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588A -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 Google Patents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588A
KR20020009588A KR1020017012786A KR20017012786A KR20020009588A KR 20020009588 A KR20020009588 A KR 20020009588A KR 1020017012786 A KR1020017012786 A KR 1020017012786A KR 20017012786 A KR20017012786 A KR 20017012786A KR 20020009588 A KR20020009588 A KR 2002000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pesticide
water
solid preparatio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754B1 (ko
Inventor
다니자와긴지
사비히로시
도미오까마사까즈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요시부미
상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요시부미, 상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요시부미
Publication of KR2002000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면확전제 및 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FLOATING SOLID PESTICIDE PREPARATIONS}
종래, 논에 사용하는 농약은 그 사용의 편리를 위해 여러가지 제형, 예컨대 분말제, 수화(水和)제, 유(乳)제 및 과립제로 제제되어 수면 또는 벼체에 산포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예컨대 농가의 고령화, 겸업화 및 여성의 노동 부담의 증가라는 관점에서, 농약산포의 노동력 절약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플로어블제나, 제제중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고 제제로서의 산포량을 감소한 소위 1 kg 과립제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플로어블제는 예컨대 풍향에 따라 처리시에 산포자에게 날아드는 문제 및 빈병 처리의 문제가 있고, 또 1 kg 과립제는 예컨대 산포기구를 필요로 하는 것 및 균일 산포에 난점이 있는 결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농약의 고형제제를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고, 이 팩을 논에 넣지 않고 논둑 등에서 던져 넣는 것만으로 처리가능한 노동력 절약 농약제제 (즉, 논투입용 농약제제) 가 제안되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173802 호), 상품화되어 있고, 이들은 점보제 또는 팩제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논투입용 제제에는, 예컨대 ① 대형 발포 정제를 그대로 논 안으로 투입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107503 호), ② 소형 발포 정제를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아, 이것을 논에 투입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5-339106 호), ③ 염화칼륨과 같은 수용성 캐리어를 수용성 필름 형성성 고분자와 함께 조립한 것에 농약유효성분을 함유시켜,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아, 이것을 논에 투입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5-78207 호), ④ 수면에 부유확전하도록 조제한 농약고형제제를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아, 이것을 논에 투입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336403 호) 및 ⑤ 수면확전성을 갖는 오일을 수용성 용기에 채워, 이것을 논에 투입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5-339103 호) 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논투입용 농약제제는, 제제중의 농약유효성분 함량이 높고, 또 국소적으로 시용되므로 투입된 지점에서 신속하게 유효성분이 확산되지 않으면, 농약유효성분의 불균일에 의한 약해(藥害)나 효력의 불균일이 일어나기 쉽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농약유효성분의 잔류에 의해 후작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한편, 농약유효성분의 확산을 목적으로 수면에 부유확전하도록 조제한 농약고형제제로는, 예컨대 (1) 수부유성의 담체를 사용하여 부유시키는 것 (일본 특허공보 소 48-15613 호, 일본 특허공보 소 47-1240 호), (2) 특정 흡수능을 갖는 경석이나 질석을 담체로 하는 것 (일본 특허공보 소 44-8600 호), (3) 휘발성 살충 화합물을 사용한 과립제 (일본 특허공보 소 49-11421 호), (4) 카르바메이트계 농약활성성분과, 물에 대한 분배계수가 102이상인 유기화합물을, 고체담체에 고정시킨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2-174702 호), 및 (5) 살균제, 제초제 또는 식물성장 조절제인 유효성분, 고체담체 및 오일로 이루어진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193705 호) 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농약고형제제는, 벼가 작고, 수면에 부초, 조류 및 오일막 등의 장해물이 없는 조건에서 처리하면, 바람의 도움으로 입자가 수면에서 넓게 확산되므로, 논에 들어가지 않고 논둑에서 산포하는 소위 가장자리 산포로도 높은 효과를 발현하지만, 벼가 커져 바람의 힘을 이용할 수 없게 된 후나, 수면에 부초, 조류 및 오일막 등의 장해물이 있는 조건에서 처리하면, 입자가 자력으로 확산되기 어려워, 충분한 생물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경우나, 유효성분의 국소적인 존재에 의한 약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의 과립제와 마찬가지로, 논에 들어가서 산포해야 하므로, 노동력의 경감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면확전제로서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또한 수면확전성이 있는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는 시도나, 수면확전제로서 실리콘계나 불소계 계면활성제 또는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를 사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336403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평 8-99802 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 2766973 호).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해서도 상기와 같은 수면에 장해물이 있는 조건이나, 벼가 자란 후의 처리에서는, 충분한 확산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면확전제 및 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그것을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은 논투입용 농약제제 및 그것을 사용한 논에 발생하는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시험예 2 의 농약유효성분 농도측정위치이다.
도 2 는 시험예 3 의 농약유효성분 농도측정위치이다.
도 3 은 시험예 4 의 농약의 처리방법이다.
본 발명자들은, 수면확전성이 우수한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를 예의 연구한 결과,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면확전제를 함유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가, 수면에 장해물이 있는 논에 대한 처리나 벼가 자란 후의 처리에서도, 우수한 수면확전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면확전제 및 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그것을 수용성 필름에 나누에 담은 논투입용 농약제제 및 그들을 사용한 논에 발생하는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C4∼C10알킬알콜」 은, 탄소수가 4 내지 10 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콜이며, 예컨대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이소노난올, 데칸올 또는 에틸헥산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 내지 10 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탄올, 에틸헥산올 또는 이소노난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산올 또는 이소노난올이다.
본 발명에서 「C2∼C4알킬렌옥사이드」는, 탄소수가 2 내지 4 의 직쇄 또는분지쇄의 알킬렌옥사이드이고, 예컨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부틸렌옥사이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은, 상기 「C4∼C10알킬알콜」의 수산기에 상기 「C2∼C4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것이고, 단 복수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키는 경우, 그 부가순서는 임의이다.
본 발명의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
R1O-(AO)m-(BO)n-H
[식중, R1은 C4∼C10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식 -CH2-CH2-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B 는 식 -CH2-CH(CH3)-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m 은 0 ∼ 30 을 나타내고, n 은 0 ∼ 30 을 나타내고 단, m 및 n 은 동시에 0 이 아니며 n 이 0 일 때 m 은 2 이상이고 또, m 및 n 이 모두 0 이 아닐 때, m 개의 AO 기와 n 개의 BO 기가 결합하는 순서는 임의이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m」 및 「n」은 1 개의 화합물 (I) 에 부가된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수를 각각 나타내고, 복수의 화합물 (I) 에 부가된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수의 평균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유도체」는, 예컨대 상기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인산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의 염, 황산에스테르, 황산에스테르의 염 또는 C1∼C10알킬에테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염이다.
본 발명에서의「인산에스테르」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를 모두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염」은, 통상 농약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나트륨염, 칼륨염 및 리튬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및 이소프로필아민염과 같은 아민염; 또는 칼슘염 및 바륨염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염 또는 알칼리 금속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염,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이다.
본 발명에서의「C1∼C10알킬에테르」는, 상기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말단 수산기의 산소원자에,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가 결합한 것이고, 예컨대 메틸에테르, 에틸에테르, 프로필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부틸에테르, 펜틸에테르, 헥실에테르, 헵틸에테르, 옥틸에테르, 에틸헥실에테르, 노닐에테르, 이소노닐에테르 또는 데실에테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에테르이다.
본 발명의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 (I) 에 있어서, 하기로 표시되는 화합물 (Ia) 이다:
R1이 C6∼C10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틸,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기) 이고,
A 가 식 -CH2-CH2- 로 표시되는 기이고,
B 가 식 -CH2-CH(CH3)- 로 표시되는 기이고,
m 이 0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10) 이고, n 이 0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10) 이고, 단, m 및 n 은 동시에 0 이 아니며 n 이 0 일 때 m 은 2 이상이고, 또 m 및 n 이 모두 0 이 아닐 때 m 개의 AO 기와 n 개의 BO 기가 결합하는 순서는 임의이다.
본 발명의 수면확전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 (I) 에 있어서, R1이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기이고, m 이 0 ∼ 10 이고, n 이 0 ∼ 10 이고, 단, m 및 n 은 동시에 0 이 아니며 n 이 0 일 때 m 은 2 이상인 화합물 (Ib), 그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인산에스테르의 암모늄염,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 (I) 에 있어서, R1이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기이고, m 이 2 ∼ 8 이고, n 이 0 ∼ 8 인 화합물 (Ic), 그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인산에스테르의 나트륨염이다.
본 발명의 수면확전제는, 시판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시판하지 않는 것이라도 예컨대, 신계면활성제 (호리구찌 히로시 저, 산쿄출판, 소화 50 년 발행)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수면확전제의 양은,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1 ∼ 5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3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질량% 이다.
본 발명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은, 수면시용처리가 가능한 농약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체라도 고체라도 되고, 예컨대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또는 식물조절제일 수 있다.
사용되는 살충제는, 예컨대 이속사티온, 다이아지논, 다이술포톤, 프로파포스, 트리클로르폰, 포르모티온, 디메토에이트, 모노크로토포스, 아세페이트,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티오시크람, 카르탑, 벤술탑, 벤푸라카르브, 푸라티오카르브, 부프로페진, 페노부카르브, 메톨카르브, 프로폭슈아,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및 아세타미프리드 등의 침투이행성 살충제; 또는 시클로프로트린, 에토펜프록스 및 실라플루오펜 등의 이네미즈조우무시 (rice water weevil) 나 이네도로오이무시 (rice leaf beetle) 와 같은 수중 또는 수면 근처에 생식하는 해충에 유효한 합성 피레트로이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아세타미프리드, 시클로프로트린, 에토펜프록스 또는 실라플루오펜이다.
사용되는 살균제는, 예컨대 프로베나졸, 이소프로티올란, 이프로벤포스, 트리시클라졸, 피로퀼론, 카르프로파미드, 오리브라이트, 아족시스트로빈 및 7-플루오로-1,2,5,6-테트라히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등의 도열병제;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티플루자미드, 푸라메트피르 및 2-(4-플루오로페닐)-1-(1H-1,2,4-트리아졸-1-일)-3-트리메틸실릴프로판-2-올 등의 잎집무늬마름병제; 테클로프탈람; 또는 베노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베나졸, 이소프로티올란, 피로퀼론, 카르프로파미드, 오리브라이트, 아족시스트로빈, 7-플루오로-1,2,5,6-테트라히드로-4H-피롤로[3.2.1-i.j]퀴놀린-4-온, 플루톨라닐, 티플루자미드, 푸라메트피르, 2-(4-플루오로페닐)-1-(1H-1,2,4-트리아졸-1-일)-3-트리메틸실릴-프로판-2-올 또는 테클로프탈람이다.
사용되는 제초제는, 예컨대 피라졸레이트, 벤조페납, 피라족시펜, 피리부티카르브, 브로모부티드, 부타미포스, 메페나세트, 벤술푸론-메틸, 아닐로포스, 부타클로르, 프레틸라클로르, 티오벤카르브, 클로르니트로펜, 클로메톡시펜, 다이무론, 비페녹스, 나프로아닐리드, 옥사디아존, 옥사디아르길, 벤타존, 몰리네이트, 피페로포스, 디메피페레이트, 에스프로카르브, 디티오피르, 이마조술푸론, 벤푸레세이트, 퀴노클라민, 신메틸린, MCPA 또는 그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염류 또는 MCPA 의 에스테르류, 2,4-D 또는 그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염류 또는 2,4-D 의 에스테르류, MCPB 또는 그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염류 또는 MCPB 의 에스테르류, 퀸클로락, 피라조술푸론에틸, 펜톡사존, 테닐클로르, 쿠밀루론, 시노술푸론, 시메트린, 디메타메트린, 시할로폽부틸, 에토벤자니드, 카펜스트롤, 에톡시술푸론, 아짐술푸론, 시클로술파무론, 인다노판, 피리미노박메틸, 옥사지클로메폰, 4-(2-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5-디히드로-N-에틸-5-옥소-1H-테트라졸-1-카르복시아미드(펜트라자미드,NBA061), [3-(2-클로로-4-메틸술포닐벤조일)-4-페닐티오]비시클로[3.2.1]옥트-3-엔-2-온(벤조비시클론, SB500), 메틸=N-[4-(벤조티아졸-2-일메톡시)-2-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및 메틸=N-[4-(벤조옥사졸-2-일메톡시)-2-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등의 논제초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라졸레이트, 벤조페납, 피라족시펜, 피리부티카르브, 브로모부티드, 메페나세트, 벤술푸론-메틸, 아닐로포스, 부타클로르, 프레틸라클로르, 다이무론, 옥사디아르길, 이마조술푸론, 피라조술푸론-에틸, 펜톡사존, 테닐클로르, 디메타메트린, 시할로폽부틸, 카펜스트롤, 에톡시술푸론, 아짐술푸론, 인다노판, 펜트라자미드 (NBA061), 벤조비시클론, 메틸 N-[4-(벤조티아졸-2-일메톡시)-2-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 또는 메틸 N-[4-(벤조옥사졸-2-일메톡시)-2-메틸페닐]카르바메이트이다.
사용되는 식물조절제는, 예컨대 이나벤피드, 파클로부트라졸, 우니코나졸 또는 트리아펜테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나벤피드 또는 파클로부트라졸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수면확전제 및 농약유효성분 외에, 예컨대 수면부유제, 기타 수면확전제, 붕괴·분산제, 습윤제, 결합제, 증량제, 조립성 향상제, 용제, 유화제, 안정제 및 분쇄 보조제 등 기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수면부유성을 좋게 하기 위해, 수면부유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면부유제는, 농약고형제제를 수면에 띄우는 것이면 되고, 예컨대 발포 시라수, 발포 펄라이트, 발포 경석 및 소성 질석 등의 광물질; 코르크, 우드 밀 (wood meal) 및 셀룰로스 등의 식물질;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합성수지; 폴리염화비닐 분말 등의 합성수지 분말; 마쯔모또 마이크로 스페어 F30E 등의 플라스틱 중공체; 합성수지의 과립형상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발포 시라수, 발포 펄라이트, 발포 경석, 소성 질석, 코르크, 우드 밀, 발포 합성수지, 합성수지 분말 또는 플라스틱 중공체이다.
사용되는 수면부유제의 양은, 사용하는 수면부유제의 종류나 제형 및 농약고형제제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농약고형제제를 수면에 띄우기에 충분한 양이면 되고,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01 ∼ 9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7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60 질량% 이다.
본 발명은, 보조제로서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그 성질에 따라, 기타 수면확전제, 붕괴·분산제, 습윤제, 결합제, 조립성 향상제 또는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또, 고분자나 유기용제도 그 성질에 따라 복수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또한 수면에서의 확전성을 좋게 하기 위해, 상기 수면확전제와 함께 다른 수면확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기타 수면확전제는, 예컨대 아크릴산 및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산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및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산에 스티렌술폰산 및 비닐 등을 공중합시킨 것의 나트륨염, 칼륨염 및 암모늄염 등의 중합체염과 같은 폴리카르복실산형 폴리소프; 올레산나트륨이나 스테아르산칼륨과 같은 비누류; 디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염과 같은 기타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탄소수 11 이상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및 소르비탄의 알킬에스테르와 같은 기타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아세틸렌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플루로닉 타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이들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인산 또는 황산의 에스테르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들을 적당한 알칼리로 중화한 계면활성제; 불소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유동 파라핀, 나프텐계 및 방향족계 고비점 용매, 저점도의 폴리부텐 및 머쉰 오일 등의 광물유류; 실리콘 오일; 여러 식물유; 송진 등의 수지류; 장뇌백유; α피넨; 장뇌; 또는 나프탈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틸렌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여러 광물유이다.
사용되는 기타 수면확전제의 양은, 그 수면확전제의 종류나 첨가방법, 농약유효성분이나 수면부유제의 종류나 양 및 기타 보조제의 종류나 양 등의 처방이나 제형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01 ∼ 5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4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3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입자를 수중에서 붕괴시켜 농약유효성분을 수중에 현탁·분산시키기 위해, 붕괴·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붕괴·분산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한 경우가 많고, 예컨대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및 그 축합물, 페놀술폰산염 및 그 축합물, 스티렌술폰산염의 축합물, 말레산과 스티렌술폰산의 축합물의 염, 아크릴산이나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산 축합물의 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과 말레산 공중합체의 염, 무수 말레산과 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의 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라우릴술페이트의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아릴아릴에테르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아릴아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또는 이들 황산에스테르나 인산에스테르를 적당한 양이온으로 중화한 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그닌술폰산염,(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의 축합물, 페놀술폰산염의 축합물, 스티렌술폰산염의 축합물, 말레산과 스티렌술폰산과의 축합물의 염, 아크릴산이나 말레산 등의 카르복실산 축합물의 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과 말레산 공중합체의 염, 무수 말레산과 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의 염 또는 디알킬술포숙신산염이다. 이들 붕괴·분산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습윤제로서도 유효한 것이 많다. 또한, 인산나트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등의 인산염; 비이온, 양이온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 중 적당한 것; 및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화 전분 및 이들 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가교체, 미세결정 셀룰로스 및 고흡수성 수지 등의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것도, 붕괴·분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붕괴·분산제 또는 붕괴·분산제 및 습윤제의 양은,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01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03 ∼ 2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분말원료를 조립하여 과립제를 조제하는 경우에 입자에 경도를 부여하기 위해, 또는 농약유효성분을 입자핵의 표면에 피복하기 위해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전자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제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덱스트린 및 α화 전분 등의 수용성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의 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염, 비교적 저분자량이며 비누화율이 낮은 폴리비닐알콜, 리그닌술폰산의 염 및 아라비아 고무 등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또는 벤토나이트 등의 몬트모릴로나이트계의 광물질 미분을 들 수 있다.
전자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제의 양은, 예컨대 처방구성, 조립 방법 및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1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20 질량% 이다.
후자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제는, 상기 고형 결합제 외에, 하기 휘발되기 어려운 오일상태의 결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결합제를 물 또는 휘발성의 유기용제와 같은 용제에 용해시켜 사용함으로써, 농약유효성분을 입자핵의 표면에 피복한 후 용제를 증발시키면 되고, 또 휘발되기 어려운 오일상태 또는 액상화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피복하고, 결합제를 증발시키지 않고 농약고형제제 중에 남겨두어도 된다. 결합제를 농약고형제제 중에 남기는 방법은, 건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유리한 방법이다.
결합제를 피복후 증발시키는 경우에 사용되는 결합제의 양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적은 편이 바람직하고, 통상은 농약고형제제 중에 0.01 ∼ 2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5 질량% 이다. 결합제를 녹이는 용제로는 물이 바람직하다.
결합제를 농약고형제제 중에 남기는 경우에 사용되는 결합제는, 입자핵의 표면에 농약유효성분을 균일하게 피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되고, 농약유효성분에 예컨대 입자 성장 및 분해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오일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고비점, 저독성, 저인화성 및 저점도이고, 비중이 1 보다 작고 농약유효성분을 녹이기 어려운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제는 예컨대 저점도의 유동 파라핀, 염소화 파라핀, 이소파라핀, 머쉰 오일, 폴리부텐, 파라핀계, 나프텐계 및방향족계의 고비점 용매와 같은 광물유; 야자유, 대두유 및 유채기름과 같은 식물유; 고래기름 및 정어리기름과 같은 동물유; 실리콘 오일 및 그 유도체; 올레인산 및 야자유 지방산과 같은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및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트리부틸포스페이트 및 트리에틸포스페이트 등의 인산 에스테르와 같은 가소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및 헥실렌글리콜과 같은 글리콜류; ε-카프로락톤 및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류; N-알킬피롤리돈; 여러 가지 액상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저가이며 유효성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합제 자신이 안정적이며 휘발성이 낮은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머쉰 오일 및 폴리부텐과 같은 광물유, 모노카르복실산에스테르 또는 디카르복실산에스테르이다.
결합제를 농약고형제제 중에 남기는 경우에 사용되는 결합제의 양은, 결합제의 종류, 농약유효성분의 종류나 물리적 성질 및 기타 보조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1 ∼ 5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3 ∼ 4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에서 사용되는 증량제는, 일반적으로 농약의 캐리어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클레이, 탄산칼슘, 규조토, 무정형 이산화규소 및 탈크와 같은 광물질; 또는 전분, 우드 밀, 톱밥, 커피두 분말, 태브 분말 (Makko (Machilus thunbergii) base powder), 셀룰로스 분말, 미세결정 셀룰로스, 왕겨 분말, 쌀겨, 밀기울 및 야자껍질 분말과 같은 식물질 분말일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정형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우드 밀이다.
사용되는 증량제의 양은, 기타 보조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1 ∼ 8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0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농약 과립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립성 향상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조립성 향상제는, 일반적으로 농약 과립제에서 조립성 향상제로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나 조성물에 가소성을 부여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아릴아릴에테르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의 나트륨염 및 알킬벤젠술폰산의 나트륨염과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벤토나이트와 같은 광물질 미분; 덱스트린 및 α화 전분과 같은 전분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와 같은 천연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나트륨염과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폴리비닐알콜이나 폴리아크릴산의 나트륨염과 같은 수용성 합성 고분자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나트륨염이다.
사용되는 조립성 향상제의 양은, 조립성 향상제의 종류 및 기타 보조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통상 농약고형제제 중에 0.01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 2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액상 농약활성성분을 희석하거나, 저융점의 농약활성성분을 액상으로 하기 위해 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용제는 고비점 저독성이며 인화점이 높은 것으로, 농약활성성분의 비중이 1 이상일 때, 유화 입자를 가능한 한 장시간 수중에 머무르게 하여 논에 넓게 확산시키기 위해, 비중이 1 보다 작고 저점도인 용제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파라핀계, 방향족계 및 나프텐계의 고비점 용제; 올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야자유와 같은 여러 동식물에서 얻어지는 지방산, 프탈산, 아디프산 및 인산 등의 에스테르류; 야자유 및 유채기름 등의 식물유; 또는 고래기름 및 정어리기름 등의 동물유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또는 저분자량의 폴리부텐이다.
사용되는 농약활성성분을 희석 또는 용해하는 용제의 양은, 농약유효성분의 종류나 물리적 성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농약고형제제의 경시 안정성이나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가능한 한 적은 편이 좋고, 통상 희석 또는 용해시키는 농약활성성분 1 부에 대해 0.1 ∼ 50 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2 ∼ 10 부이다.
또, C4∼C10알킬알콜에 C2∼C4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화합물도, 농약활성성분을 희석 또는 용해하는 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농약활성성분을 수중에 유화시키기 위해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고, 그러한 유화제는 유제의 유화제를 선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농약활성성분이나 용제의 종류나 물리적 성질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의 유화제와 달리, 농약고형제제의 사용시에 인위적으로 교반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자기유화성이 좋고, 미세한 유화를 하는 것이 좋다.
사용되는 유화제의 양은, 통상 액상 농약유효성분 또는 용제에 희석 또는 용해시킨 농약유효성분으로 이루어진 유화시켜야 할 액체 1 부에 대해 0.01 ∼ 10 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3 ∼ 3 부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제제 중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안정화 또는 물리적 성질의 안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안정제는, 예컨대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휘산방지제, 고체산활성의 방지제, 색소 또는 건조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유효성분을 건식 분쇄할 때, 분쇄성을 좋게 하거나, 기기로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분쇄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분쇄 보조제는 예컨대, 무정형 합성 실리카, 탈크 또는 여러 입자상 광물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정형 합성 실리카 또는 탈크이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농약유효성분이 고체인 경우는, 필요한 경우에 수면확전제, 붕괴·분산제, 습윤제, 증량제, 안정제 및 분쇄 보조제 등과 함께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 예비 혼합물을, 수중에서 부유하는 입자핵에, 적당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피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또 농약유효성분이 액체인 경우에는, 액체 그대로 또는 농약유효성분이 고체인 경우 또는 액체라 하더라도 필요에 따라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필요에 따라서는 적당한 붕괴·분산제, 습윤제, 유화제 및 안정제 등의 기타 보조제를 첨가하여 수중에서 부유하는 입자핵에 흡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유효성분이 고체인 경우에는, 농약유효성분의 입도가 굵으면, 논의 투입지점에 농약유효성분이 농후하게 침강하는 원인이 되고, 또 장시간에 걸쳐 농약유효성분이 국소적으로 존재하면, 효력부족이나 약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농약유효성분은, 논에 투입된 후 신속하게 논바닥과 수중에 용해·확산되어 효력을 발휘하여야 하므로, 가령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것이라 하더라도, 고체의 농약유효성분을 어느 정도 미분쇄해 둘 필요가 있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것은 특히 미분쇄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고체의 유효성분은, 필요에 따라 상기 분쇄 보조제나 기타 보조제와 함께, 예컨대 해머밀 및 제트밀 등에 의한 건식 분쇄; 또는 샌드밀 및 아트라이터 등에 의한 습식 분쇄에 의해 분쇄할 수 있다.
건식 분쇄한 농약유효성분은, 수면부유제나 기타 보조제와의 입도 또는 가비중의 차이에서, 분급이 발생하기 쉽고, 농약고형제제 중에서 농약유효성분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이 점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습식 분쇄한 농약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기타 보조제와 함께 정량 공급하여 반죽(練合) 및 조립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농약유효성분의 불균일이 잘 발생하기 않아 바람직하다.
습식 분쇄한 농약유효성분은, 분무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한 후 분쇄하거나, 또는 무정형 합성 실리카, 규조토, 규산칼슘 및 고흡유성 수지 등의 적당한 흡유능이 있는 캐리어에 흡수시키고, 필요에 따라 건조 및 분쇄하여, 건식 분쇄한 농약유효성분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조립시에, 습식 분쇄한 농약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반죽한 물 (練合水)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혼합및 조립하여 본 발명의 농약 과립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액상 농약유효성분, 액상으로 한 농약유효성분 또는 저융점의 농약유효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용제 또는 유화제에 용해시켜 수면부유성의 캐리어 또는 수면부유성의 입자핵에 흡수시킬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보조제와 함께, 무정형 합성 실리카, 규조토, 규산칼슘, 고흡유성 수지 및 고흡유성 덱스트린 등의 흡유능이 있는 캐리어에 흡수시키거나 이 농약유효성분과 상용성이 있는 수지, 화학물질 또는 다른 고체 농약유효성분과 고용체를 형성하여, 상기 고체의 농약유효성분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들 농약유효성분은, 기타 보조제와 함께, 혼합, 분쇄, 반죽, 조립, 건조, 정립 (sizing), 피복 또는 흡수 등의 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분말 제제인 경우에는, 농약유효성분, 수면확전제 및 기타 보조제를 혼합하여, 필요에 따라 해머밀 및 에어밀과 같은 적당한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과립제인 경우에는, 예컨대 원료분말을 적당한 조립기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방법 (조립법), 미리 조제한 부유성의 입자핵에 적당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농약유효성분을 피복하는 방법 (피복법), 또는 농약유효성분을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미리 조제한 부유성의 입자핵에 흡수시키는 방법 (흡수법)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조립법에 의해 과립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농약유효성분을 필요에 따라 미리 다른 보조제와 함께 농후 예비 혼합물로 하여, 이것을 기타 성분과 혼합하여, 조립, 건조 및 정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조립기는, 예컨대 횡압 또는 배스킷 타입 등의 압출조립기, 혼합조립기, 전동조립기, 유동층 조립기 또는 분무조립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출조립기이다. 성분중에 발포 시라수나 발포 펄라이트를 함유하는 경우, 이들을 강하게 가압하면, 벌룬이 찌그러져 부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 코르크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이를 강하게 가압하면 부력이 저하되므로, 강한 압력이나 전단력이 가해지지 않는 조립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피복법에 의해 과립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미리 조제한 부유성 입자핵을 교반혼합기에 넣고, 필요에 따라 액상 결합제를 첨가하여 과립제의 표면을 적신 후, 농약유효성분의 농후 예비 혼합물을 첨가하여 다시 교반 혼합하여 입자핵의 표면에 농약유효성분을 피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되는 교반혼합기는, 입자의 분쇄가 적은 저속혼합기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나우터 믹서, 리본 블렌더, 로터리 블렌더 또는 V 형 혼합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우터 믹서 또는 리본 블렌더이다. 또, 농후 예비 혼합물 중에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수면확전제, 수면부유제, 기타 수면확전제, 붕괴·분산제, 습윤제, 증량제, 조립성 향상제, 용제, 유화제 또는 안정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흡수법에 의해 과립제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미리 조제한 부유성 입자핵을 상기 교반혼합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액상 또는 액상화한 농약유효성분 또는 그 농후 예비 혼합물을 첨가하여 흡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예비 혼합물 중에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수면확전제, 용제, 유화제 또는 안정제를 배합할 수 있다.
피복법이나 흡수법으로 수면부유성의 과립제를 제조하는 경우, 수면확전제는 최외층에 존재하는 것이 그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면확전제는 농약유효성분이나 기타 보조제를 피복 또는 흡수시킨 후, 마지막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립법, 피복법 및 흡수법에 있어서, 조립, 피복 및 흡수 등의 공정 중 필요한 공정은 한번에 실시해도 되고 또 필요에 따라 2 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실시해도 되는데, 예컨대 농약유효성분의 일부를 혼입 조립하여 부유성 입자핵을 얻고, 여기에 잔부의 농약유효성분을 피복해도 되고, 조립법으로 조제한 부유성 과립제의 표면에, 수면확전제를 피복 또는 흡수시켜도 되고, 또 피복법과 흡수법을 동일한 제제에 적용해도 된다.
피복법이나 흡수법에서 사용하는 입자핵은, 상기 조립법의 과립제를 조제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 입자핵 또는 원료의 일부를 제외하고 조제한 입자핵일 수 있고, 또 미리 적당한 입도로 조제한 코르크, 발포 시라수, 소성 질석, 발포 펄라이트, 발포 경석 및 발포 합성수지 등의 수면부유제를 그대로 입자핵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과립제의 입도는 통상 0.1 ∼ 5 mm 이고, 바람직하게는 0.3 ∼ 3 mm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 mm 이다. 입도가 너무 크면 조립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 입자의 건조가 어려워지고, 또 과립제가 수면에서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과립제는, 분말 원료로 조립한 과립제인 경우, 수중에 투입했을 때, 붕괴성의 과립제나 비붕괴성의 과립제 중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과립제의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주형상, 구형상 또는 부정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과립제의 겉보기 비중은, 취급용이성, 생산성 및 수면에서의 입자의 부유용이성 면에서 통상 0.15 ∼ 0.50 이고, 바람직하게는 0.20 ∼ 0.4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0.40 이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는, 고농도의 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수면에 확전된 후에는, 신속하게 농약유효성분이 수중에 분산, 용해 또는 확산되어야 한다. 분산, 용해 및 확산이 불충분하여 고농도의 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제가 침강하게 되면, 침강한 지점에 농약유효성분의 국소적인 존재가 발생하여 약해나 효력부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과립제로부터 농약유효성분이 유리되지 않은 채 장시간 수면에 떠다니면, 바람에 밀려 한 곳에 모이는 문제가 염려된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는, 통상의 과립제와 마찬가지로, 논에 넣어 균일처리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수면에서의 확산이 매우 좋기 때문에, ① 적당한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어 담아 논둑 등에서 투입처리한다 (투입처리), ② 논둑을 따라 논 안으로 흔들어 넣어 처리한다 (가장자리 처리) 또는 ③ 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또는 팩을, 논에 물을 댈 때 물입구에 처리하여, 관개용수와함께 논 안으로 확산시킨다 (물입구 처리) 등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고, 다소 수면에 장해물이 있는 논이나 벼가 자란 논에서도, 농약유효성분을 논 안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 약해가 발생하지 않고 충분한 생물효과를 올릴 수 있다.
논에 투입처리하기 위한 팩의 수용성 필름은, 수중에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 필름이다. 사용되는 수용성 필름의 원료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 플루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그 유도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는, 확전성을 갖지 않는 수용성 필름의 팩에 나누에 담은 경우, 수용성 필름이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의 확전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충분히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가 확산되기 전에, 수면확전제가 물에 용해되어 버려 확전력을 상실하므로, 팩에 나누어 담지 않고 수면에 처리한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에 비해 팩의 수면확전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경우, 농약유효성분이 투하점 근방의 좁은 범위에 국소적으로 존재하게 되어,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용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확전성 수용지이다.
확전성 수용지는, 그 자체가 수중에서 용이하게 분산 또는 용해되어,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를 수면에 확전시키는 성질을 갖는 필름 또는 시트이다. 사용되는 확전성 수용지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시트 (이하, PVA 필름이라 약칭) 일 수 있다.
PVA 필름은 중합도가 500 ∼ 2000 이고, 비누화도가 80 ∼ 98 % 인 폴리비닐알콜을 소량의 가소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필름형상 또는 시트형상으로 한 것이고, 중합체 중에 소량의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과 같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필름 또는 시트를 포함한다.
수용성 필름은, 기계강도 및 내한강도가 크고 수용성인 것이 필요하고, 그 의미에서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알콜의 중합도가 너무 높거나 비누화도가 너무 높으면, 냉수에 용해되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수용성 필름의 두께는, 필름 강도나 용해시간에도 따르지만, 통상 20 ∼ 8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50 ㎛ 이다.
수용성 필름의 단부는 풀로 봉해도 되지만 작업성에 문제가 있고, 또 풀로 붙인 부분이 잘 용해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 점에서 가열 봉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논에 투입처리를 하기 위한 팩의 중량은, 통상 1 팩당 10 ∼ 200 g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100 g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60 g 이다. 이 정도의 중량이면 어린이, 여성 또는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15 m 이내의 목표지점에 팩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팩이 이보다 무거우면 투입하는 것이 고통스러워져, 넓은 면적에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또 이 이하의 중량에서는 팩이 바람의 영향을 받아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는, 수면에서 광범위하게 확전되어, 농약유효성분도 광범위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통상의 크기의 논에서는 무리하게 멀리까지 투입할 필요는 없고, 논둑에서 2 ∼ 3 m 떨어진 수면에 투입하는 정도로 충분하다.
논에 투입처리하는 팩의 개수는, 너무 많으면 투입에 노력을 요하여 노동력 절약이 되지 않고,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며, 또 너무 적으면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의 확전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어, 통상 논 10a 당 1 ∼ 30 개이고, 바람직하게는 2 ∼ 20 개다.
논에 투입처리를 하기 위한 팩은, 종이, 수지, 이들에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거나 알루미 또는 실리카를 증착한 것, 금속, 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봉투나 상자 또는 병에 외장한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는, 가장자리 처리나 물입구 처리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인 경우에도, 상기 팩을 외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는, 물리적 성질의 면에서는 흡습에 대해 경시적으로 안정적이다. 따라서, 발포제를 함유하는 제제에 비하면 흡습에 대해 주의할 필요는 없지만, 수용성 필름은 물을 가하면 파괴되어 버리므로, 적당한 방수가공을 실시한 외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 18)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
피로퀼론 원체 24 부, 탈크 (일본 약국방) 3 부 및 카플렉스 #80 (시오노기세이야꾸 주식회사 제조, 무정형 합성 실리카) 1 부를 혼합하고, 샘플밀 (후지파우달 주식회사 제조, 해머밀) 로 분쇄하여 피로퀼론 예비 혼합물을 얻었다. 또, 하기 표 1 에 나타낸 각 수면확전제 및 카플렉스 #80 를 1 : 1 의 비율로 혼합하고, 샘플밀로 분쇄하여 50 % 수면확전제 예비 혼합물을 각각 얻었다.
히루콘 S-1 호 (히루이시가가꾸고교 주식회사 제조, 소성 질석 3 ∼ 0.5 mm 구분) 35 부를 리본 블렌더에 넣고, 슈퍼오일 C (니뽄세끼유 주식회사 제조, 미정제의 유동 파라핀) 33 부를 첨가하면서 혼합하여 입자 표면을 적신 다음, 상기 피로퀼론 예비 혼합물 28 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입자 표면에 피복한 후 다시 상기 50 % 수면확전제 예비 혼합물 4 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입자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피로퀼론 24 % 를 함유하는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를 얻었다.
하기 표 1 에 있어서, Et 는 에틸기를, 2-Et-C6H13은 2-에틸헥실기를, iso-C9H19는 이소노닐기를, EO 는 식 -CH2-CH2-O- 로 표시되는 기를, PO 는 식 -CH2-CH(CH3)-O- 로 표시되는 기를, -(EO)3-(PO)5-(EO)2- 는 에틸렌옥사이드 3 몰, 프로필렌옥사이드 5 몰 및 에틸렌옥사이드 2 몰이 이 순서대로 부가된 기를 나타내고, 유도체란의 「-」기호는, 수면확전제가 화합물 (I) 인 것을 나타내고, 유도체란의 「에틸에테르」기호는, 수면확전제가 화합물 (I) 의 에틸에테르인 것을 나타내고, 유도체란의 「인산에스테르암모늄염」기호는, 수면확전제가 화합물 (I) 의 인산에스테르의 암모늄염인 것을 나타낸다.
수면확전제R1O-(AO)m-(BO)n-H (I)
실시예번호 수면확전제
R1 -(AO)m-(BO)n- 유도체
1 C6H13 -(EO)2- -
2 2-Et-C6H13 -(EO)2- -
3 2-Et-C6H13 -(EO)2- 2-에틸헥실에테르
4 2-Et-C6H13 -(EO)5- -
5 2-Et-C6H13 -(EO)3- 에틸에테르
6 2-Et-C6H13 -(EO)3-(PO)5-(EO)2- -
7 2-Et-C6H13 -(EO)15-(PO)3- -
8 iso-C9H19 -(EO)2-(PO)7.2-(EO)5.3- -
9 2-Et-C6H13 -(EO)2- 인산에스테르암모늄염
10 2-Et-C6H13 -(EO)2-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11 2-Et-C6H13 -(EO)2- 인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염
12 2-Et-C6H13 -(EO)2- 인산에스테르
13 2-Et-C6H13 -(EO)2- 인산에스테르칼슘염
14 2-Et-C6H13 -(EO)2- 황산에스테르암모늄염
15 2-Et-C6H13 -(EO)2- 황산에스테르칼륨염
16 C4H9 -(EO)2-(PO)1- 인산에스테르이소프로필아민염
17 C6H13 -(EO)2-(PO)1- 인산에스테르트리에탄올아민염
18 iso-C9H19 -(EO)2-(PO)7.2-(EO)5.3- 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실시예 1, 2, 9, 10 및 12 에 기재된 수면확전제는 시판품 (니뽄뉴까자이 주식회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기타 수면확전제는, 예컨대 신계면활성제 (호리구찌 히로시 저, 산쿄출판, 소화 50 년 발행)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9)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 및 논투입용 팩
발포 시라수 (0.3 ∼ 1.0 mm) 42 부를 나우터 믹서 (호소가와미크론 주식회사 제조) 에 넣고, 슈퍼오일 C 25 부를 첨가하면서 혼합하여 입자 표면을 적신 후, 실시예 1 ∼ 18 에 기재된 피로퀼론 예비 혼합물 28 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입자 표면을 피복한 후, 다시 실시예 8 에 기재된 50 % 수면확전제 예비 혼합물 5 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입자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피로퀼론 24 % 를 함유하는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를 얻었다.
얻어진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를, 하이세론 C200 (두께 40 ㎛의 PVA 필름, 니뽄고세이필름 주식회사 제조) 에 50 g 씩 나누어 논투입용 팩을 얻는다.
(실시예 20)
수면부유 확전성 분말 제제 및 논투입용 팩
발포 시라수 (0.03 ∼ 0.15 mm) 47.5 부 및 폴리염화비닐 분말 22.5 부를 레데이게 믹서 (마쯔자까보에끼 주식회사 제조) 에 넣고, 프레틸라클로르 원체 25 부 및 실시예 17 에 기재된 수면확전제 5 부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면서 혼합하여, 프레틸라클로르 25 % 를 함유하는 수면부유 확전성 분말 제제를 얻었다.
얻어진 수면부유 확전성 분말 제제를, 하이세론 C200 에 30 g 씩 나누어 논투입용 팩을 얻었다.
(실시예 21)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 및 논투입용 팩
피라졸레이트 원체 63 부 및 뉴콜 291PG (디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의 나트륨염, 니뽄뉴까자이 주식회사 제조) 0.85 부를 물 36.15 부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다이노밀 (비드밀, 신마루엔터프라이제스사 제조) 을 사용하여 분쇄하고, 피라졸레이트 63 % 를 함유하는 분쇄물을 얻었다. 얻어진 분쇄물 57.14 부에 톡사논 GR31A (산요가세이 주식회사 제조, 아크릴산계 분산제) 2.5 부를 첨가하고 혼합하고 피라졸레이트 슬러리를 얻었다. 코르크 (0.2 ∼ 0.5 mm 구분) 14 부, 벤토나이트 (호쥰고교 주식회사 제조, 호타카지루시) 7 부, 세로겐 7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나트륨염, 다이이찌고교세이야꾸 주식회사 제조) 7 부 및 우드 밀 (네오라이트고산 주식회사 제조) 14.52 부를 니더 중에서 혼합하고, 상기 피라졸레이트 슬러리 59.64 부를 소량의 물로 희석한 것을 첨가하여 반죽하여, 돔그랜 (후지파우달 주식회사 제조, 압출 조립기) 에 의해 1.5 mm 의 스크린을 통과시키고 압출하여 조립하였다. 얻어진 습윤 입자를, 유동층 건조기를 사용하여 100 ℃ 에서 건조시키고 4.76 ∼ 1.20 mm 의 체로 분리하여 피라졸레이트 농후 과립제를 얻었다. 얻어진 농후 과립제 80 부를 나우터 믹서에 넣고, 여기에 부타클로르 원체 15 부 및 실시예 18 에 기재된 수면확전제 5 부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흡수시킴으로써, 피라졸레이트 36 % 및 부타클로르 15 % 를 함유하는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를 얻었다.
얻어진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를 하이세론 C200 에 50 g 씩 나누어 논투입용 팩을 얻었다.
(비교예 1 ∼ 4)
수면부유성 과립제
실시예 1 에 기재된 수면확전제 대신, 하기 표 2 에 기재된 수면확전제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수면부유성 과립제를 얻었다.
비교예 번호 수면확전제
1 사피놀104(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 닛신가가꾸 주식회사 제조)
2 실가드309(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도레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3 유니다인DS101(불소계 계면활성제, 다이킨고교 주식회사 제조)
4 뉴콜291PG(디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의 나트륨염, 니뽄뉴까자이(주) 제조)
(비교예 5)
수면부유성 분말 제제 및 논투입용 팩
실시예 20 에 기재된 수면확전제 대신, 뉴콜 291PG 를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0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면부유성 분말 제제 및 논투입용 팩을 얻었다.
(시험예 1)
수면이 오염된 조건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확전성
폭 25.5 cm, 길이 32 cm 의 수지제 콘테이너에 물을 넣어 수심을 2 cm 로 조정하였다. 수면이 진정된 후, 우드 밀 0.25 g 을 수면에 균일하게 뿌려 수면을 우드 밀로 덮었다. 수면의 중앙에 실시예 1 ∼ 18 의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 및 비교예 1 ∼ 4 의 수면부유성 과립제 0.1 g 을 각각 투입하였다. 과립제 투입 1 분후에 수면의 상태를 사진촬영하고, 과립제의 투입에 의해 수면의 우드 밀을 나누어 과립제가 진입한 균열의 개수 및 수면의 우드 밀이 밀려난 면적의, 콘테이너의 면적에 대한 비율 (5 % 단위) 을 측정하여, 수면에서의 확전성을 구했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수면이 오염된 조건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확전성
시험 과립제 확전성
수면의 균열 개수(개) 우드 밀이 밀려난수면의 비율(%)
실시예1실시예2실시예3실시예4실시예5실시예6실시예7실시예8실시예9실시예10실시예11실시예12실시예13실시예14실시예15실시예16실시예17실시예18 444445566547455645 505555505570557570656075656060706075
비교예1비교예2비교예3비교예4 2312 25301015
본 발명의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는, 비교예의 수면부유성 과립제에 비해 수면이 오염된 조건에서도 우수한 확전성을 나타냈다.
(시험예 2)
수면이 오염된 조건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
바람이 없는 실내에 폭 90 cm, 길이 7 m, 깊이 10 cm 의 가장자리를 발포 스티롤로 작성하여 수평으로 설치하였다. 가장자리 내면에 흑색 비닐시트를 붙이고 물을 넣어 수심 5 cm 로 조정하였다. 우드 밀 20 g 을 개구직경 0.5 mm 의 체를 통과시켜 수면에 균일하게 뿌렸다. 수면이 진정된 후, 실시예 19 의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 및 비교예 2 의 수면부유성 과립제 3.15 g 을 각각, 가장자리의 끝에서 10 cm 위치에 처리하였다. 처리 5 분후에, 투입점으로부터 입자의 투입에 의해 수면의 우드 밀이 밀려난 선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또 처리 3 시간, 7 시간 및 24 시간후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점 b 및 중심선상의 양단으로부터 50 cm 떨어진 지점 a 및 c 에서, 수심 2.5 cm 의 위치의 수중 농약유효성분 농도를 측정하여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수면이 오염된 조건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
시험과립제 과립제 투입점으로부터 우드 밀이 밀려난 선단까지의 거리(m) 농약유효성분농도측정위치 수중 피로퀼론 농도 (ppm)
처리후 3시간 7시간 24시간
실시예19 5.8 abc 3.623.070.05 3.022.810.65 2.802.531.58
비교예2 2.9 abc 8.490.040 6.351.310 5.851.830.04
본 발명의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는, 비교예의 수면부유성 과립제에 비해 수면이 오염된 조건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확산이 빠르고, 수중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이 양호하였다.
(시험예 3)
수면이 오염된 논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과 제초효과
10 m ×10 m 로 구획된 논에 모내기를 하였다. 7 일후에 수심 5 cm 가 되도록 조정하여, 1 구획당 100 g 의 우드 밀을 미제트더스터 (소형 산포기, 아리미쯔고교 주식회사 제조) 로 균일하게 처리함으로써, 수면을 우드 밀로 덮었다. 실시예 20 및 비교예 5 의 논투입용 팩을 각 구획의 중앙에 투입하여, 과립제가 수면에서 확산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또, 처리 10 분후에 확산이 최대가 된 시점에서, 우드 밀이 밀려난 면적을 측정하였다. 처리 24 시간후에 도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하점 3 및 각 모서리로부터 1 m 씩 떨어진 지점 1, 2, 4 및 5 에서 논바닥의 물을 채취하여, 농약유효성분의 수중 농도를 분석하여 구했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수면이 오염된 논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
시험 논투입용 팩 우드 밀이 밀려난 모습 및 면적 (m2) 농약유효성분농도측정위치 24 시간 경과후의 프레틸라클로르의 농도(ppm)
실시예 20 불가사리 모양 7 개,20 1(바람이 불어오는 쪽)23(중앙)45(바람이 불어가는 쪽) 1.031.452.801.281.85
비교예 5 선상 2 개, 3 1(바람이 불어오는 쪽)23(중앙)45(바람이 불어가는 쪽) 0.320.946.230.721.03
또한, 논투입용 팩처리 40 일후에, 물채취지점 1 ∼ 5 에 모내기시에 미리 파종한 다이누비에 (Echinochloa crusgalli) 에 대한 제초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시예 20 의 처리구에서는, 어느 지점에 있어서도 다이누비에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5 의 처리구에서는, 처리시에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닿은 1 및 4 의 지점에 약간의 잔초가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0 의 논투입용 팩은, 수면이 오염된 논에 있어서, 농약유효성분의 논 안에서의 확산이 좋고, 처리 1 일후에는 거의 논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제초효과도 양호했지만, 비교예 5 의 논투입용 팩에서는, 처리후 1 일이 경과하여도 균일하게 되지 않고, 제초효과도 실시예 20 보다 떨어졌다.
(시험예 4)
조류가 발생한 논에서의 제초효과시험
넓이 30a 의 논에 모내기를 하였다. 모내기 10 일후에 논면적의 약 1/3 에 조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한 후,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 의 수면부유 확전성 과립제 1500 g 을 각각 물입구 처리방법 (관개용수와 함께 과립제를 물입구로부터 논에 유입시키는 농약의 처리방법) 및 가장자리 처리방법 (양측의 긴 논둑을 걸으면서 750 g 씩의 과립제를 논둑으로부터 약 50 cm 의 지점에 흔들어 넣는 농약의 처리방법) 및 실시예 21 의 논투입용 팩 50 g ×30 팩을, 투입처리방법 (양측의 긴 논둑을 걸으면서 15 개씩의 팩을 논둑으로부터 약 7 m 의 지점에 투입하는 농약처리방법) 을 이용하여 시용하였다. 시용 40 일후에, 두 긴 논둑으로부터 3 m 의 위치와 중앙 3 열에 대해 제초효과를 관찰조사하였다. 어느 시험구에 있어서도, 잔초가 거의 보이지 않아 매우 높은 제초효과가 얻어졌다.
본 발명의 농약고형제제는, 조류, 부초 등의 수면의 오염이 있는 논에서도 수면확전성이 좋고, 또 논에서의 농약유효성분의 균일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벼가 자란 후의 농약처리나, 상기와 같은 장해물이 있는 논에서도 그 농약활성성분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농가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농약고형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논투입용 팩은, 상기와 같은 불리한 조건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논농업의 노동력 절약에 크게 기여한다.

Claims (16)

  1. C4∼C10알킬알콜의 C2∼C4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면확전제 및 농약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면확전제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인산에스테르, 그 황산에스테르 및 그들 에스테르의 염 및 그 화합물의 C1∼C10알킬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수면확전성 화합물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화학식 1]
    R1O-(AO)m-(BO)n-H
    [식중, R1은 C4∼C10알킬기를 나타내고,
    A 는 식 -CH2-CH2-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B 는 식 -CH2-CH(CH3)- 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m 은 0 ∼ 30 을 나타내고, n 은 0 ∼ 30 을 나타내고, 단, m 및 n 은 동시에 0 이 아니며 n 이 0 일 때 m 은 2 이상이고, 또 m 및 n 이 모두 0 이 아닐 때 m 개의 AO기와 n 개의 BO 기가 결합하는 순서는 임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R1이 C6∼C10알킬기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m 이 0 ∼ 10 이고, n 이 0 ∼ 10 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5. 제 2 항에 있어서, R1이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기이고, m 이 0 ∼ 10 이고, n 이 0 ∼ 10 인 화합물, 그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인산에스테르의 암모늄염,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6. 제 2 항에 있어서, R1이 에틸헥실 또는 이소노닐기이고, m 이 2 ∼ 8 이고, n 이 0 ∼ 8 인 화합물, 그 인산에스테르 또는 그 인산에스테르의 나트륨염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부유제를 더 함유하는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수면부유제가 발포 시라수, 발포 펄라이트, 발포 경석, 소성 질석, 코르크, 우드 밀, 발포 합성수지, 합성수지 분말 또는 플라스틱 중공체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가 입경이 0.1 ∼ 5 mm 의 과립제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를 수용성 필름에 나누에 담은 논투입용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이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시트인 논투입용 팩.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팩의 중량이 1 팩당 10 ∼ 200 g 인 논투입용 팩.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논투입용 팩을 10a 당 1 ∼ 30 개 논에 투입처리하는, 논에 발생하는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를, 논둑을 따라 논으로 흔들어 넣어 처리하는, 논에 발생하는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를, 논에 물을 댈 때 물입구에 처리하여, 관개용수와 함께 논 안으로 확산시키는, 논에 발생하는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논투입용 팩을 논에 물을 댈 때 물입구에 처리하여, 관개용수와 함께 논 안으로 확산시키는, 논에 발생하는 유해생물을 구제하는 방법.
KR1020017012786A 1999-04-09 2000-04-06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KR100766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13299 1999-04-09
JPJP-P-1999-00102132 1999-04-09
PCT/JP2000/002214 WO2000060941A1 (fr) 1999-04-09 2000-04-06 Preparations de pesticide solide flott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588A true KR20020009588A (ko) 2002-02-01
KR100766754B1 KR100766754B1 (ko) 2007-10-17

Family

ID=1431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786A KR100766754B1 (ko) 1999-04-09 2000-04-06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351701A (ko)
KR (1) KR100766754B1 (ko)
CN (1) CN1353572A (ko)
WO (1) WO20000609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961A2 (ko) * 2010-12-06 2012-06-14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수면 부유 확산성 농약 정제 제형
KR20180128502A (ko) * 2010-06-04 2018-12-03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1-mcp를 이용하는 식물 관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05A (ja) * 2000-08-14 2002-05-09 Hokko Chem Ind Co Ltd 水面施用農薬製剤およびその製法
JP5674252B2 (ja) * 2001-02-08 2015-02-25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固体農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散布方法
JP4280017B2 (ja) * 2002-03-05 2009-06-17 協友アグリ株式会社 水田用農薬固形剤
CN100399892C (zh) * 2004-07-14 2008-07-09 范小林 一种用于防治血吸虫的水面漂浮性缓释药剂及其制备方法
JP5563964B2 (ja) * 2010-11-30 2014-07-30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水面浮遊性農薬製剤
TWI634840B (zh) * 2011-03-31 2018-09-11 先正達合夥公司 植物生長調節組成物及使用其之方法
JP6040116B2 (ja) * 2012-08-06 2016-12-07 日本化薬株式会社 農薬粒剤及びその製造法
KR102567357B1 (ko) * 2015-02-09 2023-08-14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입상 농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6279804B1 (ja) * 2016-12-20 2018-02-14 竹本油脂株式会社 水面浮遊型農薬組成物用拡展剤及び水面浮遊型農薬組成物
JP7009405B2 (ja) * 2018-02-26 2022-02-10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水面浮遊型農薬製剤用拡展剤及び農薬製剤
JP6523536B1 (ja) * 2018-07-09 2019-06-05 日本乳化剤株式会社 農薬用水面拡展剤
WO2020027329A1 (ja) 2018-08-03 2020-02-06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水面浮遊性農薬製剤
JP7156871B2 (ja) * 2018-09-05 2022-10-1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水面浮遊型農薬製剤用拡展剤及び農薬製剤
JP6808768B2 (ja) * 2019-02-07 2021-01-06 日本乳化剤株式会社 農薬用水面拡展剤
CN113142234B (zh) * 2020-01-06 2022-05-10 沈阳中化农药化工研发有限公司 一种杀菌剂组合物的漂浮颗粒剂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87907T2 (de) * 1984-10-09 1995-02-02 Interface Res Corp Mikrobielle zusammensetzung und deren herstellung.
DE3631558A1 (de) * 1986-09-17 1988-03-31 Hoechst Ag Neue suspoemulsionen von pflanzenschutz-wirkstoffen
GB8624644D0 (en) * 1986-10-14 1986-11-19 Ici Plc Herbicidal compositions
JP3339907B2 (ja) * 1993-03-15 2002-10-28 竹本油脂株式会社 崩壊型農薬粒剤組成物
JPH0881303A (ja) * 1994-09-16 1996-03-26 Sumitomo Chem Co Ltd 殺菌剤組成物
JPH0881302A (ja) * 1994-09-16 1996-03-26 Sumitomo Chem Co Ltd 除草剤組成物
JPH09183701A (ja) * 1995-05-12 1997-07-15 Nippon Bayeragrochem Kk 浮遊走行性良好な水面施用農薬製剤
JP3871230B2 (ja) * 1996-05-07 2007-01-24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粒状組成物及び散布方法
JPH09301801A (ja) * 1996-05-16 1997-11-25 Hokko Chem Ind Co Ltd 農薬粒状水和剤
JPH1087406A (ja) * 1996-09-13 1998-04-07 Takeda Chem Ind Ltd 農薬製剤包装体
JPH10109905A (ja) * 1996-10-03 1998-04-28 Kumiai Chem Ind Co Ltd 粒状農薬組成物及びその散布方法
JPH10158111A (ja) * 1996-11-27 1998-06-16 Sankyo Co Ltd 安定化された農薬固型製剤
JP3739545B2 (ja) * 1997-09-12 2006-01-25 竹本油脂株式会社 溶出性の改善された農薬粒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502A (ko) * 2010-06-04 2018-12-03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1-mcp를 이용하는 식물 관개 방법
WO2012077961A2 (ko) * 2010-12-06 2012-06-14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수면 부유 확산성 농약 정제 제형
WO2012077961A3 (ko) * 2010-12-06 2012-10-04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수면 부유 확산성 농약 정제 제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51701A (ja) 2000-12-19
CN1353572A (zh) 2002-06-12
WO2000060941A1 (fr) 2000-10-19
KR100766754B1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754B1 (ko) 수면부유성 농약고형제제
JP5260492B2 (ja) 顆粒状組成物
EP0633722B1 (en) Water dispersible granules of liquid pesticides
JP2815535B2 (ja) 拡展性水溶紙分包農薬固形剤
JP3781457B2 (ja) 水面での崩壊分散性を調節した水面浮遊性農薬粒剤及びそのキャリヤー
KR100687514B1 (ko) 수면 시용 농약 조성물
JPH0899803A (ja) 水面浮遊拡展性非崩壊粒剤
JP2004352711A (ja) 粒状農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FI93416C (fi) Menetelmä rae- tai tablettimuotoisen herbisidituotteen valmistamiseksi
KR100220267B1 (ko) 수전제초용 입제 조성물
JPH11310503A (ja) 水田投げ込み用農薬製剤
JP3433157B2 (ja) 高濃度農薬固形製剤
JPH0782102A (ja) 水田用農薬粒剤
JP2001278701A (ja) 水面における拡展性の良い農薬固形製剤
KR100347392B1 (ko) 농약입제
JP2007516268A (ja) 界面活性剤で増強された迅速放出の殺虫剤粒状物
EP1157612B1 (en) Granular water-dispersible ag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347391B1 (ko) 과립형담체및과립형농약제제
KR100318798B1 (ko) 농약고형제
JPH09118602A (ja) 水面浮上性農薬製剤
KR100346673B1 (ko) 과립형농약제제
JP2002293701A (ja) サスポエマルジョン形態の農園芸用農薬組成物
KR19990072795A (ko) 논투입용농약제제
WO2000072674A1 (fr) Formulation antiparasitaire solide à concentration élevée
JP2001517207A (ja) 農薬のための自発的水分散性担体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