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873B1 -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873B1
KR100485873B1 KR10-1999-0054310A KR19990054310A KR100485873B1 KR 100485873 B1 KR100485873 B1 KR 100485873B1 KR 19990054310 A KR19990054310 A KR 19990054310A KR 100485873 B1 KR100485873 B1 KR 100485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ignal
control device
meter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798A (ko
Inventor
최상배
Original Assignee
최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배 filed Critical 최상배
Priority to KR10-1999-005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873B1/ko
Priority to TW88122872A priority patent/TW434384B/zh
Priority to JP37467799A priority patent/JP3340105B2/ja
Publication of KR2001005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8Modifications to installed utility meters to enable remote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제어 장치를 통하여 각 가스설비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하며, 가스 공급업체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가스제어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 미터를 통하여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소통시키는 가스 차단 밸브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소기구, 광 및 전기 신호선이 내장된 가스호스 및 가스커플링, 가스 미터, 전자가스제어밸브, 가스압력조정기, 엘피가스용기, 자동가스절체기, 가스누설감지부, 화재감지부의 각 가스 기구로부터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각 가스 기구의 정상동작 상태에 관한 표준 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각 가스 기구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프로그램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수행한 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연산 결과를 토대로 가스차단 또는 가스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각 가스 기구의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가스 차단 밸브 또는 가스 기구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부; 및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가스 미터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가스 기구의 이상이 감지되면 즉시 전자밸브를 차단하므로 보다 안전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가스 공급업체에서 가스 검침원을 파견하여 가스미터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처에서 사용한 가스량을 확인할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통합전산실로 비정상적인 상태를 통보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사용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s flow, and gas supply system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미터를 통하여 가스사용설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스제어 장치를 통하여 각 가스설비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하며, 가스 공급업체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사용량을 검침하고 사용현황을 점검 및 조정할 수 있는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어의 정의
이하에서 '외부'라는 용어는 실외 또는 실내 중 가스 공급원이 설치된 위치를 지칭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는 통상 가스누출이 있더라도 환기가 잘 되어 가스 사고를 유발하지 않는 장소이다. 즉, '외부'라는 용어는 가스 공급원에서 가스 기구로 연결되는 경로 중에서 가스 공급원 근방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프로판 가스 용기가 설치된 곳, 가스 공급 파이프의 근처, 아파트에서 실내로 가스미터가 설치되어 있는 근처 등이 이하에서 기술하는 '외부'라는 용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이하에서 "가스"라 함은 연소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기체 상태의 연료를 통칭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가스는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석유가스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것 외에도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휘발된 가솔린을 함유한 공기, 디젤을 함입한 공기, 수소, 메탄, 에탄 등의 기체도 "가스"라는 용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한다.
한편, "가스 공급원"이라 함은 기체 상태의 연료를 공급하는 모든 공급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공급원"으로는 액화천연가스나 액화석유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파이프 또는 연료가 내장된 압축용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처"라 함은 가스의 사용량에 따라 사용료가 부과되는 단위 지역을 지칭한다. 주택단지인 경우 설치된 하나의 가스미터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는 하나의 가정이 통상 하나의 "사용처"라고 정의될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각 사용처에서 가스 기구들이 독립적으로 가스호스 등의 연결장치를 통해 가스 공급원에 연결되고, 각 사용처에서 소모한 가스량을 외부에 설치된 가스 미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일반 주택지에서는 외부에 가스 미터를 설치하고, 가스 공급 업체의 검침원이 해당 주택의 가스 사용 실적을 검침하여 가스 사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도 1 은 이러한 종래의 가스 공급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가스 공급원과 연결된 가스관(2)을 통해 가스가 사용처로 유입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가스 차단 밸브(6)를 통해 가스 미터(10)로 들어간다. 가스 미터(10)를 통과한 가스는 다시 또 다른 가스 차단 밸브(8)을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실내로 유입된 가스는, 가스관(4)으로부터 분기되는 각 연결관(12)(14)(16), 및 가스 호스(42)(44)(46)를 통해 가스 기구에 공급된다.
한편, 이와 같은 가스공급 시스템에서 가스 기구의 연소기가 우발적으로 꺼지거나 연결부위의 노화에 의하여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 가스누출 차단장치가 사용된다. 가스누출 차단장치는 규정된 유량보다 많은 양의 가스가 흐를때 가스를 자동차단하는 기능(과류 차단 기능) 및 누출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누출 점검 기능)을 겸비한 가스누출자동차단 장치와,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면서 가스통로를 차단하는 가스누출 경보 차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과류 차단 기능을 하는 차단장치로는 휴즈 코크가 있고, 누출 점검 기능을 하는 차단장치로는 누설검지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스누출 경보 차단장치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경보 차단장치의 오작동이나 배치의 잘못에 기인하여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가스 사고를 유발하여 매년 많은 인명과 재산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가스 기구의 내부에서 연소기의 작동을 확인하고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가스 기구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가스를 차단시키는 소화안전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가스 기구 내부의 오염 또는 고장에 의하여 가스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 가스 파이프에서 가스 기구로 연결하는 부분(가스 호스, 연결 파이프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소화안전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더라고 가스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가스 기구는 대부분 실외, 또는 환기가 잘 되는 실내에 설치된 가스 공급원에 접속된다. 따라서, 가스 공급원 근처에서는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사고로 연결되는 경우가 적은 반면, 가스 기구가 설치된 실내에서는 가스가 누설될 경우에는 그 가스가 축적된다. 이와 같이 축적된 가스가 발화되면 화재 또는 폭발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를 감안할 때, 가스 누설이 감지되면 가스 기구보다는 가스 공급원 근처에서 가스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스 공급원 근처에서 가스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가스 기구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의 가스공급원까지 가스 기구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선을 연결해야 하므로, 현재 널리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도 1 과 같은 종래의 가스공급 시스템에서는 가스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스 공급 업체에서 파견된 가스 검침원이 각 가스 사용처를 방문하여 가스 미터(10)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미국특허 제 5,381,136 호 및 제 5,953,371 호 등에서는 가스 사용처의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원격 터미널(RT)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고정 데이터 컬렉터(Fixed Data Collector) 또는 휴대용 데이터 컬렉터(Portable Data Collector)로 송신한다. 고정 데이터 컬렉터 또는 휴대용 데이터 컬렉터에서 얻어진 정보는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 제어장치에 전달되어 사용료를 부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은 넓은 장소에 복수의 가스 미터가 설치된 경우, 검침원이 일일이 가스 사용처를 방문하지 않고 가스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교적 좁은 장소에 다수의 가스 미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각 사용처마다 다른 주파수로 정보를 송신해야 하므로 관련장치가 복잡해지며 비싸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건물의 상이한 층과 장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이 검침원이 가스 미터(10)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가스 미터(10) 또는 가스 공급관(2)이 검침원이 출입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물이나 설비를 설계할 때에도 제한이 따른다. 즉, 검침원이 가스 미터(10)를 확인하기 위해 대부분 가스 미터(10)는 해당 사용처의 실외 밖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미관상 가스관이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나 이상의 가스 기구에서 가스의 공급 상태 및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가스 기구가 과류 등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외부에 설치된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하는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 공급 업체에서 검침원을 파견하지 않아도 가스 공급 업체에서 가스 사용량을 알 수 있도록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존의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공급 업체에 제공하는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 기구과 가스관을 연결하는 가스 호스가 손상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또는 가스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었을 때에도 자동으로 외부의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 미터의 설치 장소를 자유롭게 하여 건물의 보다 자유로운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가스제어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가스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스 미터를 통하여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소통시키는 가스 차단 밸브를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연소기구, 광 및 전기 신호선이 내장된 가스호스 및 가스커플링, 가스 미터, 전자가스제어밸브, 가스압력조정기, 엘피가스용기, 자동가스절체기, 가스누설감지부, 화재감지부의 각 가스 기구로부터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각 가스 기구의 정상동작 상태에 관한 표준 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각 가스 기구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프로그램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수행한 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연산 결과를 토대로 가스차단 또는 가스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각 가스 기구의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가스 차단 밸브 또는 가스 기구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부; 및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가스 미터 신호 수신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제공업체에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유선을 통하여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유선은 일반 전화 회선, ISDN 디지털 회선, 유선 케이블 TV 송수신망 또는 디지털 통신 전용회선이다. ISDN인 경우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가 별도의 회선을 통해서 연결되므로 별 다른 장치가 필요 없지만, 일반 전화 회선인 경우에는 디지털 터미널 어뎁터, 유선 케이블 TV 송수신망인 경우 변환 장치, 디지털 통신 전용회선인 경우에는 라우터(router)등의 통신 장비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외부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가스 사용처에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 기구; 외부의 가스 공급원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 미터; 각 가스 기구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가스 제어 장치; 및 각 가스 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가스 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가스 소통이 차단되는 가스 차단 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기구는 공급된 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버너; 버너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압으로부터 상기 열전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는 열전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전달되지 않으면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가스 불이 꺼진 상태에서 가스가 누출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외부의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게 된다. 다만, 초기 점화시에는 열전소자로부터 전기 신호가 출력되지 않지만 가스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이므로, 가스 기구의 점화 장치에서 대신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열전 소자에는 가열되었을 때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어떠한 종류의 열전소자도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가스 사용중 15mV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0 mV의 기전력이 발생되는 열전소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화 장치가 전기 신호를 출력할 때, 또는 외부에서 우발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열전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전소자는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가스제어 장치의 입력포트와 이에 연결된 AD 변환기를 사용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신호는 전기적인 펄스 신호이며,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가스 미터에서는 가스가 통과하면서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따라 가스 사용량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가 그 회전에 따라 전기적인 펄스 신호를 출력하도록 개량하고, 상기 가스 제어 장치가 이러한 펄스 신호를 적산하면 가스 사용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산된 가스 사용량을,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된 LCD 또는 LED 등을 통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연소기구, 광 및 전기 신호선이 내장된 가스호스 및 가스커플링, 가스 미터, 전자가스제어밸브, 가스압력조정기, 엘피가스용기, 자동가스절체기, 가스누설감지부, 화재감지부의 각 가스 기구로부터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각 가스 기구의 정상동작 상태에 관한 표준 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각 가스 기구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프로그램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수행한 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연산 결과를 토대로 가스차단 또는 가스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각 가스 기구의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가스 차단 밸브 또는 가스 기구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부; 상기 가스 미터로부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가스 미터 신호 수신부; 및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기구와 상기 가스 제어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신호선이 내장된 가스 호스를 더욱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공급 시스템에서는 각 가스 기구로부터의 신호를 가스 제어 장치까지 공급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신호 전달을 위해 별도의 전기선을 배설하여야 한다면 가스 기구를 설치할 때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경감하기 위해서 가스관과 가스 기구를 연결하는 가스 호스에 신호선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스 호스의 신호선은 가스관을 따라 설치된 다른 신호선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유선 통신망,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반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제공업체와 정보를 교류한다. 일반 전화 통신망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터미널 어뎁터가 제공되어 일반 전화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선 통신망이 ISDN의 디지털 회선인 경우에는 디지털 터미널 어뎁터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감지기가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설감지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가스제어장치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가스제어장치가 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가스제어 장치와 통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가스 기구 각 버너의 가스 사용 정량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어, 현재 가스 미터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총 양이 작동중이라고 판단되는 버너의 가스 사용 정량의 총합을 초과하는 경우, 가스의 과류 또는 누설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가스 차단 밸브에 가스 차단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각 버너의 가스 사용 정량에 대한정보는 각 가스 기구을 설치할 때마다 상기 가스 제어장치에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차단 밸브는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가스를 차단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은, 가스 기구에서 버너를 점화할 때 가스 점화 신호를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스 버너의 점화 신호에 따라 가스 제어장치가 외부에 설치된 가스 차단 밸브를 소통시키는 단계; 상기 가스 버너가 가열되면서 그 가스 버너에 부착된 열전 소자가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비정상적으로 가스 버너의 불이 꺼져 열전 소자로부터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되던 작동 신호가 정지되면 상기 가스 제어 장치가 상기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단계; 및 정상적으로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가스 버너의 불이 꺼지는 경우 정상 종료 사실을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송신하여 다른 가스 버너가 작동중일 때에는 상기 가스 차단 밸브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가스 상기 가스 공급원과 가스 제어 장치 사이에 설치된 가스 미터로부터 상기 가스 제어 장치가 가스 사용량에 대한 신호를 받는 단계; 및 상기 가스 사용량에 대한 신호로부터 현재 가스의 사용량을 상기 가스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제어 장치가 가스를 공급하는 업체로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는 가스관(2), 수동 가스 차단 밸브(6), 및 전자 밸브(48)를 통과해서 가스 미터(10)로 들어간다. 여기서 나온 가스는 다시 수동가스 차단 밸브(8)를 통해 가스 사용처 내부의 가스관(4)으로 유입된다. 가스관(4)으로 유입된 가스는 각 분기관(12)(14)(16)을 타고 가스 중간 밸브(18)(20)(22)로 들어가며, 다시 여기서 가스 호스(42)(44)(46)를 통해 가스 기구(30)(32)(34)에 공급된다.
제 1 가스 기구인 가스 오븐렌지(30) 근처, 예컨대 가스 오븐렌지(30) 뒤쪽 벽이나 싱크대 근처에 가스 제어장치(38)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제어장치(38)는 신호선을 통해 각 가스 사용기구, 가스 차단 밸브인 전자 밸브(48), 가스 미터(10), 가스 누설 경보기(49), 및 도시되지 않은 유선 통신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스 제어장치(38)의 근처에 위치한 가스오븐렌지(38)를 제외한 다른 가스 기구(32)(34)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는 후술하는 가스 호스와 가스관의 신호선을 타고 각 분기관(14)(16)의 중간 밸브(18)(20)(22)까지 전달된다. 중간 밸브(20)(22)에는 역시 가스관(4)을 타고 연장되어있는 신호선(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가스 기구인 가스 보일러(32)와 가스 난로(34)로부터의 신호는 가스 호스(44)(46)를 타고 중간 밸브(20)(22)까지 도달하며, 다시 여기서 가스관(4)을 따라 연장된 신호선(7)을 따라서 가스오븐렌지(30)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 밸브(18)에 도달한다. 여기서, 전기신호는 다시 가스오븐렌지(30)와 연결된 가스호스(42)의 신호선을 따라 이동하여 가스 제어 장치(38)의 근방까지 온 뒤 가스 제어 장치(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스오븐렌지(30)와 가스 제어 장치(38)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가스 오븐렌지(30)로부터의 신호선(52)은 직접 가스제어장치(38)에 접속된다. 가스오븐렌지(30)는 가스 호스(42)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는다.
한편, 가스 미터(10)로부터의 신호는 역시 가스관을 따라 제공된 신호선(9)과, 가스 호스(42)의 신호선을 따라 가스 제어장치(38)에 전달된다. 전자 밸브(48) 역시 이와 유사하게 신호선(9)과 가스호스(42)의 신호선과 가스 미터(10)를 경유하여 가스 제어 장치(38)에 연결된다. 가스 제어 장치(38)에는 가스 누설 경보기(49)가 연결선(43)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가스 미터(10)는 유입되는 가스의 양에 따라 소정 수만큼의 펄스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펄스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선을 타고 가스 제어 장치(38)로 입력된다. 가스 제어 장치(38)에서는 펄스 수에 의거하여 가스 사용량을 연산한다.
전자 밸브(8)는 외부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지지 않으면 가스를 차단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선(9)이 파손되어 가스 제어 장치(38)로부터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자 밸브(8)는 통상 자성체인 철편, 철편을 감싸는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와 연결되는 전선, 철편의 일단에 설치된 플런저, 상기 플런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시트, 플런저를 폐쇄위치로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압축 스프링 및 이들 요소들을 내장하고 있는 하우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중간밸브(18)(20)(22)와 가스 기구(30)(32)(34)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호스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가스 호스는 내부로 가스가 통과하는 염화비닐층(62), 가스 호스에 강성을 주기 위한 와이어 망사층(64), 이 망사층(64)의 외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기 또는 광 신호선(66), 이 전기 또는 광 신호선(66)과 와이어 망사층(64)을 덮는 염화비닐층(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 또는 광 신호선(66)은 에나멜층을 입혀 절연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염화비닐층 등의 절연층으로 덮여 절연되어 있다. 에나멜층과 염화비닐층은 각각 상이한 색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어서, 각 신호선이 어느 단자와 연결되어야하는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난 가스 호스에는 6개의 신호선이 내장되어 있지만, 용도에 따라 이러한 신호선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다.
도 4 는 가스오븐렌지(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스오븐렌지(40)는 4개의 버너(70)(72)(74)(76)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 호스(42)를 통해 들어온 가스는 연결관(90)과 각 분기관(92)(94)(96)(98)을 타고 각 버너에 공급된다. 각 버너에는 열전소자(78)(80)(82)(8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열전소자에서 나오는 신호선(100)(102)(104)(106)(108)은 모두 가스 제어장치(38)에 입력된다. 또한, 가스 점화기구(112)에서 나온 전선(110)도 가스오븐렌지(30)로부터 나와 가스제어장치(38)로 입력된다.
어떠한 가스 기구도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 오븐렌지(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점화기구(112)를 작동시키면, 점화기구(112)로부터의 신호가 선(110)을 타고 가스 제어장치(38)로 입력되며, 가스 제어 장치(38)는 신호선(50)을 통해 전기신호를 전자밸브(48)로 출력하여 가스가 유입되도록 한다. 반면, 가스 버너가 작동되어 이에 부착된 열전소자가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해당 신호선(102)(104)(106)(108)을 통해 전기 신호가 가스 제어장치(38)에 전달되며, 이러한 신호에 의거하여 가스 제어장치(38)는 전자밸브(48)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여 전자밸브(48)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제어장치(38)에는 각 버너의 가스 사용 정량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스미터(10)로부터 가스관(7)으로 유입되는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와, 현재 켜진 가스 기구(30)(32)(34)의 버너의 가스 사용 정량의 합을 비교하여, 가스 기구의 가스 사용 정량의 합보다 유입되는 가스양이 많은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판단하여, 가스 제어장치(38)는 표시부에 제공된 경고등이나 경고음등으로 이상 표시를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 밸브(8)를 차단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도 5 는 가스 보일러(3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스 보일러(32)는 가스 제어장치(38)로부터 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가스오븐렌지(30)와 달리 가스호스(44)에 제공된 신호선을 통해 가스 제어장치(38)에 신호를 출력한다. 가스 보일러(32)에는 하나의 버너(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너(111)에는 열전소자(1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열전소자로부터의 신호가 선(120)과 선(122)을 타고 가스호스(44)의 신호선에 전달된다. 가스 보일러(32)의 점화기구(112)에서 출력되는 신호도 선(120)(122)을 타고 가스호스(44)의 신호선에 전달된다. 접지선인 신호선(122)과 신호선(126)은 합쳐진 뒤 가스호스(44)를 통해 연장된다. 한편, 점화기구(122)에서 나온 신호선(128)은 가스 보일러(32)의 외부로 연장된 뒤 가스 호스(44)의 신호선을 타고 가스 제어장치(38)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스 보일러에서는, 가스호스의 신호선 중에서 단지 2개만 사용하면 충분하지만, 보다 많은 정보를 가스 제어장치(38)에 제공하기 위해 다른 신호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스호스(44)를 통해 들어온 가스는 가스 보일러(32) 내부의 연결관(114)을 타고 버너(111)에 제공된다.
제 3 가스 이용시설인 이동식 가스 난로(34)는 가스 보일러(32)와 비슷한 방식으로 가스호스(46)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제어장치(38) 및 외부 통신망과의 관계를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가스 제어장치(38)에는 가스 기구로부터 버너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8개의 단자(202)(204)…(214)와 가스 미터(10)로부터 펄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가스 미터 신호 수신부(215)의 입력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20)는 이들 입력부의 신호와 미리 프로그래밍된 제어 루틴에 따라 전자밸브(48)를 제어하고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전자밸브(48)로의 신호 출력은 전력증폭수단을 구비한 제어신호부(242)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제어부(220)에 연결된 출력부(222)에서는 경고 상태 및/또는 가스 미터로부터 전달된 펄스에 따른 가스 사용량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가스 제어장치(38)에는 전술한 입력부외에 사후에 프로그래밍 업그레이드 또는 버너의 가스 정량을 설정시키기 위한 포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정전시에도 데이터가 유지될 수 있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스 제어장치(38)는 필요한 경우 외부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RS232C 포트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제어장치(38)에는 외부의 유선 통신망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부(224) 및 이와 연결된 통신포트(226)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전화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벽에 내장된 디지털 터미널 어뎁터(228)를 통해 가스 제어장치(38)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를 일반 유선 전화선(230)과 교환기(232)를 통해 가스 공급 업체의 통합 전산실(234)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터미널 어뎁터를 통해 외부의 유선망을 이용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미국특허 제 4,724,435 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도록 한다. ISDN망이나 전용 디지털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어뎁터를 통해 외부 유선 통신망과 가스 제어장치(38)를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외부와 연결된 가스 제어장치(38)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가스 공급업체의 통합 전산실(234)로부터 가스 사용처의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술한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합 전산실(234)로 송신한다.
또한, 비상시에는 상기 가스 제어장치(38)가 그 사실을 통합 전산실(234)로 알리고, 통합 전산실에서 지역 관리소로 연락한 뒤 인근 경찰서나 소방소로 비상 내용을 통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스 제어장치(38)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수단을 내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지(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스 제어장치(38)에는 충전부(215)가 제공되어 있다. 이 충전부(215)는 각 입력부(202)(204)…(214)를 통해 제어부(220)로 들어가는 전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지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부(215)는 이미 공지된 여러 가지 충전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포트(226)와 디지털 터미널(228) 사이에 유선(22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외관상 또는 설치 장소의 위치상 유선(227)을 사용하기 곤란한 곳에는 공지된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포트(226)과 디지털 터미널(228) 사이에 통신 방법으로는 무선·유선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통신 방법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또한, 다음의 표는 상술한 가스 제어장치(38)의 각 입력부(202∼214), 제어부(220) 및 제어신호부(242)의 입출력 신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가스 커플링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 커플링은 이동식 가스 난로(34)등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오른쪽의 수 커플링(200)의 일단에는 가스 제어장치(38)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과 연결된 신호 단자(212)(214)가 제공되어 있고, 왼쪽의 암 커플링(220)에는 이 신호 단자(212)(214)를 수용하기 위한 홈(222)(224)이 제공되어 있다. 수 커플링(200)은 통상 벽에 내장되어 가스관(4)과 연결되어 있다. 암 커플링(220)은 반면, 신호선이 내장된 가스호스(46)와 연결되어 있다. 암 커플링(220)에는 상기 수 커플링(220)이 삽입된 뒤 쉽게 빠지지 않도록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암 커플링(220)에는 돌기(230)가 제공되어 있고, 수 커플링(200)에는 요홈(218)이 제공되어 있다. 커플링들(200)(220)을 연결할 때에는 상기 돌기(230)와 요홈(218)이 일치되도록 정렬한 다음에 양 커플링을 누르면 신호 단자(212)(214)가 홈(222)(224)에 삽입되면서 커플링들(200)(220)이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선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스 난로(34)에서는 버너 수에 2를 더한 만큼의 신호선이 가스호스(46), 분기관(16)과 가스관(4)을 타고 가스 보일러쪽 분기관(14)으로 향한다. 버너 수만큼의 신호선은 각 열전소자의 한쪽 단자와 연결된 것들이고, 다른 하나의 신호선은 버너의 점화기구로부터 나오는 신호선이고, 마지막하나의 신호선은 접지선이다. 한편, 가스 보일러(32)에서 나온 두 개의 신호선은 가스호스(44)를 타고 중간밸브(20)까지 올라가며, 가스 난로(34)의 신호선과 함께 가스오븐렌지쪽 분기관(12)으로 향한다. 여기서, 가스 보일러(32)의 열전소자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접지선과 가스 난로(34)의 열전소자로부터 연장된 접지선이 연결된다. 따라서, 분기관(12)과 분기관(14) 사이의 신호선의 개수는 가스 난로(34)와 가스 보일러(32)의 총 버너 수에 3을 더한 개수만큼이 된다. 여기서 버너 수만큼의 신호선은 각 버너의 열전소자로부터 나오는 신호선이고, 하나는 접지선이며, 다른 두개는 각 가스 기구의 점화장치로부터 나오는 신호선이다. 이와 같은 신호선들은 분기관(12)과 가스호스(42)를 타고 가스 제어장치(38)에 접속된다.
다음, 가스 제어장치(30)와 가스 미터(10) 사이 신호선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가스미터(10)에서는 하나의 펄스 출력 신호선과 하나의 접지선이 가스관(4)과 가스호스(42)를 타고 가스 제어장치(38)로 접속된다. 또한, 신호선이 가스 제어장치(38)로부터 전자밸브(48)로 가스관(4)을 타고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가스미터(10)의 접지선은 전자밸브 신호선의 접지선과 접속된다. 따라서, 가스 제어장치(38)쪽에서 전자밸브(48)쪽으로 향하는 총 선의 개수는 가스미터용 신호선, 전자밸브용 신호선 및 접지선으로 총 3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선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통 접지선을 사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별도의 접지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한 구성을 위하여, 각 가스 기구의 버너마다 하나의 신호선이 출력되고, 따라서, 신호선(50)에는 버너의 수와 가스 기구의 수에 1을 더한 만큼의 전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가스 버너의 수가 많거나 가스 기구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경우, 또는 단지 신호선의 수를 줄이기 원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가스 난로(34)로부터 가스 제어장치(38)에 별도의 신호를 제공하지 않고 가스호스(56)와 중간밸브(22) 사이에 별도의 전자밸브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스 난로(34)에서 불이 꺼지는 경우 가스 제어장치(38)에 신호를 주지 않고 제공된 중간밸브(22)와 가스호스(56) 사이의 전자밸브에 신호가 가해져 가스가 차단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보다 많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신호선의 수를 늘리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여러 가지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가스 제어장치(38)와 각 가스 기구(30)(32)(34) 사이의 통신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각 버너의 가스 사용정량을 하나의 수치로만 설정해 놓고 있지만, 가스 기구를 더욱 개선하여 각 버너에서 화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까지 가스 제어장치(38)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스 제어장치(38)에서 각 가스 기구(30)(32)(34)를 점화하고 화력까지 조절하도록 가스 공급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제어장치(38)는 디지털 터미널 어뎁터를 통해 외부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반 전화로 소정의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여 필요한 가스 가용시설을 작동시키거나 현재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종래에 사용되던 가스 누설 감지기(49)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안전장치 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기구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뿐만 아니라, 가스관이나 가스호스가 파손된 경우, 가스관이나 호스에 설치된 신호선도 파손되어 외부에 설치된 전자밸브를 차단하므로 더욱 안전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스 기구 및 신호선을 내장한 가스호스 및 가스관들은 모두 규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스호스와 내장된 신호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소켓을 가스 기구과 가스호스 일단에 각각 설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가스호스와 신호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은 가스 제어장치(38)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진다. 우선 가스 기구에서 버너를 점화할 때에는 해당 가스 기구에서 가스 제어장치(38)에 점화한다는 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스 제어장치(38)가 전자밸브(48)에 신호를 가해 가스가 소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스가 공급되어 가스 버너가 가열되면서 그 가스 버너에 부착된 열전 소자가 상기 가스 제어장치(38)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고, 가스 제어장치(38)에서는 계속적으로 전자밸브(48)에 신호를 가하여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한다. 버너가 비정상적으로 꺼지는 경우, 열전 소자로부터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되던 작동 신호가 정지되므로 상기 가스 제어장치(38)는 상기 버너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정상적으로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가스 버너의 불이 꺼지는 경우 정상 종료 사실을 상기 가스 제어장치(38)에 송신하여 다른 가스 버너가 작동중일 때에는 상기 가스 차단 밸브(48)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가스 제어장치(38)는 상기 가스미터로부터 지속적으로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펄스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누적된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는 표시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가스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제어장치(38)는 가스를 공급하는 업체로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제어장치(38)에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가스 제어장치(38)는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공급 업체로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은 가스 기구의 이상이 감지되면 즉시 전자밸브를 차단하므로 보다 안전하게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가스 공급업체에서 가스 검침원을 파견하여 가스미터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처에서 사용한 가스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가스 공급업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제어장치를 사용하여 각 가스기구의 사용상황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가스미터를 직접 보지 않고도 가스 사용량에 대한 검침이 가능하므로, 검침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가스미터나 가스 도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건물을 설계할 때에도 기존에 설치할 수 없었던 위치에 가스미터나 가스 도관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제어장치에서는 비상시에 통합전산실에 유선망을 통하여 연락을 취할 수 있으므로 가스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가스미터를 통해 가스가 공급되는 종래의 가스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가스공급시스템에 특히 적합한 가스호스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가스오븐렌지와 가스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2 의 가스보일러 등의 연소기와 가스호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제어 장치와 외부 통신 장치와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한 이동형 가스 연소기의 신호선 삽입형 가스 커플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가스미터를 통하여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소통시키는 가스 차단 밸브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정상작동 여부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가스기구와,
    외부의 가스 공급원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미터와,
    각 가스기구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가스미터로부터 가스의 사용량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가스제어장치와,
    각 가스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가스제어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가스소통이 차단되는 가스차단밸브와,
    상기 가스기구, 상기 가스미터, 상기 가스제어장치 및 상기 가스차단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신호선이 내장된 가스호스로 구성되는 가스사용시설;
    상기 가스사용시설로부터 작동상태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가스사용시설의 정상작동상태에 관한 표준데이터가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각 가스사용시설의 사용상태에 대한 신호를 상기 프로그램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수행한 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연산결과를 토대로 가스차단 또는 가스개방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각 가스사용시설의 동작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가스차단밸브 또는 가스기구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부; 및
    상기 가스미터로부터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펄스신호에 의하여 수신하기 위한 가스미터신호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차단밸브를 제어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기구는
    공급된 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버너;
    버너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압으로부터 상기 열전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를 제어하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일반 전화 회선이나 ISDN의 디지털 회선과 같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제공업체와 정보를 교류하며, 상기 유선 통신망과 상기 가스 제어 장치 사이에는 디지털 터미털 어뎁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를 제어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 4 항에 있어서,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감지기가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가스 기구 각 버너의 가스 사용정량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어, 현재 가스 미터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총 양이 작동중이라고 판단되는 버너의 가스 사용 정량의 총합을 초과하는 경우, 가스의 과류 또는 누설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가스 차단 밸브에 가스 차단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4 항, 제 9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차단 밸브는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가스를 차단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스 기구에서 버너를 점화할 때 가스 점화 신호를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스 버너의 점화 신호에 따라 가스 제어 장치가 외부에 설치된 가스 차단 밸브를 소통시키는 단계;
    상기 가스 버너가 가열되면서 그 가스 버너에 부착된 열전 소자가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비정상적으로 가스 버너의 불이 꺼져 열전 소자로부터 가스 제어 장치에 제공되던 작동 신호가 정지되면 상기 가스 제어장치가 상기 가스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단계; 및
    정상적으로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면서 가스 버너의 불이 꺼지는 경우 정상 종료 사실을 상기 가스 제어 장치에 송신하여 다른 가스 버너가 작동중일 때에는 상기 가스 차단 밸브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원과 가스 제어 장치 사이에 설치된 가스 미터로부터 상기 가스 제어장치가 가스 사용량에 대한 신호를 받는 단계; 및
    상기 가스 사용량에 대한 신호로부터 현재 가스의 사용량을 상기 가스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제어 장치는 가스를 공급하는 업체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가스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하는 방법.
KR10-1999-0054310A 1998-12-30 1999-12-01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KR10048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310A KR100485873B1 (ko) 1999-12-01 1999-12-01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TW88122872A TW434384B (en) 1998-12-30 1999-12-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s flow, and gas supply system utilizing the same
JP37467799A JP3340105B2 (ja) 1998-12-30 1999-12-28 ガス制御方法、ガス制御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ガス供給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310A KR100485873B1 (ko) 1999-12-01 1999-12-01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798A KR20010053798A (ko) 2001-07-02
KR100485873B1 true KR100485873B1 (ko) 2005-04-28

Family

ID=1962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310A KR100485873B1 (ko) 1998-12-30 1999-12-01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58B1 (ko) * 2001-06-12 2004-07-07 주식회사 극동기전 잠금 기능을 구비한 가스안전메타 제어방법
KR20030063010A (ko) * 2002-01-22 2003-07-28 스팍스컴 주식회사 알에프 레이블을 이용한 가스 용기관리시스템
KR20030086771A (ko) * 2002-05-07 2003-11-12 (주)피플앤텍 가스용기 절체정보 및 사용량 검침정보 자동발신장치
KR100659474B1 (ko) * 2004-07-09 2006-12-20 (주)누리텔레콤 가스 사용패턴 분석을 이용한 원격 누설가스 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939A (ko) * 1995-05-19 1999-02-25 모리시타 요이찌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939A (ko) * 1995-05-19 1999-02-25 모리시타 요이찌 가스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798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6934A (en) Gas distribution system
US5801940A (en) Fault-tolerant HVAC system
US8368001B2 (en)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CN101680602B (zh) 数字式气阀安全装置
US5646858A (en) Heat apportionment system
JP5245442B2 (ja) 消費電力表示システム
KR100485873B1 (ko) 가스제어 방법, 가스제어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가스공급시스템
CN1954348A (zh) 防气体泄漏系统以及使用该系统的方法
KR101564195B1 (ko) 가스 안전 지킴 장치
CN101682150A (zh) 电力控制系统和阀门控制系统
JP3340105B2 (ja) ガス制御方法、ガス制御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ガス供給システム
CA2354568A1 (en) Meter interface
KR20160015059A (ko)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US7580618B2 (en) Water heating apparatus
KR200361569Y1 (ko) 실내에서 확인/제어 가능한 다기능 표시/제어장치
KR100516477B1 (ko) 정보센터를 이용한 안전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754B1 (ko) 가스누출 감지를 위한 감지유닛
KR100303017B1 (ko) 전기신호전달용구리선을내장한가스호스,이를구비한가스공급시스템,및가스사용시설의누설을방지하기위한방법.
JP2001165505A (ja) 熱源機
WO2005111962A1 (en) Gas leakag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229704B1 (en) Method for measuring efficiency improvement in a heating system
KR101868385B1 (ko) 통합 원격 검침 시스템
JP3912141B2 (ja) リモコ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H09319986A (ja) ガス遮断制御システム
EP0237565A1 (en) Water heater secondary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916

Effective date: 2004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