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787B1 - 프리텐셔너 - Google Patents

프리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787B1
KR101176787B1 KR1020100116787A KR20100116787A KR101176787B1 KR 101176787 B1 KR101176787 B1 KR 101176787B1 KR 1020100116787 A KR1020100116787 A KR 1020100116787A KR 20100116787 A KR20100116787 A KR 20100116787A KR 101176787 B1 KR101176787 B1 KR 10117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ylinder
pinion
pretensioner
ga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192A (ko
Inventor
이경상
홍요선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비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비아이
Priority to KR102010011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787B1/ko
Priority to CN201180055960.2A priority patent/CN103221271B/zh
Priority to PCT/KR2011/007894 priority patent/WO2012070775A2/en
Priority to US13/883,855 priority patent/US9878688B2/en
Publication of KR2012005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33Linear actuators, e.g. comprising a piston moving along reel axis and rotating along its ow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1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7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61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comprising venting means, e.g. for avoiding overpressure in case of fire or for allowing return motion with energy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화약을 폭발시킴으로써 얻는 폭발력으로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인입시키는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스풀에 연결된 피니언의 일부가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단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하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폭발력을 전달하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상기 실린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일단부는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를 향하여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니언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는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랙; 및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상기 랙의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의 일부가 삽입된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랙이 상기 피니언을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텐셔너 {PRETENSIONER}
본 발명은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서 스풀로 구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고, 로드리미터의 작동시 웨빙의 작동 하중에 오버슈트 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 또는 기구에 사람이 탑승하는 경우,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상기 탑승한 사람이 상기 차량 또는 기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가 마련된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시트 벨트(seat belt)로서, 상기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하복부와 흉부를 시트에 안정되게 고정한다. 그러나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의 정도가 커서 시트 벨트를 착용했어도 상해가 종종 발생하여, 상기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안전을 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의 정도가 큰 경우에도 시트 벨트가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현재 각광받고 있는 기술로는,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시 시트 벨트의 웨빙(webbing)을 인입시킴으로써 시트 벨트의 기능 및 효과를 높여주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가 있다.
이러한 프리텐셔너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MGG : Micro Gas Generator)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 인접한 랙(rack)을 이동시켜 스풀(spool)과 연결된 피니언(pinion)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풀에 감겨 있는 웨빙을 인입시킨다.
이때, 랙이 이동하면서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랙과 피니언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서 구동력이 전달되기 시작하는 최초 시점에 피니언에 강한 힘이 전달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피니언이 변형 또는 파괴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피니언이 변형 또는 파괴되는 경우 프리텐셔너는 스풀로 구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내부의 화약을 폭발시키면서 얻는 폭발력을 구동력으로 이용하는데, 화약이 폭발하면서 발생한 가스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로드리미터(load limiter)의 작동시 웨빙의 작동 하중에 오버슈트 하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즉,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이후에 ELR 작동부((Emergency Locking Retractor operating part)에 의해 웨빙이 록킹되더라도, 관성력에 의해 탑승자에게는 웨빙의 작동 하중이 작용하고, 이러한 웨빙의 작동 하중은 계속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힌다. 이러한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웨빙을 인출시키는 것이 로드리미터인데, 프리텐셔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가 완전히 배출되지 않으면, 랙의 이동이 방해되기 때문에 스풀에 연결된 피니언의 회전 또한 방해되고 결론적으로 웨빙이 인출되는 것이 방해된다. 이와 같이 웨빙의 인출의 방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인 로드리미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웨빙의 작동 하중에 오버슈트 하중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서 스풀로 구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고, 로드리미터의 작동시 웨빙의 작동 하중에 오버슈트 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프리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화약을 폭발시킴으로써 얻는 폭발력으로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인입시키는 프리텐셔너로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스풀에 연결된 피니언의 일부가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단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하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폭발력을 전달하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상기 실린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일단부는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를 향하여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니언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는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랙; 및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상기 랙의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랙이 상기 피니언을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랙의 기어이와 상기 피니언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웨빙의 인입 또는 인출로 인한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상기 랙이 방해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롤러를 향해 기울어져 상기 실린더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랙의 기어이와 상기 피니언이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어이가 마련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상기 랙의 타측면은 상기 롤러와 접하여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랙이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유도되어, 상기 랙의 기어이는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유도되기 위해, 상기 랙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랙의 타측면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만곡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만곡되어 있는 랙의 타측면에 반대되는 상기 랙의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이는 상기 랙의 일측면에 구비된 다른 기어이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의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서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전달받은 폭발력을 상기 피니언으로 전달할 때에는, 상기 랙의 타단부는 더 이상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회전하면서 상기 랙의 타측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랙과의 상기 롤러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안내하는 랙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랙 가이드는,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이탈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는, 상기 롤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실린더의 타측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이 상기 실린더의 외측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에 삽입된 상기 피니언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의 기어이와 맞물리면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이 폭발력으로서 상기 랙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발생되는 가스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상기 랙의 일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서 상기 랙으로 폭발력이 전달되어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하단부로 내려간 이후에는 상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측면부에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가스가 배출된 이후에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상단부로 다시 올라갈 때, 상기 실린더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오-링에는 가스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배출공은,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하단부로 내려가서 상기 오-링이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의 측면부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열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피니언이 삽입되는 일측면 방향과 상기 롤러가 구비되는 타측면 방향으로 장반경을 갖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장반경에 대향하는 상기 실린더의 양면이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장반경은 감소하고 상기 실린더의 단반경은 증가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가스가 배출된 이후에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상단부로 다시 올라갈 때, 상기 실린더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랙과 피니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서 스풀로 구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의 화약 폭발 후에 발생하는 가스가 완전히 배출됨으로써, 로드리미터의 작동시 웨빙의 작동 하중에 오버슈트 하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랙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실린더의 횡단면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에 있어서, 웨빙의 작동 하중을 시간대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랙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실린더(100),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 랙(300), 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cylinder, 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각 구성 요소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실린더(100)는 랙(300)이 내부에 삽입되어 실린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상단부에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양 측부에는 피니언(20)과 롤러(400)가 실린더(100) 내부에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에서 발생한 가스가 배출되도록 측부에 배출홀(110)을 구비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린더(100)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랙(300)이 실린더(100) 상단부로 다시 올라갈 때, 실린더(100)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를 완전히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실린더(100)의 단면을 원형, 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지만,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응력 집중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실린더(100)의 외형이 변형되기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때, 실린더(100)의 외형이 쉽게 변형된다는 것은 실린더(100)의 외형의 변형 때 발생된 틈을 통해 실린더(100)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가 실린더(100)의 하단부로 배출되기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작용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실린더(100)의 타원형 단면은 피니언(20)이 삽입되는 일측면 방향과 롤러(400)가 구비되는 타측면 방향으로 장반경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랙(300)의 타단부(320)가 롤러(40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가 장착된 차량이 충돌할 때, 즉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웨빙(미도시)을 인입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는 실린더(10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내부에 구비된 화약부(210)의 화약을 폭발시켜 폭발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폭발력은 실린더(100) 내부로 전달되는 구동력으로서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에서 발생된 폭발력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00) 내부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랙(300)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랙(300)의 기어이(330)와 맞물리게 되는 피니언(20)은 스풀(1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스풀(10)에 감겨있던 웨빙(미도시)은 인입되게 된다.
한편, 랙(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에서 발생된 폭발력을 웨빙(미도시)을 인입시키는 구동력으로서 피니언(2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랙(300)은 실린더(100)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단부(310)는 실린더(100)의 상단부, 즉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를 향하여 배치되고, 타단부(320)는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하여 배치되되 피니언(2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랙(300)은 후술할 롤러(400)와 접하는 타측면에 반대되는 일측면에 피니언(20)과 맞물리게 되는 기어이(330)을 구비한다. 이때, 기어이(330)는 랙(300)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는 피니언(20)과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이격되도록 하는 것은,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즉 차량이 충돌하기 이전에 웨빙(미도시)의 인입 또는 인출로 피니언(20)의 회전을 랙(300)이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폭발 전부터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맞물려있다면, 기어이(330)에 의하여 피니언(20)의 회전이 방해되므로, 시트 벨트를 착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웨빙(미도시)을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데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이 예상된다.
한편,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이격되도록 하는 방법은, 향후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발생된 폭발력을 피니언(20)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예를 들면, 랙(300)의 타단부(320)가 롤러(400)를 향해 기울어져서 실린더(10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100)가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면, 랙(300)을 실린더(100) 내부에서 타원의 장반경에 대하여 랙(300)의 일단부(310)는 장반경의 일점에 배치되도록 하고, 랙(300)의 타단부(320)는 장반경의 일점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내려와서 대향되는 타점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타원의 장반경에 있어서의 타점의 위치는 롤러(400)에 인접하도록 하여, 랙(300)의 타단부(320)가 롤러(400)를 향해 기울어져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랙(300)은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게 되면서, 롤러(400)를 향하고 있는 랙(300)의 타단부(320)가 랙(300)의 일단부(31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피니언(20)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랙(300)의 일단부(310)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랙(300)이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랙(300)의 기어이(330)가 피니언(20)과 맞물리게 되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발생된 폭발력을 피니언(2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x-y좌표를 가지고 설명하면, 실린더(100)의 길이 방향을 y축으로 하고, 실린더(100)의 양 측부에 장착되는 피니언(20)과 롤러(400)를 이은 선으로 y축에 수직인 가상의 선을 x축이라고 정의할 때, 랙(300)의 일단부(310)의 x좌표는 고정되어 있고 y좌표는 변경되도록 구성되나, 랙(300)의 타단부(320)의 x좌표는 y좌표와 함께 변경되도록 구성된다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θ각은 점차 줄어들도록 랙(300)이 이동하게 되면서, 랙(300)의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맞물리게 된다.
한편, 이러한 랙(300)의 이동은 후술할 랙 가이드(500)를 통해 유도해 볼 수도 있으나, 랙(300)과 랙 가이드(500) 사이의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롤러(400)를 포함한다.
즉, 롤러(400)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랙(300)이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랙(300)의 기어이(330)가 피니언(20)에 맞물리도록 유도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롤러(400)는 피니언(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실린더(100)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롤러(400)는 회전하면서, 랙(300)이 슬라이딩되어 실린더(100)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되면서 랙(300)의 이동을 유도하기 때문에, 랙(300)의 이동을 유도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롤러(400)에 의해, 랙(300)의 타단부(320)가 일단부(310)를 중심으로 피니언(2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롤러(400)의 형상을 반경이 일정한 원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반경이 다른 캠 형상과 같이 구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롤러(400)가 실린더(100) 내부에 장착되는 공간을 크게 마련해야 할 수 있으므로, 롤러(400)에 최초 접하게 되는 랙(30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랙(300)의 타단부(320)에 대응하는 랙(300)의 타측면(340)을 롤러(40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만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랙(300)의 타단부(320)에 대응하는 랙(300)의 타측면(340)의 형상을 변경하여 두면, 롤러(400)의 형성을 변경하는 것보다 적절한 공간으로 롤러(400)의 유도에 따라 랙(300)의 타단부(320)가 피니언(2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랙(300)의 타단부(320)가 롤러(400)에서 피니언(20)을 향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최초 랙(300)의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맞물리는 시점에서는 충격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충격량이 큰 경우에 있어서는 랙(300)의 기어이(330) 또는 피니언(20)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최초 랙(300)의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맞물릴 때 충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랙(300)의 기어이 중 피니언(20)과 처음 맞물리게 되는 첫 번째 이(322)의 높이(h1)를 두 번째 이(324)의 높이(h2)보다 낮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만곡되어 있는 랙(300)의 타측면(340)에 반대되는 랙(300)의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이(332)는 랙(300)의 일측면에 구비된 다른 기어이(334)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랙(300)의 기어이(330)가 피니언(20)과 맞물린 이후에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전달받은 폭팔력을 전달할 때, 계속하여 랙(300)의 타단부(320)가 일단부(3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울어지게 되면, 그 방향으로 계속하여 힘을 받게 되므로, 랙(300)의 기어이(330)와 피니언(20) 사이에 전달하는 구동력 이외의 힘이 추가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힘의 추가적인 작용은 예상치 못한 기어이(330) 또는 피니언(20)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되는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랙(300)의 기어이(330)가 피니언(20)과 맞물린 이후에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전달받은 폭팔력을 전달할 때에는 랙(300)의 타단부(320)가 더 이상 피니언(20)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어이(330)의 높이를 달리하는 구성 또는 기어이(330)가 피니언(20)과 맞물린 이후에 랙(300)이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랙(300)의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도,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피니언(20)으로 전달하는데 있어서 부드럽게 전달하는 역할도 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랙(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랙 가이드(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랙 가이드(500)는 랙(300)의 타단부(320)가 일단부(310)를 중심으로 피니언(20)을 향해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안내한다. 이러한 랙 가이드(500)는 실린더(10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며, 랙(300) 주변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에 이탈방지부(510)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510)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랙(300)의 타단부(320)가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탈방지부(510)는 랙(300)의 타단부(320)를 받치도록 랙 가이드(5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랙(300)의 타단부(320)가 내려갈 때 방해하지 않도록 적절한 강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롤러(400)의 회전축(410)을 고정시키는 프레임(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600)은 실린더(100)의 외측부에 마련된 조립구(3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롤러(400)의 회전축(410)이 통과하는 제1 홀(610) 및 피니언(20)이 통과하는 제2 홀(6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프레임(600)은 롤러(400)의 회전축(410)을 고정시킴으로써, 롤러(400)가 회전하면서 실린더(100)의 타측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임(600)은 이러한 역할 이외에도, 프레임(600)을 통과하여 실린더(100)의 일측면에 삽입된 피니언(20)을 지지함으로써, 피니언(20)이 기어이(330)와 맞물리면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프레임(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소음과 진동면에서 기존의 프리텐셔너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조립구(3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가 장착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러한 조립구(30)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도 1의 가장 좌측에 도시된 리턴 스프링 조립체(14)에서 도 1의 가장 우측에 도시된 토션바(40)까지 유기적인 결합 관계를 갖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들로부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로부터 스풀(10)로 구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프리텐셔너의 제공은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구성요소만으로는 로드리미터의 작동시 웨빙(미도시)의 작동 하중에 오버슈트 하중 -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 중 오버슈트 현상에 따른 로드리미터의 초기 작동의 상승분을 의미함 - 에 로드리미터 작동 초기 하중이 상승하는 요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배출홀(110) 및 가스배출공(710)이 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는 배출홀(110)과 가스배출공(710)이 형성되는 오-링(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배출홀(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배출홀(110)은 실린더(10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실린더(10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주는 홀로서,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에서 랙(300)으로 폭발력이 전달되어 랙(300)이 실린더(100)의 하단부로 내려간 이후에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화약부(210) 내의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출홀(110)은 랙(300)이 실린더(100) 하단부를 향해 완전히 내려갔을 때, 랙(300)의 일단부(310)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하여 실린더(100)의 측면부에 형성된다. 이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화약부(210) 내의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이 폭발력으로서 랙(300)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가스가 배출되면 가스의 압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링(700)에 가스배출공(710)을 형성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오-링(700)은 연결체(312)를 매개로 하여 랙(300)의 일단부(310)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화약부(210) 내의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이 폭발력으로서 랙(300)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발생된 가스가 실린더(100)의 하단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가스의 압력이 폭발력으로서 랙(300)에 전달되고 난 이후 랙(300)이 실린더(100)의 상단부를 향해 다시 이동할 때는 실린더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가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오-링(700)에는 가스배출공(710)이 형성된다.
즉, 배출홀(11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된 이후에 랙(300)이 실린더 상단부로 다시 올라갈 때에는, 올라온 랙(300)에 의해 배출홀(110)을 통해 더 이상 가스 배출이 어렵기 때문에, 실린더(100) 내부에는 잔존 가스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존 가스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스배출공(710)이다.
이러한 가스배출공(710)은 랙(3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오-링(700)의 구성상 자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오-링(700)의 구조는 복잡하게 되고, 생산 단가도 많이 오르게 되는 단점이 있는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열과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스배출공(710)은, 랙(300)이 실린더(100) 하단부로 내려가서 오-링(700)이 배출홀(110)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100)의 측면부에 위치할 때,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열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홀(110)과 가스배출공(710)을 통해 실린더(100)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까지 완전히 제거되면, 로드리미터가 작동할 때, 실린더(100) 내부에 의한 잔존 가스로 인해 방해받지 않을 것이며,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 중 오버슈트 현상에 따른 로드리미터의 초기 작동의 상승분, 즉 오버슈트 하중은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실린더의 횡단면의 변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렉터에 있어서, 웨빙의 작동 하중을 시간대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하기 이전에는, 랙(300)이 실린더(100) 내부에서 롤러(400)를 향하도록 기울어져 장착된다. 이때,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웨빙(미도시)의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피니언(20)의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랙(300)의 기어이(330)는 피니언(20)과 이격되어 있다. 한편, 랙(300)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작용 없이도 실린더(100)의 하단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부(510)가 랙(30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고 있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작용으로 랙(300)은 실린더(100)의 하단부로 내려가기 시작한다. 이때, 롤러(400)가 회전하면서 랙(300)의 기어이(330)가 피니언(20)과 맞물리도록 랙(300)의 이동을 유도한다. 이때, 기어이(330)의 첫 번째 기어이(332)와 피니언(20)이 맞물리는 면적은 기어이(330)의 두 번째 기어이(332)와 피니언(20)이 맞물리는 면적보다 적게 되며, 이로 인해 기어이(330)의 예상치 못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랙(300)에서 피니언(20)으로 구동력이 부드럽게 전달된다. 또한, 기어이(330)와 피니언(20)이 맞물리고 난 이후에는 더 이상 랙(300)이 피니언(20)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고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으로 내려간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00)이 실린더(100)의 하단부를 향해 완전히 내려오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된 가스는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홀(110)에 인접한 오-링(700)의 일부는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열화되고, 이로 인해 오-링(700)에는 가스배출공(710)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랙(300)이 내려오면서 피니언(20)을 도면 상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웨빙(미도시)은 인입되어, 시트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차량 탑승자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하여 차량 탑승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트벨트용 리트랙터에서는 웨빙(미도시)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록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된 이후에도 차량 탑승자는 관성에 의하여 계속된 하중을 받게 되면서, 웨빙(미도시)을 조금씩 인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웨빙(미도시)의 인출을 방해한다면 계속되어 받게 되는 하중은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드리미터를 통하여 웨빙(미도시)의 인출을 어느 정도 보장하게 되며, 이때, 피니언(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랙(300)은 실린더(100)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가게 된다. 이때, 배출홀(110)을 통해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존재하는 잔존 가스는 가스배출공(710)을 통해서 완전히 배출되게 된다. 한편, 잔존 가스는 가스배출공(710)을 통해서 모두 배출될 수도 있지만, 일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린더(100)의 변형으로 발생된 틈을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전히 잔존 가스까지 배출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200)가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와 유사하게 된다.
이상의 작용 과정에 있어서, 잔존 가스는 완전히 배출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로드리미터의 작동에 있어서 잔존 가스에 의한 방해는 더 이상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에는 오버슈트 현상에 의한 로드리미터의 초기 작동의 상승분, 즉 오버슈트 하중은 없다고 할 것이며,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기존의 프리텐셔너에 있어서의 웨빙(미도시) 작용 하중 그래프에서 40[ms] 대에 나타난 오버슈트 하중은, 실선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웨빙(미도시) 작용 하중 그래프와 같이 제거될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풀 12 : 드라이버
14 : 리턴 스프링 조립체 20 : 피니언
30 : 조립구 32 : 조립핀
40 : 토션바 100 : 실린더
200 :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210 : 화약부
300 : 랙 310 : 랙의 일단부
320 : 랙의 타단부 330 : 랙의 기어이
400 : 롤러 410 : 롤러의 회전축
500 : 랙 가이드 510 : 이탈방지부
600 : 프레임 610 : 제1 홀
620 : 제2 홀 700 : 오-링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화약을 폭발시킴으로써 얻는 폭발력으로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인입시키는 프리텐셔너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스풀에 연결된 피니언의 일부가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상단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하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폭발력을 전달하는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상기 실린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일단부는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를 향하여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피니언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는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지 않도록 이격되어 있는 랙; 및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상기 랙의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랙이 상기 피니언을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랙의 기어이와 상기 피니언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웨빙의 인입 또는 인출로 인한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상기 랙이 방해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롤러를 향해 기울어져 상기 실린더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랙의 기어이와 상기 피니언이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4. 제3항에 있어서,
    기어이가 마련된 일측면에 반대되는 상기 랙의 타측면은 상기 롤러와 접하여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랙이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아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유도되어, 상기 랙의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유도되기 위해, 상기 랙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랙의 타측면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되어 있는 랙의 타측면에 반대되는 상기 랙의 일측면에 구비된 기어이는 상기 랙의 일측면에 구비된 다른 기어이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기어이가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서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전달받은 폭발력을 상기 피니언으로 전달할 때에는, 상기 랙의 타단부는 더 이상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랙의 타측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갈 때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랙과의 상기 롤러와의 마찰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랙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피니언을 향해 기울어지거나 수직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안내하는 랙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랙 가이드는,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 폭발력을 전달받기 이전에 상기 랙의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를 향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이탈방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실린더의 타측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상기 실린더의 외측부에 마련하되,
    상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실린더의 일측면에 삽입된 상기 피니언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피니언이 상기 랙의 기어이와 맞물리면서 회전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이 폭발력으로서 상기 랙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발생되는 가스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상기 랙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에서 상기 랙으로 폭발력이 전달되어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하단부로 내려간 이후에는 상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측면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가스가 배출된 이후에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상단부로 다시 올라갈 때, 상기 실린더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오-링에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공은,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하단부로 내려가서 상기 오-링이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의 측면부에 위치할 때,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열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피니언이 삽입되는 일측면 방향과 상기 롤러가 구비되는 타측면 방향으로 장반경을 갖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장반경에 대향하는 상기 실린더의 양면이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실린더의 장반경은 감소하고 상기 실린더의 단반경은 증가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가스가 배출된 이후에 상기 랙이 상기 실린더 상단부로 다시 올라갈 때, 상기 실린더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가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KR1020100116787A 2010-11-23 2010-11-23 프리텐셔너 KR10117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87A KR101176787B1 (ko) 2010-11-23 2010-11-23 프리텐셔너
CN201180055960.2A CN103221271B (zh) 2010-11-23 2011-10-21 预紧器
PCT/KR2011/007894 WO2012070775A2 (en) 2010-11-23 2011-10-21 Pretensioner
US13/883,855 US9878688B2 (en) 2010-11-23 2011-10-21 Pretens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87A KR101176787B1 (ko) 2010-11-23 2010-11-23 프리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92A KR20120055192A (ko) 2012-05-31
KR101176787B1 true KR101176787B1 (ko) 2012-08-24

Family

ID=4614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787A KR101176787B1 (ko) 2010-11-23 2010-11-23 프리텐셔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78688B2 (ko)
KR (1) KR101176787B1 (ko)
CN (1) CN103221271B (ko)
WO (1) WO20120707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791B1 (ko) * 2012-10-15 201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트렉터 프리텐셔너의 가스 배출 장치
CN103832392A (zh) * 2014-02-27 2014-06-04 上海和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卷轴、安全装置、运输设备及芯轴
KR101491409B1 (ko) * 2014-03-0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앵커 프리텐셔너
KR101569473B1 (ko) * 2014-04-29 2015-11-27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파단 결합형 랙기어를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KR101683485B1 (ko) * 2015-03-25 2016-12-07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된 프리텐셔너
CN114655156A (zh) * 2020-12-23 2022-06-24 延锋汽车智能安全系统有限责任公司 安全带卷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311A (ja) 1999-04-28 2000-11-14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KR100779112B1 (ko) 2000-06-13 2007-11-27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장치
JP2009274649A (ja) 2008-05-16 2009-11-26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1267A (en) * 1945-03-13 Control means
JP3322773B2 (ja) * 1994-07-06 2002-09-09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3628806B2 (ja) * 1996-04-26 2005-03-16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のプリテンショナー
DE29720213U1 (de) * 1997-11-14 1998-01-02 Trw Repa Gmbh Schloßstraffer
DE19927270C2 (de) * 1999-06-15 2002-07-11 Breed Automotive Tech 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auf eine Gurtspule aufwickelbaren Sicherheitsgurt eines Kraftfahrzeugs
JP3819189B2 (ja) * 1999-10-06 2006-09-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
US6697677B2 (en) * 2000-12-28 2004-02-24 Medtronic,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a medical electrical lead
JP4651841B2 (ja) * 2001-03-22 2011-03-16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US6698677B1 (en) * 2002-11-12 2004-03-02 H. Koch & Sons Co., Inc. Restraint pretensioner
DE10342283A1 (de) * 2003-09-12 2005-04-0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Pyrotechnischer Antrieb
KR20060054684A (ko) * 2004-11-16 200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앵커부 일체형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장치
KR100878105B1 (ko) *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
DE102007037314B4 (de) * 2007-08-08 2009-05-07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Vorrichtung zum Straffen eines Fahrzeugsicherheitsgurtes
US8113542B1 (en) * 2008-01-22 2012-02-14 Tk Holdings, Inc. Pressurized gas release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311A (ja) 1999-04-28 2000-11-14 Ashimori Ind Co Ltd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KR100779112B1 (ko) 2000-06-13 2007-11-27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장치
JP2009274649A (ja) 2008-05-16 2009-11-26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1271B (zh) 2016-01-20
WO2012070775A3 (en) 2012-07-26
WO2012070775A2 (en) 2012-05-31
KR20120055192A (ko) 2012-05-31
US20130219887A1 (en) 2013-08-29
CN103221271A (zh) 2013-07-24
US9878688B2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787B1 (ko) 프리텐셔너
KR102268826B1 (ko) 가스 방출 개구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EP2380788B9 (en) Seatbelt retractor
EP3088261B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US7887096B2 (en) Pretensioner and seat belt apparatus
KR101316354B1 (ko)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JP2016193657A (ja) バックル装置及びバックル装置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EP2455262A9 (en) Seat belt retra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pindle of seat belt retractor
JP200723803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6042041A (en) Pretensioner
KR101766841B1 (ko) 프리텐셔너 장치
KR100946762B1 (ko) 시트벨트의 토크 가변형 프리텐셔너
KR101261848B1 (ko)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KR102585755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안전 장치
JP642047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3107617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統合プリテンショナー装置
KR101569473B1 (ko) 파단 결합형 랙기어를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KR101684981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장치
KR100961517B1 (ko) 시트벨트의 다단 폭발형 프리텐셔너
KR101518955B1 (ko) 차량용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KR101416166B1 (ko) 리트랙터 프리텐셔너
KR0175245B1 (ko) 자동차 시트 벨트용 프리텐션의 구조
KR20210012338A (ko) 차량용 시트의 프리텐셔너 장치
KR20160114836A (ko) 회전지지부재가 구비된 프리텐셔너
KR20150124784A (ko) 원 궤적으로 이송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프리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