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668B1 -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668B1
KR101691668B1 KR1020100124053A KR20100124053A KR101691668B1 KR 101691668 B1 KR101691668 B1 KR 101691668B1 KR 1020100124053 A KR1020100124053 A KR 1020100124053A KR 20100124053 A KR20100124053 A KR 20100124053A KR 101691668 B1 KR101691668 B1 KR 10169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wiring
connection
conductive material
wir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666A (ko
Inventor
카즈이치로 이토나가
마치코 호리이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7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01L27/14645Colour imagers
    • H01L27/14647Multicolour imagers having a stacked pixel-element structure, e.g. npn, npnpn or MQW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formed through a semiconduct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52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4Assemblies, i.e. Hybri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6Interconnec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8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harges across the imager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4Back illuminated 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7Wafer leve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9Assemblies, i.e. hybrid inte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81Disposition
    • H01L2224/0812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0813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08145Disposition the bonding area connecting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the bonding area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8High density interconnect [HDI]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high density interconnect connector
    • H01L2224/241Disposition
    • H01L2224/2413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2414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01L2224/24147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the HDI interconnect not connecting to the same level of the lower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t which the upper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is mounted, e.g. the upper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mounted in a cavity or on a protrusion of the lower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00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connecting a bonding area directly to another bonding area, i.e. connectorless bonding, e.g. bumpless bonding
    • H01L2224/80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0894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 H01L2224/80896Direct bonding, i.e. joining surfaces by means of intermolecular attracting interactions at their interfaces, e.g. covalent bonds, van der Waals forces between electrically insulating surfaces, e.g. oxide or nitri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2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forming build-up interconnects at chip-level, e.g. for high density interconnects [HD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2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by forming build-up interconnects at chip-level, e.g. for high density interconnects [HDI]
    • H01L2224/82009Pre-treatment of the connector or the bonding area
    • H01L2224/8203Reshaping, e.g. forming vi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80 - H01L2224/90
    • H01L2224/92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1Not relevant to the scope of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5Phosphorus [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01L2924/13091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한쪽 측면에 제1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짐에 의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연장되는 도전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고체 촬상 장치 등의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고체 촬상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고체 촬상 장치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MOS형 이미지 센서로 대표되는 증폭형 고체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로 대표되는 전하 전송형 고체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고체 촬상 장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고체 촬상 장치로서는 전원 전압이 낮고, 소비 전력의 관점 등으로부터 MOS형 이미지 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MOS형의 고체 촬상 장치는 단위 화소가 광전 변환부가 되는 포토 다이오드와 복수의 화소 트랜지스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화소가 2차원 어레이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화소 영역)와, 주변 회로 영역을 갖고서 구성된다. 복수의 화소 트랜지스터는 M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되고, 전송 트랜지스터, 리셋 트랜지스터, 증폭 트랜지스터의 3트랜지스터, 또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더한 4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종래, 이와 같은 MOS형 고체 촬상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를 배열한 화소 어레이가 형성된 반도체 칩과, 신호 처리를 행하는 로직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구성한 고체 촬상 장치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6-49361호 공보에서는 각 화소 셀마다 마이크로 패드를 갖는 이면조사형의 이미지 센서 칩과, 신호 처리 회로가 형성되어 마이크로 패드를 갖는 신호 처리 칩을, 마이크로 범프에 의해 접속한 반도체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공보 WO2006/129762호 공보에서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제1의 반도체 칩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어레이를 구비한 제2의 반도체 칩과, 모리 소자 어레이를 구비한 제3의 반도체 칩을 적층한 반도체 이미지 센서·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제1의 반도체 칩과 제2의 반도체 칩은 도전성 접속 도체인 범프를 통하여 접속된다. 제2의 반도체 칩과 제3의 반도체 칩은 제2의 반도체 칩을 관통하는 관통 콘택트에 의해 접속된다.
일본국 특개2006-4936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 칩과 신호 처리를 행하는 로직 회로 등의 이종 회로 칩을 혼재한 기술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기능 칩이 거의 완성된 상태에서 관통 접속구멍을 형성하여 칩 사이를 서로 접속하거나, 범프를 이용하여 칩 사이를 서로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기생 용량인 쌍을 이루는 그라운드 용량과 인접 커플링 용량이 발생하는 본딩된 반도체 칩부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상기 쌍을 이루는 그라운드 용량은 배선과 그라운드 전위인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 사이의 기생 용량이다. 인접 커플링 용량은 이웃하는 인회배선(laying wiring) 사이, 또는 이웃하는 도체 사이의 기생 용량이다. 대(counter) 그라운드 용량은 전원을 강화하거나, 버퍼 회로를 마련하여 전류를 흘리도록 하면 해소가 가능하지만, 인접 커플링 용량은 인접한 열(line) 사이의 간섭이기 때문에 해소될 수 없다.
이와 같은 기생 용량의 문제점은 각각 반도체 집적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칩부를 서로 부착하여 양 반도체 칩부 사이를 접속 도체 및 관통 접속 도체로 접속하는 반도체 장치에서도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기생 용량을 저감하고, 고성능화를 도모한 고체 촬상 장치 등의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체 촬상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한쪽 측면에 제1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짐에 의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연장되는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한쪽 측면에 제1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상기 제2의 반도체부에 접합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연장되는 도전 재료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형성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는 한쪽 측면상의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의 대향측면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1의 반도체 측면상의 상기 제1의 접속 재료의 단부(end portion)를,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1의 반도체 측면상의 상기 제2의 접속 재료의 단부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한쪽 측면상의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의 대향측면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 보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상기 제2의 반도체부에 접합하는 스텝과,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마련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는 광학 유닛과, 화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유닛은, (a)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b)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c)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d)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광학 유닛과 상기 화상 유닛 사이에 셔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는 광학 유닛과, 화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유닛은, (a) 한쪽 측면상의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의 대향측면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b)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c)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d)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광학 유닛과 상기 화상 유닛 사이에 셔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과 반도체 사이의 기생 용량이 저감하기 때문에, 부착칩에 의한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의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과 반도체 사이의 기생 용량을 저감시킬 수가 있어서, 부착칩에 의한 고성능의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에 의하면, 기생 용량을 저감하여 고성능화를 도모한, 부착칩에 의한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를 구비함에 의해, 고품질의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과 반도체 사이의 기생 용량이 저감하기 때문에, 부착칩에 의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MOS 고체 촬상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와 종래예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제거 영역의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례를 도시하는 제조 공정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32는 도 31의 XXXII-XXXII선상의 개략 단면도.
도 33은 도 31의 XXXIII-XXXIII선상의 개략 단면도.
도 34는 도 31에서의 제1의 접속 패드를 도시하는 분해 평면도.
도 35는 도 31에서의 제2의 접속 패드를 도시하는 분해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38은 도 37의 XXXVIII-XXXVIII선상의 개략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43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 패드의 레이아웃을 적용한 고체 촬상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44는 도 43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의 접속 패드의 레이아웃례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5는 본 발명에 관한 접속 패드의 레이아웃을 적용한 반도체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46은 도 45의 반도체 장치에서의 접속 패드의 레이아웃례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4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
도 1에,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 적용되는 MOS 고체 촬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고체 촬상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 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에 복수의 광전 변환부를 포함하는 화소(2)가 규칙적으로 2차원 어레이형상으로 배열된 화소 어레이(이른바 화소 영역)(3)와, 주변 회로부를 갖고서 구성된다. 화소(2)는 광전 변환부가 되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와, 복수의 화소 트랜지스터(이른바 MOS 트랜지스터)를 갖고서 이루어진다. 복수의 화소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면 전송 트랜지스터, 리셋 트랜지스터 및 증폭 트랜지스터의 3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에, 선택 트랜지스터를 추가하여 4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위 화소의 등가 회로는 통상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화소(2)는 하나의 단위 화소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소(2)는 공유 화소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화소 공유 구조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와, 복수의 전송 트랜지스터와, 공유한하나의 플로팅 디퓨전과, 공유하는 하나씩의 다른 화소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즉, 공유 화소에서는 복수의 단위 화소를 구성하는 포토 다이오드 및 전송 트랜지스터가, 다른 하나씩의 화소 트랜지스터를 공유하여 구성된다.
주변 회로부는 수직 구동 회로(4)와,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와, 수평 구동 회로(6)와, 출력 회로(7)와, 제어 회로(8) 등을 가지고 구성된다.
제어 회로(8)는 입력 클록과, 동작 모드 등을 지령하는 데이터를 수취하고, 또한 고체 촬상 장치의 내부 정보 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제어 회로(8)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마스터 클록에 의거하여, 수직 구동 회로(4), 칼럼 신호 처리 회로(5) 및 수평 구동 회로(6) 등의 동작의 기준이 되는 클록 신호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들의 신호를 수직 구동 회로(4), 칼럼 신호 처리 회로(5) 및 수평 구동 회로(6) 등에 입력한다.
수직 구동 회로(4)는 예를 들면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화소 구동 배선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소 구동 배선에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를 공급하고, 행 단위로 화소를 구동한다. 즉, 수직 구동 회로(4)는 화소 어레이(3)의 각 화소(2)를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선택 주사하고, 수직 신호선(9)을 통하여 각 화소(2)의 광전 변환부가 되는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에서 수광량에 응하여 생성한 신호 전하에 의거한 화소 신호를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에 공급한다.
칼럼 신호 처리 회로(5)는 화소(2)의 예를 들면 열마다 배치되어 있고, 1행분의 화소(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화소열마다 노이즈 제거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즉 칼럼 신호 처리 회로(5)는 화소(2) 고유의 고정 패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CDS나, 신호 증폭, AD 변환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의 출력단에는 수평 선택 스위치(도시 생략)가 수평 신호선(10)과의 사이에 접속되어 마련된다.
수평 구동 회로(6)는 예를 들면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수평 주사 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함에 의해,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의 각각을 순번대로 선택하고,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의 각각으로부터 화소 신호를 수평 신호선(10)에 출력시킨다.
출력 회로(7)는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의 각각으로부터 수평 신호선(10)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행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바퍼링만 하는 경우도 있고, 흑레벨 조정, 열(列) 편차 보정, 각종 디지털 신호 처리 등이 행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 단자(12)는 외부와 신호의 교환을 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관한 MOS 고체 촬상 장치의 기본적인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종래의 MOS 고체 촬상 장치(151)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반도체 칩(152) 내에, 화소 어레이(153)와, 제어 회로(154)와, 신호 처리하기 위한 로직 회로(155)를 탑재하여 구성된다. 통상, 화소 어레이(153)와 제어 회로(154)로 이미지 센서(156)가 구성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서의 MOS 고체 촬상 장치(21)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 화소 어레이(23)와 제어 회로(24)를 탑재하고,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로직 회로(25)를 탑재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22 및 26)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서 MOS 고체 촬상 장치(21)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서의 MOS 고체 촬상 장치(27)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 화소 어레이(23)를 탑재하고, 제2의 반도체 칩부(26)와 제어 회로(24),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로직 회로(25)를 탑재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22 및 26)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서 MOS 고체 촬상 장치(27)가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MOS 고체 촬상 장치의 구성에 의해서는 2개 이상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 이외에, 메모리 소자 어레이를 구비한 반도체 칩부, 그 밖의 회로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칩부 등을 추가하여 3개 이상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하여, 하나의 칩으로 한 MOS 고체 촬상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1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1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27)는 화소 어레이(23)와 제어 회로(24)가 형성된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로직 회로(25)가 형성된 제2의 반도체 칩부(26)가 부착된 적층 반도체 칩(27)을 갖고서 구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제2의 반도체 칩부(26)는 서로의 다층 배선층(41 및 55)이 마주 보도록 하여 부착된다. 부착은 본 예에서는 보호막(42 및 56)을 통하여 접착제층(57)에서 이루어진다. 그 밖에, 플라즈마 접합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서,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제2의 반도체 칩부(26)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laying wiring)(40d)에 접속되는 각 접속배선(67)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이고,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어레이(23)의 외측에 형성된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은 이른바 전극 패드 영역에 상당한다. 도 15A에서는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화소 어레이(23)의 수직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는 박막화된 제1의 반도체 기판(31)에, 광전 변환부가 되는 포토 다이오드(PD)와 복수의 화소 트랜지스터(Tr1, Tr2)로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23)와, MOS 트랜지스터(Tr3, Tr3)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24)가 형성된다. 화소 트랜지스터(Tr1 및 Tr2), MOS 트랜지스터(Tr3 및 Tr4)는 각각 대표하여 나타내고 있다. 반도체 기판(31)의 표면(31a)측에는 층간 절연막(39)을 통하여 복수, 본 예에서는 3층의 메탈(M1 내지 M3)에 의한 배선(40)[40a, 40b, 40c]을 배치한 다층 배선층(41)이 형성된다. 화소 트랜지스터(Tr1, Tr2) 및 제어 회로(24)의 MOS 트랜지스터(Tr3, Tr4)에 관해서는 후의 제조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2의 반도체 칩부(26)는 제2의 반도체 기판(45)에, MOS 트랜지스터(Tr6 내지 Tr8)로 이루어지는 로직 회로(25)가 형성된다. 반도체 기판(45)의 표면(45a)측에는 층간 절연막(49)을 통하여 복수, 본 예에서는 3층의 메탈(M11 내지 M13)에 의한 배선(53)[53a, 53b, 53c]을 배치한 다층 배선층(55)이 형성된다. MOS 트랜지스터(Tr6 내지 Tr8)에 관해서는 후의 제조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전부가 예를 들면 에칭에 의해 제거되어 있다. 반도체 제거 영역(31)의 저면, 측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의 표면으로 연장하여,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SiO2)막(58)과 실리콘 질화(SiN)막(59)에 의한 적층 절연막(61)이 형성된다. 적층 절연막(61)은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오목부의 측면에 노출하는 반도체 기판(31)을 보호하는 보호용 절연막이고, 또한 화소에서의 반사 방지막을 겸하고 있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는 실리콘 질화막(59)부터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의 다층 배선층(41)의 소요되는 배선, 본 예에서는 3층째 메탈(M3)에 의한 인회배선(40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이 형성된다. 또한,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다층 배선층(41)을 관통하여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서의 다층 배선층(55)의 소요되는 배선, 본 예에서는 3층째 메탈(M13)에 의한 인회배선(53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62) 내에 매입되어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제2의 접속 패드(6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와, 양 도체(68 및 69)의 상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에 의해 형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포토 다이오드(34)의 광입사면이 되는 이면(31b)측 위에 차광을 필요로 하는 영역을 덮는 차광막(72)이 형성된다. 또한 차광막(72)을 덮도록 평탄화막(73)이 형성되고, 평탄화막(73)상에 각 화소에 대응하여 온 칩 컬러 필터(74)가 형성되고, 그 위에 온 칩 마이크로 렌즈(75)가 형성되어,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28)가 구성된다. 접속배선(67)의 외부에 노출하는 연결 도체(71)가, 외부 배선과 본딩 와이어를 통하여 접속하기 위한 전극 패드가 된다.
도 4 내지 도 14에, 제1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28)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반도체 웨이퍼(이하, 반도체 기판이라고 한다)(31)의 각 칩부가 되는 영역에 반제품 상태의 이미지 센서, 즉 화소 어레이(23)와 제어 회로(24)를 형성한다. 즉, 반도체 기판(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31)의 각 칩부가 되는 영역에, 각 화소의 광전 변환부가 되는 포토 다이오드(PD)를 형성하고, 반도체웰 영역(32)에 각 화소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33)을 형성한다. 반도체웰 영역(32)은 제1 도전형, 예를 들면 p형의 불순물을 도입하여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영역(33)은 제2 도전형, 예를 들면 n형의 불순물을 도입하여 형성한다. 포토 다이오드(PD) 및 각 화소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33)은 기판 표면부터의 이온 주입으로 형성한다.
포토 다이오드(PD)는 n형 반도체 영역(34)과 기판 표면측의 p형 반도체 영역(35)을 갖고서 형성된다. 화소를 구성하는 기판 표면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을 통하여 게이트 전극(36)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36)과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33)에 의해 화소 트랜지스터(Tr1, Tr2)를 형성한다. 도 4에서는 복수의 화소 트랜지스터를, 2개의 화소 트랜지스터(Tr1, Tr2)로 대표하여 나타낸다. 포토 다이오드(PD)에 인접하는 화소 트랜지스터(Tr1)가 전송 트랜지스터에 상당하고, 그 소스/드레인 영역이 플로팅 디퓨전(FD)에 상당한다. 각 단위 화소(30)가 소자 분리 영역(38)으로 분리된다. 소자 분리 영역(38)은 예를 들면 기판에 형성한 홈 내에 SiO2막 등의 절연막을 매입하여 이루어지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제어 회로(24)측에서는 반도체 기판(31)에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도 4에서는 MOS 트랜지스터(Tr3, Tr4)로 대표하여, 제어 회로(23)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각 MOS 트랜지스터(Tr3, Tr4)는 n형의 소스/드레인 영역(33)과, 게이트 절연막을 통하여 형성한 게이트 전극(36)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반도체 기판(31)의 표면상에, 1층째의 층간 절연막(39)을 형성하고, 그 후, 층간 절연막(39)에 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소요되는 트랜지스터에 접속하는 접속 도체(44)를 형성한다. 높이가 다른 접속 도체(44)의 형성에 즈음하여서는 트랜지스터 윗면을 포함하는 전면에 제1 절연 박막(43a),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과, 에칭 스토퍼가 되는 제2 절연 박막(43b), 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을 적층한다. 상기 제2 절연 박막(43b)상에 1층째의 층간 절연막(39)을 형성한다. 그리고, 1층째의 층간 절연막(39)에 깊이가 다른 접속구멍을 에칭 스토퍼가 되는 제2 절연 박막(43b)까지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각 접속구멍에 연속하도록, 각 부분에서 같은 막두께의 제1 절연 박막(43a) 및 제2 절연 박막(43b)을 선택 에칭하여 접속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접속구멍에 접속 도체(44)를 매입한다.
다음에, 각 접속 도체(44)에 접속하도록, 층간 절연막(39)을 통하여 복수층, 본 예에서는 3층의 메탈(M1 내지 M3)에 의한 배선(40)[40a, 40b, 40c]을 형성하여 다층 배선층(41)을 형성한다. 배선(40)은 구리(Cu)로 형성한다. 통상, 각 구리의 배선은 Cu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 메탈막으로 덮여진다. 상기 때문에, 다층 배선층(41)상에 구리의 배선(40)의 캡막, 이른바 보호막(42)을 형성한다. 지금까지의 공정으로, 반제품 상태의 화소 어레이(23) 및 제어 회로(24)를 갖는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형성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반도체 기판(반도체 웨이퍼)(45)의 각 칩부가 되는 영역에, 반제품 상태의 신호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로직 회로(25)를 형성한다. 즉, 반도체 기판(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45)의 표면측의 p형의 반도체웰 영역(46)에, 소자 분리 영역(50)으로 분리되도록 로직 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여기서는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를, MOS 트랜지스터(Tr6, Tr7, Tr8)로 대표한다. 각 MOS 트랜지스터(Tr6, Tr7, Tr8)는 각각 한 쌍의 n형의 소스/드레인 영역(47)과, 게이트 절연막을 통하여 형성한 게이트 전극(48)을 갖고서 형성된다. 로직 회로(25)에서는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소자 분리 영역(50)은 예를 들면 기판에 형성한 홈 내에 SiO2막 등의 절연막을 매입하여 이루어지는 STI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에, 반도체 기판(45)의 표면상에, 1층째의 층간 절연막(49)을 형성하고, 그 후, 층간 절연막(49)에 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소요되는 트랜지스터에 접속하는 접속 도체(54)를 형성한다. 높이가 다른 접속 도체(5)의 형성에 즈음하여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 윗면을 포함하는 전면에 제1 절연 박막(43a),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과, 에칭 스토퍼가 되는 제2 절연 박막(43b), 예를 들면 실리콘 질화막을 적층한다. 상기 제2 절연 박막(43b)상에 1층째의 층간 절연막(49)을 형성한다. 그리고, 1층째의 층간 절연막(39)에 깊이가 다른 접속구멍을 에칭 스토퍼가 되는 제2 절연 박막(43b)까지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각 접속구멍에 연속하도록, 각 부분에서 같은 막두께의 제1 절연 박막(43a) 및 제2 절연 박막(43b)을 선택 에칭하여 접속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접속구멍에 접속 도체(44)를 매입한다.
다음에, 각 접속 도체(54)에 접속하도록, 층간 절연막(49)을 통하여 복수층, 본 예에서는 3층의 메탈(M11 내지 M13)에 의한 배선(53)[53a, 53b, 53c]을 형성하여 다층 배선층(55)을 형성한다. 배선(53)은 구리(Cu)로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층간 절연막(49)상에 구리의 배선(53)의 캡막, 이른바 보호막(56)을 형성한다. 지금까지의 공정으로, 반제품 상태의 로직 회로(25)를 갖는 제2의 반도체 기판(45)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반도체 기판(31)과 제2의 반도체 기판(45)을, 서로의 다층 배선층(41 및 55)이 마주 보도록, 부착한다. 부착은 예를 들면 플라즈마 접합과, 접착제에 의한 접합이 있다. 본 예에서는 접착제로 접합한다.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반도체 기판(31 및 45)의 접합면의 한편에 접착제층(58)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층(58)을 통하여 겹처서 양자를 접합한다. 즉, 제1 및 제2의 반도체 기판(31 및 45)을 부착한다.
플라즈마 접합의 경우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1의 반도체 웨이퍼(31)와 제2의 반도체 웨이퍼(45)의 접합면에, 각각 플라즈마 TEOS막, 플라즈마 SiN막, SiON막(블록 막), 또는 SiC막 등의 막을 형성한다. 상기 막이 형성된 접합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겹치고, 그 후 어닐 처리하여 양자를 접합한다. 부착 처리는 배선 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 400℃ 이하의 저온 프로세스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이면(31b)측부터 연삭, 연마하여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박막화한다. 상기 박막화는 포토 다이오드(PD)가 면하도록 행하여진다. 박막화한 후, 포토 다이오드(PD)의 이면에 암전류 억제를 위한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31)의 두께는 예를 들면 600㎛ 정도 있지만, 예를 들면 3 내지 5㎛ 정도까지 박막화한다. 종래, 이와 같은 박막화는 별도 준비한 지지 기판을 부착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로직 회로(25)가 형성된 제2의 반도체 기판(45)을 지지 기판으로 겸용하여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박막화가 행하여진다. 상기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이면(31b)이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로서 구성된 때의, 광입사면이 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된 제1 및 제2의 반도체 기판(31 및 45)에서, 완성 후의 제1의 반도체 칩부가 되는 영역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 즉 일부의 반도체 기판(31)의 전부를 제거하여 반도체 제거 영역(52)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52)은 화소 어레이의 각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에 접속되는 각 접속배선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이고,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어레이(23)의 외측에 형성된다. 도 15B에서는 반도체 제거 영역(52)은 화소 어레이(23)의 수직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내면부터 제어 회로(24) 및 화소 어레이(23)의 이면(광입사면)에 걸쳐서, 실리콘 산화(SiO2)막(58) 및 실리콘 질화(SiN)막(59)의 적층 절연막(61)을 피착(被着) 형성한다. 적층 절연막(61)은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반도체 측면의 보호막이 됨과 함께, 화소 어레이(23)에서의 반사 방지막을 겸하고 있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 적층 절연막(61)부터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다층 배선층(41)을 관통하여 제2의 반도체 기판(45)의 다층 배선층(55)의 소요되는 배선(53)에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을 형성한다. 본 예의 관통 접속구멍(62)은 다층 배선층의 최상층, 즉 3층째 메탈(M13)에 의한 배선(53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한다. 관통 접속구멍(62)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수 형성된다. 제2의 접속 패드(63)에 이어지는 3층째 메탈(M13)에 의한 배선(53d)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의 접속 패드(63)는 3층째 메탈(M13)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53d)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 적층 절연막(61)부터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다층 배선층(41)의 소요되는 배선(40)에 이어지는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을 형성한다. 본 예에서는 다층 배선층(41)의 3층째 메탈(M3)에 의한 배선(40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을 형성한다. 접속구멍(64)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수 형성된다. 제1의 접속 패드(65)에 이어지는 3층째 메탈(M3)에 의한 배선(40d)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의 접속 패드(65)는 3층째 메탈(M3)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접속 패드(65)와 제2의 접속 패드(6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을 형성한다. 즉, 양 접속구멍(62 및 64) 내에 매입되도록,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이면상에 걸쳐서 도전막을 형성한 후, 에치 백, 패터닝을 행하여 접속배선(67)을 형성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내에 매입되어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매입되어 제2의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를 갖는다. 또한, 접속배선(67)은 반도체 제거 영역이 노출하는 저면상에 있으며 접속 도체(68)와 관통 접속 도체(6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를 갖는다. 접속 도체(67),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같은 금속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배리어 메탈(TiN 등)을 개재한 텅스텐(W), 또는 알루미늄(Al), 금(Au) 등의 패터닝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하여야 할 영역상에 차광막(72)을 형성한다. 차광막(72)은 도면에서는 모식적으로 제어 회로(24)상에 형성하고 있지만, 그 밖에, 화소 트랜지스터상에도 형성할 수 있다. 차광막(72)으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W) 등의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광막(72)을 피복하도록, 화소 어레이(23)상에 걸쳐서 평탄화막(73)을 형성한다. 또한, 평탄화막(73)상에 각 화소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적(R), 녹(G), 청(B)의 온 칩 컬러 필터(74)를 형성하고, 그 위에 온 칩 마이크로 렌즈(75)를 형성한다. 제1의 반도체 기판(31)에서는 화소 어레이(23), 제어 회로(25)가 완성품 상태가 된다. 접속배선(67)의 연결 도체(71)는 외부에 노출하는 전극 패드가 된다. 제2의 반도체 기판(45)에서는 로직 회로(25)가 완성품 상태가 된다.
다음에, 각 칩으로 분할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목적의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28)를 얻는다. 상기 고체 촬상 장치(28)는 접속배선(67)의 연결 도체(71)에 의한 전극 패드에 대해, 와이어 본딩으로 외부 배선에 접속된다.
제1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 화소 어레이(23) 및 제어 회로(24)를 형성하고,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 신호 처리하는 로직 회로(25)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소 어레이의 기능과 로직 기능을 다른 칩부에 형성하여 부착한 구성이기 때문에, 화소 어레이(23), 로직 회로(25)의 각각에 최적의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 어레이(23), 로직 회로(25)의 각각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어서,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특히,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 즉 접속 도체 및 관통 접속 도체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하고 있다. 상기 반도체 부분이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기 때문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와 반도체 기판(31) 사이의 기생 용량이 저감하고, 고체 촬상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C의 구성을 채용하면, 제1의 반도체 칩부(22)측에는 광을 받는 화소 어레이(23)를 형성할뿐이면 좋고, 제어 회로(24) 및 로직 회로(25)는 분리하여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반도체 칩부(22, 26)의 제조에 최적의 프로세스 기술을 독립하여 선택할 수 있음과 함께, 제품 모듈의 면적도 삭감할 수 있다.
제1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소 어레이(23) 및 제어 회로(24)를 갖는 제1의 반도체 기판(31)과 로직 회로(25)를 갖는 제2의 반도체 기판(45)을 함께 반제품 상태에서 부착하고,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박막화하여 있다. 즉, 제2의 반도체 기판(45)을,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박막화할 때의 지지 기판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재의 절약, 제조 공정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박막화하고, 또한 반도체 부분이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관통 접속구멍(62) 및 접속구멍(64)의 형성을 행하기 때문에, 구멍의 애스펙트비가 작아지고, 고정밀도로 접속구멍(62 및 6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6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2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2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78)는 화소 어레이(23)와 제어 회로(24)가 형성된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로직 회로(25)가 형성된 제2의 반도체 칩부(26)가 부착된 적층 반도체 칩(27)을 갖고서 구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제2의 반도체 칩부(26)는 서로의 다층 배선층(41 및 55)이 마주 보도록 하여 부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형성되고,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내면부터 반도체 기판(31)의 이면(31b)상에 연장하는 적층 절연막(61)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 내에, 반도체 기판(31)상의 적층 절연막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는 평탄화된 절연막(77)이 형성된다. 절연막(77)은 적층 절연막(61)의 표면측의 실리콘 질화막(59)과 에칭 레이트가 다르다,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등의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77)을 통하여 각각 제1의 접속 패드(65) 및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되고, 상기 양 접속구멍(64, 62)을 통하여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62) 내를 매입하도록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제2의 접속 패드(6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와, 양 도체(68 및 69)를 상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에 의해 형성된다.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소요되는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연결 도체(71)는 평탄화된 절연막(77)상에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3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내지 도 24에, 제2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78)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전술한 제1 실시의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28)의 제조 공정에서의 도 10과 같은 구조이다. 도 17에 이르는 공정은 전술한 도 4부터 도 10까지의 공정과 같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의 공정에서는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내면부터 제어 회로(24) 및 화소 어레이(23)의 이면(광입사면)에 걸쳐서, 실리콘 산화(SiO2)막(58) 및 실리콘 질화(SiN)막(59)의 적층 절연막(61)을 피착 형성한다.
다음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제거부 영역(52) 내를 매입하도록 반도체 기판(31)의 이면 전면에,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등의 절연막(77)을 퇴적한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막(77)을 필요한 두께까지 화학기계연마(CMP)법에 의해 연마한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막(77)을, 불화수소산에 의한 웨트 에칭법에 의해 실리콘 질화막(59)까지 에칭하여 실리콘 질화막(59)과 같은면이 되도록 평탄화한다. 상기 때, 실리콘 질화막(59)은 에칭 스토퍼막이 된다.
다음에,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 절연막(77) 및 다층 배선층(41)을 관통하여 제2의 반도체 기판(45)의 다층 배선층(55)의 소요되는 배선(53d)에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을 형성한다. 본 예의 관통 접속구멍(62)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다층 배선층(55)의 최상층, 즉 3층째 메탈(M13)에 의한 배선(53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한다. 관통 접속구멍(62)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수 형성된다. 제2의 접속 패드(63)에 이어지는 3층째 메탈(M13)에 의한 배선(53d)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의 접속 패드(63)는 3층째 메탈(M13)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53d)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 절연막(77)부터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을 형성한다. 본 예의 접속구멍(64)은 다층 배선층(41)의 3층째 메탈(M3)에 의한 배선(40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5)에 달한다. 접속구멍(64)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수 형성된다. 제1의 접속 패드(65)에 이어지는 3층째 메탈(M3)에 의한 배선(40d)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의 접속 패드(65)는 3층째 메탈(M3)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접속 패드(65)와 제2의 접속 패드(6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을 형성한다. 즉, 양 접속구멍(62 및 64) 내에 매입되도록, 절연막(77)상 및 제1의 반도체 기판(31)의 이면상의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 에치 백, 패터닝을 행하여 접속배선(67)을 형성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내에 매입되어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매입되어 제2의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를 갖는다. 또한, 접속배선(67)은 평탄화되어 있는 절연막(77)상에 있으며 접속 도체(68)와 관통 접속 도체(6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를 갖는다. 접속 도체(67),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도전막으로서 같은 금속막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접속배선(67)은 배리어 메탈(TiN 등)을 개재한 텅스텐(W), 또는 알루미늄(Al), 금(Au) 등의 패터닝 가능한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하여야 할 영역상에 차광막(72)을 형성한다. 차광막(72)은 도면에서는 모식적으로 제어 회로(24)상에 형성하고 있지만, 그 밖에, 화소 트랜지스터상에도 형성할 수 있다. 차광막(72)으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W) 등의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광막(72)을 피복하도록, 화소 어레이(23)상에 걸쳐서 평탄화막(73)을 형성한다. 또한, 평탄화막(73)상에 각 화소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적(R), 녹(G), 청(B)의 온 칩 컬러 필터(74)를 형성하고, 그 위에 온 칩 마이크로 렌즈(75)를 형성한다. 제1의 반도체 기판(31)에서는 화소 어레이(23), 제어 회로(25)가 완성품 상태가 된다. 접속배선(67)의 연결 도체(71)는 외부에 노출하는 전극 패드가 된다. 제2의 반도체 기판(45)에서는 로직 회로(25)가 완성품 상태가 된다.
다음에, 각 칩으로 분할하여, 도 16에 도시하는 목적의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78)를 얻는다.
제2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78)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 즉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하고, 그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절연막(77)이 매입된다. 상기 절연막(77)에 형성된 접속구멍(64),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가 매입되기 때문에, 접속 도체(68, 69)가 절연막(77)에 의해 반도체 기판(31) 측면으로부터 떨어저서, 접속 도체(68, 69)와 반도체 기판(31) 사이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가 절연막(77)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측벽에 면하는 반도체 기판(31)의 면을, 적층 절연막(61)과 협동하여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 촬상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박막화하여 관통 접속구멍(62) 및 접속구멍(64)의 형성을 행하기 때문에, 구멍의 애스펙트비가 작아지고, 고정밀도로 접속구멍(62 및 6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밖에, 설명을 생략하지만, 제1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도 25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3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3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82)는 화소 어레이(23)와 제어 회로(24)가 형성된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로직 회로(25)가 형성된 제2의 반도체 칩부(26)가 부착된 적층 반도체 칩(27)을 갖고서 구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제2의 반도체 칩부(26)는 서로의 다층 배선층(41 및 55)이 마주 보도록 하여 부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형성되고,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내면부터 반도체 기판(31)의 이면상으로 연장한 적층 절연막(61)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반도체 기판(31)상의 적층 절연막(61)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는 평탄화된 절연막(77)이 형성되고, 또한 절연막(77)의 접속배선(67)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면부터 소요되는 깊이의 오목부(81)가 형성된다. 절연막(77)은 적층 절연막(61)의 표면측의 실리콘 질화막(59)과 에칭 레이트가 다른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등의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81)하의 절연막(77)을 통하여 각각 제1의 접속 패드(65) 및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된다. 상기 양 접속구멍(64 및 62)을 통하여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62) 내를 매입하도록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제2의 접속 패드(6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와, 양 도체(68 및 69)를 상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에 의해 형성된다.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소요되는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연결 도체(71)는 절연막(77)의 오목부(81) 내에 매입되고, 연결 도체(71)의 표면이 절연막(77)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3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 내지 도 30에, 제3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82)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다. 도 26은 전술한 제2 실시의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78)의 제조 공정에서의 도 20과 같은 구조이다. 도 26에 이르는 공정은 전술한 도 4부터 도 10을 경유하고 또한 도 17부터 도 20까지의 공정과 같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의 공정에서는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매입하도록 절연막(77)이 퇴적된 후, 절연막(77)의 표면을 화학기계연마(CMP) 및 웨트 에칭에 의해, 적층 절연막(61)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평탄화한다.
다음에,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막(77)의 표면측에, 접속배선(67)을 형성하여야 할 영역에 대응하여, 표면부터 소요되는 깊이의 오목부(81)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81)하의 절연막(77) 및 다층 배선층(41)을 관통하여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을 형성한다. 본 예의 관통 접속구멍(62)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의 반도체 칩부(26)의 다층 배선층(55)의 최상층의 메탈, 즉 3층째 메탈(M13)의 배선(53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한다. 관통 접속구멍(62)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수 형성된다. 제2의 접속 패드(63)에 이어지는 배선(53d)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의 접속 패드(63)는 3층째 메탈(M13)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53d)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 오목부(81)하의 절연막(77)부터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을 형성한다. 본 예의 접속구멍(64)은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다층 배선층(41)의 3층째 메탈(M3)에 의한 배선(40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5)에 달한다. 접속구멍(64)은 화소 어레이(23)의 각 수직 신호선에 대응하는 수만큼 복수 형성된다. 제1의 접속 패드(65)에 이어지는 3층째의 메탈 배선(40c)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의 접속 패드(65)는 3층째 메탈(M3)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다음에,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접속 패드(65)와 제2의 접속 패드(6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을 형성한다. 즉, 오목부(81) 내 및 양 접속구멍(62, 64) 내에 매입되도록, 절연막(77)상 및 1의 반도체 기판(31)의 이면상의 전면에 도전막을 형성한 후, 에치 백을 행하여 접속배선(67)을 형성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내에 매입되어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매입되어 제2의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를 갖는다. 또한, 접속배선(67)은 접속 도체(68)와 관통 접속 도체(6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를 갖는다. 연결 도체(71)는 오목부(81) 내에 매입되어 절연막(77)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평탄화된다. 접속 도체(67),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도전막으로서 같은 금속막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접속배선(67)은 에치 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리(Cu)로 형성할 수 있다. 접속 도체(71)는 그 밖에, 배리어 메탈(TiN 등)을 개재한 텅스텐(W), 또는 알루미늄(Al), 금(Au)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하여야 할 영역상에 차광막(72)을 형성한다. 차광막(72)은 도면에서는 모식적으로 제어 회로(24)상에 형성하고 있지만, 그 밖에, 화소 트랜지스터상에도 형성할 수 있다. 차광막(72)으로서는 예를 들면 텅스텐(W) 등의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광막(72)을 피복하도록, 화소 어레이(23)상에 걸쳐서 평탄화막(73)을 형성한다. 또한, 평탄화막(73)상에 각 화소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적(R), 녹(G), 청(B)의 온 칩 컬러 필터(74)를 형성하고, 그 위에 온 칩 마이크로 렌즈(75)를 형성한다. 제1의 반도체 기판(31)에서는 화소 어레이(23), 제어 회로(25)가 완성품 상태가 된다. 접속배선(67)의 연결 도체(71)는 외부에 노출하는 전극 패드가 된다. 제2의 반도체 기판(45)에서는 로직 회로(25)가 완성품 상태가 된다.
다음에, 각 칩으로 분할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목적의 이면조사형의 고체 촬상 장치(82)를 얻는다.
제3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 즉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하고, 그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절연막(77)이 매입된다. 또한, 상기 절연막(77)에 오목부(81)가 형성되고, 오목부(81)하의 절연막(77)에 형성된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매입된다. 이에 의해, 양 접속 도체(68, 69)가 절연막(77)에 의해 반도체 기판(31) 측면으로부터 떨어저서, 양 접속 도체(68, 69)와 반도체 기판(31) 사이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가 절연막(77)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측벽에 면하는 반도체 기판(31)의 면을, 적층 절연막(61)과 협동하여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 촬상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연결 도체(71)가 절연막(77)의 오목부(81) 내에 매입되고, 연결 도체(71)가 절연막(77)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평탄화되기 때문에, 표면 단차가 적은 고체 촬상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박막화하고, 또한 절연막(77)에 오목부(81)를 형성하여 관통 접속구멍(62) 및 접속구멍(64)의 형성을 행하기 때문에, 구멍의 애스펙트비가 보다 작아지고, 고정밀도로 접속구멍(62 및 6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밖에, 설명을 생략하지만, 제1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상술한 제2, 제3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C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반도체 칩부(22 및 26)를 부착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2개 이상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한 구성에서도, 화소 어레이(23)를 갖는 제1의 반도체 칩부(22)와, 신호 처리하기 위한 로직 회로(25)를 갖는 제2의 반도체 칩부(26) 사이의 접속 부분에서는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상술한 구성이 적용된다.
전술한 반도체 칩부를 부착한 구조에서는 대 그라운드 용량, 대 인접 커플링 용량 등의 기생 용량이 생긴다. 특히,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인접하는 열의 접속 도체 사이, 또는 인접하는 열이 인회배선 사이에서의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접속 도체 사이란,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를 쌍으로 하였을 때의, 인접하는 쌍 사이의 접속 도체 사이를 가리킨다. 한편, 제1의 접속 패드(65)의 면적 및 피치, 제2의 접속 패드(63)의 면적 및 피치는 화소 면적 및 화소 피치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실용에 제공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바람직한다.
다음에, 대 인접 커플링 용량의 저감을 도모하고, 또한 실용에 제공할 수 있는 레이아웃을 가능하게 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31 내지 도 35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4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동 도면은 특히,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패드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만을 도시한다. 도 31은 접속 패드 어레이의 평면도, 도 32는 도 31의 XXXII-XXXII선상의 단면도, 도 33은 도 31의 XXXIII-XXXIII선상의 단면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도 31의 분해 평면도이다.
제4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84)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개의 반도체 칩부(22, 26)가 부착되고,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이 제거되고, 그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서 접속배선(67)을 통하여 양 반도체 칩부(22, 26) 사이가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의 다층 배선층(41)의 배선(40)[40a, 40b, 40c, 40d]이 복수층, 본 예에서는 4층의 메탈로 형성된다. 제1의 접속 패드(65)는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은 2층째 이후의 메탈로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이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또한,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서의 다층 배선층(55)의 배선(53)[53a, 53b, 53c, 53d]이 복수층, 본 예에서는 4층의 메탈로 형성된다. 제2의 접속 패드(63)는 2층째 이후, 예를 들면 3층째 또는 4층째, 본 예에서는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53d)은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된 제1의 접속 패드(65)는 2층째, 3층째의 메탈에 의한 접속부(85) 및 비어 도체(86)를 통하여 4층째의 메탈에 의한 인회배선(40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서,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된 제2의 접속 패드(63)는 3층째, 2층째의 메탈에 의한 접속부(87) 및 비어 도체(88)를 통하여 1층째의 메탈에 의한 인회배선(53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의 접속 패드(63)는 제1, 제2의 반도체 칩부(22, 26)에서의 부착의 위치 어긋남을 고려하여, 제1의 접속 패드(65)보다 넓은 면적에서 형성된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를 통합하여, 접속 패드쌍(89)이라고 한다.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63)는 평면상으로 보아 8각형, 바람직하게는 정8각형으로 형성된다. 접속 패드쌍(89)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접속 패드쌍(89)은 각 열의 인회배선(40d, 53d)이 배열되는 수평 방향에 따라 복수 배열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복수단(段), 본 예에서는 4단 배열된다. 즉, 양 반도체 칩부(22 및 26)의 배선 접속 부분에서는 각각 정8각형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여기에, 접속 패드쌍(89)을 수평 방향으로 복수 배열함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4단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접속 패드 어레이(91)가 구성된다. 여기서, 8각형을 정의한다. 8각형의 제1의 접속 패드(65)는 인회배선(40d)과의 접속에 제공하기 위해, 일부 돌출하는 접속용의 돌출부(65a)를 일체로 갖는 경우도 있다(도 32 참조). 상기 경우의 형상은 돌출량이 전체의 8각형의 형상에서 보아 근소하기 때문에, 8각형의 범주에 들어간다.
접속 패드 어레이(91)에서는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가 평면상으로 보아, 예를 들면 조밀하게 배열된다.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는 서로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에 각각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가 접속되고, 양 접속 도체(68 및 69)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도체(71)를 포함하는 접속배선(67)을 통하여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22 및 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는 각각 그 횡단면 형상을 대응하는 접속 패드(65, 63)의 평면 형상과 같은 8각형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예의 접속배선(67)은 제3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즉,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절연막(77)이 매입되고, 절연막(77)을 관통하도록 접속 도체(65), 관통 접속 도체(63)이 형성되고, 연결 도체(71)의 표면이 절연막(77)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평탄화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4열의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 53d)이, 각 4단의 접속 패드쌍(89)의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에 각각 접속되어 구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는 제1의 접속 패드(65)가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되고, 각 인회배선(40d)이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상기 때문에, 인회배선(40d)은 제1의 접속 패드(65)의 아래를 가로지르도록 배선할 수 있고, 이웃하는 인회배선(40d)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서는 제2의 접속 패드(63)가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되고, 각 인회배선(53d)이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상기 때문에, 인회배선(53d)은 제2의 접속 패드(63)의 아래를 가로지르도록 배선할 수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인회배선(53d)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제4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84)에 의하면,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의 평면 형상이 8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가 수평,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조밀하게 배열된 접속 패드 어레이(91)가 형성된다. 즉, 양 반도체 칩부(22, 26)의 배선 접속 부분에, 조밀한 접속 패드 어레이(91)가 형성된다. 접속 패드 어레이(91)의 각 4단의 접속 패드쌍(89)에 대해 각 4열의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 52d)이 접속되기 때문에, 이웃하는 인회배선(40d) 사이, 인회배선(53d) 사이의 간격이 넓어저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접속 도체쌍 사이에는 절연막(77)이 존재하기 때문에, 접속 도체쌍 사이에서의 인접 커플링 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한 구성에서는 후술하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를 수직 방향으로 배열한 구성에 비교하여 4열이 인회배선에서의 배선 길이의 차이에 의한 배선 저항차(抵抗差)가 적어진다.
접속 패드(65, 63)의 면적, 피치는 화소의 면적, 피치보다 크지만, 접속 패드(65, 63)의 레이아웃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함에 의해, 배선(40d, 53d)의 인회(引回)가 가능해지고,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의 형태에서도, 제1, 제2 실시의 형태의 접속배선(67)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마찬가지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밖에, 제1 내지 제3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도 36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5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동 도면은 특히,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22 및 26)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패드(65, 63)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만을 도시한다.
제5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93)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개의 반도체 칩부(22, 26)가 부착되고,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이 제거되고, 그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서 접속배선(67)을 통하여 양 반도체 칩부(22, 26) 사이가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소 어레이(23)를 끼우고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 외측에 접속 패드 어레이(91A 및 91B)가 배치되고, 각각의 접속 패드 어레이(91A 및 91B)에 교대로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 53d)을 접속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1과 마찬가지로, 쌍을 이루는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접속 패드쌍(89)을 수직 방향으로 복수단, 본 예에서는 2단에 배치된다. 각각의 접속 패드 어레이(91A, 91B)의 접속 패드쌍(89)은 예를 들면 조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2열 걸러서, 쌍의 인회배선(40d, 53d)이 교대로 접속 패드 어레이(92A, 91B)의 2단의 접속 패드쌍(89)에 접속된다. 양 접속 패드 어레이(91A 및 91B)는 도 15B에 도시하는 반도체 제거 영역(52a, 52b)에 형성된다.
도 36에서는 접속 패드(65, 63)의 평면 형상을 8각형, 바람직하게는 정8각형으로 하였지만, 배선 사이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접속 패드의 평면 형상을 4각형 형상, 6각형(바람직하게는 정6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 패드쌍(89)을, 후술하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를 수직 방향으로 배열한 접속 패드쌍으로 치환한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5 실시의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93)에 의하면, 접속 패드 어레이(91A, 91B)가 화소 어레이(23)를 끼우고 배치하고,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을 복수열, 본 예에서는 2열마다 교대로 접속 패드 어레이(91A, 91B)의 2단의 접속 패드쌍(89)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웃하는 인회배선(40d) 사이, 인회배선(53d) 사이를 무리하게 좁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환언하면, 이웃하는 인회배선(40d) 사이, 인회배선(53d) 사이를 여유로써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인회배선 사이에서의 배선길이도 차가 작아지고, 배선 저항차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접속 패드(65, 63)의 면적, 피치는 화소의 면적, 피치보다 크지만, 접속 패드의 레이아웃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함에 의해, 배선(40d, 53d)의 인회가 가능해지고,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5 실시의 형태에서도, 제1, 제2, 제3 실시의 형태의 접속배선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마찬가지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5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밖에, 제1 내지 제3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도 37 및 도 38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6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동 도면은 특히,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22 및 26)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패드(65, 63)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만을 도시한다.
제6 실시의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95)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개의 반도체 칩부(22, 26)가 부착되고,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이 제거되고, 그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서 접속배선(67)을 통하여 양 반도체 칩부(22 및 26) 사이가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1과 같은 정8각형의 제1, 제2의 접속 패드(65, 63)를 수직, 수평으로 교대로 배열한 접속 패드 어레이(9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패드 어레이(91)의 각 4단의 접속 패드쌍(89)에 4열마다의 인회배선(40d, 53d)이 접속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의 제1의 접속 패드(65)는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패드(65)에 접속되는 인회배선(40d)은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서의 제2의 접속 패드(63)는 4층째의 메탈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패드(63)에 접속되는 인회배선(53d)은 1층째의 메탈로 형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의 인회배선(40d)은 접속되지 않은 다른 소요되는 제1의 접속 패드(65) 아래를 가로질러서 배선된다. 접속 패드(65)는 비교적 면적이 넓기 때문에, 상기 접속 패드(65)를 가로지르는 전위가 다른 인회배선(40d)과의 사이에 커플링 용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접속 패드(65)와 소요되는 인회배선(40d)과의 사이에, 상기 제1의 접속 패드(65)와 인회배선(40d) 사이의 층의 메탈로 실드 배선(96)이 형성된다. 즉, 제1의 접속 패드(65)와 인회배선(40d)과의 사이에, 2층째 또는 3층째, 본 예에서는 2층째의 메탈에 의한 실드 배선(96)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접속 패드(65) 아래에 3개의 인회배선(40d)이 가로지르는 일도 있기 때문에, 실드 배선(96)은 접속 패드(65)의 폭에 상당하는 폭으로, 각 4단의 접속 패드쌍(89)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6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에 의하면, 제1의 접속 패드(65)와, 상기 접속 패드(65) 아래를 가로지르는 인회배선(40d)과의 사이에 배치된 실드 배선(96)에 의해, 전위가 다른 접속 패드(65)와 인회배선(40d) 사이에서 커플링 용량의 발생이 회피된다. 따라서, 고체 촬상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가 도모된다.
제6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밖에, 제1 내지 제3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의, 인접 커플링 용량의 저감 등의 효과를 달성한다.
제6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 패드(65)의 평면 형상, 또는 접속 패드(65)의 레이아웃에 의하지 않고, 실드 배선(96)에 의한 효과를 달성한다.
도 39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 즉 MOS 고체 촬상 장치의 제7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동 도면은 특히,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22 및 26)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패드(65, 63)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만을 도시한다.
제7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97)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2개의 반도체 칩부(22, 26)가 부착되고, 제1의 반도체 칩부(22)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이 제거되고, 그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서 접속배선(67)을 통하여 양 반도체 칩부(22, 26) 사이가 접속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의 형태에서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가,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40d, 53d)이 연장하는 수직 방향(이른바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접속 패드쌍(99)이, 인회배선(40d, 53d)이 배열되는 수평 방향에 따라 복수 배열됨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복수단, 본 예에서는 3단 배열되어, 접속 패드 어레이(98)가 구성된다.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는 제4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평면상으로 보아 예를 들면 8각형, 바람직하게는 정8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로 이루어지는 접속배선(67)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22)에서의 다층 배선층(41)의 배선(40)을 예를 들면 4층의 메탈로 구성할 때, 제1의 접속 패드(65)는 1층째 메탈로 형성하고, 상기 접속 패드(65)에 접속되는 인회배선(40d)은 4층째 메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제1의 접속 패드(65) 및 인회배선(40d)은 어느 층의 메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서의 다층 배선층(55)의 배선(53)을 예를 들면 4층의 메탈로 구성할 때, 제2의 접속 패드(63)는 4층째 메탈로 형성하고, 상기 접속 패드(63)에 접속되는 인회배선(53d)은 1층째 메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로 한하지 않고, 제2의 접속 패드(63) 및 인회배선(53d)은 어느 층의 메탈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3렬 걸러서, 인회배선(40d, 53d)이 접속 패드 어레이(98)의 3단의 접속 패드쌍(99)에 접속된다.
제7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97)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를 수직 방향으로 배열한 접속 패드쌍(99)을 복수단 배치한 접속 패드 어레이(98)를 구성함에 의해, 배선(40d, 53d)의 인회가 가능해진다. 특히, 화소 면적보다(부터) 큰 접속 패드(65, 63)라도, 배선(40d, 53d)의 인회가 가능해지고, 고성능의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인회배선(40d, 53d)이 각각 접속 패드(65, 63)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때는 이웃하는 인회배선 사이을 여유를 갖고서 넓힐 수 있어서, 인회배선 사이에 생기는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7 실시의 형태에서도, 제1, 제2, 제3 실시의 형태의 접속배선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마찬가지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7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밖에, 제1 내지 제3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예에서는 접속 패드(65, 63)의 평면 형상을 8각형으로 하였지만, 그 밖에, 4각형, 6각형(바람직하게는 정6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는 그 횡단면 형상을 접속 패드(65, 63)의 평면 형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접속 패드(65, 63)의 평면 형상과,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의 횡단면 형상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신호 전하를 전자로 하고, 제1 도전형을 p형, 제2 도전형을 n형으로 하여 구성하였지만, 신호 전하를 정공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경우, 각 반도체 기판, 반도체웰 영역 또는 반도체 영역의 도전형을 반대로 하고, n형이 제1 도전형, p형이 제2 도전형이 된다. 로직 회로에서의 MOS 트랜지스터도 n채널 트랜지스터, p채널 트랜지스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0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의 제8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8 실시의 형태의 반도체 장치(131)는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층 배선층이 형성된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층 배선층이 형성된 제2의 반도체 칩부(116)가 부착된 적층 반도체 칩(100)을 갖고서 구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칩부(116)는 서로의 다층 배선층이 마주 보도록 하여 부착된다. 부착은 본 예에서는 보호막(114, 127)을 통하여 접착제층(129)에서 이루어진다. 그 밖에, 플라즈마 접합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서,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칩부(116)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은 반도체 집적 회로의 각 접속배선(67)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이고, 반도체 칩부(101)의 예를 들면 주변 부분에 형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101)는 박막화된 제1의 반도체 기판(103)에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 본 예에서는 로직 회로(102)가 형성된다. 즉, 반도체 기판(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103)에 형성한 반도체웰 영역(104)에,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Tr11, Tr12, Tr13)가 형성된다. 각 MOS 트랜지스터(Tr11 내지 Tr13)는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105)과, 게이트 절연막을 통하여 형성된 게이트 전극(106)을 갖고서 구성된다. 각 MOS 트랜지스터(Tr11 내지 Tr13)는 소자 분리 영역(107)에 의해 분리된다.
MOS 트랜지스터(Tr11 내지 Tr13)는 대표로서 나타냈다. 로직 회로(102)는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로서는 n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p채널 트랜지스터로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는 p형 반도체웰 영역에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p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는 n형 반도체웰 영역에 p형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반도체 기판(103)상에는 층간 절연막(108)을 통하여 복수층, 본 예에서는 3층의 메탈에 의한 배선(109)을 적층한 다층 배선층(111)이 형성된다. 배선(109)은 예를 들면 Cu 배선으로 할 수 있다. 각 MOS 트랜지스터(Tr11 내지 Tr13)는 소요되는 1층째의 배선(109)과 접속 도체(112)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3층의 배선(109)은 접속 도체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제2의 반도체 칩부(116)는 제2의 반도체 기판(118)에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 본 예에서는 로직 회로(117)가 형성된다. 즉, 반도체 기판(예를 들면 실리콘 기판)(118)에 형성한 반도체웰 영역(119)에,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Tr21, Tr22, Tr23)가 형성된다. 각 MOS 트랜지스터(Tr21 내지 Tr23)는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121)과, 게이트 절연막을 통하여 형성된 게이트 전극(122)을 갖고서 구성된다. 각 MOS 트랜지스터(Tr21 내지 Tr23)는 소자 분리 영역(123)에 의해 분리된다.
MOS 트랜지스터(Tr21 내지 Tr23)는 대표로서 나타냈다. 로직 회로(117)는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MOS 트랜지스터로서는 n채널 MOS 트랜지스터, 또는 p채널 트랜지스터로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n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는 p형 반도체웰 영역에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p채널 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는 n형 반도체웰 영역에 p형 소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반도체 기판(118)상에는 층간 절연막(124)을 통하여 복수층, 본 예에서는 3층의 메탈에 의한 배선(125)을 적층한 다층 배선층(126)이 형성된다. 배선(125)은 예를 들면 Cu 배선으로 할 수 있다. 각 MOS 트랜지스터(Tr21 내지 Tr23)는 소요되는 1층째의 배선(125)과 접속 도체(120)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3층의 배선(125)은 접속 도체(120)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상기 제2의 칩부(116)의 반도체 기판(118)은 박막화된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지지 기판을 겸용한다.
또한,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는 로직 회로(102)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회로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가 되는 로직 회로(117)는 반도체 메모리 회로의 신호 처리에 제공된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118)의 전부가 예를 들면 에칭에 의해 제거되어 있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저면, 측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118)의 표면으로 연장하여,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SiO2)막(58)과 실리콘 질화(SiN)막(59)에 의한 적층 절연막(61)이 형성된다. 적층 절연막(61)은 반도체 기판(118)의 표면,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측면에 노출하는 반도체 기판(118)을 보호하는 것이다.
반도체 제거 영역(52)에서는 실리콘 질화막(59)부터 제1의 반도체 칩부(101)에서의 다층 배선(111)의 소요되는 배선, 본 예에서는 3층째 메탈의 배선(109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이 형성된다. 또한, 제1의 반도체 칩부(101)를 관통하여 제2의 반도체 칩부(116)에서의 다층 배선층(126)의 소요되는 배선, 본 예에서는 3층째 메탈의 배선(125d)에 전기적으로 이어지는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62) 내를 각각 매입하도록,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제2의 접속 패드(63)에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와, 양 도체(68 및 69)를 상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에 의해 형성된다. 각 접속배선(67)의 외부에 노출하는 연결 도체(71)는 외부 배선에 본딩 와이어를 통하여 접속하기 위한 전극 패드가 된다.
제8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 제1 실시의 형태의 제1의 반도체 칩부에서의 화소 어레이 및 제어 회로를,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치환하고, 제2의 반도체 칩부에서의 로직 회로를,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치환한다.
제8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반도체 칩부(101 및 116)를 부착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의 형성에 각각에 최적의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의 집적 회로, 제2의 집적 회로의 각각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어서, 고성능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특히,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일부, 즉,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하고 있다.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기 때문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와 반도체 기판(104) 사이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8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조에 있어서, 칩화하기 전의 제1의 반도체 기판(104)과 제2의 반도체 기판(118)을 함께 반제품 상태에서 부착하고, 제1의 반도체 기판(104)을 박막화하고 있다. 즉, 제2의 반도체 기판(118)을, 제1의 반도체 기판(104)의 박막화할 때의 지지 기판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부재의 절약, 제조 공정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104)을 박막화하고, 또한 반도체 부분이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을 형성하기 때문에, 구멍의 애스펙트비가 작아지고, 고정밀도로 접속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반도체 장치를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도 41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의 제9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9 실시의 형태의 반도체 장치(132)는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층 배선층이 형성된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층 배선층이 형성된 제2의 반도체 칩부(116)가 부착된 적층 반도체 칩(100)을 갖고서 구성된다.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칩부(116)는 서로의 다층 배선층이 마주 보도록 하여 부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형성되고,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내면부터 반도체 기판(103)의 이면상으로 연장하는 적층 절연막(61)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반도체 기판(103)상의 적층 절연막(61)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는 평탄화된 절연막(77)이 형성된다. 절연막(77)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적층 절연막(61)의 표면측의 실리콘 질화막(59)과 에칭 레이트가 다른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등의 절연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77)을 관통하여 각각 제1의 접속 패드(65) 및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되고, 상기 양 접속구멍(64, 62)을 통하여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및 63)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62) 내를 매입하도록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제2의 접속 패드(6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와, 양 도체(68, 69)를 상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에 의해 형성된다.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소요되는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연결 도체(71)는 평탄화된 절연막(77)상에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8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40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132)는 전술한 제2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 제2시의 형태의 제1의 반도체 칩부에서의 화소 어레이 및 제어 회로를,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치환하고, 제2의 반도체 칩부에서의 로직 회로를,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치환한다.
제9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132)에 의하면,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일부, 즉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하고, 그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에 절연막(77)이 매입된다. 상기 절연막(77)에 형성된 접속구멍(64), 관통 접속구멍(62)을 통하여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가 매입되기 때문에, 양 접속 도체(68, 69)가 절연막(77)에 의해 반도체 기판(103) 측면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양 접속 도체(68, 69)와 반도체 기판(103) 사이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가 절연막(77)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거 영역(77)의 측벽에 면하는 반도체 기판(103)의 면을, 적층 절연막(61)과 협동하여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103)을 박막화하여 관통 접속구멍(62) 및 접속구멍(64)의 형성을 행하기 때문에, 구멍의 애스펙트비가 작아지고, 고정밀도로 접속구멍(62, 6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반도체 장치를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밖에, 설명을 생략하지만, 제8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도 42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의 제10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10 실시의 형태의 반도체 장치(133)는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층 배선층이 형성된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와 다층 배선층이 형성된 제2의 반도체 칩부(116)가 부착된 적층 반도체 칩(100)을 갖고서 이루어진다. 제1의 반도체 칩부(101)와 제2의 반도체 칩부(116)는 서로의 다층 배선층이 마주 보도록 하여 부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일부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반도체 제거 영역(52)이 형성되고,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내면부터 반도체 기판(103)의 이면상으로 연장하는 적층 절연막(61)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제거 영역(61) 내에 반도체 기판(103)상의 적층 절연막(61)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는 평탄화된 절연막(77)이 매입되고, 또한 절연막(77)의 접속배선(67)에 대응하는 부분에 표면부터 소요되는 깊이의 오목부(8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81)하의 절연막(77)을 통하여 각각 제1의 접속 패드(65),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접속구멍(64),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되고, 상기 양 접속구멍(64, 62)을 통하여 제1 및 제2의 접속 패드(65, 63)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된다. 접속배선(67)은 접속구멍(64, 62) 내를 매입하도록 제1의 접속 패드(65)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68)와, 제2의 접속 패드(6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관통 접속 도체(69)와, 양 접속 도체(68, 69)를 상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체(71)에 의해 형성된다.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 및 연결 도체(71)는 소요되는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연결 도체(71)는 절연막(77)의 오목부(81) 내에 매입되고, 연결 도체(71)의 표면이 절연막(77)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8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40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0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133)는 전술한 제3 실시의 형태에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 제3시의 형태의 제1의 반도체 칩부에서의 화소 어레이 및 제어 회로를,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치환하고, 제2의 반도체 칩부에서의 로직 회로를,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치환한다.
제10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반도체 장치(133)에 의하면, 제1의 반도체 칩부(101)의 일부, 즉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하고, 그 제거된 반도체 제거 영역(51) 내에 절연막(77)이 매입된다. 또한, 상기 절연막(77)에 오목부(81)가 형성되고, 오목부(81)하의 절연막(77)에 형성된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을 통하여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형성되고, 접속배선(67)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양 접속 도체(68, 69)가 절연막(77)에 의해 반도체 기판(103) 측면으로부터 떨어저서, 양 접속 도체(68, 69)와 반도체 기판(103) 사이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제거 영역(52) 내가 절연막(77)으로 매입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거 영역(52)의 측벽에 면하는 반도체 기판(103)의 면을, 적층 절연막(61)과 협동하여 기계적으로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보다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연결 도체(71)가 절연막(77)의 오목부(81) 내에 매입되고, 연결 도체(71)가 절연막(77)의 표면과 같은면이 되도록 평탄화되기 때문에, 표면 단차가 적은 반도체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제10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기판(103)을 박막화하고, 또한 절연막(77)에 오목부(81)를 형성하여 관통 접속구멍(62) 및 접속구멍(64)의 형성을 행하기 때문에, 구멍의 애스펙트비가 작아지고, 고정밀도로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반도체 장치를 고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밖에, 설명을 생략하지만, 제8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상술한 제8 내지 제10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3개 이상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반도체 칩부를 부착한 구성에서도, 제1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갖는 제1의 반도체 칩과 제2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갖는 제2의 반도체 칩부 사이의 접속 부분에서는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상술한 구성이 적용된다.
반도체 집적 회로로서는 로직 회로 이외에, 메모리 회로, 그 밖의 전기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제4 내지 제7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접속 패드 어레이(91, 91A 및 91B, 98)의 레이아웃을, 제1 내지 제3 실시의 형태에서 도시하는 접속배선(67)이 형성되는 영역에서의 반도체 부분을 전부 제거한 고체 촬상 장치에 적용하였다. 상기 접속 패드 어레이(91, 91A 및 91B, 98)의 레이아웃은 제8 내지 제10 실시의 형태의 반도체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패드 어레이(91, 91A 및 91B, 98)의 레이아웃은 이들로 한되지 않고, 다른 웨이퍼나 칩을 부착하여 접속배선을 형성하는 경우, 접속배선의 주위의 반도체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반도체 기판을 관통하여 절연막을 통하여 접속 도체(68), 관통 접속 도체(69)를 매입하여 접속배선을 형성한, 고체 촬상 장치 또는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장치, 등의 반도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43 및 도 44에, 반도체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서 접속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 패드 레이아웃을 적용한 고체 촬상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본 예의 고체 촬상 장치(135)는 전술한 도 16에 도시하는 제2 실시의 형태에서, 접속배선(67)을 형성하는 영역의 반도체를 제거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접속배선 영역에,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관통하여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과, 반도체 기판(31)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 칩(22)를 관통하여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된다.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의 각각의 내면에는 반도체 기판(31)과 절연하기 위한 절연막(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의 접속 패드(65) 및 제2의 접속 패드(63)를 접속하도록, 접속구멍(65) 및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매입되고, 연결 도체(71)로 연결된 접속배선이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2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16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고체 촬상 장치(135)에서는 접속 패드(63 및 65)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이, 도 31에서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8각형의 접속 패드(63, 65)에 의한 접속 패드쌍(89)을 조밀하게 4단 배열한 접속 패드 어레이(91)가 구성된다. 그 밖의 상세한 구성은 도 31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31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제생략한다.
반도체 촬상 장치(135)에서도, 도 3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인회배선(40d) 사이, 인회배선(53d) 사이의 간격이 넓어저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5 및 도 46에, 반도체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서 접속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속 패드 레이아웃을 적용한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본 예의 반도체 장치(137)는 전술한 도 41에 도시하는 제9 실시의 형태에서, 접속배선(67)을 형성하는 영역의 반도체를 제거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접속배선 영역에, 제1의 반도체 기판(31)을 관통하여 제1의 접속 패드(65)에 달하는 접속구멍(64)과, 반도체 기판(31)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 칩(22)을 관통하여 제2의 접속 패드(63)에 달하는 관통 접속구멍(62)이 형성된다. 접속구멍(64) 및 관통 접속구멍(62)의 각각의 내면에는 반도체 기판(31)과 절연하기 위한 절연막(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의 접속 패드(65) 및 제2의 접속 패드(63)를 접속하도록, 접속구멍(65) 및 관통 접속구멍(62) 내에 접속 도체(68) 및 관통 접속 도체(69)가 매입되고, 연결 도체(71)로 연결된 접속배선이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6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4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접속 패드(63 및 65)를 포함하는 배선 접속 부분의 레이아웃이, 도 31에서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8각형의 접속 패드(63, 65)에 의한 접속 패드쌍(89)을 조밀하게 4단 배열한 접속 패드 어레이(91)가 구성된다. 그 밖의 상세한 구성은 도 31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도 31과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반도체 장치(137)에서도, 도 3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인회배선(40d) 사이, 인회배선(53d) 사이의 간격이 넓어저서, 인접 커플링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접속배선을 형성한 고체 촬상 장치, 집적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서는 접속 패드의 레이아웃으로서, 제5 실시의 형태(도 36), 제6 실시의 형태(도 37, 도 38), 제7 실시의 형태(도 39) 등의 레이아웃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고체 촬상 장치에 관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반도체 칩(22)의 화소 어레이(23)가 형성되는 반도체 기판, 또는 반도체웰 영역의 전위를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즉, 동작시에 있어서의 관통 접속 도체(69) 및 접속 도체(68)의 전위 변화에 대해서도, 관통 접속 도체(69) 및 접속 도체(8)의 주위의 반도체 기판 또는 반도체웰 영역의 전위(이른바 기판 전위)가 변동하지 않고, 안정화되어 있을 것이 필요하다. 상기 기판 전위를 안정이나 시키기 위해, 본 예에서는 반도체웰 영역(32)에 불순물 확산층에 의한 콘택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부가 접속 도체(44), 배선(40)을 통하여, 제1의 반도체 칩부(22)상의 주변에 형성한 전극 패드부에 접속된다. 상기 전극 패드부에 고정 전압,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 또는 그라운드 전압(0V)을 공급함에 의해, 콘택트부를 통하여 반도체웰 영역(32)에 전원 전압 또는 그라운드 전압(0V)이 인가되고, 반도체웰 영역의 기판 전위가 안정화된다.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 또는 반도체웰 영역이 n형이면,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반도체 기판 또는 반도체웰 영역이 p형이면, 그라운드 전위가 인가된다.
또한, 상술한 고체 촬상 장치에 관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관통 접속 도체(69) 및 접속 도체(68)로 이루어지는 접속배선(67)을 형성하는 가공시에, 로직 회로측의 트랜지스터가 플라즈마 대미지를 받지 않도록, 보호 다이오드가 마련된다. 접속배선(67)의 형성에서는 플라즈마 에칭에 의해 패드부(63, 65)에 달하는 접속구멍(62, 65)이 형성되지만, 상기 플라즈마 가공할 때의 과대한 플라즈마 이온이, 특히 로직 회로측의 접속 패드(63)에 대전된다. 과대한 플라즈마 이온의 대전이 배선(53)을 통하여 로직측의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가 이른바 플라즈마 대미지를 받게 된다. 보호 다이오드는 상기 플라즈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칼럼 신호 처리 회로(5)의 각 칼럼 회로부를 구성하는 로직 회로마다 보호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수직 신호선에 상당하는 인회배선은 각각 접속 패드(63 및 65)를 통하여, 각 접속배선(67)의 관통 접속 도체(69) 및 접속 도체(68)에 접속된다. 제2의 반도체 칩부(26)에는 각 칼럼 회로부마다, 칼럼 회로부의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반도체 기판(45)에 보호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각 보호 다이오드는 칼럼 회로부의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이 접속된 같은 인회배선에 접속된다. 인회배선에 접속되는 보호 다이오드는 칼럼 회로부의 MOS 트랜지스터보다도, 접속 패드(63)에 가까운 측에 마련된다. 플라즈마 가공시에, 로직 회로측의 접속 패드부(63)에 대전한 과대한 플라즈마 이온에 의한 전하는 보호 다이오드에 흘러, 칼럼 회로부에 대미지를 주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접속배선(67) 가공시의 칼럼 회로부에의 플라즈마 대미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칼럼 회로부의 플라즈마 대미지의 회피 이외에도, 다른 주변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플라즈마 대미지를 회피하기 위해, 마찬가지의 보호 다이오드를 마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 시스템이나,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또는 촬상 기능을 구비한 다른 기기, 등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7에,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한 예로서 카메라에 적용한 제11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메라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 촬영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를 예로 한 것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카메라(141)는 고체 촬상 장치(142)와, 고체 촬상 장치(142)의 수광 센서부에 입사광을 유도하는 광학계(143)와, 셔터 장치(144)를 갖는다. 또한, 카메라(141)는 고체 촬상 장치(142)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45)와, 고체 촬상 장치(142)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146)를 갖는다.
고체 촬상 장치(142)는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광학계(광학 렌즈)(143)는 피사체로부터의 상광(입사광)을 고체 촬상 장치(142)의 촬상 면상에 결상시킨다. 이에 의해, 고체 촬상 장치(142) 내에, 일정 기간 신호 전하가 축적된다. 광학계(143)는 복수의 광학 렌즈로 구성된 광학 렌즈계로 하여도 좋다. 셔터 장치(144)는 고체 촬상 장치(142)에의 광조사 기간 및 차광 기간을 제어한다. 구동 회로(145)는 고체 촬상 장치(142)의 전송 동작 및 셔터 장치(144)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구동 회로(14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타이밍 신호)에 의해, 고체 촬상 장치(142)의 신호 전송을 행한다. 신호 처리 회로(146)는 각종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 영상 신호는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되고, 또는 모니터에 출력된다.
제11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 의하면, 고체 촬상 장치(142)에서 고성능화가 도모되고,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한쪽 측면에 제1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짐에 의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연장되는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제1의 배선층에 접속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접속되는 제2의 도전 재료로 구성되며,
    적층 절연층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및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적층 절연층의 표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한쪽 측면에 제1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상기 제2의 반도체부에 접합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연장되는 도전 재료를 마련하고,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제1의 배선층에 접속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상기 제2의 배선층에 접속되는 제2의 도전 재료로 구성되며,
    적층 절연층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및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적층 절연층의 표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형성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5.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한쪽 측면상의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의 대향측면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적층 절연층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및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적층 절연층의 표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측면상의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단부(end portion)를,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2의 반도체부 측면상의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단부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3.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한쪽 측면상의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의 대향측면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형성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 보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상기 제2의 반도체부에 접합하는 스텝과,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마련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적층 절연층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및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적층 절연층의 표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플라즈마 접합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반도체부 및 상기 제2의 반도체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화소 어레이 영역과 제거 영역 사이의 제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재료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거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상기 제어 영역 내의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위에 형성된 차광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30.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유닛과,
    화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유닛은,
    (a)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b)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c)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d)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적층 절연층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및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적층 절연층의 표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과 상기 화상 유닛 사이에 셔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2.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학 유닛과,
    화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유닛은,
    (a) 한쪽 측면상의 제1의 배선층 및 상기 제1의 배선층의 대향측면상의 장치층을 포함하는 제1의 반도체부와,
    (b) 한쪽 측면에 제2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제2의 반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반도체부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마주보도록 부착되고,
    (c)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장치층을 통해 상기 제1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1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1의 도전 재료와,
    (d) 상기 제1 및 제2의 배선층이 전기적으로 이어지도록, 상기 제1의 반도체부를 통해 상기 제2의 반도체부의 상기 제2의 배선층 내의 접속점에 연장되는 제2의 도전 재료를 포함하고,
    적층 절연층은 상기 제1의 반도체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 및 상기 제2의 도전 재료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은, 상기 적층 절연층의 표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유닛과 상기 화상 유닛 사이에 셔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00124053A 2009-12-25 2010-12-07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1691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4698 2009-12-25
JP2009294698 2009-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66A KR20110074666A (ko) 2011-07-01
KR101691668B1 true KR101691668B1 (ko) 2016-12-30

Family

ID=4417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053A KR101691668B1 (ko) 2009-12-25 2010-12-07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6) US8514308B2 (ko)
JP (1) JP5664205B2 (ko)
KR (1) KR101691668B1 (ko)
CN (2) CN103646953B (ko)
TW (2) TWI5158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2586B2 (en) 2009-02-24 2015-09-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d design for backside illuminated image sensor
TWI515885B (zh) 2009-12-25 2016-01-01 新力股份有限公司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及電子裝置
JP5685898B2 (ja) 2010-01-08 2015-03-18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2033894A (ja) * 2010-06-30 2012-02-16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JP5671890B2 (ja) * 2010-08-31 2015-02-18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716347B2 (ja) * 2010-10-21 2015-05-1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TWI467746B (zh) * 2010-12-15 2015-01-01 Sony Corp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與電子裝置
KR20130011419A (ko) * 2011-07-21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조명 구조의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JP5987275B2 (ja) * 2011-07-25 2016-09-07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9153490B2 (en) 2011-07-19 2015-10-06 Sony Corporation Solid-state imag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solid-state imag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091550B2 (ja) * 2011-08-02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US8987855B2 (en) 2011-08-04 2015-03-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d structures formed in double openings in dielectric layers
JP2013041878A (ja) * 2011-08-11 2013-02-2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TWI577001B (zh) * 2011-10-04 2017-04-01 Sony Corp 固體攝像裝置、固體攝像裝置之製造方法及電子機器
JP6018376B2 (ja) * 2011-12-05 2016-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CN104040717B (zh) * 2012-01-17 2017-04-05 索尼公司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2013172014A (ja) * 2012-02-21 2013-09-02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KR20130099425A (ko) * 2012-02-29 2013-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JP6214132B2 (ja) * 2012-02-29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2013187360A (ja) * 2012-03-08 2013-09-1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US9865657B2 (en) * 2012-03-15 2018-01-09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3147199A1 (ja) * 2012-03-30 2013-10-03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撮影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9412725B2 (en) * 2012-04-27 2016-08-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ensor packaging
US8766387B2 (en) 2012-05-18 2014-07-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Vertically integrated image sensor chip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JP6012262B2 (ja) 2012-05-31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119118B2 (ja) * 2012-06-07 2017-04-2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
CN109040626B (zh) * 2012-06-08 2022-01-21 株式会社尼康 拍摄元件
US8710607B2 (en) * 2012-07-12 2014-04-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ensor packaging
US8796805B2 (en) * 2012-09-05 2014-08-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ultiple metal film stack in BSI chips
US8866250B2 (en) * 2012-09-05 2014-10-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ultiple metal film stack in BSI chips
JP5851369B2 (ja) * 2012-09-10 2016-02-0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128787B2 (ja) 2012-09-28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6041607B2 (ja) 2012-09-28 2016-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4099582A (ja) * 2012-10-18 2014-05-29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2014135326A (ja) * 2013-01-08 2014-07-24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
US8773562B1 (en) 2013-01-31 2014-07-08 Apple Inc. Vertically stacked image sensor
US9293500B2 (en) 2013-03-01 2016-03-22 Apple Inc. Exposure control for image sensors
US9276031B2 (en) 2013-03-04 2016-03-01 Apple Inc. Photodiode with different electric potential regions for image sensors
US9041837B2 (en) 2013-03-05 2015-05-26 Apple Inc. Image sensor with reduced blooming
US9741754B2 (en) 2013-03-06 2017-08-22 Apple Inc. Charge transfer circuit with storage nodes in image sensors
US9549099B2 (en) * 2013-03-12 2017-01-17 Apple Inc. Hybrid image sensor
US9319611B2 (en) 2013-03-14 2016-04-19 Apple Inc. Image sensor with flexible pixel summing
US9722099B2 (en) * 2013-03-14 2017-08-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Light sensing device with outgassing hole in a light shielding layer and an anti-reflection film
CN104051487B (zh) * 2013-03-15 2017-04-12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成像传感器结构和方法
US20140326856A1 (en) * 2013-05-06 2014-11-06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stack with low profile contacts
JP6119432B2 (ja) * 2013-05-31 2017-04-2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電子機器、および製造方法
JP2015029012A (ja) * 2013-07-30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電子機器
JP2015041677A (ja) * 2013-08-21 2015-03-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36845B1 (ko) 2013-09-16 2020-07-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층형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377063B1 (ko) * 2013-09-26 2014-03-26 (주)실리콘화일 기판 적층형 이미지 센서의 글로벌 셔터를 위한 픽셀회로
US9654714B2 (en) * 2013-11-01 2017-05-16 Silicon Optronics, Inc. Shared pixel with fixed conversion gain
TWI706550B (zh) * 2013-11-06 2020-10-0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固體攝像裝置及其製造方法、及電子機器
KR102161260B1 (ko) 2013-11-07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596423B1 (en) 2013-11-21 2017-03-14 Apple Inc. Charge summing in an image sensor
US9596420B2 (en) 2013-12-05 2017-03-14 Apple Inc. Image sensor having pixels with different integration periods
US9473706B2 (en) 2013-12-09 2016-10-18 Apple Inc. Image sensor flicker detection
JP2015119154A (ja) * 2013-12-20 2015-06-2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TWI539816B (zh) 2013-12-25 2016-06-21 恆景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感測器
JP2015135839A (ja) * 2014-01-16 2015-07-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5138862A (ja) * 2014-01-22 2015-07-3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285626B1 (en) 2014-02-14 2019-05-14 Apple Inc. Activity identification using an optical heart rate monitor
US9277144B2 (en) 2014-03-12 2016-03-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 ambient light condition using an image sensor and field-of-view compensation
US9232150B2 (en) 2014-03-12 2016-01-0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 ambient light condition using an image sensor
US9584743B1 (en) 2014-03-13 2017-02-28 Apple Inc. Image sensor with auto-focus and pixel cross-talk compensation
US9497397B1 (en) 2014-04-08 2016-11-15 Apple Inc. Image sensor with auto-focus and color ratio cross-talk comparison
TWI648986B (zh) * 2014-04-15 2019-01-2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攝像元件、電子機器
US9538106B2 (en) 2014-04-25 2017-01-03 Apple Inc. Image sensor having a uniform digital power signature
US9614000B2 (en) 2014-05-15 2017-04-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iased backside illuminated sensor shield structure
US9686485B2 (en) 2014-05-30 2017-06-20 Apple Inc. Pixel binning in an image sensor
TWI671894B (zh) * 2014-06-26 2019-09-1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電路基板、攝像元件及電子機器
US10101365B2 (en) * 2014-07-17 2018-10-16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Semiconductor module, electrical connector, and inspection apparatus
US10204952B2 (en) * 2014-08-29 2019-02-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cess filled with condu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532728A (en) * 2014-11-25 2016-06-01 Nokia Technologies Oy A semiconductor chip, a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capturing
KR102261268B1 (ko) * 2014-12-29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JP6693068B2 (ja) * 2015-03-12 2020-05-1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9564464B2 (en) * 2015-06-03 2017-02-0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onolithically stacked image sensors
KR102422224B1 (ko) * 2015-07-31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0014333B2 (en) * 2015-08-26 2018-07-0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Back-side illuminated pixels with interconnect layers
WO2017060948A1 (ja) * 2015-10-05 2017-04-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725231B2 (ja) * 2015-10-06 2020-07-1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電子装置
JP6619631B2 (ja) * 2015-11-30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9871039B2 (en) * 2015-12-28 2018-01-16 Arm Limited Resistance mitigation in physical design
KR20170084519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FR3047380B1 (fr) * 2016-01-29 2018-05-18 STMicroelectronics (Alps) SAS Detection d'un branchement analogique dans un decodeur video
JP2017139431A (ja) * 2016-02-05 2017-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653410B1 (en) * 2016-03-15 2017-05-16 Nxp Usa, Inc. Transistor with shield structure, packaged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210119B2 (ja) * 2016-03-23 2017-10-11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US9912883B1 (en) 2016-05-10 2018-03-06 Apple Inc. Image sensor with calibrated column analog-to-digital converters
US9942492B2 (en) * 2016-06-16 2018-04-1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Image sensors having high dynamic range functionalities
KR102576349B1 (ko) 2016-08-24 2023-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EP3712945A3 (en) 2016-09-23 2020-12-02 Apple Inc. Stacked backside illuminated spad array
JP6257726B2 (ja) * 2016-09-30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8073851A (ja) * 2016-10-24 2018-05-10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製造方法、及び、固体撮像装置
KR20180049481A (ko) * 2016-11-02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본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8081945A (ja) * 2016-11-14 2018-05-2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9911780B1 (en) * 2016-12-22 2018-03-06 Omnivision Technologies, Inc. Backside metal grid and metal pad simplification
JP6917716B2 (ja) * 2017-01-23 2021-08-1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の情報処理方法
US10916538B2 (en) * 2017-01-24 2021-02-09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olid-state imaging ele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656251B1 (en) 2017-01-25 2020-05-19 Apple Inc. Signal acquisition in a SPAD detector
CN110235024B (zh) 2017-01-25 2022-10-28 苹果公司 具有调制灵敏度的spad检测器
US10962628B1 (en) 2017-01-26 2021-03-30 Apple Inc. Spatial temporal weighting in a SPAD detector
JP6910814B2 (ja) * 2017-02-22 2021-07-2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779825B2 (ja) 2017-03-30 202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機器
JP6963873B2 (ja) 2017-05-26 2021-11-10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7038494B2 (ja) * 2017-06-15 2022-03-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US10622538B2 (en) 2017-07-18 2020-04-14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US10423122B2 (en) * 2017-08-04 2019-09-24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Lens-free image sensor using phase-shifting hologram
JP2017216480A (ja) * 2017-09-01 2017-12-0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440301B2 (en) 2017-09-08 2019-10-08 Apple Inc. Image capture device, pixel, and method providing improved phase detection auto-focus performance
JP6451811B2 (ja) * 2017-09-14 2019-01-1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US10727217B2 (en) * 2017-09-29 2020-07-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hat uses bonding layer to join semiconductor substrates together
KR102483548B1 (ko) 2017-10-31 2023-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WO2019117107A1 (ja) * 2017-12-14 2019-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8281446A (zh) * 2018-01-30 2018-07-13 德淮半导体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形成图像传感器的方法
JP7102159B2 (ja) * 2018-02-09 2022-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
JP6575635B2 (ja) * 2018-04-26 2019-09-18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WO2019232487A1 (en) 2018-06-01 2019-12-05 Greenph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and data processing management for clinical trial administration systems
US10848693B2 (en) 2018-07-18 2020-11-24 Apple Inc. Image flare detection using asymmetric pixels
US11019294B2 (en) 2018-07-18 2021-05-25 Apple Inc. Seamless readout mode transitions in image sensors
JP7372258B2 (ja) 2018-10-16 2023-10-3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36749A (ja) * 2018-11-01 2019-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12889136A (zh) * 2018-11-21 2021-06-01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固态图像传感器
US11233966B1 (en) 2018-11-29 2022-01-25 Apple Inc. Breakdown voltage monitoring for avalanche diodes
JP2019125808A (ja) * 2019-04-04 2019-07-2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CN110544700B (zh) * 2019-08-19 2022-01-04 上海集成电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集成于图像传感器中的微透镜阵列及其制备方法
JP2021044439A (ja) * 2019-09-12 2021-03-18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裏面入射型撮像素子
US20210265049A1 (en) * 2020-02-25 2021-08-26 Greenphire, Inc.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management providing flexible and accurate administration of clinical trials
US11563910B2 (en) 2020-08-04 2023-01-24 Apple Inc. Image capture devices having phase detection auto-focus pixels
US11582389B2 (en) 2020-08-11 2023-02-14 Apple Inc. Electrical traces in suspension assemblies
KR20220022504A (ko) * 2020-08-18 202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KR20220034973A (ko) * 2020-09-11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JP2022107232A (ja) * 2021-01-08 2022-07-2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N114975368A (zh) * 2021-02-22 2022-08-30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接合半导体结构及其制作方法
US11546532B1 (en) 2021-03-16 2023-01-03 Apple Inc. Dynamic correlated double sampling for noise rejection in image sensors
KR20220133013A (ko) * 2021-03-24 2022-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비아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장치
WO2023248974A1 (ja) * 2022-06-20 2023-12-2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検出素子および光検出素子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762A1 (ja) 2005-06-02 2006-12-07 Sony Corporation 半導体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48891A1 (en) 2006-06-19 2007-12-27 Siliconfile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using back-illuminated photo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8074688A1 (fr) 2006-12-20 2008-06-26 E2V Semiconductors Procede de fabrication de capteur d'image a haute densite d'integ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0A (en) * 1852-06-15 Improved machine for peaking sheet-metal tubes
US20030049925A1 (en) * 2001-09-10 2003-03-13 Layman Paul Arthur High-density inter-die interconnect structure
JP2005322745A (ja) * 2004-05-07 2005-11-17 Sony Corp 半導体素子、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並びに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KR100898649B1 (ko) * 2004-05-28 2009-05-22 가부시키가이샤 섬코 Soi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4534634B2 (ja) * 2004-07-05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349232B2 (ja) 2004-07-30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mos型固体撮像装置
KR100687102B1 (ko) * 2005-03-30 2007-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01228631A (zh) * 2005-06-02 2008-07-23 索尼株式会社 半导体图像传感器模块及其制造方法
KR100721353B1 (ko) * 2005-07-08 2007-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삽입형 매개기판의 구조와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한 이종칩의 웨이퍼 레벨 적층 구조 및 패키지 구조
JP4675231B2 (ja) * 2005-12-28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833589B1 (ko) * 2006-03-29 2008-05-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택 패키지
KR100855408B1 (ko) 2007-12-27 2008-08-2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7897428B2 (en) * 2008-06-03 2011-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s and techniques for fabrication thereof
JP5985136B2 (ja) * 2009-03-19 2016-09-06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0263097A (ja) * 2009-05-08 2010-11-18 Sumco Corp 貼り合わせウェーハの製造方法
TWI515885B (zh) * 2009-12-25 2016-01-01 新力股份有限公司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及電子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762A1 (ja) 2005-06-02 2006-12-07 Sony Corporation 半導体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48891A1 (en) 2006-06-19 2007-12-27 Siliconfile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using back-illuminated photo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8074688A1 (fr) 2006-12-20 2008-06-26 E2V Semiconductors Procede de fabrication de capteur d'image a haute densite d'integ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3805A (zh) 2014-01-16
TWI420662B (zh) 2013-12-21
JP5664205B2 (ja) 2015-02-04
US10115763B2 (en) 2018-10-30
US9812490B2 (en) 2017-11-07
CN103646953A (zh) 2014-03-19
CN102110700B (zh) 2013-11-06
US20140217542A1 (en) 2014-08-07
JP2011151375A (ja) 2011-08-04
US9087760B2 (en) 2015-07-21
CN102110700A (zh) 2011-06-29
KR20110074666A (ko) 2011-07-01
TW201126707A (en) 2011-08-01
CN103646953B (zh) 2017-01-04
US20190074319A1 (en) 2019-03-07
US20110157445A1 (en) 2011-06-30
US8514308B2 (en) 2013-08-20
US8742524B2 (en) 2014-06-03
US10553637B2 (en) 2020-02-04
US20180019279A1 (en) 2018-01-18
TWI515885B (zh) 2016-01-01
US20130285186A1 (en) 2013-10-31
US20120153419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68B1 (ko)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2343428B1 (ko) 반도체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918293B1 (ko) 반도체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JP6774393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678984A (zh) 成像器件和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