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939A -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939A
KR19990014939A KR1019970708285A KR19970708285A KR19990014939A KR 19990014939 A KR19990014939 A KR 19990014939A KR 1019970708285 A KR1019970708285 A KR 1019970708285A KR 19970708285 A KR19970708285 A KR 19970708285A KR 19990014939 A KR19990014939 A KR 19990014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eter
management system
safety managemen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7672B1 (ko
Inventor
미노루 다나베
구니히코 야마시타
도시히코 야스이
시로 혼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1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2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 G01F3/2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for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공급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와, 가스누출이상이나 가스유량이상등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가 이상을 검출하면 차단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제어부와, 차단밸브에 의하여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 것을 표시하는 차단정보를 출력하는 미터통신부를 가진다. 또 가스기기는 미터통신부와 통신가능한 기기통신부와, 기기통신부를 통하여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그 가스기기가 가스연소 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연소정지부를 가진다. 이렇게 구성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을 검출하면 가스의 공급이나 가스기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므로, 가스폭발이나 가스중독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종래의 가스관리 시스템을 도 36에 도시하였다. 이 가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를 내장한 검침미터(50)는 밸브(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52)는 인레트부(54)가 가스공급관(56)을 통하여 도시가스 공급원 또는 가스탱크에 접속되고, 아웃레트부(58)가 가스분배관(60)을 통하여 급탕장치등의 가스기기(62)에 접속되어 있어서,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가 밸브(52)를 통하여 가스기기(6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검침미터(50)는 가스누출등이 이상이나 가스 압력이나 가스유량의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52)를 폐쇄하여 가스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제어장치(도시생략)와, 차단상태에 있는 밸브를 개방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버튼(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가스기기(62)는 리모트 콘트롤러(64)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 리모트 콘트롤러(64)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가스기기(62)가 제어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 종래의 가스관리시스템을 도 37에 도시하였다. 이 가스관리시스템은 전화회선등의 통신매체(66)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8)와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70)를 구비하고, 이 단말망 제어장치(70)에 검침미터(50)와 가스기기(62)가 각각 통신매체(72, 74)를 통하여 접속되고 있어서, 검침미터(50)의 검침정보 즉, 가스소비량의 정보나 가스기기의 이상정보가 원격관리센터(68)에 통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가스관리시스템은 검침미터와 가스기기와의 사이에서는 한쪽의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쪽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가스유량 이상등의 이상상태에 기인하여 밸브를 차단하여도 가스기기는 여전히 연소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안전성이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확보되어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또 밸브가 차단되면 가스기기는 가스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이상상태(에러)가 되어 가스기기의 이상이 아니더라도 가스기기가 이상이 되어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을 다시 투입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검침미터 뿐만 아니라 각 가스기기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도시가스나 가스탱크등의 가스공급원에 접속된 검침미터와, 이 검침미터를 통하여 가스의 공급을 받는 1이상의 가스기기를 가진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특히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면 가스의 공급이나 가스기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켜 가스폭발이나 가스중독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제2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제3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제4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8는 도 7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9는 제5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11은 제6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13은 제7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15는 제8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6는 도 15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17은 제9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8는 도 17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19은 제10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1은 제11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2는 제12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3은 제13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4는 제14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5는 제15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6은 제16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7은 제17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8은 제18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9는 제19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0는 제20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1은 제21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2는 제22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3은 제23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4는 제24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5는 제25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6은 제26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7은 종래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8은 기타의 종래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가스시스템에 있어서 통상 소비된다고 생각되는 양이상의 유량이 소비되어 있는것(즉, 유량이상이나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그 정보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에 접속된 가스기기를 정지시키도록 한 안정성·조작성이 뛰어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그 가스기기가 가스연소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정지수단을 가진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검침미터등에 소정량이상의 가스가 흐르거나, 가스누출드의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에 의하여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가스기기에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이상시의 안전성이 증가한다. 또 사고처리후에 가스의 공급을 복구하여도 가스기기로부터 가스가 새는 일이 없다.
제2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미터통신수단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가능한 기기통신 수단을 가지며,
(c)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미터 통신수단 또는 기기통신수단과 통신가능한 콘트롤러 통신수단과, 콘트롤러 통신수단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콘트롤러의 표시수단에 의하여 검침미터나 가스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그 가스기기가 가스연소 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정지수단을 가지며,
(c) 안전 관리 시스템은 또 중계장치를 구비하고, 그 중계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방식의 가스 검침미터와 가스기기와도 통신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에 확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4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기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그 가스기기가 가스연소 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정지수단을 가지며,
(c) 가스 안전 관리 시스템은 또 통신매체를 통하여 접속되는 통신설비를 구비한 이른바 원격관리센터와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제어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과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방식을 채용한 검침미터와 가스기기가 단말망 제어장치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에도 통신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에 확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나 가스기기의 연소정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검침지령에 의거하여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5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기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그 가스기기가 가스연소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연소정지수단을 가지며,
(c) 안전관리 시스템은 또 중계장치를 구비하고, 그 중계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d)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원격관리 센터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원격관리 센터와 중계장치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방식을 채용한 검침미터와 가스기기가 중계장치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에도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에 확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나 가스기기의 연소정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검침지령에 의거하여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6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미터통신수단과 통신가능한 기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그 가스기기가 가스연소 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연소정지수단을 가지며,
(c) 안전관리 시스템은 또 원격관리 센터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원격관리센터와 검침미터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원격관리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나 가스기기의 연소정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검침지령에 의거하여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7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 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c)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또 중계장치를 구비하고, 그 중계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d)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검침미터, 가스기기 또는 중계장치와 통신가능한 콘트롤러 통신수단과, 콘트롤러 통신수단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방식을 채용한 검침미터와 가스기기를 사용한 경우에도 중계장치로 통신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에 확장성을 줄 수 있다. 또 콘트롤러도 각 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사용편리성이 좋아진다.
제8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 통신을 하는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c) 안전관리 시스템은 또 원격관리 센터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단말망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으며,
(d)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검침미터, 가스기기, 또는 단말망 제어장치와 통신가능한 콘트롤러 통신수단과, 콘트롤러 통신수단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방식을 채용한 검침미터와 가스기기가 단말망 제어장치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에도 통신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에 확장성을 줄 수 있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나 가스기기의 연소 정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검침지령에 의거하여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콘트롤러에 검침미터나 가스기기의 작동상태나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도 콘트롤러로 표시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사용편리성이 매우 좋아진다.
제9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 통신을 하는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c) 안전관리 시스템은 또 중계장치를 구비하고, 그 중계장치는 상기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d)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원격관리 센터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단말망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원격관리센터와 중계장치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c)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검침미터, 가스기기, 중계장치, 단말망 제어장치와 통신가능한 콘트롤러 통신수단과, 콘트롤러 통신수단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른 통신방식을 채용한 검침미터와 가스기기가 중계장치를 통하여 접속된 경우에도 통신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에 확장성을 줄 수 있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나 가스기기의 연소정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검침지령에 의거하여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콘트롤러에 검침미터나 가스기기의 작동상태나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도 콘트롤러로 표시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사용편리성이 매우 좋아진다.
제10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a)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는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b) 가스기기는 미터통신 시스템과 통신가능한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c) 안전관리 시스템은 또 원격관리 센터와의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단말망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원격관리 센터와 검침미터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d)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또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상기 검침미터, 가스기기, 또는 단말망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한 콘트롤러 통신수단과, 상기 콘트롤러 통신수단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나 가스기기의 연소정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검침지령에 의거하여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콘트롤러에 검침미터나 가스기기의 작동상태나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지령도 콘트롤러로 표시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사용편리성이 매우 좋아진다.
제11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시 시스템은 작동정지수단은 가스기기가 작동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작동상태로 하는 연소정지수단으로 되어 있고, 이상신호에 의거하여 검침미터나 가스기기의 밸브를 차단한다.
제12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단말망 제어장치는 검침미터로 밸브수단이 차단된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원격관리센터에 통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스누출등의 발생 및 그것에 의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차단한 것을 원격관리센터에서 인식할 수 있다.
제13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기기는 그 가스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제어수단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검침미터 뿐만 아니라, 이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기기에 가스누출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 차단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이 더욱 증대한다.
제14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기기는 그 가스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 제어수단이 작동함과 동시에, 이상검출의 정보가 단말망 제어장치로부터 통신매체를 통하여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기기에 가스누출등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그 이상정보가 원격관리센터에 통보되므로, 원격관리 센터에서는 가스기기에 있어서의 이상의 발생과, 검침미터에 있어서의 밸브수단의 차단을 인식할 수 있다.
제15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검침미터에 흐르는 가스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수단과, 가스기기에서 가스를 소비중이냐 아니냐를 검출하는 작동검출수단과, 유량검출수단의 유량정보와 작동검출수단의 검출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비교수단에 의하여 모든 가스기기에서 가스가 소비되고 있지 않는데도 가스가 흐르고 있다고 판정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정보를 작성하여 송출하는 차단정보 송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스누출을 쉽게 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스누출이 발생한 경우에 즉시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차단하여 가스누출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제16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관리 센터로부터 출력된 밸브차단신호에 의거하여 가스기기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예를 들면 검침미터로부터 원격관리 센터에 가스 누출등의 이상이 통보된 경우나 차단지시요구가 발생한 경우, 이 원격관리 센터로부터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차단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스기기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스누출등에 대한 안전성이나 가스기기의 이상정지의 회피가 더욱 증대된다.
제17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제16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가스기기를 비연소상태로 한 다음에 소정시간후에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차단하는 지연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스누출등의 이상이 검출되면 먼저 가스기기를 정지시키고 다음에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 차단되므로, 가스기기가 가스공급 정지등의 이상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18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기기의 밸브가 개방되어 있느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기기밸브상태 검출수단과, 폐쇄되어 있는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개방시키는 개방지령을 출력하는 지령수단을 가지며, 이 지령수단으로부터 개방지령이 출력되면 기기상태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가스기기의 밸브가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밸브제어수단에 의하여 밸브수단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를 복구할 때의 가스기기로부터의 가스누출등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제19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밸브수단이 차단된 것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검침미터에 있어서의 밸브수단이 차단되어 있느냐 아니냐를 콘트롤러등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왜 가스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제20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히고 있다. 따라서 원격관리 센터나 옥내의 콘트롤러등으로 검침값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사용편리성이 좋아진다.
제21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표시하는 검침값 표시수단과, 검침값 표시수단에 검침값을 표시할 것을 지시하는 검침값 표시 지시수단을 가지며, 검침값 표시 지지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검침값 표시수단에 검침값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검침값 표시수단을 콘트롤러등에 설치하면 이 콘트롤러로 검침값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사용편리성이 좋아진다.
제22의 형태의 가스관리 시스템에서는 특정의 시점에서 시스템에서 소비된 가스의 양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이 산출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이 산출량을 표시수단에 표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표시수단을 콘트롤러등에 설치하면 미리 설정된 기간의 검침량 즉 가스소비량을 콘트롤러등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매달의 가스소비량이나 요금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제23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차단하는 것을 예고하는 예고수단과, 이 예고수단으로부터의 예고에 의거하여 차단예고를 경보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이 차단되기 전에 콘트롤러 등으로 알릴 수 있으므로, 이 경보를 들은 사용자는 차단전에 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사용성능이 좋아진다.
제24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통신매체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원격관리 센터로부터 가스소비자에 대하여 가스요금이나 공사예고등의 정보를 우편등의 수단보다도 확실히 그리고 신속히 소비자에 통지할 수 있다.
제25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단상태에 있는 밸브수단을 복귀시키는 밸브복귀수단과, 밸브수단의 복귀를 지시하는 밸브복귀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복귀수단을 콘트롤러등에 설치하면 옥내에서 복귀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제26의 형태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단상태에 있는 밸브수단을 복귀시키는 밸브복귀수단과, 가스기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밸브수단의 복귀를 지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기를 사용할 때에 검침미터의 밸브가 닫혀있어도 즉시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편리성이 좋아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로 표시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마이크로 컴퓨터(도시생략)에 의하여 전체가 제어되고 있는 유량검침미터(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검침미터(100)는 가스의 차단밸브(102)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인레트부(104)는 가스공급배관(106)을 통하여 가스공급원(108)에 접속되고, 아웃레트부(110)는 1이상의 가스기기(예를 들면 가스급탕기, 가스레인지, 가스난방기)에 가스를 분배하기 위한 가스분배배관(112)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공급원(108)으로서는 도시가스의 배관이나 가스탱크등을 생각할 수 있다. 차단밸브(102), 공급배관(106) 또는 분배배관(112)을 통하여 본 시스템에 흐르는 가스의 현시점의 유량값 및 현시점까지의 누계 유량값(즉, 소비량)이 검침부(114)에서 검침되도록 되어 있고, 현시점의 유량값이 밸브제어부(116)에 출력되며, 다른쪽의 누계유량값이 표시부(118)에 출력되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밸브제어부(116)는 검침부(114)로부터 입력된 유량값과 미리 정해진 한계유량값을 비교하여 전자가 후자보다 큰 경우에는 차단밸브(102)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한계유량값은 예를 들면 검침미터(100)를 통하여 가스가 분배되는 가스기기의 최대소비량의 누계값 또는 이 값에 소정의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제어부(116)는 이상한 가스의 미소유량을 검출하여 차단밸브(102)를 차단하는 검치미터(100) 또는 미터통신부(120)를 구비하고 있으며, 밸브제어부(116)가 차단밸브(102)를 차단한 정보는 통신매체(122)를 통하여 검침미터(100)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의 가스기기에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통신매체(122)는 검침미터(100)의 정보를 가스기기에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면 공지의 모든수단이 이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전선 광파이버케이블, 무선통신기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통신매체에는 상술한 각종의 수단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가스기기(200)는 가스연소부(202)를 구비하고 있는데, 거기에는 가스분배 배관(112)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가스기기(200)는 또 기기통신부(204)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기기통신부(204)가 통신매체(122)를 통하여 검침미터(100)의 통신부(120)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차단밸브(102)의 차단정보가 기기통신부(204)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기기통신부(204)에는 연소정지부(206)가 접속되어 있고, 연소부(202)에서 가스연소중에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면 연소정지부(206)가 연소부(202)에 내장되어 있는 밸브(도시생략)을 작동시켜 그 연소부(202)로의 가스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에서는 가스공급원(108) 으로부터 가스공급배관(106)을 통하여 공급된 가스는 차단밸브(102), 가스분배관(112)을 통하여 가스기기(200)의 연소부(202)에 공급되고 여기서 연소된다. 차단밸브(102)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값 및 가스소비량은 검침부(114)로 검침되어 소비량이 표시부(118)에 표시된다. 또, 밸브제어부(116)는 검침부(114)로부터 출력된 유량값을 상시 감시하고 있어서, 가스누출등의 원인에 의하여 차단밸브(102)에 흐르는 가스의 양이 한계유량값을 넘으면 차단밸브(102)를 차단하여 가스기기(200)로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밸브제어부(116)는 미터통신부(120), 통신매체(122) 및 기기통신부(204)를 통하여 연소정지부(206)에 연소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연소정지신호를 수신하면 연소정지부(206)는 연소부(202)가 연소중이냐 아니냐를 판정하여 연소중이면 연소부(202)의 밸브를 차단하여 연소를 정지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검침미터(100)에 흐르는 가스의 유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차단밸브(102)를 차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검침미터나 가스기기에 가스누출 검지기를 설치하고, 이 가스누출 검지기가 가스누출을 검지하였을 때에 밸브제어부에 의하여 차단밸브를 차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에 의하면, 그 시스템(1)에 소정량 이상의 가스가 흐르거나 가스누출이 검지되었을 때에 검침미터의 차단밸브와 가스기기 연소부의 밸브를 차단하므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종래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가스기기가 강제적으로 비연소상태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가스기기가 이상상태로 정지하기 때문에 리세트 스위치를 누르지 않으면 사용가능한 상태로 복귀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검침미터에서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연소정지신호가 출력되어 연소상태에 있는 가스기기가 비연소상태로 전환되므로, 함부로 가스기기를 이상상태로 하지 않고 사고처리후에 가스기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이를 리세트할 필요가 없어 사용편리성이 좋아진다는 다른 잇점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검침미터로부터 가스기기로 차단정보를 통신하였으나 이 정보는 차단정보만에 한정되지 않고, 또 정보에 의하여 가스기기로부터 검침미터로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3은 실시예 2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가스기기(200)에 원격조작장치 즉, 콘트롤러(300)가 부설되어 있다.
콘트롤러(300)는 콘트롤러통신부(30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것이 가스기기(200)의 기기통신부(202)와 적당한 통신매체(304)를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콘트롤러(300)는 입력부(306), 표시부(308) 및 경보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스기기가 급탕기인 경우,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06)에는 공급하는 탕의 온도를 올리는 승온스위치(312)나 탕의 온도를 내리는 강온스위치9314), 자동적으로 목욕탕물을 데우는 자동 물데우기 기능을 온/오프하는 스위치(316), 가스기기(200)의 운전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318)등이 포함되고, 표시부(308)에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20)가 포함되며, 경보부(310)에는 음성경보기 즉, 부저(322)가 포함된다. 또 액정디스플레이(320)에는 검침부(114)에서 검침된 가스소비량(검침값) 정보(324), 급탕온도정보(326),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개방되어 있으냐 폐쇄되어 있는냐를 표시하는 정보(328)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경보부(322)에는 점멸램프를 설치하여도 좋고, 부저(322)와 함께 또는 그 대신에 액정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소정의 단시간마다 브린크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예 2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에서는 가스의 유량이상이나 가스누출등이 검출됨과 동시에, 그것에 의하여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면 그 차단정보가 미터통신부(120)로부터 기기통신부(204)를 통하여 콘트롤러통신부(302)에 입력되어, 액정디스플레이(320)에서 차단밸브 차단정보(328)가 표시된다. 그리고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면 시스템(2)에 포함되는 가스기기(200)에의 가스공급이 차단되므로, 이들의 가스기기(200)를 통하여 가스가 새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300)에는 밸브복귀 스위치(330)를 설치하고, 이를 조작하면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개방상태로 복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밸브복귀 스위치(330)는 가스기기(200)의 리세트 스위치를 겸용하여도 좋고, 밸브복귀스위치(330)를 조작하면 가스기기(200)의 연소부가 동작가능상태로 복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의 가스기기(200)에도 실시예 1의 연소정지부를 설치하고, 검침미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연소정지신호에 의거하여 가스기기(200)를 자동적으로 오프상태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콘트롤러(300)는 가스기기(200)와 다른 장소에 설치하여도 좋고, 가스기기(200)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콘트롤러(300)는 기기통신부(204)를 통하여 미터통신부(120)와 통신가능하게 하였으나, 콘트롤러통신부(302)를 미터통신부(120)와 직접 통신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 콘트롤러통신부(302)를 미터통신부(120)와 통신하게 함과 동시에, 콘트롤러통신부(302)와 기기통신부(204)를 통신하게 하여, 미터통신부(120)과 기기통신부(204)와의 통신을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에 의하여 콘트롤러에는 미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므로, 이를 본 사용자가 시스템의 이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상태가 해소된 후에 가스기기를 리세트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5는 실시예 3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6은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3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서는 미터(100)와 가스기기(200)가 각각 적당한 통신매체(402, 404)를 통하여 중계장치(400)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장치(400)는 미터(100)의 통신방식과 가스기기(200)의 통신방식이 다른 경우에 그들의 정합을 꾀하고, 양자간의 정보의 주고받음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통신부(406)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3)에서는 미터통신부(120)로부터 출력된 연소정지신호는 통신매체(402)를 통하여 단말통신부(406)에 입력되어, 여기서 가스기기(200)에 적합한 통신방식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연소정지 신호는 기기통신부(206)에 출력되고, 가스기기(200)에서는 연소부(202)가 연소상태에 있으면 연소정지부(206)가 작동하여 그 연소부(202)를 비연소상태로 전환된다. 또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3)에 의하면 다른 통신방식을 가진 장치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시스템에 확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방식의 변환은 물리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또, 통신방식의 동일한 부분은 검침미터와 가스기기가 직접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7은 실시예 4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8은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4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중계장치(400)를 포함한 실시예 3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3)에 콘트롤러(300)를 부설한 것으로, 각 장치의 통신부는 각각 적당한 통신매체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4)은 실질적으로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 3)을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작동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4)에서는 콘트롤러에는 미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므로, 이것을 본 사용자가 시스템의 이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 상태가 해소된 후에 가스기기를 리세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롤러(300)는 가스기기(20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나, 검침미터(100), 중계장치(400)와 직접 통신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또, 콘트롤러통신부(302)를 단말통신부(406)와 통신하게 함과 동시에 콘트롤러통신부(302)와 기기통신부(204)를 통신시켜,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와의 통신을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9는 실시예 5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0은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5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단말망 제어장치(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회선통신부(502)를 포함하고, 이 회선통신부(502)가 전화회선등의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와 통신의 주고받음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또 단말통신부(50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말통신부(506)는 적당한 통신매체(508, 510)를 통하여 각각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검침미터(100)와 가스기기(200)의 통신방식이 다른 경우라도 양자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선통신부(502)와 단말통신부(506)는 검침통보부(51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검침미터(100)의 검침부(114)에서 검침된 가스소비량의 정보가 검침통보부(512)를 통하여 단말통신부(506)로부터 회전통신부(502)로 보내지도록, 또,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출력된 검침지령이 회선통신부(502)로부터 검침통보부(512)를 통하여 단말통신부(506)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단말통신부(506)에는 차단전문(電文) 처리부(514)가 접속되어 있고, 미터(100)로부터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신호가 단말통신부(506)에 입력되면, 이 신호로부터 차단전문 즉, 연소정지신호를 작성하여 이 차단전문을 단말통신부(506)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5)에서는 원격관리 센터(600)로부터 출력된 검침지령은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단말망 제어장치(500)의 회전통신부(502)에 입력된다. 회선통신부(502)에서 수신한 검침지령은 검침통보부(512)를 통하여 단말통신부(506)에 보내진다. 단말통신부(506)는 상기 검침지령을 검침미터(100)에서 판독가능한 검침신호를 변환한다. 변환된 신호는 미터통신부(120)를 통하여 검침부(114)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검침부(114)는 검침값 정보 즉 시스템(5)의 가스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미터통신부(120)를 통하여 단말통신부(506)로 보낸다. 이 검침값 정보는 다시 검침통보부(512), 회전통신부(502),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로 송신된다.
가스누출이나 가스의 유량이상등이 검침미터(100)에서 검출되어 밸브제어부(116)에 의하여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면 그 차단정보는 미터통신부(120),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차단전문처리부(514)로 보내진다. 차단전문처리부(514)에서는 그 정보를 기초로하여 가스기기 차단전문을 작성한다. 이 가스기기 차단전문은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가스기기(200)의 기기통신부(204)에 입력되어, 연소정지부(206)를 작동시켜 연소부(202)를 이것이 연소상태에 있으면 비연소상태로 전환한다.
또, 미터통신부(120)로부터의 전문은 차단전문처리부(5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기기통신부(204)로 보내어(드루통신) 실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검침미터와 가스기기에 있어서 통신방식이 동일한 부분은 단말망 제어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5)에 의하면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스기기가 자동적으로 비연소상태로 전환될 뿐만 아니라 원격관리 센터에서는 기기에서 검침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이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각 시스템의 가스소비량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도 11은 실시예 6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6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단말망 제어장치(500)를 포함한 실시예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5)에 실시예 2의 콘트롤러(300)를 부설한 것으로, 각 장치의 통신부는 각각 적당한 통신매체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롤러(300)는 가스기기(20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으나, 미터(100), 중계장치(400), 단말망 제어장치(50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따라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6)에서는 콘트롤러에는 미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므로 이것을 본 사용자가 시스템의 이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상태가 해소된 후에 가스기기를 리세트할 수도 있다.
또, 콘트롤러통신부(302)를 단말통신부(506)와 통신시킴과 동시에 콘트롤러통신부(302)와 기기통신부(204)를 통신하게 하고,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와의 통신을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7)
도 13은 실시예 7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4는 그 시스템의 블록인데, 전체를 부호 7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중계장치(480)와 단말망 제어장치(580)를 구비하고 있다. 중계장치(480)는 다른 통신방식을 가진 미터(100)와 가스기기(2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통신부(48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단말통신부(482)는 적당한 통신매체(484, 486)를 통하여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중계장치(480)는 중계장치통신부(488)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중계장치통신부(488)와 단말통신부(48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따. 다른 한편, 단말망 제어장치(580)는 단말망 제어장치 통신부(582)를 구비하고 있는데, 적당한 통신매체(584)를 통하여 중계장치통신부(488)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말망 제어장치(580)는 또 회전통신부(586)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회선통신부(586)는 단말망 제어장치 통신부(582)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화회선등의 통신매체(588)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7)에서는 원격관리 센터(600)로부터 출력된 검침지령은 통신매체(588), 회선통신부(586), 단말망 제어장치 통신부(582), 중계장치 통신부(488), 단말통신부(482), 미터통신부(120)를 통하여 검침부(114)에 보내진다. 검침부(114)는 상기 검침지령에 응답하여 검침정보를 작성하고, 이를 미터통신부(120), 단말통신부(482), 중계장치통신부(488), 단말망 제어장치 통신부(582), 회선통신부(586), 통신회선(588)을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로 보낸다. 가스누출이나 가스의 유량이상등이 미터(100)에서 검출되어 밸브제어부(116)에 의하여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면, 그 차단정보는 미터통신부(120), 단말통신부(452), 기기통신부(204)를 통하여 연소정지부(206)로 보내져서, 이 연소정지부(206)가 연소부(202)를 이것이 연소상태에 있으면 비연소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7)에 의하면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가스기기가 자동적으로 비연소상태로 전환될 뿐만 아니라, 원격관리센터에서는 거기에서 검침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이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가스소비량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도 15는 실시예 8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6은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8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제7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7)에 콘트롤러(300)를 부설한 것으로, 각 장치의 통신부는 각각 적당한 통신매체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롤러(300)는 가스기기(20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나 미터(100), 중계장치(480), 단말망 제어장치(58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따라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8)에서는 콘트롤러에는 미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므로 이것을 본 사용자가 시스템의 이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상태가 해소된 후에 가스기기를 리세트할 수도 있다.
또, 콘트롤러통신부(302)를 단말통신부(482)와 통신하게 함과 동시에 기기통신부(204)를 콘트롤러통신부(302)와 통신하게 하여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와의 통신을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9)
도 17은 실시예 9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18은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9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90)는 회선통신부(592)와 이에 접속된 점침값통신부(594)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선통신부(592)는 전화회선등의 통신매체(596)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에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쪽의 검침값통신부(594)는 적당한 통신매체(598)를 통하여 미터통신부(120)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미터(100)와 가스기기(200)는 동일한 통신방식을 가진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를 통하여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9)에서는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출력된 검침지령은 통신매체(596), 회선통신부(592), 미터통신부(120)를 통하여 검침부(114)로 보내진다. 검침부(114)는 상기 검침지령에 응답하여 검침정보를 작성하여 이를 미터통신부(120), 검침값통보부(594), 회선통신부(592), 통신회선(596)을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로 보낸다.
가스누출이나 가스의 유량이상등이 미터(100)에서 검출되어 밸브제어부(116)에 의하여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면 그 차단정보는 미터통신부(120), 기기통신부(204)를 통하여 연소정지부(206)로 보내져서, 이 연소정지부(206)가 연소부(202)를 이것이 연소상태에 있으면 비연소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9)에서도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시스템에 포함되는 가스기기가 자동적으로 비연소상태로 전환될 뿐만 아니라, 원격관리 센터에서는 거기에서 검침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이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각 시스템의 가스소비량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9는 실시예 10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사시도, 도 20은 그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0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제9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9)에 콘트롤러(300)를 부설한 것으로, 각 장치의 통신부는 각각 적당한 통신매체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만, 가스기기(200)에는 연소정지부가 없고,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터(100)에서 가스누출등의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콘트롤러(300)로부터의 조작에 의하여 연소부(202)가 비연소상태로 전환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트롤러(300)는 가스기기(20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나 검침미터(100), 단말망 제어장치(59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따라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0)에서는 콘트롤러에는 미터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므로, 이것을 본 사용자가 시스템의 이상을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상태가 해소된 후에 가스기기를 리세트할 수도 있다.
또 콘트롤러통신부(302)를 미터통신부(120)와 통신하게 함과 동시에 콘트롤러통신부(302)를 기기통신부(204)와 통신하게 하고, 미터통신부(120)와 기기통신부(204)와의 통신을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1)
도 21은 실시예 11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1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제5실시예의 시스템을 변형시킨 것으로, 검침미터(100)에는 지진등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진기(130)가 부설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1)에서는 감진기(130)에서 진동이 감지되면, 그 감진정보가 밸브제어부(116)로 보내진다. 밸브제어부(116)에서는 상기 감진정보에 의하여 진도를 구하여 그 값이 소정값 이상이면 차단밸브(102)를 차단함과 동시에 미터(100)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기기(200)의 차단정보를 작성하여 이를 미터통신부(120)를 통하여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출력한다.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상기 차단정보에 의거하여 가스기기(200)의 통신방식에 적합한 차단전문을 작성하여 이를 가스기기(200)에 출력한다. 가스기기(200)는 상기 차단전문에 의거하여 연소정지부(206)를 작동시키고 연소부(202)가 연소중이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원격관리센터(600)와 미터(100)와 검침정보의 주고받음은 제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미터통신부(120)로부터의 전문은 차단전문처리부(514)를 통하지 않고 기기통신부(204)와 통신하는 드루통신에 대응하여도 좋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1)에 의하면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에 자동적으로 연소중의 가스기기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지진에 따르는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기타의 실시예나 이하에 설명하는 기타의 실시예에도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감진기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감진기는 각 가스기기, 중계장치, 단말망 제어장치의 어느 것에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12)
도 22는 실시예 12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2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단말통신부(506)로부터 회선통신부(502)까지의 사이에는 차단전문처리부(522), 차단전문통보부(5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2)에서는 검침미터(100)에서 가스누출 이상이나 연소이상등이 검출되면 밸브제어부(116)에서 차단밸브(102)가 작동하여 가스기기(200)에의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차단밸브(102)를 차단한 신호는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가스기기(200)로 보내져서 연소부(202)가 연소중이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한다. 또, 차단밸브(102)가 차단된 정보는 다시 차단전문처리부(522)에서 통신매체(504)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된 후, 차단정보통보부(524), 회선통신부(502),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에 통보된다. 따라서, 원격관리센터(600)에서는 시스템(12)로부터의 통보를 받아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므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스기기(200)의 상태도 똑같이 하여 원격관리센터(600)에 통보하도록 하여도 좋고, 다른 실시예에서 예시한 콘트롤러(300)에 통보허가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원격관리센터(600)에 통보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13)
도 23은 실시예 13의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3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기기(200)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이상전문처리부(526)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것이 단말통신부(506)와 통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B)에 의하면 가스기기(200)에서 가스누출 이상이나 연소이상등이 발생하면 그 정보는 단말망 제어장치(500)로 보내진다.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이상전문처리부(526)에서 이상전문을 작성하여 이를 검침미터(100)에 출력한다. 검침미터(100)에서는 이상전문에 의거하여 밸브제어부(116)가 작동하여 차단밸브(104)를 작동시켜 가스기기(200)에의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상술한 기타의 실시예나 이하에 설명하는 기타의 실시예에서도 가스기기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그것에 의하여 검침미터의 차단밸브를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기기통신부(204)로부터의 전문은 이상전문처리부(526)를 통하지 않고 단말통신부(506)를 통하는 드루통신에 의하여 미터통신부(120)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4)
도 24는 실시예 14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4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기기(200)는 가스누출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또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단말통신부(506)로부터 회선통신부(502)까지의 사이에는 이상전문처리부(528), 이상정보통보부(5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4)에 의하면 가스기기(200)에서 가스누출 이상이나 연소이상등이 발생하면 그 정보는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보내진다.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이상전문처리부(528)에서 이상전문을 작성하여 이를 검침미터(100)에 출력한다. 검침미터(100)에서는 이상전문에 의거하여 밸브제어부(116)가 작동하여 차단밸브(102)를 작동시켜 각 가스기기(200)에의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한편, 상기 이상전문은 이상정보통신부(530), 회선통신부(502),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에 통보된다. 따라서 원격관리센터(600)에서는 시스템(14)으로부터의 통보를 받아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므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기기통신부(204)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는 이상전문처리부(528)를 통하지 않고, 통신매체(504)에 송출하여도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예시한 콘트롤러(300)에 통보허가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원격관리센터(600)에 통보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15)
도 25는 실시예 15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5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검침미터(100)는 차단밸브(102)를 통과하는 현시점의 가스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검출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기기(200)는 연소부(202)가 연소중이냐 비연소중이냐를 검출하는 작동상태 검출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유량검출부(124)로부터의 신호와 작동상태 검출부(212)로부터의 신호를 비교하여 시스템(15)에 포함되는 모든 가스기기(200)가 비연소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가 흐르고 있느냐 않느냐를 판정하는 상태비교부(532)와, 이 상태비교부(532)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차단밸브(102)의 차단작동 신호를 작성하여 송출하는 차단정보 송출부(5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5)에서는 유량검출부(124)가 차단밸브(102)를 통하여 가스가 흐르고 있느냐 않느냐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는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출력된다. 다른 한편, 가스기기(200)에서는 작동상태검출부(212)가 연소부(202)에서 가스가 연소중이냐 아니냐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를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출력한다. 이들 출력은 상태비교부(532)에서 비교되어 어느 가스기기(200)에서도 연소되지 있지 않는데도 차단밸브(102)에 가스가 흐르고 있느냐 않느냐, 즉 시스템(15)의 어딘가에 가스누출이 되고 있느냐 않느냐를 판정한다. 그리고 가스누출이 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차단정보송출부(534)는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검침미터(100)에 밸브차단 정보를 보낸다. 검침미터(100)에서는 그 밸브차단 정보에 의거하여 밸브제어부(116)을 작동하여 차단밸브(102)를 작동시켜서 각 가스기기(200)로의 가스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상태비교부와 차단정보 송출부는 단말망 제어장치 이외의 장치, 예를 들면 검침미터, 가스기기, 중계장치의 어느 것에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16)
도 26은 실시예 16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6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회전통신부(502)와 단말통신부(506)와의 사이에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출력된 차단밸브(102)의 차단지령을 처리하는 차단정지 지시부(5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안전관리 시스템(16)에서는 차단밸브(102)를 차단시키는 밸브차단지시가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송출되면 이 신호는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입력되어 차단정지시부(534)에서 처리된다. 처리된 신호는 검침미터(100)와 가스기기(200)로 보내진다. 검침미터(10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밸브제어부(116)를 작동시켜 차단밸브(104)를 차단시킨다. 또 가스기기(20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연소정지부(206)를 작동시켜 연소부(202)가 연소중이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는 단말망 제어장치(500)로부터 출력된 정지신호에 의거하여 연소정지부(206)에서 연소를 정지시키게 하였으나 콘트롤러(300)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상기 정지신호를 콘트롤러(300)에 입력하고, 그 콘트롤러(3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가스기기(200)를 비연소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원격관리 센터로부터의 밸브차단지시는 차단정지지시부(534)를 통하지 않고 직접 검침미터 가스기기로 보낼 수도 있다.
(실시예 17)
도 27은 실시예 17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7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회선통신부(502)로부터 단말통신부(506)까지의 사이에 차단정지지시부(536), 송출지연부(5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7)에서는 차단밸브(102)를 차단함과 동시에 가스기기(200)를 비연소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지령신호가 원격관리센터(00)로부터 송출되면 이 지령신호는 차단정지지시부(536)에서 처리된 후, 송출지연부(538)로부터 먼지 가스기기(200)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는 가스기기 정지신호가 출력되어, 이에 의하여 가스기기(200)의 연소정지부(206)를 작동시켜 연소부(202)를 비연소상태로 전환시킨다. 다음에 소정시간 후, 송출지연부(538)는 차단밸브(102)를 차단하는 차단신호를 출력하여 이에 의하여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 시스템(17)에 의하여 가스기기(200)가 가스공급정지등의 이상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는 단말망 제어장치(500)로부터 출력된 가스기기 정지신호에 의거하여 연소정지부(206)에서 연소를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나, 콘트롤러(300)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상기 정지신호를 콘트롤러(300)에 입력하여 그 콘트롤러(3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가스기기(200)를 비연소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18)
도 28은 실시예 18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8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회선통신부(502)로부터 단말통신부(506)까지의 사이에 검침미터(100)의 밸브제어부(116)를 작동시켜 차단밸브(102)를 개방상태로 복귀시키는 지시를 처리하는 밸브복귀 지시부(540)와, 그 밸브복귀지시의 전문을 작성하는 복귀전문처리부(54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가스기기(200)는 연소부(202)의 밸브가 개방상태에 있느냐 폐쇄상태에 있느냐를 검출하는 기기밸브상태 검출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8)에서는, 예를 들면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를 개방(복귀)시키는 지령이 송신되면, 단말망 제어장치(500)에서는 밸브복귀지시부(540)가 그 복귀지령을 처리한다. 다음에 복귀전문처리부(542)는 기기밸브상태 검출부(212)로부터의 출력된 정보, 즉 연소부(202)의 밸브가 개방되어 있느냐 폐쇄되어 있느냐를 표시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연소부(202)의 밸브가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 복귀지령을 무시하고, 연소부(202)의 밸브가 폐쇄되어 있으면 검침미터(100)에 복귀전문을 출력한다. 그리고, 검침미터(100)는 복귀전문을 수신하면 밸브제어부(116)가 차단밸브(102)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설명에서는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를 복귀시키는(즉, 개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콘트롤러(300)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이 콘트롤러(300)로부터 차단밸브를 복귀시키는 지령을 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 차단밸브를 복귀시키느냐 않느냐의 판단수단은 단말망 제어장치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중계장치나 콘트롤러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이들 중계장치 또는 콘트롤러에 판단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시스템의 점검후나 가스기기의 수리나 점검후에 검침미터의 차단밸브를 개방하는 지령이 있으면 먼저 가스기기의 가스밸브가 차단되어 있느냐 않느냐를 판정하여 차단되어 있다고 확인된 후에 검침미터의 차단밸브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검침미터의 가스차단밸브를 무심코 개방함으로써 가스기기로부터 가스누출이 생기는 일이 없다.
(실시예 19)
도 29는 실시예 19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19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기기(200)에는 차단상태통신부(2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콘트롤러(300)의 표시부(340)에는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3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19)에서는 검침미터(100)에서 가스누출이나 유량이상등의 이상이 검출되면 그 정보는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입력되어 차단전문처리부(522)에서 차단신호가 작성된다. 이 차단신호는 단말통신부(506)로부터 가스기기(200)의 기기통신부(204), 차단전문통신부(214)를 통하여 콘트롤러(300)에 보내져서 차단밸브 차단표시부(340)에 표시되고, 이에 의하여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신호에 의거하여 가스기기(200)에서는 연소정지부(212)를 작동시켜 연소부(202)가 연소중이면 이를 비연소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차단신호는 통신매체(504)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콘트롤러(300)에서 차단밸브(102)의 차단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20)
도 30은 실시예 20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0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검침전문처리부(544), 가스기기(200)에는 검침값통신부(216), 콘트롤러(300)에는 검침값 표시부(3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0)에서는 검침미터(100)의 검침부(114)에서 구한 검침값은 단말망 제어장치(500)를 통하여 원격관리센터(600)에 송신된다. 또 검침전문처리부(544)는 상기 검침값에 의거하여 검침전문을 작성하여 이를 가스기기(200)의 기기통신부(204), 검침값통보부(216)를 통하여 콘트롤러(300)에 전송하고, 검침값 표시부(342)에 검침값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트롤러(300)에 표시된 검침값으로부터 가스소비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검침값의 표시부는 콘트롤러(300)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기기(200), 중계장치(400), 단말망 제어장치(500)의 어느 것에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21)
도 31은 실시예 21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1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검침점문처리부(544), 검침값 표시지시부(546)가 설치되어 있고, 가스기기(200)에는 검침값통신부(2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콘트롤러(300)에는 검침값표시부(342)와 검침값 표시지시부(3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1)에서는 콘트롤러(300)의 검침값 표시지시부(344)로부터 검침값을 표시하는 표시하는 요구가 있으면, 그 요구는 콘트롤러통신부(302), 검침값통신부(216), 기기통신부(204),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송신된다. 단말망 제어장치(500)에서는 검침값표시 지시부(54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검침전문처리부(544)에서 검침부(114)의 검침값을 표시하는 검침전문을 작성한다. 이 검침전문은 단말통신부(506), 기기통신부(204), 검침값통신부(216),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검침값사 표시부(342)에 전송되어, 이 검침값 표시부(342)에 검침값이 표시된다. 그리고 검침값 표시요구는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출력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콘트롤러(300)의 검침값 표시부(342)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검침값의 표시부와 표시지시부는 콘트롤러(300)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기기(200), 중계장치(400), 단말망 제어장치(500)의 어느 것에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22)
도 32는 실시예 22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2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망 제어장치(500), 가스기기(200), 콘트롤러(300)에는 각각 검침량 산출부(548), 검침량통신부(218), 검침량 표시부(3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2)에서는 검침부(114)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검침량, 즉 가스소비량을 검침량 산출부(548)가 산출한다. 다음에 검침전문처리부(544)는 산출된 검침량에 대응한 검침전문을 작성하여 단말통신부(560), 기기통신부(204), 검침량통신부(218),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검침량 표시부(346)에 송신하고, 이 검침량 표시부(346)에 검침량을 표시한다. 그리고, 검침량의 산출 및 표시지령은 검침량 산출부(548)에 설치한, 예를 들면 1개월 타이머의 종료에 의하여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고, 콘트롤러(300) 또는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소정기간마다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23)
도 33은 실시예 23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3으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검침미터(100), 가스기기(200), 콘트롤러(300),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각각 차단예고부(132), 차단예고통신부(220), 차단예고 경고부(348), 예고전문처리부(5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3)에서는 예를 들면 검침부(114)가 유량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제어장치(116)는 차단예고부(132)에 신호를 송출한다. 차단예고부(132)는 밸브제어장치(116)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예고 정보를 작성하여 이를 미터통신부(120)를 통하여 단말망 제어장치(500)에 출력한다. 다음에 단말망 제어장치(500)는 예고전문처리부(550)에서 차단예고 전문을 작성하여 이를 단말통신부(506), 기기통신부(204), 차단예고통신부(220),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차단예고 경고부(348)에 전송한다. 그리고, 차단예고 경고부(348)는 소정시간후에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되는 것을 경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단밸브(102)가 소정시간후에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차단될 때 까지의 시간에 검침미터(100)나 가스기기(200)에 이상이 있느냐 없느냐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미터통신부(120)로부터의 차단예고 정보는 예고전문처리부(550)를 통하지 않고 드루통신에 의하여 기기통신부(204)에 송신할 수도 있다.
(실시예 24)
도 34는 실시예 24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4로 표시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기기(200), 콘트롤러(300),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각각 메시지통신부(222), 메시지 표시부(350), 메시지처리부(5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4)에서는 원격관리센터(600)로부터 가스사용량의 부과금 정보나 가스공사의 예고정보등의 메시지가 출력되면 이 메시지 정보는 단말망 제어장치(500)의 메시지처리부(552)에서 처리된다. 다음에 메시지 정보는 단말통신부(506), 기기통신부(204), 메시지통신부(222),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메시지 표시부(350)에 전송되어, 이 메시지 표시부(350)에서 메시지 내용이 표시된다. 따라서 원격관리센터(600)는 우편등의 정보전달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신속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가스사용량의 부과금 내용이나 공사예고등을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메시지표시부(350)의 메시지로부터 부과금 내용이나 공사예고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5)
도 35는 실시예 25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5로 표시한 가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검침미터(100), 가스기기(200), 콘트롤러(300),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각각 복귀정보통신부(134), 복귀정보통신부(224), 밸브복귀 지시부(352), 복귀전문처리부(5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5)에서는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콘트롤러(300)의 밸브복귀지지부(352)를 조작하여 차단밸브(102)를 복귀시키는, 즉 개방하라는 지시가 있으면, 그 복귀지시는 콘트롤러통신부(302), 복귀정보통신부(224), 기기통신부(204),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복귀전문처리부(552)에 입력된다. 다음에 복귀전문처리부(552)는 차단밸브(102)에 복귀전문을 작성하여 이를 단말통신부(506), 미터통신부(120), 복귀정보통신부(134)를 통하여 밸브제에부(116)에 입력한다. 그리고, 밸브제어부(116)는 상기 복귀전문에 의거하여 차단밸브(102)를 복귀시켜 가스기기(200)에 대한 가스의 공급을 개재한다. 그리고, 콘트롤러(300)에서는 1개의 스위치에 의하여 차단밸브(102)의 차단과 복귀를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기기통신부(204)로부터의 밸브복귀 지시정보는 복귀전문처리부(552)를 통하지 않고, 단말통신부(506)만을 통하여 미터통신부(120)에 드루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밸브복귀 지시부(352)는 조작부가 없는 밸브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전문의 송출을 하는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26)
도 36은 실시예 26의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인데, 전체를 부호 25로 표시한 가스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검침미터(100), 가스기기(200), 콘트롤러(300), 단말망 제어장치(500)에는 각각 복귀정보통신부(134), 복귀정보통신부(224), 밸브복귀 지시부(352), 기기작동 지시부(353), 타이머수단(354), 복귀전문처리부(5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26)에서는 검침미터(100)의 차단밸브(102)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콘트롤러(300)의 기기작동지시부(353)를 조작하여 가스기기(200)를 작동시키려고 한 경우, 작동지시 콘트롤러통신부(302)를 통하여 가스기기(200)가 작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밸브복귀의 필요가 있으면 밸브복귀지시부(352)에 지시되어 밸브복귀지시부(352)로부터의 복귀시키는 콘트롤러통신부(302), 복귀정보통신부(224), 기기통신부(204), 단말통신부(506)를 통하여 복귀전문처리부(552)에 입력한다. 다음에 복귀전문통신부(552)는 차단밸브(102)에 복귀전문을 작성하고, 이를 단말통신부(506), 미터통신부(120), 복귀정보통신부(134)를 통하여 밸브제어부(116)에 입력한다. 그리고 밸브제어부(116)는 상기 복귀전문에 의거하여 차단밸브(102)를 복귀시켜 가스기기(200)에 대한 가스의 공급을 개재한다. 따라서, 가스기기(2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단밸브가 차단되어 있어도 차단밸브를 복귀시키기 때문에 가스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타이머수단(354)에 의하여 타이머가 작동하는 경우와 똑같다.
또 마찬가지로 가스기기 정지의 조작에 의하여 차단밸브(102)를 연동시켜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시스템 모두에 포함되는 가스기기가 정지중에만 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밸브복귀 지시부(352), 기기작동지시부(353), 타이머수단(54)은 가스기기(200)에 있어도 좋다.

Claims (15)

  1.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가스기기는 기기통신수단을 가지며, 그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미터통신수단으로부터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가스기기가 작동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동작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정지수단을 가지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2.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검침미터는 가스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수단과,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하면 밸브수단을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과, 미터통신수단을 가지며,
    가스기기는 기기통신수단과, 그 기기통신수단을 통하여 미터통신수단으로부터 차단정보를 받았을 때, 가스기기가 작동상태에 있으면 이를 비동작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정지수단을 가지며,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그 콘트롤러는 미터통신수단 또는 기기통신수단과 통신가능한 콘트롤러 통신수단과, 콘트롤러통신 수단에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진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공급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써,
    검침미터는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은 통신매체를 통하여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검침미터는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을 구비하고,
    안전관리 시스템은 통신매체를 통하여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통신매체와 검침미터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을 구비하고,
    안전관리 시스템은 통신매체를 통하여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미터통신수단과 기기통신수단을 통신가능하게 접속하고 있고,
    콘트롤러 통신수단은 미터통신수단 또는 기기통신수단 또는 단말망 제어장치와 통신가능하게 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스공급원으로부터 송출된 가스를 검침미터를 통하여 1이상의 가스기기에 공급하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서,
    검침미터는 밸브수단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검침하는 검침수단을 구비하고, 안전관리 시스템은 통신매체를 통하여 통신가능한 단말망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그 단말망 제어장치는 통신매체와 검침미터를 통신가능하게 접속하며,
    콘트롤러 통신수단은 미터통신수단 또는 기기통신수단 혹은 단말망제어수단과 통신가능하게 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기기는 그 가스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제어수단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8. 청구항 3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기기는 그 가스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며, 이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검침미터의 밸브제어수단이 작동함과 동시에, 이상검출의 정보가 단말망 제어장치로부터 통신매체를 통하여 통보하도록 되어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9. 청구항 2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침미터에의 밸브차단 신호에 의거하여 가스기기를 비연소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가스기기를 비연소상태로 한 다음에 소정시간후에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차단하는 지연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2, 3,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기기의 밸브가 개방되어 있느냐 않느냐를 판단하는 기기밸브상태 검출수단과, 폐쇄되어 있는 검침미터의 밸브수단을 개방시키는 개방지령을 검출하는 지령수단을 가지며, 이 지령수단으로부터 개방지령이 출력되면 기기상태 검출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가스기기의 밸브가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밸브제어수단에 의하여 밸브수단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2, 5,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침미터 가스기기와는 분리된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표시하는 검침값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2, 5,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침미터 가스기기와는 분리된 검침수단의 검침값을 표시하는 검침값 표시수단과, 검침값표시 수단에 검침값을 표시할 것을 지시하는 검침값 표시지시수단을 가지며, 검침값표시 지시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검침값표시 수단에 검침값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특정의 시점에서 시스템에서 소비된 가스의 양을 산출하는 산출수단과, 이 산출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산출량을 표시수단에 표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15.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상태에 있는 밸브수단을 가스기기의 작동지시에 의하여 복귀시키는 밸브복귀수단을 구비한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970708285A 1995-05-19 1996-05-17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KR100257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20972 1995-05-19
JP12097295 1995-05-19
JP19455895 1995-07-31
JP95-194558 1995-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39A true KR19990014939A (ko) 1999-02-25
KR100257672B1 KR100257672B1 (ko) 2000-06-01

Family

ID=2645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285A KR100257672B1 (ko) 1995-05-19 1996-05-17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00931A (ko)
JP (1) JP3773955B2 (ko)
KR (1) KR100257672B1 (ko)
CN (1) CN1111830C (ko)
HK (1) HK1015027A1 (ko)
TW (1) TW300986B (ko)
WO (1) WO19960368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58B1 (ko) * 2001-06-12 2004-07-07 주식회사 극동기전 잠금 기능을 구비한 가스안전메타 제어방법
KR100485873B1 (ko) * 1999-12-01 2005-04-28 최상배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6476A1 (fr) * 2000-03-16 2001-09-21 Francois Danger Dispositif de controle de fuites de gaz ou de liquide
US6819292B2 (en) 2001-03-09 2004-11-16 Arad Measuring Technologies Ltd Meter register
US7286058B1 (en) * 2002-01-23 2007-10-23 Steven Phillip Gologorsky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remote devices
US6733276B1 (en) 2003-03-04 2004-05-11 Jeffrey R. Kopping Gas shut-off device
CN100480662C (zh) * 2004-11-13 2009-04-22 浙江工业大学 煤气泄漏自动检测方法
JP2008107955A (ja) * 2006-10-24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JP4862617B2 (ja) * 2006-11-10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メータ
KR100870875B1 (ko) * 2006-12-29 2008-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화물창의 이차 방벽의 건전성 평가 방법
DE102007035977B4 (de) * 2007-08-01 2009-07-16 Toptron Gmbh Elektronischer Durchflusssensor
JP5194754B2 (ja) * 2007-12-10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スメータ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ガス供給システム
US8040664B2 (en) 2008-05-30 2011-10-18 Itron, Inc. Meter with integrated high current switch
US8890711B2 (en) * 2009-09-30 2014-11-18 Itron, Inc. Safety utility reconnect
CA2716046C (en) 2009-09-30 2016-11-08 Itron, Inc. Gas shut-off valve with feedback
AU2010300854B2 (en) * 2009-09-30 2013-11-14 Itron Inc. Utility remote disconnect from a meter reading system
CA2715934A1 (en) * 2009-09-30 2011-03-30 Itron, Inc. Utility meter with flow rate sensitivity shut off
US20120109716A1 (en) * 2010-11-03 2012-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alyzing utility consumption
JP5469709B2 (ja) * 2012-07-13 2014-04-16 日本瓦斯株式会社 保安員の定期調査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3065438B (zh) * 2012-11-30 2016-04-13 上海万康无线智能控制系统有限公司 具有无线通信功能的燃气报警系统
US9005423B2 (en) 2012-12-04 2015-04-14 Itron, Inc. Pipeline communications
US10323846B2 (en) * 2015-02-05 2019-06-18 William Lawrence Sweet Safety and convenience system for a gas grill
CN106502228A (zh) * 2016-12-14 2017-03-15 桂林市淦隆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厨房的液体燃料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WO2019194019A1 (ja) * 2018-04-02 2019-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ス遮断装置およびガス遮断装置用無線装置
EP3557132B1 (en) * 2018-04-20 2021-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detecting anomalies associated with a gas appliance
JP7111508B2 (ja) * 2018-05-30 2022-08-02 サクラ精機株式会社 漏水検出器
US11112809B1 (en) 2020-02-28 2021-09-07 Michael Bafaro Gas alarm and safety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756A (ja) * 1984-03-12 1985-09-27 Toshiba Corp 電子写真感光体
JPS60189756U (ja) * 1984-05-28 1985-12-16 矢崎総業株式会社 復帰安全機構付ガス警報遮断装置
JPS61239762A (ja) * 1985-04-08 1986-10-25 Rinnai Corp 遠距離監視装置
JPS6312292A (ja) * 1986-07-03 1988-01-19 Kyowa Hakko Kogyo Co Ltd L−リジンの製造法
JPS6312292U (ko) * 1986-07-10 1988-01-27
JP2563289B2 (ja) * 1986-12-22 1996-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焼器具の制御装置
JPS63172098A (ja) * 1986-12-29 1988-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遮断機能付ガスメ−タ監視装置
DE68915011T2 (de) * 1988-02-10 1994-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sabschaltvorrichtung.
DE68919101T2 (de) * 1988-03-17 1995-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sabschaltungsvorrichtung.
JPH0247522A (ja) * 1988-08-09 1990-02-16 Fuji Electric Co Ltd 電源供給機能付ガス保安機器
JPH02105300A (ja) * 1988-10-13 1990-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管理システムのガス漏れ遮断制御方法
JPH0668798B2 (ja) * 1989-04-25 1994-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ガス警報遮断システム
JP2871820B2 (ja) * 1990-08-15 1999-03-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高耐熱電気絶縁電線の端末剥離方法
JPH04169833A (ja) * 1990-11-02 1992-06-17 Yamatake Honeywell Co Ltd ガス漏れ検知装置
JPH04100652U (ko) * 1991-01-30 1992-08-31
JP2813924B2 (ja) * 1991-04-05 1998-10-22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自動通報装置
JPH0520568A (ja) * 1991-07-17 1993-01-29 Yazaki Corp ガス安全保障装置
JPH0765744B2 (ja) * 1991-07-18 1995-07-19 山田 圭佑 ガス安全装置
JPH05290288A (ja) * 1992-04-13 1993-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検針装置
JP2713835B2 (ja) * 1992-06-16 1998-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遮断弁の異常判断装置
JPH0611072A (ja) * 1992-06-19 1994-01-21 Ricoh Elemex Corp ガスメ−タの遮断弁開閉制御装置
JPH06152774A (ja) * 1992-11-11 1994-05-31 Tokyo Gas Co Ltd 自動検針システムを利用して行う通知及び通信方法
JP3075655B2 (ja) * 1993-07-20 2000-08-14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供給システムの安全装置
JP3047700B2 (ja) * 1993-09-16 2000-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流量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73B1 (ko) * 1999-12-01 2005-04-28 최상배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KR100439158B1 (ko) * 2001-06-12 2004-07-07 주식회사 극동기전 잠금 기능을 구비한 가스안전메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36853A1 (fr) 1996-11-21
US6000931A (en) 1999-12-14
CN1111830C (zh) 2003-06-18
HK1015027A1 (en) 1999-10-08
TW300986B (ko) 1997-03-21
CN1190462A (zh) 1998-08-12
JP3773955B2 (ja) 2006-05-10
KR100257672B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672B1 (ko)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WO2009107367A1 (ja) ガス遮断装置及び警報器対応システムメータ
EP2686601B1 (en) Arrangement comprising a gas delivery control system and a central heating installation and gas delivery control method
AU2008282030B2 (en) Electronic flow sensor
JPH03106376A (ja) ガス遮断装置
JP2008224281A (ja) ガス器具管理システムおよびガス供給システム
JP2005291986A (ja) ガス遮断装置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JP3620438B2 (ja) ガス遮断装置
JP2002030702A (ja) 遮断弁監視制御システム
JP3976624B2 (ja) ガス使用報知システム並びにガスメータ及びガス漏れ警報器
JP4846460B2 (ja) ガス遮断装置
JP2009097948A (ja) ガスメータ
JP2007225422A (ja) 警報器対応システムメータ
JP5522609B2 (ja) ガス遮断装置
JP2009204353A (ja) ガス遮断装置
JP4334739B2 (ja) ガス遮断装置
JP4638574B2 (ja) ガス遮断装置
JP4582060B2 (ja) ガス遮断装置
JPH09106490A (ja) 緊急ガス遮断装置
JP4538134B2 (ja) ガス遮断装置
JP4659401B2 (ja) ガスメータ
JP4552952B2 (ja) ガス遮断装置
KR100262749B1 (ko) 가스기구감시에의한가스차단장치
JPH0829289A (ja) ガス漏洩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