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726B1 -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726B1
KR101048726B1 KR1020040086101A KR20040086101A KR101048726B1 KR 101048726 B1 KR101048726 B1 KR 101048726B1 KR 1020040086101 A KR1020040086101 A KR 1020040086101A KR 20040086101 A KR20040086101 A KR 20040086101A KR 101048726 B1 KR101048726 B1 KR 10104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haft
spinning reel
sounding
tooth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751A (ko
Inventor
이쿠타타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6691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50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689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307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45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411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5004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풀을 매끄럽게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또렷한 발음을 얻는다.
[해결 수단] 제2 발음 기구(94)는, 제1 부재(95)와,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2 부재(96)와, 제1 부재(95)의 내주면(內周面)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凹凸部, 95a)와, 제2 부재(96)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철부(95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98)와, 제2 부재(96)의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양측에 설치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양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99a, 99b)를 가지고 있다.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선단부(先端部)는 요철부(95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스풀(4)이 회전하였을 때 요철부(95a)가 톱니 멈춤쇠 부재(98)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게 되어 있다.
스풀, 드랙 기구, 발음 기구, 톱니 멈춤쇠 부재, 요철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배면도.
도 4는 상기 스피닝 릴의 횡단면도.
도 5는 캡 부재 주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피니언 기어가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의 확대 부분도.
도 7은 상기 제2 베어링의 단면도.
도 8은 오실레이팅 기구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오실레이팅 기구의 평면 일부 파단도.
도 10은 상기 오실레이팅 기구의 측면 일부 파단도.
도 11a는 제1 로터 암의 줄 감기 자세의 평면도.
도 11b는 제1 로터 암의 줄 개방 자세의 평면도.
도 12는 상기 제1 로터 암의 단면 확대도.
도 13은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릴 몸틀의 정면도.
도 14는 상기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상기 릴 몸틀의 저면 부분도.
도 15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상기 역회전 방지 기구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상기 역회전 방지 기구의 확대 정면도.
도 18은 스풀의 측면 단면도.
도 19는 제2 발음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상기 제2 발음 기구의 확대 단면도.
도 21은 상기 스풀의 정면 단면도.
도 22는 상기 발음 기구의 확대 단면도.
도 23은 상기 발음 기구의 발음시의 도 22에 상당하는 도면.
도 24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25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26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27은 다른 실시예의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스풀
15: 스풀 축
75: 스풀 본체
75a, 175a, 275a, 375a: 권사 몸통부
75b: 스커트부
80: 드랙 기구
94, 194, 294, 394: 제2 발음 기구
95, 195, 295, 395: 제1 부재
95a, 195a, 295a, 395a, 395b: 요철부
96, 196: 제2 부재
98, 198: 톱니 멈춤쇠 부재
99a, 99b, 199a, 199b: 압박 부재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특히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과 스풀 축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고,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卷絲)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된 대경(大徑) 통상(筒狀)의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에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풀 받이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드랙형의 스피닝 릴에서는, 권사 몸통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드랙판으로 이루어지는 드랙 기구나, 드랙 기구 작동 시에 발음하는 발음 기구 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발음 기구로서, 예를 들어 드랙 기구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용수철 부재와, 용수철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는 원판 부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원판 부재는 권사 몸통부의 내주부(內周部)에 장착되어 있으며, 용수철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내주 측에 형성된 요철부(凹凸部)에 용수철 부재가 접촉하여 발음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6-16508호 공보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서는, 원판 부재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 드랙 기구 작동시, 즉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요철부에 용수철 부재가 접촉하여 발음한다. 그러나 용수철 부재는 요철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또렷한 소리를 얻으려고 용수철력을 강하게 하면 회전 방향의 저항이 커져 스풀의 회전 토크가 크게 변동하여 매끄러운 회전이 저해된다. 회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용수철력을 약하게 하면 소리에 고저(高低)가 없어져, 또렷한 발음을 얻을 수 없는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풀을 매끄럽게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또렷한 발음을 얻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는,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풀의 내주에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를 가지는 제1 발음부와, 스풀축의 외주에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와 제2 부재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철부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와 제2 부재의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를 가지고, 스풀이 회전하였을 때 요철부가 톱니 멈춤쇠 부재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제2 발음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음 기구에서는, 톱니 멈춤쇠 부재를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가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 톱니 멈춤쇠 부재는 요철부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양측으로부터 압압되어 압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톱니 멈춤쇠 부재가 요철부에 접촉하였을 때, 압박 부재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 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회전 방향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음시에 스풀의 회전 토크가 크게 변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스풀을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또렷한 발음을 얻을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1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부재는 스풀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풀을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별체의 제1 부재를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또렷하게 발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를 별체로 하는 것에 의하여, 요철부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1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부재는 스풀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과 제1 부재를 합성 수지나 금속으로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부품 점수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풀축의 외주에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를 가지는 제1 발음부와, 스풀의 내주에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와 제2 부재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철부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와 제2 부재의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를 가지고 스풀이 회전하였을 때 톱니 멈춤쇠 부재가 요철부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제2 발음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발명 1과 마찬가지로, 톱니 멈춤쇠 부재를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가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을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또렷한 발음을 얻을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부재는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부재를 금속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한층 또렷하게 발음시킬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5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요철부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원통상의 금속 박판의 내외를 프레 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압박 부재는 코일 용수철이다. 이 경우, 염가의 구성으로 톱니 멈춤쇠 부재를 압박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피닝 릴은 스풀의 회전을 규제하는 프론트 드랙 기구를 스풀 내부에 가지고 있다. 제1 발음부 및 제2 발음부는, 프론트 드랙 기구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특히 작은 릴에 있어서, 스풀 후단부와 로터 전단부(前端部) 간에 공간이 없어도, 제1 발음부 및 제2 발음부를 스풀 내부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8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프론트 드랙 기구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드랙판을 가지고 있다. 제2 부재는 복수의 드랙판의 하나와 겸용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부재와 드랙판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실시예>
〔전체 구성 및 릴 본체의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및 도 2에서는, 핸들(1)이 릴 본체(2)의 우측에 장착되고, 좌측에는 핸들 캡(49)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핸들(1)이 좌측에, 핸들 캡(49)이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에 개구(開口, 2c)를 가지는 릴 몸틀(2a)과, 릴 몸틀(2a)의 개구(2c)를 폐색(閉塞)하기 위한 덮개 부재(2d)와, 릴 몸틀(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T자상의 장대 부착 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몸틀(2a)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을 다이캐스트 성형하여 형성된 금속제의 것이다. 릴 몸틀(2a)은 내부에 공간(2e)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2e)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릴 몸틀(2a)의 전부에는, 로터(3)의 후부(後部)를 막는 원형의 플랜지부(2f)가 덮개 부재(2d)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f)의 전부에는 격벽(2g)과, 플랜지부(2f)보다 소경(小徑)으로 선단이 개구하는 통상부(2m)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2m)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의 일부가 노치(notch)된 후단부가 플랜지부(2f)의 전단부 근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장착홈(2r)과, 장착홈(2r)의 저부(底部)의 일부가 대략 원형으로 노치된 노치부(2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 몸틀(2a)의 격벽(2g)의 배면측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판상(板狀)의 축 지지부(2h)가 덮개 부재(2d)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2h)에는, 형성형 시에 이형성(離型性)을 좋게 하기 위하여 선단 (도 9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뽑이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2g)의 전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부(2m)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릴 몸틀(2a)의 저부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로 연장되는 오목홈(2k)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d)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예를 들어 3개소에서 릴 몸틀(2a)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2f)에 있어서 릴 몸틀(2a)과 덮개 부재(2d)와의 분할 부분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52, 후술)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 캡(49)은,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상의 캡 부재이고, 덮개 부재(2d)의 측부에 개구하여 형성된 암나사부(2q)에 나사 감합(嵌合)하는 수나사부(49a)와, 수나사부(49a)의 기단부(基端部)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홈부(49b)를 가지고 있다. 홈부(49b)에는, 합성 수지제의 O링(59)이 장착되어 있어, 핸들 캡(49)을 덮개 부재(2d) 또는 릴 몸틀(2a)에 장착하였을 때 간극을 폐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O링(59)을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핸들 캡(49)의 헐거움 방지를 행하는 것과 함께, 내부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로터 구동 기구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기어축(10)과, 메인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인 메인 기어(11)와, 이 메인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메인 기어(11)와 어긋나는 회전으로 릴 몸틀(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로 배치된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베어링(14a)은 격벽(2g)에 장착되어 있고,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을 개질 처리하여 부동태층(不動態層)을 형성한 특수 방녹 처리가 시행된 볼베어링이다. 베어링(14b)은 축 지지부(2h)에 장착되어 있고,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부시이다. 베어링(14b)의 단부 외주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회전 방지 돌기(14c)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2h)에는 베어링이 관통하는 관통공(2i)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회전 방지 돌기(14c)가 계합하는 오목부(2j)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 베어링(14b)의 회전 방지를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축 지지부(2h)의 내부에서 회전 방지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14b)의 축 방향 치수가 작아져, 피니언 기어(12)의 지지를 작은 공간에서 행할 수 있어, 축 지지 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15)을 통하여 스풀(4)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4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을 사이에 두고 스풀축(15)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축(16, 17)과, 스풀축(15)이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양 가이드축(16, 17)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더(18)와,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더(18)를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19)를 가지고 있다.
제1 가이드축(16)은 릴 몸틀(2a)의 오목홈(2k)에 일부가 수납되고 또한 스풀축(15)과 평행하게 릴 몸틀(2a)에 장착된 축 부재이다. 제2 가이드축(17)은 제1 가이드축(16)의 상방에 배치된 축 부재이다.
슬라이더(18)는 두 개의 가이드축(16, 17)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더 본체(20)와, 슬라이더 본체(20)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하는 것) 가능하게 장착된 계지핀(21)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 본체(20)는 오목홈(2k)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가이드축(16)을 세 방향으로부터 덮는 가이드홈(20a)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홈(20a)은 제2 가이드축(17)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더 본체(20)의 제2 가이드축(17) 주위의 회동을 억제하는 것이면 되기 때문에, 제1 가이드축(16)의 세 방향을 덮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축(16)과 가이드홈(20a) 간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더 본체(20)가 덜걱거림을 억제하여 원활하게 제1 가이드축(16)으로 안내된다.
또한 슬라이더 본체(20)는 계지핀(21)을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공(20b)과, 제2 가이드축(17)이 관통하는 가이드공(20d)이 형성된 가이드부(20c)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슬라이더 본체(20)는 스풀축(15)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장자리의 일부를 노치한 형상의 장착공(20e)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공(20e)에 장착되는 스풀축(15)의 후단부(15a)는, 장착공(20e)에 계합하 도록 외주면의 일부를 축에 평행한 면으로 노치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단부에는 나사공(15b)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공(15b)에는 둥근머리 나사(29)가 도 3 우방, 즉 제2 가이드축(17) 측으로부터 슬라이더 본체(20)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15)의 후단부(15a)에 슬라이더 본체(20)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가이드축(16)의 일부가 릴 몸틀(2a)의 저부에 형성된 오목홈(2k)에 수납되고, 그 제1 가이드축(16)에 슬라이더 본체(20)에 설치된 가이드홈(20a)이 적어도 2점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축(16)을 릴 본체(2)의 저부측에 놓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가이드축(17)을 제1 가이드축(16)과 가급적으로 이반(離反)시킬 수 있어, 슬라이더의 덜걱거림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동 기구(19)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13)와, 중간 기어(13)에 맞물리는 종동 기어(22)와, 종동 기어(22)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나선축(23)을 가지고 있다.
중간 기어(13)는 단붙이 기어이고, 피니언 기어(12)의 회전을 크게 감속하여 종동 기어(22)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13)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2g)과 축 지지부(2h) 간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 기어(13)는 대경 기어(24a)와, 대경 기어(24a)의 후방에 배치된 소경 기어(24b)를 가지고 있다. 중간 기어(13)는 피니언 기어(12)와 평행한 축 회전으로 릴 몸틀(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간 기어(13)는 격벽(2g)과 축 지지부 (2h)에 양단이 지지된 장착축(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장착축(25)의 양단에는 테두리붙이 부시(26a, 26b)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중간 기어(13)의 단면이 뽑이 테이퍼가 형성된 축 지지부(2h)에 접촉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중간 기어(13)에 이상한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중간 기어(13)와 축 지지부(2h) 간에 와셔를 사이에 둘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착축(25)을 장착하기 쉬워진다.
중간 기어(13)의 대경 기어(24a)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나사 톱니바퀴이고, 피니언 기어(12)보다 톱니수가 많다. 대경 기어(24a)는, 예를 들어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소경 기어(24b)는 대경 기어(24a)와 동심에 배치된 곧은 톱니 기어이다. 종동 기어(22)는 소경 기어(24b)에 맞물리는 곧은 톱니 기어이고, 종동 기어(22)보다 톱니 수가 적다.
나선축(23)은 스풀축(15)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릴 몸틀(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나선축(23)의 외주부에는 나선상의 교차하는 홈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23a)에 계지핀(21)의 선단이 계합하고, 나선축(23)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더(18)가 왕복 이동한다. 이 나선축(23)에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 기어(22)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나선축(23)의 선단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2g)에 장착된 베어링(27)에 의하여 격벽(2g)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중간 기어(13)의 대경 기어(24a)가 종동 기어(22)에 맞물리는 소경 기어(24b)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 기어(22)가 베어링(27)으로부터 멀어져 나선축(23)이 덜걱거리기 쉬워진다. 이 나선축 (23)의 덜걱거림을 줄이는 목적으로, 베어링(27)과 종동 기어(22) 간에 부시(28)가 장착되어 있다. 이 부시(28)에는 대경 기어(24a)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노치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대경 기어(24a)를 소경 기어(24b)보다 전방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경 기어(24a)에 의한 릴 몸틀(2a)의 팽창부(2n, 도 4)가 핸들 장착용 보스(2p, 도 4)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팽창부(2n)와 핸들 장착용 보스(2p)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44)와, 로터 본체(44)의 선단에 줄 개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45)과, 베일 암(45)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돌리기 위하여 로터 본체(44)에 장착된 베일 반전 기구(46)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44)는 릴 몸틀(2a)에 스풀축(15)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전부에는 전벽(33)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을 피니언 기어의 전부(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 (33)의 전부에 로터(3)의 고정용 너트(35)가 배치되어 있다. 원통부(30)의 후면은 제3 커버 부재(30a)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도 2,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의 후부 외주면에 각각 배치된 제1 접속부(31a) 및 제2 접속부(32a)와, 제1 접속부(31a) 및 제2 접속부(32a)로부터 각각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灣曲)하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암부(31b) 및 제2 암부(32b)와, 제1 접속부(31a) 및 제2 접속부(32a)와 제1 암부(31b) 및 제2 암부(32b)와의 양 외방 부분을 각각 덮는 제1 커버 부재(31c) 및 제2 커버 부재(32c)를 가지고 있다. 제1 접속부(31a) 및 제2 접속부(32a)는 원통부(30)와 둘레 방향으로 매끄럽게 각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부(31b) 및 제2 암부(32b)는 제1 접속부(31a) 및 제2 접속부(32a)와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되며 원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1 암부(31b) 및 제2 암부(32b)는 선단부로부터 원통부(30)와의 접속 부분을 향하여 매끄럽게 만곡하여 있다. 제1 접속부(31a) 및 제2 접속부(32a)와 제1 암부(31b) 및 제2 암부(32b)와의 양 외방 부분에는, 개구(31d, 32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커버 부재(31c) 및 제2 커버 부재(32c)는 개구(31d, 32d)를 각각 외주 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제1 커버 부재(31c)와 제1 접속부(31a) 및 제1 암부(31b) 간에는 수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부(31b)의 선단의 외주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암부(31b)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 일 반전 기구(46)의 이동 부재(51, 후술)를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가늘고 긴 가이드홈(36)과, 베일 암(45)에 저항을 부여하기 위한 규제 기구 (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는 장착공(37)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나사공붙이의 보스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암부(32b)의 선단 내주 측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암부(31b)의 보스부(38)에 끼워진 장착 핀(39)에 의하여 제1 로터 암(31)에 장착된다. 이 장착 핀(39)은 걸림이 적은 육각공붙이 볼트로 이루어져, 장착 핀(39)의 머리부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와, 라인 롤러(41)를 사이에 두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된 고정 축 커버(47)가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 축 커버(47)는 선단이 끝이 뾰족한 변형 원추 형상이다. 고정 축 커버(47)의 선단부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 간에는 선재(線材)를 대략 U자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 라인 롤러(41), 베일(43) 및 고정 축 커버(47)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45)이 구성된다. 베일 암(45)은, 도 11a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와, 도 11b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 간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반전 기구(46)는 제1 로터 암(31)의 수납 공간(48) 내에 배치되어 있 다. 이 베일 반전 기구(46)는 베일 암(45)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귀시키는 것과 함께, 양 자세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46)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48) 내에서 제1 암부(31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용수철 기구(50)와, 수납 공간(48) 내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51)와, 이동 부재(51)에 접촉 가능하게 플랜지부(2f)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부재(52)와, 로터(3)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부재(65)를 가지는 로터 제동 장치(54)와, 줄 개방 자세에 있는 베일 암(45)의 줄 감기 자세로의 복귀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 암(45)이 줄 감기 자세로 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로 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1 로터 암(31) 내에 배치되어, 베일 암(45)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일단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계지되고, 타단이 제1 암부(31b)를 따라 연장되는 로드(55)와, 로드(55)를 진출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57)을 가지고 있다.
로드(55)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계합공(40a)에 계지되도록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향하여 접어 구부러진 계지부(55a)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드(55)는 중간부에 코일 용수철(57)의 선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돌기(55b)를 가지고, 후단부에 약간 만곡한 만곡부(55c)를 가지 고 있다. 계지 돌기(55b)에는 코일 용수철(57)의 선단이 접촉하는 와셔(56)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57)의 선단부로부터 로드(55)에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로드(55)는 후방을 향하여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57)은 제1 암부(31b)에 장착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안내 시트(34)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안내 시트(34)는 코일 용수철(57)의 일측면을 안내하는 것과 함께 기단부를 계지하도록 접어 구부러진 벽면부(34a)를 가지고 있다. 벽면부(34a)는 코일 용수철(57)의 측부 및 기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코일 용수철(57)은 후방을 향하여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57)의 와셔(56)에 계지되는 선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권경(卷徑)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선단부 이외에서 코일 용수철(57)과 로드(55) 간에서 큰 간극이 생겨, 코일 용수철(57)의 내부에서 로드(55)가 자세를 바꾸어도 코일 용수철(57)이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덧붙여 코일 용수철(57)의 기단부 내주면에 접촉하는 보스부나 기단부 외주면을 덮는 커버부 등을 설치하여 코일 용수철(57)의 기단부를 계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의 보스부나 커버부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축과 평행한 축 주위에 요동하도록 제1 암부(31b)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보스부의 기단면에 원호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제1 암부(31b) 내에 원호 볼록부에 계합하는 원호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보스부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요동축의 축심인 코일 용수철(57)과 기단의 중심 위치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 축심(O, 장착 핀(39)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분(F)에 대하여,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 간에서 로드(55)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대한 계지 위치가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선분(F)에 겹쳐지는 위치가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 (코일 용수철(57)이 가장 압축하는 위치)이다. 이것에 의하여,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베일 암(45)을 사점을 사이에 두고 양 자세로 배분하여 압박하고 또한 양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은 줄 개방 자세 측에 편의(偏倚)하고 있다.
이동 부재(51)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선재의 양단을 90도 다른 방향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 부재이다. 이동 부재(51)는 제1 암부(31b)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도 11a에 도시하는 제1 위치 (이반 위치)와 도 11b에 도시하는 제2 위치 (접촉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동 부재(51)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51a)가 외주 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형성된 대략 선형(扇形)의 계합 오목홈(40b)에 계지되어 있다. 중간부(51b)는 로드(55)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서 제1 암부(31b)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51c)는 가이드홈(36)을 관통하고, 로터 제동 장치(54)를 구성하는 제동 부재(65)의 전단면에 약간 겹쳐지는 위치까지 내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후 단면이 약간 둥글게 되어 있다. 가이드홈(36)의 폭은 이동 부재(51)의 직경과 거 의 같은 치수이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의 직경 방향 내측은 베일 암(45)의 요동에 연동하여 가이드홈(36)을 따라서 전후로 안내된다.
이동 부재(51)의 계합 오목홈(40b)에서의 계지단은 베일 암(45)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후단부(51c)와 베일 암(45)의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보다 줄 감기 자세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접촉 위치 (도 11b)에 있을 때의 후단부(51c)의 축심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분으로부터 같은 방향에 제1 위치 (이반 위치)와 제2 위치 (접촉 위치)에서 제1 베일 지지 부재(40)로의 계지 위치가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전환 부재(52)에 의하여 압압되었을 때,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줄 감기 자세 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제2 위치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후단부(51c)의 단면은 제동 부재(65)의 전단면보다 내측에서 외주면보다 약간 내방으로 들어가 있다.
전환 부재(52)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몸틀(2a)과 덮개 부재(2d)와의 분할 부분에서 플랜지부(2f)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몸틀(2a)과 덮개 부재(2d)와의 분할 부분에는, 구형(矩形)의 노치(53)가 형성되어 있다. 전환 부재(52)는 두 개의 경사면(60a, 60b)을 가지는 산형의 캠부(60)와, 캠부(60)와 일체 형성된 축소부(61)와, 테두리부(62)를 가지고 있다. 경사면(60a)은, 도 14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로터(3)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의 하류 측이 상류 측보다 로터(3)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b)은 경사면 (60a)의 돌출부분으로부터 줄 감기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a, 60b)의 가장 돌출한 돌출단(60c)의 돌출량은, 경사면(60a)에 후단부(51c)가 접촉한 이동 부재(51)가 베일 암(45)을 줄 감기 자세를 향하여 압압하였을 때에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축소부(61)는 노치(53)에 끼워지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2f)의 두께와 대략 같은 치수의 간극을 캠부(60)와 테두리부(62) 간에 형성하고 있다. 테두리부(62)는 축소부(61)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2f)의 이면에 접촉한다. 이 경사면(60b)을 설치하면, 베일 암(45)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무리하게 역회전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가해져 이동 부재(51)가 전환 부재(52)에 접촉하여도, 베일 반전 기구(46)의 이동 부재(51)가 경사면(60b)에서 전환 부재(52)에 매끄럽게 안내되어 손상하기 어렵게 된다. 덧붙여 이와 같은 두 개의 경사면(60a, 60b)을 가지는 전환 부재(52)는 릴 본체(2)와 일체 형성된 전환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환 부재(52)는 릴 몸틀(2a)에 덮개 부재(2d)를 장착할 때, 예를 들어 릴 몸틀(2a) 측의 노치(53)에 축소부(61)를 끼워 넣고, 덮개 부재(2d)를 릴 몸틀(2a)에 나사 고정하는 것만으로, 릴 본체(2)에 고정할 수 있다.
로터 제동 장치(54)는 줄 개방 자세로 베일 암(45)이 요동하였을 때 로터(3)를 제동하는 것이고, 이동 부재(51)와, 통상부(2m)의 기단부 측에 형성된 장착홈(2r)에 장착된 제동 부재(65)를 가지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베일 반전 기구(46)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로터 제동 장치(54)도 구성한다.
제동 부재(65)는 베일 암(45)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예를 들어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제의 환상 부재이다. 제동 부재(65)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가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와 접촉하여 마찰 접동하고, 내주가 장착홈(2r)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제동 부재(65)는 내주가 스토퍼축(73, 후술)의 외주에 접촉하여, 스토퍼축(73)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환상 부재로서의 기능을 겸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베일 반전 기구(46)에서는,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1 위치와,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위치는 베일 암(45)의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베일 암(45)의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동 부재(51)는, 도 11a에 도시하는 제1 위치 (이반 위치)와, 도 11b에 도시하는 제2 위치 (접촉 위치)간에 후단부(51c)가 가이드홈(36)으로 안내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이 제1 위치 (이반 위치)가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 (접촉 위치)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한다. 제2 위치 (접촉 위치)에서는,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의 단면이 제동 부재(65)의 전단면보다 내측에서 마찰부(65a)가 약간 압축되도록 접촉한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이동 위치, 즉 제2 위치 (접촉 위치)가 축 방향으로 변동하여도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위치 (접촉 위치)에서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전환 부재(52)의 경사면(60a)에 충돌하여 회전하고, 이동 부재(51)는 제1 위치 (이반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압압되어,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은 시점에서 베일 암(45)은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한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회전을 금지, 해제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 기구(70)가 배치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70)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72)와, 원웨이 클러치(72)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 간에 전환하는 스토퍼축(73)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축(73)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하부로 돌출한 스토퍼 손잡이(73a)와, 후단에 스토퍼 손잡이(73a)가 고정된 축부(73b)와, 축부(73b)의 선단에 편심하여 고정되어 원웨이 클러치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캠부(73c)를 가지고 있다. 축부(73b)는, 도 13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홈(2r)의 노치부(2s)에 장착 지지되고, 외주가 제동 부재(65)의 내주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노치부(2s)로부터 노출한 축부(73b)의 외주에 제동 부재(65)가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노출한 축부(73b)를 덮는 것에 의하여 이 부분을 방수할 수 있다.
스토퍼 손잡이(73a)는, 도 1,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 후방의 릴 본체(2)의 하부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 손잡이(73a)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 (73b)의 후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나사 고정되어 있다.
축부(73b)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기둥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축 부재이고, 본체 축부(73d)와, 본체 축부(73d)의 후단에 소경으로 형성되어 스토퍼 손잡이(73a)가 장착 고정되는 소경부(73e)와, 본체 축부(73d)의 전단에 대경으로 형성되어 캠부(73c)가 선단면에 편심하여 세워서 설치된 대경부(73f)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73f)의 측부에는, 토글 용수철(74a)의 일단이 계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축부(73b)를 작동 자세와 비작동 자세의 두 개의 위치로 배분하고 있다. 축부(73b)는, 도 13,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부(73f)의 외주가 제동 부재(65)의 내주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캠부(73c)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3b)의 대경부(73f)의 선단면에 편심하여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캠부(73c)의 주위에는, 통상의 칼라(collar) 부재(74b)가 장착되어 있고, 캠부(73c)에 칼라 부재(74b)를 장착한 상태로 원웨이 클러치(72)의 후부의 전환 부분에 계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스토퍼 손잡이(73a)를 좌우로 요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캠부(73c)를 요동시켜, 캠부(73c)가 계합하는 원웨이 클러치(72)의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를 전환한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을 단조하여 형성한 천구형(shallow type spool)의 것이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 간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80)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풀(4)은, 도 18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을 단조하여 형성된 스풀 본체(75)와, 스풀 본체(75)의 전단부에 장착된 앞플랜지부(76)와, 앞플랜지부(76)를 스풀 본체(75)에 고정하기 위한 앞플랜지 고정 부재(77)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75)는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통상의 권사 몸통부(75a)와, 권사 몸통부(75a)의 후단부에 일체 성형된 대경 통상의 스커트부(75b)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75a)의 선단 내주 측에는, 앞플랜지 고정 부재(77)가 나사 감합하는 암나사부(75k)가 형성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75a)의 중간부의 내주 측에는 중심을 스풀축(15)이 관통하는 벽면부(78)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벽면부(78)에는 지주 부재(75h)가 장착되어 있다. 지주 부재(75h)는 선단이 벽면부(78)에 끼워지는 나사부(75e)와, 나사부(75e)의 후단에 대경으로 설치되어 줄 멈춤 부재(75d)와 함께 볼트(75j)가 장착되는 대경부(75g)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75g)와 줄 멈춤 부재(75d) 간에는, 대경부(75g)와 같은 직경의 스페이서(75i)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권사 몸통부(75a)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도, 지주 부재(75h)에 줄 멈춤 부재(75d)를 장착할 수 있다.
앞플랜지부(76)는, 예를 들어, 경질 세라믹제의 링상의 부재의 외측 부분(76a)과, 외측 부분(76a)이 외주면에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된 내측 부분(76b)을 가지고 있다.
앞플랜지 고정 부재(77)는 외측 부분(74a)을 내측 부분(74b)으로 압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금속제의 부재이다. 앞플랜지 고정 부재(77)는 스풀축(15)과 동심에 배치된 제1 통부(77a) 및 제2 통부(77b)와, 제1 통부(77a) 및 제2 통부(77b)를 전부에서 연결하도록 제1 통부(77a) 및 제2 통부(77b)와 일체로 형성된 접촉부(77c)를 가지고 있다. 제1 통부(77a)는 외주면에 권사 몸통부(75a)의 암나사부(75k)에 나사 감합하는 수나사부(77d)를 가지고 있다. 제2 통부(77b)는 제1 통부(77a)의 내주 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77c)는 제1 통부(77a)보다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앞플랜지부(76)의 외측 부분(76a)의 전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부(77c)에서 앞플랜지부(76)의 외측 부분(76a)을 내측 부분(76b)을 향하여 압압하는 것으로, 외측 부분(76a)이 내측 부분(76b)에 고정되어 있다.
드랙 기구(80)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75a) 내의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스풀(4)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하여 스풀(4)에 드랙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랙 기구(80)는 드랙력을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81)와, 조작 손잡이(81)의 조작에 의하여 압축·신장하는 코일 용수철(82)과, 코일 용수철(82)의 탄성력의 변화에 의하여 압압력이 변화하는 압압 부재(83)와, 압압 부재(83)와 벽면부(78) 간에 장착되는 드랙 디스크로서의 제2 부재(96)를 가지고 있다. 제2 부재(96)와 벽면부(78) 간에는, 예를 들어 펠트제의 드랙 디스크(97)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81)는 스풀축(15)에 나사 감합하는 너트(84)와, 너트(84)가 장착되는 손잡이 부재(85)를 가지고, 스풀(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너트(84)는 사각형의 외형이고, 손잡이 부재(85)의 내부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85)는 원반상의 부재이고,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손잡이(85a)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82)은 스풀축(15)의 외주 측에 장착되며, 선단이 너트(84)에 접촉하여 압축 가능하고, 후단이 압압 부재(83)에 접촉하고 있다.
압압 부재(83)는 조작 손잡이(81)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부재이다. 압압 부재(83)는 코일 용수철(82)의 후단에 접촉하여 코일 용수철(82)의 탄성력의 변화에 의하여 드랙 디스크, 즉 제2 부재(96)로의 압압력이 변화한다. 압압 부재(83)는 원통부(83a)와, 원통부(83a)보다 대경의 링상의 테두리부(83b)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원통상의 부재이다. 원통부(83a)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타원형상의 계지공(83c)이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83b)의 전단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다수의 반구상의 음출공(90)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압압 부재(83)는 연결 부재(86)에 의하여 조작 손잡이(8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83)의 원통부(83a)의 외주면과 앞플랜지 고정 부재(77)의 제2 통부(77b)의 내주면 간에는 씰판(88)이 장착되어 있다. 씰판(88)은 전방으로부터 드랙 기구(80)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씰판(88)은 외주 가장자리에 립(lip)을 가지는 NBR제의 접시상의 씰 부재이다. 씰판(88)은 스냅 링(93)에 의하여 도 18 좌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씰판(88)의 도 18 좌측면에는, 링상의 돌기부(8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88a)는 연결 부재(86)에 접촉하여 내주측으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연결 부재(86)는 통부(86a)와, 링상의 저부(86b)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고, 그 저부(86b)를 압압 부재(83)의 원통부(83a)가 관통하고 있다. 또 한 저부(86b)의 후면에 씰판(88)의 돌기부(88a)가 접촉하고 있다. 연결 부재(86)의 통부(86a)는 손잡이 부재(85)의 외주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86)의 통부(86a)의 선단부와 손잡이 부재(85) 간에는 구형 단면의 O링(89)이 장착되어 있다. O링(89)은 NBR제의 탄성 부재이고, 압압 부재(83)와 손잡이 부재(85)와의 간극으로부터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85)와 압압 부재(83) 간에는, 양자의 상대 회전, 즉 조작 손잡이(81)의 조작에 의하여 발음하는 제1 발음 기구(8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발음 기구(87)는 압압 부재(83)의 원통부(83a)에 형성된 음출공(90)과, 손잡이 부재(85)에 수납된 음출핀(91)과, 음출핀(91)을 음출공(90)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음출 용수철(92)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 부재(85)의 후단면에 음출공(90)에 대향한 위치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랙 기구(80)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랙 작동시에 발음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제2 발음 기구(94)를 가지고 있다. 제2 발음 기구(94)는 드랙의 작동에 의하여 스풀축(15)과 스풀(4)이 상대 회전하면 발음하는 기구이다. 제2 발음 기구(94)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권사 몸통부(75a)의 내주부에 일체 형성된 제1 부재(95)와,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2 부재(96)와, 제1 부재(95)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95a)와, 제2 부재(96)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철부(95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98)와, 제2 부재(96)의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양측에 설치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99a, 99b)를 가지고 있다.
제1 부재(95)는 권사 몸통부(75a)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부재(9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2 부재(96)는 드랙 기구(80)의 드랙 디스크와 겸용된 테두리붙이 원통형의 부재이고,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부재(96)는 원통부(96a)와, 원통부(96a)의 후단에 형성된 테두리부(96b)와, 원통부(96a)의 전단에 형성된 저부(96c)와, 원통부(96a)의 외주 측에 형성되어 테두리부(96b)로부터 돌출하는 톱니 멈춤쇠 수납부(96d)를 가지고 있다. 저부(96c)에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형 구멍부(96e)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 멈춤쇠 수납부(96d)에는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단붙이 핀(10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톱니 멈춤쇠 수납부(96d)에는, 톱니 멈춤쇠 부재(98) 및 한 쌍의 압박 부재(99a, 99b)가 수납되는 수납 오목부(96f)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 멈춤쇠 수납부(96)에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압압판(100)이 나사(101)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압압판(100)은 톱니 멈춤쇠 부재(98) 및 압박 부재(99a, 99b)를 누락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2 부재(96)는 압압판(100)의 전방에 배치된 누락 방지 용수철(103)에 의하여 누락 방지되어 있다. 누락 방지 용수철(103)은 권사 몸통부(75a)의 내주부에 형성된 환상홈(75f)에 계지되어 있다.
수납 오목부(96f)에는 압박 부재(99a, 99b)를 압박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96g)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96g)는 압박 부재(99a, 99b)의 단부 및 측부의 일부의 외형을 따른 대략 コ자상의 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톱니 멈춤쇠 부재(98)는 선단부가 돌출한 부재이고, 제2 부재(96)의 수납 오목부(96f)의 한 쌍의 가이드부(96g) 간의 중앙 부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톱니 멈춤쇠 부재(98)는 선단부에 산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톱니 멈춤쇠부(98a)와, 기단부에 형성되어 단붙이 핀(98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98b)와, 톱니 멈춤쇠부(98a)보다 폭 넓게 형성되고 또한 장착부(98b)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용수철 계지부(98c)를 가지고 있다. 톱니 멈춤쇠부(98a)는 요철부(95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고, 스풀(4)이 회전하였을 때 요철부(95a)가 톱니 멈춤쇠 부재(98)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도록 되어 있다. 용수철 계지부(98c)의 양측에 압박 부재(99a, 99b)가 접촉하고 있다.
단붙이 핀(102)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의 축부(102a)와, 축부(102a)의 양단에 각각 소경으로 형성된 선단부(102b) 및 기단부(102c)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102b)는 압압판(100)에 장착되어 있고, 기단부(102c)는 톱니 멈춤쇠 수납부(96d)에 장착되어 있다. 축부(102a)는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두께보다 축 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요동을 방해받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또렷한 발음을 얻을 수 있다.
압박 부재(99a, 99b)는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양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96g)에 압축된 상태로 장착된 코일 용수철이다. 압박 부재(99a, 99b)는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용수철 계지부(98c)의 양측과, 가이드부(96g)의 저부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중립 위치 (도 22에 도시)로 압박하고 있다. 여기서, 스풀(4)을 회전시켜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요동 위치 (도 23에 도시)로 하면, 요철부(95a)가 톱니 멈춤쇠 부재(98)에 접촉하여 발음한다. 이 때,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요동에 따라서 압박 부재(99a)가 신장하고, 압박 부재(99b)가 축소하는 것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 부재(98)가 회전 방향으로 움직여, 회전 방향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2 발음 기구(94)에서는 드랙이 작동하여 스풀(4)이 회전하면 톱니 멈춤쇠 부재(98)가 요철부(95a)에 충돌을 반복하여 진동하여 발음한다.
〔릴의 조작 및 동작〕
낚시를 행하기 전에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맞추어 드랙력을 조정한다. 드랙력을 조정할 때에는, 손잡이 부재(85)를 돌린다. 손잡이 부재(85)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풀축(15)에 나사 감합하는 너트(84)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82)을 통하여 압압 부재(83)가 제2 부재(96)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랙력이 커진다. 이 때, 압압 부재(83)와 손잡이 부재(85)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제1 발음 기구(87)의 음출핀(91)이 음출공(90)으로의 충돌을 소정 간격으로 반복하여 또렷하고 경쾌한 클릭음을 발생한다.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45)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은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5)이 베일 반전 기구(46)에 의하여 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여 낚 싯줄이 스풀(4)에 감겨진다. 이 상태에서 물고기가 걸려 드랙이 작동하면, 스풀(4)이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한다. 그러면 제2 발음 기구(94)가 발음하여 그것을 낚시꾼에게 알린다. 그리고 설정된 드랙력으로 스풀(4)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스피닝 릴의 제2 발음 기구(94)에서는,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99a, 99b)가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톱니 멈춤쇠 부재(98)는 요철부(95a)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톱니 멈춤쇠 부재(98)가 요철부(95a)에 접촉하였을 때, 압박 부재(99a, 99b)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 부재(98)가 회전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회전 방향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음시에 스풀(4)의 회전 토크가 크게 변동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스풀(4)을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또렷한 발음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프론트 드랙을 가지는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타입의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발음 기구(94)는 권사 몸통부(75a)에 일체 형성된 제1 부재(95)와,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2 부재(96)와, 제1 부재(95)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95a)와, 제2 부재(96)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철부(95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 쇠 부재(98)와, 제2 부재(96)의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양측에 설치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98)를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99a, 99b)를 가지고 있었지만,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대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즉, 스풀축(15)의 외주에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부재(195)와, 권사 몸통부(175a)의 내주에 일체 형성된 제2 부재(196)와, 제1 부재(195)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195a)와, 제2 부재(196)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요철부(195a)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198)와, 제2 부재(196)의 톱니 멈춤쇠 부재(198)의 양측에 설치되어 톱니 멈춤쇠 부재(198)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199a, 199b)로 제2 발음 기구(194)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95)는 권사 몸통부(75a)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었지만,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본체(75)와 제1 부재(295, 395)를 별체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25에서는, 스풀 본체(275)의 권사 몸통부(275a)의 내주부에, 제1 부재(295)를 장착하기 위한 파상(波狀)의 요철부(275i)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295)는 요철부(275i)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부재(295)는 요철부(275i)를 따른 요철부(295a)가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금속제의 내측 테두리붙이의 원통형의 부재이다. 요철부(295a)는 원통형의 금속 박판의 내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톱니 멈춤쇠 부재(98)의 선단의 톱니 멈춤쇠부(98a)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7에서는, 깊은 홈형의 스풀(304)을 개시하고 있다. 제1 부재(395)는, 권사 몸통부(375a)의 내주 측에 형성된 예를 들어 4개의 요철부(375j)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부재(375)는 요철부(375j)를 따른 4개의 요철부(395a)와 그것보다 내주 측으로 패여 권사 몸통부(375a)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나머지의 요철부(395b)가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나열되어 형성된 금속제의 통상 부재이다. 즉, 요철부는 대소 2종류의 요철부(395a, 395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철부(395a, 395b)를 가지는 제1 부재(395)는, 4개의 요철부(395a)에서 스풀(304)의 권사 몸통부(375a)의 내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권사 몸통부(375a)에 형성하는 요철부(375j)의 수가 줄어들어, 스풀(304)을 단조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요철부(375j)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 요철부(375j)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요철부(395a, 395b)의 수보다도 적으면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10개 이내가 단조에 의하여 요철부(375j)를 형성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톱니 멈춤쇠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가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을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또렷한 발음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내주(內周)에 상기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凹凸部)부를 가지는 제1 발음부와,
    상기 스풀축의 외주(外周)에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요철부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를 가지고, 상기 스풀이 회전하였을 때 상기 요철부가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제2 발음부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스풀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스풀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4.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의 외주에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를 가지는 제1 발음부와,
    상기 스풀의 내주에 상기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요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요철부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톱니 멈춤쇠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를 양측으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중립 위치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 부재를 가지고, 상기 스풀이 회전하였을 때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가 상기 요철부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제2 발음부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코일 용수철인,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릴은, 상기 스풀의 회전을 규제하는 프론트 드랙 기구를 상기 스풀 내부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발음부 및 상기 제2 발음부는 상기 프론트 드랙 기구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드랙 기구는, 상기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드랙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의 드랙판의 하나와 겸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1020040086101A 2003-10-28 2004-10-27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101048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6919A JP4455007B2 (ja) 2003-10-28 2003-10-28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JP-P-2003-00366919 2003-10-28
JPJP-P-2003-00368958 2003-10-29
JP2003368958A JP2005130741A (ja) 2003-10-29 2003-10-29 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04-00004510 2004-01-09
JP2004004510A JP4314119B2 (ja) 2004-01-09 2004-01-09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51A KR20050040751A (ko) 2005-05-03
KR101048726B1 true KR101048726B1 (ko) 2011-07-14

Family

ID=3442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101A KR101048726B1 (ko) 2003-10-28 2004-10-27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75121B2 (ko)
EP (1) EP1527681B1 (ko)
KR (1) KR101048726B1 (ko)
CN (1) CN100456930C (ko)
AT (1) ATE346497T1 (ko)
DE (1) DE602004003453T2 (ko)
MY (1) MY134763A (ko)
SG (1) SG111223A1 (ko)
TW (1) TW2005228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5706B2 (en) * 2005-09-22 2007-10-02 Shimano Inc. Spool for spinning reel
JP4863928B2 (ja) * 2007-05-21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7757989B1 (en) * 2009-06-30 2010-07-20 Electric Fishing Reel Systems, Inc. Teaser reel with alarm
JP5258688B2 (ja) * 2009-07-14 2013-08-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KR101193910B1 (ko) * 2010-03-08 2012-10-2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발생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JP5507374B2 (ja) * 2010-07-26 2014-05-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JP5993713B2 (ja) * 2012-10-31 2016-09-14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JP6132543B2 (ja) * 2012-12-20 2017-05-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226071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198539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けリール
EP2853159B1 (en) * 2013-09-27 2017-04-05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JP6352618B2 (ja) * 2013-11-19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395383B2 (ja) * 2014-01-23 2018-09-2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1530362S (ko) * 2015-01-06 2015-08-03
JP1551421S (ko) * 2015-01-29 2016-06-13
JP6664974B2 (ja) * 2016-01-25 2020-03-1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10543630B2 (en) 2017-02-27 2020-01-28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employing a friction based tension mechanism
FI3589151T3 (fi) * 2017-03-01 2023-07-18 Boa Tech Inc Rullapohjainen sulkujärjestelmä
JP7013204B2 (ja) * 2017-10-27 2022-01-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7088670B2 (ja) * 2017-12-27 2022-06-21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JP7133417B2 (ja) * 2018-09-26 2022-09-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DE102021112890B4 (de) 2020-05-18 2024-08-29 Shimano Inc. Spinnrolle
JP1705292S (ja) * 2021-05-12 2022-01-18 釣用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61U (ja) * 1993-06-23 1995-01-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クリック音発生装置
JP2000125716A (ja) * 1998-10-28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2233277A (ja) * 2001-02-08 2002-08-20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45369A (ja) * 2001-05-29 2002-12-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0640A (en) * 1923-10-16 Fishing reel
US1115282A (en) * 1912-06-29 1914-10-27 Enterprise Mfg Co Fishing-reel.
US1398189A (en) * 1920-03-25 1921-11-22 Walter E Hodges Fishing-line reel
US1439926A (en) * 1921-05-10 1922-12-26 Teutsch Charles Fishing reel
US1639629A (en) * 1923-07-26 1927-08-16 Enterprise Mfg Co Click mechanism for fishing rerls
US2263237A (en) * 1939-10-18 1941-11-18 Walter W Fiscus Single action fishing reel
US2336737A (en) * 1940-05-09 1943-12-14 Enterprise Mfg Co Fishing reel
US2633308A (en) * 1949-03-24 1953-03-31 Edward L Zientowski Fishing reel
US2659545A (en) * 1950-01-11 1953-11-17 Clyde D Shelburne Fishing reel
US3138343A (en) * 1962-04-25 1964-06-23 Penn Fishing Tackle Mfg Co Fishing reels
SE397250B (sv) * 1975-10-06 1977-10-31 Abu Ab Knarrsignalanordning vid fiskerulle
JPH0246300Y2 (ko) * 1985-04-19 1990-12-06
JPH0616508Y2 (ja) 1988-10-31 1994-05-02 島野工業株式会社 両軸受リール
JPH0610774Y2 (ja) * 1988-11-07 1994-03-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クリック装置
JP2573084Y2 (ja) * 1993-10-21 1998-05-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JP3569372B2 (ja) 1996-01-11 2004-09-22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発音機構
JPH1042755A (ja) 1996-07-29 1998-02-17 Seiko Instr Inc リール
KR19990010082A (ko) * 1997-07-15 1999-02-05 오철석 베이트 케스팅 릴
US6116531A (en) * 1998-11-19 2000-09-12 Pacific Products Fishing reel drag mechanism
US6688545B2 (en) * 2002-01-22 2004-02-10 Shimano Inc. Fishing-reel sound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61U (ja) * 1993-06-23 1995-01-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クリック音発生装置
JP2000125716A (ja) * 1998-10-28 2000-05-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2233277A (ja) * 2001-02-08 2002-08-20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45369A (ja) * 2001-05-29 2002-12-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7681A1 (en) 2005-05-04
SG111223A1 (en) 2005-05-30
CN1611112A (zh) 2005-05-04
CN100456930C (zh) 2009-02-04
DE602004003453T2 (de) 2007-09-27
KR20050040751A (ko) 2005-05-03
MY134763A (en) 2007-12-31
TW200522862A (en) 2005-07-16
EP1527681B1 (en) 2006-11-29
US7175121B2 (en) 2007-02-13
US20050145735A1 (en) 2005-07-07
DE602004003453D1 (de) 2007-01-11
ATE346497T1 (de) 200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726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KR10169422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변속 조작 기구
US7232087B2 (en) Spinning reel drag mechanism
TW440425B (en)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KR20080110492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11019427A5 (ko)
KR20080075776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KR20140071879A (ko)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KR20090066216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384000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60090574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KR2009006620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KR10104872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62768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6296203A5 (ko)
JP2006238746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414755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39813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43141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KR20150101905A (ko) 스피닝 릴
JP44274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430790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調整つまみ
JP44550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