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52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525A
KR20080053525A KR1020087011139A KR20087011139A KR20080053525A KR 20080053525 A KR20080053525 A KR 20080053525A KR 1020087011139 A KR1020087011139 A KR 1020087011139A KR 20087011139 A KR20087011139 A KR 20087011139A KR 20080053525 A KR20080053525 A KR 20080053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termediate transfer
transf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221B1 (ko
Inventor
이찌로 야스마루
마사루 시무라
세이지 이나다
유우이찌로오 이나바
아끼노리 다까야마
가즈히로 도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이동 가능한 벨트(31), 벨트(31)를 그 사이에 두고 화상 담지 부재(12)에 대향되는 전사 부재(110) 및 요동 가능하며 전사 부재(11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1)를 포함하고, 전사 부재(110)는 벨트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벨트에 접촉되는 접촉면(110a)을 가지고, 벨트가 이동하는 경우 벨트가 접촉면(110a)을 문지르고 토너 화상은 접촉면(110a)에 대향되는 화상 담지 부재(12)의 일부분으로부터 전사된다.
화상 형성 장치, 벨트, 전사 부재, 지지 부재, 접촉면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담지 부재 상에 담지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 또는 기록재 담지 벨트 상에서 담지되는 기록재 상으로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다양한 전자사진 기술이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 상에 담지된 토너 화상은 화상 담지 부재와 전사 롤러 사이에서 핀칭(pinching)되어 유지되는 벨트 상으로 전사된다. 이러한 기술 중 다른 하나에 따르면, 기록재 담지 부재를 구성하는 벨트는 화상 담지 부재와 전사 롤러 사이에서 핀칭되어 유지되고, 화상 담지 부재 상에 담지된 토너 화상은 벨트 상의 기록재 위로 전사된다.
두 가지 경우에 모두에 있어서, 작은 갭이 닙부(nip)에 인접하여, 즉 전사 롤러와 벨트 사이의 접촉 영역에 인접하여 전사 롤러와 벨트 사이에 존재한다. 이러한 갭은 벨트의 이동 방향(전사 롤러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닙부의 양측면 상에 존재한다.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전사 전계는 2개의 작은 갭에 인접하여 발생된다. 이들 전사 전계는 경계가 불명료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토너 화상을 이루는 토너 입자 일부가 특히 닙부(전사 영역)의 상류측에서 쉽게 분산되게 만든다. 즉, 경계가 불분명한 전계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사 성능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벨트의 내면과 접촉하는 전사 부재의 다른 형태로서, 전사 블레이드가 있다. 작은 갭을 가지고 벨트와 대향하는 전사 블레이드 부분은 매우 작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에서 생성되는, 전술된 것과 같은 전계는 불만족스런 화상 전사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에는 너무 작다. 따라서, 전사 블레이드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전술된 경계가 불명료한 전계에 의해 그 전사 성능이 감소되는 문제를 좀처럼 겪지 않는다. 그러나, 전사 블레이드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 영역이 작아서, 전사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전술된 배경에 기초하여, 화상 전사 부재와 벨트 사이의 접촉 방식의 관점에서 전사 블레이드와는 상이한 화상 전사 부재를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전사 부재와 벨트 사이의 접촉 영역의 관점에서 그 에지 및 그 인접부에 의해서만 벨트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형태인 화상 전사 부재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직육면체 형태인 화상 전사 부재를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그 표면들 중 일면 전체로서 벨트와 접촉하는 화상 전사 부재(이후 간단히 전사 부재로 칭함)는 그 에지부에 의해 벨트와 접촉하는 전사 부재보다 전사 부재와 전사 벨트 사이의 마찰 저항이 더 크다. 따라서, 벨트가 이동함에 따라, 그 표면들 중 일면 전체로서 벨트와 접촉하는 전사 부재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벨트와 간헐적으로 분리되고 재접촉하게 되어서, 전사 전계를 불안정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그 표면들 중 일면 전체로서 벨트와 접촉하게 되는 전사 부재는 그 홀더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그리고/또는 전사 부재 자체가 찢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그 표면들 중 일면 전체가 벨트의 (벨트가 형성하는 루프에 있어서) 내면과 접촉하는 화상 전사 부재를 채용하고, 화상이 실제 형성되고 있는 동안에도 화산 전사 부재가 벨트와 만족스런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벨트, 벨트를 그 사이에 두고 화상 담지 부재에 대향되는 전사 부재 및 요동 가능하며 전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전사 부재가 벨트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벨트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고, 벨트가 이동하는 경우 벨트가 접촉면을 문지르고 토너 화상이 접촉면에 대향되는 화상 담지 부재 부분으로부터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그 구조를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중간 전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6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8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의 압력 분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10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중간 전사 벨트를 제외하고, 그 구조를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전사 수단의 측단부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18도 그 작동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19는 탄성 부재 상에 가해지는 힘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21도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이다.
도22는 그 작동을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화상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23은 그 전체 구조를 도시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의 기록재 담지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컬러 프린터이다.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는 그들이 형성하는 토너 화상의 색상이 다른 4개의 화상 형성부가 제공된다. 4개의 화상 형성부에 있어서, 이들이 화상을 형성하는 색상의 관점에서 4개의 화상 형성부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 부호 y, m, c 및 k는 개별적으로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을 나타낸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는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면서 레이저 광의 빔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유닛(20y, 20m, 20c, 20k), 중간 전사 유닛(30), 기록재 공급 유닛(40) 및 화상 정착 유닛(50)이 제공된다.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y, 10m, 10c, 10k)는 구조에 있어 대략 동일하다.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 : 10y, 10m, 10c, 10k)는 각각, 전자 사진식인 감광 드럼(12), 대전 수단(13), 현상 장치(14) 및 클리닝 장치(15)를 갖는다.
중간 전사 유닛(30)은 무단 벨트인 중간 전사 벨트(31) 및 중간 전사 벨트(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3개의 롤러(32, 33, 34)를 가진다. 또한, 중간 전사 유닛(30)은 대응하는 감광 드럼(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 트(31) 상으로 전사하는 1차 전사 수단(100 : 100y, 100m, 100c, 100k)을 가진다.
중간 전사 벨트(31)는 감광 드럼(12 : 12y, 12m, 12c, 12k)과 1차 전사 수단(100) 사이의 경계부를 통해 이동한다. 각각의 1차 전사 영역에 있어서, 감광 드럼(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대응하는 1차 전사 수단(10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 상으로 전사된다. 즉, 중간 전사 벨트(31)가 감광 드럼(12y, 12m, 12c, 12k)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경계부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감광 드럼(12y, 12m, 12c, 12k)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31) 상으로 순차적으로 겹쳐서 전사된다.
한편, 기록재(P)는 급송 카세트(41)로부터 기록재 공급 유닛(40)에 의해 2차 전사 영역으로 반송된다. 기록재(P)가 2차 전사 영역으로 운반됨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롤러(36)에 의해 기록재 상으로 전사된다. 기록재(P) 상으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 이후에, 기록재(P)는 정착 유닛(50)으로 반송된다. 정착 유닛(50)에 있어서, 토너 화상은 정착 롤러(51)와 가압 롤러(52) 사이의 닙부에 정착된다. 이어서, 기록재(P)는 한 쌍의 배출 롤러(55)에 의해 배출 트레이(56) 상으로 배출된다.
도2를 참조하면, 중간 전사 유닛(30)은 중간 전사 벨트(31), 벨트 인장 부재(롤러 : 32, 33, 34) 및 1차 전사 수단(100)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32, 33, 34)에 의해 지지 및 신장되어, 구동력이 구동 수단으로부터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롤러(32)에 의해 회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12y, 12m, 12c, 12k)과 관련하여, 이들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것과 대략 동일한 회전 원주 속도로 회전된다.
중간 전사 벨트(31)가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면 상에는, 전사 수단인 1차 전사 수단(100y, 100m, 100c, 100k)이 감광 드럼(12y, 12m, 12c, 12k)에 개별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1차 전사 수단(100 : 100y, 100m, 100c, 100k)에는 전원(35 : 35y, 35m, 35c, 35k)이 접속되어, 소정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류가 전원(35 : 35y, 35m, 35c, 35k)에 의해 1차 전사 수단(100)에 공급됨에 따라, 1차 전사 수단(100)에 대향하는 감광 드럼(12) 상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31) 위로 정전적으로 당겨질 수 있게 된다.
1차 전사 수단(100)의 상세 구조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다. 대략 직방체 형상인 탄성 부재(110)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12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의 내면 상으로 가압되어 유지된다. 탄성 부재(110)의 일면은 접촉면(110a)으로서 기능하여, 중간 전사 벨트(31)와 접촉한다. 탄성 부재(110)는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의 내면과 대략 평행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접촉면(110a) 전체는 접촉면(110a)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갭이 없는 상태로 벨트 이동 방향에 대해서 중간 전사 벨트(31)와 소정 영역 접촉한다. 탄성 부재(110)는 화상 전사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는 스폰지와 같은 발포체이며,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하다. 이는 지지 부재로서 홀더(101)에 의해 지지된다. 이는 그 접촉면(110a) 전체로 중간 전사 벨트(31)와 접촉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함에 따라, 그 접촉면(110a)은 중간 전사 벨트(31)에 의해 마찰된다.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받음에 따라, 홀더(101)는 기울어진 다. 그러나, 1차 전사 수단(100)은 탄성 부재(110)의 탄성 변형이 중간 전사 벨트(31)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탄성 부재(110)의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110)는 홀더(101)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유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유지 보수 중에 탄성 부재(110)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홀더(101)는 각각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110a)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한 쌍의 축(102)을 가진다. 각각의 축(102)은 베어링(123)에 의해 지지된다. 부수적으로, 축(102)은 홀더(101)와 일체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홀더(101)에는 구멍이 제공될 수도 있어서, 홀더(101)와 독립된 축이 그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홀더(101)는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식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홀더(101)에는 홀더(101)의 회전 요동량(회전 범위)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정지부(103 : 회전 규제부)가 제공된다. 즉, 홀더(101)는 그 회전 범위가 제어되면서 회전식으로 요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각각의 압축 스프링(122)은 대응하는 베어링(123)을 가압하여, 베어링(123)과 홀더(101)를 통해서 탄성 부재(110)의 접촉면(110a)을 중간 전사 벨트(31)와 접촉 유지시킨다. 압축 스프링(122)의 복원력에 의해 생성된 힘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베어링(123)은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수단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의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그 이동이 제한되도록 부착된다. 탄성 부재(110)를 지지하고 있는 홀더(101)는 압축 스프링(12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 및 감광 드럼(12)을 향해 가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는 탄성 부재(110) 및 감광 드럼(12)에 의해 핀칭되어 유지된다.
홀더(101)의 회전 요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정지부(103 : 요동 운동 규제부)는 중간 전사 유닛(30)의 프레임(120)에 제공되는 규제 구멍(121) 내로 끼워진다. 규제 구멍(121)은 회전 정지부(103)보다 직경이 크다. 회전 정지부(103)는 규제 구멍(121) 내부에서 이동이 허용되어, 회전 정지부(103)의 이동 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홀더(101)가 회전식으로 요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회전 정지부(103 : 요동 운동 규제부)는 원통형 핀과 같은 형상이다. 규제 구멍(121)은 그 단면에 있어 소위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작동 중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31)는 도3에서의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탄성 부재(110)의 접촉면(110a)은 중간 전사 벨트(31)와 완전하게 접촉하여 유지된다.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영역은 감광 드럼(12)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영역을 넘어서 연장한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탄성 부재(110)는 직방체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110)를 직방체로 형성하는 것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평면부와 탄성 부재(110) 사이의 접촉 영역을 중간 전사 벨트(31)의 평면부와 원통형 전사 롤러 사이의 접촉 영역보다 크기에 있어 더 크게 하며, 또한 전사 전계가 경계에 있어 더 명료해 지게 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는 그 표면이 접촉면(110a)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면, 다면체 형태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탄성 부재(110)는 중간 전사 벨트(31)의 내면과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접촉면(110a)이 홀더(101)의 탄성 부재 유지 구멍 외측에 유지되도록 홀더(101)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탄성 부재(110)의 자세가 상세하게 서술될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중간 전사 벨트(31)가 회전 운동에 있지 않은 동안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10)는 중단 전사 벨트(31)의 내면의 평면 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123)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대해 단순하게 압축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31)가 회전하면,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를 이동시키는 힘이 탄성 부재(110)로 전달된다. 이러한 힘이 탄성 부재(110)로 전달됨에 따라, 먼저 접촉면(110a)에 인접한 탄성 부재(110)의 일부분이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대해 하류측으로 변형되어, 탄성 부재(110)에 응력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탄성 부재(110) 전체가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운동 및 전술된 접촉면(110a)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의 상호 작동을 통해 탄성 부재(110)에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 힘은 탄성 부재(110) 전체를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대해 하류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홀더(101)에는 한 쌍의 축(102)이 제공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는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홀더(101)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접촉면(110a)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경계부 내의 압력 분포가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불균일하게 되어서, 중간 전 사 벨트(31)와 탄성 부재(110) 사이의 마찰력을 저하시킨다.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홀더(101)는 그 축을 중심으로 뒤로 회전 진동하기 쉽게 되어 중간 전사 벨트(31)의 운동에 의해 회전 진동되기 이전의 자세를 다시 가지게 되고, 마찰력의 감소는 홀더(101)가 뒤로 회전 진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는 홀더(101)의 탄성 부재 유지 구멍 밖으로 빠져나오지도 않고, 찢어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된다.
홀더(101)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만족스러운 동안,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매우 안정적인 동안에는,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중 홀더(101)의 각도(회전 각)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불안정한 동안에는, 중간 전사 벨트의 회전 중 홀더(101)의 회전 각은 변동한다. 어떤 경우든지, 탄성 부재(110)에 가해지는 힘은 홀더(101)의 회전 및/또는 탄성 부재(110) 자체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어서,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 부재(110)의 탄성 때문에, 홀더(101)가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탄성 부재(110)는 변형에 의해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정지부(103)는 규제 구멍(121)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홀더(101)가 지나치게 기울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회전 정지부(103)는 규제 구멍(121)의 에지와 접촉하게 되어, 홀더(101)가 더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구는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도 기여한다.
홀더(101)가 기우는 방향은 홀더(101)가 기울어짐에 따라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도면 내 방향 A)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도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10)와 감광 드럼(12) 사이의 위치 관계의 관점에서, 화상 전사 수단은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는 기울지 않도록 구성된다. 규제 구멍 (121)은 회전 정지부(103)가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취하지 않으며, 따라서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사 수단이 홀더(100)가 회전식으로 요동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1차 전사 수단(100)은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접촉면(110a)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영역의 중심은 감광 드럼(12)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영역의 중심보다도 하류측에 있게 된다(도4 및 도5 참조). 이러한 관계는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유지된다(도6 참조). 또한, 중간 전사 벨트(31)와 탄성 부재(110) 사이에서 소위 "슬릭 앤 슬립(slick-and-slip)" 현상이 발생하여, 1차 전사 수단(100)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 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전술된 관계는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101)의 자세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만족스러운 경우, 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매우 안정적인 경우, 홀더(101) 의 회전 각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중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불안정한 경우, 홀더(101)의 회전 각은 변동된다. 어떤 상황이든지, 탄성 부재(110)에 가해지는 힘은 홀더(101)의 회전 및/또는 탄성 부재(110) 자체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어서,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탄성 부재(110)의 운동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제한되어, 1차 전사 영역이 탄성 부재(110)의 운동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전사 영역의 훼손에 의해 1차 전사 수단(100)이 전사 효율에 있어 저하되는 문제 및 전사 영역의 훼손에 기인하여 불만족스러운 화상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홀더(101)의 회전 요동 운동 및 그 영향이 설명될 것이다. 도7은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 중이 아닌 전사 영역을 도시한다. 전사 영역이 도7에 도시된 상태인 경우, 탄성 부재(11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가해지는 압력은 도면에서 여러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분포에 있어 거의 균일하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하면, 1차 전사 수단(100)이 회전 요동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가 변화한다. 그 결과, 탄성 부재(11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가해지는 압력은 그 분포에 있어 불균일하게 되어, 압력은 하류측으로 쉬프트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의 사이의 마찰력은 전사 영역이 도7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즉, 전사 영역의 하류측에서 이루어지는, 탄성 부 재(11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 부분으로 가해지는 압력 양에 있어서의 현저한 감소가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에 있어서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이 작을 경우에는, 1차 전사 수단(100)의 자세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이 클 경우에는, 1차 전사 수단(100)의 자세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홀더(101)가 기울어져서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즉, 1차 전사 수단(100)의 자세는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 양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1차 전사 수단(100)의 각도는 1차 전사 수단(100)의 회전 모멘트와 마찰력 사이의 평형 지점에 대응하는 값으로 안정된다.
부수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되는 동안 1차 전사 수단(100)이 전술된 1차 전사 수단(100)의 회전 모멘트와 마찰력 사이의 평형 지점에 대응하는 각도로 안정되기만 하면, 전술된 평형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1차 전사 수단(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속도 및 중간 전사 벨트(31)의 내면의 속성이 완전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그래서, 전술된 구조적 배열이 채용되며,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1차 전사 수단(100)이 전사 성능에 있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되도록, 홀더(101)가 회전 모멘트와 마찰력 사이의 평형 상태에 도달하도록 회전 요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하 설명될 다음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114)은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중간 전사 벨트(31)가 탄성 부재(11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필름(114)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 계수는 필름(114)과 대면하는 탄성 부재(110)의 표면(110b)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아지게 된다. 필름(114)은 전기 전도성 필름 시트이다. 전사 바이어스가 전원(35)으로부터 탄성 부재(110)로 인가되면, 전사 전류는 필름(114)을 통해서 중간 전사 벨트(31)로 유동한다. 필름(114) 및 탄성 부재(110)의 조합이 화상 전사 부재로서 기능한다. 필름(114)은 홀더(101)에 접착된다.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이를 끼워 유지시킴으로써, 필름은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서 유지된다.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31)가 회전하면, 홀더(101)는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점까지는 본 실시예에서 1차 수단(100)에 발생하는 것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필름(114)이 존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114)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은 탄성 부재(110)의 표면(110b)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보다 낮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 트(31)의 회전 중 홀더(101)가 회전 요동하는 각도 범위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적인 배열은 제1 실시예에서의 구조적인 배열보다 작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불안정한 경우 발생하는, 감광 드럼(12)과 탄성 부재(110) 사이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의 변화량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적인 배열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보다 적어진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전계의 위치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적인 배열은 제1 실시예의 것보다 안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의 구조적인 배열은 제1 실시예의 것보다 우수하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하 설명될 다음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115)이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중간 전사 벨트(31)가 탄성 부재(11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필름(115)은 필름(114)보다 짧다. 또한, 필름(115)은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영역 중 일부분에서만 존재한다. 더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10)의 상류측 반부는 이것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필름(115)의 존재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에 대해 가압되어 유지되는 반면, 탄성 부재(110)의 하류측 반부는 중간 전사 벨트(31)의 내면과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필름(115)용 재료는 필름(114)용 재료와 같다. 따라서, 필름(115)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 계수는 필 름(115)과 대면하는 탄성 부재(110)의 표면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낮다. 또한, 필름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다. 필름(115)을 홀더(101)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필름(114)을 홀더(101)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하며, 필름(115) 역시 홀더(101)에 접착된다. 필름(115)과 탄성 부재(110)의 조합이 화상 전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12를 참조하면, 중간 전사 벨트(31)가 회전하면, 1차 전사 수단(100)이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회전 요동한다. 그 결과로서, 제1 실시예의 설명 중에 언급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10)는 기울어진다. 결과적으로, 탄성 부재(11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로 가해지는 압력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상류측으로 쉬프트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로 가해지는 압력의 분포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필름(115)은 탄성 부재(110)의 상류측 반부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만 존재하고, 즉 필름(115)은 중간 전사 벨트(31)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 부재(11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시프트하는 영역 내에 있게 되어, 탄성 부재(11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시프트하는, 전사 영역 부분에서 마찰 계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의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적 배열은 제1 실시예에서의 것보다 작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력 시프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마찰력에 있어서의 감소 및 압력이 시프트하는 접촉 영역 부분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의 감소의 상승적 효과에 의 해, 1차 전사 수단의 기울기는 제2 실시예에서의 기울기와 대략 동일한 양만큼 감소된다. 제2 실시예와 다르게, 본 실시예는 필름(115)이 중간 벨트(31)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그 하류측 단부까지도 탄성 부재(110) 및 중간 전사 벨트(31)에 의해 끼워지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115)이 제2 실시예에서의 필름(114)보다 거동이 안정적인 점에서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보다 우수하다. 제2 실시예의 구조적 배열의 경우, 탄성 부재(110)의 표면(110b) 전체가 필름(114)에 의해 덮여진다. 표면(110b)이 필름(114)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여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필름(114)은 표면(110b)보다도 상당히 크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필름(114)이 표면(110b)보다 상당히 큰 경우, 표면(110b)을 넘어 연장하는 필름(114) 부분이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에 의해 끼워지지 않게 되어, 필름(114)의 이러한 부분은 그 거동이 불안정해지기 쉽다.
부수적으로, 도13 및 도14는 본 실시예와 그 효과가 유사한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적 배열의 변형예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112) 표면의 일부인 영역(113)은 탄성 부재(112) 표면의 나머지와 성질이 다르다. 영역(113)은 이러한 영역과 중간 전사 부재(31) 사이의 마찰 계수에 있어서 이러한 영역을 감소시키도록 영역(113)에 대응하는 탄성 부재(112)의 표면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제3 실시예의 이러한 변형예도 제3 실시예의 전술된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를 제외하고는 기 본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구조가 동일하다. 도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153)에는 아암(152)이 제공된다. 아암(152)은 홀더(153)의 회전축(154)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차이는 축(154)과 접촉면(110a) 사이의 거리가 제1 실시예에서의 축(102)과 접촉면(110a) 사이의 거리보다 실질적으로 크다는 점이다. 홀더(153)의 축(154)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접촉면(110a)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압박 부재인 압축 스프링(155)은 압축 스프링(155) 바로 위에 위치되는 탄성 부재(110)를 중간 전사 벨트(31) 상으로 가압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 부재(110)의 인접부가 그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6은 그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도15에서 관찰된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관찰되는 전사 수단 및 그 인접부에 대한 도면이다. 홀더(153) 등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16은 중간 전사 벨트(31)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탄성 부재(110)는 중간 전사 벨트(31)에 대해서 중간 전사 벨트(31)의 내면의 편평한 영역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155)에 의해 단순히 압축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회전)하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력이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발생 된다. 이러한 마찰력은 다음 순서로 작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중간 전사 벨트(31)가 이동하면, 탄성 부재(110)가 기울어져서, 접촉면(110a)과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경계부에서의 압력 분포를 변화시키며, 압력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 관점에서 상류측으로 시 프트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에 의해 탄성 부재(1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감소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가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와는 홀더의 축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탄성 부재(110)의 기울임에 의해 감소되는 양은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154)은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 관점에서 접촉면(110a)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중간 전사 벨트(31)가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축(154)은 접촉면(110a)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채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이 접촉면(110a)에 가해지면,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홀더(101)를 회전시키는 방향, 즉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홀더(101)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부재(110)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면,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방향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들 힘이 도18에 도시된다.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 상으로 가압하는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탄성 부재(110)를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중간 전사 벨트(31)와 접촉면(110a) 사이의 마찰력의 감소에 기여한다. 즉, 본 실시예의 구조적 배열에 따르면, 중간 전사 벨트(31)와 접촉면(110a) 사이의 마찰력의 증가가 마찰력의 감소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탄성 부재(110)가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되는 이유가 도19를 참조하여 언급될 것이다. 마찰력(Fa)이 중간 전사 벨트(31)와 탄성 부재(110) 사이에 발생 되면, 회전 모멘트(Fθ)가 홀더(153)에 발생 된다. 회전 모멘트(Fθ)는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홀더(101)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마찰력(Fa) 및 Fθ는 비례 관계이다. 즉, 마찰력(F a)이 중간 전사 벨트(31)의 내면의 속성에 있어서의 변화에 기인하여 특정 양만큼 증가되면, 회전 모멘트(Fθ)는 비례하여 증가한다. 회전 모멘트(Fθ)의 증가는 마찰력(Fa)의 감소에 기여한다. 따라서, 회전 모멘트(Fθ) 및 마찰력(Fa)은 함께 홀더(153)가 회전 모멘트(Fθ) 및 마찰력(Fa) 사이의 평형 지점에 대응하는 특정 각도로 놓이도록 기능한다[홀더(101)를 기울어지게 하여 유지시킴].
본 실시예에서의 구조적 배열은 더 상류측 일수록 압력이 더 높아지도록 접촉면(110a)을 가로질러 압력 분포를 변화시킴으로서 마찰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홀더(153)를 기울임으로써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즉, 두 개의 작용은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승 작용을 한다.
부수적으로, 홀더(153)의 회전 범위는 회전 정지부(162)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불안정한 경우에도, 접촉면(110a)은 중간 전사 벨트(31)와 접촉이 유지됨으로써, 전사 전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회전 정지부(162)의 존재는 탄성 부재(110)가 크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서, 전사 전계가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중간 전사 벨트(31)의 회전 속도가 불안정한 경우, 전술한 구조 배열의 기능 때문에, 홀더(153)가 계속적으로 그 축에서 회전 요동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회전 정지부(16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홀더(101)의 회전 요동이 그 진폭에 있어 과도하게 되어, 차례로 접촉면(110a)이 중간 전사 벨트(3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화상 전사를 위한 적절한 전사 전계가 형성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 역시 변형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시트가 탄성 부재(110)와 중간 전사 벨트(31)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21에 도시된 것은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21에 도시된 1차 전사 수단은 그 축선이 탄성 부재(110)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된 축(172)이 홀더(171)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도21에 도시된 구조적 배열도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발생되는 힘과 동일한 힘을 발생시킨다. 즉, 이러한 제4 실시예의 변형예도 제4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도2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재가 전사 벨트에 의해 담지 및 반송되는 동안 복수의 토너 화상이 복수의 화상 형성부로부터 기록재 상으로 일대일로 전사되도록 구성된다. 컬러 화상은 토너 화상을 복수의 화상 형성부로부터 일대일로 전 사 벨트 상에서 담지된 기록재 상으로 순차적으로 겹쳐서 전사함으로써 기록재 상에 형성된다.
전술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1차 전사 수단에 대한 구조적 배열이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사 부재 및 그 인접부의 구조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가 전술된 실시예 각각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가 가지는 중간 전사 유닛(30) 대신에 기록재 담지 유닛(60)을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것들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도24를 참조하면, 전사 수단(190)의 구조 등은 전술된 실시예 각각에서의 1차 전사 수단(100)의 것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 : 10y, 10m, 10c, 10k)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그 구조가 개략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는 그 각각이 마찬가지로 감광 드럼(12), 대전 수단(13), 현상 장치(14) 및 클리닝 장치(15)를 가지고, 또한 그 각각이 토너 화상을 감광 드럼(12) 상에 형성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재 담지 유닛(60)에는 무단 벨트인 기록재 담지 벨트(61) 및 기록재 담지 벨트(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3개의 롤러(62, 63, 64)가 제공된다. 기록재 담지 유닛(60)은 또한 각각의 감광 드럼(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재 담지 벨트(61) 상에서 담지되는 기록재 상으로 전사하는 전사 수단(190 : 190y, 190m, 190c, 190k)을 가진다. 전사 수단(190)의 구조로서는, 제 1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1차 전사 수단(100)의 것과 동일한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기록재 담지 벨트(61)는 감광 드럼(12 : 12y, 12m, 12c, 12k)과 전사 수단(190) 사이의 경계부를 통해 이동한다. 각각의 전사 영역 또는 감광 드럼(12)과 전사 수단(190) 사이의 경계부에 있어서, 감광 드럼(1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190)에 의해 기록재 담지 벨트(61) 상의 기록재 상으로 전사된다. 즉, 기록재 담지 벨트(61) 상에서 담지된 기록재가 감광 드럼(12y, 12m, 12c, 12k)과 기록재 담지 벨트(61) 사이의 경계부를 통해 이동됨에 따라, 감광 드럼(12y, 12m, 12c, 12k)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기록재 담지 벨트(61) 상의 기록재 상으로 순차적으로 겹쳐서 전사된다. 기록재 담지 유닛(60) 상의 기록재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전사한 후, 기록재는 정착 유닛(50)을 통해 반송된다. 기록재가 정착 유닛(50)을 통해 반송됨에 따라, 토너 화상이 기록재에 정착된다.
전술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1차 전사 수단(100) 등은 복수의 토너 화상이 기록재 담지 부재(61) 상에서 담지되는 기록재 상으로 직접 전사되도록 구성되는 전사 수단(190)과 같은 전사 수단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적용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1차 전사 수단(100)에 의해 산출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앞선 양호한 실시예 각각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이들이 형성하는 화상의 색상이 다른 4개의 화상 형성부를 채용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화상 형성부의 개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화상 형성부의 개수 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양호한 실시예 각각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이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프린터를 제외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복사기 및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앞선 화상 형성 장치 중 2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들 화상 형성 장치 중 임의의 것의 전사부에 적용하여도 전술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표면 중 일면 전체가 벨트의 (벨트가 형성하는 루프에 있어서) 내면과 접촉되고, 화상 형성이 실제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화상 전사 부재가 벨트와 만족스럽게 접촉이 유지되는 화상 전사 부재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본 출원은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량 목적 내에서의 변화 또는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이동 가능한 벨트와,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고 화상 담지 부재에 대향되는 전사 부재와,
    요동 가능하며 상기 전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 부재는 상기 벨트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벨트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벨트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벨트는 접촉면을 문지르고, 토너 화상은 접촉면에 대향되는 화상 담지 부재 부분으로부터 전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접촉면은 상기 벨트와 계속하여 접촉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요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접촉면과 접촉하도록 요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전사 부재의 접촉면은 접촉면에 대향되는 상기 벨트의 일측면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벨트의 반대 측면이 상기 화상 담지 부재와의 접촉을 벗어난 영역까지의 범위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중심은 상기 벨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상기 화상 담지 부재에 접촉되는 영역의 중심의 하류측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벨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범위 내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벨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접촉면이 상기 벨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 방향으로만 요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는 압축 탄성을 가지는 탄성 부분 및 필름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분은 상기 벨트와 공동해서 필름형 부분을 끼우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분의 상류측 부분은 필름형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벨트에 대향되고, 상기 벨트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분의 하류측 부분은 상기 벨트에 접촉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분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요동 가능 범위는 상기 지지 부재가 규제부와 인접함으로써 규제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벨트 상으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기록재의 반송을 수행하고, 상기 전사 부재는 상기 화상 담지 부재로부터 상기 벨트 상에서 반송되는 기록재 상으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7011139A 2005-11-11 2006-11-10 화상 형성 장치 KR101009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6849 2005-11-11
JP2005326849 2005-11-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754A Division KR101009102B1 (ko) 2005-11-11 2006-11-10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525A true KR20080053525A (ko) 2008-06-13
KR101009221B1 KR101009221B1 (ko) 2011-01-19

Family

ID=376057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754A KR101009102B1 (ko) 2005-11-11 2006-11-10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7011139A KR101009221B1 (ko) 2005-11-11 2006-11-10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754A KR101009102B1 (ko) 2005-11-11 2006-11-1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7835678B2 (ko)
EP (2) EP1949183B1 (ko)
JP (1) JP4429364B2 (ko)
KR (2) KR101009102B1 (ko)
CN (2) CN101561651B (ko)
WO (1) WO2007055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9183B1 (en) 2005-11-11 2014-01-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127282B2 (ja) * 2007-04-1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310059A (ja) * 2007-06-14 2008-12-2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311768B2 (ja) * 2007-06-14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11767B2 (ja) * 2007-06-14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43805B2 (ja) 2007-11-19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03200B2 (ja) * 2008-03-27 2011-10-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熱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48260B2 (ja) * 2008-09-30 2014-03-19 Ntn株式会社 転写帯電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36032B2 (ja) * 2009-05-01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70233B2 (ja) * 2010-01-29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95830B2 (ja) * 2010-02-09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74808B2 (ja) * 2010-04-30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79241B2 (ja) * 2010-06-25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84222B2 (ja) * 2010-06-30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029769A (ja) * 2011-07-29 2013-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57552B2 (ja) * 2011-09-06 2016-0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14210A (ja) 2011-11-30 2013-06-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312653B2 (ja) * 2012-08-10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77722B2 (ja) * 2012-08-10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50568B2 (ja) * 2013-03-12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12951B2 (ja) * 2015-06-03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67A (en) * 1897-02-09 Georges loppens and honors deswarte
JPH063974A (ja) 1992-06-24 1994-01-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594538A (en) 1992-12-29 1997-0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ulti-layer transfer material bearing member with different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s between layers
JP3438057B2 (ja) 1993-06-0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331511B2 (ja) 1994-11-04 2002-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写真装置
JP3298354B2 (ja) * 1995-03-24 2002-07-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定着装置
JPH0934275A (ja) 1995-07-18 1997-02-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678149A (en) 1995-05-15 1997-10-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786676A (en) * 1995-06-09 1998-07-28 Mitsuba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a windshield wiper system
JPH09166948A (ja) 1995-10-13 1997-06-24 Fuji Xerox Co Ltd 可動部材の位置設定方法および位置設定治具
JP3677839B2 (ja) * 1995-10-25 2005-08-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811182B1 (en) * 1995-11-20 2002-07-2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5923935A (en) * 1995-12-29 1999-07-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folding transfer device support member
JP3267501B2 (ja) 1996-02-23 2002-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転写装置
JPH1078709A (ja) 1996-09-02 1998-03-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0207151A (ja) * 1997-01-22 1998-08-07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32574A (ja) 1997-02-20 1998-09-0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6192207B1 (en) * 1997-05-21 2001-02-20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age holding components
US6201944B1 (en) * 1997-08-12 2001-03-13 Minolta Co., Ltd. Tandem-type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ng in color mode and monochrome mode
JP3388535B2 (ja) 1997-11-05 2003-03-24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1219048A (ja) 1997-11-28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ユニット
JPH11219049A (ja) 1998-01-30 1999-08-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11352789A (ja) 1998-06-09 1999-12-24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63807B2 (ja) 1998-06-24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転写装置
JP2000112255A (ja) 1998-09-30 2000-04-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162884A (ja) 1998-11-27 2000-06-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042595A (ja) * 1999-03-19 2001-02-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261678B2 (ja) 1999-04-28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25393A (ja) 1999-10-25 2001-05-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45195B2 (ja) * 2000-05-11 2009-10-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780148B2 (ja) 2000-05-26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076155A (ja) 2001-09-04 2003-03-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中間転写ユニット及び記録材搬送ユニット
JP2003156942A (ja) 2001-11-19 2003-05-30 Seiko Epson Corp 転写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3202729A (ja) 2001-12-28 2003-07-18 Sharp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3330284A (ja) 2002-05-14 2003-11-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927869B2 (ja) 2002-06-21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117509A (ja) 2002-09-24 2004-04-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750678B2 (ja) * 2003-09-25 2006-03-0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92704B2 (ja) * 2004-09-28 2007-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写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2716B2 (ja) * 2005-04-27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400852B2 (en) * 2005-09-09 2008-07-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movable transfer rollers
EP1949183B1 (en) 2005-11-11 2014-01-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9183A1 (en) 2008-07-30
EP1949183B1 (en) 2014-01-08
US20120230741A1 (en) 2012-09-13
EP2549335B1 (en) 2017-08-30
CN101561651B (zh) 2016-01-27
US8320805B2 (en) 2012-11-27
US20090196663A1 (en) 2009-08-06
US20130039682A1 (en) 2013-02-14
CN101561651A (zh) 2009-10-21
CN101128778A (zh) 2008-02-20
KR20100099343A (ko) 2010-09-10
US9158237B2 (en) 2015-10-13
CN100593139C (zh) 2010-03-03
US8532549B2 (en) 2013-09-10
US20140050510A1 (en) 2014-02-20
US7835678B2 (en) 2010-11-16
WO2007055415A1 (en) 2007-05-18
EP2549335A3 (en) 2013-03-20
KR101009102B1 (ko) 2011-01-18
JP2009003472A (ja) 2009-01-08
KR101009221B1 (ko) 2011-01-19
US8594546B2 (en) 2013-11-26
US20100158586A1 (en) 2010-06-24
JP4429364B2 (ja) 2010-03-10
EP2549335A2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221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208915B2 (ja) 画像形成装置
JP6238537B2 (ja) 画像形成装置
JP5376781B2 (ja) 画像形成装置
JP5043805B2 (ja) 画像形成装置
US6671477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81956B2 (ja) 画像形成装置
US8942616B2 (en) Cleaning member, clean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7259332B2 (ja) ベルト式搬送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5178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2072675A (ja) 現像装置
JP6071481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45538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現像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ロータリー現像ユニット
JP2011064899A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2361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39894A (ja) 無端状ベルト規制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6259469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0565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70932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における規制ブレードの取付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6224325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104019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