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977A -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977A
KR20040075977A KR10-2004-7012089A KR20047012089A KR20040075977A KR 20040075977 A KR20040075977 A KR 20040075977A KR 20047012089 A KR20047012089 A KR 20047012089A KR 20040075977 A KR20040075977 A KR 20040075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lamp
side element
but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594B1 (ko
Inventor
사이토다이고
다키자와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04007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섬유 접속부품(5)은 페룰(7)과 2개의 클램프부(l8, 19)를 가지는 접속기구(10)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클램프부(18)에 의해 기설 광섬유(6)와 신설 광섬유(17)가 맞대기 접속된 상태로 클램프된다. 다른 클램프부(19)는 신설 광섬유(7)를 클램프한다. 광섬유 접속공구(1)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2개의 개폐부재(2, 3)를 가진다. 신설 광섬유(17)의 선단부에 광섬유 접속부품(5)을 장착할 때에, 하나의 클램프부(18)로부터 하나의 개폐부재(2)를 빼낸 후, 다른 클램프부(19)로부터 다른 개폐부재(3)를 빼냄으로써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에서 생기는 휨을 해소하여 전송 손실의 증대나 광섬유의 파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Optical fiber connection tool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method}
근년, 광섬유의 선단부에 간이하게 설치 가능한 광섬유 커넥터로서 중심부에 광섬유를 삽입부착시킨 페룰(ferrule)과, 페룰의 단부에 설치되는 접속기구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접속기구는 2개의 분할 절반부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2개 분할의 접속소자와, 접속소자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양분할 절반부를 접합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클램프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분할 절반부는 메인 클램프와 서브 클램프의 2개로 분할되며, 다른쪽의 분할 절반부의 한쪽 분할 절반부와의 접합면에는 중심맞춤용의 홈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광섬유 커넥터를 광섬유의 선단부에 부착시키려면, 예를 들면 한 쌍의 개폐부재를 가지는 광섬유 접속공구를 사용하여 양개폐부재를 메인 클램프와 다른쪽의 분할 절반부 사이 및 서브 클램프와 다른쪽의 분할 절반부 사이에 삽입하며, 메인 클램프 및 서브 클램프를 개방시켜 양 클램프에 의한 클램프 상태를 해제하고, 신설 광섬유의 선단부를 서브 클램프를 통해 메인 클램프와 다른쪽의 분할 절반부 사이에 삽입하고, 접속기구의 내부, 상세하게는 메인 클램프의 내부에서 기설 광섬유의 선단에 신설 광섬유의 선단을 맞대기 접속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광섬유 접속공구의 양 개폐부재를 메인 클램프와 다른쪽의 분할 절반부 사이 및 서브 클램프와 다른쪽의 분할 절반부 사이로부터 동시에 빼내어 메인 클램프에 의해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하고, 서브 클램프에 의해 신설 광섬유의 피복되어 있는 부분을 클램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신설 광섬유의 선단부에 광섬유 커넥터를 부착시킬 수 있으며, 광섬유 커넥터 쪽의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광섬유 접속공구에 있어서는, 광섬유 커넥터 쪽의 기설 광섬유에 대한 신설 광섬유의 접촉력에 의해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발생한 경우에, 휜 상태대로 양 광섬유가 클램프되어 버려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의 휜 선단부로의 응력집중이 광섬유 선단의 손상 등을 초래하여 이것이 접속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 접속부품의 접속기구에 의해 광섬유 접속부품에 기설(旣設)의 광섬유와 이 기설 광섬유와 다른 몸체의 신설(新設) 광섬유를 접속하기에 효과적인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광섬유 접속공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c는 도 la의 광섬유 접속공구의 가이드홈 부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광섬유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광섬유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광섬유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a의 광섬유 커넥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a의 광섬유 커넥터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접속기구를 구성하는 덮개측소자를 베이스측소자에 대한 대향면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2a의 광섬유 커넥터를 광섬유 접속공구에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a의 광섬유 커넥터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의 접속기구붙이 페룰과, 광섬유 접속공구의 개폐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제1클램프부에 제1개폐부재를 삽입하고, 제2클램프부에 제2개폐부재를 삽입하며,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연 상태를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클램프부 및 제2클램프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신설 광섬유를 삽입하고 신설 광섬유의 단면을 기설 광섬유의 단면에 맞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개폐부재를 제1클램프부로부터 빼내어 제1클램프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2개폐부재를 제2클램프부로부터 빼내어 제2클램프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a는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정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을 후단부(페룰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와 반대쪽의 단부)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의 접속기구를 구성하는 베이스측소자의 덮개측소자에 대면하는 대향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a의 접속기구붙이 페룰을 내장하여 구성되는 광섬유 커넥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에, 기구적 스플라이스(splice)를 구성하는 광섬유 접속부품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l6의 광섬유 접속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18a는 도 16의 광섬유 접속부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나의 클램프부의 대향하는 양쪽에 위치하는 클램프부의 한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6의 광섬유 접속부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나의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6의 광섬유 접속부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나의 클램프부의 대향하는 양쪽에 위치하는 클램프부의 다른쪽(다른 클램프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광섬유 접속공구의 개폐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a는 도 21a의 광섬유 접속공구에 부착한 지지봉을 통해 부품 수납홈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광섬유 클램프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광섬유 클램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a의 광섬유 접속공구와 지지봉 사이의 착탈 기구, 지지봉과 광섬유 클램프 간의 착탈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섬유의 선단부에 광섬유 커넥터 등의 광섬유 접속부품을 장착하는 경우에, 광섬유들의 접촉력에 의해 한쪽 또는 양쪽의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그 휨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광섬유의 선단부에 파손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접속불량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맞대기 접속된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 부근을 클램프하여 맞대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중,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하는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다른 클램프부를 가지는 접속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품을 유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가지며, 또한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나의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와,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가지며, 상기 양 개폐부재가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에 의하면, 하나의 클램프부에 한쪽 개폐부재를 삽입하여 하나의 클램프부를 열고, 다른 클램프부에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삽입하여 다른 클램프부를 연다. 그리고, 접속기구에 광섬유를 삽입하고, 광섬유들을 맞대기 접속한다. 이때, 광섬유는 접속기구의 대향하는 양쪽에서 삽입된 광섬유라도 되고, 광섬유 중 한쪽이 접속기구에 미리 삽입된 기설 광섬유, 광섬유의 다른쪽이 이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되는 신설 광섬유인 관계라도 좋다. 그리고,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한쪽 개폐부재를 빼내고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아 광섬유들을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한다. 그리고, 이후에 다른 클램프부로부터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빼내고 다른 클램프부를 닫아 광섬유를 클램프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은 후에, 다른 클램프부를 닫는 순서에 의해 광섬유에 부여한 접촉력에 기인하는 휨이 광섬유에 거의 잔존하지 않아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광섬유의 접촉력에 의해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그 휨을 다른 클램프부를 닫기 전에 광섬유의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양 광섬유의 선단부가 휜 상태로 클램프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고,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으며,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어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공구는, 상기 접속기구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의 한쪽이 광섬유 고정부에 의해 접속기구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상기 접속기구의 한쪽에서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이고, 상기 접속기구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의 다른쪽이 접속기구의 다른쪽에서 다른 클램프부를 거쳐 하나의 클램프부로 삽입되어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서 한쪽 광섬유와 맞대기 접속되는 신설 광섬유이며, 상기 다른 클램프부는 하나의 클램프에 의해 클램프된 신설 광섬유의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클램프하는 것인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이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에 의하면, 하나의 클램프부에 한쪽 개폐부재를 삽입하여 하나의 클램프부를 열고, 다른 클램프부에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삽입하여 다른 클램프부를 연다. 접속기구는 다른 클램프부를 경유시켜 하나의 클램프부에 신설 광섬유를 삽입하고, 미리 접속기구 내에 설치해 놓은 기설 광섬유의 선단에 신설 광섬유의 선단을 맞대기 접속한다. 그리고,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한쪽 개폐부재를 빼내고,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아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한다. 그리고 이후에 다른 클램프부로부터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빼내고, 다른 클램프부를 닫아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휨이 생기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설 광섬유에 대한 신설 광섬유의 접촉력에 의해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그 휨을 다른 클램프부를 닫기 전에 신설 광섬유의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양 광섬유의 선단부가 휜 상태로 클램프되는 일은 없고,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파손되는 것과 같은 일이 없으며,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어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맞대기 접속된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 부근을 클램프하여 맞대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중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하는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다른 클램프부를 가지는 접속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나의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와,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사용하고, 하나의 클램프부로의 신설 광섬유의 삽입 후에,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고, 이어서 상기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이 광섬유 접속방법은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은 후에,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클램프부의 폐쇄동작 완료 전(하나의 클램프부에서의,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의 클램프가 완료되기 전)에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이 개시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맞대기 접속된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 부근을 클램프하여 맞대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중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하는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다른 클램프부를 가지는 접속기구를 구비한 광섬유 접속부품을 사용하고, 상기 접속기구의 하나의 클램프부에 의해 접속기구에 미리 수납하여 놓은 기설 광섬유와 그 기설 광섬유와는 다른 몸체의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하며, 상기 접속기구의 다른 클램프부에 의해 상기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할 때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를 하나의 클램프부에 삽입하여 하나의 클램프부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한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다른 클램프부에 삽입하여 다른 클램프부를 열고, 이 상태에서 다른쪽으로부터 신설 광섬유를 삽입시켜 기설 광섬유의 선단에 신설 광섬유의 선단을 맞대기 접속하고, 이 상태에서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한쪽 개폐부재를 빼내어 하나의 클램프부에 의해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하고, 이후 다른 클램프부로부터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빼내어 다른 클램프부에 의해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이 광섬유의 접속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클램프부에 한쪽 개폐부재를 삽입하여 하나의 클램프부를 열고, 다른 클램프부에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삽입하여 다른 클램프부를 연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접속기구에 한쪽으로부터 기설 광섬유를 삽입하며, 다른쪽으로부터 신설 광섬유를 삽입하고, 신설 광섬유의 선단을 기설 광섬유의 선단에 맞대기 접속한다. 그리고,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한쪽 개폐부재를 빼내고,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아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한다. 그리고 이후에 다른 클램프부로부터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빼내고 다른 클램프부를 닫아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휨이 생기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설 광섬유에 대한 신설 광섬유의 접촉력이 너무 강하여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그 휨을 다른 클램프부를 닫기 전에 신설 광섬유의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양 광섬유의 선단부가 휜 상태에서 클램프되는 일이 없으며,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파손하는 것과 같은 일은 없으며,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어서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광섬유 접속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공구를 사용하며, 광섬유 접속부품의 접속기구 내에서 광섬유들을 접속하는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의 제1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 광섬유 접속공구(1)는 광섬유 접속부품을 광섬유의 선단부에 장착할 경우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접속부품(5)을 고정하는 베이스프레임(101)과, 베이스프레임(101)에 마련되는 2개의 개폐부재(2, 3)를 구비하고 있다.
본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1)는 여러가지의 형태의 광섬유 접속부품(5)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a, 도 2b 내지 도 4에 도시된 광섬유 접속부품(5; 이하, 이 광섬유 접속부품에 부호 501을 부여하여 설명할 경우가 있음)은, 예컨대 JIS C5973 등에 제정되는 SC형 광커넥터(SC: Single fiber Coupling optical fiber connector)의 페룰(7)을 하우징(502)에 수납하고, 또한 페룰(7) 선단의 접합 단면(8)에 대향하는 후단 쪽에 조립된 접속기구(10)(도 4, 도 5 참조)를, 하우징(502)에 연결한 슬리브 형상의 스톱링(503) 내에 수납한 것을 조립한 것이다. 이하, 이 광섬유 접속부품을 “광섬유 커넥터”로 칭하고 부호 501을 부여하여 설명할 경우가 있다. 접속기구(10)는 페룰(7) 후단에 조립된 구조이고, 페룰(7)과 접속기구(10)는 접속기구붙이 페룰(7A)로서, 일체적으로 광섬유 커넥터(501)의 하우징(502) 및 스톱링(503)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이 광섬유 커넥터(50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2) 바깥쪽에 손잡이(508)를 장착함으로써 광커넥터 어댑터 등 자형(雌型)의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SC형 광섬유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 하우징(502)과 스톱링(503)은 둘 다 슬리브 형상의 부재로서,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의 페룰(7)은 하우징(502)에 수납된다.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의 접속기구(10)는 하우징(502)의 후단 쪽(도 3, 도 4에서 우측)에 걸어맞춤하여 조립되는 스톱링(503)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도 3, 도 4에 있어서, 부호 504의 스프링은 스톱링(503)에 반력을 가하여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을 접합 단면(8)의 방향, 즉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의 전체를 하우징(502)의 선단 쪽(도 3, 도 4에서 좌측)으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다만,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은 페룰(7)의 플랜지부(9)가 하우징(502) 내부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작은돌기인 스토퍼벽(505)에 부딪침으로써 그 이상의 하우징(502) 선단 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부호 506은 부츠이다.
광섬유 접속공구(1)는 베이스프레임(101)의 상면(102)으로부터 움푹 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품 수납홈(103)에 광섬유 접속부품(5)을 수납, 유지한 상태로 개폐부재(2, 3)를 구동시켜서, 이들 개폐부재(2, 3)를 광섬유 접속부품(5)에 밀어넣음으로써 광섬유 접속부품(5)으로의 광섬유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광섬유 접속부품(5) 내에서의 광섬유들의 접속작업 완료 후, 개폐부재(2, 3)를 광섬유 접속부품(5)으로부터 빼냄으로써 광섬유 접속부품(5)의 기능에 의해 광섬유가 클램프 유지되어 광섬유들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부품 수납홈(103)은 내면 형상에 의해 광섬유 접속부품(5)을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1)으로서는 광섬유 접속부품(5)의 형상에 대응하여 광섬유 접속부품(5)의 안정된 지지를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의 부품 수납홈(103)을 가지는 것을 채용한다. 또한, 도 1a, 도 1b 등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1)에는 부품 수납홈(103)이 형성되어 있는 홈붙이 블록(104)이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홈붙이 블록(104)의 교환에 의해 광섬유 접속부품(5)의 형상에 대응하는 부품 수납홈(103)을 베이스프레임(101)에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접속기구붙이 페룰(7A)도 이것 단독으로 광섬유 접속부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을 베이스프레임(101)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 접속기구붙이 페룰(7A)을 안정 지지 가능한 형상의 부품 수납홈(103)을 가지는 베이스프레임(101)(또는 홈붙이 블록(104))를 채용한다. 그리고, 부품 수납홈(103)은 베이스프레임(101) 위로부터의 광섬유 접속부품(5)의 수납,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으로서는, 반드시 교환 가능한 홈붙이 블록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에 직접적으로 부품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 등도 채용 가능하다.
상술한 광섬유 커넥터(501)의 접속기구붙이 페룰(7A)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7)의 중심부에는 광섬유(6; 비피복(非被覆) 광섬유)가 삽입부착(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광섬유(6)는 일단 쪽이 연마에 의해 페룰(7)의 접합 단면(8)과 동일한 면 상에 형성되고, 타단 쪽은 페룰(7) 후단 쪽의 단면(9a)에서 소정의 길이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페룰(7)은 광섬유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접속기구(10)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접속소자(11)와, 접속소자(11)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클램프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소자(11)는 페룰(7)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좁고 긴 형상의 베이스측소자(12)와, 칩 형상의 작은 조각인 덮개측소자(13)를 조합한 2개 분할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베이스측소자(12)의 일단은 페룰(7)의 플랜지부(9)에 일체로 연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덮개측소자(13)는 축 방향으로 한쪽 덮개측소자인 제1덮개측소자(14)와, 다른쪽 덮개측소자인 제2덮개측소자(15)의 2개로 분할되어 있고, 제1덮개측소자(14)가 제2덮개측소자(15)보다 페룰(7)측이 되도록 하여 배열하여, 베이스측소자(12)에 중합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덮개측소자(14)의 베이스측소자(12)와의 대향면에는, 페룰(7) 쪽 광섬유(6)에 대해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17)(이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17)는 광섬유 심선(心線)이고, 상세하게는 광섬유(17) 선단에 노출된 비피복 광섬유인 광섬유(17a)가 페룰 쪽 광섬유(6)에 대해 접속됨)를 고정밀도로 위치결정 중심맞춤하는 중심맞춤홈(12a)이 마련되어 있다. 이 중심맞춤홈(12a)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V홈이지만, 이 이외에 U홈, 둥근홈(반원형 단면의 홈) 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덮개측소자(15)의 베이스측소자(12)와의 대향면 및 베이스측소자(12)의 제2덮개측소자(15)와의 대향면에는 접속기구(10) 후단 쪽(도 5에서 지면(紙面)의 오른쪽 안쪽, 도 4에서 우측)으로부터 접속기구(10)에 삽입되는 광섬유(17)(상세하게는 광섬유(17a)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피복 부분)를 수납하는 피복 수납홈(12b, 12c)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기구(10)에 있어서, 피복 수납홈(12b, 12c)은 중심맞춤홈(12a)을 확장한 형상의 홈이고, 베이스측소자(12)와 제2덮개측소자(15) 사이에 있어서 정확히 대응하는 위치 관계로 있으며, 또한 접속소자(11)가 닫힌 상태(베이스측소자(12)에 덮개측소자(13)가 접합된 상태)에서는 각각 중심맞춤홈(12a)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피복 수납홈(12b, 12c)은 접속기구(10) 후단쪽(도 5에서지면의 오른쪽 안쪽, 도 4에서 우측)으로부터 접속기구(10)에 삽입되는 광섬유(17) 선단의 광섬유(17a)(비피복 광섬유)를 중심맞춤홈(12a)으로 유도하는 유도홈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단, 피복 수납홈(12b, 12c)의 단면형상은 반드시 중심맞춤홈(12a)과 같아야 할 필요는 없다.
중심맞춤홈의 형성 위치는 베이스측소자(12)와 제1덮개측소자(14) 중 어느 쪽이라도 좋고, 또한 양쪽이라도 된다. 또한, 피복 수납홈은 베이스측소자, 덮개측소자 중 한쪽에만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소자(11)의 베이스측소자(12)와 덮개측소자(13)의 바깥쪽에는 단면 ㄷ자 형상의 클램프 스프링(16)이 씌워지도록 결합되며, 이 클램프 스프링(1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측소자(12)와 덮개측소자(13)가 접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 스프링(16)의 개구부에는 베이스측소자(12)와 덮개측소자(13)의 접합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 스프링(16)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개구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잘려 들어간 절결부(16a)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16a)의 왼쪽 클램프 스프링(16)의 부분에서 제1덮개측소자(14)가 베이스측소자(1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우측 부분에서 제2덮개측소자(15)가 베이스측소자(1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되어 있다.
덮개측소자(13)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들(6, 17)의 맞대기 접속된 접속부를 클램프하는 부분(바꾸어 말하면, 중심맞춤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후술하는 하나의 클램프부)과, 광섬유(17)의 피복부를 수납하여 클램프하는 부분 바꾸어 말하면, 피복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후술하는 다른 클램프부)이 2개의 개폐부재(2, 3)의 삽입, 이탈에 의해 각각 별도로 개폐되는 구조면 좋고, 이 점은 반드시 다른 몸체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체가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일체의 경우는, 예컨대 덮개측소자의 변형에 의해 각각 별도의 개폐가 실현되는 구성 등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 스프링으로서도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2개의 클램프가 각각 별도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면 좋고, 반드시 절결부를 가지는 것을 채용할 필요는 없다.
클램프 스프링의 형상은 단면 ㄷ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면 C형이라도 된다.
제1덮개측소자(14)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1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16) 왼쪽의 부분에 의해 하나의 클램프부인 제1클램프부(18)가 구성되고, 제2덮개측소자(15)와 이게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1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16)의 우측 부분에 의해 다른 클램프부인 제2클램프부(19)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광섬유 접속공구(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섬유 커넥터(5)를 고정하는 베이스프레임(101)과, 베이스프레임(101) 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베이스프레임(101)에 고정된 광섬유 커넥터(5)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인 제1개폐부재(2)와, 다른쪽의 개폐부재인 제2개폐부재(3)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개폐부재(2, 3)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개폐부재(2) 및 제2개폐부재(3)의 선단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쐐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개폐부재(2)의 선단부는 제1덮개측소자(l4)와 베이스측소자(12) 사이, 제2개폐부재(3)의 선단부는 제2덮개측소자(15)와 베이스측소자(12) 사이에 각각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개폐부재(2) 및 제2개폐부재(3)는 구동기구(미도시)에 장착되어 구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독립적으로 베이스프레임(101) 위의 광섬유 커넥터(5)의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해도 되고 동력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작하도록 해도 된다.
 도 1a, 도 1b에 예시된 광섬유 접속공구(1)는 개폐부재(2, 3)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구조이다. 개폐부재(2, 3)는 좁고 긴 형상의 부재로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1)과, 그 베이스프레임(101) 위에 부착된 누름판(105) 사이에 확보된 가이드홈(106) 내에 길이 방향 중앙부가 수납되어 있다. 이 개폐부재(2, 3)는 가이드홈(106) 내면과의 슬라이딩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1)이나 누름판(105)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부품 수납홈(103)에 대해 진퇴운동이 가능하다. 단, 개폐부재(2, 3)는 가이드홈(106) 내면의 형성 정밀도에 의해 부품 수납홈(103)에 대한 진퇴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위치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개폐부재(2, 3) 선단의 쐐기형상 부분은 가이드홈(106)보다 부품 수납홈(l03)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개폐부재(2, 3)의 후퇴동작(부품 수납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홈(106) 끌어들여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홈(106)으로부터 부품 수납홈(103)과 반대쪽으로 돌출된 개폐부재(2, 3)의 선단부는 개폐부재(2, 3)를 수동 조작하기 위한 핸들로서 기능하는 부분으로, 조작편(107)이 부착되어 있다. 또 누름판(105)에 형성되어 있는 창(108)은 개폐부재(2, 3)에 착색이나 요철(凹凸) 등에 의해 형성된 표시(미도시)를 광섬유 접속공구(1)의 바깥쪽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창(108)으로부터 표시가 보일 때는 개폐부재(2, 3) 선단이 부품 수납홈(103)에서의 광섬유 접속부품(5)의 수납 위치로 돌출되어 있어서, 부품 수납홈(103)에 대한 광섬유 접속부품(5)의 수납, 배출의 장해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수납 작업, 꺼내기 작업 금지)을 나타내며, 부품 수납홈(103)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도 1a, 도 2b에서의 좌측)으로의 개폐부재(2, 3)의 이동에 의해 표시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부품 수납홈(103)에 대한 광섬유 접속부품(5)의 수납, 배출이 가능해짐을 나타내도록 창(108)과 표시가 기능하고 있는데, 창(108)에서 보이는 표시의 기능으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표시가 보이지 않을 때에 부품 수납홈(103)에 대한 광섬유 접속부품(5)의 수납, 꺼내기 작업이 가능함을 나타내고, 표시가 보일 때에 수납, 꺼내기 작업의 금지를 나타내도록 기능하게 하여도 된다.
그리고, 가이드홈 내에는, 예컨대 누름판(105)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베이스프레임(101)으로부터 돌출된 돌기 등에 의해 개폐부재(2, 3)의 부품 수납홈 쪽으로의 전진 방향(밀어넣기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스토퍼를 홈붙이 블록에 형성하고, 이 홈붙이 블록에 수납되는 광섬유 접속부품의 구조에 대응하여 개폐부재(2, 3)의 전진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광섬유 접속부품을 개폐부재(2, 3)의 과도한 밀어넣기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1)를사용하여 광섬유 커넥터(501)를 신설 광섬유(17)의 선단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단, 도 6 내지 도 12에서는, 광섬유 커넥터의 하우징이나 스톱링의 도시를 생략하고, 접속기구붙이 페룰(7A)과 개폐부재(2, 3)의 관계를 명시했음), 광섬유 커넥터(501)를 베이스프레임(101)(도 1a, 도 1b 등 참조)에 고정하고, 이어서 제1개폐부재(2) 및 제2개폐부재(3)를 광섬유 커넥터(501)의 방향으로 전진시켜, 광섬유 커넥터(501)의 스톱링(503)의 측부에 개구되어 있는 쐐기 삽입공(507a, 507b)(도 3 참조)에 삽입하고, 제1개폐부재(2)의 선단부를, 쐐기 삽입공(507a)으로부터, 클램프 스프링(16)의 탄성 가압력에 대항하여 접속소자(11)의 제1덮개측소자(14)와 베이스측소자(12) 새치기 시키도록 삽입하여 제1덮개측소자(14)를 열고, 제2개폐부재(3)의 선단부를 쐐기 삽입공(507b)을 통해 클램프 스프링(16)의 탄성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덮개측소자(15)와 베이스측 소자(12) 사이를 가르며 들어가도록 삽입하여 제2덮개측소자(15)를 개방한다(도 9참조). 도 9는 다른 클램프부(19)를 개폐부재(3)의 삽입에 의해 연 상태를 나타내지만, 하나의 클램프부(18)의 개폐부재(2)의 삽입에 의한 개방도 도 9와 마찬가지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접속소자(11)의 타단 쪽(후단 쪽)에서 중심맞춤홈(12a)을 따라 신설 광섬유(17)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신설 광섬유(17)의 선단을 기설 광섬유(6)의 선단으로 맞대기 접속한다. 페룰(7) 쪽의 광섬유(6)는 미리, 페룰(7)의 중심 축선을 따라 페룰(7)을 관통하는 미세공에 삽입부착 고정되어 있고, 페룰(7) 후단으로부터 돌출 선단이 접속소자(11)의 일단 쪽에서 접속소자(11)의 베이스측소자(12)와 제1덮개측소자(13)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신설 광섬유(17)는 구체적으로는 페룰 후단에서 접속기구(10)로 돌출되어 있는 광섬유(6)에 대해, 선단의 광섬유(17a; 여기서에는, 비피복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다. 또한, 광섬유들(6, 17a)은 중심맞춤홈(12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맞대어지도록 되어 있고, 중심맞춤홈(12a)에 의해 서로 정밀하게 위치 결정 중심맞춤된 상태에서 접속이 실현된다. 이 광섬유들(6, 17a)의 중심맞춤 상태는 접속기구(10)의 접속소자(11)가 닫힌 후(후술함)에도 계속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설 광섬유(17)를 기설 광섬유(6)의 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여 광섬유(6, 17a) 간의 접촉력을 유지한 채로,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제1개폐부재(2)를 제l 덮개측소자(14)와 베이스측소자(12) 사이에서 빼내며, 클램프 스프링(1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덮개측소자(14)를 닫고, 제1덮개측소자(14)와 베이스측소자(12) 간에서 기설 광섬유(6)의 선단부 및 신설 광섬유(17)의 선단부를 클램프하고, 양 광섬유(6, 17)의 선단들을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유지한다. 단, 접속기구(10) 내에 주입된 굴절률 정합제 등에 의해 광섬유들(6, 17a)을 접촉시키지 않아도 광섬유들(6, 17)의 광접속이 충분히 가능한 경우(굴절률 정합제의 기능에 의해 광섬유(6, 17) 사이에 미소한 틈이 개재되어 있어도 광 접속이 가능한 경우도 있음)에는, 반드시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을 때에 접촉력을 계속적으로 부여해 놓을 필요는 없고, 접촉력을 부여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은 후에 다른 클램프부를 닫는 순서에 의해 광섬유에 불필요한 휨이나 굽힘 응력을 줄 수 있는 것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광섬유(특히, 신설 광섬유)의 광 특성의 안정 유지, 광섬유들의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접속기구 내(특히,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서의 광섬유들의 접속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제2개폐부재(3)를 제2덮개측소자(15)와 베이스측소자(12) 사이로부터 빼내고, 클램프 스프링(1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2덮개측소자(15)를 닫으며, 다른 클램프부(19), 즉 제2덮개측소자(15)와 베이스측소자(12) 간에서 신설 광섬유(17)의 피복부를 클램프한다. 다른 클램프부(19)를 닫을 때는 광섬유(17)가 클램프부(19)에 클램프되기 전까지 광섬유(6)에 대한 광섬유(17)의 접촉력(밀어붙이는 힘)을 해제시켜 둔다. 이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은 후에 다른 클램프부를 닫을 때에 공통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광섬유 커넥터(5)를 신설 광섬유(17)의 선단부에 장착할 수 있어, 광섬유 커넥터(5)의 기설 광섬유(6)와 신설 광섬유(17)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형태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1) 및 광섬유 접속방법에 있어서는, 제1개폐부재(2)와 제2개폐부재(3)를 독립적으로 조작하고, 제1개폐부재(2)를 빼내어 제1덮개측소자(14)를 닫은 후에, 제2개폐부재(3)를 빼내어 제2덮개측소자(15)를 닫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기설 광섬유(6)의 선단에 신설 광섬유(17)를 맞댄 경우에, 광섬유들의 접촉력에 의해 광섬유(6)에 대해 광섬유(17)의 선단부에, 또는 양 광섬유(6, 17)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제1덮개측소자(14)를 닫았을 때에 제2덮개측소자(15)는 아직 연 상태로 있기 때문에, 그 휨을 신설 광섬유(17)의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휨을 완전하게(또는 거의) 제거한 후에 제2덮개측소자(15)를 닫게 된다.
따라서, 양 광섬유(6, 17)의 선단부에 휨이 발생한 상태에서 양 광섬유(6, 17)가 클램프되어 광섬유(6, 17)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6, 17)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파손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고,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어서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개폐부재(2) 및 제2개폐부재(3)를 각각 별도의 설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즉, 개폐부재(2, 3)는 하나의 클램프부, 다른 클램프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계된 것을 채용(예컨대, 제1클램프부(18)의 제1덮개측소자(14)의 개방 크기와, 제2클램프부(19)의 제2덮개측소자(15)의 개방 크기는 다름)하지만, 둘 다 적용 대상의 클램프부의 설계에 대응하여 고정밀도의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이다. 만일, 한 부품에 제1클램프부(18)에 삽입 및 이탈되는 쐐기 형상의 돌기와, 제2클램프부(19)에 삽입 및 이탈되는 쐐기 형상의 돌기를 형성할 경우에는, 한 부품의 복수 개소에 정밀 가공을 할 필요가 있고, 또한 각 쐐기 형상의 돌기 사이의 위치 관계 등도 정밀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정밀도 확보가 어려우며, 가공이 번거로움과 아울러 비용절감도 어렵지만, 제1개폐부재(2) 및 제2개폐부재(3)를 각각 별도의 설계로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심(單心)의 광섬유 커넥터(5)에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를 적용했지만, 다심(多心)의 광섬유 커넥터(미도시)에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를 적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램프부가 2개 마련된 것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클램프부가 2개 이상 마련된 것에 대해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광섬유 접속부품(5)의 예로서는, 상술한 광섬유 커넥터(501)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3a 내지 도 13c, 도 14에 나타내는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이나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낸 기구적 스플라이스(광섬유 접속부품(20)) 등 각종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은 도 15에 나타내는 광섬유 커넥터(510)의 하우징(511)에 내장된다. 광섬유 커넥터(510)는, 소위 MTRJ형 광커넥터로서, 하우징(511)의 바깥쪽에 광커넥터 어댑터 등의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걸어맞춤 및 이탈가 가능한 래치(512)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했을 때에는 래치의 걸어맞춤에 의해 접속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래치(512)의 조작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걸어맞춤이 간단히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c, 도 14에 나타내는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은 페룰(71)의 접합단면(81)측(선단 쪽)에 대향하는 후단 쪽에, 접속기구(110)가 조립된 것이다. 페룰(71)은 이른바 MT형 광커넥터(JIS C5981, IEC 1754-5 발행 등으로 제정되는 것; MT: Mechanically Transferable)로서, 플라스틱 제품이다. 페룰(71)에는 복수 개(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광섬유(61)가 삽입부착 고정되어 있고, 접합 단면(81)에 각 광섬유(61)의 선단이 노출되어 있다. 페룰(71)은 광섬유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접속기구(110)는 페룰(71)의 후단쪽에 마련되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접속소자(111)와, 접속소자(111)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금속 등으로 형성되는 클램프 스프링(116)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소자(111)는 페룰(71)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좁고 긴 형상의 베이스측소자(112)와, 칩 형상의 작은조각인 덮개측소자(113)를 조합한 2개 분할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베이스측소자(112)의 일단은 페룰(71)의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덮개측소자(113)는 축 방향으로 한쪽 덮개측소자인 제l 덮개측소자(114)와 다른쪽 덮개측소자인 제2덮개측소자(115)의 2개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각 페룰 쪽 광섬유(61)는 페룰(71) 후단부에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돌출 부분은 베이스측소자(112)와 제1덮개측소자(1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측소자(112)의 제1덮개측소자(114)와의 대향면에는 페룰(71)측 광섬유(61)와, 그 광섬유(61)에 대해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171)(이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171)는 단심의 광섬유 심선으로, 상세하게는 광섬유(171) 선단에 노출된 비피복 광섬유인 광섬유(171a)가 페룰 쪽 광섬유(61)에 대해 접속됨)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 중심맞춤하는 중심맞춤홈(112a)이 2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중심맞춤홈(112a)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V홈이지만, 이 이외에 U홈, 둥근홈(반원형 단면의 홈) 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제2덮개측소자(115)의 베이스측소자(112)와의 대향면 및 베이스측소자(112)의 제2덮개측소자(115)와의 대향면에는, 접속기구(110) 후단 쪽(도 13a, 도 13b에서의 우측)으로부터 접속기구(110)로 삽입되는 광섬유(171)(상세하게는, 광섬유(17a)가 노출되어 있지 않은 피복 부분)를 수납하는 피복 수납홈(112b, 112c)(도 13c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기구(110)에 있어서, 피복 수납홈(112b, 112c)은 베이스측소자(112)와 제2덮개측소자(115) 사이가 닫혔을 때 단면 직사각형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이 피복 수납홈(112b, 112c)은 베이스측소자(112)와 제2덮개측소자(115) 사이가 닫혔을 때, 이른바 광섬유 테이프 심선을 클램프하여, 유동없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측소자(112)의 피복 수납홈(112c)의 바닥부에는 중심맞춤홈(112a)으로부터 연속되는 복수개의 유도홈(112d)이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도홈(112d)은 접속기구(1l0) 후단 쪽부터 접속기구(110)로 삽입되는 광섬유(171) 선단의 광섬유(171a)(비피복 광섬유)를 중심맞춤홈(112a)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 유도홈(112d)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중심맞춤홈(112a)과 같을 필요는 없다.
중심맞춤홈의 형성 위치는 베이스측소자(112)와 제1덮개측소자(114) 중 어느 한쪽이어도 되고, 또한 양쪽이어도 된다.
접속소자(111)의 베이스측소자(112)와 덮개측소자(113)의 바깥쪽에는 단면 ㄷ자 형상의 클램프 스프링(116)이 씌워지도록 결합되고, 이 클램프 스프링(11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측소자(112)와 덮개측소자(113)가 접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 스프링(116)의 개구부에는 베이스측소자(112)와 덮개측소자(113)와의 접합부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 스프링(116)의 길이 방향의중앙부에는 개구 단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잘려 들어간 절결부(116a)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116a) 왼쪽의 클램프 스프링(116)의 부분에서 제1덮개측소자(114)가 베이스측소자(11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우측의 부분에서 제2덮개측소자(115)가 베이스측소자(11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측소자(113)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들(61, 171)이 맞대기 접속된 접속부를 클램프하는 부분(바꾸어 말하면, 중심맞춤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광섬유(171)의 피복부를 수납하여 클램프하는 부분(바꾸어 말하면, 피복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2개의 개폐부재(2, 3)의 삽입 및 이탈에 의해 각각 별도로 개폐되는 구조이면 좋고, 이 점 반드시 다른 몸체로 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일체의 경우는, 예컨대 덮개측소자의 변형에 의해 각각 개폐가 실현되는 구성 등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클램프 스프링으로 해도, 마찬가지 이유에 의해 2개의 클램프가 각각 별도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좋고, 반드시 절결부를 가지는 것을 채용할 필요는 없다.
클램프 스프링의 형상은 단면 ㄷ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단면 C형이어도 된다.
제2덮개측소자(115)보다 페룰(71) 쪽에 배치되는 제1덮개측소자(114)와 이게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11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116)의 왼쪽 부분에 의해 하나의 클램프부인 제1클램프부(118)가 구성되고, 제2덮개측소자(115)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11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116)의 우측 부분에 의해 다른 클램프부인 제2클램프부(119)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광섬유 접속부품(71A)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공구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광섬유 접속부품(5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섬유 접속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을 조립하여 구성한 광섬유 커넥터(502)에 대해서도 하우징(511) 측부에 개폐부재(2, 3)의 삽입용의 쐐기 삽입공(507)을 형성해 둠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공구를 사용하여 광섬유의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광섬유 접속부품으로 취급할 수 있다.
페룰 쪽 광섬유(61)인 기설 광섬유(61)에 대해 접속기구(110) 내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신설 광섬유가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경우, 광섬유 접속공구(1)에 의해 개방해 놓은 접속기구(110)에 광섬유(광섬유 테이프 심선)를 삽입하고, 페룰(71)의 광섬유(61)에 대해 접속하려면, 선단에 노출시켜 둔 복수개(중심맞춤홈(112a)과 같은 수)의 비피복 광섬유를 각각 베이스측소자(112)의 피복 수납홈(112c)의 바닥부의 유도홈(112d)에 한 개씩 삽입하고, 그 광섬유를 페룰(71) 쪽에 밀어넣음으로써 각 비피복 광섬유를 중심맞춤홈(112a)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광섬유(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피복부는 피복 수납홈(112b, 112c)에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방법에 따라, 광섬유 테이프 심선의 비피복 광섬유와, 페룰 쪽 광섬유(61)의 맞댐 상태를 유지한 채 개폐부재(2, 3)의 빼냄에 의해 접속기구(110)(구체적으로는, 접속소자(111))를 닫으면, 우선 제1클램프부(118)에 광섬유들의 맞댐 상태를 유지한 채로 클램프 지지되고, 이어서 제2클램프부(119)에 광섬유(광섬유 테이프심선)의 피복부가 클램프 지지되게 되어 상술한 광섬유 접속부품(5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섬유의 쓸데없는 휨을 해소한 상태로 광섬유의 클램프 지지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의 경우, 접속기구(110)에 단심의 광섬유 심선 등 단심의 광섬유를 삽입하고, 페룰(71) 쪽의 광섬유(61)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방법에 따라 개폐부재(2, 3)의 빼냄에 의해 접속기구(110)의 접속소자(111)를 닫으면 광섬유들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클램프부(119)에는, 단심의 광섬유도 클램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단심의 광섬유는 한 개씩 피복 수납홈(112b, 112c)으로부터 중심맞춤홈(112a)으로 들여보내도록 하여 삽입할 수 있다. 단심의 광섬유의 경우도, 선단의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시킨 비피복 광섬유를 중심맞춤홈(112a)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술한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은 다심용의 페룰(71)을 사용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부품으로서는, 예컨대 MT형 광커넥터인 페룰로서 단심의 것을 채용하고, 접속기구로서도 단심용인 것, 즉 중심맞춤홈이나 피복 수납홈이 한 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한 구조도 채용이 가능하다.
도 21a 내지 도 21c, 도 22는 광섬유 접속기구(1)에 광섬유 클램프(201)를 장착할 경우를 나타낸다.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클램프(201)는 스펀지 등 탄성체(202)를 프레임체(203)에 지지한 구조이다. 이 광섬유 클램프(201)는 광섬유 접속기구(1)의 베이스프레임(101) 측부에 고정되는 지지봉(204)에 장착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0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예를 들면, 수십mm∼수백mm)에 배치된다. 지지봉(204)은 길이방향 일단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핀(204a)을 베이스프레임(101)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09a)에 삽입 결합되고, 또한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마그넷(204b)을 베이스프레임(101)에 마련되어 있는 마그넷(109b)에 자기 흡착시킴으로써 베이스프레임(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광섬유 클램프(201)는 지지봉(204)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04c)에 프레임체(203) 측부에 돌출된 결합핀(205)을 결합함으로써 지지봉(204)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한 지지봉(204)의 길이 방향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구나 지지봉(204)의 길이 방향 타단에 광섬유 클램프(20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구로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것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지지봉과 광섬유 클램프가 일체화된 부품을 베이스프레임(10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광섬유 클램프(201)는 광섬유 접속공구의 부품 수납홈(103)에 결합된 광섬유 접속부품(5)에 대해 삽입 작업을 행하는 광섬유를 탄성체(202)에 형성된 슬릿(206)에 밀어넣기만 하면 간단히 지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슬릿(206)은 탄성체(202)의 프레임 체(203)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측면으로부터 잘려 들어간 형상이다. 또한, 슬릿(206)에 삽입된 광섬유는 슬릿으로부터 간단히 꺼낼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접속부품(5)이, 예컨대 상술한 접속기구붙이 페룰(7A, 71A)이나 이와 같은 접속기구붙이 페룰(7A, 71A)을 조립한 구성의 광섬유 커넥터인 경우, 부품 수납홈(103)에 수납되는 광섬유 접속부품(5)은 페룰과 접속기구 중 접속기구가 페룰에 대해 광섬유 클램프(201)측이 되는 방향에서 베이스프레임(101)에 지지되도록 한다. 예컨대, 부품 수납홈(103) 내의 광섬유 접속부품(5)으로의 삽입작업을 완료한 광섬유를 광섬유 클램프(201)에 의해 클램프 지지시키고, 광섬유 접속부품(5)과 광섬유 클램프(201) 사이에 광섬유의 휨을 확보하고, 직선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광섬유 자체의 강성을 이용하여 광섬유에 광섬유 접속부품(5)으로의 압입력을 확보하는 것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202)에 복수 개의 슬릿(20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접속기구붙이 페룰(71A)에 여러 개의 광섬유(예컨대, 단심의 광섬유)를 삽입하여 페룰(71) 쪽의 광섬유와 접속하는 작업에 있어서, 광섬유의 임시고정 등에 이 광섬유 클램프(201)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 예시로서, 상기 지지봉(204)이 광섬유를 지지한 광섬유 홀더를 베이스프레임(101)에 있어서의 광섬유 접속부품의 지지 위치에 대해 진퇴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인 구성 등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공구로서는, 베이스프레임(101)에 상술한 지지봉(204)이 설치된 것, 또한 광섬유 클램프(201)가 설치된 것도 포함된다.
도 16에서 도 18a 내지 도 18c에 나타낸 광섬유 접속부품(20)은 단심용의 기구적 스플라이스(splice)로서 구성된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단, 이 광섬유 접속부품(20)은 후술하는 중심맞춤홈(32a), 피복 수납홈(32b, 32c)을 횡 배열로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다심용으로서도 기능하게 할 수 있다.
즉, 광섬유 접속부품(20)은 접속기구(30)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플라스틱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접속소자(31)와, 접속소자(31)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금속 등으로 형성되는 클램프 스프링(37)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소자(31)는 각기둥 형상의 베이스측소자(32)와 각기둥 형상의 덮개측소자(33)를 조합한 2개 분할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덮개측소자(33)는 축 방향으로 제1덮개측소자(34), 제2덮개측소자(35) 및 제3덮개측소자(36)의 3개로 분할되어 있다. 베이스측소자(12)의 제2덮개측소자(35)의 대향면에는 중심맞춤홈(32a)이 마련되고, 이 중심맞춤홈(32a)에 의해 한쪽 광섬유(40)와 다른쪽의 광섬유(41)간의 중심 맞추기를 정밀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이스측소자(12)의 제1 및 제2덮개측소자(34, 36)의 대향면에는 광섬유(40, 41)의 피복 부분을 수납하는 피복 수납홈(32b, 32c)이 중심맞춤홈(32a)으로부터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 수납홈(32b, 32c)은 중심맞춤홈(32a)에 비해 중심맞춤 정밀도가 낮은 홈으로, 광섬유 접속부품(20)의 바깥쪽에서 접속기구(30)에 삽입되는 광섬유(40, 41)를 중심맞춤홈(32a)으로유도하는 유도홈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중심맞춤홈(32a)이나 피복 수납홈(32b, 32c)은 V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상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40, 4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섬유 심선이고, 중심맞춤홈(32a)에는 광섬유(40, 41) 선단에 노출된 비피복 광섬유(40a, 41a)가 삽입되어 맞대기 접속된다. 피복 수납홈의 형성 위치는 제1 및 제2덮개측소자(34, 36)의 베이스측소자(12)와의 대향면이어도 되고, 또한 베이스측소자(12)의 제1 및 제2덮개측소자(34, 36)와의 대향면과, 제1 및2 덮개측소자(34, 36)의 베이스측소자(12)와의 대향면 모두 이어도 된다. 중심맞춤홈에 대해서도 베이스측소자에 한정되지않고 덮개측소자에 형성하거나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소자(31)의 베이스측소자(32)와 덮개측소자(33)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 구성의 단면 ㄷ자 형상의 클램프 스프링(37)이 씌워지도록 결합되고, 이 클램프 스프링(37)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측소자(32)와 덮개측소자(33)가 접합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클램프 스프링(37)의 개구부에는 베이스측소자(32)와 덮개측소자(33)의 접합부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스프링(37)의 길이 방향의 2군데에는 개구단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잘려 들어간 절결부(37a)가 마련되고, 이 절결부(37a)에 의해 클램프 스프링(37)의 왼쪽의 부분에서 제1덮개측소자(34)가 베이스측소자(3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중앙의 부분에서 제2덮개측소자(35)가 베이스측소자(3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우측 부분에서 제3덮개측소자(36)가 베이스측소자(32)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되어 있다.
제l덮개측소자(34)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3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37)의 왼쪽 부분에 의해 제1클램프부(42)가 구성되고, 제2덮개측소자(35)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3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37)의 중앙부 부분에 의해 제2클램프부(43)(하나의 클램프부)가 구성되며, 제3덮개측소자(36)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측소자(32)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37)의 우측 부분에 의해 제3클램프부(44)(다른 클램프부)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1)를 사용하여, 광섬유 접속부품(20)에 의해 2개의 광섬유(40, 41)를 접속하려면, 광섬유 커넥터(20)를 베이스프레임(101)에 고정하고, 구동기구를 조작하여 제1개폐부재(2) 및 제2개폐부재(3)를 광섬유 접속부품(20)의 방향으로 전진시키며, 제1개폐부재(2)의 선단부를 클램프 스프링(37)의 탄성 가압력에 대항하여 접속소자(31)의 제2덮개측소자(35)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에 삽입하고, 제2덮개측소자(35)를 열어 제2개폐부재(3)의 선단부를 클램프 스프링(37)의 탄성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3덮개측소자(36)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에 삽입하고, 제3덮개측소자(36)를 연다. 한쪽의 광섬유(40)는, 미리 접속기구(30)의 한쪽측으로부터 중심맞춤홈(32a)에 삽입하여, 그 선단을 중심맞춤홈(32a) 상에 배치해 놓고, 피복부를 제1덮개측소자(34)와 베이스 소자(32) 사이에서 클램프 고정된 상태로 하여 둔다. 광섬유(40)의 피복부는 피복 수납홈(32b)에 수납되고, 제1클램프부(42)에 클램프 고정된다. 제1클램프부(42)는 광섬유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접속소자(31)의 타단측으로부터 중심맞춤홈(32a)을 따라 다른쪽의 광섬유(41)를 삽입하고, 다른쪽의 광섬유(41)의 선단을 제3덮개측소자(36)를 통해 제2덮개측소자(35)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에 위치시키고 한쪽 광섬유(40)의 선단에 맞대기 접속된다.
그리고, 다른쪽의 광섬유(41)를 한쪽 광섬유(40)의 방향으로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여 광섬유들(40, 41)의 접촉력을 확보한 채,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제1개폐부재(2)를 제2덮개측소자(35)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로부터 빼내며, 클램프 스프링(37)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2덮개측소자(35)를 닫고, 제2덮개측소자(35)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에서 한쪽 광섬유(40)의 선단부(광섬유(40) 선단에 노출시킨 비피복 광섬유(40a))와 다른 광섬유(41)의 선단부(광섬유(41) 선단에 노출시킨 비피복 광섬유(41a))를 클램프하고 양 광섬유(40, 41)의 선단들을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지지한다.
그리고, 제2클램프부(43)를 닫은 후, 다른쪽 광섬유(41)를 한쪽 광섬유(40)의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을 해제하고,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제2개폐부재(3)를 제3덮개측소자(36)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로부터 빼내고, 클램프 스프링(37)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3덮개측소자(36)를 닫고, 제3덮개측소자(36)와 베이스측소자(32) 사이에서 다른쪽의 광섬유(41)의 피복부를 클램프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섬유 접속부품(20)을 통해 한쪽 광섬유(40)와 다른쪽의 광섬유(41)를 선단들을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1)에 있어서는, 제l 개폐부재(2)와 제2개폐부재(3)를 독립적으로 조작하고, 제1개폐부재(2)를 빼내어 제2덮개측소자(35)를 닫은 후, 제2개폐부재(3)를 빼내어 제3덮개측소자(36)를 닫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한쪽 광섬유(40)의 선단에 다른쪽의 광섬유(41)를 맞댄 경우에 접촉력에 의해 양 광섬유(40, 41)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제2덮개측소자(35)를 닫았을 때에 제3덮개측소자(36)는 아직 열린 상태로 있기 때문에, 그 휨은 다른쪽 광섬유(41)의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어서 완전하게(또는 거의) 휨을 제거한 후에 제3덮개측소자(36)를 닫게 된다.
따라서, 양 광섬유(40, 41)의 선단부에 휨이 발생한 상태로 양 광섬유(40, 41)가 클램프되어 광섬유(40, 41)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40, 41)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파손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지고,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어서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9 및 도 20에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 접속공구의 제3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 광섬유 접속공구(45)는 조작 레버(46)에 제1개폐부재(47)와 지지부재(48)를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지지부재(48)에 제2개폐부재(49)를 장착하고, 지지부재(48)에 마련한 핀(50)을 제2개폐부재(49)에 마련한 장공(51) 내에 위치시킨 것으로, 기타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나타낸 것과 같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지며, 기설 광섬유의 선단에 신설 광섬유를 맞댄 경우에, 또는 한쪽 광섬유의 선단에 다른쪽 광섬유의 선단을 맞댄 경우에, 접촉력에 의해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제1덮개측소자 또는 제2덮개측소자를 닫았을 때, 제2덮개측소자 또는 제3덮개측소자는 아직 열린 상태로 있기 때문에, 그 휨은 신설 광섬유 또는 다른쪽 광섬유의 방향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완전히(또는 거의) 휨을 제거한 후에 제2덮개측소자 또는 제3덮개측소자를 닫게 된다.
따라서, 양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에 휨이 발생한 상태로 양 광섬유가 클램프되어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양 광섬유의 선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지며 접속 불량을 없앨 수 있어서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46)를 광섬유 접속부품의 방향(구체적으로는, 접속기구의 방향)에 조작하였을 때에는, 제1개폐부재(47)와 제2개폐부재(49)를 동시에 접속기구의 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음( 제2개폐부재(49)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는 그 제2개폐부재(49)의 접속기구에 삽입되는 선단 쪽(도 19에서 상단, 도 20에서 우측단)에 대향하는 후단을, 조작 레버(46)가 압압하여 접속기구를 향해 전진됨)과 아울러, 조작 레버(46)를 접속기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는 제1개폐부재(47)가 조작레버(46)와 일체로 접속기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퇴하고, 그 후 시간차를 두고 지지부재(48)의 핀(50)이 제2개폐부재(49)의 장공(51)의 끝면에 접촉함으로써 제2개폐부재(49)가 접속기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제1개폐부재(47)와 제2개폐부재(49)를 조작하는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은 후에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클램프부의 폐쇄동작 완료 전(하나의 클램프부에서의 기설, 신설 광섬유가 클램프가 완료되기 전)에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이 개시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의 선단부에 광섬유 커넥터 등 광섬유 접속부품을 장착할 경우에, 광섬유들의 접촉력에 의해 한쪽 또는 양방의 광섬유의 선단부에 휨이 생기더라도 그 휨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광섬유의 굽어짐에 의한 손실 증대나 광섬유의 선단부에 파손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일이 없으며, 접속불량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맞대기 접속된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 부근을 클램프하여 맞대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중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하는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다른 클램프부를 가지는 접속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와,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가지며, 상기 양 개폐부재가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의 한쪽이 광섬유 고정부에 의해 접속기구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기구의 한쪽측으로부터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이고, 상기 접속기구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의 다른쪽이 접속기구의 다른쪽측으로부터 다른 클램프부를 거쳐 하나의 클램프부에 삽입되어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서 한쪽 광섬유와 맞대기 접속되는 신설 광섬유이며,
    상기 다른 클램프부는 하나의 클램프에 의해 클램프된 신설 광섬유의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클램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고정부가 접속기구의 일단측에 고정된 페룰이고, 상기 기설 광섬유가 상기 페룰에 삽입부착된 광섬유이며, 상기 접속기구에서는 그 접속기구의 타단측으로부터 그 접속기구에 삽입된 신설 광섬유가 하나의 클램프부에서 상기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고정부가 하나의 클램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른 클램프부와 대향하는 측에 마련되고, 상기 기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클램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는 베이스측소자와 덮개측소자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2개 분할 구조를 이룸과 아울러, 덮개측소자가 복수로 분할되는 접속소자와, 그 접속소자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어 그 접속소자의 베이스측소자와 덮개측소자를 접합 상태로 유지하는 클램프 스프링을 구비하며, 하나의 클램프부를 구성하는 덮개측소자와, 다른 클램프부를 구성하는 덮개측소자가 다른 몸체이며,
    상기 한쪽 개폐부재는 하나의 클램프부의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고 상기 다른쪽의 개폐부재는 다른 클램프부의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덮개측소자와 이에 대향하는 베이스측소자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의 부분에 의해 하나의 클램프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쪽 덮개측소자와 이에 대향하는 베이스측소자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의 부분에 의해 다른 클램프부가 구성되고, 상기 한쪽 개폐부재는 하나의 클램프부의 한쪽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며, 상기 다른쪽의 개폐부재는 다른 클램프부의 다른쪽 덮개측소자와 베이스 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광섬유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피복부의 선단에 비피복(非被覆) 광섬유가 노출된 것으로,
    이 신설 광섬유는 비피복 광섬유가 상기 기설 광섬유에 맞대기 접속되어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클램프되고, 상기 피복부가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클램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광섬유 접속공구.
  8. 맞대기 접속된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 부근을 클램프하여 맞대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중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하는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다른 클램프부를 가지는 접속기구를 구비한 광섬유 접속부품을 사용하며, 상기 접속기구의 하나의 클램프부에 의해 접속기구에 미리 수납하여 놓은 기설 광섬유와 그 기설 광섬유와는 다른 몸체의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하고, 상기 접속기구의 다른 클램프부에 의해 상기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할 때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를 하나의 클램프부에 삽입하여 하나의 클램프부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한 다른쪽 개폐부재를 다른 클램프부에 삽입하여 다른 클램프부를 열며, 이 상태에서 다른쪽으로부터 신설 광섬유를 삽입시켜 기설 광섬유의 선단에 신설 광섬유의 선단을 맞대기 접속하고, 이 상태에서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한쪽 개폐부재를 빼내어 하나의 클램프부에 의해 기설 광섬유와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상태로 클램프하고, 이 후 다른 클램프부로부터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빼내어 다른 클램프부에 의해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의 한쪽이 광섬유 고정부에 의해 접속기구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기구의 한쪽측으로부터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이고, 상기 접속기구에서 맞대기 접속되는 광섬유의 다른쪽이 접속기구의 다른쪽측으로부터 다른 클램프부를 거쳐 하나의 클램프부로 삽입되어 하나의 클램프부 내에서 한쪽 광섬유와 맞대기 접속되는 신설 광섬유이며,
    상기 다른 클램프부는 하나의 클램프에 의해 클램프된 신설 광섬유의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클램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고정부가 접속기구의 일단측에 고정된 페룰이고, 상기 기설 광섬유가 상기 페룰에 삽입부착된 광섬유이며, 상기 접속기구에서는 그 접속기구의 타단측으로부터 그 접속기구에 삽입된 신설 광섬유가 하나의 클램프부에서 상기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고정부가 하나의 클램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다른 클램프부와대향하는 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클램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기구는 베이스측소자와 덮개측소자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2개 분할 구조를 이룸과 아울러, 덮개측소자가 복수로 분할되는 접속소자와, 그 접속소자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어 그 접속소자의 베이스측소자와 덮개측소자를 접합 상태로 유지하는 클램프 스프링을 구비하며, 하나의 클램프부를 구성하는 덮개측소자와, 다른 클램프부를 구성하는 덮개측소자가 다른 몸체이며,
    상기 한쪽 개폐부재는 하나의 클램프부의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며, 상기 다른쪽의 개폐부재는 다른 클램프부의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덮개측소자와 이에 대향하는 베이스측소자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의 부분에 의해 하나의 클램프부가 구성되고, 상기 다른쪽 덮개측소자와 이에 대향하는 베이스측소자의 부분과 이들의 바깥쪽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스프링의 부분에 의해 다른 클램프부가 구성되며, 상기 한쪽 개폐부재는 하나의 클램프부의 한쪽 덮개측소자와 베이스측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하며, 상기 다른쪽의 개폐부재는 다른 클램프부의 다른쪽 덮개측소자와 베이스 소자 사이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공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설 광섬유가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피복부의 선단에 비피복 광섬유가 노출된 것이며,
    이 신설 광섬유는 비피복 광섬유가 상기 기설 광섬유에 맞대기 접속되어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클램프되며, 상기 피복부가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클램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기설 광섬유에 신설 광섬유를 맞대기 접속한 후, 신설 광섬유를 기설 광섬유에 대해 압압하여 광섬유 간의 접촉력을 확보한 채 하나의 클램프부를 닫은 후, 상기 접촉력을 해제하고 나서 다른 클램프부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16. 맞대기 접속된 광섬유의 맞대기 접속부 부근을 클램프하여 맞대기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의 클램프부와, 상기 광섬유 중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미리 삽입되어 있는 기설 광섬유에 대해 맞대기 접속하는 신설 광섬유를 클램프하는 다른클램프부를 가지는 접속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접속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나의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한쪽 개폐부재와, 상기 다른 클램프부에 대해 삽입 및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클램프부를 개폐 가능한 다른쪽의 개폐부재를 사용하며,
    하나의 클램프부로의 신설 광섬유의 삽입 후,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고, 이어서 상기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이 종료되고 나서 상기 다른 클램프부의 폐쇄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방법.
KR1020047012089A 2002-02-08 2003-02-10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KR100698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3055 2002-02-08
JP2002033055 2002-02-08
PCT/JP2003/001383 WO2003067295A1 (fr) 2002-02-08 2003-02-10 Outil et procede de connexion de fibres opt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977A true KR20040075977A (ko) 2004-08-30
KR100698594B1 KR100698594B1 (ko) 2007-03-21

Family

ID=2767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089A KR100698594B1 (ko) 2002-02-08 2003-02-10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58496B2 (ko)
EP (1) EP1473577A4 (ko)
JP (2) JP3977335B2 (ko)
KR (1) KR100698594B1 (ko)
CN (1) CN100434953C (ko)
AU (1) AU2003207215A1 (ko)
WO (1) WO2003067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5697D0 (en) * 2003-11-04 2003-12-10 Tyco Electronics Raychem Nv Optical fibre connector
JP4558333B2 (ja) * 2004-01-16 2010-10-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工具
JP4570881B2 (ja) * 2004-01-21 2010-10-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20060002662A1 (en) * 2004-06-30 2006-01-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field-installable connector
JP4457111B2 (ja) 2004-08-20 2010-04-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4689415B2 (ja) * 2005-01-18 2011-05-2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用工具、工具付き光コネクタ
CN101297224B (zh) * 2005-10-24 2010-09-15 3M创新有限公司 光纤连接器、光纤分配装置、以及用于光纤连接器的光纤端接平台
JP4613796B2 (ja) 2005-11-04 2011-0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
JP4684933B2 (ja) * 2006-04-07 2011-05-1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用工具、工具付き光コネクタ
US7848609B2 (en) * 2007-12-10 2010-12-07 3Sae Technologies, Inc. Detachable fiber holder platform and assembly
US7887244B2 (en) * 2008-06-13 2011-02-15 Belden Cdt (Canada) Inc. Reversible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plice and sliding lock
US8075198B2 (en) * 2008-06-23 2011-12-13 Belden Cdt (Canada) Inc. Reversible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liding splice
EP2324383B1 (en) * 2008-08-19 2015-05-27 Belden CDT Canada Inc. Slide actuated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US7811006B2 (en) * 2008-09-02 2010-10-12 Belden CD (Canada) Inc.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and installation tool
JP5436148B2 (ja) * 2009-10-27 2014-03-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5672574B2 (ja) * 2010-03-24 2015-02-18 サンシー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現場で組付け可能な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5691297B2 (ja) * 2010-08-27 2015-04-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整列固定治具及び光ケーブル端末処理方法
JP5677182B2 (ja) * 2011-04-26 2015-02-2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5927229B2 (ja) * 2014-04-22 2016-06-01 株式会社フジクラ 受け側光ファイバ付き光ファイバ接続構造体および光ファイバの接続方法
WO2018017523A1 (en) 2016-07-21 2018-01-25 The Siemon Company Optical fiber termination tool
CN110235037B (zh) * 2017-01-20 2021-04-27 日本通信电材株式会社 光连接器
WO2020092480A1 (en) * 2018-10-30 2020-05-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Adapter for cable gland and cable gland un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456A (en) 1987-05-06 1988-11-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ber optic connector
US5121456A (en) * 1990-09-06 1992-06-09 Reliance Comm/Tec Corporation Polymer spring fiber optic splicer, tool for operating same and panel incorporating same
CA2110940C (en) * 1993-12-08 1998-08-18 Kevin G. Caldwell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JP3791028B2 (ja) 1995-06-26 2006-06-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接続部材および接続方法
JP3732558B2 (ja) * 1995-08-22 2006-01-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器用接続工具
JPH0961654A (ja) * 1995-08-22 1997-03-0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接続器用接続工具
FR2755247B1 (fr) * 1996-10-28 1999-04-02 Pirelli Cables Sa Dispositif d'epissurage mecanique multivoies pour cables a fibres optiques
JP3725269B2 (ja) 1996-11-27 2005-12-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接続装置
JP3515305B2 (ja) * 1997-01-16 2004-04-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3602339B2 (ja) * 1997-06-16 2004-12-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DE29711193U1 (de) * 1997-06-27 1997-08-28 Bellaform Extrusionstech Gmbh Heizvorrichtung
JP2002504707A (ja) * 1998-02-23 2002-02-12 フーバー ウント ズーナー アーゲー 光ファイバの位置決め及び取り付けのための位置決めシステム並びにその位置決めシステムを備えたコネクタ
JP3746615B2 (ja) 1998-08-07 2006-02-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接続工具
JP2001133654A (ja) * 1999-11-04 2001-05-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クランプ機構
JP2001166184A (ja) * 1999-12-07 2001-06-22 Kawaguchi Kogaku Sangyo:Kk 光ファイバの接続器、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7335B2 (ja) 2007-09-19
EP1473577A1 (en) 2004-11-03
US20050105872A1 (en) 2005-05-19
CN100434953C (zh) 2008-11-19
JPWO2003067295A1 (ja) 2005-06-02
JP2009223342A (ja) 2009-10-01
WO2003067295A1 (fr) 2003-08-14
KR100698594B1 (ko) 2007-03-21
AU2003207215A1 (en) 2003-09-02
US7258496B2 (en) 2007-08-21
EP1473577A4 (en) 2011-01-26
CN1628255A (zh) 2005-06-15
JP4699546B2 (ja)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594B1 (ko) 광섬유 접속공구 및 광섬유 접속방법
US7534051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converter
WO2004092795A1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JP2009301051A (ja) コネクタホルダおよびコネクタホルダ付き光コネクタ
JP4347115B2 (ja) 光ファイバ接続用開放部材、光コネクタ、光ファイバ接続器および光ファイバの突き合わせ接続の確認方法
JP4409364B2 (ja) コネクタホルダおよびコネクタホルダ付き光コネクタ
JP4036912B2 (ja) 光コネクタ
JP3705883B2 (ja) 光コネクタ
JP2005283954A (ja)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組立方法
JP4372803B2 (ja) 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4192751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4339023B2 (ja) 光コネクタ、コネクタホルダ
JP3447196B2 (ja) 光コネクタ離脱機構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工具
JP4209036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方式
JP4047104B2 (ja) 光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4263311B2 (ja) 光コネクタ
JP4163077B2 (ja) 光コネクタ
JP3781846B2 (ja) 光コネクタ
JP3755282B2 (ja) 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H11326702A (ja) 光コネクタ
JP2004334097A (ja) 光コネクタ
JPH11326697A (ja) 光コネクタ
JPH11326703A (ja) 光コネクタ
JP2002174751A (ja) 光コネクタ
JP2002202437A (ja) 光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