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2655A -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2655A
KR20020052655A KR1020000082066A KR20000082066A KR20020052655A KR 20020052655 A KR20020052655 A KR 20020052655A KR 1020000082066 A KR1020000082066 A KR 1020000082066A KR 20000082066 A KR20000082066 A KR 20000082066A KR 20020052655 A KR20020052655 A KR 20020052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etch stop
film
lay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239B1 (ko
Inventor
원석준
유차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8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239B1/ko
Priority to US10/028,187 priority patent/US6653186B2/en
Publication of KR2002005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239B1/ko
Priority to US10/665,093 priority patent/US7042042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8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the storage electrode having multipl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의 외벽의 표면, 및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의 외벽과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사이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층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 밀폐층 스페이서 및 습식 식각 방지 패턴의 표면에는 유전체층 및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커패시터의 실린더형 하부 전극과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사이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층 스페이서를 구비하여 제조 과정 중의 몰드 산화막 패턴의 제거시에 하부 몰드 산화막 패턴이나 층간 절연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ylinder type capaci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린더형의 3차원 구조로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데,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디자인 룰이 0.2㎛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3차원 구조의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형성할 때 많은 문제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 예컨대 실리콘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13)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3)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3) 내에 티타늄 질화막 (TiN) 플러그(15)를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3) 및 티타늄 질화막 플러그(15) 상에 하부 몰드막(17, lower mold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몰드막(17)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한다. 상기 하부 몰드막(17) 상에 습식 식각 방지막(19)을 형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19)은 실리콘 질화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19) 상에 상부 몰드막(21)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몰드막(21)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몰드막(21), 습식 식각 방지막(19) 및 하부 몰드막(17)을 패터닝하여 상기 티타늄 질화막 플러그(15)를 노출시키는 콘택홀(22)을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부 몰드막(21), 습식 식각 방지막(19) 및 하부 몰드막(17)은 각각 상부 몰드막 패턴(21a),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9a) 및 하부 몰드막 패턴(17a)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콘택홀(2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하부 전극용 도전막(23)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23)은 백금족 귀금속막, 예컨대백금막(Pt), 루테늄막(Ru), 이리듐(Ir)막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23)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22)을 채우도록 희생막(25)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25)은 포토레지스트나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몰드막 패턴(21a)의 표면을 식각정지점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25) 및 하부 전극용 도전막(23)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희생막 패턴(25a) 및 하부 전극(23a)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막 패턴(25a) 및 상부 몰드막 패턴(21a)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커패시터의 실린더형 하부 전극(23a)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23a)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1)의 전면에 유전체층(도시 안함) 및 상부 전극(도시 안함)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완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막 패턴(21a)을 제거할 때 하부 전극(23a)과 식각 방지막 패턴(19a)의 접착력(adhesion)이 좋지 않아 계면(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산화막 식각액이 침투한다. 이렇게 되면, 도 4의 참조번호 27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몰드막 패턴(17a)이 손상되고 더 나아가 층간 절연막(13)도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부 몰드막 패턴이나 층간 절연막의 손상이 방지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의 층간 절연막 내에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는 상기 플러그를 노출하는 콘택홀이 형성된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산화막 또는 그 조합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 패턴의 하부에는 몰드막 패턴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몰드막 패턴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콘택홀의 내벽 및 바닥에는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은 백금족 귀금속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의 외벽의 표면, 및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의 외벽과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사이에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과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층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는 비정질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탄탈륨 산화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 및 상기 습식 식각 방지 패턴의 표면에는 유전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전체층은 탄탈륨 산화막으로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층 상에는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은 백금족 귀금속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의 층간 절연막 내에 플러그를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상기 플러그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및 몰드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의 하부에 하부 몰드막 패턴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산화막 또는 그 조합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몰드막 패턴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콘택홀의 내벽에 밀폐층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는 비정질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탄탈륨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의 내벽, 플러그의 표면, 몰드막 패턴의 표면에 하부 전극용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은 백금족 귀금속막으로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을 채우도록 희생막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은 포토레지스트나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몰드막 패턴의 표면을 식각정지점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 및 하부 전극용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에 매립된 희생막 패턴과 셀별로 분리되는 커패시터의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과 밀폐층 스페이서를 식각 방지막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 패턴 및 몰드막 패턴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한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 및 밀폐층 스페이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유전체층 및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층은 탄탈륨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은 백금족 금속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커패시터의 실린더형 하부 전극과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사이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층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조 과정 중의 몰드 산화막 패턴의 제거시에 하부 몰드 산화막 패턴이나 층간 절연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막 또는 영역들의 크기 또는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의 "위(상)"에 있다라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막이 상기 다른 막의 위에 직접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다른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층간 절연막(102) 내에 플러그(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104)는 티타늄 질화막 (TiN)으로 구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02) 상에는 상기 플러그(104)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갖는 몰드막 패턴(106a, 도 6 내지 도 11에서는 "하부 몰드막 패턴"으로 언급) 및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몰드막 패턴(106a)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구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은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산화막 또는 그 조합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몰드막 패턴(106a)은 제조공정시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을 안정되게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은 제조공정시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106a)이나 층간 절연막(102)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상기 콘택홀(111)의 내벽 및 바닥에는 상기 플러그(10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1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114a)은 백금족 귀금속막, 예컨대 백금막(Pt), 루테늄막(Ru), 이리듐(Ir)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114a)의 외벽의 표면, 및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114a)의 외벽과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106a) 및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 간에는 밀폐층 스페이서(1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는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과 접착력이 우수하여 제조공정시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106a)이나 층간 절연막(102)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는 비정질막으로 구성한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는 탄탈륨 산화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114a),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 및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의 표면에는 유전체층(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전체층(118)은 탄탈륨 산화막으로 구성한다. 상기 유전체층(118) 상에 상부 전극(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전극(120)은 백금족 귀금속막, 예컨대 백금막(Pt), 루테늄막(Ru), 이리듐(Ir)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예컨대 실리콘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102)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02)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02) 내에 플러그(104)를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104)는 티타늄 질화막 (TiN)으로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02) 및 플러그(104) 상에 하부 몰드막(106, lower mold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몰드막(106)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한다. 상기 하부 몰드막(106)은 후속의 커패시터의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이 안정되게 형성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몰드막(106)은 필요에 따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몰드막(106) 상에 습식 식각 방지막(108)을 형성한다. 습식 식각 방지막(108)은 상기 하부 몰드막(106)이나 층간 절연막(102)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108)은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산화막 또는 그 조합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108) 상에 상부 몰드막(110)을형성한다. 상기 상부 몰드막(110)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몰드막(106)은 상기 하부 몰드막(106), 습식 식각 방지막(108) 및 상부 몰드막(110)의 총두께에서 5-2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몰드막(110), 습식 식각 방지막(108) 및 하부 몰드막(106)을 패터닝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플러그(104)를 노출시키는 콘택홀(111)을 갖는 상부 몰드막 패턴(110a),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 및 하부 몰드막 패턴(106a)을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콘택홀(111)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2)의 전면에 밀폐층(112)을 형성한다. 상기 밀폐층(112)은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및 후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과의 접착력이 좋고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는 비정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층(112)은 탄탈륨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층(112)은 최종 공정 후에는 실린더형 하부 전극의 외벽에서 유전체층으로 작용하므로 커패시턴스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후공정에서 유전체층의 두께를 100∼200Å로 할 경우 상기 밀폐층(112)의 두께는 10∼40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치백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의 표면 및 플러그(104)의 표면의 밀폐층(112)을 식각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콘택홀(111)의 내벽에만 밀폐층 스페이서(112a)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는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106a) 및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의내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후 공정, 예컨대 상부 몰드막 패턴의 제거시에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106a) 및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을 밀폐 및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의 높이는 상기 에치백 공정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고, 적어도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의 높이보다 높게 조절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의 높이는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면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을 보호 및 밀폐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는 최종적으로 실린더형 하부 전극의 외벽에서 유전체층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 아래로 내려가지 않으면서 최대로 낮추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콘택홀(111)의 내벽에 밀폐층 스페이서(112a)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에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은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의 내벽, 플러그(104)의 표면,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은 백금족 귀금속막, 예컨대 백금막(Pt), 루테늄막(Ru), 이리듐(Ir)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은 200∼5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은 스텝커버리지가 우수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콘택홀(111) 내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은 밀폐층 스페이서(112a), 예컨대 탄탈륨 산화막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 상에 형성되는 것보다 표면 모폴로지를 좋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는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 형성시 핵형성 증진층으로 작용하여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의 표면 모폴로지가 좋게 된다.
다음에,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111)을 채우도록 희생막(116)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116)은 포토레지스트나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의 표면을 식각정지점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116) 및 하부 전극용 도전막(114)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렇게 되면, 콘택홀(111)에 매립된 희생막 패턴(116a)과 하부 전극(114a)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114a)은 셀별로 서로 분리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과 밀폐층 스페이서(112a)를 식각 방지막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 패턴(116a) 및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커패시터의 실린더형 하부 전극(114a)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 패턴(116a) 및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의 습식 식각은 산화막 식각액, 예컨대 BOE(Buffered Oxide Etchant)를 이용하여 수십 내지 수백초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112a)와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108a)간에는 접착력이 좋고 그 계면에는 보이드가 없으므로 산화막 식각액이 하부 몰드막 패턴(106)이나 층간절연막(102) 쪽으로 침투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희생막 패턴(116a) 및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의 습식 식각시 하부 몰드막 패턴(106a)이나 층간 절연막(102)이 손상 받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희생막 패턴(116a)과 상부 몰드막 패턴(110a)을 동시에 제거하였으나 따로 제거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극(114a)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에 유전체층(118)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층(118)은 탄탄륨 산화막을 이용하여 100∼2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층(118) 상에 상부 전극(120)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완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120)은 백금족 귀금속막, 예컨대 백금막(Pt), 루테늄막(Ru), 이리듐(Ir)막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120)은 300∼10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전극(120)은 스텝커버리지가 우수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는 커패시터의 실린더형 하부 전극과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사이에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과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층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조 과정 중의 상부 몰드 산화막 패턴의 제거시에 하부 몰드 산화막 패턴이나 층간 절연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반도체 기판 상의 층간 절연막 내에 형성된 플러그;
    상기 플러그를 노출하는 콘택홀이 형성된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상기 콘택홀의 내벽 및 바닥에 형성된 커패시터의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의 외벽의 표면과,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의 외벽과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과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폐층 스페이서;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 및 상기 습식 식각 방지 패턴의 표면에 형성된 유전체층; 및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방지 패턴의 하부에 몰드막 패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막 패턴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산화막 또는 그 조합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은 백금족 귀금속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는 비정질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탄탈륨 산화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탄탈륨 산화막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9. 반도체 기판 상의 층간 절연막 내에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상기 플러그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모두 갖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및 몰드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의 내벽에 밀폐층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의 내벽, 플러그의 표면, 몰드막 패턴의 표면에 하부 전극용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용 도전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상기 콘택홀을 채우도록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막 패턴의 표면을 식각정지점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 및 하부 전극용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콘택홀에 매립된 희생막 패턴과 셀별로 분리되는 커패시터의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과 밀폐층 스페이서를 식각 방지막으로 하여 상기 희생막 패턴 및 몰드막 패턴을 습식식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 및 밀폐층 스페이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유전체층 및 커패시터의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의 하부에 하부 몰드막 패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은 상기 하부 몰드막 패턴,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 및 몰드막 패턴의 총두께의 5-20%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탄탈륨 산화막 또는 그 조합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막 패턴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의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은 백금족 귀금속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형성되지 않는 비정질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탄탈륨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탄탈륨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막은 포토레지스트나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층 스페이서는 상기 콘택홀이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밀폐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밀폐층을 적어도 상기 습식 식각 방지막 패턴의 높이보다 크게 에치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00082066A 2000-12-26 2000-12-26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35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066A KR100355239B1 (ko) 2000-12-26 2000-12-26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US10/028,187 US6653186B2 (en) 2000-12-26 2001-12-20 Methods of fabrication integrated circuit capacitors having a dielectric layer between a u-shaped lower electrode and a support layer
US10/665,093 US7042042B2 (en) 2000-12-26 2003-09-17 Integrated circuit capacitors having a dielectric layer between a U-shaped lower electrode and a support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066A KR100355239B1 (ko) 2000-12-26 2000-12-26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655A true KR20020052655A (ko) 2002-07-04
KR100355239B1 KR100355239B1 (ko) 2002-10-11

Family

ID=1970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066A KR100355239B1 (ko) 2000-12-26 2000-12-26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653186B2 (ko)
KR (1) KR100355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59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881828B1 (ko) * 2002-07-10 2009-0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0893594B1 (ko) * 2007-03-16 2009-04-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4704B2 (en) * 2002-01-16 2004-09-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enhancing electrode surface area in DRAM cell capacitors
KR100423900B1 (ko) * 2002-02-08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513719B1 (ko) * 2002-08-12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하프늄 산화막 형성용 전구체 및 상기 전구체를 이용한하프늄 산화막의 형성방법
KR100450681B1 (ko) * 2002-08-16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6932B1 (ko) * 2002-10-02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40087081A1 (en) * 2002-11-01 2004-05-06 Aitchison Bradley J. Capacitor fabrication methods and capacitor structures including niobium oxide
KR100469158B1 (ko) * 2002-12-30 2005-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703833B1 (ko) * 2003-06-30 2007-04-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중 유전막을 구비한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539268B1 (ko) * 2004-06-24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30695B1 (ko) * 2004-08-0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34509B1 (ko) * 2004-08-20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EP1628327A2 (en) * 2004-08-20 2006-0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14803B1 (ko) * 2004-10-26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패시터 제조 방법
JP4916168B2 (ja) * 2004-12-28 2012-04-11 株式会社ハイニックスセミコンダクター シリンダ構造のキャパシタを有する半導体メモリ装置の製造方法
US7416953B2 (en) * 2005-10-31 2008-08-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Vertical MIM capacito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833650B2 (ja) * 2005-12-08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84367B2 (en) * 2006-05-24 2011-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tching, cleaning and drying methods using supercritical fluid and chamber systems using these methods
KR101810531B1 (ko) 2011-11-23 2017-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167220A1 (en) * 2012-12-14 2014-06-19 Spansion Llc Three dimensional capacitor
TWI709248B (zh) * 2015-12-10 2020-11-01 聯華電子股份有限公司 電容及其製作方法
JP6888581B2 (ja) * 2018-04-11 2021-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57019B1 (ko) 2018-07-02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20220199760A1 (en) * 2020-12-21 2022-06-23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backend double-walled capacito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3650B2 (ja) * 1988-09-30 1997-07-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05553B2 (ja) * 1991-12-06 2003-05-1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162248A (en) 1992-03-13 1992-11-10 Micron Technology, Inc. Optimized container stacked capacitor DRAM cell utilizing sacrificial oxide deposition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JPH1050951A (ja) 1996-07-30 1998-02-20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48514B2 (ja) * 1998-10-20 2008-02-20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74426B1 (en) * 1999-02-25 2001-08-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Self-aligned contact process for a crown shaped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apacitor structure
TW413932B (en) * 1999-03-05 2000-12-01 Nanya Plast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crown-type capacitor structure
TW415084B (en) * 1999-03-05 2000-12-11 Nanya Technology Corp Fabrication method of crown-shaped capacitor structure
TW417293B (en) * 1999-08-27 2001-01-01 Taiwan Semiconductor Mfg Formation of DRAM capaci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828B1 (ko) * 2002-07-10 2009-0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20040049659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US6884678B2 (en) 2002-12-06 2005-04-26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orm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893594B1 (ko) * 2007-03-16 2009-04-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2042B2 (en) 2006-05-09
US20040065938A1 (en) 2004-04-08
KR100355239B1 (ko) 2002-10-11
US6653186B2 (en) 2003-11-25
US20020084471A1 (en)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239B1 (ko) 실린더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338780B1 (ko) 층간절연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및 그 제조방법
JP2001210804A (ja) キャパシタの電極製造方法
US7560333B2 (en) Capacitor i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56136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US20030183865A1 (en) Capacitor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H1127443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32405B1 (ko) 전기 도금을 이용한 전극 형성방법
US2012010071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150311210A1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040105540A (ko) 커패시터를 구비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40660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66982B1 (ko) 캐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40588B1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761352B1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91507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886704B1 (ko) 캐패시터의 스토리지노드 전극 형성 방법
KR20050003297A (ko) 랜딩 플러그 제조 방법
KR2000004532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20010039179A (ko) 반도체 장치의 실린더형 커패시터 스토리지 전극 형성 방법
KR2005009411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5979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50643A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20000040328A (ko) 스토리지 전극 형성 방법
KR20020014489A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