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353B1 -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353B1
KR101238353B1 KR1020090020579A KR20090020579A KR101238353B1 KR 101238353 B1 KR101238353 B1 KR 101238353B1 KR 1020090020579 A KR1020090020579 A KR 1020090020579A KR 20090020579 A KR20090020579 A KR 20090020579A KR 101238353 B1 KR101238353 B1 KR 101238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waste powder
image
tone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157A (ko
Inventor
요지 야마구치
시게오 오노
도모야 이치카와
미호코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2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horizont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1 화상 형성부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2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금지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가능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粉體)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용부를 갖고,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Figure R1020090020579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부, 폐기 분체, 수용부, 반송 기구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WASTE POWDER TRANSPORT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다른 색의 토너를 수용한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닛을 중간 전사 벨트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한, 소위 탠덤 형의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각 화상 형성 유닛의 감광체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너에 의해 제거되어 폐 토너 박스까지 반송된다.
여기에서, 폐 토너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화상 형성 수단의 클리너로 제거된 폐 토너를 수집하는 파이프를 배설(配設)하는 동시에, 파이프 내에 폐 토너를 폐 토너 박스까지 반송하는 나선(螺旋) 모양의 반송 수단을 설치하고, 이 반송 수단의 나선의 피치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크게 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2-6711호 공보
여기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용 색의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 이외에, 상용 색 이외의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별도로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별도로 장착되는 이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의 폐 토너를 폐 토너의 회수로에 대하여 상류 측에서 공급해버리면, 이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었을 경우와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 하류 측에서의 폐 토너의 양이 변동해버린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1 화상 형성부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2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금지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가능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용부를 갖고,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는 옐로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Y색 화상 형성 유닛, 마젠타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M색 화상 형성 유닛, 시안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C색 화상 형성 유닛 및 검정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K색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 이외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을 기록재(記錄材)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기록재에 대하여 광택을 부여하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상기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전사체에 전사된 토너 상이 상기 전사체로부터 상기 기록재에 전사될 때의 전사 성능을 향상시키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3 화상 형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상기 제 3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3 수용부를 더 갖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되는 폐기 분체가 상기 제 3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되는 폐기 분체보다도 많아질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을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를 갖고,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기 분체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전사된 이들의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는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반송로와는 다른 반송로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로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를 갖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이 전사되는 동시에 전사된 이들의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반송로는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전사체용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와 상기 전사체용 수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 내의 상기 폐기 분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갖고, 상기 반송로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 내의 상기 폐기 분체를 상기 배출부에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 및 상기 전사체용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상기 배출부에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전사된 이들의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전사체용 수용부와, 상기 반송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 내의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상기 폐기 분체를 낙하시켜서 상기 제 1 수용부에 반송하는 제 1 낙하 반송로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상기 폐기 분체를 낙하시켜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반송하는 제 2 낙하 반송로와,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를 낙하시켜서 상기 전사체용 수용부에 반송하는 제 3 낙하 반송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낙하 반송로에서의 상기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는, 상기 제 1 낙하 반송로에서의 상기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 및 상기 제 2 낙하 반송로에서의 상기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1 화상 형성부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2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용부를 갖고,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제 2 수용부를 상기 제 1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箇所)의 폐기 분체의 양을, 제 2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가 제 1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보다도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위치할 경우에 비하여,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Y색 화상 형성 유닛, M색 화상 형성 유닛, C색 화상 형성 유닛, K색 화상 형성 유닛으로부터의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의 폐기 분체의 양을,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기록재로의 광택의 부여에 따라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다량의 폐기 분체가 생기는 경우에도,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의 폐기 분체의 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토너 상의 전사 성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다량의 폐기 분체가 생기는 경우에도,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의 폐기 분체의 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 3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의 반송 수단에의 수용이 제한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예를 들면 폐 토너의 막힘 등을 제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반송 부재 및 이 반송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원 등을 삭감 가능하게 되어, 화상 형성 장치를 보다 저렴하게 구성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 1 낙하 반송로에서의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보다도 제 3 낙하 반송로에서의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 쪽이 긴 경우에 비하여, 폐기 분체의 막힘 등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하면,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의 폐기 분체의 양을, 제 2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가 제 1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폐기 분체가 반송 수단에 받아들여지는 개소보다도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안정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는 급지 유닛(1A)과, 화상 형성 유닛(1B)과, 배지 유닛(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 유닛(1A)은 기록재의 일례로서의 용지를 수용하는 제 1 용지 수용부(11)∼제 4 용지 수용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용지 수용부(11)∼제 4 용지 수용부(14)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용지 수용부에 수용된 용지를 화상 형성 유닛(1B)에 접속된 반송 경로에 송출하는 송출 롤(sending roll)(15∼18)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1B)은 소위 탠덤 형이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1), 예를 들면 화상 판독 장치(4)나 퍼스널 컴퓨터(PC)(5)에 접속되어, 이들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리는 동시에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UI(User Interface)(23)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6개의 화상 형성 유닛(30T, 30P, 30Y, 30M, 30C, 30K)(이하, 단지 「화상 형성 유닛(30)」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장착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30)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31), 감광체 드럼(31)의 표면을 일정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32), 감광체 드럼(31)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33), 감광체 드럼(31) 표면의 미전사 토너 등을 제거하는 드럼 클리너(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T, 30P, 30Y, 30M, 30C, 30K) 각각의 감광체 드럼(31)을 레이저광으로 주사 노광하는 레이저 노광 장치(2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화상 형성 유닛(토너 상 형성 유닛)(30)은 현상기(33)에 수납된 토너를 제외하고,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의 각각에서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검정(K)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의 각각은, 옐로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Y색 토너 상 형성 유닛(Y색 화상 형성 유닛), 마젠타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M색 토너 상 형성 유닛(M색 화상 형성 유닛), 시안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C색 토너 상 형성 유닛(C색 화상 형성 유닛), 검정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K색 토너 상 형성 유닛(K색 화상 형성 유닛)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30Y)이 장착되어 있는 개소를 제 1 화상 형성부로서 파악될 수 있다.
그런데, 상용 색(통상 색)인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의 4색에 더해, 이 4색으로는 표현이 곤란 또는 불가능했던 특색(特色) 등의 화상 형성 재료를 이용하여,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사용자 전용의 코퍼레이트 컬러(corporate color)의 토너, 점자용의 발포 토너, 형광색 토너,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클리어(clear) 토너), 강자성 토너, 또는 적외선 영역에 감도를 갖는 불가시(不可視) 토너 등을 이용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의 토너의 용지에 대한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 토너와는 별도로 전사성을 향상시키는 토너를 더 중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유닛(1B)에서는, 상비의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 더하여 특색 등의 화상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41)(후술)의 이동 방향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향하여, 화상 형성 유닛(30T, 30P, 30Y, 30M, 30C, 30K)의 순으로 각 화상 형성 유닛(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30)은 착탈 가능(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21)는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요구된 화상 형성 처리가 곤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에 의한 화상 형성을 금지한다. 한편, 제어부(21)는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용 색에 대해서의 화상 형성은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에 의한 화상 형성은 금지하지 않는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 의한 화상 형성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유닛(30P)이 장착되어 있는 개소를 제 2 화상 형성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T)이 장착되어 있는 개소를 제 3 화상 형성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는 각 화상 형성 유닛(30)의 감광체 드럼(31)에서 형성된 각색의 토너 상이 다중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41)(전사체, 전사 수단의 일례), 각 화상 형성 유닛(30)의 각색 토너 상을 1차 전사부(T1)에서 중간 전사 벨트(41)에 순차적으로 전사(1차 전사)시키는 1차 전사 롤(42), 중간 전사 벨트(41) 상에 전사된 중첩 토너 상을 2차 전사부(T2)에서 용지에 일괄 전사(2차 전사)시키는 2차 전사 롤(40), 중간 전사 벨트(41) 표면의 미전사 토너 등을 제거하는 벨트 클리너(45), 2차 전사된 화상을 용지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기(8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수단의 일례로서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20)는 제어부(21)로부터 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한다. 우선, 화상 판독 장치(4)나 PC(5)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22)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레이저 노광 장치(26)에 공급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마젠타(M)의 화상 형성 유닛(30M)에서는, 대전 롤(32)에 의해 감광체 드럼(31)의 표면이 미리 정해진 전위로 일정하게 대전된 후, 레이저 노광 장치(26)에 의해 화상 처리부(22)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서 변조된 레이저광이 감광체 드럼(31)에 주사 노광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 드럼(31) 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기(33)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체 드럼(31) 상에는 마젠타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같은 방법으로 하여, 화상 형성 유닛(30Y, 30C, 30K)에서 옐로, 시안, 검정의 토너 상이 형성되고, 화상 형성 유닛(30T, 30P)에서 특색 등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각 화상 형성 유닛(30)에서 형성된 각색 토너 상은, 도 1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41) 상에, 1차 전사 롤(42)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전전사(1차 전사)되어, 중간 전사 벨트(41) 상에 중첩된 토너 상이 형성된다. 한편, 1차 전사시에 감광체 드럼(31) 상에 잔류한 미전사 토너 등은, 1차 전사 롤(42)의 하류 측에 설치된 드럼 클리너(34)에 의해 제거된다. 드럼 클리너(34)는 감광체 드럼(31)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제거한 미전사 토너 등을 화상 형성 유닛(1B)의 리어측(배부(背部) 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3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부재(341)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1B)의 리어측에 반송된 미전사 토너 등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유닛(1B)의 리어측에 설치된 반송 기구(100)에 의해, 배지 유닛(1C)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수용 용기(210) 또는 제 2 수용 용기(220)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용 용기(210) 및 제 2 수용 용기(220)의 2개의 수용 용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한쪽의 수용 용기가 가득찼을 때에 다른 쪽의 수용 용기에 미전사 토너 등을 반송하는 것으로, 화상 형성 동작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대용량의 하나의 수용 용기에 미전사 토너 등을 수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미전사 토너 등이 수용된 수용 용기를 떼어낼 때의 수용 용기의 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용 용기(210)의 검지를 행하는 제 1 센서(S1), 제 2 수용 용기(220)의 검지를 행하는 제 2 센서(S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용 용기(210)의 상부까지 미전사 토너 등이 도달했을 경우(제 1 수용 용기(210)가 미전사 토너 등에 의해 가득찼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센서(S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용 용기(220)의 상부까지 미전사 토너 등이 도달했을 경우(제 2 수용 용기(220)가 미전사 토너 등에 의해 가득찼을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제 4 센서(S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 유닛(1C)에 제 1 수용 용기(210) 및 제 2 수용 용기(220)가 설치되어 있지만, 화상 형성 유닛(1B)에 이들을 설치하여도 좋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41) 상에 형성된 중첩 토너 상은, 중간 전사 벨트(41)의 이동에 따라 2차 전사 롤(40)과 백업롤(49)이 배설된 2차 전사부(T2)를 향해서 반송된다. 한편, 용지는 예를 들면 송출 롤(15)에 의해 제 1 용지 수용부(11)로부터 꺼내어져 반송 경로를 경유한 후, 레지스트 롤(74)의 위치까지 반송된다.
중첩 토너 상이 2차 전사부(T2)에 반송되면, 그 타이밍에 맞춰서 레지스트 롤(74)로부터 2차 전사부(T2)에 용지가 공급된다. 그리고, 2차 전사부(T2)에서 2차 전사 롤(40)과 백업롤(49)과의 사이에 형성된 전사 전계의 작용에 의해, 중첩 토너 상은 용지 상에 일괄하여 정전전사(2차 전사)된다.
그후, 중첩 토너 상이 정전전사된 용지는 중간 전사 벨트(41)로부터 박리되어, 정착기(80)까지 반송된다. 정착기(80)에 반송된 용지상의 미정착 토너 상은, 정착기(80)에 의해 열 및 압력에 의한 정착 처리를 받는 것으로 용지 상에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배지 유닛(1C)에 설치된 컬(curl) 보정부(81)를 경유한 후, 도시하지 않은 배지 적재부에 반송된다.
한편,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41) 표면에 잔류한 미전사 토너 등은, 2차 전사의 종료 후에 중간 전사 벨트(41)에 접촉 배치된 벨트 클리너(45)에 의해 제거된다. 벨트 클리너(45)는 화상 형성 유닛(1B)의 프론트 측으로부터 리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제거한 미전사 토너 등을 화상 형성 유닛(1B)의 리어측에 반송하는 반송 부재(45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부재(451)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1B)의 리어측에 반송된 미전사 토너 등은, 반송 기구(100)에 의해, 제 1 수용 용기(210) 또는 제 2 수용 용기(220)에 반송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 드럼 클리너(34) 및 벨트 클리너(45)로부터 반송 기구(100)로 반송되는 미전사 토너 등을 폐 토너라 칭한다.
이어서, 반송 기구(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반송 기구(100)를 화상 형성 장치(1)의 리어측으로부터 도시한 것이 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기구(100)는 각 화상 형성 유닛(30)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드럼 클리너(34)로부터의 폐 토너(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기구(110)를 구비한다. 또한, 벨트 클리너(45)로부터의 폐 토너(반송 부재(451)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폐기 분체))가 배출되는 배출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반송 기구(11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 및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어 온(낙하하여 온) 폐 토너를 반송(회수)하는 제 2 반송 기구(120), 제 2 반송 기구(1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3 반송 기구(130), 제 3 반송 기구(13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4 반송 기구(140), 제 4 반송 기구(14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제 1 수용 용기(210) 또는 제 2 수용 용기(220)에 반송하는 제 5 반송 기구(15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반송 기구(110)는 드럼 클리너(34)에 설치된 반송 부재(341)(도 1 참조)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관상(管狀) 부재(111), 관상 부재(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상 부재(111)를 따라 진퇴(進退)하여 관상 부재(111)의 내벽면에 부착되는 폐 토너를 떨어뜨리는 브레이킹 부재(breaking member)의 일례인 코일 스프링(112), 반송 부재(341)를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112)의 진퇴를 행하는 제 1 모터(M1)를 구비한다.
관상 부재(111)는 상하 방향(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부재(341)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는, 이 관상 부재(111)의 내부를 낙하 해 간다.
코일 스프링(112)은 선재(線材)로 형성되고, 또한 나선 모양(코일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부언하면, 후술하는 반송 부재(122)(도 4 참조)와 같이 회전축(122A)을 갖고 있지 않아, 그 중심부를 폐 토너가 통과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언하면, 관상 부재(111)에서의 폐 토너의 낙하를 허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112)은 제 1 모터(M1)에 의해 관상 부재(111)의 내부에서 진퇴하여, 관상 부재(111)의 내부에서 굳어진 폐 토너를 떨어뜨리거나, 관상 부재(111)의 내벽으로부터 폐 토너를 제거한다.
반송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 2 반송 기구(120)는, 화상 형성 유닛(30T, 30P, 30Y, 30M, 30C, 30K)의 배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관상 부재(111) 및 배출부(170)에 접속되어, 폐 토너의 반송 경로(폐 토너의 회수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각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 및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22), 반송 부재(122)를 회전 구동하는 제 2 모터(M2)를 구비하고 있다.
관상 부재(121)는 각 관상 부재(111)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복수의 수용부(유닛용 수용부)와,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용부(전사체용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관상 부재(111)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용부와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용부와의 사이에, 관상 부재(121) 내부의 폐 토너를 제 3 반송 기구(130)로 배출하는 배출부로서의 배출구(121A)(후술, 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예를 들면 제 1 반송 기구(110Y)(상세한 것은 후술)에서의 관상 부재(111)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제 1 수용부로서 파악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제 1 반송 기구(110P)(상세한 것은 후술)에서의 관상 부재(111)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제 2 수용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제 1 반송 기구(110T)(상세한 것은 후술)에서의 관상 부재(111)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수용부를 제 3 수용부로서 파악할 수 있다.
제 3 반송 기구(130)는 상하 방향(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관상 부재(121)에 접속되어, 폐 토너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관상 부재(131)를 따라 진퇴 가능한 코일 스프링(132), 코일 스프링(132)의 진퇴를 행하는 제 3 모터(M3)를 구비한다. 또한, 관상 부재(131)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경로는, 관상 부재(121)에 의해 형성되는 폐 토너의 반송로로부터 배출된 폐 토너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로서 파악할 수 있다.
관상 부재(131)는 상하 방향(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반송 기구(1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폐 토너는 이 관상 부재(131)의 내부를 낙하해 간다.
코일 스프링(132)은 상기 코일 스프링(112)과 마찬가지로, 선재로 형성되고 또한 나선 모양(코일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부언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회 전축을 갖고 있지 않아, 그 중심부를 폐 토너가 통과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언하면, 관상 부재(131)에서의 폐 토너의 낙하를 허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132)은 제 3 모터(M3)에 의해 관상 부재(131)의 내부에서 진퇴하여, 관상 부재(131)에서 굳어진 폐 토너를 떨어뜨리거나, 관상 부재(131)의 내벽으로부터 폐 토너를 제거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132)의 진퇴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은 코일 스프링(132)을 진퇴시키는 진퇴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반송 기구(130)에는 제 3 모터(M3)(도 2 참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133), 일단부가 회전 부재(133)에 부착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132)의 상단부가 부착된 구동 부재(1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 부재(134)는 크랭크(crank)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모터(M3)가 구동됐을 때, 코일 스프링(132)이 부착된 피부착부가 회전 부재(133)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偏心)된 위치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3 모터(M3)가 구동되면, 코일 스프링(132)은 구동 부재(134)에 의해 관상 부재(131)를 따라 진퇴한다(화살표 D 참조).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 1 반송 기구(110)에서의 코일 스프링(112)(도 2 참조)도 본 도면에서 도시한 기구와 같은 기구에 의해 진퇴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반송 기구(10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제 4 반송 기구(140)는 제 3 반송 기구(130)에서의 관상 부재(131)와 교차하는 관계(직교하는 관계)로 배치되어, 부언하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폐 토너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제 4 반송 기구(140)는 관상 부재(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 3 반송 기구(13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4 반송 기구(140)는 이 반송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제 4 모터(M4)를 구비하고 있다.
제 5 반송 기구(150)는 제 4 반송 기구(140)에서의 관상 부재(141)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관상 부재(141)와 평행하게 되는 관계로 배치되어, 폐 토너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5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 4 반송 기구(14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52), 반송 부재(152)를 회전 구동하는 제 5 모터(M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5 반송 기구(150)는 제 4 반송 기구(140)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제 1 수용 용기(210) 또는 제 2 수용 용기(220)에 반송한다.
여기에서, 도 4는 제 2 반송 기구(12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반송 기구(120)는 폐 토너의 반송 경로를 형성하는 관상 부재(1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상 부재(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각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 및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어 온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122)를 구비하고 있다.
관상 부재(121)는 그 하부에 반송 부재(122)에 의해 각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 및 배출부(170)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를 제 3 반송 기구(130)에 배출하는 배출구(121A)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부재(122)는 제 2 모터(M2)(도 2 참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22A)과, 회전축(122A)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돌출부(122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122B)는 회전축(122A)의 주위에 날개 모양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축(122A)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스크류(screw)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121A)보다도 제 1 반송 기구(110) 측에서의 돌출부(122B)와, 배출구(121A)보다도 배출부(170) 측에서의 돌출부(122B)는 형성 방향(선회(旋回) 방향)이 다르다. 배출구(121A)보다도 제 1 반송 기구(110) 측에서의 돌출부(122B)는, 제 1 반송 기구(110) 측을 향해서 좌권(左卷)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121A)보다도 배출부(170) 측에서의 돌출부(122B)는, 제 1 반송 기구(110) 측을 향하여 우권(右卷)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부(170)로부터 배출구(121A)로의 폐 토너의 반송 및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배출구(121A)로의 폐 토너의 반송을 단일의(공통의) 반송 부재(122)로 행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반송 기구(100)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색 등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30T, 30P)에 대응한 제 1 반송 기구(110)(도면 중 부호 110T, 110P로 표시)가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 대응한 각 제 1 반송 기구(110)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하 화상 형성 유닛(30T, 30P, 30Y, 30M, 30C, 30K)에 대응한 각 제 1 반송 기구(110)를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 제 1 반송 기구(110Y), 제 1 반송 기구(110M), 제 1 반송 기구(110C), 제 1 반송 기 구(110K)라 칭한다.
더 설명을 하면, 제 2 반송 기구(120)의 관상 부재(121)(회수로)에 대하여,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제 1 반송 기구(110Y), 제 1 반송 기구(110M), 제 1 반송 기구(110C), 제 1 반송 기구(110K)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제 1 반송 기구(110)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대하여,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제 1 반송 기구(110Y), 제 1 반송 기구(110M), 제 1 반송 기구(110C), 제 1 반송 기구(110K)(이하, 「제 1 반송 기구(110Y) 등」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대하여,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를 접속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에 대응한 화상 형성 유닛(30T, 30P)에서는, 예를 들면 용지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클리어 토너)를 사용하여 용지와 동등한 면적을 갖는 토너 상(베타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의 토너 상의 용지에 대한 전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옐로 등의 토너 상의 중간 전사 벨트(41)로부터의 박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사 성능을 향상시키는 토너를 사용하는 동시에 용지와 동등한 면적을 갖고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의 토너 상의 바탕이 되는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즉,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에 대응한 화상 형성 유닛(30T, 30P)에서는, 폐 토너의 양이 많아질 수 있는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 다.
이 때문에, 제 1 반송 기구(110Y) 등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대하여,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를 접속했을 경우, 제 1 반송 기구(110Y) 등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다량의 폐 토너가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 반면,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반송 기구(110Y) 등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는 폐 토너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반송 기구(110Y), 제 1 반송 기구(110M), 제 1 반송 기구(110C), 제 1 반송 기구(110K)로부터 관상 부재(121)로 폐 토너가 배출되는 개소의 폐 토너의 양이 증대하는 경우가 있고,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배출되는 개소의 폐 토너의 양은 감소한다. 부언하면,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장착되었을 경우와 장착되지 않은 경우로, 상기 배출되는 개소의 폐 토너의 양이 변동한다.
또한, 제 1 반송 기구(110Y) 등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대하여,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를 접속하고, 관상 부재(121)에 다량의 폐 토너가 배출되는 경우, 제 1 반송 기구(110Y), 제 1 반송 기구(110M), 제 1 반송 기구(110C), 제 1 반송 기구(110K)로부터 관상 부재(121)로의 폐 토너의 배출이 제한되는 우려가 있다. 부언하면, 화상 형성 유닛(30T, 30P)과 같이 폐 토너가 많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화상 형성 유닛(30)에 대응한 제 1 반송 기구(110)를, 폐 토너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접속하면, 이 제 1 반송 기구(110T, 110P)보다도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제 1 반송 기구(110Y, 110M, 110C, 110K)에서의 폐 토너의 배출이 제한될 우려가 있다. 이 배출의 제한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반송 부재(122)의 회전수를 증대시키거나 하여, 제 2 반송 기구(120)의 반송 능력을 높이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화상 형성 유닛(30T, 30P)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능력을 갖는 반송 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된다. 또한, 사용 빈도가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보다도 낮은 화상 형성 유닛(30T, 30P)에 대응시켜서 반송 능력을 높이거나 하는 것은 비용 등의 관점으로부터 적당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반송 기구(110Y), 제 1 반송 기구(110M), 제 1 반송 기구(110C), 제 1 반송 기구(110K)보다도 폐 토너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서, 관상 부재(121)에 대하여, 제 1 반송 기구(110T), 제 1 반송 기구(110P)를 접속하고 있다.
이렇게,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이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토너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 등에서는 폐 토너의 양이 많아져서,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제 1 반송 기구(110)에서의 폐 토너의 배출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이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토너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과 같이 폐 토너의 양이 많아질 수 있는 화상 형성 유닛(30)은, 폐 토너의 반송 방향의 최하류 측에서 폐 토너를 배출하는 제 1 반송 기구(110)에 대응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반송 기구(110T)에 대응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광 택을 향상시키는 토너 등을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은, 도 1에서의 화상 형성 유닛(30T)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제 1 반송 기구(110T)에 대응한 위치가 아닌 제 1 반송 기구(110P)에 대응한 위치에,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 등을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이 장착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화상 형성 개시 지시를 접수했다고 하여도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부언하면, 제 1 반송 기구(110P)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폐 토너의 양이 제 1 반송 기구(110T)로부터 반송되어 온 폐 토너의 양보다도 많아질 경우, 화상 형성 개시 지시를 접수했다고 하여도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UI(23)(도 1 참조)에, 화상 형성 유닛(30)의 위치 변경 지시(제 1 반송 기구(110P)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제 1 반송 기구(110T)에 대응한 위치로의 화상 형성 유닛(30)의 위치 변경 지시)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반송 기구(110P)에 대응한 위치에, 광택을 향상시키는 토너 등을 갖는 화상 형성 유닛(30)이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유닛(30)에 부착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배출되어 배출구(121A)로 반송되는 폐 토너에 합류시키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121A)보다도 좌측 방향에서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고, 배출구(121A)보다 우측 방향에서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의 폐 토너를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부언하면, 제 3 반송 기구(130)에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경로가,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제 3 반송 기구(130)에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1 반송 경로와, 배출부(170)로부터 제 3 반송 기구(130)에 폐 토너를 반송하는 제 2 반송 경로로 나뉘어, 별도의 경로로 되어 있다. 더 부언하면,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는,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제 3 반송 기구(130)에 폐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로와는 다른 반송로에 의해, 제 3 반송 기구(130)에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출부(170)에 대해서는 벨트 클리너(45)로부터 폐 토너가 반송되어 오기 때문에,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는 폐 토너의 양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의 폐 토너에 합류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려고 하면, 예를 들면 관상 부재(121)의 지름이 커져 버리거나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의 폐 토너에 합류시키는 구성의 경우, 예를 들면 관상 부재(121)의 내부에서 폐 토너의 막힘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부(170)로부터의 폐 토너를 제 1 반송 기구(110)로부터 배출되는 폐 토너에 대하여 합류시키지 않고 제 3 반송 기구(130)로 직접 반송하는 형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부(170)로부터 제 2 반송 기구(120)의 관상 부재(121)로 낙하하는 폐 토너의 낙하 거리(도 2의 H 참조)를, 제 1 반송 기구(110)에서 폐 토너가 낙하하는 낙하 거리보다도 짧은 것으로 하고 있다. 부언하면, 배출부(170)의 관상 부재(121)로부터의 높이를, 제 1 반송 기구(110)에서의 폐 토너 의 배출부(반송 부재(341)(도 1 참조)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폐 토너의 배출부)의 관상 부재(121)로부터의 높이보다도 작은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는 폐 토너의 양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배출부(170)의 하방에는 제 1 반송 기구(110)의 코일 스프링(112)과 같은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배출부(170)의 하부에서 폐 토너의 막힘 등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부(170)로부터 관상 부재(121)로 낙하하는 폐 토너의 낙하 거리를 더 작은 것으로 하고 있다. 부언하면, 관상 부재(121)에서의 반송 부재(122)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출부(170)를 배치하고, 폐 토너의 막힘 등이 회전 구동하는 반송 부재(122)에 의해 방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제 1 반송 기구(110Y)의 관상 부재(111)에 의해 형성되는 폐 토너의 반송로를 제 1 낙하 반송로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반송 기구(110P)의 관상 부재(111)에 의해 형성되는 폐 토너의 반송로를 제 2 낙하 반송로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70)로부터 관상 부재(121)로의 폐 토너의 반송로를 제 3 낙하 반송로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반송 기구를 화상 형성 장치의 리어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도 3은 코일 스프링을 진퇴시키는 진퇴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 2 반송 기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어부
30T, 30P, 30Y, 30M, 30C, 30K : 화상 형성 유닛
41 : 중간 전사 벨트
120 : 제 2 반송 기구
121 : 관상 부재
121A : 배출구
122 : 반송 부재
131 : 관상 부재

Claims (9)

  1.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1 화상 형성부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2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금지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가능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粉體)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용부를 갖고,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는 옐로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Y색 화상 형성 유닛, 마젠타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M색 화상 형성 유닛, 시안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C색 화상 형성 유닛 및 검정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K색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옐로, 마젠타, 시안, 검정 이외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을 기록재(記錄材)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기록재에 대하여 광택을 부여하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상기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되어 상기 전사체에 전사된 토너 상이, 상기 전사체로부터 상기 기록재에 전사될 때의 전사 성능을 향상시키는 토너 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 는 제 3 화상 형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2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상기 제 3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3 수용부를 더 갖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되는 폐기 분체가 상기 제 3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되는 폐기 분체보다도 많아질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을 금지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를 갖고,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기 분체가 반송되는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전사된 이들의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는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반송로와는 다른 반송로에 의해 상기 제 2 반송로에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를 갖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전사된 이들의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반송로는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전사체용 수용부와, 상기 제 2 수용부와 상기 전사체용 수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 내의 상기 폐기 분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더 갖고,
    상기 반송로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 내의 상기 폐기 분체를 상기 배출부에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갖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 및 상기 전사체용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상기 배출부에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동시에 전사된 이들의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 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송 수단은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에 이용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전사체용 수용부와, 상기 반송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송로 내의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상기 폐기 분체를 낙하시켜서 상기 제 1 수용부에 반송하는 제 1 낙하 반송로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로부터의 상기 폐기 분체를 낙하시켜서 상기 제 2 수용부에 반송하는 제 2 낙하 반송로와,
    상기 전사체로부터의 폐기 분체를 낙하시켜서 상기 전사체용 수용부에 반송하는 제 3 낙하 반송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낙하 반송로에서의 상기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는, 상기 제 1 낙하 반송로에서의 상기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 및 상기 제 2 낙하 반송로에서의 상기 폐기 분체의 낙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1 화상 형성부와, 장착된 화상 형성 유닛을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제 2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서 폐기된 폐기 분체를 받아들이는 제 2 수용부를 갖고, 받아들인 상기 폐기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 치에서의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 및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상 형성부에 의한 토너 상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반송 수단의 상기 제 2 수용부를, 상기 제 1 수용부보다도 상기 폐기 분체의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KR1020090020579A 2008-09-29 2009-03-11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KR101238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1804A JP2010085485A (ja) 2008-09-29 2008-09-29 画像形成装置
JPJP-P-2008-251804 200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57A KR20100036157A (ko) 2010-04-07
KR101238353B1 true KR101238353B1 (ko) 2013-02-28

Family

ID=4155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579A KR101238353B1 (ko) 2008-09-29 2009-03-11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31165B2 (ko)
EP (1) EP2169470A3 (ko)
JP (1) JP2010085485A (ko)
KR (1) KR101238353B1 (ko)
CN (1) CN101713955B (ko)
AU (1) AU200920071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733B2 (ja) * 2006-09-25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0008606A (ja) * 2008-06-25 2010-01-14 Fuji Xerox Co Ltd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52891B2 (ja) * 2008-09-26 2011-08-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39695B2 (ja) * 2008-09-29 2013-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43183B2 (ja) * 2010-03-17 2015-07-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644389B2 (ja) * 2010-11-08 2014-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195855A (ja) * 2012-03-21 2013-09-30 Casio Electronics Co Ltd 廃トナー搬送ユニット
JP6094336B2 (ja) * 2013-04-03 2017-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56739B2 (ja) * 2013-09-17 2017-07-05 株式会社リコー 不要トナー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5180976A (ja) * 2015-07-17 2015-10-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トナー搬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624448B2 (ja) * 2016-03-08 2019-12-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84307B2 (ja) * 2020-03-27 2024-05-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回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053A (ja) * 1996-01-29 1997-08-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回収装置
JP2003162125A (ja) * 2001-11-26 2003-06-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281A (ja) 1988-10-28 1990-05-07 Nec Corp 固体レーザ装置
JPH02119281U (ko) * 1989-03-02 1990-09-26
JP2856785B2 (ja) * 1989-10-27 1999-02-10 株式会社東芝 現像剤搬送装置
JPH09269641A (ja) * 1996-03-29 1997-10-14 Fujitsu Ltd 現像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342327B2 (ja) * 1996-11-21 2002-11-05 京セラ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10866A (ja) * 1997-03-21 1998-01-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N1143180C (zh) * 1997-05-23 2004-03-24 富士施乐株式会社 显影设备及使用该显影设备的成像设备
JP2000035703A (ja) * 1998-07-17 2000-02-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029018A (en) * 1998-09-10 2000-02-22 Tektronix, Inc. Color capabl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3966639B2 (ja) * 1999-03-31 2007-08-2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記録装置
JP2002006711A (ja) * 2000-06-23 2002-01-1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236392A (ja) * 2001-02-09 2002-08-2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US6678493B2 (en) * 2001-11-29 2004-01-13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belt module to efficiently accommodate additional image forming unit
JP2003173060A (ja) * 2001-12-06 2003-06-20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5055483A (ja) * 2003-08-04 2005-03-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058348B2 (en) * 2004-04-30 2006-06-06 Eastman Kodak Company Producing an enhanced gloss toner image on a substrate
JP2006091457A (ja) * 2004-09-24 2006-04-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750403B2 (ja) * 2004-11-12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263938A (ja) * 2005-03-22 2006-10-05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画像処理装置、印刷方法、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789534B2 (ja) * 2005-07-29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49518B2 (ja) * 2005-12-02 2012-0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779667B2 (ja) * 2006-01-24 2011-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廃トナー収容容器
JP2008112087A (ja) * 2006-10-31 2008-05-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2053A (ja) * 1996-01-29 1997-08-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回収装置
JP2003162125A (ja) * 2001-11-26 2003-06-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57A (ko) 2010-04-07
EP2169470A3 (en) 2011-06-22
CN101713955A (zh) 2010-05-26
US20100080637A1 (en) 2010-04-01
AU2009200719A1 (en) 2010-04-15
AU2009200719B2 (en) 2011-04-28
EP2169470A2 (en) 2010-03-31
US8131165B2 (en) 2012-03-06
JP2010085485A (ja) 2010-04-15
CN101713955B (zh)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353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폐기 분체의 반송 방법
JP4752891B2 (ja) 画像形成装置
JP4941489B2 (ja) 画像形成装置
JP5239695B2 (ja) 画像形成装置
US8000644B2 (en) Powder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87208B2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9659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owd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waste-powder transporting method
JP4674626B2 (ja) 画像形成装置
JP5029159B2 (ja) 廃トナー・廃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981134B2 (ja) 画像形成装置
JP7003523B2 (ja) 画像形成装置
JP4488035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廃トナー回収ボックス
CN103257562B (zh) 回收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JP4844222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294464B2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595002A2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06174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7434938B2 (ja)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84186B2 (ja) トナー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650535B2 (en) Toner coll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JP7423695B2 (ja) 画像形成装置
US10768551B2 (en) Conveying screw,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51320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98585B2 (ja) 回収トナー搬送装置
JP202202244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