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04B1 -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04B1
KR100822104B1 KR1020020020487A KR20020020487A KR100822104B1 KR 100822104 B1 KR100822104 B1 KR 100822104B1 KR 1020020020487 A KR1020020020487 A KR 1020020020487A KR 20020020487 A KR20020020487 A KR 20020020487A KR 100822104 B1 KR100822104 B1 KR 100822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ale
arm
reel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088A (ko
Inventor
히라야마히로카즈
오치아이코오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8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에 있어서,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기구(18)는, 베일 암을, 로터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돌리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51)와, 전환 부재(52)와, 롤러(59)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 부재는, 베일 암에 연동하여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로터에 설치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릴 본체의 앞 부분을 향해 일부가 돌출한다. 전환 부재는, 릴 본체(2)의 앞 부분에 설치되고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돌출한 이동 부재에 접촉하여 이동 부재를 제1 위치를 향해 이동 시킨다. 롤러는, 이동 부재와 전환 부재와의 접촉 부분에 제공되고 전환 부재와 구름 접촉한다.
스피닝 릴, 베일, 반전 장치, 이동 부재, 전동 부재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Spinning Reel Bail Tripp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우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닝 릴의 좌측단면도.
도 3은 제1 로터 암의 평면도.
도 4는 제1 로터 암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베일 반전 기구가 도시되어 있는 릴 몸체부의 정면도.
도 6은 베일 반전 기구가 도시되어 있는 릴 몸체부의 저면 부분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제2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3: 로터
17: 베일 암 18: 베일 반전 기구
50: 토글 스프링 기구 51: 이동 부재
52, 153: 전환 부재 59, 154: 롤러
60a, 153a: 경사면 150: 제1 토글 스프링 기구
151: 복귀 레버
본 발명은, 베일 반전(反轉) 장치,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을, 로터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키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와,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을 가지고 있다. 로터는, 회전축을 사이에 두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암부와, 상기 암부들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을 가지고 있다.
베일 암은, 낚싯줄을 권취할 때에 낚싯줄을 스풀 외주로 유도하는 줄 권취 자세와,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풀어 낼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줄 권취 자세로부터 쓰러진 자세인 줄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함과 함께, 로터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하기 위해서, 로터에는 베일 반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장치는, 베일 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로터 내에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기구와, 이동 기구에 접촉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 전환부를 가지고 있다. 이동 기구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로터의 후부(後部)로부터 일부가 돌출하고, 돌 출단은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전환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환부는, 로터의 후부를 막도록 릴 본체의 앞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로터를 향해 돌출하여 일체 또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시와 같이 줄 개방 자세로 베일 암이 배치된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해 로터를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기구의 돌출단이 전환부에 충돌하여 미끄러지면서 접촉한다. 그리고 이동 기구가 전환부에 의해 압압되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하고,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한다.
이러한 베일 반전 기구에서는, 핸들 조작에 의해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킬 때에는, 가능한한 가벼운 조작력으로 베일 암을 순조롭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베일 암의 반전 복귀시에 이동 기구의 돌출단이 항상 전환부에 충돌하기 때문에, 전환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전환부가 손상되면, 이동 기구와 전환부와의 접촉 부분에서의 마찰력이 커져서,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에 있어서,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을, 로터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 기구와 전환부와 전동(轉動)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 기구는, 베일 암에 연동하여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로터에 제공되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릴 본체의 앞 부분을 향해 일부가 돌출하는 기구이다. 전환부는, 릴 본체의 앞 부분에 설치되고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제2 위치에서 돌출한 이동 기구에 접촉하여 이동 기구를 제1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다. 전동 부재는, 이동 기구 및 상기 전환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다른 하나에는 구름 접촉하는 부재이다.
이 베일 반전 장치에서는,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핸들 조작에 의해 로터를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기구의 돌출단이 전환부에 충돌해 이동 기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해서 베일 암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한다. 이 충돌시에 이동 기구 및 전환부의 어느 한 쪽의 접촉 부분에 제공된 전동 부재가 다른 한 쪽과 충돌하므로, 충돌 후에 전동 부재가 회전해 다른 쪽과 구름 접촉한다. 이 때문에, 이동 기구 또는 전환부와 전동 부재가 충돌해도 모두 손상되기 어렵게 되고 구름 접촉하므로 마찰력이 커지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1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이동 기구가, 베일 암의 요동 중심에 근접하고, 상기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타단과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해서 상기 줄 권취 자세측에 있는 위치에서 일단이 베일 암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베일 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타단이 전후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이동 부재의 타단이 후방으로 이동해 전환부에 접촉하는 위치로 돌출한다. 그리고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출한 이동 부재의 타단이 전환부에 접촉하고 이동 부재를 전방으로 압압하여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킨다. 여기에서는, 이동 부재가 베일 암과 전환부에 직접 작용하므로, 힘의 전달이 순조롭게 되는 것과 동시에 이동 기구의 구성이 간소하게 되어, 베일을 확실히 반전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베일 반전 장치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2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는 일단이 베일 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을 향해 요동축심을 따르도록 굴곡하고, 타단이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해 굴곡하며, 그 사이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배치된 봉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타단이 상기 로터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암이 요동하면, 요동 축 심을 따라 굴곡하여 베일 암에 계지된 이동 부재의 일단이 요동 축심 주위로 선회한다. 이것에 의해,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하는 이동 부재의 타단이 로터에 계지되어 전후 이동한다. 여기에서는, 굴곡하여 형성된 봉 형상의 이동 부재의 일단을 베일 암에 계지하고, 타단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계지하는, 베일 암의 요동 운동을 이동 부재의 타단의 전후 직선 운동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3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전동 부재는, 이동 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봉 형상의 이동 부재에 통 형상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만으로 전동 부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이동 기구는, 베일 암에 이동 부재와 다른 위치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베일 암을 상기 줄 권취 자세와 상기 줄 개방 자세에 나누어 압박하는 토글 스프링 기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토글 스프링 기구에 의해 베일 암을 양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전환부는, 로터의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릴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로터 측에 돌출한 경사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부재의 타단(또는 경사면)에 장착된 전동 부재가 경사면(또는 타단)에 충돌해 회전하면서 이동 부재가 서서히 후퇴(전방으로 이동)하여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킨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가 순조롭게 후퇴하여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7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1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이동 기구는, 베일 암의 요동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간에서 상기 로터에 요동 가능하게 계지된 토글 스프링 기구와, 토글 스프링 기구의 타단에 계지되고 로터의 회전축에 평행한 축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로터의 후면에 장착된 복귀 레버를 가지고, 상기 복귀 레버의 선단이 전환부에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복귀 레버가 전환부에 접촉하는 위치로 요동한다. 그리고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귀 레버가 전환부에 접촉해서 원래의 위치에 요동하고, 이 요동에 의해 토글 스프링 기구도 요동하여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킨다. 여기에서는, 복귀 레버가 로터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하기만 하므로, 이동 기구를 로터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7 형태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전환부는, 로터의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에 내민 경사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암이 줄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귀 레버의 선단(또는 전환부)에 장착된 전동 부재가 경사면(또는 복귀 레버)에 충돌하여 물러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토글 스프링 기구를 거쳐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킨다. 이 때문에, 복귀 부재가 순조롭게 요동하고 토글 스프링 기구를 거쳐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9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는, 상기 제7 형태 또는 제8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전동 부재는, 복귀 부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전동 부재가 요동하는 복귀 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전동 부재로 순조롭게 전환부에 접촉한다.
[제1 실시예]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권취하는 것이고, 로터(3)의 앞 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몸체부(2a)와, 릴 몸체부(2a)의 공간을 막기 위해서 릴 몸체부(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체부(2a)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상부에 전후로 연장하는 T자형의 장대 장착 다리부(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몸체부(2a)의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제공되어 있다. 릴 몸체부(2a) 및 덮개 부재(2b)의 전단에는, 원형의 플랜지부(2d)와, 플랜지부(2d)보다 소경이고 선단이 개구하는 원통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e)의 단면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의 일부가 절개된 D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재이고, 세 곳에서 릴 몸 체부(2a)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2d)에 있어서, 릴 몸체부(2a)와 덮개 부재(2b)와의 분할 부분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전환 부재(5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축(10)과,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정면 기어(11)와, 이 정면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 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13)에 의해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를 거쳐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71)를 거쳐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16)와, 로터 본체(16)의 선단에 줄 개방 자세와 줄 권취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17)과, 베일 암(17)을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로터 본체(16)에 장착된 베일 반전 기구(18)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16)는, 릴 몸체부(2a)에 스풀축(15)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앞 부분에는 전벽(33; 前壁)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을 피니언 기어의 앞 부분(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33)의 앞 부분에 로터(3) 고정용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의 후부 외주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와,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면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암부(31b, 32b)와, 양 접속부(31a, 31b)와 양 암부(31b, 32b)의 양 바깥쪽 부분을 각각 가리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c. 32c)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는, 원통부(30)와 둘레 방향으로 매끄럽게 각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암부(31b, 32b)는,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와 매끄럽게 연속해 형성되고 원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1 및 제2 암부(31b, 32b)는, 선단부로부터 원통부(30)와의 접속 부분을 향해 매끄럽게 만곡하고 있다. 양 접속부(31a, 31b)와 양 암부(31b, 32b)의 양 바깥쪽 부분에는, 개구(31d, 32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c, 32c)는, 개구(31d, 32d)를 각각 외주측으로부터 가리고 있다. 상기 제1 커버 부재(31c)와 제1 접속부(31a) 및 제1 암부(31b)와의 사이에는, 수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부(31b)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암부(31b)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일 반전 기구(18)를 장착하기 위한 장공(36; 長孔)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된 보스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암부(32b)의 선단 내주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암(31b)의 보스부(38)에서 나사선이 형성된 장착 핀(39)에 의해 제1 로터 암(31)에 장착된다. 장착 핀(39)은 걸림이 적은 육각 구멍 붙이 볼트로 구성되어, 그 머리 부분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려워진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와, 라인 롤러(41)를 사이에 두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47)가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7)는, 선단이 날카로워진 변형 원추 형상이다. 고정축 커버(47)의 선단부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의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자 형태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0, 42), 라인 롤러(41), 베일(43) 및 고정축 커버(47)에 의해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베일 암(17)이 구성된다. 베일 암(17)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줄 안내 자세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줄 안내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반전 기구의 구성]
베일 반전 기구(18)는, 제1 로터 암(31)의 수납 공간(48)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안내 자세로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귀시키는 것과 동시에, 양 자세에서 그 상태를 유지한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48)내에서 제1 암부(31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스프링 기구(50)와, 수납 공간(48)내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51)와, 이동 부재(51)에 접촉 가능하게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부재(52)와, 로터(3)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부재(65)를 가지는 로터 제동 기구(54)를 가지고 있다.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일 암(17)이 줄 권취 자세가 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가 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1 로터 암(31)내에 배치되어 베일 암(17)을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일단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계지(係止)되고, 타단이 제1 암부(31b)를 따라 연장하는 로드(55)와, 로드(55)를 진출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57)을 가지고 있다.
로드(55)의 선단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계합공(40a)에 계지되도록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향해 절곡된 계지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드(55)의 중간부에는 코일 스프링(57)의 선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돌기(55b)가 제공되고, 후단부에는 약간 만곡한 만곡부(55c)가 제공된다. 계지 돌기(55b)에는, 코일 스프링(57)의 선단이 당접(當 接: 맞닿아 접함)하는 와셔(56)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57)의 선단부로부터 로드(55)로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코일 스프링(57)은, 암부(31b)에 장착된, 예를 들어 나일론 66 등의 합성 수지제의 안내 시트(34)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안내 시트(34)는, 코일 스프링(57)의 일측면을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기단부를 계지하도록 절곡된 벽면부(34a)를 가지고 있다. 벽면부(34a)는, 코일 스프링(57)의 측부 및 기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57)이 신축하기 쉬워지는 것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57)이 신축할 때에 암부(31b)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코일 스프링(57)의 와셔(56)에 계지되는 선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권경(卷徑)이 작아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부 이외에서 코일 스프링(57)과 로드(55)와의 사이에 큰 틈새가 생기고, 코일 스프링(57)의 내부에서 로드(55)가 자세를 바꾸어도 코일 스프링(57)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코일 스프링(57)의 기단부 내주면에 접촉하는 보스부나 기단부 외주면을 가리는 커버부 등을 제공하여 코일 스프링(57)의 기단부를 계지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러한 보스부나 커버부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축과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하도록 암부(31b)에 장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보스부의 기단면에 원호 볼록부를 형성함과 함께 암부(31b)내에 원호 볼록부에 계합하는 원호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보스부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구성의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요동축의 축심(軸芯)인 코일 스프링(57)과 기단의 중심 위치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축심(장착 핀(39) 의 축심)를 연결하는 선분 F에 대해서,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에서 로드(55)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대한 계지 위치가 다른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베일 암(17)을 양 자세로 배분하여 압박하여 양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동 부재(51)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선재의 양단을 90° 다른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이동 부재(51)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이반(離反) 위치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 위치로, 제1 암부(31b)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51)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51a)가 외주측으로 절곡되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형성된 계합 요홈(40b)에 계지되어 있다. 중간부(51b)는, 로드(55)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에서 제1 암부(31b)를 따라 연장하고 있다. 후단부(51c)는, 중간부(51b)로부터 내주측으로 절곡되고, 나아가 로터(3)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다. 후단부(51c)는, 장공(36; 長孔)을 관통하여 원통부(2e)의 기단부에 장착된 제동 부재(65)의 전단면(前端面)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안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후단부(51c)의 선단에는, 선단이 구형으로 되어 있는 캡(58)이 예를 들어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캡(58)에 인접하여 후단부(51c)에는 롤러(59)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롤러(59)는, 전환 부재(52)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캡(58)이 제동 부재(65)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공(36)의 폭은, 이동 부재(51)의 직경과 거의 같은 치수이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는, 베일 암(17)의 요동에 연동하여 장공(36)을 따라 전후 이동한다.
이동 부재(51)의 계합 요홈(40b)에서의 계지단은,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후단부(51c)와 베일 암(17)의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해서 줄 권취 자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접촉 위치(도 3b)에 있을 때의 후단부(51c)의 축심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축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반 위치와 접촉 위치에서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의 계지 위치가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전환 부재(52)에 의해 압압되었을 때,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줄 권취 자세 측으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캡(58)의 선단은, 제동 부재(65)의 전단면보다 안쪽에서 외주면 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이동량이 약간만 변동해도 항상 같은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전환 부재(52)는, 예를 들어 나일론 66이나 폴리 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몸체부(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서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몸체부(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는, 장방형의 노치(53)가 형성되어 있다. 전환 부재(52)는, 두 개의 경사면(60a, 60b)을 가지는 산형(山形)의 캠부(60)와, 캠부(60)와 일체로 형성된 목부(61)와 브림부(62; brim)를 가지고 있다. 경사면(60a)은, 도 6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로터(3)의 줄 권취 회전 방향의 하류측이 상류 측보다 로터(3)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b)은, 경사면(60a)의 돌출 부분부터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하는 경사면이다. 목부(61)는, 노치(53)에 끼워 넣어지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2d)의 두께와 대략 같은 치수의 틈새를 캠부(60)과 브림부(62)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브림부(62)는, 목부(61)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2d)의 이면(裏面)에 접촉한다. 이 경사면(60b)을 제공하면,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강제로 역전(줄을 풀어 내는 방향의 회전)이 더해져 이동 부재(51)가 전환 부재(52)에 접촉해도, 베일 반전 기구(18)의 이동 부재(51)가 경사면(60b)에서 전환 부재(52)로 매끄럽게 안내되어 손상되기 어려워 진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개의 경사면(60a, 60b)을 가지는 전환 부재(52)는, 릴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 전환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환 부재(52)는, 릴 몸체부(2a)에 덮개 부재(2b)를 장착할 때, 예를 들어 릴 몸체부(2a)측의 노치(53)에 목부(61)을 끼어 넣고, 덮개 부재(2b)를 릴 몸체부(2a)에 나사 고정하는 것만으로, 릴 본체(2)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을 위해 다른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릴 본체(2)에 전환 부재(52)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2)가 부식하기 쉬운 마그네슘 합금제이더라도, 이동 부재(51)가 접촉하는 전환 부재(52)는 릴 본체(2)와 별도의 부재이므로, 베일 암(17)이 반전할 경우에 릴 본체(2)가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상처에 의한 부식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릴 본체(2)에 장착되는 전환 부재(52)는, 유전체인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전환 부재(52)를 릴 본체(2)에 접촉시켜도 릴 본체(2)가 전해 부식하지 않는다.
로터 제동 기구(54)는, 줄 개방 자세로 베일 암(17)이 요동했을 때 로터(3)를 제동하는 것이고, 이동 부재(51)와 원통부(2e)의 기단부에 장착된 제동 부재(65)를 가지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베일 반전 기구(18)를 구성함과 함께, 로터 제동 기구(54)도 구성한다.
제동 부재(65)는,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단면이 장방형인, 예를 들어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이소프렌­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의 합성 고무로 구성되는 탄성체의 링 형상 부재이다. 제동 부재(65)의 외주면에는, 전환 부재(52)를 회피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평탄한 원주면으로 구성된 제동면(65a)이 형성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단면이 D자 형상인 원통부(2e)의 기단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 부재(65)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D자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제동 부재(65)의 직선부는, 전환 부재(52)를 우회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제동 부재(65)의 제동면(65a)의 선단 엣지에는, 도입면(65b)이 제동면(65a)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입면(65b)은, 줄 개방 자세로의 요동에 연동한 이동 부재(51)의 이동 방향 상류측이 하류측보다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동면(65a)과 연속하여 둥근 아치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동면(65a)에 연속하여 경사진 도입면(65b)을 형성하면, 이동 부재(51)가 제동 부재(65)에 접촉할 때, 이동 부재(51)에 장착된 둥그스름한 캡(58)이 제동 부재(65)의 도입면(65b)을 지날 수 있는 제동면(65a)에 매끄럽게 접촉한다. 이 때 문에, 베일 암(17)의 자세의 전환이 순조롭게 된다. 원통부(2e)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d)와 간격을 두고 환상 돌기(2f)가 형성되어 있고, 제동 부재(65)는 플랜지부(2d)와 환상 돌기(2f)의 사이에 양자에게 접촉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베일 반전 기구(18)에서는, 토글 스프링 기구(50)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위치는, 베일 암(17)의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베일 암(17)의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동 부재(51)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이반 위치)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접촉 위치)에 후단부(51c)가 장공(36)으로 안내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이반 위치)가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접촉 위치)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한다. 제2 위치(접촉 위치)에서는,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에 장착된 캡(58)이 제동 부재(65)의 전단면보다 안쪽에서 제동면(65a)이 약간 압축되도록 접촉한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이동 위치, 즉 제2 위치(접촉 위치)가 축방향으로 변동해도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위치(접촉 위치)에서 핸들(1)의 조작에 의해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에 장착된 롤러(59)의 주위면은 전환 부재(52)의 경사면(60a)에 충돌하여 회전하고, 이동 부재(51)는 제1 위치(이반 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압압된다. 충돌시에 롤러(59)가 전환 부재(52)와 충돌하므로, 충돌 후에 롤러(59)가 회전하여 전환 부재(52)와 구름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전환 부재(52)와 롤러(59)가 충돌하더라도 어느 쪽도 손상되기 어렵게 되고 구름 접촉하므로 마찰력이 커지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베일 암(17)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7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70)는 롤러 형태의 단방향 클러치를 가지고 있고, 단방향 클러치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와에 전환하는 것에 의해,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해제한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71)를 거쳐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줄 권취 몸통부(4a)와, 줄 권취 몸통부(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줄 권취 몸통부(4a)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시에는 역전 방지 기구(70)에 의해 로터(3)를 역전 금지 상태로 하고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후방 측으로 넘어지고,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넘어진 상태에서는, 스풀(4)로부터 낚싯줄을 용이하게 계속 풀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줄 권취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 토글 스프링 기구(50)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회전에 의해 로드(55)가 도 3a에 있어 서 서서히 퇴입(退入)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에 이른다. 이 때, 사점을 넘을 때까지는 퇴입한다. 사점을 넘으면, 로드(55)가 코일 스프링(57)의 압박력에 의해 진출하여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측으로 전환하는 것과 동시에 그 자세로 유지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이 요동에 따라 이동 부재(51)는 이반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이동하고,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에 장착된 캡(58)은 제동 부재(65)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 결과, 로터(3)가 제동되고 그 회전 위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제동 부재(65)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제동되어 있기만 하므로, 로터(3)를 손으로 회전시키거나 핸들(1)에 의해 회전 시키거나 하면 간단하게 회전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로터(3)가 마찰력에 의해 제동되고 회전 위상이 유지되므로,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했을 때에 로터(3)가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캐스팅(casting)시나 페더링(feathering)시에 로터(3)의 불의의 회전에 의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로터(3)는 마찰에 의해 제동되어 있을 뿐이므로, 로터(3)에 힘을 더하면 간단하게 돌려서 회전 위상을 조정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 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장치의 무거움에 의해 힘차게 방출된다.
캐스팅 후에,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에 유지한 상태에서 핸들(1)을 예를 들어, 왼손으로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해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 일 암(17)이 베일 반전 기구(18)에 의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이동 부재(51)가 로터(3)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에 장착된 롤러(59)가 릴 본체(2) 측에 고정된 전환 부재(52)의 경사면(60a)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 부재(51)가 전방으로 압압되어 도 6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이반 위치로 전환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줄 권취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따라 토글 스프링 기구(50)의 로드(55)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로부터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를 향해 요동한다. 그리고 사점을 넘으면, 코일 스프링(57)의 압박력에 의해 로드(55)가 진출하고, 베일 암(17)을 줄 권취 자세로 전환하는 것과 동시에 그 자세로 유지한다. 베일 암(17)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하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전방측으로 기립하고 있다. 베일 암(17)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하면, 베일 암(17)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되어 스풀(4)의 외주에 권취된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전후 이동하는 이동 부재(51)에 의해 이동 기구를 구성했지만, 스풀축(15)에 평행한 축 주위로 요동하는 복귀 레버(151)를 포함한 이동 기구이어도 좋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48) 내에서 제1 암부(31b) 및 제1 커버 부재(31c)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와, 제1 접속부(31a)의 후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귀 레버(151)와, 복귀 레버(151)를 유지하는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와, 릴 몸체부(2a)의 앞 부분의 플랜지부(2d)에 형성된 전환 부재(153)를 가지고 있다.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는, 베일 암(17)이 줄 권취 자세로 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가 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1 로터 암(31) 내에 배치되고, 베일 암(17)을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는, 일단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계지되고, 타단이 제1 암부(31b)를 따라 연장하는 제1 로드(155)와, 제1 로드(155)가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과 동시에 제1 암부(31b)에 중간부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안내 부재(156)와, 제1 로드(155)를 진출측으로 압박하는 제1 코일 스프링(157)과, 제1 로드(155)를 적어도 요동 도중에 요동 방향으로 계지 가능하게 제1 안내 부재(156)에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계지 부재(158)를 가지고 있다.
제1 로드(155)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155a)가 외주 측으로 절곡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형성된 계합공(40a)에 계지되어 있다. 또한, 제1 로드(15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계지용 돌기부(15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안내 부재(156)는 전단이 개구하며 바닥을 가지는 각통 형상의 부재이고, 제 1 암부(31b)에 형성된 장착공(37a) 및 제1 커버 부재부(31c)에 형성된 장착공(37b)에 계합하는 양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요동축(156a, 156b)을 축방향의 중간부에 가지고 있다. 요동축(156a, 156b)은, 로터(3)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1 안내 부재(156)는 요동축(156a, 156b)을 중심으로 제1 로터 암(31)에 요 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안내 부재(156)의 후단부(도 7 우단부)에는, 복귀 레버(151)가 계합하는 계지 돌기(156c)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지 부재(158)는, 제1 안내 부재(156)의 외측면(도 7의 상면)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판상 부재이다. 계지 부재의 전단부는, 제1 안내 부재(156)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연장된 선단에 계지홈(159)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홈(159)은, 제1 로드(155)가 절곡된 선단부(155a)를 제1 안내 부재(156)의 요동 방향으로 계지하는 홈이고, 제 1 로드(155)의 진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홈(159)의 길이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사점 위치 근방에서 제1 로드(155)를 계지할 수 있는 길이이고, 보스부(38)와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일 암(17)의 요동시의 제1 로드(155)의 사점 위치로부터 최대 이동 위치까지의 길이에 대해서 사점 위치로부터 10 %에서 50 %의 길이이다. 특히, 베일 암(17)을 복귀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사점 위치를 줄 개방 자세측으로 편향 시킨 경우에는, 줄 개방 자세측의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로드(155)가 계지 부재(158)에 계지되도록 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점 위치라는 것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 중심과,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요동 중심(제1 안내 부재(156)의 요동 중심)과, 제1 로드(155)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과의 계지 위치가 일직선상에 나란히 위치한 것을 말한다. 이 때, 제1 로드(155)는, 제1 안내 부재(156)로 가장 퇴입하고, 제1 코일 스프링(157)은, 가장 수축한다.
계지 부재(158)의 후단부에는, 제1 안내 부재(156)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하 는 한 쌍의 장착편(158a, 15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에 요동축(156b)에끼워 넣어지는 감합공(15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편(158a, 158b) 및 감합공(158c)에 의해 계지 부재(158)는, 제1 안내 부재(156)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위치는, 베일 암(17)의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베일 암(17)의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복귀 레버(151)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31a)의 후면에 형성된 보스부(35a)에 로터 회전 평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복귀 레버(151)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제1 안내 부재(156)의 계지 돌기(156c)를 계지하는 계지용 절결부(151a)와,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의 계지용 구멍(151b)과, 로터 회전 축심측으로 돌출 가능한 돌출부(151c)를 가지고 있다. 계지용 절결부(151a)와 제1 안내 부재(156)의 계지 돌기(156c)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안내 부재(156)와 복귀 레버(151)의 위치가 전환되었을 때에 양자에 의한 충돌음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베일 암(17)의 자세가 전환된 것을 조작자에게 확실히 알릴 수가 있다. 돌출부(151c)에는, 롤러(15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롤러(154)는, 돌출부(151c)의 후면(도 9의 이면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장착 핀(151d)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전환 부재(153)의 경사면(153a)에 접촉 가능하다. 이러한 롤러(154)도 롤러(59)와 같이 전환 부재(153)와 충돌 후에 회전하므로, 전환 부재(153)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복귀 레버(151)의 돌출부(151c)에 접촉 가능하게, 단면이 장방형인 링 형상의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제동 부재(65)가 원통부(2e)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51c)의 선단부는, 복귀 레버(151)의 요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51c)를 원호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제동시에 로터(3)를 회전시켰을 때에, 덜컹거림에 의해 복귀 레버(151)가 다소 요동해도, 돌출부(151c)가 제동 부재(65)에 대해서 항상 같은 정도만 외주측으로부터 침입하므로 접촉 상태가 변화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로터(3)를 손으로 돌려도 제동력이 변동하기 어려워지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는, 복귀 레버(151)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고, 복귀 레버(151)를 거쳐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는, 복귀 레버(151)에 계지된 제2 안내 부재(161)와, 제2 안내 부재(161)에 일단이 수납되고 타단이 로터(3)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로드(162)와, 제2 안내 부재(161)를 복귀 레버(151)측으로 압박하는 제2 코일 스프링(163)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제2 안내 부재(161) 및 제2 코일 스프링(163)은, 로터 회전 평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복귀 레버(151) 및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의 구성에서, 제2 안내 부재(161) 및 제2 코일 스프링(163)에 의해, 복귀 레버(151)는 도 9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제1 위치 및 베일 암(17)의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제2 위치 및 베일 암(17)의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전환 부재(153)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과 같은 형태로 릴 몸체부(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 협지되어 있다. 전환 부재(153)는, 제동 부재(65)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제동 부재(65)를 거의 링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환 부재(153)는, 로터(3)의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경사면(153a)을 가진다. 이 전환 부재(153)는, 복귀 레버(151)가 로터(3)와 함께 회전해 왔을 때에, 복귀 레버(151)의 돌출부(151c)에 당접 가능하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시에는 역전 방지 기구(70)에 의해 로터(3)를 역전 금지 상태로 하고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후방측으로 넘어져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은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넘어진 상태에서는, 스풀(4)로부터 낚싯줄을 용이하게 풀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줄 권취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에의 요동에 있어서,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제1 로드(155)가 도 8a에 있어서 서서히 퇴입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에 이른다. 이 때 사점을 넘을 때까지는 퇴입하고 사점을 넘으면 진출한다. 그리고 퇴입 과정에 있어서, 계지 부재(158)에 제1 로드(155)가 계지될 때까지는, 제1 로드(155)로부터 제1 코일 스프링(157)을 거쳐 제1 안내 부재(156)로 힘이 간접적으로 전달되고, 이것에 수반해 제1 안내 부재(156)는 압압되어 요동 중심 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사점 부근에서 제1 로드(155)가 계지 부재(158)에 계지되면, 제1 로드(155)로부터 계지 부재(158)를 거쳐 제1 안내 부재(156)로 힘이 직접 전달된다. 사점을 넘으면, 제1 로드(155)가 제1 코일 스프링(157)의 압박력에 의해 진출하고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측으로 전환하는 것과 동시에 그 자세로 유지한다.
여기에서는, 계지 부재(158)가, 제1 안내 부재(156)에 이동 불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제1 로드(155)를 요동 방향으로 계지하므로, 계지 부재(158)를 거쳐 제1 로드(155)가 제1 안내 부재(156)를 압압할 때, 제1 로드(155)로부터 제1 안내 부재(156)로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요동시의 강성감이 향상하고 요동 느낌이 향상된다.
제1 안내 부재(156)가 제2 위치로 요동하면, 이 요동에 따라 복귀 레버(151)가, 도 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가 된다. 복귀 레버(151)는,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제2 위치로 복귀 레버(151)가 요동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 이, 복귀 레버(151)의 돌출부(151c)가 로터 회전 축심측으로 돌출하여 제동 부재(65)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 결과, 로터(3)가 제동되고 그 회전 위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제동 부재(65)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서 제동되어 있을 뿐이므로, 로터(3)를 손으로 회전시키거나 핸들(1)에 의해 회전시키거나 하면 간단하게 회전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로터(3)가 마찰력에 의해 제동되고 회전 위상이 유지되므로,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했을 때에 로터(3)가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캐스팅(casting)시나 페더링(feathering)시에 로터(3)의 불의의 회전에 의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로터(3)는 마찰에 의해 제동되어 있을 뿐이므로, 로터(3)에 힘을 가하면 간단하게 돌려서 회전 위상을 조정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 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장치의 무거움에 의해 힘차게 방출된다.
캐스팅 후에,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에 유지한 상태로 핸들(1)을 예를 들어, 왼손으로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해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일 암(17)이 베일 반전 기구(18)에 의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있어서, 복귀 레버(151)가 로터(3)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복귀 레버(151)의 돌출부(151c)에 장착된 롤러(154)가 릴 본체(2)측에 고정된 전환 부재(153)와 충돌한다. 이것에 의해, 복귀 레버(151)는 위로 밀려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로 전환된다. 이 때, 충돌 후에 롤러(154)가 전환 부재(153)에 회전하면서 접촉하므로, 전환 부재(153)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복귀 레버(151)가 제1 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제1 안내 부재(156)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위치로부터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에 요동한다. 이 요동 도중에서는, 계지 부재(158)에 제1 로드(155)가 계지되어 있으므로, 제1 안내 부재(156)로부터 제1 로드(155)로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사점을 넘으면, 제1 코일 스프링(157)의 압박력에 의해 제1 로드(155)가 진출하고, 베일 암(17)을 줄 권취 자세에 전환하는 것과 동시에 그 자세로 유지한다.
이 때,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제2 위치에서는, 제1 로드(155)가 사점보다 약간 줄 개방 자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복귀 레버(151)로부터 조금 힘을 주는 것만으로 제1 위치측으로 이행한다. 또한, 복귀 레버(151)는 로터 회전 평면내에서 회전하므로, 로터(3)의 회전력이 그대로 높은 효율로 복귀 레버(151)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조작시에는 작은 힘으로 베일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권취 자세측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줄 개방 자세로부터의 요동 개시시에 제1 로드(155)가 계지 부재(158)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에서의 유극이 적어지고, 베일 반전 동작이 강성감이 있는 빈틈없는 동작이 된다.
베일 암(17)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하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전방측에 기 립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에서, 제1 안내 부재(156)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코일 스프링(157)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제1 로드(155)는 진출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 힘이 효율적으로 제1 안내 부재(156)로부터 제1 로드(155)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점 위치를 종래보다 줄 권취 자세측으로 편향시켜도 베일 암(17)을 순간적으로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줄 권취 자세에서의 제1 토글 스프링 기구(150)의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고, 줄 권취 자세에서 베일 암(17)을 유지하는 힘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줄 권취 자세에서는, 복귀 레버(151)는 도 9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이 상태가 제2 토글 스프링 기구(15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는, 복귀 레버(151)의 돌출부(151c)는 로터 외주측으로 후퇴하고 있고, 로터(3)가 회전해도 돌출부(151c)가 전환 부재(153)에 당접하는 경우는 없다.
베일 암(17)이 줄 권취 자세로 복귀하면, 베일 암(17)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되어 스풀(4)의 외주에 권취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하는 이동 부재(51)나 복귀 레버(151)에 롤러를 장착했지만, 고정된 전환 부재측에 전동(轉動)하는 롤러 또는 회전자 등의 전동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전동 부재를 복수개 제공하면, 이동 부재(51)나 복귀 레버(151)가 충돌한 후에 이동할 때 움직임이 한층 더 순조롭게 된다. 또한, 전 동 부재로서 순환 이동하는 무단 벨트를 이용해도 좋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 반전 기구(18)를 제1 로터 암(31) 측에 장착했지만, 제2 로터 암(32) 측에 장착해도 좋다.
(c)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이동 부재(51)를 제동 부재(65)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고 있었지만, 제동 부재(65)의 전단면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기구와 전환부와의 충돌시에 이동 기구 및 전환부의 어느 쪽이든 한편의 접촉 부분에 설치된 전동 부재가 다른 쪽과 충돌하므로, 충돌 후에 전동 부재가 회전하여 다른 쪽과 구름 접촉한다. 이 때문에, 이동 기구 또는 전환부와 전동 부재가 충돌해도 모두 손상되기 어렵고, 구름 접촉하므로 마찰력이 커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베일 암을 줄 권취 자세로 순조롭게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에 줄 권취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pivot)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bail arm)을, 상기 로터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줄 개방 자세로부터 상기 줄 권취 자세로 복귀시키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反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에 연동하여 줄 권취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릴 본체의 앞 부분을 향해 일부가 돌출하는 이동 기구(shifting mechanism)와,
    상기 릴 본체의 앞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제2 위치에서 돌출한 상기 이동 기구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 기구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전환부와,
    상기 이동 기구 및 상기 전환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다른 하나와 구름 접촉하는 전동(轉動)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베일 암의 요동 중심에 근접하고, 상기 베일 암이 상기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타단과 상기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해서 상기 줄 권취 자세측에 있는 위치에서 일단이 상기 베일 암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상기 베일 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타단이 전후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일단이 상기 베일 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을 향해 요동 축심을 따르도록 굴곡하고, 상기 타단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해 굴곡하며, 그 사이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배치된 봉 형상의 부재이고, 상기 타단이 상기 로터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통 형상의 부재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베일 암에 상기 이동 부재와 다른 위치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상기 베일 암을 상기 줄 권취 자세와 상기 줄 개방 자세에 나누어 압박하는 토글 스프링 기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6.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로터의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상기 릴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로터 측으로 돌출한 경사면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베일 암의 요동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간에 상기 로터에 요동 가능하게 계지된 토글 스프링 기구와,
    상기 토글 스프링 기구의 타단에 계지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평행한 축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상기 로터의 후면에 장착된 복귀 레버를 가지고,
    상기 복귀 레버의 선단이 상기 전환부에 접촉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로터의 줄 권취 방향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경사면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부재는, 상기 복귀 부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KR1020020020487A 2001-04-16 2002-04-15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KR100822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6313A JP2002306032A (ja) 2001-04-16 2001-04-16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JP-P-2001-00116313 2001-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088A KR20020081088A (ko) 2002-10-26
KR100822104B1 true KR100822104B1 (ko) 2008-04-15

Family

ID=1896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487A KR100822104B1 (ko) 2001-04-16 2002-04-15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29568B2 (ko)
EP (1) EP1250841B1 (ko)
JP (1) JP2002306032A (ko)
KR (1) KR100822104B1 (ko)
CN (1) CN1243470C (ko)
AT (1) ATE281072T1 (ko)
DE (1) DE60201772D1 (ko)
MY (1) MY134894A (ko)
SG (1) SG118125A1 (ko)
TW (1) TW5209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7881B2 (ja) * 2002-08-28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US6766974B2 (en) * 2002-11-18 2004-07-27 Liang-Jen Chang Clicking reel shell for spinning reel
JP4266719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892416B2 (ja) * 2007-06-15 2012-03-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EP2074885A2 (en) * 2007-12-27 2009-07-01 Daiwa Seiko Inc. Fishing spinning reel
JP5568323B2 (ja) * 2010-01-13 2014-08-06 株式会社ヤマヒサ リード付きハーネス
JP5866275B2 (ja) * 2012-12-27 2016-02-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7549128B (zh) * 2016-06-30 2020-11-0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卷线器
JP6964998B2 (ja) 2017-03-08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6965063B2 (ja) * 2017-09-05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6965074B2 (ja) * 2017-09-22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6978310B2 (ja) * 2017-12-28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7143116B2 (ja) * 2018-05-18 2022-09-2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JP7212516B2 (ja) * 2018-12-27 2023-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438A (ja) * 1994-05-13 1995-11-21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4838A (ja) * 1996-06-20 1998-01-13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78489A (ja) * 1997-12-19 1999-07-0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37152A (ja) * 1998-07-23 2000-02-08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112669A (ja) * 2000-10-11 2002-04-16 Jiyuuya Takeuchi 擬似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7880U (ko) 1979-08-31 1981-04-10
JPH0172073U (ko) 1987-10-31 1989-05-15
US4932616A (en) * 1988-09-12 1990-06-12 Berkley, Inc. Bail release mechanism for a spinning fishing reel
JPH0260573U (ko) * 1988-10-24 1990-05-02
US5669565A (en) * 1992-07-15 1997-09-23 Zebco Corporation Anti-jamming mechansim for bail assembly on fishing reel
JPH08298902A (ja) * 1995-05-09 1996-11-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姿勢切り換え装置
US5820052A (en) * 1996-01-10 1998-10-13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having a support arm with a support member mounting portion
CN1198300A (zh) 1997-05-05 1998-11-11 查理斯·C·沃斯公司 钓鱼卷线器及收缩线装置
JP3526200B2 (ja) * 1997-06-24 2004-05-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87788A (ja) * 1997-12-26 1999-07-13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116313A (ja) 1998-10-13 2000-04-25 Shinko Shoji Kk ブロイラー等の洗浄方法及び装置
JP3759573B2 (ja) 2000-04-25 2006-03-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TW474782B (en) 2000-06-23 2002-02-0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3438A (ja) * 1994-05-13 1995-11-21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04838A (ja) * 1996-06-20 1998-01-13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178489A (ja) * 1997-12-19 1999-07-0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37152A (ja) * 1998-07-23 2000-02-08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112669A (ja) * 2000-10-11 2002-04-16 Jiyuuya Takeuchi 擬似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0980B (en) 2003-02-21
CN1381172A (zh) 2002-11-27
DE60201772D1 (de) 2004-12-09
ATE281072T1 (de) 2004-11-15
EP1250841A1 (en) 2002-10-23
US6729568B2 (en) 2004-05-04
KR20020081088A (ko) 2002-10-26
MY134894A (en) 2007-12-31
CN1243470C (zh) 2006-03-01
EP1250841B1 (en) 2004-11-03
US20020148918A1 (en) 2002-10-17
SG118125A1 (en) 2006-01-27
JP2002306032A (ja) 200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104B1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TWI395546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線器本體
JP375957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KR20080075776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JP404516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KR20060090574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US7070137B2 (en) Handle assembly for a spinning reel
KR2004003656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20020000485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KR10108006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KR100954120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30055176A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KR10108184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KR1010315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436598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457204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0139290A (ja) 魚釣用リ―ルのロ―タ機構
JP37595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102898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37534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22124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2000138A5 (ko)
KR10100437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JP200205167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