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538A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538A
KR20030071538A KR10-2003-0012183A KR20030012183A KR20030071538A KR 20030071538 A KR20030071538 A KR 20030071538A KR 20030012183 A KR20030012183 A KR 20030012183A KR 20030071538 A KR20030071538 A KR 2003007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main body
sealing member
process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857B1 (ko
Inventor
요꼬이아끼요시
오구마도오루
모찌즈끼마사따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제가 현상 부재로 공급되는 공급 개구부를 구비한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기 위한 파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갖는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파지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접속부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는 반드시 떼내질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FOR USE THEREIN}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가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과정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자 사진 복사 기계, (레이저 빔 프린터 및 LED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프린터, 팩스 기계,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적어도 현상 장치와 합체시킴으로써 얻어진 카트리지를 가리킨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과정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화상 정보에 따라서 빛으로 조사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 수단에 기록 재료인 현상제를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잠상으로부터 화상을 가시화하고,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부터 기록 매체 상으로 화상을 전사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그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대하여 작용하는 처리 수단이 합체되어 카트리지를 이루거나 적어도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현상 수단이 합체되어 카트리지를 이루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을 채용하고,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은 사용자가 스스로 장치의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작동성을 크게 개선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사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러한 유형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제공하는 현상제 운반 부재를 유지 및 수납하기 위한 현상 용기와, 현상 용기에 공급되는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 용기를 가지며, 현상제 저장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밀봉하여 사용 시점까지 현상제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 용기와 현상제 저장 용기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현상제 밀봉 부재를 사용한다.현상제 밀봉 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 시점이 도래하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현상제 밀봉 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기 전에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진다. 이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 용기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현상 용기 및 현상제 운반 부재에서 현상제를 이용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카트리지 내부의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저장된 현상제는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소비된다. 현상제가 소모되면, 사용자는 장치가 화상을 다시 형성하도록 오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그러므로, 필요하다면 사용자에게 얼마나 많은 현상제가 카트리지 내에 남아있으며 화상 형성에 이용될 수 있는 지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많은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는 현재의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가 소진되면 사용자에게 새로운 카트리지를 준비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교환하도록 권고하기 위하여 잔류 현상제 레벨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현상제 저장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밀봉하기 위하여 현상 용기와 현상제 저장 용기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현상제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는 사용 시점에 이르면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져야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실수로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가 켜졌을 때 현상제가 현상제 운반 부재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 공급되기 않기 때문에 화상 출력이 얻어질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09-197945호에 개시된 수단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안되었다.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상기 문헌에 개시된 수단은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부착부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광 단속기의 광 방출부 및 광 수신부를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부착되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지지 않은 경우에, 광 방출부로부터의 빛은 현상제 밀봉 부재에 의하여 차단되어 광 수신부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 본체의 광 단속기에 연결된 검출 회로가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것을 검출한다. 더욱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예를 들어 장치 본체의 표시 유닛 내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통지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검출 수단은 광 방출부 및 광 수신부를 갖는 광 단속기 및 광 단속기의 검출 회로를 구비한 장치 본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부품 및 회로의 추가는 구조를 고가로 만든다.
다른 방식은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으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들어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밀봉 부재의 일단부(떼내는 방향으로의 일단부)에 돌출 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들어갈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상당히 큰 돌출 부재를 요구한다.
본 발명은 목적은 공급 개구부를 차단하여 현상제 저장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밀봉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떼내져서 현상 부재에서 현상제를 이용 가능하게 하지만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를 반드시 검출할 수 있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 개구부를 차단하여 현상제 저장 용기 내의 현상제를 밀봉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떼내져서 현상 부재에서 현상제를 이용 가능하게 하지만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전용 검출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반드시 검출할 수 있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가지고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는 접속부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현상 장치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가지고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현상 장치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파지부는 접속부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탈착식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본체 전기 접점과, (ⅱ) 검출 수단과, (ⅲ)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와, (ⅳ) 부착부에 부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ⅴ)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가지고 공급 개구부를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면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접속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파지부로 덮여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탈착식 현상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본체 전기 접점과, (ⅱ) 검출 수단과, (ⅲ) 현상 장치가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와, (ⅳ) 부착부에 부착되는 현상 장치와, (ⅴ)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현상 장치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가지고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 수단이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접속부는 현상 장치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로 덮여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도3은 사용되기 전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사용되기 전의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에서의 현상 장치 유닛의 확대된 수직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현상제 저장 용기 상에 어떻게 접착되는 지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제량 검출 수단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조도.
도7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제량 검출 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선도.
도8은 현상제 잔량과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현상제량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 전압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9a, 도9b 및 도9c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에서의 현상제 밀봉 부재 및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접속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9a는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9b는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는 것을 도시하고, 도9c는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진 후의 상태를 도시함.
도10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현상제 밀봉 부재의 파지 부재와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접속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11a 및 도11b로 구성됨.
도12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12a 및 도12b로 구성됨.
도13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13a 및 도13b로 구성됨.
도14는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14a 및 도14b로 구성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화상 형성 장치
B : 프로세스 카트리지
9 : 감광 드럼
11 : 현상 슬리브
13 : 현상 용기
14 : 현상제 저장 용기
14e : 공급 개구부
30 : 현상제 밀봉 부재
51 : 제1 전극
52 : 제2 전극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는 특히 전자 사진 방식 레이저 빔 프린터의 예를 들어 설명된다.
화상 형성 장치(A)는 드럼의 형태인 전자 사진 감광 부재(9; 이하에서는, 단지 감광 드럼으로 언급될 수 있음)를 갖는다. 감광 드럼(9)은 우선 대전 수단으로 사용되는 대전 롤러(10)에 의하여 대전된다. 그 다음 감광 드럼(9)은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형 거울, 렌즈 및 반사 거울 등을 갖는 광학 수단(1)에 의하여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 빔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9) 상에 형성된다. 정전 잠상은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화된 화상, 즉 현상제 화상을 얻는다.
현상제 수단은 내장된 자석 롤러를 구비한 현상제 운반 부재인 현상 슬리브(11)와, 현상 슬리브(11)의 표면 상에서 현상제에 마찰 전기 대전을 가하며 주어진 두께의 현상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제량 조절 부재로 사용되는 현상 블레이드(12)를 갖는다. 현상 슬리브(11)와 현상 블레이드(12)는 현상 프레임 몸체인 현상 용기(13) 내에 유지된다. 현상 용기(13)는 현상 장치 유닛(19)을 구성하도록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 용기(14)와 용접에 의하여 합체된다.
현상제를 교반하고 현상제를 현상 용기(13) 내로 보내기 위한 교반 부재(15-1, 15-2)가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에 제공된다. 교반 부재(15-1, 15-2)들은 회전되어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의 현상제를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 슬리브(11)로 보낸다. 현상 용기(13) 내에서, 현상제 교반 부재(16)가 현상 용기(13) 내에서 현상제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현상 슬리브(11)의 주위에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하면,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에 저장된 현상제는 교반 부재(15-1, 15-2)들이 회전함에 따라 현상 용기(13)로 보내진다. 그 다음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교반 부재(16)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현상 슬리브(11)로 보내진다. 현상제는 내장된 자석 롤러를 구비한 현상 슬리브(11)의 표면에 부착된다. 현상 슬리브(11)의 회전에 의하여, 현상제는 현상 블레이드(12)로 운반되어 마찰 전기 대전을 받는다. 그 다음 주어진 두께의 현상제 층이 현상 슬리브(11) 상에 형성되고 현상제는 감광 드럼(9)의 현상 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영역에 도달하면, 현상제는 감광 드럼(9) 상에서 정전 잠상으로 전사되어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 슬리브(11)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에 연결되고, 통상 DC 전압을 AC 전압과 중첩시킴으로써 얻어진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현상 슬리브(11)에 인가된다.
위에서 설명된 현상제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기록 매체 카세트(3a) 내에 준비된 기록 매체(2)가 픽업 롤러(3b) 및 이송 롤러쌍(3c, 3d, 3e)에 의하여 전사 위치로 이송된다. 전사 위치에서, 전사 롤러(4)가 전사 수단으로서 위치되고, 감광 드럼(9) 상의 현상제 화상은 전사 롤러(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기록 매체(2)는 이송 가이드(3f)를 통하여 정착 수단(5)으로 이송된다. 정착 수단(5)은 내장된 구동 롤러(5c) 및 가열기(5a)를 구비한 정착 롤러(5b)를 가지며, 통과하는 기록 매체(2)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그 후에,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쌍(3g, 3h)에 의하여 역전 통로(3i)를 따라서 배출 트레이(6) 상으로 배출된다. 배출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록 매체(2)를 역전 통로(3i)를 따라 보내지 않고 선회 가능한 플래퍼(3j)를 작동시킴으로써 기록 매체(2)를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픽업 롤러(3b), 이송 롤러쌍(3c, 3d, 3e), 이송 가이드(3f) 및 배출 롤러쌍(3g, 3h)은 몇몇의 다른 부품과 함께 기록 매체(2)용 이송 수단(3)을 구성한다.
현상제 화상을 전사 롤러(4)에 의하여 기록 매체(2)로 전사한 후에, 감광 드럼(9)은 세척 수단(17)에 의하여 잔류 현상제가 제거되고 다음의 화상 형성 과정으로 들어간다. 세척 수단(17)은 감광 드럼(9)과 접하여 감광 드럼(9)으로부터 잔류 현상제를 긁어내어 제거된 현상제 저장소(17b) 내로 수집하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7a)를 갖는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A)에 탈착식으로 부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장치 유닛(19)과 감광 유닛(20)으로 구성된다. 현상 장치 유닛(19) 내에서, 현상 슬리브(11) 및 현상 블레이드(12)와 같은 현상 수단을 갖는 현상 용기(13)와,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 용기(14)가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도록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감광 유닛(20)은 감광 드럼(9), 세척 블레이드(17a)를 포함하는 세척 수단(17), 및 대전 롤러(10) 등이 부착되어 있는 드럼 프레임 몸체(18)를 갖는다. 현상 장치 유닛(19)과 감광 유닛(20)은 하나로 합체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으로부터 좌측 측면 커버(37)와 우측 측면 커버(38)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로 만들어진다. 도2에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각각 도면 부호 51 및 52로 표시되어 있다. 전극들은 현상제량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측정용 전극 부재로 사용되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전극(51) 및 제2 전극(52)은 각각 접속부(51a, 52a)에 연결되고, 접속부(51a, 52a)들은 좌측 측면 커버(37)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3 참조).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외부 사시도이다. 도3에서, 도면 부호 3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상 용기(13)와 현상제 저장 용기(14)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현상제 밀봉 부재를 표시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제 저장 용기(1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저장부, 즉 현상제 저장부(14a, 14b)들로 구성된다. 현상제가 저장부(14b)로부터 펌핑되는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바닥 격벽(14c)이 현상제 저장부(14a, 14b)들의 바닥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있다. 현상제는 바닥 격벽(14c) 위에 형성된 개구부(14d)를 통하여 현상제 저장부(14b)로부터 현상제 저장부(14a)로 공급된다. 현상제 저장부(14a, 14b)들은 각각 그 안에 교반 부재(15-1, 15-2)를 갖는다. 현상 용기에 인접한 현상제 저장 부재(14a) 내의 교반 부재(15-1)는 교반 부재(15-2)에 비해 낮은 레벨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제는 자중을 이용하여 개구부(14d)를 통과한 후에 원활하게 운반될 수 있다.
교반 부재(15-1, 15-2)들은 각각 회전식 로드 부재(15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로 형성된 탄성 시트(15b), 및 클램프 부재(15c)로 구성된다. 탄성 시트(15b)는 나사를 가지고 또는 부착, 용접, 열 코킹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회전식 로드 부재(15a)에 체결된다.
현상제 저장부(14b) 내의 교반 부재(15-2)는 현상제 저장부(14b)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도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며 현상제를 개구부(14d)를 통하여 현상제 저장부(14a) 내로 보낸다. 그 다음 현상제 저장부(14a) 내의 교반 부재(15-1)는 현상제 저장부(14a)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도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며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통하여 현상 용기(13) 내로 보낸다. 교반 부재(15-1)의 회전 각속도가 ω1으로 주어지고 교반 부재(15-2)의 회전 각속도가 ω2로 주어지면, ω1은 ω2보다 크게 설정된다 (ω1 > ω2). 따라서, 현상 용기(13)에 인접한 현상제 저장부(14a) 내의 교반 부재(15-1)의 더 빠르게 설정된 회전 각속도(ω1)는 현상제를 현상 슬리브(11)에 공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현상 용기(13)에서 훨씬 상류측에 있는 교반 부재(15-2)의 회전 각속도(ω2)는 느리기는 하지만 현상제 저장부(14a)로의 현상제의 공급을 중단시킬 만큼 느리지는 않게 설정된다. 이는 현상 슬리브(11)로부터 먼 위치에서 과도한 교반으로 인한 현상제의 열화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ω1은 ω2보다 두 배정도 크다. 그러나, 교반 부재들의 위상이 초기에 정렬되지 않도록 선택된다면, ω1을 ω2의 정수 배로 설정하는 것은 교반 부재들의 위상이 상호 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피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현상제 저장 용기(14)는 바닥 격벽(14c)에 의하여 두 개의 현상제 저장부(14a, 14b)로 분할된다. 현상제 저장부(14a, 14b)들은 그들 각각의 교반 부재(15-1, 15-2)를 이용하여 현상제를 바닥 격벽(14c)의 높이까지 펌핑하고, 이에 의해 현상제의 중량을 분산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송 중의 현상제의 태핑으로 인한 토크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류측 교반 부재(15-1)는 개구부(14d)를 통하여 하류측 현상제 저장부(14a)로 보내지는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류측 교반 부재(15-2)에 비해 낮게 위치된다. 하류측 교반 부재(15-1)의 회전 각속도가 더 빠르게 설정되어 (ω1 > ω2) 현상 슬리브(11)에서 훨씬 상류측에 있는 현상제 저장부(14b) 내에서의 과다한 교반을 방지하고, 따라서 현상제의 열화 및 과공급이 회피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하류측 현상제 저장부(14a) 내에서의 현상제의 순환을 개선시키며 현상제의 현상 슬리브(11)로의 공급을 안정화시킨다.
위와 같이 구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A)의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부착부(8)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부착부(8) 내에, 안내 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위치 설정 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각의 측벽 표면 상에 형성된 안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안내 및 도입하기 위하여 장치 본체의 각각의 측벽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 설정 수단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 부착부(8)의 측벽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부착되면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제1 전극(51) 및 제2 전극(52)에 각각 연결되는 전기 접속부(53, 54)를 갖는다 (도6, 도7 및 도10 참조). 전기 접속부(53, 54)들은 그들의 위치가 각각 접속부(51a, 52a)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도어(7)가 개방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카트리지 부착부(8)에 부착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속부(51a)는 전기 접속부(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속부(52a)는 전기 접속부(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 용기(14)를 밀봉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하게 되는 시점까지 현상제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저장 용기(14)와 현상 용기(13)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현상제 밀봉 부재(30)가 도4, 도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현상제 저장 용기(14)를 밀봉하도록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 용기(14)와 현상 용기(13)를 서로로부터 분리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되게 되면 제거된다.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알루미늄(Al) 필름의 각각의 측면 상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형성하고 부착면 상에 가온 용융 층(밀봉 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적층물이다. 도4,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차단하기 위하여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의 주연 영역에 접착된다. 현상제 밀봉 부재(30)에서, 적층된 PET 필름들 중 한 층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단부 및 하단부의 노치(30c)를 갖는다. 노치(30c)는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뜯어내어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개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개구부 작업을 통하여,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노치(30c)들을 따라 뜯겨서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개방한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종방향에서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보다 두 배이상으로 길고, 그의 길이의 대략 절반은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차단하기 위하여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의 주연 영역에 접착되어 있다. 현상제 밀봉 부재(30)의 나머지, 즉 접착되지 않은 부분은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의 종방향으로의 일단부에서 후방으로 접혀서,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차단하는 현상제 밀봉 부재(30) 부분과 중첩하여, 타단부로부터 외부로 이어진다.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의 주연 영역에 접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구비한 현상제 저장 용기(14)가 현상 용기(13)와 합체되면,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현상제 저장 용기(14)에 대향한 현상 용기(13)의 일면의 종방향의 각각의 단부에 접착된 펠트 또는 다른 탄성 밀봉 재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가압된다. 또한, 현상제 저장 용기(14)와 현상 용기(13) 사이로 연장되어 외부로 이어지는 일 단부(30b, 파지 단부)가 손잡이로 사용되는 파지 부재(14p)에 부착된다. 파지 부재(14p)와 현상제 저장 용기(14)는 일체로 형성되고, 파지 부재(14p)가 현상제 저장 용기(14)에 연결되는 이음부(14q)는 파지 부재(14p)가 현상제 저장 용기(14)로부터 절단될 수 있도록 매우 얇게 만들어진다 (도3 및 도9a 내지 도9c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포장될 때, 파지 부재(14p)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키고 포장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대략 90°로 구부러진다 (도3 및 도9a 참조).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사용되기 직전에, 사용자는 현상제 밀봉 부재(30)의 파지 부재(14p)를 당겨서 얇은 이음부(14q)로부터 파지 부재(14p)를 절단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도9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서 노치(30c)를 따라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뜯어낸다.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가 이러한 방식으로 개방된다.
다음으로, 현상제가 소비되는 동안 연속적으로 현상제 저장 용기(14) 및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인 현상제량 검출 수단(현상제 잔량 검출 수단)이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량 검출 수단은 도6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용기(13) 및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저장부(14a) 내의 현상제량 검출부를각각 구성하는 측정용 전극 부재인 제1 전극(51) 및 제2 전극(52)을 갖는다.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은 교반 부재(15-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교반 부재(15-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위치 관계는 교반 부재(15-1)의 탄성 시트(15b)가 적어도 제2 전극(52)에 접하여 전극의 표면을 문지르게 한다.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은 현상 슬리브(11)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다란 형태를 가지며 스테인리스 스틸 판과 같은 전도성 부재로부터 형성된다. 전극용으로 채용될 수 있는 전도성 재료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US), 철, 인동, 알루미늄 및 전도성 수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자성 현상제의 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비자성 SUS와 같은 비자성 금속 재료가 양호하다.
현상 슬리브(11), 제1 전극(51) 및 제2 전극(52)은 현상제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측정 전극들이고, 현상 바이어스 인가 수단(61)이 현상 슬리브(11)에 전압을 인가한다. 결과적으로, 커패시턴스가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에서 그리고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에서 각각 유도된다. 그 다음 제2 전극(52)에 연결된 검출 수단(60)이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여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한다. 더욱이,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도록 제1 전극(51)에 연결된 검출 수단(60')에 의하여 측정된다. 이들 두 검출 결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의 현상제의 양이 매우 정확하게 검출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제량 검출 수단에서 사용되는 검출 회로의 예가 도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7에서, 현상제량 검출부(50)는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에서 현상제량에 따라 변하는 커패시턴스(Ca)를 가지며, 전기 접속부(52a) 및 전기 접속부(54)를 통하여 현상제량 검출 회로(100)의 제어 회로(10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전극(52)에 연결된 접속부(52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측면 커버(37) 상에 위치되고, 전기 접속부(54)는 장치 본체 측면의 카트리지 부착부(8) 상에 위치된다. 기준 커패시턴스 요소(Cb)가 현상 바이어스 회로(101)에 연결되어, 현상 바이어스 회로(101)를 통하여 인가되는 교류 전류(AC 전류, I1)를 이용하여 현상제량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 전압(V1)을 설정한다. 물론, 현상 바이어스 회로(10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장치 본체 내에 위치된 접점(104)과 현상 슬리브(11)의 전기 접점(11a)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도록 현상 슬리브(11)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제어 회로(102)는 설정 전압(V3)에 AC 전류(I3) 및 전압 강하(V2)를 더하여 기준 전압(V1)을 결정한다. AC 전류(I3)는 볼륨(VR1)에 의하여 기준 커패시턴스 요소(Cb), 즉 기준 임피던스 요소에 인가된 AC 전류(I1)를 분로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전압 강하(V2)는 저항(R2)에서 일어난다. 설정 전압(V3)은 저항(R3, R4)에 의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현상제량 검출부(50)에 인가된 AC 전류(I2)는 증폭기 회로(103)로입력되어 현상제량 검출값(V4, V4= V1- I2x R5)으로서 출력된다. 출력값(V4)은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잔류 현상제량의 검출값으로서 사용된다.
현상제량 검출부(50')는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에서 현상제량에 따라 변하는 커패시턴스(Ca')를 가지며, 전기 접점(51a, 53)을 통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회로 구조를 갖는 제어 회로(102')에 연결된다. 궁극적으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잔류 현상제량의 검출값은 제어 회로(102')에 연결된 증폭기 회로(103')에 의하여 출력된다. 여기서, 제1 전극(51)에 연결된 접속부(51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측면 커버(37) 상에 위치되고, 전기 접속부(53)는 장치 본체 측면의 카트리지 부착부(8) 상에 위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현상제량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과 현상제량 사이의 관계가 도8에 도시되어 있고, 현상제량이 감소됨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이 커패시턴스는 낮아지고 검출 전압 레벨은 상승된다. 이러한 특징은 제1 전극(51) 및 제2 전극(52)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 전압에도 적용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제량 검출 수단에 의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의 현상제량이 크면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에 있는 공간 내에 충분한 현상제가 있다. 또한,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는 현상제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현상제 레벨을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교반 부재(15-1)에 의하여 교반된다. 그러므로, 현상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높은 레벨에서 안정되게 유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사용함으로써 현상제가 소비됨에 따라,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의 레벨이 감소된다. 현상제 레벨의 감소에 수반하여,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커패시턴스 또한 감소된다. 이는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저장부(14a) 내의 현상제량이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상제가 더욱 소비되어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에 남아있는 현상제가 없으면,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측정되어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제의 양의 변화, 즉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제의 양을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검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잔류 현상제량의 검출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그의 사용 수명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은 그들이 교반 부재(15-1)를 사이에 두고 제2 전극(52)과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교반 부재(15-1)에 의하여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를 계속적으로 교반하여 현상제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이에 의해 현상제 레벨을 안정되게 유지한다. 더욱이, 교반 부재(15-1)의 탄성 시트 부재(15b)는 적어도 제2 전극(52)에 접하여 제2 전극(52)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를 긁어낸다. 그러므로, 잔류 현상제량은 항상 안정되고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커패시턴스 및 현상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부착부(8)에 부착되고 화상 형성 장치(A)가 작동된 후에 현상제가 소비됨에 따라 잔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검출된다. 검출된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하여, 소비된 현상제의 양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보충용 현상제 카트리지를 준비하도록 권고하기 위하여 표시되며, '현상제 없음'이라는 검출 정보는 사용자에게 오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체하거나 오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표시된다.
다음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의 실시예가 도9a 내지 도9c,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밀봉 부재(30)는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의 주연 영역에 접착되어 있고, 외부로 이어지는 단부(30b, 파지 단부)는 그에 부착된 파지 부재(14p)를 갖는다. 파지 부재(14p)와 현상제 저장 용기(14)는 일체로 형성되며 파지 부재(14p)는 도3 및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로 구부러져 있다. 현상제 밀봉 부재(30)의 파지 부재(14p)는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사용되기 직전에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서 절단되고, 사용자는 파지 부재(14p)를 도9b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당긴다. 이렇게 노치(30c)를 따라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뜯어내어 현상제 밀봉 부재(3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지고, 이에 의해 현상제 저장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개방한다. 현상제 저장 용기(14)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통하여 현상 용기(13) 내로 공급되어 사용될 준비가 된다.
이러한 현상제 밀봉 부재(30)로 인하여, 사용자는 스스로 밀봉을 파괴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떼내는 것을 잊고 현상제 밀봉 부재(30)가 여전히 현상제 공급 개구부(14e)를 차단한 상태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삽입하게 되면, 화상 형성 장치가 출력 작업을 수행할 때 화상 출력이 얻어지지 않으며 이는 토크 상승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예로 들면,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삽입되기 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떼내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가 작동되면, 위에서 설명된 교반 부재(15-1)의 축방향 토크가 개시 시에 2 N·m의 값만큼 커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부착되기 전에 현상제 밀봉 부재(30)가 떼내진 정상 작동 시에는, 개시 축방향 토크는 약 0.7 N·m로 상당히 감소되며, 이는 약 65% 감소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떼내지 않고서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위에서 설명된 현상제 검출 수단의 전기 접점들 사이의 전도가 구조적으로 차단된다. 이러한 구조는 뜻하지 않게 현상제량 검출값으로부터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검출하여 통지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이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특별한 검출 부재를 새로이 추가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30)의 존재 또는 부재는 현상제 잔량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되는 각각의 전극의 검출 전압의 전압 레벨로부터 검출된다. 전압 레벨에 기초한 이러한 검출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기 접속부(54)와 카트리지의 접속부(52a)를 서로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으며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떼냄으로써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지 부재(14p)는 제2 전극(52)에 연결된 접속부(52a)를 덮어서 차폐시키는 부재로서 특별히 채용된다.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현상제 밀봉 부재(30)의 단부(30b, 파지 단부)에 부착된 파지 부재(14p)는 도3 및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52a)를 덮도록 구부러져 있다. 접속부(52a)는 제2 전극(52)을 검출 수단(60)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며 좌측 측면 커버(37) 상에 위치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러한 상태 (즉,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떼내지 않은 상태)로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제1 전극(51)에 연결된 접속부(51a)는 장치 본체 측면 상의 전기 접점(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파지 부재(14p)가 제2 전극(52)에 연결된 접속부(52a)와 장치 본체 측면 상의 전기 접점(54) 사이에 개재되어 접속부(52a)와 전기 접점(54)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킨다.
접속부(52a)는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재(14p)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부착시킬 준비로 위로 당겨져 절단되어 도9b에 도시된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당겨져서 현상제 밀봉 부재(30)를 떼낸 직후에 최초로 노출된다. 접속부(52a)가 노출된 채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에 부착시킴으로써, 제1 전극(51)에 연결된 접속부(51a)는 장치 본체 측면 상의 전기 접속부(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제2 전극(52)에 연결된 접속부(52a)는 장치 본체 측면 상의 전기 접속부(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의 검출과 함께 시작하여 인쇄 준비로 종료되는 작업이 도11a 및 도11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우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고 (단계 F101), 전원 공급 스위치가 켜지거나 도어 스위치가 켜진다 (단계 F102). 이는 우선 CPU가 현상 AC를 켜는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현상 AC가 인가된다 (단계 F103). 결과적으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되고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된다 (단계 F104).
이 때, 현상제 밀봉 부재(30)가 장치 본체에 부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지지 않았다면, 현상제는 현상 용기(13) 내의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공간 내로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제량 검출 수단 내의 제1 전극(51)에서 검출된 검출 전압은 도8에 도시된 "현상제 없음 레벨(x)"에 있다.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검출 전압에 대하여, 제2 전극(52)의 검출 회로는 제2 전극(52)의 접속부(52a)와 장치 본체 측면 상의 전기 접속부(54)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재(14p)에 의하여 서로로부터 차단되고 절연되어 있으므로 접속부(52a)와 전기 접속부(54)가 개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검출 회로는 도8의 "카트리지 없음 레벨(y)"의 전압을 검출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검출 전압이 "현상제 없음 레벨(x)"에 있으며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검출 전압이 "카트리지없음 레벨(y)"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현상제 밀봉 부재(30)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검출되고 그렇게 판단된다. 이후의 작업은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전압 및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전압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현상제 없음 레벨(x)" 및 "카트리지 없음 레벨(y)"이 검출되지 않으면, 카트리지의 존재 및 현상제의 존재가 확인되어 정상적인 복수의 전방 회전을 시작한다 (단계 F109). 그 후에, 주모터가 켜지고 (단계 F110), 대전 AC가 켜지고 (단계 F111), 현상 AC가 켜진다 (단계 F112). 단계(F113)에서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되고, 단계(F114)에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된다. 제1 전극(51) 측의 검출 출력이 현상제가 없는 것을 알려주면, "현상제 없음"이 단계(F117)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검출 출력이 현상제가 있는 것을 알려주면, 작업은 (네거티브 전사가 켜지는) 단계(F115)로 진행하고 장치는 준비 상태로 들어간다.
"현상제 없음 레벨(x)" 및 "카트리지 없음 레벨(y)"이 단계(F104)에서 검출되면, 단계(F105)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현상제 밀봉 부재 존재"가 단계(F106)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것을 통지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계(F107)에서 장치 본체로부터 꺼내진다. 현상제 밀봉 부재가 단계(F108)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진 후에, 작업은 단계(F101)로 복귀하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제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부착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 내의 두 접속부들 중 하나가 특히 현상제 밀봉 부재의 파지 부재로 접속부를 덮음으로써 차폐되어 장치 본체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차폐된 접속부의 검출 전압 레벨과 다른 접속부의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가 검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저렴한 구조로 단시간 내에 검출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지시하기 때문에, 특별한 검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이 제2 전극(52)에 대한 접속부(52a) 및 전기 접속부(54)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접속부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설명된 파지 부재(14p)를 떼내지 않은 채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접속부가 그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도록 구조적으로 덮이는 한 임의의 다른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어진 설명에서, 파지 부재는 현상제 밀봉 부재와는 별도의 부재이다. 그러나, 파지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 부재는 파지 부재가 측면 커버로부터 절단되게 하는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된 측면 커버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식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것은 또한 장치의 운송 이전에 화상 형성 장치와 함께 포장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통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사용성을 개선시킨다.
다음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는 접속부를 차폐시키지 않고서 단지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위에서 설명된 현상제 잔량 검출 방법에 의하여 검출된다. 요컨대, 본 실시예는 전극에 연결된 접속부가 현상제 밀봉 부재(30)의 파지 부재(14p)로 덮이지 않는 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르지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나머지, 현상제 잔량 검출 회로, 및 현상제 잔량 검출 출력 특성의 구조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하의 설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의 검출로부터 인쇄 준비까지의 작업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여 주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고 (단계 G101), 전원 공급 스위치가 켜지거나 도어 스위치가 켜진다 (단계 G102). 이는 CPU가 현상 AC를 켜는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현상 AC가 인가된다 (단계 G103). 결과적으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된다 (단계 G104). 이후의 작업은 이러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카트리지 없음 레벨(y)"(도8)의 전압이 검출되면, "카트리지 없음"이 단계(G119)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카트리지의 존재를 표시하는 레벨의 전압이 단계(G104)에서 검출되면,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단계(G105)에서 검출된다. 이후의 작업은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변화된다. "현상제 없음레벨(x)"(도8)이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복수의 전방 회전이 시작된다 (단계 G110). 그 후에, 주모터가 켜지고 (단계 G111), 대전 AC가 켜지고 (단계 G112), 현상 AC가 켜진다 (단계 G113). 단계(G114)에서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되고, 단계(G115)에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된다. 제1 전극(51) 측의 검출 출력이 현상제가 없는 것을 알려주면, "현상제 없음"이 단계(G118)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검출 출력이 현상제가 있는 것을 알려주면, 작업은 (네거티브 전사가 켜지는) 단계(G116)로 진행하고 장치는 준비 상태로 들어간다.
단계(G105)에서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 잔량의 검출로부터 "현상제 없음 레벨(x)"이 검출되면, 단계(G106)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현상제 밀봉 부재 존재"가 단계(G107)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지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계(G108)에서 장치 본체로부터 꺼내진다. 현상제 밀봉 부재가 단계(G109)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진 후에, 작업은 단계(G101)로 복귀하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제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접속부를 차폐시키는 부재를 제공하지 않고서 현상제 잔량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검출은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저렴한 구조에 의하여 단시간 내에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지시하기 때문에, 특별한 검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현상제밀봉 부재가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13a 및 도13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2a 및 도12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는 단지 현상제량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검출된다. 본 실시예는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가 현상제량 검출 전압 레벨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착된 저장 매체인 메모리의 내용으로부터 검출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 몸체 상에 제공된 저장 매체 메모리 장치를 갖는다. 저장 매체 메모리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오래됐는 지 또는 새로운 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카트리지의 로트 번호, 처리 조건 등의 초기값, 사용 상태, 화상 형성 장치 및 처리 수단의 특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즉 현상제 잔량 검출 회로 및 현상제 잔량 검출 출력 특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이하의 설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의 검출로부터 인쇄 준비까지의 작업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13a 및 도13b를 참조하여 주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고 (단계 H101), 전원 공급 스위치가 켜지거나 도어 스위치가 켜진다 (단계 H102). 단계(H103)에서, 카트리지 상의 저장 매체 메모리와의 통신이 시작된다. 이러한 통신을 통하여 카트리지가 없는 것으로 검출되면, "카트리지 없음"이 단계(H120)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카트리지의 존재가 단계(H103)에서 검출되면, 통신이 계속되어 단계(H104)에서 새로운 카트리지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결과가 부착된 카트리지가 새로운 카트리지가 아님을 알려주면,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진 것으로 판단되어 장치는 정상적인 복수의 전방 회전 시퀀스로 들어간다 (단계 H111 내지 H114). 그 다음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단계(H115)에서 검출되고,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단계(H116)에서 검출된다. 제1 전극(51) 측의 검출 결과가 현상제가 없는 것을 알려주면, "현상제 없음"이 단계(H119)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검출 출력이 현상제가 있는 것을 알려주면, 작업은 (네거티브 전사가 켜지는) 단계(H117)로 진행하고 장치는 준비 상태로 들어간다.
새로운 카트리지의 정보가 단계(H104)에서 검출되면, 현상 AC가 인가되고 (단계 H105), 현상 슬리브(11)와 제1 전극(51)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된다 (단계 H106). 이후의 작업은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변화된다. "현상제 없음 레벨(x)"이 검출되지 않으면, 현상제 밀봉 부재가 이미 떼내진 것으로 판단되고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상적인 복수의 전방 회전 시퀀스(단계 H111∼)로 들어간다. 다른 한편으로, "현상제 없음 레벨(x)"이 단계(H106)에서 검출되면, 단계(H107)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현상제 밀봉 부재 존재"가 단계(H108)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지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계(H109)에서 장치 본체로부터 꺼내지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단계(H110)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떼내진다. 그 후에, 작업은 단계(H101)로 복귀하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제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부착된다.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14a 및 도14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는 도13a 및 도13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가 현상제량 검출 전압 레벨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착된 저장 매체인 메모리의 내용으로부터 검출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 내의 두 접속부들 중 하나가 특히 현상제 밀봉 부재의 파지 부재에 의하여 차폐되어 장치 본체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도14a 및 도14b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고 (단계 J101) 전원 공급 스위치가 켜지거나 도어 스위치가 켜진 (단계 J102) 후에, 카트리지 상의 저장 매체 메모리와의 통신이 단계(J103)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통신을 통하여 카트리지가 없는 것으로 검출되면, "카트리지 없음"이 단계(J120)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카트리지의 존재가 단계(J103)에서 검출되면, 통신이 계속되어 단계(J104)에서 새로운 카트리지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부착된 카트리지가 새로운 카트리지가 아니고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장치는 정상적인 복수의 전방 회전 시퀀스로 들어간다 (단계 J111 내지 J114). 새로운 카트리지의 정보가 단계(J104)에서 검출되면, 현상 AC가 인가되고 (단계 J105),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현상제의 잔량이 검출된다 (단계 J106). 현상 슬리브(11)와 제2 전극(52) 사이의 검출 전압에 대하여, 제2 전극(52)의 검출 회로는 제2 전극(52)의 접속부(52a)와 장치 본체 측면 상의 전기 접속부(54)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재(14p)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므로 접속부(52a)와 전기 접속부(54)가 개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 바꾸어 말하면, 검출 회로는 도8의 "카트리지 없음 레벨(y)"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후의 작업은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서 변화된다. "카트리지 없음 레벨(y)"이 검출되지 않으면,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진 것으로 판단되고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상적인 복수의 전방 회전 시퀀스(단계 J111∼)로 들어간다. 다른 한편으로, "카트리지 없음 레벨(y)"이 단계(J106)에서 검출되면, 단계(J107)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있는 것 (즉, 현상제 밀봉 부재가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현상제 밀봉 부재 존재"가 단계(J108)에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지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계(J109)에서 장치 본체로부터 꺼내지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단계(J110)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떼내진다. 그 후에, 작업은 단계(J101)로 복귀하고 현상제 밀봉 부재가 제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부착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착된 저장 매체 메모리 내의 정보 및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장치는 검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장치가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지시하기 때문에 특별한 검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지하기 위하여 생각할 수 있는 수단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의 표시부 내에 "현상제 밀봉 부재 존재"를 표시하는 것 이외에도, "현상제 밀봉 부재를 당기시오" 또는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지시하는 다른 유사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과 경고 램프 등을 발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알려주는 메시지 또는 필요한 작업(밀봉부를 떼내는 작업)의 세부 사항의 설명이 화상 출력용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등의 스크린 상에 표시되면 더욱 쉽게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전극에 연결된 접속부들 중 하나가 특히 현상제 밀봉 부재의 파지 부재에 의하여 차폐되어 접속부를 덮어서 장치 본체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구조를 채용한다. 이는 본 실시예의 장치가 차폐된 접속부의 검출 전압 레벨 및 다른 접속부의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저렴한 구조를 사용하여 검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 내의 적어도 두 개의 전극에 의하여 검출된 현상제량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출은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접속부를 차폐시키는 부재를 제공하지 않고서 저렴한 구조에 의하여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부착된 저장 매체 메모리의 정보 및 현상제량 검출 수단의 검출 전압 레벨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시간이 훨씬 더 단축될 수 있다.
현상제 밀봉 부재의 존재가 검출되면, 사용자는 그 사실을 통지 수단에 의하여 통지받고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낼 것을 권고받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제 밀봉 부재가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검출 부재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장치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면, 파지 부재 또는 현상제 밀봉 부재는 측정용 전극 부재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검출 수단으로 중계하기 위한 접속부를 덮는다. 그러므로,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가 반드시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용 검출 수단 대신에 현상제 저장 용기 및 현상제 프레임 몸체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를 반드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기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현상제 밀봉 부재가 떼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지하고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도록 권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뜻하지 않게 떼내지지 않고 제 위치에 남아있는 현상제 밀봉 부재를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검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로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는 접속부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 상에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접속부는 커버 부재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접속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파지부와 현상제 저장 용기는 일체로 형성되고,
    파지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구부러지면서 파지부가 현상제 저장 용기로부터 절단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파지부와 커버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파지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구부러지면서 파지부가 커버 부재로부터 절단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파지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구부러지면서 접속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파지부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측정용 전극 부재는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위치된 제1 전극부와, 현상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현상 프레임 몸체 내에 위치된 제2 전극부를 갖고,
    접속부는 제1 전극부에 연결된 제1 접속부와, 제2 전극부에 연결된 제2 접속부를 갖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4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파지부와 현상제 저장 용기 사이에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이음부는 파지부 및 현상제 저장 용기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5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파지부와 커버 부재 사이에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이음부는 파지부 및 커버 부재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현상 장치이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로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현상 장치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는 접속부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현상 장치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 상에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접속부는 커버 부재 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접속부는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에서 현상제 밀봉 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파지부와 현상제 저장 용기는 일체로 형성되고,
    파지부는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구부러지면서 파지부가 현상제 저장 용기로부터 절단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파지부는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구부러지면서 접속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파지부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측정용 전극 부재는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위치된 제1 전극부와, 현상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현상 프레임 몸체 내에 위치된 제2 전극부를 갖고,
    접속부는 제1 전극부에 연결된 제1 접속부와, 제2 전극부에 연결된 제2 접속부를 갖고,
    현상 장치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덮어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현상 장치는 파지부와 현상제 저장 용기 사이에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이음부는 파지부 및 현상제 저장 용기보다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탈착식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본체 전기 접점과,
    (ⅱ) 검출 수단과,
    (ⅲ)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와,
    (ⅳ) 부착부에 부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ⅴ)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로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 수단이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로 덮여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탈착식 현상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ⅰ) 본체 전기 접점과,
    (ⅱ) 검출 수단과,
    (ⅲ) 현상 장치가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와,
    (ⅳ) 부착부에 부착되는 현상 장치와,
    (ⅴ)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의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하며 현상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부를 갖는 현상제 저장 용기와,
    현상제가 현상제 밀봉 부재로 공급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저장 용기 내에 밀봉되고 공급 개구부로부터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현상 부재에서 이용되도록 현상제 저장 용기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밀봉 부재와,
    현상제 밀봉 부재를 떼내어 공급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현상제 밀봉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상에 위치된 파지부와,
    현상 장치 내의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용 전극 부재와,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면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 수단이 현상제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현상제의 양에 따라 측정용 전극 부재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본체 전기 접점으로 중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접속부는, 현상 장치가 현상제 밀봉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파지부로 덮여서 접속부와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12183A 2002-02-28 2003-02-27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0501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2730A JP2003255806A (ja) 2002-02-28 2002-02-28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052730 2002-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38A true KR20030071538A (ko) 2003-09-03
KR100501857B1 KR100501857B1 (ko) 2005-07-20

Family

ID=2775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183A KR100501857B1 (ko) 2002-02-28 2003-02-27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4476B2 (ko)
JP (1) JP2003255806A (ko)
KR (1) KR100501857B1 (ko)
CN (1) CN12652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8191B2 (ja) * 2002-03-25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802B2 (ja) * 2002-11-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858875B2 (ja) * 2003-08-25 2006-12-20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19779B2 (ja) * 2003-08-29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94997B1 (ko) * 2003-11-25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341957B2 (ja) 2003-12-25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035516B2 (ja) * 2004-02-27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242255A (ja) * 2004-02-27 2005-09-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把持部材部品
JP4095589B2 (ja) *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16411B2 (ja) * 2005-03-07 2011-07-06 株式会社リコー 装置構造、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681946B2 (ja) * 2005-05-27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740503B1 (ko) * 2005-06-16 2007-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JP4841000B2 (ja) * 2006-12-11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570237B2 (ja) * 2009-03-02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54963B2 (ja) * 2009-10-30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TWI442195B (zh) 2009-12-16 2014-06-21 Canon Kk 製程卡匣、感光滾筒單元、顯像單元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US8422893B2 (en) * 2010-01-21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422908B2 (en) * 2010-01-21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437680B2 (en) * 2010-01-25 2013-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473728B2 (ja) * 2010-03-31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2103354B (zh) * 2011-02-25 2012-09-05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
JP5808233B2 (ja) * 2011-11-29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66809B2 (ja) * 2012-09-21 2016-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79572B2 (ja) * 2012-12-05 2015-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支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4228714A (ja) 2013-05-23 2014-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868456B2 (ja) * 2013-07-12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250567B2 (en) 2013-07-12 2016-02-0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for detecting developer amount based on capacitanc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23090B2 (ja) * 2013-09-24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40400B2 (ja) * 2013-09-24 2018-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369395B (zh) * 2015-12-11 2021-05-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墨粉瓶
JP6628043B2 (ja) * 2016-09-07 2020-01-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ガイドラベル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532B2 (ja) 1992-02-10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768658A (en) 1995-07-21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de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50569B2 (ja) 1996-01-16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72747B2 (ja)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337915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45069B2 (ja) * 1996-07-24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3749B2 (ja) 1996-08-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装置及び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689552B2 (ja) 1997-04-07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フレー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43226A (ja)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US6122458A (en) * 1997-11-12 2000-09-19 Minolta Co., Ltd. Replaceable developer supplying device and replaceable imaging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3083091B2 (ja) * 1997-12-09 2000-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のシール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86555B2 (ja) * 1998-06-05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供給容器
JP2000089567A (ja) 1998-09-11 2000-03-31 Canon Inc シャッタ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530751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752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US6859627B2 (en) 1998-12-28 2005-0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frame
JP3943761B2 (ja) * 1999-06-08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JP3745231B2 (ja) 2000-01-1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671B2 (ja) 2000-04-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26056A (ja) 2000-07-12 2002-01-25 Sony Corp 半田バンプの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587650B2 (en) 2000-07-28 2003-07-0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having developer amount detector
JP3658289B2 (ja) 2000-07-28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2139904A (ja) 2000-10-31 2002-05-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58720A (ja) 2001-03-05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268513A (ja) 2001-03-09 2002-09-20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97168B2 (ja)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19232B2 (ja) 2001-03-0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55806A (ja) 2003-09-10
KR100501857B1 (ko) 2005-07-20
US20030161644A1 (en) 2003-08-28
CN1441326A (zh) 2003-09-10
CN1265254C (zh) 2006-07-19
US6804476B2 (en) 2004-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857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US6512903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a developing device, a process cartridg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ose developer-accommodating-container opening is sealed by a seal member
US6735405B2 (en) Method of remanufacturing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US6625413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587650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having developer amount detector
EP109126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333415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184320A (ja) 画像形成装置
US11693332B2 (en) Toner/developer supply device for separate supply of developer and toner
JP547372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040781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枠体溶着方法
JP3817368B2 (ja)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777864A (ja)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0800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040793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枠体及び現像装置
JP2002132029A (ja) 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2040792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枠体及び現像装置
JPH1123175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1435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89551A (ja)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2002328518A (ja) 現像剤残量検知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板部材
JP2003156903A (ja) 画像形成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90695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9452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3616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