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838A -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838A
KR20010066838A KR1020000032761A KR20000032761A KR20010066838A KR 20010066838 A KR20010066838 A KR 20010066838A KR 1020000032761 A KR1020000032761 A KR 1020000032761A KR 20000032761 A KR20000032761 A KR 20000032761A KR 20010066838 A KR20010066838 A KR 2001006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spool
elastic pressing
centrifug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준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요조,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요조
Publication of KR2001006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조정에 의해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 브레이크기구가 개시된다. 양 베어링 릴의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릴 본체(1)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것으로서, 이동부재(52)와, 제동부재(53)와, 탄성가압부재(54)와, 규제부재(55)와, 탄성가압력 조정기구(56)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51)에 마련되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다. 제동부재는, 릴 본체에 대하여 스풀의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마련되며,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재에 접촉가능하다. 탄성가압부재는, 제동부재를 이동부재측으로 탄성가압한다. 규제부재는, 제동부재의 이동부재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탄성가압력 조정기구는 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Centrifugal brake for dual bearing reel}
본 발명은 원심제동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풀 (spool)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로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미끼 릴이라 불리우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캐스팅시 스풀의 회전속도가 낚시줄 풀림속도보다 빨라지는 백러쉬(back rush)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동력을 스풀에 작용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브레이크 기구로서 스풀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원심제동장치가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풀 또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제동부재와, 이동부재의 외주측에 이동부재에 접촉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릴 본체에 고정된 관(管)모양의 제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이동부재가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동면과 접촉하여 스풀을 제동한다. 이러한 원심력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낚시줄감기시와 같이 스풀이 저속회전할 때에는 제동력은 그다지 커지지 않고, 캐스팅시와 같이 스풀이 고속회전하면 커진다. 이 때문에, 원심제동장치는, 낚시줄감기시에 있어서의 저항이 작고 또한 캐스팅시에 큰 제동력으로 백러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수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작용위치와 접촉할 수 없는 비작용위치에 이동부재를 절환하는 잠금기구가 각각의 이동부재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원심제동장치를 갖는 미끼 릴에서, 예컨대 루어 낚시를 행하고 있을 때, 플러그나 웜 등 다른 무게의 루어를 사용하는 경우, 제동력이 일정하면, 루어의 무게에 의해 캐스팅시의 비거리가 변동한다. 이 때문에, 무게가 다른 루어를 사용하는 경우, 무게에 따라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지름방향으로 이동부재가 이동하므로, 큰 제동력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동부재에 마련된 잠금기구에 의해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이동부재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해 복수의 잠금기구를 조작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어, 제동력의 조정이 번거롭다.
따라서 제동력의 조정을 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된 다이얼로 원터치로 조정할 수 있는 원심제동장치가 일본특허공개 평 10-30479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또한 회전부재에 요동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의 선단에 맞닿을 수 있도록 릴 본체에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제동부재와, 회전하는 다이얼을 가지며 제동부재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의 선단에는, 제동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부재는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그 외주측의 측면에 접촉부에 접촉하는 링형상의 브레이크 슈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부재는 이동기구의 다이얼을 회동시킴으로써 스풀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기구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이동부재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가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브레이크슈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다이얼을 회동시켜 제동부재를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슈에 이동부재가 접촉할 때의 요동각도를 변화시켜, 제동력을 원터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원심제동장치에서는, 다이얼을 회동시킴으로써 제동력의 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 슈에 접촉하여 얻어지는 제동력이 이동부재의 축방향 바깥쪽으로의 요동에 의한 힘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큰 제동력을 얻기 어렵다. 이는, 이동부재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하므로, 지름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을 제동력으로서 효율적으로 취출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동부재의 요동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동부재를 스풀축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제동력의 변화가 작아 명확한 제동력의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조정에 의해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 3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4는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릴 본체
12...스풀(spool)
23...원심 브레이크 기구
50...브레이크 케이스
51...회전부재
52...이동부재
52b...접촉면
53...제동부재
54...탄성가압부재(제1탄성가압부재)
55...규제부재
56...탄성가압력 조정기구
57...가이드축
71...탄성가압부재(제2탄성가압부재)
74...인장부재
76, 78...제1이동부재
77, 79...제2이동부재
발명 1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장치로서, 이동부재와, 제동부재와, 제1탄성가압부재와, 규제부재와, 탄성가압력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는, 스풀 또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마련되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부재이다. 제동부재는, 릴 본체에 대하여 스풀의 축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마련되며,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재에 접촉가능한 부재이다. 제1탄성가압부재는, 제동부재를 이동부재측으로 탄성가압하는 부재이다. 규제부재는, 제동부재의 이동부재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이다. 탄성가압력 조정기구는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러한 원심제동장치에서는, 스풀이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측으로 이동하여 제동부재에 접촉하여 제동부재를 누른다. 제동부재는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와 제동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스풀이 제동된다. 이러한 제동부재는, 제1탄성가압부재에 의해 이동부재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면, 이동부재가 제동부재를 눌렀을 때의 반력(反力)이 변화하여 마찰력이 변화하고, 마찰력에 비례하여 제동력이 변화한다. 여기서는,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탄성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발명 2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를 이동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또한 그 탄성가압력이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작은 제2탄성가압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을 제동할 때에는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이 제2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강해지도록 탄성가압력 조정기구에 의해 조정한다. 스풀을 자유회전상태로 하고자 할 때에는,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여 제2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약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2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제동부재를 이동부재로부터 확실하게 떨어져 나가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력이 스풀에 작용하지 않아, 스풀을 확실하게 자유회전시킬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부재를 축방향으로누른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름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동부재의 장착구조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나, 제동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에 접촉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 때문에, 제동부재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발명 4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선단이 제동부재쪽으로 경사져 스풀 또는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된 가이드축에 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선단에 스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인접한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심력이 이동부재에 작용하면 가이드축이 방사상으로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가 가이드축을 따라 비스듬히 축방향 및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제동부재를 향해 이동하고, 접촉부에서 제동부재에 접촉한다. 이 접촉부는 스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동부재는 스풀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원판형상의 부재이면 된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를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되므로 이동부재의 장착구조가 간소해지고, 또한 제동부재가 원판형상의 부재이면 되므로 제동부재의 구조도 간소해진다.
발명 5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스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제동부재는, 이동부재가 접촉하면 축방향으로 눌려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의 압압력을 축방향의 힘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조가 제동부재에 필요해지는데, 이동부재를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므로, 이동부재의 장착구조가 간소해진다.
발명 6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스풀 또는 회전부재에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또한 회전불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제1부재와, 제1부재에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지름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1부재를 제동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부재와, 제1부재를 제동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가압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이 회전하여 제2부재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축방향의 힘이 제3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강해지면, 제2부재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제2부재의 지름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1부재가 제동부재측으로 이동하고 제동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또한, 원심력에 의한 축방향의 힘이 제2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약해지면, 제2부재가 축방향 안쪽으로 이동하여 제동이 해제된다. 여기서는, 제3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예컨대, 저속으로 회전하는 낚시줄 권취시에는 제동력을 작동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캐스팅시에만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등의 선택적인 제동을 행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는, 스풀 또는 회전부재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불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부재와, 제1부재에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지름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1부재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제2부재와, 제1부재를 제동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가압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풀이 회전하여 제2부재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축방향의 힘이 제3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강해지면, 제2부재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제2부재의 지름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1부재가 제동부재측으로 이동하고 제2부재가 제동부재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또한, 원심력에 의한 축방향의 힘이 제2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약해지면, 제2부재가 축방향 안쪽으로 이동하여 제동해제된다. 여기서는, 제3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예컨대, 저속으로 회전하는 낚시줄 권취시에는 제동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캐스팅시에만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등의 선택적인 제동을 행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는, 발명 1로부터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1탄성가압부재는 동심(同芯)으로 내외주에 배치되며 또한 그 자유길이와 권취지름이 다른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동부재가 제1탄성가압부재의 각 코일스프링에 단계적으로 접촉하므로, 탄성가압력이 연속적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변화하며, 그에 따라 제동력도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탄성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더욱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장착된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양 베어링 릴은 주로 루어 낚시에 사용되는 미끼 릴로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형상의 아암부(2a)와, 아암부(2a)의 양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손잡이(2b)를 갖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핸들(1)의 아암부(2a)의 외측면은 이음매가 없는 매끈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낚시줄이 엉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측커버(6) 및 제2측커버(7)와, 프레임(5)의 앞부분에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된 앞 커버(10)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핸들(2)측의 제2측커버(7)는 나사에 의해 측판(9)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핸들(2)과 반대측의 제1측커버(6)는 베이어닛(bayonet)구조(14)에 의해 프레임(5)의 측판(8)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핸들과 반대측의 측판(8)에는 스풀(12)이 통과가능한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스풀(12)과, 스풀(12)내에 낚시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서밍(thumbing)을 행할 경우 엄지손가락이 놓이는 클러치 레버와 겸용된 섬레스트(thumb rest;17)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과 제2측커버 (7)와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기구(18)와, 클러치기구(13)와, 섬레스트(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기구(13)의 결합/이탈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결합/이탈기구(19)와, 낚시줄 풀림시에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1)와, 스풀축(16)을 양단에서 끼워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측커버(6)와의 사이에는, 캐스팅시의 백 러쉬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3)가 배치되어있다.
스풀(12)은 양측부에 접시모양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으며,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관모양의 줄감기몸체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줄감기몸체부(12b)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된 관모양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으며,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컨대 세레이션결합에 의해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6)은, 측판(9)을 관통하여 제2측커버(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측커버(7)에 형성된 보스부(29)에 베어링(35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16)의 타단은 원심 브레이크 기구(23) 내에서 베어링(35a)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한쌍의 측판(8, 9) 사이에 고정된 가이드관(25)과, 가이드관(25)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워엄 샤프트(26)와, 라인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워엄 샤프트(26)의 단부에는, 기어기구(18)를 구성하는 기어(28a)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워엄 샤프트(26)에는 나선형 홈(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라인가이드(27)가 이 나선형 홈(26a)에 맞물려져 있다. 이 때문에, 기어기구(18)를 통해 워엄 샤프트(26)가 회전되어짐으로써, 라인가이드(27)는 가이드관(25)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이러한 라인가이드(27) 내에 낚시줄이 관통한 상태로 삽입되어 낚시줄이 스풀(12)에 균일하게 감긴다.
기어기구(18)는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기어(31)와,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관모양의 피니언 기어(32)와, 상술한 워엄 샤프트(26) 단부에 고정된 기어(28a)와, 핸들축(30)에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며 기어(28a)에 맞물리는 기어 (28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관모양 부재로서, 스풀축(16)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의 우단부 외주에 형성되며 메인기어(31)에 맞물리는 톱니(32a)와, 타단측에 형성된 맞물림부(32b)를 가지고 있다. 톱니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 잘록부(32c)가 마련되어 있다. 맞물림부(32b)는 피니언 기어(32)의 단면에 형성된 오목홈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스풀축(16)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클러치핀(16a)이 걸려 고정된다. 여기서는 피니언 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그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스풀축(16)의 클러치핀(16a)이 이탈하면,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맞물림부(32b)의 오목홈과 클러치핀(16a)에 의해 클러치기구(13)가 구성된다.
섬레스트(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8, 9) 사이의 뒷부분에서 스풀(12)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조작 레버를 겸하고 있다. 프레임(5)의 측판(8, 9)에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섬레스트(17)를 고정하는 클러치 캠(미도시)이 이 장공을 관통하고 있다. 섬레스트(17)는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클러치 결합/이탈기구(19)는 클러치 요크(40)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결합/이탈기구(19)는 섬레스트(17)의 회동에 의해 클러치 요크 (40)를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그리고, 핸들축(30)이 줄감기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클러치기구(13)가 작동되도록 클러치요크(4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상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안쪽의 클러치 결합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맞물림부(32b)와 스풀축(16)의 클러치핀(16a)이 결합되어 클러치 작동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40)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맞물림부(32b)와 클러치핀(16a)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클러치 해제 상태로 된다.
[원심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원심 브레이크 기구(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51)에 마련된 이동부재(52)와, 이동부재(52)에 접촉가능한 제동부재(53)와, 제동부재(53)를 이동부재(52)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54)와, 제동부재(53)의 이동부재(52)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55)와,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가압력 조정기구(56)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부재(52)는, 회전부재(51)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스풀(1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또한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회전부재(51)는, 스풀축(16)에, 예컨대 세레이션 결합되어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된 관모양의 부재이다. 회전부재(51)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제동부재(53)쪽으로 비스듬히 방사상으로, 예컨대 6개의 가이드축(57)이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축(57)에 이동부재(52)가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축(57)을 비스듬히 방사상으로 배치하면, 이동부재(52)에 원심력이 작용하였을 때 이동부재(52)가 원심력에 의해가이드축(57)을 따라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또한 축방향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이동한다. 회전부재(51)의 선단(도 3 좌단)에는 이동부재(5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52)는 제동부재(53)를 향해 구부러진 대략 막대모양의 부재로서, 내부에는 가이드축(57)으로 안내되는 안내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52)의 제동부재(53)측의 선단부에는 스풀축(16)과 직교하는 면에 인접한 접촉면(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면(52b)의 자세를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 인접하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이동부재(52)는 가이드축(57)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제동부재(5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대하여 스풀(12)의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마련되며,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재(52)에 접촉가능한 워셔모양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동부재 (53)는 릴 본체(1)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케이스(50)에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0)는, 바닥이 있는 짧은 관모양의 부재로서, 그 바닥부 중심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관모양의 베어링 수납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부에 스풀축(16)을 지지하는 베어링(35a)이 수납되고,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마찰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외주부에 제동부재(53)가 회전할 수 없도록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0)는, 나사(60)(도 2)에 의해 제1측커버(6)에 고정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케이스(50)는 릴 본체(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 수납부(50a)의 선단(도 3 우단) 외주부에는, 한쌍의 오목홈(50b)이 축방향을 따라형성되어 있다. 오목홈(50b)은, 제동부재(53)를 회전할 수 없도록 맞물림고정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오목홈(50b)의 선단에는 고리모양 홈(50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리모양 홈(50c)에 규제부재(55)가 장착되어 있다. 규제부재(55)는, 예컨대, 원주의 일부가 잘려진 링모양의 탄성선재(彈性線材)로 만들어진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부재(53)의 이동부재(52)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동부재(53)는, 내주부가 베어링 수납부(50a)에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내주부에 오목홈(50b)에 걸려 고정되는 한쌍의 결합고정돌기(53a)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50)의 외주면에는, 베이어닛 구조(14)를 구성하는 돌기부 (14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군데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8a)에는, 이 돌기부(14a)에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턱(14b)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4b)은 개구(8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탄성가압부재(54)는, 일단이 제동부재(53)에 맞닿고 또한 제동부재(53)측이 지름이 큰 원추형 코일스프링이다. 탄성가압부재(54)는, 제동부재(53)와 후술하는 누름부재(58)와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58)가 가장 멀리 후퇴하였을 때 탄성가압부재(54)가 자유길이로 되어 있어도 좋다.
탄성가압력 조정기구(56)는, 브레이크 케이스(50)의 내부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된 누름부재(58)와, 브레이크 케이스(50)의 외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조작부재(59)와, 조작부재(59)의 회동을 누름부재(58)의 축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기구(61)를 가지고 있다.
누름부재(58)는, 베어링 수납부(50a)에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 내주부(58a)와, 브레이크 케이스(50)의 내주면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된 외주부(58b)와, 내주부(58a)와 외주부(58b)를 연결하는 바닥부(58c)를 가지고 있다. 외주부(58b)의 외주면에는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걸림핀(62)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걸림핀(62)은, 브레이크 케이스(50)의 내주면에 스풀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쌍의 걸림홈(50e)에 걸려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누름부재(58)가 브레이크 케이스(5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된다. 또한, 외주부(58b)의 외주면에는, 캠 기구(61)의 제1캠(6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캠(63)은 거의 삼각형 모양의 캠이다. 바닥부(58c)의 내벽에는 단차부(58d)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58d)에 탄성가압부재(54)의 타단이 걸려 고정되어 있다.
조작부재(59)는, 브레이크 케이스(5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대략 링모양의 부재이다. 조작부재(59)의 외측면의 외주부에는 손잡이부(59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59a)는,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59a)의 외측면의 중심부에는 지름방향을 따라 돌기부(59c)가 제1측커버(6)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더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커버(6)의 표면에 표시된 제동력을 나타내는, 예컨대 0부터 5의 문자(미도시)를 지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에는,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한쌍의 회동규제 오목부(59b)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59)에는, 브레이크 케이스(50)에 대한 회동각도를 6개의 위치에서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기구(70)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결정기구(70)는, 조작부재(59)에 스풀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위치결정 핀(70a)과, 위치결정 핀(70a)을 브레이크 케이스(50)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코일스프링(70b)과, 브레이크 케이스(50)의 외측 측면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6개의 위치결정 오목부(70c)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재(59)의 도 4 우측 측면에는, 캠 기구(61)를 구성하는 제2캠(64)이 마련되어 있다. 제2캠(64)은, 제1캠(63)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3각형의 사변(斜邊)캠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캠(63, 64)의 작동에 의해 조작부재(59)의 회동이 누름부재(58)의 제동부재(53)에 근접하는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브레이크 케이스(50)에는, 제2캠(64)을 관통시키기 위한 원호상의 캠홈(50f)이 한쌍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재(59)는 누름판(75)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스(50)에 눌려져 있다. 누름판(75)은, 브레이크 케이스(5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고정부(50d)에 비틀려 들어가 조작부재(59)를 누르고 있다. 나사고정부(50d)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조작부재(59)는 이 나사고정부(50d)에 회동규제 오목부(59b)가 걸려 고정됨으로써 회동각도가 소정범위로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가압력 조정기구(56)에서는, 손잡이부(59a)를 잡고 조작부재(59)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캠(63) 및 제2캠(64)의 작용에 의해 누름부재(58)가 제동부재(5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 결과, 제동부재(53)에 대한 탄성가압력이 강해지고, 이동부재(52)가 제동부재(53)에 접촉하였을 때의 반력이 커져 제동력이 커진다. 한편, 조작부재(59)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누름부재(58)가 제동부재(5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후퇴하고, 제동부재(53)에 작용하는 탄성가압력이 약해져, 제동력이 작아진다. 그리고 가장 멀리 후퇴하면 제동력이 가장 약해지며, 그 사이의 4개의 중간위치에서 반력이 차차 약해져 제동력이 단계적으로 약해진다.
여기서는,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탄성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릴의 동작]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40)는 안쪽으로 눌려져 있어 클러치 작동의 상태이다. 이 결과,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메인기어(31),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해 스풀(12)에 전달되고, 스풀(12)이 낚시줄 감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의 이동부재(52)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52)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지만, 스풀(12)의 회전속도가 느리므로, 제동력은 그다지 커지지 않아 핸들(2)의 회전의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만약 제동력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면, 손잡이부(59a)를 잡고 조작부재(59)를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3에 나타낸 후퇴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캐스팅을 행할 경우에는, 백 러쉬를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부(59a)를 잡고 조작부재(59)에 의해 제동력을 조정한다. 조작부재(59)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누름부재(58)를 제동부재(53)에 접근시키면,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이 커져, 제동력이 강해진다.
계속해서, 섬레스트(17)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여기서는, 섬레스트(17)는, 측판(8, 9)의 흐름을 따라 아래쪽의 이탈위치로 이동한다. 섬레스트(17)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요크(4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피니언기어(32)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 해제 상태로 된다. 이러한 클러치 해제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12)은 자유회전상태로 된다. 클러치 해제 상태로 하여 섬레스트(17)에 얹어 놓은 엄지손가락으로 스풀(12)을 서밍하면서 스풀축(16)이 수직면에 인접하도록 릴을 축방향으로 경사시켜 낚시대를 흔들면, 루어가 던져져 스풀(12)이 낚시줄 풀림방향으로 세차게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해 스풀축(16)이 낚시줄풀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이 회전부재(51)로 전달된다. 회전부재(51)가 회전하면, 이동부재(52)가 제동부재(53)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원심 브레이크 기구(23)에 의해 스풀(12)이 제동되어 백러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스풀(12)에서 백러쉬가 발생하여도 제1측커버(6)가 베이어닛 구조(14)에 의해 간단히 착탈될 수 있으므로, 백러쉬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다른 루어로 바꿀 때에는, 루어의 무게에 따라 손잡이부(59a)를 잡고 조작부재(59)를 회동시켜 제동력을 조정한다. 여기서는, 외부에 노출된 손잡이부(59a)를 잡고 조작부재(59)를 회동하는 것만으로 원심력에 의한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동력을 조정하면 제동력의 차이가 명확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캠기구(61)에 의해 누름부재(58)를 이동시켰으나,나사 등 다른 변환기구에 의해 누름부재(58)를 이동시켜도 좋다.
(b)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스프링(54a∼54d)에 의해 탄성가압부재(54)를 구성하여 제동부재(53)를 탄성가압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각 코일스프링(54a∼54d)은, 각각 자유길이와 권취지름이 다른 동심으로 배치된 코일스프링이며, 외주측의 코일스프링(54a)이 가장 자유길이가 길고, 내주측의 코일스프링 (54d)이 가장 짧다. 또한, 내주측의 코일스프링(54d)의 선단위치는, 제동부재(53)가 가장 멀리 후퇴하였을 때 접촉가능한 위치이다. 누름부재(58)에는, 각 코일스프링(54a∼54d)의 기단(基端)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관모양의 걸림돌기(58e)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제동부재(53)가 탄성가압부재(54)의 각 코일스프링(54a∼54d)에 단계적으로 접촉하므로, 탄성가압력이 연속적이 아닌 단계적으로 변화하며, 그에 따라 제동력도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탄성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더욱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c)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부재(53)의 도 6의 우측에 탄성가압부재 (71)를 마련하여도 좋다. 탄성가압부재(71)는, 예컨대 제동부재(53)측이 지름이 큰 원추형 코일스프링이며, 탄성가압부재(54)보다 스피링 정수가 작고, 통상의 탄성가압력은 탄성가압부재(54)보다 작다. 탄성가압부재(71)의 소경측의 단부는 고리모양 홈(50c)에 걸려 고정된 고정링(72)에 의해 규제된 스프링고정 링(73)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스풀(12)을 제동할 때에는,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이 탄성가압부재(71)의 탄성가압력보다 강해지도록 탄성가압력조정기구(56)에 의해 조정한다. 스풀(12)을 자유회전상태로 하고자 할 때에는,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여 탄성가압부재(71)의 탄성가압력보다 약하게 한다. 이에 따라, 탄성가압부재(71)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제동부재(53)를 이동부재(52)로부터 확실하게 떨어져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력이 스풀 (12)에 작용하지 않아, 스풀(12)을 확실하게 자유 회전시킬 수 있다.
(d)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축(57)을 회전부재(51)의 지름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제동부재(53)에 원추형상의 경사제동면(53b)을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이동부재(52)는, 회전부재(51)의 지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된다. 이동부재(52)의 선단에는, 제동면에 접촉하도록 비스듬한 곡면으로 형성된 접촉면(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스풀(12)이 회전하여 이동부재(52)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이동부재(52)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경사제동면(53b)에 접촉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때, 경사제동면 (53b)이 비스듬하므로, 제동부재(53)는 이동부재(52)에 의해 스풀축방향 바깥쪽으로 눌려진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제동부재(53)를 이동부재(52)측으로 탄성가압하고 있는 탄성가압부재(54)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이동부재(52)가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이동부재(52)의 장착구조가 간소해진다.
(e)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52)를 축방향 이동가능한 제1이동부재(76)와, 지름방향 이동가능한 제2이동부재(77)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제1이동부재(76)는, 회전부재(51)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장착된, 예컨대, 원추대 모양의 부재이다. 제1이동부재(76)의 대경측의 단부에는, 고리모양의 접촉부(76a)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측의 단부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인장부재(74)가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인장부재(74)는, 제1이동부재 (76)를 스풀(12)에 접근하는 측으로 잡아당기고 있다. 이 때문에, 인장부재(74)의 양단은, 제1이동부재(76) 및 스풀(12)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또, 인장부재(74)의 인장력은, 예컨대, 제2이동부재(77)에 낚시줄 풀림시에 원심력이 작용하였을 때, 원심력에 의해 제1이동부재(76)에 작용하는 축방향 바깥쪽으로의 분력(分力)보다 약하고, 낚시줄 권취시에 작용하는 축방향 바깥쪽으로의 분력보다 크다.
제2이동부재(77)는, 제1이동부재(76)에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2이동부재(77)는, 스풀(12)의 플랜지부(12a)의 외측면에 형성된 테이퍼면 (12d)에 접촉가능한 경사면(77a)을 선단에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스풀(12)이 회전하여 제2이동부재(77)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제2이동부재(77)는 원심력에 의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면(12d)에 접촉한다. 테이퍼면(12d)에 제2이동부재(77)가 접촉하면,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축방향으로의 분력이 인장부재(74)의 인장력보다 커진 시점에서 제1이동부재(76)와 함께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제1이동부재(76)가 제동부재(53)에 접촉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원심력에 의한 분력이 인장력보다 약해지면, 제1이동부재(76)는 인장부재(74)에 의해 잡아당겨져 제동부재(53)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또한, 낚시줄 권취시와 같이 낚시줄 풀림시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분력은 인장부재(74)의 인장력보다 약하므로, 낚시줄 권취시에는 스풀(12)은 제동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낚시줄 권취시와 낚시줄 풀림시에서 선택적으로 스풀(12)을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재(51)에 회전할 수 없고 또한 축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이동부재(78)에 방사상으로 가이드축(80)을 마련하고, 가이드축(80)에 제2이동부재(79)를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제2이동부재(79)에는, 스풀(12)의 테이퍼면(12d)에 접촉하는 제1접촉면 (79a)과, 제동부재(53)에 접촉하는 제2접촉면(79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작에 대하여는,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가 지름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었으나, 원심력에 의해 요동하도록 회전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가 스풀(12)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장착되어 있었으나, 스풀(12)에 직접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변경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하고 있으므로, 제동력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탄성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명확한 제동력의 차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릴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풀을 원심력에 의해 제동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풀 또는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마련되며, 상기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 이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제동부재와,
    상기 제동부재를 상기 이동부재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제1탄성가압부재와,
    상기 제동부재의 상기 이동부재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와,
    상기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가압력 조정기구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의 원심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를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또한 그 탄성가압력이 상기 제1탄성가압부재의 탄성가압력보다 작은 제2탄성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동부재를 상기 축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선단이 상기 제동부재 쪽으로 경사져 상기 스풀 또는 상기 회전부재에 방사상으로 세워져 마련된 가이드축에 상기 가이드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선단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인접한 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스풀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접촉하면 상기 축방향으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풀 또는 상기 회전부재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가능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지름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동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동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가압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풀 또는 상기 회전부재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할 수 없도록 마련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지름방향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지름방향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부재와 함께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동부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제3탄성가압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가압부재는, 동심으로 내외주에 배치되며 또한 그 자유길이와 권취지름이 다른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20000032761A 1999-06-16 2000-06-14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20010066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69393A JP2000354442A (ja) 1999-06-16 1999-06-16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11-169393 1999-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838A true KR20010066838A (ko) 2001-07-11

Family

ID=1588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61A KR20010066838A (ko) 1999-06-16 2000-06-14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96485B1 (ko)
EP (1) EP1060664B1 (ko)
JP (1) JP2000354442A (ko)
KR (1) KR20010066838A (ko)
AT (1) ATE249736T1 (ko)
DE (1) DE60005248T2 (ko)
ES (1) ES2206141T3 (ko)
MY (1) MY123989A (ko)
SG (1) SG82082A1 (ko)
TW (1) TW4480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7429B2 (ja) * 1999-07-07 2006-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TW462872B (en) * 1999-07-26 2001-11-11 Shimano Kk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of double-bearing reel
KR100320399B1 (ko) * 1999-09-02 2002-01-15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원심 브레이크 구조
JP3535781B2 (ja) * 1999-10-28 2004-06-0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7552886B2 (en) 2007-07-10 2009-06-30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Double drag, pre-set adjust and unitary end assembly for trolling reel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20110079672A1 (en) * 2009-10-07 2011-04-07 Hyunkyu Kim Automatic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JP5718119B2 (ja) * 2011-03-29 2015-05-1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5926564B2 (ja) * 2012-01-18 2016-05-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US9101120B2 (en) * 2012-05-04 2015-08-11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having centrifugal brake system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22038629A (ja) * 2020-08-27 2022-03-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その制動装置及び制動システム
TW202320632A (zh) * 2021-11-24 2023-06-01 日商島野股份有限公司 雙軸承捲線器的捲筒制動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5721A (en) * 1976-01-26 1980-04-01 Shea Inventive Designs, Inc. Torque exchange coupling
GB1576950A (en) * 1977-06-30 1980-10-15 Brooke Bond Vending Syst Cup sel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vending machine of the in-cup type
JP2538904Y2 (ja) * 1991-07-1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遠心ブレーキ機構
JPH10304798A (ja) 1997-03-06 1998-11-17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5996921A (en) * 1997-03-06 1999-12-07 Ryobi Limited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US6086005A (en) * 1997-03-11 2000-07-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magnetic force spool rotational-speed control during spool free rotational state
US5950949A (en) * 1997-04-25 1999-09-14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3727149B2 (ja) 1997-09-04 2005-12-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6003798A (en) * 1997-11-14 1999-12-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JPH11299402A (ja) 1998-04-21 1999-11-02 Ryobi Ltd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5984221A (en) * 1998-10-21 1999-11-16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49736T1 (de) 2003-10-15
DE60005248D1 (de) 2003-10-23
EP1060664B1 (en) 2003-09-17
TW448033B (en) 2001-08-01
JP2000354442A (ja) 2000-12-26
US6196485B1 (en) 2001-03-06
MY123989A (en) 2006-06-30
SG82082A1 (en) 2001-07-24
EP1060664A1 (en) 2000-12-20
ES2206141T3 (es) 2004-05-16
DE60005248T2 (de)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144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20010066838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KR102392206B1 (ko) 스풀 제동 장치 및 물고기 낚시용 릴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KR100680153B1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2011019427A5 (ko)
KR20180028359A (ko) 양 베어링 릴
CN108338134B (zh) 双轴承绕线轮的卷筒制动装置
JP2000316438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KR2004006802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KR0136577B1 (ko) 스피닝리일
JP2014217341A5 (ko)
KR100722537B1 (ko) 양 베어링 릴
JP3747429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CN110731319A (zh) 钓鱼用渔线轮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KR20150000817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양 베어링 릴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JP3747430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747431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7226013B1 (en) Fishing reel having improved pay out clicking mechanism
JP2005328755A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3797832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03079292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