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302A - 음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302A
KR20060043302A KR1020050017131A KR20050017131A KR20060043302A KR 20060043302 A KR20060043302 A KR 20060043302A KR 1020050017131 A KR1020050017131 A KR 1020050017131A KR 20050017131 A KR20050017131 A KR 20050017131A KR 20060043302 A KR20060043302 A KR 20060043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ea
extraction
green tea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또 후꾸시마
마모루 잇떼쯔
히로시 야마모또
시게루 도가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기호인 고품질의 차음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어 범용성도 향상시킨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음료 제조 장치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차 밀과,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탱크 유닛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는 추출 용기(31)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차 밀로부터 추출 용기(31)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온수 탱크 유닛으로부터 추출 용기(31)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다. 추출 용기(31)에는 드리퍼(98) 및 페이퍼 필터를 장전 가능하게 하였다.
추출 용기, 드리퍼, 음료 제조 장치, 온수 탱크 유닛, 교반 블레이드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BEVERAGE MAK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음료 제조 장치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추출 용기를 부착 프레임에 부착시킨 상태의 상기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평면도.
도6은 도4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측면도.
도7은 도4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사시도.
도8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추출 용기를 부착 프레임에 부착시키고, 배출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구를 개방한 상태의 상기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정면도.
도9는 도8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평면도.
도10은 도8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측면도.
도11은 도8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사시도.
도12는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추출 용기를 부착 프레임에 부착시키고, 수동에 의해 추출구를 개방한 상태의 상기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정면도.
도13은 도12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평면도.
도14는 도12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측면도.
도15는 도12의 추출 용기와 부착 프레임의 사시도.
도16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부착 프레임에 추출 용기를 부착시키고, 추출구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17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부착 프레임에 추출 용기를 부착시키고, 추출구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18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추출 용기에 드리퍼를 부착시키고, 부착 프레임에 추출 용기를 부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19는 도18의 드리퍼와 샤워 노즐의 상측 사시도.
도20은 도18의 드리퍼와 샤워 노즐의 하방 사시도.
도21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엽차 캐니스터의 단면도.
도22는 도1의 온수 탱크 유닛의 구성도.
도23은 도22의 온수 탱크 유닛의 덕트 부분의 단면도.
도24는 도22의 온수 탱크 유닛의 온수 생성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25는 상기 도22의 온수 탱크 유닛의 온수 생성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26은 상기 도22의 온수 탱크 유닛의 온수 생성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27은 도1의 음료 제조 장치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 제조 장치
4 : 본체
8 : 온수 탱크 유닛(급탕 수단)
12 : 엽차 캐니스터(엽차 수용 수단)
13 : 키 스위치
17 : 교반 블레이드(교반 수단)
18 : 교반 속도 조정 손잡이
21 내지 26 : 판매 버튼
27 : 차 밀
28 : 분쇄 엽차 캐니스터
31 : 추출 용기(추출 수단)
60 : 배출 장치
66 : 마이크로 컴퓨터(제어 수단)
71 : 고온 탱크
72 : 저온 탱크
73, 74 : 전기 히터
89 : 연통관
96 : 바구니
98 : 드리퍼
108 : 샤워 노즐
C : 제어 장치
S : 제습제
[문헌 1] JP 11-197023 A
본 발명은 엽차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본에서는 차음료의 맛, 향, 풍미가 존중되고 있다. 이 차음료의 맛, 향, 풍미는 엽차 등의 엽차의 양이나 추출하는 온수의 온도ㆍ양, 침지 시간, 즉 차 용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로 인해, 방미가 풍부한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주의와 수고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온수와 엽차로부터 차음료를 추출하는 차음료 제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 차음료 제조기에서는 소정량의 온수와 엽차가 추출기에 이송되고, 이 추출기에 있어서 엽차를 소정 시간 뜸들인 후 차음료를 고농도로 추출하고, 이 추출된 차음료를 온장 용기에 의해 보온해 둔다. 그리고, 이용자나 제공자, 즉 차음료 제조기를 사용하는 사람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온장 용기로부터 소정량의 고농도 차음료가 희석용의 온수와 함께 컵에 공급되는 것이었다(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음료 제조기에서는 이용자에게 제공될 때까지 추출한 차음료를 저장해 두므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맛, 향, 풍미나 색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소정량 저장해 두지 않고, 제공할 때마다 차음료를 추출하도록 하면, 엽차로부터 충분히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1분 내지 2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용자에의 제공이 늦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기와 같이 차음료 제조기에서는 고농도의 차음료를 추출하여 온장하고, 그것을 희석하여 제공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혹은 제공자 스스로 이용자에게 권하고자 하는 차음료의 맛, 향, 풍미를 고품질로 실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제공자 혹은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품질의 차음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추출 수단에는 커피 추출용의 드리퍼 및 페이퍼 필터를 장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어 수단은 급탕 수단으로부터의 온수만을 급탕구로부터 추출 수단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급탕구에는 샤워 헤드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추출 수단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상기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이 배출 수단에 의해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음료 배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추출 수단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구비하고, 이 교반 수단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교반 수단의 교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추출 수단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제어 수단은 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동작 및/또는 교반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추출 수단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은 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이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추출 수단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 및 교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에 의해 교반 수단을 간헐 동작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추출 수단 내에는 소정의 저항 부여 부재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이 분쇄 수단에서 분쇄하는 엽차를 수용하는 엽차 수용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엽차 수용 수단 내에 제습제 혹은 건조제를 출납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급탕 수단은 고온의 온수를 생성하는 고온수 생성 수단과, 비교적 저온의 온수를 생성하는 저온수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고온수 생성 수단 또는 저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저온수 생성 수단에는 고온수 생성 수단에서 일단 고온이 된 온수를 식혀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고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저온수 생성 수단에 온수를 공급하는 연통관을 구비하고, 이 연통관을 코일형으로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연통관에 통풍하는 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연통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연통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에 팬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의 발명에 있어서 연통관을 덕트 내에 배치하고, 팬에 의해 상기 덕트 내에 통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연통관 코일의 중심부 에는 풍향 억제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는, 청구항 13, 청구항 14, 청구항 15,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 급탕 수단에의 급수관과 연통관을 열 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음료 제조 장치(1)의 정면도, 도2는 음료 제조 장치(1)의 측면도, 도3은 음료 제조 장치(1)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27은 이 음료 제조 장치(1)의 제어 장치(C)의 블록도이다. 또, 실시예의 음료 제조 장치(1)는 차음료를 한 잔마다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지만, 적용 가능한 차음료로서는 주용도인 일본차(녹차: 엽차ㆍ분말차) 외에, 홍차나 중국차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의 음료 제조 장치(1)는 직사각형의 케이스(3)로부터 본체(4)가 구성되어 있고, 이 본체(4)의 상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쳐 유닛실(6)이 구성되고, 전방면 패널(2)은 이 유닛실(6)의 상부 전방면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부 유닛실(6)의 하측 전방에 개구한 급차실(7)이 구성되어 있다. 본체(4)의 상부면 중앙 후방부에는 급탕 수단을 구성하는 온수 탱크 유닛(8)이 부착되어 있다.
이 온수 탱크 유닛(8)의 구성 및 동작을 도22 내지 도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온수 탱크 유닛(8)은 고온수 생성 수단을 구성하는 고온 탱크(71)와, 저온수 생성 수단을 구성하는 저온 탱크(72)와, 이들을 각각 가열하는 전기 히터(73, 74)와, 이들의 수위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플로트(76, 77)와, 이들의 온도를 각각 검 출하는 탕온 센서(78, 79)와, 이들로부터 고온의 온수 및 저온의 온수를 각각 추출하는 취출 밸브(전자 밸브)(81, 82)와, 플로트(76)에 의해 고온 탱크(71) 내의 상한 수위 및 하한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상한 스위치(83) 및 하한 스위치(84)와, 플로트(77)에 의해 저온 탱크(72) 내의 하한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하한 스위치(86)와, 급수관(87)으로부터 수돗물을 고온 탱크(71)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밸브(전자 밸브)(88)와, 고온 탱크(71)의 대략 상한 수위 위치와 저온 탱크(72) 하부를 연통하는 동시에, 급수관(87)과 열을 교환 가능하게 배치된 연통관(89)과, 이 연통관(89)에 통풍하는 팬(91)과, 연통관(89)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92)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온수 탱크 유닛(8)을 구성하는 기기는 후술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66)(도27)에 의해 제어된다.
급수관(87)과 연통관(89)은 상호에 첨부 설치된 상태에서 코일형으로 권취되고, 통형의 덕트(93) 내측에 있어서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형의 급수관(87) 및 연통관(89)의 중심부에는 풍향 억제 부재(94)가 삽입되어 있고, 이 덕트(93) 내에 상기 팬(91)은 통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23).
다음에,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66)에 의해 제어되는 온수 탱크 유닛(8)에 있어서의 온수의 생성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양 탱크(71, 72)는 공(空)의 상태인 것으로 한다. 운전이 개시되면 마이크로 컴퓨터(66)는 급수 밸브(88)를 개방하여 급수관(87)으로부터 고온 탱크(71)에 수돗물을 공급한다(도24). 그리고, 수위가 상승되어 플로트(76)가 하한 스위치(84)를 동작시키면, 전기 히터(73)에 통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플로트(76)가 하한 스위치(84)를 동작시키고 나서 소정 시 간 경과 후 일단 급수 밸브(88)를 폐쇄하고, 고온 탱크(71) 내의 물을 예를 들어 +98 ℃ 이상까지 상승시켜 비등시킨다. 온도는 탕온 센서(78)가 검출되어 있다. 그리고, 비등되면 다시 급수 밸브(88)를 개방하고, 소정량 급수한 후 폐쇄한다. 급수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후, 다시 비등되면 급수 밸브(88)를 개방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고온의 온수를 생성하여 저류해 간다. 이후, 전기 히터(73)의 통전은 탕온 센서(78)가 검출되는 고온 탱크(71) 내의 온수의 온도로 제어되고, 고온 탱크(71) 내의 온수의 온도를 예를 들어 +98 ℃로 유지한다.
급수관(87)으로부터의 급수에 의해 고온 탱크(71) 내의 고온의 온수(고온수)의 수위가 상승되어 가고, 대략 상한 수위의 위치에 근접하면 고온 탱크(71) 내의 온수는 연통관(89)에 유입하고, 이 연통관(89) 내를 통해 위치 에너지에 의해 저온 탱크(72) 내에 유입하여 공급되어 간다. 이 연통관(89)은 상온의 수돗물이 유통되는 급수관(87)과 열 교환하도록 첨부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66)는 온도 센서(92)가 검출되는 온도가 예를 들어 +75 ℃ 이상이 된 경우에 팬(91)을 운전하여 통풍하기 때문에, 연통관(89) 내를 유하하는 온수는 수냉과 공냉의 양쪽을 받아 식혀진다. 이 때, 덕트(93) 내의 연통관(89) 내측에는 풍향 억제 부재(9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팬(91)에 의한 통풍은 연통관(89)의 근방을 흘러 양호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덕트(93)에 의한 굴뚝 효과(상승 기류)도 합쳐서 연통관(89)의 공냉 효과가 향상된다.
즉, 저온 탱크(72) 내에는 고온 탱크(71) 내에서 일단 비등하여 식힌 끓여 식힌 물의 온수가 공급되게 되므로, 수돗물의 칼키 냄새도 억제된다. 그리고, 플 로트(77)가 상승되고, 하한 스위치(86)까지 수위가 상승되면 전기 히터(74)에 통전을 개시한다. 이 저온 탱크(72) 내의 탕온은 탕온 센서(79)에 의해 전기 히터(74)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65 ℃라는 온수로서는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된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플로트(76)와 상한 스위치(83)를 기초로 하여, 고온 탱크(71) 내의 수위가 상한에 도달한 시점에서 급수 밸브(88)를 폐쇄한다. 한편, 저온 탱크(72) 내의 수위는 파스칼의 원리로 고온 탱크(71)의 수위와 동일한 위치가 된다.
그 후, 취출 밸브(81)에 의해 고온 탱크(71) 내의 고온의 온수가 추출되고, 상한 스위치(83)로부터 아래까지 수위가 저하되면 마이크로 컴퓨터(66)는 급수 밸브(88)를 개방하여 급수한다. 취출 밸브(82)에 의해 저온 탱크(72) 내의 저온의 온수가 추출되어 수위가 저하되면, 연통관(89)으로부터 고온 탱크(71) 내의 온수를 식혀 보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온 탱크(71)에 있어서 고온의 온수를 저온 탱크(72)에 있어서 비교적 저온의 온수를 각각 생성하여 저류한다.
이 온수 탱크 유닛(8)의 전방측 좌우에 있어서의 본체(4)의 천정면 좌우에는 한 쌍의 엽차 캐니스터(엽차 수용 수단)(12, 12)가 부착되어 있다. 양 엽차 캐니스터(12, 12) 내에는 예를 들어 엽차나 옥로, 이들의 혼합물인 엽차가 소정량 수용된다. 전방면 패널(2)의 중앙에는 입력 설정을 행하기 위한 키 스위치(13)와 상기 키 스위치(13)로 입력된 데이터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표시기(14, 14)를 구비한 조작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면 패널(2)의 좌우에는 후술하는 교반 블레이드(교반 수단)(17)의 교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18, 18)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 패널(2)의 하단부 좌우에는 차음료의 추출이나 온수의 제공을 행할 때에 선택하여 조작하는 판매 버튼(21, 22, 23, 24, 25, 26)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체(4) 상부의 유닛실(6) 내에는 좌우에 각각 차 밀(27, 27)(도27에 도시함)과,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이들 차 밀(27)과 분쇄 엽차 캐니스터(28)로 분쇄 수단이 구성된다. 도27에 도시함]와, 교반 블레이드(17, 17)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무브러시 DC 모터로 이루어지는 교반 모터(17M, 17M)(도27에 도시함)와, 급탕 밸브(29, 29)(도27에 도시함)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차 밀(27, 27)은 좌우의 엽차 캐니스터(12, 12)의 하측에 대응하고 있고, 좌우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는 좌우의 차 밀(27, 27)의 내측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각 엽차 캐니스터(12, 12)의 상부 덮개(12A, 12A)에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통풍성의 바구니(96)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구니(96) 내에는 제습제(혹은 건조제)(S)가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엽차 캐니스터(12) 내에 제습제(S)를 부착시킴으로써 내부의 분쇄 엽차가 습기를 띠어 열화하는 문제점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제습제(S)는 출납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으므로, 교환이나 장전 작업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체(4) 상부의 유닛실(6)의 하부면 좌우에는 추출 용기(추출 수단)(31, 31)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환형의 부착 프레임(32, 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교반 모터(17M, 17M)와 좌우의 급탕 밸브(29, 29)는 좌우의 부착 프레임(32, 32)의 각 내측 상방에 대응하고 있다.
상기 좌우의 차 밀(27, 27)은 좌우의 엽차 캐니스터(12, 12)의 하단부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엽차 캐니스터(12, 12)로부터 직접 엽차가 각 차 밀(27, 27) 내에 낙하하여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양 차 밀(27, 27)은 세단날과 맷돌을 구비하고 있고, 엽차 캐니스터(12, 12)로부터 공급되는 엽차를 세단한 후, 맷돌로 갈아서 소정 입경(30 미크론 정도. 여기서, 통상의 분말차의 입경은 10 미크론 정도임)의 분쇄 엽차를 생성한다. 또, 이 차 밀(27, 27)에 있어서의 엽차의 분쇄 입도는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세단 날도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우의 차 밀(27, 27)로 분쇄된 분쇄 엽차는 각각 좌우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 내에 투입되어 수용된다. 이 좌우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에는 나선 오우거로 이루어지는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 28A)(도27)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 28A)에 의해, 좌우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로부터 좌우의 추출 용기(31, 31) 내에 분쇄 엽차가 각각 공급된다. 한편, 각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에는 내부의 분쇄 엽차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분쇄 엽차량 센서(38, 38)(도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4) 후방부의 유닛실(6) 내에는 폼 밀크 제조기(폼 밀크 생성 수단)(41)(도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폼 밀크 제조기(41)는, 혼합부를 구비하는 밀커와, 증기 보일러와 밀크 백(보냉되어 있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 유닛(8)의 고온 탱크(71)로부터 고온의 온수의 공급을 받아 증기 보일러로 가열하고 증기를 발생시켜 밀커에 공급한다. 이 증기가 밀커의 혼합부를 통과할 때에, 대기 중의 공기와 밀크 백 내의 밀크를 동시에 흡인하여 혼합하고, 거품 형상으로 하여 폼 밀크 노즐(43)로부터 토출하는 것이다. 이 폼 밀크 노즐(43)은 본체(4) 상부의 유닛실(6)의 하부면 중앙에 있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여 좌우의 추출 용기(추출 수단)(31, 31)의 하방의 급차실(7) 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급차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컵(P)에 각각 폼 밀크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4는 도1을 바라보아 좌측의 추출 용기(31) 및 부착 프레임(32) 등의 정면도, 도5는 상기 평면도, 도6은 상기 측면도, 도7은 상기 사시도, 도16은 상기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바라보아 좌측의 추출 용기(31) 및 부착 프레임(32)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바라보아 우측의 추출 용기(31) 및 부착 프레임(32)도 기본 구조와 마찬가지(좌우 대칭)이다. 부착 프레임(32)에는 바라보아 좌측의 급탕 밸브(29)로부터의 도시하지 않은 급탕 파이프가 접속되는 급탕구(44)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온수 탱크 유닛(8)의 고온 탱크(71) 또는 저온 탱크(72)로부터의 온수는 각 취출 밸브(81, 82)와 그 후단부의 급탕 밸브(29)를 개재하여 이 급탕구(44)로부터 부착 프레임(32)에 부착된 상태의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된다. 또한, 부착 프레임(32)의 상측에 대응하여 분쇄 엽차 공급구(46)(슈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내의 분쇄 엽차는 상기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에 의해 이 분쇄 엽차 공급구(46)로부터 부착 프레임(32)에 부착된 상태의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된다.
한편, 추출 용기(31)는 소정 용량을 갖고 상하로 개구하는 상측 용기(31A)와, 이 상측 용기(31A)의 측면에 부착된 레버(47)와, 상측 용기(31A)의 하측에 와 이어(48)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하측 용기(31B)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용기(31A)의 상단부 측면에 형성된 결합 플랜지를 이용하여 추출 용기(31)는 부착 프레임(3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추출 용기(31)를 부착 프레임(32)에 부착되었을 때는, 우선 레버(47)를 좌측 전방 약 30도 정도의 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측 용기(31A)의 상부면 개구를 부착 프레임(32)의 내측에 할당하여, 그대로 레버(47)가 정면 전방에 올 때까지 위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4 내지 도7). 이에 의해, 결합 플랜지가 부착 프레임(32)의 내측의 홈에 결합하여 추출 용기(31)는 부착된다.
여기서, 하측 용기(31B)에 부착된 후술하는 작용 아암(63)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영구 자석이 부착되어 있고, 한편 추출 용기(31)가 도4 내지 도7과 같이 부착된 상태에서 이 영구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4)에는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세트 스위치(97)(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가 부착되어 있다. 이 세트 스위치(97)는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해 접점을 폐쇄하는 것이고,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66)는 이 세트 스위치(97)의 접점의 상태에서 추출 용기(31)가 부착 프레임(32)에 부착된 것을 검출하고,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온수나 분쇄 엽차, 폼 밀크의 공급, 후술하는 교반 블레이드(17)에 의한 교반을 금지한다.
또한, 제거할 때에는 반대로 도4 내지 도7의 상태에서 위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 플랜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 용기(31)가 본체(4)측의 부착 프레임(3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추출 용기(3l) 내의 청소나 후술하는 드리퍼(98) 및 페이퍼 필터의 장착ㆍ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추출 용기(31)의 하측 용기(31B) 내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부여 부재(54)를 부착시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저항 부여 부재(54)는 추출 용기(31) 내에서 교반되는 온수와 분쇄 엽차의 와류에 저항을 부여하여 기포 발생을 잘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17)는 교반 모터(17M)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교반 모터(17M)로부터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프레임(32) 내를 통과하여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되고, 부착 프레임(32)에 부착된 상태의 추출 용기(31) 내에 진입한다[바라보아 우측의 교반 모터(17M)도 마찬가지임]. 즉, 추출 용기(31)를 부착 프레임(32)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는, 교반 브레이드(17)만이 부착 프레임(32)[본체(4))] 측에 남아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가 된다.
이 교반 블레이드(17)는 추출 용기(31)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것이고, 그 선단부에는 교반용의 스프링(17B)(거품 발생 그릇형)이 부착되어 있다. 이 교반 블레이드(17)도 교반 모터(17M)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므로, 추출하는 음료, 즉 차음료나 후술하는 커피 등의 각각에 적합한 교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교환 가능하다. 또, 실시예에서는 교반 블레이드(17)는 분말차용의 교반 블레이드이며, 그 경우 교반 블레이드(17)는 추출 용기(31)의 하측 용기(31B) 내까지 연장되는 치수로 되어 있다. 그에 의해, 보다 낮은 위치에서 효과적으로 거품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추출 용기(31)의 상측 용기(31A) 내에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피 추출용의 드리퍼(98) 및 페이퍼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착탈 가능하게 부 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드리퍼(98)는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서 깔때기형을 나타내어 상부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복수의 구멍(107‥)이 형성된 것이며, 이 내부에 절첩한 상태의 페이퍼 필터가 장전되게 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급탕구(44)에는 샤워 노즐(108)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샤워 노즐(108)은 급탕구(44)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드리퍼(98) 내의 커피 원료분(후술) 전체에 남김없이 살포하는 것이다.
또, 도18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드리퍼(98)를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도, 교반 블레이드(17)는 상기 드리퍼(98) 내에 진입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커피의 추출에 적합한 교반 블레이드(17)를 교반 모터(17M)에 부착하여 교반하게 된다.
하측 용기(31B)의 하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성형되어 끝이 가는부(57)로 되어 있고, 이 끝이 가는부(57)의 하단부(선단부)에는 추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끝이 가는부(7)의 주위에는 마개 부재(59)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마개 부재(59)는 항상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도16과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이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마개 부재(59)는 추출구(58)를 밀봉한다.
이 마개 부재(59)는 하측 용기(31B)의 외측에서 축(62)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상기 작용 아암(63)과 연동되어 있고, 이 작용 아암(63)의 선단부가 상승되면 마개 부재(59)는 코일 스프링(61)에 저항하여(압축하여) 인하되고, 도17과 같이 추출구(58)를 개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급차 위치 후방의 본체(4)에는 부착 프레임(32, 32)에 부착된 추출 용기(31, 31)의 작용 아암(6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경사진 올라 타기 부재(64, 64)가 부착되어 있고, 도5의 추출 용기(31)의 위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작용 아암(63)이 도12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올라 타기 부재(64)를 올라 타 그 선단부가 상승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상기 마개 부재(59)나 코일 스프링(61), 작용 아암(63) 등으로 배출 기구가 구성됨]. 즉, 추출 용기(31)를 도5의 상태에서 위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에 의해 추출구(58)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올라 타기 부재(64, 64)의 후방의 본체(4)에는 배출 장치(배출 수단)(60, 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 장치(60)는 배출 모터(101), 캠(102), 캠 위치 검출하기 위한 개폐 위치 검출 스위치(103), 스프링(104) 및 개폐 레버(1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 레버(106)는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그 상단부는 작용 아암(63)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항상 스프링(104)에 의해 도6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배출 모터(101)는 후술하는 마이크로 컴퓨터(66)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캠(102)은 배출 모터(101)에 의해 회전되어 스프링(104)에 저항하여 개폐 레버(106)의 하부를 도6 중 바라보아 좌측 방향으로 압박한다. 캠(102)에 의해 개폐 레버(106)가 도6 중 바라보아 좌측 방향으로 압박하면, 개폐 레버(10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상단부가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용 아암(63)의 선단부를 들어 올린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배출 장치(60)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추출구(58)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료의 추출로부터 배출까지의 전체 행정을 자동화할 수 있 게 된다.
다음에, 도27에 있어서 제어 장치(C)는 범용의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66)로 구성되어 있고, 이 마이크로 컴퓨터(66)의 출력에 전술한 온수 탱크 유닛(8), 급탕 밸브(29, 29), 차 밀(27, 27),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 28A), 교반 모터(17M, 17M), 폼 밀크 제조기(41), 표시기(14) 등이 접속되고, 마이크로 컴퓨터(66)의 입력에는 상기 세트 스위치(97, 97), 분쇄 엽차량 센서(38, 38), 판매 버튼(21 내지 26), 교반 속도 조정 손잡이(18, 18), 키 스위치(13) 등이 접속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66)의 메모리(M)에는, 키 스위치(13)를 사용하여 판매 버튼(21 내지 26)마다 온수(고온인지 저온)의 양, 분쇄 엽차의 양과 유무 및 폼 밀크의 유무에 관한 데이터를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는 판매 버튼(26)을 분말차(거품 많음), 판매 버튼(22)을 분말차(거품 적음), 판매 버튼(23)을 엽차(거품 많음), 판매 버튼(24)을 엽차(거품 적음), 판매 버튼(25)을 분말차 밀크, 판매 버튼(21)을 고온수만으로 한 경우 표시기(14)를 보면서 키 스위치(13)를 이용하고, 판매 버튼(26)에 대해서는「분쇄 엽차 많음, 저온수, 간결 교반」, 판매 버튼(22)에 대해서는「분쇄 엽차 많음, 저온수, 연속 교반」, 판매 버튼(23)에 대해서는「분쇄 엽차 적음, 고온수, 간결 교반」, 판매 버튼(24)에 대해서는「분쇄 엽차 적음, 고온수, 연속 교반」, 판매 버튼(25)에 대해서는「분쇄 엽차 많음, 저온수, 폼 밀크 있음」, 판매 버튼(21)에 대해서는「고온수」로 하도록 설정한다.
또, 상기 각 설정의 온수량, 분쇄 엽차량은 사용자(차음료의 제공자 혹은 이 용자)가 경험과 기호에 따라서 키 스위치(13)와 표시기(14)를 이용하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66)는 각 판매 버튼(21 내지 26)에 대응한 설정 데이터를 메모리(M)에 기억하는 동시에, 판매 버튼(21 내지 26)이 조작된 경우에는 온수 탱크 유닛(8), 급탕 밸브(29, 29) 및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 28A), 폼 밀크 제조기(41), 교반 모터(17M)를 제어하여 상기 판매 버튼에 대응하여 설정된 양만큼 각 추출 용기(31, 31) 내에 온수와 분쇄 엽차, 폼 밀크를 공급하고, 설정된 연속 또는 간헐로 교반 블레이드(17)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키 스위치(13)에서는 전술한 배출 장치(60)의 동작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온수 공급의 개시로부터 배출 장치(60)에 의해 자동적으로 추출구(58)를 개방하거나, 온수 공급 개시시는 폐쇄하고 있어 소정 시간(임의로 설정 가능)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추출구(58)를 개방하는 등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음료의 추출 방식이나 추출 시간을 자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추출 용기(31, 31)는 좌우의 각 부착 프레임(32, 32)에 부착한다. 그리고, 전원을 투입하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 유닛(8)의 고온 탱크(71) 및 저온 탱크(72)에 고온의 온수 및 저온의 온수를 생성하여 저류한다.
또한, 차 밀(27, 27)을 구동하고, 각 엽차 캐니스터(12, 12)로부터 낙하하는 엽차를 각 차 밀(27, 27)로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한다. 각 차 밀(27, 27)로 생성된 분쇄 엽차는 각각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 내에 수용되어 있고, 분쇄 엽차 량 센서(38, 38)가 소정량(상한치)의 분쇄 엽차량을 검출한 결과 그에 대응하는 차 밀(2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로부터 분쇄 엽차가 추출되어 분쇄 엽차량이 하한치까지 저하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분쇄 엽차량 센서(38, 38)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다시 차 밀(27, 27)을 구동하여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에 분쇄 엽차를 보충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소정량(상한치)까지 보충한 결과, 차 밀(27, 27)을 정지한다. 여기서,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28)의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를 별도 설치하고,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내의 분쇄 엽차만을 소프트크림의 토핑용 등을 위해 공급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이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내의 소정량(상한치)은 가능한 한 적은 양으로 설정한다. 그에 의해, 분쇄 엽차 캐니스터(28) 내에 장시간 분쇄 엽차가 잔존하여 신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회피한다. 그리고, 이러한 온수와 분쇄 엽차의 준비가 완료된 결과 판매 가능하게 된다.
(1) 분말차(거품 많음 혹은 거품 적음)의 판매
처음으로, 분말차(거품 많음)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컵(P)을 향해 우측의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에 세트하여 판매 버튼(26)을 조작한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메모리(M)에 설정된 판매 버튼(26)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수 탱크 유닛(8)의 취출 밸브(82)와 우측의 급탕 밸브(29)를 제어하여 저온 탱크(72)로부터 저온의 온수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우측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의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를 제어하여 분쇄 엽차 캐니스터(28)로부 터 다량의 분쇄 엽차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추출구(58)는 도17과 같이 개방해 둔다(자동 또는 수동). 또한, 저항 부여 부재(54)도 세트해 둔다.
추출 용기(31) 내에서는 공급된 분쇄 엽차로부터 엑기스분이 온수에 침출된다. 이 때, 엽차는 분쇄되어 있으므로, 온수와의 접촉 면적도 커진다. 따라서, 엑기스분의 침출은 신속하게 행해진다. 특히, 다량의 분쇄 엽차와 저온의 온수이기 때문에, 추출 용기(31) 내에서는 매우 짙은 차음료(분말차)가 생성되어 간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66)는 우측의 교반 모터(17M)를 간헐 운전하고, 교반 블레이드(17)를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추출 용기(31) 내의 온수(차음료)를 교반한다. 이 때, 추출구(58)는 개방되어 있어 간헐한 교반이 행해지고, 또한 저항 부여 부재(54)도 세트되어 있으므로, 추출 용기(31) 내의 차음료에는 다량의 거품이 발생한다. 여기서, 분쇄 엽차를 초미립자화 혹은 극미립자화하면, 수분자(온수)와 균질화(동질화)하여 물(온수)과 분쇄 엽차가 분리되는 일 없이 액상이 된다. 그에 의해, 소위 가루 찌꺼기가 없는 순한 맛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가 갖는 영양소를 모두 식품으로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출된 기포 발생이 많은 분말차는 추출구(58)로부터 컵(P) 내에 부어지게 된다.
다음에, 분말차(거품 적음)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컵(P)을 바라보아 좌측의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에 세트하여 판매 버튼(22)을 조작한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메모리(M)에 설정된 판매 버튼(22)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수 탱크 유닛(8)의 취출 밸브(82)와 좌측의 급탕 밸브(29)를 제어하여 저온 탱크 (72)로부터 저온의 온수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좌측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의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를 제어하여 분쇄 엽차 캐니스터(28)로부터 다량의 분쇄 엽차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추출구(58)는 도16과 같이 폐쇄해 둔다(자동 또는 수동).
추출 용기(31) 내에서는 공급된 분쇄 엽차로부터 엑기스분이 온수에 침출된다. 이 때, 엽차는 분쇄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와의 접촉 면적도 커진다. 따라서, 엑기스분의 침출은 신속하게 행해진다. 특히, 다량의 분쇄 엽차와 저온의 온수이기 때문에, 추출 용기(31) 내에서는 매우 짙은 차음료(분말차)가 생성되어 간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66)는 좌측의 교반 모터(17M)를 연속 운전하고, 교반 블레이드(17)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추출 용기(31) 내의 온수(차음료)를 교반한다. 이 때, 추출구(58)는 폐쇄되어 있어 교반 블레이드(17)도 연속적으로 교반하기 때문에, 발생한 거품은 파괴되어 기포 발생은 억제된다.
그리고, 임의의(혹은 자동적으로 설정한) 시간 추출과 거품 발생을 행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혹은 자동)으로 추출구(58)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추출 용기(31) 내의 차음료(분말차)는 추출구(58)로부터 하방의 컵(P) 내에 부어지게 된다.
(2) 엽차(거품 많음 혹은 거품 적음)의 판매
다음에, 엽차(거품 많음)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컵(P)을 바라보아 좌측의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에 세트하여 판매 버튼(23)을 조작한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메모리(M)에 설정된 판매 버튼(23)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 수 탱크 유닛(8)의 취출 밸브(81)와 좌측의 급탕 밸브(29)를 제어하여 고온 탱크(71)로부터 고온의 온수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좌측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의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를 제어하여 분쇄 엽차 캐니스터(28)로부터 소량의 분쇄 엽차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추출구(58)는 도17과 같이 개방해 둔다(자동 또는 수동). 또, 저항 부여 부재(54)도 세트해 둔다.
추출 용기(31) 내에서는 공급된 분쇄 엽차로부터 엑기스분이 온수에 침출된다. 마찬가지로 이 때, 엽차는 분쇄되어 있으므로, 엑기스분의 침출은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이 때는 분쇄 엽차는 소량이며, 온수도 고온이므로 엽차에 알맞은 농도의 차음료가 추출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66)는 좌측의 교반 모터(17M)를 간헐 운전하고, 교반 블레이드(17)를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추출 용기(31) 내의 온수(차음료)를 교반한다. 이 때, 추출구(58)는 개방해 두어 간헐한 교반이 행해지고, 또한 저항 부여 부재(54)도 세트되어 있으므로, 추출 용기(31) 내의 차음료에는 다량의 거품이 발생한다. 그리고, 추출된 기포 발생이 많은 엽차는 추출구(58)로부터 컵(P) 내에 부어지게 된다.
다음에, 엽차(거품 적음)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컵(P)을 바라보아 우측의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에 세트하여 판매 버튼(24)을 조작한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메모리(M)에 설정된 판매 버튼(24)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수 탱크 유닛(8)의 취출 밸브(81)와 우측의 급탕 밸브(29)를 제어하여 고온 탱크(71)로부터 고온의 온수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우측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의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를 제어하여 분쇄 엽차 캐니스터(28)로부터 소량의 분쇄 엽차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한다. 또한, 이 때 추출구(58)는 도16과 같이 폐쇄해 둔다(자동 또는 수동).
추출 용기(31) 내에서는 공급된 분쇄 엽차로부터 엑기스분이 온수에 침출된다. 마찬가지로 이 때, 엽차는 분쇄되어 있으므로, 엑기스분의 침출은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한, 이 때는 분쇄 엽차는 소량이며, 온수도 고온이므로 엽차에 알맞은 농도의 차음료가 추출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66)는 우측의 교반 모터(17M)를 연속 운전하고, 교반 블레이드(17)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추출 용기(31) 내의 온수(차음료)를 교반한다. 이 때, 추출구(58)는 폐쇄해 두어 교반 블레이드(17)도 연속적으로 교반하기 때문에, 발생한 거품은 파괴되어 기포 발생은 억제된다. 그리고, 임의의(혹은 자동적으로 설정하였음) 시간 추출과 거품 발생을 행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혹은 자동)으로 추출구(58)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추출 용기(31) 내의 차음료(엽차)는 추출구(58)로부터 하방의 컵(P) 내에 부어지게 된다.
또, 상술의 각 예에 있어서 배출 장치(60)의 동작을 설정하여, 예를 들어 추출구(58)를 연속 개방해 둠으로써 추출 용기(31)의 용량에 상관 없이, 연속한 추출이 가능해진다.
(3) 분말차 밀크의 판매
다음에, 분말차 밀크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컵(P)을 바라보아 우측의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에 세트하여 판매 버튼(25)을 조작한다. 또한, 폼 밀크 노즐(43)을 회전시켜 우측의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의 컵(P) 상에 개구시킨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메모리(M)에 설정된 판매 버튼(25)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수 탱크 유닛(8)의 취출 밸브(82)와 우측의 급탕 밸브(29)를 제어하여 저온 탱크(72)로부터 저온의 온수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하는 동시에, 우측의 분쇄 엽차 캐니스터(28)의 분쇄 엽차 반송 장치(28A)를 제어하여 분쇄 엽차 캐니스터(28)로부터 소량의 분쇄 엽차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한다. 이 경우, 우측의 교반 속도 조정 손잡이(18)를 조작하여 교반 모터(17M)의 회전 수를 제어하고, 교반 블레이드(17)에 의해 추출 용기(31) 내의 차 추출액을 교반하면 좋다. 그리고, 임의의 시간 교반을 행한 후, 레버(47)를 위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약 30도 회전시켜, 추출 용기(31) 내의 추출액을 추출구(58)로부터 하방의 컵(P) 내에 붓는다.
한편, 마이크로 컴퓨터(66)는 폼 밀크 제조기(41)로 폼 밀크를 소정량 생성시켜 폼 밀크 노즐(43)로부터 컵(P) 내에 공급한다. 그리고, 컵(P) 내에서 공급된 폼 밀크와 차 추출액이 혼합되어 분말차 밀크가 제조되게 된다. 이 경우, 밀크 폼을 차음료로부터 먼저 추출 용기(31)에 넣거나, 동시에 넣거나, 혹은 나중에 넣는가를 선택할 수 있다. 먼저 넣은 경우에는 소위「라떼」가 되고, 나중에 넣은 경우에는「오레」가 된다.
(4) 커피의 판매
다음에, 커피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바라보아 좌측의 부착 프레임(32)의 급탕 구(44)에 상기 샤워 노즐(108)을 부착시킨다. 또한, 교반 블레이드(17)도 커피용인 것을 교반 모터(17M)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바라보아 좌측의 추출 용기(31) 내에 도18과 같이 드리퍼(98)와 페이퍼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장전하여 커피 원료분을 소정량 투입한다. 그리고, 바라보아 좌측의 부착 프레임(32)에 추출 용기(31)를 세트하고, 컵(P)을 상기 추출 용기(31) 하방의 급차 위치에 세트하여 판매 버튼(21)을 조작한다.
마이크로 컴퓨터(66)는 메모리(M)에 설정된 판매 버튼(21)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수 탱크 유닛(8)의 취출 밸브(81)와 좌측의 급탕 밸브(29)를 제어하여 고온 탱크(71)로부터 고온의 온수를 추출 용기(31) 내에 공급한다. 온수는 샤워 노즐(108)로부터 드리퍼(98) 내의 커피 원료분 상에 남김없이 살포되기 때문에, 원료분으로부터는 커피액이 원활히 추출되어 간다. 이 추출할 때에도 마이크로 컴퓨터(66)는 교반 모터(17M)에 의해, 커피에 적합한 속도로 교반 블레이드(17)를 회전시킨다[손잡이(18)로 설정함].
이 때, 도18과 같이 추출구(58)를 개방해 두면, 추출된 커피는 서서히 하방의 컵(P)에 부어지게 된다. 한편, 추출구(58)를 폐쇄해 둠으로써, 드리퍼(98) 내에 온수와 원료분을 저장한 상태에서 추출을 행하는 소위 드립 온 추출을 행할 수 있다. 이 드립 온을 행하면, 보다 짙은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 경우는, 소정 시간의 추출 후에 추출구(58)를 개방하여 컵(P)에 짙은 커피를 붓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쇄 엽차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엽차 그자체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단시간에 필요량으로 충분한 차음료를 항상 일 정한 맛으로, 또는 임의의 맛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할 때마다 차음료를 추출하여 신선한 것을 제공하도록 해도, 이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결과, 차의 찌꺼기를 버리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추출 용기(31)에의 분쇄 엽차와 온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추출 장치(31)에 있어서의 차음료의 추출에 사용하는 분쇄 엽차와 온수의 양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제공자 혹은 이용자)의 기호인 맛, 향, 풍미의 분말차나 엽차 등의 차음료를 손쉽게 안정된 품질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추출 용기(31)에는 커피 추출용의 드리퍼(98) 및 페이퍼 필터를 장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온수 탱크 유닛(8)로부터의 고온의 온수만을 급탕구(44)로부터 추출 용기(31)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추출 용기(31)에 드리퍼(98)와 페이퍼 필터를 장전하고, 커피 원료분을 투입하여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추출 용기(31)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차음료 외에 커피의 추출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범용성과 편리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취출 밸브(81, 82)에 예를 들어 세방면 밸브 등의 유로 절환 가능한 밸브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급탕 밸브(29, 29)는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서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분쇄 엽차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엽차 그자체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단시간에 충분한 차음료의 추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할 때마다 차음료를 추출하여 신선한 것을 제공하도록 해도, 이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와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므로, 예를 들어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차음료의 추출에 사용하는 분쇄 엽차와 온수의 양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자 혹은 이용자의 기호인 맛, 향, 풍미의 차음료를 손쉽게 안정된 품질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 경우, 추출 수단에는 커피 추출용의 드리퍼 및 페이퍼 필터를 장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어 수단은 급탕 수단으로부터의 온수만을 급탕구로부터 추출 수단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추출 수단에 드리퍼와 페이퍼 필터를 장전하고, 커피 원료분을 투입하여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추출 수단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차음료 외에 커피의 추출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범용성과 편리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외에 급탕구에는 샤워 헤드를 부착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드리퍼 내의 커피 원료분에 남김없이 온수를 살포하여 향과 풍미가 풍부한 커피의 추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 외에 추출 수단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상기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커 피의 추출 중 이 배출 기구를 폐쇄해 둠으로써, 드리퍼 내에서 온수를 저장한 상태로 커피를 추출하는 소위 드립 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 외에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이 배출 수단에 의해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음료 배출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드립 온을 포함해서 커피의 추출로부터 배출까지의 전체 행정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 외에 추출 수단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구비하고, 이 교반 수단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드리퍼 내에서 교반 가능한 교반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드리퍼 내의 커피를 강제적으로 교반하여 추출을 촉진하고, 신속한 추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상기 외에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교반 수단의 교반 속도를 제어하므로, 커피의 추출에 최적 속도로 교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 외에 추출 수단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추출 수단 내의 청소나 드리퍼ㆍ페이퍼 필터의 장전ㆍ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어 수단은 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동작 및/또는 교반 동작을 금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온수의 공급이나 교반 수단의 동작을 행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서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분쇄 엽차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엽차 그자체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단시간에 충분한 차음료의 추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할 때마다 차음료를 추출하여 신선한 것을 제공하도록 해도, 이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와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므로, 예를 들어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차음료의 추출에 사용하는 분쇄 엽차와 온수의 양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자 혹은 이용자의 기호인 맛, 향, 풍미의 차음료를 손쉽게 안정된 품질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 경우, 추출 수단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추출 수단 내의 청소ㆍ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어 수단은 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동작을 금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온수나 분쇄 엽차가 공급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서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 및 교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분쇄 엽차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엽차 그자체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단시간에 충분한 차음료의 추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할 때마다 차음료를 추출하여 신선한 것을 제공하도록 해도, 이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와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므로, 예를 들어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차음료의 추출에 사용하는 분쇄 엽차와 온수의 양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자 혹은 이용자의 기호인 맛, 향, 풍미의 차음료를 손쉽게 안정된 품질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 경우,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추출 수단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교반 수단을 간헐 동작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추출 수단 내에는 소정의 저항 부여 부재를 부착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배출 수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교반 수단에 의해 교반함으로써, 기포 발생이 좋은 차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기포 발생은 저항 부여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더욱 양호해진다. 한편, 배출 수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교반하면, 기포 발생이 적은 차음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서는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이 분쇄 수단에서 분쇄하는 엽차를 수용하는 엽차 수용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분쇄 엽차와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 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분쇄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의 공급과 급탕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의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분쇄 엽차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엽차 그자체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 단시간에 충분한 차음료의 추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할 때마다 차음료를 추출하여 신선한 것을 제공하도록 해도, 이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일 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추출 수단에의 분쇄 엽차와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므로, 예를 들어 추출 수단에 있어서의 차음료의 추출에 사용하는 분쇄 엽차와 온수의 양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공자 혹은 이용자의 기호인 맛, 향, 풍미의 차음료를 손쉽게 안정된 품질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 경우, 엽차 수용 수단 내에 제습제 혹은 건조제를 출납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마련하였으므로, 엽차 수납 수단 내의 엽차의 습기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여 맛있는 차음료의 추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습제 혹은 건조제의 교환이나 장전도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발명 외에 급탕 수단은 고온의 온수를 생성하는 고온수 생성 수단과, 비교적 저온의 온수를 생성하는 저온수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고온수 생성 수단 또는 저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추출 수단에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므로, 추출하는 차음료에 대응하여 온수의 온도를 고온이 저온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차음료의 종류에 적합한 온도의 온수로 고품질의 추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청구항 12와 같이 저온수 생성 수단에 고온수 생성 수단에서 일단 고온이 된 온수를 식혀 공급하도록 하면, 저온의 온수는 소위 끓여 식힌 물을 이용하는 것이 되고, 저온의 온수에 의한 추출일 때에도 칼키 냄새 등을 억제한 맛있는 차음료의 추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의 발명과 같이 고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저온수 생성 수단에 온수를 공급하는 연통관을 구비하고, 이 연통관을 코일형으로 권취하면 고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저온수 생성 수단에 공급되는 온수를 연통관에 있어서 양호하게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14의 발명과 같이 연통관에 통풍하는 팬을 설치하면, 연통관에 있어서 내부를 흐르는 온수를 강제적으로 공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15의 발명과 같이 연통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수단이 연통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에 팬을 운전하도록 하면, 필요한 경우에만 팬을 운전하여 강제 공냉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절약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16의 발명과 같이 연통관을 덕트 내에 배치하고, 팬에 의해 상기 덕트 내에 통풍하도록 하면, 굴뚝 효과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연통관에 통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17의 발명과 같이 연통관 코일의 중심부에는 풍향 억제 부재를 마련하면, 덕트 내에 통풍되는 공기를 연통관의 근방에 흐르게 할 수 있게 되어 공냉 효과가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18의 발명과 같이 급탕 수단에의 급수관과 연통관을 열 교환시키면, 급수관 내를 흐르는 저온의 수돗물 등에 의해 연통관 내를 흐르는 온수를 냉각할 수 있게 되어 냉각 능력이 한층 향상된다.

Claims (18)

  1.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상기 분쇄 엽차와 상기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분쇄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 상기 분쇄 엽차를 공급하고 상기 급탕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의 상기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 수단에는 커피 추출용의 드리퍼 및 페이퍼 필터를 장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급탕 수단으로부터의 온수만을 급탕구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구에는 샤워 헤드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소정의 조작에 의해 상기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해 상기 추출 수단으로부터 의 음료 배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교반 수단은 교환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교반 수단의 교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수단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동작 및/또는 교반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8.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상기 분쇄 엽차와 상기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분쇄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 상기 분쇄 엽차의 공급과 상기 급탕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의 상기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 수단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추출 수단의 부착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 동작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9.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상기 분쇄 엽차와 상기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 내의 음료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 내에서 추출되는 음료를 교반하는 교반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분쇄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 상기 분쇄 엽차의 공급과 상기 급탕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의 상기 온수의 공급 및 상기 교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교반 수단을 간헐 동작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추출 수단 내에는 소정의 저항 부여 부재를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0. 엽차를 분쇄시켜 분쇄 엽차를 생성하는 분쇄 수단과, 상기 분쇄 수단에서 분쇄하는 상기 엽차를 수용하는 엽차 수용 수단과, 온수를 생성하는 급탕 수단과, 상기 분쇄 엽차와 상기 온수를 이용하여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분쇄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 상기 분쇄 엽차의 공급과 상기 급탕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으로의 상기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엽차 수용 수단 내에, 제습제 혹은 건조제를 출납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수단은 고온의 온수를 생성하는 고온수 생성 수단과, 비교적 저온의 온수를 생성하는 저온수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임의의 설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 고온수 생성 수단 또는 저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상기 추출 수단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 생성 수단에는 상기 고온수 생성 수단에서 일단 고온이 된 온수를 식혀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생성 수단으로부터 상기 저온수 생성 수단에 온수를 공급하는 연통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통관을 코일형으로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에 통풍하는 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 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연통관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팬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을 덕트 내에 배치하고, 상기 팬에 의해 상기 덕트 내에 통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 코일의 중심부에는 풍향 억제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수단에의 급수관과 상기 연통관을 열 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KR1020050017131A 2004-03-03 2005-03-02 음료 제조 장치 KR20060043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9268 2004-03-03
JP2004059268A JP4169711B2 (ja) 2004-03-03 2004-03-03 飲料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302A true KR20060043302A (ko) 2006-05-15

Family

ID=3474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131A KR20060043302A (ko) 2004-03-03 2005-03-02 음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33602B2 (ko)
EP (1) EP1570774A3 (ko)
JP (1) JP4169711B2 (ko)
KR (1) KR20060043302A (ko)
CN (1) CN100405960C (ko)
TW (1) TW2005297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N20070013A1 (it) * 2007-02-20 2008-08-21 N&W Global Vending Spa "dosatore di prodotti in polvere o grani e relativo metodo di dosatura"
EP2070454B1 (en) * 2007-12-12 2015-07-15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core units
US9981839B2 (en) * 2008-05-29 2018-05-29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refrigerator having liquid conditioning and enhancement components for enhanced beverage dispensing
ITFI20080121A1 (it) * 2008-06-30 2010-01-01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separazione tra ambienti diversi e di dosaggio di un prodotto alimentare e macchina incorporante detto dispositivo"
JP5372458B2 (ja) * 2008-10-14 2013-12-18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IL195702A0 (en) * 2008-12-04 2011-08-01 Yaniv Bar Water dispenser thal flavors and carbonalcs water
US8297180B2 (en) * 2008-12-18 2012-10-30 Whirlpool Corporation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8047124B2 (en) * 2009-02-11 2011-11-01 Uni-Splendor Corp. Automatic beverage maker
DE102009013579A1 (de) * 2009-03-19 2010-09-23 Gea Brewery Systems Gmbh Brauereianlage zur Herstellung und Abfüllung von Bier
ITFI20090249A1 (it) * 2009-11-25 2011-05-26 Saeco Ipr Ltd " contenitore emulsionatore per latte per una macchina da caff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contentore"
CN201641616U (zh) * 2010-02-05 2010-11-24 黎志航 一种自动冲茶机
US9267730B2 (en) 2010-10-29 2016-02-23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ensing liquid enhancement components from a refrigerator
WO2012097418A1 (pt) * 2011-01-17 2012-07-26 Yamaguchi Carlos Akio Máquina de café
TWI451852B (zh) * 2011-04-11 2014-09-11 Chien Rong Chen 食材加工方法
RU2014125214A (ru) * 2011-11-23 2015-12-27 СТАРБАКС КОРПОРЕЙШН Ди/Би/Эй СТАРБАКС КОФЕ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CN103799881A (zh) * 2012-11-09 2014-05-21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咖啡机的出口装置
GB2509081B (en) * 2012-12-19 2014-11-19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dispensing a beverage,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a system
CN103070247A (zh) * 2012-12-28 2013-05-01 尚原国际股份有限公司 全自动现磨热饮冲泡的萃茶方法
WO2015073716A1 (en) * 2013-11-14 2015-05-21 Camellia Lab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a latte
US9173519B2 (en) 2014-01-17 2015-11-03 Keurig Green Mounta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carafe detection
US20150327718A1 (en) * 2014-02-14 2015-11-19 Remington Designs,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olute extraction
CN104905677B (zh) * 2014-03-10 2017-1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饮料机及饮料的制备方法
RU2654118C1 (ru) * 2014-08-25 2018-05-16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Мельница, размольная маши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WO2016035605A1 (ja) * 2014-09-04 2016-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撹拌ユニットおよび飲料製造装置
JP6465696B2 (ja) * 2015-03-02 2019-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粉砕装置および飲料製造装置
CN108024659A (zh) * 2015-07-28 2018-05-11 山茶花实验室股份有限公司 用于制作茶拿铁的装置和方法
KR101692531B1 (ko) * 2015-07-31 2017-01-03 주식회사 원더치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058464A1 (en) * 2015-09-02 2017-03-02 Tarkett Inc. Protective binding layer
JP2017086834A (ja) * 2015-11-09 2017-05-25 有限会社エス・エス・アンド・ダブリュー 飲料抽出装置及びこの飲料抽出装置に適したフィルター
CN105852645A (zh) * 2016-05-13 2016-08-17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泡茶机
CA3034163A1 (en) * 2016-10-11 2018-04-19 Nestec S.A. Liquid dispensing machine with speed regulator
DE102017112653B4 (de) 2017-06-08 2022-03-24 Miele & Cie. Kg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Teegetränkes mittels eines Getränkeautomaten und Getränkeautomat zur Zubereitung eines Teegetränkes
DE102017112657A1 (de) 2017-06-08 2018-12-13 Miele & Cie. Kg Getränkeautomat zur Zubereitung eines Teegetränkes
JP7245180B2 (ja) * 2017-06-26 2023-03-23 フレーツィオ アーゲー 飲料製造装置
US11910952B2 (en) 2017-06-28 2024-02-27 Newco Enterprises, Inc. Customizable multiple port automated beverage brewer and system
CN111094149B (zh) * 2017-09-19 2022-10-25 雀巢产品有限公司 用于制备发泡食品或饮料产品的包袋
DE102017126934A1 (de) 2017-11-16 2019-05-16 Miele & Cie. Kg Getränkeautomat zur Zubereitung eines Teegetränkes
KR101944246B1 (ko) * 2018-02-08 2019-01-31 (주)미스터커피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자동 밀크 폼 생성 장치
DE102018111525A1 (de) * 2018-05-15 2019-11-21 Miele & Cie. Kg Zugabevorrichtung für pulver- oder granulatförmige Zutaten und Getränkebereiter
CN111105558A (zh) * 2018-10-25 2020-05-05 原祥塑胶工业有限公司 现泡茶饮的自动售卖机
CN109700316A (zh) * 2019-02-18 2019-05-03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饮料机
CN111904278A (zh) * 2020-07-24 2020-11-10 六安索伊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咖啡机自动冲泡机构
CN112674602B (zh) * 2021-01-06 2022-12-23 广东顺德新泽泉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全温型节能保险饮水机
CN115152929B (zh) * 2022-06-01 2023-07-07 江西诺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婴幼儿营养米粉成型用蒸汽辊筒干燥机
CN116921031B (zh) * 2023-08-10 2024-01-30 河北汇源食品饮料有限公司 一种果汁饮料加工用果肉粉碎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5608A (en) * 1959-02-26 1964-01-02 Henry Jindrich Parker Automatic vending machines for tea, coffee or like beverages
JPS59103628A (ja) 1983-11-08 1984-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上式貯湯型のコ−ヒ−沸し器
JPS61249417A (ja) 1985-04-26 1986-11-06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茶等の自動飲料供給装置
DE3643879C1 (de) * 1986-12-22 1992-01-09 Bentz & Sohn Melitta Kaffee- oder Teemaschine
JPH02130087A (ja) 1988-11-10 1990-05-18 Nec Corp 静止画テレビ電話
JP2705392B2 (ja) 1991-09-04 1998-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H05137653A (ja) 1991-11-20 1993-06-01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飲料抽出装置
JPH05154055A (ja) * 1991-12-04 1993-06-22 Kazuo Enomoto 小量焙煎用コーヒー焙煎器
JP3029732B2 (ja) 1992-03-10 2000-04-04 ピジョン株式会社 湯沸かし装置
CN2152480Y (zh) * 1993-03-10 1994-01-12 刘俊德 多功能自动茶水热饮器
US5511465A (en) * 1995-01-11 1996-04-30 Bunn-O-Matic Corporation Combo grinder and brewer
US5676041A (en) * 1995-02-03 1997-10-14 Appliance Development Corp. Coffee brewing apparatus
JPH08280538A (ja) 1995-04-14 1996-10-29 Tiger Vacuum Bottle Co Ltd 貯液容器
US5584229A (en) * 1995-08-14 1996-12-17 Bunn-O-Matic Corporation Reduced temperature coffee brewer
JPH09282552A (ja) * 1996-04-17 1997-10-31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JPH11197023A (ja) * 1998-01-16 1999-07-27 Sanyo Electric Co Ltd 茶飲料の温蔵方法および緑茶飲料の供給方法
JP3832610B2 (ja) 1998-02-06 2006-10-11 アサヒ飲料株式会社 茶系飲料の抽出装置およびその抽出方法
JP3886282B2 (ja) 1999-01-27 2007-02-2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US6922908B1 (en) * 1999-04-16 2005-08-02 Raul Raudales Vegetable product drying
DK176265B1 (da) * 1999-06-01 2007-05-14 Pi Design Ag Kaffetilberednings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tilberedning af en kaffedrik ved hjælp af kaffetilberedningsapparatet
JP2001061665A (ja) 1999-08-26 2001-03-13 Sanyo Electric Co Ltd コーヒー抽出器
JP2001275837A (ja) * 2000-04-10 2001-10-09 Nippon Kouatsu Electric Co 給茶機
JP2002193262A (ja) 2000-07-21 2002-07-10 Noboru Masaoka 密閉容器
GB0029228D0 (en) 2000-11-30 2001-01-17 Unilever Plc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US6740345B2 (en) * 2000-12-22 2004-05-25 Edward Zhihua Cai Beverage making cartridge
CA2335420A1 (en) * 2001-02-12 2002-08-12 Pierre Mercie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US6526872B2 (en) * 2001-05-22 2003-03-04 Raymond Electric (China) Limited Coffee making machine
CN2562594Y (zh) * 2002-08-06 2003-07-30 慈霖机械股份有限公司 冲泡式饮料的淬取设备
CN2575354Y (zh) * 2002-09-13 2003-09-24 何锡伶 一种自锁膨胀铆钉
JP2004118680A (ja) * 2002-09-27 2004-04-1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茶系飲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0774A2 (en) 2005-09-07
JP2005245696A (ja) 2005-09-15
CN1663411A (zh) 2005-09-07
US20050193890A1 (en) 2005-09-08
EP1570774A3 (en) 2006-01-04
TW200529786A (en) 2005-09-16
CN100405960C (zh) 2008-07-30
US7533602B2 (en) 2009-05-19
JP4169711B2 (ja) 2008-10-22
TWI306394B (ko) 200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3302A (ko) 음료 제조 장치
JP492265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US20200163487A1 (en)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JP5450152B2 (ja) 飲料製造装置
JP2014516745A (ja) 飲み物を作る装置および方法
JPH0622856A (ja) 飲物を自動的に準備しかつ注入するための装置
WO1990002507A1 (en) Coffee maker
JP4397341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US11622646B2 (en) Beverage producing apparatus
CN106793891B (zh) 饮料制造装置
JP6546393B2 (ja) 飲料供給装置
JP5537987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US3682090A (en) Coffee bar machine
JP2018094134A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飲料製造方法
JP2004118680A (ja) 茶系飲料供給装置
JP5595752B2 (ja) 飲料製造装置
JP4067469B2 (ja) 飲料製造装置
JP2010205245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4113607A (ja) 茶系飲料供給装置の茶葉供給装置
JP2011167395A (ja) 飲料製造装置
JP4463439B2 (ja) 飲料自動販売機
JP5569155B2 (ja) 自動販売機
JP3931779B2 (ja) 茶系飲料調理装置
JP3056263U (ja) 冷熱飲料供給機
JP2006263216A (ja) 飲料抽出方法および飲料抽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