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503B1 -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503B1
KR102039503B1 KR1020167003624A KR20167003624A KR102039503B1 KR 102039503 B1 KR102039503 B1 KR 102039503B1 KR 1020167003624 A KR1020167003624 A KR 1020167003624A KR 20167003624 A KR20167003624 A KR 20167003624A KR 102039503 B1 KR102039503 B1 KR 10203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vinyl chloride
antiviral
vinyl chlor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993A (ko
Inventor
다로 다카하시
도모히로 오노
도모코 데루이
히로키 마츠모토
히데유키 도미자와
Original Assignee
롱시루고오교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7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2465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74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84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71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433647B2/ja
Application filed by 롱시루고오교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롱시루고오교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A01N29/02Acyclic compound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ycloaliph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내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특정량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특정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와, 가소제를 특정량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표층을 구비하는 내장 시트.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소정량 함유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도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표층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가소제와, 실리콘계 공중합체를 특정량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장 시트.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함유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층과 기재층을 구비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Description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ANTIVIRAL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ANTIVIRAL VINYL CHLORIDE RESI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INTERIOR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SHEET, POLYVINYL CHLORIDE RESIN INTERIOR SHEET, ANTIVIRAL WALL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VIRAL WALLPAPER}
제1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성형하여 얻어지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2의 양태, 및 제3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내장 시트, 및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3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제4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 및 내오염성이 뛰어난 내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제5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각종 바이러스를 불활성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증 호흡기 감염증(SARS) 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구제역 바이러스, 신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병이 점차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본래, 바이러스의 숙주역은 한정되어, 포유류에 감염되는 것은 포유류만, 조류에 감염되는 것은 조류만 걸리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조류뿐만 아니라 포유류에도 감염될 수 있는 넓은 숙주역을 가지는 바이러스이므로, 사람에 대해서 감염시킬 우려가 있다. 현재는, 아시아나 유럽에서도 H5N1형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만연하고 있어, 이를 베이스로 변이된 강독형 인플루엔자의 출현에 의한 팬더믹(감염 폭발)이 우려된다.
이 때문에, 팬더믹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서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내는 재료나,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바이러스에 의한 팬더믹(감염 폭발)에 대비하여, 병원, 보건소, 양호 시설 등의 의료 관계뿐만 아니라, 일반 공공 시설, 가정까지 항바이러스 제품이 기대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재생 콜라겐 섬유 또는 재생 콜라겐 분말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부여 조성물을 폴리우레탄 수지와 혼합하여, 연질 염화비닐 시트에 코팅한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후생 노동성의 조류 인플루엔자(H5N1) 발생국 및 사람에서의 확정증례에 의하면, 2003년 11월 이후, 아시아,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의 넓은 지역에 있어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발생하고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의 감염은 가금류간 뿐만 아니라, 가금류로부터 영장류로의 감염도 확인되고 있고, 특히 사람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600여명이 감염되어, 그 중 350명 이상이 사망했다. 또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의 교잡에 의해서, 또는 그 단독으로도 변이하여, 강독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그 때문에, 바이러스를 신속히 불활화(不活化)할 수 있는 기술이나 제품이 갈망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와 접촉하는 것이 예측되는 의료 시설 등에 사용되는 건축용 내장재에 있어서는, 바이러스의 불활화가 특히 요망되고 있고, 특히 시공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벽지에 대한 항바이러스성의 갈망이 크다.
벽지에는, 염화비닐 수지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나 올레핀계 수지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가이며 모든 물성이 뛰어나고,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는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한층 더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한결같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에서는 섬유에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함으로써, 금속 이온을 담지한 비닐말레인산 공중합 고분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을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벽지, 및 내장 시트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불활성화함으로써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항바이러스제로는 예를 들면 소석회가 알려져 있고, 특허 문헌 3에 있어서는 소석회를 함유하는 수지 피막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9-127163호 일본국 특허 제458433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1-152102호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높은 항바이러스 성능을 발현하는 것을 찾아냈다. 그러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성형할 때에 가열됨으로써 초기 착색이 일어나기 쉽고, 그 결과, 성형체가 변색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제1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성형 가공에 의한 변색, 특히 초기 착색성이 개선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항바이러스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부형으로 성형할 때, 가열됨으로써 착색이 일어나기 쉽고, 그 결과, 내장 시트가 황변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롤 가공을 행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롤에 점착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제2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성형 가공에 의한 착색이나 가공성이 개선된 항바이러스성 내장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가, 접촉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역가를 신속히 저감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그러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폴리염화비닐계 졸 제조시에 첨가하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의 분산성이 부족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의 표면이 요철로 되어, 외관 불량을 일으킨다는 과제를 찾아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제3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외관이 뛰어난 내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내장 시트는, 오염 대책으로서 시공 후에 왁스를 도포하는 등의 방오 처리를 실시하여 사용된다. 이 때문에 내장 시트가 충분한 항바이러스성을 가지고 있어도, 왁스 처리에 의해 항바이러스성이 불충분해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항바이러스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왁스 처리를 실시할 수 없으므로, 내오염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제4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성 및 내오염성이 뛰어난 내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폴리염화비닐계 벽지가, 접촉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역가를 신속히 저감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그러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벽지 제조시에 첨가하면, 폴리염화비닐 수지와의 분산성이 부족하여, 벽지 표면에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킨다는 미지의 과제를 찾아냈다.
제5의 양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은 접촉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역가를 신속히 저감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외관이 뛰어난 항바이러스성 벽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의 양태〕
전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양태가 이용한 수단은,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혼합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10~90중량부의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90~10중량부의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10~90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9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상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10~90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9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시트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상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2의 양태〕
전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의 양태가 이용한 수단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혼합물인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와 가소제를 혼합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장 시트로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10~90중량부의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90~10중량부의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와, 가소제 10~100중량부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구비하는 내장 시트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상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혼합물인 내장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되어 있는 내장 시트로 해도 된다.
제조 방법으로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90중량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90~10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와, 가소제 10~100중량부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공정과,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혼합하여 상기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제3의 양태〕
전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3의 양태가 이용한 수단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소정량 함유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도공(塗工)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1~7.5중량부와 가소제를 함유하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 표면에 도공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로 하는 것이다.
〔제4의 양태〕
전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4의 양태가 이용한 수단은, 적어도 표층을 구비한 내장 시트로서, 표층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0.1~10.0중량부와, 가소제 10~50중량부와, 실리콘계 공중합체 1~20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시트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층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가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100~1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0~99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내장 시트로 하는 것이며,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표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충전제 1~5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다.
〔제5의 양태〕
상기 과제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 방법에 대하여 예의 검증한 결과,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미리 첨가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여 벽지를 제조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고 적합하게 항바이러스성 벽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함유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층과 기재(基材)층을 구비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나고, 성형 가공 시의 변색, 특히 초기 착색성이 개선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항바이러스성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성형 가공에 의한 착색이나 가공성이 개선된 항바이러스성 내장 시트, 및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 외관이 뛰어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 및 내오염성이 뛰어난 내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 시트는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오염이 부착되어도 간단한 청소로 오염을 뺄 수 있다. 이 때문에 왁스 등의 방오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항바이러스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층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수지의 착색을 억제하여 외관이 뛰어나고, 보다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난 내장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표층에 충전제를 1~50중량부 첨가함으로써 가공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의 항바이러스성 벽지는, 바이러스와 접촉 후에 단시간에 바이러스 역가를 저감화하여 바이러스를 불활화시켜, 외관에도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란, 주로 유화 중합법이나 마이크로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 직경이 0.02~20.0㎛인 미세한 폴리머 입자이며, 가소제의 첨가에 의해 페이스트상으로 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탈이온수, 유화제, 수용성 중합 개시제와 함께 느린 교반 하 중합을 행하는 유화 중합법, 유화 중합법으로 얻어진 입자를 시드(seed)로서 이용하여 유화 중합을 행하는 시드 유화 중합법,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탈이온수, 유화제, 필요에 따라서 고급 알코올 등의 유화 보조제, 유용성(油溶性) 중합 개시제를 호모지나이저 등으로 혼합 분산한 후, 느린 교반 하에서 중합을 행하는 마이크로 현탁 중합법, 마이크로 현탁 중합법으로 얻어진 유용성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시드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하는 시드 마이크로 현탁 중합법 등에 의해, 중합 온도 30~80℃로 중합하고, 얻어진 라텍스를 분무 건조 후, 분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는, 중합을 행하는 중합 공정과 중합 후의 후공정을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란, 주로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 직경이 약 50~200μm의 폴리머 입자이며, 다공질의 부정 형상의 염화비닐계 수지를 말한다. 이 다공질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소제 등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페이스트상으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의 양태〕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의 실시 형태로는, 10~90중량부의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90~10중량부의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이다.
여기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은 소정량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발휘된다. 그리고,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면서,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의 초기 착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리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중합 공정에 있어서 유화제 등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첨가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영향에 의해 원하는 성상(性狀)의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중합 후의 후공정에서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수용성이다. 또한,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으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를 제조할 때에, 중합 후의 중간체적 형태로서 물을 용매로 하는 라텍스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라텍스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염화비닐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이와 같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중합 후의 라텍스에 첨가함으로써, 중합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는 성상을 가지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항바이러스성과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의 초기 착색의 억제의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높은 항바이러스성, 초기 착색 억제의 효과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중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微)분산 상태로 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분산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항바이러스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성형 가공시의 초기 착색을 강하게 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성형 가공시의 변색을 더욱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3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특성으로부터 가소제 등의 액체가 혼재하면 상온에서 페이스트상으로 되므로, 수지 조성물의 가열 용융 전의 핸들링성이 떨어진다. 수지 조성물을 가열 용융하고, 혼련하여 부형 후 냉각 고화하는 용융 부형법에 의해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블렌드(blend)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융 부형법으로는, 압출 공정이나 캘린더 공정 등을 포함하는 성형법이 있고,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캘린더 성형, 롤 성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소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페이스트상으로 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체이다. 그리고, 용융 부형법에 있어서는 펠릿이나 분체와 같은 고체를 투입하는 것으로서 기계 설비가 설계되어 있고, 페이스트와 같은 액상체는 누설되는 등의 이유에서, 액상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가열 혼련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펠릿, 분체 등의 고체를 용융하여 혼련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고, 이에 액상체를 사용하면, 충분히 혼련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블렌드하여 고체상의 수지 조성물로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용융 부형법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을 용이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항바이러스성과 가공시의 초기 착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용융 부형법에 있어서 핸들링성이 향상되어 가공성이 양호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블렌드비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폴리염화비닐계 수지(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합계) 100중량부, 즉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총량에 대하여 0.5~10.0중량부 함유하고, 성형 가공이 문제없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90~10중량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10~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70~20중량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30~8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50~20중량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50~8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3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알킬벤젠술폰산계 화합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계 화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계 화합물, 알킬황산에스테르계 화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계,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나다는 관점에서 알킬벤젠술폰산계 화합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계 화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난 알킬벤젠술폰산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에 있어서, 술폰산기는 예를 들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다아제와의 친화성이 높아, 저해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관능기의 구조는 뉴라미니다아제에의 접근에 관해서 영향을 나타내고, 부피가 크지 않고 입체 장해를 받기 어려운 구조가 중요하다. 그 점에 있어서, 알킬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적합하고, 특히 도데실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술폰산염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DBS)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항바이러스성이 저해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첨가해도 되고, 그 외의 종류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도 제한되지 않는다.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0.5~10.0중량부 첨가한다.
0.5~7.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5~7.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5~4.2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0.5중량부 미만에서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로 한 경우의 항바이러스성이 부족하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이 곤란해진다.
또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합계에 대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0.1~15중량%가 바람직하고, 0.7~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0~7.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로 한 경우의 항바이러스성이 부족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제조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유연성이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가소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OP(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DIDP(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나, DOA(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DIDA(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핀산에스테르계 가소제, DOS(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등의 세바신산에스테르계 가소제, DOZ(디-2-에틸헥실아젤레이트) 등의 아젤라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와 같은 지방족 2염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인산트리크레질, 인산트라이자일레닐, 인산크레질디페닐, 인산트리스(이소프로필화페닐), 인산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등의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 술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은 가소제로서 프탈산 에스테르계 가소제나 분자량이 높은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복수의 종류를 복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페이스트상으로 되기 쉬워, 수지 조성물의 가열 용융 전의 핸들링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10중량부보다 적으면 가공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10~4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20~4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소제가 대체로 10부 이상 첨가된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가 대체로 10부 미만인 경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과 비교해 동량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항바이러스성의 효과를 얻기 쉽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충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충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외, 탤크, 마이카 등의 판상 필러, 벤토나이트, 소성 카올린 등의 클레이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등의 무기계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에는 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산이나 변성 지방산 등의 각종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충전제의 첨가량으로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시트 등의 성형체의 표면의 평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1중량부보다 적으면 가공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충전제의 첨가량은 5~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2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성이 필요한 경우의 충전제의 첨가량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助劑)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첨가함으로써, 롤 성형이나 캘린더 성형시의 뱅크 내의 회전 유동이나 탈기가 양호해져, 플레이트 아웃이 억제되므로 외관이 양호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자외선 차폐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증점제, 계면 활성제, 형광제, 가교제, 충격 개량제 등, 일반적으로 수지에 첨가되는 다른 배합제를 첨가해도 된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고속 교반기, 저속 교반기, 헨셀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배치(batch)식 혼련 믹서, 밴버리 믹서, 코-니더(ko-kneader),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합하여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용융 혼합한 후, 일단 펠릿화하여, 이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해도 된다. 또한, 가소제, 안정제, 충전재 등의 첨가제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용융 혼합해도 되고, 이를 펠릿화해도 된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부형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10~90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9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과,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어진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는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내장 용도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넓은 면적을 항바이러스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는 단층이거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는 적어도 상기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최표면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는 것이면, 상기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표면에 인쇄나 도포에 의한 층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다층 구조인 경우, 적층되는 층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이나 다른 열가소성 수지층, 각종 수지 발포층, 인쇄층이나 착색층 등의 의장층, 직포나 부직포 등의 기재층 등을,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10~90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90~10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과,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캘린더 성형법 또는 롤 성형법 등의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조할 때의 혼합 공정에는, 통상, 열 가소성 수지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속 교반기, 저속 교반기, 헨셀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배치식 혼련 믹서, 밴버리 믹서, 코-니더,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합하여, 즉시 성형해도 된다. 또한, 용융 혼합한 후, 일단 펠릿화하고, 그 후 성형해도 된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조할 때의 용융 부형하는 공정은 시트 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시트 성형법으로서, 얻어진 시트의 두께 정밀도의 점에서, 캘린더 성형법 또는 롤 성형법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피드의 점에서 캘린더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일반적인 시트 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술한 대로 그 혼합물은 페이스트상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페이스트상으로 된 수지 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페이스트 코터 등의 도포기가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시트의 구조나 두께, 폭, 생산 속도 등에 있어서 제한이 있어, 반드시 시트 제조에 적합한 제조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 수지를 블렌드하여 이용하고, 시트 성형성이 뛰어난 압출기나 캘린더 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2의 양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여기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은 소정량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발휘된다. 그리고,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면서,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의 착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리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중합 공정에 있어서 유화제 등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첨가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영향에 의해 원하는 성상의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중합 후의 후공정에서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수용성이다. 또한,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으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할 때에, 중합 후의 중간체적 형태로서 물을 용매로 하는 라텍스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라텍스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염화비닐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이와 같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중합 후의 라텍스에 첨가함으로써, 중합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는 성상을 가지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항바이러스성과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의 착색의 억제라는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높은 항바이러스성, 착색 억제라는 효과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중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분산 상태로 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분산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항바이러스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성형 가공시의 착색을 강하게 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성형 가공시의 변색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3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특성으로부터 가소제 등의 액체가 혼재하면 상온에서 페이스트상으로 되므로, 기재 표면에 도공하여 내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경우에 있어서, 도공에 의해 얻어진 내장 시트는 물에 적시거나,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사용했을 때, 흡수하기 쉬워 백화되어 버리고, 건조 후도 백화가 남아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가 페이스트상으로 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가열 용융 전의 핸들링성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수지 조성물을 가열 용융하고, 혼련하여 부형 후 냉각 고화하는 용융 부형법에 의해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블렌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융 부형법으로는, 압출 공정이나 캘린더 공정 등을 포함하는 성형법이 있고,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캘린더 성형, 롤 성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소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페이스트상으로 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체이다. 그리고, 용융 부형법에 있어서는 펠릿이나 분체와 같은 고체를 투입하는 것으로서 기계 설비가 설계되어 있고, 페이스트와 같은 액상체는 누설되는 등의 이유로부터, 액상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가열 혼련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펠릿, 분체 등의 고체를 용융하여 혼련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있고, 이것에 액상체를 사용하면, 충분히 혼련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블렌드하여 고체상의 수지 조성물로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용융 부형법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을 용이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항바이러스성과 가공시의 착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용융 부형법에 있어서 핸들링성이 향상되어 가공성이 양호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소정량 함유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도공하여 내장 시트를 얻음으로써, 수분의 영향에 의해 백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내장 시트를 물에 적시거나,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사용되거나 하면, 수지 중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흡수되거나 또는 수중(水中)에 용출함으로써 백화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특히 투명 제품에 있어서는 투명성을 잃는 것과 같이 내수 백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을 용융 부형법으로 내장 시트로 성형함으로써 물에 의한 백화를 억제할 수 있다.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3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 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제1의 양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것도 마찬가지이다.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0.5~10.0중량부 첨가한다.
0.5~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8~4.4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0.5중량부 미만에서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로 한 경우의 항바이러스성이 부족하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이 곤란해진다.
또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합계에 대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0.1~15중량%가 바람직하고, 0.7~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0~7.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로 한 경우의 항바이러스성이 부족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제조의 생산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가소제는 통상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OP(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DIDP(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나, DOA(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DIDA(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핀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DOS(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등의 세바신산에스테르계 가소제, DOZ(디-2-에틸헥실아젤레이트) 등의 아젤라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와 같은 지방족 2염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인산트리크레질, 인산트라이자일레닐, 인산크레질디페닐, 인산트리스(이소프로필화페닐), 인산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등의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 술폰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은 가소제로서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나 분자량이 높은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복수의 종류를 복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00중량부이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페이스트상으로 되기 쉬워, 수지 조성물의 가열 용융 전의 핸들링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10중량부보다 적으면 가공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10~7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20~5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내장 시트를 바닥면에 이용하는 경우, 내오염성의 관점에서 가소제의 첨가량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4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20~4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장 시트로 했을 때에 오염이 부착되기 쉽고, 부착된 오염을 간단한 청소로 제거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가소제가 대체로 10중량부 이상 첨가된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가 대체로 10중량부 미만인 경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동량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항바이러스성의 효과를 얻기 쉽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충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충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외, 탤크, 마이카 등의 판상 필러, 벤토나이트, 소성 카올린 등의 클레이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등의 무기계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산이나 변성 지방산 등의 각종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충전제의 첨가량으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시트 등의 성형체의 표면의 평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1중량부보다 적으면 가공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충전제의 첨가량은 5~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2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성이 필요한 경우의 충전제의 첨가량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첨가함으로써, 롤 성형이나 캘린더 성형시의 뱅크 내의 회전 유동이나 탈기가 양호해져, 플레이트 아웃이 억제되므로 외관이 양호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자외선 차폐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증점제, 계면 활성제, 형광제, 가교제, 충격 개량제 등, 일반적으로 수지에 첨가되는 다른 배합제를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내장 시트는 표층을 가지고 있으면 단층이거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은 최표면에 배치됨으로써 효과적으로 항바이러스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는 것이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의 표면에 인쇄나 도포에 의한 층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다층 구조인 경우, 적층되는 층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이나 다른 열 가소성 수지층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수지 발포층, 인쇄층이나 착색층 등의 의장층, 직포나 부직포 등의 기재층 등, 용도나 요구되는 물성에 따른 층을 적층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내장 시트는, 바닥재용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바닥재로서 이용할 때는, 내구성이나 두께 등이 요구되므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과 이층(裏層)을 가지는 적층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층에 의해 내구성이나 두께를 확보하면서, 표층에 의해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할 수 있다.
바닥재의 이층으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이 바람직하고,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10~100중량부, 충전제 20~50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층에 있어서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에 이용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공정과,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하여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과, 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가지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공정과,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하여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과, 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가지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공정과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은 별개의 공정으로서 순차적으로 실시해도 되고,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중 어느 한쪽에 가소제 등을 첨가한 후에,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해도 된다.
작업성이나 비용의 면에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에서 가소제나 안정제 등을 첨가·혼련하여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공정은, 공지의 제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고속 교반기, 저속 교반기, 헨셀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배치식 혼련 믹서, 밴버리 믹서, 코-니더,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용융 혼합한 후, 일단 펠릿화해도 된다. 또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은, 공지의 제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가소제를 고속 교반기, 저속 교반기, 헨셀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배치식 혼련 믹서, 밴버리 믹서, 코-니더,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합하여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용융 혼합한 후, 일단 펠릿화하여, 이를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해도 된다. 또한, 안정제, 충전재 등의 첨가제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용융 부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내장 시트의 표층을 얻을 수 있다. 내장 시트가 단층이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이 내장 시트로 된다. 또한 내장 시트가 다층 구조이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과 이층 등의 다른 층을 적층함으로써 내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표층과 다른 층의 적층은, 열 라미네이트나 열 프레스, 접착제 등에 의한 접합 등의 제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부형하는 공정은 시트 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시트 성형법으로서, 얻어진 시트의 두께 정밀도의 점에서, 캘린더 성형법 또는 롤 성형법이 바람직하고, 또한 스피드의 점에서 캘린더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일반적인 시트 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혼합하면, 상술한 대로 그 혼합물은 페이스트상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페이스트상으로 된 수지 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페이스트 코터 등의 도포기가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시트의 구조나 두께, 폭, 생산 속도 등에 있어서 제한이 있어, 반드시 시트 제조에 적합한 제조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 수지를 블렌드하여 이용하고, 시트 성형성이 뛰어난 압출기나 캘린더 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3의 양태〕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는, 기재층과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을 가지고 있고,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에 있어서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에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는 그 제조 단계에 있어서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다.
그 첨가 방법인데, 하나는 전술의 중합 공정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유화제로서 첨가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첨가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영향에 의해 원하는 성상의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중합 후의 후공정에서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수용성이다. 또한,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으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제조할 때에, 중합 후의 중간체적 형태로서 물을 용매로 하는 라텍스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라텍스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이와 같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중합 후의 라텍스에 첨가함으로써, 중합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는 성상을 가지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으므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중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분산 상태로 되므로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 중에 있어서도 분산성이 양호해져, 표면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원체가 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합도가 600~5000인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제1의 양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것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는,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0.1~7.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고, 0.5~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2.5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0.1중량부를 밑돌면 항바이러스성이 부족하고, 7.5중량부를 윗돌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의 탈포성이 떨어지므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의 탈포에 시간이 걸리거나 탈포가 불충분해져 기포 혼입에 의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표면에 요철이 생겨 외관을 해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설명하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포하는 경우에 기포가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에 잔류하고 있으면 기포가 도포 후의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에도 도공된다. 이 때문에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에 있어서 기포가 볼록부로 되거나, 기포가 터져서 그 흔적이 표면에 남는 등의 외관 불량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탈포성이 떨어짐으로써 별도의 탈포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탈포 공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져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가 물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가 백화되는 것을 막는다는 점에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을 0.1~3.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가 투명한 경우나 짙은 색인 경우에는 백화가 눈에 띄기 쉬워지므로, 첨가량을 0.1~2.0중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상기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0.1~7.5중량부 포함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다른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복수의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경우는, 그 혼합물 전체로서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0.1~7.5중량부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가소제는 통상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디운데실프탈레이트(DUP),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DOA), 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DIDA), 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DOS),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TCP), 트라이자일레닐포스페이트(TXP),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TOTM),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염소화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복수의 종류를 복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00중량부이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로 했을 때에 오염이 부착되기 쉽고, 부착된 오염을 간단한 청소로 제거할 수 없게 되며, 10중량부를 밑돌면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의 조정이나 도공이 곤란해진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의 조정이나 도공을 하기 쉽고, 높은 내오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가소제 첨가량은 10~82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4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자외선 차폐제, 대전 방지제, 발포제, 난연제, 증점제, 계면 활성제, 형광제, 가교제, 충격 개량제, 항균제, 감점제(減粘劑), 곰팡이 방지제, 난연제, 방염제, 탈포제 등, 일반적으로 수지에 첨가되는 다른 배합제를 첨가해도 된다.
기재층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염화비닐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캘린더 성형기, 압출 성형기, 사출 성형기, 압축 성형기, 주조 성형기 등을 이용해 시트화한 것이나, 종이, 직포, 부직포 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종이, 직포, 부직포 등의 재료에 의한 층과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하여 기재층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는,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층 표면에 도공하여 얻는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미리 첨가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 등을 믹서 등으로 교반하여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얻는다.
또한, 도공 후에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건조 고화할 필요가 있다. 건조 고화하는 조건으로서, 예를 들면, 오븐 등을 이용해 180~220℃의 온도에서 3~5분 가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가소제를 교반하기 위해서는, 디졸버식 믹서, 버터플라이 믹서, 만능 교반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층에 도공하기 위해서는, 나이프 코팅,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다이 코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공 후에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건조 고화하기 위해서는, 열풍 건조로, 원적외선 건조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수지 발포층, 인쇄층이나 착색층 등의 의장층 등의 층을 기재 상에 설치하고, 또한 그 위에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도공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을 설치하여, 다층 구조로 해도 되고,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적층할 수 있다. 다만,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기재가 상기 가열시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의장층 위에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도공하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을 투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면으로부터 의장층을 시인할 수 있어, 의장성이 뛰어나다. 여기서, 의장층으로는 예시한 인쇄층, 착색층 이외에도 시각을 통해서 미관을 좋게 하는 층이면 된다. 또한, 착색층, 인쇄층 등의 의장층을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의 표층의 상면에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의장의 바리에이션이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의 표층의 상면에 형성하는 미세한 요철의 바람직한 형태로는,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5㎛~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독립된 볼록부가 점재하는 형상(샤프)보다도, 볼록부 및 오목부가 완만하게 연속하고(브로드), 또한, 미세하고 복잡한 곡선을 그리는 것이 내오염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에는, 항바이러스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한에 있어서 표면에 탑 코팅층을 설치해도 된다. 탑 코팅층을 설치함으로써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탑 코팅층은, 예를 들면 탑 코팅용 수지 조성물을 도료로 하여 도공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고, 탑 코팅용 수지 조성물의 수지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탑 코팅층이 코팅제(도료)의 도공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 코팅제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 위에 미세한 간극을 가지는 상태로 도포된다. 따라서,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표면에 일부 노출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가 내장 시트 표면에 접촉된 경우에 그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탑 코팅층을 설치해도 항바이러스성이 발휘된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는, 예를 들면 엔빌로프(envelope)를 가지는 바이러스에 효력을 발현한다.
엔빌로프를 가지는 바이러스로는, 예를 들면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면역 부전 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인간 포진 바이러스, 볼거리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제4의 양태〕
이하,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의 내장 시트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0.1~10.0중량부와, 가소제 10~50중량부와, 실리콘계 공중합체 1~20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가지는 내장 시트이다.
내장 시트에 항바이러스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염계 계면 활성제를 0.1~1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선, 이 점에 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내장 시트의 표층에 사용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로는, 염화비닐을 주요 구성 성분으로 하는 열 가소성 수지인데, 염화비닐 이외의 공중합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염화비닐 이외의 공중합 성분량으로는, 본 발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全) 단량체 성분 중, 공중합 단량체 성분은 0~30몰%의 함유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염화비닐 공중합체, 프로필렌-염화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계 수지 공중합체, 염화비닐-우레탄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1종 단독이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중에서도 가공성, 가격의 점에서 폴리염화비닐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8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 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내장 시트의 내오염성에 대해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가 클수록 내오염성이 뛰어난 경향이 있다.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알킬황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알킬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나프탈렌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 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의 효과가 높으므로 알킬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도데실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0.0중량부이며, 1~8.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5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1중량부 미만에서는 항바이러스성의 효과가 부족하고, 함유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부족하고, 블리드(bleed)에 의해 표면 상태가 불량이 되어, 오염되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성형 가공을 행하면,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착색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문제에 관해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미리 첨가되어 있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수지의 착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조성물은 소정량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발휘된다. 그리고,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면서,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의 초기 착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에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중합에 있어서 유화제 등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첨가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영향에 의해 원하는 성상의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수용성이다. 또한,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으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를 제조할 때에, 중합 후의 중간체적 형태로서 물을 용매로 하는 라텍스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라텍스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염화비닐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이와 같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중합 후의 라텍스에 첨가함으로써, 중합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하는 성상을 가지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항바이러스성과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의 초기 착색의 억제의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제조할 때에, 중합한 후의 라텍스에 첨가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전술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알킬황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알킬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나프탈렌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의 효과가 높으므로 알킬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도데실벤젠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미리 첨가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에 포함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합계에 대하여, 0.1~15중량%가 바람직하고, 0.7~1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0~7.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내장 시트로 한 경우의 항바이러스성이 부족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제조의 생산성이 부족해진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8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 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한 경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특성으로부터 가소제 등의 액체가 혼재하면 상온에서 페이스트상으로 되고, 가공 방법이 코팅법 등에 한정된다. 수지 조성물을 가열 용융하고 혼련하여 부형 후 냉각 고화하는 용융 부형법에 의해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는,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블렌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란, 주로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 직경이 50~200㎛이고 다공질의 부정 형상의 염화비닐계 수지를 말한다. 이 다공질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소제 등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페이스트상으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블렌드비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여기에서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합계로 된다)에 대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0.1~10.0중량부이며, 성형 가공이 문제없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중,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100~1중량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0~99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70~10중량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30~9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50~20중량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50~8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로는, 실질적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중합도 500~2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평균 중합도 700~18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 500 미만에서는 용융 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렵고, 평균 중합도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시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내장 시트에 내오염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계 공중합체 1~20중량부, 및 가소제 10~5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점에 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한다.
실리콘계 공중합체는, 실리콘과 공중합 가능한 각종 유기 수지와의 공중합체이면 된다. 실리콘과 공중합 가능한 수지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소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공중합 가능한 수지 중 1종 이상과 실리콘을 반응시킴으로써 실리콘계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중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어느 하나와 실리콘을 반응시킨 실리콘계 공중합체가 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공중합체의 구조로는, 실리콘쇄가 실리콘과 공중합 가능한 수지 골격 중에 블록적으로 배치되는 블록 공중합체와, 실리콘쇄가 실리콘과 공중합 가능한 수지 측쇄에 배치, 혹은 실리콘과 공중합 가능한 수지쇄가 실리콘 측쇄에 배치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 가능한 수지쇄가 실리콘 측쇄에 배치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또한, 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 실리콘계 복합 고무의 외부에 그래프트층을 가지는 코어 쉘 구조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예로서,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입자상의 복합 고무의 외부에,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중합체가 그래프트된 것이다.
실리콘계 공중합체의 첨가량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20중량부이다. 수지 조성물의 가공은 캘린더 성형법이나 압출 성형법 등 통상의 시트 성형법에 의해 가공할 수 있는데, 실리콘계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하여 성형한 시트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거나, 또한 1중량부보다 적으면 내오염성이 충분하지 않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내장 시트로서 만족할 수 있는 시트 외관 및 내오염성을 얻을 수 있는 첨가량으로서 1~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3~1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통상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OP(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INP(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DIDP(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나, DOA(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DIDA(디이소데실아디페이트) 등의 아디핀산에스테르계 가소제, DOS(디-2-에틸헥실세바케이트) 등의 세바신산에스테르계 가소제, DOZ(디-2-에틸헥실아젤레이트) 등의 아젤라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와 같은 지방족 2염기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TCP(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TPP(트리페닐포스페이트), TXP(트라이자일레닐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TOTM(트리스-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등의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계 가소제, 술폰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은 프탈산에스테르계 가소제나 분자량이 높은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복수의 종류를 복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50중량부이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장 시트로 했을 때에 오염이 부착되기 쉽고, 부착된 오염을 간단한 청소로 제거할 수 없게 되어, 충분한 내오염성을 얻을 수 없다. 10중량부보다 적으면 가공이 곤란하고, 가공할 수 있어도 너무 단단하여 시공시에 균열이나 백화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10~4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20~4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장 시트에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서 충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충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외, 탤크, 마이카 등의 판상 필러, 벤토나이트, 소성 카올린 등의 클레이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등의 무기계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제에는 염화비닐계 수지와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산이나 변성 지방산 등의 각종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충전제의 첨가량으로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장 시트의 표면의 평활성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표면층의 표면 거칠기가 커지므로 오염이 부착되기 쉬워진다. 1중량부보다 적으면 가공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충전제의 첨가량은 5~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2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층 아래에 인쇄층 등의 의장층을 설치하는 경우는, 의장을 시인할 수 있는 투명성이 필요하므로 충전제의 첨가량은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가하는 충전제의 입도(粒度) 및 형상에 따라서도 내장 시트의 표면층의 내오염성이 변화한다.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에 관해서는, 레이저 회절법에 의한 누적 입도 분포의 50% 직경인 중앙 직경의 경우는, 중앙 직경이 2㎛~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ET법이나 브레인 투과법 등에 의해 구한 비표면적으로부터 환산한 평균 입자 직경인 비표면적 직경의 경우는, 비표면적 직경이 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제의 형상은 판상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를 함유한 수지 콤파운드를 가공할 때, 판상의 충전제는 구형이나 부정형의 충전제에 비해 가공 중의 수지 콤파운드의 흐름 방향으로 배향하기 쉽고, 성형 후의 시트 중에서도 배향한 상태로 존재하기 쉽다. 이 때문에 시트의 표면 거칠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어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오염을 빼기 쉽다. 판상의 충전제로는 탤크나 마이카 등을 들 수 있다.
내장 시트에는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서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를 첨가함으로써, 롤 성형이나 캘린더 성형시의 뱅크 내의 회전 유동이나 탈기가 양호해져, 플레이트 아웃이 억제되므로 외관이 양호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내장 시트에는 가공시의 착색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β디케톤류나 주기율표의 제13족, 제15족 및 제17족의 원소를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의 아니온(PF6 -, SbF6 -, AsF6 -, ClO4 -, BF4 - 등)과, 주기율표의 제1족, 제2족 및 제12족의 원소의 카티온(Na, Li, Mg2 , Ca2 , Zn2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착색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과염소산나트륨계의 착색 방지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착색 방지제의 첨가량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자외선 차폐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증점제, 계면 활성제, 형광제, 가교제, 충격 개량제 등, 일반적으로 수지에 첨가되는 다른 배합제를 첨가해도 된다.
내장용 시트를 얻는데 있어서 예비 혼련이 필요한 경우에는, 통상, 열 가소성 수지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속 교반기, 저속 교반기, 헨셀 믹서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배치식 혼련 믹서, 밴버리 믹서, 코-니더,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합하여, 즉각 성형해도 된다. 또한, 용융 혼합한 후, 일단 펠릿화하여, 그 후 성형해도 된다.
내장용 시트는, 일반적인 시트 성형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등의 용융 부형법이나,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스피드나, 얻어진 시트의 두께 정밀도의 점에서, 용융 부형법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캘린더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내장 시트의 표층의 상면에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서 요철(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요철(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의장의 바리에이션이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요철(주름)의 형상에 따라서는 항바이러스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내장 시트의 표층의 상면에 형성하는 미세한 요철의 바람직한 형태로는,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5㎛~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독립된 볼록부가 점재하는 형상(샤프)보다도, 볼록부 및 오목부가 완만하게 연속하고(브로드), 또한, 미세하고 복잡한 곡선을 그리는 것이 항바이러스성, 내오염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내장 시트는 적어도 전술의 표층을 최표면에 가지는 것이며,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 또한 다층 구조인 경우, 적층되는 층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표층과 동일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이나 다른 열 가소성 수지층, 각종 수지 발포층, 인쇄층이나 착색층 등의 의장층, 직포나 부직포 등의 기재층 등을,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적층할 수 있다.
〔제5의 양태〕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의 항바이러스성 벽지는,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합계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질량% 이상 포함하는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층과 기재층을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벽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과, 가소제나 충전제, 안정제 및 발포제 등을 혼합하여 졸을 제작하는 과정이 있는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가소제에 불용이므로, 이 과정에서 혼합하면 졸 중의 분산성이 나빠, 제품에 줄무늬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켜 미관을 해친다.
한편,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수용성이다. 또한, 유화 중합 또는 시드 유화 중합으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제조할 때에, 중합 후의 중간체적 형태로서 물을 용매로 하는 라텍스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라텍스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가 염화비닐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이와 같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중합 후의 라텍스에 첨가함으로써, 중합 조건에 영향을 주지않고 원하는 성상을 가지는 페이스트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수법으로 얻어진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고 벽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의 원체가 되는 염화비닐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합도가 600~3000인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는, 제1의 양태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것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수지 성분에는, 페이스트 가공용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합계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고, 적합하게는 1.5중량% 이상 49.9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다. 1.2중량%를 밑돌면 항바이러스성이 안정되어 발현하지 않는다. 여기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5중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항바이러스성이 발현되고, 또한 2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가공성이 보다 안정되는 점에서 뛰어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로서, 상기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포함하는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다른 염화비닐 수지와 혼합하여 수지 성분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단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나, 수지 성분 즉 염화비닐 수지 총량에 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고, 적합하게는 1.5중량% 이상 49.9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다. 1.2중량%를 밑돌면 항바이러스성이 안정되어 발현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에 발포제를 이용해도 되는데, 그 경우의 첨가량은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 5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 4중량부 이하, 또한 0.5중량부 이상 3중량부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첨가량을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포 배율이 보다 높은 벽지를 얻을 수 있고, 0.5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포 배율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염화비닐 수지 세그먼트간의 계면에 존재하고, 함유량이 증가하면, 그 점유 영역이 증대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염화비닐 수지 세그먼트끼리의 밀착성을 저하시켜, 탄성률 저하를 일으킨다. 탄성률이 저하하면 발포제의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발포 셀의 유지가 곤란하게 되어 그 수축을 일으킬 수 있다. 발포제의 첨가량이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이면, 발포 셀의 수축의 영향은 거의 없거나, 경미하고 벽지의 미관은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나, 5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 셀의 수축이 커져, 변색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에 평활성이나 강도 등을 요구하는 목적에서, 실질적으로 발포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것도,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발포제로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포름아미드, 옥시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파라톨루엔술포닐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에는, 항바이러스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한에 있어서 표면에 탑 코팅층을 설치해도 된다. 탑 코팅층은, 예를 들면 탑 코팅용 수지 조성물을 도료로 하여 도공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고, 탑 코팅용 수지로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탑 코팅 처리에 의해서 벽지 표면의 동(動) 마찰 계수를 저감 할 수 있으면, 표면 강화 벽지 성능 규정에 준거한 시험에 있어서 4급 이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동 마찰 계수는 예를 들면 ASTM D 1894에 준거한 시험에서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강화 벽지 성능 규정이란, 벽지 도매상 협의회 및 벽지 공업회에 의해 표면 강화 벽지의 품질이나 시험 방법 등에 대하여 정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스크래치 시험 후의 손상 성능을 눈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성능은 5등급으로 판정되고, 4급 이상이면 표면 강화 벽지로서 인정된다.
여기서 탑 코팅층이 코팅제의 도공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 코팅제는 수지층에 미세한 간극을 가지는 상태로 도포된다. 따라서, 수지층에 포함되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는 표면에 일부 노출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가 벽지 표면에 접촉한 경우에 그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하여 탑 코팅층을 설치해도 항바이러스성이 발휘된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는, 예를 들면 엔빌로프를 가지는 바이러스에 효력을 발현한다. 엔빌로프를 가지는 바이러스로는, 예를 들면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면역 부전 바이러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인간 포진 바이러스, 볼거리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으로는,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함유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여 염화비닐 수지 페이스트 졸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염화비닐 수지 페이스트 졸을 기재에 도공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1.2중량부 이상 함유시킨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충전제 등을 교반하여 페이스트 졸을 제작하여, 안감지 상에 도공한 후, 건조 고화시키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교반이나 도공법에 대해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 졸 조성물에 추가하여, 항바이러스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착색제, 가공 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난연제, 방염제, 탈포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추가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헥실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트리옥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염소화 지방산 에스테르, 염소화 파라핀,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안정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바륨(Ba)계 안정제, 칼슘계 안정제, 주석계 안정제, 아연(Zn)계 안정제, 칼륨계 안정제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충전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티탄, 규산마그네슘, 규조토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에 이용되는 기재층인 뒤붙임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통 펄프지, 난연 펄프지, 탄산칼슘지, 수산화알루미늄지, 플리스(fleece)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성 벽지에는, 항바이러스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상에 인쇄층을 설치할 수 있다. 인쇄층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오프셋 인쇄, 실크 스크린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의 도착성 향상이나 저광택화의 목적으로, 각종 표면 처리제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인쇄층에 추가하여 상기 탑 코팅층을 부여하는 경우는, 인쇄층 위에 탑 코팅층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의 양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각 배합제의 구체적인 물질명은 이하와 같다.
염화비닐계 수지 10A-1: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1000
염화비닐계 수지 10A-2: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700
염화비닐계 수지 10B-1: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5.0중량%)
염화비닐계 수지 10B-2: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7.5중량%)
염화비닐계 수지 10B-3: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함유하지 않는다)
가소제 10C-1: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안정제 10D-1:금속 비누
첨가제 10E-1:도데실벤젠술폰산 Na
<성형 조건 101>
표 101, 103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합물을 150℃로 설정한 배치식 믹서로 3분 혼련했다. 그 후, 190℃로 설정한 2롤로, 두께 50㎛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작했다. 각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성, 및 가공성의 평가를 행했다.
<성형 조건 102>
표 102, 104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합물을 150℃로 설정한 배치식 믹서로 3분 혼련했다. 그 후, 180℃로 설정한 2롤로 두께 200㎛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작했다.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성, 및 가공성의 평가를 행했다.
<항바이러스성>
피검 바이러스로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whistling swan/Shimane/499/83(H5N3)주를 사용했다.(이하, H5N3주라고 한다).
발육 계란의 장뇨막강 내에서 증식시킨 바이러스를 멸균 인산 완충 식염액(PBS;pH7.2)으로 1.0×106EID50/0.1mL가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용 바이러스액을 조제했다.
표 101~104기재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작한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5㎝×5㎝를, 샬레에 놓고,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표면에, 시험용 바이러스액을 0.22ml 얹고, 그 위에 4㎝×4㎝ 폴리에틸렌 필름을 씌워, 샬레에 뚜껑을 덮고, 20℃로 설정한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정치했다. 1시간 후,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표면의 바이러스액을 채취하여, 상기 PBS로 10배 단계 희석하고, 희석한 바이러스액을 10일령 발육 계란의 장뇨막강 내에 주사바늘을 이용해 0.1mL 접종했다.
접종 후, 발육 계란을 37℃로 2일간 배양한 후, 장뇨막 강에서의 바이러스 증식의 유무를 적혈구 응집 시험에 의해 판정하고, Reed & Muench의 방법에 따라 바이러스 역가(log10EID50/0.1ml)를 산출했다.
또한 블랭크로서 시험 전(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에 접촉시키기 전)의 시험용 바이러스액의 바이러스 역가(log10EID50/0.1ml)도 상기 순서로 산출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항바이러스성은 시험 전의 바이러스액의 바이러스 역가로부터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에 접촉시켜 1시간 후의 바이러스액의 바이러스 역가를 뺀 차로 평가했다. 이 차가 클수록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항바이러스성이 강한 것을 나타낸다.
A: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4 이상
B: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3 이상 4 미만
C: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이상 3 미만
D: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미만
<가공성·시트화>
2롤로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성형했을 때의 롤 가공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A:양호
B:문제없이 가공할 수 있다
C:약간 저하하지만 가공은 가능
D:가공 불가능
<가공성·플레이트 아웃>
2롤로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성형했을 때의 롤면에의 플레이트 아웃에 대하여 평가했다.
A:플레이트 아웃 없음
B:플레이트 아웃이 약간 있다
C:플레이트 아웃이 있다
D:롤 전면에 플레이트 아웃이 있다.
<가공성·초기 착색성>
2롤로 성형한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초기 착색성은 황색도에 따라서 평가했다.
스가 시험기사 제조 「SM 컬러 컴퓨터」를 이용하여, JIS K 7373(2006년)에 준거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황색도를 구했다. 그리고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100:0, 또한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포함하지 않는 기준 샘플의 황색도를 기준으로 하여,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황색도와의 차를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황색도차=(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황색도)-(기준 샘플의 황색도)
A:황색도 차가 +1.0 미만
B:황색도 차가 +1.0 이상 +2.0 미만
C:황색도 차가 +2.0 이상 +3.0 미만
D:황색도 차가 +3.0 이상
<가공성 종합 평가>
2롤로 성형했을 때의 시트화, 플레이트 아웃, 초기 착색성의 평가를 종합하여 가공성을 평가했다.
A:양호
B:문제없이 가공할 수 있다
C:약간 나쁘지만 가공은 가능
D:가공 불가능
(실시예 101~107)
표 1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5.0중량% 함유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한 배합물을 상기 <성형 조건 101>의 방법으로 성형하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0.5~4.2중량부로 한 내장용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작성하여, 항바이러스성, 및 가공성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108, 109)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함유하지 않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고, 또한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첨가하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2.0중량부로 한 배합물을, 상기 <성형 조건 101>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내장용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작하여, 평가를 행했다. 또한, 표 101의 실시예는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이다.
(실시예 110~114, 117~118)
표 10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5.0중량% 함유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한 배합물을, 상기 <성형 조건 102>의 방법으로 성형하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1.0~4.2중량부로 한 내장용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작하여,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115~116)
표 10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와 도데실벤젠술폰산 Na를 7.5중량% 함유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한 배합물을, 상기 <성형 조건 102>의 방법으로 성형하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1.0~2.1중량부로 한 내장용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작하여, 평가를 행했다. 또한, 표 102의 실시예는 가소제를 첨가한, 연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이다.
(비교예 101~104)
표 10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성형 조건 101>의 방법으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0~0.25중량부, 및 5.0~5.3중량부로 한 내장용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작성하여, 항바이러스성, 및 가공성의 평가를 행했다. 또한, 표 103의 비교예는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이다.
(비교예 105~108)
표 10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성형 조건 102>의 방법으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0~0.25중량부, 및 5.0~5.3중량부로 한 내장용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를 제작하여, 평가를 행했다. 또한, 표 104의 비교예는 가소제를 첨가한, 연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이다.
[표 1]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1
[표 2]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2
[표 3]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3
[표 4]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4
표 101에 나타낸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에 있어서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 0.5중량부 이상에서 유효한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고(실시예 101, 비교예 102), 1.5중량부 이상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부 이상에서는 더욱 바람직한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다(실시예 103, 105).
또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있어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90중량부를 초과하고,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가 10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시트화할 수 없게 된다(비교예 103).
표 102에 나타낸 연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에 있어서도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와 동일한 경향이 있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 2.0중량부 이상에서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다(실시예 112). 또한,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와 마찬가지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90중량부를 초과하고,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가 10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시트화할 수 없게 된다(비교예 107).
항바이러스성에 대하여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표 101)와 연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표 102)를 비교한 경우,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 2.0중량부에 있어서 경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실시예 104)보다 연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실시예 112)의 쪽이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연질의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의 쪽이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기 쉽다.
표 101에 있어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을 동일한 양으로 하여, 실시예 104의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미리 포함한 PVC(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한 경우와 실시예 108의 시트 가공시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경우를 비교하면, 항바이러스성은 동등하다. 그러나, 시트화 및 플레이트 아웃의 평가 항목에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에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는 쪽이 양호했다. 따라서,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하는 쪽이 가공성이 뛰어나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가공성과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나다.
실시예 108, 109는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포함하지 않는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혼합비를 바꾼 경우이다. 그리고, 이들의 실시예는 시트 가공시에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고 있다. 실시예 108, 109를 비교하면, 항바이러스성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혼합 비율에 상관없다. 그러나 황색도 차는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비율이 높은 쪽이 적고, 초기 착색성이 뛰어난 것이 나타나 있다.
[제2의 양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각 배합제의 구체적인 물질명은 이하와 같다.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20A-1: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1000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20B-1: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5.0중량%)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20B-2: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10.0중량%)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20C-1:알킬벤젠술폰산 Na 순도 90%
(상품명;NANSA(등록 상표) HS90/S, 한츠만재팬사 제조)
가소제 20D-1: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안정제 20E-1:Ba-Zn계 금속 비누
안정제 20E-2:Ba-Zn계 금속 비누
안정제 20E-3:에폭시화 대두유
감점제 20F-1: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충전제 20G-1:경질 탄산칼슘(지방산 처리)
비표면적 직경 1.5㎛(BET법 비표면적 환산치)
<성형 조건 201>
표 201에 나타낸 실시예 및 표 202에 나타낸 비교예의 배합물을 150℃로 설정한 배치식 믹서로 3분 혼련했다. 그 후, 180℃로 설정한 2롤로 두께 350㎛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내장 시트를 제작했다.
<성형 조건 202>
표 202에 나타낸 비교예 206의 배합물을 혼합하여, 진공 하에서 탈포하여, 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인 기포(基布) 부착 연질 PVC(폴리염화비닐) 시트에 바코터로 도포함으로써 기재 상에 수지층을 설치했다. 다음으로 205℃의 오븐에서 5분간 건조시켜 수지층을 고화하여 내장 시트를 제작했다.
<항바이러스성>
〔제1의 양태〕와 동일하게 시험용 바이러스액을 조제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산출했다. 또한,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A: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4 이상
B: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이상 4 미만
C: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미만
<핸들링성>
표 201, 표 202에 기재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합물을 혼합했을 때의 핸들링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A:특별히 문제없다.
B:시간 경과로 졸로 되는 것의 작업상 문제는 없다.
C:졸로 되기 쉽고 핸들링성이 나쁘다.
<가공성>
2롤로 내장 시트를 성형했을 때의 롤 가공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A:문제없이 가공할 수 있다
B:롤에 점착되기 쉬워지지만 가공은 가능
C:롤에 점착되어 가공 불가능
<가공에 의한 착색>
가공에 의한 착색을 표 201, 표 202에 기재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폴리염화비닐 수지제 내장 시트의 황색기를 눈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
A:황색기를 느끼지 않는다.
B:다소 황색기는 볼 수 있지만 실용상 문제없는 정도이다.
C:황색기가 강하여, 외관에의 영향이 크다.
<내수 백화>
표 201, 표 202에 기재한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작한 내장 시트 10cm×10cm를, 샬레에 놓고, 폴리염화비닐 수지제 내장 시트 표면에, 증류수를 포함시킨 3cm×3cm×3cm의 스펀지를 얹고, 샬레에 뚜껑을 덮어, 20℃, 65%RH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했다. 그 후, 스펀지와 수분을 제거하고 24시간 정치하여, 눈으로 백화 상태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
A:백화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눈에 띄지 않는다.
B:다소 백화는 볼 수 있지만 실용상 문제없다.
C:백화가 강하여, 외관에의 영향이 크다.
[표 5]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5
[표 6]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6
표 201, 표 202에 나타낸 실시예 201~206와 비교예 201을 비교하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01과 실시예 202를 비교하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량이 동량일 때, 가소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1과 비교예 202를 비교하면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가소제의 첨가량이 동량일 때의 핸들링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1과 비교예 203을 비교하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첨가 방법을 직접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가공에 의한 착색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1과 비교예 204 및 205를 비교하면 가소제의 첨가량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핸들링성, 롤 가공성, 가공에 의한 착색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1과 비교예 206을 비교하면 페이스트 도공이 아니라, 용융 성형인 롤 가공을 행함으로써 내수 백화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2와 비교예 207을 보면 충전제를 첨가함으로써 핸들링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이층을 적층한 내장 시트의 제작도 행했다. 이층은 이하와 같이 하여 얻었다.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 수지 20A-1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20D-1 55중량부, 충전제 20G-1 200중량부, 안정제 20E-1 3중량부, 안정제 20E-3 4중량부를 150℃로 설정한 배치식 믹서로 3분 혼련했다. 그 후, 180℃로 설정한 2롤로 두께 약 1.65㎜의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얻어진 이층과 실시예 201~207의 표층을 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표층과 이층이 적층된 바닥재용 내장 시트를 얻었다. 이들의 바닥재용 내장 시트의 두께는 약 2mm이며, 바닥재용 내장 시트의 시험 결과는 표 201의 결과와 동등했다.
〔제3의 양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각 배합제의 구체적인 물질명은 이하와 같다.
폴리염화비닐 30A-1: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450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10.0중량%)
폴리염화비닐 30A-2: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450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1.0중량%)
폴리염화비닐 30A-3: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5.0중량%)
폴리염화비닐 30a-1: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4500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40B-1:알킬벤젠술폰산 Na 순도 90%
(상품명;NANSA(등록 상표) HS90/S, 한츠만재팬사 제조)
가소제 30C-1: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안정제 30D-1:Ba-Zn계 금속 비누
안정제 30D-2:에폭시화 대두유
감점제 30E-1: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표 301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합물을 혼합하고, 진공 하에서 탈포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인 기포 부착 연질 PVC(폴리염화비닐) 시트에 바코터로 도포함으로써 기재 위에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을 설치했다. 다음으로 205℃의 오븐에서 5분간 건조시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을 고화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를 얻었다.
<탈포성>
표 301에 기재한 실시예, 비교예에서 혼합한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1L의 컵에 40g 넣어, 진공 하에서 탈포를 행하고, 이 때 상승한 졸 액면의 최대 높이인 파포(破泡) 높이 및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될 때까지의 파포 시간으로부터 탈포성을 평가했다. 평가는 비교예 301을 기준으로 했다.
A:비교예 301과 비교하여 파포 높이, 파포 시간 모두 동일한 정도.
B:비교예 301과 비교하여 파포 높이가 약간 높고, 파포 시간도 조금 길다.
C:비교예 301과 비교하여 파포 높이가 현저하게 높고, 파포 시간도 길다.
<도공성>
표 301에 기재한 실시예, 비교예로 제작한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을 기재에 바 코터로 도포하여 그 때의 도공성을 평가했다.
A:문제없이 도공할 수 있다.
B:다소의 도포 얼룩은 보여지지만 실용상 문제없는 정도이다.
C:바 코터에서는 도공이 곤란.
<외관>
표 301에 기재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의 외관을 평가했다.
A:외관이 좋다.
B:다소의 도포 얼룩은 보여지지만 실용상 문제없는 정도이다.
C:도포 얼룩이나 나머지 기포가 많아, 외관이 나쁘다.
<항바이러스성>
〔제1의 양태〕와 동일하게 시험용 바이러스액을 조제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산출했다. 또한,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A: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4 이상
B: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이상 4 미만
C: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미만
<내오염성>
JIS K 3920(2009년)에 기재한 스넬 캡슐 테스터에 표준 고무 블록을 6개 넣고, 시트를 표면층이 고무 블록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세트하여 50rpm의 회전수로 정전(正轉) 5분·반전(反轉) 5분을 5사이클 회전시킨 뒤, 시트를 취출하여 힐 마크의 부착 정도를 관찰하여, 오염성을 평가했다. 또한 오염면을 마른 천으로 닦은 후의 힐 마크의 부착 정도로부터 청소성을 평가했다. 오염성과 청소성의 양면으로부터 내오염성을 평가했다.
오염성
A:거의 부착없음(겨우 부착이 인식되는 정도)
B:부착 있음
C:심하게 부착 있음
청소성
A:오염의 제거가 가능(청소 후, 오염이 눈에 띄지 않는다)
B:일부 오염의 제거 곤란(청소 후, 눈에 띄는 오염이 있다)
C:대부분의 오염의 제거 곤란
<백화>
표 301에 기재한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작한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10cm×10cm를, 샬레에 놓고,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표면에, 증류수를 포함시킨 3cm×3cm×3cm의 스펀지를 얹고, 샬레에 뚜껑을 덮어, 20℃, 65%RH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정치했다. 그 후, 스펀지와 수분을 제거하여 24시간 정치하여, 스가 시험기사 제조 「SM 컬러 컴퓨터」를 이용하여, ΔE*를 측정했다. ΔE*의 값이 클수록, 백화되게 된다.
[표 7]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7
실시예 301~305와 비교예 301을 비교하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02와 비교예 302를 비교하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탈포성 및 외관이나 내오염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04~306과 비교예 303, 304를 비교하면 가소제의 첨가량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페이스트 도공성 및 외관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03과 비교예 305를 비교하면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는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도공성 및 외관, 또한 항바이러스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함유량이 적을수록, 백화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제4의 양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각 배합제의 구체적인 물질명은 이하와 같다.
염화비닐계 수지 40A-1: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1000
염화비닐계 수지 40A-2: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1300
염화비닐계 수지 40A-3: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3.0중량%)
염화비닐계 수지 40A-4: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5.0중량%)
염화비닐계 수지 40A-5: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평균 중합도 850
(도데실벤젠술폰산 Na 함유량 7.5중량%)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 40B-1:알킬벤젠술폰산 Na 순도 90%
가소제 40C-1: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실리콘계 공중합체 40D-1:실리콘-아크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아크릴 수지쇄가 실리콘 측쇄에 배치)
실리콘 함유량 70%
실리콘계 공중합체 40D-2: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충전제 40E-1:경질 탄산칼슘(지방산 처리)
비표면적 직경 1.5㎛(BET법 비표면적 환산치)
가공 조제 40F-1:아크릴계 고분자 가공 조제
안정제 40G-1:Ba-Zn계 금속 비누
착색 방지제 40H-1:과염소산나트륨
표 401~404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배합물을 150℃로 설정한 배치식 믹서로 5분 혼련했다. 그 후, 180℃로 설정한 2롤로 두께 0.35㎜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두께 1.7㎜의 연질 염화비닐계 시트로 이루어지는 이층에 적층하여 내장 시트를 제작했다. 각 내장 시트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성, 내오염성, 및 가공성의 평가를 행했다. 또한 표층의 황색도를 측정했다.
표 405에 나타낸 실시예는, 실시예 405의 배합물을 150℃로 설정한 배치식 믹서로 5분 혼련했다. 이어서, 180℃로 설정한 2롤로 두께 0.35㎜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두께 1.7㎜의 연질 염화비닐계 시트로 이루어지는 이층에 적층하여 내장 시트를 제작했다. 마지막에 프레스 성형기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했다.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표면층의 표면 거칠기를 전술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각 내장 시트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성, 내오염성의 평가를 행했다.
<항바이러스성>
〔제1의 양태〕와 동일하게 시험용 바이러스액을 조제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산출했다. 또한,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A: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4 이상
B: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3 이상 4 미만
C: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이상 3 미만
D: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와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의 차가 2 미만
<내오염성>
JIS K 3920(2009년)에 기재한 스넬 캡슐 테스터에 표준 고무 블록을 6개 넣고, 시트를 표면층이 고무 블록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세트하여 50rpm의 회전수로 정전 5분·반전 5분을 5사이클 회전시킨 뒤, 시트를 취출하여 힐 마크의 부착 정도를 관찰하여, 오염성을 평가했다. 또한 오염면을 마른 천으로 닦은 후의 힐 마크의 부착 정도로부터 청소성을 평가했다. 오염성과 청소성의 양면으로부터 내오염성을 평가했다.
오염성
A:거의 부착 없음(겨우 부착이 인식되는 정도)
B:부착 있음
C:심하게 부착 있음
청소성
A:오염의 제거가 가능(청소 후, 오염이 눈에 띄지 않는다)
B:일부 오염의 제거가 곤란(청소 후, 눈에 띄는 오염이 있다)
C:대부분의 오염의 제거가 곤란
<가공성>
180℃로 설정한 2롤로 시트를 성형했을 때의 롤 가공성을 평가했다.
A:양호
B:문제없이 가공할 수 있다
C:약간 나쁘지만 가공은 가능
D:가공 불가능
<황색도>
황색도는, 스가시험기사 제조 「SM 컬러 컴퓨터」를 이용하여, JIS K 7373(2006년)에 준거하여 구했다.
<표면층의 표면 거칠기>
표면층의 표면 거칠기는, 도쿄정밀사 「표면 거칠기 형상 측정기」를 이용하여 JIS B 0601(2001년)에 준거하여 구했다.
[표 8]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8
[표 9]
Figure 112016014019624-pct00009
[표 10]
Figure 112016014019624-pct00010
[표 11]
Figure 112016014019624-pct00011
[표 12]
Figure 112016014019624-pct00012
상기의 표 401~40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부여되어, 실리콘계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21, 실시예 422를 비교하면, 실시예 422의 쪽이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의 중합도가 크고,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 증가에 의한 오염성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02와 실시예 411을 비교하면,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한 쪽이 황색도가 낮게 되어 있고, 착색이 적고, 또한 항바이러스성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413과 실시예 416을 비교하면, 충전제를 첨가함으로써 가공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의 표 405에서는 표면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의 양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이용한 자재는 이하와 같다.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 α(DBS가 5.0중량% 함유)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 β(DBS가 2.5중량% 함유)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 γ(DBS가 1.0중량% 함유)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 δ(DBS가 10중량% 함유)
DOP(가소제) Ba-Zn계 안정제
ADCA(발포제) 탄산칼슘(충전제)
DBS(원체):분말상
실시예 501에서는, 표 50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소정량으로, 미리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DBS)을 5.0중량% 함유시킨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 α와, 미리 DBS를 1.0중량% 함유시킨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 γ와, 가소제(DOP), 안정제, 발포제(ADCA), 충전제(탄산칼슘), 희석제, 안료를 혼합하여, 페이스트 졸을 제작했다. 그리고, 이 페이스트 졸을 기재층인 안감지에 페이스트 코터로 도포함으로써 기재층 위에 수지층을 설치하여 벽지 베이스를 얻었다. 그 후, 이 벽지 베이스를 210℃로 발포시키면서 기계적 엠보싱을 실시하여 시험체로 했다.
실시예 502 내지 509 및 비교예 501 및 502의 상세는 표 501에 나타낸 대로이며, 제조 방법은 실시예 501에 준거했다. 또한 실시예 505 및 506에 있어서는, 겔화한 후, 그라비어 인쇄기로 탑 코팅층을 설치하여 120℃로 건조시키고 나서 기계적 엠보싱을 실시했다.
[벽지 외관의 평가]
얻어진 벽지의 외관을 눈으로 평가했다.
A:표면 결함이 없어 미관이 유지되어 있다
B:표면 거침이 있지만, 허용 가능한 수준이다.
C:줄무늬 등의 현저한 표면 결함이 있다.
[항바이러스성의 평가]
〔제1의 양태〕와 동일하게 시험용 바이러스액을 조제하여, 바이러스 역가를 산출했다.
「바이러스 역가(1시간 후)」와 「바이러스 역가(시험 전)」의 차가 항바이러스성의 강약을 나타내고 있고, 이 차가 클수록 항바이러스성이 강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면 강화성의 평가]
일본 벽지 협회가 정하는 표면 강화 벽지 성능 규정(2004년 제정, 2009년 개정 3-2판)에 준거한 시험으로 평가했다. 시험편은 30㎜×250㎜의 크기인 것을 시험체로부터 3시험편을 채취하여 이용했다. 시험 장치의 본체는 JIS L0849로 규정하는 마찰 시험기 II형을 이용하고, 마찰자는 표면 강화 벽지 성능 규정에서 정하는 클로(claw)와 홀더를 이용했다. 마찰자의 하중은 1.96N, 클로의 재질은 SUS420-J2, 클로의 선단부 칫수는 폭 4.0㎜×두께 2.0㎜이며, 선단부의 모서리의 R칫수는 스타트측이 R0.10㎜, 리턴측이 R0.15㎜인 것을 사용했다. 시험편을 마찰자의 왕복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시험기의 시험편대에 고정하고, 마찰자를 시험편 위에 정치하여 이행 거리 120㎜의 사이를 매분 30회의 왕복 속도로 5회 왕복시킨 후, 시험편을 시험편대로부터 떼어내 눈으로 시험편 표면의 손상 정도를 확인했다. 하기의 등급과 대조하여, 4급 이상을 표면 강화성 있음으로 판단한다.
5급:첫눈에 봐서는 특별히 변화를 볼 수 없다
4급:다소 표면 손상이 보여지지만, 비교적 큰 표면층의 파괴 등은 볼 수 없다
3급:표면층의 파괴가 명확하게 보인다
2급:표면이 파괴되어 종이 등의 뒤붙임재가 명백하게 보인다(길이 1cm 미만)
1급:표면이 파괴되어 종이 등의 뒤붙임재가 명백하게 보인다(길이 1cm 이상)
[표 13]
Figure 112016014019624-pct00013
[평가 결과]
실시예 501 내지 506은, 외관의 미관을 유지하면서, 바이러스 역가가 「바이러스 접촉 전」과 「바이러스 접촉 1시간 후」에서 적어도 4.0 이상(약 10-4.0=10000분의 1) 감소시키고 있어,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실시예 505, 506에 의하면 탑 코팅층을 부여함으로써 표면 강화성이 4급 이상으로 되는 것도 나타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 501에서는 염화비닐 수지에 대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이 1.0중량%로 작기 때문에, 바이러스 역가가 「바이러스 접촉 전」과 「바이러스 접촉 1시간 후」에서 2.5(10-2.5=약 310분의 1) 밖에 감소하지 않아, 실시예와 비교하여 항바이러스성이 낮다는 시험 결과로 되어 있다. 또한 술폰산계 계면 활성제로서 DBS의 분체 원체를 페이스트 작성 시에 첨가한 비교예 2에서는, 항바이러스성은 향상되었지만 벽지 외관은 불량으로 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의하면, 높은 항바이러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병원, 간호 시설, 양호 시설, 학교, 유치원, 공민관, 체육관, 역, 주택, 맨션 등의 주택·시설 등의 벽지, 바닥재, 천정재, 커텐 등을 포함한 내장재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의자, 소파 등을 포함하는 가구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는 재단, 열 융착 또는 용제 용착 등 2차 가공함으로써 방호옷, 방호복, 방호 에이프런, 모자, 장갑, 풋 커버, 레인코트 등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팬더믹 발생시의 대비로서, 비축용의 방호옷, 방호복, 또한, 발열 외래용, 감염증용, 또는 비말 감염용 텐트 등의 내장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에 의하면, 접촉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역가를 신속하게 저감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외관이 뛰어난 내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성을 가지면서,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부착되어도 간단한 청소로 오염을 뺄 수 있어, 방오 처리 등의 정기적인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에 의하면, 접촉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역가를 신속히 저감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외관이 뛰어난 내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내장 시트는 다양한 건축물이나 차량 등에 적합하다. 특히, 병원, 오피스, 오래된 건물 시설, 학교 등의 공공 시설, 버스, 전철 등의 한번에 많은 사람이 모여 바이러스의 감염 리스크가 높은 장소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에 의하면, 접촉된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역가를 신속히 저감시켜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키는 외관이 뛰어난 항바이러스성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13년 7월 12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147100), 2013년 7월 12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147101), 2013년 7월 12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147102), 2013년 10월 1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217171), 2013년 10월 18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13-217421)에 의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Claims (22)

  1. 20~49중량부의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80~51중량부의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와, 술폰산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되어 있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진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5.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20~49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80~51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며,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부형하는 공정이 시트 성형법이며, 상기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가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인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
  7. 20~49중량부의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80~51중량부의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와, 가소제 10~100중량부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표층을 구비하는 내장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혼합물인 내장 시트.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첨가되어 있는 내장 시트.
  10.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20~49중량부와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80~51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 계면 활성제 0.5~10.0중량부와, 가소제 10~100중량부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서스펜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혼합하여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얻는 공정과,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혼합하여 상기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 부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11. 기재층(基材層)과,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 계면 활성제 0.1~7.5중량부와 가소제 10~100중량부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졸 조성물이 상기 기재층에 도공(塗工)되어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성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중합 후의 라텍스가 얻어지고, 상기 라텍스에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항바이러스성을 가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페이스트용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20~7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을 가지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13. 적어도 표층을 구비한 내장 시트로서, 상기 표층이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0.1~10.0중량부와, 가소제 10~50중량부와, 실리콘계 공중합체 1~20중량부를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층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가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 20~49중량부와 서스펜션 염화비닐계 수지 80~5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시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용 염화비닐계 수지가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계 내장 시트.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충전제 1~50중량부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계 내장 시트.
  16. 미리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수지 성분에 대하여 1.2중량% 이상 함유한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층과 기재층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중합 후의 라텍스가 얻어지고, 상기 라텍스에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이 상기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와 다른 염화비닐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수지 성분에 대하여,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1.2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상기 수지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를 0.01~5중량부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가 알킬벤젠술폰산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상기 기재층과는 반대의 면에 탑 코팅층을 가지고, 일본 벽지 협회가 정하는 표면 강화 벽지 성능 규정(2004년 제정, 2009년 개정 3-2판)에 준거한 시험에 있어서 4급 이상을 가지는 항바이러스성 벽지.
  22.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층과 기재층을 적층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미리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수지 성분에 대하여 1.2중량% 이상 함유한 상기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여 염화비닐 수지 페이스트 졸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염화비닐 수지 페이스트 졸을 상기 기재층에 도공하는 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페이스트 가공용 염화비닐 수지의 제조 단계에서 중합 후의 라텍스가 얻어지고, 상기 라텍스에 상기 술폰산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KR1020167003624A 2013-07-12 2014-07-11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KR102039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7102 2013-07-12
JPJP-P-2013-147101 2013-07-12
JPJP-P-2013-147102 2013-07-12
JP2013147100 2013-07-12
JPJP-P-2013-147100 2013-07-12
JP2013147101A JP6246512B2 (ja) 2013-07-12 2013-07-12 抗ウイルス性壁紙
JPJP-P-2013-217171 2013-10-18
JP2013217421A JP6228423B2 (ja) 2013-10-18 2013-10-18 抗ウイルス性内装シート
JP2013217171A JP6433647B2 (ja) 2013-10-18 2013-10-18 抗ウイルス性内装シート
JPJP-P-2013-217421 2013-10-18
PCT/JP2014/068588 WO2015005476A1 (ja) 2013-07-12 2014-07-11 抗ウイルス性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抗ウイルス性塩化ビニル系樹脂製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内装シート、内装シートの製造方法、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製内装シート、抗ウイルス性壁紙、及び抗ウイルス性壁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993A KR20160030993A (ko) 2016-03-21
KR102039503B1 true KR102039503B1 (ko) 2019-11-01

Family

ID=5228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624A KR102039503B1 (ko) 2013-07-12 2014-07-11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053570B2 (ko)
EP (1) EP3020761B1 (ko)
KR (1) KR102039503B1 (ko)
CN (1) CN105377979B (ko)
HK (1) HK1222194A1 (ko)
WO (1) WO2015005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3509B2 (ja) * 2015-03-24 2017-10-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紫外線硬化型樹脂の検査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US9963572B2 (en) * 2015-06-17 2018-05-08 Dover Chemical Corporation Chlorinated ester polyvinyl-chloride secondary plasticizer and related methods
CN110050029B (zh) * 2016-12-14 2023-01-31 吉昂功能材料(东莞)有限公司 用于注塑包覆成型的柔性聚卤乙烯
KR101924496B1 (ko) * 2017-01-02 2018-12-03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테리아 진단용 유기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진단용 형광센서
JP6990526B2 (ja) * 2017-05-09 2022-01-12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発泡壁紙
JP6892199B2 (ja) * 2017-05-09 2021-06-23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抗ウイルス性内装シート
KR102200313B1 (ko) * 2018-05-02 2021-01-08 (주)엘지하우시스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7154062B2 (ja) * 2018-08-07 2022-10-17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壁紙
CN109486057B (zh) * 2018-10-29 2021-05-07 台州宝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抑菌抗紫外线塑料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30473B1 (ko) * 2019-07-16 2023-05-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벽지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6996664B2 (ja) * 2019-09-30 2022-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の製造方法
BE1030726B1 (nl) 2022-07-25 2024-02-19 Grandeco Wallfashion Group Belgium Nv Flexibele wandbekleding met virusdodende coa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54B1 (ko) * 2004-10-28 2006-08-11 전효철 합지 벽지
JP2010024587A (ja) * 2008-07-22 2010-02-04 Tottori Univ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470A (en) 1976-12-27 1978-07-15 Nippon Zeon Co Production of composite body having foamed layer with excellent heat insulating property
JP2516478B2 (ja) 1990-12-27 1996-07-24 アキレス株式会社 印刷適性層用樹脂組成物
JP2516479B2 (ja) * 1990-12-27 1996-07-24 アキレス株式会社 透明層用樹脂組成物
JP2510099B2 (ja) * 1991-05-13 1996-06-26 アキレス株式会社 艶調整用樹脂組成物
JPH07132577A (ja) 1993-11-11 1995-05-23 Toppan Printing Co Ltd 壁紙の製造方法
JPH08217938A (ja) * 1995-02-17 1996-08-27 Mitsubishi Chem Corp 塩化ビニル系プラスチゾル組成物
JP3534132B2 (ja) * 1995-03-17 2004-06-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プラスチゾル組成物
JP3535666B2 (ja) * 1995-09-18 2004-06-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3047098B2 (ja) 1995-12-28 2000-05-2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樹脂水性分散体およびコーティング剤
JPH09309935A (ja) 1996-03-18 1997-12-02 Mitsubishi Rayon Co Ltd 複合ゴム系摺動性改質剤および軟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3508441B2 (ja) * 1997-01-17 2004-03-22 三菱化学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WO1998046654A1 (fr) * 1997-04-11 1998-10-22 Shin Dai-Ichi Vinyl Corporation Resine de chlorure de vinyle pour pate, ses procedes de preparation et plastisol contenant cette resine
JP2004195863A (ja) 2002-12-19 2004-07-15 Shin Etsu Polymer Co Ltd 車両内装用塩化ビニル系樹脂被覆層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6241962A (ja) * 2005-03-05 2006-09-14 Km Factory:Kk 糊付き壁紙
BRPI0717737A2 (pt) 2006-10-10 2013-10-22 Michael Lynch Métodos para desativar vírus, reduzir o risco de infecção viral e/ou tratar enfermidades virais em um mamífero, reduzir a inflamação e risco de inflamação em um mamífero, higienizar a pele de mamíferos, manufaturar um esfregão, tratar uma superfície visada e manufaturar uma toalha de secagem antimicrobiana
CN100509943C (zh) * 2007-05-11 2009-07-08 沈阳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糊树脂的制备方法
JP5379375B2 (ja) 2007-11-27 2013-12-25 株式会社カネカ 抗ウイルス性付与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抗ウイルス性製品の製造方法
TW201008486A (en) 2008-02-20 2010-03-01 Daiwa Spinning Co Ltd Antiviral substance, antiviral fiber, and antiviral fiber structure
CN101724208A (zh) 2008-10-28 2010-06-09 陈静 一种释放负离子的壁纸及其制造方法
JP5601698B2 (ja) * 2009-10-20 2014-10-08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抗ウイルス性を有する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製シート
JP4647033B1 (ja) 2010-01-28 2011-03-09 サンライズ産業株式会社 長期アルカリ性安定被膜、および長期アルカリ性安定被膜を用いた動物を飼育する建築物の防疫方法
AU2011254206B2 (en) 2010-05-20 2015-06-25 Ecolab Usa Inc. Rheology modified low foaming liquid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4114380A (ja) * 2012-12-10 2014-06-26 Taiyo Vinyl Corp 硬質カレンダー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CN103015218A (zh) 2012-12-22 2013-04-03 河南宝隆实业有限公司 一种pvc人造革刮涂料及采用该刮涂料制备pvc人造革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54B1 (ko) * 2004-10-28 2006-08-11 전효철 합지 벽지
JP2010024587A (ja) * 2008-07-22 2010-02-04 Tottori Univ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476A1 (ja) 2015-01-15
US10053570B2 (en) 2018-08-21
US11930811B2 (en) 2024-03-19
EP3020761A1 (en) 2016-05-18
EP3020761A4 (en) 2017-03-08
US20160143273A1 (en) 2016-05-26
US20210179834A1 (en) 2021-06-17
CN105377979A (zh) 2016-03-02
HK1222194A1 (zh) 2017-06-23
EP3020761B1 (en) 2021-12-22
CN105377979B (zh) 2018-08-31
KR20160030993A (ko) 2016-03-21
US20180282534A1 (en)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503B1 (ko)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EP0134389B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6608534B2 (ja) 印刷特性に優れる装飾材用インク収容層組成物、装飾材および装飾材の製造方法
WO2016158774A1 (ja) 熱可塑性モダクリ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の成形体と、アクリ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127342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5601698B2 (ja) 抗ウイルス性を有する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製シート
JP2014201024A (ja) 採光不燃シート
JP6182386B2 (ja) 抗ウイルス性塩化ビニル系樹脂壁紙および製造方法
JP6436563B2 (ja) 抗ウイルス性内装シート
JP6340611B2 (ja) 耐ブロッキング効果持続性フレキシブ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6562B2 (ja) 抗ウイルス性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抗ウイルス性塩化ビニル系樹脂製シートならびに製造方法
JP6228423B2 (ja) 抗ウイルス性内装シート
JP7387362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JP6433647B2 (ja) 抗ウイルス性内装シート
JP6246512B2 (ja) 抗ウイルス性壁紙
JP2017218516A (ja)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剤を添加した抗ウイルス性合成樹脂組成物
JP2021017560A (ja) フィルム形成用組成物、及びプラスチゾル組成物
JP6867743B2 (ja) 抗ウイルス性を有する表面処理剤及び表面処理剤が塗布されている抗ウイルス性シート状物
JP7154062B2 (ja) 壁紙
JPH0687996A (ja) 自己粘着性塩化ビニル系樹脂シート
JP2023529677A (ja) 溶融強度が向上した低曇価かつ低着色性の可塑化セルロース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形成された物品
JP2020007671A (ja) 壁紙
JP2015030947A (ja) 抗ウイルス性壁紙
KR20220112987A (ko) 친환경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2015196787A (ja) 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