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230A - 식품 도우 연전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도우 연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230A
KR20020090230A KR1020027013563A KR20027013563A KR20020090230A KR 20020090230 A KR20020090230 A KR 20020090230A KR 1020027013563 A KR1020027013563 A KR 1020027013563A KR 20027013563 A KR20027013563 A KR 20027013563A KR 20020090230 A KR20020090230 A KR 2002009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ough
conveying
conveyor
rolling roller
roll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204B1 (ko
Inventor
모리카와미치오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5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 A21C3/027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with multiple rollers moving in a closed loop, e.g. in an orbital path; Planetary roller systems

Abstract

식품 도우를 연전하기 위해 비교적 긴 반송 경로를 갖지만, 컴팩트하며 내부가 용이하게 청소, 보수 및 점검될 수 있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수단을 갖는 하부 프레임(3)의 상부에 제공된 상부 프레임(5) 상에서 무단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식품 도우 연전용 복수의 연전 롤러(33)를 구비하는 연전 롤러군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5)은, 식품 도우 반송 부재 등을 청소하기 위해 식품 도우 반송 부재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연전 롤러군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3)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식품 도우 연전 장치{Food dough rolling apparatus}
일본 특개평 11-308961호(선행 공보 1) 및 일본 특공소 60-52769호(선행 공보 2)에는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 공보 1에는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갖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군은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수단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롤러들은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원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장치에서, 연전 롤러군과 식품 도우 반송 수단 사이의 거리는 소정의 길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연전 롤러군과 식품 도우 반송 수단을 보수하거나 검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연전 롤러군에 의해 식품 도우가 연전되는 길이가 짧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 공보 2에는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갖는 다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군은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수단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롤러들은 타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타원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군은 식품 도우의 두께를 변화시키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다.따라서, 연전 롤러군과 식품 도우 반송 수단 사이의 거리는 식품 도우의 두께의 편차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선행 공보 1과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과자 도우(dough), 빵 도우, 또는 다른 도우와 같은 식품 도우를 박형으로 연전(延展)하기 위한 연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콤팩트하며 용이하게 청소 및 보수가 가능한 식품 도우 연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부 프레임이 폐쇄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식품 도우 연전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3은 상부 프레임이 개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식품 도우 연전 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갖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내에 위치된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포함하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가 제공된다. 연전 롤러는 식품 도우를 연전시키기 위해 무단식(endless)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은,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청소할 수 있도록, 식품 도우 반송 부재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연전 롤러군과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사이에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한 반입 컨베이어가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입 컨베이어의 부분은, 반입 컨베이어의 하류측 단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부분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한다.
연전되는 식품 도우를 하류측으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가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출 컨베이어의 부분은, 반출 컨베이어의 하류측 단부가 높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부분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한다.
식품 도우 반송 부재는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한 반입 컨베이어 및 식품 도우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벨트 안내 부재는 반입 및 반출 컨베이어의 부분들이 경사지도록 상기 부분들을 안내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부분들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한다.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도록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가 벨트 안내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반입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제 2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제 1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또한, 반출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제 2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된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포함하는 다른 식품 도우 연전 장치가 제공된다. 연전 롤러는 식품 도우를 연전하기 위해 무단식으로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다. 상기 장치는 또한 연전 롤러군과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사이에 식품 도우를 반입하도록 위치된 반입 컨베이어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부분은, 상기 부분의 하류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부분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한다.
연전되는 식품 도우를 하류측으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가 식품 도우 반송 부재에 제공된다. 반출 컨베이어는,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는 반출 컨베이어의 하류측 부분의 부분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식품 도우 반송 부재는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한 반입 컨베이어와, 식품도우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벨트 안내 부재는 반입 및 반출 컨베이어의 부분들이 경사지도록 상기 부분들을 안내하기 위해 위치된다. 상기 부분들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한다.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도록 벨트 안내 부재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반입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제 2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제 1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또한, 반출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제 2 반송 롤러와 연전 롤러의 컬러스터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 도우 연전 장치(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하부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을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3) 내에는, 과자 도우, 빵 도우, 또는 다른 도우(도시 않음)와 같은 식품 도우를 특정 방향(도 1에서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로는 종래의 식품 도우 반송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는 하기에 설명한다.
회전 가능한 반송 롤러(7A, 7B)가 식품 도우 반송 부재의 실시예로서, 하부 프레임(3)의 상부 중앙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 1에서, 반송 롤러(7A, 7B)는 제어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송 롤러(7A)는 식품 도우의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반송 롤러(7A)는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 롤러(7B)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반송 롤러(7A)의 상류측에는 벨트 안내 부재(9)가 배치된다. 상기 벨트 안내 부재는 그의 하류측이 상류측 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경사각은 변경될 수 있다. 컨베이어(11)는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해 벨트 안내 부재(9) 상에 배치된다. 벨트 안내 부재(9)의 경사각은, 하부 프레임(3) 상에 배치되어 있는 손잡이(13)를 작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반출 컨베이어(15)는 반송 롤러(7A, 7B)로부터 식품 도우를 반출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3) 내에 배치된다. 상기 컨베이어(15)는 가이드 롤러(17) 및 반송 롤러(7B)의 상부를 통과하며, 다음 벨트 안내 부재(19)에 의해 안내된다. 벨트 안내 부재(19)는 가이드 롤러(17)와 반송 롤러(7B)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벨트 안내 부재(19)는 그의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 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진다. 따라서, 컨베이어(15)는 반송 롤러(7A, 7B)의 하부면에 접촉하며, 복수의 가이드 롤러(21)와 구동 롤러 상에 배치된다. 또한, 컨베이어(15)는 분말(flour) 공급 장치(도시 않음)에 의해 공급되는 분말을 반송 롤러(7A, 7B)로 공급한다. 상기 반송 롤러(7A, 7B)와,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위치된 벨트 안내 부재(9), 및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된 벨트 안내 부재(19)는 원호형으로 배치된다. 반송 롤러(7A, 7B)는 하부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5) 내에는, 복수의 연전 롤러군이 배치된다. 롤러는 무단식으로 배치된다. 식품 도우 반송 부재에 의해, 상기 롤러들은 식품 도우를 연전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은 저부에 개구를 갖는 박스이다. 수직 안내 부재(25)가 상부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도 1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부 프레임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29)가 안내 부재(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29)는 회전 샤프트(27)의 단부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더(29)는 슬라이더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안내 부재(25)에 의해 안내된다.
회전 샤프트(27)는 상부 프레임(5) 상에 고정된 제어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7)의 단부들의 측부에는, 롤러들을 지지하기 위한 대향 부재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재들(31)은 디스크형이다. 복수의 연전 롤러(33)의 단부들은 롤러 지지 부재(3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롤러 지지 부재들 사이에 배치된다. 롤러들(33)은 그들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롤러들은 식품 도우를 연전시키는데 사용된다. 복수의 연전 롤러(33)는 동일한 간격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무단식으로 배치된다. 연전 롤러(33), 반송 롤러(7A, 7B), 및 벨트 안내 부재(9, 19)는 롤러들(33)에 의해 형성된 원의 원호에 대응하는 원호에 배치된다.
회전 샤프트(27)가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연전 롤러(33)는 공전한다. 벨트(35)는 상부 프레임(5)의 측부 프레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벨트(35)는 스프링과 같은 인장 부재(41) 및 핀(37, 39)에 의해 연장된다. 벨트는 상기 벨트가 반송 롤러(7A, 7B) 및 안내 부재(9, 19)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를 따라 통과할 때 그 단부에 인접하여 롤러와 접촉한다. 따라서, 각각의 롤러(33)는 공전시에 오목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회전 샤프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전 롤러(33)를 공전시킬 때, 각각의 롤러(33)는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벨트(35)와 접촉시에 회전한다. 반입 컨베이어(11), 반송 롤러(7A, 7B), 및 반출 컨베이어(15)의 속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5)의 속도가 컨베이어(11) 및 롤러(7A, 7B)의 속도 보다 높을 때 및 롤러(7A, 7B)의 속도가 컨베이어(11)의 속도 보다 높을 때, 상기 롤러들에 의한 식품 도우의 연전 효과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롤러(7B)의 속도는 컨베이어(15)의 속도와 동일할 수 있으며, 롤러(7A)의 속도는 컨베이어(11)의 속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롤러들의 속도는 도우 연전 장치 및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의 편차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전 롤러군이 통과하는 컨베이어(11)의 부분은 안내 부재(9)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부분은 그의 하류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또한, 연전 롤러군과 컨베이어(11)의 경사부 사이의 거리는 반송 경로의 하류측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진다. 또한, 연전 롤러군이 통과하는 컨베이어(11)의 다른 부분은 안내 부재(19)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부분은 그의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다.
반입 컨베이어(11),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7A, 7B), 및 반출 컨베이어(15)의 속도가 각각 V1, V2, V3, 및 V4로 설정되면, 상기 속도들 사이의 관계는 V1<V2<V3<V4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V1이 V4보다 작으면, 반입 컨베이어(11) 의 속도(V1) 및 제 1 반송 롤러(7A)의 속도(V2)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반출 컨베이어(15)의 속도(V3) 및 제 2 반송 롤러(7B)의 속도(V4)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계는 V1<V4, V1=V2, 및 V3=V4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관계는 V1<V2<V4 및 V2=V3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계는 V1<V4 및 V1=V2=V3 또는 V2=V3=V4로 설정될 수 있다.
연전 롤러군용 롤러 지지 부재(31)가 회전할 때, 연전 롤러(33)의 외부면은 원형 궤도를 따른다. 원형 궤적과, 반입 컨베이어(11)와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7A, 7B) 및 반출 컨베이어(15) 사이의 거리는 T1, T2, T3, 및 T4로 설정된다. 상기 거리들 사이의 관계는 T1>T2>T3>T4이다.
상기 군의 롤러 부근으로 연장되는 컨베이어(11, 15)의 부분들은 벨트 안내 부재(9, 19)에 의해 안내되어 경사져 있다.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7A, 7B)는 벨트 안내 부재(9, 19)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식품 도우 연전 경로는 연전 롤러군과 컨베이어(11, 15) 및 벨트 안내 부재(9, 19)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로는 상기 군의 원호를 따라 상기 원호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비교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 도우가 연전되는 경로는 회전하는 군의 원형 궤적을 따라 원호로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장치가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는세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식품 도우의 연전이 성취될 수 있다.
슬라이더(29)는 반송 롤러(7A, 7B)의 표면들과 상기 롤러들에 대응하는 롤러(3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한다. 다음, 식품 도우가 반입 컨베이어(11)로부터 반입되어, 도 1의 좌측 방향으로 반송된다. 동시에, 반송 롤러(7A, 7B) 및 반출 컨베이어(15)가 작동한다. 또한, 회전 샤프트(27)가 회전한다. 따라서, 벨트 안내 부재(9, 19)와 반송 롤러(7A, 7B)에 의해 안내된 컨베이어(11, 15)의 부분과 복수의 연전 롤러(33) 사이에 반송 경로가 형성된다. 식품 도우는 상기 경로 상에서 연전될 수 있다. 연전된 식품 도우는 반출 컨베이어(15)에 의해 후속의 장치로 반출된다.
따라서, 식품 도우는, 롤러(33)가 고속으로 공전하는 동안, 반입 컨베이어(11), 반송 롤러(7A, 7B) 및 반출 컨베이어(15) 상의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따라서, 롤러의 공전에 의해 식품 도우가 진동하며 박형으로 연전될 수 있다.
식품 도우의 연전 작업이 완료되면, 상부 프레임(5)은 하부 프레임(3)에 대해 개방되도록 상향 이동될 수 있으므로, 반송 롤러(7A, 7B) 및 연전 롤러 등이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다. 다음, 상부 프레임(5)은 하향 이동되어 폐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의 후방측(도 1 및 도 3의 좌측)의 상부 부분에는 베어링 브래킷(43)이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5)의 후방측의 하부 부분에는 브래킷(45)이 배치된다. 브래킷(45)은, 웜 휘일(worm wheel)(49)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 샤프트(47)를 통해 베어링 브래킷(43)에 의해 지지된다. 브래킷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웜 휘일(43)을 회전시키기 위해, 핸들 브래킷(51)이 하부 프레임(3)의 후방측 상에 배치된다. 회전 샤프트(55)는 핸들 브래킷(51)과 베어링 브래킷(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53)이 회전 샤프트(55)의 단부 상에 고정된다. 웜 기어(57)가 회전 샤프트(55) 상에 고정된다. 웜 기어(57)는 웜 휘일(49)과 연동한다. 회전 샤프트(55)는 스플라인 샤프트 등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샤프트는 웜 기어(57)가 샤프트(55)의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웜 기어(57)를 지지한다. 또한, 샤프트(55)와 웜 기어(57)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부재가 웜 기어(57)와 핸들 브래킷(51) 사이에 배치되어 웜 기어(57)를 베어링 브래킷(43)에 대해 항상 가압한다.
따라서, 웜 기어(57)가 핸들(53)에 의해 회전되어, 웜 기어(57)와 연동하는 웜 휘일(49)이 회전될 때, 상부 프레임(5)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부가 도 1의 상태로부터 도 2의 상태로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된다.
상부 프레임(5)이 상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핸들(53)이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61)가 배치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5)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킹 부재(63)가 하부 프레임(3) 상에 배치된다. 탄성 지지 부재(61)는, 신축 가능하며 그의 자중에 대해 상부 프레임(5)을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스 스프링 등과 같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부재는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로킹 부재(63)는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공지된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생략한다.
상부 프레임(5)의 전방측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먼저, 로킹 부재의 로킹이 해제된다. 다음, 핸들(53)이 회전한다. 이 경우, 탄성 지지 부재(61)가 상부 프레임(5)이 상향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때문에 핸들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이 상향으로 이동할 때, 반송 롤러(7A, 7B) 상부의 공간은 충분히 개방된다. 따라서, 롤러(7A, 7B) 등은 용이하게 청소되며 점검될 수 있다. 또한, 연전 롤러(33) 등은 용이하게 청소되며 보수될 수 있는데, 이는 전방 및 측부에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사이에 넓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방부가 상향 이동하도록 상부 프레임(5)이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반송 롤러(7A, 7B) 및 연전 롤러(33) 등이 청소된 후, 상부 프레임(5)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향 이동한다. 상부 프레임(5)을 복귀시키기 위해, 핸들(53)은 역회전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5)은 전방이 강제로 압박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이 하향으로 이동할 때, 웜 휘일(49)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3). 웜 휘일(49)의 회전에 대해, 웜 기어(57)는 탄성 지지 부재(59)의 압력에 대항하여 도 3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다음, 핸들(53)이 상부 프레임(5)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재차 작동할 때, 먼저 웜 기어(57)가 웜 휘일(49)에 대해 회전하여 브래킷(43)과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웜 기어(57)가 브래킷(43)에 접촉할 때, 웜 휘일(49)은 회전을 개시한다.
상기 설명에서, 상부 프레임(5)은 하부 프레임(3)에 대해 그 전방이 상향 이동하도록 회전된다. 그러나, 수평 상부 프레임(5)은 또한 상향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3) 내에서, 식품 도우 반송 부재는 수평 및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연전 롤러군은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들은 복수의 연전 롤러의 상부에 배치된다. 더욱 완전히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프레임이 수평 평면에 유지되어 있는 경우가, 상부 프레임의 전방 단부가 상승되어 있는 경우 보다 더 바람직하다. 유압 실린더 또는 볼 스크루 등으로 구성된 액추에이터가 상부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부 프레임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가 동기적으로 작동할 때, 상부 프레임은 수평 평면에 유지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웜 휘일(49) 및 웜 기어(57) 등은, 상부 프레임(5)의 측부들 중 하나가 다른 측부의 힌지 둘레로 상하 이동 가능하여 상부 프레임을 개방하도록, 각각의 하부 프레임(3) 및 상부 프레임(5)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은 복수의 연전 롤러를 구비하며, 하부 프레임은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은, 식품 도우 반송 부재 및 연전 롤러군이 용이하게 청소되며 보수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에 대해 충분히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식품 연전 장치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을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다. 식품 연전 장치는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식품 도우의 연전 및 반송 경로는 원호형 경로로 형성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7)

  1.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갖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상부에 배치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식품 도우를 연전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며 무단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청소할 수 있도록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연전 롤러군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상에는 상기 복수의 연전 롤러군과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사이로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한 반입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부분은,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하류측 단부가 낮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부분은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상에는 연전되는 식품 도우를 하류측으로 반출하기 위한 식품 반출 컨베이어가 배치되며,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부분은,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하류측 단부가 높아지도록 경사진 벨트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부분은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는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한 반입 컨베이어와 식품 도우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반입 및 반출 컨베이어의 부분들이 경사지도록 상기 부분들을 안내하기 위한 벨트 안내 부재들이 배치되며, 상기 부분들은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며,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도록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가 상기 벨트 안내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으며,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은 식품 도우 연전 장치.
  5. 한 방향으로 식품 도우를 반송하기 위한 식품 도우 반송 부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며 식품 도우를 연전시키도록 회전 가능하며 무단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전 롤러군, 및
    상기 연전 롤러군과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 사이로 식품 도우를 반입하도록 배치된 반입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부분은, 하류측 부분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부분은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에는 연전되는 식품 도우를 하류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반출 컨베이어는,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는 반출 컨베이어의 하류측 부분의 부분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벨트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식품 도우 연전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도우 반송 부재는 식품 도우를 반입하기 위한 반입 컨베이어와 식품 도우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반입 및 반출 컨베이어의 부분들이 경사지도록 상기 부분들을 안내하기 위한 벨트 안내 부재들이 배치되며, 상기 부분들은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며, 상기 연전 롤러군에 대응하도록 제 1 및 제 2 반송 롤러가 상기 벨트 안내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반입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으며,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경사부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반송 롤러와 상기 연전 롤러군 사이의 거리 보다 작은 식품 도우 연전 장치.
KR10-2002-7013563A 2001-02-15 2002-02-14 식품 반죽 연장 장치 KR100475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9041 2001-02-15
JP2001039041 2001-02-15
JPJP-P-2002-00000860 2002-01-07
JP2002000860 2002-01-07
JPJP-P-2002-00028681 2002-02-05
JP2002028681A JP3798987B2 (ja) 2001-02-15 2002-02-05 食品生地延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30A true KR20020090230A (ko) 2002-11-30
KR100475204B1 KR100475204B1 (ko) 2005-03-10

Family

ID=2734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563A KR100475204B1 (ko) 2001-02-15 2002-02-14 식품 반죽 연장 장치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955533B2 (ko)
EP (1) EP1360902B8 (ko)
JP (1) JP3798987B2 (ko)
KR (1) KR100475204B1 (ko)
CN (1) CN1245084C (ko)
AT (2) ATE514338T1 (ko)
AU (1) AU2002232181B2 (ko)
BR (2) BR0204145B1 (ko)
CA (1) CA2429842C (ko)
CH (1) CH694654A5 (ko)
CZ (1) CZ300912B6 (ko)
DE (1) DE10290837B4 (ko)
ES (1) ES2245208B1 (ko)
GB (1) GB2377154B (ko)
HK (1) HK1059354A1 (ko)
IL (1) IL152240A (ko)
MX (1) MXPA02010450A (ko)
MY (1) MY137159A (ko)
NZ (1) NZ521705A (ko)
PL (1) PL200073B1 (ko)
SA (1) SA02230039B1 (ko)
SE (1) SE525651C2 (ko)
TW (1) TWI262766B (ko)
WO (1) WO2002063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0763B4 (de) * 2008-03-19 2020-03-12 Fritsch Bakery Technologies GmbH & Co. KG Teig-Querstrecksystem
JP2010200725A (ja) * 2009-03-06 2010-09-16 Rheon Automatic Machinerty Co Ltd 食品生地延展装置
ITMI20111390A1 (it) * 2011-07-26 2011-10-25 Trivi S R L Gruppo regolabile per la formazione di impasti alimentari
USD788519S1 (en) * 2016-01-14 2017-06-06 King-Yuan Lin Dough divider-rounder
USD824209S1 (en) * 2017-01-05 2018-07-31 King-Yuan Lin Dough divider-rounder
EP3987935B1 (de) * 2020-10-21 2023-08-16 Fritsch Bakery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tei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42670A (en) * 1947-07-10 1950-09-06 William James Va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ste rolling machines
GB1209362A (en) * 1968-03-01 1970-10-21 Ver Backereimaschinenwerke Veb Device for rolling dough
JPS5022109B1 (ko) * 1971-01-13 1975-07-28
JPS5290681A (en) * 1976-01-27 1977-07-30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Developing apparatus for confection or bread dough and like
US4260578A (en) * 1979-10-18 1981-04-07 Amf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astomer sheet material
SE436804B (sv) 1983-05-13 1985-01-21 Inventab Electronic Ab Sett for indikering av slirning hos ett drivande rotationsorgan
JPS6052769B2 (ja) 1983-06-01 1985-11-2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菓子生地等の延展方法及び装置
JPS6119444A (ja) * 1984-07-07 1986-01-2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素材の延展装置
JPS61100144A (ja) * 1984-10-20 1986-05-19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生地の圧延装置
JPS6337823Y2 (ko) * 1986-05-08 1988-10-05
US5151024A (en) * 1989-07-08 1992-09-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JPH082230B2 (ja) * 1989-12-28 1996-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製麺装置
CA2045227A1 (en) * 1990-09-09 1992-03-10 Morris Anschel High memory density package
US5427515A (en) * 1993-06-18 1995-06-27 Rykaart, Inc. Stress free dough sheeting processor for batch systems
IT1262814B (it) * 1993-12-22 1996-07-04 Giampietro Zaltron Impianto di calandratura per laminazione di pasta alimentare
US6082988A (en) * 1995-01-13 2000-07-04 Muller; Bernardus Wilhelmus Sanitary multiroller for working dough sheets
JP2917002B2 (ja) * 1995-05-02 1999-07-1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パン生地等の延展方法および装置
JPH0984508A (ja) * 1995-09-20 1997-03-31 Oshikiri:Kk パン生地分割装置
GB9601516D0 (en) * 1996-01-25 1996-03-27 Williamson Mark Handling materials
JP2000516961A (ja) * 1996-08-30 2000-12-19 イーライ・リリー・アンド・カンパニー 非古典的ピロロ[2,3―d]ピリミジン抗葉酸物質
JP2860938B2 (ja) * 1996-09-02 1999-02-2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延展装置における手粉供給機構
IT1294110B1 (it) * 1997-01-02 1999-03-22 Antonio Cimenti Porzionatrice per paste alimentari
JP3041993U (ja) * 1997-03-31 1997-10-03 黄 連福 帯状麺生地圧延装置
DE19814580A1 (de) * 1998-04-01 1999-10-07 Geerd Weis Vorrichtung zum Walzen eines Teigstrangs
JPH11308961A (ja) 1998-04-28 1999-11-09 Rheon Autom Mach Co Ltd パン生地等の延展装置
FI110230B (fi) * 2001-01-19 2002-12-31 Jostec Oy Järjestely taikinan kaulimises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77154A (en) 2003-01-08
WO2002063964A1 (fr) 2002-08-22
ATE514338T1 (de) 2011-07-15
EP1360902B8 (en) 2011-10-05
CZ300912B6 (cs) 2009-09-09
SE0202990L (sv) 2002-12-06
CN1245084C (zh) 2006-03-15
CA2429842A1 (en) 2002-08-22
JP3798987B2 (ja) 2006-07-19
CA2429842C (en) 2005-06-28
AT503307A1 (de) 2007-09-15
KR100475204B1 (ko) 2005-03-10
NZ521705A (en) 2005-03-24
DE10290837B4 (de) 2011-03-03
EP1360902A1 (en) 2003-11-12
EP1360902A4 (en) 2005-12-28
IL152240A0 (en) 2003-05-29
CZ20023327A3 (cs) 2003-05-14
SE525651C2 (sv) 2005-03-29
TWI262766B (en) 2006-10-01
GB0223753D0 (en) 2002-11-20
GB2377154B (en) 2005-05-04
MY137159A (en) 2009-01-30
SA02230039B1 (ar) 2008-07-19
PL200073B1 (pl) 2008-12-31
SE0202990D0 (sv) 2002-10-10
CN1457232A (zh) 2003-11-19
CH694654A5 (de) 2005-05-31
ES2245208A1 (es) 2005-12-16
MXPA02010450A (es) 2005-09-08
US20020110611A1 (en) 2002-08-15
JP2003259791A (ja) 2003-09-16
BR0216082B1 (pt) 2011-09-06
AU2002232181B2 (en) 2004-03-04
IL152240A (en) 2007-06-17
BR0204145B1 (pt) 2011-05-17
HK1059354A1 (en) 2004-07-02
DE10290837T1 (de) 2003-10-23
AT503307B1 (de) 2010-04-15
EP1360902B1 (en) 2011-06-29
PL356905A1 (en) 2004-07-12
US6955533B2 (en) 2005-10-18
ES2245208B1 (es) 2007-02-16
BR0204145A (pt)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3368A (en) Apparatus for rolling plastic dough
TWI233780B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ting and rolling a food dough belt
KR100475204B1 (ko) 식품 반죽 연장 장치
US2706034A (en) Conveyor mechanism for dough forming machines
PL215574B1 (pl) Urzadzenie do wyrabiania i walkowania pasma ciasta spozywczego
EP2225942B1 (en) Food dough extending apparatus
JP2007186732A (ja) 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3886580B2 (ja) ガラス容器の検査機械
JP3074564B2 (ja) 搬送コンベア用搬送物体の列分け装置
JP2007022814A (ja) 箱を取り扱うための装置
JP7446791B2 (ja) プルーファー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RU22413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тывания теста
KR101079229B1 (ko) 이송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시스템
JPH06115672A (ja) Ptpシートの搬送装置
JP5406695B2 (ja) 食品移載装置
JP3234664B2 (ja) 食品成形装置
KR100224327B1 (ko) 제과용 반죽물의 적층장치
JPS6211055A (ja) 折り菓子製造装置
JPH07274872A (ja) 棒状飯の製造装置
JPH11180541A (ja) ベルト搬送装置
JP2008254893A (ja) ベルト式移載装置
JPH05209817A (ja) 製麺機の麺生地硬さ測定装置
SK138596A3 (en) Method for putting out of operation of the glass forming machine
JP2002159258A (ja) パン生地片スプレッダおよびパン生地片供給方法
JPH02231310A (ja) 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