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208A -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208A
KR20090066208A KR1020080110991A KR20080110991A KR20090066208A KR 20090066208 A KR20090066208 A KR 20090066208A KR 1020080110991 A KR1020080110991 A KR 1020080110991A KR 20080110991 A KR20080110991 A KR 20080110991A KR 20090066208 A KR20090066208 A KR 2009006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cover
fishing ree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고 키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06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탄성체제의 커버부가 일체 성형된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커버부의 성형 시에 손잡이 내로 커버부의 원료가 흘러 들어가지 않게 한다.
[해결 수단] 핸들 손잡이(9)는, 장착부(90)와 제1 손잡이(92)와 제2 손잡이(93)와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는, 손잡이축의 외주(外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것이다.
제1 손잡이는 장착부에 설치되고, 장착부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開口部, 92a)와 제1 개구부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감합부(嵌合部, 92b)를 가지는 중공(中空)의 것이다. 제2 손잡이는, 제1 손잡이의 제1 개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개구부(93a)와, 제2 개구부의 내주(內周)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감합부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한 제2 감합부(93b)를 가지는 중공의 것이다. 커버부는, 적어도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덮도록 형성된 탄성체제의 것이다.
Figure P1020080110991
핸들 손잡이, 핸들 조립체, 개구부, 캡 부재, 핸들 암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핸들 암의 선단(先端)에 고정된 손잡이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핸들 손잡이 및 그것을 이용한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이나 양 베어링 릴 등의 낚시용 릴의 핸들 축의 선단에는, 핸들 조립체가 고정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축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과, 핸들 암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축과, 손잡이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외형이 전체를 손바닥으로 악지(握持, 잡도록 지지하는 것) 가능한 형상, 예를 들어 외형이 대략 계란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부(外周部)를 합성 고무 등의 탄성체로 피복된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핸들 손잡이는, 손잡이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장착부와, 장착부와 일체 성형된 중공(中空)의 제1 손잡이와, 제1 손잡이 나사 멈춤된 제2 손잡이와, 제1 및 제2 손잡이의 외주부를 덮도록 형성된 연질의 탄성체제의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는 손잡이축과 직교하는 면에서 맞대어져 있 고, 그 내주(內周) 측에 형성된 통상(筒狀)의 보스부끼리가 요철 감합(嵌合)하여 있다. 이 보스부를 관통하는 나사 부재에 의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는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핸들 손잡이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각각 형 성형에 의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제1 및 제2 손잡이를 나사 부재에 의하여 고정한 후에 커버부를 인서트 성형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손잡이가 고정된 손잡이 조립체를 형의 이동형에 장착하고, 고정형 측으로부터 커버부로 되는 원료의 유체를 제2 손잡이 측으로부터 형의 내부로 흘려 넣어 경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커버부가 손잡이 조립체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핸들 손잡이에서는, 연질의 탄성체제의 커버부로 외주부가 덮여 있다. 이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잡았을 때의 감촉이 양호하게 되는 것과 함께, 강한 힘으로 잡기 쉬워진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20985호
종래의 핸들 손잡이에서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가 맞대어져 있으므로, 커버부를 제1 및 제2 손잡이의 외주면에 인서트 성형할 때에, 형의 내부의 압력의 상승에 의해 맞댐 부분이 벌어질 우려가 있다. 맞댐 부분이 벌어지면, 벌어진 맞댐 부분으로부터 원료가 내부로 흘러 들어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탄성체제의 커버부가 일체 성형된 핸들 손잡이에 있어서, 커버부의 성형 시에 손잡이 내로 커버부의 원료가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낚시용 릴의 핸들 암의 선단에 고정된 손잡이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손잡이이고, 장착부와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와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는, 손잡이축의 외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것이다. 제1 손잡이는 장착부에 설치되고, 장착부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1 개구부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감합부를 가지는 중공의 것이다. 제2 손잡이는, 제1 손잡이의 제1 개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개구부와, 제2 개구부의 내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감합부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한 제2 감합부를 가지는 중공의 것이다. 커버부는, 적어도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덮도록 형성된 탄성체제의 것이다.
이 핸들 손잡이에서는, 제작 시에는 장착부와 제1 손잡이를 일체 성형하거나, 장착부에 제1 손잡이를 별체로 제작하여 양자를 고정하거나 한다. 그리고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제1 및 제2 감합부에서 요철 감합한다. 요철 감합 후는,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 나사 멈춤이나 탄성 계합이나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으로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고정한다.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조립이 완료하면, 커버부를 성형하기 위한 형 안에 조립체를 넣어 커버부를 조립체와 일체 성형한다. 이 성형 시에는, 제2 손잡이 측으로부터 제1 손잡이 측으로 커버부로 되는 원료의 유체가 흐른다.
여기에서는, 제1 감합부가 제1 개구부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감합부가 제2 개구부의 내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 감합부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2 감합부는 제1 감합부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제2 감합부는 제1 감합부의 외주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감합부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제1 손잡이로부터 제2 손잡이로 향하여 계단상(階段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감합부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형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감합 부분으로부터 유체가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발명 1에 기재된 손잡이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개구부는 손잡이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감합 부분이 손잡이축과 직교하는 평 면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손잡이를 감합하기 쉬워진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손잡이에 있어서,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는 실질적으로 최대 외경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손잡이가 최대 외경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손잡이를 형 성형으로 성형하기 쉬워진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손잡이에 있어서, 제1 손잡이는 합성 수지제이고, 장착부는 금속제이며, 제1 손잡이는, 장착부에 형 성형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손잡이는, 금속제의 장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 안에 넣어 형 성형되고, 장착부에 일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장착부에 제1 손잡이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손잡이에 있어서, 제2 손잡이는 손잡이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나사 구멍을 가지고, 제1 손잡이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복수의 나사 구멍에 나합(螺合)하는 복수의 제1 나사 부재에 의하여 제1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손잡이가 제1 손잡이 측으로부터 삽입된 제1 나사 부재에 의하여 제1 손잡이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손잡이 측에 제1 나사 부재가 노출하지 않는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손잡이에 있어서, 제2 손잡이는, 손잡이축의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3 개구부를 더 가지고, 제3 개구부를 가리는 캡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핸들 손잡이를 손잡이축으로 빠짐 방지하기 위한 나사 부재를 제2 손잡이 측으로부터 손잡이축의 선단에 장착해도, 캡 부재를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제3 개구부가 노출하여 나사 부재를 착탈(着脫)할 수 있어, 핸들 손잡이를 교환 가능하게 된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는, 발명 6에 기재된 손잡이에 있어서, 캡 부재는, 캡 부재 측으로부터 장착되고 복수의 나사 구멍에 나합하는 복수의 제2 나사 부재에 의하여 제2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나사 부재에 나합하는 나사 구멍에 제2 나사 부재도 나합하므로, 1 종류의 나사 구멍에 2 종류의 나사 부재를 나합시킬 수 있고, 나사 구멍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가공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는, 낚시용 릴의 핸들 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조립체이고, 핸들 축의 선단에 기단(基端)이 장착되고 핸들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핸들 암의 선단에 고정되고 핸들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축과,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핸들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상기 핸들 손잡이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그것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감합부가 제1 개구부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감합부가 제2 개구부의 내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 감합부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2 감합부는 제1 감합부 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제2 감합부는 제1 감합부의 외주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감합부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제1 손잡이로부터 제2 손잡이로 향하여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감합부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형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감합 부분으로부터 유체가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전체 구성 및 릴 본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 조립체(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과 릴 본체(2)의 우측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핸들 조립체(1)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8a, 도 2)의 선단에 장착되고, 핸들축(8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8)과, 핸들 암(8)의 선단에 고정되고, 핸들축(8a)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축(18, 도 3)과, 손잡이축(1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축(18)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암(8)의 선단에 코 킹(caulking) 고정되어 있다.
〔핸들 손잡이의 구성〕
핸들 손잡이(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T자 형상의 부재이다. 핸들 손잡이(9)는 손잡이축(1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축(18)의 기단 측에는, 손잡이축(18)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핸들 손잡이(9)를 고정하기 위한 대경부(大徑部, 18a)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 손잡이(9)는, 손잡이축(18)의 외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90)와, 장착부(90)의 외주면에 일체 성형에 의하여 고정된 대략 계란형 단면 형상의 손잡이부(91)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90)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통상의 부재이다. 장착부(90)의 내주부에는, 핸들 손잡이(9)를 손잡이축(18)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1쌍의 베어링(96a, 96b)이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축(18)의 선단에는, 핸들 손잡이(9)를 손잡이축(18)에 빠짐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볼트(97)가 틀어넣어져 있다. 빠짐 방지 볼트(97)는, 장착부(90)의 선단 측에 형성된 베어링(96b) 장착용의 장착 구멍(90a) 내에서 베어링(96b)을 통하여 장착부(90)를 손잡이축(18)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고 있다. 장착부(90)의 손잡이부(91)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부(91)를 일체 성형할 때에 손잡이부(91)와의 결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한 2개의 환상(環狀) 홈(90b, 90c)이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90b, 90c)이 형성된 부분에는, 커버부(94) 및 후술하는 제1 손잡이(92)를 일체 성형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소경(小徑)의 소경부(90d)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1)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제1 및 제2 손잡이(92, 93)와, 제1 및 제2 손잡이(92, 93)의 외주부를 덮는 탄성체제의 커버부(94)와, 제2 손잡이(93)에 장착된 캡 부재(95)를 가지고 있다.
제1 손잡이(92)는, 장착부(90)에 설치되고, 장착부(90)로부터 이반하는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92a)와, 제1 개구부(92a)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감합부(92b)를 가지는 중공(中空)의 부재이다. 제1 손잡이(92)는,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등의 성형용의 형의 내부에 장착부(90)의 적어도 일부를 넣는 형 성형에 의하여 금속제의 장착부(90)의 외주면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장착부(90)에 제1 손잡이(92)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손잡이(92)에는, 손잡이축(18)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제2 손잡이(93)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제1 고정 볼트(제1 나사 부재의 일례, 98)가 관통 가능한 복수(예를 들어, 2개)의 관통 구멍(92c)이 손잡이축(18)을 중심으로 손잡이축(18)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고정 볼트(98)는, 제1 손잡이(92)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2 손잡이(93)에 나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고정 볼트(98)가 제2 손잡이(93) 측에 노출하지 않는다.
제2 손잡이(93)는, 제1 손잡이(92)와 요철 감합되는 제2 개구부(93a)와, 제2 개구부(93a)의 내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감합부(92b)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한 제2 감합부(93b)와, 제2 개구부(93a)와 역측에 형성된 제3 개구부(93c)를 가지는 중공의 부재이다. 여기서, 제1부터 제3 개구부(92a, 93a, 93c)는, 손잡이축(18)과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92, 93)를 감합하기 쉬워진다. 또, 제1 손잡이(92)와 제2 손잡이(93)는 최외경(最外徑)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손잡이(92, 93)를 형 성형으로 성형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손잡이(92)의 제1 감합부(92b)와 제2 손잡이(93)의 제2 감합부(93b)에 있어서, 제1 감합부(92b)가 제1 개구부(92a)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감합부(93b)가 제2 개구부(93a)의 내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 감합부(92b)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2 감합부(93b)는 제1 감합부(92b)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제2 감합부(93b)는 제1 감합부(92b)의 외주 측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감합부(92b, 93b)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제1 손잡이(92)로부터 제2 손잡이(93)로 향하여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손잡이(93)에는, 제1 고정 볼트(98)가 나합하는 암나사 구멍(93d, 나사 구멍의 일례)이 관통 구멍(92c)과 동심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손잡이(93)는, 제1 손잡이(92) 측으로부터 삽입된 복수의 제1 고정 볼트(98)에 의하여 제1 손잡이(9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92, 93)의 외주면에는, 커버부(94)와의 결합을 높이기 위한 오목부(92d, 93e)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3 개구부(93c)는, 캡 부재(95)에 의하여 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캡 부재(95)를 배치하면, 캡 부재(95)를 제2 손잡이(93)로부터 떼어 내는 것에 의하여, 제3 개구부(93c)를 노출하여 빠짐 방지 볼트(97)를 손잡이축(18)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고, 핸들 손잡이(9)의 빠짐 방지가 해제되어 핸들 손잡이(9)를 교환 가능하게 된다.
캡 부재(95)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부재(95)의 외측면은, 커버부(94)에 이어지도록 3차원적으로 만곡(彎曲)하여 형성되어 있다. 캡 부재(95)는, 제2 손잡이의 제3 개구부(93c)의 외주 측에서 커버부(94)에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캡 취부부(94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캡 부재(95)는, 캡 부재(95) 측으로부터 삽입되고, 나사 구멍(93d)에 나합하는 제2 고정 볼트(제2 나사 부재의 일례, 99)에 의하여 제2 손잡이(93)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1 종류의 나사 구멍(93d)에 제1 고정 볼트(98)와 제2 고정 볼트(99)의 2 종류의 나사 부재를 나합시킬 수 있고, 나사 구멍(93d)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가공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커버부(94)는 예를 들어, 액티마(ACTYMER)(상표) 등의 연질의 탄성체제의 부재이다. 커버부(94)는, 장착부(90)에 일체 성형된 제1 손잡이(92)에 제2 손잡이(93)를 제1 고정 볼트(98)에 의하여 고정한 상태로, 그러한 조립체의 외주면에 대략 일정한 두께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 성형된다. 또, 커버부(94)는, 장착부(90)의 환상 홈(90b)이 형성된 소경부(90d)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대경부(90e)와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한 외주면으로 되도록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94)를 일체 성형할 때에는, 커버부(94)로 되는 원료의 유체는, 예를 들어 캡 부재(95)가 끼워 넣어지는 면의 내주부로부터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원료의 유체의 공급구의 흔적이 캡 부재(95)에 의하여 가려져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는, 제2 감합부(93b)는 제1 감합부(92b)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제2 감합부(93b)는 제1 감합부(92b)의 외주 측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감합 부(92b, 93b)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제1 손잡이(92)로부터 제2 손잡이(93)로 향하여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감합부(92b, 93b)는 외주부로부터 내주부로 향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형의 내부의 압력이 상승해도 제1 손잡이(92)와 제2 손잡이(93)의 감합 부분으로부터 유체가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2d)를 가진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릴 보디(2a)와, 개구(2d)를 가리도록 릴 보디(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덮개 부재(2b)와,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되는 장대 취부 다리(2c)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에는 플랜지부(2e)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릴 보디(2a)에는 플랜지부(2e)로부터 한층 더 전방으로 돌출하는 원통부(2f)가 형성되어 있다. 릴 본체(2)의 후부(後部)는 가드 부재(17)에 의하여 덮여 있다.
〔로터 구동 기구의 구성〕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의 핸들축(8a)이 고정된 메인 기어축(10), 메인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메인 기어(11)와, 메인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메인 기어 축(10)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통상의 축이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에 장착된 베어링(26a, 26b)에 의하여 양단 지지되어 있다. 메인 기어축의 내주면에는 우단(右端)에 우(右)나사인 제1 암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좌단(左端)에 좌(左)나사인 제2 암나사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기어축(10)의 베어링(26b) 측에는, 메인 기어(11)를 장착하기 위한 원형의 취부 플랜지(10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메인 기어(11)는 메인 기어축(10)의 외주 측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메인 기어(11)는, 외주 측 측면에 페이스 기어의 형태의 기어부(11a)를 가지고 있고, 내주부에는 메인 기어축(10)에 감합하며 베어링(26a) 측으로 돌출하는 통상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11c)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 원웨이 클러치(52)를 구성하는 용수철 부재(64)가 마찰 계합한 상태로 장착되는 환상 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기어(11)와 취부 플랜지(10c)의 사이에는 메인 기어(1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원판(11b)이 취부되어 있다. 보강 원판(11b)은 취부 플랜지(10c)보다 대경의,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며, 메인 기어(11)의 보강 원판(11b) 측으로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강 원판(11b)은, 메인 기어(11)와 함께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취부 볼트(27a)에 의하여 취부 플랜지(10c)에 고정되고, 메인 기어(11)는 한층 더 취부 플랜지(10c)의 직경 방향 외방에서 보강 원판(11b)에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취부 볼트(27b)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통상의 부재이며, 도 2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릴 보디(2a)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의 하방(下方)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나축(21)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후단부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의 후부 벽면(2g)에 장착된 베어링(3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35)의 외륜(外輪)은, 후부 벽면(2g)의 외측면(2h)에 고정된 누름판(29b)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누름판(29b)은, 외륜보다 소경의 외륜 규제용의 누름 구멍(29e)을 가지고 있다. 또, 누름판(29b)과 외측면(2h)의 사이에는, 판상(板狀)의 실(seal) 부재(29a)가 배치되어 있다. 실 부재(29a)는 베어링(35)의 외륜보다 대경의 통과 구멍(29f)을 가지고 있다. 누름판(29b)의 외측에는, 커버판(29c)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부재(29a ~ 29c)는 후부 벽면(2g)에 틀어넣어진 2개의 나사 부재(29d)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실 부재(29a)에 외륜이 접촉하지 않게 되고, 나축(21)이 덜걱거리기 어렵게 되어 슬라이 더(22)의 전후 이동이 안정된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 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릴 보디(2a)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의 가이드 축(28a, 28b)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스풀 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풀 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 축(15)은 중간부가 너트(13) 내에 장착된 베어링(16)에 의하여, 후부가 피니언 기어(12)의 후부 내주면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축(15)이 피니언 기어(12)와 상대 회전하면서 전후 이동할 때에, 피니언 기어(12)에 스풀 축(15)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 축(15)의 표면에는 무전해 Ni 도금이 시공되어 있다. 스풀 축(15)의 선단에는, 서로 평행한 면으로 구성된 회전 멈춤을 위한 계지면(係止面, 15a)과 드랙 조정용의 수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터 본체(33)와, 로터 본체(33)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34)을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33)는, 피니언 기어(12)에 연결되는 통상의 연결부(30)와, 연결부(30)의 후단부의 제1 측으로부터 연결부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로터 암(31)과, 연결부(30)의 후단부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으로부터 연결부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연결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을 가지는 로터 본체(3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 성형되어 있다.
연결부(30)의 중간부에는 벽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벽부(30a)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0b)의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30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30c)을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 축(15)이 관통하고 있다. 벽부(30a)의 전부에 로터(3)를 피니언 기어(12)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은 연결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부(30)의 둘레 방향으로 넓어져 만곡하고 있다. 제2 로터 암(32)은 연결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부(30)와의 접속부는 연결부(30)의 둘레 방향으로 넓어져 만곡하고 있다. 덧붙여, 제2 로터 암(32)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의 외방을 각각 덮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36a, 36b)와, 연결부(30)의 후단부를 덮는 제3 커버 부재(37)와, 제1 및 제2 커버 부재(36a, 36b)와 제3 커버 부재(37)를 접합하기 위하여 로터 본체(33)에 설치된 제1 및 제2 접합 돌기(38a, 38b)를 더 가지고 있다.
제1 커버 부재(36a)는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는 3차원 곡면으로 구성된 외측면을 가지고 있고, 제1 로터 암(31)에 나사(55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1 커버 부재(36a)의 제1 접합 돌기(38a)와의 접합면(36c)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36b)는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는 3차원 곡면으로 구성된 외측면을 가지고 있고, 제2 로터 암(32)에 나사(55b)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과 함께, 연결부(30)의 후면에 제3 커버 부재(37)와 함께 나사(55c)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나사(55c)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제2 커버 부재(36b)에는 내방(內方)으로 돌출하는 판상의 취부부(36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36b)의 제2 접합 돌기(38b)와의 접합면(36f)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커버 부재(37)는, 릴 본체(2)의 플랜지부(2e)가 배치 가능하게 중심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37a)와, 제1 및 제2 접합 돌기(38a, 38b)에 접촉 가능하게 양측에 형성된 접합면(37b, 37c)을 가지고 있다. 제3 커버 부재(37)는 2개의 나사(55c, 55d)에 의하여 연결부(3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접합 돌기(38a)는 제1 커버 부재(36a)와 접합하는 평면으로 구성된 접합면(38c)과, 제3 커버 부재(37)와 접합하는 평면으로 구성된 접합면(38d)을 가지고 있다. 접합면(38c)은 제1 커버 부재(36a)의 접합면(36c)에 접합하고, 접합면(38d)은 제3 커버 부재(37)의 접합면(37b)에 접합한다. 제1 접합 돌기(38a)는 접합면(38c, 38d)의 사이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하는 것이다. 제1 접합 돌기(38a)는 연결부(30)와 제1 로터 암(31)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고, 두께가 일정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접합 돌기(38a)는, 제1 커버 부재(36a)와 제3 커버 부재(37)의 접합 부분을 향하여 비스듬히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1 접합 돌기(38a)의 외부로 노출하는 단면은, 제1 커버 부재(36a) 및 제3 커버 부재(37)의 외측면과 면일하 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접합 돌기(38b)는 제2 커버 부재(36b)와 접합하는 평면으로 구성된 접합면(38e)과, 제3 커버 부재(37)와 접합하는 평면으로 구성된 접합면(38f)을 가지고 있다. 접합면(38e)은 제2 커버 부재(36b)의 접합면(36f)에 접합하고, 접합면(38f)은 제3 커버 부재(37)의 접합면(37c)에 접합한다. 제2 접합 돌기(38b)는 접합면(38e, 38f)의 사이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하는 것이다. 제2 접합 돌기(38b)는 연결부(30)와 제2 로터 암(32)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고, 두께가 일정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접합 돌기(38b)는 제2 커버 부재(36b)와 제3 커버 부재(37)의 접합 부분을 향하여 비스듬히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 접합 돌기(38b)의 외부로 노출하는 단면은, 제2 커버 부재(36b) 및 제3 커버 부재(37)의 외측면과 면일하게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 (36a, 36b)와 제3 커버 부재(37)의 접합 부분은, 제1 및 제2 접합 돌기(38a, 38b)의 평면으로 구성된 접합면(38c, 38e)과 접합면(38d, 38f)에 각각 접합되므로, 제1 및 제2 커버 부재 (36a, 36b) 및 제3 커버 부재(37)가 제1 및 제2 접합 돌기(38a, 38b)와 평면으로 접합된다. 이 때문에, 어느 하나의 커버 부재에 힘이 작용해도 그 힘을 평면으로 구성된 접합면(36c 내지 36f)의 어느 하나로 받을 수 있어, 타방(他方)의 커버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방(一方)의 커버 부재에 힘이 작용해도 타방의 커버 부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 부재(36a, 36b, 37)와 제1 및 제2 접합 돌기(38a, 38b)의 접합면이 평면이다. 이 때문에, 접합 부분의 형상이 간소화되고, 제1 및 제2 커버 부재(36a, 36b)와 제3 커버 부재(37)를 형 성형 등에 의하여 형성해도, 접합 부분을 맞추기 쉬워진다.
〔베일 암의 구성〕
낚싯줄 안내 기구인 베일 암(3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의 선단에 줄 해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베일 반전 기구(39, 도 8)에 의하여 줄 해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 나누어 압박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제2 로터 암(32)의 선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장착된 라인 롤러(41)를 가지고 있다. 또, 베일 암(34)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고정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된 고정축(43)과, 고정축(43)의 선단 측에 배치된 고정축 커버(44)와, 고정축 커버(44)와 제2 베일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베일(45)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베일 암(34)은, 고정축(43)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56)를 포함하는 고정 구조(46)를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도 10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크롬 도금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 피막에 의하여 외측면이 덮인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이 크롬 도금에 의하여 표면이 경질이 되어, 낚싯줄의 접촉에 의한 외측면의 손상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외측면의 선단 측에는, 고정 볼트(56)의 머리부(56a)가 수납되는 제1 수납 오목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단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제1 로터 암(31)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 볼트(49)의 머리부(49a)가 수납되는 원형의 제2 수납 오목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수납 오목부(40a)는, 대경의 원과 축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소경의 원을 이은 것과 같은 형상으로 비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납 오목부(40a)는 축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납 오목부(40a)의 대경의 원의 중심에는, 고정 볼트(56)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40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소경의 원의 중심에는 고정 구조(46)를 구성하는 2개의 암나사부(59a, 59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라인 롤러(41)가 배치되는 내측면의 낚싯줄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는, 낚싯줄이 라인 롤러(41)의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줄 진입 방지 리브(40e)가 180도 정도의 범위에서 라인 롤러(41)의 외주면을 덮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줄 진입 방지 리브(40e)의 내주 측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환상의 파임부(40f)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43)은 고정축 커버(44)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43)은 고정축 커버(44)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는 것과 함께, 라인 롤러(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43)은 대경의 머리부(43a)와, 머리부(43a)에 이어지고 머리부(43a)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제1 계지부(43b)와, 라 인 롤러(41)를 지지하는 지지부(43c)와, 지지부(43c)의 선단에 형성된 제2 계지부(43d)를 가지고 있다. 고정축(43)의 선단부에는, 고정 볼트(56)가 나합하는 암나사부(43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계지부(43b)는 고정축 커버(44)에 계합하고, 제2 계지부(43d)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계합하며, 이러한 계합에 의하여 고정축 커버(44)와 고정축(43)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회전 멈춤이 이루어진다.
고정축 커버(44)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U 형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5)과, 예를 들어 단조(鍛造)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에는 고정축(43)을 장착 가능한 장착 오목부(44a)가 형성되고, 장착 오목부(44a)의 저부(底部)에는 제1 계지부(43b)가 계합하는 슬롯(44b)이 형성되어 있다. 베일(45)의 선단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베어링(48a, 48b)에 의하여 고정축(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축 방향의 중심에 형성된 소경의 가이드 홈(41a)을 사이에 두고 제1 통부(41b)와 제2 통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부(41b)는 고정축 커버(44) 내로 들어가 있고, 제2 통부(41c)보다 소경이다. 제2 통부(41c)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 외주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낚싯줄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는 줄 진입 방지 리브(40e)에 덮여 있다. 라인 롤러(41)의 내부에는 베어링(48a, 48b)을 장착하기 위한 칼라(collar)나 스페이스나 와셔(washer)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구조의 구성〕
고정 구조(46)는, 외주면을 가지는 비원형부로서의 머리부(56a)를 가지고 고정축(43)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56)와, 머리부(56a)의 외주 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커버 부재(57)와, 커버 부재(57)를 관통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틀어넣기 가능하고 커버 부재(57)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는 소나사(58)와, 고정 볼트(56)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반경 위치에서 소나사(58)를 틀어넣기 가능한 2개의 암나사부(59a, 59b)와, 소나사(58) 및 커버 부재(57)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하는 회전 멈춤부(6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볼트(56)는, 비원형의 머리부(56a)와, 머리부(56a)보다 소경이며 고정축(43)의 암나사부(43e)에 나합하는 나사부(56b)를 가지고 있다. 또, 머리부(56a)는, 이 실시예에서는 8각형의 각 편(片)을 오목하게 한 8개의 회전 멈춤 오목부(56c)를 가지고 있다. 회전 멈춤 오목부(56c)는, 예를 들어 중심이 소경의 원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멈춤 오목부(56c)는 소나사(58)의 원형의 머리부(58a)에 접촉하여 계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소나사(58)의 머리부(58a)는 회전 멈춤부(61)로서 기능한다. 머리부(56a)의 표면에는, 직경을 따라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계지하기 위한 슬리팅(56d)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57)는 고정 볼트(56)의 회전 멈춤 오목부(56c)에 계합하는 회전 멈춤부(61)로서의 제1 계합면(57a)과, 고정 볼트(56)의 머리부(56a)의 배치 부분을 제외하는 제1 수납 오목부(40a)의 내벽면에 계합하는 제2 계합면(57b)을 가지고 있 다. 커버 부재(57)는 고정 볼트(56)의 머리부(56a)의 외주 측을 따라 긴 판상 부재이며, 긴쪽 방향의 일방에 소나사(58)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57c)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57)는 2개의 암나사부(59a, 59b) 중 소나사(58)가 틀어넣어져 있지 않는 암나사부(이 실시예에서는 암나사부(59b))를 커버 가능한 형상이다. 제1 계합면(57a)은 2개의 암나사부(59a, 59b)의 고정 볼트(56)의 중심의 중심각 α의 중심선 L에 대하여 대칭이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계합면(57a)을 회전 멈춤 오목부(56c)에 계합시켜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할 때, 커버 부재(57)를 표리 반전시켜 어느 것으로 회전 멈춤하는지에 의하여, 다른 위상으로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수납 오목부(40a)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외측면(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볼트(56)의 머리부(56a)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소나사(58)로 제1 수납 오목부(40a)에 고정되는 커버 부재(57)가 제1 수납 오목부(40a)에 계합하는 제2 계합면(57b)을 가지고 있으므로, 커버 부재(57)가 머리부(56a) 이외의 제1 수납 오목부(40a)를 실질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소나사(58)는, 예를 들어 슬리팅(58c)을 가지는 둥근 머리의 머리부(58a)와, 머리부(58a)보다 소경의 나사부(58b)를 가지는 소나사이다. 소나사(58)는 2개의 암나사부(59a, 59b)의 어느 하나에 틀어넣어진다.
2개의 암나사부(59a, 59b)는 소나사(58)의 머리부(58a)가 고정 볼트(56)의 회전 멈춤 오목부(56c)에 접촉하도록 고정 볼트(56)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반경 위 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나사(58)의 머리부(58a)도 회전 멈춤 오목부(56c)에 접촉하여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한다. 2개의 암나사부(59a, 59b)는 고정 볼트(56)의 중심에서의 중심각 α가 30도 이상 120도 이하이며, 또한 고정 볼트(56)의 변의 수(이 실시예에서는 8)를 N(N은 3부터 10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8)이라 하면, 360/(2×N)의 홀수배의 각도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2개의 암나사부(59a, 59b)를 배치하면, 정N각형의 고정 볼트(56)를 2개의 암나사부(59a, 59b)의 어느 하나에 틀어넣은 소나사(58)로 회전 멈춤하는 경우에, 2개의 암나사부(59a, 59b)의 어느 쪽에 틀어넣었는지로 다른 위상으로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할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암나사부(59a, 59b)가 120도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므로, 비교적 좁은 스페이스에서 2×N개의 위상으로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나사(58)의 머리부(58a)와 커버 부재(57)의 제1 계합면(57a)이 함께 회전 멈춤부(61)로서 기능하지만,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 멈춤부로서 기능하면 된다.
〔고정 볼트에 의한 고정축의 고정 순서〕
고정 볼트(56)에 의하여 고정축(43)을 고정할 때에는, 고정축(43)의 제1 계지부(43b)를 고정축 커버(44)에 계합시키도록 고정축(43)을 고정축 커버(44)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축(43)의 주위에 라인 롤러(41) 등의 부품을 장착한다. 부품의 장착이 완료하면, 고정축(43)의 선단의 제2 계지부(43d)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내측면에 계합시켜, 고정축 커버(44)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위상을 맞춘다. 이 상태로, 고정 볼트(56)의 회전 멈춤 오목부(56c)가, 예를 들어 암나사부(59a)에 틀어넣은 소나사(58)의 머리부(58a)에 계합 가능한 위치까지 고정 볼트(56)를 조인다. 그리고, 커버 부재(57)를 제1 수납 오목부(40a) 내에 배치한다. 이것으로 고정 볼트(56)의 위상이 맞은 경우에는, 나사를 암나사부(59a)에 틀어넣어 커버 부재(57)를 소나사(58)로 제1 수납 오목부(40a)에 고정한다.
이 때, 회전 멈춤 오목부(56c)의 위상이 소나사(58)의 머리부(58a)에 맞지 않을 때에는 커버 부재(57)도 배치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정 볼트(56)를 느슨하게 하거나 한층 더 강하게 조여, 소나사(58)를 암나사부(59b)에 틀어넣은 소나사(58)의 머리부(58a)에 계합 가능한 위치에 위상을 맞춘다. 이것으로 고정 볼트(56)의 위상이 맞은 경우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와는, 커버 부재(57)를 뒤집어 제1 수납 오목부(40a)에 배치하고, 소나사(58)로 고정한다.
여기에서는, 소나사(58)가 틀어넣어지지 않는 암나사부(59a, 59b)가 커버 부재(57)에 의하여 커버되므로, 소나사(58)가 틀어넣어지지 않는 암나사부(59a, 59b)로의 이물의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암나사부(59a) 또는 암나사부(59b)로의 이물의 침입에 의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원형의 머리부(56a)를 가지는 고정 볼트(56)에 의하여 고정축(43)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축(43)에 라인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고정 볼트(56)의 비원형의 머리부(56a)의 외주면에는, 회전 멈춤부(61)가 접촉하여 고정 볼트(56)가 회전 멈춤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축(43)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는 고정 볼트(56)가 느슨해지기 어렵게 되고, 고정 볼트(56)의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문제, 예를 들어 라인 롤러(41)의 덜걱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스피닝 릴의 경우, 라인 롤러(41)가 덜걱거리거나 위치가 불안정하게 되거나 하면, 줄 엉킴이 생기는 원인이 되거나 줄 씹힘이 생기는 원인이 되거나 한다.
나아가, 2개의 암나사부(59a, 59b)의 어느 하나에 소나사(58)를 틀어넣는 것에 의하여, 2×N의 위상으로 고정 볼트(56)를 회전 멈춤할 수 있고, 회전 멈춤할 수 있는 위상이 2배가 된다.
〔역전 방지 기구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연결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이 아이들링(idling)하는 롤러형의 제1 원웨이 클러치(51)와, 피니언 기어(12)의 외주 측에 배치된 멈춤쇠식의 제2 원웨이 클러치(52)를 가지고 있다. 제1 원웨이 클러치(51)는, 릴 보디(2a)의 원통부(2f) 내에 장착되고, 원통부(2f)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외륜(51a)과,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내륜(51b)과, 양륜(51a, 51b)의 사이에서 내륜(51b)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양륜(51a, 51b)의 사이로 들어가는 전동체(51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원웨이 클러치(51)는 롤러형이기 때문에, 로터(3)의 역전을 순간적으로 금지할 수 있다. 그러나, 롤러형의 제1 원웨이 클러치(51)는 허용 전달 토크가 작다. 그래서, 허용 전달 토크가 큰 멈춤쇠식의 제2 원웨이 클러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원웨이 클러치(5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의 기어 이빨(12c)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2 원웨이 클러치(52)는 로터(3)에 줄 방출 방향의 강한 부하가 작용한 경우, 제1 원웨이 클러치(51)가 미끄러져 역전했을 때에 작동하는 보조용의 원웨이 클러치이다.
제2 원웨이 클러치(5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에 배치된 래칫 휠(ratchet wheel, 62)과, 래칫 휠(62)에 맞물리는 멈춤쇠 부재(63)와, 줄 감기 방향으로 피니언 기어(12)(로터(3))가 회전했을 때에 멈춤쇠 부재(63)를 래칫 휠(62)로부터 이반시키는 용수철 부재(64)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휠(62)은 피니언 기어(12)의 기어 이빨(12c)의 전방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62)은 외주에 톱니 형상의 래칫 이빨(62a)을 가지며, 내주부에 피니언 기어(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 멈춤면(12b)에 계합하는 대략 타원형의 슬롯(62b)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레스 성형으로 래칫 휠(62)의 래칫 이빨(62a)을 작성하기 위하여, 박판(薄板) 금속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 2매의 래칫 휠(62)을 이용하고 있다. 절삭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 등의 다른 수단으로 래칫 휠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2매분의 두께로 제작하면 된다.
멈춤쇠 부재(63)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휠(62)에 맞물리는 계합 위치(도 13 이점쇄선)와 래칫 휠(62)로부터 이반하는 이반 위치(도 13 실선)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요동 범위가 규제되어 릴 보디(2a)에 장착되어 있다. 멈춤쇠 부재(63)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 본체(65)와, 멈춤쇠 본체(65)에 일체 요동 가능하게 계지된 커버(66)와, 멈춤쇠 본체(65)와 커버(66)를 일체적으로 요동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붙이 칼라(67)와, 멈춤쇠 부재(63) 를 릴 보디(2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68)를 가지고 있다.
멈춤쇠 본체(65)는, 고정 볼트(68)에 칼라(67)를 통하여 지지되는 금속제의 원판상(圓板狀)의 지지부(65a)와, 지지부(65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래칫 이빨(62a)에 맞물리는 멈춤쇠부(65b)와, 커버(66)에 계합하기 위하여 지지부(65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계합 돌기(65c, 65d)를 가지고 있다.
커버(66)는 금속 얇은 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접어 구부린 형상이며, 지지부(65a)와 마찬가지인 원판 형상의 본체부(66a)와, 본체부(66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계합 돌기(65c)의 양 측면에 계합하여 멈춤쇠 본체(65)를 요동시키는 요동 연결부(66b)와, 계합 돌기(65d)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여 용수철 부재(64)를 계지하는 용수철 걸이부(66c)를 가지고 있다. 용수철 걸이부(66c)에는 용수철 부재(64)가 계합하는 용수철 걸이 구멍(66d)이 형성되어 있다.
칼라(67)는, 대경의 테두리부(67a)와, 멈춤쇠 본체(65)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고정 볼트(68)가 통과 가능한 통부(67b)를 가지고 있다. 칼라(67)는 고정 볼트(68)에 의하여 압압(押壓)되어 커버(66)를 테두리부(67a)에 의하여 압압하고, 멈춤쇠 본체(65)에 커버(66)를 밀착시키고 있다.
고정 볼트(68)는 릴 보디(2a)에 틀어넣어져 있고, 멈춤쇠 부재(63)를 요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용수철 부재(64)는 금속제의 용수철 선재(線材)를 꺾어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용수철 부재(64)는 멈춤쇠 부재(63)를 이반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6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부(11c)의 환상 홈(11d)에 마찰 계 합한 상태로 장착된다. 용수철 부재(64)는, 환상 홈(11d)에 마찰 계합하는 C자 형상의 계합부(64a)와, 계합부(64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메인 기어축(10)과 평행으로 꺾어 구부러진 연결부(64b)와, 연결부(64b)로부터 꺾어 구부러져 용수철 걸이 구멍(66d)에 계지되는 계지부(64c)를 가지고 있다. 제1 원웨이 클러치(51)가 미끄러져 메인 기어축(10)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용수철 부재(64)가 도 13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멈춤쇠 부재(63)는 이반 위치로부터 래칫 휠(62)에 맞물리는 계합 위치로 요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원웨이 클러치(52)에서는, 핸들 조립체(1)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메인 기어축(1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 용수철 부재(64)가 도 1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칼라(67)를 통하여 멈춤쇠 본체(65)가 요동하여, 멈춤쇠 부재(63)를 도 1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계합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하는 이반 위치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멈춤쇠 부재(63)가 래칫 휠(62)과 충돌하지 않게 되어,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과 함께 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제1 원웨이 클러치(51)가 미끄러져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메인 기어축(10)이 도 13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용수철 부재(64)가 도 13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멈춤쇠 부재(63)는 이반 위치로부터 래칫 휠(62)에 맞물리는 계합 위치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멈춘다.
이 역전 방지 기구(50)는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역전을 상시 금지하고 있고, 역전을 허가하는 상태를 취하는 일은 없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 축(15)에 장착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권사(卷絲)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부 및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후의 플랜지부(4b, 4c)와, 후 플랜지부(4c)에 일체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d)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의 내부에는, 설정된 드랙력이 스풀(4)에 작용하도록 스풀(4)을 제동하는 드랙 기구(60)와, 드랙 작동 시에 발음(發音)하는 드랙 발음 기구(85)가 수납되어 있다.
〔드랙 기구의 구성〕
드랙 기구(6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하여 스풀(4)에 드랙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랙 기구(60)는 드랙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드랙 손잡이 조립체(70)와, 드랙 손잡이 조립체(70)에 의하여 스풀(4) 측에 압압되어 드랙력이 조정되는 전후의 마찰부(71, 72)를 구비하고 있다. 드랙 손잡이 조립체(70)는 스풀(4)의 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 마찰부(71)는 스풀(4)의 권사 몸통부(4a)의 내부에 배치되고, 후 마찰부(72)는 후 플랜지부(4c)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드랙 손잡이 조립체의 구성〕
드랙 손잡이 조립체(70)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재(76) 및 제1 부재(76)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제2 부재(77)를 가지는 손잡이부(73)와, 손잡이부(73)와 스풀(4)의 간극(間隙)을 실(seal)하는 실 부재(74)와, 제1 부재(76)와 제2 부재(77)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손잡이 발음 기구(78, 도 15)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73)는 제1 및 제2 부재(76, 77)를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빠짐 방지 용수철(79)을 더 가지고 있다.
제1 부재(76)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76a)와, 테두리부(76a)보다 소경의 원통부(76b)를 가지는 테두리붙이 통상의,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제1 부재(76)는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테두리부(76a)의 전단면에는, 손잡이 발음 기구(78)를 구성하는 다수의 음출(音出)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76b)의 후부 내주부에는, 스풀 축(15)의 계지면(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타원 형상의 계지 슬롯(76c)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76b)의 외주면에는 실 부재(74)가 장착되는 환상 홈(76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부(76b)의 후단면이 전 마찰부(71)에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합)한다.
제2 부재(77)는 제1 부재(76)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1 부재(76)와 상대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부재(77)는 스풀 축(15)에 나합하는 것과 함께, 테두리부(76a)를 덮도록 제1 부재(76)를 향하여 통상으로 돌출하는 부재이다. 제2 부재(77)는, 손잡이체(81)와, 손잡이체(81)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 축(15)에 나합하는 너트부(82)와, 너트부(82)와 제1 부재(76)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용수철 부재(83)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체(81)는, 원판부(81a)와, 원판부(81a)보다 소경의 통상의 돌출부(81b)와, 원판부(81a)의 전면(前面)에 직경 방향을 따라 고정된 금속제의 조작 손잡이(81c)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81b)는, 제1 부재(76)의 테두리부(76a)를 덮도록 제1 부재(76)를 향하여 통상으로 돌출하여 있다. 돌출부(81b)로 덮인 제1 부재(76)의 테두리부(76a)는, 돌출부(81b)의 내주면에 장착된 빠짐 방지 용수철(79)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부재(76)와 제2 부재(77)가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손잡이체(81)의 내주부에는, 너트부(82)가 축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너트 수납부(81d)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 용수철(79)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를 꺾어 구부려 형성된 용수철 부재이다. 빠짐 방지 용수철(79)은, 예를 들어 5각형의 각이, 손잡이체(81)의 돌출부(81b)의 후단면에 환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환상 돌기(81e)에 계합하고, 각부(角部)의 사이의 편부(片部)가 제1 부재(76)의 테두리부(76a)의 후면에 접촉하여 제1 부재(76)를 빠짐 방지한다. 빠짐 방지 용수철(79)은 제2 부재(77)의 내부에 배치된 원판 형상의 명판(銘板, 86)에 의하여 커버되어 있고, 후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너트부(82)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이며, 스풀 축(15)의 선단 외주면에 형성 된 수나사부(15b)에 나합하고, 손잡이체(81)의 회동에 따라 용수철 부재(83)를 압축한다.
실 부재(74)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다. 실 부재(74)는, 스풀(4)의 내주면과 제1 부재(76)의 원통부(76b)의 외주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실 부재(74)는, 원통부(76b)에 감합하는 통상부(74a)와, 통상부(74a)의 내주면에 환상 홈(76d)에 장착 가능하게 돌출하여 형성된 계지부(74b)와, 통상부(74a)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풀(4)의 내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부(74c)를 가지고 있다. 통상부(74a)의 전단은, 빠짐 방지 용수철(79)을 숨기기 위한 명판(86)을 누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실부(74c)의 선단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립 형상이며, 스풀(4)의 내주면과의 저항을 줄이고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낚시를 행하기 전에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맞추어 드랙력을 조정한다. 드랙력을 조정하는 데에는, 드랙 손잡이 조립체(70)를 돌린다. 드랙 손잡이 조립체(70)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풀 축(15)에 나합하는 너트부(82)에 의하여 용수철 부재(83)를 통하여 제1 부재(76)가 전후의 마찰부(71, 72) 측에 압압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랙력이 커진다. 이 때, 제1 부재(76)와 제2 부재(77)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손잡이 발음 기구(78)가 명확하고 경쾌한 클릭음이 발생한다.
캐스팅(casting) 시에는, 베일 암(3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한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 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이 상태로 핸들 조립체(1)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34)이 베일 반전 기구(39)에 의하여 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여, 낚싯줄이 베일(45)로부터 라인 롤러(41)로 이동하여 스풀(4)에 감긴다.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에, 큰 물고기가 걸려 라인 롤러(41)로의 부하가 커지면, 부하의 변동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캔틸레버 지지된 고정축(43)이 약간 기울어 진동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축(43)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56)가 소나사(58) 및 커버 부재(57)에 의하여 회전 멈춤되어 있으므로, 고정 볼트(56)가 느슨해지기 어려워진다. 또, 암나사부(59a, 59b) 중, 소나사(58)가 틀어넣어져 있지 않는 암나사부가 커버 부재(57)에 의하여 커버되므로 암나사부에 이물이 침입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부(90)와 손잡이부(91)의 제1 손잡이(92)가 별체였지만 일체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손잡이(93)에 제3 개구부(93c)를 설치하고, 그곳에 캡 부재(95)를 장착했지만, 캡 부재(95)를 장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 부재를 2개의 제2 고정 볼트(99)에 의하여 제2 손잡이(93)에 고정했지만, 캡 부재 자체에 나사부를 설치하고, 제2 손잡이 또는 장착부 등에 나합시켜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핸들 손잡이의 단면도.
도 4는 핸들 손잡이의 측면도.
도 5는 릴 본체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메인 기어의 단면도.
도 7은 릴 본체의 후부의 단면 부분 확대도.
도 8은 로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로터 본체 및 제1부터 제3 커버 부재의 단면 측면도.
도 10은 베일 암의 제1 베일 지지 부재 주위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외측면의 확대 부분도.
도 12는 도 11의 XII-XII 단면도.
도 13은 제2 원웨이 클러치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4는 제2 원웨이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드랙 손잡이 조립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들 조립체
8: 핸들 암
9: 핸들 손잡이
18: 손잡이축
90: 장착부
92: 제1 손잡이
92a: 제1 개구부
92b: 제1 감합부
93: 제2 손잡이
93a: 제2 개구부
93b: 제2 감합부
93c: 제3 개구부
93d: 암나사 구멍(나사 구멍의 일례)
95: 캡 부재
98: 제1 고정 볼트(제1 나사 부재의 일례)
99: 제2 고정 볼트(제2 나사 부재의 일례)

Claims (8)

  1. 낚시용 릴의 핸들 암의 선단(先端)에 고정된 손잡이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핸들 손잡이이고,
    상기 손잡이축의 외주(外周)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開口部)와, 상기 제1 개구부의 외주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감합부(嵌合部)를 가지는 중공(中空)의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의 제1 개구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주(內周) 측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감합부의 외주면에 감합 가능한 제2 감합부를 가지는 중공의 제2 손잡이와,
    적어도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를 덮도록 형성된 탄성체제의 커버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는, 상기 손잡이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는 실질적으로 최대 외경(外徑) 위치에서 접합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는 합성 수지제이고, 상기 장착부는 금속제이며,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장착부에 형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나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손잡이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나사 구멍에 나합(螺合)하는 복수의 제1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축의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3 개구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3 개구부를 가리는 캡 부재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캡 부재 측으로부터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나사 구멍에 나합하는 복수의 제2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8. 낚시용 릴의 핸들 축의 선단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이고,
    상기 핸들 축의 선단에 기단(基端)이 장착되고, 상기 핸들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상기 핸들 암의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핸들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축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 손잡이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핸들 조립체.
KR1020080110991A 2007-12-18 2008-11-10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KR200900662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6566 2007-12-18
JPJP-P-2007-326566 2007-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208A true KR20090066208A (ko) 2009-06-23

Family

ID=4080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991A KR20090066208A (ko) 2007-12-18 2008-11-10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65462A (ko)
KR (1) KR20090066208A (ko)
CN (1) CN101461350B (ko)
TW (1) TWI4155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243U (ja) * 2010-09-08 2010-11-18 広明 舟岡 魚釣り用リールの組立てハンドル
JP5869240B2 (ja) * 2011-06-28 2016-02-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15047108A (ja) * 2013-08-30 2015-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および組付方法
JP6518520B2 (ja) * 2015-03-1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010061B2 (en) * 2015-03-18 2018-07-03 Shimano Inc. Spinning reel
JP6489885B2 (ja) * 2015-03-18 2019-03-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956602B2 (ja) * 2017-11-13 2021-11-02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魚釣用リール
JP2024057779A (ja) * 2022-10-13 2024-04-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489B2 (ja) * 1996-06-03 2003-11-17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3490914B2 (ja) * 1997-12-04 2004-01-2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及びハンドル組立体
JP4625555B2 (ja) * 2000-02-17 2011-02-0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の軸筒
JP2002335831A (ja) * 2001-05-21 2002-11-2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カバー
JP2003009735A (ja) * 2001-06-28 2003-01-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4045167B2 (ja) * 2002-05-01 2008-02-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4015957B2 (ja) * 2003-01-20 2007-11-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4256651A (ja) * 2003-02-26 2004-09-16 Pentel Corp 弾性体およびその弾性体を使用した軸体、並びに、筆記具
JP2006061123A (ja) * 2004-08-30 2006-03-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SG121940A1 (en) * 2004-10-06 2006-05-26 Shimano Kk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4572124B2 (ja) * 2005-02-28 2010-10-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7222005A (ja) * 2006-02-21 2007-09-0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1350A (zh) 2009-06-24
TW200934381A (en) 2009-08-16
CN101461350B (zh) 2011-12-07
TWI415564B (zh) 2013-11-21
JP2009165462A (ja)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620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및 핸들 조립체
KR101389000B1 (ko) 양 베어링 릴의 캐스트 컨트롤 기구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KR101048726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JP2009273378A (ja)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JP2009273378A5 (ko)
JP201617459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0451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20060109312A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JP2016174593A5 (ko)
JP2011019427A5 (ko)
KR20030063240A (ko) 낚시용 릴의 부품조립체
KR100692643B1 (ko) 스피닝릴의 스풀
JP200414110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20090066207A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1188627B1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490171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組立体
JP2009148173A5 (ko)
JP44274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4884359B2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固定構造
WO2023074406A1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6296204A5 (ko)
JP389274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