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379B1 -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379B1
KR101004379B1 KR1020040000766A KR20040000766A KR101004379B1 KR 101004379 B1 KR101004379 B1 KR 101004379B1 KR 1020040000766 A KR1020040000766 A KR 1020040000766A KR 20040000766 A KR20040000766 A KR 20040000766A KR 101004379 B1 KR101004379 B1 KR 10100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ishing line
rotation
reel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057A (ko
Inventor
니시카와토모히로
오치아이히로시
후로모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7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무베일형의 로터(rotor)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 있어서, 캐스팅시의 로터의 회전을 가급적으로 억제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기구(40)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무베일형의 로터의 회전을 릴 본체에 대해서 2곳의 회전 위상으로 규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동 기구(61)와 회전 규제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기구는, 로터 암에 설치되고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에 연동하여 낚싯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여 제1 위치보다 릴 본체에 근접한 제2 위치 간에 이동하는 기구이다. 회전 규제부는, 릴 본체에 설치되어 연동 기구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연동 기구에 로터의 복수의 회전 위상에 접촉하여 로터의 적어도 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릴, 로터, 로터 암, 회전 규제부, 요동 레버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ROTOR SPIN RESTRICTING DEVICE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스피닝 릴의 배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감속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로터의 정면도.
도 7은 로터의 우측면도.
도 8은 로터의 좌측면도.
도 9는 고정 축 커버의 단면도.
도 10은 로터 회전 기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제1 로터 암 단면 확대도.
도 11은 로터 회전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릴 본체 앞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3: 로터
31: 낚싯줄 안내부 33: 제1 로터 암
40: 로터 회전 규제 기구 41: 지지 부재
43: 라인 롤러 50: 역회전 방지 기구
61: 연동 기구 62: 회전 규제부
62a, 62b: 규제 돌기 63: 제1 토글 용수철 기구
64: 요동 레버
본 발명은 로터(rotor) 회전 규제 장치,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터 암과,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만 낚싯줄 개방 자세와 낚싯줄 감기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를 포함하는 로터에 있어서, 낚싯줄 안내부가 낚싯줄 개방 자세에 배치되어 있을 때, 릴 본체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 위상을 규제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의 로터로서, 하나의 로터 암에만 낚싯줄 안내부를 가지는, 이른바 무베일형의 로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1 참조.). 무베일형의 로터를 가지는 스피닝 릴은,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기 때문에, 특히 원투(遠投)에 사용되는 던질 낚시용의 스피닝 릴로서 매우 적합하다.
종래의 무베일형의 스피닝 릴의 로터는, 제1 및 제2 로터 암을 가지는 로터 본체와, 제1 로터 암의 선단에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낚싯줄 안내부는, 제1 로터 암의 낚싯 줄 개방 자세 (특허 문헌 1의 상태)와 낚싯줄 감기 자세 (비특허 문헌 1의 상태)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부재와, 고정축, 라인 롤러, 고정축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축은 지지 부재의 선단에 기단(基端)이 장착된 것이다. 라인 롤러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축 커버는 선단을 향하여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축의 축심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무베일형의 로터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 시에는, 낚싯줄 안내부를 조작하기 쉬운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 회전한 후, 낚싯줄 안내부를 잡아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킨다.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낚싯대를 잡을 때에는 낚싯대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의 원하는 회전 위상에 낚싯줄 안내부를 배치하고, 왼손으로 낚싯대를 잡을 때에는 우측의 원하는 회전 위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낚싯대를 잡은 손의 집게손가락의 바닥으로 낚싯줄을 건져 올려 캐스팅한다. 캐스팅을 끝내면, 낚싯대를 잡은 손과 반대 손가락으로 낚싯줄 안내부를 집어 낚싯줄 감기 자세측으로 돌린 후, 그 손으로 낚싯줄을 집어 라인 롤러에 건다. 이와 같이 무베일형의 로터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대를 잡은 손에 따라 원하는 회전 위상이 좌우로 다르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의장 등록 제 568528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다이와 정공 주식회사 발행, 1982년도 다이와 종합 카탈로그(P. 20-21)
이러한 구성의 무베일의 로터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서는, 캐스팅 후에 캐스팅시의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해버리는 일이 있다. 로터가 회전하면, 낚싯줄 안내부가 캐스팅 전의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부터 어긋나버린다. 이 때문에, 캐스팅 후에 손으로 낚싯줄을 집어 낚싯줄 안내부에 걸 때,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에 걸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캐스팅시에 로터가 회전하면, 낚싯줄 안내부가 원래의 회전 위상에 배치되도록 로터를 재차 회전시킬 필요가 생기고,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에 거는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로터 암에만 낚싯줄 안내부가 설치된 스피닝 릴의 로터에 있어서, 캐스팅시 로터의 회전을 가급적으로 억제하는데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로터 암과 로터 암의 선단에 낚싯줄 개방 자세와 낚싯줄 감기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를 포함하는 로터에 있어서, 낚싯줄 안내부가 낚싯줄 개방 자세에 배치되어 있을 때, 릴 본체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로터의 회전을 규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동 기구와 회전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기구는, 로터 암에 설치되어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에 연동하여 낚싯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여 제1 위치보다 릴 본체에 근접한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기구이다. 회전 규제부는, 릴 본체에 설치되어, 연 동 기구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연동 기구에 로터의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접촉하여 로터의 적어도 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 로터 회전 규제 장치에서는, 낚싯줄 안내부를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키면 연동 기구가 제1 위치로부터 릴 본체에 근접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로터를 복수의 회전 위상의 어느 쪽인가로 회전시키면, 제2 위치로 이동한 연동 기구가 회전 규제부에 접촉하여 로터의 적어도 한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여기에서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연동 기구가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회전 규제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의 적어도 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를 복수의 회전 위상의 어느 쪽인가에 배치하면 캐스팅시 로터의 회전을 가급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1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회전 규제부는, 릴 본체의 로터와 대향하는 면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제2 위치에 배치된 연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에 돌기부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회전 규제부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규제부의 구성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로터에 있어서, 스피닝 릴은,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해제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를 가지고, 회전 규제부는, 로터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연동 기구에 접촉하여 상기 로터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 경우에는, 통상의 스피닝 릴에 설치되어 있는 로터의 역회전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 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금지 기구를 이용하여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 규제부에 의하여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로터를 역회전 금지 상태로 하여 로터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회전 위상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로터의 양방향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연동 기구는, 전단부가 낚싯줄 안내부에 계지(係止)되고 도중(途中)이 로터 암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 안내부를 낚싯줄 안내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로 양분하여 압박하는 토글 용수철 기구와, 로터 본체의 후면부에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주위에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단이 상기 토글 용수철 기구의 후단부에 계합(係合)하고 또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선단이 회전 규제부에 접촉하는 요동 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2 위치에 있는 요동 부재를 회전 규제부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로터의 회전을 간소한 구성으로 규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은, 핸들(1)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3)와,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전후 이동하는 스풀(4)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피닝 릴은,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 구동하는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내부에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開口)하는 케이스부(10), 케이스부(10)의 양측을 각각 막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 케이스부(10)에 일체 형성된 장대 장착부(13), 케이스부(10) 및 양 덮개부(11, 12)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14)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부(10)는, 예를 들어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합금제의 경량이고 또한 비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이고, 로터 구동 기구(5)나 오실레이팅 기구(6)를 수납 지지하기 위한 수납 공간(10a)을 형성할 수 있는 양면이 개구한 틀상의 부재이다. 케이스부(10)는, 안 길이 (도 3 지면(紙面) 직교 방향)가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된 것이다. 케이스부(10)의 전면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원웨이 클러치 (후술)나 피니언 기어 (후술) 등이 장착되는 원판상의 기구 지지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후부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의 전환 조작부 (후술)가 지지되는 조작 지지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구 지지부(10b)의 후방에는, 피니언 기어 및 전환 조작부를 지지하기 위한 중간 지지부(10d)가 상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비강도 및 내식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케이스부(10)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는, 도 1 및 도 4로부터 명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의 일면측의 개구 중, 핸들(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7)를 덮는 제1 커버부(11a)와, 제1 커버부(11a)로부터 후방 (도 1에 파선으로 도시한 부분보다 후방)의 개구가 노출하는 제2 노치(notch)부(11b)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2 노치부(11b)를 설치한 것은, 제1 덮개부(11)와 커버부(14)의 중복 부분을 가급적으로 줄여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덮개부(11)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스터 기어(7)가 설치된 마스터 기어축(8)의 일단을 마스터 기어(7)의 배면측에서 지지하는 제1 보스부(11c)가 벽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부(11)의 앞부분에는, 로터(3)의 내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원판부를 구성하는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d)의 앞부분에는, 기구 지지부(10b)의 후면에 배치되고 기구 지지부(10b)의 외주면(外周面)과 대략 면일(面一)로 구성되는 대략 반원호상의 제1 기구 수납 커버(11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1)에는 마스터 기어(7)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축(8)에 큰 부하가 작용했을 때, 제1 보스부(11c)에는 큰 힘이 작용하기 쉽다. 그래서, 제1 덮개부(11)는 비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금속제로 하고 있다. 제1 덮개부(11)의 전하부(前下部)에는, 커버 부재(14)를 장착함과 함께, 세정시의 물기 제거나 윤활유 충전 등의 정비를 행하기 위한 제1 나사 구멍(11f)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12)는, 제1 덮개부(11)와 대략 대칭인 경상(鏡像) 관계의 형상이고, 제2 커버부(12a), 제2 노치부(12b), 제2 보스부(12c), 제1 플랜지부(11d)와 대략 경상 관계 형상의 제2 플랜지부(12d), 및 기구 수납 커버(12e)가 형성되어 있 다. 또한, 제2 나사 구멍(12f) (도 2)도 제1 나사 구멍(11f)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11d, 12d)는, 케이스부(10)의 기구 지지부(10b) 후면의 외주면으로 원형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 부분이 로터(3)의 후면에 약간의 간극에서 꼭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덮개부(12)는 마스터 기어(7)로부터 비교적 멀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보스부(12c)에는 큰 힘은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나이론(66) 등의 합성 수지제로 하고 있다. 제2 보스부(12c)는, 마스터 기어축(8) 타단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2 덮개부(12) 벽면의 제1 보스부(11c)와 대향하는 대략 중앙 부분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양 덮개부(11, 12)는 예를 들어 둥근 머리 나사와 같은 고정 나사(19)에 의해, 케이스부(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덮개부(11, 12)의 고정 방법은, 각종 변형예가 생각되며, 예를 들어, 케이스부(10)를 관통시켜 한 쪽의 덮개부로부터 다른 쪽의 덮개부로 나사를 넣어 고정해도 무방하다.
장대 장착부(13)는, 케이스부(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T자 형상의 부재이고, 선단에 형성된 전후로 연장되는 릴 다리(13a)가 낚싯대에 릴 시트 (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가능하다. 덧붙여, 장대 장착부(13)는 경량화 및 두께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상면 및 전면에 두께 함몰부(13b, 13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를 장착한 상태의 케이스부(10)를 후방에서 측부 및 바닥부를 덮도록 만곡(灣曲)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노치부(11b, 12b)를 막음과 함께, 릴 본체(2)의 후단 각부(角部)를 포함하는 측면 및 후면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ABS 수지 등의 비교적 경질의 합성 수지제이고, 표면에 금속 도금을 행하고 있다. 커버 부재(14)는, 전단 측부의 제1 및 제2 나사 구멍(11e, 12e)에 대향하는 위치에 계단식의 나사 장착 구멍(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장착 구멍(14a, 14b)에 제1 및 제2 나사 구멍(11f, 12f)으로 나사가 들어가는 나사 부재(14c)가 장착되어 커버 부재(14)를 양 덮개부(11, 12)에 고정함과 함께 정비시에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후단 아래면에서 케이스부(10)의 아래면에 나사로 조여진다. 나사 부재(14d)에 의해서도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릴 본체(2)에서는, 제1 덮개부(11)가 경량이고 또한 비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제이기 때문에, 마스터 기어(7)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비교적 큰 힘이 작용하기 쉬운 제1 덮개부(11)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터 기어(7)로부터 멀어 그다지 큰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제2 덮개부(12)는 합성 수지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부(10)가 마그네슘 합금제이므로, 릴 본체(2) 전체로서, 비강도를 유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의 핸들축(1a)이 나사로 조여져 고정되는 마스터 기어축(8)과, 마스터 기어축(8)에 일체 형성된 마스터 기어(7)와, 마스터 기어(7)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9)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8)은, 릴 본체(2)의 양 덮개부(11, 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보스부(11c, 12c)에 장착된 베어링(15a, 15b)에 의해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8)의 양단 내주부(內周部)에는, 암나사부(8a, 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8a, 8b)는,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나사가 조여지는 방향의 나사이다. 따라서, 도 2 좌측의 암나사부(8a)는 왼쪽 나사이고, 우측의 암나사부(8b)는 오른쪽 나사이다. 덧붙여, 핸들(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왼쪽 위치와 도 2에 도시하는 오른쪽 위치의 마스터 기어축(8) 양단의 어느 쪽에도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암나사부(8a, 8b)의 나사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핸들축(1a)을 좌우에 장착하는 경우, 각각 전용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덧붙여, 도 2에는 왼쪽 핸들용의 핸들축(1a)이 도시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중공(中空) 통상(筒狀)의 부재이고, 앞부분이 로터(3)를 관통하여 로터(3)를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9)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6)이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는 너트(17)가 장착되어, 너트(17)에 의해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는, 그 축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8a, 18b)에 의해 릴 본체(2)의 케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8a)은 기구 지지부(10b)에 장착되고, 베어링(18b)은 중간 지지부(10d)에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의 후단측에 형성된 기어부(9b)에는 환상(環狀)의 노치부(9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의 노치부(9c)는 후술하는 감속 기구(20)를 컴팩트하게 배치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 에 맞물리는 감속 기구(20)와, 감속 기구(2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나축(螺軸)(21)과, 나축(21)에 계합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슬라이더(22)를 스풀축(16) 방향으로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축(23a, 23b)을 가지고 있다.
감속 기구(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대경(大徑) 기어(25a) 및 소경 기어(25b)를 가지는 계단식 기어부(25)와, 소경 기어(25b)에 맞물리는 제1 중간 기어(26a) 및 제1 중간 기어(26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중간 기어(26b)를 가지는 중간축(26)과, 나축(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 중간 기어(26b)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27)를 구비하고 있다.
계단식 기어부(25)는, 피니언 기어(9)와 평행한 축 주위를 회전한다. 대경 기어(25a)는, 피니언 기어(9)에 맞물리는 나사 기어이다. 소경 기어(25b), 제1 중간 기어(26a), 제2 중간 기어(26b) 및 종동 기어(27)는, 다같이 나사 기어이고, 중간축(26)은, 계단식 기어부(25)와 어긋나는 축 주위를 회전하며, 종동 기어(27)가 장착된 나축(21)은, 중간축(26)과 어긋나고 또한 피니언 기어(9)와 평행한 축 주위를 회전한다. 중간축(26)의 제2 중간 기어(26b)는, 피니언 기어(9)의 노치부(9c)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노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나축(21)을 피니언 기어(9)에 근접하여 배치시킬 수 있어, 릴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감속 기구(20)에서는, 피니언 기어(9)의 회전이 크게 감속되어 나축(21)으로 전달된다.
나축(21)은, 표면에 교차하는 나선상의 홈(21a)이 형성된 부재이고, 스풀축(16)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축(21)은, 케이스부(10)의 전후단에 예 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나축(21)은 케이스부(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고, 케이스부(10)의 후면에 나사로 막아 고정된 고정판(54)에 의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내부에 나축(21)의 홈(21a)에 계합하는 계합 부재(22a)가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스풀축(16)의 후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계합 부재(22a)의 선단이 홈(21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나축(21)의 회전에 따라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스풀축(16)을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 이동시킨다.
가이드축(23a, 23b)은 슬라이더(22)를 관통하고 있고, 슬라이더(22)를 스풀축(16)을 따라 안내한다. 가이드축(23a)은, 케이스부(10)의 후단과 중간 지지부(10d)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a)은, 케이스부(10)의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고, 나축(21)을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판(54)에 의해 후단이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은, 케이스부(10)의 전후단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은 케이스부(10)의 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축(23b)의 앞부분에는, 제1 덮개부(11)의 앞부분을 고정하는 고정 나사(19)가 접촉 가능하며, 이 고정 나사(19)에 의해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로터(3)는, 낚싯줄 안내부가 한쪽의 로터 암에만 장착된, 이른바 무베일 타입의 것이다.
로터(3)는,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30)와, 로터 본체(3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부(31)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30)는, 예를 들어 표면에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마그네슘 합금제이고, 통상의 지지부(32)와, 지지부(32)의 후단부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지지부(32)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갈수록 앞쪽으로 약간 확장되는 상태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로터 암(33, 34)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32)는,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지름이 축소한 후에 원통상으로 형성된 대체로 통상 부재이다. 지지부(32)의 앞부분에는, 전벽(32a)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2a)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이 관통하는 보스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2b)는,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 회전 불가능에 장착되어 있다. 전벽(32a)의 앞부분에서 피니언 기어(9)의 앞부분에는 너트(17)가 나사로 조여져 있고, 이 너트(17)에 의해 로터(3)가 피니언 기어(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앞부분에는, 스풀축(16)으로의 낚싯줄 감겨 붙음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실 씹힘 방지 부재(35)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3)의 선단에는,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3)의 내부에는,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를 2개의 회전 위상으로 규제하기 위한 로터 회전 규제 기구(4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3)의 직경 방향 외주측은 제1 커버 부재(36)에 의해 덮여져 있다.
제2 로터 암(34)은, 제1 로터 암(33)과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직경 방향 외주측은, 제2 커버 부재(37)에 의해 덮여져 있다. 제2 로터 암(34)은, 로터(3)의 회전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제2 로터 암(34)은, 낚싯줄 안내부(31)가 장착된 제1 로터 암(33)의 무게 중심 위치에 접근하기 위해서 무게 중심 위치를 전방측으로 편의시키고 있다. 무게 중심 위치를 전방측으로 편의시키기 위해서, 제2 로터 암(34)에는 기단측에 개구부(34a)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선단측에 추 부재(38)를 장착하기 위한 추 수납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추 부재(38)는,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제이다. 또한, 제2 로터 암(34)은,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편의시키기 위해서, 도 7 및 도 8에 명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제1 로터 암(33)보다 길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3)의 낚싯줄 안내부(31)의 요동 축심을 통과하는 제1 직선(L1)과 제2 로터 암(34)의 폭 방향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1 직선(L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직선(L2)이, 로터 본체(30)의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역측에 대략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도록, 양 로터 암(33, 34)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양 로터 암(33, 34)을 배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가 회전 축심(X)에 대해서 외측으로 크게 편의 (도 6에서는 제1 직선(L1)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회전 밸런스를 더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 씹힘 방지 부재(35)는, 지지부(32)의 원통 부분과 면일로 형성된 원통상의 씹혀 들어감 방지부(35a)와, 씹혀 들어감 방지부(35a)의 후단부에 중심을 향하여 대향하여 설치된 1쌍의 설상(舌狀)의 장착부(35b)를 가지고 있다. 씹혀 들어감 방지부(35a)의 선단은 타 부분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풀(4) 내부로 침입한 낚싯줄이 로터(3)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씹혀 들어감 방지부(35a)의 선단 내주면에는, 회전 밸런스 보정용의 추 부재(39)를 수납하기 위한 추 수납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추 부재(39)도, 예를 들어 텅스텐 합금제이다. 덧붙여, 추 수납부(35c)는, 도 3에서는, 개시의 편의를 위해 제2 로터 암(34)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낚싯줄 안내부(31)가 요동하는 방향에서 양 로터 암(33, 34)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추 수납부(35c)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 안내부(31)가 제1 직선(L1)보다 회전 축심(X)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낚싯줄 안내부(31)에 대해서 회전 축심(X)과 역측에 배치된 추 부재(39)에 의해 회전 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실 씹힘 방지 부재(35)는, 장착부(35b)의 전면으로부터 장착된 2개의 나사 부재(29, 29)에 의해 전벽(32a)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전벽(32a)의 전면은 실 씹힘 방지 부재(35)를 장착한 상태로, 장착부(35b)를 포함하여 환상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장착부(35b)를 포함한 평탄면을 전벽(32a)의 전면에 형성하기 위해서, 전벽(32a)에는, 설상의 장착부(35b)가 비집고 들어가는 오목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4)측으로부터 이물이 비집고 들어가 부착하여도, 스풀(4)을 떼어내면 이물을 닦아 내기 등 하여 제거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는, 낚싯대로부터 스풀(4)로 낚싯줄을 순조롭게 안내하여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안내부(31)는, 스풀(4)의 권사 몸통부(4a) (후술)의 외주면에 낚 싯줄을 안내하기 쉽게 로터의 회전 축심(X)으로부터 바깥쪽 (도 6 왼쪽)으로 크게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 선단에 장착된 지지 부재(41)와, 지지 부재(41)의 선단에 기단이 고정된 고정축(42)과, 고정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안내할 수 있는 라인 롤러(43)와, 고정축(42)의 선단에 설치된 고정축 커버(44)와, 고정축 커버(44)의 선단에 설치되어 낚싯줄을 계지하는 낚싯줄 계지부(45)를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41)는, 선단에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42)은, 지지 부재(41)의 선단에 기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착 볼트(42a)에 의해 지지 부재(41)에 고정된다. 고정축(42)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41)의 요동면(F) (도 1)에 대해서 선단이 스풀(4)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스풀(4)을 향하여 선단이 약간 경사하고 있다. 고정축(42)의 외주에는, 라인 롤러(43)가 1쌍의 베어링(4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3)는 외주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환상의 안내 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실 꼬임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라인 롤러(43)의 외주면의 양단은, 지지 부재(41) 및 고정축 커버(44)에 의해 덮여져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2)과 일체 형성된,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2)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정점(44b)이 고정축(42)의 선단(42a)보다 후방 (도 9 하측)을 향하여 편심하고, 또한 릴 본체(2)측 (도 9 하측)에 낚싯줄 안내면(44c)이 설치된 대략 원추 형상의 부재이 다. 고정축 커버(44)의 후면측의 능선 근방의 도 7에 빗금으로 도시하는 영역이 라인 롤러(43)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면(44c)으로 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로터(3)를 전방으로부터 보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축(42)과 동심에 선단이 스풀(4)을 향하여 경사하여 연장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감기 자세에 있을 때, 낚싯줄 안내면(44c)은 고정축(42)의 선단측으로부터 낚싯줄 계지부(45)측을 향해 서서히 릴 본체(2)와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의 전면에는, 타 부분보다 패인 손잡이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 오목부(44a)를 설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감기 자세로부터 낚싯줄 개방 자세로 돌릴 때에 편리하다. 낚싯줄 계지부(45)는, 정점(44b)의 바로 앞측에서 능선과 매끄럽게 연속하여 정점(44b)으로부터 돌출하는 선단이 타 부분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은 구상(球狀)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낚싯줄 안내부(31)는,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이 다른 부분보다 굵기 때문에 한 번 낚싯줄이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되면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낚싯줄 계지부(45) 및 고정축 커버(44)의 정점(44b)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이 낚싯줄 안내면(44c)에 의하여 라인 롤러(43)의 안내 홈(47)으로 확실히 안내된다.
로터(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방지 기구(50)에 의해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해제할 수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케이스부(10)의 기구 지지부(10b)에 장착된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51)는, 역회전 금지 상태와 역회전 가능 상태에 전환이 가능하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원웨이 클러치(51)를 역회전 금지 상태와 역회전 가능 상태 간에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52)를 더 가지고 있다. 전환 조작부(52)는, 케이스부(10)의 조작 지지부(10c) 및 중간 지지부(10d)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후단이 케이스부(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터(3)의 역회전 금지·해제 조작을 릴 본체(2)의 후부에서 조작 가능하다.
로터 회전 규제 기구(4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로터 암(33)과 제1 커버 부재(36) 간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 회전 규제 기구(40)는, 연동 기구(61)와, 연동 기구(61)에 접촉하는 회전 규제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기구(61)는, 제1 로터 암(33)에 설치되어 낚싯줄 안내부(31)의 요동에 연동하여 낚싯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여 제1 위치보다 릴 본체(2)에 근접한 제2 위치 간에 이동한다. 또한, 회전 규제부(62)는, 릴 본체(2)에 설치되어, 연동 기구(61)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연동 기구(61)에 로터(3)의 2곳의 회전 위상으로 접촉하여 로터(3)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연동 기구(61)는, 제1 로터 암(33)과 제1 커버 부재(36)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와, 제1 로터 암(33)의 후단면(後端面)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 레버(64)와, 요동 레버(64)를 유지하는 제2 토글 용수철 기구(75)를 가지고 있다.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는, 낚싯줄 안내부(31)가 낚싯줄 감기 자세로 되는 제1 위치와 낚싯줄 개방 자세로 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 도록 제1 로터 암(33) 내에 배치되고,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감기 자세와 낚싯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는, 일단이 지지 부재(41)에 계지되고, 타단이 제1 로터 암(33)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로드(65)와, 제1 로드(65)가 진퇴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제1 로터 암(33)에 중간부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가이드 부재(66)와, 제1 로드(65)를 진출측으로 압박하는 제1 코일 용수철(67)을 가지고 있다.
제1 로드(65)는, 그 선단부(65a)가 외주측으로 구부러지고, 지지 부재(41)에 형성된 계합 구멍(41a)에 계지되어 있다. 또 제1 로드(65)의 외주면에는, 용수철 계지용의 돌기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부재(66)는 전단이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고, 제1 로터 암(33) 및 제1 커버 부재(36)로 형성된 장착 구멍(33a), 장착 구멍(36a)에 계합하는 양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요동축(66a, 66b)을 축 방향의 중간부에 가지고 있다. 요동축(66a, 66b)은, 로터(3)의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1 가이드 부재(66)는, 요동축(66a, 66b)을 중심으로 제1 로터 암(36)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부재(66)의 후단부 (도 10 우단부)에는, 요동 레버(64)가 계합하는 계지 돌기(66c)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요동 레버(64)는, 제1 로터 암(33)의 후면에 나사가 넣어진 장착 볼트(68)에 부시(69)를 통하여 로터(3)의 회전 평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동 레버(64)는, 예를 들어 스텐레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판상(板狀)의 부재이다. 요동 레버(64)는,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의 제1 가이드 부재(66)의 계지 돌기(66c)를 계지하는 계지용 노치(64a)와, 제2 토글 용수철 기구(75) 계지용의 구멍(64b)과, 로터 회전 축심측으로 돌출 가능한 돌출부(64c)와, 부시(69)에 끼워 넣어지는 장착 구멍(64d)을 가지고 있다.
계지용 노치(64a)와 제1 가이드 부재(66)의 계지 돌기(66c)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 부재(66)와 요동 레버(64)와의 위치가 전환되었을 때에 양자에 의한 충돌 음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 안내부(31)의 자세가 전환된 것을 조작자에게 확실히 알릴 수 있다.
제2 토글 용수철 기구(75)는, 요동 레버(64)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고, 요동 레버(64)를 통하여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유지하고 있다. 제2 토글 용수철 기구(75)는, 요동 레버(64)로 계지된 제2 가이드 부재(71)와, 제2 가이드 부재(71)에 일단이 수납되고 타단이 로터(3)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로드(72)와, 제2 가이드 부재(71)를 요동 레버(64)측으로 압박하는 제2 코일 용수철(73)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제2 가이드 부재(71) 및 제2 코일 용수철(73)은, 로터 회전 평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요동 레버(64) 및 제2 토글 용수철 기구(75)의 구성에서는, 제2 가이드 부재(71) 및 제2 코일 용수철(73)에 의하여, 요동 레버(64)는 도 11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제1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2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제1 위치는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의 제1 위치 및 낚싯줄 안내부(31)의 낚싯줄 감기 자 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의 제2 위치 및 낚싯줄 안내부(31)의 낚싯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회전 규제부(62)는, 제1 및 제2 덮개부(11, 12)의 제1 및 제2 플랜지부(11d, 12d)의 전면에 케이스부(10)를 끼워 회전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규제 돌기(62a, 62b)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규제 돌기(62a)는 오른손으로 낚시 장대를 잡았을 때에 사용되는 돌기이고, 규제 돌기(62b)가 왼손으로 낚싯대를 잡았을 때 사용되는 돌기이다. 각 규제 돌기(62a, 62b)는, 화살표 A로 도시하는 로터(3)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상류측이 직경 방향을 향한 규제벽(62c, 62d)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의 벽면(62e, 62f)은 직경 방향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어, 로터(3)가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요동 레버(64)가 접촉해도 각 규제 돌기(62a, 62b)를 넘기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로터 회전 규제 기구(40)에서는, 규제 돌기(62a, 62b)의 규제벽(62c, 62d)에 요동 레버(64)의 돌출부(64c)가 접촉하면, 로터(3)는 그 이상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로터(3)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역회전 방지 기구(50)에 의해 로터(3)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으면, 로터(3)는, 규제 돌기(62a, 62b)의 어느 쪽인가에 의하여 회전 위상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캐스팅시에 로터(3)에 관성력이 작용해도 로터(3)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캐스팅 전에 2개의 규제 돌기(62a, 62b)의 어느 쪽인가에 접촉하는 회전 위상에 로터(3)를 위치 결정하면, 캐스팅 후에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에 용이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토글 용수철 기구(63)의 사점은, 각 규제 돌기(62a, 62b)의 벽면(62e, 62f)에 요동 레버(64)가 올라앉아 제1 가이드 부재(66)가 요동하여도, 지지 부재(41)가 낚싯줄 개방 자세측으로 압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 사점을 설정하면, 핸들(1)을 돌려도 낚싯줄 안내부는 낚싯줄 개방 자세로부터 낚싯줄 감기 자세로 돌아올 수 없는데, 캐스팅시에 낚싯줄 안내부가 더 낚싯줄 감기 자세로 돌아오기 어려워진다.
스풀(4)은, 스풀축(16)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장착 가능하고, 채비의 늘어뜨린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얕은 홈형의 것이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에 권사 몸통부(4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선단부에 권사 몸통부(4a)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된 앞 플랜지부(4c)를 구비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스풀축(16)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고, 로터(3)의 지지부(32) 및 실 씹힘 방지 부재(35)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4a)는, 선단측 내주에 일체 형성된 전벽부(4d)와, 전벽부(4d)의 내주측에 후방으로 돌출하여 일체 형성된 보스부(4e)를 가지고 있다. 전벽부(4d)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투공(4g)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4b)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내경이 다른 다수의 투공(4f)이 형성되어 있다. 앞 플랜지부(4c)에는, 권사 몸통부(4a)의 외주면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지름이 확대하는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가 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캐스팅시에 낚싯줄에 작용하는 방출 저항이 크게 감소한다.
다음으로 스피닝 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동작의 설명에서는 오른손으로 캐스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캐스팅시에는,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감기 자세로 하여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부(31)에 건 상태로 하여 채비의 늘어뜨린 길이를 조정한다. 또한,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을 잡기 쉬운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 세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역회전 방지 기구(50)를 역회전 금지 상태로 하여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풀(4)을 스트로크의 최선단 근처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낚싯줄 안내부(31)가 원하는 회전 위상보다 약간 회전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원하는 회전 위상과는 낚싯줄 안내부(31)의 조작 하기 쉬움이나 낚싯줄의 잡기 쉬움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캐스팅할 경우에는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대측에서 보아 스풀(4)의 좌측으로 배치하면 낚싯줄 안내부(31)를 왼쪽 손으로 조작하기 쉽다.
그리고, 원하는 회전 위상의 상류측에 세트한 상태로 왼손 (낚싯대를 가지는 손의 역의 손)의 손가락 끝으로 낚싯줄 안내부(31)의 고정축 커버(44)를 쥐고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 때, 고정축 커버(44)에 손잡이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축 커버(44)를 집기 쉽게 되어, 낚싯줄 안내부(31)를 집어 간단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을, 왼손으로 집어 낚싯대를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으로 건다.
낚싯줄 안내부(31)를 낚싯줄 개방 자세로 요동시키면, 요동 레버(64)가 도 11에 제2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핸들(1)을 돌려 로터(3)를 약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위치에 배치된 요동 레버(64)의 돌출부(64c)가 돌기부(62a)의 규제벽(64c)에 접촉하여 낚싯줄 안내부(31)가 원하는 회전 위상에 배치된다. 이 때, 역회전 방지 기구(50)에 의해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3)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로 캐스팅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회전 규제 기구(40)와 역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 로터(3)가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캐스팅시에 로터(3)에 관성력이 작용하여도 로터(3)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캐스팅 후에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부터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캐스팅이 끝나면, 원하는 회전 위상으로 위치 결정된 낚싯줄 안내부(31)를 왼손으로 낚싯줄 개방 자세로부터 낚싯줄 감기 자세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하여, 요동 레버(64)의 돌출부(64c)는 규제 돌기(62a, 62b)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의 제1 위치에 배치되어, 로터(3)는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낚싯줄을 왼손으로 집어 낚싯줄 안내부(31)의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한다.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은, 고정축 커버(44)의 낚싯줄 안내면(44c)을 통과하여 라인 롤러(43)의 안내홈(47)으로 안내된다. 이 상태로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낚싯줄에 약간의 텐션을 걸어 두고 낚시한다.
이 낚싯줄을 걸 때, 낚싯줄 계지부(45)의 선단을 타 부분보다 굵게 했기 때 문에, 낚싯줄 계지부(45)에 계지된 낚싯줄이 굵은 선단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져, 타 부재에 의해 낚싯줄의 빗나감 방지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낚싯줄을 낚싯줄 계지부(45)에 걸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간소한 구성으로 낚싯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축 커버(44)를 정점(44b)이 후방을 향하여 편심한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낚싯줄 안내면(44c)의 선단측을 능선으로 연속하는 기단측으로부터 릴 본체(2)측에 접근하기 쉬워져, 낚싯줄 안내면(44c)으로 안내된 낚싯줄은 라인 롤러(43)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낚싯줄 계지부(45)로 낚싯줄을 거는 것만으로 낚싯줄 안내면(44c)을 경유하여 낚싯줄을 라인 롤러(43)로 안내하기 쉽게 되는 것과 함께 안내된 낚싯줄이 안내면(44c)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낚싯줄을 걸기 쉽고 또한 간소한 구성으로 라인 롤러로부터의 낚싯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채비에 포획물이 걸려 핸들(1)을 돌리면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스풀(4)이 전후 이동한다. 동시에, 핸들(1)의 회전은 마스터 기어 축(8)을 통하여 마스터 기어(7)로 전달되어 피니언 기어(9)를 통하여 로터(3)가 회전한다. 또한, 피니언 기어(9)로부터 감속 기구(20)를 통하여 오실레이팅 기구(6)가 동작하여 스풀(4)이 전후 이동한다.
이 때, 제1 및 제2 로터 암(33, 34)이 회전 축심(X)을 사이에 두고 역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 안내부(31)가 회전 축심(X)에 대해서 외측으로 편의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회전 밸런스를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로터 암(34)이나 실 씹힘 방지 부재(35)에도 밸런스 보정용의 추 부재(38, 39)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밸런스가 더 정확하게 보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터(3)의 회전 밸런스가 보정되어 있기 때문에, 캐스팅시에 로터(3)에 관성력이 작용해도 로터(3)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 부재로서 로터 암의 후면에 배치된 요동 레버를 예시하였지만, 이동 부재는 요동 레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를 로터 암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후방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이동 부재의 후단부가 릴 본체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규제부를 릴 본체와 일체 형성한 규제 돌기에 의하여 구성하였지만, 회전 규제부는 돌기부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부라도 무방하다. 또한, 릴 본체와 별도 부재의 탄성 돌기를 소정의 회전 위상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이동 부재와 접촉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이동 부재가 탄성 돌기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역회전 방지 기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로터(3)의 양방향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른손으로 낚싯대를 잡는 경우를 예로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왼손으로 낚싯대를 잡는 경우에는, 규제 돌기(62b)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원하는 회전 위상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 연동 기구가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회전 규제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의 적어도 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를 복수의 회전 위상의 어느 쪽인가에 배치하면 캐스팅시 로터의 회전을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5)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로터(rotor) 암과 상기 로터 암의 선단(先端)에 낚싯줄 개방 자세와 낚싯줄 감기 자세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를 포함하는 로터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가 상기 낚싯줄 개방 자세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릴 본체에 대해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 암에 설치되어 상기 낚싯줄 안내부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낚싯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낚싯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릴 본체에 근접한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연동 기구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 기구가 제2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연동 기구에 상기 로터의 복수의 회전 위상으로 접촉하여 상기 로터의 적어도 한 방향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릴 본체의 상기 로터와 대향하는 면에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상기 연동 기구에 접촉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릴은, 상기 로터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해제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를 가지고,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로터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연동 기구에 접촉하여 상기 로터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전단부가 상기 낚싯줄 안내부에 계지(係止)되고 도중이 상기 로터 암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낚싯줄 안내부를 상기 낚싯줄 안내 자세와 상기 낚싯줄 개방 자세로 양분하여 압박하는 토글 용수철 기구와,
    상기 로터 본체의 후면부에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주위에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단(基端)이 상기 토글 용수철 기구의 후단부에 계합(係合)하고 또한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선단이 상기 회전 규제부에 접촉하는 요동 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안내부는, 상기 로터 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안내용의 라인 롤러를 가지고,
    상기 토글 용수철 기구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계지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KR1020040000766A 2003-02-05 2004-01-06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KR101004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8466 2003-02-05
JP2003028466A JP4078222B2 (ja) 2003-02-05 2003-02-0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回転規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57A KR20040071057A (ko) 2004-08-11
KR101004379B1 true KR101004379B1 (ko) 2010-12-28

Family

ID=3295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766A KR101004379B1 (ko) 2003-02-05 2004-01-06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78222B2 (ko)
KR (1) KR101004379B1 (ko)
CN (1) CN100452968C (ko)
TW (1) TWI2729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3714B2 (ja) * 2012-11-19 2017-06-2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434A (ja) 2000-03-23 2001-09-2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239A (en) * 1994-07-13 1997-07-08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anti-reverse system with dual-purpose actuator switch
US5738292A (en) * 1995-07-12 1998-04-14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Selective continuous anti-reverse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3526200B2 (ja) * 1997-06-24 2004-05-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3759573B2 (ja) * 2000-04-25 2006-03-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434A (ja) 2000-03-23 2001-09-2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57A (ko) 2004-08-11
TW200414872A (en) 2004-08-16
CN1518871A (zh) 2004-08-11
TWI272905B (en) 2007-02-11
JP2004236563A (ja) 2004-08-26
JP4078222B2 (ja) 2008-04-23
CN100452968C (zh)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2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408082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7232087B2 (en) Spinning reel drag mechanism
KR101080068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03210081A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EP0839445B1 (en) Spinning reel having a narrow reel body housing
EP1121855B1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230603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KR10108184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101080067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US6981668B2 (en) Drag adjustment knob for a spinning reel
KR101004379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회전 규제 장치
KR20040097894A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JP2006296203A5 (ko)
JP42667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20030055176A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US6021970A (en) Fishing reel
KR101940640B1 (ko) 스피닝 릴 및 스피닝 릴의 드래그 전환 장치
JP422124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102898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4274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3970033B2 (ja) 釣り用リールの発音装置
JP20051307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6296204A5 (ko)
JP200304737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