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57B1 -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57B1
KR960004057B1 KR1019930002803A KR930002803A KR960004057B1 KR 960004057 B1 KR960004057 B1 KR 960004057B1 KR 1019930002803 A KR1019930002803 A KR 1019930002803A KR 930002803 A KR930002803 A KR 930002803A KR 960004057 B1 KR960004057 B1 KR 96000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shipping
cargo
warehous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553A (ko
Inventor
유철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성상사
유철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성상사, 유철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성상사
Priority to KR101993000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057B1/ko
Publication of KR94001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처후 부두 선적시스템
제 1 도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
제 2 도의 본 발명의 전천후 부두의 내부 평면도.
제 3 도의 (a),(b)는 본 발명의 선적크레인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는 본 발명의 후크와 후크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 4 도의 (a),(b)는 본 발명의 선적크레인과 승강장치의 개략도.
제 5 도의 (a),(b)는 본 발명의 대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선적크레인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블럭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대차의 화물이송을 위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처후 부두 6 : 주행레일
7 : 승강장치 11 : 선적크레인
12~12c : 연결부 13~13c : 후크고리
15 : 공압실린더 17~17c : 후크
20~20c : 로울러장치 22~22c : 무게감지센서
23 : 윈치구동부 26~26c : 와이어
32 : 대차 34 : 메인레일
35 : 전동릴 36,39 : 케이블
37 : 케이블이송부 40 : 자대차
42 : 유압실린더 43 : 운반구
본 발명은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천 등의 기상조건이 좋지 않을 때에도 화물을 창고에서부터 대차를 이용하여 선적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선박의 마스트보다 높은 위치까지 승,하강하는 선적크레인에 의해 지정 위치에 정박중인 선박에 선적시키도록 한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두 선적시스템이라 하면 공장에서 제작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제품을 창고에 일단 저장하거나 직접 가까운 부두에 정박중인 화물용 선박에 대형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하기 위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선박을 이용하는 화물은 부피가 크거나 매우 무겁게 포장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직접 운반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선적위치에 가까운 공장의 경우에는 공장의 창고에 저장하지만 일반적으로 부두의 창고에 임시 보관하는 화물은 공장의 크레인에 의해 공장밖으로 운반하고, 다시 지게차 등의 운반수단을 통해 선적위치까지 이동한 후 다시 대형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용선박에 선적하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두 선적시스템에 의하여서는 공장이나 창고에서 크레인에 의해 외부로 운반된 화물을 선적위치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중장비인 지게차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인건비와 유지비가 커지게됨은 물론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선적위치까지 운반된 화물을 육지에 설치된 크레인이나 선박에 장착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에 선적하였으므로 선적위치에서 들어올려 선박의 상단까지 이동하고 다시 선박의 선적위치에 내려놓는 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지 못하여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면서도 효율적인 선적작업이 수행되지 못함은 물론, 우천시나 기후가 좋지 않을 때에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악천후에도 창고로부터 선박까지의 선적이 거의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천후 부두에 선박을 정박시키거나 출항할때 대형크레인에 의해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고의 스키드에서부터 선박이 정박하는 선적위치까지 전천후 부두를 형성하면서 선적크레인(OHC : Over Head Crane)에 의해 선적위치에 정박중인 선박까지 간단하게 선적하도록 하되, 창고의 크레인에 의해 스키드까지 운반된 화물을 레일을 따라 대차에서부터 스키드까지 왕복이동을 하는 자대차에 의해 대차의 좌대까지 운반되도록 하고, 상기 자대차를 하나씩 보유하며 메인레일을 따라 선적위치까지 왕복이동하는 대차에 의해 화물받침대에 얹혀진 화물은 선적위치까지 운반되도록 하고, 다시 자대차에 의해 대차의 좌대에서부터 선박위치의 스키드까지 운반되도록 하며, 주행레일을 따라 전후이동을 하면서 승강장치에 의해 화물을 선박에까지 이동시키는 선적크레인이 특정 부위에서 승,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전천후 부두에 접안하는 선박의 마스트와 선적크레인이 충돌하는 것을 막으면서 정확한 위치에 정박하여 선적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주요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선적크레인(11)의 상,하 및 전,후의 이동공간에 해당하는 선박의 정박공간(10)은 물론, 창고의 크레인에 의해 밖으로 출고된 화물을 올려놓는 창고스키드(Skid)(31)에서부터 선박의 근접위치인 선적위치까지의 대차(32)의 이동공간(30)에 튼튼한 기초와 함께 지붕(2)과 벽(3)을 고정설치하여 우천 등의 악천후시에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전천후 부두(1)를 설치하고, 육지측 고정부(4)와 바다측 고정부(5)의 상면에 나란히 설치한 주행레일(6)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선적크레인(11)은 양측의 원치(Winch)(25)(25a)에 감긴 와이어(26)~(26c)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스키드(31)와 상기 선적위치 사이에 설치한 메인레일(34)을 따라 대차(32)가 왕복이동하면서 화물을 운반하도록 한 것이다.
제 2 도는 전천후 부두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육지측 고정부(4)와 바다측 고정부(5)의 상면에 나란히 설치하여 선적크레인(11)이 전후이동하도록 한 주행레일(6)의 소정위치의 위쪽에는 상기 크레인(11)을 승강/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7)를 위치시키는 한편, 선적위치의 대차스토퍼(33)와 끝단의 대차스토퍼(44)의 사이에는 자대차 이동용 레일(41)이 각각 연결된 2개의 메인레일(34)을 설치하여 2대의 대차(32)가 왕복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창고스키드(31)까지 운반된 화물을 선적위치의 대차 스토퍼(33)까지 이동시켜 선적크레인(11)의 보조레일(19a)을 이동하는 리프터(19)에 의해 정박중인 선박(100)에 선적하도록 한 것이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선적크레인과 승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두 고정부(4)(5)의 상면의 나란히 설치한 주행레일(6)에 선적크레인(11)의 안내요홈(11a)이 끼워져 승,하강하면서 리프터(19)를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면서 화물을 선박(100)에 선적하도록 하되, 선박(100)이 정박하거나 화물을 싣고 출발할 때 선박의 마스트에 선적크레인(11)이 걸리게 되므로 선적크레인(11)을 승강장치(7)가 있는 주행레일(6)상의 승강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두 고정부(4)(5)에 설치한 원치(25)(25a)에 감긴 와이어(26)(26a)(26b)(26c)를 동시에 풀어주어 상단고정부(14)에 무게감지센서(Load Cell)(22)(22a)(22b)(22c)을 통해 타측이 고정된 상기 와이어(26)(26a)(26b)(26c)들이 힘의 안배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경유하는 로울러장치(20)(20a)(20b)(20c)들에 하향 설치된 연결고리(21)(21a)(21b)(21c)들도 하향이동 하도록 하여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상면에 4군데 형성한 연결부(12)(12a)(12b)(12c)와 일치시키면서 고정핀(18)(18a)(18b)(18c)으로 고정시킨다.
다음 두 원치(25)(25a)를 구동시키면서 와이어(26)(26a)(26b)(26c)를 감아주게 되면 로울러장치(20)(20a)(20b)(20c)들을 경유하여 상기 선적크레인(11)을 상향이동시키게 되고, 이때에는 무게감지센서(22)(22a)(22b)(22c)들에 감지된 무게가 모두 동일한가를 판단함으로써 상승되는 선적크레인(11)의 편중시 사고가 발생하므로 편중되는가의 여부를 인식하면서 수평으로 상승이동되도록 하고, 상단 고정부(14)까지 정상적으로 올려지게 되면 실린더(15a)에 의해 구동하며 상단고정부(14)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동하는 후크(17)(17a)(17b)(17c)들에 의해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상면에 형성한 후크고리(13)(13a)(13b)(13c)가 걸려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대용량인(약 150t 정도의 무게) 선적크래인(11)을 상향이동 시킨다.
여기서 선적크레인(11)이 들려지는 동안 후크(17)(17a)(17b)(17c)들은 실린더 (15a)의 전진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고, 선적크레인(11)이 완전히 들려진 상태에서 실린더(15a)를 얼마간 후진시켜 후크(17)(17a)(17b)(17c)가 선적크레인(11)의 상단 후크고리(13)(13a)(13b)(13c)와 접하도록 한후, 선적크레인(11)을 일정거리(약 30Cm 정도) 하향이동시켜 후크고리(13)(13a)(13b)(13c)에 후크(17)(17a)(17b)(17c)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스트까지 충분히 지나가는 정박공간(10)의 선적위치에 선박(100)이 정박하도록 한 다음, 선적크레인(11)의 후크고리(13)(13a)(13b)(13c)에 걸린 후크(17)(17a)(17b)(17c)들의 걸린 상태를 상기 실린더(15a)의 전진으로 해제하고 원치(25)(25a)를 역구동시켜 와이어(22)(22a)(22b)(22c)를 풀어주도록 하면 로울러장치(20)(20a)(20b)(20c)의 연결고리(21)(21a)(21b)(21c)에 연결부(12)(12a)(12b)(12c)가 동시에 고정된 선적크레인(11)이 하향이동하게 되고, 얼마간 하향이동하여 주행레일(6)의 근접위치까지 이르게 되면 일단 정지시키고 양쪽의 가이더(16)(16a)를 상기 공압실린더(15)에 의해 동작시켜 얼마간 안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선적크레인(11)을 계속 하향이동함으로써 주행레일(6)에 안내요홈(11a)이 정확하게 안착되도록한 후, 고정핀(18)(18a)(18b)(18c)을 풀면서 로울러장치(20)(20a)(20b)(20c)를 상향이동시켜 상기 선적크레인(11)이 주행레일(6)을 따라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선적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 5 도는 대차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메인레일(34)에 바퀴(32a)가 얹혀진채 전동릴(35)에 일측이 고정된 케이블(36)을 감았다 풀렀다 하는 동작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대차(32)는 창고스키드에 화물이 옮겨져 있는 상태에서 레일(41)에 정확하게 정차한 후, 내부의 케이블이송부(37)에 일측이 고정된 케이블(39)을 풀어주면서 내부에 위치한 자대차(40)가 레일(41)을 따라 창고스크드(31)의 내부까지 이동하도록 하고, 정확하게 이동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42)를 작동시켜 운반구(43)가 창고스키드(31)상에 놓인 화물을 들어올리도록 하고, 다시 케이블 이송부(37)에 의해 케이블(39)이 감기도록 하여 운반구(43)에 화물이 얹혀진 자대차(40)가 대차(32)의 내부로 환원되도록 한다.
이때에는 자대차(40)의 운반구(43)가 상향이동된 상태이므로 대차(32)의 화물받침대(38)보다 화물의 위치가 높게 되어 자대차(40)가 대차(32)의 내부에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고, 이동이 완료되면 유압 실린더(42)를 역작동시켜 운반구(43)가 하향이동하도록 하여 화물이 대차(32)의 화물받침대(38)에 안치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전동릴(35)을 회전시켜 케이블(36)을 감아주면서 대차(32)가 이동하여 선적위치의 대차스토퍼(31)에서 멈추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선적크레인(11)의 리프터(19)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박에 선적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은 선박을 선적위치에 정박시킬 때 선적크레인을 상향 이동시키고, 선박이 정박한 후 다시 하향이동시켜 선적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며, 선박이 떠나갈 때에도 상기의 동작이 반복되도록 하는 한편, 창고에서 창고크레인에 의해 창고스키드까지 운반된 화물을 상기 선적크레인의 선적 위치까지 자동으로 운반하도록 한 것이다.
우선 제 6 도에 의거하여 선적크레인의 상승 및 하강의 과정을 설명하며,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하여 전천후 부두에 정박하고자 하면, 선적크레인(11)의 이동장치(8)에 의해 주행레일(6)상의 승강위치에 도달하였는가를 승강위치 감지센서(50)를 통해 인식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면 선적크레인(11)의 승강준비 즉, 크랩(Crab) 및 오퍼레이터용 캡(Cab)을 로킹시키고 리프터(19)의 코일제거 등을 수행한다.
다음에 원치구동부(23)를 통해 원치(25)(25a)에서 와이어(26)(26a)(26b)(26c)들이 풀리도록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로울러장치(20)(20a)(20b)(20c)들에 하향설치된 연결고리(21)(21a)(21b)(21c)가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상면에 형성한 연결부(12)(12a)(12b)(12c)에 정확하게 맞도록 로울러장치(20)~(20c)들이 하향이동하면 연결구동부(27)를 통해 고정핀(18)~(18c)들에 의해 로울러장치(20)~(20c)에 선적크레인(11)이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으면 원치구동부(23)를 통해 원치(25)(25a)를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로울러장치(20)~(20a) 및 선적크레인(11)이 상향이동하도록 하고, 이때에는 상단고정부(14)의 와이어(26)~(26c)의 끝단에 설치한 무게감지센서(22)~(22c)에 의한 무게의 감지 결과가 모두 동일한가를 확인하면서 동조제어기(24)의 제어를 받는 원치구동부(23)가 상기 선적크레인(11)을 수평으로 상향이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단고정부(14)의 근접위치인 상한지점까지 상승하였음이 상한 감지센서(28)에 의해 인식되면 감속되면서 상향이동중인 선적크레인(11)이 멈추도록 원치구동부(23)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동시에 실린더(15a)에 의해 후크(17)~(17c)들이 회동하면서 후크(17)~(17c)가 후크고리(13)~(13c)에 걸리도록 하여 150t정도의 무게인 선적크레인(11)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 후 입항가능 신호를 램프의 점멸로 알려준다.
선박이 전천후 부두(1)의 선적 위치에 정박한 다음에는 실린더(15a)에 의해 후크(17)~(17c)가 선적크레인(11)의 후크고리(13)~(13c)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하고, 상기 원치구동부(2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원치(25)(25c)에서 와이어(26)(26c)들이 풀리도록 시계방향으로 정회전 시킨다.
와이어(26)~(26c)에 연결된 로울러장치(20)~(20c)들이 하향이동함에 따라 선적크레인(11)도 하향이동하게 되고 이때에는 무게감지센서(22)~(22c)들의 감지결과가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면서 동기제어기(24)를 적절히 동작시키면서 정상적으로 하향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선적크레인(11)이 주행레일(19)의 근접위치(20~50mm 정도) 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하면 상기 원치구동부(23)를 일시정지시킨 후, 상기의 공압 실린더(15)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레일(19)의 축면고정부에 장착된 가이더(16)(16a)를 선적크레인(11)의 하강방향인 안쪽으로 얼마간 이동시켜줌으로써 상기 원치구동부(23)를 통해 선적크레인(11)를 완전히 하향시킬 때 주행레일(19)에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지면에 설치한 안내요홈(11a)이 정확히 안착되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연결부(12)~(12c)와 상기 로울러장치(20)~(20c)의 연결고리 (21)~(21c)를 체결하였던 고정핀(18)~(18c)을 해제시키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장치가 선적크레인(11)의 전원공급부위(도면에 도시않음)에 재차 접속되도록 한 다음 로울러장치(20)~(20c)를 원치구동부(23)에 의해 상향이동시켜 선적크레인(11)의 선적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선박이 출항할때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선박의 마스트가 선적크레인(11)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제 7 도에 의거하여 창고크레인에 의해 창고스키드에 운반된 화물을 선적크레인의 동작범위까지 자동으로 운반하는 대차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창고에서부터 창고크레인이 창고스키드(31)의 상단에 화물을 운반하면 창고스키드(31)와의 사이에 설치된 레일(41)과 일치하는 상기 창고스키드(31)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어 대차(32)에서 케이블 이송부(37)를 구동시켜 케이블(39)이 풀어지면서 내부의 자대차(40)가 상기 레일(41)을 따라 창고스키드(31)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자대차(40)가 정지하면 유압 실린더(42)를 동작시켜 운반구(43)가 상향이동하면서 상기 창고스키드(31)의 홈(31a)을 통과하면서 화물을 들어올리게 된다.
운반구(43)가 최대 높이까지 상승되어 화물이 적절히 들어올려지면 다시 케이블 이송부(37)를 통해 자대차(40)가 대차(32)로 귀환되도록 케이블(39)을 감아주고, 자대차(40)가 정위치까지 귀환되면 케이블 이송부(37)의 구동을 중단시키면서 유압 실린더(42)를 역동작시켜 운반구(43)를 하향이동 시키면서 그 위에 얹혀졌던 화물이 대차(32)의 화물받침대(38)에 얹혀지도록 한다.
상기 운반구(43)가 완전히 하향이동하면 유압 실린더(42)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전동릴(35)을 구동시켜케이블(36)을 감아주면서 대차(32)가 메인레일(34)을 따라 선적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선적위치의 대차스토퍼(33)에 도달하면 전동릴(35)의 구동을 중단시켜 대차(32)가 멈추도록 하고, 전술한 선적크레인(11)의 리프터(19)에 의해 화물이 선박으로 운반되면, 다시 화물이 운반된 창고스키드(31)로 이동하도록 전동릴(35)을 역구동시켜 케이블(36)이 풀리면서 대차(32)가 메인레일(34)을 따라 창고스키드(31)를 향해 후진하도록, 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창고스키드(31)의 화물을 선적위치까지 자동으로 운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에 의하여서는 벽과 지붕이 튼튼한 기초위에 세워진 전천후 부두를 형성하되, 선박이 입항이나 출항할 때 선적크레인을 올렸다가 하강시키도록 하여 선박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창고스키드에서부터 상기 선적크레인의 선적위치까지는 자대차를 하나씩 구비한 대차를 적어도 둘 이상 설치하여 자동으로 운반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창고의 화물을 선적크레인을 이용하여 정박중인 선박에 선적하도록 한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에 있어서, 전천후 부두(1)의 정박공간(10) 및 대차(32)의 이동공간(30)에 지붕(2)과 벽(3)을 고정설치하되, 상기 정박공간(10)의 육지측 고정부(4)와 바다측 고정부(5)의 상면에 나란히 설치한 주행레일(6)을 따라 전후진하는 선적크레인(11)의 상면에는 연결부(12)~(12c)와 후크고리(13)~(13c)를 형성하고, 상기 주행레일(6)상의 선적크레인(11)의 승강위치의 두 측면고정부 및 상단고정부(14)에 공압 실린더(15) 및 실린더(15a)에 의해 각각 동작하는 가이더(16)(16a)와 후크(17)~(17c)를 설치하며,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연결부(12)~(12c)에 연결고리(21)~(21c)가 고정핀(18)~(18c)에 의해 고정되는 로울러장치(20)~(20c)는 일측이 무게감지센서(22)~(22c)를 통해 상단고정부(14)에 설치되고 타측이 동기제어기(24)가 구비된 원치구동부(23)에 의해 회동하는 원치(25)(25a)에 감긴 와이어(26)~(26c)로 인해 승,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선적크레인(11)의 선적위치의 대차스토퍼(33)와 창고스키드(31)쪽 대차스토퍼(44)의 사이에는 메인레일(34)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고, 상기 메인레일(34)에는 전동릴(35)에 감긴 케이블(36)을 감거나 풀어주면서 왕복이동하는 대차(32)를 위치시키며, 상기 대차(32)의 내부에는 케이블 이송부(37)를 설치하여 화물받침대(38)의 저면에 위치하는 자대차(40)가 케이블(39)에 의해 왕복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대차(32)와 창고스키드(31)의 사이에 설치한 레일(41)상을 왕복이동하는 자대차(40)에는 유압실린더(42)에 의해 승,하강하는 운반구(43)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KR1019930002803A 1993-02-26 1993-02-26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KR96000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803A KR960004057B1 (ko) 1993-02-26 1993-02-26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803A KR960004057B1 (ko) 1993-02-26 1993-02-26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553A KR940019553A (ko) 1994-09-14
KR960004057B1 true KR960004057B1 (ko) 1996-03-26

Family

ID=1935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803A KR960004057B1 (ko) 1993-02-26 1993-02-26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27B1 (ko) * 2009-11-25 2012-03-2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탠션에 의한 로로선의 램프 와이어 설치공법
KR101242381B1 (ko) * 2012-08-22 2013-03-25 김윤호 하부가 개방된 중량측정용 체인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5065C (zh) * 2006-04-20 2009-09-3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布置方案及装卸流程
CN115095794B (zh) * 2022-07-21 2024-06-2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勤务学院 一种码头油库智能终端油料保障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27B1 (ko) * 2009-11-25 2012-03-2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탠션에 의한 로로선의 램프 와이어 설치공법
KR101242381B1 (ko) * 2012-08-22 2013-03-25 김윤호 하부가 개방된 중량측정용 체인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553A (ko) 199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571B2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container terminal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ship
US20020197135A1 (en) Container transf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US6602036B2 (en) Buffer bridg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JP4312055B2 (ja) バッファストラドルクレーン
US4749328A (en) Auxiliary hoist grapple
US6068435A (en) Goods handling system
CN113620172A (zh) 一种货运空铁集装箱提升中转装置及其方法
KR960004057B1 (ko) 전천후 부두 선적시스템
US6685418B2 (en) Buffer jib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JP2564666B2 (ja) 船舶用重量物貨物搭載装置
KR101037262B1 (ko) 키이 크레인과 협력하여 부둣가의 버퍼 지브 크레인에 의해 화물 컨테이너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US6648571B1 (en) Mobile handl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in docks
AU2012211540B2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and assembly of two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s
EP4273084A1 (en) Mobile boat hoist equipped with retractable side members
KR20010016693A (ko) 고무타이어 부착 다리형 모바일 하버 크레인
JPH0739917Y2 (ja) 全天候型船積設備
AU2012211540A1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and assembly of two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s
CN116495629A (zh) 集装箱装卸系统
JPH0692465A (ja) 全天候型岸壁荷役設備とそのレインシール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