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879B1 -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879B1
KR101168879B1 KR1020077013198A KR20077013198A KR101168879B1 KR 101168879 B1 KR101168879 B1 KR 101168879B1 KR 1020077013198 A KR1020077013198 A KR 1020077013198A KR 20077013198 A KR20077013198 A KR 20077013198A KR 101168879 B1 KR101168879 B1 KR 101168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wiring board
insulating layer
layer
multilayer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896A (ko
Inventor
카즈히로 시미즈
마사노부 야기
켄이치로 하나무라
미츠유키 타카야스
키요에 나가이
토모우 이지마
Original Assignee
인벤사스 코포레이션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사스 코포레이션,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인벤사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9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5Metal f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84Etch stop layer, i.e. a buried barrier layer for preventing etching of layers under the etch stop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33Method for plating stud vias, i.e. massive vias formed by plating the bottom of a hole without plating on the w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4Related to the order of processing steps
    • H05K2203/1461Applying or finishing the circuit pattern after another process, e.g. after filling of vias with conductive paste, after making printed re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by applying an insulating layer around previously made via stu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56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with selective destruction of conductive pa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3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with sintering of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접속을 위한 범프가 형성된 기재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끼워 절연층 위에 구리박을 열압착하는 공정 및 구리박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구리박의 열압착 시, 적어도 스테인레스판과 구리박 사이에 금속박을 개재시킨다. 이때, 개재시키는 금속박의 표면에 이형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성형(구리박 붙이기) 후의 제품의 스테인레스판에의 부착을 방지하여, 주름이나 요철이 생기는 일이 없는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다층배선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구리박, 범프, 절연층, 다층배선기판, 스테인레스판

Description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WIRING BOARD}
본 발명은 범프에 의해 층간 접속을 행하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구리박 맞붙이기) 시의 붙음(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위 빌드업(buildup) 다층배선기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절연층과 도체층을 순차 적층하고, 각 도체층을 소정의 배선 패턴으로 패터닝하는 동시에, 각 도체층 간의 층간 접속을 도모할 필요가 있고, 도체층에 있어서의 미세 패턴의 형성과 효율적인 층간 접속의 실현이 중요한 기술로 된다.
종래, 빌드업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으로서, 구리박에 범프를 형성하고, 이것을 절연막에 매립한 후, 이 위에 구리박을 맞붙여 범프와의 접속을 취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3-129259호 공보 등을 참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범프 형성을 위한 선택적 에칭 방법 및 선택적 에칭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다층배선 회로기판 제조기술로서, 범프 형성용의 구리박의 한쪽 주면에 에칭 배리어(barrier)층을 형성하고, 이 에칭 배리어층의 주면에 도체 회로 형성용의 구리박을 형성한 배선회로기판 형성용 부재를 기재(base) 로서 이용하고, 그것을 적당하게 가공함으로써 다층배선 회로기판을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다층배선 회로기판 제조기술에서는 우선 상기 배선 회로기판 형성용 부재의 구리박을 선택적 에칭해서 층간 접속용의 범프를 형성하고, 범프 사이를 절연층에 의해 메우고, 각 범프 사이를 절연한다. 다음에, 절연층, 범프의 윗면 위에 도체회로 형성용의 구리박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하 양면의 구리박을 선택적 에칭함으로써 배선막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하 양면의 배선막을 가지고, 또 배선막 사이가 범프에 의해 접속된 다층배선기판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범프 접속을 이용한 다층배선기판의 제조 시에는 범프의 윗면 위에 구리박을 맞붙일 필요가 있어,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끼워서 가압하고, 상기 구리박을 열압착하는 성형공정을 행하고 있었다.
이 성형 공정에서는 일반적인 성형과 달리 상기 범프가 어느 정도 찌부러질 때까지 높은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기 구리박과 범프의 선단면이 단지 접하고 있을 뿐인 상태인 바,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범프가 찌부러질 정도까지 가압하여, 구리박과 범프를 일체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의 성형에서는 가압력을 35 내지 40 ㎏/㎠ 정도로 설정하는 데 대해서, 상기 성형에서는 90 내지 150 ㎏/㎠로 3배 가까운 압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압력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절연층에 폴리이미드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335℃ 정도의 고온도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하에서의 성형을 행하면, 특히 범프의 선단 부분에 있어 서, 성형한 다층배선기판과 스테인레스판이 서로 붙게 되어(부착되어), 제품(다층배선기판)의 떼어내기가 곤란해서,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으로 해체하는 것은 곤란해서, 간극에 쐐기를 넣는 등, 어떠한 도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층배선기판과 스테인레스판이 서로 부착되면, 떼어낼 때에 제품에 힘이 가해져, 꺽임이나 주름, 요철, 뒤틀림, 컬(curl) 등의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 다층배선기판과 스테인레스판의 부착은 범프 부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범프가 밀집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큰 문제로 된다. 제품에 주름이나 요철 등이 생기면, 치수 편차가 커져, 배선의 패터닝 등에 있어서 정밀도를 확보하는 데 큰 지장이 된다.
게다가, 제품에 있어서, 폴리이미드 수지와 구리박의 밀착성의 점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이 단단한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끼워서 성형을 행한 경우, 맞붙은 구리박이 단단하게 지지되므로, 돌출형의 범프를 모방해서 변형되는 일이 없고, 결과적으로 맞붙게 된 구리박과 폴리이미드 수지와의 밀착성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아, 소위 백화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성형(구리박 붙이기) 후의 제품의 스테인레스판에의 부착을 방지하여, 주름이나 요철이 생기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다층배선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맞붙여진 구리박과 폴리이미드 수지(절연층)의 밀착성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은 층간 접속을 위한 범프가 형성된 기재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끼워 상기 절연층 위에 구리박을 열압착하는 공정; 및 상기 구리박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구리박의 열압착 시, 적어도 상기 스테인레스판과 상기 구리박 사이에 금속박을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성형 시 스테인레스판과 구리박 사이에 금속박(예를 들어 구리박)을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고온, 고압에서의 성형을 행한다고 해도, 제품(다층배선기판)이 스테인레스판에 붙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성형 후의 해체 시 제품에 여분의 힘이 가해질 일이 없어, 주름이나 요철, 꺽임, 뒤틀림, 컬 등의 발생이 해소된다. 또한, 해체 시 특별한 도구도 불필요하여, 작업성의 저하도 해소된다.
게다가, 개재되는 금속박은 완충재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맞붙는 구리박의 변형을 허용한다. 따라서, 약간 돌출하는 형태의 범프를 모방해서 상기 구리박이 변형되어, 열압착 시 구리박과 절연층이 밀착하여, 밀착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구리박 붙이기) 후에 있어서의 제품의 스테인레스판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주름이나 요철 등이 생기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다층배선기판을 작업성 양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맞붙여진 구리박과 절연층(폴리이미드 수지)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서, 백화현상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범프 접속을 이용한 다층배선기판의 제조 시에는, 우선, 도 1 중 1단계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프 형성을 위한 구리박(1)과, Ni 등으로 이루어진 에칭 배리어층(2)과, 제1배선층으로 되는 구리박(3)을 적층해서 이루어진 클래드재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칭 배리어층(2)은 구리박(1)에 대해서 에칭 선택성을 갖고, 구리박(1)의 에칭 시 에칭스토퍼로 된다. 또한, 구리박(3)은 최종적으로는 패터닝에 의해 배선층으로 되지만, 이 단계에서는 상기 구리박(1) 및 에칭 배리어층(2)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범프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중 2단계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리박(1)을 에칭해서 범프(4)를 형성한다. 이 구리박(1)의 에칭은 산성 에칭액에 의한 에칭과, 알칼리성 에칭액에 의한 에칭을 조합시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리박(1) 위에 마스크로 되는 레지스트 막(도면에 도시는 생략함)을 형성한 후, 산성 에칭액 (예를 들면, 염화 제이구리)을 분사한다. 이것에 의해 구리박(1)이 에칭되지만, 이 산성 에칭액에 의한 에칭 깊이는 구리박(1)의 두께보다도 얕게 해서, 에칭 배리어층(2)이 노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한다. 이어서, 수세(린스) 후, 알칼리 에칭액(예를 들면, 수산화암모늄)에 의해 구리박(1)의 잔부를 에칭한다. 알칼리 에칭액은 에칭 배리어층(2)을 구성하는 Ni를 대부분 침투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에칭 배리어층(2)은 이 알칼리 에칭액에 의한 에칭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때 알칼리 에칭액의 pH는 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에칭액을 상기 pH로 함으로써, 에칭 배리어층(2)을 침투하지 않고, 구리박(1)을 비교적 빠르게 에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프(4)의 형성 후, 상기 에칭 배리어층(2)도 제거하지만, 이 경우에는 에칭 배리어층(2)인 Ni만을 에칭 제거하고, 그 밑의 구리박(3)에 대해서는 거의 이것을 침투하는 일이 없는 에칭액을 이용한다.
다음에, 도 1 중 3단계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범프(4) 사이를 메우는 형태로 절연층(5)을 형성한다. 절연층(5)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혹은 수지 필름을 열압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수지재료로서는 특히 도금에 대한 밀착성이나 유리전이점, 선팽창계수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이, 필요한 특성 등에 따라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그 두께 등도 제약되는 일은 없다.
상기 절연층(5)의 형성 후, 범프(4)의 선단면이 드러나도록, 예를 들어 표면을 연마하고, 도 1 중 4단계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위에 제2배선층이 되는 구리박(6)을 배치하고, 도 1 중 5단계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압착 등의 수법에 의해 서로 붙인다.
상기 맞붙이기(성형)는 소위 열압착에 의해 행한다. 구리박(6)의 열압착 시에는 도 1 중 4단계째 혹은 도 1 중 5단계째에 나타낸 적층체를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반복해서 배치하고, 일괄하여 열압착을 행한다.
프레스 시의 압력은 90 내지 150 ㎏/㎠ 정도, 프레스 온도는 335℃ 정도이다. 도 2는 프레스(열압착)시의 온도 프로파일, 압력 프로파일, 진공 프로파일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예에서는 미리 200℃에서 예비가열한 후, 335℃까지 온도를 올리고, 압력 110 ㎏/㎠로 프레스하고 있다. 진공도는 1.3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을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끼우고, 열압착을 행한 경우, 온도나 압력이 높고, 또 범프(4)의 선단면에 가중이 집중되므로,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부착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도 3은 제품의 맞붙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압착 후에는 범프(4)의 형성 위치에 대응해서 구리박(6)이 스테인레스판(ST)에 붙게 된다(즉, 부착된다). 도 3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착이 일어나고 있는 장소를 점 (p)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리박(6)이 부착된 상태에서 제품을 스테인레스판(ST)으로부터 떼어내면, 예를 들어 도면 중 A점에 힘이 가해진 제품이 연신되고, 결과적으로 도면 중 B부분에 요철이 형성되어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 부착은 범프(4) 부분에 일어나므로, 범프(4)가 밀집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상기 가중의 집중은 구리박(6)과 절연층(5)의 밀착성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테인레스판(21)과 구리박(6) 사이에 금속박을 개재시켜, 상기 부착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 중 4단계째 혹은 도 1 중 5단계째에 나타낸 적층체의 양면에 대응하고, 즉 열압착하는 구리박(6)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 그리고 지지체로 되는 구리박(3)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에 각각 구리박(22)을 개재시킨다. 또한 최외부의 스테인레스판(21)의 외측에는 각각 쿠션재(23)를 배치하고, 이들을 개재해서 프레스기(24) 사이에 끼운다.
또한, 상기 중첩에 있어서는, 최저한 열압착하는 구리박(6)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에 구리박(22)을 개재시키면 되고, 예를 들어 구리박(3)이 방청 처리되어 있을 경우 등에는 구리박(3)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의 구리박(22)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구리박(22)은 반드시 구리박이 아니어도 되며, 임의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금속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하는 구리박(22)(금속박)은 그 표면이 이형성을 갖는 것, 즉 예를 들어 표면에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이형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박(22)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청층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방청층으로서는 Ni-Cr 도금층이나 Ni-Cr-Zn 도금층 등을 들 수 있고, 그 위에, 구리박(22)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막을 상기 이형층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리박(6)의 열압착 후, 도 1 중 6단계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뒤 양면의 도체층(구리박(6) 및 구리박(3))을 원하는 배선 패턴에 따라 패터닝하여, 배선층으로 한다. 상기 패터닝은 일반적인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 기술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면배선 기판을 얻을 수 있지만, 한층 더 다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스테인레스판(21)과 구리박(6) 사이에 개재되는 구리박(22)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청층이나 산화층 등이 이형층으로서 기능하므로, 성형(구리박(6) 붙이기) 후에 있어서의 제품의 스테인레스판(21)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주름이나 요철 등이 일어나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다층배선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품은 스테인레스판(21)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 특별한 도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으므로, 양호한 작업성으로 해체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리박(22)을 개재시킴으로써 구리박(6)의 약간의 변형이 가능해져, 구리박(6)과 절연층(5)의 밀착성의 개선에 연결된다.
도 1은 다층배선기판의 제조 프로세스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1단계째는 클래드재를 나타낸 단면도, 2단계째는 범프 형성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3단계째는 절연층 형성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4단계째는 구리박 배치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5단계째는 구리박 열압착 공정(성형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6단계째는 구리박 패터닝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열압착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압력, 진공도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열압착 후의 맞붙인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인레스판의 중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실험 결과를 기초로 설 명한다.
비교예
우선, 종래 방법에 의해 성형을 행하였다. 즉, 제품을 통상의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끼우고, 구리박(6)의 열압착(성형)을 행하였다. 제조 프로세스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였다. 그 결과, 제품의 부착이 일어나, 얻어진 제품에 주름이나 요철이 발생했다. 또한, 제품의 떼어내기가 곤란해서, 쐐기를 넣어서 떼어냈다. 비교예에 있어서의 치수안정성(편차) 3σ는 0.05%(N수 = 50W)로, 편차가 큰 값으로 되어 있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열압착 시, 방청 처리한 구리박(22)을 구리박(6)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에 개재시켰다. 사용한 구리박(22)은 두께 12 ㎛, 로프로파일(low profile)(3 ㎛)이었다.
한편, 구리박(3)에 대해서는 스테인레스판(21)과의 대향면에 방청 처리를 그대로 남기는 것으로 대응했다. 구리박(3)은 절연층(5)인 폴리이미드 수지와의 밀착을 취하기 위해서 조면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스테인레스판(21)과의 대향면에 대해서는 상기 조면화 처리 시 보호막을 붙이고, 방청 처리를 남기도록 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성된 제품에는 부착에 기인하는 꺽임이나 주름, 뒤틀림, 컬, 요철 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치수안정성(편차) 3σ는 0.037%(N수 = 156W)로, 앞서의 비교예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값이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도, 앞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리박을 개재시킨 예이지만, 본 예의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청 처리한 구리박(22)을 제품의 양쪽, 즉, 구리박(6)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 그리고 구리박(3)과 스테인레스판(21) 사이에 개재시켰다. 사용한 구리박(22)은 두께 12 ㎛, 프로파일은 5 ㎛ 정도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완성된 제품에는 부착에 기인하는 꺽임이나 주름, 뒤틀림, 컬, 요철 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치수안정성(편차) 3σ는 0.016%(N수 = 30W)로, 앞서의 비교예에 비교하면 현저하게 작은 값이며, 실시예 1과 비교해도 절반 이하로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구리박 붙이기) 후에 있어서의 제품의 스테인레스판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주름이나 요철 등이 생기지 않아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다층배선기판을 작업성 양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맞붙여진 구리박과 절연층(폴리이미드 수지)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서, 백화현상 등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9)

  1. 층간 접속을 위해 구리로 만들어진 범프가 형성된 기재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
    구리박을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샌드위칭시켜 적층(larmination)에 의해 상기 절연층 위에 구리박을 본딩하는 공정; 및
    상기 구리박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층시 범프의 위치에 압력의 집중이 감소되도록 적어도 각 금속박이 각 스테인레스판과 상기 구리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테인레스판이 직접적으로 그것의 각 금속박과 접촉하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2. 층간 접속을 위해 구리로 만들어진 범프가 형성된 기재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
    구리박을 스테인레스판 사이에 샌드위칭시켜 적층에 의해 상기 절연층 위에 구리박을 본딩하는 공정; 및
    상기 구리박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층시 범프의 위치에 압력의 집중이 감소되도록 적어도 금속박이 각 스테인레스판과 상기 구리박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금속박은 금속박 표면에 이형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형층은 판층(plated layer) 또는 산화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방청층을 포함하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이 구리박인,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 수지로 만들어지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은 상기 구리박의 열압착 본딩을 포함하는 것인,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이 구리박인,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 수지로 만들어지는,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은 상기 구리박의 열압착 본딩을 포함하는 것인,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KR1020077013198A 2004-12-03 2005-09-29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KR101168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2060A JP4761762B2 (ja) 2004-12-03 2004-12-03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JP-P-2004-00352060 2004-12-03
PCT/JP2005/017926 WO2006059428A1 (ja) 2004-12-03 2005-09-29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896A KR20070094896A (ko) 2007-09-27
KR101168879B1 true KR101168879B1 (ko) 2012-07-26

Family

ID=3656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198A KR101168879B1 (ko) 2004-12-03 2005-09-29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12881B2 (ko)
EP (1) EP1821588A4 (ko)
JP (1) JP4761762B2 (ko)
KR (1) KR101168879B1 (ko)
CN (1) CN101288349B (ko)
TW (1) TW200621105A (ko)
WO (1) WO2006059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3148A4 (en) 2007-10-10 2011-09-07 Tessera Inc ROBUST MULTILAYER WIRING ELEMENTS AND ASSEMBLIES INCLUDING MICROELECTRONIC ELEMENTS INCLUDED
CN101626660B (zh) * 2008-07-11 2012-08-29 惠阳科惠工业科技有限公司 结构不对称多层板铜面相靠压合工艺
US20120285617A1 (en) * 2009-09-25 2012-11-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metal foil laminate
KR101089986B1 (ko) * 2009-12-24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캐리어기판,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8597B1 (ko) * 2010-05-25 2011-07-12 주식회사 코리아써키트 범프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TWI572261B (zh) * 2014-10-29 2017-02-21 健鼎科技股份有限公司 線路結構及線路結構的製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651A (ja) 2002-09-18 2004-04-08 North:Kk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51496T2 (de) * 1986-11-13 1996-05-02 James A Johnst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druckten leiterplatten.
US5256474A (en) 1986-11-13 1993-10-26 Johnston James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556897B2 (ja) * 1989-02-23 1996-11-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外層材及び製造方法
JPH0946041A (ja) * 1995-07-26 1997-02-14 Toshiba Corp 印刷配線板の製造方法
JP3633136B2 (ja) * 1996-09-18 2005-03-30 株式会社東芝 印刷配線基板
JP3428480B2 (ja) * 1998-12-28 2003-07-22 新神戸電機株式会社 内層回路入り多層金属箔張り積層板の製造法
CN1371240A (zh) * 2001-02-23 2002-09-25 华泰电子股份有限公司 多层式高密度基板的制造方法
JP2003008200A (ja) * 2001-06-22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線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3526838B2 (ja) 2001-10-22 2004-05-17 株式会社ノース 銅膜又は銅系膜に対する選択的エッチング方法と、選択的エッチング装置。
JP4045143B2 (ja) * 2002-02-18 2008-02-13 テセラ・インターコネクト・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配線膜間接続用部材の製造方法及び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3952862B2 (ja) * 2002-05-30 2007-08-01 新神戸電機株式会社 内層回路入り金属箔張り積層板の製造法
JP2004221310A (ja) * 2003-01-15 2004-08-05 Daiwa Kogyo:Kk 配線基板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651A (ja) 2002-09-18 2004-04-08 North:Kk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himada et al.‘Thermal management estimations for buried bump interconnection technology printed wiring boards with bump(filled via) interconnection', ITHERM '98, pp.468-47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61762B2 (ja) 2011-08-31
US20080110018A1 (en) 2008-05-15
EP1821588A1 (en) 2007-08-22
CN101288349A (zh) 2008-10-15
KR20070094896A (ko) 2007-09-27
US8112881B2 (en) 2012-02-14
TWI371232B (ko) 2012-08-21
CN101288349B (zh) 2010-06-09
TW200621105A (en) 2006-06-16
WO2006059428A1 (ja) 2006-06-08
EP1821588A4 (en) 2009-11-11
JP2006165133A (ja)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879B1 (ko) 다층배선기판의 제조방법
KR20130119985A (ko)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
KR20130136005A (ko) 캐리어 부착 금속박
JP2005142573A (ja) 多層印刷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44749A (ko) 다층배선기판 제조용 층간부재와 그 제조방법
KR101377820B1 (ko) 캐리어 부착 금속박
CN105960099A (zh) 低成本三层基板制造方法
JP6439636B2 (ja)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4413522B2 (ja) 配線転写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配線基板とその製造方法
KR20070085952A (ko) 다층배선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464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JP4548210B2 (ja) 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7208229A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3068562A (ja)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6165132A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8235640A (ja) 回路基板と回路基板の製造方法
CN102958293A (zh) 具有断差结构的电路板的制作方法
JP2006165131A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10056165A (ja) 導体パター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6060047A (ja) 配線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9038191A (ja) 多層配線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H02121391A (ja) 多層型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JP4694024B2 (ja) 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5175279A (ja) 多層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1135930A (ja) 積層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