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503B1 -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503B1
KR100740503B1 KR1020050052079A KR20050052079A KR100740503B1 KR 100740503 B1 KR100740503 B1 KR 100740503B1 KR 1020050052079 A KR1020050052079 A KR 1020050052079A KR 20050052079 A KR20050052079 A KR 20050052079A KR 100740503 B1 KR100740503 B1 KR 100740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electronic device
shielding
charging roll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53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503B1/ko
Priority to US11/434,721 priority patent/US7305192B2/en
Publication of KR2006013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03B1/ko
Priority to US11/780,576 priority patent/US739500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47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means; Details thereof, e.g. magnetic pole arrangement of magnetic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소정의 전자소자와; 상기 접촉선과 상기 전자소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상기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전자소자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자소자를 감광드럼과 대전롤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부터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정보저장, 무선통신, 전자파 차폐

Description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카트리지 101: 대전롤러
102: 감광드럼 103: 현상롤러
104: 공급롤러 105: 토너이송수단
106: 클리닝블레이드 107: 블레이드홀더
108: 폐토너저장부 109: 닥터블레이드
110: 블레이드홀더 111: 케이싱
112, 113, 114, 115: 전자소자 200: 화상형성장치 본체
210: 광조사부 220: 전사롤러
본 발명은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소자의 전자파 차폐를 위한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빔 프린터, 팩스,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electrophotographic)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탈찰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트리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11), 감광드럼(12), 현상롤러(13), 토너저장부(14)를 구비하고 있으며, 감광드럼(12)과 화상형성장치 본체(도면 미도시)에 구비된 전사롤러(21)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그 사이에서 이송되는 인쇄용지 상에 토너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카트리지(10)의 토너저장부(14)에 저장된 토너의 양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10)에는 토너의 잔량을 측정 및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전자소자(15)가 구비되기에 이르렀다. 전자소자(15)는 통신소자 및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소자에는 토너잔량 뿐 아니라 카트리지의 사양, 출력조건 등의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전자소자(15)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통신하면서 정보의 제공, 데이터의 기록 및 갱신 등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카트리지의 소형화, 유선접점의 문제 개선 등을 위해 무선통신방식의 전자소자(15)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통신방식의 전자소자(15)에 의할 경우에는 전자파 장애로 인한 노이즈 발생으로 인해 전자소자 (15)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손상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2002년 8월 20일자로 공개된 미국특허 제6,438,327호 "PROCESS CARTRIDGE HAVING STORAGE DEVICE WHICH COMMUNICATES WITH IMAGE FORMING APPARATUS"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카트리지(10) 내에서의 소정의 부착 위치를 가지는 전자소자(15)를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파가 발생되는 주요 지점으로서 감광드럼(12)과 인접롤러들(11, 13, 21) 간의 접촉선(P1, P2, P3)을 지적하고, 이들 모두로부터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위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저장부(16)의 내측벽 일 지점에 전자소자(15)를 부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전자파의 직진성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반사(Reflection), 산란(Scattering), 회절(Diffraction)과 같은 전자파의 기타 특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한편, 카트리지(10) 내에서의 전자파 발생은, 접촉선(P1, P2, P3) 중에서도 가장 큰 전압이 인가되는 대전롤러(11)와 감광드럼(12) 간의 접촉선(P1)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전자소자(15)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전자파 노이즈는 대전롤러(11)에 가해지는 대전전압으로서 교류전압이 인가될 때 주로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특허에 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대전롤러(11)와 감광드럼(12) 간의 접촉선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반사, 산란, 회절 등으로 인한 전자소자(15)의 데이터 손상이 여전히 문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구비되는 전자소자를 감광드럼과 대전롤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부터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류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소정의 무선통신용 전자소자와; 상기 접촉선과 상기 전자소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상기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전자소자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상기 차폐부재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면에 걸치도록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롤러 및 상기 감광드럼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싱은 각각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만나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복수의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경사각이 가장 작은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접촉선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전자소자의 투영면 적이 최소가 되는 자체 회전각도로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차폐영역의 둘레로 소정 폭의 추가차폐영역을 더 형성하도록 차폐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차폐보강부는 상기 차폐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닥터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을 규제하는 금속재질의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닥터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금속재질의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닥터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의해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이 차폐되어 형성되는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 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의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대전롤러, 상기 감광드럼, 상기 현상롤러, 상기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블레이드 및 상기 클리닝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금속재질의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의해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이 차폐되어 형성되는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의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대전롤러, 상기 감광드럼, 상기 클리닝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갖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대전롤러 간의 접촉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무선통신용 전자소자와; 상기 접촉선과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상기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가 위치하도록 마련된 금속재질의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는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상기 차폐부재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면에 걸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대전롤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전롤러에는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100)는 레이저빔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101), 대전롤러(101)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감광드럼(102), 감광드럼(102)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현상롤러(103), 현상롤러(103)의 일측에 구비된 토너저장부(104)를 포함한다.
대전롤러(101)에는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도 2의 200)로부터 대전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101)에 인가된 대전전압은 대전롤러(101)와 접촉회전하는 감광드럼(102)의 표면을 일정한 전압으로 대전시킨다. 대전전압은 교류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감광드럼(102)의 일단부는 접지전극(도면 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감광드럼(102)의 대전된 표면에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에 마련된 광조사부(laser scanning unit, 2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수용되어 이미지 잠상(latent image)이 형성된다.
감광드럼(102)의 표면 중 이미지 잠상이 형성된 부분은, 기타 부분과는 다른 표면전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표면에 일정 두께의 토너가 부착된 현상롤러(103)가 감광드럼(102)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감광드럼(102) 표면의 상기 이미지 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현상롤러(103)측의 토너가 이전되어 현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 과정은 감광드럼(102)과 현상롤러(103)의 접촉을 반드시 요하는 것은 아니다.
현상롤러(103)에의 토너 공급은 이와 접촉회전하는 공급롤러(104)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급롤러(104)로는 소정의 토너이송수단(105)에 의해 토너가 공급된다.
현상롤러(103)에 의해 표면에 토너 이미지가 현상된 감광드럼(102)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 측에 마련된 전사롤러(220)와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감광드럼 (102)과 전사롤러(22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1) 상에 토너 이미지를 전사(transfer)시킨다.
전사롤러(220)에는 소정의 전사전압이 인가되며, 감광드럼(102) 상의 토너 이미지는 상기 전사전압으로 인한 전기력에 의해 인쇄용지(1) 상에 전사된다.
토너 이미지가 전사된 인쇄용지(1)는 이후 정착기(fusing device, 230)를 통과하면서 토너가 정착된 후, 배지롤러(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광드럼(102)의 좌측에는 감광드럼(102)에 마찰접촉되어 감광드럼(102)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블레이드(106)와, 클리닝블레이드(106)의 일단부를 고정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107)가 구비되어 있다.
클리닝블레이드(106)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감광드럼(102) 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클리닝블레이드(106)에 의해 제거된 토너는 폐토너저장부(108)에 축적된다. 클리닝블레이드(106)에 의해 표면이 청소된 감광드럼(102)은 다시 대전롤러(101)에 의해 일정한 표면전압으로 대전된다.
또한, 도 3에서 현상롤러(103)의 우측에는 현상롤러(103)에 마찰접촉되어 현상롤러(103)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층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109)와, 닥터블레이드(109)의 일단부를 고정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110)가 구비되어 있다.
닥터블레이드(109)는 탄성재질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상롤러(103) 표면의 토너층을 일정하게 규제함으로써, 현상롤러(103)로부터 감광드럼 (102)으로 현상되는 토너의 양이 일정하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2개의 블레이드홀더(107, 110)는 모두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기 카트리지(100)의 케이싱(111)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한편, 폐토너저장부(108)측의 케이싱(111) 외측 표면에는 소정의 전자소자(112)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소자(112)는 카트리지(100)의 정보, 토너잔량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소자와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통신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소자(11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측에 마련된 통신장치(도면 미도시)와 무선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면서 데이터의 기록, 저장, 갱신 등을 수행하고, 카트리지(10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거나 화상형성장치 본체(200) 기타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소자(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롤러(101)와 감광드럼(102) 간의 접촉선(Q)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금속재질인 블레이드홀더(107)는 접촉선(Q)과 전자소자(112)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선(Q)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부터 전자소자(112)를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전자소자(112)를 전자파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107) 외에 카트리지(100) 내에 별도로 구비되는 판상의 금속재에 의할 수도 있으며, 케이싱(111)의 전부 또는 일부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케이싱(111)에 의해 전자소자(112)로 전달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킬 수도 있다.
도 3에서, 블레이드홀더(107)에 의해 접촉선(Q)으로부터 전자파가 차폐되는 차폐영역은 L1 및 L2를 경계면으로 한다. 또한, 전자소자(112)는 접촉선(Q)으로부터 블레이드홀더(107)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면(C)에 걸치도록 위치된다. 이에 의해, 전자소자(112)는 차폐영역(A) 내에서도 양측 경계면(L1, L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소자(112)는 별도로 마련된 고정부재(도면 미도시)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차폐영역(A)은 대전롤러(101)와 감광드럼(102) 간의 접촉선(Q)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의 직진성분이 차단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그러나, 전자파의 반사, 산란, 회절 등의 특성으로 인해, 차폐영역(A)의 경계면(L1, L2) 부위에 위치한 소정 영역의 테두리부(B1, B2)에는 전자파의 영향이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소자(112)는 이러한 전자파의 영향을 충분히 배제할 수 있는 공간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소자(112)는 차폐영역(A)의 중심면(C)에 걸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전자파의 영향을 최대한 회피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러한 전자소자(112)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위해서는, 블레이드홀더(107)의 둘레부에 소정의 차폐보강부(도면 미도시)를 부가 형성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홀더(107)의 둘레부에 차폐보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차폐영역(A)의 둘레로 소정 폭만큼의 추가차폐영역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전자소자(112)의 전자파 차폐효과는 증대된다. 상기 차폐보강부는 블레이드홀더(107)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홀더(107)에 별도의 부재를 덧붙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차폐보강부는 블레이드홀더(107)와 별개로 구비된 차폐부재에 일체로 혹은 덧붙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계면(L1, L2)을 넘어 차폐영역(A) 내부로 침투하는 전자파가 전자소자(112)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자소자(112)의 고정위치 뿐 아니라 고정각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즉, 접촉선(Q)을 중심으로 한 전자소자(112)의 투영면적이 최소가 되는 자체 회전각도로 위치고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1)의 좌측단 내벽면에 부착된 전자소자(113)를 가정한다면 접촉선(Q)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이를 달리 표현하면 전자소자(113)가 차지하는 각도량(α))이 크므로 그만큼 반사, 산란 또는 회절되는 전자파의 영향이 크게 미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싱(111)의 상측단 내벽면에 부착된 전자소자(112)일 경우에는 접촉선(Q)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이때 전자소자(112)가 차지하는 각도량은 β임)이 작으므로 이러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소자(112)를 케이싱(111)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개념을 적용하여, 접촉선(Q)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케이싱(111)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투영면적의 최소화를 위해 전자소자(112)와 케이싱(111)면 사이에 전자소자(112)의 자체 회전각도 조정을 위한 부착매개물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닥터블레이드(109)와 블레이 드홀더(110)에 의해 접촉선(Q)이 차폐되는 차폐영역(D) 내부에 전자소자(114)가 위치한다.
차폐영역(D)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경계면(L3, L4) 부위에 전자파의 반사, 산란, 회절 등의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테두리부(B3, B4)를 설정하고, 전자소자(114)는 이러한 전자파의 영향을 충분히 배제하기 위해 차폐영역(D) 내의 테두리부(B3, B4)를 제외한 부분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전자소자(114)가 토저저장부(104)측 케이싱(111)의 일 표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전자소자(114)의 차폐 보강을 위한 추가차폐영역을 확보하도록 닥터블레이드(109) 내지 블레이드홀더(110)에 차폐보강재(도면 미도시)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선(Q)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전자소자(114)의 부착 각도를 고려할 때, 케이싱(111) 상단부의 점선으로 처리된 부분(115)에 위치시켜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의하면, 감광드럼과 대전롤러 사이의 접촉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부터 전자소자를 효율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자소자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8)

  1. 교류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소정의 무선통신용 전자소자와;
    상기 접촉선과 상기 전자소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상기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전자소자가 위치하도록 형성된 금속재질의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상기 차폐부재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면에 걸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 및 상기 감광드럼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각각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과 만나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는 복수의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경사각이 가장 작은 상기 케이싱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접촉선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전자소자의 투영면적이 최소가 되는 자체 회전각도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차폐영역의 둘레로 소정 폭의 추가차폐영역을 더 형성하도록 차폐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보강부는 상기 차폐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에 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닥터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블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10. 교류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대응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을 규제하는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닥터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금속재질의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의해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이 차폐되어 형성되는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의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닥터블레이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폐영역은 상기 블레이드홀더 및 상기 닥터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이 차폐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 상기 감광드럼, 상기 현상롤러, 상기 닥터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13. 교류전압이 가해지는 대전롤러와, 상기 대전롤러와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마찰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블레이드 및 상기 클리닝블레이드를 고정지지하는 금속재질의 블레이드홀더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홀더에 의해 상기 대전롤러와 상기 감광드럼 간의 접촉선이 차폐되어 형성되는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의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 상기 감광드럼, 상기 클리닝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홀더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15.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를 갖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대전롤러 간의 접촉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무선통신용 전자소자와;
    상기 접촉선과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영역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상기 차폐영역의 내부에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가 위치하도록 마련된 금속재질의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는 상기 접촉선으로부터 상기 차폐부재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면에 걸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는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대전롤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용 전자소자는 상기 차폐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싱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롤러에는 교류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용 전자소자유닛.
KR1020050052079A 2005-06-16 2005-06-16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KR100740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79A KR100740503B1 (ko) 2005-06-16 2005-06-16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US11/434,721 US7305192B2 (en) 2005-06-16 2006-05-17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electronic element
US11/780,576 US7395007B2 (en) 2005-06-16 2007-07-20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electronic el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79A KR100740503B1 (ko) 2005-06-16 2005-06-16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53A KR20060131553A (ko) 2006-12-20
KR100740503B1 true KR100740503B1 (ko) 2007-07-19

Family

ID=3757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079A KR100740503B1 (ko) 2005-06-16 2005-06-16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305192B2 (ko)
KR (1) KR100740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4966A (ja) * 2000-01-06 2001-07-1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72823A (ja) * 2000-08-25 2002-03-12 Canon Inc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328580A (ja) * 2001-04-27 2002-11-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消耗品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061A (en) * 1976-04-15 1977-12-06 Xerox Corporation Error log for electrostatographic machines
JP3397510B2 (ja) * 1994-12-21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100617A (ja) 1999-09-29 2001-04-1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472887B1 (en) * 2000-06-28 2002-10-29 Hewlett-Packard Company Capacitive sensor for sensing the amount of material in a container
JP4632391B2 (ja) 2001-05-18 2011-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サーバ、画像記録装置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3255806A (ja) * 2002-02-28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4966A (ja) * 2000-01-06 2001-07-1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72823A (ja) * 2000-08-25 2002-03-12 Canon Inc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328580A (ja) * 2001-04-27 2002-11-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消耗品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53A (ko) 2006-12-20
US20060285877A1 (en) 2006-12-21
US20080008496A1 (en) 2008-01-10
US7305192B2 (en) 2007-12-04
US7395007B2 (en)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986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77565A (ja) 着脱部材、現像器、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224820A (ja) トナー容器
US20170357184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734216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ischarge electrode detachably attached to a frame
JP200618451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73083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04950646B (zh) 图像形成装置
KR100740503B1 (ko) 전자소자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용 카트리지
JP200110061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8122853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磁気シール部材
JP7095538B2 (ja) ドラムユニット
JP200110049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97071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20986A (ja) 現像装置
JP200430200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484644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ドラム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8593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58756A (ja) 現像装置
KR101070619B1 (ko) 현상카트리지
KR10060164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H07333969A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07140879A (ja) 電子写真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973385B2 (ja) 現像器
JP2000155466A (ja) 磁気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