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033B1 -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033B1
KR101239033B1 KR1020110062485A KR20110062485A KR101239033B1 KR 101239033 B1 KR101239033 B1 KR 101239033B1 KR 1020110062485 A KR1020110062485 A KR 1020110062485A KR 20110062485 A KR20110062485 A KR 20110062485A KR 101239033 B1 KR101239033 B1 KR 10123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n
gasket
plastic material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616A (ko
Inventor
이형수
이희관
김연술
이칠성
Original Assignee
해양산업 주식회사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양산업 주식회사,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filed Critical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0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65Shape of casings for other machine parts and purposes, e.g. utilisation purposes, safety
    • F02F7/008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54Fastening to the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62G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91Oilsumps characterised by us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스틸 또는 알루미늄의 재질에서 SMC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적용한 오일 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경우 딥드로잉의 공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이 가지고 있었던 성형상 또는 성형후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오일 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Oil Fan with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스틸 또는 알루미늄의 재질에서 SMC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적용한 오일 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경우 딥드로잉의 공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이 가지고 있었던 성형상 또는 성형후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오일 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오염 감소 및 고연비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각종 규제가 강화되고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는 안전성뿐만 아니라 차체의 경량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유지/향상 시킴과 동시에 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연구들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차체경량화를 위해 자동차, 수지, 금형 업체 등이 기존 스틸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을 수지 및 성형가공기술을 통해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엔진의 윤활과 냉각을 담당하는 엔진오일의 저장소를 오일 팬(oil-pan) 이라고 한다. 즉, 엔진에서 오일 팬은 엔진의 윤활 및 냉각을 돕는 엔진오일을 저장하고 있는 엔진 오일 탱크이다. 엔진 오일 팬은 각 엔진의 윤활부를 순환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오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엔진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상용차 엔진에 사용되는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은 Deep-Drawing 과 부속품의 용접을 통해 제작되며, 이 과정에서 용접불량으로 인한 오일 누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은 진동소음을 감소하기 위해 0.6t 강판 두 겹과 재진소재를 이용해 만든 재진강판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도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딥드로잉을 통해 사각형상의 오일 팬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 공정에서 모서리 부분(101)에서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101)의 라운딩 크기를 다소 크게 주어야 한다. 또한, 오일 저장부의 경우 더욱 깊게 딥드로잉을 수행하여야 하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오일 저장부의 일면에 경사부(102)를 형성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오일 팬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함께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일 팬을 기존의 스틸 또는 알루미늄의 재질에서 SMC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특히, 이 경우 딥드로잉의 공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된 종래의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이 가지고 있었던 성형상 또는 성형후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오일 팬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팬은, 오일이 저장되는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쉘부와, 상기 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엔진 블럭과 체결되어 상기 중공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플랜지(16)를 포함하는 오일 팬이고, 상기 플랜지(16)는, 그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마운팅 홀(12, 3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엔진 블록 체결부(11)와, 상기 엔진 블럭 체결부(11)와 상기 쉘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14)와, 상측에 가스켓(50)이 삽입되는 그루브(40)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는 상기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측면의 일부와 바닥면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격벽(23, 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오일 팬은 상기 그루브(40)에 삽입되는 가스켓(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그루브(4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50)이 삽입 후 상기 그루브(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3)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홀(32)의 일부는 상기 그루브(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스켓(50)에는 상기 마운팅 홀(32)의 일부에 끼워지는 홀마감돌기(5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23, 24)은 챠량의 진행 방향과 수직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 팬은 압축성형공정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마운팅 홀(12)은 상기 상기 압축성형공정 후 상기 엔진 블록 체결부(11)에 드릴링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일 팬을 기존의 스틸 또는 알루미늄의 재질에서 SMC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통하여, 딥드로잉의 공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된 종래의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이 가지고 있었던 성형상 또는 성형후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오일 팬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차량 주행에 따른 오을 유동이 최소화되고, 오일 팬 내부의 체적이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에 사용되는 가스켓.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마운팅 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마운팅 홀과 이에 삽입되는 부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주요한 특징으로 하나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경량소재 및 일체성형이 가능한 복합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오일 팬을 제조하는 것이며, 특히 SMC 재질을 사용하는 성형공법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SMC는 종래의 스틸 재질의 오일 팬의 경량화 및 소음, 진동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대체 소재로 적합하다. SMC는 최종 성형 전 박판 형태의 프리믹스(premix)로 공급되며, 수지(resin)에 강화용 섬유를 함유시킨 복합재료이다. 이는 비교적 높은 생산성, 치수 안정성, 낮은 성형 압력과 경량 등의 장점을 고루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서 SMC 성형을 위해 압축성형 공법을 사용하였다. 압축성형은 일정온도 (140-160℃)의 금형 사이에 SMC 소재를 적재하고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면, 금형의 온도와 압력에 의해 수지의 온도가 상승하여 중점재가 분해되고 점도가 낮아져 캐비티(cavity) 내부로 수지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금형 내 캐비티에 SMC 수지가 충진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촉매의 작용에 의하여 경화반응이 일어나고 수지가 경화되어 제품 성형이 완료된다. 이러한 성형법은 기존 스틸 및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에 비해 초기 개발비가 적게 들고, 성형성이 좋아 비교적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팬은, 오일이 저장되는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쉘부와, 상기 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엔진 블럭과 체결되어 상기 중공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플랜지(16)를 포함하는 오일 팬이고, 상기 플랜지(16)는, 그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마운팅 홀(12, 3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엔진 블록 체결부(11)와, 상기 엔진 블럭 체결부(11)와 상기 쉘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14)와, 상측에 가스켓(50)이 삽입되는 그루브(40)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는 상기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측면의 일부와 바닥면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격벽(23, 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쉘부 및 플랜지의 재질이 SMC 등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쉘부 및 플랜지가 압축성형공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점이다.
쉘부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분되며, 제1 저장부(1), 연결부(2), 제2 저장부(3)이다. 종래의 딥 드로잉 공정을 이용한 금속 재질의 오일 팬과 비교하면, 제1 저장부(1)의 형상이 가장 차이가 크다. 제1 저장부(1)의 전면부(18)을 거의 수직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금속 재질의 오일 팬의 경사진 형상과 구분되며, 이로써 오일의 저장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딥 드로잉 공정을 통하는 경우에는 쉘부의 모서리가 반경이 큰 라운드 형상을 가져야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압축성형을 하게 되면 라운드의 반경을 줄일 수 있어 오일의 저장 용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한 특징은 플랜지의 형상 및 구조이다. 플랜지는 오일 팬을 엔진 블럭과 체결시키는 부분이다. 플랜지의 마운팅 홀(12. 32)에 의해 엔진 블럭과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플랜지에는 이러한 마운팅 홀이 형성된 엔진 블럭 체결부(11. 31)가 복수 개 제공된다. 이는 등간격으로 제공될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마운팅 홀에는 인서트 너트가 삽입되어 엔진 블럭과 체결된다. 다만, 인서트 너트는 마운팅 홀을 구성하는 재질과 열팽창 계수가 유사한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인서트 너트의 형상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의 엔진 블럭 체결부(11)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응력집중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존재하므로 보강 리브(14. 3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리브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팅 홀(12, 32)을 중심으로 양측에 두 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팬은 상기 그루브(40)에 삽입되는 가스켓(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그루브(4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50)이 삽입 후 상기 그루브(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3)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켓은 엔진 블럭과 오일 팬의 체결시 오일 팬 내부의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초기에는 T형 Gasket을 사용하여, 엔진블럭 좌면과 엔진 오일팬과 조립하여 검토해본 결과 여부 좌면의 부족으로 leak가 발생할 위험이 있고, 또한 엔진 오일팬의 마운팅 홀과의 거리도 여유없어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엔진 오일팬의 마운팅 홀에 부싱과 함께 마운팅 볼트가 체결되므로 부싱을 측벽으로 하여 가스켓을 설계하였고, 이 설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T형 Gasket이 아닌 도 7과 같은 I형 Gasket으로 변경하여 적용하였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에 특별한 형상의 돌출부를 두어 본 발명의 오일 팬에 적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일 팬의 측면과 전후면의 마운팅 홀의 형상이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오일 팬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마운팅 홀(32)의 경우에는 그 일부가 가스켓이 삽입되는 그루브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홀(32)의 일부는 상기 그루브(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스켓(50)에는 상기 마운팅 홀(32)의 일부에 끼워지는 홀마감돌기(5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계시, 엔진 블록 마운팅 면과 Gasket Groove의 형상을 접촉의 적절성 및 Gasket 좌면 좌우로의 여유면이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가스켓 좌우로 좌면의 여유가 부족하고 긴 종방향 마운팅 홀과 Gasket Groove와의 간격 역시 부족하여 실링이 부족하여 오일의 Leak가 예상되었다.
또한 엔진블럭과의 마운팅 체결방법을 부싱타입의 마운팅 볼트를 적용함에 따라 마운팅 홀의 크기를 증가시켜 Gasket Groove 형상의 변경이 불가피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일 팬의 전후측의 마운팅 홀의 구조를 변경하였다. 이는 실링면을 그 부분에서 마운팅 홀 주변의 실링면을 증가시켜 누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 맞추어 가스켓의 구조 변경이 필요하면, 이를 위해 홀마감돌기(54)의 형상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격벽(23, 24)은 챠량의 진행 방향과 수직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23, 24)의 형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격벽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차량의 이동시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배유시에 불완전한 배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오일 팬은 압축성형공정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마운팅 홀(12)은 상기 상기 압축성형공정 후 상기 엔진 블록 체결부(11)에 드릴링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성형공정시 마운팅 홀까지 형성하는 금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부위에서 웰드라인의 발생 불가피하며, 이로 인해 아래 마운팅 홀 외곽으로 유리섬유가 충돌하여 경계선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부분이 응력에 의한 취약부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위해서는 유동흐름이 돌아서 만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함께 수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마운팅 홀 막아서 성형한 후 후가공하는 방법으로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지유동에 따라 유리섬유가 이동하면서 유리섬유가 충돌하는 현상을 최소화 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압축성형공정시 엔진 블록 체결부는 막혀져 있도록 성형되고, 이 후에 가공을 통해 마운팅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의 마운팅 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중공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2개의 드레인홀(엔진오일 배유구)(84, 85) 인서트와 측면에 플라스틱(파이프를 조립하는 엔진오일 회수구) 인서트가 더 요구된다. 두 종류의 인서트 너트 모두 성형 후 인서트 외측면과 SMC 소재와 접촉하여 내부기밀을 유지해야 하며, 또한 인서트 너트와 내측에 조립되는 부품과에 기밀을 유지해야 한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SMC소재의 압축성형 중 인서트 너트 외측면으로 소재가 잘 유입되어 기공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고온으로 가열된 금형에 설치했을 때 열팽창이 발생시 SMC 소재와 유사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드레인 홀 인서트 부품은 결합되는 드레인 플러그와의 호환 및 플러그 소재와 유사한 Steel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인서트 부품의 경우 플라스틱 부품과 결합되므로, 나일론 계열 내열 소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너트와 SMC소재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O링을 인서트 너트의 외경면에 삽입하여 성형할 수 있고, O링 투입을 통해 인서트 너트와 SMC 소재 사이에 기밀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Oil-Pan용 SMC소재에 적용되는 VE(Vinyl-ester) 소재의 화학구조도로 열적 기계적 성능을 강화하기위해 이중결합으로 강화되어 있으며, 산소결합의 추가로 인장 및 충격강도를 증가시켰으며, CH3 결합에 의해 내약품성이 강화되는 성질을 보인다.
오일팬용 SMC의 주원료인 VE에 수축률보완 및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저수축제와 탄성율와 수축률보완을 위한 탄산칼슘, 금형으로부터 취출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부이형제, 고온에서 빠른 경화 반응을 위한 경화제를 조성하여 매트릭스 소재를 아래그림과 같이 시트형태로 제조한 후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1 : 엔진 블록 체결부, 12 : 마운팅 홀, 14 : 보강 리브, 23, 24 : 격벽, 40 : 그루브, 50 : 가스켓(gasket)

Claims (5)

  1. 오일이 저장되는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쉘부와, 상기 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엔진 블럭과 체결되어 상기 중공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플랜지(16)와, 상기 플랜지(16)에 삽입되는 가스켓(50)을 포함하는 오일 팬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6)는, 그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마운팅 홀(12, 32)이 형성된 복수 개의 엔진 블록 체결부(11)와, 상기 엔진 블럭 체결부(11)와 상기 쉘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14)와, 상측에 상기 가스켓(50)이 삽입되는 그루브(40)를 포함하고,
    상기 쉘부는 상기 중공 내부를 형성하는 측면의 일부와 바닥면의 일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격벽(23, 24)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그루브(4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50)이 삽입 후 상기 그루브(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3)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료의 오일 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홀(32)의 일부는 상기 그루브(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스켓(50)에는 상기 마운팅 홀(32)의 일부에 끼워지는 홀마감돌기(54)가 제공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오일 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23, 24)은 챠량의 진행 방향과 수직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오일 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팬은 압축성형공정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마운팅 홀(12)은 상기 상기 압축성형공정 후 상기 엔진 블록 체결부(11)에 드릴링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오일 팬.
KR1020110062485A 2011-06-27 2011-06-27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KR10123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85A KR101239033B1 (ko) 2011-06-27 2011-06-27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485A KR101239033B1 (ko) 2011-06-27 2011-06-27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616A KR20130001616A (ko) 2013-01-04
KR101239033B1 true KR101239033B1 (ko) 2013-03-07

Family

ID=4783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485A KR101239033B1 (ko) 2011-06-27 2011-06-27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64743A (zh) * 2015-11-20 2016-04-06 顺达(芜湖)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复合式汽油车发动机油底壳总成
JP7039150B2 (ja) 2020-03-12 2022-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パン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2632B1 (de) * 1997-04-16 2002-06-19 KUNSTSTOFFTECHNIK RIESSELMANN GmbH & Co. KG Ölwanne für Verbrennungsmotoren
KR20100076899A (ko) * 2008-12-26 2010-07-06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오일 팬
JP2010236388A (ja) * 2009-03-30 2010-10-21 Daikyonishikawa Corp オイルパン
KR101004168B1 (ko) * 2002-05-29 2010-12-24 란세스 코포레이션 오일 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2632B1 (de) * 1997-04-16 2002-06-19 KUNSTSTOFFTECHNIK RIESSELMANN GmbH & Co. KG Ölwanne für Verbrennungsmotoren
KR101004168B1 (ko) * 2002-05-29 2010-12-24 란세스 코포레이션 오일 팬
KR20100076899A (ko) * 2008-12-26 2010-07-06 다이쿄니시카와 가부시키가이샤 오일 팬
JP2010236388A (ja) * 2009-03-30 2010-10-21 Daikyonishikawa Corp オイルパ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616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4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components
US5375569A (en) Multi polymer structur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A2801115C (en) Fuel tank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CA2472727C (en) Reinforced structural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054481B (zh) 具有至少一个托架的车架结构、制造方法和机动车车身
US10035416B2 (en) Operating-fluid container
JP2012501265A (ja) ノイズ低減バフルを備えるプラスチック燃料タンク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239033B1 (ko) 플라스틱 재질의 오일 팬
US6860010B2 (en) Method of forming an automotive valve cover with integral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US20140238331A1 (en) Cylinder head cov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703783A (zh) 用于成型机动车聚合材料部件的模具
CN110329060A (zh) 一种燃油箱与尿素箱一体式结构、材料及工艺
JP5899634B2 (ja) 複合構造体
JP2007307809A (ja) 射出成形品
CN1720154A (zh) 控制面板及其制造方法
US20120325578A1 (en) Muffl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JP6318977B2 (ja) 部品結合体の製造方法
US1132546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for a motor vehicle, and structure for reducing sloshing sounds
DE102011111745A1 (de) Steuergehäusemodul und Herstellungsverfahren
JP2006321309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57627B2 (en) Blow-molded radiator fan carrier
CN102947557B (zh) 固定在发动机机体的机油箱
KR100912855B1 (ko) 발포금형
JP2016036956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の内蔵部品の取付構造
JP7249085B2 (ja) 鞍型の樹脂製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