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273A -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 Google Patents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273A
KR20080012273A KR1020077024607A KR20077024607A KR20080012273A KR 20080012273 A KR20080012273 A KR 20080012273A KR 1020077024607 A KR1020077024607 A KR 1020077024607A KR 20077024607 A KR20077024607 A KR 20077024607A KR 20080012273 A KR20080012273 A KR 2008001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unting
display
transparent
protecti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712B1 (ko
Inventor
신야 야마다
다카오 하시모토
가즈히코 다카하타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플라스틱 필름의 심재(3a)와, 이 심재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 처리가 실시되어 그 프라이머 처리면(3b) 상에 적층되는 실리콘 고무 시트(3c)와, 상기 심재의 다른쪽 면에 순차로 적층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3d)으로 구성되는 편면 재박리시트(3)가, 당해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의해 겔 시트(4)의 적어도 한쪽 면에 첩합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를 이용하여,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한다.

Description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 실장용 시트 {REMOVABLE PROTECTION PANEL MOUNT STRUCTURE AND MOUNTING SHEET FOR USE THEREIN}
본 발명은, 전자기기 표시창에 이용되는 보호패널을 재박리 가능하게 디스플레이에 실장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 실장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서의 케이싱은, 합성수지제의 전면 케이스(107)와 배면 케이스(109)를 조합해서 이루어지는 편평한 것이 일반적이고, 전면 케이스(107)의 표면에는 액정표시창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패널(101)이 끼워 넣어져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이 보호패널(101)에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반사에 의해 밝은 실내 또는 옥외에서는 액정표시가 극히 보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λ/4판과 편광판과 투명보호판의 조합으로 보호패널(101)을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 투명보호판을 터치패널로 하거나, 하드코트 필름이나 저반사 필름을 첩합(貼合)하는 등과 같이 해서 보호패널(101)의 최표면(最表面: 가장 바깥 표면)에 부가기능을 부여하거나 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패션화에 따라, 인쇄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갓돌림 등의 가식이 상기 보호패널(101)에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보호패널(101)은 전면 케이스(107)의 개구부(107c) 주변 가장자리에서 지지고정되는데 반해, 디스플레이(106)는 전면 케이스(107)와 배면 케이스(109)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108)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패널(10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106)의 표면은 0.1∼3㎜ 정도의 거리를 가진다. 그 때문에, 상기 액정표시창을 가진 디스플레이(106) 상으로의 상기 보호패널(101)의 실장은, 반사방지효과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106)의 시인영역에 있어서 양자를 전면적으로 첩합시킴으로써 공기층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보호패널(101)과 디스플레이(106)의 상기 첩합을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투명 점착제층만으로 행한 경우, 실장한 때의 먼지의 혼입이나 위치어긋남 등의 이유로, 보호패널(101)을 벗기고, 실장을 다시 할(이하, 이를 「리페어(repair)」라 부른다.) 때에 문제가 생겼다. 즉, 보호패널(101)을 벗기려고 하면, 투명 점착제층이 보호패널(101) 측과 디스플레이(106) 측의 양쪽에 동등하게 강고히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 점착제층이 층 내에서 분리되어 보호패널(101) 측과 디스플레이(106) 측의 각각에 남아 버리거나 투명 점착제층의 일부가 늘어져 막두께가 불균일하게 된다거나 하는 일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리페어하는 것이 곤란하거 나 불가능하였다.
상기 리페어 문제의 해결책으로는, 보호패널(101)을 재박리 가능한 실장용 시트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106)에 실장하는 수단을 생각할 수가 있는데, 특허문헌 2에는 편면(片面: 한쪽 면) 재박리시트(103)를 이용해서 보호패널(101)의 1예인 터치패널을 디스플레이(106)에 실장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즉, 플라스틱 필름의 심재(芯材)와, 이 심재의 한쪽 면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상기 심재의 다른쪽 면에 프라이머(primer: 도료) 처리가 실시되어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면과, 이 프라이머 처리면 상에 적층되어 재박리 가능한 면을 형성하는 실리콘 고무 시트를 갖추어 투명한 실장용 시트(편면 재박리시트(103))가 구성되고, 상기 실장용 시트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의 접착면을 보호패널(101)의 1예인 투명 터치패널의 이면에 접착시키며, 상기 실장용 시트의 실리콘 고무 시트 측의 접착면을 디스플레이(106)의 표면에 접착시켜 상기 터치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10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실장용 시트(편면 재박리시트(103))는, 리페어 시에 대체로 보아 실리콘 고무 시트 측에서 깨끗하게 박리되어 실장용 시트가 분리되거나 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2-7221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3-15031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터치패널의 실장에 이용하는 수단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보호패널(101)을 갖춘 전면 케이스(107), 디스플레이(106) 등을 갖춘 회로기판(108), 배면 케이스(109)의 조립에 있어서는, 상기한 보호패널(10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106)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된 대로는 되지 않고, 오차가 생기기 쉽다. 한편으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편면 재박리시트(103)는 쿠션성이 부족하다. 그 결과, 상기 보호패널(10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106)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보다 작으면, 보호패널(101)의 전면이 전면 케이스(107)보다 돌출하거나(도 6a 및 도 6b 참조), 볼록(凸)형상으로 변형되거나 한다. 또, 상기 보호패널(10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106)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보다 크면, 편면 재박리시트(103)의 재박리면에 있어서 접착되지 않고 뜨는 상태가 발생한다(도 7a 및 도 7b 참조).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편면 재박리시트(103)는 쿠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호패널(10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106)의 표면의 첩합 시에, 단부로부터 서서히 기포를 추출하도록 압력을 거는 일이 잘 되지 않아 기포가 빠지기 어렵다. 감압분위기 중에서 첩합을 행하면 기포는 남지 않지만, 특수한 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립 시의 보호패널의 배면과 디스플레이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오차를 흡수하고, 특수한 설비가 없어도 기포가 없는 첩합이 가능한,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 실장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하면, 플라스틱 필름의 심재와, 이 심재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 처리가 실시되어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면 상에 적층되면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한쪽의 부재와 접촉 가능한 실리콘 고무 시트 또는 우레탄고무 시트 및, 상기 심재의 다른쪽 면에 순차로 적층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으로 구성되는 편면 재박리시트와,
적어도 한쪽 면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첩합되는 겔 시트(gel sheet)를 구비한 실장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가 상기 겔 시트의 상기 한쪽 면에만 첩합되고, 상기 겔 시트의 다른쪽 면에는 새로운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제1태양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상기 실장용 시트의 2개의 최외면(最外面: 가장 바깥쪽 면) 중, 한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가 다른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보다 높은 제1 또는 제2태양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하면, 상기 심재의 두께가 12㎛ 이상인 제1∼제3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에 의하면, 상기 실장용 시트의 재박리면을 구성하는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 또는 우레탄고무 시트의 두께가 20∼100㎛인 제1∼제3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태양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이상인 제1∼제3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태양에 의하면, 제1∼제6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편면 재박리시트에 쿠션성이 뛰어난 겔 시트를 더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을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기 때문에, 겔 시트의 압축 여지를 미리 고려하여 보호패널의 배면과 디스플레이의 표면 사이의 설계거리보다 두꺼운 실장용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조립 시의 보호패널의 배면과 디스플레이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거리에 대해 마이너스의 오차(설계거리보다 짧은 경우) 또는 플러스의 오차(설계거리보다 긴 경우)를 발생시킨다면, 당해 오차를 겔 시트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패널의 전면이 전면 케이스로부터 돌출하거나, 볼록형상으로 변형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실장용 시트의 재박리면에서 접착되지 않고 뜨는 상태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편면 재박리시트에 쿠션성이 뛰어난 겔 시트를 더한 투명한 실장용 시트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을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기 때문에, 보호패널의 배면과 디스플레이의 표면의 첩합 시에, 손가락 등에 의해 실장용 시트의 단부로부터 서서히 기포를 추출하도록 압력을 걸 수 있고, 특수한 설비가 없어도 기포가 없는 첩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a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종래의 전자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원 6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7a는, 종래기술의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 패널과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종래의 전자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원 7B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의 보호패널이 투명 터치패널일 때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있어서 실리콘 고무 시트 대신 우레탄고무 시트를 사용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제1∼제5실시형태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의 1예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제5실시형태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제5실시형태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의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중, 1은 투명한 보호패널, 2는 투명한 실장용 시트, 3은 투명한 편면 재박리시트, 3a는 투명한 심재, 3b는 프라이머(primer: 도료) 처리면, 3c는 투명한 실리콘 고무 시트, 3d는 투명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4는 투명한 겔 시트(gel sheet)를 각각 나타낸다.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의 구체예로서의 투명 터치패널(1A)은,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면에 투명 하부전극(11d)이 형성된 판모양의 보호패널 본체(11c)와, 하부면에 투명 상부전극(11b)이 형성된 투명 수지필름(11a) 및, 투명창부(1a)를 가진 가식층(11h)이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된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을 구비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보호패널 본체(11c)와 투명 수지필름(11a)은, 상기 상부전극(11b)과 하부전극(11d)이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11b, 11d) 사이에 공기층(11g)을 매개로 그 주연부(周緣部: 주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양면테이프(11j)에 의해 접착되고,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이 투명 수지필름(11a)의 상부면에 투명점착제(11f)로 첩합되어 있도록 구성한다. 또, 보호패널 본체(11c) 및 투명 수지필름(11a)의 각각에는, 투명 하부전극(11d)이나 투명 상부전극(11b)과 동일면에 버스바(bus bar: 모선)나 인회선(引回線) 등의 소정 패턴의 회로가 형성되고, 예컨대 필름커넥터에 의해 투명 터치패널(1A) 옆쪽으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또는, 보호패널 본체(11c)에 설치된 관통구멍을 매개로 투명 터치패널(1A)의 이면으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도록 해도 좋다. 한편, 가식층(11h)의 투명창부(1a)는,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을 투명 수지필름(11a)의 상부면에 첩합시키는 투명점착제(11f)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투명 상부전극(11b) 또는 투명 하부전극(11d)의 어느 표면에 복수의 도트 스페이서(11m)가 있어, 도트 스페이서(11m)에 의해 투명 상부전극(11b)과 투명 하부전극(11d)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호패널 본체(11c)의 재질로는, 투시성이 뛰어나고, 액정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다. 예컨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ABS 수지, AS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AN 수지 등의 범용수지를 들 수 있다. 또, 범용 엔지니어링 수지 또는 수퍼엔지니어링 수지를 이용해도 좋다. 또, 보호패널 본체(11c)는, 투명 수지필름(11a)과는 별도로, 보호패널 본체(11c)의 상부면에 직접 배치되는 투명 수지필름을 매개로 투명 하부전극(11d)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보호패널 본체(11c)의 두께는, 대략 0.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수지필름(11a)의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테르케톤계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내열성,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절연성이 뛰어난 공업용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계, 또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 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계 등의 수지필름 등을 이용한다.
투명 하부전극(11d) 및 투명 상부전극(11b)은 각각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다. 투명도전막의 재료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또는 ITO 등의 금속산화물이나,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이나, 도전성 폴리머의 박막이 있다. 투명 하부전극(11d) 및 투명 상부전극(11b)의 형성방법으로는, 진공증착법,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 CVD법, 또는 롤코트법 등을 이용해서 보호패널 본체나 투명 수지필름의 전면에 도전성 피막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에칭 제거한다.
또, 회로의 재료로는, 금, 은, 동 또는 니켈 등의 금속, 또는 카본 등의 도전성을 가진 페이스트를 이용한다. 이들의 형성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 옵셋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인쇄법, 포토레지스트법 또는 쇄모도법(刷毛塗法: 인쇄솔에 의한 도포법) 등이 있다.
또, 필름커넥터의 단부는, 보호패널 본체(11c)와 투명 수지필름(11a) 사이에 삽입되어, 열압착에 의해 회로의 출력단과 접속된다. 한편, 보호패널 본체(11c)에 절결부분을 설치해 주면, 필름커넥터를 배면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기가 쉽다.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의 재질로는, 투명 수지필름(11a)과 마찬가지로,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테르케톤계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또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계 등의 수지필름 등을 이용한다.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의 적어도 한쪽 면에는 투명창부(1a)를 가진 가식 층(11h)이 형성되고, 투명 상부전극(11b)이 형성된 투명 수지필름(11a)의 상부면 측에 위치시킨다. 가식층(11h)으로 피복되는 부분이 보호패널(1)의 가식부(1b)로 되고, 가식층(11h)로 피복되지 않은 부분이 투명창부(1a)로 된다(도 4 참조).
가식층(11h)은, 통상 보호패널(1)에 있어서는 인쇄층으로서 형성한다. 인쇄층의 재질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 아세탈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알키드 수지 등의 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적절한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착색재로서 함유하는 착색잉크를 이용하면 좋다. 인쇄층의 형성방법으로는, 옵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또는 스크린 인쇄법 등의 통상적인 인쇄법 등을 이용하면 좋다. 인쇄층은, 표현하고자 하는 가식에 따라, 전면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나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또, 가식층(11h)은, 금속박막층으로 구성되는 층, 또는 인쇄층과 금속박막층 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층이라도 좋다. 금속박막층은, 가식층(11h)으로서 금속광택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또는 도금법 등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표현하고자 하는 금속광택색에 따라, 알루미늄, 니켈, 금, 백금, 크롬, 철, 동, 주석, 인듐, 은, 티타늄, 납, 또는 아연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금속박막층은, 통상은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또, 금속박막층을 형성할 때에, 다른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前)앵커(anchor)층 또는 후(後)앵커층을 설치해도 좋다.
또, 가식층(11h)은,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의 어느 면에도 형성할 수 있지 만, 하부면에 형성하면, 투명수지 커버필름(11e)에 의해 손가락이나 펜 등에 의한 누름에 의한 마모로부터 보호된다.
이상, 이 보호패널(1)의 일례로서의 터치패널(1A)로서, 보호패널 본체(11c)의 전면에 터치입력기능을 가진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보호패널(1)은 상기한 터치입력기능을 가진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공지의 보호패널(예컨대, 1장의 투명수지판 또는 투명유리판으로만 이루어진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실장용 시트(2)의 보호패널(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패널(1)과 전면 케이스(7)를 따로따로 제조한 후, 전면 케이스(7)의 표면에 보호패널(1)이 끼워 넣어져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패널(71)이 전면 케이스(7)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즉, 보호패널(1)과 전면 케이스(7)를 따로따로 성형한 후에, 보호패널(1)을 전면 케이스(7)에 끼워 넣는 것이 아니라, 보호패널(71)과 전면 케이스(7)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디스플레이(6)는,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휴대 게임장치, 서브노트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자동차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업무용 통신기기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등,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보다 구체적으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D 등의 디스플레이)가 상당한다. 상기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투명 터치패널(1A)을 실장한 후, 디스플레이(6)의 표시면을 투시하면서 투명 터치패널(1A)의 표면을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써, 상부전극(11b)과 하부전극(11d)을 접촉시켜 입력장치로서의 각종의 입력조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형태의 특징인 쿠션성을 가진 겔 시트(4)를 포함하는 실장용 시트(2)를 이용한 보호패널(1)의 디스플레이(6)로의 실장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상기 제1실시형태의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1)의 실장구조는, 먼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의 심재(3a)와 이 심재(3a)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 처리가 실시되어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면(3b) 상에 적층되어 디스플레이 측의 접착면을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 시트(3c)와, 상기 심재(3a)의 다른쪽 면에 순차로 적층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3d)으로 편면 재박리시트(3)가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실장구조에 있어서, 편면 재박리시트(3)의 아크릴계 점착제층(3d)에, 겔 시트(4)의 적어도 한쪽 면이 첩합되어, 투명한 실장용 시트(2)을 구성하고 있다. 겔 시트(4)의 다른쪽 면은, 투명 터치패널 측의 접착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구성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의 상기 겔 시트(4)를, 보호패널(1)의 이면(이 제1실시형태에서는, 바꿔 말해 보호패널(1)의 디스플레이(6) 측의 면(도 1의 하부면))의 시역(視域: view area)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는 한편, 상기 실장용 시트(2)의 편면 재박리시트(3)의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전면에 접촉시키도록,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상기 실장용 시트(2)에 의해 실장함으로써, 상기 실장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심재(3a)로 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아크릴계 점착제층(3d) 및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다른쪽 면에 프라이머 처리면(3b)을 가짐으로써 실리콘 고무 시트(3c)와 강고히 접착하고 있고, 더욱이 투명 터치패널(1A)을 다수개 취한 면적이 큰 패널(예컨대, 500㎜×500㎜로, 1OO㎜×lOO㎜의 투명 터치패널(1A)을 25개 떠낼 수 있는 패널)의 이면에 상기 실장용 시트(2)을 설치한 후에, 각 투명 터치패널(1A)과 함께 떠내는 경우, 프라이머 처리면(3b)을 심재(3a)가 가짐으로써, 심재(3a)가 실리콘 고무 시트(3c)와 강고히 접착하게 한 결과, 떠냄에 의해 얻어진 각 투명 터치패널(1A)의 주위로부터 상기 실장용 시트(2)의 실리콘 고무 시트(3c)가 밀려 나오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심재(3a)로는, 디스플레이(6)의 시인성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명성이 뛰어난 것에서, 전광선투과율이 88% 이상(JIS - K7105 - 1981년), 헤이즈(haze)값이 3% 이하(JIS - K7105 - 1981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심재(3a)로서, 예컨대 PET(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TAC(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PES(폴리에스테르 설폰) 등의 투명하면서 광학적 등방성을 가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재(3a)로 되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1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미만의 두께에서는, 도막 형성 시에 심재(3a)가 물결쳐 균일한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측으로 되는 면(이 제1실시형태에서는, 바꿔 말해 보호패널(1)의 디스플레이(6) 측의 면)이 요철화(凹凸化)되어 투명 터치패널(1A)의 실장 시에 공기가 끼어 들어가 기포를 발생시키기 쉽게 된다. 또, 상기 심재(3a)로 되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는 75㎛ 이하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3a)를 포함하는 편면 재박리시트(3)는, 플렉시블한 겔 시트(4)에 첩부하기 때문에, 심재(3a)의 두께가 75㎛를 넘게 되면, 그 유연성이 훼손되어 편면 재박리시트(3)가 겔 시트(4)에 꼭 맞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인 수치예로는, 심재(3a)의 두께는 38㎛이다.
상기 프라이머 처리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기재와 코팅제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양자에 궁합이 좋은 중간제를 도포하는 것 등의 처리를 의미한다. 광의로는 이접착처리(易接着處理: 쉬운 접착처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재의 표면에 요철을 붙여 표면적을 크게 해서 접착성을 올리거나, 코로나 처리 등으로 표면 개질(改質)을 행하여 접착성을 올리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실시형태의 실장용 시트(2)에 있어서는, 이 프라이머 처리에 의해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상기 심재(3a)에 강고히 접착시키고, 투명 터치패널(1A)을 벗길 때에 심재(3a)와 실리콘 고무 시트(3c) 사이에서 박리하거나, 상기 떠낼 때에 심재(3a)와 실리콘 고무 시트(3c) 사이에서 어긋남이 생겨 실리콘 고무 시트(3c)가 투명 터치패널(1A)의 주위으로부터 밀려 나오거나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은, 점착 테이프 등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점착제를 도포한 것으로, 겔 시트(4)와의 사이에서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의 형성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벗기는 힘이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의 형성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힘에 강할 뿐만 아니라, 단부로부터 벗기도록 편면 재박리시트(3)와, 아크릴계 점착제층(3d)에 의해 편면 재박리시트(3)가 접착되는 겔 시트(4)를 벗기는 힘을 작용시켜도 용이하게 편면 재박리시트(3)가 겔 시 트(4)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고 하는 강한 접착력을 가진 것이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의 두께는, 10㎛ 이상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이 10㎛ 미만의 두께에서는, 겔 시트(4)에 대해 접착시켜도, 접착하지 않고 부상(浮上)해 버리는 곳이 생겨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의 두께는, 10∼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미만의 두께에서는, 접착력이 약해져서 리페어 시에 투명 터치패널(1A) 측과 디스플레이(6) 측의 어느 쪽에 실장용 시트(2)가 남는지 제어하기 어렵게 된다. 또, 50㎛를 넘는 두께에서는, 역으로 접착력이 너무 강해져서 실장용 시트(2)의 제조 시에 겔 시트(4)와의 사이에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한 기포에 대한 탈포처리, 예컨대 실장용 시트(2)에 R형상의 구부림을 부여하면서, 롤러 등으로 단부로부터 서서히 기포를 추출하도록 압력을 걸거나, 감압분위기 중에 두거나 해도, 기포가 빠지기 어렵게 된다.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3c)는, 피착체(被着體)와의 사이에서 실리콘 고무 시트 배치면(프라이머 처리면(3b))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벗기는 힘이나 배치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힘에는 강하지만, 단부로부터 벗기도록 실장용 시트(2)와, 실리콘 고무 시트(3c)에 의해 실장용 시트(2)가 접착되는 피착체를 벗기는 힘을 작용시키면 용이하게 실장용 시트(2)와 피착체가 분리되기 쉬운 것이다.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재질로는, 충격흡수제 등으로 이용되는 실리콘 고무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실리콘 고무 시트(3c)로서, 예컨대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수지의 혼합물을 용제로 잉크화해서 도포하고, 건조 시의 열로 가교시킨 것 등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3c)는, 과중한 탈착에 의해서도 그 고정하는 힘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 실장용 시트의 재박리면을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두께는, 20∼10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를 넘는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두께에서는, 접착력이 너무 강하여 보호패널(1)을 벗기면 실장용 시트(2)의 실리콘 고무 시트(3c) 측의 면에서 박리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두께가 20㎛ 미만에서는, 디스플레이(6) 등의 피착체에 대해 접착시켜도, 접착하지 않고 부상해 버리는 곳이 생겨, 과도하게(즉 필요 이상으로) 박리하기 쉽게 되어 버린다.
겔 시트(4)는 실장용 시트(2)에 쿠션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겔 시트(4)는, 투명한 고분자 점착제를 겔 시트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고분자 점착제로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또는 천연 고분자 재료계 등이 있다. 한편, 겔 시트(4)는, 실장 후에서의 통상적인 사용상태에서는, 보호패널(1)로부터 겔 시트(4)가 벗겨질 염려는 없는 것이다. 또, 고분자 점착제로 구성되는 겔 시트(4)는, 겔 특유의 탄력성에 의해 충격흡수재로도 되어 여러 가지 충격이나 변형으로부터 디스플레이(6)를 보호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또, 겔 시트(4)는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할 때, 겔 시트(4)가 어느 정도 압축할 수 있는 치수만큼 크게 구성하고, 결과로서 실장용 시트(2)의 전체의 두께가 보호패널(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사이의 설계거리보다 커지 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의 보호패널(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거리에 대해 마이너스의 오차(설계거리보다 짧은 경우) 또는 플러스의 오차(설계거리보다 긴 경우)를 발생시킨다면, 당해 오차를 겔 시트(4)에 의해 흡수할 수 있는 기능도 갖도록 하고 있다. 겔 시트(4)의 두께의 상한값은, 용도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지만, 실제의 사용상황을 고려하면, 10㎜로 하는 것이 적당한다. 겔 시트(4)의 두께의 하한값은 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실재(實在)하는 겔 시트(4)의 두께의 하한값이 0.2㎜인 것, 0.2㎜ 미만의 두께의 겔 시트에서는 쿠션성이 훼손되는 외에, 얇기 때문에 조각이 발생하기 쉬워 조립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설계거리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겔 시트(4)가 압축되어 가로방향으로 밀려 나오는 경우, 이 밀려 나오는 양을 허용할 만큼의 공간을 겔 시트(4)의 주위에 형성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한 공간으로는, 겔 시트(4)의 두께의 50% 이상의 간격(G)을 겔 시트(4)의 두께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진 공간을 겔 시트(4)의 전체 주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컨대, 겔 시트(4)의 두께가 10㎜인 경우에는, 5㎜ 이상의 간격(G)의 간극을 겔 시트(4)의 전체 주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공간을 형성하면, 겔 시트(4)가 압축되어 가로방향으로 밀려 나왔다고 해도, 밀려 나온 부분은 겔 시트(4)의 두께 내에서 수용되어 겔 시트(4)의 인접하는 층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6)의 시인성이나 터치패널(1A)의 입력 조작성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역으로, 그러한 공간이 겔 시트(4)의 주위에 없는 경우에는, 겔 시트(4)가 압축되어 가로방향으 로 밀려 나오려고 해도 나오지 못하고 겔 시트(4)의 두께가 국부적으로 커져 버리다. 그러면, 겔 시트(4)의 두께가 불균일한 것으로 되어, 디스플레이(6)의 시인성이나 터치패널(1A)의 입력 조작성 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는, 겔 시트(4)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밀려 나온 부분이, 겔 시트(4)에 인접하는 층 등으로 돌아 들어가 디스플레이(6)의 시인영역까지 침입해 버려, 디스플레이(6)의 시인성이나 터치패널(1A)의 입력 조작성 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겔 시트(4)의 두께의 50% 이상의 간격(G)의 간극을 겔 시트(4)의 전체 주위에 형성하면 좋다.
상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13∼도 15는 본 발명의 상기 제1∼제5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른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과 디스플레이(6)가 조립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의 3개의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공간을, 실장용 시트(2)와 전면 케이스(7) 사이에 형성하는 예이다. 즉, 도 13에서는,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과 실장용 시트(2)가 대략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이고, 전면 케이스(7)의 투명창부 형성용 개구형성부(7a)에서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의 표면의 주위를 덮음과 더불어, 투명창부 형성용 개구형성부(7a) 근방의 전면 케이스 본체 내벽(7b)과 실장용 시트(2)의 겔 시트(4)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한 간격(G)를 가진 겔 시트가 밀려 나오는 공간(50)을 형성하고 있다.
도 14는, 상기 공간을, 실장용 시트(2) 자체에 형성하는(바꿔 말해, 상기 공간을 실장용 시트(2)에 형성하기 위해,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로부터 실 장용 시트(2)를 작게 형성하는) 예이다. 즉, 도 14에서는,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에 대해 실장용 시트(2)가 작게 되어 있고, 전면 케이스(7)의 투명창부 형성용 개구형성부(7a)에서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의 표면의 주위를 덮음과 더불어, 투명창부 형성용 개구형성부(7a) 근방의 전면 케이스 본체 내벽(7b)과 실장용 시트(2)의 겔 시트(4)의 외측면 사이이면서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과 디스플레이(6) 사이에, 상기한 간격(G)를 가진 겔 시트가 밀려 나오는 공간(50)을 형성하고 있다.
도 15는,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과 전면 케이스(7)의 표면이 동일 면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공간을, 실장용 시트(2)와 전면 케이스(7) 사이에 형성하는 예이다. 즉, 도 15에서는,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에 대해 실장용 시트(2)가 작게 되어 있고, 전면 케이스(7)의 투명창부 형성용 개구형성부(7d) 내에 보호패널(1)(또는 터치패널(1A))이 끼워 넣어져(또는, 보호패널(71)과 전면 케이스(7)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보호패널(1, 71)(또는, 터치패널(1A))과 전면 케이스(7)의 표면이 동일 면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투명창부 형성용 개구형성부(7d) 근방의 전면 케이스 본체 내벽(7c)과 실장용 시트(2)의 겔 시트(4)의 외측면 사이이면서 보호패널(1, 71)(또는, 터치패널(1A))과 디스플레이(6) 사이에, 상기한 간격(G)를 가진 겔 시트가 밀려 나오는 공간(50)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보호패널(1, 71)(또는, 터치패널(1A))에 대해 실장용 시트(2)를 작게 하는 경우, 실장용 시트(2)의 크기는 디스플레이(6)의 시인영역(가시영역)보다 크면 문제는 없다.
한편, 실장용 시트(2)의 최외면(즉, 겔 시트(4)의 외면과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 중, 한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가 다른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보다 높아지도록 하면, 실장용 시트(2)의 항상 같은 측에서, 실장용 시트(2)를 박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겔 시트(4)의 외면의 박리강도가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의 박리강도보다 높아지도록 하면, 실리콘 고무 시트(3c)와 디스플레이(6) 사이에서 항상 박리시킬 수 있다. 역으로,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의 박리강도가 겔 시트(4)의 외면의 박리강도보다 높아지도록 하면, 겔 시트(4)와 보호패널(1) 사이에서 항상 박리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장용 시트(2)의 제조 중의 도포, 즉 프라이머 처리 시의 코팅제의 도포나, 아크릴계 점착제층(3d)의 형성 시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도포,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형성 시의 도포 등에는,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코트법, 콤마 코트법, 또는 다이 코트법 등의 일반적인 코트법이 이용된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페어 시에, 실장용 시트(2)는 통상 겔 시트(4)의 외면의 박리강도가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의 박리강도보다 높기 때문에, 실리콘 고무 시트(3c) 측에서 디스플레이(6)로부터 깨끗하게 박리되어, 실장용 시트(2)의 일부가 디스플레이(6)에 전이되거나, 실장용 시트(2)가 분리되거나 하기 어렵다.
더욱이,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편면 재박리시트(3)에 쿠션성이 뛰어난 겔 시트(4)를 더한 투명한 실장용 시트(2)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고 있기 때문에, 겔 시 트(4)의 압축 여지를 미리 고려하여 보호패널(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사이의 설계거리보다 두꺼운 실장용 시트(2)를 이용함으로써, 조립 시의 보호패널(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설계거리에 대해 마이너스의 오차(설계거리보다 짧은 경우) 또는 플러스의 오차(설계거리보다 긴 경우)를 발생시킨다면, 당해 오차를 겔 시트(4)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패널(1)의 전면이 전면 케이스(7)로부터 돌출하거나, 볼록형상으로 변형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실장용 시트(2)의 재박리면에서 접착되고 않고 뜨는 상태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편면 재박리시트(3)는 쿠션성이 뛰어난 겔 시트(4)를 더한 투명한 실장용 시트(2)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패널(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6)의 표면의 첩합 시에, 손가락 등에 의해 실장용 시트(2)의 겔 시트(4)의 단부로부터 서서히 기포를 추출하도록 압력을 걸 수 있고, 특수한 설비가 없어도 기포가 없는 첩합이 가능하다.
이상, 도 1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실장구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는, 제1실시형태의 투명한 실장용 시트(2) 대신 상기 겔 시트(4)의 양면 모두 편면 재박리시트(3)(즉, 제1 편면 재박리시트(3-1)와 제2 편면 재박리시트(3-2))가 첩합되어 있는 투명한 실장용 시트(2A)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실장구조 는, 상기 실장용 시트(2A)의 한쪽의 제1 편면 재박리시트(3-1)의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보호패널(1)의 이면(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바꿔 말해 보호패널(1)의 디스플레이(6) 측의 면(도 2의 보호패널(1)의 하부면))의 시역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고, 상기 다른쪽의 제2 편면 재박리시트(3-2)의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전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실장용 시트(2A)가 설치된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실장한 구조이다. 한편, 이 경우, 2개의 편면 재박리시트(3-1, 3-2)의 최외면인 2개의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은 동일한 박리강도를 가질 필요는 없고, 최외면 중 한쪽의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의 박리강도가 다른쪽의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의 박리강도보다 높아지도록 하면, 실장용 시트(2A)의 항상 같은 측(즉, 박리강도가 약한 측의 실리콘 고무 시트(3c)의 외면측)에서, 박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1)의 실장구조는, 제1실시형태의 투명한 실장용 시트(2) 대신 상기 겔 시트(4)의 편면 재박리시트(3)가 첩합되어 있지 않은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5)이 더 적층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B)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실장구조는, 상기 실장용 시트(2B)의 아크릴계 점착제층(5)을 보호패널(1)의 이면(이 제3실시형태에서는, 바꿔 말해 보호패널(1)의 디스플레이(6) 측의 면(도 3의 보호패널(1)의 하부면))의 시역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고, 상기 실장용 시트(2B)의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전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실장용 시트(2B)가 설치된 보호패널(1)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실장한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겔 시트(4)의 편면 재박리시트(3)가 첩합되어 있지 않은 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보호패널(1)과 아크릴계 점착제층(5) 사이 가 아니라, 편면 재박리시트(3)의 최외면인 실리콘 고무 시트(3c)와 디스플레이(6) 사이에서의 박리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아크릴계 점착제층(5)으로서 이용하는 것은,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3)의 아크릴계 점착제층(3d)과 같은 것을 이용한다.
또,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실장용 시트(2)를 도 1과는 상하 역으로 배치해서 실장용 시트(2C)로 하고,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상기 보호패널(1) 측의 접착면으로 함과 더불어, 겔 시트(4)를 디스플레이(6) 측의 접착면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투명한 실장용 시트(2C)의 겔 시트(4)를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접착시키고, 그 디스플레이(6) 상의 실장용 시트(2C)의 표면인 실리콘 고무 시트(3c)에 보호패널(1)을 접착시키도록, 실장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실장용 시트(2B)를 도 3과는 상하 역으로 배치해서 실장용 시트(2D)로 하고,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상기 보호패널(1) 측의 접착면으로 함과 더불어, 아크릴계 점착제층(5)을 디스플레이(6) 측의 접착면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투명한 실장용 시트(2D)의 아크릴계 점착제층(5)을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접착시키고, 그 디스플레이(6) 상의 실장용 시트(2D)의 표면인 실리콘 고무 시트(3c)에 보호패널(1)을 접착시키도록, 실장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제1∼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3c) 대신 우레탄고무 시트(13c)를 사용해서 실장시트(2E)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의 실장 시트(2)에 있어서, 실리콘 고무 시트(3c) 대신 우레탄 고무 시트(13c)를 사용해서 실장시트(2E)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우레탄 고무 시트(13c)를 사용하는 실장 시트는,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사용하는 실장시트와 도면으로는 변함이 없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도 9에 우레탄 고무 시트(13c)를 적용한 경우만 도 12로서 예시한다. 다른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3c)를 우레탄 고무 시트(13c)로서 바꾸어 읽도록 하면 좋다. 우레탄 고무 시트(13c)는 피착체와의 사이에서 우레탄 고무 시트 배치면(프라이머 처리면(3b))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벗기는 힘이나 배치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힘에는 강하지만, 단부로부터 벗기도록 실장용 시트(2)와, 우레탄 고무 시트(13c)에 의해 실장용 시트(2)가 접착되는 피착체를 벗기는 힘을 작용시키면 용이하게 실장용 시트(2)와 피착체가 분리되기 쉬운 것이다. 우레탄 고무 시트(13c)의 재질로는, 충격흡수제 등으로 이용되는 폴리우레탄계의 고무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우레탄 고무 시트(13c)로서, 예컨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주원료로 하고, 다른 원료의 종류나 혼합비를 바꿈으로써, 용도에 따른 쿠션성이나 단열성 및 밀봉성 및 내충격성 등, 여러 가지 기능을 갖게 한 폴리우레탄계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 38㎛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심재로 하고, 먼저 그 한쪽 면에 코로나 방전에 의해 표면개질을 수행하며, 그 위에 두께 40㎛의 실리콘 고무 시트를 코터로 적층하고, 그 표면에 세퍼레이터로서 이형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라미네이트했다. 다음에, 심재의 다른쪽 면에, 두께 3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코터로 적층하고, 그 표면에 세퍼레이터로서 이형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양면에 세퍼레이터가 설치된 투명한 편면 재박리시트를 얻었다.
투명한 우레탄계의 고분자 점착제를 두께 1㎜의 겔 형상으로 하고, 양면에 세퍼레이터를 가진 시판의 겔 시트를 준비했다.
그 후, 상기 겔 시트의 한쪽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또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서 양자를 첩합시켜 실장용 시트를 얻었다.
다음에, 실장용 시트의 실리콘 고무 시트 측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보호패널의 이면 전면에 붙였다. 마지막으로, 나머지의 세파레이터, 즉 겔 시트의 다른쪽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보호패널을 LCD의 표면 전면에 붙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편면 재박리시트(2)와 겔 시트 1개를 준비하고, 상기 겔 시트의 한쪽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며, 또 1번째의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서 양자를 첩합시켰다. 다음에, 상기 겔 시트의 다른쪽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또 2번째의 편면 재박리시트의 아크릴 계 점착제층 측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서 양자를 첩합시켜 실장용 시트를 얻었다.
다음에, 실장용 시트의 1번째의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의 나머지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보호패널의 이면 전면에 붙였다. 마지막으로, 2번째의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의 나머지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보호패널을 LCD의 표면 전면에 붙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편면 재박리시트와 겔 시트 1개씩을 준비하고, 상기 겔 시트의 한쪽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며, 또 상기 편면 재박리시트의 아크릴계 점착제층 측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서 양자를 첩합시켰다. 다음에, 상기 겔 시트의 다른쪽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거기에 두께 3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코터로 적층 형성하며, 그 표면에 세퍼레이터로서 이형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 실장용 시트를 얻었다.
다음에, 실장용 시트의 실리콘 고무 시트 측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보호패널의 이면 전면에 붙였다. 마지막으로, 코터로 형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보호패널을 LCD의 표면 전면에 붙였다.
실시예 1∼3의 어느 경우도, 조립 시의 보호패널(1)의 배면과 디스플레이(6)의 표면 사이의 거리의 오차를 겔 시트로 흡수할 수 있고, 특수한 설비가 없어도 기포가 없는 첩합이 가능했다.
한편, 상기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시킴으 로써, 각각의 가진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플라스틱 필름의 심재(3a)와, 이 심재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 처리가 실시되어 형성된 프라이머 처리면(3b) 상에 적층되면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 71) 및 디스플레이(6)의 어느 한쪽의 부재와 접촉가능한 실리콘 고무 시트 또는 우레탄 고무 시트(3c, 13c) 및, 상기 심재의 다른쪽 면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3d)으로 구성되는 편면 재박리 시트(3)와,
    적어도 한쪽 면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첩합되는 겔 시트(4)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면 재박리 시트가 상기 겔 시트의 상기 한쪽 면에만 첩합되고, 상기 겔 시트의 다른쪽 면에는 새로운 아크릴계 점착제층(5)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장용 시트의 2개의 최외면(最外面: 가장 바깥쪽 면) 중 한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가 다른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장용 시트의 2개의 최외면 중 한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가 다른쪽의 최외면의 박리강도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5.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두께가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6.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용 시트의 재박리면을 구성하는 상기 실리콘 고무 시트 또는 우레탄 고무 시트의 두께가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7.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장용 시트.
  8.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 2A, 2B, 2C, 2D, 2E)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 71)을 상기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
  9. 청구항 5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 2A, 2B, 2C, 2D, 2E)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 71)을 상기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
  10. 청구항 6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 2A, 2B, 2C, 2D, 2E)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 71)을 상기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
  11. 청구항 7에 기재된 투명한 실장용 시트(2, 2A, 2B, 2C, 2D, 2E)를 매개로, 전자기기 표시창의 보호패널(1, 71)을 상기 디스플레이(6)의 표면에 재박리 가능하게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
KR1020077024607A 2005-05-16 2006-05-15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KR101266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3313 2005-05-16
JPJP-P-2005-00143313 2005-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273A true KR20080012273A (ko) 2008-02-11
KR101266712B1 KR101266712B1 (ko) 2013-05-28

Family

ID=3743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607A KR101266712B1 (ko) 2005-05-16 2006-05-15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90087655A1 (ko)
EP (1) EP1882584B1 (ko)
JP (1) JP4950881B2 (ko)
KR (1) KR101266712B1 (ko)
CN (1) CN101175635B (ko)
BR (1) BRPI0610111A2 (ko)
CA (1) CA2608546A1 (ko)
MY (1) MY141348A (ko)
RU (1) RU2412821C2 (ko)
TW (1) TWI419790B (ko)
WO (1) WO20061236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783B1 (ko) * 2016-04-11 2016-07-19 국방과학연구소 탈부착 가능한 전자기파 흡수 구조체
KR20170098842A (ko) * 2014-12-24 2017-08-3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패널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표면 보호 패널
KR20220154099A (ko) * 2020-03-31 2022-11-2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필름을 갖는 무기 기판/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적층체의 스택, 적층체의 보관 방법 및 적층체의 수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1239B2 (ja) * 2007-02-01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5044830B2 (ja) * 2007-03-08 2012-10-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033505B2 (ja) * 2007-06-21 2012-09-26 ローム株式会社 表示パネル
JP2009093158A (ja) * 2007-09-21 2009-04-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素子
JP5315660B2 (ja) * 2007-10-16 2013-10-1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920224B2 (en) * 2007-10-17 2011-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2009139435A (ja) * 2007-12-03 2009-06-25 Kyoritsu Kagaku Sangyo Kk 表示デバイス及びリペア可能な透明板を有する表示デバイス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I374379B (en) 2007-12-24 2012-10-11 Wintek Corp Transparent capacitive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00304B2 (ja) * 2008-03-31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949305B1 (ko) 2008-06-27 2010-03-23 유니로드(주) 연성 투명 전광 장치
WO2010018651A1 (ja) * 2008-08-13 2010-02-18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表示装置の保護体及び該保護体の形成方法
CN102132235B (zh) * 2008-08-25 2013-10-1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触摸输入设备及具有该触摸输入设备的电子器件
JP5451036B2 (ja) * 2008-11-21 2014-03-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78321A1 (en) 2008-12-29 2010-07-08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1021579A1 (ja) * 2009-08-20 2011-0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8965458B2 (en) 2009-08-21 2015-02-24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JP5226630B2 (ja) * 2009-08-26 2013-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EP2325718A1 (en) * 2009-11-24 2011-05-25 F. Hoffmann-La Roche AG Exchangeable Transparent Cover
US8940122B2 (en) 2010-03-12 2015-01-27 Wrapsol Acquisition, Llc Protective adhesive film, method of adhering protective adhesive film to a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adhesive film
US9025317B2 (en) 2010-03-17 2015-05-05 Otter Products, Llc Multi-material protective case for sliding/articulating/rot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5424964B2 (ja) * 2010-04-09 2014-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70031525A1 (en) 2010-05-14 2017-02-02 Racing Optics, Inc. Touch screen shield
US9128545B2 (en) 2010-05-14 2015-09-08 Racing Optics, Inc. Touch screen shield
US9274625B2 (en) 2010-05-14 2016-03-01 Racing Optics, Inc. Touch screen shield
KR101677631B1 (ko) * 2010-06-21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방법
US20120070603A1 (en) * 2010-09-21 2012-03-22 Fu-Yi Hsu Screen protective sticker
US9549598B2 (en) 2010-10-12 2017-01-2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AU2011316590C1 (en) 2010-10-12 2016-05-19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8044942B1 (en) * 2011-01-18 2011-10-25 Aevoe Inc. Touch screen protector
FR2973529B1 (fr) * 2011-03-31 2013-04-26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mmande et d'affichage pour vehicule automobile
US9615476B2 (en) 2011-06-13 2017-04-04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mobile device
CA2838333C (en) 2011-06-13 2021-07-20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 tablet computer
USD736777S1 (en) 2012-06-13 2015-08-18 Treefrog Developments,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3025373A (ja) * 2011-07-15 2013-02-04 Alps Electric Co Ltd 静電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保護フィルム付静電センサ
WO2013016859A1 (en) * 2011-07-30 2013-02-07 Stokvis Tapes (Shanghai) Co. Ltd. Layered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5503186A (ja) * 2011-11-10 2015-01-29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Tk Holdings Inc. 感圧照明システム
US9204697B2 (en) 2012-01-10 2015-12-08 The Joy Factory, Inc. Protective casing providing impact absorption and water resistan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120954B2 (en) * 2012-02-08 2015-09-01 Nlu Products, L.L.C.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349686B1 (ko) 2012-02-13 2014-01-10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휴대단말기용 디스플레이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WO2013154720A1 (en) 2012-04-13 2013-10-17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6024873B2 (ja) * 2012-05-21 2016-11-16 Hoya株式会社 トラックパッド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9469469B2 (en) 2012-06-01 2016-10-18 Treefrog Developments, Inc. Housing for encasing an object having a thin profile
CN103455191A (zh) * 2012-06-05 2013-12-18 昆山雅森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式胶片结构及具有复合式胶片结构的触控面板
US9241551B2 (en) 2012-06-13 2016-01-26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compartment
JP6260622B2 (ja) 2012-09-17 2018-01-17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Tk Holdings Inc. 単一層力センサ
JP5622822B2 (ja) * 2012-10-10 2014-11-12 エレコム株式会社 電子機器用保護具
WO2014117333A1 (en) * 2013-01-30 2014-08-07 Stokvis Tapes (Shanghai)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assembly
WO2014123165A1 (ja) * 2013-02-06 2014-08-14 旭硝子株式会社 透明面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EP2996513B1 (en) 2013-05-18 2018-03-28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protective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4194192A1 (en) 2013-05-30 2014-12-04 David Andrews Multi-dimensional trackpad
US9300078B2 (en) 2013-08-23 2016-03-29 Otter Products, Llc Waterproof housing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adapter for accessory device
US9295297B2 (en) 2014-06-17 2016-03-29 Racing Optics, Inc. Adhesive mountable stack of removable layers
JP6364663B2 (ja) * 2014-10-03 2018-08-01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US10466826B2 (en) 2014-10-08 2019-11-0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 track pad system
JP6472040B2 (ja) * 2014-10-28 2019-02-20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CN104385725A (zh) * 2014-11-06 2015-03-04 苏州佳值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止滑橡胶脚垫
JP6440549B2 (ja) * 2015-03-27 2018-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線測定装置
JP5969089B1 (ja) * 2015-05-20 2016-08-10 株式会社フジクラ 導体層付き構造体の製造方法、基材付き配線体、及び基材付き構造体
US9577697B2 (en) 2015-05-27 2017-02-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stylus access feature
EP3255481B1 (en) * 2015-12-08 2021-06-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Touch display screen
US9960521B2 (en) 2016-02-24 2018-05-01 Otter Products, Llc Connector for fluidly sealing an aperture of a protective case
CN106281068A (zh) * 2016-08-26 2017-01-04 强新正品(苏州)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硅胶片贴合电子器件的方法
US10159320B2 (en) 2016-09-07 2018-12-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JP6330871B2 (ja) * 2016-09-07 2018-05-30 ス キム,ヨン 着脱層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KR102398049B1 (ko) * 2017-06-13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79943B1 (ko) 2017-10-10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98503B1 (ko) * 2017-11-22 2020-04-07 김영수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8104894A1 (de) * 2018-03-05 2019-09-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0827809B2 (en) 2018-04-05 2020-11-10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JP6817257B2 (ja) * 2018-07-31 2021-01-20 株式会社Joled 保護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976457B2 (ja) * 2018-11-22 2021-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11665269B2 (en) 2018-12-21 2023-05-30 Otter Products, Llc Tool for installing a screen protector on an electronic device
US10841409B2 (en) 2018-12-21 2020-11-17 Otter Products, Llc Tool for installing a screen protector on an electronic device
EP3917768A4 (en) 2019-02-01 2022-10-26 Racing Optics, Inc. THERMOFORMED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MOLDABLE FOOT MOLD
US11846788B2 (en) 2019-02-01 2023-12-19 Racing Optics, Inc. Thermoform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formable mold
US11364715B2 (en) 2019-05-21 2022-06-21 Racing Optics, Inc. Polymer safety glazing for vehicles
DE102019116909A1 (de) * 2019-06-24 2020-12-24 Jugendforschungszentrum Schwarzwald-Schönbuch e. V. Touchscreen
DE102019117505B4 (de) * 2019-06-28 2022-03-03 Higgstec Inc. Berührungsempfindliche Anzeigevorrichtung
US11186031B2 (en) 2019-08-12 2021-11-30 Otter Products, Llc Apparatus for installing a screen protector on an electronic device
US11648723B2 (en) 2019-12-03 2023-05-16 Racing Op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n-normal incidence distortion in glazing films
US11548356B2 (en) 2020-03-10 2023-01-10 Racing Optics, Inc. Protective barrier for safety glazing
US11490667B1 (en) 2021-06-08 2022-11-08 Racing Optics, Inc. Low haze UV blocking removable lens stack
US11709296B2 (en) 2021-07-27 2023-07-25 Racing Optics, Inc. Low reflectance removable lens stack
US11307329B1 (en) 2021-07-27 2022-04-19 Racing Optics, Inc. Low reflectance removable lens stack
US11933943B2 (en) 2022-06-06 2024-03-19 Laminated Film Llc Stack of sterile peelable lenses with low creep
US11808952B1 (en) 2022-09-26 2023-11-07 Racing Optics, Inc. Low static optical removable lens stac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701A (ja) * 1992-08-25 1994-03-18 Nitto Denko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321718B2 (ja) * 1993-04-01 2002-09-09 鈴木総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光錯乱防止構造の製造方法
JP3421690B2 (ja) 1994-04-15 2003-06-30 株式会社ジェルテック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光錯乱防止構造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118431B2 (ja) 1997-02-10 2000-12-1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
JPH10260395A (ja) 1997-03-19 1998-09-29 Nissha Printing Co Ltd 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一体型透明タッチパネル
JPH11353709A (ja) * 1998-06-05 1999-12-24 Nitto Denko Corp 光ディスク基板の接着方法及び光ディスク基板接着用両面粘着シ−ト
JP2000265132A (ja) * 1999-03-11 2000-09-26 Misuzu Kogyo:Kk 両面テープ
JP4048664B2 (ja) * 1999-11-09 2008-0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0221A (ja) * 2000-01-20 2001-07-24 Cosmo Tec:Kk シリコーンゲル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2072214A (ja) 2000-08-31 2002-03-12 Sumitomo Chem Co Ltd 液晶表示用装置
US20040263481A1 (en) * 2001-08-30 2004-12-30 Kazuhiro Nishikawa Mounting structure of re-peelable transparent touch panel and mounting sheet used for it
JP2003150316A (ja) 2001-08-30 2003-05-23 Nissha Printing Co Ltd 再剥離可能な透明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とこれに用いる実装用シート
JP4219735B2 (ja) * 2003-05-20 2009-02-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低反射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と低反射タッチパネル実装用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8842A (ko) * 2014-12-24 2017-08-3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패널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표면 보호 패널
KR101640783B1 (ko) * 2016-04-11 2016-07-19 국방과학연구소 탈부착 가능한 전자기파 흡수 구조체
KR20220154099A (ko) * 2020-03-31 2022-11-2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필름을 갖는 무기 기판/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적층체의 스택, 적층체의 보관 방법 및 적층체의 수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87655A1 (en) 2009-04-02
EP1882584A4 (en) 2009-02-11
RU2007146761A (ru) 2009-06-27
BRPI0610111A2 (pt) 2010-06-01
WO2006123616A1 (ja) 2006-11-23
CA2608546A1 (en) 2006-11-23
TW200701043A (en) 2007-01-01
CN101175635B (zh) 2012-09-05
TWI419790B (zh) 2013-12-21
RU2412821C2 (ru) 2011-02-27
CN101175635A (zh) 2008-05-07
JPWO2006123616A1 (ja) 2008-12-25
KR101266712B1 (ko) 2013-05-28
MY141348A (en) 2010-04-16
EP1882584A1 (en) 2008-01-30
JP4950881B2 (ja) 2012-06-13
EP1882584B1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712B1 (ko) 재박리 가능한 보호패널의 실장구조와 이에 이용되는실장용 시트
JP4729560B2 (ja) 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KR101096394B1 (ko) 보호패널 부착 전자기기, 보호패널 및 보호패널의 제조방법
KR101334532B1 (ko) 터치 입력 디바이스 및 전자기기
JP4880723B2 (ja) 押圧検出機能を有する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JPWO2005114367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
WO2002091161A1 (fr) Ecran tactile et appareil electronique l'utilisant
WO2010147045A1 (ja) 押圧検出機能を有する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
WO2010150781A1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
KR101489029B1 (ko) 전자 기기 표시창의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보호 패널
JP2008287670A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
JP2004213187A (ja) アイコン付きタッチパネル
JP2010176397A (ja) 電子機器表示窓の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211481304U (zh) 柔性盖板组件、柔性显示屏及柔性电子设备
CN220752683U (zh) 防止视区边缘透光的触控显示模组及显示屏
CN220265611U (zh) 光学单元
MX2007014317A (es) Estructura de montaje de panel protector re-desprendible y hoja de montaje que usa la mis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