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848B1 -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848B1
KR101679848B1 KR1020090041777A KR20090041777A KR101679848B1 KR 101679848 B1 KR101679848 B1 KR 101679848B1 KR 1020090041777 A KR1020090041777 A KR 1020090041777A KR 20090041777 A KR20090041777 A KR 20090041777A KR 101679848 B1 KR101679848 B1 KR 10167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let
electric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733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8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1/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service supply to auxiliaries of stations in which electric power is generated, distributed or conver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관리 시스템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선을 통해 사이트로 전달되면 그 전력을 사이트 내의 전기장치들로 분배 전달하는 분기 배선; 상기 분기 배선의 끝부분에 위치한 콘센트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지하는 2개 이상의 콘센트 세트들; 및 상기 콘센트 세트들로부터 전력 소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이트에 위치한 전기장치들의 전력 소모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전력 관리, 전력 모니터링, 누설 전력, 과열 방지

Description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POWER MONITORING DEVIC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의 전력 공급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컴퓨터 네트워크가 가정/사무실에 보급되면서 차세대 가정/사무실에서는 네트웍(Network)망으로 연결되는 컴퓨터, 통신, 지능 설비와 안전 시스템이 갖추어질 수 있도록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네트웍망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은 전기를 사용하게 되어 전기 화재나 다른 위험 상황들은 재난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비가 증대될 수도 있다.
요즘, 가정/사무실은 공기조화기나 난방기, 조명기구, 냉장고, TV, VCR, 컴퓨터와 같은 전기 사용 기구들로 채워져 있다. 대부분의 가정/사무실에서 전기는 인입단에서 전선에 의해 전달되고, 집이나 사무실의 전력 공급점을 통해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전력 공급점으로부터 차단기의 패널 기판은 전력선을 그 집/사 무실의 개개의 방에 가기 위해 분기 배선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각각의 분기 배선은 벽 스위치, 콘센트 등을 경유하여 전등이나 부하(전기장치)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많은 종류의 대용량 디지털 적용 제품의 가정 내 보급으로 댁내 사용하는 소비전력이 매우 급증하였다. 특히, PDP와 기타 전열기구, PC 등을 사용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전원을 파워온 해 놓은 상태로의 지속이나 대기전력 등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낭비가 매우 심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하나의 전원에서의 여러 전력 소비기구의 사용에 따른 용량 초과로 과열화재 등의 위험도 가중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사이트의 전력 소비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전력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장치는,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 정보를 감지하는 외부의 전력 감지/차단 장치들로부터, 전력 정보를 입력받는 전력 정보 입력부; 상기 전력 감지/차단 장치들에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허용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제어 신호 출력부; 상기 전력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된 전력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결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선을 통해 사이트로 전달되면 그 전력을 사이트 내의 전기장치들로 분배 전달하는 분기 배선; 상기 분기 배선의 끝부분에 위치한 콘센트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지하는 2개 이상의 콘센트 세트들; 및 상기 콘센트 세트들로부터 전력 소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이트에 위치한 전기장치들의 전력 소모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전력 관리 시스템 또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를 실시함에 의해, 사이트의 전력 소비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사람들의 습관성 전력소비와 대기전력 낭비 등을 실시간 혹을 일정 시간 알람 및 디스플레이 해 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막고자 함이며, 냉/난방기 사용철과 같은 전기과열 등의 과부하 발생시 알람 및 자동차단 기능 등으로 가정과 사무실(즉, 전력 관리 시스템이 설치되는 사이트)에서의 화재 등을 막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이트로의 구현 방법은 하기 두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첫째 방법은, 건물 신축을 위한 공정 중 전기 배선시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다. 사이트의 각 실마다 사용되는 콘센트에 전력 감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각 콘센트에서의 감지되는 전력 소비량을 입력받아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사용자가 접근이 용이한 장소나, 외부에서 인입되는 메인 계량기로부터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둘째 방법은, 이미 배선이 완료되어 수정이 극히 곤란한 기존 건물에, 별도의 콘센트 ID를 부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 콘센트 ID를 부여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이 일반 가정집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선을 통해 사이트로 전달되면 그 전력을 사이트 내의 전기장치들로 분배 전달하는 분기 배선(미도시); 상기 분기 배선의 끝부분에 위치한 콘센트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지하는 2개 이상의 콘센트 세트들(100-1 ~ 100~3); 상기 콘센트 세트들(100-1 ~ 100~3)로부터 전력 소모에 대한 정보(즉, 전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이트에 위치한 전기장치들의 전력 소모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모니터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이트 구현 방법 중 후자의 방법(상기 콘센트 ID를 부여하는 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상기 콘센트 세트들(100-1 ~ 100-3)과 전력 모니터링부(200)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200)는, 모니터(280) 및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29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200)는, 메인 계량기에서 각 실로 전선이 분기되는 시점에 설치하여 계량기와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과 과소비/과부하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실에 설치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다른 목적을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과 연계하여 기술 차별화와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의 시스템을 위한 기술구현 방안으로서, 기본적으로 전력사용 측정은 일반적인 마이컴과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전력 모니터링부(200)와 콘센트 세트들(100-1 ~ 100~3)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적용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을 적용하는 경우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을 적용하면, 기존에 설치된 전력 배선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는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콘센트 세트(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콘센트 세트(100)는, 콘센트(3000)에서 이에 연결된 전기 장치(2000)로의 전력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변류기(120); 상기 변류기(120)를 이용하여 전력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140); 상기 검출된 전력 정보를 외부의 전력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60); 상기 콘센트(3000)에서 상기 전기 장치(20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170); 및 콘센트 세트를 식별하는 ID를 저장하는 ID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류기(120)는 교류의 전기적 특성 검출에 유용한 소자로서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서(140)는 직접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소자 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는 콘센트 세트(100) 내부의 연산기 또는 외부의 전력 모니터링부에 의해 소비 전력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60)은 가정집 등의 공간에 효율적인 통신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지그비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또는 RF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170)는, 일반적인 멀티탭의 전력 차단 스위치 같이, 전력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로서, 상기 통신 모듈(160)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외부 전력 모니터링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on/off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콘센트 세트의 외형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콘센트 세트의 외형은 건물내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콘센트 결합부(107); 전기 장치(2000)의 플러그(2100)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결합부(108);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위한 안테나(109)를 포함한다.
건물 신축부터 본 시스템의 고려되는 않은 기존 가정이나 사무실의 경우, 각 실의 콘센트에 본 기능이 내장된 도 3의 Plug형 콘센트 세트(100)를 삽입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력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전력 모니터링부(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전력 모니터링부(200)는, 외부의 전기 장치들에 대한 전력 감지/차단 기능을 가진 콘센트 세트들로부터, 그 ID 및 전력 정보를 입력받는 전력 정보 입력부(220); 상기 콘센트 세트들에 상기 전기 장치들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허용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제어 신호 출력부(240); 상기 전력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80); 상기 입력된 전력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결정하는 연산부(260); 및 상기 콘센트 세트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29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가 전력 모니터링 과정에서 저장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정보 입력부(220)는 상기 콘센트 세트들로부터, 측정된 소비 전력을 입력받거나, 또는, 측정된 전압 및 전류를 입력받는다. 상기 전력 제어 신호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전력 제어 신호는 각 콘센트 세트로 전달되는데, 이를 전달받은 콘센트 세트는, 자신과 위치하는 장소의 콘센트로부터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는 사용자에게, 전력 관리 시스템에 설치된 사이트의 전체 전력 사용 현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는, 사용자로가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 패드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50)에는, 비교적 장기간 저장이 필요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장시간에 걸친 사이트의 전력 소모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기간의 측정 정보들을 기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산부(260)가 전력 산정 또는 누전/단락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근거 정보들(예: 전압, 전류)을 기록할 수 있다. 또는, 각 콘센트 세트의 ID 및 각 콘센트 세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260)는, 상기 전력 정보 입력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예: 전력 또는 전압/전류)로부터, 사이트의 각 장소에서의 전력 소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예: 그래프)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부(260)는, 각 콘센트 세트의 ID로부터, 파악하려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26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로 인가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25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260)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 및/또는 원하는 장소의 전력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산부(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기간 및/또는 장소(사이트 내부의 장소)를 입력받으며, 상기 저장부(250)에 상기 입력받은 기간 및/또는 장소에 관한 정보들을 검색하여, 적합한 모니터링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260)는, 상기 입력된 전력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결정하는데,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파워 스위치가 off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전기 장치의 플러그 연결에 의한 누설 전력 0.1mW라면, 측정된 전력이 소정 시간 동안 0.1mW 근방값(예 : 0.08mW ~ 1.1mW)에 있으면, 해당 전기 장치를 off시키라는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냉장고와 에어컨과 같이, 항상 전력 공급을 대기하여야 하는 전기 장치의 경우, 대기 전력을 상기와 같이 플러그 연결에 의한 누설 전력이라고 판단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따라, 플러그 연결에 의한 누설 전력 방지를 위한 전력 공급 차단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산부(260)는, 상기 저장부(250)에 기록된 각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특정 콘센트에 플러그 연결에 의한 누설 전력이라고 판단되는 미약하고 일정한 전력 소모가 발생해도, 상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전력 공급 차단이 금지된 장치인 경우, 전력 공급을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260)는, 상기 입력된 전력 정보로부터 각 콘센트에서의 전력 사용이 적당한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특정 콘센트에서 전력 사용이 과다하면, 해당 콘센트로부터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80)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알 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260)는 플러그 연결에 의한 누설 전력(또는 전력 과다 소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시스템이 가정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세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세트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모니터링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Claims (14)

  1. 전기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정보를 감지하는 외부의 전력 감지/차단 장치들로부터, 전력정보를 입력받는 전력정보 입력부;
    상기 전력 감지/차단 장치들에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허용하는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제어신호출력부;
    상기 전력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된 전력 정보로부터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결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력정보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전력정보가 누설전력으로 판단시, 해당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제어정보를 재확인하고, 상기 전기장치가 대기전력이 필요한 장치인 경우에는 전력공급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모니터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력정보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전력정보가 누설전력으로 판단시, 해당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제어정보를 재확인하고, 상기 전기장치가 대기전력이 필요하지 않은 장치인 경우에는 전력공급 차단을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력정보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전력정보가 과다전력으로 판단시, 해당 전기장치의 전력공급 차단을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의 차단/허용을 판단하기 위한 누설전력제어정보, 대기전력제어정보, 과열전력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장부의 저장값에 기초해서 전력제어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 장치.
  5.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전선을 통해 사이트로 전달되면 그 전력을 사이트 내의 전기장치들로 분배 전달하는 분기 배선;
    상기 분기 배선의 끝부분에 위치한 콘센트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지하는 2개 이상의 콘센트 세트들; 및
    상기 콘센트 세트들로부터 전력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이트에 위치한 전기장치들의 전력 소모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는, 전기장치들에 대한 전력의 차단/허용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센트 세트로부터 입력한 전력정보가 누설전력으로 판단시에, 해당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제어정보를 재확인하고, 상기 전기장치가 대기전력이 필요한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콘센트의 전력공급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세트는,
    변류기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세트들 및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세트들 및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세트는,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의 제어에 따라, 자신이 위치한 콘센트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는,
    상기 콘센트 세트로부터 입력한 전력정보가 누설전력으로 판단시, 해당 전기장치의 대기전력제어정보를 재확인하고, 상기 전기장치가 대기전력이 필요하지 않은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콘센트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는,
    상기 콘센트 세트로부터 입력한 전력정보가 과다전력으로 판단시, 해당 전기장치의 전력공급 차단을 위하여 해당 콘센트를 제어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니터링부는, 상기 전기장치에 대한 전력의 차단/허용을 판단하기 위한 누설전력제어정보, 대기전력제어정보, 과열전력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값에 기초해서 콘센트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세트는,
    콘센트에서 이에 연결된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된 변류기; 상기 변류기의 전력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검출된 전력 정보를 외부의 전력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콘센트에서 상기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 및
    콘센트 세트를 식별하는 ID를 저장하는 ID 저장부
    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세트는,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콘센트 결합부; 및
    전기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결합부
    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KR1020090041777A 2009-05-13 2009-05-13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67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77A KR101679848B1 (ko) 2009-05-13 2009-05-13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77A KR101679848B1 (ko) 2009-05-13 2009-05-13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33A KR20100122733A (ko) 2010-11-23
KR101679848B1 true KR101679848B1 (ko) 2016-12-07

Family

ID=4340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777A KR101679848B1 (ko) 2009-05-13 2009-05-13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193B1 (ko) * 2020-09-14 2021-03-08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3712A (ja) * 2007-04-12 2008-10-30 Hitachi Ltd 電力供給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5804B2 (ja) * 1994-08-09 1999-07-05 鹿島建設株式会社 電力消費量警報装置
KR100755451B1 (ko) * 2005-04-08 2007-09-10 피에스텍주식회사 전력량 측정 및 표시 기능을 갖는 콘센트
KR20080019938A (ko) * 2006-08-29 2008-03-05 여운남 네트워크형 전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3712A (ja) * 2007-04-12 2008-10-30 Hitachi Ltd 電力供給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33A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3116C (en)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5791596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US78138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viding local power line communication
US20110032070A1 (en) Wireless switching and energy management
JP5027642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456428B1 (ko)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BR102017021521A2 (pt) Cabo de alimentação elétrica, e método de energização e desenergização seletiva de uma extremidade de saída de energia
KR101652109B1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KR101679848B1 (ko) 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073809B1 (ko) 스마트 대기전력 자동차단 스위치
JP4925341B2 (ja) 直流機器システム
JP2004170276A (ja) 電流表示装置
KR100341061B1 (ko)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KR101134582B1 (ko) 바닥 배선을 통한 전력선 제어시스템
KR20210019875A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JP2007329781A (ja) 監視装置
JP2002246964A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US8063787B2 (en) Point-of-use status indicator
KR101272665B1 (ko) 실시간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981650B2 (ja) 配電システム
KR20100030394A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대기전력 제어방법
NZ730125A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JP2009153302A (ja) 直流機器並びに直流配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