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830B1 -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 Google Patents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30B1
KR102075830B1 KR1020177036920A KR20177036920A KR102075830B1 KR 102075830 B1 KR102075830 B1 KR 102075830B1 KR 1020177036920 A KR1020177036920 A KR 1020177036920A KR 20177036920 A KR20177036920 A KR 20177036920A KR 102075830 B1 KR102075830 B1 KR 10207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olarization
film
polarization par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238A (ko
Inventor
시노부 나가노
마사히로 야에가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51/529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8Polarisers with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larisation dire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형상의 요철이 적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로서, 그 비편광부의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이다. 이와 같은 편광자이면, 비편광부의 형상의 찌그러진 부분이 적고, 예를 들어, 이 편광자의 비편광부를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얼라인먼트 가공성이 향상되고, 카메라의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POLARIZER HAVING NON-POLARIZING PART}
본 발명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C)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카메라 등의 내부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성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7). 그러나, 스마트 폰, 터치 패널식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카메라 성능 등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 화상 표시 장치의 형상의 다양화 및 고기능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요망을 공업적 및 상업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허용 가능한 비용으로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그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요망되는 바, 그러한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토 사항이 남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은 편광 성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요구된다. 부분적인 편광 성능을 갖는 부분의 형상이 찌그러진 경우, 카메라의 위치 맞춤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813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1314호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04/0212555호 명세서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2-0118205호 한국 특허공보 제10-129321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77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1154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형상의 요철이 적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로서, 그 비편광부의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 함유량은 1.0 중량%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편광부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함유량은 3.6 중량%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비편광부는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편광부의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인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광자이면, 비편광부의 형상의 찌그러진 부분이 적고, 예를 들어, 이 편광자의 비편광부를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얼라인먼트 가공성이 향상되고, 카메라의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의 평면도이다.
도 2a 는, 형상 정합도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 (실선) 가 실제로 형성된 비편광부의 외주 (비편광부 근사원) (파선) 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의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주의 거리 a 를 나타낸다.
도 2b 는, 형상 정합도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 (실선) 가 실제로 형성된 비편광부의 외주 (파선) 의 내측에 있는 경우의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주의 거리 b 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편광 필름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편광자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자의 평면도이다. 편광자 (1) 에는, 비편광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비편광부 (2) 는, 편광자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을 다른 부분 (즉, 편광 성능을 갖는 부분) 보다 적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편광자에, 기계적으로 (구체적으로는, 조각날 타발, 플로터, 워터 제트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뽑아 버리는 방법에 의해)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크랙, 디라미네이션 (층간 박리), 풀 비어져나옴 등의 품질상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 자체를 적게 함으로써,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는 비편광부의 투과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소원형 (小圓形) 의 비편광부 (2) 가 편광자의 상단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비편광부의 배치 및 사이즈 등은,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의 위치 및 사이즈 등에 따라 설계된다. 구체적으로는,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비편광부가 대응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비편광부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정방형, 사각형, 마름모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의 비편광부는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25 이하이다. 형상 정합도는,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에 대하여, 실제로 형성된 비편광부의 형상의 방사 방향의 요철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이면, 설계한 비편광부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비편광부의 형상의 요철이 적은, 즉, 보다 원하는 형상 (설계한 형상) 에 가까운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편광자를 그 편광자의 비편광부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사용하는 경우, 얼라인먼트 가공성이 향상되고, 카메라의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형상 정합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형상 정합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산출한 값을 말한다.
형상 정합도의 산출 방법에 대해, 비편광부가 원인 경우를 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화상 센서를 사용하여, 형성된 비편광부의 에지 검출을 실시하고, 형성된 비편광부 (비편광부 근사원) 의 외주를 검출한다. 여기서, 비편광부와 편광부의 경계는,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와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와 실제로 형성된 비편광부 (비편광부 근사원) 의 외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 및 도 2b 에 있어서, 실선은 실제로 형성된 비편광부의 외주를, 파선은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를 각각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의 외측에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주가 위치하는 경우 (즉, 도 2a 의 경우),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주의 거리 a 를 측정한다. 또,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의 내측에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주가 위치하는 경우 (즉, 도 2b 의 경우), 설계한 비편광부의 외주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주의 거리 b 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비편광부 근사원의 중심각 2° 마다, 합계 180 점에서 측정을 실시한다. 각 점에서 측정한 값으로부터, a 의 최대치 및 b 의 최대치를 각각 결정한다. 결정한 최대치를 각각 설계한 비편광부의 직경으로 나눈 값의 합계를 형상 정합도로 한다.
형상 정합도 = 거리 a 의 최대치/설계한 비편광부의 직경 + 거리 b 의 최대치/설계한 비편광부의 직경
또한, 비편광부가 원 이외의 형상인 경우, 이하와 같이 하여 형상 정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한 비편광부가 타원형인 경우, 직경 대신에, 설계한 타원의 중심과 거리 a 또는 b 가 최대가 되는 점을 이은 직선과 타원의 외주와의 교점 x 및 x' 의 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설계한 비편광부가 정다각형인 경우, 그 정다각형의 외접원의 중심과 거리 a 또는 b 가 최대가 되는 점을 이은 직선과 정다각형의 외주와의 교점 y 및 y' 의 거리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편광자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킴으로써, 편광자에 포함되는 요오드 착물이 환원되어 편광자로부터 제거되고, 그 결과, 부분적인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자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가 양호하게 얻어지기 때문이다.
편광부 (2) 는, 편광자 (1) 의 다른 부분 (편광 성능을 갖는 부분) 과 비교하여, 이색성 물질 함유량이 적은 부분이다. 비편광부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이다. 또,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 함유량의 하한값은, 통상적으로, 검출 한계치 이하이다.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비편광부에 원하는 투명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비편광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밝기 및 색미의 양방의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촬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편광부의 요오드 함유량은, 형광 X 선 분석으로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구한 값을 말한다.
편광자의 비편광부 이외의 부분 (편광 성능을 갖는 부분) 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과, 비편광부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다. 비편광부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과 비편광부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의 차가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비편광부가 충분한 투명성을 갖고 있으며, 예를 들어, 화상 표시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비편광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편광부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함유량이 3.6 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다. 비편광부에 있어서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비편광부의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 비편광부를 실현할 수 있다). 당해 함유량은, 예를 들어, 형광 X 선 분석에 의해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유량은,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있어서, 접촉부에 있어서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비편광부의 투과율 (예를 들어,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투과율)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투과율이면, 비편광부로서의 원하는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비편광부를 사용한 경우에, 카메라의 촬영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자 (비편광부를 제외한다) 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 ∼ 780 ㎚ 의 범위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 (비편광부를 제외한다) 의 단체 투과율 (Ts) 은, 바람직하게는 39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9.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5 % 이상이다. 또한, 단체 투과율의 이론상의 상한은 50 % 이고, 실용적인 상한은 46 % 이다. 또, 단체 투과율 (Ts) 은, JIS Z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며, 예를 들어, 현미 분광 시스템 (람다비전 제조, LVmicro)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편광자 (비편광부를 제외한다) 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이다. 한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킴으로써, 비편광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킨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보다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얇은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킨 부분과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의 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보호 필름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첩합 (貼合) 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편광자의 형성 재료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 라고 칭한다) 가 사용된다. PVA 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적으로 85 몰% 이상 100 몰%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해 버릴 우려가 있다.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적으로 1000 ∼ 10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 ∼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3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는 장척상 (長尺狀) 이며, 형상 정합도 0.05 이하인 비편광부가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즉,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자는, 재단되어 화상 표시 장치에 탑재되는 편광자의 사이즈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의 위치에 맞추어 비편광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를 얻을 때의 수율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비편광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에 있어서의 비편광부의 위치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지는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마다의 비편광부의 위치의 편차가 작아지므로, 품질에 편차가 없는 최종 제품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 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는, 화상 표시 장치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에 공헌할 수 있다.
B. 편광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편광자는, 예를 들어,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하도록 표면 보호 필름으로 피복된 상태에서, 그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켜, 비편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과 그 수지 필름의 일방면측에 배치된 표면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그 일방면측에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 노출된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가 사용된다.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편광자의 원하는 부분 (즉, 노출부로부터 노출된 부분) 만을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킬 수 있다. 편광자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포함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고, 다른 부분보다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낮은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편광 필름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보호 필름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을 사용한다.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편광자 (10)/보호 필름 (20) 의 적층체의 편광자 (10) 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 (50) 이 점착제층 (60) 을 개재해서 적층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 (50) 은, 관통공 (71) 을 갖는다.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관통공 (71) 으로부터 편광자 (10) 가 노출된 노출부 (51) 를 갖는다. 표면 보호 필름 (50) 은, 편광판 (실질적으로는, 편광자 (10)) 에 박리 가능하도록 적층된다. 또한, 편광판의 형태 이외의 형태를 갖는 편광자 (예를 들어, 단일 수지 필름인 편광자,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 에 대해서도 동일한 순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관통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50) 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에, 다른 표면 보호 필름 (도 3 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필름 (30)) 이 더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관통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50) 을 제 1 표면 보호 필름, 편광 필름 적층체 (100) 의 관통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적층된 표면 보호 필름 (30) 을 제 2 표면 보호 필름이라고도 한다.
B-1-1.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는, 상기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색성 물질로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킴으로써, 요오드 착물이 환원되어 요오드의 함유량이 저감되고, 그 결과,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절한 특성을 갖는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은, 편광자로서 기능할 수 있는 필름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은, 팽윤 처리, 연신 처리, 상기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의 각종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자로서 기능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 수지 필름은, 기재 상에 형성된 수지층이어도 된다. 기재와 수지층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기재에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염색 처리는, 예를 들어, 염색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염색액으로는, 요오드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4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 15 중량부이다.
상기 연신 처리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3 배 ∼ 7 배로 1 축 연신된다. 또한, 연신 방향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편광자 (수지 필름) 에는 붕산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신 처리, 가교 처리 등 할 때에, 붕산 용액 (예를 들어, 붕산 수용액) 을 접촉시킴으로써 붕산이 포함될 수 있다.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붕산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 중량% ∼ 30 중량% 이다. 또, 후술하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붕산 함유량은, 예를 들어 5 중량% ∼ 12 중량% 이다.
또, 상기 수지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표면 개질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개질 처리는, 수지 필름 전체에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원하는 부분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부분) 에만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개질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진공 UV 조사, 임의의 적절한 표면 개질제의 도포 등을 들 수 있다.
B-1-2.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 (50) 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고자 하는 부분 (즉,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 (51) 에 상당하는 부분) 에 대응하는 관통공 (71) 이 형성된다.
표면 보호 필름의 관통공은, 예를 들어, 기계적 타발 (예를 들어, 펀칭, 조각날 타발, 플로터, 워터 제트) 또는 표면 보호 필름의 소정 부분의 제거 (예를 들어, 레이저 어블레이션 또는 화학적 용해)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경도 (예를 들어, 탄성률) 가 높은 필름이 바람직하다. 관통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의 관통공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이다. 이와 같은 재료이면, 탄성률이 충분히 높고, 관통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 ㎛ ∼ 150 ㎛ 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2.2 kN/㎟ ∼ 4.8 kN/㎟ 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탄성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관통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탄성률은, JIS K 6781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표면 보호 필름의 인장 신장도는, 바람직하게는 90 % ∼ 170 % 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인장 신장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중에 잘 파단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인장 신장도는, JIS K 6781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B-1-3. 점착제층
점착제층 (60)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여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키는 경우, 노출부의 표면 보호 필름 및 점착제층에 기포가 부착함으로써,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충분히 접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노출부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나 노출부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이 영향이 현저해지고,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점착제의 표면 장력에 의해 노출부 내에 기포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고,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얻어진다.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지 성분 및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전이 온도 Tg 가 0 ℃ 이하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를 들 수 있다. 10 ㎛ 이하의 두께이더라도 표면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적층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로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이하,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도 한다) 를 적어도 1 종 포함하는 아크릴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50 중량% ∼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4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4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점착력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다른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는,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의 응집력·내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모노머 성분이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에테르류 등의 접착력 향상이나 가교화 기점으로서 기능하는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을 들 수 있다. 다른 모노머 성분은,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류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류로는, 예를 들어, 비닐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모노머 성분은, 예를 들어, 점착력을 조정하기 쉽다는 점에서, 얻어지는 폴리머의 Tg 가 0 ℃ 이하가 되도록 사용된다. 또한, 폴리머의 Tg 는, 예를 들어, ―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10 만 이상이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임의의 적절한 중합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塊狀) 중합, 현탁 중합 등 아크릴 폴리머의 합성 수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중합 방법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베이스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수지로는, 폴리에테르 수지, 변성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수지의 함유 비율은 2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지 성분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제, 커플링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미끄러짐성 향상제, 젖음성 향상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가교 촉진제, 가교 촉매,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 분말, 안료 등의 분체, 입자상, 박상물 (箔狀物)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1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당해 점착제층을 표면 보호 필름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법으로는, 예를 들어,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딥핑법, 스프레이법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과 그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이며, 그 수지 필름과 그 점착제층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다. 제 1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 시트인 경우, 장척상의 편광자와 장척상의 제 1 표면 보호 필름의 첩합을 롤 투 롤로 실시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가 박리 가능하도록 임시 접착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실용에 제공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사슬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코트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 100 ㎛ 이다. 세퍼레이터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에 적층해도 되고,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세퍼레이터와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에 적층해도 된다.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표면 보호 필름 (50) 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제 2 표면 보호 필름 (30) 이 더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 1 표면 보호 필름 (50) 과 동일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표면 보호 필름으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부드러운 (예를 들어, 탄성률이 낮은)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제 2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편광판 (편광자/보호 필름) 을 더욱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편광자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보다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B-2.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
이어서,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다.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노출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되고, 그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됨으로써 비편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편광 필름 적층체에 사용되는 편광자로는, 상기와 같이,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편광자가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경우, 편광자의 노출부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노출부의 요오드 함유량을 저감시키고, 결과적으로, 노출부에만 선택적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잡한 조작을 수반하는 일 없이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편광자의 소정의 부분에 선택적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 요오드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 요오드 착물을 파괴하여 비편광부를 형성하였다고 해도,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여 재차 요오드 착물이 형성되고, 비편광부가 원하는 특성을 갖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오드 자체가 편광자 (실질적으로는, 비편광부) 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는 비편광부의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지, 적하, 도공, 스프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표면 보호 필름 (및, 필요에 따라 제 2 표면 보호 필름) 을 사용함으로써,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편광자에 포함되는 요오드 함유량이 저감하지 않기 때문에, 침지에 의해 원하는 부분에만 비편광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염기성 용액에 편광 필름 적층체를 침지함으로써, 편광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의 노출부만이 염기성 용액과 접촉한다.
염기성 용액에 의한 비편광부의 형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와의 접촉 후, 염기성 용액은 노출부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내부로 침투한다. 편광자에 포함되는 요오드 착물은 염기성 용액에 포함되는 염기에 의해 환원되고, 요오드 이온이 된다. 요오드 착물이 요오드 이온으로 환원됨으로써, 노출부로부터 노출된 편광자의 편광 성능이 실질적으로 소실되고, 노출부에 비편광부가 형성된다. 또, 요오드 착물의 환원에 의해, 노출부의 투과율이 향상된다. 요오드 이온이 된 요오드는, 노출부로부터 염기성 용액의 용매 중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염기성 용액과 함께 요오드 이온도 편광자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편광자의 소정 부분에 선택적으로 비편광부가 형성되고, 또한, 당해 비편광부는 시간 경과 변화가 없는 안정된 것이 된다. 또한, 제 1 표면 보호 필름의 재료, 두께 및 기계적 특성, 염기성 용액의 농도, 그리고 편광 필름 적층체의 염기성 용액으로의 침지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염기성 용액이 소망하지 않는 부분까지 침투하는 것 (결과적으로, 소망하지 않는 부분에 비편광부가 형성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용액에 포함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 금속염,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유기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에 포함되는 염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이다.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요오드 착물을 효율적으로 이온화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용매로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요오드 이온이 양호하게 용매로 이행하고, 용이하게 요오드 이온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매는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염기성 용액의 농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효율적으로 편광자 내부의 요오드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노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요오드 착물의 이온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편광 필름 적층체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노출부) 와 염기성 용액의 접촉 시간은, 편광자의 두께, 사용하는 염기성 용액에 포함되는 염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염기성 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
B-3.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저감
상기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후,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 접촉부에 있어서,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킨다.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비편광부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습 환경하에 있어서도,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에 의해 형성된 비편광부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이 잔존할 수 있다. 또, 수지 필름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들은 수산화물 이온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수산화물 이온은, 접촉부 주위에 존재하는 이색성 물질 (예를 들어, 요오드 착물) 에 작용 (분해·환원) 하여, 비편광 영역 (저농도 영역) 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저감시킴으로써, 시간 경과적으로 비편광 영역이 넓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원하는 비편광부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수산화물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금속염으로는, 예를 들어, 붕산염을 들 수 있다. 붕산염은,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붕산이 염기성 용액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의 용액) 에 중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붕산염 (메타붕산염) 은, 예를 들어, 편광자가 가습 환경하에 놓여짐으로써, 하기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수 분해되어 수산화물 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27758136-pct00001
(식 중, X 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부 (비편광부) 에 있어서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함유량이 3.6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가 되도록 당해 함유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수지 필름에는, 편광자로 하기 위한 각종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미리,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의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수지 필름에 칼륨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편광자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은, 상기 비편광부의 치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저감 방법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수지 필름으로부터 처리액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이행시켜, 그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처리액의 접촉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에 대하여, 처리액을 적하, 도공, 스프레이하는 방법,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를 처리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의 접촉시에, 임의의 적절한 보호재 (예를 들어, 상기 표면 보호 필름) 로 수지 필름을 보호한 경우, 그대로의 상태에서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처리액의 온도가 50 ℃ 이상인 경우).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면,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부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 처리액에 의한 편광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처리액은,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효율적으로 이행시키는 관점에서,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돗물, 순수, 탈이온수 등을 들 수 있다.
접촉시의 처리액의 온도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온도이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처리액에 효율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의 팽윤율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물의 온도는, 실질적으로는 95 ℃ 이하이다.
접촉 시간은, 접촉 방법, 처리액 (물) 의 온도, 수지 필름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에 침지하는 경우, 접촉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초 ∼ 3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초 ∼ 15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초 ∼ 10 분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액으로서 산성 용액이 사용된다. 산성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필름에 잔존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을 중화하여,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산성 용액에 포함되는 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불화수소, 붕산 등의 무기산, 포름산, 옥살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용액에 포함되는 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질산이다. 이들 산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산성 화합물로서, 붕산보다 산성도가 강한 산성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염 (붕산염) 에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붕산염으로부터 붕산을 유리시켜,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화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산성도의 지표로는, 예를 들어, 산해리 상수 (pKa) 를 들 수 있으며, 붕산의 pKa (9.2) 보다 pKa 가 작은 산성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pKa 는, 바람직하게는 9.2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pKa 는 임의의 적절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해도 되고, 화학 편람 기초편 개정 5 판 (일본 화학회편, 마루젠 출판) 등의 문헌에 기재된 값을 참조해도 된다. 또, 다단 해리하는 산성 화합물에서는, 각 단계에서 pKa 의 값이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 단계의 pKa 의 값 중 어느 것이 상기의 범위 내인 것이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pKa 는 25 ℃ 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값을 말한다.
산성 화합물의 pKa 와 붕산의 pKa 의 차는, 예를 들어 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 ∼ 1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13 이다. 이와 같은 범위이면,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처리액에 효율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편광부에 있어서의 원하는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함유량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pKa 를 만족할 수 있는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pKa:―3.7), 황산 (pK2:1.96), 질산 (pKa:―1.8), 불화수소 (pKa:3.17), 붕산 (pKa:9.2) 등의 무기산, 포름산 (pKa:3.54), 옥살산 (pK1:1.04, pK2:3.82), 시트르산 (pK1:3.09, pK2:4.75, pK3:6.41), 아세트산 (pKa:4.8), 벤조산 (pKa:4.0)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성 용액 (처리액) 의 용매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처리액으로서 산성 용액을 사용하는 본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수지 필름 내의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물리적인 제거는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상기 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산성 용액에 대한 접촉 시간은, 수지 필름의 두께나, 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산성 용액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
수지 필름은 상기 처리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다른 처리를 추가로 실시받을 수 있다. 다른 처리로는, 염기성 용액 및/또는 산성 용액의 제거, 그리고, 세정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 및/또는 산성 용액의 제거 방법의 구체예로는, 웨이스트 등에 의한 닦아내기 제거, 흡인 제거, 자연 건조, 가열 건조, 송풍 건조, 감압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20 ℃ ∼ 100 ℃ 이다. 건조 시간은 예를 들어 5 초 ∼ 600 초이다.
세정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세정 처리에 사용하는 용액은, 예를 들어, 순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산성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단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세정 처리는 복수 회 실시해도 된다.
C. 편광판
편광자는, 실용적으로는 편광판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갖는다. 실용적으로는, 편광판은, 최외층으로서 점착제층을 갖는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측의 최외층이 된다. 점착제층에는, 세퍼레이터가 박리 가능하도록 임시 접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100 ㎛ 이다.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층 (구체적으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을 개재해서 편광자에 적층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PVA 계 접착제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
편광판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광학 기능층의 대표예로는, 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표면 처리층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 위상차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광학 특성 (예를 들어, 굴절률 타원체,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은, 목적, 화상 표시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가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굴절률 타원체가 nx > ny > nz 인 위상차 필름 및 굴절률 타원체가 nz > nx > ny 인 위상차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이 보호 필름을 겸해도 된다. 이 경우, 보호 필름은 생략될 수 있다. 반대로, 보호 필름이, 광학 보상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즉, 목적에 따른 적절한 굴절률 타원체,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nx」 는 필름면 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고, 「ny」 는 필름면 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이고, 「nz」 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표면 처리층은, 편광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의 대표예로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안티글레어층을 들 수 있다. 표면 처리층은, 예를 들어, 편광자의 가습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투습도가 낮은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편광판 표면의 흠집 발생 방지 등을 목적으로 형성된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절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으로는, 연필 경도가 2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형성되는 저반사층이다. 반사 방지층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48173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한 반사광의 제거 효과를 이용하여 반사를 방지하는 박층 (薄層) 타입,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759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표면에 미세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저반사율을 발현시키는 표면 구조 타입을 들 수 있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하여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형성된다. 안티글레어층은,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粗面化) 방식,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된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하여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표면 처리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시인측의 보호 필름의 표면에 동일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D.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자를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이 액정 셀의 편측 혹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시인측에 상기 편광자가 배치된 유기 EL 패널을 구비한다. 편광자는, 비편광부가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척상 (폭 1200 ㎜, 길이 43 m) 의 두께 38 ㎛ 의 PET 필름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 (주) 제조, 상품명:다이아호일 T100C) 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를 첩합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에, 피나클 날을 사용하여 원형의 작은 구멍을 1000 개 형성하였다. 각 작은 구멍은, 세로 250 ㎜, 가로 400 ㎜ 간격으로 형성하였다. 직경 2 ㎜ 의 원형의 작은 구멍을 형성하였다.
기재로서, 장척상이고, 흡수율 0.75 %, Tg 75 ℃ 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A 공중합 PET) 필름 (두께:100 ㎛) 을 사용하였다.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 몰%) 및 아세트아세틸 변성 PVA (중합도 1200, 아세트아세틸 변성도 4.6 %, 비누화도 99.0 몰% 이상,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를 9:1 의 비로 포함하는 수용액을 25 ℃ 에서 도포 및 건조시켜, 두께 11 ㎛ 의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20 ℃ 의 오븐 내에서 주속 (周速) 이 상이한 롤간에서 세로 방향 (긴쪽 방향) 으로 2.0 배로 자유단 1 축 연신하였다 (공중 보조 연신).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30 ℃ 의 불용화 욕 (浴)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염색 욕에,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1.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 초간 침지시켰다 (염색 처리).
이어서, 액온 30 ℃ 의 가교 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3 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 ℃ 의 붕산 수용액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상이한 롤간에서 세로 방향 (길이 방향) 으로 총연신 배율이 5.5 배가 되도록 1 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수중 (水中) 연신).
그 후, 적층체를 액온 30 ℃ 의 세정 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켰다 (세정 처리).
계속해서, 적층체의 PVA 계 수지층 표면에, PVA 계 수지 수용액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등록상표) Z-200」, 수지 농도:3 중량%) 을 도포하여 보호 필름 (두께 25 ㎛) 을 첩합하고, 이것을 60 ℃ 로 유지한 오븐으로 5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기재를 PVA 계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하고, 투과율 42.3 %, 두께 5 ㎛ 의 편광자를 갖는 편광판 (폭:1200 ㎜, 길이:400 m) 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자측 표면에,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점착 시트를 점착제층을 개재해서 첩합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온의 염기성 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ℓ (1 N)) 에 8 초간, 0.1 ㏖/ℓ (0.1 N) 의 염산에 30 초간 각각 침지시켰다. 그 후, 60 ℃ 에서 건조시키고, PET 필름을 박리하고,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점착제층의 두께를 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1)
점착제층의 두께를 3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2)
점착제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3)
점착제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3]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4]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한 편광자의 투명부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투과율, 요오드 함유량, 나트륨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1. 투과율 (Ts)
분광 광도계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주) 제조 제품명 「DOT-3」)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율 (T) 은, JlS Z 8701-1982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다.
2. 요오드 함유량
형광 X 선 분석에 의해, 편광자의 투명부에 있어서의 요오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분석 장치:리가쿠 전기 공업 제조 형광 X 선 분석 장치 (XRF) 제품명 「ZSX100e」
·대음극:로듐
·분광 결정:불화리튬
·여기 광 에너지:40 ㎸-90 ㎃
·요오드 측정선:I-LA1
·정량법:FP 법
·2θ 각 피크:103.078 deg (요오드)
·측정 시간:40 초
3. 나트륨 함유량
형광 X 선 분석에 의해, 편광자의 투명부에 있어서의 나트륨 함유량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편광자의 나트륨 함유량을 구하였다.
·분석 장치:리가쿠 전기 공업 제조 형광 X 선 분석 장치 (XRF) 제품명 「ZSX100e」
·대음극:로듐
·분광 결정:불화리튬
·여기 광 에너지:40 ㎸-90 ㎃
·나트륨 측정선:Na-KA
·정량법:FP 법
·측정 시간:40 초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투명부는, 모두 투과율 90 % 이상, 요오드 함유량 1 중량% 미만, 나트륨 함유량 0.5 중량% 미만이었다. 이들 투명부는 비편광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 각 편광자로 형성된 투명부의 형상 정합도를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하였다.
[형상 정합도]
초고속 플렉시블 화상 처리 시스템 (키엔스사 제조, 상품명:XG7700)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비편광부의 에지 검출을 실시하고, 비편광부 근사원을 구하였다. 그 비편광부 근사원의 원주 (도 2a 및 도 2b 의 파선 부분) 와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 (도 2a 및 도 2b 의 실선 부분) 와의 거리를 2° 마다 측정하고, 합계 180 점에서 거리를 구하였다. 측정점에 있어서,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가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측에 있는 경우 (즉, 도 2a의 경우) 에는, 비편광부 (2) 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거리 a 를 측정하고, 편광자 (1) 과 비편광부 (2) 의 경계가 비편광부 근사원의 내측에 있는 경우 (즉, 도 2b 의 경우) 에는, 비편광부 (2) 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거리 b 를 측정하였다. 거리 a 의 최대치와 거리 b 의 최대치의 합계치를 홀 러프니스로서 산출하였다. 산출한 홀 러프니스의 값을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3:2 ㎜, 실시예 3 ∼ 4:4 ㎜) 으로 나누어, 각 투명부의 형상 정합도의 값을 구하였다. 편광자 상에 형성한 투명부의 형상 정합도의 평균값을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127758136-pct00002
실시예 1 ∼ 4 의 편광자는,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이며,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얻어졌다. 이와 같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이면, 예를 들어, 비편광부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사용하는 경우, 얼라인먼트 가공성이 향상되고, 카메라의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편광자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 전화, 노트형 PC, 태블릿 PC 등의 카메라가 부착된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 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10 : 편광자
20 : 보호 필름
30 : 표면 보호 필름
50 : 표면 보호 필름
60 : 점착제층
51 : 노출부
71 : 관통공
100 : 편광 필름 적층체

Claims (6)

  1.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로서, 상기 비편광부의 형상 정합도가 0.05 이하인, 편광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배치된 표면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일방면측에 편광자가 노출되고, 상기 비편광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노출부를 갖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두께 10 ㎛ 이하인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자에 적층되어 있는, 편광 필름의 적층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7036920A 2015-06-25 2016-06-17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KR102075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7717A JP7163000B2 (ja) 2015-06-25 2015-06-25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
JPJP-P-2015-127717 2015-06-25
PCT/JP2016/068134 WO2016208511A1 (ja) 2015-06-25 2016-06-17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38A KR20180011238A (ko) 2018-01-31
KR102075830B1 true KR102075830B1 (ko) 2020-02-10

Family

ID=5758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20A KR102075830B1 (ko) 2015-06-25 2016-06-17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67328B2 (ko)
JP (2) JP7163000B2 (ko)
KR (1) KR102075830B1 (ko)
CN (1) CN107710037B (ko)
TW (1) TWI739750B (ko)
WO (1) WO2016208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3721B (zh) 2018-08-20 2020-09-2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电机变频驱动系统与多联机中央空调器
US20210292604A1 (en) * 2018-08-22 2021-09-23 Lg Chem, Ltd. Mask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by using same
KR102239441B1 (ko) * 2018-08-22 2021-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 편광판
JP7046901B2 (ja) * 2018-12-25 2022-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727142B (zh) * 2019-10-29 2023-04-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偏光片、显示屏以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863B1 (ko) 2014-10-06 2017-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9923A (en) 1944-01-12 1946-10-22 Polaroid Corp Process of forming iodine images
US2647440A (en) * 1947-08-08 1953-08-04 Miles P Rehorn Molecularly aligned sheet material
JPS5024624B2 (ko) 1971-09-13 1975-08-16
JPS4864941A (ko) * 1971-12-09 1973-09-07
US4181756A (en) * 1977-10-05 1980-01-01 Fergason James L Process for increasing display brightness of liquid crystal displays by bleaching polarizers using screen-printing techniques
US4396646A (en) 1981-07-20 1983-08-02 Polaroi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patterned polarizers
US4466704A (en) 1981-07-20 1984-08-21 Polaroid Corporation Patterned polarizer having differently dyed areas
JPS5849901A (ja) 1981-09-19 1983-03-24 Nitto Electric Ind Co Ltd 部分偏光フィルムの製法
JPS6036563B2 (ja) 1982-03-29 1985-08-21 日東電工株式会社 部分偏光フイルムの製法
JPH0666001B2 (ja) 1982-03-29 1994-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多色カラ−偏光フイルムの製法
JPH0666002B2 (ja) * 1982-03-29 1994-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部分カラ−偏光フイルムの製法
JPH0769535B2 (ja) 1982-09-28 1995-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
JPS59172610A (ja) 1983-03-22 1984-09-29 Nitto Electric Ind Co Ltd 偏光フイルムの製法
JPS60133401A (ja) 1983-12-21 1985-07-16 Nitto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カラ−偏光子の製法
US5327285A (en) * 1990-06-11 1994-07-05 Faris Sadeg M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olarizers
CA2081626A1 (en) 1991-11-08 1993-05-09 Taiichi Sakaya Phase retarder
US5374477A (en) 1993-02-09 1994-12-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arrier laminate and method for sealing gaps in building construction
JPH09241594A (ja) 1996-03-09 1997-09-16 Nitto Denko Corp ロール状粘着テープ
JP3512596B2 (ja) 1996-07-04 2004-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旋光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3357803B2 (ja) 1996-10-30 2002-12-16 タレックス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偏光膜および偏光眼鏡
JPH10183390A (ja) 1996-12-25 1998-07-14 Nikko Kinzoku Kk 長尺金属条体のパターンめっき方法
US6258429B1 (en) 1997-03-11 2001-07-10 Stephen G. Nelson One-way see-thru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632387B2 (ja) 1997-07-31 2005-03-2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020071179A1 (en) 1999-06-30 2002-06-13 Kazuo Maeda Method for manufacturing 3D image display body
JP3786824B2 (ja) 1999-06-30 2006-06-14 株式会社有沢製作所 3d映像表示体の製造方法
JP4281261B2 (ja) 2000-09-21 2009-06-17 住友化学株式会社 ヨウ素系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07608A (ja) 2001-11-12 2003-07-25 Sony Corp Ndフィルターとその製造方法及び撮像装置
JP3960520B2 (ja) * 2002-02-05 2007-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54031A (ja) 2002-07-22 2004-02-19 Seiko Epson Corp 偏光層形成基板、偏光層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WO2004061031A1 (ja) 2002-12-27 2004-07-22 Lintec Corporation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12555A1 (en)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JP2005089783A (ja) 2003-09-12 2005-04-07 Tdk Corp 薄板のエッチング方法
JP2005089782A (ja) 2003-09-12 2005-04-07 Tdk Corp 板状体のエッチング方法
KR100521227B1 (ko) 2003-12-30 2005-10-17 김동수 감압접착층을 구비한 패널 지지용 스틸 빔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JP2005336249A (ja) 2004-05-25 2005-12-08 Lintec Corp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92345A1 (en) 2005-03-10 2008-08-14 Noriaki Mochizuki Iodine Polarizing Film,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TWI388888B (zh) 2005-03-10 2013-03-11 Nippon Kayaku Kk 碘系偏光膜、其製造方法及使用該碘系偏光膜之偏光板以及使用該偏光板之液晶顯示裝置
JP2006308923A (ja) 2005-04-28 2006-11-09 Kyocera Corp 光レセプタクルおよび光モジュール
JP4587307B2 (ja) 2005-04-28 2010-11-24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及び偏光膜、偏光板
JP4810165B2 (ja) 2005-09-06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貫通孔形成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07146B2 (ja) 2006-10-18 2011-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2008102274A (ja)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646951B2 (ja) 2007-06-06 2011-03-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センサ付き表示装置
EP3217660B1 (en) 2007-06-15 2018-10-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9130317A (ja) 2007-11-28 2009-06-11 Seiko Epson Corp フィルム状接着剤及びその搬送方法
JP2009157361A (ja) 2007-12-06 2009-07-16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950854B1 (ko) 2008-04-10 2010-03-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폴리비닐알콜 편광자 제조방법
WO2009128115A1 (ja) 2008-04-15 2009-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9300768A (ja) 2008-06-13 2009-12-24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式接着剤層付き偏光板ロール、偏光板、液晶表示装置
KR100962543B1 (ko) 2008-06-20 2010-06-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액상태에서 요오드화시킨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이용한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KR20160120356A (ko) 2008-12-18 2016-10-17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TW201028436A (en) 2009-01-17 2010-08-01 Plastics Industry Dev Ct Method of polarizing plate high-value recycling
KR20100087837A (ko) * 2009-01-29 2010-08-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JP5244848B2 (ja) 2009-05-01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US20160025910A1 (en) 2009-05-01 2016-01-28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KR20100125537A (ko) *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KR20100125558A (ko)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JP5434457B2 (ja) 2009-10-0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WO2011043023A1 (ja) 2009-10-06 2011-04-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CA2792037A1 (en) 2010-03-04 2011-09-09 Lintec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10110889A (ko) 2010-04-02 2011-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패턴화된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KR101257648B1 (ko) 2010-07-02 2013-04-29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 필름 및 편광판
JP5511730B2 (ja) 2010-09-03 2014-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的パネル組立体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JP5474869B2 (ja) 2010-09-03 201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701679B2 (ja) 2010-09-03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矩形形状のパネルに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を順次的に貼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JP5502023B2 (ja)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5361941B2 (ja) 2010-09-03 201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4691205B1 (ja)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478553B2 (ja)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1444B2 (ja) 2010-09-03 2012-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9143668B2 (en)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8467177B2 (en)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293210B1 (ko) 2010-12-15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기기용 편광판의 구멍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495759B1 (ko) 2011-04-18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이를 이용한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247574A (ja)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867806B2 (ja) 2011-09-16 2016-02-24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物体識別装置
JP5838080B2 (ja) 2011-11-24 2015-12-24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樹脂フィルムの接合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86718B2 (ja) 2011-11-29 2016-03-16 株式会社コロプラ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30062194A (ko) 2011-12-02 2013-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29135B1 (ko) 2012-02-28 2020-07-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막, 원편광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6112921B2 (ja) 2012-03-14 2017-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EP2874137B1 (en) 2012-07-11 2021-03-03 LG Chem, Ltd. Method of forming a bezel pattern of a display panel
JP2014081482A (ja) * 2012-10-16 2014-05-08 Nitto Denko Corp 偏光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14160B2 (ja) 2012-10-22 2017-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US9075199B2 (en) 2012-10-30 2015-07-07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JP2014164085A (ja) 2013-02-25 2014-09-08 Nitto Denko Corp 偏光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167548A (ja) 2013-02-28 2014-09-11 Nitto Denko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画像表示装置
JP2014211548A (ja)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WO2015046969A1 (ko)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7550A (ko)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5723259B (zh) 2013-11-21 2019-05-10 株式会社可乐丽 聚乙烯醇膜
US20150160390A1 (en) 2013-12-10 2015-06-11 Apple Inc. Display Having Polarizer with Unpolarized Strip
WO2015108261A1 (ko) 2014-01-17 2015-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KR20150086159A (ko)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CN105247395B (zh) 2014-03-26 2018-09-14 Lg化学株式会社 制造含有局部漂白区域的偏光元件的方法、制造偏光元件辊的方法以及制造单片式偏光元件的方法
JP6215864B2 (ja)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5865B2 (ja)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6214594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5261B2 (ja)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長尺状の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13189B2 (ja) 2014-06-27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
JP6215262B2 (ja)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の製造方法
WO2016003107A1 (ko)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JP6872309B2 (ja) 2015-06-25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
JP6351559B2 (ja) 2015-09-28 2018-07-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22415B2 (ja) 2015-09-28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863B1 (ko) 2014-10-06 2017-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38A (ko) 2018-01-31
TWI739750B (zh) 2021-09-21
US11467328B2 (en) 2022-10-11
CN107710037B (zh) 2021-02-19
CN107710037A (zh) 2018-02-16
JP7163000B2 (ja) 2022-10-31
US20180188430A1 (en) 2018-07-05
JP2021170122A (ja) 2021-10-28
TW201706639A (zh) 2017-02-16
JP2017009907A (ja) 2017-01-12
WO2016208511A1 (ja)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87B1 (ko) 장척상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2075830B1 (ko)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
KR102017434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86899B1 (ko) 편광자
CN106662689B (zh) 长条状的偏光件、长条状的偏光板及图像显示装置
TWI666473B (zh) 長條狀偏光薄膜積層體
JP2021144224A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215865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
JP2021144223A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7194568A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7008305A (ja) 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KR101980035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2003632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