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298B1 - 오일 팬 - Google Patents

오일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298B1
KR101576298B1 KR1020090130441A KR20090130441A KR101576298B1 KR 101576298 B1 KR101576298 B1 KR 101576298B1 KR 1020090130441 A KR1020090130441 A KR 1020090130441A KR 20090130441 A KR20090130441 A KR 20090130441A KR 101576298 B1 KR101576298 B1 KR 10157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oil
divided body
rib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899A (ko
Inventor
사토시 에노키다
Original Assignee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32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94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14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819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154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952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2Oilsump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7Oil pickup tube to oil pump, e.g. str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87Sump being made of differ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91Oilsumps characterised by us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팬은, 저벽(底壁)부와, 저벽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周壁)부에 의해, 상부에 개방구를 갖도록 형성된 오일 저장부를 구비한다. 오일 저장부 내에는 리브가 설치된다.
Figure R1020090130441
오일 팬, 리브, 체결부, 오일 스트레이너, 서브룸(sub room)

Description

오일 팬{OIL PAN}
본 발명은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이나 자동 트랜스미션 등의 동력 장치에는 내부를 순환하는 오일을 일단 저장해 두기 위한 오일 팬이 설치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성2-264109호 공보) 및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6-28361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오일 팬은, 저벽(底壁)부와, 이 저벽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周壁)부로 형성된 오일 저장부를 갖는다. 오일 저장부 상부에는, 동력 장치를 순환한 오일을 오일 저장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개방구가 형성된다. 또한, 오일 저장부의 개방구보다 외측에는, 복수의 리브와, 동력 장치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오일 팬은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오일 저장부를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3(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201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오일 팬은, 내부에 칸막이(oil-pan separator)를 설치하여 오일 저장부를 메인룸(main room)과 서브룸(sub room)의 2개로 구획하며, 동력 장치 내부를 순환하여 되돌아온 오일(이하, 귀환 오일이라고도 함)을 메인룸으로 유입시키고, 이 메인룸 내 오일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냉간(冷間) 시동 직후에 오일 점성이 높은 상황일 때에, 메인룸 내로 유입된 비교적 따뜻한 귀환 오일을 동력 장치의 각 부위에 순환시키고 이 메인룸 내 오일의 온도를 조기에 높여, 점성을 저하시키고 마찰의 저감을 도모함으로써 소비 에너지를 삭감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오일 팬은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예를 들어 강판제 오일 팬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면, 강성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오일 저장부가 개방구를 가짐으로 인한 강성의 저하는 크다. 오일 팬의 강성이 부족해지면, 동력 장치의 진동으로 인해 오일 팬 각 부위가 진동되기 쉬워 소음 발생원이 되며, 또한 어떤 외력(外力)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이나 파손을 초래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리브를 설치하여 보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리브는 오일 저장부의 개방구 외측에 설치되므로, 오일 팬의 외관은 리브를 설치하는 만큼 커져 버린다. 또한, 개방구 외측에 리브를 설치해도, 개방구가 크게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변함이 없는 점에서, 보강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오일 팬 내부에는 오일 스트레이너가 설치되며, 또한 오일 팬 외부에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들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오일 팬 형상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일 팬의 저벽부 형상은, 저장된 오일을 오일 스트레이너의 흡입구로 유도하는 형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오일 팬 형상은 복 잡해지기 쉽다.
이와 같은 오일 팬을,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지재의 일체 성형품으로 하고자 하면, 성형 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거나, 형상에 따라서는 성형이 불가능한 경우도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오일 팬은, 오일 저장부를 메인룸과 서브룸으로 구획하기 위해 다른 부재의 칸막이를 설치했다. 따라서 오일 팬의 부품 점수가 증가되어, 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수지제 오일 팬에 있어서 리브를 개량함으로써, 소형이면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얻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오일 팬을 수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복잡한 형상이라도 성형 가능하게 하면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수지제 오일 팬의 강성을 높이고, 더욱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없이, 오일 저장부를 메인룸과 서브룸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며, 원가 저감을 도모하는 데 있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는,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팬에 있어서, 저벽부와, 이 저벽부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부에 의해 상부에 개방구를 갖도록 형성된 오일 저장부와, 상기 오일 저장부 내에 설치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주벽부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부위끼리를 연결하도록, 또한 평면에서 보아 상기 개방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구성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따르면, 리브는, 오일 저장부 주벽부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부위끼리를 연결하면서 오일 저장부의 개방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강성이 저하되기 쉬운 개방구 근방의 강성을 리브에 의해 충분히 높일 수 있으며, 오일 팬 각 부위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리브가 오일 저장부의 개방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점에서, 개방구 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오일 팬 외관에 거의 영향을 주는 일없이 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리브를 효과적으로 설치하여 높은 강성을 얻으면서, 리브를 갖는 오일 팬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저장부의 주벽부 개방구 쪽에는 오일 팬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리브는 상기 체결부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리브가 체결부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므로, 리브를 이용하여 체결부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 근방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리브가 서로 교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 근방을 서로 리브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체결부 근방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체결부 근방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리브가 서로 교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 근방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리브가 서로 교차하므로, 예를 들어 제 1 리브에 힘이 작용한 경우에, 그 힘을 제 2 리브나 제 3 리브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오일 팬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가,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리브를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교차시키므 로, 주벽부 측방으로부터의 힘에 대해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가 되며,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는 오일 저장부의 저벽부로 연속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리브가 오일 저장부 저벽부로 연속되므로, 저벽부와 주벽부를 리브에 의해 연결할 수 있으며, 오일 저장부의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2 발명에서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일체화시켜 구성되는 오일 팬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체에는 제 1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2 분할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별개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오일 팬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일체 성형품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각 분할체를 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분할체는 제 1 리브에 의해 보강되어 강성이 높아지며, 이 강성이 높아진 제 1 분할체의 제 1 리브를 제 2 분할체에 결합함으로써,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2 분할체의 강성도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수지재로서 경량화된 오일 팬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할체에는 제 2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분할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 2 리브에 의해 제 2 분할체의 강성이 향상되며, 제 2 리브와 제 1 분할체를 결합함으로써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한층 더 견고하게 결 합할 수 있다.
또한, 오일을 걸러내는 필터 요소(element)와, 이 필터 요소를 수납함과 더불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구 및 필터 요소 통과 후의 오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필터 요소 수납부를 갖는 오일 스트레이너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 요소 수납부는 제 1 리브와 제 2 리브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오일 스트레이너를 오일 팬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스트레이너의 필터 요소 수납부를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를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필터 요소 수납부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체에는 오일 팬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제 1 리브는 상기 체결부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 1 리브가 체결부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므로, 체결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분할체는 오일 팬의 상측부분을 구성하며, 제 2 분할체는 오일 팬의 저벽측 부분을 구성하고, 제 1 리브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 분할체의 저벽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제 1 리브를 제 2 분할체 저벽에 결합함으로써, 오일 팬의 저벽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3 발명에서는,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팬에 있어서, 저벽부와, 이 저벽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부에 의해 상부에 개방구를 갖도록 형성된 오일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일 저장부 내에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 내는, 상기 리브에 의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배치되는 메인룸과 서브룸으로 구획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오일 저장부 내의 리브에 의해 오일 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저장부 내를, 리브에 의해 메인룸과 서브룸으로 구획하므로, 다른 부재의 칸막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부품 점수를 억제하여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리브에는,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서브룸의 오일을 리브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메인룸으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리브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오일 팬은,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분할체와 상기 제 2 분할체에 리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분할체의 리브와 상기 제 2 분할체의 리브 사이에는,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틈새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오일 팬을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로 분할함으로써, 오일 팬이 복잡한 형상이라도 성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분할체의 리브와 제 2 분할체의 리브 사이에,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틈새를 형성하므로,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메인룸 내에 설치되는 오일 스트레이너를 구비하며,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는, 필터 요소와, 이 필터 요소를 수납하는 필터 요소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요소 수납부는 리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오일 스트레이너를 오일 팬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스트레이너의 필터 요소 수납부를 리브를 이용하여 구성하므로, 필터 요소 수납부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저장부와는 다른 부품인 오일 스트레이너를 구비하며,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에는 리브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오일 저장부와는 다른 부품인 오일 스트레이너를 리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리브를 오일 스트레이너를 고정시키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룸의 바닥부는 외벽부와 내벽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메인룸의 바닥부가 외벽부와 내벽부의 다중구조가 되어, 단열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냉간 시에 메인룸 내 오일이 외부의 냉기로 인해 차가워지기 어려워지므로, 동력 장치로 흡입되는 오일의 온도를 빨리 높여 점성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써 에너지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팬에 의하면, 리브가, 상기 주벽부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부위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오일 저장부의 개방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강성이 저하되기 쉬운 개방구 근방의 강성을 리브에 의해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오일 팬 각 부위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리브가 오일 저장부의 개방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개방구 내를 유효 이용하여 오일 팬 외관에 거의 영향을 주는 일없이 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리브를 효과적으로 설치하여 높은 강성을 얻으면서, 리브를 구비한 오일 팬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일 팬에 의하면,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별개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오일 팬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일체 성형품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각 분할체를 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성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분할체는 제 1 리브에 의해 보강되어 강성이 높아지며, 이 강성이 높아진 제 1 분할체의 제 1 리브를 제 2 분할체에 결합함으로써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2 분할체의 강성도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수지재로서 경량화된 오일 팬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일 팬에 의하면, 오일 저장부 내의 리브에 의해 오일 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저장부 내를 리브에 의해 메인룸과 서브룸으로 구획하므로, 다른 부재의 칸막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부품 점수를 억제하여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팬(1)을 나타낸 것이다. 오일 팬(1)은, 자동차 앞부분에 형성된 엔진룸에 탑재되는 엔진(도시 생략)용 오일 팬이며,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엔진의 실린더 블록(100) 하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엔진룸에 탑재된 엔진의 방향은 크랭크축이 차량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 앞쪽을 단지 "앞쪽"이라 하며, 차량 뒤쪽을 단지 "뒤쪽"이라 하고, 차량 왼쪽을 단지 "왼쪽"이라 하며, 차량 오른쪽을 단지 "오른쪽"이라 하기로 한다.
오일 팬(1)은 실린더 블록(100) 하면의 거의 전체를 피복하도록 형성된 저벽(底壁)부(2)와, 저벽부(2)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周壁)부(3)에 의해 형성된 오목형상의 오일 저장부(4)와,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저장부(4) 내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5 주(主)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와, 마찬가지로 오일 저장부(4) 내에 설치된 오일 스트레이너(5)를 구비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된 상측 분할체(제 1 분할체)(10) 및 하측 분할체(제 2 분할체)(30) 그리고 오일 스트레이너(5)가 갖는 필터 요소(element)(50)(도 6에 나타냄)의 3개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저장부(4) 상부에는 개방구(6)가 형성된다. 실린더 블록(100)으로부터 낙하되는 오일은 개방구(6)로부터 오일 저장부(4)로 흘러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이 오일 저장부(4)의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룸(main room)(P)과 서브룸(sub room)(Z)으로 구획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오일 저장부(4)에 저장된 오일이 오일 스트레이너(5)를 통과할 때에 여과된 후 엔진 오일펌프(도시 생략)로 흡입되고, 엔진 각 부위로 이송 공급되어 순환한 뒤에 오일 저장부(4)로 되돌아오며, 오일 스트레이너(5)를 다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스트레이너(5)는, 필터 요소(50)와, 필터 요소(50)를 수납하는 필터 요소 수납부(17)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저장부(4)의 저벽부(2)는 차량 좌우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저벽부(2)에는 하방으로 튀어 나오는 팽출부(7)가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7)는 저벽부(2)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우방향 중앙보다 왼쪽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7)의 좌측 단부는 저벽부(2)의 좌측 단부보다 오른쪽에 위치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7) 좌측 단부는, 전후방향 중앙부가 왼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출부(7)는 하측 분할체(30)로 구성되며, 또한 저벽부(2)의 팽출부(7) 이외 부분과 주벽부(3)는 상측 분할체(10)로 구성된다. 이들 하측 분할체(30) 및 상측 분할체(10)는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분할체(30)의 상단(上端)부는 개방되며, 이 상단부에는 상측 분할체(10)에 용착되는 하측 접합부(31)가 형성된다. 하측 접합부(31)는, 하측 분할체(30)의 상단부로부터 팽출부(7)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이 상단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분할체(10) 하단(下端)부에는, 하측 분할체(30) 상단부와 일치하는 관통구멍(11)이 형성된다. 상측 분할체(10)의 관통구멍(11) 주연부에는, 하측 분할체(30)의 하측 접합부(31)에 용착되는 상측 접합부(12)가 형성된다. 상측 접합부(12)는 하측 접합부(31)를 따라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측 접합부(31)와 상측 접합부(12)는, 예를 들어 열판 용착법이나 진동 용착법 등 각종 용착법을 이용하여 용착된다. 하측 분할체(30) 상단부의 하측 접합부(31)가, 하측 분할체(30)의 외측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전체 둘레가 상측 접합부(12)와 접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오일 팬(1) 전체적으로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분할체(30) 저벽의 오른쪽에는, 필터 요소(50)가 고정되는 요소 고정용 리브(32)가 형성되며, 저벽은 리브(32)에 의해 보강된다. 요소 고정용 리브(32)는, 하측 분할체(30) 저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두께가 두꺼운 플레이트 형상이며, 저벽의 앞쪽 단부로부터 우측 단부까지 연장된 후 굴곡되어 뒤쪽으로 연장되고나서, 왼쪽으로 굴곡되어 연장된다. 도 9에 나타내는 평면도에서 보면, 왼쪽으로 개방되는 "C"자에 가까운 형상이다. 이와 같이 요소 고정용 리브(32)를 굴곡시킴으로써, 이 리브(32) 자체의 강성이 높아진다.
오일 저장부(4)의 오일은, 요소 고정용 리브(32) 왼쪽의 개방부분으로부터, 요소 고정용 리브(32)로 둘러싸인 공간 내로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7의 부호(33)는 요소 고정용 리브(32)를 형성함으로써 생긴 홈이다. 따라서 요소 고정용 리브(32)는 중공(中空) 리브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 고정용 리브(32)는, 뒤쪽으로, 또한 오른 쪽으로 갈수록 저벽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요소 고정용 리브(32)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32a)가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기부(32a)에는 필터 요소(50) 및 상측 분할체(10)가 용착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분할체(30)의 저벽에는 제 1 내지 제 5 하측 리브(L1 내지 L5)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1 하측 리브(L1)는 요소 고정용 리브(32) 뒤쪽으로 연속되며, 뒤쪽으로 연장된 후 왼쪽으로 굴곡되어 연장된다. 제 1 하측 리브(L1)의 좌측 측부는, 좌측 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제 2 하측 리브(L2)는, 제 1 하측 리브(L1)의 좌측 측부로부터 왼쪽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왼쪽으로 연장된다. 제 2 하측 리브(L2)의 우측 측부는, 우측 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며, 또한 좌측 측부는 좌측 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하측 리브(L2)는 선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 3 하측 리브(L3)는, 제 2 하측 리브(L2)의 좌측 측부로부터 왼쪽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왼쪽으로 또한 앞쪽으로 연장된다. 제 3 하측 리브(L3)의 오른쪽 측부는, 우측 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제 3 하측 리브(L3)의 왼쪽 측부는 하측 분할체(30)의 내측면으로 연속된다. 제 4 하측 리브(L4)는 제 3 하측 리브(L3)로부터 앞쪽으로 거리를 둔 부위에 설치되며, 제 4 하측 리브(L4)의 오른쪽 측부는, 우측 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제 4 하측 리브(L4)의 좌측 측부는 하측 분할체(30)의 내측면으로 연속된다.
제 5 하측 리브(L5)는, 제 2 하측 리브(L2)에서 앞쪽으로 떨어진 부위에 설치되며, 우측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 5 하측 리브(L5)의 좌측 측부 및 우측 측부는 제 2 하측 리브(L2)와 마찬가지로 경사지며, 제 5 하측 리브(L5)도 선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50)는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플레이트 형상의 여과용 메시부(51)와, 메시부(51) 주연부에 배치된 장착부(52)를 구비한다. 필터 요소(5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부(51)가 하측 분할체(30)의 저벽과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도 11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메시부(51)는 요소 고정용 리브(32)의 윗 테두리부를 상방에서 덮도록 형성된 거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메시부(51)에는 종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부(53)가 배치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52)는 요소 고정용 리브(32)의 상단(上端)부 형상에 일치하도록, 평면에서 보아 거의 "C"자형으로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52)에는 요소 고정용 리브(32)의 왼쪽 후방측에 끼워지도록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판부(54)가 형성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52) 내주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측 돌기부(55)가 형성되며, 외주측에는 마찬가지로 하방으로 돌출되는 외주측 돌기부(56)가 형성된다. 이들 내주측 돌기부(55)와 외주측 돌기부(56) 사이에는 홈(58)이 형성된다. 또한, 메시부(51) 상면의 주연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고리형 돌기부(57)가 형성된다.
필터 요소(50)의 내측 돌기부(55) 선단(하단)은, 하측 분할체(30)의 요소 고정용 리브(32) 상단의 돌기부(32a)보다 안쪽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 요소(50)의 외측 돌기부(56) 선단(하단)은, 전체 둘레에 걸쳐 요소 고정용 리브(32)의 돌기부(32a)에 용착되도록 구성된다. 이 필터 요소(50)와, 요소 고정용 리브(32)로 둘러싸인 공간이 오일 스트레이너(5)의 오일 유입측 공간(R1)이 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분할체(10)의 상단부인 주벽부(3) 상단부에는 오일 저장부(4)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13)가 형성된다.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3)의 앞쪽에는, 오일 팬(1)을 실린더 블록(100)에 체결하기 위한 볼트(도시 생략)가 삽입되는 제 1 내지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Bf1 내지 Bf4)이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 1 앞쪽 볼트 삽입구멍(Bf1)이 상부 플랜지(13)의 좌측 단부 근방에 위치하며, 제 2 내지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Bf2 내지 Bf4)은 차례로 오른쪽으로 나열된다.
상부 플랜지(13)의 뒤쪽에는, 제 1 내지 제 4 뒤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Bb1 내지 Bb4)이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4 뒤쪽 볼트 삽입구멍(Bb1 내지 Bb4)은 제 1 내지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Bf1 내지 Bf4)과 마찬가지로 나열된다.
상부 플랜지(13)의 왼쪽에는, 제 1 및 제 2 왼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Bl1, Bl2)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 1 왼쪽 볼트 삽입구 멍(Bl1)은 상부 플랜지(13)의 앞쪽 부근에 위치하며, 제 2 왼쪽 볼트 삽입구멍(Bl2)은 상부 플랜지(13)의 뒤쪽 부근에 위치한다.
상부 플랜지(13)의 오른쪽에는, 제 1 및 제 2 오른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Br1, Br2)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왼쪽 볼트 삽입구멍(Bl1, Bl2)과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주벽부(3)의 볼트 삽입구멍(Bf1 내지 Bf4, Bb1 내지 Bb4, Bl1, Bl2, Br1, Br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일 저장부(4) 내측을 향해 패인 볼트간섭 회피부(3a, 3a, …)가 형성된다.
상측 분할체(10)의 왼쪽인 주벽부(3) 왼쪽에는 변속기의 케이싱(101)(도 4에만 가상선으로 나타냄)에 체결되는 측부 플랜지(14)가 형성된다. 측부 플랜지(14)는 주벽부(3)의 앞쪽 및 뒤쪽으로 각각 돌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 플랜지(14)에는, 변속기의 케이싱(101)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결합될 볼트(양쪽 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3개의 볼트 삽입구멍(14a, 14a, 14a)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주(主)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는 상측 분할체(10)에 설치된다. 도 15에는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를 흑색으로 표시하며,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를 흰색으로 표시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 리브(M1)는 제 2 앞쪽 볼트 삽입구멍(Bf2) 근방에서 제 2 뒤쪽 볼트 삽입구멍(Bb2) 근방까지, 양 체결부(Bf2, Bb2)를 서로 연결하도록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상측 분할체(10)의 관통구멍(11) 좌측 단부로부터 관통구멍(11) 내측에 위치한다. 제 2 주 리브(M2)는 제 3 앞쪽 볼트 삽입구멍(Bf3) 근방에서 제 3 뒤쪽 볼트 삽입구멍(Bb3) 근방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3 주 리브(M3)는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Bf4) 근방에서 제 4 뒤쪽 볼트 삽입구멍(Bb4) 근방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1 내지 제 3 주 리브(M1 내지 M3)는 서로 거의 평행을 이룬다.
제 4 주 리브(M4)는 제 1 왼쪽 볼트 삽입구멍(Bl1) 근방에서 제 2 오른쪽 볼트 삽입구멍(Br2) 근방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주 리브(M4) 하부는 하측 분할체(30)의 저벽까지 연장된다. 제 4 주 리브(M4)가 연장되는 방향은, 하측 분할체(30)의 제 1 및 제 2 하측 리브(L1, L2)(도 9에 나타냄)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며, 또한 제 4 주 리브(M4)는 제 1 및 제 2 하측 리브(L1, L2)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즉 제 4 주 리브(M4) 하부에는,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하측 리브(L1, L2)가 들어가도록 "V"자형 절개부(20, 20)(도 5 및 도 10 참조)가 형성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부(20, 20)와 제 1 및 제 2 하측 리브(L1, L2)와의 사이에는 오일 유통이 가능한 틈새(T1, T1)가 각각 형성된다. 틈새(T1)의 크기는 제 1 및 제 2 하측 리브(L1, L2) 상방으로 갈수록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오일 팬(1) 내의 따뜻한 오일을, 후술하는 메인룸(P)으로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틈새(T1)의 크기는 제 1 및 제 2 하측 리브(L1, L2) 하방으로 갈수록 크게 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주 리브(M5)는 제 2 왼쪽 볼트 삽입구멍(Bl2) 근방에서 제 1 오른쪽 볼트 삽입구멍(Br1) 근방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2 주 리브(M2)와, 제 4 주 리브(M4)와, 제 5 주 리브(M5)는 점(A)에서 교차한다. 점(A)은 제 2 주 리브(M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 4 주 리브(M4)와 제 2 주 리브(M2)가 교차하는 각도는 직각이 아니며, 또한 제 5 주 리브(M5)와 제 2 주 리브(M2)가 교차하는 각도도 직각이 아니다. 또한, 제 4 주 리브(M4)와 제 5 주 리브(M5)가 교차하는 각도도 역시 직각이 아니다. 여기서, 제 2, 제 4 및 제 5 주 리브(M2, M4, M5)는 서로 직교시켜도 된다.
또한, 제 4 주 리브(M4)는, 제 1 주 리브(M1) 및 제 3 주 리브(M3)와 점(B, E)에서 교차한다. 또한, 제 5 주 리브(M5)는, 제 1 주 리브(M1) 및 제 3 주 리브(M3)와 점(C, D)에서 교차한다. 점(B 내지 E)은, 평면에서 보아 상측 분할체(10)의 관통구멍(11) 내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주 리브(M1), 제 4 주 리브(M4) 및 제 5 주 리브(M5)의 하단부는, 상측 분할체(10)에서 저벽부(2)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연속되며, 리브(M1, M4, M5)에 의해 주벽부(3)와 저벽부(2)가 연결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는 각각, 주벽부(3)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부위끼리를 연결하도록, 또한 개방구(6)를 횡단하도록 연장된다.
제 1 보조 리브(S1)는 제 1 앞쪽 볼트 삽입구멍(Bf1) 근방에서 점(B)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1 보조 리브(S1) 하부는 하측 분할체(30) 저벽까지 연장된다. 제 1 보조 리브(S1)의 바로 밑에는, 도 8에 나타내는 하측 분할체(30)의 제 3 하측 리브(L3)가 위치한다. 이 제 3 하측 리브(L3)의 일부는 제 4 주 리브(M4) 하부에 위치한다. 제 1 보조 리브(S1) 및 제 4 주 리브(M4)의 하부에는, 제 3 하측 리브(L3)가 들어가는 절개부(21)(도 10 참조)가 형성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부(21)와 제 3 하측 리브(L3) 사이에는 오일 유통이 가능한 틈새(T2)가 형성된다. 틈새(T2)의 크기는 제 3 하측 리브(L3) 상방으로 갈수록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 3 하측 리브(L3) 하방으로 갈수록 크게 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보조 리브(S2)는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Bf4) 근방에서 점(B)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그 중간부가 제 2 주 리브(M2)와 교차한다. 이 교차점을 점(F)으로 한다. 제 2 보조 리브(S2)의 하부는 하측 분할체(30)의 저벽까지 연장된다. 제 2 보조 리브(S2)가 연장되는 방향은, 도 9에 나타내는 하측 분할체(30)의 제 5 하측 리브(L5)가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며, 또한 제 2 보조 리브(S2)는 제 5 하측 리브(L5)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제 2 보조 리브(S2) 하부에는, 도 9에 나타내는 제 5 하측 리브(L5)가 들어가도록 "V"자형의 절개부(22)(도 6 및 도 10 참조)가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부(22)와 제 5 하측 리브(L5) 사이에는 오일 유통이 가능한 틈새(T3)가 형성된다. 틈새(T3)의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5 하측 리브(L5) 상방으로 갈수록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대로 제 5 하측 리브(L5) 하방으로 갈수록 크게 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보조 리브(S3)는 제 2 앞쪽 볼트 삽입구멍(Bf2) 근방에서 점(F)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4 보조 리브(S4)는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Bf4) 근방에서 점(A)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5 보조 리브(S5)는 제 4 뒤쪽 볼트 삽입구멍(Bb4) 근방에서 점(A)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6 보조 리브(S6)는 제 4 뒤쪽 볼트 삽입구멍(Bb4) 근방에서 점(C)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며, 그 중간부가 제 2 주 리브(M2)와 교차한다. 이 교차점을 점(G)으로 한다. 제 7 보조 리브(S7)는 제 2 뒤쪽 볼트 삽입구멍(Bb2) 근방에서 점(G)까지 연장된다. 제 8 보조 리브(S8)는 제 1 뒤쪽 볼트 삽입구멍(Bb1) 근방에서 점(C)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9 보조 리브(S9)는 제 1 및 제 2 왼쪽 볼트 삽입구멍(Bl1, Bl2) 사이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되며, 그 오른쪽이 2개로 분기되어 점(B) 및 점(C)까지 각각 연장된다. 이 분기점을 점(H)으로 한다. 상기 제 1 보조 리브(S1), 제 3 보조 리브(S3), 제 6 보조 리브(S6), 제 7 보조 리브(S7), 제 8 보조 리브(S8) 및 제 9 보조 리브(S9)의 하단부는, 상측 분할체(10)의 저벽부(2)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연속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는,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형 리브이며, 모두 일체 성형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는,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교차된다. 예를 들어 제 1 주 리브(M1), 제 6 보조 리브(S6) 및 제 7 보조 리브(S7)에 의해 삼각형이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왼쪽 볼트 삽입구멍(Bl1), 제 2 왼쪽 볼트 삽입구멍(Bl2) 및 점(A)에 의해서 역시 삼각형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체결부와 리브의 교차점으로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한 구성에 의해서도, 외력(外力)에 대해 견고한 구조로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 리브(M1)와 제 1 보조 리브(S1) 사이에 는, 이들 리브(M1, S1)에 의해 복귀(return) 공간(W)이 구획 형성된다. 실린더 블록(100)의 복귀 오일이 토출되는 복귀관(102)(도 1 및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냄)은, 평면에서 보아 제 1 주 리브(M1)와 제 1 보조 리브(S1) 사이, 즉 복귀 공간(W)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순환된 오일의 대부분은 복귀 공간(W)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100) 하면으로부터는, 복귀관(102) 이외의 부분으로부터도 오일이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분할체(10)에는, 요소 고정용 리브(32)에 고정된 필터 요소(50)를 상방에서 덮는 커버부(16)가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16)와 요소 고정용 리브(32)에 의해, 필터 요소(50)를 수납하는 필터 요소 수납부(17)가 구성된다.
커버부(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주 리브(M3), 제 5 주 리브(M5) 및 제 4 보조 리브(S4)의 일부로 구성되며, 제 3 주 리브(M3), 제 4 주 리브(M4)와 제 4 보조 리브(S4)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위치가 정해진다. 커버부(16)는 평면에서 보아 필터 요소(50)와 거의 유사한 사각형을 이루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부가 리브(M3, S4) 측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와 일체화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주 리브(M5)는 커버부(16)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커버부(16) 앞쪽에는, 필터 요소(50)를 통과한 오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관부(15)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토출관부(15)는, 제 3 주 리브(M3)와 제 5 주 리브(M5) 및 제 4 보조 리브(S4)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한다. 토출관 부(15) 상단의 개구부는, 필터 요소(50) 통과 후의 오일을 토출하는 토출구(15a)로 구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주 리브(M3), 제 5 주 리브(M5) 및 제 4 보조 리브(S4)의 하단에는, 필터 요소(50)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필터 요소(50)의 외주부가 끼워지는 오목 결합부(16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이 오목 결합부(16a)보다 외주측에는, 하측 분할체(30)의 요소 고정용 리브(32) 돌기부(32a)에 용착되는 볼록형 용착부(16b)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용착부(16b)보다 외주측에는, 요소 고정용 리브(32) 상단의 돌기부(32a)보다 외주측에 닿는 접촉부(16c)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6)와 필터 요소(50)로 둘러싸인 공간이 오일 스트레이너(5)의 오일 유출측 공간(R2)이 된다. 또한, 커버부(16)에 의해 제 3 주 리브(M3), 제 5 주 리브(M5) 및 제 4 보조 리브(S4)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관부(15) 상단부는 상측 분할체(10)의 상단부 근방에 위치한다. 오일 팬(1)이 실린더 블록(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출관부(15)의 토출구(15a)는 실린더 블록(100) 하면으로 개구되는 오일 흡입구멍(도시 생략)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5)의 흡입구멍(5a)(도 4 및 도 6에 점선으로 나타냄)은 요소 고정용 리브(32)의 개방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 분할체(10)의 제 4 주 리브(M4) 및 제 2 보조 리브(S2)와, 하측 분할체(30)의 하측 리브(L1 내지 L5)에 의해, 오일 저장부(4) 내가 메인룸(P)과 서브룸(Z)으로 구획된다. 메인룸(P)은 제 4 주 리브(M4) 및 제 2 보조 리브(S2)와 하측 리브(L1 내지 L5)로 둘러싸인 공간이며, 오일 스트레이너(5)의 흡입구멍(5a)은 메인룸(P) 내에 임하도록 개구된다. 메인룸(P)의 용적은 서브룸(Z)의 용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동일하게 해도 되며, 서브룸(Z) 용적을 메인룸(P) 용적보다 작게 해도 된다.
상측 분할체(10)의 제 1 주 리브(M1), 제 1 보조 리브(S1) 및 제 2 보조 리브(S2)에는, 복귀관(102)으로부터 오일 저장부(4)로 되돌아온 복귀 오일을 메인룸(P)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60)가 배치된다. 도 1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60)는 제 1 주 리브(M1)와 제 2 보조 리브(S2)를 연결하도록 거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관부(61)와, 관부(61) 저벽으로 연속되며 제 1 보조 리브(S1)까지 연장되는 도판부(62)를 구비한다. 관부(61)는 제 1 주 리브(M1) 및 제 2 보조 리브(S2)에 일체 성형된다. 또한, 도판부(62)는 제 1 주 리브(M1) 및 제 1 보조 리브(S1)에 일체 성형된다.
관부(61)는, 복귀 공간(W)으로 유입된 복귀 오일의 거의 전체량을 메인룸(P)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주 오일통로(Q)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관부(61) 좌측 단부는, 제 1 주 리브(M1)와 제 1 보조 리브(S1) 사이의 복귀 공간(W)으로 연통되며, 우측 단부는 메인룸(P)으로 연통된다. 즉 제 1 주 리브(M1)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복귀 공간(W)에 임한 개구부(24)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24)에 관부(61) 좌측 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제 2 보조 리브(S2)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메인룸(P)에 임한 개구부(23)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23)에 관부(61) 우측 단부가 접속된다.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판부(62)는, 제 1 주 리브(M1)와 제 1 보조 리브(S1) 사이의 관통구멍(11)을 폐색함으로써 복귀 오일이 관통구멍(11)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복귀 오일을 관부(61)의 주 오일통로(Q)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60)에 의해, 엔진을 순환한 오일을 직접 오일 스트레이너(5)로 흡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내부(60)에 의해, 제 1 주 리브(M1), 제 1 보조 리브(S1) 및 제 2 보조 리브(S2)가 연결되므로, 높은 강성이 얻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팬(1)을 제조하는 요령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상측 분할체(10), 하측 분할체(30) 및 필터 요소(50)를 얻는다. 그리고 필터 요소(50)를 상측 분할체(10)에 장착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50)의 고리형 돌기부(57)를 커버부(16)의 오목 결합부(16a)에 끼운다. 그 후, 필터 요소(50)의 외주측 돌기부(56)와 커버부(16)의 용착부(16b)를 필터 고정용 리브(32)의 돌기부(32a)에 닿게 한다.
얼마 후, 하측 분할체(30)의 하측 접합부(31)와, 상측 분할체(10)의 상측 접합부(12)를 진동용착법 등으로 용착시킨다. 이때, 필터 요소(50)의 외주측 돌기부(56) 및 커버부(16)의 용착부(16b)를 필터 고정용 리브(32)의 돌기부(32a)에, 마찬가지 방법으로 동시에 용착시킨다. 이로써, 상측 분할체(10)의 제 3 주 리브(M3) 및 제 4 보조 리브(S4)가 하측 분할체(30)의 요소 고정용 리브(32)에 결합되어, 상측 분할체(10) 및 하측 분할체(3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오일 팬(1)을 실린더 블록(100)에 장착할 때는, 볼트 삽입구멍(Bf1 내지 Bf4, Bb1 내지 Bb4, Bl1, Bl2, Br1, Br2)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시킨다. 이로써, 오일 팬(1)의 오일 토출관부(15)가 실린더 블록(100)의 오일 흡입구멍에 접속된다.
그리고 엔진이 시동되어 오일펌프가 작동을 개시하면, 오일 토출관부(15) 내에 음압력이 작용하여, 메인룸(P) 내 오일이 오일 스트레이너(5)의 흡입구멍(5a)으로부터 유입측 공간(R1)으로 흡입된다. 이 유입측 공간(R1) 내 오일은, 필터 요소(50)의 메시부(51)를 통과하여 여과되고 유출측 공간(R2)으로 유입한다. 유출측 공간(R2)의 오일은 토출관부(15)를 상방으로 흐르고, 엔진의 각 부위로 공급된다.
엔진 각 부위를 순환한 오일은, 그 대부분이 복귀관(102)으로부터 오일 팬(1) 오일 저장부(4)의 복귀 공간(W)으로 유입된다. 이 복귀 오일은, 도 17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60)의 도판부(62)에 의해 관부(61)의 좌측 단부로부터 주 오일통로(Q)로 유도된다. 주 오일통로(Q)를 유통한 복귀 오일은 관부(61)의 우측 단부로부터 메인룸(P)으로 흘러 들어간다. 복귀 오일은, 다른 오일에 비해 따뜻해진 상태이며, 이 비교적 따뜻한 오일을 메인룸(P)으로부터 오일 스트레이너(5)로 흡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오일 온도를 빨리 높여 오일 점성을 각 부위의 윤활에 적합한 점성으로 하므로, 엔진의 회전저항이 조기에 억제되고, 그 결과 연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귀 오일은, 도 16에 나타내는 틈새(T1, T2)나, 도 6에 나타내는 틈새(T3)로부터도 메인룸(P)으로 유입해 가지만, 냉간 시에는 오일의 점성이 높으므로, 틈새(T1, T2, T3)로부터의 유입량은 적다. 오일의 점성이 저하됨에 따라, 틈새(T1, T2, T3)로부터의 유입량도 증가된다. 여기서, 틈새(T1, T2, T3)의 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로 할 수 있으며, 동일 크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의 교차점인 점(A 내지 H) 전부가, 평면에서 보아 상측 분할체(10)의 관통구멍(11)과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제 5 주 리브(M5)와 제 9 보조 리브(S9) 사이로 낙하된 오일이나, 제 5 주 리브(M5)와 제 8 보조 리브(S8) 사이로 낙하된 오일을, 관통구멍(11)으로부터 하측 분할체(30) 내로 흐르게 하여, 오일 스트레이너(5)로 흡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는, 오일 저장부(4)의 주벽부(3)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한 부위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오일 저장부(4)의 개방구(6)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강성이 저하되기 쉬운 개방구(6) 근방의 강성을 리브(M1 내지 M5)에 의해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를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에 연속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강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시에 튕겨 올라오는 돌이나 연석(緣石) 등 장애물이 오일 팬(1)에 충돌된 경우에, 오일 팬(1)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엔진 회전 시에는 실린더 블록(100)의 진동이 오일 팬(1)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오일 팬(1)에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벽부(3)나 저벽부(2)의 진동이 억제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들 리브(M1 내지 M5, S1 내지 S9)의 진동도 억제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는 오일 저장부(4)의 개방구(6)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개방구(6) 내를 유효 이용하여 오일 팬(1) 외관에 거의 영향을 주는 일없이,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오일 저장부(4) 내의 리브(M1 내지 M5, S1 내지 S9)에 의해 오일 팬(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저장부(4) 내를 제 4 주 리브(M4) 및 제 2 보조 리브(S2)와, 제 1 내지 제 5 하측 리브(L1 내지 L5)에 의해 메인룸(P)과 서브룸(Z)으로 구획하므로, 다른 부재의 칸막이(oil-pan separator)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부품 점수를 억제하여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저장부(4) 내에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를 설치함으로써, 오일 팬(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저장부(4)로 되돌아온 오일을 메인룸(P)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부(60)를 리브(M1, S1, S2)에 일체로 형성하므로, 안내부(60)를 오일 팬(1)에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 가질 필요 없이, 리브(M1, S1, S2)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안내부(60)를 갖는 오일 팬(1)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주 리브(M1), 제 1 보조 리브(S1) 및 제 2 보조 리브(S2)를 안내부(60)에 의해 서로 연결하므로, 안내부(60)를 이용하여 오일 팬(1) 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오일 팬(1)을 상측 분할체(10)와 하측 분할체(30)로 분할하므로, 상측 분할체(10)와 하측 분할체(30)를 별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오일 팬(1)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일체 성형품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각 분할체(10, 30)를 쉽게 성형할 수 있고, 성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분할체(10)는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에 의해 보강되어 강성이 높아지며, 이 강성이 높아진 상측 분할체(10)의 제 3 주 리브(M3) 및 제 4 보조 리브(S4)를 하측 분할체(30)의 요소 고정용 리브(32)에 결합함으로써 상측 분할체(10)와 하측 분할체(30)를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하측 분할체(30)의 강성도 향상되며, 나아가서는 수지재로서 경량화된 오일 팬(1)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분할체(30)에 요소 고정용 리브(32)를 설치함으로써, 하측 분할체(3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요소 고정용 리브(32)와 상측 분할체(10)를 결합함으로써, 상측 분할체(10)와 하측 분할체(30)를 한층 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5)를 오일 팬(1)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오일 스트레이너(5)의 필터 요소 수납부(17)를 제 3 주 리브(M3), 제 4 보조 리브(S4) 및 요소 고정용 리브(32)로 구성함으로써, 필터 요소 수납부(17)를 다른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가, 오일 저장부(4)의 주벽부(3)의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부위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오일 저장부(4)의 개방구(6)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강성이 저하되기 쉬운 개방구(6) 근방의 강성을 리브(M1 내지 M5)에 의해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오일 팬(1) 각 부위의 진동을 억제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가 오일 저장부(4)의 개방구(6)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므로, 개방구(6) 내를 유효 이용하여 오일 팬(1) 외관에 거의 영향을 주는 일없이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를 효과적으로 설치하여 높은 강성을 얻으면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를 갖는 오일 팬(1)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가 볼트 삽입구멍(Bf2 내지 Bf4, Bb2 내지 Bb4, Bl1, Bl2, Br1, Br2)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므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를 이용하여 볼트 삽입구멍(Bf2 내지 Bf4, Bb2 내지 Bb4, Bl1, Bl2, Br1, Br2) 주위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 삽입구멍(Bf2 내지 Bf4, Bb2 내지 Bb4, Bl1, Bl2, Br1, Br2) 근방을 서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볼트 삽입구멍(Bf2 내지 Bf4, Bb2 내지 Bb4, Bl1, Bl2, Br1, Br2) 근방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볼트 삽입구멍(Bf3, Bb3, Bl1, Bl2, Br1, Br2) 근방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제 4 및 제 5 주 리브(M2, M4, M5)가 서로 교차하므로, 예를 들어 제 2 주 리브(M2)에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 그 힘이 제 4 주 리브(M4) 나 제 5 주 리브(M5)로 분산되게 된다. 이로써, 오일 팬(1)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를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교차시키므로, 주벽부(3) 측방으로부터의 힘에 대해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며,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제 4 및 제 5 주 리브(M1, M4, M5)를, 상측 분할체(10)에서 저벽부(2)를 구성하는 부분에 연속시키므로, 저벽부(2)와 주벽부(3)를 리브(M1, M4, M5)에 의해 연결할 수 있으며, 오일 저장부(4)의 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오일 팬(1)은, 주행 시에 앞쪽으로부터 튕겨 올라오는 돌과 충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주 리브(M1 내지 M3)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충돌로 인한 충격력을 제 1 내지 제 3 주 리브(M1 내지 M3)로 받아,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4 및 제 5 주 리브(M1, M4, M5) 그리고 제 1, 제 3, 제 6, 제 7, 제 8 및 제 9 보조 리브(S1, S3, S6, S7, S8, S9)를, 상측 분할체(10)에서 저벽부(2)를 구성하는 부분에 연속시키므로, 저벽부(2)의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자동차를 잭업(jack up)하는 경우에 오일 팬(1) 저벽부(2)에 잭이 설치되어도, 저벽부(2)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주행 시에 원심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5 하측 리 브(L1 내지 L5)나 제 4 주 리브(M4), 제 2 보조 리브(S2) 등에 의해, 오일 팬(1) 내의 오일 편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오일펌프에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에는 오일을 유통시키기 위한 절개부나 관통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측 분할체(10)와 하측 분할체(30)를 조합하여 오일 팬(1)을 구성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 성형품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의 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보조 리브는 생략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의 두께는 서로 동일 두께로 해도 되며, 달리 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는 만곡시켜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 중, 임의의 리브를 저벽부(2)로 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저벽부(2)로 연속시키는 리브를 이 저벽부(2)에 일체 성형해도 되며, 용착해도 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 및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S1 내지 S9) 중, 임의의 리브를 하측 분할체(30)에 대해 용착하거나 접착함으로써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하측 리브(L1 내지 L5) 중, 임의의 리브를 상측 분할체(10)에 대해 용착하거나 접착함으로써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M1 내지 M5)는, 볼트 삽입구멍(Bf1 내지 Bf4, Bb1 내지 Bb4, Bl1, Bl2, Br1, Br2)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5)를 오일 팬(1)에 일체화시키나, 오일 스트레이너(5)를, 오일 팬(1)과는 다른 부품으로 하여, 오일 팬(1)과는 별도로 엔진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5)를 오일 팬(1)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측 분할체(10)의 제 4 주 리브(M4)와, 하측 분할체(30)의 제 1 내지 제 3 하측 리브(L1 내지 L3)는 용착시키거나 접착시켜도 된다. 또한, 제 2 보조 리브(S2)와 제 5 하측 리브(L5)도 용착시키거나 접착시켜도 된다. 또한, 상측 분할체(10)와, 하측 분할체(30)의 제 4 하측 리브(L4)도 용착시키거나 접착시켜도 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변형예 1과 같이, 제 2 보조 리브(S2) 하단부에 메인룸(P)과 서브룸(Z)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65)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 4 주 리브(M4) 하단부에 메인룸(P)과 서브룸(Z)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멍(66)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 관통구멍(65, 66)은 리브(S2, M4)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변형예 2와 같이, 안내부(60)의 관부(61) 저벽부를 오일 스트레이너(5) 쪽으로 연장시켜, 복귀 오일을 흡입구멍(5a) 근방으로 유입시 키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냉간(冷間) 시동 후에 흡입구멍(5a)으로 흡입되는 오일의 온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변형예 3과 같이, 관부(61)를 생략하여, 제 2 보조 리브(S2)에 형성한 관통구멍(67)과, 도판부(62)로 안내부(60)를 구성해도 된다. 이 관통구멍(67)의 윗 테두리부는 밑 테두리부보다 오일 스트레이너(5)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변형예 4와 같이, 오일 스트레이너(5)를 오일 저장부(4)와는 다른 부품으로 하여, 메인룸(P)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오일 스트레이너(5) 상부에는 토출구(15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흡입관(5c)이 형성된다. 흡입관(5c) 하단부에는 흡입구(도시 생략)가 개구된다. 또한, 오일 스트레이너(5) 주연부에는, 체결구멍을 갖는 장착 플랜지(고정부)(5b, 5b)가 형성된다.
한편, 변형예 4에 관한 오일 저장부(4)의 제 5 주 리브(M5)에는, 오일 스트레이너(5)의 형상에 대응한 절개부(77)가 형성된다. 또한, 이 제 5 주 리브(M5)에는, 한쪽 장착 플랜지(5b)가 체결 고정되는 체결판부(78)가 형성된다. 제 3 주 리브(M3)에는, 다른 쪽 장착 플랜지(5b)가 체결 고정되는 체결판부(79)가 형성된다. 오일 스트레이너(5)는, 장착 플랜지(5b, 5b)를 체결판부(78, 79)에 각각 체결부재(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오일 저장부(4)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오일 스트레이너(5)는,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일없이, 용착이나 접착 등에 의해 오일 저장부(4)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 2 실시예]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오일 팬(1)은, 오일 스트레이너(5)가 별도 부품인 점과, 리브(M1 내지 M4)의 구조가 다른 점이 제 1 실시형태의 오일 팬과 다르며, 그 밖의 부분은 동일하므로, 이하, 제 1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오일 팬(1)에는 제 1 내지 제 4 주 리브(M1 내지 M4)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주 리브(M1, M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 3 및 제 4 주 리브(M3, M4)는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주 리브(M1, M2)의 중간부는 제 3 및 제 4 주 리브(M3, M4)의 중간부와 교차하며, 도 2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리브(M1 내지 M4)가 교차하는 부분은 사각통 모양을 이루며, 이 내부에 메인룸(P)이 구획 형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주 리브(M1 내지 M4) 중, 메인룸(P)을 구획하는 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벽부(70)로 구성된다. 이 돌출벽부(70)는 사각통 모양을 이루며, 하단부는 저벽부(2)에 닿는다. 돌출벽부(70) 하부에는 4개의 절개부(70a, 70a, …)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각 절개부(70a)는 돌출벽부(70)의 밑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메인룸(P)과 서브룸(Z)은 절개부(70a)를 개재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돌축벽부(70)에는 관통구멍이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으나, 오일 팬(1)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보조 리브도 설치된다.
또한, 메인룸(P) 내에는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71)가 배치된다. 플레이트부(71)는 절개부(70a)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며, 주연부가 돌출벽부(70) 내면에 일체화된다. 이 플레이트부(71)가 메인룸(P) 바닥부의 내벽부를 구성하며, 저벽부(2)가 메인룸(P) 바닥부의 외벽부를 구성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메인룸(P)의 바닥부가 플레이트부(71)와 저벽부(2)에 의해 이중구조가 되므로, 단열성이 향상된다. 이로써, 특히 냉간 시에 메인룸(P) 내 오일이 외부의 냉기에 의해 차가워지기 어려워지므로, 메인룸(P) 내 오일의 온도를 빨리 높여 점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도 2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오일 스트레이너(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메인룸(P) 내에 배치된다. 오일 스트레이너(5)의 흡입구는 하단부로 개구되며, 플레이트부(71) 근방에 위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 저장부(4) 내의 제 1 내지 제 4 주 리브(M1 내지 M4) 및 보조 리브에 의해 오일 팬(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저장부(4) 내를 주 리브(M1 내지 M4)에 의해 메인룸(P)과 서브룸(Z)으로 구획하므로, 다른 부재의 칸막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부품 점수를 억제하여 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부(71)와 저벽부(2) 사이에 단열재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실시예에서는 오일 팬(1)을 2개로 분할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으로 분할해도 된다. 또한, 분할방 향은 상하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이라도 된다.
그리고 오일 팬(1)은 일체 성형품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엔진이나 자동 트랜스미션 등 동력 장치의 오일 팬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오일 팬은,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에 장착하는데 적합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오일 팬의 사시도.
도 2는 오일 팬을 차량 뒤쪽에서 본 도면.
도 3은 오일 팬의 우측면도.
도 4는 오일 팬의 평면도.
도 5는 오일 팬의 분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오일 팬의 저면도.
도 8은 하측 분할체의 사시도.
도 9는 하측 분할체의 평면도.
도 10은 상측 분할체의 저면도.
도 11은 하측 분할체의 오른쪽 부분과 필터 요소(element)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오일 스트레이너 근방을 확대한 도 6에 상당한 도면.
도 13은 필터 요소의 평면도.
도 14는 필터 요소를 결합판부 쪽에서 본 도.
도 15는 주 리브 및 보조 리브의 평면도.
도 16은 도 4의 XVI-XVI선의 단면도.
도 17은 도 4의 XVII-XVII선의 단면도.
도 18은 변형예 1에 관한 도 17에 상당한 도면.
도 19는 변형예 2에 관한 도 17에 상당한 도면.
도 20은 변형예 3에 관한 도 17에 상당한 도면.
도 21은 변형예 4에 관한 오일 팬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도 16에 상당한 도면.
도 23은 리브의 돌출벽부 근방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24는 리브의 돌출벽부 근방을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 팬 2 : 저벽부
3 : 주벽부 4 : 오일 저장부
5 : 스트레이너부 6 : 개방구
10 : 상측부재 15a : 토출구
17 : 필터 요소 수납부 30 : 하측 부재
32 : 요소 고정용 리브(제 2 리브) 50 : 필터 요소(element)
M1 내지 M5 : 제 1 내지 제 5 주 리브
S1 내지 S9 : 제 1 내지 제 9 보조 리브
Bf1 내지 Bf4 : 제 1 내지 제 4 앞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
Bb1 내지 Bb4 : 제 1 내지 제 4 뒤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
Br1, Br2 : 제 1, 제 2 오른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
Bl1, Bl2 : 제 1, 제 2 왼쪽 볼트 삽입구멍(체결부)
P : 메인룸 Q : 메인 오일통로
W : 복귀 공간 Z : 서브룸

Claims (17)

  1.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팬에 있어서,
    저벽(底壁)부와, 이 저벽부의 주연(周緣)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周壁)부에 의해 상부에 개방구를 갖도록 형성된 오일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일 저장부는, 상기 저벽부 쪽의 하측 분할체와, 상기 개방구 쪽의 상측 분할체를 일체화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분할체에 설치된 리브가 상기 상측 분할체에 결합되고, 상기 상측 분할체에 설치된 리브가 상기 하측 분할체에 결합되며,
    상기 오일 저장부의 주벽부의 개방구 쪽에는, 상기 오일 팬을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가 상기 주벽부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오일 저장부에는, 상기 체결부 근방끼리를 연결하도록 상기 오일 저장부의 내면으로 연속되고, 또한 평면에서 보아 상기 개방구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리브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리브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가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오일 저장부의 저벽부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수지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팬에 있어서,
    저벽부와, 이 저벽부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어지는 주벽부에 의해 상부에 개방구를 갖도록 형성된 오일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일 저장부 내에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 내는, 상기 리브에 의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배치되는 메인룸(main room)과 서브룸(sub room)으로 구획되며,
    상기 메인룸 내에 배치되는 오일 스트레이너를 구비하며,
    상기 오일 스트레이너는, 필터 요소와, 이 필터 요소를 수납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 요소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필터 요소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요소 수납부는 상기 저벽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공동인 중공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는,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팬은 제 1 분할체와 제 2 분할체를 일체화시켜 구성되며,
    상기 제 1 분할체와 상기 제 2 분할체에 리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분할체의 리브와 상기 제 2 분할체의 리브 사이에는, 메인룸과 서브룸을 연통시키기 위한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130441A 2008-12-26 2009-12-24 오일 팬 KR101576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2952A JP5279484B2 (ja) 2008-12-26 2008-12-26 オイルパン
JPJP-P-2008-332952 2008-12-26
JPJP-P-2009-014228 2009-01-26
JP2009014228A JP5281909B2 (ja) 2009-01-26 2009-01-26 オイルパン
JPJP-P-2009-015467 2009-01-27
JP2009015467A JP5279527B2 (ja) 2009-01-27 2009-01-27 オイルパ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899A KR20100076899A (ko) 2010-07-06
KR101576298B1 true KR101576298B1 (ko) 2015-12-09

Family

ID=4222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441A KR101576298B1 (ko) 2008-12-26 2009-12-24 오일 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43777B2 (ko)
KR (1) KR101576298B1 (ko)
CN (1) CN101769188B (ko)
DE (1) DE102009059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5536A1 (de) * 2010-01-23 2011-07-28 Audi Ag, 85057 Behälter für eine Betriebsflüssigkeit eines Kraftfahrzeugs
FR2961859B1 (fr) * 2010-06-24 2012-07-06 Mecaplast Sa Carter d'huile destine a etre fixe a un bloc moteur
DE102010044403A1 (de) * 2010-09-04 2012-04-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Ölwanne eines Fahrzeugs
FR2970518B1 (fr) * 2011-01-14 2013-01-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arter d'huile de moteur en deux parties avec interfaces de fixation incline
KR101239033B1 (ko) * 2011-06-27 2013-03-07 해양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IN2014DN09420A (ko) 2012-05-22 2015-07-17 Asahi Kasei Chemicals Corp
US20140069940A1 (en) * 2012-09-12 2014-03-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inforced oil pan assembly and method thereof
CN104662267B (zh) * 2012-09-18 2018-04-10 大协西川株式会社 滤油器
BR112015010303B1 (pt) * 2012-11-06 2021-01-12 Nissan Motor Co., Ltd. cárter de óleo para motor de combustão interna
US10012118B2 (en) * 2013-01-31 2018-07-03 Filtran Llc Filter with dual pleat pack
DE102015113000B4 (de) * 2015-08-07 2021-02-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Ölwanne einer Brennkraftmaschine
US10024208B1 (en) * 2016-12-22 2018-07-17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oil equipment
KR102474507B1 (ko) * 2016-12-26 202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씰링부 변형 저감형 엔진 오일팬
KR102406056B1 (ko) * 2017-12-08 202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신속오일웜업형 오일 팬 및 엔진 시스템
CN109252912B (zh) * 2018-09-26 2020-09-2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油底壳及发动机
US10774680B1 (en) 2019-06-11 2020-09-15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sensor for circumferential interior surface of turbomachine casing, and related method
FR3102208B1 (fr) * 2019-10-22 2022-05-06 Renault Sas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E102019133472A1 (de) * 2019-12-09 2021-06-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lüssigkeitswanne und Kraftfahrzeug
DE102020112653A1 (de) * 2020-05-11 2021-11-11 Audi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US11078958B1 (en) 2020-08-24 2021-08-03 Apq Development, Llc Compression limiter
USD921045S1 (en) 2020-08-24 2021-06-01 Apq Development, Llc Oil pick-up assembly
USD916152S1 (en) 2020-08-24 2021-04-13 Apq Development, Llc Compression limiter
US11028741B1 (en) 2020-08-24 2021-06-08 Apq Development, Llc Oil pick-up assembly
US11826682B2 (en) 2021-08-24 2023-11-28 Filtran Llc Flow control elements and flui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E102021128056B3 (de) 2021-10-28 2023-02-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Ölgehäuse und Getriebe mit einem derartigen Ölgehä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793A (ja) * 2007-04-26 2008-11-13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1352C1 (de) * 1985-09-03 1986-10-30 Audi AG, 8070 Ingolstadt OElwanne fuer Brennkraftmaschinen
JPH0413402Y2 (ko) * 1986-04-23 1992-03-27
JPH0533720Y2 (ko) * 1987-04-24 1993-08-26
DE3830966C1 (ko) * 1988-09-12 1989-05-11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De
JPH02264109A (ja) 1989-04-03 1990-10-26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
US4898261A (en) * 1989-04-10 1990-02-06 Brunswick Corporation Water cooled plastic oil pan
JPH04132445A (ja) 1990-09-25 1992-05-06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機器のメッセージ録音再生回路
JP2964754B2 (ja) 1991-12-27 1999-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オイルタンク構造
DE4334858C1 (de) * 1993-10-13 1995-04-20 Vaw Ver Aluminium Werke Ag Ölwann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388556A (en) * 1994-04-08 1995-02-14 Caterpillar Inc.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flexible block and flexible oil pan
JPH0914049A (ja) 1995-06-23 1997-01-14 Isuzu Motors Ltd オイルパン
US5664537A (en) * 1996-09-09 1997-09-09 Caterpillar Inc. Flexible oil pan assembly
DE19818590C2 (de) * 1998-04-25 2000-03-23 Daimler Chrysler Ag Ölwanne
JP4132445B2 (ja) 1999-07-28 2008-08-13 ぺんてる株式会社 バーコード照射用ledの光量調整方法
JP4267256B2 (ja) 2001-07-25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パン構造及びオイルパンセパレータ
JP2006242052A (ja) 2005-03-02 2006-09-14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パン
JP4576273B2 (ja) 2005-03-31 2010-11-04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濾過エレメント内蔵オイルパン
US7240657B2 (en) 2005-06-27 2007-07-1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Lubricating system of engine
JP4546338B2 (ja) 2005-06-28 2010-09-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セミドライサンプ式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5179991B2 (ja) 2008-07-31 2013-04-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793A (ja) * 2007-04-26 2008-11-13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62988A1 (en) 2010-07-01
KR20100076899A (ko) 2010-07-06
CN101769188A (zh) 2010-07-07
DE102009059708A1 (de) 2010-07-01
US8443777B2 (en) 2013-05-21
CN101769188B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298B1 (ko) 오일 팬
EP1498296A2 (en) Heat exchanger support structure of motor vehicle
JP5179871B2 (ja) 変速機のオイルストレーナ
JP5968336B2 (ja) 燃焼機関のオイルパン
JP4775580B2 (ja) 傾斜エンジンのオイルフィルタ取付構造
JP5279527B2 (ja) オイルパン
JP5227821B2 (ja) オイルパン
JP5638655B2 (ja) オイルパン
JP5281910B2 (ja) オイルパン
JP5302069B2 (ja) オイルパン
JP7032456B2 (ja) オイルパン
JP5279484B2 (ja) オイルパン
JP2011231662A (ja) オイルパン
JP2007032410A (ja) オイルパン
JP5703330B2 (ja) オイルパン
JP5281909B2 (ja) オイルパン
JP6998407B2 (ja) オイルパン
US11187183B2 (en) Lower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56386B1 (ko) 배플 플레이트
JP2022144026A (ja) エンジン用吸気装置
JP5297904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及びこれを備える内燃機関
JP2020056319A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