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589B1 - 직동 장치 - Google Patents

직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589B1
KR102101589B1 KR1020197001124A KR20197001124A KR102101589B1 KR 102101589 B1 KR102101589 B1 KR 102101589B1 KR 1020197001124 A KR1020197001124 A KR 1020197001124A KR 20197001124 A KR20197001124 A KR 20197001124A KR 102101589 B1 KR102101589 B1 KR 10210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rolling element
half body
path
mo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044A (ko
Inventor
도루 야마자키
도모히코 기쿠치
유스케 우에키
마사키 가와무라
다쿠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 베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베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베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11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return passages, i.e. the passages where the rolling elements do not carry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04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 F16C29/0607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load bearing section of parts or members for retaining the rolling elements, i.e. members to prevent the rolling elements from falling out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38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 F16C29/064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 F16C29/0647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with load directions in X-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보다 고강성·고내하중이며 안내 정밀도가 우수한 직동 장치의 제공. 레일체(1)에 대해서 직동하는 직동체(2)가 마련되고, 레일체(1)와 직동체(2) 사이에는 전동체(3)가 이동하는 부하로(4)가 마련되고, 부하로(4)가 리턴로(5)를 거쳐 무부하로(6)와 연통시켜진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형성된 직동 장치로서, 전동체(3)는 길이가 직경의 3배 이상인 원기둥체이며, 전동체(3)는, 인접하는 전동체(3)끼리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스페이서부(8)와 그 스페이서부(8)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띠모양 연결체(9)로 구성된 전동체 보존유지구(10)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보존유지된 상태에서 전동체 무한 순환로를 순환하도록 구성하고, 무부하로(6)는, 직동체(2)에 뚫어마련된 직선구멍(11)에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를 배치하여 형성하고,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서 전동체(3)의 단면 바깥쪽은 개방되고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가 노출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직동 장치
본 발명은, 직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레일체와 직동체로 이루어지고, 이 레일체와 직동체 사이에 마련되는 부하로(負荷路)와, 직동체에 마련되는 무부하로 및 부하로와 무부하로를 연결하는 리턴로로 구성되는 전동체 무한 순환로를 구비하고, 레일체와 직동체가 상대적으로 왕복 직선 이동하는 직동 장치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00036호
본 발명은, 종래의 전동체 및 전동체 무한 순환로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개량하여, 보다 고강성·고내하중이며 안내 정밀도가 우수한 직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레일체(1)에 대해서 직동하는 직동체(2)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체(1)와 상기 직동체(2) 사이에는 전동체(3)가 이동하는 부하로(4)가 마련되고, 이 부하로(4)는 리턴로(5)를 거쳐 상기 직동체(2)에 마련된 무부하로(6)와 연통시켜지고, 이 부하로(4)와 리턴로(5)와 무부하로(6)로 구성된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적어도 좌우 한쌍 형성된 직동 장치로서, 상기 전동체(3)는 길이가 직경의 3배 이상인 원기둥체이며, 상기 전동체(3)는, 인접하는 전동체(3)끼리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스페이서부(8)와 그 스페이서부(8)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띠모양 연결체(9)로 구성된 전동체 보존유지구(保持具)(10)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보존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를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부하로(6)는, 상기 직동체(2)에 뚫어마련된 직선구멍(11)에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서 상기 전동체(3)의 단면 바깥쪽은 개방되고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상기 연결체(9)가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12)에는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상기 연결체(9)가 배치되는 틈새(隙間)(7)가 그 무부하로 구성 부재(12)의 긴쪽 방향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는,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체(13) 및 상기 제2 반체(14)의 긴쪽 방향 양단부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체(13) 및 상기 제2 반체(14)는, 상기 직선구멍(11)내에 배치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서로 당접(當接)하지 않고 이격되며, 상기 무부하로(6) 및 상기 틈새(7)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1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직동체(2)와 상기 레일체(1) 사이에는,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6)가 마련되고, 이 가이드 부재(16)의 양단부에는, 상기 리턴로(5)를 구성하는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제4 양태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상하 1조 마련되어 있고, 상하의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는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하의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16)끼리는 그 가이드 부재(16)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18)를 거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제4 또는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6)의 양단의 상기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와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는, 상기 리턴로(5)와 상기 무부하로(6)가 연통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에 관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보다 고강성·고내하중이며 안내 정밀도가 우수한 직동 장치로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개략 설명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일부를 절결(切缺)한 정면부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전동체 보존유지구의 확대 개략 설명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무부하로 구성 부재의 분해 설명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의 분해 설명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 및 보강 부재의 개략 설명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 부재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직동체의 분해 설명 사시도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고 간단히 설명한다.
전동체(3)를 길이가 직경의 3배 이상인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촉 길이가 긴 전동체(3)를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강성 및 내하중성이 향상한다. 또, 고밀도로 배치된 전동체(3)에 의해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구르기(rolling) 운동에 기인하는 진동(통과 진동이나 위빙(weaving))이 작아지고, 안내 정밀도도 향상한다.
또, 전동체(3)를 가늘고 길게 한 경우, 무부하로(6)를 마련하기 위해서 직동체(2)에 마련되는 직선구멍(11)을 그만큼 지름이 큰 것으로 할 필요가 있지만, 대경화(徑大化)가 지나치면 직동체(2)의 강성 저하를 초래한다. 또, 직동체(2)를 대형화해서 강성을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은,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서 전동체(3)의 단면 바깥쪽이 개방되고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부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띠모양 연결체(9)가 노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띠모양 연결체(9)를 직동체(2)의 직선구멍(11)의 벽면에 가급적 근접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무부하로의 전체둘레가 무부하로 구성 부재에 의해 덮인 구성에 비해, 그만큼 전동체(3)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직선구멍(11)의 직경에 대한 전동체(3)의 길이의 비율을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늘고 긴 전동체(3)를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그에 수반하는 직선구멍(11)의 대경화를 억제할 수 있고, 직동체(2)의 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강성 확보를 위한 직동체(2)의 대형화도 불필요해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레일체(1)에 대해서 직동하는 직동체(2)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체(1)와 상기 직동체(2) 사이에는 전동체(3)가 이동하는 부하로(4)가 마련되고, 이 부하로(4)는 리턴로(5)를 거쳐 상기 직동체(2)에 마련된 무부하로(6)와 연통시켜지고, 이 부하로(4)와 리턴로(5)와 무부하로(6)로 구성된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적어도 좌우 한쌍 형성된 직동 장치로서, 상기 전동체(3)는 길이가 직경의 3배 이상인 원기둥체이고, 상기 전동체(3)는, 인접하는 전동체(3)끼리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스페이서부(8)와 그 스페이서부(8)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띠모양 연결체(9)로 구성된 전동체 보존유지구(10)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보존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를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부하로(6)는, 상기 직동체(2)에 뚫어마련된 직선구멍(11)에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서 상기 전동체(3)의 단면 바깥쪽은 개방되고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상기 연결체(9)가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동체(2)는, 기초부(20)의 좌우에 슬리브부(21·22)가 늘어뜨려져 단면상으로 아래로 향한 'ㄷ'자 모양의 금속제 블록체이며, 좌우의 슬리브부(21·22)의 내면에는 각각, 금속제 레일체(1)의 좌우 측면에 그 레일체(1)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장설치된 단면상 V자 모양의 오목라인부(凹條部)(23)에 끼워맞추도록 배치되는 볼록라인부(凸條部)(2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볼록라인부(24)는 상측 사면(25)과 하측 사면(26)을 상기 오목라인부(24)에 대응하여 V자 모양으로 배치해서 구성되고, 레일체(1)의 오목라인부(23)의 상측 내면(27) 및 이것과 대향하는 볼록라인부(24)의 상측 사면(25)이 상측의 부하로(4), 오목라인부(23)의 하측 내면(28) 및 이것과 대향하는 볼록라인부(24)의 하측 사면(26)이 하측의 부하로(4)를 각각 구성한다. 즉, 본 실시예는, 좌우 한쌍의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상하 1조 마련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면 중, 부호 (29)는 상측 내면(27)과 하측 내면(28)을 연결하는 연결면(23)이다.
직동체(2)에는, 무부하로 구성 부재(12)가 배치되는 단면 원형의 직선구멍(11)이 부하로(4)를 따라 좌우의 슬리브부(21·22) 각각에, 상하 1조로 뚫어져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부하로(4)와 대응하는 무부하로(6)는 하측의 직선구멍(11)에 마련되고(상측의 전동체 무한 순환로), 하측의 부하로(4)와 대응하는 무부하로(6)는 상측의 직선구멍(11)에 마련된다(하측의 전동체 무한 순환로). 즉, 상하의 전동체 무한 순환로는 단면 상에서는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또, 본 실시예의 전동체(3)는, 길이/직경을 3 이상, 구체적으로는 3.8∼4.2로 하고 있다. 종래의 전동체는 길이/직경이 2.0 정도이지만, 길이/직경이 3.8∼4.2인 전동체(3)이면 이하에 설명하는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직동체(2)의 크기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접촉 길이가 긴 다수의 (바늘모양의) 굴림대로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동체(3)는, 인접하는 전동체(3)끼리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스페이서부(8)와 그 스페이서부(8)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띠모양 연결체(9)로 구성된 전동체 보존유지구(10)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보존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8)의 양단을 연결체(9)로 연결한 합성 수지제이며 유연성을 가지는 띠모양이며 사다리모양인 전동체 보존유지구(10)를 이용하고 있다. 즉, 전동체 보존유지구(10)는 띠모양이며, 소정 간격으로 전동체(3)가 자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창구멍이 마련된 구성이다. 부호 (30)은 스페이서부(8)에 마련되는 전동체(3)의 탈락 방지용 발톱부(爪部), (31)은 창구멍의 네모퉁이에 각각 마련된, 전동체(3)의 둘레면을 따라 만곡하는 만곡면을 가지는 전동체 지지용 돌기이다. 도 3에 있어서의 표면측이 레일체(1)의 오목라인부(23) 측과 접촉하고, 이면측이 직동체(2)의 볼록라인부(24)측과 접촉한다.
각 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동체(2)에 뚫어마련된 직선구멍(11)에 삽입되는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고,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의 긴쪽 방향 양단부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는, 긴쪽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직선구멍(11)내에 배치되는 부위(긴쪽 방향 중앙부)에서는 서로 당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의 긴쪽 방향 중앙부끼리의 사이의 공간에 무부하로(6)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의 직선구멍(11)내에 배치되는 긴쪽 방향 중앙부는 판재(19a·19b)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재(19a·19b)의 대향하는 내면끼리에 의해 전동체(3)를 끼워유지한다. 또, 판재(19a·19b)의 내면 중앙부에는 오일저장소(油溜)로서의 덴트(窪)(5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반체(13)의 판재(19a)에는, 상기 오일저장소용의 덴트(57)와 겹치도록 그 덴트(57)보다 폭이 넓고 또한 얕은 단차부(58)가 마련되어 있고, 이 단차부(58)의 양단의 수직 단면이 상기 전동체(3)의 단면과 각각 당접하는 당접 보존유지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판재(19a·19b)끼리의 사이의 공간부 중, 단차부(58)의 수직 단면 사이의 공간은 전동체(3)가 굴러이동하는 무부하로(6)로 되고, 단차부(58)의 수직 단면보다 바깥쪽측은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가 배치되는 틈새(7)로 된다.
또, 제1 반체(13)는, 판재(19a)의 일단측에 제2 반체(14)의 오목부(33b)와 끼워맞추는 볼록부(32a)가, 타단측에 제2 반체(14)의 볼록부(32b)와 끼워맞추는 오목부(33a)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반체(14)는, 판재(19b)의 일단측에 제1 반체(13)의 볼록부(32a)와 끼워맞추는 오목부(33b)가, 타단측에 제1 반체(13)의 오목부(33a)와 끼워맞추는 볼록부(32b)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34a·34b)는 보강 리브이다.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의 볼록부(32a·32b)는, 판재(19a·19b)의 단부에 외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의 오목부(33a·33b)는, 판재(19a·19b)의 단부면에 연결된 그 판재(19a·19b)의 연장설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연장설치되는 입설(立設) 판부(35a·35b)에 마련된 긴 구멍이다. 긴 구멍은 판재(19a·19b)의 내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전동체(3)의 직경 정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제1 반체(13) 및 제2 반체(14)의 볼록부(32a·32b) 및 오목부(33a·33b)를 각각 끼워맞춤으로써, 양자가 그의 긴쪽 방향 중앙부(판재(19a·19b)의 내면)가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이 긴쪽 방향 중앙부(판재(19a·19b))끼리의 사이의 공간이 전동체(3) 및 전동체 보존유지구(10)가 통과하는 영역, 즉 무부하로(6) 및 틈새(7)로 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19a·19b)의 폭방향 양단(전동체(3)의 단면 바깥쪽)은, 개방된 상태로 되고,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부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가 노출하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직선구멍(11)의 벽면과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 사이에 다른 부재가 존재하지 않아, 연결체(9)를 직선구멍(11)의 벽면에 보다 근접시키는 설계가 가능해지고, 그만큼 전동체 배치 영역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입설 판부(35a)의 긴 구멍의 위쪽 위치, 입설 판부(35b)의 긴 구멍의 아래쪽 위치에는, 무부하로(6) 및 틈새(7)와 연통하는 통과 구멍부(36a·36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통과 구멍부(36a·36b)는 적어도 무부하로(6)와 그 양측의 틈새(7)를 합친 폭 이상의 폭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입설 판부(35a·35b)는 직선구멍(11)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걸어고정하고 직동체(2)의 양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직동체(2)와 레일체(1) 사이에는, 도 5∼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로(4)를 이동하는 전동체 보존유지구(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6)가 마련되고, 이 가이드 부재(16)의 양단부에는, 리턴로(5)를 구성하는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가 일체로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6)와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를 따로 따로 마련하는 경우보다, 부하로(4)와 리턴로(5)의 경계선을 가급적 매끄럽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동체의 움직임을 그만큼 매끄럽게 할 수 있고,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 부착 작업도 그만큼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를 하측 혹은 상측의 직선구멍(11)의 무부하로 구성 부재(12)(의 입설 판부(35a·35b))에 연결함으로써, 가이드 부재(16)가 볼록라인부(24)의 상측 사면( 25) 혹은 하측 사면(26)에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직동체(2)에 가이드 부재(16)를 부착함으로써, 가이드 부재(16)의 양단의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와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는, 리턴로(5)와 무부하로(6)가 연통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에는, 부하로(4)와 무부하로(6)를 연결하는 U자 모양의 리턴로(5)로 되는 전동체 보존유지구(10)가 통과하는 통과 홈부(37a·37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가이드 부재(16)는, 그의 양단이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에 일체로 연결된 상하 한쌍의 바(棧) 부재(38)이며, 직동체(2)의 볼록라인부(24)의 상측 사면(25) 및 하측 사면(26)의 상단 위치 및 하단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이 바 부재(38)에는, 전동체(3)의 단면을 가이드하는 단면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 부재(38)의 한쪽은, 통과 홈부(37a)의 상측부가 형성되는 일단측 반체(39a) 및 통과 홈부(37b)의 상측부가 형성되는 타단측 반체(39b)가 양단에 마련되고, 다른쪽은, 통과 홈부(37a)의 하측부가 형성되는 일단측 반체(40a) 및 통과 홈부(37b)의 하측부가 형성되는 타단측 반체(40b)가 양단에 마련된 구성이며, 양자를 통과 홈부(37a·37b)가 형성되도록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가이드 부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하 한쌍의 바 부재(38)에는 각각, 직동체(2)의 상측 사면(25) 혹은 하측 사면(26)으로부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가 배치되는 분만큼 떼어놓아 세워설치된 입설 벽부(42)가 마련되고, 이 입설 벽부(42)의 선단면이 상기 단면 가이드부에 설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는, 상기 입설 벽부(42)와 상측 사면(25) 혹은 하측 사면(26)과의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설 벽부(42)의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연결체(9)측의 면은,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의 통과 홈부(37a·37b)의 외주 측면과 매끄럽게 연속한다. 또한,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의 통과 홈부(37a·37b)의 내주 측면은 상측 사면(25) 혹은 하측 사면(26)과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동체(3)의 길이/직경을 크게 하면(전동체 배치 영역을 넓게 확보하면), 그만큼 바 부재(38)를 가늘게 할 필요가 있고, 바 부재(38)의 강도에 염려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의 전동체 무한 순환로(부하로(4))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16)끼리는 그 가이드 부재(16)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18)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보강 부재(18)는, 수직 판부 및 이것과 직교하는 수평 판부로 이루어지는 단면상 T자 모양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면상 L자 모양의 판재(43)를 등맞댐으로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판재(43)는 수직 판부보다 수평 판부 쪽이 길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4)는 보강 부재 배치용 홈이다.
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6)의 일단측의 리턴로 구성 부재(17a)에는, 타단측의 리턴로 구성 부재(17b)의 외주의 피감합부(被嵌合部)(46)를 끼워맞추는 감합 오목부(45)가 마련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45)와 피감합부(46)는, 이들을 끼워맞췄을 때에, 서로의 가이드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부하로(4) 및 리턴로(5)가 교차하는 위치 관계로 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18)를 상하의 가이드 부재(16)로 끼우도록 감합 오목부(45)와 피감합부(46)를 서로 끼워맞추게 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화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직동체(2)에, 무부하로 구성 부재(12)의 단면에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의 개구측 단면을 걸어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부하로 구성 부재(12)의 입설 판부(35a·35b)의 피계지부(被係止部)에,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의 계지 발톱(56)을 걸어고정시킴으로써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리턴로 구성 부재(17a)의 일부(A부분)가 절결되고, 리턴로(5)의 외주 측면이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의 외측에 이들을 덮어씌워 끼우(被嵌)도록 마련되는 엔드 캡(47)의 내면에 리턴로(5)의 외주 측면의 일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리턴로(5)는, 리턴로 구성 부재(17a·17b) 및 엔드 캡(47)에 의해 형성된다. 엔드 캡(47)에는, 그리스 등을 급유하기 위한 급유구멍(48)이 마련되어 있고, 엔드 캡(47)내의 급유로를 통해 리턴로(5)에 급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드 캡(47)의 외측에는 급유구멍(48)을 노출시키는 개구부(53)를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단면 씰 부재(49)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50)은 엔드 캡 (47) 및 단면 씰 부재(49)를 직동체(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나사, (51)은 상측 씰 부재, (52)는 하측 씰 부재, (54)는 부착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구멍, (55)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가공에 의해 급유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급유구멍 형성용 구멍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전동체(3)를 길이가 직경의 3배 이상인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촉 길이가 긴 전동체(3)를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고, 그만큼 강성 및 내하중성이 향상한다. 또, 고밀도로 배치된 전동체(3)에 의해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구르기 운동에 기인하는 진동(통과 진동이나 위빙)이 작아지고, 안내 정밀도도 향상한다.
또, 무부하로(6)의 폭방향 양단부가 개방되고 무부하로 구성 부재(12)로부터 전동체 보존유지구(10)의 띠모양 연결체(9)가 노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띠모양 연결체(9)를 직동체(2)의 직선구멍(11)의 벽면에 가급적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부하로의 전체둘레가 무부하로 구성 부재에 의해 덮인 구성에 비해, 그만큼 전동체(3)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직선구멍(11)의 직경에 대한 전동체(3)의 길이의 비율을 가급적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늘고 긴 전동체(3)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그에 수반하는 직선구멍(11)의 대경화를 억제할 수 있고, 직동체(2)의 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강성 확보를 위한 직동체(2)의 대형화도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보다 고강성·고내하중이며 안내 정밀도가 우수한 것으로 된다.

Claims (8)

  1. 레일체에 대해서 직동하는 직동체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체와 상기 직동체 사이에는 전동체가 이동하는 부하로가 마련되고, 이 부하로는 리턴로를 거쳐 상기 직동체에 마련된 무부하로와 연통시켜지고, 이 부하로와 리턴로와 무부하로로 구성된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적어도 좌우 한쌍 형성된 직동 장치로서, 상기 전동체는 길이가 직경의 3배 이상인 원기둥체이며, 상기 전동체는, 인접하는 전동체끼리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스페이서부와 그 스페이서부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띠모양 연결체로 구성된 전동체 보존유지구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보존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를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부하로는, 상기 직동체에 뚫어마련된 직선구멍에 무부하로 구성 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무부하로 구성 부재의 측방은 개방되어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의 상기 연결체가 배치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틈새에 설정되어 있고, 이 틈새로부터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의 상기 연결체가 노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선구멍에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상기 직선구멍의 벽면과 대향 근접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의 긴쪽 방향에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는, 제1 반체 및 제2 반체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체 및 상기 제2 반체의 양단부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체 및 상기 제2 반체는, 상기 직선구멍내에 배치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서로 당접하지 않고 이간하며 상기 무부하로 및 상기 틈새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는, 제1 반체 및 제2 반체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체 및 상기 제2 반체의 양단부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체 및 상기 제2 반체는, 상기 직선구멍내에 배치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서로 당접하지 않고 이간하며 상기 무부하로 및 상기 틈새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동체와 상기 레일체 사이에는, 상기 전동체 보존유지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고, 이 가이드 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리턴로를 구성하는 리턴로 구성 부재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가 상하 1조 마련되어 있고, 상하의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는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하의 상기 전동체 무한 순환로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 부재끼리는 그 가이드 부재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거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단의 상기 리턴로 구성 부재와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는, 상기 리턴로와 상기 무부하로가 연통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양단의 상기 리턴로 구성 부재와 상기 무부하로 구성 부재는, 상기 리턴로와 상기 무부하로가 연통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동 장치.
KR1020197001124A 2016-09-02 2017-08-07 직동 장치 KR102101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1692A JP6436949B2 (ja) 2016-09-02 2016-09-02 直動装置
JPJP-P-2016-171692 2016-09-02
PCT/JP2017/028575 WO2018043045A1 (ja) 2016-09-02 2017-08-07 直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044A KR20190017044A (ko) 2019-02-19
KR102101589B1 true KR102101589B1 (ko) 2020-04-16

Family

ID=6130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124A KR102101589B1 (ko) 2016-09-02 2017-08-07 직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20022B2 (ko)
EP (1) EP3508741B1 (ko)
JP (1) JP6436949B2 (ko)
KR (1) KR102101589B1 (ko)
CN (1) CN109642609B (ko)
TW (1) TWI731156B (ko)
WO (1) WO2018043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6149B (zh) * 2020-08-18 2024-03-15 银泰科技股份有限公司 可封闭滚柱式线性滑轨入料口的加强构造
CN114704550B (zh) * 2022-06-06 2022-08-12 河北维迪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直线导轨滑块
JP2024003467A (ja) * 2022-06-27 2024-01-15 日本ベアリング株式会社 直動装置
JP2024003469A (ja) * 2022-06-27 2024-01-15 日本ベアリング株式会社 直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1143A (ja) * 1989-09-22 1991-05-10 Yamazaki Mazak Corp ローラガイド及び支持構造
JP3111143B2 (ja) 1994-07-07 2000-11-20 株式会社クボタ 結束装置
JP4502290B2 (ja) * 1999-09-10 2010-07-14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JP4998912B2 (ja) * 2001-04-11 2012-08-15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及びローラ連結体
JPWO2005010384A1 (ja) * 2003-07-25 2006-11-30 Thk株式会社 偏荷重防止機構を備えた直線案内装置
JP2005127337A (ja) * 2003-10-21 2005-05-19 Nsk Ltd リニアガイド装置
TWI234616B (en) * 2004-08-30 2005-06-21 Hiwin Tech Corp Roller-type linear guideway
JP5157439B2 (ja) * 2007-12-28 2013-03-06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装置
US7802921B2 (en) * 2008-03-11 2010-09-28 Precision Motion Industries, Inc. Sliding-assistance unit for a linear motion apparatus
DE102008019002A1 (de) * 2008-04-16 2009-10-22 Robert Bosch Gmbh Linearwälzlager mit gesonderten Wälzflächenteilen
JP5732830B2 (ja) * 2010-11-30 2015-06-10 日本精工株式会社 ニードル軸受
DE102010054691A1 (de) * 2010-12-16 2012-06-21 Robert Bosch Gmbh Führungswagen mit federnd eingespanntem Rücklaufrohr
JP2012229752A (ja) * 2011-04-26 2012-11-22 Nsk Ltd リニアガイド装置のスライダ
CN103097752B (zh) * 2011-09-07 2016-03-09 日本精工株式会社 直线运动装置
JP6118532B2 (ja) * 2011-10-28 2017-04-19 Thk株式会社 循環部材、運動案内装置、ボールねじ装置
JP6171391B2 (ja) 2012-02-22 2017-08-02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案内装置
JP5265793B1 (ja) * 2012-03-13 2013-08-14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
JP6185752B2 (ja) * 2012-05-11 2017-08-23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JP2014025509A (ja) * 2012-07-25 2014-02-06 Thk Co Ltd 運動案内装置
CN103765024B (zh) * 2012-08-27 2016-05-11 日本精工株式会社 端盖、具有端盖的直动引导装置
JP5686910B2 (ja) * 2013-01-31 2015-03-18 Thk株式会社 運動案内装置
JP5494850B2 (ja) * 2013-02-08 2014-05-21 日本精工株式会社 直動装置
JP5721769B2 (ja) * 2013-05-01 2015-05-20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
JP6236261B2 (ja) * 2013-09-11 2017-11-22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案内ユニット
US9046129B1 (en) * 2013-11-08 2015-06-02 Ome Technology Co., Ltd. Linear guideway and circulation module thereof
JP6329364B2 (ja) * 2013-12-06 2018-05-23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転動体間にセパレータを配設した直動案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2609A (zh) 2019-04-16
KR20190017044A (ko) 2019-02-19
CN109642609B (zh) 2020-06-23
EP3508741A4 (en) 2020-06-17
WO2018043045A1 (ja) 2018-03-08
EP3508741B1 (en) 2021-06-23
US10520022B2 (en) 2019-12-31
TWI731156B (zh) 2021-06-21
JP2018035917A (ja) 2018-03-08
US20190316631A1 (en) 2019-10-17
JP6436949B2 (ja) 2018-12-12
EP3508741A1 (en) 2019-07-10
TW201825798A (zh)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589B1 (ko) 직동 장치
JP5724894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4505397B2 (ja) 直動案内ユニット
US7832930B2 (en) Linear motion guide unit
TWI661136B (zh) Linear guide
JP4965362B2 (ja) ローラ形式の直動案内ユニット
JP6171391B2 (ja) 直動案内装置
JP4340617B2 (ja) 直動案内ユニット
JP5741538B2 (ja) 直動案内装置
JP2018035917A5 (ko)
JP5721769B2 (ja) 転がり案内装置
JP4469705B2 (ja) 直動案内ユニット
JP2015110961A (ja) 転動体間にセパレータを配設した直動案内ユニット
TWI512208B (zh) Movement guide device
KR102521772B1 (ko) 운동 안내 장치
JP5131225B2 (ja) 直動案内装置
KR20220031673A (ko) 운동 안내 장치 및 운동 안내 장치에서 사용되는 윤활 경로 구성요소
JP2007046690A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2005201318A (ja) ローラチェーン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案内ユニット
JP6315457B2 (ja) 転がり案内装置
JP2008275069A (ja) エンド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リニアガイド
JP3188146U (ja) リニアガイド及びその保持器
JP5063552B2 (ja) 運動案内装置
JP5434796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の潤滑構造
JP2012180855A (ja) カバー付き運動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