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551A -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551A
KR20050007551A KR10-2004-7018673A KR20047018673A KR20050007551A KR 20050007551 A KR20050007551 A KR 20050007551A KR 20047018673 A KR20047018673 A KR 20047018673A KR 20050007551 A KR20050007551 A KR 2005000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mproving
purine
blemishe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8684B1 (ko
Inventor
다나카히데오
다나카마사히코
후루타야스오
와카마츠고사부로
가미무라준코
하라노후미키
가와무라미츠아키
가와바타시게카츠
시노하라시게오
요시노노보루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기미를 개선할 수 있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의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함유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 개선 작용에 의하여 뛰어난 기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중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작용에 의하여, 뛰어난 잡티 개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CHLOASMA AMELIORATION COMPOSITION AND DULLNESS AMELIORATION COMPOSITION}
기미(melasma)는 안면에 생기는 좌우 대칭성의, 염증 증상을 수반하지 않는 담갈색의 색소얼룩이며, 주로 여성에게 발병하는 질환이다. 당해 질환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하게 해명되지 않았지만, 난포 호르몬(estrogen), 부신피질 호르몬(adrenal cortex hormone), ACTH 등에 의한 다선성 내분비 이상에 기초하여, 일광 조사(sunlight irradiation), 임신, 간장·난소의 기능 이상, 경구 피임약의 복용, 항간질약의 복용 등이 관여하여 발생한다고 추측되고 있다.
종래, 당해 질환의 치료에는, ①비타민 C나 환원형 글루타티온(glutathione)제의 내복, ②약품 등의 원인 물질의 제거, 및 ③선스크린제(sunscreen)의 사용에 의한 일광 조사의 회피에 의한, 내인 및 외인적 병의 원인을 배제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표준피부과학 제4판, 제212-213쪽, 감수 사토 요시오, 의학서원발행). 그러나, 종래의 치료 방법에서는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약하고,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었다.
한편, 잡티(skin dullness)는 피부 투명감의 상실, 노페물 축적에 의한 탁함, 및 불균일한 피부 색의 상태를 의미하며, 여성에 있어서 미용상의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잡티는 노화에 수반되는 각질층의 비후에 의한 탁함 또는 음영, 피부의 붉은 빛 저하, 색소의 침착, 피부의 탄력 저하, 피부의 황색화, 땀이나 피지 등의 오염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서로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한다고 추측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잡티는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 기미 제거에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물질에 의해서도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없다. 또한, 지금까지 피부의 잡티 개선에 유용한 물질에 대해서 다양하게 검토되어 왔지만, 만족할만한 잡티 개선 효과를 갖는 물질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에 관해서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지만, 기미를 개선하는 작용이나 피부의 잡티를 개선하는 작용에 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은 제제화가 어렵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당해 물질을 그 작용이 발현될 수 있는 농도가 되도록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 사용감,안정성 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당해 물질은 유수계면막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화가 매우 곤란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해 물질을 유액 또는 크림 등의 에멀젼(emulsion) 형태로 조제하기 위해서는,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미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미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본 발명은 피부의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잡티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시험예 2에 있어서, 도포시작 전의 각피험자의 피부명도 L*, 피부색도 a* 및 피부색도 b*에 대한, 도포시작 4, 8, 12 및 16주 후에 있어서의 피부명도 L*의 변화량 △L*의 평균값, 피부색도 a*의 변화량 △a*의 평균값, 피부색 차이 E*ab의 변화량 △E*ab를 도시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기미를 개선할 수 있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효과적으로 기미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갖는 O/W형 에멀젼 형태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기미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본 발명은 피부의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및 효과적으로 피부의 잡티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갖는 O/W형 에멀젼 형태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잡티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생체 내에 존재하는 물질인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특히 아데노신의 모노 인산 에스테르인 아데노신 1인산(adenosine monophosphate) 또는 그의 염이 우수한 기미 개선 작용 및 잡티 개선 작용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당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과 함께,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polyglyceryl fatty acid ester), 알카노일 유산(alkanoyl lactic acid)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acrylic acid-alkyl methacrylate)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배합해서 O/W형의 에멀젼 형태로 조제함으로써, 상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작용을 손상하지 않고, 원래 유화가 어려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에 우수한 유화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실을 기초로 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1.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2.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3.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4.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5. pH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6.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7. 상기 조성물은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8.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9.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또는 8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0.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2.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내지 11항 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3.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며,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이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것이며,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4.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성성분을 0.3~20중량%,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 및 수분을 50~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5. 기미 개선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내지 14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16.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항 내지 15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17.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8.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19.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항 또는 18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0.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1. pH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항 내지 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2.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항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3.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항 내지 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4.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5.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 또는 24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6.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 내지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7.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 내지 26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8.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 내지 27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29.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며,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이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이며,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30.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성성분을 0.3~20중량%,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 및 수분을 50~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31. 잡티 개선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 내지 3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32.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항 내지 3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용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된 기미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
33.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개선 방법.
34.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이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35.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항 또는 34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36.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3항 또는 34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37. 조성물의 pH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항 또는 36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38. 조성물이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항 내지 3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39. 조성물이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항 내지 3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0. 조성물이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1.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 또는 40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2.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 내지 4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 내지 4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4.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 내지 4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5.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며,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이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이며,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6.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성성분을 0.3~20중량%,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 및 수분을 50~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0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7.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 내지 4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48. 조성물이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9항 내지 4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미 개선 방법.
또한,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된 잡티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
49.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잡티 부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 방법.
50.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이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1.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잡티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항 또는 50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2.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잡티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9항 또는 50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3. 조성물의 pH가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1항 또는 52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4. 조성물이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1항 내지 5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5. 조성물이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1항 내지 5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6. 조성물이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7.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또는 56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8.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내지 5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59.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내지 5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60.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내지 5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61.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며,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이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이며,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내지 6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62.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성성분을 0.3~20중량%,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 및 수분을 50~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6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63.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내지 6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64. 조성물이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5항 내지 6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잡티 개선 방법.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태양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
65.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66.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67.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
68.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피부의 잡티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1) 기미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은 퓨린 또는 퓨린 핵을 골격으로 하는 각종 유도체(이하, 퓨린 염기라고 한다) 및 그의 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퓨린계 핵산물질로서는,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기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화장품이나 외용 의약품 또는 외용 의약부외품 중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또는 친수성의 퓨린계 핵산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퓨린 염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아데닌(adenine), 구아닌(guanine), 하이포크산틴(hypoxanthine), 크산틴(xanthine), 아데노신(adenosine), 구아노신(guanosine), 이노신(inosin), 아데노신의 인산 에스테르 [아데노신 2'-1인산(adenoine 2'-monophosphate), 아데노신 3'-1인산(adenosine 3'-monophosphate), 아데노신 5'-1인산(AMP), 환상 아데노신 3', 5'-1인산(cAMP), 아데노신 5'-2인산(ADP), 아데노신 5'-3인산(ATP)], 구아노신의 인산 에스테르[구아노신 3'-1인산(guanosine 3'-monophosphate), 구아노신 5'-1인산(guanosine 5'-monophosphate), 구아노신 5'-2인산(guanosine 5'diphosphate), 구아노신 5'-3인산(guanosine 5'-triphosphate)], 아데닐로숙신산(adenylosuccinic acid), 크산틴산(xanthylic acid), 이노신산(inosinic acid),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FAD), 니코틴아미드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NAD)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아데닌, 구아닌, 아데노신 1인산(아데노신 2'-1인산, 아데노신 3'-1인산, AMP, cAMP), ADP, ATP, FAD, 및 NAD,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1인산, 특히 AMP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 상기 퓨린 염기 대신에, 또는 퓨린염기와 혼합해서, 퓨린 염기의 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퓨린 염기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바륨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아르기닌(arginine), 리신(lysine)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 트리시클로핵실암모늄(tricyclohexylammonium) 등의 암모늄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퓨린 염기의 알칼리 금속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1인산 1나트륨 및 아데노신 1인산 2나트륨을 들 수 있다.
상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종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그 조합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담체는,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것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담체로서, 예를 들면 수분이나 유성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분이나 유성성분의 구체적인 예는, 하기에 기재하는 에멀젼 조성물을 조제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조성물의 형태, 상기 조성물의 적용 대상, 기대하는 효과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한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비율의 하한으로서, 예를 들면 0.01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그 상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고려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조성물을 조제하기에 허용되는 범위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비율의 상한으로서, 예를 들면 10중량%를 들 수 있다.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의 일례로서, 상기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6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0.01중량% 보다 현저하게 적은 배합 비율로는 기미 개선 효과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보통,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및 화장품 등의 외용제에 배합되는 각종첨가제,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가용화성분, 유화제, 색소(염료, 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증점제, 산화방지제, 금속봉쇄제, pH 조절제(pH adjusters), 방취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는 상기 배합 성분의 이외에, 각종 약효성분, 예를 들면 보습제(humectants),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s), 미백제, 자외선 산란제(UV dispersants), 비타민류, 식물 추출액, 피부 수렴제,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cell activators) 등을 더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제, 유제, 로션제, 리니먼트제(liniment), 에멀젼, 현탁액, 크림, 연고, 시트(sheets), 에어로졸, 스프레이, 스틱(stick) 모양 제제 등의 각종 원하는 형태로 조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을 에멀젼이나 크림 등의 에멀젼 조성물로 조제하는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O/W형 에멀젼 조성물로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O/W형 에멀젼 조성물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을 분리, 기름 부유(oil floating) 등이 없는 안정한 에멀젼 형태로 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 개선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다.
당해 O/W형 에멀젼 조성물은 상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과 함께,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배합하고, 유화함으로써 조제될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12~36인 지방산과 중합도가 6 이상, 특히 6~10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 글리세롤과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지방산은 포화, 불포화, 직쇄상 또는 분지쇄 모양 어느쪽이나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카프린산(capric acid), 라우린산(lauric acid), 이소트리데칸산(isotridecanoic acid),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틴산(palmitic acid), 팔미톨레인산(palmitole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이소스테아린산(isostearic acid),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레인산(linoleic acid), 베헤닌산(behenic acid) 또는 리시놀산(ricinolic acid)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monolaurate), 모노이소스테아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monoisostearate), 모노미리스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monomyristate), 디올레인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dioleate), 디미리스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dimyristate), 디팔미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dipalmitate), 디스테아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distearate), 디베헤닌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dibehenylate), 트리라우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rilaurate), 트리미리스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rimyristate), 트리팔미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ripalmitate), 트리스테아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ristearate), 트리베헤닌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ribehenylate), 테트라라우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etralaurate), 테트라미리스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etramyristate), 테트라팔미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etrapalmitate), 테트라스테아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etrastearate), 테트라베헤닌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tetrabehenylate), 펜타라우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pentalaurate), 펜타미리스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pentamyristate), 펜타팔미틴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pentapalmitate), 펜타스테아린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pentastearate), 펜타베헤닌산헥사글리세롤(hexaglycerol pentabehenylate), 모노카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caprate), 모노라우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laurate),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myristate), 모노팔미틴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palmitate), 모노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stearate), 모노올레인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oleate), 모노리놀레인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linoleate), 모노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monoisostearate), 디카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icaprate), 디라우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ilaurate), 디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imyristate), 디팔미틴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ipalmitate), 디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istearate), 디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iisostearate), 트리라우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trilaurate), 트리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trimyristate), 트리팔미틴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tripalmitate), 트리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tristearate), 트리올레인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trioleate), 트리베헤닌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tribehenylate), 펜타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pentastearate), 펜타올레인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pentaoleate), 펜타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pentaisostearate), 헵타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heptastearate), 데카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ecastearate), 데카올레인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ecaoleate), 데카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decaglyceryl decaisostearate)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수도 있다. 또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HLB가 10 이상, 특히 10~15의 범위에 있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5~6중량%, 바람직하게는 0.1~5.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카노일 유산으로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8 이상, 바람직하게는 8~18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옥타노일 유산(octanoyl lactic acid), 카프로일 유산(caproyl lactic acid), 2-에틸헥사노일 유산(2-ethylhexanoyl lactic acid), 라우로일 유산(lauroyl lactic acid), 미리스토일 유산(myristoyl lactic acid), 팔미토일 유산(palmitoyl lactic acid), 스테아로일 유산(stearoyl lactic acid), 이소스테아로일 유산(isostearoyl lactic acid), 올레오일 유산(oleoyl lactic acid), 12-하이드록시스테아로일 유산(12-hydroxystearoyl lactic acid), 리놀레일 유산(linoleyl lactic acid), 및 베헤노일 유산(behenoyl lactic acid)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로일 유산 및 이소스테아로일 유산이다. 당해 알카노일 유산은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서는 나트륨이나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 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및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이다. 이러한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배합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양자를 조합시켰을 경우의 HLB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3이 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중합비로서 95:5~60:40, 바람직하게는 90:10~70:30을 예시할 수 있다.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킬 쇄의 탄소수가 5~40인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쇄의 탄소수가 10~30이 것인다. 이들은 간편하게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카보폴[Carbopol(상표)1342(Noveon사제)], 페뮬렌[Pemulen(상표) TR-1(Noveon사제)], 페뮬렌[Pemulen TR-2(Noveon사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배합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0.8중량%, 바람직하게는 0.3~0.6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4~0.6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수분으로서는,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분으로서 증류수, 이온 교환수, 멸균수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물(electrolyte-containing water)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질을 포함하는 물로서는, 예를 들면 해수, 온천수, 광천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는 표층물, 중층수, 심층수, 초심층수를 의미한다. 상기 수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기미 개선용 조성물 중에, 예를 들면 50~90중량%,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유성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땅콩 기름, 참깨 기름, 콩 기름, 홍화 기름(safflower oil), 아보카도 기름, 해바라기 기름, 옥수수 기름, 채종 오일(rapeseed oil), 면화씨 기름, 아주까리 기름(castor oil), 동백 기름, 야자 기름, 올리브 기름, 양귀비 기름(poppy oil), 카카오 기름, 및 호호바유 등의 식물기름, 및 우지(beef tallow), 돈지(lard), 및 양모 기름(lanolin) 등의 동물 유지와 같은 유지류; 바셀린(petrolatum),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및 α-올레핀 올리고머(α-olefin oligomer) 등의 탄화수소계 액상기름;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isopropyl myristate),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isopropyl isostearate), 미리스틴산 미리스틸(myristyl myristate), 팔미틴산 세틸(cetyl palmitate), 이소옥틴산 세틸(cetyl isooctate), 미리스틴산 이소세틸(isocetyl myristate), 미리스틴산 n-부틸(n-butyl myristate),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octyldodecyl myristate), 리놀레인산 이소프로필(isopropyl linolenate), 리시놀린산 프로필(propyl ricinoleate), 리시놀린산 이소프로필(isopropyl ricinoleate), 리시놀린산 이소부틸(isobutyl ricinoleate), 리시놀린산 헵틸(heptyl ricinoleate), 세바신산 디에틸(diethyl sebacate), 및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diisopropyl adipate) 등의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백랍(white beeswax), 경랍(鯨蠟, whale wax), 및 목랍(木蠟, Japan wax) 등의 납류;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및 키밀 알코올 등의 고급지방족 알코올; 왁스류;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및 팔미틴산 등의 고급지방산; 탄소수 12~18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의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메틸 폴리실록산(methyl polysiloxane), 디메틸 폴리실록산(dimethyl polysiloxane), 메틸페닐 폴리실록산(methyl-phenyl polysiloxane),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methyl hydrogen polysiloxane) 등의 쇄모양 실리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메틸시클로실록산(methylcyclosiloxane) 등의 고리모양 실리콘; 가교형 메틸 폴리실록산 및 가교형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가교형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 등에 의해 변성된 실리콘 같은 실리콘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셀린,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의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이다. 이러한 유성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유성 성분이 고형인 경우에는 보조 용해제를 이용하여 액상으로 조제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성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면 0.3~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O/W형 에멀젼 조성물인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조제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1) 우선, 전술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에 유성성분,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더 첨가해서, 가온교반하고, 균일하게 용해한 후, 냉각해서 비수성 에멀젼(nonaqueous emulsion)을 제조한다.
2) 이어서, 수득된 비수성 에멀젼에, 별개로 조제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수분 및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수계조성물)을 혼합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화해서 O/W형 에멀젼 형태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을 조제한다.
여기에서 1)의 비수성 에멀젼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이 배합되어, 이것에 의해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나 알카노일 유산 등의 유화 능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롤, 중합도 2~10의 폴리 글리세롤(예를 들면 디글리세롤, 트리글리세롤, 테트라글리세롤 등),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펜타디올, 솔비톨, 말티톨, 프럭토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이다. 또한, 이러한 다가 알코올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가 알코올은 기미 개선용 조성물 중에, 예를 들면 0.05~15중량%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다.
또한, 2)의 유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에멀젼과 혼합하는 수용액(수계조성물)에는, 전해질, 수분 및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첨가하고, 저급 알코올을 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경피흡수를 보다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저급 알코올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보통 탄소수 1~6의 알코올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수 1~4을 갖는 알코올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저급 알코올은 1종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이 경우, 저급 알코올은 기미 개선용 조성물 중에 예를 들면 0.5~15중량%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의 비율로 배합된다.
또한, 상기 수용액(수계조성물)에는 다가 알코올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보습 성능이나 관능 특성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가 알코올은 전술하는 것을 임의로 이용할 수 있지만, 비수성 에멀젼의 조제에 다가 알코올이 사용될 경우에는, 당해 다가 알코올과 동일 또는 그것과 상용성(compatibility)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수성 에멀젼과 수용액(수계조성물)과의 유화 방법으로서는, 호모믹서(homomixer) 등을 이용하여 상압 상태 또는 고압 하에서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수득된 에멀젼을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더 미세화할 수 있다.
비수성 에멀젼과 수용액(수계조성물)과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최종 에멀젼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한 비수성 에멀젼의 비율이 보통 1~40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로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안정된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O/W형 에멀젼 조성물인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그 점도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20℃에서의 점도(점도계:B형 점도계, 로터:No.1∼4, 회전수:6, 12, 30 또는 60rpm)가 30000cps이하, 바람직하게는 500~20000cps의 범위가 되도록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하는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기미 증상 부위에 외용 형태로 적용될 때, 함유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작용으로 인하여 기미 개선 작용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및 화장품 등의 외용 조성물로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용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외용 의약품; 외용 의약부외품; 파운데이션, 볼연지(rouge), 마스카라(mascara), 아이쉐도우(eye shadow), 아이라이너, 분(face powder) 및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에멀젼, 크림, 로션, 오일 및 팩(pack) 등의 기초화장품; 세안제(facial washes), 클렌징 크림 및 바디 세정제(body washes) 등의 세정료; 클리닝제(cleaning agnet); 청정제(cleaners); 목욕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보통 pH 2~8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피부나 점막에 대한 저자극성, 및 피부사용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pH 2~7,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7,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5의 약산성에서 pH 7의 중성이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도포, 첨부 또는 분무 등에 의해 기미 증상부위에 적용됨으로써, 기미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적용양 및 회수는, 함유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종류·농도,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질환의 정도, 적용 형태, 기대되는 정도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적당량을 하루에 일회 또는 수회의 빈도로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에는 기미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2) 잡티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상기 기미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비율,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각종 첨가제,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각종 약효성분,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형태, 및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pH에 대해서는, 상기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특히, 본 발명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을 에멀젼이나 크림 등의 에멀젼 조성물로 조제하는 경우에는, 상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과 함께,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배합하고, 유화함으로써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저급 알코올을 더 배합해서 조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는 O/W형 에멀젼 조성물인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분리·기름 부유 없는 안정한 에멀젼 형태이며, 또한 더 효과적으로 잡티 개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당해 O/W형 에멀젼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유성성분, 다가 알코올 및 저급 알코올의 종류; 그것들의 배합 비율; 그 조제 방법; 및 그 점도에 대해서는, 상기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O/W형 에멀젼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도포, 첨부 또는 분무 등에 의해 피부의 잡티가 있는 부위에 적용될 때, 함유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작용에 의하여 당해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적용양 및 회수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종류·농도,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형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질환의 정도, 적용 형태, 기대되는 정도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적당량을 하루에 일회 또는 수회의 빈도로 피부의 잡티가 있는 부위에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에는,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3) 기미 개선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은 기미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이용하여 기미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 방법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그대로 또는 상기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는 상기 기미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방법으로서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이 개선 대상이 되는 기미 증상 부분에 접촉되는 형으로 사용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단독으로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해도 좋고, 또한 상기 물질을 유효성분으로서 그 외에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기재, 담체, 첨가물 또는 약효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물질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대상 부분에 도포 또는 분무하는 방법이나,상기 물질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첨부제의 형태로 대상 부분에 붙이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 상기 기미 개선용 조성물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적용양 및 회수에 대해서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종류,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기미 증상의 정도, 적용 형태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량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을 하루에 일회 또는 수회의 빈도로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기미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4) 잡티 개선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은 피부의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이용하여 잡티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잡티 개선 방법은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그대로 또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의 잡티 부분에 적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는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피부의 잡티 부분에 적용하는 방법으로서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이 개선 대상이 되는 피부의 잡티 부분에 접촉되는 형으로 사용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단독으로 잡티 부분에 적용해도 좋고, 또한 상기 물질을 유효성분으로서 그 외에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첨가물 또는 약효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을 잡티 부분에 적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질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대상 부분에 도포 또는 분무하는 방법이나, 상기 물질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첨부제의 형태로 해서 대상부분에 붙이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으로서, 상기 잡티 개선용 조성물을 피부의 잡티 부분에 적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적용양 및 회수에 대해서는,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종류,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잡티의 정도, 적용 형태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량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하루에 일회 또는 수회의 빈도로 피부의 잡티 부분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잡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잡티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에멀젼
(중량%)
아데노신 5'-1인산 2나트륨 3.0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0.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0.4
경질유동파라핀 5.0
글리세롤 6.0
에탄올 5.0
방부제 적당량
모노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1.5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롤 0.3
pH 조절제 pH 6.5
정제수 나머지
100.0중량%
상기 처방에 따라,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했다. 모노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롤,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글리세롤 및 경질유동파라핀을 혼합하고, 가온하면서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함으로써 균일한 비수성 에멀젼을 조제했다. 이 비수성 에멀젼에, 별도로, 아데노신 5'-1인산 2나트륨,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탄올, 방부제 및 pH 조절제를 정제수에 용해해서 조제해 둔 수계조성물(수용액)을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교반하여 혼합함으로써 O/W 에멀젼 형태의 에멀젼을 제조했다.
시험예 1기미 개선 시험
하기에 기재하는 시험을 행하고,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 개선 효과를 평가했다.
<시험 방법>
실시예 1의 처방에 따라서 조제한 에멀젼을 27명의 기미 환자의 얼굴전체에, 적당량(얼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 가능한 양:5 방울정도), 1일 2회, 세수 후에 도포하고, 이것을 16주일 계속했다(단지, 1명은 12주일로 종료.). 도포시작 전, 및 도포시작으로부터 4, 8, 12 및 16주일 후에, 의사가 기미의 색의 강도 및 범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하기 표 1의 기준에 따라, 각환자의 기미 증상을 「없음」, 「경미」, 「경도」, 「중등도」, 「고도」의 5단계의 등급으로 분류했다.
증상 범위
없음 지극히 좁음 좁음 중등도 넓음
색의농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미약 없음 경미 경미 경미 중등도
없음 경미 경도 중등도 중등도
중등도 없음 경도 중등도 고도 고도
없음 중등도 중등도 고도 고도
이와 같이 의사의 진찰에 의해 분류된 각 환자의 기미 증상의 등급에 대해서 도포시작 전과 도포시작 후를 비교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서 기미 개선의 정도를 평가했다.
(기미 개선의 정도의 평가기준)
치유: 모든 증상이 소실
개선: 표 1의 평가기준에 있어서 등급이 2단계 이상 쾌유
약간 개선: 쾌유 경향은 나타나지만, 표 1의 평가 기준에 있어서 등급이 2단계 미만 쾌유
불변 또는 악화: 쾌유 경향이 인정을 받지 않는다
<시험 결과>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는 도포 시작 4, 8, 12 및 16주일 후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미 개선의 정도에 해당하는 환자 수, 「약간 개선」이상의 기미 개선 효과를 인정 받은 환자수의 전체 환자수에 대한 비율(약간 개선 이상의 개선도)(%), 및 약간 개선 이상의 개선도의 95% 신뢰 구간을 나타내었다.
기미개선의 정도(인원수) 약간 개선이상의 개선도(%) 95%신뢰 구간
치유 개선 약간개선 불변·악화
외용 시작4주일후 0 0 5 22 18.5 6.3 ∼38.1
외용 시작8주일후 0 5 10 12 55.6 35.3 ∼74.5
외용 시작 12주일후 0 10 10 7 74.1 53.7 ∼88.9
외용 시작 16주일후 0 10 14 2 92.3 74.9 ∼99.1
표 2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AMP-2Na을 함유하는 에멀젼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함으로써, 현저한 기미 개선 효과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외용 시작 12주일 후에 74.1%, 외용 시작 16주일 후에 92.3% 의 환자에서, 기미가 개선되고 있어,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기미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할 때 뛰어난 기미 개선 효과가 나타남이 확인되었고,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기미의 개선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잡티 개선 시험
하기에 기재하는 시험을 행하고,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잡티 개선 효과를 평가했다.
<시험 방법>
실시예 1의 처방에 따라서 조제한 에멀젼을 27명의 잡티를 갖는 여성의 얼굴 전체에, 적당량(얼굴전체에 균일하게 도포가능한 량: 5방울정도), 1일 2회, 세수 후에 도포하고, 이것을 16주일 계속했다. 도포시작 전, 및 도포시작으로부터 4, 8, 12 및 16주일 후에, 피험자의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피부색 측정은 색차이계(OFC-300A, 일본전색공업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하였고, 평가 부위의 피부명도 L*, 피부의 적색도를 가리키는 피부색도 a* 및 황색도를 가리키는 피부색도 b*을 11회 측정하고, 최대 및 최소의 각 2회분을 제외한 7회 측정 분(만큼)의 평균값을 측정치라고 했다.
<시험 결과>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는 도포시작 전의 각 피험자의 피부명도 L*, 피부색도 a* 및 피부색도 b*을 기준으로 해서, 도포시작 4, 8, 12 및 16주일 후에 있어서의 피부명도 L*의 변화량 △L*의 평균치, 피부색도 a*의 변화량 △a*의 평균치, 피부색차이 E*ab의 변화량 △E*ab의 평균치를 도시하였다. 또한, △E*ab은, 하기식에 의거하여 산출했다.
△E*ab = [(△L*)2+ (△a*)2+ (△b*)2]1/2
AMP-2Na를 함유하는 에멀젼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명도 L*값은 도포시작 4주일 후에는 유의한 상승(밝음의 상승)을 보였고, 아울러 황색도를 가리키는 피부색도 b*값도 도포시작 4주일 후에는 유의한 저하(황도의 저하)를 보였다. 또한, 적색도를 가리키는 a*값도 도포시작 8주일째 정도로부터 상승하여(붉은 빛의 상승), 그 경향은 12주째 이후에 현저했다. 또한, 이 적색도를 가리키는 a*값 변화의 경향은 혈류의 일시적인 개선에 의한 적색도의 변화가 아니라 생각된다. 색 차이의 변화를 가리키는 지표인 E*ab는 피부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 관한 종합적인 색의 변화를 가리키고, 일반적으로 △값이 2 또는 그 이상일 때분명하게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포 시작 4주일 후의 당해 △E*ab값은 이미 2를 초과하고 있어, 피부의 색에 현저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잡티 부분에 적용할 때 뛰어난 잡티 개선 효과가 있음이 명확하게 되었고, 상기 화합물은 잡티의 개선에 유용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시험
하기에 기재하는 시험을 행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시험 방법>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표 3에 기재한 처방에 따라, 하기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우선,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염, 유성성분 및 다가 알코올을 혼합하고, 가온하면서 용해하고, 이어서 냉각함으로써 균일한 비수성 에멀젼을 조제했다. 이 비수성 에멀젼에, 전장질,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다가 알코올, 저급 알코올, pH 조절제 및 방부제를 정제수(순수)에 용해해서 조제해 둔 수계조성물(수용액)을 첨가해, 호모믹서에서 교반하여 혼합함으로써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2∼5)을 제조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상기 실시예 2∼5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 4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알카노일 유산염을 함유하지 않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비교예 1), 및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비교예 2)을 조제했다.
이와 같이 조제한 10종류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2∼5 및 비교예 1∼2)을 각각 2개의 투명 글래스 병에 분취하고, 한 병은 60℃에서 2주일 방치하고, 또 한병은 1사이클로 -5∼40℃에서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 시험(1사이클 24시간, 14사이클)을 수행했다. 각각에 대해서 실험 종료 후, 에멀젼 조성물의 외관성상(분리, 기름 부유, 겔(gel) 형성의 유무)을 관찰하여 확인하고, 하기의 판정기준을 따라서 평가했다.
(판정기준)
0: 분리, 기름 부유 및 겔(gel) 형성의 어느 것도 관찰되지 않는다
×: 분리, 기름 부유 또는 겔(gel) 형성 중 어느 하나가 관찰된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모노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 1.6 0.16 4.8
2 디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1.2 - - -
3 모노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 - 0.02 0.5
4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롤 0.6 0.2 - -
5 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 - 0.02 -
6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0.2 0.2 - 0.5
7 스쿠알렌 5.0 8.0 - 15.0
8 α-올레인 올리고머 - - 5.0 -
9 정제된 글리세롤 6.0 6.0 2.0 9.0
10 디프로필렌 글리콜 - - 5.0 -
11 아데노신 1인산-2나트륨 1.5 1.5 3.0 6.0
12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0.4 0.5 0.5 0.5
13 에탄올 5.0 5.0 3.0 5.0
14 pH 조절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15 방부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16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점도(cps) 20℃ 4200 17000 1400 1100
장기안정성(60℃, 2주) O O O O
장기안정성(-5~40℃ 사이클:2주) O O O O
비교예 1 비교예 2
1 모노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2.0 -
2 디이소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롤 - 1.2
3 모노미리스틴산데카글리세롤 - 0.6
4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 0.2
5 스쿠알렌 5.0 -
6 α-올레인 올리고머 - 5.0
7 정제된 글리세롤 6.0 8.0
8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 0.6
9 아데노신 1인산-2나트륨 3.0 3.0
10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0.5 -
11 에탄올 3.0 5.0
12 pH 조절제 적당량 적당량
13 방부제 적당량 적당량
14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점도(cps) 20℃ 2000 1200
장기안정성(60℃, 2주) O X
장기안정성(-5~40℃ 사이클:2주) X O
<시험 결과>
실시예 2∼5 및 비교예 1∼2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서 보존 안정화 시험을 한 결과를 각각 표 3 및 4에 나타낸다.
표 3 및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5의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비교적 다량의 AMP-2Na를 함유한 경우에서도, 장기보존 및 온도변화를 받기 쉬운 조건하에서도, 수상과 기름상과의 분리, 기름 부유 및 겔(gel) 형성의 어느 것이나 생기지 않고, 안정한 에멀젼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반면, 비교예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비교예 2)은 장기안정성이 결여되어 있고, 또한 알카노일 유산을 포함하지 않는 에멀젼 조성물(비교예 1)은, 온도변화에 의해 겔(gel)이 형성되고, 안정한 에멀젼 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상기와 같은 O/W형 에멀젼 형태로 조제함으로써, 기미개 선용 조성물 또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을 에멀젼 또는 크림의 형태로 안정하게 제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은,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될 때,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작용으로 인해서 뛰어난 기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의 잡티 부분에 적용될 때,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작용으로 인해서 뛰어난 잡티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은, 본래적으로 생체내에 존재하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외용 의약품이나 외용 의약부외품 뿐만아니라, 화장품에도 배합할 수 있고, 상기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일상적인 사용에 의해서 환자에 있어서 부담이 적은 방법으로 기미나 잡티를 개선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은, 뛰어난 기미 개선 효과나 잡티 개선 효과와 더불어, 양호한 유화 안정성도 갖고 있어, 크림 또는 에멀젼 형태의 피부외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미 개선 방법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기미 증상을 개선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잡티 개선 방법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피부의 잡티를 개선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Claims (26)

  1.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더 함유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며,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 갖는 것이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것이며,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성성분을 0.3~20중량%,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 및 수분을 50~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기미 개선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10. 제 5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용 조성물.
  11.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및 약학적 또는 향장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4. 제 11항에 있어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5. 제 11항에 있어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성성분을 함유하고, O/W형 에멀젼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 글리세롤의 에스테르이며, 알카노일 유산이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 기를갖는 것이며,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5~40의 알킬 기를 갖는 것이며, 유성성분이 탄화수소계 액상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8. 제 16항에 있어서,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성성분을 0.3~20중량%,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 및 수분을 50~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19. 제 15항에 있어서,
    잡티 개선용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20. 제 15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용 조성물.
  21.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기미 증상 부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개선 방법.
  22.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잡티 부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티 개선 방법.
  23.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24.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잡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25.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기미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
  26.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의, 피부의 잡티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
KR1020047018673A 2002-05-20 2003-05-19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 KR100948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4735 2002-05-20
JPJP-P-2002-00144735 2002-05-20
PCT/JP2003/006175 WO2003097072A1 (ja) 2002-05-20 2003-05-19 肝斑改善用組成物及びくすみ改善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551A true KR20050007551A (ko) 2005-01-19
KR100948684B1 KR100948684B1 (ko) 2010-03-18

Family

ID=2954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673A KR100948684B1 (ko) 2002-05-20 2003-05-19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94153B2 (ko)
EP (2) EP1512405B1 (ko)
JP (1) JP4425127B2 (ko)
KR (1) KR100948684B1 (ko)
CN (1) CN1325056C (ko)
AU (1) AU2003234818B8 (ko)
BR (1) BR0311154A (ko)
CA (1) CA2487789C (ko)
ES (2) ES2428027T3 (ko)
HK (1) HK1076385A1 (ko)
TW (1) TW200408398A (ko)
WO (1) WO2003097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998B2 (ja) * 2004-09-22 2012-12-12 大塚製薬株式会社 色素沈着予防又は改善剤
FR2889956B1 (fr) * 2005-08-30 2012-04-20 Expanscience Lab Utilisation d'au moins un 2-alkyle furane, a titre de principe actif depigmentant ou eclaircissant
US20070183995A1 (en) * 2006-02-09 2007-08-09 Conopco, Inc., D/B/A Unilever Compounds useful as agonists of A2A adenosine receptors, cosmetic compositions with A2A agonist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8094811A (ja) * 2006-10-16 2008-04-24 Naris Cosmetics Co Ltd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ES2657403T3 (es) 2007-08-06 2018-03-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ción de gel para aplicación externa que contiene un compuesto de adenina
CN102046184B (zh) * 2008-06-03 2013-05-08 大塚制药株式会社 乳脂状o/w型乳化组合物及其制造方法
JP5474663B2 (ja) * 2010-05-28 2014-04-16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肝斑判断支援システム
US8338348B2 (en) * 2010-12-21 2012-12-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kin cleansing compositions with polyglycerol esters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DE102011077031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Fettalkohol-fre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Emulsionszubereitungen
DE102011077042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Haarkosmetische Zubereitungen umfassend Polyglyceryl-10-stearat
DE102011077037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 mit verbesserter Wasserfestigkeit
CN105520967B (zh) * 2014-09-28 2020-07-03 海运贸易有限公司 冬虫夏草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9305929B1 (en) 2015-02-17 2016-04-05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ells
US10134982B2 (en) 2015-07-24 2018-11-20 Micron Technology, Inc. Array of cross point memory cells
WO2020217499A1 (ja) *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低粘度乳化組成物
WO2020217503A1 (ja) *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高粘度乳化組成物
DE202022104939U1 (de) 2022-09-01 2023-01-09 Sanjay Balasaheb Bhawar Polyherbale Creme für Melasma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416B2 (ko) * 1973-04-09 1979-07-30
US4294852A (en) * 1973-11-01 1981-10-13 Johnson & Johnson Skin treating compositions
LU83173A1 (fr) * 1981-02-27 1981-06-05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et de la peau contenant une poudre resultant de la pulverisation d'au moins une plante et un agent de cohesion
US5955109A (en) * 1985-12-18 1999-09-21 Advanced Polymer System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opical delivery of retinoic acid
US4792443A (en) * 1985-12-20 1988-12-20 Warner-Lambert Company Skin bleaching preparations
US4946832A (en) * 1987-03-13 1990-08-07 R.I.T.A. Corporation Cosmetic base composition with therapeutic properties
JPS647541A (en) * 1987-06-30 1989-01-11 Toshiba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H0195704A (ja) * 1987-10-08 1989-04-13 Masahiro Kobayashi シイタケ類の栽培具
US5160739A (en) * 1991-09-12 1992-11-03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JPH05331142A (ja) 1992-05-26 1993-12-14 Shiseido Co Ltd 新規なアゼライン酸ピリジルアルキルジエステル誘導体およびそれらを含有した皮膚外用剤
DE4226174A1 (de) * 1992-08-07 1994-02-10 Solvay Fluor & Derivate Polyglycerinfettsäureestergemisch
FR2695034B1 (fr) * 1992-09-01 1994-10-07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en association une peroxydase et un agent anti-oxygène singulet.
US5688831A (en) * 1993-06-11 1997-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JP3661706B2 (ja) * 1993-10-28 2005-06-22 三省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H07277939A (ja) 1994-04-05 1995-10-24 Dowa Mining Co Ltd 皮膚外用剤
JPH0899860A (ja) * 1994-09-30 1996-04-16 Kose Corp 皮膚外用剤
JP3499616B2 (ja) * 1994-10-20 2004-02-23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への応用
US5618522A (en) * 1995-01-20 1997-04-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mulsion compositions
JPH09143093A (ja) * 1995-11-17 1997-06-03 Hoechst Japan Ltd 軟骨・骨誘導性修復用材料
JPH09143063A (ja) * 1995-11-22 1997-06-03 Kose Corp 外用に適する組成物
JPH09183718A (ja) 1995-12-29 1997-07-15 Kose Corp 外用に適する組成物
JPH09234375A (ja) * 1996-03-01 1997-09-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光反応性有害物除去材
JPH09249550A (ja) 1996-03-18 1997-09-2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9291011A (ja) 1996-04-24 1997-11-11 Kose Corp 外用に適する組成物
KR100340633B1 (ko) * 1996-05-20 2002-09-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유화조성물및수중유형유화제
JPH107541A (ja) * 1996-06-20 1998-01-13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FR2751535B1 (fr) * 1996-07-25 1998-11-27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de la melatonine pour la la depigmentation de la peau et compositions les comprenant
JP3507635B2 (ja) * 1996-09-19 2004-03-15 株式会社コーセー 外用に適する組成物
JP3881411B2 (ja) 1996-10-08 2007-02-14 株式会社コーセー 外用に適する組成物
US5998423A (en) * 1996-10-08 1999-12-07 Therasys, Inc. Methods for modulating melanin production
JPH10182411A (ja) * 1996-12-26 1998-07-07 Kose Corp 皮膚外用剤
JPH10182412A (ja) 1996-12-27 1998-07-07 Kose Corp 外用剤
JP3077625B2 (ja) * 1997-04-18 2000-08-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圧延ロールの冷却方法
US5811112A (en) * 1997-05-30 1998-09-2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Oil-in-water cosmetic emulsions containing a stabilized protease
US20020006913A1 (en) * 1997-11-04 2002-01-17 Von Borstel Reid W. Antimutagenic composition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hotodamage to skin
JPH11269049A (ja) * 1998-03-23 1999-10-05 Yakult Honsha Co Ltd O/wエマルション型日焼け止め化粧料
CA2269050A1 (en) * 1998-04-14 1999-10-14 Shigeo Yanai Method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gp iib/iiia antagonist
KR100426753B1 (ko) 1998-04-27 2004-04-13 칼라 액세스, 인크. 피부 노화 치료 조성물 및 방법
FR2779637B1 (fr) * 1998-06-15 2000-09-01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photoprotectrices, contenant un nanopigment d'oxyde metallique et un terpolymere acrylique et utilisation de ces compositions pour proteger les matieres keratiniques contre le rayonnement ultraviolet
US6376481B2 (en) * 1998-09-02 2002-04-23 Mcneil-Ppc, Inc. Sterol esters in tableted solid dosage forms
CA2347979C (en) * 1998-10-26 2009-01-06 University Of Massachusetts Treatment of skin with adenosine or adenosine analog
JP2000212056A (ja) 1999-01-21 2000-08-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美白化粧料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000212025A (ja) 1999-01-21 2000-08-0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美白化粧料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000256188A (ja) * 1999-03-10 2000-09-19 Nikko Chemical Co Ltd 乳化組成物
DE60031836T2 (de) * 1999-12-14 2007-06-28 Avon Products, Inc. Hautpflegezubereitung die interzelluläre kommunikation vermittelt
TWI290472B (en) * 1999-12-17 2007-12-01 Kao Corp Cosmetic composition
AU2001250057A1 (en) * 2000-04-12 2001-10-30 Clairol Incorporated Cationic emulsifier-enhanced liquid crystal gel network based skin care moisturizing compositions
US20020034525A1 (en) * 2000-06-30 2002-03-21 Kao Corporation Skin cosmetic composition
CN100341486C (zh) * 2000-11-22 2007-10-10 大塚制药株式会社 水包油型乳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80070782A (ko) * 2001-04-13 2008-07-30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당 흡수 촉진제
JP2002370986A (ja) 2001-04-13 2002-12-24 Otsuka Pharmaceut Co Ltd 糖取込促進剤
WO2003084485A1 (en) * 2002-04-09 2003-10-16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cell prolif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87789A1 (en) 2003-11-27
EP1512405A1 (en) 2005-03-09
AU2003234818A1 (en) 2003-12-02
TWI316404B (ko) 2009-11-01
EP2517712B1 (en) 2017-05-10
EP1512405B1 (en) 2013-08-14
WO2003097072A9 (ja) 2009-02-19
BR0311154A (pt) 2005-03-29
CA2487789C (en) 2012-04-03
KR100948684B1 (ko) 2010-03-18
US7994153B2 (en) 2011-08-09
AU2003234818B8 (en) 2009-03-26
ES2428027T3 (es) 2013-11-05
CN1325056C (zh) 2007-07-11
JP4425127B2 (ja) 2010-03-03
TW200408398A (en) 2004-06-01
CN1655800A (zh) 2005-08-17
EP1512405A4 (en) 2009-11-18
JPWO2003097072A1 (ja) 2005-09-15
HK1076385A1 (en) 2006-01-20
US20050220827A1 (en) 2005-10-06
ES2633340T3 (es) 2017-09-20
AU2003234818B2 (en) 2009-03-12
EP2517712A1 (en) 2012-10-31
WO2003097072A1 (ja)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9486C (en) O/w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948684B1 (ko) 기미 개선용 조성물 및 잡티 개선용 조성물
KR101288110B1 (ko) 고형의 수중유형 에멀젼
EP2301555B1 (en) Creamy o/w emulsion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AU2002238988B2 (en) Sugar intake promoters
JP3994257B2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1613933B1 (ko) 외용 조성물
JP4164683B2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TW202308591A (zh) 化妝料
JP6046882B2 (ja) 皮膚用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21116306A (ja) 油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