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201A -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201A
KR20070104201A KR1020060117056A KR20060117056A KR20070104201A KR 20070104201 A KR20070104201 A KR 20070104201A KR 1020060117056 A KR1020060117056 A KR 1020060117056A KR 20060117056 A KR20060117056 A KR 20060117056A KR 20070104201 A KR20070104201 A KR 2007010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rier
crane
yard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227B1 (ko
Inventor
홍 티엔
하오 린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넘버. 3 십 트랜스포테이션 엔지니어링 퍼램뷰레이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오브 미너스트리 어브 트래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넘버. 3 십 트랜스포테이션 엔지니어링 퍼램뷰레이션 앤드 디자인 인스티튜트 오브 미너스트리 어브 트래픽 filed Critical 상하이 쩐화 포트 머신너리 코.,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10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65G63/04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 B65G63/045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으로 배열되되, 상기 구조물은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구비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으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하부승강시스템;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를 구비하고, 운송캐리어는 그 위에 올려질 컨테이너와 같이 90°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승강시스템으로 작동될 수 있는 운송캐리어시스템 및; 야적장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는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추고 있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은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효율성과 기술적 수준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Arrangement scheme of a container wharf and the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캐리어의 평면도로서, 회전기계설비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캐리어시스템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승강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야적장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두의 전반적인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승강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야적장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부두의 전반적인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 적재 또는 하적공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 운송과 처리량을 위한 요구사항이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컨테이너 처리기술 뿐만 아니라 적재 및 하적기술을 위한 처리공정은 더욱 새롭고 높은 요구사항으로 갖추게 되었다. 그러므로 개발요구와 컨테이너 설계장치는 고효율로 처리하기 위해서, 부두의 컨테이너 운송의 표준화, 고속화 및 자동화가 필요하게 된다.
세계경제 및 무역이 성장하는 1990년대부터, 컨테이너의 화물용적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운송여건과 기술 및 경제적 장점을 위해 컨테이너의 크레인설비를 위한 고도기술, 특히 자동제어기술이 충분하게 개발되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컨테이너 부두의 처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부두는 부두의 전방(부두가)과 부두의 후방(컨테이너 야적장)으로 나눠질 수 있다. 부두의 전방에 있는 컨테이너 크레인은 컨테이너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되고 부두의 후방에 있는 컨테이너 야적장은 컨테이너를 적층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야적장에 적층된 컨테이너의 배열을 위한 2개의 구조가 필요로 하다. 하나는, 야적장에 컨테이너는 선박에 컨테이너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되, 컨테이너의 방향은 컨테이너의 장축을 참조로 하여 사용된다. 야적장에 적층된 컨테이너의 다른 배열의 구조는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선박에 컨테이너의 방향과 다르게 배열되는 것이다. 최근 몇 년사이에,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크레인의 사용이 증가되고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작업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후자의 구조가 더욱 애용되고 있는게 현실이며, 즉 야적장에 컨테이너는 선박에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열된다.
현재에는, 부두의 전방과 후방 사이로의 운송이 가스엔진으로 구동되는 플랫 캐리어로 실현된다. 다시 말하자면, 하적공정 중에, 컨테이너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선박에서 플랫 캐리어로 들어올려진 다음에, 플랫 캐리어로서 컨테이너 야적장까지 운송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플랫 캐리어에서 야적장으로 들어올려지는 한편, 적재공정 중에, 컨테이너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야적장에서 플랫 캐리어로 들어올려진 다음에, 플랫 캐리어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 아래로 운송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써 플랫 캐리어에서 들어올려지고 선박으로 적재된다. 그러나, 전술된 공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될 것이다.
1) 플랫 캐리어는 노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선로 상으로 이동하는 캐리어 처럼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지 않기에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는 데에 쉽지가 않고 처리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2) 플랫 캐리어는 사람에 위해서 구동되어 완전히 자동화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3) 플랫 캐리어는 가스엔진으로 구동되어 공해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부두에서 운송, 적재, 하적 및 적층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상에 따르면,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될 컨테이너의 방향과 수직되게 배열되되, 구조물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고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trolley)를 갖추되,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동 중에는 제1방향을 유지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제1방향과 직각으로 되어 있는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제1방향을 따라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하부승강선로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 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하부승강시스템;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는 야적장에서 컨테이너 사이의 채널에 정렬되고 야적장을 관통하여 뻗으며, 또한 운송캐리어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뻗는 한편,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놓여진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는 운송캐리어를 구비하고,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되고서,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형성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다른 높이를 갖는 운송캐리어시스템; 및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추고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서 이동하되,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야적장 크레인선로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하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바,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캐리어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며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선박에 적재하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할 때,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운소캐리어로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다음에, 운송캐리어가 90°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배열하고서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야적장에 이들을 위치시킨다.
운송캐리어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컨테이너 운송트롤리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선로세트에 위치된 휠세트;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휠세트를 구동하는 휠구동수단;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전되는 회전기계설비;
회전지지수단으로 상기 회전기계설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회전플랫폼;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플랫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 계설비를 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휠구동수단은 전기수단, 유압동력전달수단 및 공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기로, 휠세트는 각각 상기 하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4개의 휠세트로 이루어지되, 트롤리 선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휠세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기로, 회전기계설비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회전플랫폼의 중심에 정렬되어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기로, 회전지지수단은 원통형상의 회전기계설비의 원주에 지지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일치하되, 하나로 이루어진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캐리어는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동한다.
바람직하기로, 하부승강시스템은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보유한다.
바람직하기로, 하부승강시스템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트럭에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에 따르면,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으로 배열되되, 구조물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고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trolley)를 갖추되,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동 중에는 제1방향을 유지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제1방향과 직각으로 되어 있는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제1방향을 따라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하부승강선로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하부승강시스템;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는 야적장에서 컨테이너를 정렬시키고 야적장의 한쪽 끝까지 뻗어 있으나 야적장으로 들어가지는 않으며, 또한 운송캐리어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뻗는 한편,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놓여진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는 운송캐리어를 구비하고,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되고서,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형성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다른 높이를 갖는 운송캐리어시스템; 및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추고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서 이동하되,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야적장 크레인선로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하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바,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캐리어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며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선박에 적재하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할 때,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다음에, 운송캐리어가 90°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배열하고서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야적장에 이들을 위치시킨다.
운송캐리어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컨테이너 운송트롤리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선로세트에 위치된 휠세트;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휠세트를 구동하는 휠구동수단;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전되는 회전기계설비;
회전지지수단으로 상기 회전기계설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회전플랫폼;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플랫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계설비를 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휠구동수단은 전기수단, 유압동력전달수단 및 공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기로, 휠세트는 각각 상기 하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4개의 휠세트로 이루어지되, 트롤리 선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휠세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기로, 회전기계설비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회전플랫폼의 중심에 정렬되어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기로, 회전지지수단은 원통형상의 회전기계설비의 원주에 지지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 템 플랜 캐리어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일치하되, 하나로 이루어진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캐리어는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동한다.
바람직하기로, 하부승강시스템은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보유한다.
바람직하기로, 하부승강시스템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선로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양상에 따르면, 컨테이너 부두의 적재 및 하적공정을 포함하되, 컨테이너 부두는 전술된 구조물에 따라 배열되는바,
적재공정은,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가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로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 상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이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선박으로 적재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적공정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며;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가 야적장 캐리어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며;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야적장에 올려놓는다.
적재공정에서,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는 운송캐리어는 운송이 야적장의 끝에서 떠나고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하는 중에 실행될 수 있거나, 회전단계는 운송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 실행될 수 있고, 하적공정에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는 운송캐리어는 운송이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서 떠나고 야적장의 끝에 도달하는 기간 중에 실행될 수 있거나, 회전단계는 운송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있을 때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부두의 해안가에 크레인과 컨테이너 야적장에 크레인 사이에 운송속도가 증가할 것이며 90°회전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될 것이다. 덧붙여서, 해결책은 비자동화 부두, 특히 자동화 부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효율적인 조정에 대한 장점이 향상된 능률과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항의 기술적 수준을 위한 새로운 작업방식을 창출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특징, 특질 또는 장점은 도면을 참조로 하는 아래 실시예의 설명으로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동일한 특징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주요관점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야적장 크레인 사이에 하부승강시스템과 운송시스템을 구비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와 운송캐리어를 포함한) 선로 상으로 이동하는 전기캐리어로 컨테이너의 운송을 실행하는 것으로, 컨테이너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컨테이너의 유무에 상관없이 선박에 대해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플랫폼을 갖춰서, 부두의 전방에 취급지점과 부두의 후방에 컨테이너 야적장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배열을 돕기 위한 90°회전을 성취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부승강시스템(low elevated system)과 운송시스템 및 이를 기초로 한 컨테이너의 배열을 구비하여 컨테이너의 운송에 대한 자동화와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다.
간결하고 명료하도록, 선박에서 컨테이너의 방향은 제1방향으로 간주하고, 야적장에서 컨테이너의 방향은 제2방향으로 간주하되, 제1방향은 제2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하부승강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하부승강시스템(200)을 도시한 도 5 및 도 8을 참조로 하면, 제1방향으로 설정된 하부승강선로(202)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승강선로(20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승강선로(202)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202)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승강선로(202)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동일하다. 하부승강선로(202) 중 한 그룹과 선로 상에서 이동하는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선로그룹 사이로 이동하는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이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을 위해 사용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적재 및 하적작업을 위해 특별히 사용된다. 하부승강 선로(202)의 그룹과 선로 상에서 이동하는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선로그룹 사이로 이동하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은 제1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열된다. 언급되었듯이, 모든 하부승강선로(202)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도달할 수 있는 위치, 즉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의 선로 아래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도달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적재 및 하적작업이 바쁘고 야적장이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거리가 멀어 하부승강시스템과 운송시스템의 작업속도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업속도에 못미칠 때 혹은, 하부승강선로,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또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이 오작동을 일으킬 때, 컨테이너 부두의 적재/하적속도 및 효율성을 가속화시키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승강시스템은 크레인 아래에 트럭과 직접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트럭과의 작업을 위한 공간은 부두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야적장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 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야적장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된다.
운송캐리어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송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운송캐리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운송캐리어의 평면도로 회전기계설비의 작동원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운송캐리어시스템의 작동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캐리어시스템은 운송캐리어(101)를 구비하되, 상기 운송캐리어(101)은,
하부프레임(102)과;
하부프레임(102)에 장착되고, 컨테이너 운송캐리어(100)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선로세트 상에 위치선정되는 휠세트(104);로, 실시예에 따르면 휠세트는 4세트의 휠로 이루어져 하부프레임(102)의 4개의 꼭지점에 각각 위치되며, 더 많은 휠세트와 휠세트의 다른 배열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더 많은 갯수의 휠세트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하부프레임(102)의 양 측에 배열될 수 있으며,
휠세트(104)를 구동하도록 하부프레임(102)에 장착될 휠구동수단(106);으로, 구동수단(106)은 큰 동력을 갖춘 단일 구동장치 또는 각각 휠세트(104)에 장착될 소형 구동장치일 수 있는바,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구동장치(106)가 4개의 휠세트에 장착되어 사용되되, 환경보호차원에서, 전기, 유체 또는 공력구동이 구동수단으로 사용되며,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하부프레임(102)에 장착된 회전기계설 비(108);
회전플랫폼(110) 상에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며, 회전지지수단(112)으로 회전기계설비(108)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회전플랫폼(110);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하면, 회전플랫폼(110)의 크기는 실제로 컨테이너의 크기를 기초로 설계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상을 갖는, 한편 하부프레임(102)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회전플랫폼(110)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있으며,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계설비(108)는 원통형상으로, 회전플랫폼(110)의 중심에 정렬된 하부프레임(102)의 중심에 놓여지고, 회전기계설비(108)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실제의 사용여건을 고려하여 매번 90°씩 회전하며, 회전기계설비(108)가 원통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 예컨대 육각형상, 직사각형상, 타원형상, 불규칙한 다각형상 등으로 되어 기계설비가 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되고, 실시예에서, 회전지지수단(112)은 원통형상의 회전기계설비(108)의 원주에 4개의 지점에 4개의 지지부품을 구비하며, 회전지지수단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플랫폼(11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계설비(108)를 구동하기 위해, 하부프레임(102)에 장착된 회전구동수단(114);으로 이루어진다.
전술된 회전기계설비와 회전플랫폼 및 회전구동수단으로,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전플랫폼을 반시계 혹은 시계방향으로 90°씩 회전시킬 수 있어, 회전플랫폼 상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90°회전되고 부두의 전방과 부두의 후방에 컨테이너 야적장 사이에서 배열되기 위해 회전한다.
운송캐리어는 지상운송용 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운송캐리어는 본 발명의 운송캐리어시스템에 사용되며, 특히 운송캐리어는 본 발명의 부두의 전반적인 구조물에 사용된다.
운송캐리어가 운송캐리어시스템에 사용되는 상황에서, 운송캐리어시스ㅔ템(100)은 운송캐리어선로(112)를 또한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에 컨테이너와 평행한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으로 뻗을 수 있거나 컨테이너 부두의 다른 구조물에서는 야적장의 외부끝으로 뻗을 수 있다.
운송캐리어시스템은 하부승강시스템과 야적장 사이를 연결한다. 적재공정에서, 야적장 크레인은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운송캐리어(101)의 회전플랫폼까지 들어올린다. 이러한 작업은 운송캐리어(101) 위에 위치까지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야적장 크레인 또는 운송캐리어선로(112)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하는 운송캐리어로 실행될 수 있다. 운송캐리어선로(112)가 야적장(도 3 참조)으로 뻗는 상황이 아래에 실례로 사용될 것이다. 도 3에 위치(C)에서, 야적장 크레인은 캐리어(101)의 회전플랫폼 위로 컨테이너를 처리한 다음에 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112)를 따라서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도 3의 위치(B))까지 이동한다.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방향은 컨테이너의 현재 방향과 직각인 제1방향을 따라야 한다. 이때에, 회전기계설비와 회전플랫폼 및 회전구동수단으로, 회전플랫폼은 90°씩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컨테이너의 방향이 제1방향(도 3의 위치(A)를 참조)을 따른다. 그런 후에, 하부승강시스템(200)의 하부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 위에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하부승강선로(202)를 따라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하고, 컨테이너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선박에 적재된다. 회전공정은 운송캐리어(101)가 야적장 외부로 이동하고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 다시 말하자면 도 3에 도시된 위치(A)와 위치(B) 사이에 도달하기 전에 실행된다. 회전은 운송캐리어(101)의 이동공정 혹은 운송캐리어(101)가 정지할 때에 실행된다. 하적공정 동안에는 전술된 흐름경로와는 반대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상세한 단계는 생략될 것이다.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
본 발명에 사용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임의의 유형이 사용될 수 있는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은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와 하부승강시스템을 갖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향상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을 위한 다수의 출원을 제출하였으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부두가 크레인은 선박에 컨테이너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의 트롤리와 하부승강시스템을 갖춘다.
적재/하적에 대한 효율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2개의 트롤리를 갖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하는바, 2개의 트롤리는 동시에 작업할 수 있고 작업효율을 극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트롤리를 갖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재/하적에 대한 효율성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출원인은 상부 트롤리와 하부 트롤리를 갖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한다. 이러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은 상부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트롤리와 하부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트롤리를 갖추고 있다. 상부 트롤리는 긴 빔의 상부선로에 장착되어 선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상부선로는 크레인의 전방빔과 후방빔에 배열되고 레일의 높이는 종래의 크레인의 일반적인 높이로 되어 있으며, 상부 트롤리는 선박과 중간운송플랫폼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한다. 하부 트롤리는 빔을 가로지르는 게이트 프레임의 하부선로에 장착되어 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선로의 높이위치는 지면과 하부승강시스템에 근접해 있다. 하부 트롤리는 선로와 하부승강시스템 및 중가운송플랫폼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한다.
컨테이너를 구비한 중간운송플랫폼 위치는 빔을 가로지는 게이트 프레임 아래의 최적위치에 배열된다. 상부 트롤리는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를 단계별로 작동선로를 따라서 동시에 중간운송플랫폼까지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거나, 상부 트롤리는 중간운송플랫폼에서 단계별로 동시에 선박까지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다. 상부 트롤리가 동시에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를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의 생산율이 종래의 크레인에 비해서 2배에 이르게 될 것이다. 또한, 상부 트롤리는 동시에 4개의 20피트 컨테이너 또는 동시에 하나의 40피트 컨테이너와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상부 트롤리는 종래의 크레인이 수행했던 바와 같이 하나의 20피트 컨테이너, 하나의 40 피트 컨테이너, 하나의 45피트 컨테이너 또는, 하나의 53피트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다.
하부 트롤리는 중간운송플랫폼에 컨테이너를 하나씩 하부승강시스템 또는 트럭으로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거나, 하부 트롤리는 트럭 또는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를 하나씩 중간운송플랫폼으로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 하부선로는 크레인의 구조적 특징을 사용하도록 배열되되, 지면에서 하부선로의 높이가 현저하게 감소되며, 트롤리의 작동거리는 줄어들게 되어서, 하부 트롤리가 최적의 상승높이와 작업거리를 갖고, 크레인과 트럭 사이의 정렬상태가 용이하며, 적재 및 하적시 회전하는 동안에 진동이 방지되며, 적재 및 하적의 속도와 효율성이 증가된다.
수동조작없이 모든 자동화작업이 중간운송플랫폼을 사용하는 2개의 캐리어의 연계작업으로 사용되며, 수동조작과 원격제어 조작을 조합한 작동모델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사용된다. 중간운송플랫폼은 2개의 캐리어의 중간운송 연계기능을 제외한 컨테이너의 4개의 모서리 체결핀의 설치와 해체로 실행될 수 있고, 컨테이너의 4개의 모서리 체결핀의 설치와 해체는 작업자를 통해 중간운송플랫폼으로 완결될 수 있는바, 즉 컨테이너 모서리 체결핀의 설치와 해체는 2개의 캐리어의 연계작업의 시간차로 인한 작업과정시간을 발생하지 않아 크레인의 적재 및 하적이 증가된다. 종래 크레인의 작동에서, 컨테이너의 모서리 체결핀의 설치와 해체는 컨테이너를 매달고 있는 캐리어가 지면에 근접해 있을 때 작업자가 수행하고, 캐리어는 컨테이너의 모서리 체결핀의 설치와 해체가 작업자에 의해서 완전하게 된 후에 다음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크레인의 작업에서, 크레인의 전방 캐리어가 중간운송플랫폼 위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운반된 후에, 전방 캐리어가 즉시 다음 순환과정으로 출발하여 전방 캐리어 작동과정에서 체결핀을 빼내는 시간이 생략된다.
높은 효율성을 갖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을 사용하므로 컨테이너 부두의 전반적인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개발중인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두에 관련된 것으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은 아니다.
야적장 크레인
본 발명의 야적장 크레인(400)은 일반적인 갠트리크레인(gantry crane)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갠트리크레인은 이미 알려져 있고 당해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갠트리크레인의 다른 유형의 작업효율은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야적장 크레인은 여기서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의 제1실시예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관점은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으로,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되게 배열되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컨테이너 부두의 제1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은 전술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과 같다. 크레인(300)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 및 하부승강시스템(200)에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302)를 갖추고 있으며,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작동 중에는 제1방향을 유지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트롤리(302)는 제1방향과 직각인 제2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트롤리(302)의 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200)의 하부승강선로(202)를 가로지르는 위치까지 뻗고 모든 하부승강선로(202)를 덮는다. 따라서, 트롤리(302)가 하부승강시스템의 모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를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실례로서 도시되고 있고, 상황에 따라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더 많은 트롤리를 구비할 수 있으나,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은 적당한 트롤리의 선로를 배열하여 실행하고 있다.
전술된 하부승강시스템(200)과 같이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제1방향을 따른 하부승강선로(202)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승강선로(202)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하부승강선로(202)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202)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트롤리(302)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하부 승강시스템(200)의 하부승강선로(202)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동일하다. 하부승강선로(203) 중 하나의 그룹과 선로 위로 이동하는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선로그룹 사이로 이동하는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은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사용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적재 및 하적작업을 위해서만 특별하게 사용된다. 하부승강선로(202) 중 그룹과 선로 위로 이동하는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선로그룹 사이로 이동하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은 제1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모든 하부승강선로(202)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서 도달할 수 있는 위치, 즉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의 선로 아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도달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적재 및 하적작업이 바쁘고 야적장이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거리가 멀어 하부승강시스템과 운송시스템의 작업속도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업속도에 못미칠 때 혹은, 하부승강선로,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또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이 오작동을 일으킬 때, 컨테이너 부두의 적재/하적속도 및 효율성을 가속화시키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부승강시스템은 크레인 아래에 트럭과 직접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트럭과의 작업을 위한 공간은 부두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야적장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야적장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된다.
운송캐리어시스템(100)은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112)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에서 컨테이너 사이의 채널에 정렬되고 야적장을 관통하여 뻗으며, 또한 운송캐리어선로(112)는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까지 뻗는 한편, 운송캐리어시스템(100)은 또한 운송캐리어선로(112)를 따라 이동하고 놓여진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는 운송캐리어(101)를 구비하고,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운송캐리얼(101)로 컨테이너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되고서,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운송캐리어(101)로 형성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다른 높이를 갖춰 운송캐리어(101)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의 충돌을 방지한다. 운송캐리어시스템은 하부승강시스템과 야적장 사이를 연결한다. 적재공정에서, 야적장 크레인은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운송캐리어(101)의 회전플랫폼까지 들어올린다. 이러한 작업은 운송캐리어(101) 위에 위치까지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야적장 크레인 또는 운송캐리어선로(112)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하는 운송캐리어로 실행될 수 있다. 운송캐리어선로(112)가 야적 장으로 뻗는다. 야적장 크레인은 캐리어(101)의 회전플랫폼 위에 컨테이너를 처리한 다음에 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112)를 따라서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까지 이동한다.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방향은 컨테이너의 현재 방향과 직각인 제1방향을 따라야 한다. 이때에, 회전기계설비와 회전플랫폼 및 회전구동수단으로, 회전플랫폼은 90°씩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컨테이너의 방향이 제1방향을 따른다. 그런 후에, 하부승강시스템(200)의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 위에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하부승강선로(202)를 따라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하고, 컨테이너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선박에 적재된다. 회전공정은 운송캐리어(101)가 야적장 외부로 이동하고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실행된다. 회전은 운송캐리어(101)의 이동공정 혹은 운송캐리어(101)가 정지할 때에 실행된다. 하적공정 동안에는 전술된 흐름경로와는 반대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상세한 단계는 생략될 것이다.
전술된 야적장 크레인(400)과 같은 야적장 크레인(400)은,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고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서 이동하되,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야적장 크레인선로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구조물에 따르면,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의 채널로 뻗고 야적장을 관통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선로(402)는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는다. 운송캐리어(101)는 운송시스템과 야적장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운송을 실행하는 거 리로 이동할 것이다. 운송캐리어선로는 야적장 컨테이너(400) 아래를 지나가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물에 따르면, 야적장 컨테이너는 긴 간격을 갖춰야 하는데, 예컨대 하나의 야적장 컨테이너는 2열의 컨테이너를 넘는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배치될 것이고, 2열 사이의 채널은 운송캐리어선로(112)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부두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캐리어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며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선박에 적재하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할 때,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다음에, 운송캐리어가 90°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컨테이 너를 배열하고서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야적장에 이들을 위치시킨다.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의 제2실시예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부두의 다른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으로,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배열되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컨테이너 부두의 제2구조물을 보여주고 있다.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은 전술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과 같다. 크레인(300)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 및 하부승강시스템(200)에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302)를 갖추고 있으며,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작동 중에는 제1방향을 유지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트롤리(302)는 제1방향과 직각인 제2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트롤리(302)의 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200)의 하부승강선로(202)를 가로지르는 위치까지 뻗고 모든 하부승강선로(202)를 덮는다. 따라서, 트롤리(302)가 하부승강시스템의 모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를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실례로서 도시되고 있고, 상황에 따라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더 많은 트롤리를 구비할 수 있으나,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은 적당한 트롤리의 선로를 배열하여 실행하고 있다.
전술된 하부승강시스템(200)과 같이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제1방향을 따른 하부승강선로(202)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승강선로(202)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하부승강선로(202)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하부승강선로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202)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300)의 트롤리(302)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하부승강시스템(200)의 하부승강선로(202)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동일하다. 하부승강선로(203) 중 하나의 그룹과 선로 위로 이동하는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선로그룹 사이로 이동하는 하나의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은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사용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적재 및 하적작업을 위해서만 특별하게 사용된다. 하부승강선로(202) 중 그룹과 선로 위로 이동하는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선로그룹 사이로 이동하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은 제1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모든 하부승강선로(202)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서 도달할 수 있는 위치, 즉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의 선로 아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도달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적재 및 하적작업이 바쁘고 야적장이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거리가 멀어 하부승강시스템과 운송시스템의 작업속도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업속도에 못미칠 때 혹은, 하부승강선로,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또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이 오작동을 일으킬 때, 컨테이너 부두의 적재/하적속도 및 효율성을 가속화시키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부승강시스템은 크레인 아래에 트럭과 직접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트럭과의 작업을 위한 공간은 부두가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하부승강시스템(200)은 야적장에 근접하게 배치되고,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야적장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된다.
운송캐리어시스템(100)은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112)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에서 컨테이너를 정렬하고 야적장의 한끝으로 뻗으나 야적장으로 들어가지는 않으며, 또한 운송캐리어선로(112)는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까지 뻗는 한편, 운송캐리어시스템(100)은 또한 운송캐리어선로(112)를 따라 이동하고 놓여진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는 운송캐리어(101)를 구비하고,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운송캐리어(101)로 컨테이너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되고서,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운송캐리어(101)로 형성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다른 높이를 갖춰 운송캐리어(101)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의 충돌을 방지한다. 운송캐리어시스템은 하부승강시스템과 야적장 사이를 연결한다. 적재공정에서, 야적장 크레인은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운송캐리어(101)의 회전플랫폼까지 들어올린다. 이러한 작업은 운송캐리어(101) 위에 위치까지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야적장 크레인 또는 운송캐리어선로(112)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하는 운송캐리어로 실행될 수 있다. 운송캐리어선로(112)가 야적장으로 뻗는다. 야적장 크레인은 캐리어(101)의 회전플랫폼 위에 컨테이너를 처리한 다음에 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112)를 따라서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까지 이동한다.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방향은 컨테이너의 현재 방향과 직각인 제1방향을 따라야 한다. 이때에, 회전기계설비와 회전플랫폼 및 회전구동수단으로, 회전플랫폼은 90°씩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컨테이너의 방향이 제1방향을 따른다. 그런 후에, 하부승강시스템(200)의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204)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 위에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206)는 하부승강선로(202)를 따라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이동하고, 컨테이너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선박에 적재된다. 회전공정은 운송캐리어(101)가 야적장 외부로 이동하고 하부승강시스템(200) 아래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실행된다. 회전은 운송캐리어(101)의 이동공정 혹은 운송캐리어(101)가 정지할 때에 실행된다. 하적공정 동안에는 전술된 흐름 경로와는 반대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상세한 단계는 생략될 것이다.
전술된 야적장 크레인(400)과 같은 야적장 크레인(400)은,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고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서 이동하되,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야적장 크레인선로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구조물에 따르면,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의 채널로 뻗지 않고 야적장의 외부 끝으로 뻗은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선로(402)는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다. 야적장 크레인(400)은 운송시스템과 야적장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운송을 실행하기 위해 운송캐리어(101)를 가로지르는 위치까지 야적장 크레인선로(402)를 따라 거리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에 따르면,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야적장 컨테이너(400) 아래에 놓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물에 따르면, 야적장 컨테이너는 짧은 간격을 갖춰야 하는데, 예컨대 하나의 야적장 컨테이너는 1열의 컨테이너를 넘는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배치될 것이고, 운송캐리어선로(112)는 컨테이너의 열을 정렬한다.
컨테이너 부두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캐리어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며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선박에 적재하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할 때,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운소캐리어로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다음에, 운송캐리어가 90°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배열하고서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야적장에 이들을 위치시킨다.
컨테이너 적재 및 하적공정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부두의 적재 및 하적공정을 포함하되, 컨테이너 부두는 전술된 구조물에 따라 배열되는바,
적재공정은,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가 야적 장 크레인 아래위치로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 상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이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선박으로 적재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적공정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며;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가 야적장 캐리어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며;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야적장에 올려놓는다.
적재공정에서,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는 운송캐리어는 운송이 야적장의 끝에서 떠나고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하는 중에 실행될 수 있거나, 회전단계는 운송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 실행될 수 있고, 하적공정에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는 운송캐리어는 운송이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서 떠나고 야적장의 끝에 도달하는 중에 실행될 수 있거나, 회전단계는 운송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있을 때에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부두의 전방과 후방에서 컨테이너의 운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엔진(컨테이너 트럭, AGV 또는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로 구동되는 종래의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선로 상에서 이동하는 전기플랫폼 트롤리를 사용한다. 트롤리는 부두의 전방에서 장치로 들어올려진 컨테이너를 부두의 후방에 야적장까지 운송하거나 부두의 후방에서 야적장의 장치로 들어올려진 컨테이너를 부두의 전방까지 운송한다.
트롤리는 휠로 선로 상으로 이동하고 휠세트, 휠구동수단, 하부프레임, 회전플랫폼, 회전구동수단 및 회전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1열 20피트 컨테이너/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 40피트 컨테이너/ 45피트 컨테이너 뿐만 아니라 2열의 20피트 컨 테이너/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 40피트 컨테이너/ 45피트 컨테이너가 트롤리의 회전플랫폼 상에 위치되되, 트롤리는 회전지지수단으로 트롤리의 하부프레임에 장착되고 회전구동수단으로 트롤리의 하부프레임에서 회전을 수행하다. 회전플랫폼은 컨테이너의 유무에 상관없이 회전한다.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야적장 컨테이너 아래위치까지 이동하는 운송캐리어 위로 올려 놓고, 그런 다음에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하부승강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하여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고서,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로 들어올려,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에 도달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선박에 적재한다. 하적공정에서,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가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로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까지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며,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동시에 운송캐리어가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며, 야적 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야적장에 올려 놓는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부두의 해안가에서 크레인과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크레인 사이의 운송속도가 증가할 것이며 90°회전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될 것이다. 덧붙여서, 처리방법은 비자동화된 부두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자동화된 부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효율적인 처리상의 장점은 향상된 효율을 위한 새로운 작동모드와 컨테이너 처리항의 기술적 수준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기재된 실시예의 설명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제작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한정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범주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다른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로만 국한되지 않고 여기서 기술된 원리와 새로운 특징에 상응하는 광범위한 범위에 따른다.

Claims (20)

  1.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으로 배열되는데, 구조물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고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trolley)를 갖추되,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동 중에는 제1방향을 유지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제1방향과 직각으로 되어 있는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제1방향을 따라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하부승강선로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로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하부승강시스템;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는 야적장에 컨테이너 사이의 채널에 정렬되고 야적장을 관통하여 뻗으며, 또한 운송캐리어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뻗는 한편,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놓여진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는 운송캐리어를 구비하고,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작동 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되고서,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형성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다른 높이를 갖는 운송캐리어 시스템; 및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추고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서 이동하되,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야적장 크레인선로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하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며,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캐리어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며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선박에 적재하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할 때,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운소캐리어로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다음에, 운송캐리어가 90°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컨테이 너를 배열하고서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야적장에 이들을 위치시키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운송캐리어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컨테이너 운송트롤리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선로세트에 위치된 휠세트;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휠세트를 구동하는 휠구동수단;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전되는 회전기계설비;
    회전지지수단으로 상기 회전기계설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회전플랫폼;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플랫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계설비를 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구동수단은 전기수단, 유압동력전달수단 및 공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세트는 각각 상기 하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 된 4개의 휠세트로 이루어지고,
    트롤리 선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휠세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계설비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회전플랫폼의 중심에 정렬되어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에 위치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원통형상의 회전기계설비의 원주에 지지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일치하되, 하나로 이루어진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동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시스템은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시스템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트럭에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0.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의 방향과 직각으로 배열되는데, 구조물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고 하부승강시스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하기 위한 트롤리(trolley)를 갖추되, 선박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작동 중에는 제1방향을 유지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제1방향과 직각으로 되어 있는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과;
    제1방향을 따라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승강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은 하부승강선로의 각 그룹 사이에 위치된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을 위해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를 구비하며, 하부승강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로서 컨테이너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하부승강시스템;
    제2방향을 따라 운송캐리어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비하되, 운송캐리어선로는 야적장에 컨테이너를 정렬시키고 야적장의 한쪽 끝까지 뻗어 있으나 야적장으로 들어가지는 않으며, 또한 운송캐리어선로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뻗는 한편,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놓여진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는 운송캐리어를 구비하고고,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가 하부승 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되고서, 운송캐리어선로는 운송캐리어로 형성되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다른 높이를 갖는 운송캐리어시스템; 및
    제2방향을 따라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갖추고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서 이동하되, 야적장에 위치된 컨테이너는 제2방향으로 배열되고 야적장 크레인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야적장 크레인선로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작동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하는 야적장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며,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때,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한 다음에,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캐리어는 하부승강시스템 아래위치까지 운송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가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며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이를 선박에 적재하며,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적할 때,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올려 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컨테이너를 운송캐리어로 운송하기 위한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로 운송캐리 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다음에, 운송캐리어가 90°회전시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배열하고서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야적장에 이들을 위치시키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운송캐리어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컨테이너 운송트롤리가 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선로세트에 위치된 휠세트;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휠세트를 구동하는 휠구동수단;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전되는 회전기계설비;
    회전지지수단으로 상기 회전기계설비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위치시키는 회전플랫폼;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플랫폼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기계설비를 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휠구동수단은 전기수단, 유압동력전달수단 및 공력수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세트는 각각 상기 하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 4개의 휠세트로 이루어지되,
    트롤리 선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휠세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계설비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회전플랫폼의 중심에 정렬되어진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에 위치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원통형상의 회전기계설비의 원주에 지지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6. 제10항에 있어서,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의 갯수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갯수와 일치하되, 하나로 이루어진 하부승강선로와 하부승강 리프팅 트롤리 및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하나의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작동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시스템은 예비용 하부승강선로와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 및 예비용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시스템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이 트럭에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적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
  19. 컨테이너 부두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10항의 구조물에 따라 배열되되,
    적재공정은,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에서 제2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이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가 야적장 크레인 아래위치로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고,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 상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고;
    운송이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까지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고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고;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 아래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되며;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선박으로 적재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적공정은,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선박에서 제1방향으로 배열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부두가 컨테이너 크레인의 트롤리는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에 컨테이너를 올려놓고, 하부승강시스템 플랜 캐리어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부승강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하부승강시스템 리프팅 트롤리는 운송캐리어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운송캐리어는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키며;
    운송캐리어는 운송캐리어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야적장 크레인은 야적장 크레인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운송캐리어와 야적장 크레인이 운송캐리어가 야적장 캐리어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며;
    야적장 크레인은 운송캐리어에서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고 이들을 야적장에 올려놓도록 되어 있는;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20. 제19항에 있어서, 적재공정에서, 제1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는 운송캐리어는 운송이 야적장의 끝에서 떠나고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하는 중에 실행될 수 있거나, 회전단계는 운송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도달할 때 실행될 수 있고,
    하적공정에서, 제2방향으로 컨테이너를 90°회전하는 운송캐리어는 운송이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서 떠나고 야적장의 끝에 도달하는 중에 실행될 수 있거나, 회전단계는 운송캐리어가 하부승강시스템 선로 아래위치에 있을 때에 실행될 수 있는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KR1020060117056A 2006-04-20 2006-11-24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KR100800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025860.6 2006-04-20
CNB2006100258606A CN100545065C (zh) 2006-04-20 2006-04-20 集装箱码头布置方案及装卸流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01A true KR20070104201A (ko) 2007-10-25
KR100800227B1 KR100800227B1 (ko) 2008-02-01

Family

ID=3748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056A KR100800227B1 (ko) 2006-04-20 2006-11-24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86558B2 (ko)
EP (1) EP1847492B1 (ko)
JP (1) JP4540654B2 (ko)
KR (1) KR100800227B1 (ko)
CN (1) CN100545065C (ko)
DE (1) DE602006010326D1 (ko)
ES (1) ES233681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6525C (zh) * 2005-12-14 2008-02-06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岸边起重机和堆场起重机间低架桥式小车转接装卸系统
CN101428712B (zh) * 2007-11-09 2011-09-1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风力发电机组整体牵引装船的方法
CN101468759B (zh) * 2007-12-24 2011-11-16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多台风力发电机串联牵引装船的方法
CN101229883A (zh) * 2008-01-24 2008-07-30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装卸系统
KR100992202B1 (ko) 2008-09-02 2010-11-04 한진해운 신항만(주) 플랫카를 이용한 육상 콘 탈부착 안내장치
DE102008061198A1 (de) * 2008-12-09 2010-06-10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Verfahren und eine Anlage zum Umschlag von normierten Ladungssträgern, insbesondere ISO-Containern und Wechselaufbauten, zwischen Schiene und Straße
CN101920912A (zh) * 2009-06-11 2010-12-22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化码头的堆场后方起重机
US8439180B2 (en) * 2009-10-12 2013-05-14 Dianren Zhang Conveyor cargo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5755404B2 (ja) * 2009-10-29 2015-07-29 一般社団法人港湾荷役機械システム協会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02807103B (zh) * 2011-07-04 2016-04-20 同济大学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立体轨道设备混合分配方法
WO2013020457A1 (zh) * 2011-08-09 2013-02-14 武汉利德测控技术股份有限公司 集装箱轨道转运系统
CN102583045A (zh) * 2012-03-08 2012-07-18 机械科学研究总院先进制造技术研究中心 纱笼运送设备
CN104803204B (zh) * 2015-04-01 2016-10-05 宁波大榭招商国际码头有限公司 一种区域集装箱装卸料系统
US10155633B2 (en) * 2015-04-14 2018-12-18 Amova Gmbh Method and container transfer installation for placing containers into and removing containers from container storage areas
CN104986581B (zh) * 2015-07-07 2017-04-26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06956940A (zh) 2015-10-26 2017-07-18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高架式运输和路线管理系统
CN106608595A (zh) 2015-10-26 2017-05-03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构造成用于输送各种尺寸的对象的运输器
CN105314408B (zh) * 2015-11-06 2017-11-10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箱码头自动化轨道运输系统及运行方法
CN105417190B (zh) 2015-12-25 2017-10-27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集装箱装卸方法和集装箱集疏方法
CN105564597A (zh) * 2016-01-13 2016-05-11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港口机械设备的上岸方法
WO2017200959A1 (en) * 2016-05-16 2017-11-23 Eaglerail Container Logistics, Llc Horse and saddle transfer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of operation
CN106938768A (zh) * 2017-04-12 2017-07-11 安徽誉特双节能技术有限公司 汽轮机加工辅助装置
CN107128700A (zh) * 2017-06-20 2017-09-05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码头集装箱输送系统
CN107876494B (zh) * 2017-12-28 2024-05-17 济南恒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运输冲洗装置
CN108217220A (zh) * 2018-01-23 2018-06-29 唐山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装箱自动化堆场转运系统布置方法
DE102018108212A1 (de) * 2018-04-06 2019-10-10 Amova Gmbh Aufnahme- und Übergabevorrichtung für Container
ES2727151A1 (es) * 2018-04-13 2019-10-14 Mayor Juan Carlos Barbera "BufferCrane" proceso de alto rendimiento para grúas de carga y descarga masiva
US10880881B2 (en) 2018-05-15 2020-12-29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prevention and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9132610B (zh) * 2018-09-13 2020-08-28 深圳归朴科技有限公司 一种单箱跨距堆场起重机自动化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09436858A (zh) * 2018-12-22 2019-03-08 王燏斌 一种集装箱港口
CN109693950A (zh) * 2018-12-25 2019-04-30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自动化码头卸船作业堆场派位方法和系统
CN110254449A (zh) * 2019-07-19 2019-09-20 武汉新丝路快铁物流有限公司 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和方法
CN110304469A (zh) * 2019-07-29 2019-10-08 武汉新丝路快铁物流有限公司 一种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和方法
CN110713120B (zh) * 2019-10-18 2020-08-07 青岛大学 一种集装箱转运系统及方法
CN111452206A (zh) * 2020-04-13 2020-07-28 中铁(天津)隧道工程勘察设计有限公司 一种无干坞液压顶推沉管隧道管段制作装置及方法
CN112158547A (zh) * 2020-09-22 2021-01-01 福建纬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集装箱智能起吊装置
CN112591494B (zh) * 2020-11-10 2022-03-22 山东伟豪思智能仓储装备有限公司 用于箱内装货机的定位机构
CN113120633B (zh) * 2021-04-20 2022-12-02 上海海事大学 一种边装边卸模式下u型自动化集装箱码头集成调度优化方法
CN113772438A (zh) * 2021-08-23 2021-12-10 武汉理工大学 自动化集装箱码头水平运输装置及其水平运输方法
CN116853430B (zh) * 2023-06-28 2024-02-20 广州海洋地质调查局 一种标准集装箱式海洋设备框架、发射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28297A (fr) 1936-10-26 1938-05-13 Demag Ag Treuil avec train planétaire
US3075479A (en) * 1959-08-18 1963-01-29 Cliffrod S Goby Railway car for freight trucks and the like
GB876647A (en) 1959-10-26 1961-09-06 Schwermaschb Kirow Ve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ad-lifting hoists
DE1274299B (de) 1966-05-05 1968-08-01 Krupp Gmbh Getriebe fuer ein Hubwerk mit zwei Motoren, insbesondere fuer einen Verguetekran
GB1278134A (en) 1969-07-25 1972-06-14 Port Autonome De Dunkerque Plant for unloading and handling loose solid material
ES391179A1 (es) * 1970-06-24 1974-03-16 Salzgitter A G Procedimiento para descargar yno cargar barcos conteniendo unidades de carga, especialmente containers.
US3689106A (en) 1970-12-03 1972-09-05 Saginaw Products Corp Baggage cart
US3700128A (en) * 1970-12-23 1972-10-24 Gen Electric Intermodal transfer system
JPS5141273B1 (ko) 1970-12-30 1976-11-09
SE351830B (ko) 1971-02-05 1972-12-11 L Andersson
US3837503A (en) 1971-04-27 1974-09-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Hoisting device for use with cranes
US3788606A (en) 1972-05-09 1974-01-29 Schat Davits Ltd Winch mechanism for lowering a lifeboat, launch or the like, suspended from two falls, into the water and hoisting it out of the water
US3888536A (en) 1974-01-29 1975-06-10 Us Army Automatic {13 {0 self contained {13 {0 light weight spreader bar
JPS51140957U (ko) 1975-05-08 1976-11-13
JPS5535722A (en) 1978-08-31 1980-03-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Winch
US4244615A (en) 1979-05-29 1981-01-13 Matson Navigation Company Lifting spreader actuated crank
JPS5982290A (ja) 1982-11-01 1984-05-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クレ−ンの吊具傾転装置
JPS59220231A (ja) 1984-04-27 1984-12-11 Komatsu Ltd 加工物の搬送装置
US4682926A (en) 1986-01-02 1987-07-28 Morrison-Knudsen Company, Inc. Ceiling panel placing machine
US4973219A (en) * 1986-04-30 1990-11-27 Sea-Land Corporation Grid rail container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US5039275A (en) 1987-06-05 1991-08-13 Ide Allan R Method for transferring cargo between vessel and dock
NL8701823A (nl) * 1987-08-03 1989-03-01 Europ Container Terminus Op- en overslagsysteem voor containers.
US4927034A (en) 1988-07-18 1990-05-22 Holden John A Steerable power drive for gantry crane
DE3838058C3 (de) 1988-11-07 1996-04-11 Mannesmann Ag Antriebsüberwachung einer Antriebskette
US4995783A (en) 1989-07-26 1991-02-26 Petitto Mine Equipment, Inc. Material handling platform for material transport vehicle
US5183305A (en) 1989-12-18 1993-02-02 Nordstrom Immo R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argo containers
JPH0569821A (ja) * 1991-09-12 1993-03-23 Nec Corp 無人搬送車
JPH05270396A (ja) * 1992-03-26 1993-10-19 Fuji Electric Co Ltd 無軌条式無人搬送台車
US5718550A (en) 1992-04-16 1998-02-17 Mi-Jack Products, Inc. Load transferring system
KR960004057B1 (ko) * 1993-02-26 1996-03-26 주식회사동성상사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DE4307254A1 (de) * 1993-03-08 1994-09-15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Lastenverladekran
FI942218A0 (fi) 1994-05-13 1994-05-13 Modulaire Oy Automatiskt styrningssystem foer obemannat fordon
JPH10503742A (ja) * 1994-05-20 1998-04-07 タックス インジェニュール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ベーハー 荷物積載クレーン
US5671912A (en) 1994-08-10 1997-09-30 Ederer Corporation Method & apparatus for providing low speed safety braking for a hoist system
ES2135091T3 (es) * 1994-09-20 1999-10-16 Fantuzzi Reggiane Spa Instalacion para la manutencion de mercancias en depositos.
JP2572724B2 (ja) 1994-12-22 1997-01-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クレーンの荷振れ時の旋回動作防止装置
CN2225462Y (zh) 1995-05-19 1996-04-24 江麓机械厂 起重机提升机构
JPH09267987A (ja) 1996-03-29 1997-10-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岸壁用コンテナクレーンの駆動機構
EP0904248B1 (en) 1996-04-25 2000-12-20 Stinis Beheer B.V. Hoisting frame and method for its use
JPH1045215A (ja) 1996-08-07 1998-02-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貯蔵棚
NL1003764C1 (nl) * 1996-08-08 1998-02-12 Joan Anton Bernard Halbesma Transportproces, bestaande uit een vast opgesteld transportsysteem voor individueel transport.
JPH1053335A (ja) 1996-08-13 1998-0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US5871249A (en) 1996-11-12 1999-02-16 Williams; John H. Stable positioning system for suspended loads
CN1094198C (zh) 1996-12-11 2002-11-13 常庆生 全球导航定位卫星差分数据链系统
FI973960A (fi) 1997-01-13 1998-07-14 Sisu Terminal Systems Inc Automaattinen suoraanajojärjestelmä kontinkäsittelykonetta varten
JP3039445B2 (ja) 1997-05-23 2000-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ナクレーン
US6354782B1 (en) 1997-06-05 2002-03-12 Leonard D. Barry Container crane hoist and system
JPH1179409A (ja) 1997-09-02 1999-03-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FI104816B (fi) 1997-09-24 2000-04-14 Kci Kone Cranes Int Oy Laite nosturin nostoköysistöön kohdistuvan ylikuormituksen ja törmäysliike-energian vaimentamiseksi
CN2373421Y (zh) 1999-04-16 2000-04-12 张占成 第三代集装箱双箱吊具
DE19923813A1 (de) * 1999-05-20 2000-12-07 Mannesmann Ag Umschlaganlage für Stückgut, insbesondere für ISO-Container
US6243649B1 (en) 1999-08-02 2001-06-05 Trimble Navigation Limited GPS true course guidance correction system for correcting antenna offset error
DE10006486A1 (de) 2000-02-14 2001-09-13 Noell Crane Sys Gmbh Kran mit 2-Trommel-Hubwerk
JP3669242B2 (ja) 2000-03-03 2005-07-06 株式会社大林組 ケーブルクレーンの制御システム
SE0002351D0 (sv) 2000-06-22 2000-06-22 Bromma Conquip Ab Dubbellyftok och förfarande
ES2247001T3 (es) 2000-08-11 2006-03-01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Dispositivo cargador para contenedores iso.
DE10041932B4 (de) 2000-08-27 2012-07-12 Fm Patentverwertung Kg Laschkorb zum sicheren Lösen und Verriegeln von Twistlocks
JP2002068481A (ja) 2000-08-28 2002-03-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の段積貯蔵装置
WO2002057175A1 (de) 2001-01-18 2002-07-25 KGW Förder- und Servicetechnik GmbH Hebegerät
JP4690594B2 (ja) 2001-08-06 2011-06-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
NO316438B1 (no) 2001-08-31 2004-01-26 Lars Magnus Solstad Fjernstyrt tilkoplingsanordning for löfteinnretning
DE10145513A1 (de) * 2001-09-14 2003-04-10 Siemens Ag Verladeeinrichtung für ISO-Container
CN1164472C (zh) 2001-10-31 2004-09-01 上海振华港口机械股份有限公司 双箱可移吊具
US6602036B2 (en) 2001-12-11 2003-08-05 Toru Takehara Buffer bridg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KR100483951B1 (ko) * 2002-03-05 2005-04-18 주식회사 다민바이오텍 황토-함유 담배 및 그의 제조방법
CN1195668C (zh) 2002-03-29 2005-04-06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差动补差式门座起重机
CN100482566C (zh) 2002-06-10 2009-04-29 斯蒂尼斯贝赫尔有限公司 起重架及其使用方法
US7032763B1 (en) 2002-11-18 2006-04-25 Mi-Jack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uiding a gantry crane
CN2599327Y (zh) 2003-02-21 2004-01-14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差动减速器焊接行星架
CN2628508Y (zh) 2003-06-16 2004-07-28 湖南省煤矿机械厂 改进型机械无级调速绞车
CN100545076C (zh) 2003-07-30 2009-09-3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可吊双40英尺箱的集装箱起重机
ITMI20041334A1 (it) * 2004-07-02 2004-10-02 Fata Group S P A Sistema di magazzino automatizzato di grandi dimensioni per strutture portuali
CN100366525C (zh) * 2005-12-14 2008-02-06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岸边起重机和堆场起重机间低架桥式小车转接装卸系统
DE202006000490U1 (de) 2006-01-12 2006-04-27 Hans Künz GmbH Hebeeinrichtung
CN1821037A (zh) * 2006-03-15 2006-08-23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输送小车及输送系统
US7270312B1 (en) 2006-09-14 2007-09-18 Growth Innovation, Llc Multifunctional winch drum driv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0326D1 (de) 2009-12-24
KR100800227B1 (ko) 2008-02-01
CN100545065C (zh) 2009-09-30
CN1872643A (zh) 2006-12-06
EP1847492B1 (en) 2009-11-11
EP1847492A3 (en) 2008-03-26
ES2336818T3 (es) 2010-04-16
JP4540654B2 (ja) 2010-09-08
EP1847492A2 (en) 2007-10-24
JP2007290857A (ja) 2007-11-08
US7686558B2 (en) 2010-03-30
US20070248444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227B1 (ko)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KR20070093791A (ko) 컨테이너 운송캐리어와 컨테이너 운송시스템
EP2082981B1 (en) Loading/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 terminal
EP1798169B1 (en) A low frame bridge type system with carriers for transferring containers between a shore side crane and a stacking area crane
KR101653672B1 (ko) 크레인을 지지하고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컨테이너의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부재와 크레인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취급 시스템
KR100719031B1 (ko) 아이에스오 컨테이너용 선적 장치
CN109132610B (zh) 一种单箱跨距堆场起重机自动化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03010767B (zh) 一种新型集装箱装卸系统
US20100314346A1 (en) Rear yard crane for automatic terminal
CN102730158B (zh) 一种船舶码头集装箱装卸系统
CN204778506U (zh) 一种双主小车的集装箱起重机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CN107399621A (zh) 岸边装卸设备及装卸方法
CN108249310B (zh) 一种基于压力传感的智能集装箱起重机
CN114030906B (zh) 一种自动化码头集装箱装卸系统及装卸方法
CN108190753B (zh) 一种基于极坐标的智能集装箱装卸系统
KR20040089088A (ko) 카고 컨테이너 핸들링의 버퍼 크레인 오퍼레인션을 위한방법
JP2009242085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スイッチバック式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JP3013216B2 (ja) コンテナの水平荷役方式
CN111186768A (zh) 带回转机构的门架小车及其控制方法
GB2576381A (en) Vehicle for hatch cover storage
CN117342281A (zh) 一种多用途轨道式起重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862020A (zh) 一种双起升双下小车岸桥系统及其工作方法
CN114180352A (zh) 一种自动化码头集装箱装卸系统及装卸方法
CN116331858A (zh) 一种垂直折臂式转运的自动化码头堆场及其交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