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334A - 회전코넥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코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334A
KR20010015334A KR1020000040477A KR20000040477A KR20010015334A KR 20010015334 A KR20010015334 A KR 20010015334A KR 1020000040477 A KR1020000040477 A KR 1020000040477A KR 20000040477 A KR20000040477 A KR 20000040477A KR 20010015334 A KR20010015334 A KR 2001001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piece
housing
guide
st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542B1 (ko
Inventor
마쓰모토쓰요시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다케토시
Publication of KR2001001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정상시에는 회전코넥터장치의 플랫 케이블을 손상시키지 않고, 회전코넥터장치를 스티어링 핸들에 잘못 부착하여 운전했을 때에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을 절단하는 구조의 회전코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전코넥터장치는, 고정자 하우징(1)과, 이 고정자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된 회전자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공간(G)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하여, 한 끝단에 터미널편(14)이 접속되고, 다른 끝단에 지지체(11)가 접속된 플랫 케이블(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터미널편(14)은 고정자 하우징 (1)의 내벽(7c)과, 이 내벽(7c) 근방에 배설된 가이드(9)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9)는 상기 플랫 케이블(4)과의 접촉면이 곡면형상인 소폭편(9d)을 끝단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4)은 상기 고정자 하우징(1)의 내벽(7c)과, 상기 소폭편(9d)의 사이에서 고정자 하우징(1) 내의 공간(G)에 배선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코넥터장치{Rotary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의 패드부에 설치된 에어백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회전코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사고시에 에어백을 방출하여 차에 탄 사람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에어백, 특히 스티어링 핸들의 패드부에 설치된 에어백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부분을 통해 차체측으로부터 패드부의 에어백의 인플레이터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는, 주로 소용돌이 형태로 감겨진 플랫 케이블을 이용한 회전코넥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회전코넥터장치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평 1-16158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케이블 릴이라 불리는 회전코넥터장치는, 고정자 하우징과, 이 고정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자 하우징과, 상기 양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된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플랫 케이블의 끝단에, 플랫 케이블 절단용 커터 및 커터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코넥터장치는, 스티어링 핸들을 좌우로 각각 2회전할 수 있도록 중립위치에서 부착하는데, 잘못 부착하여 중립위치에서 벗어나 버린 경우, 스티어링 핸들을 통상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함께 각각 2회전시킬수 없게 되어, 자유로운 핸들조작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 절단용 커터 및 커터부재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을 절단하여 스티어링 핸들을 통상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함께 각각 2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회전코넥터장치는, 정상적인 상태로 회전코넥터장치를 스티어링 핸들부에 설치하여도, 항상 상기 플랫 케이블 절단용 커터 및 커터부재가 플랫 케이블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플랫 케이블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상시에는 회전코넥터장치의 플랫 케이블을 손상시키지 않고, 회전코넥터장치를 스티어링 핸들에 잘못 부착하여 운전했을 때에는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절단하는 구조의 회전코넥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일부 단면을 가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중앙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플랫 케이블을 가진 고정자 하우징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플랫 케이블을 가진 고정자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H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자 하우징 2 : 회전자 하우징
3 : 어태치먼트 3a : 끼워맞춤부
3b : 돌출편 4,4c,4d,4e : 플랫 케이블
4a : 도전선 4b : 수지필름
5,6 : 터미널 6a : 코드
7 : 측부 하우징 7c : 내벽
7e,7f,7i,7j : 볼록부 7g,7k : 측면
8 : 바닥부 하우징 9 : 가이드
9c : 오목부 9d : 소폭편
10 : 연결핀 10a : 탄성커버
11 : 지지체 12 : 코드커버
14 : 터미널편 15 : 미끄럼 시트
G : 공간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은, 고정자 하우징과, 이 고정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된 회전자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하여, 한 끝단에 터미널편이 접속되고, 다른 끝단에 지지체가 접속된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편은 고정자 하우징의 내벽과, 이 내벽 근방에 배설된 가이드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면이 곡면형상인 소폭편을 끝단부에 형성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소폭편의 사이에서 고정자 하우징 내의 공간에 배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이, 상기 소폭편의 근방위치의 내벽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이, 상기 터미널편이 설치된 위치와, 소폭편이 배치된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볼록부에 대항하는 위치의 근방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터미널편과 반대쪽의 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1)은 고정자 하우징, (2)는 회전자 하우징, (3)은 어태치먼트, (4)는 플랫 케이블, (5, 6)은 터미널로서, 이들을 다음에 설명한다.
회전코넥터장치는, 고정자 하우징(1)과, 이 고정자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된 회전자 하우징(2)과, 고정자 하우징(1)과 회전자 하우징(2)이 이루는 공간(G)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된 플랫 케이블(4)로 이루어진다.
고정자 하우징(1)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콤비네이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상에 나사맞춤하여 고정되는 고정체이다. 이 고정자 하우징(1)은 측부 하우징(7)과 바닥부 하우징(8)을 조합시켜 구성하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측부 하우징(7)은 끼워맞춤구멍(7a)을, 바닥부 하우징(8)은 끼워맞춤돌기(8a)를 각각 가지며, 끼워맞춤구멍(7a)에 끼워맞춤돌기(8a)를 끼워맞춤으로써 측부 하우징(7)과 바닥부 하우징 (8)을 결합시키고 있다. 한편 측부 하우징(7)과 바닥부 하우징(8)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고정자 하우징(1)을 구성하여도 좋다.
측부 하우징(7) 및 바닥부 하우징(8)은 각각 기초끝단부(7b,8b)가 서로 면이 일치하도록 치수를 설정하고 있으며, 고정자 하우징(1)을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하였을 때, 각각의 기초끝단부(7b,8b)가 모두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접촉된다. 그 때문에 바닥부 하우징(8)에 대하여 예를 들어 도 2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바닥부 하우징(8)은 기초끝단부(8b)가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접촉하므로 화살표 A방향으로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바닥부 하우징(8)의 걸어맞춤돌기(8a)가 측부 하우징(7)의 끼워맞춤구멍(7a)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바닥부 하우징(8)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4)의 끝단을 지지하고 또한 고정자 하우징(1)과 회전자 하우징(2)이 이루는 공간(G) 내로 플랫 케이블(4)을 안내하는 가이드(9)를 가지며, 윗면에 미끄럼 시트(15)가 부설되어 있다.
다음에 회전자 하우징(2)은, 고정자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장착되는 동시에, 탄성커버(10a)가 씌워진 연결핀(10)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 회전자 하우징(2)은, 그 안둘레(2a)에 어태치먼트(3)에 형성된 끼워맞춤부(3a)와 끼워맞춰지는 돌기(2b)와, 어태치먼트 (3)에 형성된 돌출편(3b)과 접촉하는 단차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 하우징(2)은, 터미널(6)의 코드(6a)의 도출부분을 덮는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체(11)를 회전자 하우징(2)에 고정하기 위한 코드 커버(12)를 가지고 있으며, 회전자 하우징(2)의 윗면에 상기 코드 커버(12)가 끼워 넣어져,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자 하우징(2)의 윗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코넥터장치의 취급에 관한 주의를 주는 코션 라벨(1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4)의 한 끝단을 지지하는 부품이다. 이 지지체(11)는 플랫 케이블(4)의 좌굴(座屈)을 방지하여, 파손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다음에 어태치먼트(3)는, 상기 고정자 하우징(1)과 회전자 하우징(2)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회전자 하우징(2)의 돌기(2b)에 탄력있게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 (3a)와, 회전자 하우징(2)의 단차부(2c)에 접촉하는 돌출편(3b)을 가지고 있다. 이 어태치먼트(3)는, 상기 바닥부 하우징(8)의 안둘레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레이디얼 (반경방향) 축받이를 형성하고 있다.
플랫 케이블(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선(4a)과, 이 도전선(4a)이 끼워져 장착되는 수지필름(4b)으로 이루어진다. 이 플랫 케이블(4)은, 예를 들면 중앙부에 복수의 띠형상의 도전선(4a)을 원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절연수지로 이루어지는 2매의 수지필름(4b)으로 끼워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이 플랫 케이블(4)은, 한 끝단에 터미널(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터미널편(14)이 고정부착되고, 다른 끝단에 회전자 하우징(2)에 접속되는 지지체(11)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도전선(4a)은, 표면 및 이면을 2매의 수지필름(4b)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도전선(4a)은 한쪽은 스티어링 핸들에 수납된 에어백장치에 접속되고, 다른쪽은 에어백장치의 센서부 및 전원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얇은 띠형상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전선(4a)의 갯수는, 예를 들어 에어백용 2개와 호른용 1개의 3개이지만, 그 갯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목적 등에 맞추어 배선하면 된다.
상기 수지필름(4b)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2매의 라미네이트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 향하는 쪽의 면을 가열압착하거나, 또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복수의 도전선(4a) 사이가 절연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4)은, 상기 고정자 하우징(1)과 회전자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도너츠 형태의 공간(G) 내에 좌우 모두 2회전 이상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있으며, 그 한 끝단은 터미널편(14)을 통해 고정자 하우징(1)의 터미널(5)에, 다른 끝단은 지지체(11)를 통해 회전자 하우징(2)의 터미널(6)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4)의 한 끝단에 설치된 지지체(11)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자 하우징(2)의 축통부(2d)의 외벽부에 걸어멈춤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4)의 다른 끝단에 설치된 터미널편(14)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 하우징(8)의 윗면 바깥둘레부 근방에 설치된 가이드(9)와, 측부 하우징(7)의 내벽(7c)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터미널편(14)은, 한 끝단이 가로방향을 향하여 도전선(4a)에 접속되고, 다른 끝단은 아래방향을 향하여 터미널(5) 내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도전체(도시하지 않음)를 인서트 성형한 수지체로 이루어지며, 바닥부 하우징(8)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이 터미널편(14)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9)쪽의 면을 이 가이드(9)에 형성된 절결면(9a)에 걸어맞춤시키고, 측부 하우징 (7)쪽의 면을 측부 하우징(7)의 내벽(7c)에 형성된 볼록부(7d,7e) 사이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상기 볼록부(7d,7e) 및 볼록부(7f)는, 측부 하우징(7)의 내벽(7c)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이다. 상기 볼록부(7d)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9)의 절결면(9a)과, 터미널편(14)의 단면 사이에 개재하여 해당 터미널편(14)을 지지하는 돌기이다.
상기 볼록부(7e)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9)의 안내편(9b)에 대향하고, 또한 이 안내편(9b)의 내벽(7c) 옆에 형성된 오목부(9c)의 가장자리에 일치시켜 배치하고 있다. 상기 지지볼록부(7e)는 안내편(9b)과 플랫 케이블(4)의 끝단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9c)와 플랫 케이블(4)이 터미널편 (14)과의 접속부(C)에서 절단되었을 때, 상기 플랫 케이블(4)이 다시,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하여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볼록부(7e)의 소폭편(9d)쪽의 측면(7g)은, 플랫 케이블(4)에 대한 각도 α가 예각(銳角)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볼록부(7e)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플랫 케이블(4c)이 안내편(9b)과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해 왔을 때에, 플랫 케이블(4c)의 선단이 측면(7g)에 충돌하고, 또 측면(7g)을 미끄러져 볼록부(7e)의 경사 끝단(7h)으로 안내이동시켜서 걸어멈춤시킨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4c)이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볼록부(7f)는, 플랫 케이블(4)이 터미널편(14)과의 접속부(C)에서 절단되었을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플랫 케이블(4e)이 다시,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하여 쇼트되어 에어백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볼록부(7f)의 설치위치는, 소폭편(9d)의 근방이면 좋고,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소폭편(9d)의 인접하여 설치되는 위치의 볼록부(7i)라도 좋고, 소폭편(9d)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7j)의 위치라도 좋다.
또한, 볼록부(7f,7i,7j)의 측면(7k)에는, 도 5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볼록부 (7j)와 같이, 화살표 I의 가이드(9)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랫 케이블(4e)을 회전코넥터의 중심쪽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경사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측면(7k)은 볼록부(7f,7i,7j)의 가이드(9)와 반대쪽 면에 형성한다. 측면(7k)의 형상은 평평한 경사면이라도 좋고 곡면이라도 좋다.
상기 가이드(9)는, 상기 바닥부 하우징(8)의 터미널(5)의 위쪽 부위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한 돌출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9)는 절결면(9a)과, 안내편(9b)과, 오목부(9c)와, 소폭편(9d)으로 이루어지며, 측부 하우징(7)의 내벽(7c)을 따라 형성된 대략 원호형상의 돌출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결면(9a)은, 상기 볼록부(7d) 및 터미널편(14)이 걸어맞춤하는 홈이다. 상기 안내편(9b)은 터미널편(14)에서 배선된 플랫 케이블(4)이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조작하였을 때, 측부 하우징(7) 내에 항상 소용돌이 형태로 신축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오목부(9c)는, 상술한 볼록부(7e,7f)와 마찬가지로, 플랫 케이블(4)이 터미널편(14)과의 접속부(C)에서 절단되었을 때, 이 플랫 케이블(4)이 다시,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하여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오목부 (9c)는 터미널편(14)쪽의 측벽(9e)을 상기 볼록부(7e)의 측면(7g)의 선단에 일치시켜 형성한 대략 U자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9e)은, 플랫 케이블(4)에 대한 각도 β가 예각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측벽(9e)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플랫 케이블(4d)이 안내편 (9b)과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해 왔을 때에, 플랫 케이블(4d)의 선단이 측벽(9e)에 충돌하고, 또한 이 측벽(9e)을 미끄러져서 오목부(9c) 속으로 안내이동하여 걸어멈춰진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4d)이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소폭편(9d)은, 안내편(9b)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편으로서, 플랫 케이블(4)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 소폭편(9d)은 상하방향의 폭이 안내편(9b)보다 짧고, 회전코넥터장치를 스티어링 핸들에 대하여 잘못 부착하여 핸들조작했을 때에, 이 소폭편(9d)이 접촉하는 플랫 케이블(4)의 부위에 응력을 집중시켜, 이 플랫 케이블(4)과 터미널편(14)의 접속부(C)를 절단시키는 것이다. 이 소폭편(9d)은 회전코넥터장치를 정상적으로 부착했을 때에 플랫 케이블(4)과의 접촉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해 선단이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소폭편(9d)의 형성위치는, 안내편(9b)의 끝단부라면, 위쪽부위라도 좋고 중앙위치라도 좋다. 이 소폭편(9d)은 플랫 케이블(4) 내의 도전선(4a)이 있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면, 상기 플랫 케이블(4)과 터미널편(14)의 접속부(C)를 더욱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4)을 구비한 회전코넥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회전코넥터장치는, 터미널(6)을 스티어링 핸들쪽의 예를 들면 에어백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다른쪽 터미널(5)을 차체쪽의 예를 들면 에어백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자동차 충돌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에어백 콘트롤러로부터의 전기신호는, 회전코넥터장치의 플랫 케이블(4)을 통해 스티어링 패드의 예컨대 에어백장치로 전달되고, 인플레이터를 점화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된다.
또한,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조작한 경우, 이 스티어링 핸들과 함께 회전자 하우징(2) 및 어태치먼트(3)가 동일하게 회전하여, 플랫 케이블(4)이 미끄럼 동작한다. 이 스티어링 핸들 및 플랫 케이블(4)은, 회전코넥터장치를 정확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자동차의 직진상태로부터 왼쪽 및 오른쪽으로 2회전한다. 이 때의 가이드(9)의 소폭편(9d)과 플랫케이블(4)의 접점부(D)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고, 또한 소폭편(9d)의 면이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4)이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 회전코넥터장치를 잘못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1회전조작하였을 때의 위치상태로 설치하고, 스티어링 핸들을 화살표 E의 오른쪽 방향으로 1회전이상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플랫 케이블(4)은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양 끝단을 잡아당긴 상태가 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4)의 가이드(9) 부근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B 방향으로 잡아 당겨져, 해당 플랫 케이블 (4)의 소폭편(9d)과의 접점부(D)에 응력이 집중한다. 이 가이드(9)는 플랫 케이블 (4)에 접촉하는 소폭편(9d)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4)의 접점부(D)에 생기는 집중응력이 커진다.
또한 자동차를 우회전시키는 등에 의해 화살표 E방향으로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조작하면, 이 조작력으로, 플랫 케이블(4)의 인장력에 가장 약한 부분인 플랫 케이블(4)과 가이드(9)의 접속부(C)가 절단된다. 플랫 케이블(4)이 절단됨으로써, 스티어링 핸들을 정상일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절단된 플랫 케이블(4)의 접속부(C)는, 스티어링 핸들을 화살표 E의 오른쪽으로 1회전 이상 조작하면, 화살표 B 방향으로 잡아당겨져서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에서 빠져나가, 측부 하우징(7) 내의 공간(G)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티어링 핸들을 도 4에 나타낸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플랫 케이블(4)의 접속부(C)도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볼록부(7f)는 플랫 케이블(4)의 접속부(C)가 상기 볼록부(7f)에 충돌하여, 가이드(9)와 내벽(7c)의 사이로 다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령, 상기 접속부(C)가 소폭편(9d)과 내벽(7c)의 사이로 통과하여, 가이드 (9)와 내벽(7c) 사이로 침입하였다고 해도, 이어서 상기 접속부(C)를 볼록부(7e)와 오목부(9c)에 의해 상기 접속부(C)가 그 이상 가이드(9) 속의 터미널편(14)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플랫 케이블(4)의 도전선(4a)과 터미널편(14)의 단자가 접촉하여 쇼트되는 것에 의해, 불필요한 때에 에어백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고정자 하우징과, 이 고정자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된 회전자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되어, 한 끝단에 터미널편이 접속되고, 다른 끝단에 지지체가 접속된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편은 고정자 하우징의 내벽과, 이 내벽의 근방에 배설한 가이드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플랫 케이블과의 접촉면이 곡면형상인 소폭편 끝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고정자 하우징의 내벽과, 상기 소폭편의 사이에서 고정자 하우징 내의 공간에 배선함으로써, 회전코넥터장치를 잘못 부착하여 스티어링 핸들을 회전조작했을 때에, 양 끝단을 잡아당긴 상태의 플랫 케이블의 소폭편과의 접점부에 응력을 집중시켜, 플랫 케이블과 터미널편의 접속을 절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코넥터장치를 잘못 부착하여 자동차를 운전했을 때에, 상기 소폭편에 의해 플랫 케이블의 접속부를 절단하여, 스티어링 핸들을 정상일 때와 같이 회전조작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이, 상기 소폭편의 근방위치의 내벽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절단된 플랫 케이블의 접속부가 상기 볼록부에 충돌하여, 가이드와 내벽의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절단된 플랫 케이블의 도전선과 터미널편의 단자가 접촉하여 쇼트되어, 불필요한 때에 에어백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이, 상기 터미널편이 설치된 위치와, 소폭편이 배치된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절단된 플랫 케이블의 접속부가 소폭편과 내벽 사이의 터미널편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절단된 플랫 케이블의 도전선과 터미널편의 단자가 접촉하여 쇼트되어, 불필요한 때에 에어백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볼록부에 대항하는 위치의 근방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절단된 플랫 케이블의 접속부가 볼록부와 오목부로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선단의 이동방향을 바꾸어 저지하고, 그 이상 가이드 속으로 침입하여 터미널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절단된 플랫 케이블의 도전선과 터미널편의 단자가 접촉하여 쇼트되어, 불필요한 때에 에어백이 폭발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2,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터미널편과 반대쪽의 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절단된 플랫 케이블을 회전코넥터의 중심쪽을 향하여 회전이동시킬 수 있어, 절단된 플랫 케이블이 가이드와 측부 하우징의 내벽 사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고정자 하우징(1)과, 이 고정자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된 회전자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공간(G)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되어, 한 끝단에 터미널편(14)이 접속되고, 다른 끝단에 지지체(11)가 접속된 플랫 케이블(4)을 구비한 회전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편(14)은, 고정자 하우징(1)의 내벽(7c)과, 이 내벽(7c)의 근방에 배설된 가이드(9)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가이드(9)는, 상기 플랫 케이블(4)과의 접촉면이 곡면형상인 소폭편 (9d)을 끝단부에 형성하며,
    상기 플랫 케이블(4)은, 상기 고정자 하우징(1)의 내벽(7c)과, 상기 소폭편 (9d)의 사이에서 고정자 하우징(1) 내의 공간(G)에 배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넥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1)은, 상기 소폭편(9d)의 근방 위치의 내벽(7c)에, 볼록부(7f,7i,7j)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넥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하우징(1)은, 상기 터미널편 (14)이 설치된 위치와, 소폭편(9d)이 배치된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7c)에, 볼록부(7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넥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9)는, 상기 볼록부(7e)에 대항하는 위치의 근방에 오목부(9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넥터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7e,7j)는, 터미널편(14)과 반대쪽의 측면(7g,7k)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코넥터장치.
KR1020000040477A 1999-07-15 2000-07-14 회전코넥터장치 KR100646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4499A JP3693859B2 (ja) 1999-07-15 1999-07-15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1144 1999-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334A true KR20010015334A (ko) 2001-02-26
KR100646542B1 KR100646542B1 (ko) 2006-11-17

Family

ID=1643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477A KR100646542B1 (ko) 1999-07-15 2000-07-14 회전코넥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43946B1 (ko)
EP (1) EP1069657B1 (ko)
JP (1) JP3693859B2 (ko)
KR (1) KR100646542B1 (ko)
DE (1) DE60015444T2 (ko)
TW (1) TW508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835A (ja) * 2002-04-26 2003-11-14 Toyoda Mach Works Ltd スパイラルケーブル装置
JP2004031188A (ja) * 2002-06-27 2004-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US6854977B2 (en) * 2002-09-13 2005-02-15 Trw Inc. Steering wheel rotary connector
US7104821B2 (en) * 2004-09-16 2006-09-12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JP4152414B2 (ja) 2006-02-09 2008-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DE102006013434A1 (de) 2006-03-14 2007-09-2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bindungs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elektrischem Strom, insbesondere für eine Lenkradheizung eines Fahrzeugs
JP4891701B2 (ja) * 2006-08-23 2012-03-07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4797002B2 (ja) * 2007-08-10 2011-10-19 ナイルス株式会社 コード部材の係止構造
JP5886148B2 (ja) 2012-06-21 2016-03-16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71437B2 (ja) * 2013-12-03 2016-03-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CN104518388B (zh) * 2015-01-06 2017-08-29 江苏飞锦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旋转部件和静态部件之间的连接转换装置
CN104875985B (zh) * 2015-04-13 2017-08-25 江苏飞锦达科技有限公司 一种等电位连接装置及浮顶罐
CN112753140B (zh) * 2018-10-17 2022-09-0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JP7303985B2 (ja) * 2019-12-02 2023-07-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396A (en) * 1987-05-27 1989-04-25 Alps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DE3728387A1 (de) 1987-08-26 1989-03-09 Voith Gmbh J M Expandierkoerper
JPH0454714Y2 (ko) * 1988-05-23 1992-12-22
JP2575481Y2 (ja) * 1991-08-21 1998-06-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における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部の固定構造
JP2863105B2 (ja) * 1995-01-12 1999-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3373966B2 (ja) * 1995-02-10 2003-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US5674082A (en) * 1995-02-21 1997-10-07 Niles Parts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3305154B2 (ja) * 1995-03-28 2002-07-22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ハウジング構造
US5645441A (en) * 1995-05-18 1997-07-08 Niles Parts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H0955274A (ja) * 1995-08-11 1997-02-25 Yazaki Corp 回転体と固定体との間の電気的接続装置
US5890921A (en) * 1996-01-25 1999-04-06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93859B2 (ja) 2005-09-14
US6343946B1 (en) 2002-02-05
KR100646542B1 (ko) 2006-11-17
DE60015444D1 (de) 2004-12-09
DE60015444T2 (de) 2005-10-13
JP2001028286A (ja) 2001-01-30
EP1069657A1 (en) 2001-01-17
TW508607B (en) 2002-11-01
EP1069657B1 (en)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542B1 (ko) 회전코넥터장치
KR100320583B1 (ko) 회전코넥터를갖춘콤비네이션스위치장치
US5772456A (en) Housing structure for rotary connectors
KR100295231B1 (ko) 회전 코넥터장치
JPH0725447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接続器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3416413B2 (ja) 回転コネクタ
EP1117161B1 (en) Rotary connector
KR20010007067A (ko) 차량탑재용 회전커넥터
JP2004314901A (ja) 回転センサ付き回転コネクタ
US6770991B2 (en) Roll connector structure for a vehicle
JP2572081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通電部構造
JP3709998B2 (ja) 回転コネクタ
JP3238843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ハウジング干渉防止構造
KR100293748B1 (ko) 회전커넥터장치에있어서의스테이터하우징구조
JP343738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コードカバー構造
JP3238844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滑り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JP359536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ハウジング構造
JPH0582224A (ja) スリツプリング
JP3345276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ハウジング構造
JPH08227782A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グリス溜構造
JPH07296927A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0195639A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H07249468A (ja) ケーブルリール
JPH1022028A (ja) 回転コネクタ装置に於ける滑り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KR19980036557U (ko)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