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313B1 -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313B1
KR102200313B1 KR1020180050839A KR20180050839A KR102200313B1 KR 102200313 B1 KR102200313 B1 KR 102200313B1 KR 1020180050839 A KR1020180050839 A KR 1020180050839A KR 20180050839 A KR20180050839 A KR 20180050839A KR 102200313 B1 KR102200313 B1 KR 10220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layer
coating
plasticiz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655A (ko
Inventor
정근수
이시영
이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05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3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22Polyalkenes, e.g. 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5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orm
    • D21H21/56Foa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된 발포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석고보드 등에 시공 시, 상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Wall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된 발포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석고보드 등에 시공 시, 상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에는 미관을 위해 다양한 모양과 재질의 벽지가 도배된다.
상기 벽지는 2 이상의 종이가 합지된 합지 벽지, 종이에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이하 'PVC') 수지로 코팅한 실크 벽지, 직물이 합지된 직물 벽지 등으로 구분되고, 그 중 실크 벽지는 PVC 벽지라고도 불리며 표면질감이 실크처럼 부드럽고 엠보싱 효과가 뛰어나 입체적인 느낌을 잘 표현할 수 있어 가장 선호되고 있는 벽지이다.
상기 PVC 벽지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7775호는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원지, PVC 발포층, 인쇄층 및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PVC 벽지를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PVC 발포층은 PVC 수지, 가소제, 발포제, 발포촉진제, 발포안정제, 안료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졸 상태의 PVC 발포층 조성물을 원지 위에 코팅 및 발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실내의 벽 또는 천장 등의 바탕면은 통상 콘크리트, 미장 또는 석고보드로 이루어진다. 특히 석고보드의 경우에는 내열 및 흡음 성능이 뛰어나서 단열재 및 흡음재의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고보드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면 석고(10)의 양 면을 보드용 원지(20)가 둘러싼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보드용 원지(20)로는 일반적으로 재생지가 사용되며, 벽지를 상기 석고보드에 시공 시 상기 보드용 원지(20)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됨으로써 벽지의 표면이 변색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의 표면으로 이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하는 벽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467775B (2005. 1. 24)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여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된 발포층을 포함하는 벽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재층 코팅단계(S1);
발포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
상기 기재층 상부에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도포하는 발포층 조성물 도포단계(S5); 및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하는 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벽지는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함으로써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석고보드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다른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또 다른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또 다른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110')이 형성된 기재층(110) 및 상기 기재층(110) 상부에 형성된 발포층(120)을 포함하는 벽지(100)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벽지(100)의 각 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기재층(110)
상기 기재층(110)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벽지용 원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모조지 또는 부직포(예: 폴리에스테르/펄프 복합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재층(110)은 평량이 80-200g/㎡ 또는 100-180g/㎡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0)의 평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시공 또는 사용과정에서 벽지의 찢어짐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벽지 중량이 너무 무거워, 틈벌어짐 및 컬링 등 시공성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어 상기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110)은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필러를 상기 기재층 내에 일례로, 15-40중량% 또는 20-3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이염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무기 충전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일례로,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티탄,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카올린, 실리카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 친환경적인 안티몬계, 구아니딘(guanidine)계, 붕산계, 실리콘계 및 인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재층(110)은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110')이 형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팅층(110')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110')은 코팅액을 상기 기재층(11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형성됨으로써,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는 벽지 시공 후 실내 방향 쪽에 위치된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하부는 벽체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110')이 기재층(110) 상부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이 때, 상기 코팅층(110')의 두께는 1-50㎛, 10-30㎛ 또는 15-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어 벽지의 표면이 변색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품의 유연성에 영향을 주어 시공 시 컬링이 발생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110')이 기재층(110)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축율 관련 문제의 발생이 방지되고, 벽지 시공 시 우수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 때, 상기 코팅층(110')의 두께는 20-250㎛, 30-200㎛ 또는 50-1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어 벽지의 표면이 변색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석고보드와 접착 시공 시 사용되는 풀의 양이 증가하여 원가가 상승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110')이 기재층(110) 상부 전면 및 기재층(110)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이 우수하고, 수축율 관련 문제의 발생이 방지되며, 벽지 시공 시 우수한 부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 때, 상부에 형성된 코팅층(110')의 두께는 1-50㎛, 10-30㎛ 또는 15-2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형성된 코팅층(110')의 두께는 20-250㎛, 30-200㎛ 또는 50-1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어 벽지의 표면이 변색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석고보드와 접착 시공 시 사용되는 풀의 양이 증가하여 원가가 상승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일례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비닐아세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일례로, 상기 코팅액 내 15-30 중량% 또는 15-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코팅층(110')이 적합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가질 수 없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코팅액의 점도가 높아짐에 따라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에멀젼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코팅액은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발포층 형성 시 발포되어 기재층과 석고보드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의 점도는 일례로, 20-25℃에서 100-1000cps 또는 150-800cps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기재층(110) 상부에 도포 시 원하는 두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건조 후 크랙발생율이 높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0)의 두께는 일례로 2-300㎛ 또는 2-200㎛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층(120)
상기 발포층(120)은 본 발명의 벽지에 쿠션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50-9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층(120)은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를 50-90중량부로 포함하는 졸(sol) 상태의 발포층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중합체로서 연, 경질 제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범용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중합도가 일례로, 700-1500 또는 800-1200인 페이스트(paste) 폴리염화비닐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중합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가소화하여 기재층(110) 상부에 발포층 조성물의 코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단독 가소제 또는 혼합 가소제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단독 가소제인 경우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및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DO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독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0-90 중량부, 또는 60-8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소화 효과가 미미하여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유연성이 저하되어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내구성 및 발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혼합 가소제인 경우 95-80:5-20의 중량비로 혼합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시트레이트계 가소제의 가소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디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DINTP), 디부틸테레프탈레이트(DBTP), 부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BINTP), 부틸옥틸테레프탈레이트(BOTP) 및 옥틸이소노닐테레프탈레이트(OIN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 일예로는 안정성이 우수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레이트계 가소제는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아세틸트리헥실시트레이트(ATHC), 트리부틸시트레이트(TBC), 트리헥실시트레이트(THC),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ATEC), 아세틸 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ATPC), 트리프로필시트레이트(TPC), 트리에틸시트레이트(TEC) 및 트리옥틸시트레이트(TO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 일예로는 범용적이고 가공성이 우수한 트리부틸시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시트레이트계 가소제의 중량비는 95-80:5-20 또는 92-85:8-15일 수 있다.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상기 중량비 범위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가소화 효율이 낮은 시트레이트계 가소제의 함량이 증가하여 가소화 효과가 미미하고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중량비 범위를 초과할 경우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 가소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0-90중량부 또는 65-8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가소화 효과가 미미하여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유연성이 저하되어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내구성 및 발포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층 조성물은 발포제 및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발포층(120)을 발포성형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화학 발포제 및 물리 발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학 발포제는 특정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생성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azodiisobutyro-nitrile), 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benzenesulfonhydrazide), 4,4-옥시벤젠설포닐-세미카바자이드(4,4-oxybenzene sulfonyl-semicarbazide),p-톨루엔 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p-toluene sulfonylsemi-carbazide), 바륨아조디카복실레이트(barium azodicarboxylate),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N,N'-dimethyl-N,N'-dinitrosoterephthalamide) 및 트리하이드라지노 트리아진(trihydrazino triaz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물리 발포제는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물, 공기 및 헬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 발포제 또는 1-9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aliphatic hydrocarbon), 1-3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알코올(aliphatic alcohol) 및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화합물(halogenated aliphatic hydrocarb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발포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10중량부 또는 3-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가스 생성량이 너무 적어 발포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발포가 과대하여 열린 셀(open cell)이 발생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발포층(120)에 기계적 물성 부여 및 원가 저감 효과를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탄산칼슘, 탈크, 이산화 티타늄, 카올린,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40-250중량부 또는 60-2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원가 저감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발포층의 표면 상태가 좋지 못할 수 있고 아울러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층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점도조절제, 핵제, 난연제, 안료, 소포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발포층 조성물의 점도는 20-25℃에서 2000-5000cps 또는 2500-4000cps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코팅시 원하는 두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건조 후 크랙발생율이 높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층(120)의 발포 전 두께는 0.1-0.5mm 또는 0.2-0.4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쿠션감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벽지 중량이 무거워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발포층(120) 상부에 인쇄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인쇄층(130)
상기 인쇄층(130)은 본 발명의 벽지에 다양한 무늬 및/또는 색상을 부여하여, 미관 효과를 개선하는 층으로, 그라비아, 로터리 스크린 또는 플렉소 인쇄 중 선택된 하나의 인쇄방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130)은 1-10㎛ 또는 2-8㎛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예시한 층들 이외에도 추가적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일례로 상기 인쇄층(130) 표면을 보호하고 오염방지를 위해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표면처리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면처리제는 아크릴 수지 또는 PLA(Polylactic acid) 수지를 물에 분산시켜 제조한 에멀젼 상태의 것이나 아크릴 수지 또는 PLA 수지를 물, 알코올계 또는 MEK(Methyl Ethyl Ketone) 등의 용제에 녹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그라비아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1-20㎛ 또는 5-1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인쇄층(130) 또는 표면처리층(미도시)이 형성된 반제품을 예열한 후, 양각 및 음각의 요철무늬가 형성된 엠보롤러 또는 진공 엠보롤을 사용하여 엠보무늬(A)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도 4참조).
본 발명의 벽지는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여 △E가 3.0 미만일 수 있다. 상기 △E는 색차로서, KS A 0068에 따라 시편을 7일 동안 방치한 후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E는 △E= ((△L)2 + (△a)2 + (△b)2)1/2 공식을 이용해 환산하였다. 여기서, L은 밝기, a와 b는 색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범위의 △E를 가짐으로써 변색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벽지는 가소제의 이행 손실량(%)이 1.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이행 손실량(%)은 [(상온에서의 시편 초기 중량 - 오븐 방치 후 시편의 중량) / 상온에서의 시편 초기 중량] x 100으로 계산하였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범위의 이행 손실량을 가짐으로써 가소제 이행 정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는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 벌어진 정도가 0.3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틈 벌어진 정도는 틈새 게이지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 범위의 틈 벌어진 정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지는 발포층에 특정 중량비로 혼합된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시트레이트계 가소제의 가소제 혼합물이 특정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마찰 실시 후 인쇄의 벗겨짐이 없을 수 있다. 상기 마찰은 인쇄부위에 좌우 마찰을 10회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지는 상기와 같이 마찰 실시 후 인쇄의 벗겨짐이 없어 우수한 인쇄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벽지를 제조하기 위한 벽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벽지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재층 코팅단계(S1);
발포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
상기 기재층 상부에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도포하는 발포층 조성물 도포단계(S5); 및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벽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기재층 코팅단계(S1) 및 상기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의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층 형성단계(S7) 이후, 상기 발포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쇄층 형성단계(S9) 이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표면처리층 형성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재층 코팅단계(S1);
상기 기재층 코팅단계(S1)는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을 도포한 후 겔링(gelling)하여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액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액을 T-die 압출 코팅, 그라비아 코팅, 로터리 스크린 코팅, 롤 코팅 및 나이프 코팅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한 후 겔링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코팅층은 기재층의 상부 전면에 T-die 압출 코팅 또는 그라비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다른 일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층은 기재층의 하부면에 코팅액을 부분적으로 로터리 스크린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층은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발포층 형성단계(S7) 시 발포되어 기재층과 석고보드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속에 잔류하고 있는 안료가 벽지로 이염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벽지 표면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
상기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는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발포층 조성물은 합성수지 졸(sol)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발포층 조성물의 각 조성은 위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는 각 조성을 상온에서 믹서로 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발포층 조성물 도포단계(S5)
상기 발포층 조성물 도포단계(S5)는 상기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에서 제조한 발포층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한 후에 겔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도포하는 방식은 공지된 코팅 방식일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로 바(bar) 코팅 또는 나이프(knife) 코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겔링은 150-180℃에서 10-30초 동안 행해진 것일 수 있다.
발포층 형성단계(S7)
상기 발포층 형성단계(S7)는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되어 있는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발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발포는 180-220℃ 또는 190-210℃에서 30-70초 또는 40-60초의 조건 하에서 발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 미만일 경우 발포가 미미하여 쿠션감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를 초과할 경우 발포 셀이 과도하게 커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아울러 벽지 시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발포시킬 수 있다.
인쇄층 형성단계(S9)
상기 인쇄층 형성단계(S9)는 상기 발포층 형성단계(S7)에서 형성된 발포층 상부에 그라비아, 로터리 스크린 또는 플렉소 인쇄 중 선택된 하나의 인쇄방법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조성은 다음과 같다.
-폴리염화비닐 수지: 중합도가 900인 LG화학社의 PB900을 사용하였다.
-단독 가소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의 GL500)를 사용하였다.
-혼합 가소제1):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 GL500)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Sigma Aldrich, Tributyl Citrate)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혼합 가소제2): 98:2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 GL500)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Sigma Aldrich, Tributyl Citrate)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혼합 가소제3):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 GL500)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Sigma Aldrich, Tributyl Citrate)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코팅액: 폴리우레탄 에멀젼 수지 25중량%, 물 70중량% 및 알코올 5중량%를 포함하는 점도가 500cps(25℃)인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1) 기재층 코팅단계(S1)
두께가 2㎛, 평량 100g/m2의 모조지인 기재층 상부 전면에 폴리우레탄 에멀젼 수지 25중량%를 포함하는 점도가 500cps(25℃)인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하여, 150℃에서 30초 동안 겔링(gelling)하여 두께가 20㎛인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단독 가소제(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70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미드) 4중량부, 충전제(탄산칼슘) 70중량부 및 열안정제(Ba-Zn계) 3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층 조성물을 상온에서 믹서로 혼련하여 점도가 3000cps(25℃)인 졸 상태의 발포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발포층 조성물 도포단계(S5)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의 코팅층 상에 0.24mm 두께로 나이프 코팅한 후 170℃에서 15초 동안 겔링하였다.
(4) 발포층 형성단계(S7)
상기 겔링된 발포층 조성물을 200℃ 오븐에서 50초 동안 발포시켜 0.4mm 두께의 발포층을 형성하였다.
(5) 인쇄층 형성단계(S9)
상기 발포층 상부에 그라비아 인쇄 방식을 통해 5㎛두께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160 ℃에서 예비 가열 후 엠보롤러로 인쇄층 상에 엠보를 형성하여 실시예 1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기재층 코팅단계(S1)을 하기와 같이 실행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실시예 2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1) 기재층 코팅단계(S1)
두께가 2㎛, 평량 100g/m2의 모조지인 기재층 하부면에 폴리우레탄 에멀젼 수지 25중량%, 물 70% 및 알코올 5%를 포함하는 점도가 500cps(25℃)인 코팅액을 로터리 스크린 부분 코팅한 후, 200℃에서 30초동안 겔링(gelling)하여 두께가 50㎛인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비교하여,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에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단독 가소제가 아닌 혼합 가소제1)을 70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실시예 3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기재층 코팅단계(S1)을 하기와 같이 실행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실시예 4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1) 기재층 코팅단계(S1)
두께가 2㎛, 평량 100g/m2의 모조지인 기재층 상부 전면에 폴리우레탄 에멀젼 수지 25중량%, 물 70%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점도가 500cps(25℃)인 코팅액을 그라비아 코팅하여, 150℃에서 30초 동안 겔링(gelling)하여 두께가 20㎛인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기재층 하부면에 상기 코팅액을 로터리 스크린 부분 코팅한 후, 200℃에서 30초동안 겔링(gelling)하여 두께가 50㎛인 코팅층을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실시예 1과 비교하여, (1) 기재층 코팅단계(S1)에서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비교예 1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1
실시예 1과 비교하여, (1) 기재층 코팅단계(S1)에서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에서 단독 가소제가 아닌 혼합 가소제1)을 70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참조예 1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2
실시예 1과 비교하여, (1) 기재층 코팅단계(S1)에서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에서 단독 가소제가 아닌 혼합 가소제2)를 70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참조예 2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3
실시예 1과 비교하여, (1) 기재층 코팅단계(S1)에서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에서 단독 가소제가 아닌 혼합 가소제3)을 70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참조예 3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4
실시예 1과 비교하여, (1) 기재층 코팅단계(S1)에서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에서 단독 가소제가 아닌 혼합 가소제1)을 40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참조예 4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참조예 5
실시예 1과 비교하여, (1) 기재층 코팅단계(S1)에서 기재층의 일면에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2)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에서 단독 가소제가 아닌 혼합 가소제1)을 100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참조예 5의 벽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벽지의 벽색 여부
KS A 0068에 따라 시편을 7일 동안 방치한 후 △E(색차)를 측정하여 상기 각각 제조된 벽지의 변색 여부를 평가하였다. 이 때, 초기 시편의 △E 값은 0 이었고, 측정기기로는 BYK社의 Spectro-guide sphere를 사용하였다.
상기 △E는 △E= ((△L)2 + (△a)2 + (△b)2)1/2 공식을 이용해 환산하였다. 여기서, L은 밝기(lightness)를 나타내며 L값이 100이면 완전한 백색, 0은 검정색을 나타낸다. a와 b는 색도(Chromaticity)를 나타내며 a값이 (+)이면 적색, (-)이면 녹색을 나타내며, b값이 (+)이면 황색, (-)이면 청색을 나타낸다.
△E가 4.0 이상인 경우 벽지의 변색 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E 가 3.0 이상 4.0 미만인 경우 벽지의 일부가 변색된 것으로 평가하였고, △E가 3.0 미만인 경우 벽지가 변색 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시공성
시공성은 틈새 게이지로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 벌어진 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틈 벌어진 정도가 0.3mm 이하인 경우 시공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0.3mm 초과 0.5mm 이하인 경우 시공성이 다소 저하된 것으로 평가하였고, 0.5mm 초과인 경우 시공성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가소제의 이행 정도(이행 손실, Migration Loss)
기재(모조지) 위에 발포층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겔링 및 발포시켰다. 그리고 나서, 발포된 시편 위와 아래에 모조지를 올려놓은 후 1kgf/cm2 의 하중을 가하였다. 시편을 강제 대류 오븐에 넣고 80℃ 온도에서 72시간 방치 후 꺼내서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이후 발포된 시편 위에 있던 모조지를 제거한 후 오븐에 방치하기 전과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행 손실량을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이행 손실량(%) = [(상온에서의 시편 초기 중량 - 오븐 방치 후 시편의 중량) / 상온에서의 시편 초기 중량] x 100
가소제의 이행 정도는 이행 손실(Migration Loss)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행 손실량(%)이 1.4 이하인 경우 가소제 이행 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고, 1.4 초과인 경우 가소제 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인쇄성
인쇄성은 발포층과 인쇄층의 부착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벽지의 인쇄성 측정은 헝겊으로 인쇄부위에 좌우 마찰을 10회 실시 후 인쇄의 벗겨지는 정도로 확인을 하였다. 인쇄의 벗겨짐이 없으면 인쇄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부분적으로 벗겨지면 인쇄성이 다소 저하된 것으로 평가하였고, 마찰이 이루어진 부분 전체가 벗겨지면 인쇄성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기재층 코팅층 포함 여부 코팅층 위치 코팅 정도 코팅층 두께 △E
실시예 1 O 상부 전면 20㎛ 2.5
실시예 2 O 하부 부분 50㎛ 2.8
실시예 3 O 상부 전면 20㎛ 2.6
실시예 4 O 상부 및 하부 전면 및 부분 20㎛(상부), 50㎛(하부) 2.0
비교예 1 X - - - 4.4
참조예 1 X - - - 4.3
참조예 2 X - - - 4.2
참조예 3 X - - - 4.1
참조예 4 X - - - 3.2
참조예 5 X - - - 8.3
-코팅층 위치: 기재층이 코팅층을 포함하는 경우로서, 코팅층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하부"로 기재함.
-코팅 정도: 기재층 전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 "전면", 기재층에 코팅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부분"으로 기재함.
-변색 여부: △E가 4.0 이상인 경우 벽지의 변색 정도가 심한 것으로, △E 가 3.0 이상 4.0 미만인 경우 벽지의 일부가 변색된 것으로, △E 가 3.0 미만인 경우 벽지가 변색 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함.
가소제 종류 및 함량 시공성 인쇄성 이행 손실량(%)
실시예 1 DOTP 70중량부 O O 1.31
실시예 2 DOTP 70중량부 O O 1.29
실시예 3 혼합 가소제1) 70중량부 O O 1.25
실시예 4 DOTP 70중량부 O O 1.1
비교예 1 DOTP 70중량부 O O 1.40
참조예 1 혼합 가소제1) 70중량부 O O 1.39
참조예 2 혼합 가소제2) 70중량부 X O 1.43
참조예 3 혼합 가소제3) 70중량부 Δ Δ 1.43
참조예 4 혼합 가소제1) 40중량부 X O 1.25
참조예 5 혼합 가소제1) 100중량부 X X 1.63
-단독 가소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LG화학社, GL500)
-혼합 가소제1):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 GL500)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Sigma Aldrich, Tributyl Citrate)의 혼합물
-혼합 가소제 2) 98:2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 GL500)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Sigma Aldrich, Tributyl Citrate)의 혼합물
-혼합 가소제 3)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LG화학社, GL500)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Sigma Aldrich, Tributyl Citrate)의 혼합물
-시공성: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 벌어진 정도가 0.3mm 이하인 경우 O, 0.3mm 초과 0.5mm 이하인 경우 Δ, 0.5mm 초과인 경우 X로 기재함.
-인쇄성: 인쇄의 벗겨짐이 없으면 O, 부분적으로 벗겨지면 Δ, 마찰이 이루어진 부분 전체가 벗겨지면 X로 기재함.
-이행 손실량: 이행 손실량(%)이 1.4 이하인 경우 가소제 이행 정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고, 1.4 초과인 경우 가소제 이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함.
실시예 1 내지 4의 벽지는 적어도 일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포함하여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내의 안료가 벽지로 이염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E가 3.0 미만으로 벽지가 변색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2 및 4의 벽지는 가소제로 단독 가소제(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고, 실시예 3의 벽지는 가소제로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행 손실량이 1.4% 이하로 가소제의 이행 정도가 낮았다. 이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4의 벽지는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벌어진 정도가 0.3mm 이하로 시공성이 우수하였고, 마찰 실시 후 인쇄의 벗겨짐이 없어 인쇄성이 우수하였다.
한편, 비교예 1 및 참조예 1 내지 5의 벽지는 기재층에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아 석고보드의 보드용 원지 내의 안료가 이염되어 비교예 1, 참조예 1 내지 3 및 참조예 5의 벽지는 △E 가 4.0 이상으로 벽지가 심하게 변색되었고, 참조예 4의 벽지는 △E 가 3.0 이상 4.0 미만으로 벽지의 일부가 변색되었다.
또한, 참조예 2의 벽지는 가소제로 98:2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으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가 과량으로 포함되어 이행 손실량이 1.4% 초과로 가소제의 이행 정도가 높았으며, 이에 따라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 벌어진 정도가 0.5mm 초과로 시공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참조예 3의 벽지는 가소제로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으로, 트리부틸시트레이트가 과량으로 포함되어 이행 손실량이 1.4% 초과로 가소제의 이행 정도가 높았고, 이에 따라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 벌어진 정도가 0.3mm 초과 0.5mm 이하로 시공성이 다소 저하되었으며, 이에 더해, 트리부틸시트레이트가 과량 포함됨에 따라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와의 혼용성이 떨어져 마찰 실시 후 인쇄가 부분적으로 벗겨져 인쇄성이 다소 저하되었다.
또한, 참조예 4의 벽지는 발포체 조성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의 혼합물을 40중량부 포함한 것으로, 상기 가소제가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어 유연성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벌어진 정도가 0.5mm 초과로 시공성이 저하되었고, 가소화 효과가 미미한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조예 5의 벽지는 발포체 조성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및 트리부틸시트레이트의 혼합물을 100중량부 포함한 것으로, 상기 가소제가 함량 범위 초과로 포함되어 이행 손실량이 1.4% 초과로 가소제의 이행 정도가 높았고, 이에 따라 벽지와 벽지 사이 이음매의 틈벌어진 정도가 0.5mm 초과로 시공성이 저하되었고, 마찰이 이루어진 부분 전체의 인쇄가 벗겨져 인쇄성이 저하되었으며, 내구성 및 발포성 또한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석고 20: 보드용 원지
100: 벽지 110: 기재층
110': 코팅층 120: 발포층
130: 인쇄층 A: 엠보무늬

Claims (15)

  1. 적어도 일면에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50-90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및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DO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단독 가소제 또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시트레이트계 가소제가 95-80:5-2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혼합 가소제로 형성된 발포층을 포함하는 KS A 0068에 따라 7일 동안 방치된 후 측정된 색차(△E)가 3.0 미만이고, 가소제의 이행 손실량이 1.4% 이하인 것인 벽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기재층 상부 전면에 형성되되, 두께가 1-50㎛인 것인 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기재층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되, 두께가 20-250㎛인 것인 벽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우레탄 수지 15-30 중량%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재층 코팅단계(S1);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및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DOT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단독 가소제 또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시트레이트계 가소제가 95-80:5-2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혼합 가소제 50-90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발포층 조성물 제조단계(S3);
    상기 기재층 상부에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도포하는 발포층 조성물 도포단계(S5); 및
    상기 발포층 조성물을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층 형성단계(S7);를 포함하는 벽지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코팅단계(S1)는 코팅액을 상부 전면에 T-die 압출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벽지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코팅단계(S1)는 기재층의 하부면에 코팅액을 로터리 스크린 코팅하여 부분적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벽지의 제조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점도가 500cps(25℃)인 것인 벽지의 제조방법.
  15. 삭제
KR1020180050839A 2018-05-02 2018-05-02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39A KR102200313B1 (ko) 2018-05-02 2018-05-02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39A KR102200313B1 (ko) 2018-05-02 2018-05-02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55A KR20190126655A (ko) 2019-11-12
KR102200313B1 true KR102200313B1 (ko) 2021-01-08

Family

ID=6857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39A KR102200313B1 (ko) 2018-05-02 2018-05-02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17B1 (ko) * 2015-02-12 2016-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17166080A (ja) * 2016-03-15 2017-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発泡壁紙、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397A (ja) * 1995-03-08 1996-09-24 Toppan Printing Co Ltd 発泡壁紙
KR100467775B1 (ko) 2001-12-12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오염성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503B1 (ko) * 2013-07-12 2019-11-01 롱시루고오교가부시기가이샤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성 염화비닐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내장 시트, 내장 시트의 제조 방법,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제 내장 시트, 항바이러스성 벽지, 및 항바이러스성 벽지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17B1 (ko) * 2015-02-12 2016-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2017166080A (ja) * 2016-03-15 2017-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発泡壁紙、及び発泡壁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55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9163A1 (en) Sound insulation and non-slip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197308B1 (ko) 고광택 미러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35871B1 (ko) 가볍고 엠보무늬가 깊은 동조 엠보무늬 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벽지
JP4578199B2 (ja) 壁紙の製造方法
JP4882144B2 (ja) 壁紙の製造方法
KR102200313B1 (ko)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8117B1 (ko) 경량 엠보 벽지
JP3923969B2 (ja) 壁紙の製造方法
KR101628926B1 (ko) 수지층 및 그라비아인쇄층을 발포하여 입체무늬를 갖는 벽지제조방법
KR20160131059A (ko) 복합 쉬트 및 피브이씨와 가소제가 없는 발포 장식 쉬트의 제조방법
KR102310678B1 (ko) 점착력과 방염성이 우수한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211049A (ja) 発泡化粧材
KR20210057422A (ko) 벽지 시공방법
JP4843926B2 (ja) 壁紙
JP5246279B2 (ja) 壁紙
JP2001079974A (ja) エンボス加工内装材用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媒体
JP6673522B1 (ja) 壁紙
KR20180096972A (ko) 준불연 벽지
JP2002200717A (ja) 化粧材
JP5077392B2 (ja) 壁紙
KR102624776B1 (ko) 벽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3209414U (ja) 吸着性クッションフロア
KR102698838B1 (ko) 실크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39696Y1 (ko) 친환경 벽지
KR20120064746A (ko) 입체 효과를 갖는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