-06-09

Family

ID=3977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812A KR100835934B1 (ko) 2007-05-18 2007-05-18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474A (zh) * 2018-05-09 2019-11-19 奥托立夫开发公司 离合装置、安全带卷收器和安全带组件
EP4108949A4 (en) * 2020-02-21 2024-04-10 Autoliv Development AB CLUTCH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566A (ja) 1998-02-13 1999-08-24 Nippon Seiko Kk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3267187A (ja) 2002-03-15 2003-09-25 Tokai Rika Co Ltd プリテンショナ装置及びプリテンショナ装置の制御方法
JP2004114841A (ja) 2002-09-26 2004-04-15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566A (ja) 1998-02-13 1999-08-24 Nippon Seiko Kk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2003267187A (ja) 2002-03-15 2003-09-25 Tokai Rika Co Ltd プリテンショナ装置及びプリテンショナ装置の制御方法
JP2004114841A (ja) 2002-09-26 2004-04-15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474A (zh) * 2018-05-09 2019-11-19 奥托立夫开发公司 离合装置、安全带卷收器和安全带组件
EP4108949A4 (en) * 2020-02-21 2024-04-10 Autoliv Development AB CLUTCH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215B2 (en) Seat belt retractor
EP3595939B1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gas release opening
EP2246223B1 (en) Pretensioner, seat belt retractor having the same, and seat belt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US6732969B2 (en) Seatbelt retractor
USRE47450E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80101564A (ko) 안전벨트 리트랙터
US7124974B2 (en) Seat belt retractor
KR20080016501A (ko) 신속 작동 클러치, 좌석 벨트 리트렉터, 및 좌석 벨트리트렉터의 모터의 결합 방법
KR100850922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KR102320409B1 (ko)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조립체
JPH039245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におけるプリテンショナー
KR100835934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베이스 부재
US7240923B2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device
JP2004276742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及びその巻き取り方法
KR102320388B1 (ko)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조립체
KR100882202B1 (ko) 안전벨트장치용 전동식 버클 프리텐셔너
KR100835938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
KR102702472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100414604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릴역회전장치
JPH11255073A (ja) リトラクタ用プリテンショナ
KR100427275B1 (ko) 자동차용 프리텐셔너 구조
JP4425392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230081597A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