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864B1 -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8864B1 KR100638864B1 KR1020000046069A KR20000046069A KR100638864B1 KR 100638864 B1 KR100638864 B1 KR 100638864B1 KR 1020000046069 A KR1020000046069 A KR 1020000046069A KR 20000046069 A KR20000046069 A KR 20000046069A KR 100638864 B1 KR100638864 B1 KR 100638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protrusion
- engaged
- braking
- pro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135309 Process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심제동장치는 비작용상태와 작용상태로 절환 가능한 원심제동장치에 있어서, 절환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양베어링릴의 원심브레이크기구(23)는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가이드축(73)과, 복수의 이동부재(67)와, 통형상의 제동부재와, 절환기구(69)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축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재는 가이드축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 축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제동부재는 복수의 이동부재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직경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부재가 접촉가능하고 또 릴 본체에 대해 회전불가능하다. 절환기구는, 이동부재를 축둘레의 다른 회동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상태와 접촉가능한 작용상태로 이동부재를 절환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베어링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 3은 원심브레이크기구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4는 제1측커버를 벗겼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측커버를 벗겼을 때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이동부재의 상태를 절환했을 때의 평면확대도이다.
도 7은 제2실시형태의 원심브레이크기구의 단면부분도이다.
도 8은 제2실시형태의 원심브레이크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2실시형태의 도 6에 상당하며,
도 10은 제3실시형태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3실시형태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1b는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릴본체
12 스풀
16 스풀축
23 원심브레이크기구
66 회전부재
67 이동부재
67b 제1이동돌기
67c 제2이동돌기
68 제동부재
70 가이드오목부
71,72 제1,제2선형돌기부
71a,71b 제1,제2홈
80 이동부재 제어기구
81 조정부재
82,83 제1,제2원호돌기
91∼94 제1∼제4제어돌기
본 발명은, 제동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으로 제동하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낚시에 쓰이는 베이트릴이라 불리는 양베어링릴에서는, 캐스팅시에 백래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여기서 백래시란, 스풀의 회전속도가 낚시줄방출속도보다 빨라지는 현상이다. 이 종류의 제동장치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제동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원심제동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가이드축에 스풀의 직경방향(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의 외주측에 이동부재에 접촉가능하게 설치된 제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의 수를 조정가능한 것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3550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원심제동장치는, 이동부재를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상태와 접촉가능한 작용상태로 절환하는 절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절환기구는, 회전부재의 이동부재 장착부분에 형성된 오목부의 측벽에 이동부재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고정돌기와, 이동부재에 설치되고 고정돌기에 걸릴 수 있는 환상의 이동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이동돌기 또는 고정돌기는 탄성변형가능한 부재로서, 탄성변형에 의해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의 절환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의 환상의 이동돌기를 손끝으로 걸어 이동부재를 직경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용상태에서 이동부재를 직경방향 안쪽으로 이동시켜 이동돌기의 탄성변형에 의해 고정돌기를 타고넘어 그 안쪽에 이동돌기를 배치하면 비작용상태로 절환되어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비작용상태에서 이동부재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이동돌기를 바깥쪽에 배치하면 작용상태로 절환된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이동부재를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돌기와 이동돌기 중 어느 하나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이동돌기를 고정돌기에 대하여 타고넘게 하여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의 절환시 이동방향과 제동시 이동방향이 동일한 방향이어서,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해 양돌기의 걸림상태를 느슨히 하면 제동시에 비작용상태의 이동부재의 이동돌기가 고정돌기를 타고넘어 제동부재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양돌기의 걸림상태를 원심력으로는 타고넘을 수 없는 정도로 견고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돌기 중 탄성변형되는 돌기를 딱딱하게 하거나, 양돌기가 걸리는 정도를 크게 하여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이와 같이 걸림상태를 견고하게 하면 절환조작에 비교적 큰 힘을 요하여 절환조작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작용상태와 작용상태로 절환가능한 원심제동장치에 있어서, 절환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발명 1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으로 제동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가이드축과, 복수의 이동부재와, 통형상의 제동부재와 절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축은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축이다. 이동부재는, 가이드축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축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제동부재는, 복수의 이동부재의 외주측에 배치되며, 직경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부재가 접촉가능하고 또한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한 부재이다. 절환수단은, 이동부재를 축둘레의 다른 회동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상태와 접촉가능한 작용상태로 상기 이동부재를 절환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회전부재도 회전하고 가이드축에 장착된 이동부재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동부재에 접촉한다.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면 양자의 마찰에 의해 스풀이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이동부재의 접촉갯수에 의존하며 이동부재의 접촉갯수는 절환수단에 의해 절환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를 절환수단에 의해 비작용상태로 절환하면 이동부재는 제동부재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 절환조작은, 이동부재를 가이드축 둘레의 다른 회동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가이드축 둘레의 회동방향은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가이드축의 축방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회동방향으로의 절환조작에 큰 힘은 필요없으며 가벼운 힘으로 절환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환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절환조작을 일일이 손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부재로 일괄해서 절환조작할 수도 있다. 더욱이 그 조작방향이 스풀의 직경방향이 아닌 회전방향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괄절환조작하기 쉽다.
발명 2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축은,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측이 개구된 복수의 오목부 내부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며, 절환수단은, 이동부재에 가이드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돌기와, 오목부의 회전방향에서 대향하는 측벽의 한쪽에 마련되고 이동돌기에 걸어맞춤되어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위치까지 회동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와, 측벽의 다른쪽에 마련되고 이동돌기에 걸어맞춤하여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하게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의 한쪽 측벽에 마련된 안내부로 이동부재의 이동돌기를 향하게 하면 작용상태로 절환되고, 다른쪽 측벽에 마련된 규제부로 이동돌기를 향하게 하면 비작용상태로 절환된다. 이 때문에 이동돌기의 방향이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로 다른 방향이 되어 이동부재가 작용상태인지 비작용상태인지를 즉시 식별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하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2에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안내부는 한쪽 측벽에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이동돌기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길이로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선형걸어맞춤부를 가지며, 규제부는 다른쪽 측벽에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이동돌기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길이로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선형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이동돌기는 선단에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형성되고 2개의 선형걸어맞춤부에 회동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될 수 있는 이동걸어맞춤부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돌려 이동돌기의 이동걸어맞춤부를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면 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요철걸어맞춤에 의해 유지되어 스풀이 회전하면 가이드축의 축방향 바깥쪽(스풀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대방향에 돌려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면 비작용상태가 되고 또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 비작용상태에서 제동부재측에 축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위치까지는 이동할 수 없으며 제동부재에는 접촉할 수 없다. 여기서는 양(兩) 선형걸어맞춤부와 이동걸어맞춤부의 요철걸어맞춤에 의해 2개의 상태유지와 축방향으로의 이동규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에 의해 2개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진다.
발명 4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돌기는 가이드축의 축둘레에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으며, 한쪽의 이동돌기는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쪽 이동돌기는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2개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돌기를 각 상태에 대응하여 2개 마련하였기 때문에 1개의 이동돌기로 2개의 선형걸어맞춤부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경우에 비해 회동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발명 5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2개의 이동돌기는 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동부재에 가까운 쪽의 이동돌기가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제동부재에서 먼 쪽의 이동돌기가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2개의 상태로 간단히 절환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2개의 이동돌기는 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동부재에 가까운 쪽의 이동돌기가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제동부재에서 먼 쪽의 이동돌기가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2개의 상태로 간단히 절환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축은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측이 개구된 짝수개의 오목부 내부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며, 절환수단은 이동부재에 가이드축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1이동돌기와, 제1이동돌기와 가이드축의 축방향 안쪽 및 축둘레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이동돌기와, 짝수개의 오목부의 회전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의 한쪽에 마련되어 연속하는 반절이 제1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나머지 반절이 제2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지고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위치까지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와, 다른쪽 측벽에 마련되고 연속하는 반절이 제2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나머지 반절이 제1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지고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하게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연속하는 반절씩의 안내부 및 규제부가 2개의 이동돌기 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추어지기 때문에 2개의 이동부재의 상태를 차례로 일괄적으로 절환하는 경우에 전주(全周)에 걸쳐 절환을 위한 부재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반주분(半周分)으로 충분하다.
발명 8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7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 서, 안내부는 한쪽 측벽에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1홈을 가지며, 규제부는 다른쪽 측벽에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이동돌기 또는 제2이동돌기가 단부(端部)에 접촉했을 때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에 접촉시키지 않은 길이를 가진 제2홈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홈에 의해 이동부재의 안내 및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부 및 규제부의 구성을 같은 구조로 실현할 수 있어 절환수단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발명 9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7 또는 발명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부재와 스풀의 회전축 둘레로 상대회동가능하고 또한 상대회동위치를 유지하여 일체회전가능한 원판형의 조정부재와, 조정부재에 제1이동돌기에 대향하여 반원호형으로 마련되고 조정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를 그 일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이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제1이동돌기를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이동부재를 작용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를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이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제1이동돌기를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이동부재를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하는 제1원호돌기와, 조정부재의 제1원호돌기와 반대쪽에 제1원호돌기보다 작은 반경으로 제2이동돌기에 대향하여 반원호형으로 마련되고,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를 그 일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이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제2이동돌기를 안내부에 압압순서대 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이동부재를 작용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를 타단으로 순서대로 압압하여 이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제2이동돌기를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이동부재를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하는 제2원호돌기를 갖는 이동부재제어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모든 이동부재가 비작용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조정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원호돌기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1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안내부에 걸어맞추어져 연속하는 반절의 이동부재가 차례로 작용상태로 절환되고 또한 제1원호돌기에 의해 작용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2원호돌기에 의해 나머지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2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안내부에 걸어맞추어져 연속하는 나머지 반절의 이동부재가 차례로 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작용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모든 이동부재가 작용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조정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원호돌기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2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규제부에 걸어맞추어져 연속하는 반절의 이동부재가 차례로 비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비작용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1원호돌기에 의해 나머지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1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규제부에 걸어맞추어져 연속하는 나머지 반절의 이동부재가 차례로 비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비작용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제1원호돌기에 의한 압압타이밍과 제2원호돌기에 의한 압압타이밍을 엇갈리게 함으로써 단계적으로 이동부재를 작용상태 및 비작용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7 또는 발명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안내부 및 규제부는 걸어맞춤된 상기 이동부재를 가이드축 둘레로 회동불가능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경우에는, 안내부 및 규제부에서 2개의 이동부재를 안내 및 규제할 뿐만 아니라 걸어맞춤된 이동부재를 회동불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이동부재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다.
발명 11에 관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0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오목부는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부재와 스풀의 회전축 둘레로 상대회동가능하며 또한 상대회동위치를 유지하여 일체회전가능한 조정부재와, 조정부재의 제1이동돌기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돌출하여 마련되며, 조정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를 차례로 압압하여 제1이동돌기를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1제어돌기와, 조정부재의 제1제어돌기와 스풀축심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보다 일방향 상류측에서 제2이동돌기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일방향 회전에 의해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를 차례로 압압하여 제2이동돌기를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2제어돌기와, 제1제어돌기와 같은 반경위치에서 제2제어돌기보다 일방향 하류측에 마련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를 차례로 압압하여 제1이동돌기를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3제어돌기와, 제2제어돌기 와 같은 반경위치에서 제1제어돌기보다 일방향 하류측에 마련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를 그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제2이동돌기를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4제어돌기를 갖는 이동부재제어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모든 이동부재가 비작용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조정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제어돌기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1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안내부에 걸어맞춤되어 연속하는 반절의 이동부재가 차례로 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안내부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2제어돌기에 의해 나머지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2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안내부에 걸어맞춤되어 연속하는 나머지 반절의 이동부재가 차례로 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모든 이동부재가 작용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조정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제어돌기에 의해 연속하는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1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규제부에 걸어맞춤되어 이동부재가 차례로 비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규제부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제4제어돌기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이동부재의 제2이동돌기가 압압되어 압압순서대로 규제부에 걸어맞춤되어 이동부재가 차례로 비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제1제어돌기에 의한 압압타이밍과 제2제어돌기에 의한 압압타이밍 및 제3제어돌기에 의한 압압타이밍과 제4제어돌기에 의한 압압타이밍을 엇갈리게 함으로써 단계적으로 이동부재를 작용상태 및 비작용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
〔전체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베어링릴은 베이트캐스트용 로우프로필형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 옆에 배치된 스풀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조정용 스타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는 프레임(5)과, 프레임(5) 양쪽에 장착된 제1측커버(6a) 및 제2측커버(6b)를 갖추고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을 덮는 앞커버(7)와, 상부를 덮는 섬레스트(8)를 갖추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줄감기용 스풀(12)이 회전가능하게 또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측판(5a,5b)과, 이들 측판(5a,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제1측커버(6a)는, 스풀(1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5)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프레임(5)에 대하여 개폐가능하다. 제1측커버(6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기구(34)와, 개폐조작용 잠금기구(36)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기구(34)는, 제1측커버(6a)를 프레임(5)의 앞부분에서 요동가능하게 또한 프레임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잠금기구(36)는, 제1측커버(6a)를 닫힌 상태에서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기구이다. 잠금기구(3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커버(6a)에 형성된 개구(33)에 장착된 조작부(37)와, 조작부(37)에 직경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장착된 잠금부재(38)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37)는, 개구(33)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 본체(37a)와, 조작부 본체(37a)의 직경방향의 축둘레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조작손잡이(37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본체(37a)는 대략 통형상의 부재로서 코일스프링(44)에 의해 제1측커버(6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조작부 본체(37a)에는 후술하는 원심브레이크기구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브레이크케이스(65)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케이스(65)는, 나사구조에 의해 측판(5a)에 형성된 스풀착탈용 개구(5d)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나사구조는, 브레이크케이스(65)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5)와 개구(5d)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수나사부(25)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26)를 갖추고 있다.
조작손잡이(37b)는, 도 2에 도시한 조작부 본체(37a)에 수납된 잠금상태와 도 5에 도시한 조작부 본체(37a)로부터 돌출된 잠금해제상태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다. 이 조작손잡이(37b)의 일부가 잠금부재(38)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잠금부재(38)는, 조작부 본체(37a)의 회동을 록킹하여 제1측커버(6a)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잠금부재(38)는, 도 2에 도시한 잠금위치로 진출하면 선단이 개구(33)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오목 부(33b)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춤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잠금해제위치로 들어가면 오목부(33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조작부 본체(37a)가 회동가능해진다. 잠금부재(38)는, 조작부 본체(37a)에 장착된 코일스프링(39)에 의해 진출측에 바이어스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스풀(12)과, 스풀(12)내에 균일하게 낚시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드기구(15)와, 서밍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이 되는 클러치레버(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와 제2측커버(6b)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와인드기구(15)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기구(18)와 클러치기구(13)와, 클러치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13)의 걸림/이탈 및 제어를 하기 위한 클러치걸림/이탈기구(19)와, 드래그기구(21)와, 스풀(12)의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컨트롤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측커버(6a) 사이에는 캐스팅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브레이크기구(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플랜지부(12a)를 가지며 양 플랜지부(12a) 사이에 통형상의 줄감기몸통부(12b)를 갖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줄감기몸통부(12b)의 내주쪽 축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상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를 들면 세레이션결합에 의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방법은 세레이션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키결합이나 스플라인결합 등 여러가지 결합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스풀(12)은 측판(5a)의 개구(5d)를 통과할 수 있다.
스풀축(16)은, 측판(5b)를 관통하여 제2측커버(6b)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측커버(6b)에 형성된 보스부(6c)에 베어링(2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브레이크기구(23) 내에서 베어링(24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24a),(24b)은 실드볼베어링이다.
스풀축(16)의 큰직경부분(16a)의 우측단은, 측판(5b)의 관통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클러치기구(13)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16b)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16b)은 직경을 따라 큰직경부분(16a)을 관통하고 있으며 그 양단이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어기구(18)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통형상의 피니언기어(32)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기구(18)의 핸들축(30)의 상하위치는 섬레스트(8)의 높이를 낮추기 때문에 종래의 위치보다 낮다. 이 때문에 기어기구(18)를 수납하는 측판(5b) 및 제2측커버(6b)의 하부는 측판(5a) 및 제1측커버(6a)의 하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피니언기어(3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5b)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형부재로서, 스풀축(16)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32)의 도 2 왼쪽단부는 베어링(43)에 의해 측판(5b)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43)도 실드볼베어링이다.
피니언기어(32)는, 도 2에서의 우측단쪽 외주부에 형성되어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톱니부(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와, 톱니부(32a)와 맞물림부(32b) 사이에 형성된 잘록한 부분(32c)을 구비하고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기어(32)의 단면에 직경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며 거기에 스풀축(16)을 관통하여 고정된 걸어맞춤핀(16b)이 걸린다. 여기서는 피니언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6b)이 이탈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맞물림부(32b)와 걸어맞춤핀(16b)에 의해 클러치기구(13)가 구성된다. 걸어맞춤핀(16b)과 맞물림부(32b)가 걸어맞추어지면 스풀축(16)보다 큰 직경의 피니언기어(32)에서 스풀축(16)으로 토크가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뒤틀림변형이 보다 적어져 토크전달효율이 향상된다.
클러치레버(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5a),(5b) 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걸림/이탈기구(1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요크(40)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요크(40)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핀(41)(한쪽만 도시)에 의해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요크(40)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기어(32)의 잘록한 부분(32c)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4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요크(40)를 지지하는 각 핀(41)의 외주에서 클러치요크(40)와 제2측커버(6b) 사이에는 스프링(42)이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요크(40)는 스프링(42)에 의해 항상 안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통상의 상태에서는 피니언기어(32)는 안쪽의 클러치걸림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6b)이 걸어맞춤되어 클러치온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요크(40)에 의해 피니언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걸어맞춤핀(16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오프상태가 된다.
드래그기구(21)는, 메인기어(31)에 압압되는 마찰플레이트(45)와, 스타드래그(3)의 회전조작에 의해 마찰플레이트(45)를 메인기어(31)에 소정의 힘으로 압압하기 위한 압압플레이트(46)를 구비하고 있다.
캐스팅컨트롤기구(22)는, 스풀축(16)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플레이트(51)와, 마찰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16)의 끼워잡는 힘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캡(52)을 구비하고 있다. 왼쪽의 마찰플레이트(51)는 브레이크 케이스(65) 내에 장착되어 있다.
〔원심브레이크기구의 구성〕
원심브레이크기구(23)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스(65)에 고정된 제동부재(68)와, 제동부재(68)의 내주측에 동심에 배치되어 스풀축(16)에 고정된 회전부재(66)와, 회전부재(66)에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예컨대 6개)의 이동부재(67)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68)는, 예를 들면 구리계 합금제의 얇은 원통형부재로서 브레이크케이스(65)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동부재(68)는 원통형의 제동면(68a)을 내 주면에 갖추고 있다. 브레이크케이스(65)는 바닥이 있는 짧은 통형부재로서 그 안쪽 바닥부에 축방향 안쪽으로 돌출한 통형상의 베어링수납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수납부(65a)는, 이 내주측에 스풀축(16)을 지지하는 베어링(24b)이 배치되며 캐스팅컨트롤기구(22)의 마찰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재(66)는, 스풀축(16)에 고정된 보스부(66a)와, 보스부(66a)에서 베어링수납부(65a)의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부(66b)와, 원통부(66b)의 연장된 일단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두꺼운 링형상의 원판부(66c)를 구비하고 있다.
원판부(66c)의 외주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예를 들면 6개의 가이드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오목부(70)는, 이동부재(67)를 수납함과 동시에 이동부재(67)를 제동부재(68)에 접촉가능한 작용상태와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오목부(70)의 바닥부에는, 이동부재(67)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축(73)이 직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축(73)에는 이동부재(67)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오목부(70)의 대향하는 양벽면(70a),(70b)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선형돌기부(71),(72)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선형돌기부(71)는, 도 6에서의 오른쪽 벽면(70a)에 가이드오목부(70)의 바닥부에서 개구단까지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선형돌기부(71)는 이동부재(67)를 제동부재(68)에 접촉가능한 위치까지 회동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안 내하는 안내부이다. 제2선형돌기부(72)는 도 6의 왼쪽 벽면(70b)에 바닥부에서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선형돌기부(72)는 이동부재(67)를 제동부재(68)에 접촉불가능하게 규제하는 규제부이다. 제2선형돌기부(72)는 제동부재(68)에 이동부재(67)가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스풀직경방향 바깥쪽 단부(72c)는 제2선형돌기부(72)의 선단부와 같은 위치에서 막혀있다. 이 결과, 제2선형돌기부(72)에 후술하는 제2이동돌기(67c)가 걸어맞춤되면, 이동부재(67)는 단부(72c)에 접촉하여 제동부재(68)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동부재(67)는, 대략 원통형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이동부재(67)는, 회전부재(66)에 설치된 가이드축(73)에 직경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1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부재(68)에 접촉하는 것이다. 이동부재(67)는 가이드축(73)에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67a)와, 본체부(67a)의 축방향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이동돌기(67b)와, 본체부(67a)의 축방향 안쪽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이동돌기(67c)를 갖추고 있다. 제1이동돌기(67b)와 제2이동돌기(67c)는 동일한 형상인데 가이드축(73)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양 이동돌기(67b),(67c)는 가이드오목부(70)에 형성된 제1,제2선형돌기부(71),(72)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67a)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에 제1,제2선형돌기부(71),(72)에 각각 걸어맞추어지는 오목걸어맞춤부(67d),(67e)가 형성되어 있다. 제2선형돌기부(72)의 길이는, 제2이동돌기(67c)의 두께보다 큰 길이로 설정되고 또한 이동부재(67)가 제동부재(68)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양 선형돌기부(71),(72)와 양 이동돌기(67b),(67c)에 의해 절환기구(69)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이동돌기(67b)가 제1선형돌기부(71)에 걸어맞추어지면 제동부재(68)로의 접촉이 가능하며 이 때의 상태가 작용상태이다. 또한 가이드축 둘레로 회동시켜 제2이동돌기(67c)가 제2선형돌기부(72)에 걸어맞추어지면 제2선형돌기(72)의 단부(72c)에서 이동부재(67)가 걸려 제동부재(68)로의 접촉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의 상태가 비작용상태이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로 절환함으로써, 접촉가능한 이동부재(67)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축 둘레의 회동에 의해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절환하고 있기 때문에 제동시의 이동부재(67)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절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동방향으로의 절환조작에 큰 힘은 필요 없으며 가벼운 힘으로 절환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환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절환조작을 일일이 손으로 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일괄해서 절환조작할 수도 있다. 더욱이 그 조작방향이 스풀의 직경방향이 아니라 회전방향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일괄절환조작하기 쉽다.
〔제동력의 조정조작〕
제동력을 조정할 때에는 제1측커버(6a)를 열어 측판(5a)의 개구(5d)를 개방한다.
제1측커버(6a)를 열기 위해서는 우선 조작손잡이(37b)를 도 2에 도시한 잠금상태에서 일으켜 잠금해제상태로 요동시킨다. 조작손잡이(37b)를 잠금해제상태로 하면 잠금부재(38)가 조작손잡이(37b)에 의해 압압되어 코일스프링(39)의 바이어스 력에 대항하여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한다. 잠금부재(38)가 잠금해제위치로 이동하면 그 선단이 개구(33)의 오목부(33b)로부터 빠져 조작부 본체(37a)가 회동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37b)를 회전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37a)와 함께 브레이크케이스(65)가 회전하여 양나사부(25),(26)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고 브레이크케이스(65)와 측판(5a)의 결합이 해제된다. 브레이크케이스(65)와 측판(5a)의 결합이 해제되면 브레이크케이스(65)가 코일스프링(44)에 의해 조작부 본체(37a)와 함께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요동기구(34)에 제1측커버(6a)가 측판(5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브레이크케이스(65)가 측판(5a) 바깥쪽면에서 완전히 이탈하면 제1측커버(6a)가 릴 본체(1)에서 분리되고 자중(自重)에 의해 요동기구(34)의 축둘레로 도 4에 도시한 개방위치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개구(5d)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부재(67)의 회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위쪽의 이동부재만이 제2선형돌기부(72)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 이동부재(67)는 제1선형돌기부(71)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때문에 1개만이 비작용상태로 되어 있으며 다른 5개의 이동부재는 작용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67)를 회동시킴으로써 상태를 절환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상태를 즉시 판단할 수 있다.
제동력의 조정은, 예컨대 양 이동돌기(67b),(67c) 중 어느 한쪽을 손끝으로 압압하여 이동부재(67)를 가이드축 둘레로 회동시켜 작용상태 또는 비작용상태로 절환하여 행한다. 이동부재(67)를 회동시켜 제1이동돌기(67b)를 제1선형돌기부(71) 로 향하게 하면 제1이동돌기(67b)가 탄성변형하여 제1선형돌기부(71)에 걸린다. 이 결과, 이동부재(67)가 작용상태가 되고 또 이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2이동돌기(67c)를 제2선형돌기부(72)로 향하게 하면 제2이동돌기(67c)가 탄성변형하여 제2선형돌기부(72)에 걸린다. 이 결과 이동부재(67)가 비작용상태가 되고 또한 이 상태가 유지된다.
제동력의 조정이 끝나면 제1측커버(6a)를 닫는다. 이 때에는 제1측커버(6a)를 닫힌 상태쪽으로 손으로 요동시키고 이어서 조작손잡이(37b)를 눌러 브레이크케이스(65)를 개구(5d)내에 삽입한다. 브레이크케이스(65)의 선단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조작손잡이(37b)를 해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양 나사부(25),(26)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러면 브레이크케이스(65)가 개구(5d)에 결합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90)를 잠금해제위치에서 잠금위치로 요동시켜 잠금부재를 오목부(33b)에 걸어맞춤시킨다. 이에 따라 제1측커버(6a)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이동부재(67)를 회동시켜 2개의 상태를 절환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즉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 2개의 상태를 간단히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제동력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동시의 이동부재(67)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절환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방향으로의 절환조작에 큰 힘은 필요없으며 가벼운 힘으로 절환조작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손으로 이동부재(67)를 한개씩 압압하여 2개의 상태를 절환하고 있는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제어기구(80)를 설치하여 이동부재(67)를 한개씩 일괄적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7에 있어서, 가이드오목부(70)는 회전부재(66)의 원판부(66c) 외주부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데 제1실시형태와 같이 동일간격으로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회전부재(66)의 가장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오목부(7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합계 6개의 가이드오목부(70)중 3번째 가이드오목부(70)까지는, 예를 들면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3번째 가이드오목부(70)와 4번째 가이드오목부(70)는 9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4번째부터 6번째 가이드오목부(70)는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격을 다르게 하여 가이드오목부(70)를 배치함으로써 이동부재(67)의 절환타이밍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가이드오목부(70)의 시계방향 하류쪽의 측벽과 바깥쪽면(브레이크케이스(65)에 면하는 측면)의 모퉁이부에는 제1홈(71a)이, 상류쪽의 모퉁이부에는 제2홈(7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홈(71a)은 가이드오목부(70)의 바닥부에서 회전부재(66)의 개구단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부재(67)를 제동부재(68)에 접촉가능하게 안내한다. 제2홈(72a)은 개구단까지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도중까지의 길이이다. 또한 첫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제2홈(72)의 길이는 4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제2홈(72a)의 길이보다 짧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재(67)는 대략 원통형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이동부재(67)는 회전부재(66)에 설치된 가이드축(73)에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풀(1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제동부재(68)에 접촉하는 것이다. 이동부재(67)는, 가이드축(73)에 안내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67a)와, 본체부(67a)의 축방향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이동돌기(67b)와, 본체부(67a)의 축방향 안쪽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2이동돌기(67c)를 갖추고 있다. 제1이동돌기(67b)와 제2이동돌기(67c)는 동일한 형상인데 가이드축(73)의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돌기(67b),(67c)가 제1홈(71a)에 걸어맞춤하였을 때 이동부재(67)의 스풀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홈(71a)와 이동돌기(67b),(67c)의 선단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첫번째부터 3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장착되는 이동부재(67)와 4번째부터 6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장착되는 이동부재(67)는, 2개의 이동돌기(67b),(67c)가 대칭의 관계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첫번째부터 3번째의 이동부재(67)의 이동돌기(67b),(67c)는 가이드오목부(70)에 형성된 제1 및 제2홈(71a),(72a)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67a)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4번째부터 6번째의 이동부재(67)의 이동돌기(67b),(67c)는 가이드오목부(70)에 형성된 제2 및 제1홈(72a),(71a)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67a)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홈(72a)의 길이가 첫번째부터 3번째까지와 4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길이가 다른 것은, 첫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제2홈(72a)에는 본체부(67a)의 축방향 안쪽단부에서 돌출된 제2이동돌기(67c)가 걸어맞춤되고, 4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제2홈(72a)에는 본체부(67a)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돌출된 제1이동돌기(67b)가 걸어맞추어지기 때문이다. 즉, 제1이동돌기(67b)가 제2이동돌기(67c)보다 직경방향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홈(72a)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첫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제2홈(72a)에서는 제2이동돌기(67c)를 걸려 이동부재(67)의 제동부재(68)로의 접촉을 금지하고, 4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제2홈(72a)에서는 제1이동돌기(67b)를 걸려 이동부재(67)의 제동부재(68)에의 접촉을 금지하기 위해 길이를 다르게 하고 있다. 이 양홈(71a),(72a)과 양이동돌기(67b),(67c)에 의해 절환기구(69)가 구성된다. 또 여기에서는 양이동돌기(67b),(67c) 중 어느 하나가 양홈(71a),(72a)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추어지더라도 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부재 제어기구(8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66)의 보스부(66a)에 장착된 원판형의 조정부재(81)와, 조정부재(81)의 측면의 제1이동돌기(67b)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제1원호돌기(82)와, 조정부재(81) 측면의 제2이동돌기(67c)에 대향 가능하고 또한 제1원호돌기(82)의 반대쪽 위치에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원호돌기(83)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부재(81)는, 회전부재(66)에 대하여 스풀축 둘레로 상대회동가능하고 또한 상대회동위치를 유지하여 일체회전가능한 것이다. 조정부재(81)는 보스부(66a)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보스부(66a)에 장착된 유지링(85)에 의해 O링(84)을 통해 원통부(66c)를 향해 압압되고 있다. 이로써 조정부재(81)와 회전부재(66)가 일체회전가능하고 또한 상대회동가능해진다. 조정부재(81)는, 보스부(66a)에서 원통부(66b)를 따라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통형부(81a)와, 통형부(81a)의 선단부 외주면에서 원판부(66c)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원판부(81b)를 갖추고 있다. 이 원판부(81b)의 원판부(66c)에 대향하는 측면에 2개의 원호돌기(82),(83)가 원판부(66c)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1원호돌기(82)는 이동부재(67)가 비작용상태에 있을 때 조정부재(81)의 도 7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부터 3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3개의 제1이동돌기(67b)를 그 일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제1이동돌기(67b)를 안내부인 제1홈(71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67)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한 제1원호돌기(82)의 대향면(82a)에서 제1이동돌기(67b)를 규제함으로써 절환된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1원호돌기(82)는, 이동부재(67)가 작용상태에 있을 때 도 7에서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6번째부터 4번째까지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67b)를 그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제1이동돌기(67b)를 규제부인 제2홈(72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대향면(82a)에서 제1이동돌기(67b)를 규제함으로써 절환된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한다.
제2원호돌기(83)는, 이동부재(67)가 비작용상태에 있을 때 조정부재(81)의 도 7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1원호돌기(82)와 마찬가지로 4번째부터 6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3개의 제2이동돌기(67c)를 그 일단으로 차례로 압 압하여 제2이동돌기(67c)를 안내부인 제1홈(71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제2원호돌기(83)의 대향면(83a)에서 제2이동돌기(67c)를 규제함으로써 절환된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이동부재(67)가 작용상태에 있을 때 도 7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번째부터 첫번째까지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67c)를 그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제2이동돌기(67c)를 규제부인 제2홈(72a)에 압압 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대향면(83a)에서 제2이동돌기(67c)를 규제함으로써 절환된 이동부재(67)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가이드오목부(70)를 상술한 바와 같은 부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제1원호돌기(82)가 첫번째부터 3번째의 이동부재(67)의 제1이동돌기(67b)를 압압하는 타이밍과 제2원호돌기(83)가 4번째부터 6번째의 이동부재(67)의 제2이동돌기(67c)를 압압하는 타이밍을 약 30도만큼 위상이 엇갈리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의 절환순서가 1-4-2-5-3-6의 순서가 되고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의 절환순서가 6-3-5-2-4-1의 순서가 되어 균형있게 단계적으로 이동부재(67)의 상태가 절환된다.
이러한 구성의 원심브레이크기구(23)에서는, 제1측커버(6a)를 연 상태에서 예컨대 스풀(12)을 왼손으로 쥐고 오른손으로 조정부재(81)를 회전시키면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일괄적으로 절환할 수 있다. 절환후 제1측커버(6a)를 닫아 캐스팅하면 조정부재(81)는 스풀(12) 및 회전부재(66) 모두 회전하고 회전부재(66)와의 위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절환결과의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원심력에 의해 이동부재(67)가 제동부재(68)에 접촉하면 접촉한 이동부재(67)의 수에 대응하는 제동력으로 스풀(12)이 제동되어 백래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3실시형태〕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원호돌기(82),(83)에 의해 이동부재(67)의 상태의 절환과 상태의 유지를 꾀하였는데, 제3실시형태에서는 상태의 유지를 이동돌기와 홈의 걸어맞춤으로 꾀하고 있다. 상태의 유지를 돌기의 측면에서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호돌기 대신에 분산된 4개의 제어돌기를 마련하고 이동부재(67)의 상태의 절환만을 제어돌기로 행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가이드오목부(70)는 회전부재(66)의 원판부(66c)의 외주부에 둘레방향으로 동일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부재(66)의 가장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오목부(7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치된 합계 6개의 가이드오목부(70)가 예컨대 6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오목부(70)의 시계방향 하류쪽의 측벽과 바깥쪽면(브레이크케이스(65)에 면하는 측면)의 모퉁이부에는 제1홈(71a)이, 상류쪽의 모퉁이부에는 제2홈(7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홈(71a)은 가이드오목부(70)의 바닥부에서 회전부재(66)의 개구단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부재(67)를 제동부재(68)에 접촉가능하게 안내한다. 제2홈(72a)은 개구단까지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도중까지의 길이이다. 또한 첫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제2홈(72)의 길이는 4번째부터 6번째까 지의 제2홈(72a)의 길이보다 짧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들 홈(71a),(72a)의 접촉면(71a),(72b)은 이동부재(67)의 이동돌기(67b),(67c)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약간 패여있다.
이동부재(67)는 대략 원통형상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부재로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 구조의 본체부(67a)와, 제1이동돌기(67b)와, 제2이동돌기(67c)를 갖추고 있다. 이들 양 이동돌기(67b),(67c)의 선단은 홈(71a),(72a)의 패임에 대응하여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둥그스름과 함몰의 걸어맞춤 및 양 이동돌기(67b),(67c)의 선단형상이 이동부재(67)의 요동축심와 동심이 아니기 때문에 양 이동돌기(67b),(67c)는 요동시에 직경차와 탄성을 이용하여 양 홈(71a),(72a)에 걸리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에서도 첫번째부터 3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장착되는 이동부재(67)와, 4번째부터 6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장착되는 이동부재(67)는 2개의 이동돌기(67b),(67c)가 대칭 관계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첫번째부터 3번째의 이동부재(67)의 이동돌기(67b),(67c)는 가이드오목부(70)에 형성된 제1 및 제2홈(71a),(72a)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67a)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4번째부터 6번째의 이동부재(67)의 이동돌기(67b),(67c)는 가이드오목부(70)에 형성된 제2 및 제1홈(72a),(71a)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67a)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돌기(67b),(67c)가 제1홈(71a)에 걸어맞춤되었을 때 이동부재(67)의 스풀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1홈(71a)과 이동돌기(67b),(67c)의 선단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동부재 제어기구(80)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조정부재(81)와, 조정부재(81)의 측면에 형성된 제1∼제4제어돌기(91)∼(94)를 갖추고 있다.
제1제어돌기(91)는 제1이동돌기(67b)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제어돌기(91)는 이동부재(67)가 비작용상태에 있을 때 조정부재(81)의 도 10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부터 3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67b)를 차례로 압압하여 제1이동돌기(67b)를 안내부인 제1홈(71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한다. 작용상태로 절환된 이동부재(67)는 제1이동돌기(67b)가 제1홈(71a)에 걸림으로써 절환된 작용상태를 유지한다.
제2제어돌기(92)는, 조정부재(81) 측면의 제2이동돌기(67c)에 대향가능하게 그리고 제1제어돌기(91)와 스풀축심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보다 시계방향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어돌기(91)와 15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제어돌기(92)는, 조정부재(81)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4번째부터 6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67c)를 차례로 압압하여 제2이동돌기(67c)를 제1홈(71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한다. 작용상태로 절환된 이동부재(67)는, 제2이동돌기(67c)가 제1홈(71a)에 걸림으로써 절환된 작용상태를 유지한다.
제3제어돌기(93)는, 제1제어돌기(91)와 같은 반경위치에서 제2제어돌기(92)보다 시계방향의 하류측에 마련된다. 제3제어돌기(93)는, 이동부재(67)가 작용상태 에 있을 때 조정부재(81)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6번째부터 4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67b)를 차례로 압압하여 제1이동돌기(67b)를 제2홈(72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한다. 비작용상태로 절환된 이동부재(67)는 제1이동돌기(67b)가 제2홈(72a)에 걸림으로써 절환된 비작용상태를 유지한다.
제4제어돌기(94)는, 제2제어돌기(92)와 같은 반경위치에서 제1제어돌기(91)보다 시계방향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4제어돌기(94)는, 제3제어돌기(93)와 15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4제어돌기(94)는, 조정부재(81)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번째부터 첫번째의 가이드오목부(70)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67c)를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제2이동돌기(67c)를 제2홈(72a)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동부재(67)를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한다. 비작용상태로 절환된 이동부재(67)는 제2이동돌기(67c)가 제2홈(72a)에 걸림으로써 절환된 비작용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가이드오목부(70)를 상술한 동일간격으로 배치하고, 또 제1제어돌기(91)과 제2제어돌기(92) 및 제3제어돌기(93) 및 제4제어돌기(94)를 각각 150도 간격을 두고 배치했기 때문에 제1제어돌기(91)가 첫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이동부재(67)의 제1이동돌기(67b)를 압압하는 타이밍과 제2제어돌기(92)가 4번째부터 6번째의 이동부재(67)의 제2이동돌기(67c)를 압압하는 타이밍을 30도만큼 위상이 엇갈리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의 절환순서가 1-4-2-5-3-6의 순서가 되고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의 절환순서가 6-3-5-2-4-1 의 순서가 되어 균형있게 단계적으로 이동부재(67)의 상태가 절환된다. 더욱이 가이드오목부(70)도 균형있게 동일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균형도 잘 깨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원심브레이크기구(23)에서는, 제1측커버(6a)를 연 상태에서 예컨대 스풀(12)을 왼손으로 쥐고 오른손으로 조정부재(81)를 회전시키면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일괄적으로 절환할 수 있다. 절환후 제1측커버(6a)를 닫아 캐스팅하면 조정부재(81)는 스풀(12) 및 회전부재(66) 모두 회전하고 회전부재(66)와의 위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절환결과의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원심력에 의해 이동부재(67)가 제동부재(68)에 접촉하면 접촉한 이동부재(67)의 수에 대응하는 제동력으로 스풀(12)이 제동되어 백래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3가지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의 측벽에 마련된 가이드오목부에 이동부재의 돌출편을 걸리게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축을 이형단면의 봉상부재로 구성하고, 어느 회전위상시에만 가이드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회동하면 그로부터 이동부재가 탄성변형되어 가이드축에 걸리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b) 제1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오목부(70)에 제1 및 제2선형돌기부(71),(72)를 마련하고, 이동부재(67)의 제1 및 제2이동돌기(67b),(67c)에 오목걸어맞춤부 (67d),(67e)를 마련하였는데 가이드오목부(70)에 선형홈을 마련하고 이동부재에 선형홈에 안내 또는 걸리는 볼록부를 마련해도 상관없다.
(c) 상기 제3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67)의 상태를 양 홈(71a),(72a)과 이동돌기(67b),(67c)의 요철걸어맞춤에 의해 유지하고 있었지만 가이드축(73)에 의해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를 유지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축(73)을 둥그스름한 사각형단면의 봉상부재로 구성하여, 이동부재(67)가 잘 요동하지 않으며 또한 제어돌기(91)∼(94)의 압압에 의해 요동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를 가이드축 둘레의 다른 회동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절환조작을 행한다. 이 가이드축 둘레의 회동방향은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가이드축의 축방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회동방향으로의 절환동작에 큰 힘은 필요없고 가벼운 힘으로 절환조작할 수 있다. 이렇게 절환조작을 가벼운 힘으로 행함으로써 절환조작을 일일이 손으로 행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일괄적으로 절환조작할 수도 있다. 더욱이 그 조작방향이 스풀의 직경방향이 아니라 회전방향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괄절환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1)
-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원심력으로 제동하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로서,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축과,상기 가이드축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축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풀의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이동부재와,상기 복수의 이동부재의 외주측에 배치되며, 상기 직경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부재가 접촉가능하고 또한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한 통형상의 제동부재와,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축둘레의 다른 회동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비작용상태와 접촉가능한 작용상태로 상기 이동부재를 절환할 수 있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측이 개구된 복수의 오목부 내부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며,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가이드축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돌기와, 상기 오목부의 회전방향에서 대향하는 측벽의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돌기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위치까지 회동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측벽의 다른쪽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돌기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하게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추고 있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부는 상기 한쪽 측벽에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돌기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길이로 상기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선형걸어맞춤부를 가지며,상기 규제부는, 상기 다른쪽 측벽에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돌기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한 길이로 상기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선형걸어맞춤부를 가지며,상기 이동돌기는, 선단에 오목형 또는 볼록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선형걸어맞춤부에 회동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질 수 있는 이동걸어맞춤부를 갖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가이드축의 축둘레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쪽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 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2개의 이동돌기는, 상기 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동부재에 가까운 쪽의 이동돌기가 상기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제동부재에서 먼 쪽의 이동돌기가 상기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2개의 이동돌기는 상기 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동부재에 가까운 쪽의 이동돌기가 상기 제2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제동부재에서 먼 쪽의 이동돌기가 상기 제1선형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지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축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측이 개구된 짝수개의 오목부 내부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며,상기 절환수단은,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가이드축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1이동돌기와,상기 제1이동돌기와 상기 가이드축의 축방향 안쪽 및 축둘레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이동돌기와,상기 짝수개의 오목부의 회전방향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의 한쪽에 마련되어 연속하는 반절이 상기 제1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나머지 반절이 상기 제2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위치까지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와,상기 다른쪽 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연속하는 반절이 상기 제2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상기 나머지 반절이 상기 제1이동돌기에 걸어맞추어져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불가능하게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부는, 상기 한쪽 측벽에 상기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형성된 제1홈을 가지며,상기 규제부는, 상기 다른쪽 측벽에 상기 가이드축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돌기 또는 상기 제2이동돌기가 단부에 접촉했을 때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시키지 않는 길이를 가진 제2홈을 가지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스풀의 회전축 둘레로 상대회동가능하고 또한 상대회동위치를 유지하여 일체회전가능한 원판형의 조정부재와,상기 조정부재에 상기 제1이동돌기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반원호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조정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1이동돌기를 그 일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제1이동돌기를 상기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비작용상태로부터 상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작용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제1이동돌기를 그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제1이동돌기를 상기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상기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하는 제1원호돌기와,상기 조정부재의 상기 제1원호돌기와 반대쪽에 상기 제2이동돌기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반원호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를 그 일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가이드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회동시키고 상기 제2이동돌기를 상기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비작용상태로부터 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상기 이동부재를 작용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제2이동돌기를 그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다른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이동돌기를 상기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작용상태로부터 비작용상태로 절환하고 또 절환된 상기 이동부재를 비작용상태로 유지하는 제2원호돌기를 갖는 이동부재제어기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안내부 및 규제부는 걸어맞춤된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가이드축 둘레로 회동불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오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부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스풀의 회전축 둘레로 상대회동가능하며 또한 상대회동위치를 유지하여 일체회전가능한 조정부재와,상기 조정부재의 상기 제1이동돌기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돌출하여 마련되며, 상기 조정부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1이동돌기를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제1이동돌기를 상기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1제어돌기와,상기 조정부재의 상기 제1제어돌기와 스풀축심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보다 상기 일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제2이동돌기에 대향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제2이동돌기를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제2이동돌기를 상기 안내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2제 어돌기와,상기 제1제어돌기와 같은 반경위치에서 상기 제2제어돌기보다 일방향 하류측에 마련되고, 상기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머지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제1이동돌기를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제1이동돌기를 상기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3제어돌기와,상기 제2제어돌기와 같은 반경위치로 상기 제1제어돌기에서 상기 일방향 하류측에 마련되고, 다른 방향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속하는 반절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제2이동돌기를 그 타단으로 차례로 압압하여 상기 제2이동돌기를 상기 규제부에 압압순서대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는 제4제어돌기를 갖는 이동부재제어기구를 더 구비한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229149 | 1999-08-13 | ||
JP11229149A JP2001054342A (ja) | 1999-08-13 | 1999-08-13 |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1251A KR20010021251A (ko) | 2001-03-15 |
KR100638864B1 true KR100638864B1 (ko) | 2006-10-25 |
Family
ID=1688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6069A KR100638864B1 (ko) | 1999-08-13 | 2000-08-09 |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394381B1 (ko) |
JP (1) | JP2001054342A (ko) |
KR (1) | KR100638864B1 (ko) |
MY (1) | MY118663A (ko) |
TW (1) | TW4404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1886B1 (ko) * | 2002-09-12 | 2004-10-08 | 주식회사 바낙스 |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
US6908054B1 (en) * | 2003-08-20 | 2005-06-21 |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 Internally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
SG116585A1 (en) | 2004-04-13 | 2005-11-28 | Shimabno Inc |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
JP5124435B2 (ja) * | 2008-12-16 | 2013-01-23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JP5718119B2 (ja) * | 2011-03-29 | 2015-05-13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
CN102396433B (zh) * | 2011-12-06 | 2013-07-31 | 东莞宝熊渔具有限公司 | 可调式卷线器的线轮离心刹车结构 |
CN102396434B (zh) * | 2011-12-06 | 2013-07-31 | 东莞宝熊渔具有限公司 | 卷线器的线轮离心刹车结构 |
JP6198537B2 (ja) * | 2013-09-13 | 2017-09-20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KR101823115B1 (ko) * | 2017-01-13 | 2018-01-29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
US20230363368A1 (en) * | 2022-05-12 | 2023-11-16 |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Dba Accurate Fishing Products | Cast control system for a fishing reel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35505Y2 (ja) * | 1991-06-19 | 1997-05-14 | 株式会社シマノ | リールのブレーキ構造 |
US5362011A (en) * | 1991-12-16 | 1994-11-08 | Shimano Inc. | Baitcasting reel having an improved centrifugal brake |
JP2572090Y2 (ja) * | 1991-12-18 | 1998-05-20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JP2572095Y2 (ja) * | 1992-01-28 | 1998-05-20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JP2572104Y2 (ja) * | 1992-10-15 | 1998-05-20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US5782420A (en) * | 1995-02-21 | 1998-07-21 |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 | Motion limiting device for inertial spool brakes for fishing reels |
JP3159625B2 (ja) * | 1995-05-24 | 2001-04-23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
US5803385A (en) * | 1996-10-16 | 1998-09-08 |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mpany | Centrifugal brake system for fishing reel |
US6003798A (en) * | 1997-11-14 | 1999-12-21 |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
US5934588A (en) * | 1998-03-23 | 1999-08-10 | Berkley Inc. | Fishing reel with centrifugal brake |
US6168106B1 (en) * | 1998-08-28 | 2001-01-02 | Brunswick Corporation | Remotely operable centrifugal brake |
US5984221A (en) * | 1998-10-21 | 1999-11-16 |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
JP2000245314A (ja) * | 1999-02-25 | 2000-09-12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
-
1999
- 1999-08-13 JP JP11229149A patent/JP2001054342A/ja active Pending
-
2000
- 2000-08-01 TW TW089115427A patent/TW44042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09 KR KR1020000046069A patent/KR1006388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11 US US09/635,842 patent/US63943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8-11 MY MYPI20003687A patent/MY118663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Y118663A (en) | 2004-12-31 |
TW440426B (en) | 2001-06-16 |
KR20010021251A (ko) | 2001-03-15 |
JP2001054342A (ja) | 2001-02-27 |
US6394381B1 (en) | 2002-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18119B2 (ja) |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 |
US7370821B2 (en) | Spool assembly for a dual bearing reel | |
KR101010970B1 (ko) |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 |
KR100638864B1 (ko) |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 |
KR950006285B1 (ko) | 릴의 클러치 구조 | |
KR100616144B1 (ko)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
JP2012205523A5 (ko) | ||
KR20140112422A (ko) | 양 베어링 릴 | |
JP6177550B2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 |
KR100680153B1 (ko)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
KR20100123601A (ko)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
JP2014176360A5 (ko) | ||
KR20040036564A (ko)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 |
KR101394981B1 (ko) |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 |
JP5871493B2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
KR20050001347A (ko) | 양 베어링 릴 | |
EP0951826B1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US6168106B1 (en) | Remotely operable centrifugal brake | |
KR20140133414A (ko) |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 |
JP2013000086A5 (ko) | ||
KR100646436B1 (ko)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
KR20010066838A (ko)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
US5362011A (en) | Baitcasting reel having an improved centrifugal brake | |
KR100671948B1 (ko) |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 |
JPH10178982A (ja) | 魚釣り用両軸受リ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