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312A -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312A
KR20060109312A KR1020060031747A KR20060031747A KR20060109312A KR 20060109312 A KR20060109312 A KR 20060109312A KR 1020060031747 A KR1020060031747 A KR 1020060031747A KR 20060031747 A KR20060031747 A KR 20060031747A KR 20060109312 A KR20060109312 A KR 2006010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pool
washer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999B1 (ko
Inventor
타이세이 모리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777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76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177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2748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10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3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and spool shaf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21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드랙 기구에 있어서,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드랙 수납 오목부에서도 내경(內徑)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드랙 기구(7)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스풀 축과, 내주면(內周面)에 형성되고 계지 홈(60d)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드랙 수납 오목부(60)에 플랜지 고정 부재(55)의 통부(筒部, 55a)가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진 스풀(4)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 드랙 와셔(washer)(61)와, 제2 드랙 와셔(62a, 62b)와, 드랙 손잡이(6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랙 와셔는, 계지 홈에 계합하는 하나 또는, 90도 이하의 위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계지 돌기부(61a)를 외주부(外周部)에 가지며,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통부의 내경보다 외경(外徑)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와셔이다. 제2 드랙 와셔는, 제1 드랙 와셔와 스풀 축 방향으로 나란히 교대로 배치되고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며 통부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와셔이다. 드랙 손잡이는, 스풀 축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지고 양 드랙 와셔에 작용하는 압력의 양을 조정 가능한 손잡이이다.
스피닝 릴, 드랙 기구, 드랙 손잡이, 드랙 와셔, 스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SPINNING REEL DRA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확대 배면 단면도.
도 4는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릴 본체의 오실레이팅 기구 장착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스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스풀의 단면도.
도 8은 스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4의 IX-IX 단면 부분도.
도 10은 드랙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드랙 와셔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스풀 7 : 드랙 기구
15 : 스풀 축 55 : 플랜지 고정 부재
55a : 통부 60, 160 : 드랙 수납 오목부
60d, 160d : 계지 홈 61, 161 : 제1 드랙 와셔
61a, 161a : 계지 돌기부 62a, 62b : 제2 드랙 와셔
63 : 드랙 손잡이 66 : 씰 부재
64a ~ 64c : 드랙 디스크 67 : 빠짐 방지 용수철
본 발명은, 드랙 기구, 특히, 권사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선단(先端)에 배치된 앞 플랜지부와 앞 플랜지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권사 몸통부의 선단 내주면(內周面)에 끼움 고정된 플랜지 고정 부재를 가지며,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드랙 수납 오목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계지 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스풀과, 스풀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축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드랙 기구라고 불리는 스풀을 제동하는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드랙 기구로서, 스풀에 있어서,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 몸통부의 내주부(內周部)에 형성된 드랙 수납 오목부에 수납된 프런트 드랙 기구가 넓리 채용되고 있다. 권사 몸통부의 선단에는, 앞 플랜지부가 일체 또는 별체로 배치되어 있다. 앞 플랜지부가 별체인 경우, 앞 플랜지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드랙 수납 오목부의 선단부 내주면에 끼움 고정된 플랜지 고정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스피닝 릴에서는, 플랜지 고정 부재의 끼움 부분은 통부(筒部)를 가지고 있고,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감합(嵌合)하는 수나사부가 통부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를 볼트에 의한 나사 멈춤이 아니라,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에 끼움 고정하면, 권사 몸통부와 드랙 수납 오목부의 사이에 볼트를 돌려 끼우기 위한 나사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권사 몸통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경(內徑)을 크게 할 수 있고, 드랙 직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드랙력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앞 플랜지부의 권사 몸통부와의 외경(外徑)의 차가 큰 깊은 홈형의 스풀인 경우,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경이 얕은 홈형에 비하여 작게 되기 때문에, 앞 플랜지 고정 부재를 끼움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드랙 직경을 증가시켜 큰 드랙력을 얻기 쉽다.
종래의 프런트 드랙 기구는, 스풀의 내주(內周) 측에 수납된 하나 또는 복수매의 드랙 와셔(washer)와, 스풀 축의 선단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지고, 드랙 와셔에 작용하는 압력의 양을 조정 가능한 드랙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드랙 와셔에는,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제1 드랙 와셔와,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제2 드랙 와셔가 있고, 2종류의 드랙 와셔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드랙 와셔에는, 외주부(外周部)에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지 홈에 계합하는 1쌍의 계지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1쌍의 계지 돌기부는, 제1 드랙 와셔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상에 배치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계지 돌기부가 계지 홈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와셔가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스풀 축의 선단부에는,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와셔의 중심부에는, 모따기부에 계합하는 타원형의 계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구멍이 스풀 축의 모따기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와셔가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끼움식의 플랜지 고정 부재로 앞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스풀의 드랙 수납 오목부에 드랙 와셔를 장착하는 경우, 플랜지 고정 부재를 권사 몸통부에 장착한 후에, 드랙 와셔를 드랙 수납 오목부에 장착한다. 예를 들어, 제2 드랙 와셔를 1매 장착하고, 이어서 제1 드랙 와셔를 계지 돌기부가 계지 홈에 계합하도록 장착한다. 2개의 드랙 와셔는, 플랜지 고정 부재의 수나사부가 형성된 통부를 통과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드랙 와셔의 외경은 통부의 내경보다 작다. 이 때문에, 2개의 계지 홈이 내주면에 형성된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경은, 플랜지 고정 부재의 통부의 내경보다 매우 작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45369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대향하여 배치된 1쌍의 계지 돌기부를 가지는 제1 드랙 와셔를 장착하기 위하여,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경이 플랜지 고정 부재의 통부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랙 직경이 작게 되어, 보다 큰 드랙력을 얻기 어렵다. 만일,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경을 통부의 내경과 같게 한 경우, 2개의 계지 돌기부가 직경 상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통부를 통과시킬 때에, 제1 드랙 와셔를 크게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드랙 수납 오 목부의 전후 방향 길이 (스풀 축 방향 길이)가, 통부 내에서 기울인 상태의 제1 드랙 와셔의 전후 방향 길이의 분만큼 필요하게 되며, 드랙 와셔의 매수가 적고, 드랙 수납 오목부의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제1 드랙 와셔를 수납할 수 없다. 따라서, 드랙 수납 오목부의 전후 길이가 짧은 경우, 내경을 통부의 내경보다 작게 하지 않으면 안 되어, 드랙 수납 오목부의 내경을 크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드랙 수납 오목부에 플랜지 고정 부재가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지는 스풀에 장착되는 드랙 기구에 있어서,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드랙 수납 오목부에서도 내경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스풀 축과, 내주면에 형성되고 계지 홈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드랙 수납 오목부에 플랜지 고정 부재의 통부가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진 스풀의 사이에 배치되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 드랙 와셔와, 제2 드랙 와셔와, 드랙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드랙 와셔는, 계지 홈에 계합하는 하나 또는, 90도 이하의 위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계지 돌기부를 외주부에 가지며,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통부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와셔이다. 제2 드랙 와셔는, 제1 드랙 와셔와 스풀 축 방향으로 나란히 교대로 배치되고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며 통부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와셔이다. 드랙 손잡이는, 스풀 축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지고 양 드랙 와셔에 작용하는 압력의 양을 조정 가능한 손잡이이다.
이 드랙 기구에서는, 예를 들어 2매의 제2 드랙 와셔의 사이에 1매의 제1 드랙 와셔를 장착하는 경우, 플랜지 고정 부재가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에 장착된 상태로, 제2 드랙 와셔를 드랙 수납 오목부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계지 돌기부가 계지 홈에 계합하는 위상으로 하고, 또한 계지 돌기부를 선단으로 하여 비스듬히 기울여 통부 내를 통과시켜 제1 드랙 와셔를 권사 몸통부의 내주면에 장착한다. 그리고 제2 드랙 와셔를 장착한 후에 드랙 손잡이를 장착하여 드랙 기구의 조립을 완료한다. 여기에서는, 제1 드랙 와셔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지 돌기부를, 복수의 경우는 90도 이하의 위상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1 드랙 와셔의 최대 길이 (외형의 2개소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 중 가장 긴 선분의 길이)가 2개의 계지 돌기부를 직경 상에 대향하여 배치한 종래의 제1 드랙 와셔의 최대 길이 (2개의 계지 돌기부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길이)에 비하여 짧아진다. 이 결과, 제1 드랙 와셔를 기울여 통부 내를 통과시킬 때, 제1 드랙 와셔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전후 방향 길이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드랙 수납 오목부에서도 내경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계지 돌기부는 하나이다. 이 경우에는, 계지 돌기부가 하나이기 때문에 복수의 경우에 비하여 한층 더 전후 방향 길이가 짧아져, 제1 드랙 와셔를 넣기 쉽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전후 방향 길이가 한층 더 짧은 드랙 수납 오목부에서도 내경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기구 에 있어서, 드랙 손잡이와 플랜지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 드랙 디스크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는 씰(seal)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플랜지 고정 부재가 통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부의 내주면과 드랙 손잡이의 외주면의 사이에 씰 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드랙 수납 오목부를 씰할 수 있어, 젖음에 의한 드랙력의 변동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양 드랙 와셔의 사이에 배치된 드랙 디스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드랙 디스크를 와셔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드랙 수납 시의 드랙 와셔 사이의 미끄러짐을 스무드하게 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통부의 양 드랙 와셔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단면과 양 드랙 와셔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장착되고, 양 드랙 와셔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빠짐 방지 부재의 빠짐 방지를 통부의 단면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드랙 수납 오목부에 빠짐 방지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상(環狀) 홈 등의 계지 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실시예]
<개략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고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 과, 스풀 축(15)과, 회전 전달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와, 드랙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베일 암(낚싯줄 안내부의 일례, 44)을 가지며,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전후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로터(3)로 안내된 낚싯줄이 외주면에 감기는 것이며,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 축(15)은, 릴 본체(2)에 전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에 스풀(4)이 드랙 기구(7)를 통하여 장착된 것이다. 회전 전달 기구(5)는, 핸들(1)의 회전을 로터(3)로 전달하는 것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회전 전달 기구(5)의 회전에 따라 스풀 축(15)을 전후 왕복 이동시켜, 낚싯줄을 스풀(4)에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기구이다. 덧붙여, 핸들(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과, 도 2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우측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1 ~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나 스풀(4)을 지지하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멈춤 고정된 덮개 부재(2b)와,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단부(後端部)를 덮는 커버 부재(2c)를 주로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전부에는, 각각 일체 형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 부분(24a, 24b)을 가지는 원형(圓形)의 플랜지부(2d)가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2a)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제이며, 사출 성형법에 의하여 제조된 부재이다. 릴 보디(2a)는, 도 3 ~ 도 5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측부(側部)에 형성된 개구(開口, 25)와, 내부에 형성된 기구 수납 공간(26)과, 로터(3)의 릴 본체(2) 측에 형성된 원형의 요함부(凹陷部, 3a)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로터(3)의 회전 축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앞 지지 벽부(27)와, 핸들(1)의 회전 축인 핸들 축(1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보스부로 이루어지는 제1 핸들 지지부(28a)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상부 (낚싯대 장착 측)에서는 릴 본체(2)의 대략 절반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이지만, 저부(底部, 2e)는, 그것보다 덮개 부재(2b) 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릴 본체(2)의 대략 절반의 두께로 되어 있다.
기구 수납 공간(26)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앞 지지 벽부(27)는, 기구 수납 공간(26)의 전부에 일체 형성된 대략 반원형(半圓形)의 제1 플랜지 부분(24a)으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하여 대략 원기둥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12)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27a, 도 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앞 지지 벽부(27)의 전면(前面)에는, 후술하는 역전 방지 기구(50)의 원웨이 클러치(51)가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앞 지지 벽부(27)의 가장 안쪽 하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나선 축(21)이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나선 축 장착 구멍(27b)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 축 장착 구멍(27b)에는, 나선 축(21)의 전단 소경부(21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제1 부시(18)가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시(18)는, 앞 지지 벽부(27)의 전면에 장착된 원웨이 클러치 (51)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나선 축(21)의 전단 소경부(21c)가 제1 부시(18)의 단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나선 축(21)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릴 보디(2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도중에 설치된 중간 지지 벽부(16)와, 후단부에 설치된 뒤 지지 벽부(17)를 가지고 있다. 중간 지지 벽부(16)는, 앞 지지 벽부(27)의 후방(後方)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릴 보디(2a)의 저부(2e)로부터 대략 중간부까지 상방(上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 지지 벽부(16)에는, 피니언 기어(12)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1 축 지지부(16a)와, 나선 축(21)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16b)과, 후술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축(29a, 29b)을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지지하는 제2 및 제3 축 지지부(16c, 16d)를 가지고 있다. 제1 축 지지부(16a)는, 중간 지지 벽부(16)의 선단 측 상부에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b)은, 제1 축 지지부(16a)의 아래 비스듬히 가장 안쪽에 나선 축 장착 구멍(27b)과 동심에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축 지지부(16c)는, 관통 구멍(16b)의 상방에 관통하지 않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축 지지부(16d)는, 제1 축 지지부(16a)의 하방(下方)에 관통하지 않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뒤 지지 벽부(17)는, 기구 수납 공간(26)을 형성하도록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뒤 지지 벽부(17)는, 나선 축(21)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1 후단 지지부(17a)와, 제1 및 제2 가이드 축(29a, 29b)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제2 및 제3 후단 지지부(17b, 17c)를 가지고 있다. 제1 후단 지지부(17a)는, 나선 축(21)의 후단 소경부(21d)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합성 수지제의 통상의 제2 부시(19)가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부시(19)는, 뒤 지지 벽부(17)의 후방에 장착된 커버 부재(2c)의 내측면(內側面)에 돌출하여 형성된 통상의 돌기부(2f)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2c)에 의하여 회전 지지용의 베어링으로서의 제2 부시(19)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부시(19)의 빠짐 방지 구조도 간소하게 된다.
제1 후단 지지부(17a)는, 중간 지지 벽부(16)의 관통 구멍(16b)과 동심에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및 제3 후단 지지부(17b, 17c)는, 중간 지지 벽부(16)의 제2 및 제3 축 지지부(16c, 16d)와 동심에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제3 후단 지지부(17c)는, 뒤 지지 벽부(17)의 측부(17d)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17e)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7e)는, 뒤 지지 벽부(17)보다 얇고 전방으로 편의(偏倚)하여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제이며, 사출 성형법에 의하여 제조된 부재이다. 덮개 부재(2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의 개구(25)를 덮고 또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로터 장착 측에 벽부로서의 제2 플랜지 부분(24b)이 일체 형성된 두께가 얇은 커버부(35)와, 커버부(3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장착 다리부(36)를 가지고 있다. 커버부(35)는, 상부에서는 릴 본체(2)의 두께의 대략 절반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저부(35a)에서는 릴 보디(2a)의 돌출에 수반하여 릴 본체(2)의 두께의 대략 절반의 두께가 되어 있다. 커버부(35)의 전부를 제외하는 상부 및 후부(後部)에는 개구(25)에 대향하여 가장자리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장자리부(35b)에는 개구(25)에 밀착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5)의 전부에는, 플랜지부(2d)의 대략 반원형의 제2 플랜지 부분(24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 부분(24b)의 내방(內方)으로 돌출하는 내측 부분이 커버부(35)를 보강하는 벽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커버부(35)의 측부에는, 핸들 축(10)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보스부로 이루어지는 제2 핸들 지지부(2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35)의 후부에는, 릴 보디(2a)의 뒤 지지 벽부(17)에 전방으로 편의하여 형성된 돌기부(17e)에 계합하여 돌기부(17e)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오목부(제3 이동 규제부의 일례, 3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오목부(35c)에 의하여 제2 가이드 축(29b)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장착 다리부(36)는 중실의 두꺼운 부재이며, 그 선단은 전후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낚싯대 장착부(36a)로 되어 있다. 장착 다리부(36)로부터 커버부(35)에 걸쳐 경계 부분은, 대략 절반의 두께보다 얇게 노치(notch)되어 있고, 그 노치 부분(36b)에 외측면이 매끄럽게 연속하도록 릴 보디(2a)의 상부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노치 부분(36b)에서도, 가장자리부(35b)와의 접속 부분(36c, 도 3)은, 응력 집중을 막기 위하여 예를 들어 반경 3mm 정도로 모따기된 라운딩 면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2d)는,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터(3)의 후부에 형성된 원형의 요함부(3a, 도 2)를 막도록 요함부(3a)의 단면과 대략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d)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릴 보디(2a)에 일체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 부분(24a)과, 덮개 부재(2b)의 커버부(35)에 일체 형성되고 제1 플랜지 부분(24a)으로 원형으로 되는 반원형의 제2 플랜지 부분(24b)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각 플랜지 부분(24a, 24b)을 릴 보디(2a)나 커버부(35)와 일체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릴 보디(2a)나 커버부(35)의 비강도(比强度)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성형 시의 변형을 막아 정도(精度)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2c)는, 예를 들어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도금 처리하거나 스테인리스 합금을 이용하거나 하여 손상되기 어렵게 한 것이며, 릴 본체(2)의 가장 손상되기 쉬운 부분을 보호하는 것이다. 커버 부재(2c)는 하단부가 나사(37)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단부는 릴 보디(2a)에 탄성적으로 계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의 배면(背面) 내측에 형성된 계지 오목부(2g)에 걸려 있다. 커버 부재(2c)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의 돌기부(2f)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릴 보디(2a)에 장착된 제1 가이드 축(29a) 및 나선 축(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빠짐 방지 부재(38)의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38a, 38b)에 의하여 규제된다. 나아가, 제2 가이드 축(29b)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덮개 부재(2b)의 커버 오목부(35c)에 의하여 규제된다. 나아가 또한, 빠짐 방지 부재(38)가 릴 보디(2a)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2 가이드 축(29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빠짐 방지 부재(38)를 고정할 필요가 없는 것과 함께, 덮개 부재(2b)를 떼어내어도 빠짐 방지 부재(38)가 탈락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소형화 를 도모하면서 나선 축(21) 및 2개의 가이드 축(29a, 29b)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 전달 기구의 구성>
회전 전달 기구(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로 이루어지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11)는, 핸들 축(10)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마스터 기어 축(11a)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 축(11a)은,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에 설치된 통상의 제1 및 제2 핸들 지지부(28a, 28b)의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45a, 45b)에 의하여,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에 전후 축과 어긋나는 좌우의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의 회전 축인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앞 지지 벽부(27)에 장착된 베어링(14a)과, 중간 지지 벽부(16)의 제1 축 지지부(16a)에 장착된 베어링(14b)을 통하여 각각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내주 측에는, 스풀 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의 구성>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7)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 축(15)을 회전 전달 기구(5)의 회 전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 축(15)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 축(21)과, 나선 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선 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슬라이더(22)를 전후 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축(29a, 29b)과, 나선 축(21) 및 제2 가이드 축(29b)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38)를 가지고 있다.
나선 축(21)은, 스풀 축(15)의 가장 안쪽 비스듬히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표면이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상 홈(21a) 형성 부분의 양단에는, 나선상 홈(21a) 형성 부분보다 소경의 전단 소경부(21c) 및 후단 소경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나선 축(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앞 지지 벽부(27) 및 뒤 지지 벽부(17)에 각별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부시(18, 19)에 의하여 전후의 소경부(21c, 21d)가 각별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나선 축(21)은, 빠짐 방지 부재(38)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나선상 홈(21a)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22a)를 내부에 가지고, 나선 축(21)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슬라이더(22)는, 스풀 축(15)의 후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제1 및 제2 가이드 축(29a, 29b)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가이드 축(29a, 29b)에 의하여 슬라이더(22)를 안내하면, 나선 축(21)의 외주면의 나선상 홈(21a)이 슬라이더(22)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이음(異音)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중간 기어(23)는, 회전 전달 기구(5)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기어(23)와 회전 전달 기구(5)의 피니언 기어(12)의 사이에는, 감속 기어부(39)가 설치되어 있다. 감속 기어부(39)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대경 기어(39a)와, 대경 기어(39a)와 동심에 배치된 소경 기어(39b)를 가지고 있다. 이 소경 기어(39b)가 중간 기어(23)에 맞물리고, 피니언 기어(12)의 회전이 나선 축(21)으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오실레이팅 기구(6)의 전후 이동 속도가 늦어져, 낚싯줄을 스풀(4)에 치밀하게 감는 밀착 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축(29a)은, 나선 축(2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축(29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지지 벽부(16)의 제2 축 지지부(16c)에 전단부(前端部)가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고, 후단부가 뒤 지지 벽부(17)의 제2 후단 지지부(17b)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가이드 축(29a)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 측에는, 환상의 계지 홈(29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 홈(29c)이 빠짐 방지 부재(38)에 계지된다. 제1 가이드 축(29a)은, 계지 홈(29c)에 감합하는 빠짐 방지 부재(38)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가이드 축(29b)은, 스풀 축(1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이드 축(29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지지 벽부(16)의 제3 축 지지부(16d)에 전단부가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고, 후단부가 뒤 지지 벽부(17)의 제3 후단 지지부(17c)에 지지되어 있다. 제2 가이드 축(29b)은, 덮개 부재(2b)에 형성 된 커버 오목부(35c)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2 가이드 축(29b)에도 계지 홈(29c)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양 가이드 축(29a, 29b)을 공통화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며, 사용되고 있지 않다.
빠짐 방지 부재(38)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판상(板狀) 부재이며, 릴 본체(2)에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장착되고 또한 제2 가이드 축(29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빠짐 방지 부재(38)는, 뒤 지지 벽부(17)의 전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빠짐 방지 부재(38)는, 제1 가이드 축(29a) 및 나선 축(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각각 규제하는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38a, 38b)와, 제2 가이드 축(29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구멍(38c)을 가지고 있다. 빠짐 방지 부재(38)는, 2개의 이동 규제부(38a, 38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38f)이 덮개 부재(2b)에 압압(押壓)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b)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38)가 릴 보디(2a)를 향하여 압압되기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38)가 덜컹거리기 어렵게 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 축(29a, 29b) 및 나선 축(21)의 후단부를 정도 좋게 규제할 수 있다.
제1 이동 규제부(38a)는, 장착 구멍(38c)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빠짐 방지 부재(38)의 가장 안쪽부 (도 3 우측)로부터 장착 구멍(38c)의 비스듬히 가장 안쪽 상방에 걸쳐 형성된 제1 계지 노치부(38d)를 가지고 있다. 이 제1 계지 노치부(38d)가 계지 홈(29c)에 감합하여 제1 가이드 축(29a)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2 이동 규제부(38b)는, 장착 구멍(38c)과 제1 이동 규제부(38a)의 사 이에 배치된 제2 계지 노치부(38e)를 가지고 있다. 제2 계지 노치부(38e)는, 나선 축(21)의 나선상 홈(21a)이 형성된 대경부(21b)와 후단 소경부(21d)의 단차면(21e)에 접촉하여 나선 축(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빠짐 방지 부재(38) 장착 부분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38)를 전후 이동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 홈부(46a, 46b, 35d)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홈부(46a, 46b)는, 릴 보디(2a)의 뒤 지지 벽부(17)의 전방에 상하 1쌍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2b)에 의하여 압압될 뿐만 아니라, 빠짐 방지 부재(38)가 계지 홈부(46a, 46b, 35d)에 계지되는 것에 의하여, 빠짐 방지 부재(38)의 덜컹거림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오실레이팅 기구(6)를 릴 본체(2)에 넣을 때에는, 우선 슬라이더(22)를 스풀 축(15)의 후단에 장착한다. 이때, 스풀(4)을 가장 후퇴한 위치에 배치한다. 그리고 중간 기어(23)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상태로 나선 축(21)을 뒤 지지 벽부(17)의 제1 후단 지지부(17a)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중간 기어(23)를 관통시켜 전단 소경부(21c)를 제1 부시(18)에 장착한다. 덧붙여, 제1 부시(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51)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선 축(21)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나선 축(21)을 릴 보디(2a)에 장착하면, 제2 부시(19)를 뒤 지지 벽부(17)의 제1 후단 지지부(17a)에 장착하고, 후단 소경부(21d)를 제2 부시(19)로 지지한다. 나선 축(21)의 장착이 끝나면, 제1 가이드 축(29a)을 제2 후단 지지부(17b)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슬라이더(22)를 관통하여 선단을 중간 지지 벽부(16) 의 제2 축 지지부(16c)에 삽입하여 제1 가이드 축(29a)을 릴 보디(2a)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빠짐 방지 부재(38)를 릴 보디(2a)에 형성된 뒤 지지 벽부(17)의 전면에 장착하고 계지 홈부(46a, 46b)로 계지시킨다. 이때, 빠짐 방지 부재(38)의 제1 이동 규제부(38a)를 제1 가이드 축(29a)의 계지 홈(29c)에 장착하여 감합시켜, 제1 가이드 축(29a)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제2 이동 규제부(38b)를 나선 축(21)의 단차면(21e)에 접촉시켜 나선 축(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마지막으로, 제2 가이드 축(29b)을 제3 후단 지지부(17c)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빠짐 방지 부재(38)의 장착 구멍(38c) 및 슬라이더(22)를 관통하여 선단을 중간 지지 벽부(16)의 제3 축 지지부(16d)에 삽입하여 제2 가이드 축(29b)을 릴 보디(2a)에 장착한다. 이대로는, 제2 가이드 축(29b) 및 제2 부시(19)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덮개 부재(2b)를 릴 보디(2a)에 장착하면, 덮개 부재(2b)에 형성된 커버 오목부(35c)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제2 부시(19)는, 커버 부재(2c)를 릴 본체(2)에 장착하면, 돌기부(2f)가 제2 부시(19)의 후면(後面)에 접촉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오실레이팅 기구(6)에서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제1 가이드 축(29a) 및 나선 축(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빠짐 방지 부재(38)의 제1 및 제2 이동 규제부(38a, 38b)에 의하여 규제된다. 나아가, 제2 가이드 축(29b)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덮개 부재(2b)의 커버 오목부(35c)에 의하여 규제된다. 나아가 또한, 빠짐 방지 부재(38)가 릴 보디(2a)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2 가이드 축(29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빠짐 방지 부재를 고정할 필요가 없는 것과 함께, 덮개 부재(2b)를 떼어내어도 빠짐 방지 부재(38)가 탈락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2)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나선 축(21) 및 2개의 가이드 축(29a, 29b)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전부에는 전벽(33)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33a)의 관통 구멍을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 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33)의 전방 측에는 너트(13)가 배치되어 있고, 이 너트(13)가 피니언 기어(12)의 선단의 나사부에 나사 감합하고 있다. 원통부(30)의 전벽(33)에서 후방이 요함부(3a)로 되어 있고, 이 요함부(3a)의 후단면과 면일하게 플랜지부(2d)가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에 각각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外周)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하여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터 암(32)의 선단의 외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의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 는 베일(4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일 지지 부재(40, 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베일 암(44)이 구성된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와,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 및 비작동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외륜(外輪)이 앞 지지 벽부(27)에 고정되고, 내륜(內輪)이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조작 기구(52)는, 릴 본체(2)의 전부 하단에서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2b)의 사이에 배치된 조작 레버(53)를 가지고 있고, 조작 레버(53)를 요동시키는 것으로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 및 비작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원웨이 클러치(51)가 작동 상태 시에 로터(3)가 역전 불가능하게 되고, 비작동 상태 시 로터(3)가 역전 가능하게 된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이며,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7)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의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에 일체 성형된 대경 통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부에 배치된 앞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4a)에는, 전방에 개구하는 원형의 드랙 수납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전부(60a)는, 후부(60b)에 비하여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는, 플랜지 고정 부재(55)가 돌려 끼워지는 암나사부(6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부(60a)에서부터 후부(60b)에 걸쳐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내주면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랙 기구(7)를 회전 멈춤하기 위한 계지 홈(60d)이 직경 상에 대향하여 1쌍 형성되어 있다. 1쌍의 계지 홈(60d)은, 스풀 축 방향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앞 플랜지부(4c)는, 권사 몸통부(4a)와 일체 형성된 내측 부분(54a)과, 내측 부분(54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어 경질 세라믹제의 링상의 외측 부분(54b)을 가지고 있다. 외측 부분(54b)은, 권사 몸통부(4a)의 내주면에 끼움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 부재(55)에 의하여 내측 부분(54a)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55)는,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전부(60a)에 형성된 암나사부(60c)에 나사 감합하는 수나사부(55d)를 가지는 통부(55a)와, 통부(55a)의 전단에 일체 형성된 대경의 테두리부(55b)와, 테두리부(55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에 외측 부분(54b)의 전면에 접촉하는 대체로 접시상의 접촉부(55c)를 가지고 있다. 통부(55a)의 내경은,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후부(60b)의 내경과 같다. 따라서, 종래의 스풀에 비하여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내경이 크게 되어 있다.
<드랙 기구의 구성>
드랙 기구(7)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과 스풀 축(15)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드랙 수납 오목부(60) 내에 배치되고, 스풀(4)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하여 스풀(4)에 드랙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랙 기구(7)는, 계지 홈(60d)에 계합하는 계지 돌기부(61a)를 가지며, 스풀 축 (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드랙 와셔(61)와,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드랙 와셔(61)의 양측에 배치된, 예를 들어 2매의 제2 드랙 와셔(62a, 62b)와, 스풀 축(15)에 돌려 끼워진 양 드랙 와셔(61, 62a, 62b)에 작용하는 압력의 양을 가변으로 조정 가능한 드랙 손잡이(63)와, 각 드랙 와셔(61, 62a, 62b)의 사이 및 제2 드랙 와셔(62b)와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저부의 사이에 각각 접촉하여 배치된 3매의 드랙 디스크(64a ~ 64c)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드랙 기구(7)는, 드랙 작동 시에 발음하는 제1 발음 기구(65)와, 드랙 손잡이(63)와 플랜지 고정 부재(55)의 사이에 배치된 씰 부재(66)을 가지고 있다.
제1 드랙 와셔(61)는, 플랜지 고정 부재(55)의 통부(55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다. 제1 드랙 와셔(61)의 외경은,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내경의 95% ~ 99%가 바람직하다. 99%를 넘으면, 드랙 수납 오목부(60)에 제1 드랙 와셔(61)를 수납하기 어려워지고, 95% 미만이면 드랙 직경이 작아져, 큰 드랙력을 얻기 어렵다.
제1 드랙 와셔(61)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스풀 축(15)이 관통하는 원형 구멍(61b)을 가지며, 외주부에 전술한 1개의 계지 돌기부(61a)를 가지고 있다. 이 계지 돌기부(61a)가 계지 홈(60d)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드랙 와셔(61)는 스풀(4)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드랙 수납 오목부(60)에 장착된다. 계지 돌기부(61a)의 돌출량은, 제1 드랙 와셔(61)의 직경의 5%에서 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돌출량이 5% 미만이면, 드랙력에 대하여 충분한 계지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10%를 넘으면 통부(55a)를 통과하여 제1 드랙 와셔(61)를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제2 드랙 와셔(62a, 62b)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고정 부재(55)의 통부(55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다. 제2 드랙 와셔(62a)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단붙이 원판상 부재이며, 드랙 디스크(64a)를 사이에 두고 제1 드랙 와셔(61)의 전방에 배치되며, 제2 드랙 와셔(62b)는, 드랙 디스크(64b)를 사이에 두고 제1 드랙 와셔(61)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드랙 와셔(62b)와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저면의 사이에 드랙 디스크(64c)가 배치된다. 제2 드랙 와셔(62a, 62b)는, 중심에 스풀 축(15)의 선단부에 형성된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타원형의 계지 구멍(62c)를 각각 가지고 있다. 이 계지 구멍(62c)이 스풀 축(15)의 모따기부(15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2 드랙 와셔(62a, 62b)가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드랙 디스크(64a ~ 64c)는, 예를 들어 펠트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다. 드랙 디스크(64a ~ 64c)는, 제1 및 제2 드랙 와셔(61, 62a, 62b)가 매끄럽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55)의 통부(55a)의 후단면과 제2 드랙 와셔(62a)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후단면과,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전부(60a)와 후부(60b)의 단차면의 사이에는, 스풀(4)의 탈착 시에 드랙 와셔(61, 62a, 62b)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용수철(67)이 장착되어 있다. 빠짐 방지 용수철(67)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탄성 선재(線材)를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으 며, 각부가 전술한 후단면과 단차면의 사이에 계지되고, 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제2 드랙 와셔(62a)에 접촉하여 탈락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2매의 제2 드랙 와셔(62a, 62b)의 사이에 1매의 제1 드랙 와셔(61)를 장착하는 경우,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고정 부재(55)가 권사 몸통부(4a)의 내주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드랙 디스크(64c), 제2 드랙 와셔(62b), 드랙 디스크(64b)를 이 순서로 드랙 수납 오목부(60)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계지 돌기부(61a)가 계지 홈(60d) 중 어느 하나에 계합하는 위상으로 하고, 또한 계지 돌기부(61a)를 선단으로 하여 비스듬히 기울여 통부(55a) 내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55a)를 선단이 통과한 시점에서 계지 돌기부(61a)가 계지 홈(60d)에 계합하도록 계지 홈(60d)을 향하여 제1 드랙 와셔(61)를 옮긴다. 이것에 의하여, 계지 돌기부(61a)와 역측의 외주면이 통부(55a)를 비켜지게 되고,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 돌기부(61a)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역측의 외주면을 선회시켜 제1 드랙 와셔(61)를 드랙 디스크(64b)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드랙 디스크(64a) 및 제2 드랙 와셔(62a)를 이 순서로 장착하고, 마지막에 빠짐 방지 용수철(67, 도 8 참조)을 장착하여 드랙 와셔(61, 62a, 62b)의 장착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드랙 와셔(61, 62a, 62b)를 장착한 후에 드랙 손잡이(63)를 장착하여 드랙 기구(7)의 조립을 완료한다.
드랙 손잡이(63)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랙력을 손으로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 본체(70)와, 손잡이 본체(70)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압압체(71)와, 손잡이 본체(70)와 압압체(71)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 용수철(72)과, 압압체(71)가 손잡이 본체(70)에 대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부재(73)와, 빠짐 방지 부재(7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 링(snap ring, 74)과, 드랙 조작 시에 발음하는 제2 발음 기구(75)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본체(70)는, 후단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70a)와, 전단면으로부터 오목부(70a)의 외연부(外緣部)를 통하여 후단면의 바로 앞측까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스풀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예를 들어 4개의 돌기 형성 홈(70b)을 가지며, 합성 수지제의 예를 들어 인젝션 성형된 테두리가 있는 원통상의 부재이다. 돌기 형성 홈(70b)은, 전단면에 형성된 선형(扇形)의 관통 구멍의 외연(外緣)에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되고 또한 오목부(70a)의 후단부에서 바로 앞측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형성 홈(70b)의 형성단에 형성된 돌기부(70f)에 스냅 링(74)이 계지된다. 돌기 형성 홈(70b)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 구멍은 손잡이 본체(70)의 전면에 붙여진 씰(79)에 의하여 가려져 있다. 이와 같이 씰(79)을 붙여 관통 구멍을 막는 것에 의하여, 형성형(型成形)하기 위하여 관통 구멍에 의하여 돌기 형성 홈(70b)을 형성하여도, 물 등의 이물이 내부로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손잡이 본체(70)의 중심부에는, 육각형의 너트(77)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 장착부(70c)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0)의 전부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 돌기(70d)가 직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0)의 후면에는, 제2 발음 기구(75)를 수납하기 위한 장착 구멍(70e)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77)는, 스풀 축(15)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15b)에 나사 감합하고 있다.
압압체(71)는, 제2 드랙 와셔(62a)와 손잡이 본체(7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압압체(71)는, 손잡이 본체(70)에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연결되고, 스풀 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부재이다. 압압체(71)는, 코일 용수철(72)의 후단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코일 용수철(72)의 스프링력의 변화에 의하여 드랙 와셔(61, 62a, 62b)로의 압압력이 변화한다. 압압체(71)는, 손잡이 본체(7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원통부(71a)와, 원통부(71a)보다 대경이며 오목부(70a)에 수납되는 링상의 테두리부(71b)를 가지는 테두리가 있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다. 원통부(71a)의 내주부에는, 스풀 축(15)의 선단에 형성된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15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하는 타원 형상의 계지 구멍(7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부(71a) 내에 코일 용수철(72)이 수납되어 있다. 테두리부(71b)의 전단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다수의 반구상의 음출 구멍(76)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압압체(71)는, 빠짐 방지 부재(73) 및 스냅 링(74)에 의하여 손잡이 본체(70)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압체(71)는, 원통부(71a)와 테두리부(71b)의 사이에 양자 간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빠짐 방지 부재(7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71d)와, 원통부(71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씰 부재(66)를 장착하기 위한 씰 장착 홈(71e)을 가지고 있다.
코일 용수철(72)은, 너트(77)와 압압체(71)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용수철(72)은, 압압체(71)의 원통부(71a) 내에 가이드된 상태로 너트(77)와 원통부(71a)의 저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72)은, 손잡이 본체(70)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압압력을 서서히 변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냅 링(74)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를 C자상으로 만곡(彎曲)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스냅 링(74)은, 장착 시에 직경을 축소시켜 사용되고, 비장착 시에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스냅 링(74)이 돌기부(70f)에 계지되고, 스냅 링(74)이 빠짐 방지 부재(73)의 후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압압체(71)의 테두리부(71b)가 오목부(70a)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수납된다.
빠짐 방지 부재(73)는, 압압체(71)의 장착부(71d)에 장착 가능한, 예를 들어, 금속 판재제의 대략 링상의 부재이다. 빠짐 방지 부재(73)의 외주부에는, 손잡이 본체(70)의 돌기부(70f)를 주고받는 4개의 오목부(73a)와, 손잡이 본체(70)의 후부에 형성된 2개의 계지 오목부(70g)에 계지되는 1쌍의 돌기부(73b)와, 손잡이 본체(70)의 후부에 있어서 계지 오목부(70g)의 사이에 형성된 계지 볼록부(70h)에 계지되는 2개의 계지 오목부(73c)를 가지고 있다.
압압체(71)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때에는, 너트(77)를 너트 장착부(70c)에 수납하고 또한 코일 용수철(72)을 압압체(71)에 수납한 상태로, 압압체(71)를 손잡이 본체(70)의 오목부(70a)에 장착한다. 그리고 계지 오목부(70g)나 계지 볼록부(70h)에 돌기부(73b)나 계지 오목부(73c)를 맞추어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빠짐 방지 부재(73)를 압압체(71)의 장착부(71d)에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스냅 링(74)을 직경을 축소한 상태에서 돌기부(70f)의 내측면에 걸면, 압압체(71)가 손잡이 본체(70)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발음 기구(75)는, 압압체(71)에 형성된 음출 구멍(76)과, 장착 구멍(70e)에 장착된 음출 핀(80)과, 음출 핀(80)을 음출 구멍(76)을 향하여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78)을 가지고 있다. 음출 구멍(76)은, 장착 구멍(70e)과 대향 가능한 위치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음출 핀(80)은, 중앙 부분이 대경이고 선단 및 후단이 소경이며 나아가 선단이 반구상으로 둥글려진 핀이며, 드랙 조작 시에 손잡이 본체(70)와 압압체(71)가 상대 회전하면, 음출 구멍(76)과의 충돌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제1 발음 기구(65)는, 드랙의 작동에 의하여 스풀 축(15)과 스풀(4)이 상대 회전하면 발음하는 기구이다. 제1 발음 기구(65)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음출 부재(81)와, 스풀(4)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음출 부재(81)와 충돌을 반복하는 톱니 멈춤쇠 부재(82)와, 톱니 멈춤쇠 부재(82)를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랙 기구(7)에서는, 제1 드랙 와셔(61)에 설치되는 계지 돌기부(61a)를 하나로 하였기 때문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드랙 와셔(61)의 최대 길이(L1)가 2개의 계지 돌기부를 직경 상에 대향하여 배치한 종래의 제1 드랙 와셔의 최대 길이(2개의 계지 돌기부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길이, L2)에 비하여 짧아진다. 이 결과, 제1 드랙 와셔(61)를 기울여 통부(55a) 내를 통과시킬 때, 제1 드랙 와셔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전후 방향 길이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드랙 수납 오목부에서도 내경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릴의 조작 및 동작>
낚시를 행하기 전에 물고기의 크기나 종류에 맞추어 드랙력을 조정한다. 드랙력을 조정하려면, 드랙 손잡이(63)를 돌린다. 드랙 손잡이(63)를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스풀 축(15)에 나사 감합하는 너트(77)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72)의 압박력이 서서히 커져, 코일 용수철(72)을 통하여 압압체(71)가 제2 드랙 와셔(62a)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랙력이 커진다. 이때, 압압체(71)와 손잡이 본체(70)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제2 발음 기구(75)의 음출 핀(80)이 음출 구멍(76)으로의 충돌을 소정 간격으로 반복하여, 또렷하고 경쾌한 클릭음을 발생한다.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44)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전달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함께,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스풀(4)이 전후로 왕복 이동하고, 베일 암(44)이 베일 반전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여 낚싯줄이 스풀(4)에 감겨진다.
이 상태에서 물고기가 걸려 드랙이 작동하면, 스풀(4)이 스풀 축(15)에 대하 여 회전한다. 그러면, 제1 발음 기구(65)가 발음하여 그것을 낚시꾼에게 알린다. 그리고 설정된 드랙력으로 스풀(4)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낚시를 행하기 전 등에, 미리 복수 종의 낚싯줄을 감은 스풀(4)을 준비하고, 스풀(4)을 낚시에 맞추어 교환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에는, 드랙 손잡이(63)를 느슨하게 하여 스풀 축(15)으로부터 떼어낸다. 이때, 빠짐 방지 부재(73) 및 스냅 링(74)에 의하여 압압체(71)가 손잡이 본체(7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체(71)가 손잡이 본체(70)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한, 드랙 와셔(61, 62a, 62b)도 빠짐 방지 용수철(67)에 의하여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4)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의 빠짐 방지 용수철(67) 및 스냅 링(74)을, 종래는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의 홈부에서 계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홈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빠짐 방지 용수철(67)은, 통부(55a)의 후단면과 드랙 수납 오목부(60)의 전부(60a)와 후부(60b)의 단차부의 사이에서 계지되고, 스냅 링(74)은, 손잡이 본체(70)의 형성형 시에 형성 가능한 관통 구멍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부(70f)에 의하여 계지되기 때문에, 계지를 위한 기계 가공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공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지 돌기부(61a)를 하나로 하였지만, 복수여도 무방하다. 도 12에 있어서, 제1 드랙 와셔(161)는 2개의 계지 돌기부(161a, 161a)를 가지고 있다. 드랙 수납 오목부(160)에는, 90도의 위상으로 2개의 계지 홈(160d, 160d)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계지 돌기부(161a, 161a)의 돌출량은 상기 실시예와 같고, 제1 드랙 와셔(161)의 직경의 5% ~ 10%의 범위이다. 또한, 2개의 계지 돌기부(161a, 161a)의 위상(α)은, 90도이다. 덧붙여, 이 위상(α)은 9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위상(α) 90도를 넘으면 통부(55a)를 통과하여 제1 드랙 와셔(161)를 드랙 수납 오목부(160)에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랙 와셔의 매수를 3매로 하였지만, 제1 드랙 와셔 및 제2 드랙 와셔의 매수는 각각이 1매 이상이면 어떠한 매수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드랙 와셔에 설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지 돌기부를, 복수의 경우는 90도 이하의 위상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1 드랙 와셔의 최대 길이 (외형의 2개소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 중 가장 긴 선분의 길이)가 2개의 계지 돌기부를 직경 상에 대향하여 배치한 종래의 제1 드랙 와셔의 최대 길이 (1개의 계지 돌기부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길이)에 비하여 짧아진다. 이 결과, 제1 드랙 와셔를 기울여 통부 내를 통과시킬 때, 제1 드랙 와셔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전후 방향 길이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후 방향 길이가 짧은 드랙 수납 오목부에서도 내경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스풀 축과, 내주면(內周面)에 형성되고 계지 홈이 상기 전후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드랙 수납 오목부에 플랜지 고정 부재의 통부(筒部)가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진 스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계지 홈에 계합하는 하나 또는, 90도 이하의 위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계지 돌기부를 외주부(外周部)에 가지며, 상기 스풀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상기 통부의 내경(內徑)보다 외경(外徑)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드랙 와셔(washer)와,
    상기 제1 드랙 와셔와 상기 스풀 축 방향으로 나란히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스풀 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며 상기 통부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드랙 와셔와,
    상기 스풀 축에 나사식으로 돌려 끼워지고 상기 양 드랙 와셔에 작용하는 압력의 양을 조정 가능한 드랙 손잡이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돌기부는 하나인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랙 손잡이와 상기 플랜지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양 드랙 디스크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는 씰(seal)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드랙 와셔의 사이에 배치된 드랙 디스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상기 양 드랙 와셔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단면과 상기 양 드랙 와셔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양 드랙 와셔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20060031747A 2005-04-15 2006-04-07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1265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7780 2005-04-15
JP2005117779A JP4627680B2 (ja) 2005-04-15 2005-04-15 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05-00117779 2005-04-15
JP2005117780A JP4427481B2 (ja) 2005-04-15 2005-04-1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312A true KR20060109312A (ko) 2006-10-19
KR101265999B1 KR101265999B1 (ko) 2013-05-22

Family

ID=3664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747A KR101265999B1 (ko) 2005-04-15 2006-04-07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32087B2 (ko)
EP (1) EP1712127B1 (ko)
KR (1) KR101265999B1 (ko)
AT (1) ATE406796T1 (ko)
DE (1) DE602006002535D1 (ko)
MY (1) MY137353A (ko)
SG (1) SG126840A1 (ko)
TW (1) TWI3616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2472A (ja) * 2017-11-27 2019-06-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4279B2 (ja) * 2006-08-31 2011-11-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7401748B2 (en) * 2006-12-19 2008-07-22 Shimano Inc. Spool assembly for spinning reel
JP4863928B2 (ja) * 2007-05-21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4870101B2 (ja) * 2008-02-12 2012-02-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140956B2 (ja) * 2012-09-18 2017-06-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043728A (ja) * 2013-08-28 2015-03-12 株式会社シマノ コイルドウェーブスプリング、及びドラグつまみ
JP6352618B2 (ja) * 2013-11-19 2018-07-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836377B2 (ja) * 2016-11-28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JP6949661B2 (ja) * 2017-10-25 2021-10-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US10869467B1 (en) * 2017-12-13 2020-12-22 Thomas Sandstrom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bi-directionally rotating rotor and drag control to prevent line twist
JP7166095B2 (ja) * 2018-07-19 2022-11-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3059588A (ja) * 2021-10-15 2023-04-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6939A (en) * 1949-08-15 1953-07-28 Ocean City Mfg Co Fishing reel construction
US3682411A (en) * 1970-01-05 1972-08-08 Berkley & Co Inc Drag mechanism for fishing reels
CA1170237A (en) 1981-08-04 1984-07-03 Richard R. Councilman Rear mounted drag for spinning reels
US4796828A (en) * 1982-08-09 1989-01-10 Zebco Corporation Cartridge rear mounted drag assembly and method
JPS59127470U (ja) * 1983-02-16 1984-08-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H0246300Y2 (ko) * 1985-04-19 1990-12-06
US4728054A (en) * 1986-05-23 1988-03-01 Judith A. Pisapio Fishing reel
US5603465A (en) * 1995-07-27 1997-02-18 Abu Ab Fishing reel drag with adjusting knob behind the spool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6318655B1 (en) * 2000-06-14 2001-11-20 Penn Fishing Tackle Maufacturing Co. Drag apparatus for conventional and spinning reels
TW518203B (en) 2001-01-10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TW534795B (en) * 2001-05-18 2003-06-01 Shimano Kk Spinning-reel spool
JP2002345369A (ja) 2001-05-29 2002-12-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US6726137B1 (en) * 2002-01-16 2004-04-27 Shakespeare Company Spincast fishing reel having novel drag mechanism
US6874718B1 (en) * 2003-09-16 2005-04-05 Liang-Jen Chang Fishing spinning re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2472A (ja) * 2017-11-27 2019-06-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2127B1 (en) 2008-09-03
EP1712127A1 (en) 2006-10-18
KR101265999B1 (ko) 2013-05-22
MY137353A (en) 2009-01-30
US7232087B2 (en) 2007-06-19
US20060231657A1 (en) 2006-10-19
DE602006002535D1 (de) 2008-10-16
TWI361663B (en) 2012-04-11
SG126840A1 (en) 2006-11-29
TW200701883A (en) 2007-01-16
ATE406796T1 (de) 200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KR101759072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KR20080058185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172193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20070028226A (ko)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KR20080000504A (ko) 낚시용 릴의 연결 부재
KR101195809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20090113756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손잡이
JP2009261367A5 (ko)
KR10100034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2004003656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07881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031524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 구조
KR10104872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62768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066467B1 (ko) 스피닝 릴
KR10094270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2006296203A5 (ko)
KR20040071628A (ko) 낚시용 릴의 핸들 장착 구조
KR2002008920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2054240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스풀
KR101188627B1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KR1010315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40081329A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JP44274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