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304A -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 Google Patents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304A
KR20010021304A KR1020000047086A KR20000047086A KR20010021304A KR 20010021304 A KR20010021304 A KR 20010021304A KR 1020000047086 A KR1020000047086 A KR 1020000047086A KR 20000047086 A KR20000047086 A KR 20000047086A KR 20010021304 A KR20010021304 A KR 2001002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plunger
door open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841B1 (ko
Inventor
우에노슈운지
오까모또다께히사
다까기야스시
마에다마사히꼬
나가오고이찌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054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597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541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183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030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8765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2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1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magnetic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05Y2201/256Fluid or viscous friction with pistons or v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4Type of motion, e.g. braking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E05Y2201/426Function thereof for opening for the initial open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4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not functioning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할 때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 경감하여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향상하고, 정음화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냉장고용 도어(102a)에는 받침 부재(102c)가 설치된다. 냉장고 본체(101)의 천정부에는 받침 부재(102c)를 압박하기 위한 푸쉬 로드(115)를 가진 전자 솔레노이드(111)를 포함하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이 설치된다. 전자 솔레노이드(111)는 프레임형의 요크 조립(113)을 포함하는 통형의 코일 유닛(112), 코일 유닛(112)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의 플런저(114), 복귀용 스프링(125)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푸쉬 로드(115)는 플런저(114)에 동축형으로 연결된다. 도어(102a)의 폐쇄 상태에서는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가 압박용 스프링(127)의 스프링력에 의해 받침 부재(102c)에 접촉하고 있으며, 코일 유닛(112)의 통전시에는 플런저(114)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서 도어(102a)가 푸쉬 로드(115)에 의해 압박되어 개방된다.

Description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DOOR OPENING APPARATUS OF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마그넷 가스킷에 의해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도어를 구비한 저장고용 도어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을 구비한 저장고용 도어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장고로서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그 대형화가 현저해지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냉장실 등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도 대형화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용 도어에 있어서는 그 폐쇄 상태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의해 보유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이 통상이지만, 도어가 대형화하면 마그넷 가스킷의 총연장이 길어지므로, 그 결과로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조작력이 증대하는 경향이 생긴다. 이와 같이 냉장고용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조작력이 커진 경우에는 힘이 약한 사람(여성이나 아이 혹은 노인)에게 있어서 큰 부담이 되므로, 어떠한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책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전자 솔레노이드와 같은 작동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전동 어시스트 방식의 도어 개방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어시스트 방식의 도어 개방 장치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즉, 도어 개방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를 채용하는 경우에, 그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자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의 이동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해져, 일반적인 구조의 전자 솔레노이드에서는 대응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전자 솔레노이드에서는 플런저의 흡인시에 충돌음이 발생하는 형식의 것이 많아 정음화(靜音化)가 곤란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도어를 전기적인 구동원을 이용하여 개방시키는, 소위 전동식 도어 개방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성의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이용하는 동시에, 기어 기구와, 피니온과, 압출봉을 일체로 갖는 래크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을 기어 기구를 거쳐서 피니온에 전달하고, 피니온과 래크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그 래크와 일체의 압출봉을 직선 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전동식 도어 개방 장치를 도어와 대향하는 냉장고 본체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에 의거하여 모터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에 의거하여 압출봉을 돌출시키고, 그 압출봉에 의해 도어를 밀어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모터식의 구성인 것에서는 압출봉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어와 냉장고 본체 사이에는 힌지 부분에 위치시켜 도어가 조금 개방된 상태에서 멈춰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소위 절반 폐쇄 도어 방지를 위해), 도어를 자동적으로 폐쇄시키는 자동 폐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압출봉으로 도어를 밀어 개방할 때, 자동 폐쇄 기구에 의해 도어가 폐쇄되는 자동 폐쇄 거리를 초과하기 까지, 압출봉으로 도어를 압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어에 있어서 압출봉으로 힌지 부근을 압박하도록 한 경우에는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로서는 작게 할 수 있지만, 압출봉에 의한 돌출력은 큰 것이 필요해진다. 반대로, 압출봉으로 힌지와는 반대측 도어의 반피봇측을 압박하도록 한 경우에는 돌출력은 작게 할 수 있지만,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이 경우,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가 크면 방해가 되는 동시에 위험해지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 개방 장치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즉, 냉장고 도어의 개폐 빈도는 통상은 40 내지 50회/1일 정도이고, 게다가 개폐의 간격도 비교적 길지만, 아이의 장난이나 점포앞 전시품 등에 있어서는 집중적으로 도어의 개폐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로의 1회의 통전에 수반하는 온도 상승으로서는 사소하며, 또한 일정한 방열 기간이 있으면 문제는 없는 것이지만, 상기한 경우와 같이 연속적으로 개폐 조작이 행해지면, 심한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이상 온도로까지 상승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할 때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정음화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압출봉에 의한 돌출력도 작게 할 수 있어, 도어를 효율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동작을 전동 개방 도어 유닛에 의해 행할 수 있어 그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이 이상 온도로까지 상승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2는 상기 주요부의 평면도.
도3은 전자 솔레노이드의 측면도.
도4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일부 단면으로 한 평면도.
도5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본체 부분을 일부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전자 솔레노이드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7은 냉장고의 정면도.
도8은 냉장실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9는 주요부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10은 전자 솔레노이드의 출력 특성 및 부하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코일 유닛에 대한 인가 전압의 변화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9 상당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냉장고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
도15는 냉장고의 평면도.
도16은 도어의 자동 폐쇄 기구 부분의 평면도.
도17은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18은 솔레노이드 부분의 파단 평면도.
도19는 솔레노이드의 흡인력 특성과 도어의 부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 변화예(카운터의 포인트의 변화예)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제어 회로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
도22는 냉장고의 정면도.
도23은 냉장실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24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25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26은 주요부의 전기적 구성도.
도27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통전 비율과 온도 변화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28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을 방치한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20 상당도.
도30은 도21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301 : 냉장고 본체
102, 302 : 냉장실
102a, 103a, 104a, 105a, 106a, 204, 302a : 도어
102b, 302b : 마그넷 가스킷
102c, 317 : 받침 부재
103 : 야채실
104 : 제빙실
105 : 절환실
106 : 냉동실
108, 320 : 핸들
109 : 전동 개방 도어 유닛
110 : 케이스
110a : 베이스
110b, 119 : 커버
111, 309 : 전자 솔레노이드
112, 311 : 코일 유닛
113 : 요크 조립
113d, 113e : 다리부
114, 222, 313 : 플런저
114a, 115b : 수 나사부
114b : 원통부(코오킹부)
114c : C 링(빠짐 방지 구조물)
115, 314 : 푸쉬 로드(압박 부재)
115a : 압박편
117 : 온도 퓨즈
118 : 피복 부재
122a, 122b, 219 : 보조 요크
123 : 슬리브
124, 226 : 캡(완충 부재)
125 : 복귀용 스프링
126 : 부쉬
127 : 압박용 스프링
128 : 덧댐판(완충 부재)
129, 322 : 직류 전원 회로
130 : 전파 정류 회로
131 : 평활 콘덴서
132 : 방전용 저항
133 : 보호 저항
134 : 제어용 스위치
135 : 상용 교류 전원
137 : 타이머 회로
138 : 바이메탈 스위치(온도 검지 수단)
139 : 압축 코일 스프링
201 : 냉장고(저장고)
202 : 냉장고 본체(저장고 본체)
202a : 천정부
205 : 힌지
206 : 가스킷
207 : 마그넷
208 : 자동 폐쇄 기구
211 : 도어 개방용 유닛
214 : 솔레노이드
215, 311a : 코일
218 : 요크
223 : 압출봉
224 : 복귀 스프링
229 : 피압박부
230 : 받침판(충격 완충재)
232 : 스위치 장치
307 : 전동 개폐 유닛
321 : 도어 개방 스위치
327 : 릴레이 스위치
330 : 제어 회로(제어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저장고 본체가 갖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이 도어의 폐쇄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마그넷 가스킷을 구비한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본체 측에 고정된 통형의 코일 유닛과, 이 코일 유닛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코일 유닛에 통전된 때에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도어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압박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코일 유닛에 통전하면 플런저 및 압박 부재의 일체물이 상기 코일 유닛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압박 부재가 도어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게 되며, 이로써 상기 도어가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플런저는 코일 유닛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이동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상술한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플런저의 흡인시에 충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정음화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3의 발명은 저장고 본체의 전방면에 있어서 일단부가 힌지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면측의 주연부에 폐쇄 상태로 상기 저장고 본체의 전방면에 흡착하지만 가스킷이 설치된 회전식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플런저와 일체로 이동하는 압출봉을 갖고, 그 압출봉에 의해 상기 도어를 밀어 개방하는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을 구비하고,
이 도어 개방용 유닛을 상기 저장고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이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힌지와는 반대측을 압박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치한 데 특징을 갖는다.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은 플런저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모터식의 경우에 비해 압출봉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출봉으로 도어를 밀어 개방할 때,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가 작더라도 압출봉으로 도어를 압박한 때의 힘의 관성력으로 도어를 멀리까지 밀어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을 저장고 본체에 있어서, 압출봉이 도어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힌지와는 반대측을 압박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도어의 폭 방향의 중앙부 혹은 힌지측을 압박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에 비해, 압출봉에 의한 도어의 돌출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압출봉이 방해가 되거나, 위험해지거나 하는 경우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6의 발명은 마그넷 가스킷에 의해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도어를 구비한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통전되는 것에 의거하여 상기 도어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를 상기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키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과, 이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까지 상승한 때에는 그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제한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에 의해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이 통전 제어되면,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은 마그넷 가스킷에 의해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도어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게 되며, 이로써 상기 도어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어의 개폐(전동 개방 도어 유닛으로의 통전 제어)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 상승이 심해지지만,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까지 상승하면, 제어 수단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제한한다. 이로 인해, 그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이 이상 온도로까지 상승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 내지 도1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7 및 도8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도 및 냉장실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7 및 도8에 있어서, 공지 구조의 단열 하우징으로서 구성된 냉장고 본체(101) 내에는 저장실로서의 냉장실(102), 야채실(103), 제빙실(104), 내부 온도를 복수 단계로 절환 가능한 절환실(105), 냉동실(106)이 위로부터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단, 제빙실(4) 및 절환실(5)은 좌우에 나란히 놓인 상태로 됨]. 또, 상기 절환실(5)은 그 내부 온도의 절환에 따라서 냉동실, 칠드실, 냉장실, 야채실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공지 구성의 것이다.
상기 냉장실(102)의 전방면에는 힌지 개폐식의 도어(102a)가 설치되고, 야채실(103), 제빙실(104), 절환실(105) 및 냉동실(106)의 각 전방면에는 각각의 저장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인출식 도어(103a, 104a, 105a 및 106a)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02)용의 도어(102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는 마그넷 가스킷(102b)이 부착되어 있고, 도어(102a)는 그 마그넷 가스킷(102b)이 냉장고 본체(101) 측에 흡착함으로써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도어(103a, 104a, 105a 및 106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도 마그넷 가스킷이 부착되어 있다.
냉장실(102)용의 도어(102a)의 전방면부에는 표시 패널(107) 및 핸들(108)이 상하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7 참조). 이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패널(107)에는 냉장실(102) 및 냉동실(106) 내의 온도나 절환실(105)의 절환 형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 냉장실(102), 절환실(105), 냉동실(106)의 설정 온도를 개별로 절환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108)은 그 이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핸들(108)이 인장 조작된 때 및 압박 조작된 때에 각각 온되는 통상 개방형의 핸들 스위치(도시 생략)를 내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핸들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기계적 스위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나, 포토인터럽터를 이용한 광학적인 스위치 혹은 자기적인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냉장고 본체(101)의 천정부에는 냉장실(102)용의 도어(102a)에 개방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기 위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이 상기 도어(102a)의 힌지부와 반대측의 모서리부 부근에 위치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이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1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 및 냉장고 상부의 종단면도, 도2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의 커버 제거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3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이 갖는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측면도, 도4는 전자 솔레노이드(111)를 일부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5는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본체 부분을 일부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즉, 도1 및 도2에 있어서,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은 냉장고 본체(101)의 천정부에 형성된 오목부(101a) 내에 반매립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수지로 된 케이스(110) 내에 전자 솔레노이드(111)를 수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오목부(101a) 내에 끼워 넣어지는 직사각형 용기 형상의 베이스(110a)와, 이 베이스(110a)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커버(110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커버(110b)는 베이스(110a)에 대해 결합 갈고리(110c) 및 도시하지 않은 다른 결합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0a)는 그 개구 모서리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형태의 직사각형 프레임형 플랜지부(110d)를 일체적으로 갖고, 상기 플랜지부(110d)의 복수 부위를 냉장고 본체(101)의 천정부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11)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전자 솔레노이드(111)는 전체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요크 조립(113)을 포함하여 구성된 코일 유닛(112)과, 이 코일 유닛(112) 내에 상기 코일 유닛(112) 및 요크 조립(113)을 관통한 상태에서 설치된 자성체로 된 플런저(114)와, 이 플런저(114)에 대해 동축형으로 고정된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푸쉬 로드(115)(압박 부재에 상당)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한 것이다.
코일 유닛(112)은 특히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수지 보빈(112a)의 주위에 코일 소선(素線)을 예를 들어 3500회(turn) 정도 권취하여 코일(112b)을 형성한 다음, 그 코일(112b)을 예를 들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성형함으로써 외각 케이스(112c)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각 케이스(112c)에는 그 일단부측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한 직사각형의 플랜지부(11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타단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의 상부에는 상기 플랜지부(112d)와 같은 형상의 플랜지부(112e)와, 이 플랜지부(112e)의 측방으로부터 돌출된 리드선 인출부(112f)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리드선 인출부(112f)는 상기 플런저(114)의 축심 위치보다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 또, 리드선 인출부(112f)의 단부면으로부터는 상기 코일(112b)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된 리드선(112g, 112h)이 인출되는 것이다.
또, 외각 케이스(112c)에 있어서의 상기 리드선 인출부(112f) 측의 측면에는 상기 플랜지부(112d 및 112e)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한쌍의 다이 시트부(112i, 112i)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다이 시트부(112i)에는 한쌍의 단자(116a, 116b)가 예를 들어 끼워 맞춤 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것이며, 각 단자(116a, 116b)에는 온도 퓨즈(117)의 양단부로부터 인출된 한쌍의 단자가 각각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 온도 퓨즈(117)는 외각 케이스(112c)의 표면[즉, 코일 유닛(112)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각 케이스(112c)의 표면에는 온도 퓨즈(117)의 밀착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온도 퓨즈(117)의 본체 부분을 피복하도록 하여 절연성 수지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겔)로 이루어지는 피복 부재(118)가 도포된다. 그리고, 외각 케이스(112)의 측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12d) 및 리드선 인출부(112f)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온도 퓨즈(117) 및 피복 부재(118)를 피복하도록 하여 수지로 된 커버(119)가 설치된다.
온도 퓨즈(117)의 일단부측에 접속된 단자(116a)에는 상기 코일(112b)을 위한 리드선(112g)의 선단부가 접속되고, 온도 퓨즈(117)의 타단부측에 접속된 단자(116b)에는 리드선(120)의 기단부가 접속된다. 이 리드선(120)의 선단부는 코일(112b)을 위한 상기 리드선(112h)의 선단부와 함께 커넥터(121)(도4 참조)에 접속된다. 또, 상기 리드선(112g 및 120)은 커버(119)에 형성된 구멍(19a)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끌고다니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3 및 도4로 돌아가서, 요크 조립(113)은 코일 유닛(112)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역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제1 요크(113a)와, 이 제1 요크(113a)의 개구단부[코일 유닛(112)의 축방향 단부의 한쪽의 개구단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 직사각형 판형의 제2 요크(113b)와, 이 제2 요크(113b)의 외측에 배치된 직사각형 판형의 제3 요크(113c)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요크(113a 내지 113c)에는 상기 플런저(114)를 위한 관통 구멍(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요크(113a)는 그 하단부측에서 직각으로 굴곡 형성된 다리부(113d)를 일체로 갖고, 제3 요크(113c)는 그 하단부측에서 직각으로 굴곡 형성된 다리부(113e)를 일체로 갖는다. 이 경우, 한쪽 다리부(113d)에는 코일 유닛(112)의 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한 2개의 끼움 구멍(113f)이 서로 등을 맞대어 형성되고, 다른쪽 다리부(113e)에는 코일 유닛(112)의 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개구한 1개의 끼움 구멍(113f)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다리부(113d, 113e)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크 조립(113)의 최하 단부면보다 소정 치수(예를 들어 4㎜ 정도)만큼 상방의 위치에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유닛(112)에 있어서의 보빈(112a)의 내주에는 원통형의 보조 요크(122a, 122b)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 보조 요크(122a 및 122b)는 각 한쪽 단부면이 제1 요크(113a) 및 제2 요크(113b)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빈(112a)에 있어서는 보조 요크(122a 및 122b)의 배치 부분의 내경이 다른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보빈(112a)의 내주 노출부 및 보조 요크(122a, 122b)의 내주면이 동일면인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12a) 내에는 플런저(114)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원통형의 슬리브(123)가 배치되어 있고, 이 슬리브(123)는 그 양단부가 요크 조립(113)의 개구 모서리부[제1 요크(113a) 및 제3 요크(113c)의 관통 구멍(부호 없음)의 모서리부]에 코오킹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23)는 황동, 동 등과 같은 비자성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는 이하에 서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푸쉬 로드(115)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선단부에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큰 원반형의 압박편(115a)이 헤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기단부측[플런저(114)와의 연결부측]에 수 나사부(115b)를 갖는다. 또한, 특히 도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 로드(115)는 수 나사부(115b)와 인접한 부위가 부분적으로 모따기되어 있고, 이 부위에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에 가까운 상태의 소경부(11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에는 그 압박편(115a)을 피복하도록 하여 고무로 된 캡(124)(완충 부재에 상당)이 부착되어 있다.
플런저(114)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선단부측[푸쉬 로드(115)와의 연결부측]에 상기 수 나사부(115b)가 나사 삽입되는 암 나사부(114a)와, 그 암 나사부(114a)의 개구 모서리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된 비교적 두께가 얇은 원통부(114b)(코오킹부에 상당)를 갖는다. 그리고,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를 연결할 때는 플런저(114)의 암 나사부(114a)에 푸쉬 로드(115) 측의 수 나사부(115b)를 최종 위치까지 나사 삽입한 상태에서, 원통부(114b)를 푸쉬 로드(115) 측의 소경부(115c)에 코오킹한다(도6 참조). 이로써, 푸쉬 로드(115)는 플런저(114)에 대해 회전 방지 상태로 동축형으로 연결된다.
플런저(114)의 기단부측에는 C 링(114c)(빠짐 방지 구조물에 상당)이 상기 플런저(114)의 외주면으로부터 플랜지형으로 돌출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C 링(114c)에 의해 플런저(114)의 도3 및 도4 중 화살표 A 방향으로의 빠짐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114) 주위에는 상기 C 링(114c) 및 요크 조립(113)의 단부면 사이에서 신장력을 작용시키도록 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용 스프링(125)이 권취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의 선 직경은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의 내경과 플런저(114)의 외형과의 차이 치수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 솔레노이드(111)에 있어서는 그 통전 상태[코일 유닛(112)의 코일(112b)에 통전되는 상태]로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가 도3 및 도4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편의되고, 그 통전이 정지된 때에는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가 복귀용 스프링(125)의 스프링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도1 및 도2로 돌아가서,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다리부(113d 및 113e)에 형성된 합계 3개의 끼움 구멍(113f)에는 예를 들어 고무로 된 탄력성 있는 원통형 푸쉬(126)가 각각 부착된다. 또한, 각 푸쉬(126)는 그 외주면에 환상홈(부호 없음)이 동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상홈을 상기 다리부(113d, 113e)에 있어서의 끼움 구멍(113f)의 주연 부분에 상기 끼움 구멍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부착되는 것이다.
전자 솔레노이드(111)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110)에는 그 베이스(110a)의 바닥부에 상기 3개의 끼움 구멍(113f)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합계 3개의 보스부(110e)(도1에 2개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11)는 상기와 같이 다리부(113d 및 113e)에 부착된 부쉬(126)를 각 보스부(110e)에 상방으로부터 압입한 후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베이스(110a) 상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장착 상태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하면[코일 유닛(112) 및 요크 조립(113)의 하면]과 베이스(110a)의 상면 사이에 1㎜ 정도의 간극이 있는 상태, 즉 전자 솔레노이드(111)가 냉장고 본체(11)로부터 부유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케이스(110) 내에는 플런저(114)의 후방(도1 및 도2 중 화살표 A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박용 스프링(127)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압박용 스프링(127)은 그 둥근 부분(127a)을 베이스(110a)에 세워 설치한 형태로 일체 형성된 보스부(110f)에 끼워 넣음으로써 지지되고 있으며, 그 양 아암부(127b 및 127c)를 플런저(114)의 기단부측의 단부면 및 베이스(110a)의 상승 벽면 사이에 개재 삽입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압박용 스프링(127)은 플런저(114)의 일단부면을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에 대항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편의하는 것이며, 도어(102a)가 폐쇄된 정상 상태에서는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캡(124)이 부착된 상태의 압박편(115a)]가 압박용 스프링(127)의 압박력에 의해 도어(102a) 측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박용 스프링(127)의 압박력은 당연히 마그넷 가스킷(102b)의 흡착력보다 작은 레벨로 설정되는 것이다.
한편, 냉장실(102)용의 도어(102a)의 상부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마그넷 가스킷(102b)보다도 외측의 위치에는 그 도어(102a)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가 수직으로 접촉하는 받침 부재(102c)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111)에 통전되어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편의된 때에는 상기 받침 부재(102c)가 푸쉬 로드(115)에 의해 압박되고, 이에 따라서 도어(102a)가 마그넷 가스킷(2b)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받침 부재(102c)에 있어서의 피압박 부분에는 예를 들어 고무로 된 덧댐판(128)(완충 부재에 상당)이 부착되어 있다.
도9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 중,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에 관계한 회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 내의 전자 솔레노이드(111)는 직류 전원 회로(129)의 출력에 의해 상기 온도 퓨즈(117)를 거쳐서 직류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직류 전원 회로(129)는 전파 정류 회로(130) 및 그 정류 출력을 받는 평활 콘덴서(131)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그 평활 콘덴서(131)와 병렬로 방전용 저항(132)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방전용 저항(132)은 평활 콘덴서(131)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양자 사이를 접속하는 배선의 거리가 가능한 한 짧아지는 위치)에 접속되는 것이며, 그 저항치는 평활 콘덴서(131) 및 방전용 저항(132)의 병렬 회로의 방전 시정수(時定數)[전자 솔레노이드(11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방전 시정수]가 60초 전후가 되는 값으로 설정된다.
전파 정류 회로(130)에 있어서는 한쪽의 교류 입력 단자가 돌입 전류 억제용의 보호 저항(133), 통상 개방형의 제어용 스위치(134)를 거쳐서 상용 교류 전원(135)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교류 입력 단자가 전류 퓨즈(136)를 거쳐서 상용 교류 전원(135)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용 스위치(134)는 타이머 회로(137)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타이머 회로(137)는 도어(102a)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공지의 도시하지 않은 도어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108)의 인장 조작 혹은 압박 조작에 의해 상기 도시하지 않은 핸들 스위치가 온된 때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0.3 내지 2초 정도 범위의 일정 시간)의 타이머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며, 그 타이머 동작 기간 중만큼 제어용 스위치(134)를 온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냉장실용(102)의 도어(102a)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 가스킷(102b)이 냉장고 본체(101)의 전방면부에 흡착하고 있으며, 이로써 그 폐쇄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있다. 이 폐쇄 상태에서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 내의 전자 솔레노이드(111)가 단전되어 있으며, 푸쉬 로드(115) 선단부의 캡(124)이 도어(102a) 측의 받침 부재(102c)의 덧댐판(128)에 대해 압박용 스프링(127)의 스프링력에 의해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102a)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102a)를 개방하기 위해 핸들(108)이 인장 조작 혹은 압박 조작되어 도시하지 않은 핸들 스위치가 온되면, 제어용 스위치(134)가 타이머 회로(137)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온되게 되며,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 내의 전자 솔레노이드(111)가 전파 정류 회로(129)의 출력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통전 구동되게 된다. 그러면,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가 복귀용 스프링(12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도어(102a) 방향(도1 내지 도4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순식간에 이동되므로, 도어(102a)에 설치된 받침 부재(102c)가 푸쉬 로드(115)에 의해 압박되어 마그넷 가스킷(102b)이 냉장고 본체(101)로부터 박리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도어(102a)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102a)의 개방시에는 푸쉬 로드(115)가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되지만, 그 후에 전자 솔레노이드(111)가 단전된 때에는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가 복귀용 스프링(125)에 의해 원래의 위치 방향으로 순식간에 복귀되게 되어 그 푸쉬 로드(115)의 돌출량이 작아진다. 또한, 이러한 도어(102a)의 개방시에는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는 복귀용 스프링(125) 및 압박용 스프링(127)의 스프링력이 균형 잡힌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지만, 그 후에 도어(102a)가 폐쇄된 때에는 푸쉬 로드(115)가 받침 부재(102c)에 의해 압박되는 것에 수반하여 도1에 도시한 원위치까지 복귀되게 된다.
요컨대, 상기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은 핸들 스위치의 온 조작에 따라서 소정 시간만큼 통전되어 도어(102a)에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상기 도어(102a)를 마그넷 가스킷(102b)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 동작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플런저(114)는 코일 유닛(112)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이동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상술한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플런저(114)의 흡인시에 충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정음화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 솔레노이드(111)에 있어서는 통상의 요크 조립(113) 외에, 보조 요크(122a, 122b)를 설치함으로써 플런저(114)에 큰 힘(흡인력)이 작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어,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덧붙여서, 도10에는 플런저(114)의 변위와 전자 솔레노이드(111)가 발생하는 흡인력 및 부하[도어(102a)의 개방에 필요한 힘]와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10에 있어서 변위「O㎜」의 위치가 플런저(114)의 자기 안정점이며, 도어(102a)가 폐쇄된 정상 상태[플런저(114)가 도1, 도2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플런저(114)의 변위는 35㎜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요크(122a, 122b)의 유효 길이 및 배치 위치를,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114)의 변위가 30㎜ 부근이 된 때[플런저(114)가 원위치로부터 5㎜ 정도 이동된 때]에 최대 흡인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코일 유닛(112)으로의 통전에 따라서 플런저(114)가 5㎜ 정도 이동되기 직전까지, 마그넷 가스킷(102b)이 박리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단전 후에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의 일체물을 통전 전의 위치 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스프링(1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푸쉬 로드(115)가 크게 돌출한 상태[즉, 푸쉬 로드(115)가 돌기물로서 방해가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이 없어져 실용상에 있어서 유익해진다.
이 경우,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은 플런저(114) 주위에 권취형으로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복귀용 스프링(125)이 비틀리거나 좌굴하거나 하는 것이 플런저(124)에 의해 저지되게 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와 같이 플런저(114)에 큰 이동 스트로크가 필요해져서 복귀용 스프링(125)에 필요한 치수(높이)가 커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하는 상황 하에 있어서도,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의 기능을 평상시에 있어서 확실하게 또한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복귀용 스프링(125)의 선 직경을,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의 내경과 플런저(114)의 외형과의 차이 치수보다 큰 치수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그 복귀용 스프링(125)의 단위 코일이 다른 단위 코일 아래에 파고들거나 하여 스프링 기능이 저하한다고 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복귀용 스프링(125)에 의한 플런저(115)의 복귀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사라지는 것이다.
푸쉬 로드(115)는 그 선단부 부분이 도어(102a)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도어(102a) 측의 받침 부재(102c)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에 통전하여 도어 개방 동작을 행할 때, 푸쉬 로드(115)가 도어(102a) 측에 충돌하는 것에 기인한 충격음이 발생할 우려가 사라짐으로써 정음화를 촉진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해진다. 이 경우, 푸쉬 로드(115)는 균열이나 접힘에 대하여 강한 비자성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명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와 같이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 부분을 도어(102a)에 접촉시키기 위한 압박용 스프링(127)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그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 부분이 도어(102a)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도어(2a) 측에 확실하게 접촉되게 되어, 상술한 충격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압박용 스프링(127)은 플런저(114)에 있어서의 상기 푸쉬 로드(115)와 반대측의 단부면부를 압박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런저(114)가 복귀용 스프링(125)에 의해 통전 전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14)의 복귀력을 받아내는 완충재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 결과, 플런저(114)의 복귀 동작에 수반하는 소음[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 베이스(110a)의 상승벽으로의 충돌음]의 발생을 상기 압박용 스프링(127)에 의해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정음화를 촉진하는 데에 있어 유익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완충재의 기능을 압박용 스프링(127)에 의해 겸용할 수 있으므로, 전용의 완충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에 고무로 된 캡(124)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도어(102a) 측의 받침 부재(102c)에도 고무로 된 덧댐판(12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동작을 행할 때, 푸쉬 로드(115)가 도어(102a)를 압박할 때 발생하는 소리가 캡(124) 및 덧댐판(128)에 의해 억제되게 되어 정음화를 촉진하는 데다가 한층 더 유효해진다. 또한, 캡(124) 및 덧댐판(128)을 쌍방 모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한쪽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실제로는 캡(124)]는 도어(102a)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받침 부재(102c)[실제로는 덧댐판(128)]에 대해 수직으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도어 개방 동작시에 있어서 푸쉬 로드(115)에 의한 압박 부분에서 마찰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져 캡(124)이나 덧댐판(128)의 손상이 적어지므로, 그들의 수명 장기화를 실현하는 데 유익해진다.
또한, 푸쉬 로드(115)의 선단부에는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큰 압박편(115a)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푸쉬 로드(115)에 의해 도어(102a)의 받침 부재(102c)를 압박하여 개방시킬 때, 그 압박 부분에서의 응력의 집중이 완화되게 되고, 또 받침 부재(102c) 측의 압박 부분의 변형이나 손상을 억지할 수 있게 된다.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구동원인 코일 유닛(112)은 직류 전원 회로(129)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므로, 교류 구동되는 것인 경우와 같이 윙윙 소리를 발생하는 일이 없어져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교류 구동의 경우에 비해 큰 힘을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도어 개방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직류 전원 회로(129)는 상용 교류 전원(134)의 출력을 정류하는 전파 정류 회로(130)와, 그 정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 콘덴서(131)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의 부하 전류가 맥동하는 것에 기인한 전자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코일 유닛(112)의 단전 후에는 그 인가 전압의 변화 특성을 도시한 도11과 같이, 평활 콘덴서(131)의 충전 전하가 상기 코일 유닛(112)을 통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예를 들어 0.1 내지 0.2초 정도)에 방전되고,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에 의한 상기 플런저(114)의 복귀 이동시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이 결과, 코일 유닛(112)의 단전에 따라서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의 일체물이 복귀용 스프링(125)에 의해 통전 전의 위치로 복귀될 때, 그 복귀 이동이 천천히 행해지게 되므로, 플런저(114)의 복귀 동작에 수반하는 소음[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 압박용 스프링(127)으로의 충돌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직류 전원 회로(129) 내의 평활 콘덴서(131)에는 이와 병렬로 소정 저항치의 방전용 저항(132)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에 대한 통전로가 어떠한 원인으로 단선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평활 콘덴서(131)의 충전 전하가 소정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60초 전후) 내에 방전용 저항(132)을 통하여 방전되게 된다. 이 결과, 예를 들어 보수 작업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평활 콘덴서(131)의 충전 전하에 의해 감전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류 전원 회로(129)의 전방단에는 보호 저항(13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전원 투입시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131)에 과대한 전류가 유입될 우려가 사라진다. 이 결과, 평활 콘덴서(131)에 열화 등의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지할 수 있어 그 평활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하게 된다.
코일 유닛(112)에 대한 통전 시간을 소정 시간 이하로 제어하는 타이머 회로(13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에는 소정 시간만큼 반드시 통전되게 되며, 그 통전에 따라서 도어(102a)를 마그넷 가스킷(102b)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도어 개방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도어(102a)의 개방에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솔레노이드(111)에 대한 통전 시간이 소정 시간으로 제한되게 되므로, 그 전자 솔레노이드(111)에 대해 지나치게 긴 시간 통전될 우려가 사라져 그 이상 온도의 상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코일 유닛(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 솔레노이드(111)는 냉장고 본체(101)로부터 부유한 상태[구체적으로는, 케이스(110)의 베이스(110a)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전자 솔레노이드(111)에 대한 통전에 수반하여 코일 유닛(112)이 진동하는 상황이 된 경우(예를 들어, 부하 전류가 맥동하는 경우)라도, 그 진동이 냉장고 본체(101) 측으로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이 결과, 냉장고 본체(101) 측에서 진동이 증폭되어 소음이 증대하는 사태를 미연에 억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다리부(113d, 113e)를 냉장고 본체(101) 측에 지지하기 위해 탄력성 있는 부쉬(12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의 진동이 냉장고 본체(101) 측에 전달되는 사태를 상기 부쉬(126)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소음을 억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이 부쉬(126)에 의해 지지되는 다리부(113d, 113e)가 코일 유닛(112)의 측부[실제로는 요크 조립(113)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을 포함하는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설치 높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어,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용단(溶斷) 상태로 코일 유닛(112)의 통전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온도 퓨즈(117)가 상기 코일 유닛(112)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밀착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 온도 퓨즈(117)를 덮도록 하여 수지 재료로 된 피복 부재(11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의 온도가 이상하게 상승한 때, 그 온도가 온도 퓨즈(117)에 확실하게 전달되게 된다. 이 결과, 코일 유닛(112)의 통전로를 상기 온도 퓨즈(117)에 의해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통전로의 차단에 온도 퓨즈(117)를 이용한 경우에는 직류 구동되는 코일 유닛(112)의 통전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바이메탈 스위치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그 차단 후에 아크 전류가 계속해서 흐를 우려가 사라진다).
이 경우, 온도 퓨즈(117)는 플런저(114)의 축심 위치보다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케이스(110) 내로 물이 들어가 코일 유닛(112)의 하부가 침수된 상황이 된 때라도, 온도 퓨즈(117) 부분에 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며, 온도 퓨즈(117)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하게 된다.
코일 유닛(112)의 충전부 전체를 수지 성형한 외각 케이스(112c)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코일 유닛(112)의 리드선 인출부(112f)를 플런저(114)의 축심 위치보다 상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물의 침입에 의해 코일 유닛(112)의 절연 성능이 저하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코일 유닛의 하부가 침수한 상황 하라도, 그 리드선 인출부(112f)로부터 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며, 이 점에서도 절연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드선 인출부(112f), 온도 퓨즈(117) 등을 위한 배선 부분은 코일 유닛(112)의 한쪽에 집중한 구성, 즉 플런저(114)나 푸쉬 로드(115)와 같은 가동부를 걸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들의 배선 부분이 전자 솔레노이드(111)의 기능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사라진다.
플런저(114)에는 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C 링(114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으로의 통전시에 있어서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의 일체물이 전방으로 크게 튀어 나가는 사태를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런저(114)와 푸쉬 로드(115)를 연결하기 위해, 푸쉬 로드(115) 측에 형성된 수 나사부(115b)를 플런저(114) 측에 형성된 암 나사부(114a)에 나사 삽입하는 동시에, 그 나사 삽입 상태에서 플런저(114) 측에 일체 형성된 원통부(114b)를 푸쉬 로드(115) 측의 소(小)직경부(115c)에 코오킹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플런저(114) 및 푸쉬 로드(115) 사이의 연결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이들이 부주의하게 분리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푸쉬 로드(115)는 상기 수 나사부(115b)의 상기 암 나사부(114a)에 대한 나사 삽입 상태가 소정 치수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2a)의 폐쇄를 저지하는 위치까지 돌출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푸쉬 로드(115)의 플런저(114)에 대한 나사 삽입 상태가 소정 치수 이상 이완된 경우에는 도어(102a)의 폐쇄가 저지되게 되므로, 이로써 푸쉬 로드(115) 및 플런저(114) 사이의 연결 상태가 이완된 것을 알릴 수 있게 되어, 코일 유닛(112)에 대한 통전시에 푸쉬 로드(115)가 플런저(114)로부터 제거되어 떨어져 나간다고 하는 이상 사태에 미리 대처 가능해진다.
도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해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또한, 도1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9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온도 퓨즈(117)를 제거하고, 이 대신에 바이메탈 스위치(138)(온도 검지 수단에 상당)를 설치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즉, 바이메탈 스위치(138)는 보호 저항(133)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설치되고, 그 검지 온도가 상한 온도 이상이 된 때에 코일 유닛(112)에 대한 통전로를 차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보호 저항(133)은 코일 유닛(112)에 대한 통전 상태에서의 온도 상승율이 상기 코일 유닛(112)의 온도 상승율보다 높은 값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온도 검지 수단으로서는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138)에 한정되지 않으며, 온도 퓨즈 등의 다른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보호 저항(13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 유닛(112)의 전원 투입시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131)에 과대한 전류가 유입될 우려가 사라진다. 이로 인해, 평활 콘덴서(131)에 열화 등의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지할 수 있어 그 평활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코일 유닛(112)으로의 통전시, 즉 코일 유닛(112)의 온도가 상승하는 상태시에는 보호 저항(133)의 온도가 코일 유닛(112)의 온도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동시에, 바이메탈 스위치(138)를 통하여 검지되는 보호 저항(133)의 온도가 상한 온도 이상이 된 때에 코일 유닛(112)에 대한 통전로가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코일 유닛(112)의 온도가 이상하게 상승하기 전에 상기 코일 유닛(112)을 확실하게 단전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코일 유닛(112)의 온도를 검지하는 수단을 코일 유닛(112) 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 코일 유닛(112) 부분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1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해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박용 스프링(127)을 불필요하게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즉, 주요부의 종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1에 있어서, 플런저(114)의 주위에 권취된 압축 코일 스프링(139)의 양단부를 플런저(114)에 부착된 C 링(114c)과 상기 요크 조립(113)에 있어서의 상기 C 링(114c)을 향하는 단부면에 소정 치수만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39)에 의해 플런저(114)를 코일 유닛(112)으로의 통전에 따른 이동 방향(화살표 A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의하는 복귀용 스프링의 기능과, 상기 푸쉬 로드(115)를 도어(102a) 측의 받침 부재(102c)에 접촉시키는 압박용 스프링의 기능을 얻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1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139)을 설치할 뿐으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귀용 스프링(125) 및 압박용 스프링(127)의 기능을 쌍방 모두 얻을 수 있게 되므로,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변형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압박용 스프링(127)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실현했지만,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다른 스프링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 퓨즈(117) 대신에, 다른 온도 응답형 전류 차단 수단(감온 소자와 스위칭 소자를 조합한 수단이나 바이메탈 스위치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빠짐 방지 구조물로서 C 링(114c)을 이용하였으나, 플런저(114)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관통된 핀 혹은 그 밖의 수단을 빠짐 방지 구조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냉장실(102)용의 도어(102a)를 개방하기 위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109)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도어(103a, 104a, 105a, 106a)에 같은 구성의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의 설명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냉장고용 도어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할 때, 그 개방에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이러한 도어 개방 동작의 확실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정음화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등의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4에는 저장고인 냉장고(201)의 상부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 냉장고(201)에 있어서의 냉장고 본체(202)의 상부에는 저장실로서의 냉장실(20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면에는 상기 냉장실(203)의 전방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204)가 일단부의 힌지(205)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204) 내면측의 주연부에는 가스킷(2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킷(206)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207)이 설치되어 있고, 도어(204)의 폐쇄 상태에서 그 가스킷(206)이 냉장고 본체(202)의 전방면에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204)와 냉장고 본체(202) 사이에는 하부측의 힌지 부분에 위치시켜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동 폐쇄 기구(20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 폐쇄 기구(208)는 냉장고 본체(202) 측에 설치된 걸림 고정부(209)와, 도어(204) 측에 설치된 걸림 고정부(210)로 구성된 주지 구성인 것이며, 도어(204)가 조금 개방된 상태에서 멈춘 경우에 도어(204)를 자동적으로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절반 폐쇄 도어 방지를 위한 것이다.
그런데, 냉장고 본체(202)의 천정부(202a)의 상면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202)의 폭 방향의 중앙부인 중심선 A보다도 상기 힌지(205)와는 반대측인 외측 근처 부위에,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2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개방용 유닛(211)에 대해 주로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어 개방용 유닛(211)의 케이스(212)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202a)의 상면측에 형성된 오목부(213)에 수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케이스(212) 내에 솔레노이드(214)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 개방용 유닛(211)은 일부가 냉장고 본체(202)의 천정부(202a)에 매립된 상태로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14)의 코일(215)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보빈(216)의 외주부에 권취되어 있고, 성형 수지(217)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성형 수지(217)의 외측에는 요크(218)가 설치되고, 보빈(216)의 내주부에는 보조 요크(2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215f)에 접속된 리드선(220)이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솔레노이드(214)의 코일(15) 부분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로 된 부쉬(221)를 거쳐서 케이스(212) 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빈(216) 내에는 자성체로 된 원기둥형을 이루는 플런저(222)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으며, 이 플런저(222)의 일단부에 비자성재로 된 압출봉(223)이 플런저(222)와 직선형이 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들 플런저(222)와 압출봉(223)은 보빈(216)을 관통하고 있고, 플런저(222)의 후방단부가 보빈(216)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압출봉(223)의 선단부가 보빈(216)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빈(216)으로부터 돌출한 플런저(222)의 후방부측의 외주부에는 플런저(222)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편의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224)이 장착되고, 또한 플런저(222)의 후방단부와 케이스(212) 사이에는 플런저(22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박 스프링(225)이 설치되어 있다. 압출봉(223)의 선단부에는 충격 완충재가 되는 고무로 된 캡(2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202)의 천정부(202a)에는 상기 케이스(212) 및 솔레노이드(214)를 덮도록 커버(227)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압출봉(223)의 선단부가 커버(22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도어(204)의 상부 모서리부에 장착된 도어 캡(228)의 상부에 있어서, 도어(204)의 힌지(205)와는 반대측의 반피봇측에 위치시켜서 압출봉(223)의 선단부에 의해 압박되는 피압박부(2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압박부(229)의 내면측에도 충격 완충재가 되는 고무로 된 받침판(230)(도17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압박부(229)는 도어(204)에 있어서 가스킷(206)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압출봉(223)은 도어(204)에 있어서 가스킷(206)보다도 외측을 압박하게 된다.
도어(204)의 전방면에 있어서의 좌측부에는 조작 패널(231)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조작 패널(231)의 하부에 스위치 장치(2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장치(232)는 핸들을 겸하는 조작반(233)을 압박 조작하더라도, 그리고 당김 조작하더라도 온 조작되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수단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위치 수단이 온하는 데 의거하여 상기 도어 개방용 유닛(211)의 솔레노이드(214)가 통전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어(20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4)의 가스킷(206)이 냉장고 본체(202)의 전방면에 흡착하고 있고, 도어(204)의 폐쇄 상태가 보유 지지되고 있다. 이 때, 도어 개방용 유닛(211)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214)는 단전 상태이며, 압출봉(223)의 선단부의 캡(226)이 도어(204)의 피압박부(229)의 받침판(230)에 접촉하고 있다.
이 도어(204)의 폐쇄 상태에서 도어(204)를 개방시키기 위해, 스위치 장치(232)의 조작반(233)을 압박 조작 혹은 당김 조작하여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수단이 온 상태가 되면, 도어 개방용 유닛(211)의 솔레노이드(214)가 통전된다. 그러면, 플런저(222)가 복귀 스프링(22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도17 및 도18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순식간에 흡인 이동되고, 이에 수반하여 압출봉(223)이 같은 화살표 C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압출봉(223)의 선단부에 의해 피압박부(229)를 거쳐서 도어(204)를 밀어서 열어지도록 밀어 개방한다.
이 때, 도어(204)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가스킷(206)을 박리하는 동시에, 상기 자동 폐쇄 기구(208)의 결합력에 대항하여 자동 폐쇄 거리를 초과하기 까지 도어(204)를 미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경우, 도어 개방용 유닛(211)을 설치한 위치에서, 자동 폐쇄 기구(208)에 의해 도어(204)가 자동 폐쇄하는 자동 폐쇄 거리(L1)(도15 참조)는 약 80㎜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용 유닛(211)은 솔레노이드(214)를 주체로 한 것이며, 플런저(222)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모터식인 경우에 비해 압출봉(223)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종래의 모터식인 경우, 압출봉을 40㎜ 이동시키는 데 약 0.5초 걸리는 데 반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어 개방용 유닛(211)의 경우, 압출봉(223)을 40㎜ 이동시키는 데 약 0.05초밖에 걸리지 않아 모터식인 경우에 비해 약 10배 빠르다. 이로 인해, 압출봉(223)의 돌출 스트로크(L2)(도15 참조)가 자동 폐쇄 기구(208)에 의한 자동 폐쇄 거리 80㎜보다 작은 약 40㎜라도, 도어(204)를 80㎜ 이상 밀어 떼어 놓을 수 있어 도어(204)를 양호하게 밀어 열 수 있다.
도어(204)를 개방한 후, 솔레노이드(214)가 단전되면, 복귀 스프링(224)의 스프링력으로 압출봉(223) 및 플런저(22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순식간에 후퇴한다.
상기한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도어(204)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개방용 유닛(211)은 솔레노이드(214)를 이용한 것이므로, 모터식인 경우에 비해 압출봉(223)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출봉(223)으로 도어(204)를 밀어 개방한 때, 압출봉(223)의 돌출 스트로크(L2)가 자동 폐쇄 기구(208)에 의한 자동 폐쇄 거리(L1)보다도 작더라도, 압출봉(223)으로 도어(204)를 압박한 때의 힘의 관성력으로,자동 폐쇄 기구(208)에 의해 도어(204)가 폐쇄되는 자동 폐쇄 거리(L1)를 초과시키기 까지 도어(204)를 밀어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어(204)를 양호하게 밀어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211)을 저장고 본체(202)에 있어서, 압출봉(223)이 도어(204)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힌지(205)와는 반대측(반피봇측)을 압박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도어(204)의 폭 방향의 중앙부 혹은 힌지(205) 측을 압박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압출봉(223)에 의한 도어(204)의 돌출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출봉(223)의 돌출 스트로크(L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압출봉(223)이 방해가 되거나, 위험해지거나 하는 것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킷(206)은 단부로부터 벗기도록 박리하는 쪽이 박리하기 쉬운 것이며, 도어(204)의 반피봇측을 압박하여 가스킷(206)을 박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가스킷(206)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14)로서는 비교적 출력이 작은 것이 좋으며, 도어 개방용 유닛(211)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용 유닛(211)을 저장고 본체(202) 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전기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9에는 도어 개방용 유닛(211)의 솔레노이드(214)의 특성과 도어(204)의 부하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솔레노이드(214)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222) 및 압출봉(223)이 코일(215)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형이고, 게다가 보조 요크(219)를 설치하고 있어, 그 보조 요크(219)의 엣지(219a)와, 플런저(222)의 엣지(222a)가 서로 끌어 당기는 플런저(222)의 변위가 30㎜(가장 돌출한 위치를 변위 0이라 한 경우) 부근에 흡인력의 피크가 있으며, 이 점에 가스킷(206)을 박리하는 포인트를 맞추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14)는 동작이 고속이므로, 이 플런저(222)의 변위가 30㎜ 부근에 흡인력의 피크를 맞춤으로써 도어(204)를 양호하게 밀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출봉(223)은 도어(204)에 있어서 가스킷(206)으로부터 외측을 압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저장고 내의 유효 용적을 작게 하지 않아도 되고, 저장고 내의 유효 용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압출봉(223)의 선단부에 충격 완충재인 고무로 된 캡(226)을 설치하는 동시에, 피압박부(229)에도 충격 완충재인 고무로 된 받침판(230)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압출봉(223)으로 피압박부(229)를 압박할 때의 충격을 그들 캡(226) 및 받침판(230)에 의해 완화할 수 있고, 그 때의 타격음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피압박부(229) 등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4)의 폐쇄 상태에서, 압출봉(223)의 선단부가 피압박부(229)의 받침판(230)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압출봉(223)으로 피압박부(229)를 압박할 때의 타격음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피압박부(229) 등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용 유닛(211)은 일부를 냉장고 본체(202)의 천정부(202a)에 매립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장고 본체(202)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솔레노이드(214)는 고무로 된 부쉬(220)를 거쳐서 케이스(21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솔레노이드(214)의 진동이나 소음이 냉장고 본체(20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냉장고 본체(202)의 상부에 테이블 보드가 있는 것인 경우에는 그 테이블 보드로 도어 개방용 유닛(211)을 피복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상면(테이블 보드의 상면)을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온장고의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압출봉의 동작 속도가 빠르고 압출봉의 작은 스트로크라도 도어를 멀리까지 밀어 개방할 수 있어 압출봉의 돌출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을, 저장고 본체에 있어서 압출봉이 도어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힌지와는 반대측인 외측을 압박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압출봉에 의한 도어의 돌출력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도어를 효율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도20 내지 도28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22 및 도23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도 및 냉장실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22 및 도23에 있어서, 주지 구조의 단열 하우징으로서 구성된 냉장고 본체(301) 내에는 냉장실(302), 야채실(303), 제빙실(304), 내부 온도를 복수 단계로 절환 가능한 절환실(305), 냉동실(306)이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단, 제빙실(304) 및 절환실(305)은 좌우로 나란히 놓인 상태로 되어 있음]. 또, 상기 절환실(305)은 그 내부 온도의 절환에 따라서 냉동실, 칠드실, 냉장실, 야채실 등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주지 구성의 것이다.
상기 냉장실(302)의 전방면에는 힌지 개폐식의 도어(302a)가 설치되고, 야채실(303), 제빙실(304), 절환실(305) 및 냉동실(306)의 각 전방면에는 각각의 저장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인출식의 도어(303a, 304a, 305a 및 306a)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02)용의 도어(302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는 마그넷 가스킷(302b)이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302a)는 그 마그넷 가스킷(302b)이 냉장고 본체(301) 측에 흡착함으로써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도어(303a, 304a, 305a 및 306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도 마그넷 가스킷이 부착되어 있다.
냉장고 본체(301)의 천정부에는 냉장실(302)용의 도어(302a)에 개방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기 위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7)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은 냉장고 상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1)의 천정부에 형성된 오목부(301a) 내에 반매립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합성 수지제 케이스(308) 내에 구동원으로서 직류 구동되는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수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308)는 상기 오목부(301a) 내에 끼워 넣어지는 직사각형 용기형의 베이스(308a)와, 이 베이스(308a)에 이것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장착된 커버(308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커버(308b)는 냉장고 본체(301)의 천정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베이스(308a)는 복수 부위를 냉장고 본체(301)의 천정부에 나사(310)로 고정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309)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코일(311a)을 수지 성형한 코일 유닛(311)과, 이 코일 유닛(311)에 설치된 요크(312)와, 코일 유닛(311) 내에 이것을 관통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로 된 플런저(313)와, 이 플런저(313)에 대해 동축형으로 고정된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푸쉬 로드(314)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한 것으로, 그 통전 상태[코일 유닛(11)의 코일(311a)에 통전되는 상태]에서 플런저(313) 및 푸쉬 로드(314)가 도어(302a) 방향(도24 및 도25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편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플런저(313)의 일단부(화살표 A와 반대 방향의 단부)에는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C 링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313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런저(313)의 주위에는 상기 플랜지부(313a) 및 코일 유닛(311) 사이에서 신장력을 작용시키도록 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용 스프링(3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유닛(311)에는 보호용의 온도 퓨즈(316)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02)용의 도어(302a)의 상부 모서리부에는 상기 푸쉬 로드(314)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받침 부재(31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309)에 통전되어 플런저(313) 및 푸쉬 로드(314)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압박된 때에는 상기 받침 부재(317)가 푸쉬 로드(314)에 의해 압박되고, 이에 따라서 도어(302a)가 마그넷 가스킷(302b)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푸쉬 로드(314)의 선단부에는 완충 부재로서 고무로 된 캡(314a)이 부착되고, 또한 받침 부재(317)에도 푸쉬 로드(314)의 선단부에서 압박되는 부분에, 완충 부재로서 고무로 된 덧댐판(317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케이스(308) 내에는 플런저(313)의 플랜지부(313a) 측의 단부면을 상기 복귀용 스프링(315)에 대항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스프링(318)이 설치되어 있고, 도어(302a)가 폐쇄된 정상 상태에서는 푸쉬 로드(314)의 선단부가 보조 스프링(318)의 편의력에 의해 받침 부재(317)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스프링(318)의 편의력은 당연히 마그넷 가스킷(302b)의 흡착력보다 작은 레벨로 설정되는 것이다.
냉장실(302)용의 도어(302a)의 전방면부에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19) 및 핸들(320)이 상하로 나란히 늘어선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 패널(319)에는 냉장실(302) 및 냉동실(306) 내의 온도나 절환실(305)의 절환 형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 냉장실(302), 절환실(305), 냉동실(306)의 설정 온도를 개별로 절환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320)은 그 이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핸들(320)이 인장 조작된 때 및 압박 조작된 때에 온되는 통상 개방형의 도어 개방 스위치(도26에 부호 321을 부여하여 도시함)를 내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개방 도어 스위치(321)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기계적 스위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지만, 포토인터럽터를 이용한 광학적인 스위치 혹은 자기적인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26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 중,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7)에 관계한 회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26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전자 솔레노이드(309)는 직류 전원 회로(322)의 출력에 의해 상기 온도 퓨즈(316)를 거쳐서 직류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직류 전원 회로(322)는 전파 정류 회로(323) 및 그 정류 출력을 받는 평활 콘덴서(324)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그 평활 콘덴서(324)와 병렬로 방전용 저항(325)이 접속되어 있다. 전파 정류 회로(323)에 있어서는 한쪽 교류 입력 단자가 돌입 전류 억제용의 보호 저항(326) 및 통상 개방형의 릴레이 스위치(327)를 거쳐서 상용 교류 전원(328)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 교류 입력 단자가 전류 퓨즈(329)를 거쳐서 상용 교류 전원(328)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온도 퓨즈(316)는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가 예를 들어 130℃까지 상승하면, 용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327)는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330)에 의해 타이머 회로(331)를 거쳐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5초만큼 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회로(330)에는 상기 도어 개방 스위치(321)의 조작 신호(온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 회로(330)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도어 개방 스위치(321)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거하여 타이머 회로(331)를 거쳐서 릴레이 스위치(327)를 제어하고, 이로써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8)의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냉장실(302)의 도어(302a)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 가스킷(302b)이 냉장고 본체(301)의 전방면부에 흡착하고 있으며, 이로써 그 폐쇄 상태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폐쇄 상태에서는 전동 개폐 유닛(307)의 전자 솔레노이드(309)는 단전되어 있으며, 푸쉬 로드(314) 선단부의 캡(314a)이 도어(302a) 측의 받침 부재(317)의 덧댐판(317a)에 대해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302a)의 폐쇄 상태로부터, 도어(302a)를 개방시키기 위해 핸들(320)이 인장 조작 혹은 압박 조작되어 도어 개방 스위치(321)가 온되면, 제어 회로(330)는 타이머 회로(331)를 거쳐서 릴레이 스위치(327)를 소정 시간, 이 경우 약 0.5초 동안만 온시킨다. 이로써, 전동 개폐 유닛(307)의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약 0.5초 동안만 통전 구동되게 된다. 그러면,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플런저(313) 및 푸쉬 로드(314)가 복귀용 스프링(31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순식간에 이동되므로, 도어(302a)에 설치된 받침 부재(317)가 푸쉬 로드(314)에 의해 압박되어 마그넷 가스킷(302b)이 냉장고 본체(301)로부터 박리되게 되며, 이에 따라서 도어(302a)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302a)의 개방시에는 푸쉬 로드(314)가 전방으로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되지만, 그 후에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단전된 때에는 플런저(313) 및 푸쉬 로드(314)가 복귀용 스프링(315)의 스프링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방향으로 순식간에 복귀되게 된다. 또, 도어(302a)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경우와 같이, 도어(302a)를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어(302a)가 폐쇄 상태가 되면, 마그넷 가스킷(302b)이 냉장고 본체(301)의 전방면부에 흡착하는 동시에, 도어(302a) 측의 받침 부재(317)가 푸쉬 로드(314)의 선단부를 압박하고, 푸쉬 로드(314) 및 플런저(313)는 도24에 도시한 원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30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류 전원 회로(322)에 의해 직류 구동된다. 직류 전원 회로(322)에 상용 교류 전원(328)의 AC 100V가 인가된 경우, 각 부의 전압 강하가 있으므로, 전자 솔레노이드(309)에 DC 141V는 인가되지 않지만, 실력적으로는 DC 약 120V 인가되게 된다. 그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309)에는 약 2A의 전류가 흐르고, 입력으로서 약 240W 들어가게 된다.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1회 동작 시간은 약 0.5초이므로,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1회 동작시키면, 전자 솔레노이드(309)는 약 0.4k(도) 정도의 온도가 상승한다. 1회의 동작에서는 온도의 상승은 작은 것이지만, 연속적으로 동작시키면 상당한 온도 상승이 된다.
도27에는 실온이 30도인 경우에 있어서, 전자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킨 경우의 온도의 상승 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27에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연속 통전(통전 실패 없음)한 경우와, 도어(302a)를 가장 단시간에 개폐하는 경우인, 2.5초에 1회(0.5초)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전하는 것을 반복한 경우와, 그 배의 간격인 5.0초에 1회(0.5초)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전하는 것을 반복한 경우와, 그 배의 간격인 10초에 1회(0.5초)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전하는 것을 반복한 경우와, 그 배의 간격인 20초에 1회(0.5초)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전하는 것을 반복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2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 솔레노이드를 연속 통전한 경우에는 온도의 상승 정도가 심하고, 단시간에 100℃를 돌파해 버린다. 또, 0.5초/2.5초의 통전을 반복한 경우에는 약 11분에 100℃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통전 비율이 작아짐에 따라서, 온도의 상승 정도가 작아진다.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배치된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케이스(308) 등은 합성 수지제이므로,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100℃를 넘게 되면, 열 변형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28에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단전한 상태로 방치한 경우(자연 냉각)에 있어서의 온도의 하강 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자연 냉각의 경우, 원래의 온도에 의해 하강 속도가 지수 함수적으로 변화하지만, 데이타를 간소화하기 위해 80℃ 이상과, 80℃ 미만과의 2단계로 나눠, 80℃ 이상인 경우에는 1분에 1k(도) 저하한다고 하고(-1k/분), 80℃ 미만인 경우에는 1분에 0.3k(도) 저하한다고 한다(-0.3k/분).
도20은 도어(302a)를 개폐시켰을 때의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21은 이 때의 제어 회로(330)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 회로(330)는 상기 온도의 데이타를 점수화(0.1k를 1점으로 함)하고, 카운터에서 계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회로(330)는 우선 온도의 상승과 하강의 조건 데이타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스텝 S1). 이 경우, 조건 데이타로서는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1회 온 동작하면 4점 가산하고, 80℃ 미만에서 1분 방치되면 3점 감산하고, 80℃ 이상에서 1분 방치되면 10점 감산한다고 하는 것이다.
다음에, 초기 포인트를 설정한다(스텝 S2). 이 경우, 실온이 30℃라고 하면, 30 × 10점으로 300점이라 하고, 이 300점을 초기 포인트로서 기억하고, 이 후, 타이머를 세팅한다(스텝 S3).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 개방 스위치(321)를 온 조작하여 제어 회로(330)가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온 동작시킬 때마다, 4점씩 가산하는 동시에,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단전한 시간에 따라서 감산(1분 방치되면 3점 감산)해 간다(스텝 S4 내지 S11). 스텝 S10에 있어서,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와 현재의 실온 × 10을 비교하고,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현재의 실온 × 10과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큰 경우에는「YES」에 따라서 스텝 S5로 이행하고,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현재의 실온 × 10보다도 작은 경우에는「NO」에 따라서 스텝 S11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현재 포인트를 현재의 실온 × 10으로 수정하고, 이 후 스텝 S5로 이행한다.
여기서, 아이의 장난이나 혹은 점포앞에서의 전시에 있어서, 도어(302a)의 개폐가 빈번하게 행해져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빈번히 온 동작되면,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가 점차로 상승해 간다(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증가해 감). 그리고,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800점(온도로 80℃에 상당) 이상이 되면, 스텝 S5에 있어서「YES」에 따라서 스텝 S12로 이행하고,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단전한 시간에 따른 감산 포인트를 3점에서 10점으로 변경한다. 감산 포인트를 변경하더라도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증가하여, 1000점(온도로 100℃에 상당하는 것으로, 이 100℃가 청구항 26, 27 발명의 설정치에 상당)에까지 도달하였다면, 스텝 S4에 있어서「YES」에 따라서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1000점이 되었다면, 스텝 S13 및 S14를 지나서, 스텝 S15에 있어서 전자 솔레노이드(309)[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금지시키는 동시에, 표시 패널(319)에 예를 들어 자동 도어 오프의 표시 램프를 점멸시켜서, 사용자에게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한다. 이 후, 스텝 S13으로 복귀하여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900점 미만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때, 사용자가 도어 개방 스위치(321)를 온 조작해도, 제어 회로(330)는 전자 솔레노이드(309)에는 통전하지 않으므로,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는 점차로 저하해 가는 동시에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도 점차로 감소해 간다.
그리고,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900점 미만이 되면, 스텝 S13에 있어서「NO」에 따라서 스텝 S16으로 이행하고,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동작 금지를 해제하는 동시에 표시 패널(319)의 상기 자동 도어 오프의 표시 램프를 소등하여 사용자에게 전동 개방 도어 유닛(7)을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을 통지한다. 이 후, 스텝 S5로 이행한다. 그리고,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재차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1000점이 되었다면, 다시 스텝 S15에 있어서 전자 솔레노이드(9)의 동작을 금지시키는 동시에 표시 패널(319)에 자동 도어 오프의 표시 램프를 점멸시킨다.
한편, 예를 들어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800점이 되고 나서의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단전 시간이 길어져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마지막으로 온 동작하고 나서 약 3시간 경과하면,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는 거의 실온과 같아질 때까지 저하한다. 이로 인해, 스텝 S9에 있어서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마지막으로 온 동작하고 나서 3시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3시간 경과했다라고 판정된 경우에는「YES」에 따라서 스텝 S2로 복귀하고, 초기 포인트를 재차 설정한다. 또한, 다시 전동 솔레노이드(9)가 온 동작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재차 가감되게 된다.
상기한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도어 개방 스위치(321)가 조작되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통전 제어되고,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은 마그넷 가스킷(302b)에 의해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도어(302a)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 도어(302a)를 마그넷 가스킷(302b)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어(302a)의 개방에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어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도어(302a)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302a)의 개폐[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으로의 통전 제어]가 연속적으로 행해지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 상승이 심해지지만,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본 실시예에서는 100℃ 상당)까지 상승하면, 제어 회로(330)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일단 금지하고,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허가 온도(본 실시예에서는 90℃ 상당)까지 하강할 때까지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을 재동작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그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9)이 이상 온도로까지 상승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9)의 합성 수지제 케이스(308) 등이 열에 의해 변형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자 솔레노이드(309)에는 130℃로 용단하는 보호용 온도 퓨즈(316)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릴레이 스위치(327)의 용착 등으로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제어할 수 없게 된 경우의 최종적인 보호를 위해서이며, 만약의 때 이외에는 그 온도 퓨즈(316)를 동작시켜서는 안된다.
또한, 상기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 상승 정도와 온도 하강 정도를 점수화하여, 제어 회로(330)의 카운터에 의해 계산함으로써 추정하여 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29 및 도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 제6 실시예는 상기한 제5 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제어 회로(330)는 온도의 데이타를 점수화(0.1k를 1점으로 함)하여 카운터에서 계산하는 방식은 제5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1000점이 되었다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완전히 금지하는 것은 아니며,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900점 이상이 되었다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허가하는 허가 기간과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간을 반복하는 허가/금지 사이클을 실행함으로써, 통전 비율을 낮추도록 하고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 회로(330)는 우선 온도의 상승과 하강 조건의 데이타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스텝 T1). 이 경우, 조건 데이타로서는 90℃ 미만(포인트로 900점 미만)인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1회 온 동작하면 4점 가산, 90℃ 이상(포인트로 900점 이상)인 경우,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1회 온 동작하면 2점 가산, 80℃ 미만(포인트로 800점 미만)에서 1분 방치되면 3점 감산하고, 80℃ 이상(포인트로 800점 이상)에서 1분 방치되면 10점 감산한다고 하는 것이다.
다음에, 초기 포인트를 설정한다(스텝 T2). 이 경우도, 실온이 30℃라고 하면 30 × 10점으로 300점이라 하고, 이 300점을 초기 포인트로서 기억하고, 이 후 타이머를 장착한다(스텝 T3).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 개방 스위치(321)를 온 조작하여 제어 회로(330)가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온 동작시킬 때마다 4점씩 가산하는 동시에,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단전한 시간에 따라서 감산(1분 방치되면 3점 감산)해 간다(스텝 T4 내지 T9). 스텝 T8에 있어서,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와 현재의 실온 × 10을 비교하여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현재의 실온 × 10과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큰 경우에는「YES」에 따라서 스텝 T4로 이행하고,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현재의 실온 × 10보다도 작은 경우에는「NO」에 따라서 스텝 T9로 이행하고, 여기에서 현재 포인트를 현재의 실온 × 10으로 수정하고, 이 후 스텝 T4로 이행한다.
여기서, 아이의 장난이나 혹은 점포앞에서의 전시에 있어서, 도어(302a)의 개폐가 빈번하게 행해져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빈번히 온 동작되면,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온도가 점차로 상승해 간다(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증가해 감). 도29에는 3초에 1회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온 동작한 경우와, 10초에 1회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온 동작한 경우와, 30초에 1회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온 동작한 경우의 선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800점(온도로 80℃에 상당) 이상이 되면, 스텝 T4에 있어서「YES」에 따라서 스텝 T10으로 이행하고,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단전한 시간에 따른 감산 포인트를 3점에서 10점으로 변경한다. 감산 포인트를 변경하더라도,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증가하여 900점(온도로 90℃에 상당하는 것으로, 이 90℃가 본 발명의 청구항 26, 28 발명의 설정치에 상당)에까지 도달하였다면, 스텝 T11에 있어서「YES」에 따라서 스텝 T12로 이행한다.
스텝 T12에 있어서는 도어 개방 스위치(321)의 온 조작을 접수하는 기간을 제한함으로써,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제한한다. 이 경우, 도어 개방 스위치(321)의 온 조작을 접수하는 허가 기간으로서는 8초, 금지 기간으로서는 25초로 한다(허가/금지 : 8초/25초). 허가 기간에 개방 도어 스위치(321)의 온 조작을 접수하여 전자 솔레노이드(309)가 온 동작되면, 스텝 T13에 있어서「YES」에 따라서 스텝 T14를 지나서 스텝 T15로 이행하고, 2점 가산하여 스텝 T4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도어 개방 스위치(321)의 온 조작을 접수하는 기간을 제한하더라도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증가하여 1000점이 되었다면 스텝 T14에 있어서「YES」에 따라서 스텝 T16으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는 1000점인 상태로 하고, 스텝 T4로 복귀한다.
이 경우, 허가/금지 : 8초/25초의 사이클에 있어서, 허가 기간인 8초 동안에 3회 전자 솔레노이드(309)를 온 동작시켰다고 하면, 온 시간은 0.5초/회 × 3으로 1.5초, 오프 시간은 25초 + 18초 - 11.5초로 31.5초이며, 온/오프 : 1.5초/31.5초가 된다. 이 통전 비율은 도27에 있어서의 0.5초/10초보다도 작아진다. 0.5초/10초의 통전 비율의 경우, 100℃까지 도달하는 것은 아니므로 1000점을 상한이라 정해도 안전상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도어 개방 스위치(321)의 온 조작을 접수하는 기간을 제한함으로써,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허가하는 허가 기간과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간을 반복하는 허가/금지 사이클이 실행되어 통전 비율이 낮추어진다. 또, 카운터에 의한 현재 포인트가 900점 미만까지 감소하였다면, 스텝 T12의 제한은 해제된다.
이러한 제6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본 실시예에서는 90℃에 상당)까지 상승한 경우,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기간과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간을 반복하는 허용/금지 사이클을 실행하고,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이 이상 온도로까지 상승해 버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가 설정치까지 상승한 경우에 있어서, 금지 기간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을 동작시킬 수 없지만, 허가 기간이 되면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점포앞 전시의 경우에 있어서 긴 시간 대기하지 않아도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되어, 긴 시간 대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는 예를 들어 구동원인 전자 솔레노이드(309)의 코일(311a)의 저항치를 직접 측정하는 것에 의거하여 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311a)에 일정한 저전압[전자 솔레노이드(309)가 동작하지 않는 레벨]을 인가하고, 그 전류치를 판독하여, 이에 의거하여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를 구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전자 솔레노이드(309)에 있어서의 코일(311a)의 실제 온도에 가까운 온도를 검출할 수 있어, 한층 정밀도가 좋은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제어 회로(330)가 점포앞 전시 모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점포앞 전시 모드에서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동작을 허가하는 허가 기간과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간을 반복하는 허가/금지 사이클을 항상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점포앞 전시 모드에 있어서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온도에 관계 없이 허가/금지 사이클이 실행되므로, 제어 회로(330)의 제어가 간소화된다.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의 구동원으로서는 전자 솔레노이드(309)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선형 모터 타입의 작동기, 혹은 감속 기구와 조합한 모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 개방 도어 유닛(307)은 냉장고 본체(301)측 대신에, 도어(302a)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하는 동작을 전동 개방 도어 유닛에 의해 행할 수 있어 그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조작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이 이상 온도로까지 상승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31)

  1. 저장고 본체가 갖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이 도어의 폐쇄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마그넷 가스킷을 구비한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본체측에 고정된 통형의 코일 유닛과,
    이 코일 유닛을 축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코일 유닛에 통전된 때에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런저와,
    이 플런저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데 따라서 상기 도어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압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를 상기 코일 유닛으로의 통전에 따른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의하는 복귀용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상기 플런저의 주위에 권취형으로 설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도어를 압박하기 위한 선단부 부분이 그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도어측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를 상기 도어 방향으로 편의하고, 그 편의력에 의해 상기 압박 부재의 선단부 부분을 상기 도어에 접촉시키는 압박용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용 스프링은 상기 플런저에 있어서의 상기 압박 부재와 반대측의 단부면부를 압박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주위에 권취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상기 플런저에 있어서의 상기 압박 부재와 반대측의 단부와 상기 코일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를 향하는 단부면으로 소정 치수만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상기 코일 유닛으로의 통전에 따른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편의하는 복귀용 스프링의 기능과, 상기 압박 부재를 상기 도어에 접촉시키는 압박용 스프링의 기능을 얻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은 직류 전원 회로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회로는 상용 교류 전원의 출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그 정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닛의 단전 후에 상기 평활 콘덴서의 충전 전하를 상기 코일 유닛을 통하여 방전함으로써, 상기 복귀용 스프링에 의한 상기 플런저의 복귀 이동시에 제동을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회로의 전원 투입시에 상기 평활 콘덴서로 유입되는 돌입 전류를 억지하기 위한 보호 저항과,
    이 보호 저항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설치되어 그 검지 온도가 상한 온도 이상이 된 때에 상기 코일 유닛에 대한 통전로를 차단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닛에 대한 통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 저항의 온도 상승율이 상기 코일 유닛의 온도 상승율보다 높은 값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회로 내의 평활 콘덴서와 병렬로 소정 저항치의 방전용 저항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에 대한 통전 시간을 소정 시간 이하로 제어하는 타이머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은 상기 저장고 본체로부터 부유한 상태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다리부와,
    이 다리부를 상기 저장고 본체에 지지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부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용단 상태에서 상기 코일 유닛의 통전로를 차단하는 온도 퓨즈와,
    이 온도 퓨즈의 밀착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 상기 온도 퓨즈를 덮도록 설치된 수지 재료로 된 피복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퓨즈는 상기 플런저의 축심 위치보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있어서의 상기 압박 부재와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플런저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플런저와의 연결부측에 수 나사부를 갖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수 나사부가 나사 삽입되는 암 나사부와, 이 암 나사부에 상기 압박 부재측의 상기 수 나사부가 나사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 나사부의 기단부에 코오킹되는 코오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수 나사부의 상기 암 나사부에 대한 나사 삽입 상태가 소정 치수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폐쇄를 저지하는 위치까지 돌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은 충전부 전체가 수지 성형되고, 상기 코일 유닛의 리드선 인출부는 상기 플런저의 축심 위치보다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에는 상기 압박 부재의 선단부가 접촉되는 받침 부재가 설치되고,
    이 받침 부재 및 상기 압박 부재의 선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완충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선단부에는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큰 압박편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3. 저장고 본체의 전방면에 있어서 일단부가 힌지를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면측의 주연부에 폐쇄 상태로 상기 저장고 본체의 전방면에 흡착하지만 가스킷이 설치된 회전식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플런저와 일체로 이동하는 압출봉을 갖고, 그 압출봉에 의해 상기 도어를 밀어 개방하는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용 유닛을 구비하고,
    이 도어 개방용 유닛을 상기 저장고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이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의 중앙부보다도 상기 힌지와는 반대측을 압박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은 도어에 있어서 가스킷보다 외측을 압박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그 압출봉의 선단부와 도어측의 피압박부 사이에 충격 완충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용 유닛은 일부를 저장고 본체의 천정부에 매립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6. 마그넷 가스킷에 의해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도어를 구비한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에 있어서,
    통전되는 것에 의거하여 상기 도어에 대해 개방 방향의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를 상기 마그넷 가스킷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키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과,
    이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까지 상승한 때에는 그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제한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가 상기 설정치까지 상승한 때에는 그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금지하고,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허가 온도까지 하강할 때까지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을 재동작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가 상기 설정치까지 상승한 때,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허가하는 허가 기간과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간을 반복하는 허가/금지 사이클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 상승 정도와 온도 하강 정도에 의거하여, 제어 수단에 의해 추정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은 그 구동원에 전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온도는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의 코일의 저항치를 측정하는 것에 의거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점포앞 전시 모드를 구비하고, 이 점포앞 전시 모드에서는 전동 개방 도어 유닛의 동작을 허가하는 허가 기간과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 기간을 반복하는 허가/금지 사이클을 항상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KR10-2000-0047086A 1999-08-17 2000-08-16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KR100411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30541 1999-08-17
JP23054199A JP3559730B2 (ja) 1999-08-17 1999-08-17 貯蔵庫の扉開放装置
JP99-235418 1999-08-23
JP23541899A JP3718381B2 (ja) 1999-08-23 1999-08-23 冷蔵庫用開扉装置
JP99-260305 1999-09-14
JP26030599A JP3708765B2 (ja) 1999-09-14 1999-09-14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304A true KR20010021304A (ko) 2001-03-15
KR100411841B1 KR100411841B1 (ko) 2003-12-24

Family

ID=2733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086A KR100411841B1 (ko) 1999-08-17 2000-08-16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38536B1 (ko)
EP (1) EP1077354B1 (ko)
KR (1) KR100411841B1 (ko)
CN (3) CN1262806C (ko)
DE (1) DE60015877T2 (ko)
TW (1) TW50842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1988C (zh) * 2004-07-12 2008-12-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门开关状态感应装置的驱动装置
KR20180126271A (ko) * 2017-05-17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7782A1 (de) * 2001-04-09 2002-10-17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mit Türsicherung
US6827410B2 (en) * 2001-08-24 2004-12-07 Thetford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11856B1 (en) * 2002-09-19 2004-03-30 Drew Hoffman Door opener assist device
FR2846360B1 (fr) * 2002-10-25 2007-08-24 Bsn Glasspack Porte pour machine automatisee
US7213369B2 (en) * 2002-11-22 2007-05-08 Brian Freema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KR100857605B1 (ko) * 2002-11-27 2008-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20304498U1 (de) * 2003-03-20 2004-07-29 Arturo Salice S.P.A., Novedrate Adapter für eine Bremsverzögerungsvorrichtung
AT413933B (de) * 2003-05-19 2006-07-15 Blum Gmbh Julius Möbel mit einem bewegbaren möbelteil
DE102004012496B4 (de) 2004-03-15 2018-05-24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EP1784607A2 (en) * 2004-08-09 2007-05-16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US20060238084A1 (en) * 2005-03-25 2006-10-26 Golani Belous Y Wheel Chair Bound Accessible Storage Carriers for Refrigrator,Pantry and Storage Closets through, Two plus Two Major and Minor Access Doors with two plus One Motorized Closed Loop Rectangular Vertical Conveyor Track System
JP4091614B2 (ja) * 2005-04-27 2008-05-28 株式会社東芝 貯蔵庫
AT502939A1 (de) * 2005-04-28 2007-06-15 Blum Gmbh Julius Möbel
DE102005021587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7886500B2 (en) * 2005-05-27 2011-02-1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with ratcheting end cap
DE202005011427U1 (de) * 2005-07-20 2006-11-2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ATE399920T1 (de) * 2005-07-22 2008-07-15 Vkr Holding As Sicherheitsmittel für fenster und methoden
TR200504095A2 (tr) * 2005-10-13 2007-10-22 Bsh Ev Aletler� Sanay� Ve T�Caret Anon�M ��Rket�@ Kapı açma yardımcı düzeneği.
WO2008022673A1 (de) * 2006-08-24 2008-02-28 MEPLA-WERKE LAUTENSCHLäGER GMBH & CO. KG Öffnungsvorrichtung für relativ zueinander bewegliche möbelteile
US7855346B2 (en) * 2006-09-15 2010-12-21 Ricoh Company,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removal recording media
KR101263433B1 (ko) * 2006-09-19 201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열림장치
KR20080038631A (ko) * 2006-10-30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의 댐핑구조
DE202006018289U1 (de) * 2006-12-01 2008-07-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Justierung einer motorischen Stellvorrichtung
DE102006061083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KR20080100553A (ko) * 2007-05-14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KR101351089B1 (ko) * 2007-05-28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181609B1 (ja) * 2007-06-25 2008-11-19 株式会社東芝 冷蔵庫用開扉装置
JP4444330B2 (ja) * 2007-12-11 2010-03-3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KR100901153B1 (ko) * 2008-03-11 2009-06-04 박건우 냉장고 도어 열림장치
DE102008034809A1 (de) * 2008-07-24 2010-01-28 Suspa Holding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Kühlschranktüren
KR20100064022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576679B1 (ko) * 2009-07-22 2015-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방 장치
KR20110022849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39435B1 (ko) * 2009-10-1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624430B2 (en) * 2009-11-19 2014-01-07 General Electric Company Standby power reduction
KR101786966B1 (ko) * 2010-08-06 201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190448B1 (ko) * 2010-09-14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151099B2 (en) * 2011-11-03 2015-10-06 Savannah River Nuclear Solutions, Llc Egress door opening assister
US9097052B2 (en) * 2011-12-06 2015-08-04 Hefei Midea Refrigerator Co., Ltd. Refrigerator
ITPI20120028A1 (it) * 2012-03-22 2013-09-23 Edra Spa Dispositivo per la movimentazione in apertura di un pannello articolato ad una struttura di mobile e mobile relativo.
EP2938950B1 (en) * 2012-12-30 2016-11-09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with improved uv treatment chamber
US20140265805A1 (en) * 2013-03-15 2014-09-18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automatic door opener
DE102013008052A1 (de) * 2013-03-19 2014-09-25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102013103819A1 (de) * 2013-04-16 2014-10-16 Miele & Cie. Kg Kühlgerät
DE102013220088A1 (de) * 2013-10-02 2015-04-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AT514945B1 (de) * 2013-11-14 2015-05-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DE102013223728A1 (de) 2013-11-20 2015-05-21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DE102014201924A1 (de) * 2014-02-04 2015-08-06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DE102014203683A1 (de) * 2014-02-28 2015-09-03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Türöffnungshilfe
DE102014107367B4 (de) * 2014-05-26 2022-10-06 Miele & Cie. Kg Kühlgerät
DE102014210693A1 (de) 2014-06-05 2015-12-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CN104033087B (zh) * 2014-06-20 2016-03-09 盐城市大冈石油工具厂有限责任公司 一种机械架构辅助下的储藏室安全窗
CN104329902A (zh) * 2014-06-30 2015-02-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4328971B (zh) * 2014-08-18 2016-07-0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KR101655801B1 (ko) * 2014-09-05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US20160202669A1 (en) * 2015-01-09 2016-07-14 Jamie McTaggart BONE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2306955B1 (ko) * 2015-02-23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5207313A1 (de) * 2015-04-22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kältegerätes
DE102015207314A1 (de) * 2015-04-22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elektro-mechanischen Öffnungs-Hilfsvorrichtung
DE102015207311A1 (de) * 2015-04-22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Überlast-Schutzeinrichtung einer Öffnungs-Hilfs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WO2017018865A1 (ko) * 2015-07-30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954956A1 (en) 2015-08-03 2022-02-16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525551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98210B1 (ko) 2015-08-03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7245B1 (ko) 2015-08-03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69B1 (ko) 2015-08-03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42973B1 (ko) 2015-08-03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3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진공단열체의 제조방법, 다공성물질패키지, 및 냉장고
KR102497139B1 (ko) 2015-08-03 202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KR102456642B1 (ko) * 2015-08-03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9852B1 (ko) 2015-08-03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66470B1 (ko) * 2015-08-04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US9735555B2 (en) * 2015-08-27 2017-08-15 Eaton Corporation Mechanical door interlock device for protecting powe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users
FR3042251B1 (fr) * 2015-10-13 2018-03-09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Joint magnetique pour machines cryogeniques
US10087671B2 (en) * 2016-08-04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ed driven door presenter for vehicle doors
TR201612501A2 (tr) * 2016-09-02 2018-03-21 Arcelik As Conta siyirma mekani̇zmasi i̇çeren bi̇r soğutucu
KR101873115B1 (ko) * 2016-11-03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386111B2 (en) * 2016-11-30 2019-08-20 Bsh Hausgerae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home appliance device
JP6894699B2 (ja) * 2016-12-16 2021-06-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扉開閉装置
CN106637850A (zh) * 2016-12-26 2017-05-10 卢小平 电动转动盖和清洗设备
US10995536B2 (en) * 2017-01-03 202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995066B1 (en) * 2017-01-13 2018-06-12 Inteva Products, Llc Vehicle door opening mechanism
CN106593176B (zh) * 2017-02-20 2018-11-13 江苏雷利电机股份有限公司 自动开门装置
US11859434B1 (en) * 2017-03-01 2024-01-02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LLC Dampened hinge for a refrigerator door or other door
CN106869666B (zh) * 2017-03-17 2019-01-22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开关门装置及其控制方法和冰箱
KR101972785B1 (ko) * 2017-03-29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274477B2 (en) 2017-06-05 2022-03-15 Magna Closures Inc. Integrated door presentment mechanism for a latch
TR201708697A2 (tr) 2017-06-13 2019-01-21 Arcelik As Otomatik Kapı Açma Cihazı İçeren Bir Soğutucu Cihaz
TR201709671A2 (tr) 2017-06-30 2019-01-21 Bsh Ev Aletleri San Ve Tic As Kapi kapatma yardimcisina sahi̇p bi̇r soğutucu ci̇haz
DE102017124282A1 (de) * 2017-10-18 2019-04-18 Kiekert Ag Aufstell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FR3072993B1 (fr) * 2017-11-02 2023-01-06 U Shin France Systeme entrebaillement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JP6884887B2 (ja) * 2017-12-29 2021-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扉の開装置、扉の開閉装置および冷蔵庫
US10633893B2 (en) 2018-01-02 2020-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actuator with retraction device
DE102018132665A1 (de) * 2018-12-18 2020-06-18 Kiekert Aktiengesellschaft Auf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türelement
TR201902445A2 (tr) * 2019-02-19 2020-09-2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Otomatik kapı açma sistemi ve ilgili yöntem.
FR3094391B1 (fr) * 2019-04-01 2021-02-19 Psa Automobiles Sa ensemble d’éjection d’une port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organe d’obturation amovible
TR201906291A2 (tr) * 2019-04-29 2020-11-23 Bsh Ev Aletleri San Ve Tic As Soğutucu ci̇haz
US10648218B1 (en) * 2019-05-31 2020-05-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with push-to-open door opener
CN110425798B (zh) * 2019-08-01 2020-12-18 马鞍山市黄池食品(集团)金菜地畜业有限公司 一种圆柱形风动冰箱的减压保鲜贮藏装置
CN111236786B (zh) * 2020-01-14 2022-02-15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一种车门开启系统、方法及车辆
US10961762B1 (en) * 2020-05-18 2021-03-30 Jack Botu Door control system
AU2021341853A1 (en) * 2020-09-14 2023-05-11 Haier Smart Home Co., Ltd. Storage device
CN112096200A (zh) * 2020-10-22 2020-12-18 山东省滨州市冰厨制冷设备有限公司 外置式门体回归铰链
CN112324283B (zh) * 2020-11-05 2022-06-14 上海江河幕墙系统工程有限公司 建筑幕墙伸缩缝自动弹开玻璃窗
CN112393494B (zh) * 2020-11-26 2021-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藏装置
US20220170294A1 (en) * 2020-12-02 2022-06-02 Odl, Incorporated Hands-free electronic door unlatching and/or opening system
CN113006627B (zh) * 2021-03-19 2022-05-0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电磁开门装置和制冷设备
CN113250574B (zh) * 2021-06-18 2022-06-2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开门装置和储物设备
CN113581049B (zh) * 2021-09-02 2022-07-29 广州新启程液压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尾板
US11585143B1 (en) * 2021-10-28 2023-02-21 Gonzalo Fuentes Iriarte Automatic door open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4583A (en) * 1965-09-27 1967-11-28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door opener
US3982501A (en) * 1974-12-04 1976-09-28 Marzocco Angelo T Automatic dog and cat feeder
JPS57163586U (ko) * 1981-04-08 1982-10-15
JPS62195064U (ko) * 1986-05-29 1987-12-11
JPH079341B2 (ja) * 1988-02-29 1995-02-01 株式会社東芝 開扉装置
JPH01222187A (ja) * 1988-02-29 1989-09-05 Toshiba Corp 貯蔵庫
DE3837547A1 (de) * 1988-11-04 1990-05-10 Max Maier Magnetverschluss fuer moebel, insbesondere kuehlmoebel
JP2512127Y2 (ja) * 1990-06-27 1996-09-25 三浦工業株式会社 加熱防止対策を施した制御ボックス
JP3011507B2 (ja) * 1991-11-15 2000-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開放方法及び扉開放装置
CN2141065Y (zh) * 1992-06-22 1993-08-25 成志雄 轻触式冰箱自动开门器
CN2192849Y (zh) * 1993-10-09 1995-03-22 曹新华 电冰箱自动关门装置
KR970002224A (ko) * 1995-06-16 1997-01-24 배순훈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 자동열림장치
KR0139299Y1 (ko) * 1996-08-14 1999-05-15 김광호 냉장고의 도어장치
JP3045983B2 (ja) * 1996-10-25 2000-05-29 三星電子株式会社 冷蔵庫の扉装置
DE29621527U1 (de) * 1996-12-12 1998-04-09 AEG Hausgeräte GmbH, 90429 Nürnberg Kühl- und/oder Gefriergerät
JP3910712B2 (ja) * 1998-02-03 2007-04-25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扉体の開閉構造
CN1116575C (zh) * 1999-01-07 2003-07-30 海尔集团公司 电冰箱门电动开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1988C (zh) * 2004-07-12 2008-12-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门开关状态感应装置的驱动装置
KR20180126271A (ko) * 2017-05-17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441348B2 (en) 2017-05-17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2806C (zh) 2006-07-05
EP1077354A2 (en) 2001-02-21
US6338536B1 (en) 2002-01-15
TW508426B (en) 2002-11-01
DE60015877T2 (de) 2005-11-03
CN1515857A (zh) 2004-07-28
CN1284642A (zh) 2001-02-21
CN1330915C (zh) 2007-08-08
KR100411841B1 (ko) 2003-12-24
DE60015877D1 (de) 2004-12-23
EP1077354B1 (en) 2004-11-17
CN1515856A (zh) 2004-07-28
CN1144996C (zh) 2004-04-07
EP1077354A3 (en) 200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841B1 (ko) 저장고의 도어 개방 장치
KR970010512B1 (ko) 압축기 상태 제어기
JP2006250485A (ja) 冷蔵庫の扉装置
JP2006200891A (ja) 貯蔵庫の開扉装置
WO2009110675A2 (en) Apparatus for adjusting level of refrigerator
WO2005073996A1 (en) A bimetal protector
JP6206697B2 (ja) 電磁開閉器
CN111030282A (zh) 一种重要电器紧急电路保护装置
KR100226320B1 (ko) 탈자화 회로 및 전류 제한 장치
JP2006023039A (ja) 冷蔵庫
JP3718381B2 (ja) 冷蔵庫用開扉装置
JP2001082867A (ja) 冷蔵庫
JP2004156873A (ja) 冷蔵庫
KR100458704B1 (ko) 전동기용 시동시스템
DK151356B (da) Koeleapparat, isaer koele- eller fryseskab
EP0244521A1 (en) Engine starter
JP2001059675A (ja) 冷蔵庫
CN114402410A (zh) 继电器、包括继电器的装置、包括继电器的负载试验装置
JP3850201B2 (ja) 冷蔵庫の扉装置
CN221258951U (zh) 一种空调内机及空调器
CN220205658U (zh) 智能控制设备
CN210354602U (zh) 洗碗机
KR20030064554A (ko) 냉장고의 램프 자동제어장치
JP3813505B2 (ja) 電動機の保護装置
KR0123446B1 (ko) 냉장고의 고내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