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059A -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059A
KR20160015059A KR1020140097515A KR20140097515A KR20160015059A KR 20160015059 A KR20160015059 A KR 20160015059A KR 1020140097515 A KR1020140097515 A KR 1020140097515A KR 20140097515 A KR20140097515 A KR 20140097515A KR 20160015059 A KR20160015059 A KR 20160015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unit
power
detecting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백
심송범
하기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09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059A/ko
Publication of KR2016001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수전가 내의 냉방기, 보안 설비, 조명 및 가스밸브 등의 원격 제어 및 상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수전가의 부하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부; 외부 기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시부; 및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감시부는 드라이 접점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되, 작동 여부의 감지는 감시부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지의 여부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POWER ME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수전가 내의 냉방기, 보안 설비, 조명 및 가스밸브 등의 원격 제어 및 상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 값을 원격에서 검침하는 원격 검침 시스템(AM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AMR)은 기존의 기계식 전력량계 즉, 유도형 전력량계를 전자식 전력량계로 대체함으로써 가능하며, 고객의 원격검침 데이터를 웹 기반의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원격 검침 시스템(AMR)의 도입을 통해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가 이전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으며, 고객의 입장으로서 보다 투명하고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
여기서, 전자식 전력량계는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하는 일반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구분되며, 사용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력 수전부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전력 측정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계측하며, 계측된 값들을 원격 검침 시스템(AMR)에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원격에서 전력량을 검침하고, 검침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유무선 방식의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를 통한 원격 검침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의 경우,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 및 원격검침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점에서 장점을 갖고 있으나, 이는 계측 기능에만 편중되어 있어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관련하여, 발명의 명칭이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공용등 관리 장치"인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8889호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수전가 내에서 전력량에 대한 원격 검침뿐만 아니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수전가 내의 냉방기, 보안 설비, 조명 및 가스밸브 등의 원격 제어,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상기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수전가의 부하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부; 외부 기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시부; 및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감시부는 드라이 접점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되, 작동 여부의 감지는 감시부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지의 여부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시부는 실시간으로 외부 기기에 대한 작동 여부를 감지하고, 처리부는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가 변경될 때마다 작동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에 전달하는 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는 평상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기기 제어부에 부착된 릴레이가 동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감시부의 동작 상태 및 기기 제어부의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전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명령을 근거로 기기 제어부를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전력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전원측에 연결되어 전자식 전력량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배터리로 구성되어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고, 정전 발생시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전자식 전력량계에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은 전력량 검출부에 의해, 수전가의 부하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외부 기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감시부에 의해,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처리부에 의해,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드라이 접점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작동 여부의 감지는 감시부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지의 여부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외부 기기에 대한 작동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가 변경될 때마다 작동 정보를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감시부에 의해, 외부 기기의 포트 양단의 전압, 단락 여부 또는 단선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는 평상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기기 제어부에 부착된 릴레이가 동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어 명령을 근거로 기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은 상태 표시부를 통해 감시부의 동작 상태 및 기기 제어부의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은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 A/D 컨버터부에 의해, 전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수전가 내에서 전력량에 대한 원격 검침뿐만 아니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수전가 내의 냉방기, 보안 설비, 조명 및 가스밸브 등의 원격 제어,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특징에 기인하여, 사용자가 공간의 제약 없이 수전가 내의 전력량 검침뿐만 아니라 외부 기기에 대한 상태 확인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외부의 추가적인 장비와 별도의 통신 설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수전가마다 탑재되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이용하는 특징에 기인하여,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 원격 검침 및 원격 제어에 대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기존의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뿐만 아니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원격 제어, 작동 상태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의 경우 원격 검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설치된 네트워크망(20)과 서버(40)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통신 장비의 추가 없이 바로 적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검출부(110), A/D 컨버터부(120), 처리부(130), 통신부(140), 외부 모뎀(150), 감시부(160), 기기 제어부(165), 전원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상태 표시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전력량 검출부(110)는 부하 측의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고, 전력량을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전력량 검출부(110)는 부하 측에 연결되어 부하 측의 전압과 전류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전압과 전류를 근거로 전력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A/D 컨버터부(120)는 전력량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전력량 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전력량은 아날로그 값으로 표현되는데,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함으로써 신호의 처리 및 가공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디지털 신호로 변경된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전가 내에 있을 경우, 현재까지 사용한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감시부(160)는 외부 기기(30)의 단자에 연결되고, 외부 기기(30)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30)는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수전가 내의 냉난방기, 보안 설비(예를 들어, 시건 장치), 조명 및 가스밸브 등을 나타낸다. 즉, 감시부(160)는 이러한 외부 기기(30)의 동작 작동 여부에 대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부(160)에 이루어지는 감지는 실시간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감시부(160)에서 감지된 외부 기기(30)에 대한 작동 정보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감시부(160)에 의해 감지된 외부 기기(30)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A/D 컨버터부(12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40)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서는 감시부(160)를 통한 외부 기기(30)의 감지시, 저장부에 저장된 외부 기기의 이전 작동 정보와 감시부(160)를 통해 감지된 외부 기기의 현재 작동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외부 기기의 작동 정보가 변경된 경우, 그리고 주기적으로, 처리부(130)는 외부 기기(30)에 대한 작동 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에 대한 작동 정보를 서버(40)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10)는 수전가 내의 외부 기기(30)에 대한 작동 정보 또한 원활하게 조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 또한, 주기적으로서버에 해당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감시부(160)는 감시부 양단의 전압, 단락 여부 또는 단선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처리부(13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기기 제어부(165)는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10)로부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3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외부 기기(30)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제어를 위한 명령일 수 있다.
감시부(160)는 드라이 접점(dry contact)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시부(160)는 평상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외부 기기(30)의 작동이 감지되면 감시부(160)에 부착된 릴레이가 동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감시부(160)를 통해 외부 기기(30)에 대한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외부 기기(30)는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로 가정된다.
감시부(160)는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은 24v로 가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시부(160)는 평상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 즉,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의 작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감시부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고, 전압은 24v를 그리고 회로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0A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냉방기의 작동이 감지되면, 감시부에 대한 릴레이가 동작하여 단락된다. 이 경우, 감시부의 회로가 닫히게 되고, 전압은 0V로, 전류는 수 mA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부(160)에 포함된 드라이 접점 센서는 이러한 전류 값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냉방기 즉, 외부 기기(30)에 대한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제어부(165)는 평상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기기 제어부(165)에 부착된 릴레이가 동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30)는 감시부(160)와 기기 제어부(165)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부(165)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상태, 그리고 기기 제어부의 릴레이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상태 표시부(190)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표시부(190)는 예를 들어, 감시부(160)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거나, 또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외부 기기에 대한 작동 정보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90)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될 수 있고, 감시부(160)에 대한 LED와 기기 제어부(165)에 대한 LED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전원측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전원부는 배터리로 구성되고, 평상시에는 전원부(100)에 의해 전원이 충전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량계(100)는 평상시에는 전원부(17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보조 전원부에 포함된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전자식 전력량계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통신부(140)는 SIO(Serial Input Output)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통신부(140)는 처리부(130)로부터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때,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모뎀(150)과 같은 다양한 통신 기기와 연동될 수 있도록 입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모뎀(150)은 유무선 통신 방식의 모뎀으로서 서버(40)와 통신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노트북, 컴퓨터 및 스마트 기기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량 검출부(110)를 통해 감지된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와 감시부(160)를 통해 감지된 외부 기기의 작동 정보는 서버(40)에 저장되고, 사용자(10)는 서버(40)에 저장된 정보들을 근거로 수전가 내의 전력량 정보와 외부 기기에 대한 작동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10)는 컴퓨터, 노트북 및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40)에 접속하고, 서버(40)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상기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수전가 내에 존재하는 외부 기기 즉, 보안 설비, 조명 및 가스밸브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기를 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버(40)를 통한 확인 결과, 수전가 내에 사람이 없는데 조명이 켜져 있거나, 또는 가스 밸브가 잠겨있지 않은 경우 곤란함을 느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외부 기기에 대한 오프 신호 또는 온 신호와 같은 제어 명령을 네트워크 망(20)을 통해 전자식 전력량계(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식 전력량계(100)에 포함된 처리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해당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기기 제어부(165)를 통해 해당 외부 기기(3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제어 기능을 위해서는 감시부(160)와 외부 기기(30)가 라인을 통해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어 명령은 에어컨과 같은 냉방기에도 적용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가정 내에 즉, 수전가 내에 들어가기 전 미리 해당 기기를 작동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로 개시된 설명과 중복되는 사항은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생략한다.
먼저, 전력량 검출부에 의해, 부하 측의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량 검출부는 부하 측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부하 측의 전압과 전류에 대한 감지가 가능해진다.
그 후, A/D 컨버터부에 의해, S110 단계에서 검출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즉. S110 단계에서 검출된 전력량은 아날로그 값으로 표현되므로, 이러한 신호의 활용, 처리 및 가공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후, 외부 기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감시부에 의해,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시부는 감시부 및 기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감시부는 감시부 양단의 전압, 단락 여부 또는 단선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처리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하고, 기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감시부는 드라이 접점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드라이 접점 센서를 통해 외부 기기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검출하고, 감시부 양단의 단락 또는 단선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감시부와 기기 제어부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로 상세히 언급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처리부에 의해,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는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검침하고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감지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은 이러한 S140 단계 이전, S110 단계 및 S130 단계에서 감지된 외부 기기의 작동 정보 및 전력량 정보와 저장부에 기 저장된 이전 작동 정보와 이전 전력량 정보 간의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S140 단계는 전력량을 검출하고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가 감지될 때마다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저장부에 저장된 이전 주기에서의 전력량 정보 및 작동 정보 간의 비교를 수행한 후,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활하게 서버로부터 항상 갱신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S110 단계에서 감지된 전력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50)가 수행된다. 또한, S150 단계는 상태 표시부를 통해 감시부 및 기기 제어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표시부에 대한 설명은 도 1을 참조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60)가 수행된다. S16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는 S170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S110 단계로 전달되어 상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처리부에 의해, 제어 명령을 근거로 기기 제어부를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 이러한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면 제어는 리턴 블록으로 전달되어 상술한 단계들을 재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식 전력량계 110 : 전력량 검출부
120 : A/D 컨버터부 130 : 처리부
140 : 통신부 160 : 감시부
170 : 전원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상태 표시부

Claims (14)

  1.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상기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식 전력량계로서,
    상기 수전가의 부하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부;
    상기 외부 기기의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시부;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는 드라이 접점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작동 여부의 감지는 상기 감시부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지의 여부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작동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작동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에 전달하는 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부는,
    평상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기기 제어부에 부착된 릴레이가 동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기기 제어부의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8. 제1항에 있어서,
    전원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배터리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부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고, 정전 발생시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전자식 전력량계에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9. 수전가 내의 원격 검침과, 상기 수전가 내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으로서,
    전력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전가의 부하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의 단자에 연결되는 감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처리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드라이 접점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여부의 감지는 상기 감시부의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지의 여부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작동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정보와 상기 전력량에 대한 전력량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작동 정보를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의 포트 양단의 전압, 단락 여부 또는 단선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제어 명령을 근거로 기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태 표시부를 통해 상기 감시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기기 제어부의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
    A/D 컨버터부에 의해, 상기 전력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력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동작 방법.

KR1020140097515A 2014-07-30 2014-07-30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015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15A KR20160015059A (ko) 2014-07-30 2014-07-30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15A KR20160015059A (ko) 2014-07-30 2014-07-30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059A true KR20160015059A (ko) 2016-02-12

Family

ID=5535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515A KR20160015059A (ko) 2014-07-30 2014-07-30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0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7047A (zh) * 2017-09-27 2018-03-13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负载状态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68385B1 (ko) 2017-02-23 2018-06-18 (주)이원테크놀러지 통합 원격 검침 시스템
CN117353464A (zh) * 2023-12-04 2024-01-05 广东浩宁达实业有限公司 一种电能表从设备联动的最佳状态分时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85B1 (ko) 2017-02-23 2018-06-18 (주)이원테크놀러지 통합 원격 검침 시스템
CN107797047A (zh) * 2017-09-27 2018-03-13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负载状态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797047B (zh) * 2017-09-27 2020-07-17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负载状态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7353464A (zh) * 2023-12-04 2024-01-05 广东浩宁达实业有限公司 一种电能表从设备联动的最佳状态分时控制方法
CN117353464B (zh) * 2023-12-04 2024-02-23 广东浩宁达实业有限公司 一种电能表从设备联动的最佳状态分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001B2 (en)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US8452554B2 (en) Networked device with power usage estimation
US20110032070A1 (en) Wireless switching and energy management
JP6557344B2 (ja) 電気的負荷の可視化システム
US20090312968A1 (en) Power consumption feedback systems
KR100969855B1 (ko) 전력 사용 장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절감 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표시 방법
CN102460187A (zh) 功率监测系统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100691391B1 (ko) 파워콘트롤러 및 상기 파워콘트롤러를 포함한 전자식전력제어시스템
JP2012222898A (ja) 電力測定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10037455A1 (en) System for measuring electrical power
KR20160015059A (ko) 전자식 전력량계 및 이의 동작 방법
US8744788B2 (en) Micro-meter for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CN105573233A (zh) 一种电路智能管理系统
KR101014686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제어 및 소비전력측정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수행방법
US201202289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ergy Management
JP2013187848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KR20170077760A (ko) 스마트 스위치 및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스마트 홈 및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
WO2017149367A1 (en) Multiple input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outlet device
KR101531665B1 (ko)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스위치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KR101672368B1 (ko)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
KR101865152B1 (ko) 원격 제어 및 계측 기반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32912B1 (ko) 전력량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79848B1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