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564A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564A
KR20040036564A KR1020030073000A KR20030073000A KR20040036564A KR 20040036564 A KR20040036564 A KR 20040036564A KR 1020030073000 A KR1020030073000 A KR 1020030073000A KR 20030073000 A KR20030073000 A KR 20030073000A KR 20040036564 A KR20040036564 A KR 2004003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flange portion
bearing reel
dual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사키겐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3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정확한 낚시줄의 드리움(casting)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풀(12)은, 원통형의 보빈 몸통부(12b)와, 보빈 몸통부(12b)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된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2a)는, 보빈 몸통부(12b)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일체 성형된 내측 플랜지부(12e)와, 내측 플랜지부(12e)의 외주면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된 외측 플랜지부(12f)를 가지고 있다. 외측 플랜지부(12f)는 내측 플랜지부(12e)에 아웃서트 성형되어 있다. 보빈 몸통부(12b)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며, 외측 플랜지부(12f)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재이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Spool for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스풀(spool), 특히,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가지는 릴 본체와, 릴 본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보빈 몸통부(bobbin trunk)와, 보빈 몸통부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보빈 몸통부는,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원통형부와, 원통형부의 내주 측에 형성되어 스풀축에 장착되는 보스부(boss portion)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는, 보빈 몸통부보다 대경으로 설치되고, 보빈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풀로서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보스부를 합성 수지 등에 의하여 형성하고, 또 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플랜지부를 금속 박판으로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보 특개2000-41548호 참조).
상기 종래의 스풀로서는, 스풀의 중량의 대부분인 보스부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가 금속 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풀로서는, 스풀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지만, 스풀 회전 시의 관성력에 영향을 미치기 쉬운 부분인, 플랜지부의 외주측을 경량화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의 외주측 중량이 커지면, 스풀 회전의 초속도(initial speed)가 느려지기 때문에, 가벼운 낚시도구(tackle)를 던질 때에 정확한 낚시줄의 드리움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정확한 낚시줄의 드리움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제1측 커버가 제거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5는 스풀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측면 확대도.
도 7은 상기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 확대도.
도 8은 홀더(holder) 부재의 측면 확대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플랜지부의 단면 확대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릴 본체, 2...핸들,
12...스풀, 12a...플랜지부,
12b...보빈(bobbin trunk) 몸통부, 12c...보스부(boss portion),
12d...원통형부, 12e...내측 플랜지부,
12f...외측 플랜지부, 12g...내주부,
12h...외주부, 12i...원통부,
12j...상승부(rise portion), 16...스풀축.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축에 설치되고, 릴 본체에 장착되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로서, 내주가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 몸통부와, 보빈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내측 플랜지부의 외주로부터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보빈 몸통부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외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풀로서는, 플랜지부는, 내측 플랜지부와, 내측 플랜지부의 외주에 설치되어 보빈 몸통부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외측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외측 플랜지부는 보빈 몸통부보다 비중이 작은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 회전 시의 관성력에 영향을 미치기 쉬운 부분인, 외측 플랜지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플랜지부의 중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스풀 회전의 초속도가 빠르게 되어, 가벼운 낚시도구를 던질 때에 정확한 낚시줄의 드리움을 행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외측 플랜지부는 마그네슘 합금제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보빈 몸통부를 알루미늄 합금 등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알루미늄보다 비중이 작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에 의해 외측 플랜지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한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외측 플랜지부는 합성 수지제이다. 이 경우, 합성 수지에 의해 외측 플랜지부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한 스풀은, 발명 1 내지 발명 3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보빈 몸통부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이 경우, 비교적 경량인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보빈 몸통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풀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한 스풀은,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보빈 몸통부는 내측 플랜지부와 일체 성형되어, 외측 플랜지부는 내측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외측 플랜지부와 내측 플랜지부가 매끄럽게 연속하는 것이 되고, 의장성(design)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 6에 관한 스풀은, 발명 5의 스풀에 있어서, 외측 플랜지부는 내측 플랜지부에 아웃서트 성형(outsert form)되어 있다. 이 경우, 외측 플랜지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7에 관한 스풀은,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스풀에 있어서, 보빈 몸통부는, 내주가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어 내측 플랜지부와 일체 성형된 내주부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 내주부의 외주 및 내측 플랜지부의 대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외측 플랜지부와 일체 성형된 외주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내주부 및 외주부에 의해, 스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전체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베어링 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끼를 던지기 위해 사용되는 저자세형(low profile type)의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옆쪽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drag) 조정용 스타 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 쪽에 장착된 제1측 커버(6a) 및 제2측 커버(6b)를 가지고 있다. 또,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을 덮는 앞 커버(7)와, 상부를 덮는 엄지손가락 지지대(thumb rest)(8)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보빈용 스풀(12)이 회전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5a, 5b)과, 이들 측판(5a, 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1측 커버(6a)는, 스풀(1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프레임(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5)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다. 제1측 커버(6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기구(34)와, 개폐 조작용 잠금 기구(36)를 가지고 있다. 요동 기구(34)는, 제1측 커버(6a)를 프레임(5)의 앞부분으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잠금 기구(36)는, 제1측 커버(6a)를 폐쇄 상태로 잠금 및 잠금 해제하기 위한 기구이다. 잠금 기구(3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측 커버(6a)에 형성된 개구(33)에 장착된 조작부(37)와, 조작부(37)에 직경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부재(38)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37)는, 개구(33)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 본체(37a)와, 조작부 본체(37a)의 직경 방향의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손잡이(37b)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 본체(37a)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이며,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제1측 커버(6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조작부 본체(37a)에는 후술하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브레이크 케이스(65)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5)는, 나사 구조에 의해 측판(5a)에 형성된 스풀 착탈용 개구(5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배치된 스풀(12)과,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더 기구(level wind mechanism)(15)와,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과 접촉되는 클러치 레버(clutch lever)(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풀(12)은, 측판(5a)의 개구(5d)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5)과 제2측 커버(6b)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더 기구(15)에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gear mechanism)(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서 클러치 기구(13)의 결합 이탈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클러치 결합 이탈 기구(19)와,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낚시줄의 드리움 조절 기구(casting control mechanism)(22)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5)과 제1측 커버(6a)의 사이에는, 낚시줄의 드리움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centrifugal brake mechanism)(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가 스풀축(16)에 장착되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 몸통부(12b)와, 보빈 몸통부(12b)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된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다. 보빈 몸통부(12b)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며, 내주가 스풀축(16)에 장착되는 보스부(12c)와, 보스부(12c)와 일체 성형되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원통형부(12d)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2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부(12d)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일체로 성형된 내측 플랜지부(12e)와, 내측 플랜지부(12e)의 외주면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된 외측 플랜지부(12f)를 가지고 있다. 외측 플랜지부(12f)는 내측 플랜지부(12e)와의 접합면(S)이 원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플랜지부(12f)와 내측 플랜지부(12e)는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외측 플랜지부(12f)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재이며, 알루미늄 합금제의 보빈 몸통부(12b)에 비하여 비중이 작아지고 있다. 외측 플랜지부(12f)는 내측 플랜지부(12e)에 아웃서트 성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측 커버(6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측 커버(6b)에 형성된 보스부(6c)에 베어링(2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베어링(2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24a, 24b)은 실드 볼 베어링(sealed ball bearing)이다.
스풀축(16)의 대경(large diameter) 부분(16a)의 우측단은, 측판(5b)의 관통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맞물림핀(engagement pin)(16b)이 고정되어 있다. 맞물림핀(16b)은, 직경을 따라 대경 부분(16a)을 관통하고 있어,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 되어 있다.
기어 기구(18)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원통형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 기구(18)의 핸들축(30)의 상하 위치는, 엄지손가락 지지대(8)의 높이를 낮게 하기 때문에, 종래의 위치보다 낮다. 이로 인하여, 기어 기구(18)를 수납하는 측판(5b)및 제2측 커버(6b)의 하부는, 측판(5a) 및 제1측 커버(6a)의 하부보다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5b)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중심으로 스풀축(16)이 관통하는 원통형 부재이며, 스풀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측단부는, 베어링(43)에 의해 측판(5b)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43)도 실드 볼 베어링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 우측단측 외주부에 형성되어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이부(gear teeth)(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이부(32a)와 맞물림부(32b)의 사이에 형성된 목(constricted portion)(32c)을 가지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 기어(32)의 단면에 직경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거기에 스풀축(16)을 관통하여 고정된 맞물림핀(16b)이 걸린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맞물림핀(16b)이 이탈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32b)와 맞물림핀(16b)에 의해 클러치 기구(13)가 구성된다. 맞물림핀(16b)과 맞물림부(32b)가 맞물리면, 스풀축(16)보다 직경이 큰 피니언 기어(32)로부터 스풀축(16)에 토크가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비틀림/뒤틀림 변형이 보다 적어져, 토크 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5a, 5b) 사이의 후방 부분으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결합 이탈 기구(1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clutch yoke)(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40)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41)(한 쪽만 도시)에 의해서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 기어(32)의 목(32c)에 결합하는 맞물림부(40a)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40)를 지지하는 각 핀(41)의 외주로, 클러치 요크(40)와 제2측 커버(6b)의 사이에는 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해서 항상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통의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측의 클러치 맞물림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맞물림핀(16b)이 맞물려 클러치 온 상태(clutch-on state)가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맞물림핀(16b)의 맞물림이 분리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clutch-off state)가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메인 기어(31)에 가압되는 마찰 플레이트(45)와, 스타 드래그(3)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마찰 플레이트(45)를 메인 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플레이트(46)를 가지고 있다.
낚시줄의 드리움 조절 기구(22)는, 스풀축(16)의 양단을 사이에 끼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16)의 파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braking cap)(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스(65)에 고정된 제동 부재(68)와, 제동 부재(68)의 내주측에 동심으로 배치되어 스풀축(16)에 고정된 회전 부재(66)와, 회전 부재(66)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6개의 이동 부재(67)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부재(68)는, 예를 들면 구리계 합금제의 얇은 원통형 부재이며, 브레이크 케이스(65)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동 부재(68)는, 원통형의 제동면(68a)을 내주면에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65)는,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부재이며, 그 내측 저부에 내측으로 돌출 되는 원통형의 베어링 수납부(accommodating portion)(65a)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65a)는, 그 내주측에 스풀축(16)을 지지하는 베어링(24b)이 배치되고, 낚시줄의 드리움 조절 기구(22)의 마찰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부재(66)는, 스풀축(16)에 고정된 고정부(66a)와, 고정부(66a)에서 베어링 수납부(65a)의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부(66b)와, 원통부(66b)가 연장된 일단의 외주면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3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6c)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66c)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66b)의 외주면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3 방향으로 돌출된 대략 부채 형상의 부재이다. 돌출부(66c)의 내부는, 경량화를 위해, 3개의 원호로 이루어지는 격자상(lattice shape)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66c)의 양 벽면에는, 이동 부재(67)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돌기부(71, 72)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 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66c)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0)는, 2개의 이동 부재(67)를 수납하는 동시에, 이동 부재(67)를 제동 부재(68)에 접촉 가능한 작용 상태와 접촉 불가능한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오목부(70)의 저부에는, 이동 부재(67)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축(73)이 직경 방향을 따라 방사 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1)는, 오목부(70)의 개구단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 부재(67)가 가이드 축(73)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72)는, 오목부(70)의 바닥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동 부재(67)가 제동 부재(68)에 접촉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67)는, 대략 원통 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이동 부재(67)는, 회전 부재(66)의 가이드 축(73)에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1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 부재(68)에 접촉하는 것이다. 이동 부재(67)는, 가이드 축(73)으로 안내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67a)와, 본체부(67a)의 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테두리부(brim portion)(67b)를 가지고 있다. 테두리부(67b)는, 오목부(70)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71, 72)에 결합되어 얻도록 본체부(67a)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테두리부(67b)와 돌기부(72)에 의해 전환 기구(switching mechanism)(69)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테두리부(67b)가 돌기부(71)와 돌기부(72)의 사이에 배치되면, 돌기부(71)에 결합되어 이동 부재(67)의 탈락이 방지된다. 그러나, 제동 부재(68)에 접촉은 가능하고, 이 때의 상태가 작용 상태다. 또, 직경 방향 내측에 밀어 넣어져 돌기부(72)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면, 돌기부(72)에 의해 걸려 제동 부재(68)에 접촉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의 상태가 비작용 상태다. 이와 같이, 이동 부재(67)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접촉 가능한 이동 부재(67)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동력의 조정 조작〕
제동력을 조정할 때는 제1측 커버(6a)를 열어 측판(5a)의 개구(5d)를 개방한다.
제1측 커버(6a)를 열기 위해서는, 우선 조작 손잡이(37b)를 도 2에 나타내는 잠금 상태로부터 일으켜 잠금 해제 상태로 요동시킨다. 조작 손잡이(37b)를 잠금 해제 상태로 하면, 잠금 부재(38)가 조작 손잡이(37b)에 의해 가압되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한다. 잠금 부재(38)가 잠금 해제 위치에 이동하면, 그 선단이 개구(33)의 오목부로부터 분리되어, 조작부 본체(37a)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로 조작 손잡이(37b)를 회전시키면, 조작부 본체(37a)와 동시에 브레이크 케이스(65)가 회전하여,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측판(5a)의 결합이 해제된다. 브레이크 케이스(65)와 측판(5a)의 결합이 해제되면, 브레이크 케이스(65)가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조작부 본체(37a)와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것과 동시에요동 기구(34)에 제1측 커버(6a)가 측판(5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브레이크 케이스(65)가 측판(5a) 외측면에서 완전히 이탈하면, 제1측 커버(6a)가 릴 본체(1)로부터 분리되고, 자중에 의해 요동 기구(34)의 축 주위에 도 4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에 요동한다.
제동력의 조정은, 이동 부재(67)를 가이드 축(73) 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용 상태 또는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여 행한다. 제동력의 조정을 끝나면, 제1측 커버(6a)를 닫는다. 이 때에는, 제1측 커버(6a)를 폐쇄 상태 측으로 손으로 요동시키고, 계속해서, 조작 손잡이(37b)를 눌러 브레이크 케이스(65)를 개구(5d) 내에 삽입한다. 브레이크 케이스(65)의 선단을 접촉시킨 상태로 조작 손잡이(37b)를 해제 시와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브레이크 케이스(65)가 개구(5d)에 결합된다. 그리고, 조작 손잡이(37b)를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에 요동시키고, 잠금 부재를 오목부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측 커버(6a)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추가로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해, 이동 부재(67)를 가이드 축(73)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동 부재(67)의 개수를 증감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이동 부재(67)를 분리하면, 제동력은 6개의 이동 부재(67)일 때의 반이 된다. 이 때, 분리한 이동 부재(67)를 수납하기 위한 홀더 부재(80)(도 4 참조)가 측판(5a)의 스풀(12) 하부 전방으로 장착되어 있다.
홀더 부재(80)는,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합성 수지제 부재이며, 이동 부재(67)의 테두리부(67b)가 걸리는홈부(81)를 가지고 있다. 이 홀더 부재(80)로서는, 홈부(81)의 양단으로부터 2개의 이동 부재(67)가 수납 가능하다. 이러한 홀더 부재(80)를 설치함으로써, 분리한 이동 부재(67)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12)은, 알루미늄 합금제의 보빈 몸통부(12b)와, 보빈 몸통부(12b)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2a)는, 내측 플랜지부(12e)와, 내측 플랜지부(12e)의 외주에 설치되어 마그네슘 합금제의 외측 플랜지부(12f)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마그네슘 합금제의 외측 플랜지부(12f)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보빈 몸통부(12b)에 비하여 비중이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스풀(12) 회전 시의 관성력에 영향을 미치기 쉬운 부분인, 외측 플랜지부(12f)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플랜지부(12f)의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스풀(12) 회전의 초속도가 빠르게 되어, 가벼운 낚시도구(tackle)를 던질 때에 정확한 낚시줄의 드리움을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측 플랜지부(12f)는 마그네슘 합금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합금제의 보빈 몸통부(12b)보다 비중이 작은 부재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부(12f)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b)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 몸통부(12b)는, 내주가 스풀축(16)에 장착되는 내주부(12g)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외주부(12h)를 가지는 구성으로할 수도 있다. 내주부(12g)는, 내주가 스풀축(16)에 장착되는 보스부(12c)와, 보스부(12c)와 일체로 성형된 원통형의 원통형부(12d)와, 원통형부(12d)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일체 성형된 내측 플랜지부(12e)를 가지고 있다. 외주부(12h)는, 원통형부(12d)의 외주에 설치된 원통부(12i)와, 원통부(12i)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내측 플랜지부(12e)의 대향면을 따라 일체 성형된 상승부(rise portion)(12j)와, 상승부(12j)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된 외측 플랜지부(12f)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내주부(12g) 및 외주부(12h)에 의해, 보빈 몸통부(12b)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측 플랜지부(12f)는, 내측 플랜지부(12e)와의 접합면(S)이 원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부(12f)의 내측 플랜지부(12e)와의 접합면(S)이, 보빈 몸통부(12b) 측으로 직경을 축소하는 테이퍼면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빈 몸통부(12b) 측에서 외측 플랜지부(12f)에 낚싯줄에 의한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외측 플랜지부(12f)를 테이퍼면에서 지지함으로써, 외측 플랜지부(12f)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부(12f)의 내측 플랜지부(12e)와의 접합면(S)이, 보빈 몸통부(12b) 측으로 직경을 확대하는 반대로의 테이퍼면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접착 등에 의하여, 양단 측에서 외측 플랜지부(12f)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부(12f)의 내측 플랜지부(12e)와의 접합면(S)이, 단면계단형상또는 단면 V자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측 플랜지부(12f)와 내측 플랜지부(12e)의 결합이 비교적 견고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에 있어서, 외측 플랜지부는 보빈 몸통부보다 비중이 작은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벼운 낚시도구를 던질 때에 정확한 낚시줄의 드리움을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릴 본체에 지지되는 스풀축(spool shaft)에 설치되고,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되는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듀얼 베어링(dual-bearing) 릴의 스풀에 있어서,
    내주가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원통형의 보빈 몸통부(bobbin trunk) 및
    상기 보빈 몸통부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설치된 내측 플랜지부와,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주로부터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되어 상기 보빈 몸통부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외측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마그네슘 합금제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합성 수지제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몸통부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몸통부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아웃서트 성형(outsert forming)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몸통부는, 내주가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어 상기 내측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된 내주부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 상기 내주부의 외주 및 상기 내측 플랜지부의 대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외측 플랜지부와 일체로 성형된 외주부를 포함하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20030073000A 2002-10-25 2003-10-20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200400365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1548A JP2004141103A (ja) 2002-10-25 2002-10-25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02-00311548 2002-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64A true KR20040036564A (ko) 2004-04-30

Family

ID=3206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000A KR20040036564A (ko) 2002-10-25 2003-10-20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59887B2 (ko)
EP (1) EP1413196B1 (ko)
JP (1) JP2004141103A (ko)
KR (1) KR20040036564A (ko)
CN (1) CN100349513C (ko)
AT (1) ATE332636T1 (ko)
DE (1) DE60306732T2 (ko)
MY (1) MY128032A (ko)
SG (1) SG125092A1 (ko)
TW (1) TWI2951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5706B2 (en) * 2005-09-22 2007-10-02 Shimano Inc. Spool for spinning reel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270441B2 (ja) * 2009-04-28 2013-08-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5350881B2 (ja) 2009-05-15 2013-1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WO2012112560A1 (en) 2011-02-14 2012-08-23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KR101418029B1 (ko) * 2012-12-07 2014-07-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커버 분실 방지용 낚시용 릴
JP6411009B2 (ja) * 2013-03-29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部品
JP6198538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857476B2 (ja) * 2016-09-30 2021-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127297B1 (ko) * 2017-08-10 2020-06-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팜측 제1 사이드커버용 출몰식 락레버를 구비한 낚시 릴
JP6941558B2 (ja) * 2017-12-27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27781B2 (ja) * 2019-02-08 2023-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7876A (en) * 1952-09-15 1953-11-03 Acrometal Products Inc Spool
US4451012A (en) * 1980-01-17 1984-05-29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line control device
ES1021581Y (es) * 1992-06-16 1993-05-16 Lorenzo Barroso Angel Carrete.
JPH07303439A (ja) * 1994-05-11 1995-11-21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AT503U1 (de) * 1994-12-01 1995-12-27 Davorin Sonenvald Vorrichtung zum abwickeln von schnur
US5755398A (en) * 1996-09-19 1998-05-26 Smatco Industries Winch drum utilizing composite flange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5785266A (en) * 1996-11-08 1998-07-28 Bowersox; Ross W. Variable diameter fishing line reel flange
JP3695869B2 (ja) 1996-12-03 2005-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0041548A (ja) 1998-07-29 2000-02-1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TW462871B (en) 1999-12-03 2001-11-11 Shimano Kk Spinning reel spool
TW518203B (en) * 2001-01-10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TW534795B (en) * 2001-05-18 2003-06-01 Shimano Kk Spinning-reel s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8032A (en) 2007-01-31
TWI295153B (en) 2008-04-01
DE60306732D1 (de) 2006-08-24
EP1413196B1 (en) 2006-07-12
CN100349513C (zh) 2007-11-21
US6959887B2 (en) 2005-11-01
EP1413196A3 (en) 2004-11-10
DE60306732T2 (de) 2007-07-12
TW200412839A (en) 2004-08-01
SG125092A1 (en) 2006-09-29
JP2004141103A (ja) 2004-05-20
US20040079822A1 (en) 2004-04-29
EP1413196A2 (en) 2004-04-28
ATE332636T1 (de) 2006-08-15
CN1498533A (zh) 200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656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JP5270441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5350881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20140112422A (ko) 양 베어링 릴
JP2010252735A5 (ko)
JP617755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KR20090028459A (ko) 스피닝 릴
JP2014176360A5 (ko)
KR101394981B1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EP0839445B1 (en) Spinning reel having a narrow reel body housing
KR100822104B1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KR10094270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4313902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JP3747431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20040038681A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2000041548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3747430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7345348B2 (ja) 両軸受リール
JP3797832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414127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6238713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200236013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6036301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